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교육실습 지도교사 역량 분석 : 음악교과 교육실습을 중심으로

        구성선 중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과정 2024 국내박사

        RANK : 248623

        초등학교 교육실습 지도교사 역량 분석 - 음악교과 교육실습을 중심으로 - 구 성 선 중부대학교 대학원 교수학습 전공 (지도교수 권 성 연)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육실습 지도교사가 교육실습생에게 음악교과를 지 도함에 있어 갖추어야 할 역량을 규명하고, 이에 대한 지도교사의 중요도와 수행수 준 인식에 대한 다면적 분석을 통해 교육실습의 질 제고와 음악교과의 교수역량 신 장을 위한 현직 단계에서의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 정보를 제공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초등학교 교육실습 지도교사들이 교육실습생에게 음악교과를 지도함에 있어 갖추 어야 할 역량은 무엇인가? 2. 초등학교 교육실습 지도교사들이 교육실습생에게 음악교과를 지도함에 있어 갖추 어야 할 역량에 대해 현장 지도교사의 중요도와 수행수준 인식에 어떤 차이가 있는가? 3. 초등학교 교육실습 지도교사들이 교육실습생에게 음악교과를 지도함에 있어 갖추 어야 할 역량에 대해 현장 지도교사의 중요도와 수행수준 인식은 개인특성(성 별, 학위별, 교직경력별, 실습지도경력별) 및 재직학교의 특성(학교설립유형)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연구의 절차는 크게 다음의 4단계로 진행되었다. 첫째, 교육실습 지도교사 역량과 음악교과 교수자 역량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 여 본 연구에서 규명하고자 하는 역량을 잠정 도출하였다. 둘째, 잠정 도출된 역량

      • 한국대학의 골프 학과 교육과정 연구

        가멀러브 파루후 중부대학교 휴먼텍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23

        골프 산업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한국 대학의 골프교육도 새롭고 선진적인 방 향으로 발전해야 한다. 교육은 학생들의 인성과 재능을 키우고, 각 시대의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는 다양한 분야의 인재를 양성하며, 나아가 경쟁력을 갖춘 인재를 육 성하여 국가를 선도할 수 있는 교육이다. 골프 산업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골프교육도 새로운 방향으로 발전해야 한다. 다음은 이를 실현하기 위한 몇 가지 중요한 원칙과 방향성에 대한 제언이다. 최신 기술 및 트랜드 반영에서 골프는 기술과 트랜드의 영향을 크게 받는 분야이 다. 대학의 교육 프로그램은 최신 기술 및 트랜드를 반영하여 학생들이 현업에서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다양한 전공 및 융합 교육에는 골 프 산업은 클럽 운영, 경영, 기술적인 측면 등 다양한 분야로 이뤄져 있다. 교육은 이러한 다양성을 반영하고, 학생들이 전문화된 영역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융합 교육이 강조되어야 한다. 실무 경험 강화 교육에는 이론 적인 지식뿐만 아니라, 학생들에게 실무 경험이 부여되어야 한다. 산업체와의 협력, 현장실습, 인턴십 프로그램을 강화하여 학생들이 실제 업무에 대비할 수 있도록 돕 는 것이 중요하다. 글로벌시장에 대한 역할에서의 골프는 국제적인 산업이기 때문 에 학생들이 글로벌시장에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국제적인 시각을 갖춘 교육이 강조되어야 한다. 인성 및 리더십 강화 프로그램에서의 골프 교육은 인성과 리더십을 강화하는 데에도 주력해야 한다. 골프는 개인 기술뿐만 아니라 스 트레스 관리, 팀워크, 리더십 등 다양한 미래의 리더로 성장하는데 필요한 역량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마자막으로 연구 및 혁신을 통한 발전 방향에서의 대학은 연구와 혁신을 통해 골프 산업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지식과 기 술을 개발해야 한다. 학생들은 연구 프로젝트를 통해 실제 문제에 대한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해결책을 찾을 수 있는 능력을 갖춰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별 골프 학과 및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한국 대학의 골프 교육을 발전시키고, 이들 대학의 골프교육을 개선할 방법을 연구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에는 건국대학교, 경희대학교, 용인대학교, 호서대학교, 중앙 대학교, 중부대학교가 있다. 더욱 구체적인 교과목을 개선하기 위해 각 대학의 교육 목표와 프로그램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비교분석을 하였고, 본 연구에서는 한국대학 의 골프 향상을 위한 교육 방법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각 대학은 명확하고 구체적인 교육목표를 수립해야 한다. 이처럼 상세하고 구체적인 교육목표를 설정함으로써 골프교육은 더욱 전문적이고 구체적이 될 수 있 다. 둘째, 골프학과의 교육 프로그램은 각 학과와 대학 간의 연계가 있어야 한다. 연 계성을 갖춘 골프교육은 보다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교육으로 이어진다. 셋째, 학교와 국내외 골프 산업을 연결하는 다양하고 전문적인 프로그램 구축을 통해 골프교육 분야를 확대해야 한다. 이는 졸업 후 진로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러한 혁신적인 조치는 미래에 고급 골프교육 시스템을 구축하고 차별화된 전 문 커리큘럼을 만들 수 있다. 또한, 사회가 필요로 하는 전문 분야의 인재 양성이 가능해지며, 이는 골프교육이 한층 더 발전할 것으로 사료된다.

      • 재한 우즈베키스탄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교육 현황 및 개선 방안 : 재한 우즈베키스탄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교육 현황 및 개선 방안

        얼림전우마로브 중부대학교 휴먼텍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07

        한국에 체류하는 외국인이 연속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한국어를 공부하려는 학습자들의 목적도 다양해지고 있다. 외국인 유학생뿐만 아니라 다문화가정 구정원, 결혼이민자, 외국인 근로자 등이 단순한 한국 문화 또는 한국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배우려는 경우가 있지만 이외에 대학교 및 대학원 진학을 위한 한국어를 배우려고 하는 학습자들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 통해서 지금까지 재한 우즈베키스탄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육에 개선방안을 다양한 방법으로 제시하였다. 특히 우즈베크인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의 한국어 교육과정 개선으로 유학생들에게 필수적인 과정 즉 커리큘럼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우즈베크인 유학생을 위한 교재 개발 및 쓰기, 말하기 영역 측면에서 개선 방안을 연하여 제시하였다. 대학원생을 위한 논문지도 수업의 필요성을 분석하여 개선이 필요한 부분에 대한 정책을 제시하였다.

      • K-POP 및 뮤지컬 전공 대학생의 음성관련 생활식습관 및 음향음성학적 특성 비교

        배수영 중부대학교 휴먼텍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0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voice-related lifestyle habits and acoustic analysis characteristics betwee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K-POP and musical. The thirty subjects 30(15 K-POP majors and 15 musical theater majo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used to examine the voice-related lifestyle habit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K-POP and musical. MDVP(Multi-Dimensional Voice Program, Kay Elemetrics Corp, NJ, USA) and ADSV(the Analysis of Dysphonic Speech and Voice, KayPENTAX, Montvale, NJ) were used to examine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The analyzed parameters were F0(Hz), Jitter(%), Shimmer(%), NHR, CPP(dB), L/H ratio(dB), and CSID. The results of voice-related lifestyle habi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majors in average sleep time and dance practice time(p<.05) .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majors in F0(Hz), Jitter(%), Shimmer(%), and NHR (p>.05). For CPP (dB), L/H ratio (dB), and CSI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majors in L/H ratio (dB) and CSID, except for CPP (dB) (p>.05). In conclusion, since both K-POP and musical majors' voice-related lifestyle habits are irregular, it is thought that a curriculum for voice care and training should be organized and voice hygiene education should be provide

      • 한국어 중급 단계 문법적 연어 특성 연구 : 한국어교재 고빈도 출현 문법적 연어 중심으로

        이상우 중부대학교 휴먼텍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07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Intermediate-level Grammar collocation - Focusing on grammatical collocations with high frequency of Korean textbooks - Lee, Sang-Woo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The Graduate School Joongbu University Professor Bak Jong-H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cure fluency and accuracy in communication, which is the educational purpose of language, by systematically analyzing the grammatical perspective of languages through previous studies, theoretical backgrounds, and textbook studies on collocation expressions that foreign learners who are learning Korean can find difficult in the process of learning Korean, and by presenting the most effective teaching model along with educational methods for grammatical collocations. Currently, the proportion of foreigners and foreign students in Korean society is increasing every year, and their Korean language skills are also improving overall. In this respect, collocation is an important part of learners' communication as its frequency of use is increasing in actual discourse, and it also takes up a considerable proportion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However, when foreign learners learn collocations, they are often influenced by their native languag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utilization of collocations, composition, restriction and expansion of sentences, and grammatical errors in the use of collocations depending on the situation. In particular, collocations in a narrow sense are divided into lexical collocations and grammatical collocations, but there have been relatively few studies on grammatical collocations compared to the study of lexical collocations. For this reason, this study analyzed the aspects of grammatical collocations and suggested a teaching model by applying the teaching method considering the specificity of grammatical collocations. Specifically, Chapter 1 deals with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collocations and grammatical collocations.Through statistical techniques, the recent increase in the number of foreigners,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who want to learn Korean, the status of collocation use by level of foreign learners, and the research trend of grammatical collocation were examined, and the necessity of improving the accurate communication skills of foreigners was described. In Chapter 2, the direction of this study was examined through previous studies on how research on collocations and grammatical collocations has been conducted in Korea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subject of the study, and how the research on collocations has progressed over time. In Chapter 3,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collocations, the categories of collocations, the differences between lexical collocations and grammatical collocations, and the characteristics and classifications of grammatical collocations were examined to examine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discussion in this study.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each teaching method were summarized to find out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grammatical collocation education. In particular, the characteristics and various techniques of form-focused instruction methods were examined. Chapter 4 summarized the analysis of various errors in collocations by previous researchers targeting foreigners who are learning Korean. In particular, it analyzed the rate of errors in grammatical collocations according to their proficiency in Korean language and examined which grammar form of grammatical collocations actually caused such errors, and also examined why such errors occurred. Chapters 5 and 6 categorized grammatical collocations in Korea Univers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Yonsei University, Ewha Womans University, and Hanyang University,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nine types of grammatical collocations with high frequency of use by function, component, and type of grammatical collocations in terms of morphological aspects, compositional aspects, restrictive aspects, and similar meanings.In the last chapter 7, the most effective teaching model was designed and presented based on the instruction method of grammatical collocation. Although grammatical collocations have become the center of Korean grammar in Korean textbooks and have a considerable influence on the actual use of Korean language, their attention is lower in terms of communication than lexical collocations.In addition, Korean textbooks do not directly deal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grammatical collocations, so it is true that they are relatively less specific than lexical collocations. For this reason, the study of grammatical collocations is relatively less than that of lexical collocations. In addition, foreigners who learn Korean through Korean culture and contents represented by 'K-culture' are also exposed to meaning-oriented Korean language that excludes grammar. Therefore, in order to cultivate fluent and accurate communication skills,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grammatical collocations, and this is aimed at suggesting effective teaching methods centered on learners by avoiding repetitive and passive teaching and learning centered on teachers. However, this study has limitations such as the fact that the analysis of grammatical collocation errors has not been actually carried out at the present time, the scalability of the case analysis of grammatical collocations has been slightly lowered, and the fact that the instructional model of grammatical collocations has not been analyzed according to actual application.I hope that more research will be done in the future.

      • 중장년의 Big 5 성격요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성공적 노화인식과 노후준비의 매개효과 검증

        이정민 중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과정 2024 국내박사

        RANK : 248607

        중장년의 Big 5 성격요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성공적 노화인식과 노후준비의 매개효과 검증 중부대학교 대학원 보건복지경영학과 이정민 지도교수 한효상 이 연구는 중장년의 Big 5 성격요인, 성공적 노화인식, 노후준비, 삶의 만족 도 간의 영향 관계 및 성공적 노화인식과 노후준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 하여 진행되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로 중장년의 Big 5 성격요 인, 성공적 노화인식, 노후준비, 삶의 만족도 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 둘 째로 중장년의 Big 5 성격요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성공적 노화인식과 노후준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전국의 40∼64세 중장년을 대상으로 눈덩이 표집 방법을 활 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517부를 회수한 후, 유효한 설문지 457부에 대하여 SPSS 28.0과 AMOS 28.0을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경증성은 삶의 만족도에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개방성은 삶의 만족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호감성, 성실성, 개방성은 성공적 노화인식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경증성은 노후준비에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후준비는 삶의 만족도에 정(+)의 유 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성공적 노화인식은 노후준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성공적 노화인식과 노후준비는 호감성, 성실성, 개방성, 신경증성과 삶의 만족도 간의 영향 관계 에서 매개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경증성은 삶의 만족도에 부정적 영향을, 개방성은 긍정적 영향을 미 쳤다. 따라서 마음 챙김과 창의력 개발을 포함한 정신 건강 증진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마음 챙김, 스트레스 관리 기술, 창의력 개발 워크숍 등을 포함한 정신 건강 증진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둘째, 호감성, 성실성, 개방성이 성공적인 노화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이러한 특 성을 강화하는 활동과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사회적 상호작용을 증진시키고 목표 설정 및 달성을 돕는 워크숍이나 세미나 제공이 이에 유익할 것이다. 셋 째, 신경증성이 노후 준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감소시키기 위한 심리적 지원과 스트레스 관리 전략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노후 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므로 조기 교육, 재정적 준비, 건강관리, 사회적 네트워크 구축, 정신적 감정적 준비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이 개인과 사회 차원에서 노후생활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하다. 다섯째, 성공적인 노화인 식이 노후 준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노년기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과 준비를 돕는 프로그램과 은퇴 후 활동 및 모임 조직이 필요하다. 여섯째, 성공 적 노화인식과 노후준비가 호감성, 성실성, 개방성, 신경증성과 삶의 만족도 간의 영향 관계에서 매개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이러한 요소들을 통합하는 포 괄적인 접근 방식을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개인 맞춤형 상담, 다양한 삶 의 영역에 걸친 교육 프로그램, 그리고 지역사회 자원과의 연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안들은 개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노후에 대한 준비를 강 화하며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다. 주제어 : 중장년, 삶의 만족도, Big 5 성격요인, 성공적 노화인식, 노후준비, 매개효과

      •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우울의 매개효과-

        손순행 중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과정 2024 국내박사

        RANK : 248607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 중부대학교 대학원 보건복지경영학과 손순행 지도교수 김대길 이 연구는 요양보호시설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조직유효성, 우울 간의 영향 관계를 검증하고 요양보호사의 정체성 확립으로 요양보호사의 질과 직무만족도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직무스트레스가 우울과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둘째, 우울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직무스 트레스와 직무유효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 연구는 서울과 안양, 수원, 화성지역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2023년 4월부터 6월까지 설문 조사를 하여 310부를 분석 활용하였다.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우울, 조직유효성에 대하여 통계 처리를 하였다. 신뢰도는 Cronbach‘s α의 계수로 판단하였으며, 변인들 사이의 관계 구조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은 전체를 검증하였고, 자료 분석은 SPSS 21.0과 AMOS 21.0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우울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변인인 직무스트레스, 우울, 조직유효성과의 상관 관계를 살펴본 결과 조직유효성은 직무스트레스의 보상부적절, 직장문화, 조직체계, 직무요구, 직무자율 순으로 부의 상관이 높았고, 우울과도 유의미한 부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로 직무스트레스는 우울에 높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우울이 낮을수록 조직유효성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조직 유효성에 대한 원인 변인인 직무스트레스, 우울의 직·간접효과를 분석한 결과, 조직유효성에 대한 전체 효과는 직무스트레스, 우울 순으로 영향력이 높았다. 조직유효성에 대한 직무스트레스의 전체 효과에서 우울을 매개로 한 간접 효과를 검증한 부트스트랩핑 결과는 유의하였다. 이는 조직유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을 줄여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조직유효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 변인의 우울에 대하여서 원인 변인인 직무 스트레스를 분석한 직·간접 효과에 관한 결과로 직무스트레스는 우울에 높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요양보호사의 조직유효성을 올리기 위해서는 갈등 영역의 스트레스와 보상 부적절로 인한 스트레스, 직무 자율 영역의 스트레스를 줄이는데 많은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정책 함의를 하고자 한다. 첫째,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 시키기 위해서 직업 정체성을 강화 시켜야 한다. 즉 기본적인 윤리와 신념을 확실히 할 기회 제공을 위해서 법제 화 된 직업 윤리 교육 시스템 도입이 필요하다. 요양보호사들이 직업에 대한 명확 한 사명감을 가진다면 요양보호사들의 질과 서비스 질이 높아질 것이다. 둘째, 조사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유효성 간에 부적인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므로 요양보호사를 위한 스트레스 경감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을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요양보호사 양성 과정에서 교육 시간의 양 적인 확대를 통해서 전문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제안들은 요양보호사의 질을 향상하고 직무만족도를 높이는데 기초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주제어 : 요양보호사, 직무스트레스, 조직유효성, 우울, 매개효과.

      • 고등학생 진로진학의사결정 분석 연구 : 인천광역시 일반고 3학년 학생 중심으로

        배성근 중부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진로진학의사결정 실태를 분석하여 학교 진로진학교육 개선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일반고 3학년 학생들의 문‧이과 계열 및 중계열 선택 의사결정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일반고 3학년 학생들의 직업 선택 의사결정 실태는 어떠한가? 셋째, 일반고 3학년 학생들의 대학 및 전공(학과) 선택 의사결정 실태는 어떠한가? 넷째, 일반고 3학년 학생들의 대입전형 선택 의사결정 실태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인천광역시에 재학 중인 일반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이다. 13개 학교를 임의 표집 하여 총 39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1주일 후에 회수하여 미 회수된 설문지와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한 후 나머지 327부를 본 연구의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 도구는 2014 학교 진로교육 실태조사에서 사용한 설문지를 참고하여 자체 제작한 설문지다. 설문의 주요 내용은 대계열(문‧이과) 및 중계열(인문‧사회‧교육‧자연‧이공‧의약‧예체능), 직업, 대학 및 전공(학과), 대입전형 등의 결정에 있어서 본인의 실제 결정시기 및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시기, 고려 사항, 도움 받은 사람과 학교 진로활동 프로그램 그리고 미결정 사유 등이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진로진학의사결정 시기와 관련하여 실제 본인이 결정한 시기와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진로진학의사결정 시기에 있어 차이기 있었다. 즉, 실제로 고등학교 입학 후 1학년과 2학년을 거치면서 진로진학의사결정을 했으나, 그 보다 일찍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학생들은 진로진학의사결정 과정에서 부모님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문‧이과 계열 및 중계열 결정, 직업 결정, 대학 및 전공(학과) 결정에서 부모님의 도움을 가장 많이 받았다고 응답했다. 반면, 대입전형 결정과 관련해서는 학교 담임선생님이나 학원 선생님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들은 진로진학의사결정 과정에서 자신의 흥미와 적성을 제일 먼저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문‧이과 계열 및 중계열 결정, 직업 결정, 전공(학과) 결정에서 흥미와 적성을 고려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학 결정과 대입전형 결정에서는 각각 학업능력과 교과 성적을 고려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생들은 진로진학의사결정 과정에서 학교 진로활동 프로그램 중 진로심리검사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응답했다. 특히 문‧이과 계열 및 중계열 결정, 직업 결정 과정에서는 진로심리검사의 도움을 많이 받았다고 응답했다. 반면, 대학 및 대입전형의 결정에서는 진로상담의 영향을, 전공(학과)의 결정에서는 동아리 활동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생들이 진로진학의사결정을 미루고 있는 이유에 대해 자신의 흥미와 적성을 몰라서, 특별히 하고 싶은 것이 없어서, 성적이 너무 낮아서, 구체적인 꿈이 없어서 등이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의 요구를 반영한 진로진학지도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학교 진로진학교육이 나선형으로 재구조화 되어 추진되어야 한다. 셋째, 진로선택기에 적합한 학생 개인 맞춤형 진로진학지도가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단위학교에 전문성을 갖춘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증치가 필요하다. 다섯째, 정기적인 진로진학의사결정 실태에 대한 종단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condition of the career and education decision making of 3rd grade students in high school, it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of career and education guidance in school.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se studies, we set the following research queries First, what is the actual condition of decision making of a Liberal Arts Track or a Natural Science Track of 3rd grade students in general high school? Second, what is the actual condition of decision making regarding future careers of 3rd grade students in general high school? Third, what is the actual condition of decision making in relation to choice of University and Major of 3rd grade students in general high school? Fourth, what is the actual condition of decision making with regards to variations of university admission methods of 3rd grade students in general high school? The research objects of this study are 3rd grade students of general high school in In Cheon. The questionnaire of 390 copies was distributed in 13 schools. After removal of dishonest questionnaires and surveys which were not received after one week, the remaining 327 parts were used as analysis data for this study. The research tool used in this study was referenced with a questionnaire that was used in the Career Education Survey of School as a reference in 2014. The main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career decision making time, considerations, a person and a school career program, job, university department and major.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gap between the actual decision making time and the ideal decision making time. Most high school students decided their career during 1st grade ~ 2nd grade. Second, students are most affected by parents in the process of decision making. Specifically, the decision of a liberal arts, natural science, or a vocational decision, was found to have received the most help from parents in reference to the decision of university and major(the Department). On the other hand, in conjunction with the university admission method, the decision was found to be affected most by the homeroom teacher and cram school teacher of the school. Third, in the course of decision making, students made decisions based upon their interests and aptitudes. Specifically, with regards liberal arts and natural sciences, or occupation determination, students considered their interests and the suitability when determining the Department. It was found that the university admission method and university decisions considered the school record and academic aptitude. Fourth, the students were influenced by career psychological test and career counseling in the school career activities program. In particular, they received the most help in the decision of liberal arts and natural science disciplines. In the vocational decision process, they received a lot of guidance through career psychological tests. On the other hand, when selecting universities and university admission method, students were affected by career consultation. In their decision of University Department (Major), students were influenced greatly by club-activities and career-psychological test. Fifth, many students put off their career decision-making. The reasons are that they don’t know their interests or have low aptitude; they have a poor academic record or they have no specific drea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posals are as follows: First, career and education guidance should reflect the needs of students. Second, school career and education guidance should be promoted by restructured into spiral. Third, career and education guidance should be customized for individual students on career choosing time. Fourth, is urgent need to promote the school's career and education counselor with expertise. Fifth, through the longitudinal study, there is a need for systematic analysis of the actual situation of the career and education decision of students.

      • 공원녹지 여가만족이 공동주택종사자의 심리적 분리 회복탄력성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조절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장인숙 중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과정 2024 국내박사

        RANK : 248607

        공원녹지 여가만족이 공동주택종사자의 심리적 분리 회복탄 력성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조절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 중부대학교 일반대학원 자연치유학과 장인숙 지난 3년 동안 코로나19 팬데믹은 우리 사회에 급격한 변화로 생활 방식을 예측할 수 없는 방식으로 변형시켰으며, 식사 주거, 여가, 자녀 교육 등 가족 생활부터 외부 활동까지 사회적인 모든 영역에 큰 변화를 초래하였고, 불러왔 다. 이러한 변화는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동기부여를 조성하고 특히 도심 내 의 공원과 초록 지역에 관한 관심을 증가시킴으로써 스트레스 해소와 심리적 안정을 추구하려는 욕구를 끌어올렸다. 구글의 스마트폰 위치정보 조사에 따르면, 2020년 1∼2월 평균 공원 및 녹 지공간 이용 빈도가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된 3월 말에는 51.0%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Kaplan & Kaplan(1989) 및 Kaplan & Talbot(1983)의 연구와 김기원(2006)의 연구 결과를 뒷받침하며, 자연환경이 심리적 안정과 회 복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시사하였다. 그러나 공동주택 종사자들은 여전히 갑질 문제와 관련된 고충을 겪고 있으 며, 이 중 경비원들은 특히 입주민으로부터 비인격적인 대우와 폭언, 모욕 등 을 당하며 심리적인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직무스트레스는 그들 의 개인적인 삶의 질을 저하하는 데 머무르지 않고, 사회적인 영향도 미치고 있다. 한편, 통계청에 따르면 전체 주택 중 공동주택의 비율이 점차 높아지고 있 는 상황에서, 공동주택 내 종사자들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그들은 주택 관리 업무뿐만 아니라 입주민을 위한 생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이에 따라 인간관계의 복잡성, 시간적 제약, 유지보수 부담, 법률 및 규정 준수와 같은 심리적 부담을 겪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해 공동주택 종사자 275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설문조사를 실시 하였다. 설문 내용은 공원녹지 이용 형태, 사회적 특성 그리고 여가 만족도, 심리적 분리, 회복탄력성 및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경로 분석과 수집된 데이터는 SPSS 24.0과 AMOS 24.0을 활용하여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모델적합도, 타당도 검증, 기저 모델과 제약모델 간의 적합 도를 비교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 결과는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원녹지 여가만족이 공동주택종사자의 심리적 분리 영향 관계를 검 증한 결과 [가설1] 심리적분리에 정(+)의 영향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공원녹지 여가만족이 공동주택종사자의 회복탄력성 영향 관계 결과 [가설 2] 회복탄력성에 정(+)의 영향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심리적 분리가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회복탄력성 이 정(+)의 영향[가설 3]은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넷째, 심리적 분리가 공동주택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에 부(-)의 영향[가설 4]은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다섯째 회복탄력성이 공동주택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에 부(-)의 영향[가설5] 은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로 나타났다. 여섯째 공원녹지 여가만족이 심리적 분리 회복탄력성과 직무스트레스 미치 는 영향 관계를 정규직 비정규직 조절 효과[가설6]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공원녹지 여가만족이 회복탄력성 영향 관계에서 정규직은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반면에 비정규직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는 정규직은 일자 리 안정성과 관련하여 심리적으로 더 안정감을 느낄 수 있으며, 이는 공원녹 지 여가만족과 회복탄력성과 관련이 있으리라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비정규 직은 일자리의 불안정성과 급여의 불규칙성을 경험할 가능성이 클 것이다. 이와같이 심리적 분리와 회복탄력성의 관계는 정규직은 유의미하지 않았으 나 비정규직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는 정규직은 조직 내에서 중요한 역할 을 맡을 가능성이 큼으로 업무 부담과 직무스트레스가 증가할 수 있으며, 이 러한 업무 압박은 심리적 분리와 회복탄력성에 부정적으로 작용하였을 것이 다. 심리적 분리와 직무스트레스에 부(-)의 영향 관계는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조절 효과분석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회복탄력성은 직무스트레스에 부(-)의 영향 관계에서 정규직과 비정규직 관 계에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원녹지 여가만족이 공동주택 종사자들의 심리적 분리와 회복탄력성의 경 로 분석에서는 긍정적인 영향이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가 만족도와 직무스트레스 감소 간의 직접적인 관련성은 발견되지 않았다. 본 논문을 통해 공원녹지와 자연환경의 이용과 관련된 정책과 프로그램이 공동주택 종사자들의 심리적 분리와 회복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이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더 나아가 지역 주민의 심리적분리와 회복탄력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 다는 것을 분석하는 것은 큰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본 논문이 도시계획 및 공공정책 수집에 중요한 방향성을 제 공하는 데 일조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 공동주택 종사자, 공원녹지, 여가만족, 심리적분리, 회복탄력성, 직무 스트레스

      • 노인의 경제활동 참여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자본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최영진 중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과정 2024 국내박사

        RANK : 248607

        노인의 경제활동참여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자본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중부대학교대학원 보건복지경영학과 최 영 진 지도교수:김 대 길 연구는 노인의 경제활동 참여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자본 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노인의 성공적 노 화와 관련된 복지정책이나 심리상담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 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은 465 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통계 프로그램 SPSS 24.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조사대상자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 분석과 평균분석의 기술분석, 측정도구와 신뢰도 검증을 위해서 신뢰도분석, T-test, ANOVA 분 석과 AMOS 22.0을 이용하여 구조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공적 노화, 자아존중감, 사회적자본 차 이검증을 실시하였는데, 성별, 연령, 최종학력, 월소득, 재산 규모에 따라 차이 가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경제활동 참여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는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노인의 사회적자본과 자아존중감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파악에서는 사회적자본의 신뢰와 사회참여가 영향을 미쳤 으며, 자아존중감에서는 부정적 자아와 긍정적 자아가 부(-)적 또는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경제활동 참여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자본 의 규범, 사회참여, 신뢰가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회적자 본은 직접적으로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노인의 경제활동 참 여와 성공적 노화 사이에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인의 경제활동 참여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 의 부정적 자아와 긍정적 자아가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 아존중감은 직접적으로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노인의 경제활 동 참여 수준과 성공적 노화 사이에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제언으로 첫째, 연구지역의 한계이다. 연구 설계에서 지역적인 고려 를 통한 표집이 이루어져 연구의 대표성과 연구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높여 야 하며 노인들이 거주하는 지역이 광범위해서 집단의 특성을 고려한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조사 대상을 노인들 중 서울 및 경기도 실제로 거주하는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정하여 진행하였기 때문에 연구 결과의 일반화에 대한 한계가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 독립변수로 설정된 요인들 외에도 성공적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에 대한 탐색이 필요할 것이다. 넷째, 후속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와는 차별화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의 필 요성도 제기된다. 주제어: 경제활동 참여, 성공적 노화, 사회적자본, 자아존중감, 매개효과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