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후두경 하 기관 삽관과 i-gel 삽입 후 QTc 간격의 비교

        송정윤 인하대학교 대학원, 인하대학교 의학과 2016 국내석사

        RANK : 249631

        BACKGROUND: Laryngoscopic intubation and insertion of supraglottic airway device can prolong the corrected QT (QTc) interval during anaesthetic induction even in healthy patients. No prior study has compared the effect of laryngoscopic intubation and supraglottic airway device, i-gel, insertion on the QTc interval change.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QTc intervals after laryngoscopic intubation and the i-gel insertion. PATIENTS: Fifty patients with a normal ECG undergoing general anaesthesia. INTERVENTIONS: Patients were randomised to either the intubation group (n=25) or the i-gel insertion group (n=25) before induction. The QT interval was sequentially measured in lead II during induction of anaesthesia. Four sequential QT values were applied to the Bazett’s formula to correct for the effect of heart rate on the QT interval, and then averaged. The peak QTc interval, the incidence of the QTc intervals >500 ms, and the duration of QTc prolongation >20 ms compared to those immediately before intubation or i-gel insertion were measured. MAIN OUTCOME MEASURES: The peak QTc interval was less prolonged in igel group than intubation group (p-value = 0.001). RESULTS: In the intubation group, the duration of QTc prolongation >20 ms compared to QTc values immediately before intubation was significantly longer than that of the i-gel group. The number of patients with QTc interval >500 ms was 12 in the intubation group and one in the i-gel group. CONCLUSIONS: The insertion of the i-gel produces less QTc interval change than laryngoscopic intubation. The i-gel insertion may be advantageous during anaesthetic induction in situations where avoiding a prolongation of the QTc interval is important.

      • 인체의 회전에 대한 시선고정과 습관화의 효과

        신승호 인하대학교 의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15

        배경 및 목적 : 일반인들과 달리 피겨스케이터나 발레댄서와 같이 빠른 회전을 하는 전문가의 경우, 반복된 훈련을 통하여 시선고정 및 습관화(habituation)를 이루어 회전 후 신체동요 및 어지럼을 최소화 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시선고정의 회전중과 후에 대한 효과의 비교 및 습관화의 속도별 특이성에 대한 보고가 없었고, 습관화의 회전방향에 대한 논란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정량적 비교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정상 전정기능을 가지고 회전훈련의 경험이 없는 18명의 지원자를 대상으로 등속도회전운동(100°/sec2,100°/sec) 을 시계 및 반시계방향으로 각각 1분간 가하고 주관적 어지럼과 회전중과 후의 안진(postrotatory nystagmus)을 측정하였다. 모든 실험자는 회전중에만 혹은 회전후에만 시선고정을 시행한 경우, 그리고 회전중과 후에 모두 시선고정을 한 경우로 나누어 등속도회전운동을 시행하고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이후, 실험자를 세 군으로 나누어 각각 60°/sec나 100°/sec 혹은 360°/sec의 각속도로 1분간 시계방향으로 회전자극을 가하고 9분간 휴식을 가졌고, 이를 하루 10회 반복하는 프로토콜로 일주일간 각속도별 습관화를 유도하였다. 일주일 후 100°/sec의 각속도로 주관적 증상과 안진을 측정하여 습관화 유도전과 후를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 회전후 시선고정을 통하여 회전후 어지럼 및 시간상수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지만, 회전중 시선고정은 회전후 결과에 의미있는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Wilcoxon Signed Rank Test, p>0.05) 또한, 어지럼 및 시간상수는 습관화 각가속도와 자극 각가속도가 동일한 경우에만 의미있게 감소하였다. (Wilcoxon Signed Rank Test, p<0.05) 그러나, 습관화는 유도한 회전방향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모든 실험자가 오른손잡이임에도 회전방향의 차이도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 회전자극에 의한 어지럼은 시선고정과 습관화에 의해 주관적 증상과 안진의 발현을 조절할 수 있다. 회전에 있어 회전후 시선고정이 회전중 시선고정보다 더 중요하며, 회전중 시선고정은 회전후 어지럼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또한, 습관화는 주파수 특이성(frequency specificity)를 가지고 있지만, 방향특이성(directional preference)를 보이지는 않았다. 이 결과들은 전문 스포츠 분야, 전정장애 및 노인성 어지럼에서 어지럼 극복 프로토콜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