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항공물류분야 실무교육 및 전문자격 (Diploma) 체계의 개선방안 연구

        김민지 인하대학교 물류전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703

        코로나 이후 2020년부터 항공화물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이에 따라 항공사, 항공화물운송대리점 그리고 각 산업군의 화주들도 사세확장을 하며 항공물류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했다. 그 만큼 각 기업마다 인력을 충원하며 인재 관리에 힘쓰는 기업들도 많아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이러한 인재 관리에 필요한 국내의 항공물류 실무 교육과 전문 자격 체계가 잘 갖춰져 있는지 파악하고 개선점을 찾아 발전적인 방향을 도모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물류산업 중 범위를 좁혀 항공물류분야의 실무 교육 및 전문 자격 체계 현황에 대해 분석하였다. 국내의 항공물류분야 내 대표적인 협회 및 기관은 KIFFA, KITA, IATA 를 대상으로 하여 각각의 실무교육 및 전문 자격 체계의 현황을 해외 사례 (미국, 싱가포르) 와 비교 분석하여 살펴보았다. 국내는 오랜 역사를 지닌 협회 및 기관이 존재하지만, 각 협회 및 기관에서 별도 운영하는 부설 교육원에서 개발한 자체 교육과정을 운영함에 따라 각각의 과정을 통해서만 학습이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실제 업무에 적용할 수 있는 직무 교육보다는 청년 대상의 국가 정부 사업의 일환인 프로그램을 더 활발히 운영하며 상당 비중을 차지해, 재직자들이 직무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질적인 교육과정이 다소 부족한 아쉬움이 있었다. 반면에 해외는 국내와 달리 실제 직무와 관련도가 높은 실무 교육 및 전문 자격 과정이 보다 체계적으로 갖춰져 있었다. 미국은 사립 대학에서도 분야별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접근할 수 있었고, 싱가포르는 정부 산하 기관까지 주관하여 적극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점이 눈에 띄었다. 사례 연구를 바탕으로 우리나라도 정부와 공신력 있는 국내 항공물류 기업들이 협업해 개선방안을 모색하고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주제어: 한국국제물류협회(KIFFA), 한국무역협회(KITA), 국제항공운송협회 공인 교육기관(IATA ATC), 싱가포르 정부 산하 기관, 항공운송위험물(IATA DGR) Since the advent of COVID-19 in 2020, interest in air cargo has gradually increased. Consequently, airlines, air cargo forwarders, and shippers in various industries have expanded their businesses, leading to an explosive growth in the air logistics market. Many companies are actively recruiting and putting effort into talent management in response to this trend.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assess the status of practical training and Diploma systems in the domestic air cargo logistics field to identify areas for improvement and promote developmental directions. This study specifically analyzes the current state of practical education and diploma systems in the field of air cargo logistics within the broader logistics industry in South Korea. Representative associations and organizations in the domestic air cargo logistics sector, such as KIFFA, KITA, and IATA, are examined. The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their practical education and professional qualification systems with international cases from the United States and Singapore. While South Korea has longstanding associations and institutions in the field, it was observed that each association or institution independently operates affiliated training institutes, limiting learning opportunities to specific courses. Furthermore, there was a notable emphasis on government programs targeting youth as part of national initiatives, overshadowing the availability of practical training courses that could enhance the job skills of existing professionals. In contrast, international practices, particularly in the United States and Singapore, demonstrate a more systematic approach to practical education and professional qualification programs directly relevant to job responsibilities. The United States offers diverse programs through private universities, and Singapore actively oversees programs conducted by government agencies. Based on case studies, it is anticipated that collaboration between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nd reputable domestic air cargo logistics companies could lead to identifying improvement measures and providing guidelines for the industry. Keywords: Korea International Freight Forwarders Association (KIFFA), Korea International Trade Association (KITA), International Air Transport Association Accredited Training Center (IATA ATC), Singaporean government agency, International Air Transport Association Dangerous Goods Regulations (IATA DGR).

      • 물류보안 인증 확산모델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 ISO 28000 사례를 중심으로

        이슬기 인하대학교 물류전문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50687

        국문 요약 물류보안 인증 확산모델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이 슬 기 인하대학교 물류전문대학원 지도교수 민 정 웅 9․11테러 사건이후 미국의 다양한 물류보안 프로그램과 이를 직간접적으로 수용한 여러 국제기구에 의한 물류보안제도는 물류기업 뿐 아니라 공급사슬에 포함된 모든 구성원들에게 필수적인 적격성 평가 요소로 부각 되고 있다. 그러나 국제기구별로 또는 각국별로 다양한 물류보안 요건을 모두 수용하기에는 시간적으로나 경제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존재한다. 더욱이 대부분의 물류보안인증 제도들이 특정지역 또는 특정 공급사슬의 보안문제에만 치중하여 정량적 기준을 통한 적부 평가를 위주로 하는 관계로 공급사슬 전반에 걸친 보안리스크 감소 및 비용절감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전문성을 가지고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범용성을 갖춘 국제표준을 통하여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 할 수 있다. ISO 28000(공급사슬보안경영시스템)은 물류기업 뿐 아니라 공급사슬에 참여중인 모든 구성원에 대한 보안경영시스템 구축을 통하여 안정적인 사업 수행과 비용 효율성을 제고 할 수 있는 경영시스템이다. ISO 28000은 국제표준위원회에서 인증하는 전 세계적인 인증 시스템으로서 물류보안의 역기능으로 인한 무역장벽이나 업무장애 요인을 해결할 수 있다. GDP의 90% 이상을 대외무역에 의존하는 한국으로서는 물류보안의 역기능으로 인한 직간접적인 피해가 중대한 국민경제문제로 직결 될 수 있는 만큼 ISO 28000의 도입과 확산을 통한 확고한 물류보안경영체제의 구축이 필요하다. 그런데 유사한 시기에 도입된 AEO가 2012년 3월 현재 180여개 인데 비해 ISO 28000은 2012년 3월말 현재 10개 업체가 인증을 획득하여 상대적으로 매우 저조한 확산의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AEO가 관세청의 주도하에 다양한 인증지원 프로그램과 인증효과 홍보를 통하여 AEO의 확산에 노력한 결과로 볼 수 있다. 반면, ISO 28000은 도입 초기 기술표준원의 시범사업을 통한 인증지원 이후 별다른 지원이 없었던 관계로 ISO 28000의 확산이 매우 늦은 속도로 진행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ISO 28000 물류보안경영시스템인증 확산을 시스템 다이내믹스 이론에 기초하여 모델화 하고 시뮬레이션 함으로써 인증확산의 양태를 규명 하였다. 정부지원금, 인증비용, 인증효과, 구전효과 등과 같이 주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채택하여 인증확산 모델을 구성 하였다. 또한, 모델의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정부 미지원 시와 정부 지원 시의 확산의 양태와 차이점 및, 컨설팅비용과 인증효과에 따른 인증기업수 변화에 대해서도 분석을 실시 하였다. 특히 핵심변수로 채택한 정부지원금에 따른 ISO 28000확산 예측 결과물은 정부지원이 ISO 28000의 확산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결론을 도출 하였다. 아울러 확산을 위한 지원대상업체수 및 정부지원금 총액 그리고 업체당 적정 지원금액 설정을 위한 구체적인 지표를 제시 하였다. 본 연구는 처음으로 ISO 28000 인증 확산 모델을 구축한 점에 의의가 있다. 다른 ISO 규격에 비해 ISO 28000은 상대적으로 일천한 제정 역사를 가지고 있어 ISO 28000에 대한 연구는 국내는 물론 세계적으로도 많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우리나라 ISO 28000의 인증현황과 시뮬레이션에 의한 향후 예측을 통하여 ISO 28000 인증확산 정책결정에도 좋은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 한다. 우리나라에서 ISO 28000인증은 물류보안인증의 차원을 넘어 국가경쟁력 요소와 직결되는 문제로 지속적인 확산 노력과 정부의 관심과 지원이 절실히 필요하다. 따라서 ISO 28000의 확산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정확도 높은 확산의 예측을 통한 다양한 지원 활동이 필요 할 것이다. 주제어: 구전효과, 물류보안, ISO 28000 물류보안경영시스템, 시스템 다이내믹스, 확산모델

      • 디지털 전환에 따른 물류 전문인력 필요역량 연구

        김유빈 인하대학교 물류전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87

        본 연구는 디지털 전환에 따른 전문인력 확보를 통한 산업 고도화를 위한 연 구로써 물류 전문인력이 갖춰야 할 필요역량을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통해 분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물류 전문인력 양성의 움직임이 본격화되었던 2015년 부터 현재까지를 분석 대상 기간으로 설정하고 세계 학술 데이터베이스 중 하 나인 SCOPUS에서 제공하는 국제 학술 DB 953건을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하였 다. 그 결과 4가지의 필요 역량이 도출되었는데, 첫 번째로 화물운송 부문의 경 쟁력 강화를 위해 디지털 기술 기반의 화물 운송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산업혁명 기술이 더해지며 물류의 고부가가치화가 계속되는 상황에서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공급체인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 는 스마트 물류 전문인력의 도입이 요구되고 있다. 세 번째, 디지털 기반 유통 부문의 고객지향 역량을 갖출 필요가 있다. 네 번째, 네트워크 연결 및 데이터 공유 프로세스를 구축하는 등 생산자-공급자 간 디지털 협력 네트워크 강화 역 량이 필요하다. 이러한 결과는 물류 분야에서의 디지털 전환을 고려할 때, 전문 인력 양성 프로그램 및 교육 커리큘럼에 있어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 하며, 물류 산업의 디지털화에 따른 전문 인력 양성 정책과 전략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주제어: 디지털 전환, 물류 전문인력, 인력양성, 텍스트마이닝, 스마트 물류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competencies that logistics professionals need to possess through text mining techniques, with the goal of advancing industrialization by securing specialized workforce amid digital transformation. The study focuses on the period from 2015 when the movement for nurturing logistics professionals began in earnest to the present, analyzing 953 academic data from the international academic database SCOPUS. As a result, four essential competencies have been derived.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need to enhance digital technology-based cargo transportation capabilities to strengthen competitiveness in the cargo transportation sector. Second, in a situation where the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 are adding to the high added value of logistics, there is a demand for the introduction of smart logistics professionals who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supply chain by utiliz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Third, there is a need to have customer-oriented capabilities in the digital-based distribution sector. Fourth, the ability to strengthen digital cooperation networks between producers and suppliers is needed, such as establishing network connections and data sharing processes.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cessity for novel approaches in professional workforce development programs and educational curricula, considering the digital transformation within the logistics field. It is anticipated that these insights will contribute to the formulation of policies and strategies for nurturing specialized workforce aligned with the digitalization of the logistics industry. Key words: Digital transformation, logistics professionals, Manpower training, text mining, smart logistics

      • 세제지원이 제3자 물류 이용 확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Swarm simulation 접근

        최고나 인하대학교 물류전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671

        국내 물류기업의 글로벌 네트워크 및 수익성이 취약하고, 글로벌 물류기업 대비 종합 물류서비스의 한계와 영세성이 심화되면서 글로벌 물류기업과 국내 물류기업의 기업규모 격차가 심각해지고 있다. 이를 위해 기존의 국내 3PL 활성화를 위한 제도에 대한 검토 및 구체적인 분석이 필요하며, 특히 국내 3PL 활성화의 주체가 되는 화주와 물류기업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을 통해 3PL 이용 확산을 이끌어 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3PL 활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고려하여, 2005년부터 2009년까지의 실제 3PL 활용률을 Swarm 모델링으로 구현해 보고, 3PL 시장 활성화 인과지도를 바탕으로 세제지원이 3PL 이용 확산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 지 알아본다. 연구 모델링 및 분석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연구조사를 통해 화주는 3PL 업체 활용 시 절감되는 물류비용과 서비스의 수준을 가장 크게 고려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PL활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비용요인과 서비스요인이라고 가정 한다. 둘째, 위의 비용요인과 서비스요인을 계량화하여, 2005년부터 2009년까지의 실제 3PL 활용률을 바탕으로 화주의 3PL 활용 행태를 Swarm 시뮬레이션 모델링을 통해 나타내보고, 이 후의 3PL 활용률을 예측 및 분석해본다. 또한, 시뮬레이션 모델이 도출한 결과와 실제 3PL 활용률의 정확도를 측정하기 위한 통계적 검증으로 상관분석을 통해 모델의 설명력을 나타낸다. 셋째, 위 기본모델을 바탕으로 하여 화주에 대한 세제지원을 추가했을 때, 실제 활용률과 비교해서 3PL 이용 확산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다. 이 때 세제지원에 따른 3PL 시장 활성화 인과지도 가정을 바탕으로 세제지원에 따른 3PL 활용률과 매출액 추이를 시나리오 분석 및 민감도 분석을 통해 알아본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세제지원과 3PL 역량이 거시적 물류산업 활성화와 어떠한 상호 관계를 가지는지 파악 해 볼 수 있었다. As domestic logistics companies become less competitive in terms of total logistics service and financial capacity than global logistics companies, the size gaps between global and local logistics companies widen. Hence, it is necessary to extend 3PL application by analyzing diverse measures to vitalize 3PL companies. This study considers factors affecting 3PL application, implements practical 3PL application rates from 2005 to 2009 with Swarm modelling, and finds out the effects of tax benefits on extensive application of 3PL based on a causal map of 3PL market revitalization. The modelling and analysis attempted here follow these procedures. First, it is assumed that factors affecting 3PL application are cost and service factors. Second, the cost and service factors are quantified based on actual 3PL application rates from 2005 to 2009, and a shipper’s 3PL application behaviour is simulated using Swarm simulation modelling so as to predict 3PL application rates. Also,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simulation model and a correlation analysis of statistical verification of measured 3PL application rates in practice are used to account for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Third, based on the basic model abovementioned, effects of additional tax benefits given to shippers on the extensive use of 3PL are also determined.

      • DEA-Malmquist 생산성 지수를 이용한 국내 물류산업의 생산성 변화 분석

        조문숙 인하대학교 물류전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671

        부가가치 물류가 증가하는 가운데 물류기업들은 능력을 전문화하고 국내·외 물류기업들과 전략적 제휴를 통해 규모를 키우며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있다.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활동들이 적절하게 이루어 졌는지를 평가하고 앞으로의 전략이나 정책의 방향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국내 물류산업의 생산성을 측정하고 생산성이 어떤 요인에 의하여 변화가 이루어지는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개선 방향과 대안을 설정하고 경쟁력 향상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DEA 모형과 Malmquist 생산성 지수를 이용하여 2001년부터 2009년까지 국내 135개 물류기업의 생산성을 측정하고 생산성 변화 요인을 기업 내부의 효율성 변화와 산업의 기술변화로 분해하여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상대적 효율성을 측정하고 비효율성의 원인을 분석하여 개선을 위한 목표수준을 제시하며, 산업의 기술 수준이 외부 환경변화에 어떤 영향을 받았는지를 분석하여 국내 물류산업의 생산성 변화 요인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투입요소는 종업원의 수, 유동자산, 고정자산, 운영비용을, 산출요소는 매출액을 선정하였다. 분석을 위해 DEA-Solver Pro 5.0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물류산업의 생산성은 증가해왔지만 증가가 점차 둔화되는 추세를 보여 생산성 증가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분석기간 동안의 물류산업의 생산성 증가는 기술진보보다는 순수 기술적 효율성과 규모 효율성의 증가에 더 많은 영향을 받고 있지만, 효율성 분석 결과에서는 효율성이 낮게 나타나 효율성 개선을 위한 노력은 여전히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분석기간 동안 규모 효율성의 증가는 생산성 증가에는 영향이 컸지만 약간의 하향세를 보여, 규모 비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과다 투자는 지양하며 최적 규모를 찾는 노력이 더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물류산업은 대부분 종업원 사용/운영비용 절약, 유동자산 절약/운영비용 사용에서 오는 투입편의 기술변화와 매출액의 생산에서 오는 산출편의 기술변화를 경험하였으며, 산출편의가 주춤하거나 감소하였을 때 생산성 감소가 나타나므로 지속적인 경쟁력 향상을 위해서는 매출액을 증가시키는 기술진보를 이룩할 필요가 있다. 화물 운송업의 생산성 증가는 규모 효율성 증가가 주요 요인이며 기술진보도 약간의 영향을 주고 있다. 특히 순수 기술적 효율성은 크게 개선되고 있지만 여전히 개선할 부분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류시설 운영업은 기술퇴보에 대한 영향을 순수 기술적 효율성과 규모 효율성의 증가가 상쇄하면서 생산성 증가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기술퇴보를 기술진보로 변화시켜야 하며 효율성 분석에서 도출된 규모 비효율을 개선해야 한다. 물류 서비스업은 효율성 증가가 생산성 변화의 주요 요인으로 생산성 증가를 보이고 있지만 물류산업의 평균에 못 미치는 생산성 증가율을 보이고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Malmquist 생산성 지수는 추정치가 이산점과 측정오차에 민감하여 통계적 오차를 비효율성으로 간주하게 되어 생산성을 과다 측정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DEA 모형은 상대적 효율성을 결정하는 모형이기 때문에 절대적인 기준을 가질 수 없다. 표본 수집에 있어서 수집된 기업 수는 실제 업종의 비중과 차이가 있기 때문에 분석대상에서 편의가 존재하며 향후 현실을 반영한 많은 수의 표본을 분석하는 것은 의미 있을 것이다. 변수를 선정함에 있어서 데이터 수집의 어려움으로 인해 재무적 지표들을 선정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가 물류산업의 생산성을 대표한다고 할 수 없으며 더욱 다양한 투입변수와 산출변수를 고려하여 연구를 발전시켜야 한다.

      • 콜드체인 식품 3PL의 물류서비스품질이 화주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 협업의 매개효과 검증

        송기훈 인하대학교 물류전문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50671

        The recent Coronavirus Infectious Disease-19 (COVID-19) outbreak has stressed the importance of the global supply chain, and many organizations have come to realize the significance of network stability in the global supply chain amidst the ongoing pandemic. Furthermore, the need for cold chain vaccine-related medicines is becoming increasingly apparent, and temperature management during the process of vaccine distribution as well as vaccine development is also becoming critical. Moreover, with increased consumer demand for food safety, the fresh logistics market is seeing a noticeable growth, and the necessity for a cold chain is becoming ever more crucial. Also, as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cold chain 3PL grows with the opening of the logistics market, it is necessary to identify factors that maximize company performance by reducing logistics expenses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ogistics service. Therefore, this study seek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logistics service quality and collaboration, which affects corporate performance, based on the findings of previous studies that connected logistics service quality of cold chain 3PL for food with corporate performance and on the assumption that logistics service quality is a key variable in predicting corporate performanc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logistics service quality of cold chain 3PL for food on corporate performance of the shipper company. To this end,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does collaboration and logistics service quality of cold chain 3PL for food affect corporate performance of shipper companies? Second, does the logistics service quality of cold chain 3PL for food indirectly affect corporate performance of shipper companies through collaboration? An empirical analysis targeting employees of shipper companies related to cold chain 3PL for food was conducted in order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logistics service quality, collaboration, and corporate performanc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300 employees of shipper companies in the cold chain 3PL for food industry, and survey data of 267 subjects were included in the final statistical analysi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21 and AMOS21 statistics programs, and the measurement tool was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questions related to logistics service quality, collaboration, and corporate performance.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general characteristics of shipper company employees. 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among logistics service quality of cold chain 3PL for food, collaboration, and corporate performance. A difference test was also run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position-, company size-, and industry-specific general characteristics. Finall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in order to establish a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and bootstrapping was conducted in order to verify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 of collaboration between logistics service quality and corporate performance. The key findings of these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the logistics service quality of cold chain 3PL for food was found as having a positive effect on collaboration. Second, logistics service quality of cold chain 3PL for food was also found as having a positive effect on corporate performance. Third, collaboration was found as having a positive effect on corporate performance. Fourth, the direct channel of logistics service quality of cold chain 3PL for food on corporate performance and the indirect channel of logistics service quality on corporate performance through collaboration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These findings signify that not only does the logistics service quality of cold chain 3PL for food directly affect corporate quality, but it also promotes collaboration and thereby enhances corporate performance. For this reason, promoting collaboration and exploring ways to cooperate through smooth communication and understanding between cold chain 3PL for food and shipper companies in ways that can benefit both parties seem essential in improving corporate performance of shipper compan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may offer meaningful implications or be used as fundamental data in verifying logistics service quality of cold chain 3PL for food and collaboration as key predicting variables of corporate performance. Moreover, these findings may be utilized by shipper companies to secure a collaboration-centered expertise and to design a win-win process that benefits both the cold chain 3PL for food and shipper companies in the rapidly growing online distribution industry in the post-COVID-19 era. Therefore, taking into account that collaboration has a substantial effect on corporate performance in the structural model based on the theoretical model suggested in this stud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may provide practical information on communication and understanding of 3PL in occasions such as new employee training, OJT, and in-company education. 최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은 글로벌 공급망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펜데믹(pandemic) 상황의 연속으로 많은 기업들은 글로벌 공급망에서 네트워크의 안정성을 중요한 요소로 여기게 되었다. 더불어 COVID-19로 인해 백신 관련 의약품 콜드체인에 대한 필요성이 더욱 부각 되고 있으며 백신의 개발 뿐만 아니라 백신 유통간 발생하는 온도 관리가 매우 중요한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또한, 소비자의 입장에서 식품의 안전성 요구 증대에 따라 신선 물류 시장의 성장이 두드러지고 있어 콜드체인의 필요성은 점점 더 부각 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물류시장의 개방으로 콜드체인 3PL의 역할이 중요시 되어 지고 있는 상황에서 물류비 절감과 물류 서비스 향상으로 기업의 성과를 극대화하는 요인을 확인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콜드체인 식품 3PL의 물류서비스품질이 화주기업의 성과에 많은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점과 콜드체인 식품 3PL의 기업성과를 창출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더 나아가, 물류서비스품질이 기업성과를 예견할 수 있는 주요 변인으로 가정하여, 기업성과에 영향을 주는 협업과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콜드체인 식품 3PL의 물류서비스품질이 화주기업의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콜드체인 식품 3PL의 물류서비스품질과 협업은 화주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콜드체인 식품 3PL의 물류서비스품질은 협업을 매개로 화주기업 성과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콜드체인 식품 3PL과 관련된 화주기업 임직원을 대상으로 물류서비스품질, 협업, 기업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고자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콜드체인 식품 3PL과 관련된 화주기업 임직원 3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최종 267부의 설문자료를 통계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21과 AMOS21 통계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는 물류서비스품질, 협업, 기업성과로 구성된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분석 방법은 먼저 화주기업 임직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콜드체인 식품 3PL과 화주기업의 물류서비스품질, 협업, 기업성과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피어슨(Pearson)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또한 직급별, 기업규모별, 업종별 일반적 특성에 대한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물류서비스품질과 기업성과 간의 협업의 간접 효과에 대한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나타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콜드체인 식품 3PL의 물류서비스품질은 협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콜드체인 식품 3PL의 물류서비스품질은 기업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협업은 기업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콜드체인 식품 3PL의 물류서비스품질이 기업성과에 이르는 직접경로와 물류서비스품질이 협업을 통해 기업성과에 이르는 간접 경로가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콜드체인 식품 3PL의 물류서비스품질이 기업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물류서비스품질이 협업을 촉진하고 그로 인해 기업성과의 수준을 높이기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화주기업의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협업을 촉진시키는 것과 동시에 더 나아가 콜드체인 식품 3PL과 화주기업간 원활한 소통과 이해를 통해서 상호간 협력할 수 있는 상생 방안을 찾아 성과를 향상시키는 관심과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콜드체인 식품 3PL의 물류서비스품질, 협업이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예측 변인임을 확인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거나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콜드체인 식품 3PL과 연관된 화주기업은 COVID-19 이후 온라인 유통의 급성장에 대비하고 본 연구가 밝힌 협업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3PL의 전문성을 확보하여 화주기업과 WIN-WIN 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구축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이론적 모형을 바탕으로 구조모형에서 협업이 화주기업의 성과에 큰 영향을 준다는 점을 고려할 때, 신입사원 입사시 입문교육, OJT, 회사내 보수교육시 사내 교육을 통해서 3PL과의 원활한 소통과 이해를 돕기 위한 실제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물류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과 파트너와의 장기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B2B IT 유통기업인 K사 사례를 중심으로

        주정인 인하대학교 물류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671

        인터넷과 생산기술이 지금처럼 발달하기 이전의 고객들은 제품의 가격, 성능 등의 정보를 한정된 매체를 통해 알 수밖에 없었으며, 고객들 간의 활발한 정보공유도 어려웠다. 또한 각 기업들 간의 기술격차로 인하여 가격 대비 성능도 제품마다 천차만별이었다. 그러나 인터넷과 생산기술의 발달로 고객들은 언제 어디서나 실시간으로 제품의 가격, 성능, 고객 간의 정보 공유 등이 가능해졌으며, 제품의 기술격차 또한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고객들의 다양한 정보 습득과 기술 평준화로 인하여 고객들은 차별적인 요소로서 수준 높은 서비스를 제공받기 원한다. 기업은 고객의 선택을 받기 위해 경쟁사와는 차별화된 서비스를 통해 고객을 만족시키고 이러한 고객만족을 바탕으로 장기적인 충성 고객을 확보해서 지속적으로 재 구매를 유도해야만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 이처럼 무한 경쟁시대로 진입하면서 기업들은 고객만족과 장기적 관계 구축을 위해 물류서비스 품질이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 기존의 선행 연구들 또한 물류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 재구매, 장기적 관계 지향성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기존의 선행 연구들은 B2B 보다는 B2C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각 산업별 공급업자 및 고객의 특성에 맞는 연구는 극히 적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B2B 유통기업인 K사에 초점을 맞춰 물류서비스 품질을 6가지 요소 (대면접촉품질, 적시성, 정확성, 주문절차, 주문불일치처리, 주문조건)로 재정립하였으며, 재정립된 물류서비스 품질 요소가 K사의 고객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더 나아가 고객만족이 장기적 관계 지향성으로 연결되는지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가설의 검정을 위하여 SPSS 18을 사용하였으며, 물류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고 고객만족이 장기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은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6가지 물류서비스 품질 요소 중 주문절차와 대면접촉품질이 고객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소로 나타났다. 또한 물류서비스 품질을 통한 고객만족이 K사와의 장기적 관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앞으로 K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물류서비스 품질의 개선 작업과 경쟁사와 차별화될 수 있는 보다 구체적인 물류서비스 전략을 수립하는데 매우 유용한 정보가 될 것이다.

      • 화장품 기업의 수배송 최적화 전략 사례 연구

        김준환 인하대학교 물류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71

        2000년 이래로 전자상거래 물류 시장이 활성화 되고 이로 인하여 택배와 대민 접촉에 의한 배송의 증가로 인하여 라스트마일 물류에 대해 많은 연구와 성장이 지속되어 옴에 비하여 B2B를 중심으로 하는 미들마일 물류에 대해서는 비교적 연구가 미진한 상태다. 하지만 이 영역에 대해서도 포스트 코로나 이후 물류 센터의 확장과 물류산업의 성장으로 인하여 동반 성장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미들마일 물류 수배송의 최적화라는 논제를 진행함에 있어 업태 자체가 규모가 있고 성장하는 업태여야 연구의 의미가 크다. 사례를 중심으로 할 경우 최적화의 실제 개선 사례들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 본 저자가 진행하고자 하는 화장품 산업은 규모 및 유통형태 전반이 이 미들마일 물류라는 카테고리와 크게 일치하고 연구에 있어 유의미한 주의 사항들이 존재한다. 이 유의사항들을 현업에서 관리하고 있는 화장품 업체를 사례를 통하여 분석하고 풀어가고자 한다. 또한 실제 현업에서 발생한 문제점과 이에 대한 개선사례를 4가지의 내, 외부적 변수를 고려하여 수 배송 최적화 전략을 구상하고 적용 결과 및 앞으로 추가적인 보완책에 대하여 논의해보고자 한다. Since 2000, the e-commerce logistics market has been active. This has led to an increase in courier and direct delivery. Although a lot of research and growth has continued in the last mile logistics sector, research on middle mile logistics centered on B2B is relatively incomplete. However, in this area as well, due to the expansion of the logistics center and the growth of the logistics industry after the post-coronavirus, mutual growth is progressing. In advancing the thesis of optimizing middle mile logistics, transportation and delivery, the research will be meaningful only when the industry itself is a large-scale and growing industry. And if the case is the focus, actual improvement cases of optimization should be supported. The cosmetics industry I want to proceed with is largely consistent with the category of middle mile logistics in terms of scale and distribution. And there are significant caveats in the study. We intend to analyze and solve these precautions through case studies of cosmetic companies that are managed in the field. In addition, we would like to devise a shipping and delivery optimization strategy considering the four internal and external variables for problems that have occurred in the real world and improvement cases for them, and discuss the results of application and additional supplementary measures in the future.

      • DEA-SBM 모형을 활용한 국내외 물류기업의 재무 효율성 비교 분석

        노연호 인하대학교 물류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671

        The domestic logistics industry has a low level of operational efficiency and management maturity compared to global logistics companies, so it is necessary to specialize and manage major operations to drive business expansion and growth. Considering these current status of the domestic logistics industry,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analysis of the efficiency of various methods for each business sector of the domestic logistics companies. However, the existing studies were mainly conducted for all or a specific group of logistics companies. Therefore, this study divided domestic logistics companies into four groups, and also added global advanced logistics companies to analyze the efficiency trends according to groups, within groups, by company size, and asset-based or non-asset-based companies. Also in the analysis methodology, instead of the classic method BCC, CCR model or Malmquist for productivity analysis, efficiency analysis is performed by using DEA-SBM, which includes the weak point of slack when measuring efficiency. As a result of the efficiency analysis of all 61 logistics companies from 2010 to 2019, including global logistics companies, the overall efficiency of all logistics companies was analyzed to be a downward trend. By sector, the relative efficiency of domestic certified integrated logistics services, freight forwarding and warehouse service companies were found with downward trend, and it has been found that the output compared to input factors has not reached an appropriate level. On the other hand, the global logistics company sector is an upward trend and the inefficiency size is very low compared to the domestic logistics companies. As a result of efficiency analysis by size of logistics companies, the efficiency of mid-sized companies tends to be flat, while the efficiency of large and SMEs(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re showing a downward trend.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overall analysis of logistics companies by asset-based (Asset Based, Non-Asset Based), the overall SBM efficiency of non-asset based group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asset based group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fficiency of Korea's certified excellent logistics companies is on a downward trend compared to global logistics companies. Therefore,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government's policy support is needed along with efforts such as structural reform of the company itself. Second, the relative efficiency of logistics companies in the fields of domestic certified integrated logistics services, freight forwarding and warehouse service companies were found with downward trend, and overall, it is analyzed that the output compared to input factors has not reached an appropriate level. Third, the relative efficiency of the SMEs group is still 25~30% lower than the comparison groups. It is expected that we need to derive growth engines for SMEs, such as win-win cooperation between large and small companies. Forth, the relative DEA-SBM efficiency of the non-asset based group was high.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strategies to reduce non-current assets and increase net profit within the domestic logistics companies, and to introduce growth strategies that utilize M&A and direct investment used by global logistics companies. ​In this study, due to the limitations of information gathering, efficiency was analyzed by input and output factors only with limited DMU and indicators in financial statements. If this shortcoming is complemented, it is expected that more empirical and objective policy proposals can be made. 국내 물류산업은 글로벌 물류기업 대비 운영 효율성 및 관리 성숙도 수준이 낮아 사업 확대 및 성장을 견인할 주요 운영의 전문화 및 관리의 체계화가 필요하다. 이러한 국내 물류산업의 현황을 고려하여 국내 물류기업의 사업 분야별로 다양한 방식의 효율성 분석에 관한 연구가 많이 수행되었으나, 기존 연구들은 주로 물류기업 전체 또는 특정 그룹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물류기업을 4대 그룹으로 구분하였고 더불어 글로벌 선진 물류기업을 추가하여 그룹간, 그룹내, 기업 규모별 및 자산 보유 방식에 따른 효율성 추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 방법론에서도 고전적인 방법인 BCC, CCR 모형이나 생산성 분석을 위한 Malmquist 대신에 효율성 측정 시에 약효율점인 슬랙(Slack)을 포함하는 DEA-SBM(Slack Based Model)을 활용하여 효율성 분석을 진행하였다. 글로벌 물류기업을 포함하여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총 61개 물류기업 전체를 대상으로 진행한 효율성 분석결과, 전체 물류기업의 효율성은 전반적으로 하강 추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야별로는 국내의 종합물류, 국제물류주선 및 물류창고 인증기업의 상대적인 효율성은 하강 추세이며, 전반적으로 투입요소 대비 산출이 적정 수준에 이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글로벌 물류기업 분야내의 상대적인 효율성은 전반적으로 상승 추세이며, 전반적으로 국내 물류기업 대비 비효율성 크기가 매우 낮은 수준으로 분포되어 있어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물류기업 규모별 효율성 분석결과, 중견기업의 효율성은 보합 추세에 있지만, 대기업계열과 중소기업의 효율성은 하강 추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자산 보유 방식(Asset Based, Non-Asset Based)에 의한 물류기업 전체 분석결과에서는 전반적으로 비자산 기반형 그룹의 상대적인 SBM 효율성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첫째, 글로벌 물류기업 대비 우리나라 인증 우수물류기업들의 효율성은 하강 추세에 있으며, 기업 자체의 구조개혁 등의 노력과 함께 정부의 정책적 지원을 보다 적극적으로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둘째, 국내 종합물류, 국제물류주선과 물류창고 인증 분야 물류기업들의 상대적인 효율성은 하강 추세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투입요소 대비 산출이 적정 수준에 이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중소기업 그룹의 상대적인 효율성은 대기업관계사와 중견기업 그룹 대비 여전히 25~30% 정도 낮게 나타났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상생협력 촉진에 관한 법률과 같이 중소기업과의 상생이 사회적 이슈인 만큼 적합한 성장 동력을 도출해야 할 것으로 전망된다. 넷째, 전반적으로 비자산 기반형 그룹의 상대적인 DEA-SBM 효율성이 높게 나타났다. 국내 대기업계열과 중견기업 그룹 내에서는 비유동자산의 절감과 순이익을 높이기 위한 전략 수립과 함께 글로벌 물류기업들이 활용하는 M&A와 직접투자를 활용한 성장전략을 도입하는 것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수집의 한계로 인해 한정된 DMU와 재무제표상의 지표를 투입 및 산출요소로 선정하여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한정된 글로벌 물류기업 DMU로 인해 운송, 창고, 국제주선 등으로 그룹핑한 국내 인증우수물류기업들과의 SBM 효율성 비교 분석은 제외했다. 이와 같은 미비점을 보완하여 국내 물류기업과 글로벌 물류기업의 효율성을 분석한다면 보다 구체적이며 객관화된 정책 제안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Demand Determinant for Urban Freight Consolidation Center : A Case of Korea

        Mohammad Khaled Afzal 인하대학교 물류전문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50671

        Abstract Demand Determinants for Urban Freight Consolidation Center: A Case of Korea Mohammad Khaled Afzal Graduate School of Logistics, Inha University, Korea Advisor: Professor Yong Jin Kim Urban freight consolidation center (UFCC) becomes popular to the academician and policy makers due to its ability to improve economic, environmental and social conditions of urban logistics system. But the failure of many UFCCs in Europe provokes its sustainability analysis. Inflated estimation of demand in feasibility studies was one of the key reasons for these failures. Proper identification of customers for demand estimation is crucial for a sustainable UFCC. In order to help estimating potential demand for UFCC in Korea, this research identified the Korean transport company’s characteristics and their goods that are most feasible for UFCC. The basic framework of this research is to connect freight transport company’s operational characteristics with their responses for using UFCC. Since the company’s operational characteristics are mostly categorical or dichotomous and responses regarding future demand are hard to verify quantitatively, the key methodologies chosen for this analysis are Spearman rank order correlation and ordered logistic regression model. At this stage, a localized survey form was sent to the identified freight transport companies through E-mail. However it became difficult to get enough responses required for valid analysis. Therefore, respondents were interviewed personally by visiting to the cargo terminal and transport companies’ offices and thus valid numbers of responses were obtained. Primary survey data from the transport companies are analyzed by SPSS version 17. Four characteristics from three operational dimensions of transport companies were found significantly correlated (at 95% confidence level) with demand responses. Among these characteristics, number of employees and yearly revenue attributes are positively related with demand for UFCC. And vehicle’s (cargo) capacity and the attribute of “key suppliers as vendor, cooperatives, or other transport companies” are negatively related with the demand for UFCC. After relaxing confidence level to 15%, we have found revenues from cargo and container vehicle operations, vehicle ownership style, food and beverage freight, and the attribute of key suppliers being distribution companies are also correlated with demand for UFCC. Except cargo vehicle’s revenue attribute, all other new attributes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the demand for UFCC. The next task was to compare between the predictors so that we can find the most reliable measure for classification. The ordered logistic regression identified only two characteristics that are significant at 5% level of confidence. These are companies’ yearly revenue and the capacity of cargo vehicles. The significant beta parameter for the revenue at lower level category (Yearly 50B won or less) is negative which means that small revenue earning companies are less likely to opt for UFCC compared to higher revenue earning companies. On the contrary, the significant beta value for light capacity cargo vehicle (Below 8.5ton) is positive which indicates that the light capacity cargo vehicles are more likely to choose UFCC compared to heavy capacity cargo vehicles. Therefore, after descriptive,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this thesis finally recommends that, for estimating demand for UFCC, significant focus should be given on those transport companies who generate larger revenue but uses mainly light (small and medium) capacitated cargo vehicles. Other moderately potential user/ customers may be food and beverage transporters, transporters of distribution companies’ goods, container vehicles, and long contracted & self-owned vehicles. Besides, the companies dealing with container and express parcel deliveries and making mostly home deliveries could be also good prospect for UFCC. Key words: Urban, Freight, Consolidation, UFCC, Demand, Transport Companies, Logistics Characteristics, Preferences, Korea, Rank Order Correlation, Logistic Regression 국문요약 Demand Determinants for Urban Freight Consolidation Center: A Case of Korea 도시공동물류센테의 수요 결정요인 : 한국사례를 중심으로 아브잘 모하매드 갈래드 인하대학교 물류전문대학원 지도교수 김용진 도시 공동 물류 센터 (UFCC: Urban Freight Consolidation Center)는 도시물류시스템의 경제, 환경, 사회 상황을 지속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는 기대를 받고 있어서 학술적뿐만 아니라 정치적으로도 많은 사람들의 주목을 받아왔다. 그러나 유럽의 각국에서 시도되었던 도시공동물류센터의 실패는 지속가능성에 대한 의구심을 품게 하여 이에 대한 분석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타당성 분석 시 과도한 수요추정은 이러한 도시공동물류센터 실패의 주요 원인이다. 지속가능한 도시공동물류센터의 건립 및 운영을 위해서는 수요자에 대한 정확한 규정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UFCC를 위한 잠재적 수요 추정을 위해서 UFCC에 가장 적합한 운송회사의 특성과 화물품목을 추정하였다. 본 논문은 기본적으로 UFCC 이용하고자 하는 의도를 가진 화물운송회사의 운영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화물운송회사 명단을 파악하여 이를 대상으로 이메일 등을 통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러나, 회사 운영에 대한 자료를 요구하고 있어서 설문조사 분석을 위한 유효한 숫자의 응답을 확보하는 것이 어려워서 화물터미널 등을 직접 방문하여 면접조사를 통하여 유효한 응답수를 확보하였다. 운송회사의 운영 특성은 대부분 범주적이거나 이분법적이며 현재 구현되지 않고 있는 도시공동물류센터 서비스에 대한 미래 수요를 정량적으로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 분석을 위해 선택한 주요 방법론은 Spearman rank order Correlation과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 모델이다. 운송회사의 기본 조사 데이터는 SPSS 17버전으로 분석하였다. 95% 신뢰도 수준에서 운송회사의 세 개의 운영 측면으로부터 네 가지 특성이 수요 응답과 유의하게 상관되었다. 이러한 특성 중, 직원 수, 연간 수익 특징이 UFCC에 대한 수요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리고 화물차의 적재 용량과 “판매자, 조합, 혹은 다른 운송회사와 같은 주요 공급업자”의 속성은 UFCC에 대한 수요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신뢰수준을 15%으로 완화 시 화물 및 컨테이너 화물차 운영, 화물차 소유 형태, 식품 및 음료화물의 수익, 유통회사의 주요 공급업자의 특징이 UFCC에 대한 수요와 또한 상관됨을 알 수 있었다. 화물차의 수익 특징을 제외하고 다른 모든 새로운 특징은 UFCC에 대한 수요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다음 과정은 분류를 위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수단을 찾기 위해 특성을 비교하는 것이다.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5% 신뢰수준에서 유의한 단 2개의 특성, 운송회사의 연간 매출과 화물차의 적재용량을 확인하였다. 연간 500억 이하의 매출에 대한 유의한 베타 파라미터가 음이라는 것은 낮은 수익을 얻는 회사가 높은 수익을 얻는 회사보다 UFCC를 선택할 가능성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소형 화물차(8.5톤 이하)에 대한 유의한 베타값이 양이라는 것은 소형 화물차를 소유한 회사가 대형 화물차를 소유한 회사에 비해 UFCC를 선택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논문은 설문조사 자료에 대한 기술적 분석, 순위순서 상관분석, 순서-순위 상관관계, 순서형 로지스틱스 회귀분석의 결과로 UFCC에 대한 수요 확보를 위해 매출액이 크고 주로 소형 화물차(소형/중형 포함)를 사용하는 운송회사에 초점을 맞출 것을 제안한다. 또한 UFCC의 잠재적 수요 운송회사 특성으로서 식품과 음료 운송업자, 유통회사의 상품 운송업자, 컨테이너 운송업자, 장기 고용 혹은 자차소유 업자들이다. 그리고 컨테이너, 익스프레스 소포 배달, 가정 배달을 취급하는 회사 또한 UFCC의 좋은 고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도시, 화물, 공동, 도시공동물류센터(UFCC), 수요, 운송회사, 물류 특성, 선호, 한국, 순위-순서 상관관계, 순서 로지스틱 회귀분석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