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립유치원 원장의 교직 생애 경험 내러티브 연구

        김미자 중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과정 2024 국내박사

        RANK : 251695

        사립유치원 원장의 교직 생애 경험 내러티브 연구 중부대학교 대학원 교육심리상담학과 김미자 지도교수: 최경애 본 연구는 사립유치원 원장의 교직 생애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Narrative research)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 목적과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 다. 연구 목적은 첫째, 사립유치원 원장의 교직 생애 경험을 이해하고 그 의미 를 파악하고, 둘째, 사립유치원 원장의 교직 생애 경험을 바탕으로 유아교육 발전 방향을 모색하며, 셋째, 사립유치원 원장의 교직 생애 경험을 통해 유아 교육 현장의 교사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그들의 성장을 지원하는 것이다. 사 립유치원 원장의 교직 생애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의 연구 필요성 및 목 적을 바탕으로, 사립유치원 원장의 교직 생애 경험을 이해하고 그 의미를 밝 히기 위해 집중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립유치원 원장의 교직 생 애 경험을 통해 유아교육 현장에서 원장의 역할이 어떻게 형성되는지 탐색한 다. 둘째, 사립유치원 원장의 교직 생애 경험을 통해 유아교육 현장에서 원장 의 의미가 무엇인지 탐색한다. 연구 문제를 통해 유아교육 현장에서 사립유치 원 원장의 역할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과 원장의 역할 수행에 대한 지원 방 안 마련, 유아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원장의 역할 강화 방안에 관한 제언을 하고자 하고자 하였다. 질적 연구란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 세계와 의미 세계를 있는 그대로 인정하 고, 그 의미를 당사자들의 주관적 세계 속에서 해석해 나가는 연구 방법이다. 연구 주제에 대한 참여자들의 더욱 깊이 있는 경험을 나눌 수 있으며, 사회·문 화적 측면에서 내러티브 탐구는 인간의 삶과 관련된 시간과 사회적 존재로서 의 경험이 스며져 있다. 내러티브 탐구 과정을 반영하여 본 연구의 주제인 사 립유치원 원장의 유아교육 정책의 변천에 따른 유아교육 실천에 대한 연구참 여자 5인의 생각과 경험은 어떠한지 이야기를 통해 의미를 연구하고자 하였 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하나, 유치원 교사가 되기까지의 과정, 둘, 유치원 교사로서의 경험과 성장, 셋, 유치원 교사 생활에서 겪은 어려움, 넷, 유치원 원장으로서의 경험, 다섯, 유치원 정책 변화 에 대한 경험, 여섯, 원장 이후 삶의 범주로 도출되었다. 연구참여자들이 유치 원 원장이 되기까지의 과정의 인터뷰한 결과는 유아 교사가 되기까지의 계기, 유아교육을 전공하고 유치원 교사가 된 후의 성장과 경험, 유치원 원장이 되 기로 마음먹기까지의 과정으로 유목화되었다. 연구 참여자 등의 유치원 교사 로서의 경험과 성장에 대해 이야기한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공통적인 점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 근무환경의 어려움으로 대부분 적은 급여와 일정 하지 않은 출퇴근 시간 등의 열악한 근무 환경이며, 둘째, 업무환경의 어려움 으로, 유치원 교사들은 교육자료를 직접 제작하고, 아이들의 돌봄과 교육을 담 당하는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해야 한다는 점이다. 셋째, 다양한 교육을 통해 교사로서의 전문성을 함양하고 성장을 노력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연구 참 여자들은 유치원 교사들이 교육과정 파악의 어려움, 교사로서의 전문성 수준 하향, 학생 수의 감소로 인한 교사로서의 전문성 하락 등으로 인해 다양한 어 려움을 겪고 있다고 이야기하였다. 다음으로, 연구참여자들이 유치원 원장으로 도전하게 된 계기 및 과정은 서로 각기 다른 계기와 시점, 사회 분위기 속에 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사립유치원 원장으로서의 경험에 관한 내러티 브 결과는 유치원 교육의 질적 수준을 높이는 교육과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유치원을 책임지고 이끌어 갈 원장의 지도력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으며, 원 장의 역할에 대한 인식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치원을 폐원한 원장들은 이후 다른 유치원의 임용 원장을 하거나 은퇴 이후 의 삶을 살고 있음에도 여전히 유아교육 분야에 이바지하는 삶을 살기를 원하 고 이를 위해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립유치원 원장들의 삶의 경험과 의미를 이해하기 위한 연구를 통해 사립유치원 원장들의 교육 철학과 가치관, 그리고 유치원 교육에 대한 열정을 이해할 수 있었다. 사립유치원 원장들의 솔직하고 바람직한 연구가 향후 깊이 있게 진행되었으면 한다. 또한, 유치원 교사로서 끊임없이 고민하고 나아가야 할 교육 방향을 제시하기는 쉽지 않은 일이지만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유치원 교육의 발전 방향을 시사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 주제어 : 사립유치원, 사립유치원 원장, 유아교육 과정, 유아 교육정책, 내러티브 연구 ABSTRACT Narrative Study on Teaching Life Experience of a Private Kindergarten Director Kim, Mija Department of Educational Psychology and Counseling Graduate School of Joongbu University This study presented the following research objectives and research questions through narrative research on the teaching experience of private kindergarten director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first, to understand and understand the teaching experience of private kindergarten directors and their meaning; second, to seek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based on the private kindergarten director's teaching experience; and third, to explore the teaching experience of private kindergarten directors. Through this, we motivate teacher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and support their growth. Based on the need and purpose of research on narrative inquiry regarding the teaching experience of private kindergarten directors, the research questions focused on understanding and revealing the meaning of the teaching experience of private kindergarten directors are as follows. First, we explore how the role of a private kindergarten director is formed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through his or her teaching experience. Second, we explore the meaning of the director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the teaching experience of a private kindergarten director. Through the research question, the aim was to improve social awareness of the role of private kindergarten director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repare support measures for the performance of the director's role, and make suggestions on ways to strengthen the role of the director to improve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Qualitative research is a research method that acknowledges the world of experience and meaning of research participants as it is and interprets that meaning within their subjective world. articipants can share more in-depth experiences about the research topic, and from a social and cultural perspective, narrative inquiry is steeped in the time and experience of being a social being related to human life. Narrative inquiry can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a person's detailed story, life, experience, or the life of a few individuals (Creswell, 2007), so by reflecting the narrative inquiry process, we can reflect on the chang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ies of private kindergarten directors, which are the subject of this study. We sought to study meaning through stories about the thoughts and experiences of five research participants regard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practic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 participants are: The process of becoming a kindergarten teacher, two, Experience and growth as a kindergarten teacher, three, Difficulties encountered in the life of a kindergarten teacher, four, Experience as a kindergarten director, five, Experience with kindergarten policy changes, six categories, and life after becoming a director were derived. The results of interviews with research participants about the process of becoming a kindergarten director were summarized as the opportunity to become an early childhood teacher, the growth and experience after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becoming a kindergarten teacher, and the process of deciding to become a kindergarten director. Looking at what the research participants said about their experiences and growth as kindergarten teachers, the following common points can be found. First, due to the difficulties in the working environment, most of them have poor working conditions such as low wages and irregular commuting hours. Second, due to the difficulties in the working environment, kindergarten teachers produce educational materials themselves and are responsible for the care and education of children. The point is that you have to perform a variety of tasks. Third, we are striving to cultivate expertise and grow as teachers through various education programs. In addition, research participants said that kindergarten teachers are experiencing various difficulties due to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the curriculum, lowering the level of professionalism as teachers, and decreasing professionalism as teachers due to a de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Next, the reasons and processes that led the research participants to take on the challenge of becoming a kindergarten director were found to have occurred at different times, at different times, and in different social atmospheres. The results of the narrative about the experience as the director of a private kindergarten show that in order to carry out a curriculum that improves the quality of kindergarten education, the leadership of the director who will take responsibility and lead the kindergarten can be seen as important, and that awareness and efforts about the role of the director are necessary. It appeared that he was thinking.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directors who closed kindergartens still want to live a life contributing to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are making efforts to do so, even though they are appointed directors of other kindergartens or are living a post-retirement life. Through research to understand the life experiences and meanings of private kindergarten directors, we were able to understand their educational philosophy and values, and their passion for kindergarten education. I hope that honest and desirable research by private kindergarten directors will be conducted in depth in the future. In addition, as a kindergarten teacher, it is not easy to constantly think about and suggest an educational direction to pursue, but it is believ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kindergarten education.In addition, as a kindergarten teacher, it is not easy to constantly think about and suggest an educational direction to pursue, but it is believ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kindergarten education. KEY WORD : private kindergarten, private kindergarten director,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narrative research

      • 노인의 경제활동 참여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자본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최영진 중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과정 2024 국내박사

        RANK : 251679

        노인의 경제활동참여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자본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중부대학교대학원 보건복지경영학과 최 영 진 지도교수:김 대 길 연구는 노인의 경제활동 참여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자본 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노인의 성공적 노 화와 관련된 복지정책이나 심리상담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 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은 465 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통계 프로그램 SPSS 24.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조사대상자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 분석과 평균분석의 기술분석, 측정도구와 신뢰도 검증을 위해서 신뢰도분석, T-test, ANOVA 분 석과 AMOS 22.0을 이용하여 구조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공적 노화, 자아존중감, 사회적자본 차 이검증을 실시하였는데, 성별, 연령, 최종학력, 월소득, 재산 규모에 따라 차이 가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경제활동 참여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는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노인의 사회적자본과 자아존중감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파악에서는 사회적자본의 신뢰와 사회참여가 영향을 미쳤 으며, 자아존중감에서는 부정적 자아와 긍정적 자아가 부(-)적 또는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경제활동 참여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자본 의 규범, 사회참여, 신뢰가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회적자 본은 직접적으로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노인의 경제활동 참 여와 성공적 노화 사이에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인의 경제활동 참여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 의 부정적 자아와 긍정적 자아가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 아존중감은 직접적으로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노인의 경제활 동 참여 수준과 성공적 노화 사이에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제언으로 첫째, 연구지역의 한계이다. 연구 설계에서 지역적인 고려 를 통한 표집이 이루어져 연구의 대표성과 연구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높여 야 하며 노인들이 거주하는 지역이 광범위해서 집단의 특성을 고려한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조사 대상을 노인들 중 서울 및 경기도 실제로 거주하는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정하여 진행하였기 때문에 연구 결과의 일반화에 대한 한계가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 독립변수로 설정된 요인들 외에도 성공적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에 대한 탐색이 필요할 것이다. 넷째, 후속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와는 차별화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의 필 요성도 제기된다. 주제어: 경제활동 참여, 성공적 노화, 사회적자본, 자아존중감, 매개효과

      • 부모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유민경 중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과정 2024 국내박사

        RANK : 251679

        부모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중부대학교 대학원 교육심리상담학과 유민경 지도교수 최경애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해 부모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효과크기를 비교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연구에서 다룬 부모 의 양육태도 유형을 긍정적·부정적 양육태도로 분류하고, 유아의 문제행동을 내재화·외현화 문제행동으로 구분하여, 부모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다룬 개별 연구의 결과를 통합하였다. 연구의 분석 자료는 2000년에서 2023년 8월까지 국내에서 출판된 논문을 대상으로 하여 학술지 48 편, 학위논문 67편으로 총 115편 논문으로 총 표집 수는 연령을 혼합하여 총 45,772명이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효과크기는 어떠한가? 1-1: 부모의 애정적 양육태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효과크기는 어떠한가? 1-2: 부모의 자율적 양육태도가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효과크기는 어떠한가? 1-3: 부모의 행동적 통제 양육태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 향의 효과크기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효과크기는 어떠한가? 2-1: 부모의 거부적 양육태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효과크기는 어떠한가? 2-2: 부모의 통제적 양육태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효과크기는 어떠한가? 2-3: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효과크기는 어떠한가? 2-4: 부모의 과보호적 양육태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효과크기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 전체가 유아의 문제행동 전체와 내재화, 외현 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한 중간 수준 이하의 효과크기인 것으로 나 타났다. 내재화 문제행동 하위영역에서는 우울, 신체화, 내재화복합문제, 불안 (정서불안, 걱정)의 문제행동 순으로, 외현화 문제행동에서는 스마트폰과의존 (과몰입), 공격성(적대), 미성숙행동(협응력부족) 순으로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애정적 양육태도가 유아의 문제행동 전체 및 내재화, 외현화 문 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서로 비슷한 중간 수준 이하의 효과크기인 것으로 나타 났다. 내재화 하위영역의 문제행동에서는 우울이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고, 불안 (정서불안, 걱정), 신체화, 내재화복합문제행동, 위축의 순으로, 외현화 문제행동 에서는 스마트폰과의존(과몰입), 공격성(적대) 순에 따라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자율적 양육태도가 유아의 문제행동 전체 및 내재화,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서로 비슷한 중간 수준 이하의 효과크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내재화 문제행동 하위영역에서는 불안(정서불안, 걱정)의 문제행동 이 효과크기를, 외현화 문제행동 하위영역에서는 과잉행동(산만)과 공격성(적 대)에서 효과크기를 보여주었으나 공격성(적대)의 문제행동에서는 작은 효과 크기를 보여주었다. 넷째, 부모의 행동적 통제 양육태도에서는 유아의 문제행동 전체 및 내재화, 외현화 문제행동은 중간 수준 이하의 효과크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내재화 문 제행동 하위영역에서는 불안(정서불안, 걱정)의 문제행동에서 효과크기를, 외 현화 문제행동 하위영역에서는 스마트폰과의존(과몰입)의 문제행동에서 효과 크기가 나타났다. 다섯째,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 전체가 유아의 문제행동 전체 및 내재화,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한 중간 수준의 효과크기인 것으로 나 타났다. 내재화 문제행동 하위영역에서는 우울의 문제행동에서, 외현화 문제행 동에서는 공격성(적대) 문제행동에서 효과크기를 보여주었다. 여섯째, 부모의 거부적 양육태도가 유아의 문제행동 전체 및 내재화·외현화 문 제행동에 대해 미치는 영향은 중간 수준의 효과크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내재화 문제행동 하위영역의 문제행동에서는 불안(정서불안, 걱정)의 문제행동에서, 외 현화 문제행동 하위영역에서는 미성숙(협응력부족), 공격성(적대) 문제행동 순으 로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일곱째, 부모의 통제적 양육태도가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 전체 및 내재화· 외현화 문제행동 전체에 미치는 영향은 중간 수준 이하의 유의한 효과크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내재화 문제행동 하위영역에서는 내재화복합문제, 신체화, 우울, 위축의 문제행동 순으로, 외현화 문제행동에서는 공격성(적대)의 문제행 동에서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여덟째,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가 문제행동 전체 및 내재화·외현화 문제행 동 전체에 미치는 영향은 중간 수준 이하의 유의한 효과크기인 것으로 나타났 다. 내재화 문제행동 하위영역에서는 우울의 문제행동에서, 외현화 문제행동 하위영역에서는 공격성(적대)의 문제행동에서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아홉째, 부모의 과보호적 양육태도가 문제행동 전체 및 내재화·외현화 문제 행동 전체에 미치는 영향은 중간 수준의 유의한 효과크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내재화 문제행동 하위영역에서는 불안(정서불안, 걱정)의 문제행동에서, 외현화 문제행동에서는 스마트폰과의존(과몰입) 문제행동에 큰 효과크기를 보여주었다. 열 번째,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 전체가 긍정적 양육태도 전체보다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효과크기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문제행 동은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에서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태도 유형에 따라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각각의 효과크기에 차이가 있어 부모의 양육행동과 문제행동의 관계를 종합하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분석하여 살펴본 것에 타당성이 입증되었다. 또 한, 부모의 양육태도를 긍정적 양육태도와 부정적 양육태도로 나누어 분석함으 로써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관련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유아의 문제행동을 예방하는 데 목적을 두 어, 유아교육 기관과 유아를 둔 부모에게 이와 관련된 부모상담 및 교육자료와 이에 따른 프로그램개발에 실질적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 주제어 : 부모 양육태도, 긍정적·부정적 양육태도, 유아의 문제행동, 메타 분석

      • 꽃차 요법이 성인 여성의 스트레스, 우울,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김화정 중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과정 2024 국내박사

        RANK : 251679

        꽃차 요법이 성인 여성의 스트레스, 우울,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중부대학교 대학원 자연치유심리학과 김 화 정 인간의 수명이 길어지고 생활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건강하고 질적인 삶을 살고자 하는 욕구가 증가하고 있다. 중년기는 인간의 성장 발달 과정에서 행 동과 의식의 전환기이며, 생활 속에서 여러 가지 긴장 요인과 신체적, 사회적, 정신적인 변화의 시기이다. 특히 성인 여성들은 각종 만성질환이나 사고, 통 증, 스트레스, 정서적 불안감 및 우울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 서 본 연구는 성인 여성의 자연치유 증진에 꽃차 요법의 경험이 스트레스, 우 울,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꽃차 중재 프로그램 연구 모형을 개발하여 수행하였다. 꽃차 중재 프로그램 연구 모형은 1) 꽃차 요법의 스트레스 수준에 미치는 영향, 2) 꽃차 요법이 우울 수준에 미치는 영향, 3) 꽃차 요법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으로 구분을 하여 설정을 하였다. 측정 도구와 검사지는 실험군과 통제군 모두 자연치유 증진 꽃차 요법 프로그램 시행 전과 프로그램을 마친 후에 스트레스 지각척도, 우울척도, 자아존중감 척도 총 61문항을 조사하였다. 대상자에 대하여 유비오 맥파 측정기(uBio Clip v70)를 이용 스트레스 지수를 측정했으며, 총참여한 연구자들은 실험집단 17명과 통제집단 17명으로 직접 설문을 하는 방식으로 진행을 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적 분석은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WIN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측정 도구들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각 척도의 Cronbach’s α 값을 산출하였다. 그리고 자연치유 증진 꽃차 요법 프로그램 실시전 실험집단 과 통제집단의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맨-휘트니 U 검증(Mann-Whitney U test)을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으로 나누어 비모수 검증인 Wilcoxon 부호-순위 검증(Wilcoxon's signed-ranks test)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자연치유 증진 꽃차 요법 프로그램이 성인 여성의 스트레스 지 각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면 스트레스 지각 전체에 대한 사전, 사후 검사를 비교해 볼 때, 실험집단은 사전 검사에 비해 사후 검사에서 평균 0.61점 낮아 져서,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Z=-3.296, p< .01), 통제집단의 경우 사 전 검사보다 사후 검사에서 평균 0.13점 낮아졌으나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 의하지 않았다(Z=-1.322, p> .05). 자연치유 증진 꽃차 요법 프로그램이 성인 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효과는 성인 여성의 우울 전체에 대한 사전, 사후 검사 를 비교해 볼 때, 실험집단은 사전 검사에 비해 사후 검사에서 평균 0.32점 낮 아져,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Z=-3.296, p< .01), 통제집단의 경우 사 전 검사보다 사후 검사에서 평균 0.12점 낮아졌으나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 의하지 않았다(Z=-1.857, p> .05). 자연치유 증진 꽃차요법 프로그램이 성인 여 성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에서 실험집단은 자아존중감 사전 검사에 비해 사후 검사에서 평균 0.31점 높아져,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Z=-2.565, p< .05), 통제집단의 경우 사전 검사보다 사후 검사에서 평균 0.12점 높아졌으나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Z=-1.019, p> .05). 자연치 유 증진 꽃차요법 프로그램이 성인여성의 유비오 맥파 수치에 미치는 효과에 서 실험집단은 유비오 맥파 사전 검사에 비해 사후 검사에서 평균 9.2점 낮아 져서,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Z=-3.419, p< .01), 통제집단의 경우 사 전 검사보다 사후 검사에서 평균 4.4점 높아졌으나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 의하지 않았다(Z=-1.365, p> .05). 연구 결과 자연치유 증진 꽃차 요법 프로그램 참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성인 여성의 우울과 스트레스를 줄이고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 적인 자연치유 중재 방안이 될 수 있다고 평가를 하였다. 자연치유 증진 꽃차 요법, 성인 여성, 스트레스, 우울, 자아존중감 As human lifespans lengthen and living standards improve, the desire to live a healthy and quality life is increasing. Middle age is a period of transition in behavior and consciousness in the process of human growth and development, and is a period of various tensions and physical, social, and mental changes in life. In particular, adult women are known to experience various chronic diseases, accidents, pain, stress, emotional anxiety, and depression.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by developing a flower tea intervention program research model to determine how the experience of flower tea therapy affects stress, depression, and self-esteem in promoting natural healing in adult women. The flower tea intervention program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by dividing into 1) the effect of flower tea therapy on stress level, 2) the effect of flower tea therapy on depression level, and 3) the effect of flower tea therapy on self-esteem. The measurement tools and test sheets included a total of 61 - 76 - questions on the stress perception scale, depression scale, and self-esteem scale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natural healing flower tea therapy program for both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subjects' stress index was measured using a UBio pulse monitor (uBio Clip v70), and the participating researchers conducted a survey directly with 17 peopl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7 in the control group.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WIN 22.0 program.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s, the Cronbach’s α value of each scale was calculated. Before implementing the flower tea therapy program to promote natural healing, the Mann-Whitney U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homogene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program, the group was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ilcoxon's signed-ranks test, a non-parametric test, was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study, when looking at the effect of the flower tea therapy program to promote natural healing on the perception of stress in adult women, when comparing the pre- and post-test for the overall perception of stress, the experimental group had an average score of 0.61 points lower in the post-test compared to the pre-test,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Z=-3.296, p< .01), and in the case of the control group, the post-test was 0.13 points lower on average than the pre-test,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Z=-1.322, p> . 05). The effect of the flower tea therapy program to promote natural healing on depression in adult women is that when comparing pre- and post-tests for adult women's overall depression, the experimental group had an average score of 0.32 points lower in the post-test compared to the pre-test, and the difference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as significant (Z=-3.296, p< .01), - 77 - and in the case of the control group, the post-test was lowered by an average of 0.12 points compared to the pre-test,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Z=-1.857, p> .05). Regarding the effect of the flower tea therapy program to promote natural healing on the self-esteem of adult women, the experimental group's self-esteem increased by an average of 0.31 points in the post-test compared to the pre-test,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Z= -2.565, p < .05) ), in the case of the control group, the post-test increased by an average of 0.12 points compared to the pre-test,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Z=-1.019, p>.05). In terms of the effect of the natural healing promotion flower tea therapy program on Ubio pulse wave levels in adult women, the experimental group had an average of 9.2 points lower in the post-test compared to the Ubio pulse wave pre-test,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Z=-3.419, p) < .01), in the case of the control group, the post-test increased by an average of 4.4 points compared to the pre-test,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Z=-1.365, p> .05).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evaluated that participation in the flower tea therapy program to promote natural healing can be an effective natural healing intervention to reduce depression and stress and improve self-esteem in adult women, which are continuously increasing. Natural healing enhancement flower tea therapy, adult women, stress, depression, self-esteem

      • 마음챙김명상이 스트레스, 자기연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중·노년을 대상으로 한 비동등성 전·후 설계

        전현정 중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과정 2024 국내박사

        RANK : 251679

        마음챙김명상이 스트레스, 자기연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중·노년을 대상으로 한 비동등성 전·후 설계 중부대학교 일반대학원 자연치유심리학과 전 현 정 목적: 명상의 효과에 대한 과학적 근거는 종주 문화권이었던 동양보다 서양의 임상이행연구(Translational Research)에 의해 더욱 활발히 제시되고 있다. 중· 노년은 전체인구 중 약 50%를 차지하고, 생산성 저하, 침체감의 위험도가 높 은 시기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음챙김명상이 중·노년의 스트레스 와 자기연민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방법: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설계로 실험군과 대조군 각각 26명, 총 52명 이 연구대상이었다. 기술통계, 독립표본 t-test, paired t-test, Chi-square test 에 의해 대상자 그룹 간 동질성을 확인하였고, ANOVA와 ANCOVA를 통해 그룹 간 종속변수 측정값을 비교하였다. 결과: 스트레스는 명상 전 2.35점에서 명상 후 1.67점으로 감소하였고, 대조군 2.09점임에 비해 실험군 1.50점으로 더 낮았다(p<.001). 자기연민은 명상 전 3.31점 이었고 명상 후 3.85점이었고, 대조군의 자기연민 3.35점임에 비해 실험 군은 3.85점으로 더 높았다(p<.001). 삶의 질은 명상 전 3.23에서 명상 후 3.71 점으로 향상되었고, 대조군 3.32점임에 비해 실험군은 3.71점으로 더 높았다. 결론: 마음챙김명상은 중·노년 일부에서 스트레스를 완화할 수 있고, 자기연민 을 증가할 수 있으며, 삶의 질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중년과 노년의 건강수준 향상을 위해 마음챙김명상의 지역사회내 확산을 제안한다. 주요어: 마음챙김명상, 스트레스, 자기연민, 삶의 질, 비동등성 전·후 설계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과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나차순 중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과정 2024 국내박사

        RANK : 251679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과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중부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경영학과 나 차 순 본 논문은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에 대한 유형을 규명하고, 서비스 질의 관 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나아가 감정노동 및 서비스 질의 관계에서 요양보호사 의 직무스트레스 및 감정노동의 유형을 다차원적으로 접근하여 이에 대한 매 개효과를 검정하고자 한다. 실증 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빈도, 주의정도, 부조화, 표면행위, 내면행 위 등 5개의 하위요인으로 설정된 감정노동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고, 서비스 질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직무 전반, 보상수준, 근무 환경 등 3개 의 하위요인으로 설정된 직무만족과 사회적 스트레스, 심리적 스트레스, 신체 적 스트레스, 개인적 스트레스 등 4개의 하위요인으로 설정된 직무스트레스를 매개변수로 설정하였다. 설문조사를 위하여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도에서 근무 하고 있는 방문요양 보호사 55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 방식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 다. 그 결과, 총 550부 설문 중 불성실한 응답 27부를 제외하였고, 523부를 최 종적으로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이를 위한 자료 분석 방법은 인구통계 특성을 확인하기 위한 기술통계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 타당성과 신뢰도 계수를 위한 Cronbach’s α값 산출, Pearson R 계수를 활용한 상관분석, 그리고 감정노동과 서비스 질의 영향 관 계를 검정하기 위하여 다중 회귀분석, 및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수행한 실증분석 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방문요양 보호사의 감정노동 하위요인에 대한 관리가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방문요양 보호사의 내면행위 감정노동을 촉진시 키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방문요양 보호사가 감정노동의 빈도를 많이 지각하거나, 요양보호사 근무 과정에서 느끼는 주의정도 및 표면적인 감 정노동은 서비스 질을 저하하는 요인이기 때문에 정기적인 점검을 통하여 요 양보호사의 해당 요인을 사전에 파악하고 관리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감정노동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 인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감정노동의 하위요인 중 빈도 및 표면행위가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모든 하위요인이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방문요양 보호사의 서비스 질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직무스트레스의 유형에 따른 관리가 중요함을 의미한다. 셋째 감정노동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하위요인 또한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으 로 인한 서비스 질에 대한 저하가 직무만족을 통해 서비스 질에 미치는 관계 를 매개함을 시사한다. 즉, 감정노동의 관리를 통한 서비스 질을 향상하기 위 해서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 수준을 파악하고 이를 관리할 필요가 있음을 시 사한다. 본 논문의 공헌점 및 기대효과는 첫째, 내면행위가 서비스 질을 향상시키는 요인이며 빈도 및 주의정도, 표면행위는 서비스 질을 저해하는 요인임을 확인 하였다. 따라서 방문요양 보호사의 내면 행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확 인할 필요가 있으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관리 요인을 파악했다는 시사점 이 있다. 둘째, 방문요양 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의 모든 하위요인은 서비스 질에 부 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관련 기관에서는 방문요양 보호사 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관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보였다. 셋째, 방문요양 보호사의 직무만족의 모든 하위요인은 서비스 질에 긍정적 인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해 직무만족의 관리 중요성에 대하여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넷째, 감정노동의 하위요인 중 부조화는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 서비스 질에 유의하지 않은 영향 관계를 나타내었다. 즉, 직무유형 및 직무 과정에 따 라 감정노동의 하위요인과 서비스 질의 영향 관계에 다른 결과가 나타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 시점에서 연구모형의 전체 변수 를 측정했기 때문에 동일방법 편의가 발생할 수 있다. 둘째, 표본 수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550명의 표본을 수집했으나 향후 연구에서는 표 본을 확대하여 모집단에 대한 예측력을 높일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 는 내적 메커니즘에만 초점을 두었다. 넷째, 단일 매개변수에 따른 매개효과만 을 검정하였다. 다중 매개효과에 대한 검정을 통해 매개변수 간의 영향 관계 를 고려한 실증분석을 한다면 본 논문의 시사점과 다른 결과가 제시될 수 있 다. 주요어: 요양보호사, 감정노동, 서비스 질, 직무만족, 직무스트레스

      • 교사 집필자의 일본어Ⅰ교과서 개발 경험에 대한 분석

        이정연 중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과정 2024 국내박사

        RANK : 251679

        사회적 변화와 기술의 발전으로 교수․학습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는 매체와 정보 자원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교과서는 여전히 학생들에게 가장 영향력 있는 일차적인 교육 자료이며, 교육과정 구현을 위한 도구이자 교사와 학생 간 상 호작용을 위한 핵심 매개체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교육과정에 서 제시된 교과활동의 목표와 내용이 교과서에 어떻게 적용되며, 학습자들의 요구 와 수준에 적합한 구성을 위해 어떠한 과정을 거쳐 교과서가 개발되고 있는지 종합 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러한 교과서 개발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과 어려 움을 바탕으로 도출된 실질적인 개선 방안은 양질의 교과서 개발은 물론, 궁극적으 로 교육 효과의 극대화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교과서 개발과정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일본어Ⅰ과목이 제2외국어과 교과 중 가장 많은 학생의 선택을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과서의 문제점과 그 개선 방 안이 다루어지지 못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에 질적 사례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교사 집필자의 경험을 토대로 일본어Ⅰ교과서의 개발과정과 그 과정 속에 겪은 어려 움을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교과서 개발을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집필자의 일본어Ⅰ교과서 개발과정 에서의 주요 활동과 그 특징은 무엇인가? 둘째, 교사 집필자로서 일본어Ⅰ교과서 개 발과정에서 겪은 어려움은 무엇인가? 셋째, 교사 집필자가 인식한 향후, 일본어Ⅰ교과 서 개발에 있어서의 개선 방안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 적용한 연구 방법은 질적 사례 연구로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8종의 일본어Ⅰ교과서 집필자 중 출판사별로 중․고등학교에서 15년 이상 재 직 중인 일본어 교사 각 1명씩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여 반구조화된 개방형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문제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교사 집필자의 일본어Ⅰ교과서 개발과정에서의 주요 활동과 그 특징을 요약하면, 첫째, 교사 집필자로 선정되면 교 과서 개발 방향 설정을 위해 개인적으로 사전 준비의 시간을 가졌으며, 교과서 개 발진들과의 첫 만남에서 평소 바라던 이상적인 교과서를 개발하기 위해 치열하게 논의하였다. 둘째, 교사 집필자들은 교과서 구성 체제 수립 과정을 교사로서 자신들 의 역량을 가장 잘 발휘할 수 있는 단계이자, 오랜 기간 쌓아온 현장 경험을 바탕 으로 평소 바라던 교과서 상 실현의 첫걸음이라고 생각하였다. 셋째, 교사 집필자들 은 집필 과정에서 실제적이고 자연스러운 생생한 일본어 표현을 담아내기 위해 최 신의 내용을 선정하기 위해 고심했다. 그리고 교과서 개발과정이 공동의 작업으로 서 인식하였으며, 이질감 없는 통합적이고 균형 있는 내용을 집필하기 위해 고민하 였다. 넷째, 개인별 집필이 끝나면 오랜 시간 검토 및 수정의 과정을 반복하였다. ‘교과서 편찬상의 유의점’및‘인정도서’심사기준 준수 여부 등 형식적인 면을 집중적으로 검토하게 된다. 교사 집필자들은 이러한 일본어Ⅰ교과서 개발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첫째, 교과교육과정의 모호함과 지나친 상세함의 이중적 혼란은 교사 집필자의 평소 바라던 이상적인 교과서를 개발하는데 있어 현 실적인 장애물로 작용하였다. 둘째, 교사 집필자들은 교과서 개발 구성원간의 서로 다른 관점의 차이에서 오는 어려움을 경험한다. 셋째,‘교과서 편찬상의 유의점’및 ‘인정기준’이라는 개발 지침은 교사 집필자로서 오랜 수업 경험을 바탕으로 한 이상적인 교과서 개발과 현장의 대변자로서의 역할 구현에 있어 큰 장벽이 되었다. 또한 교사 집필자들은 이해하기 어려운 심사기준과 개발 지침의 모호함에서 오는 불명확한 기준 적용으로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마지막으로 일본어Ⅰ교과서 개발 경 험을 바탕으로 교사 집필자들은 향후 양질의 교과서 개발을 위한 일본어Ⅰ교과서의 개선 방안으로, 교과교육과정 개발진들과의 공식적인 소통체제 마련 및 일본어 교 과 특성에 맞는 교과교육과정의 내용 개선을 통한 대강화와 상세화, 그리고 유의미 한 지원으로의 교과서 개발 지침의 개선을 요구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연구자는 향후 일본어 교과서 개발과정에서의 난맥 상을 해소하고 향후 양질의 일본어 교과서 개발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제도 개선 및 정책 차원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일본어 교사 집필자들을 위한 제도적 차원 의 연수 체제 마련이다. 둘째, 교육과정이 충실히 구현된 일본어 교과서 개발을 위 한 교과교육과정의 내용 개선이다. 셋째, 일본어 교과 특성에 맞는 교육내용의 적정 화 기준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다. 넷째, 교과서 집필자들의 자율성 확보를 위한 지원으로서의 개발 지침의 개선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중등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일본어 교과서 개발과정에 대한 논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연구 현실에서 일본어 교과서 개발에 참여한 교사 집필자들의 경험 사례를 바탕으로 일본어 교과서 개발과정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일본어 교과서 개발의 개선 과제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 의 의의를 확대하여 앞으로 더욱 바람직한 일본어 교육과정과 교과서 개발 방향을 모 색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를 제언하고자 한다. 우선, 포스트 코로나 이후 미래 지향적 제2외국어 교과서 개발을 위한 장기적이고 기초적인 정책적 연구가 필요하 다. AI를 비롯한 기술의 발전에 따라 번역기의 수준이 갈수록 정교해지는 지금, 외 국어 교육에 있어서 내용, 교수․학습 방법 등 외국어 교육 전반에 대한 고민과 대안 이 필요한 시점이다. 다음으로 현재 교육 현장에서 일본어를 가르치고 배우는 교사 와 학생이 바라는 일본어 교과서가 무엇인지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리고 과학기 술의 발달과 급속한 사회 변화 속에서 현재 영어 교과에서만 발행되고 있는 디지털 교과서를 외국어 교육에 있어 디지털 교과서 개발이라는 의미를 부여하고, 그 범위 를 일본어 교과를 비롯한 제2외국어 교과로 확대시켜, 각 교과의 특성을 살린 디지 털 교과서 개발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일본어 교과서가 편찬되기까 지의 전반적인 상황에 대한 깊이 있고 통합적인 이해를 위해 다양한 교과서 개발 구성원의 일본어 교과서 개발 경험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e diversity of media and informational resources available for utilization in educational settings has expanded significantly due to societal changes and technological advancements. However, textbooks continue to remain the primary educational material with the most profound impact on students. They serve as essential tools for implementing the curriculum, acting as crucial mediums for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 comprehensive analysis is necessary to understand how the objectives and content of educational activities outlined in the curriculum are integrated into textbooks, and the process involved in developing textbooks that align with the needs and levels of learners. The practical improvement strategies derived from the identified issues and challenges in this textbook development process can lead not only to the development of high-quality textbooks but ultimately maximize educational effectiveness. Amidst the growing significance of researching the textbook development process for achieving qualitative improvements, this study observed the insufficient discussion on the issues and improvement strategies regarding Japanese Language I textbooks, despite its popularity as the most chosen subject among students in the Second Foreign Language curriculum. Consequentl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n in-depth analysis of the development process and challenges faced in creating Japanese Language I textbooks, based on the experiences of teacher-authors. The research questions guiding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what are the primary activities and characteristics evident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Japanese Language I textbooks by teacher-authors? Secondly, what are the challenges encountered by teacher-authors dur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Japanese Language I textbooks? Thirdly, from the perspective of teacher-authors, what are the areas for improvement in the development of Japanese Language I textbooks? The research method employed in this study was a qualitative case study. Within the pool of authors responsible for developing eight distinct types of Japanese I textbooks aligned with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 single Japanese teacher with over 15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at the middle and high school levels was chosen as the research subject from each textbook publisher. The data collection method involved conducting structured open-ended interviews. Firstly, the main activities and characteristics of teacher-authors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Japanese Language I textbook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upon selection as teacher-authors, they allocate time for preliminary preparation, such as participating in training to understand the curriculum personally for setting the direction of textbook development. Subsequently, during the initial meeting with the textbook development team, they engage in intense discussions aiming to create an ideal textbook they have long envisioned. Secondly, teacher-authors perceive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textbook's structure as a stage where they can best demonstrate their abilities as educators. They consider it as the first step towards realizing the ideal textbook they've longed for, drawing from their extensive practical experience. Thirdly, teacher-authors extensively deliberated on the selection of chapter content during the substantive writing process to encapsulate practical and natural vivid expressions of Japanese. They perceive the textbook development process as a collaborative effort rather than an individual endeavor, aiming to create integrated and balanced content as team members, devoid of discordance compared to individual perspectives. Lastly, after individual writing, they undergo a prolonged process of repeated review and revisions. To be adopted as a textbook in school settings, passing accreditation scrutiny is necessary. Therefore, they focus intensively on formal aspects, ensuring adherence to "key considerations in textbook compilation" and suitability to the criteria for accredited textbooks, essential for its acceptance in school settings. Within this developmental process, teacher-authors grappled with the dual perplexity stemming from the ambiguity and excessive granularity within the educational curriculum, as well as the challenges arising from divergent perspectives among contributors involved in textbook development. Furthermore, the limitations posed by refined basic expressions in communication, restricted fundamental vocabulary as language resources, and ‘the considerations in textbook compilation’ alongside approval criteria presented substantial impediments in the realization of the role of teacher-authors as advocates for ideal textbook development rooted in extensive classroom experiences. Additionally, teacher-authors faced obstacles due to the application of unclear standards resulting from perplexing assessment criteria and ambiguous development guidelines. Based on the insights gained from the experiences of teacher-authors in textbook development and their perceptions of improvement areas for Japanese Language I textbooks, the derived results are as follows: From these experiences, teacher-authors advocate for establishing a formal communication structure with the curriculum development team, the necessity of adapting educational content to suit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as well as the improvement of textbook development guidelines through meaningful support. Through these research findings, to address the challenges in the future Japanese language textbook development process and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high-quality Japanese language textbook development, several key points have been suggested. Firstly, there is a need for content enhancement in the curriculum for the realization of comprehensive Japanese language textbook development. Secondly, the establishment of institutionalized training programs for Japanese language teacher-authors is essential. Thirdly, improvement in development guidelines as support to ensure autonomy among textbook authors. Lastly, it highlights the necessity for research establishing standards to refine educational content tailored to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The lack of discussion regard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Japanese language textbooks used in secondary schools constitutes the reality in current research. Within this context,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as it presents the experiences of teacher-authors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f Japanese language textbooks, offering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developmental process. By drawing insights from these experiences, the study provides suggestions for improvement and implications for future Japanese language textbook development. Seeking to amplif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 propose the following research endeavors to further delineate future avenues for the development of more optimal Japanese language education curricula and textbook orientations. There is a pressing need for a long-term, foundational policy-oriented study to develop forward-thinking second foreign language textbooks post the COVID-19 era. As translation technologies, including AI, continue to advance, contemplating and exploring alternatives in content, teaching methodologies, and overall foreign language education have become crucial. Furthermore, research is necessary to understand what Japanese language educators and learners currently desire in Japanese language textbooks in educational settings. With the rapid evolu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alongside societal changes, it is vital to assign significance to digital textbook development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currently prevalent in English textbooks, and expand its scope to encompass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xtbooks for second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cluding Japanese language education, tailored to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each subject. Lastly, a comprehensive study is required to gain a deep and integrated understanding of the overall situation leading to the compilation of Japanese language textbooks, drawing from the diverse experiences of members involved in textbook development to enhance the development process.

      • 공원녹지 여가만족이 공동주택종사자의 심리적 분리 회복탄력성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조절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장인숙 중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과정 2024 국내박사

        RANK : 251679

        공원녹지 여가만족이 공동주택종사자의 심리적 분리 회복탄 력성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조절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 중부대학교 일반대학원 자연치유학과 장인숙 지난 3년 동안 코로나19 팬데믹은 우리 사회에 급격한 변화로 생활 방식을 예측할 수 없는 방식으로 변형시켰으며, 식사 주거, 여가, 자녀 교육 등 가족 생활부터 외부 활동까지 사회적인 모든 영역에 큰 변화를 초래하였고, 불러왔 다. 이러한 변화는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동기부여를 조성하고 특히 도심 내 의 공원과 초록 지역에 관한 관심을 증가시킴으로써 스트레스 해소와 심리적 안정을 추구하려는 욕구를 끌어올렸다. 구글의 스마트폰 위치정보 조사에 따르면, 2020년 1∼2월 평균 공원 및 녹 지공간 이용 빈도가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된 3월 말에는 51.0%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Kaplan & Kaplan(1989) 및 Kaplan & Talbot(1983)의 연구와 김기원(2006)의 연구 결과를 뒷받침하며, 자연환경이 심리적 안정과 회 복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시사하였다. 그러나 공동주택 종사자들은 여전히 갑질 문제와 관련된 고충을 겪고 있으 며, 이 중 경비원들은 특히 입주민으로부터 비인격적인 대우와 폭언, 모욕 등 을 당하며 심리적인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직무스트레스는 그들 의 개인적인 삶의 질을 저하하는 데 머무르지 않고, 사회적인 영향도 미치고 있다. 한편, 통계청에 따르면 전체 주택 중 공동주택의 비율이 점차 높아지고 있 는 상황에서, 공동주택 내 종사자들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그들은 주택 관리 업무뿐만 아니라 입주민을 위한 생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이에 따라 인간관계의 복잡성, 시간적 제약, 유지보수 부담, 법률 및 규정 준수와 같은 심리적 부담을 겪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해 공동주택 종사자 275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설문조사를 실시 하였다. 설문 내용은 공원녹지 이용 형태, 사회적 특성 그리고 여가 만족도, 심리적 분리, 회복탄력성 및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경로 분석과 수집된 데이터는 SPSS 24.0과 AMOS 24.0을 활용하여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모델적합도, 타당도 검증, 기저 모델과 제약모델 간의 적합 도를 비교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 결과는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원녹지 여가만족이 공동주택종사자의 심리적 분리 영향 관계를 검 증한 결과 [가설1] 심리적분리에 정(+)의 영향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공원녹지 여가만족이 공동주택종사자의 회복탄력성 영향 관계 결과 [가설 2] 회복탄력성에 정(+)의 영향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심리적 분리가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회복탄력성 이 정(+)의 영향[가설 3]은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넷째, 심리적 분리가 공동주택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에 부(-)의 영향[가설 4]은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다섯째 회복탄력성이 공동주택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에 부(-)의 영향[가설5] 은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로 나타났다. 여섯째 공원녹지 여가만족이 심리적 분리 회복탄력성과 직무스트레스 미치 는 영향 관계를 정규직 비정규직 조절 효과[가설6]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공원녹지 여가만족이 회복탄력성 영향 관계에서 정규직은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반면에 비정규직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는 정규직은 일자 리 안정성과 관련하여 심리적으로 더 안정감을 느낄 수 있으며, 이는 공원녹 지 여가만족과 회복탄력성과 관련이 있으리라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비정규 직은 일자리의 불안정성과 급여의 불규칙성을 경험할 가능성이 클 것이다. 이와같이 심리적 분리와 회복탄력성의 관계는 정규직은 유의미하지 않았으 나 비정규직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는 정규직은 조직 내에서 중요한 역할 을 맡을 가능성이 큼으로 업무 부담과 직무스트레스가 증가할 수 있으며, 이 러한 업무 압박은 심리적 분리와 회복탄력성에 부정적으로 작용하였을 것이 다. 심리적 분리와 직무스트레스에 부(-)의 영향 관계는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조절 효과분석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회복탄력성은 직무스트레스에 부(-)의 영향 관계에서 정규직과 비정규직 관 계에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원녹지 여가만족이 공동주택 종사자들의 심리적 분리와 회복탄력성의 경 로 분석에서는 긍정적인 영향이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가 만족도와 직무스트레스 감소 간의 직접적인 관련성은 발견되지 않았다. 본 논문을 통해 공원녹지와 자연환경의 이용과 관련된 정책과 프로그램이 공동주택 종사자들의 심리적 분리와 회복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이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더 나아가 지역 주민의 심리적분리와 회복탄력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 다는 것을 분석하는 것은 큰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본 논문이 도시계획 및 공공정책 수집에 중요한 방향성을 제 공하는 데 일조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 공동주택 종사자, 공원녹지, 여가만족, 심리적분리, 회복탄력성, 직무 스트레스

      • K-콘텐츠에 대한 인식이 한국 제품 구매의도 및 한국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중국 산동성 하택시(菏澤市)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병장 중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과정 2024 국내박사

        RANK : 251679

        본 연구는 중국 본토 대학생들의 K-콘텐츠에 대한 인식을 통해 한국 제품에 대 한 구매의도와 한국 방문의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중국 대학생들 의 한국 제품에 대한 인식 수준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한국 기업에 시장 정보를 제공하여 마케팅 전략 수립을 지원하는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한류 문화 제품이 중국 대학생 소비자 집단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혀내어 한국 기업이 제 품 포지셔닝과 브랜드 구축을 위한 실증적 자료를 확보하며, 한중 문화교류를 촉진 하는 데 기여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중국 산동성(山東省) 하택시(菏澤市)에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 로 K-콘텐츠에 대한 인식이 한국 제품의 구매의도 및 한국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 향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K-콘텐츠 중에서 K-푸드, K-화장품, K- 영화 및 드라마, K-게임이 한국 제품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으며, 특히 K-게임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K-음악은 한 국 제품의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한국 방문의도 측면에서는 K-음악, K-푸드, K-화장품, K-게임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K-게임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에 K-영화 및 드라마는 한국 방문의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 제품의 구매의도는 한국 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K-콘텐츠 중 K-게임에 대한 인식이 대학생들의 한국 제품 구매 및 한국 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마케팅 전략에서는 혁신적인 게임 경험을 강조하고 지역 문화와 결합하여 창의성과 트렌디한 플레이 방식을 갖춘 게임을 홍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K-음악은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는데, 이는 음악이 주관적 이며 선호도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문화마케팅은 소비자를 보다 더 세분화하여 주요 문화체험 방식을 이해하고 관련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홍 보해야 할 것이다. 셋째, K-영화 및 드라마는 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는데, 이는 소셜미디어 의 성장으로 대학생들이 실시간 여행 경험을 쉽게 얻을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따 라서 한국 방문의사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소셜미디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인 플루언서와의 협력을 통해 사용자 창작 콘텐츠를 유도하며, 실시간 상호작용을 통 해 한국 문화를 전시해야 한다. 넷째, 한국 제품의 구매의도가 한국 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 를 확인했다. 한국 제품 구매는 사회적 행위로써 공통된 관심사를 가진 사회적 네 트워크를 형성하여 방문의사를 증진시킬 수 있으므로 마케팅 전략에서는 제품의 사 회적 속성을 강조하고 사용자 참여를 장려해야 할 것이다. 주제어: K-콘텐츠, 한국 제품 구매의도, 한국 방문의도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products and intention to visit Korea through the perception of K-content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mainland China.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level of awareness of Korean products among Chinese college students was confirmed, and through this, the importance of providing market information to Korean companies to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marketing strategies was emphasized. Furthermore, by uncovering the influence of Korean Wave cultural products on the Chinese college student consumer group, we aimed to contribute to helping Korean companies secure empirical data for product positioning and brand building, and to promote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China. For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impact of awareness of K-content on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products and intention to visit Korea among college students in Heze City, Shandong Province, China.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among K-contents, K-food, K-cosmetics, K-movies and dramas, and K-games were found to influence the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products. In particular, K-games had the most influence. However, K-music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products. In terms of intention to visit Korea, K-music, K-food, K-cosmetics, and K-games were found to have an influence. In particular, K-games were confirmed to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other hand, K-movies and dramas appeared to have no effect on intention to visit Korea.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ention to purchase Korean product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visit Korea. The implications deriv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awareness of K-games among K-cont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college students' purchase and visit intentions. Therefore, it is important in marketing strategies to emphasize innovative gaming experiences and promote games with creativity and trendy play styles combined with local culture. Second, K-music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because music is subjective and preferences can vary. Therefore, cultural marketing must further segment consumers to understand major cultural experience methods and effectively promote related content. Third, K-movies and dramas did not affect visit intention, which may be because the growth of social media makes it easier for college students to obtain real-time travel experiences. Therefore, in cultural promotion, social media should be actively used, user-created content should be encouraged through cooperation with influencers, and Korean culture should be displayed through real-time interaction and visit intention should be increased. Fourth, we analyzed the results showing that the intention to purchase Korean product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visit Korea. Purchasing Korean products is a social activity and can increase intention to visit by forming a social network with common interests. Therefore, marketing strategies should emphasize the social nature of products and encourage user participation.

      •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우울의 매개효과-

        손순행 중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과정 2024 국내박사

        RANK : 251679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 중부대학교 대학원 보건복지경영학과 손순행 지도교수 김대길 이 연구는 요양보호시설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조직유효성, 우울 간의 영향 관계를 검증하고 요양보호사의 정체성 확립으로 요양보호사의 질과 직무만족도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직무스트레스가 우울과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둘째, 우울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직무스 트레스와 직무유효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 연구는 서울과 안양, 수원, 화성지역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2023년 4월부터 6월까지 설문 조사를 하여 310부를 분석 활용하였다.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우울, 조직유효성에 대하여 통계 처리를 하였다. 신뢰도는 Cronbach‘s α의 계수로 판단하였으며, 변인들 사이의 관계 구조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은 전체를 검증하였고, 자료 분석은 SPSS 21.0과 AMOS 21.0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우울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변인인 직무스트레스, 우울, 조직유효성과의 상관 관계를 살펴본 결과 조직유효성은 직무스트레스의 보상부적절, 직장문화, 조직체계, 직무요구, 직무자율 순으로 부의 상관이 높았고, 우울과도 유의미한 부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로 직무스트레스는 우울에 높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우울이 낮을수록 조직유효성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조직 유효성에 대한 원인 변인인 직무스트레스, 우울의 직·간접효과를 분석한 결과, 조직유효성에 대한 전체 효과는 직무스트레스, 우울 순으로 영향력이 높았다. 조직유효성에 대한 직무스트레스의 전체 효과에서 우울을 매개로 한 간접 효과를 검증한 부트스트랩핑 결과는 유의하였다. 이는 조직유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을 줄여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조직유효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 변인의 우울에 대하여서 원인 변인인 직무 스트레스를 분석한 직·간접 효과에 관한 결과로 직무스트레스는 우울에 높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요양보호사의 조직유효성을 올리기 위해서는 갈등 영역의 스트레스와 보상 부적절로 인한 스트레스, 직무 자율 영역의 스트레스를 줄이는데 많은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정책 함의를 하고자 한다. 첫째,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 시키기 위해서 직업 정체성을 강화 시켜야 한다. 즉 기본적인 윤리와 신념을 확실히 할 기회 제공을 위해서 법제 화 된 직업 윤리 교육 시스템 도입이 필요하다. 요양보호사들이 직업에 대한 명확 한 사명감을 가진다면 요양보호사들의 질과 서비스 질이 높아질 것이다. 둘째, 조사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유효성 간에 부적인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므로 요양보호사를 위한 스트레스 경감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을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요양보호사 양성 과정에서 교육 시간의 양 적인 확대를 통해서 전문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제안들은 요양보호사의 질을 향상하고 직무만족도를 높이는데 기초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주제어 : 요양보호사, 직무스트레스, 조직유효성, 우울, 매개효과.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