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천시 공영주차장 주차전용건축물의 재무적 타당성에 관한 연구

        강을구 인천대학교 공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31

        국문요약 인천시 공영주차장 주차전용건축물의 재무적 타당성에 관한 연구 인천광역시 계양구 주차공간 부족과 이에따른 불법주차 등 교통환경개선을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으며, 주차시설의 공급에 대한 공공부분의 재무적 투자 타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주차전용건축물 건립 및 운영에 대한 타당성을 주차수요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장래 주차수요를 도출하고, 재무적 타당성을 분석한 후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는 등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주차수요분석모형은 건물연면적원단위법을 사용하였고, 해당 모형을 사용하여 재무적 타당성을 분석한 후 총 81가지 시나리오에 대한 민감도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건립코자 하는 주차전용건축물은 주차환경개선과 지역문화발전, 지역상권 발전효과 측면에서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체적인 민감도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가장 객관적인 분석 기준(임대료 상승률 3.3%, 2급지, 불법주차흡수율 10%, 할인율 4.1%)하에서 R/C 1.06, NPV 3,462백만원으로(분석시나리오 41) 나타났다. 한편, 시나리오 분석결과를 종합해 보면, 타당성이 가장 높은 경우는 시나리오 55(임대료 상승률 4.41%, 1급지, 불법주차흡수율 20%, 할인율 3.0%)로 NPV 14,356백만원, R/C 1.22로 분석되었고, 가장 낮은 경우는 시나리오 25(임대료 상승률 2%, 3급지, 불법주차흡수율 5%, 할인율 3%)로 NPV -3,106백만원, R/C 0.95로 분석되었다. 공공부문에서 본 사업을 추진하게 될 경우 사업의 타당성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므로, 공공서비스 제공을 민간에게 모두 맡기는 것 보다 안정적인 공공서비스 제공을 위한 공공부문의 직접투자 근거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유의미하다. 영문 A Study on Financial Feasibility Analysis of Public Parking Buildings in Incheon Cit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raffic conditions such as illegal parking acording to lack of parking space and to analyze the financial feasibility on public sector according to parking facilities supply. To analyze the feasibility of construction and operation parking buildings, future parking demand and financial feasibility are conducted. Then sensitive analysis is performed as well. The sensitive analysis of 81 scenarios were performed for financial feasiblility study considering parking demand analysis model which used floor spaces as a unit for generation. The result of the study suggested that a parking building has feasibility on improvement of parking condition, local culture, and local market. The result of sensitive analysis shows that R/C is 1.06 and NPV is 3,462 million won(scenario 41) based on the following standard(rental rate 3.3%, 2 feed, illegal parking absorption 10%, and discount rate 4.1%). Meanwhile, scenario 55 shows the highest feasibility but scenario 25 shows the low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investment from public sector for parking buildings might have relevant financial feasibility in some areas.

      • 강제 공기 주입을 활용한 지하주차장 준비작동식 스프링 클러의 동결방지 방법에 관한 실험적 연구

        이대선 인천대학교 공학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31

        The increasing size, depth, and diversification of underground parking lots contribute to a rising trend in the risk of fires. Despite their extensive areas, the absence of fire compartmentalization makes fire spread more manageable in these structures. Redundancy in fire brigade access routes and evacuation paths for vehicles and occupants in underground parking lots often leads to difficulties in rapid firefighting and initial suppression. Large-scale parking facilities present challenges with extended evacuation routes and poor visibility during power outages, complicating emergency evacuations. Additionally, the difficulty in locating fire points distinguishes underground parking lot fires from surface fires. The recent surge in electric vehicles further exacerbates the fire risk in underground parking lots. Automatic sprinkler systems play a crucial role in the initial suppression of fires in underground parking lots. Sprinkler systems for underground parking facilities are categorized into wet and dry (pre-action) systems. Wet systems are installed in areas without freezing concerns, while dry systems, particularly pre-action sprinklers, are prevalent in locations prone to freezing. In recent performance design scenarios, selective use of wet sprinkler systems is observed for locations with no freezing concerns, especially for underground areas up to the third floor. While pre-action sprinklers are commonly installed in locations with freezing concerns in underground parking lots, issues such as potential backflow of firefighting water through the 2nd-stage valve, operational malfunctions during construction and usage, malfunctioning action, operational checks, and aging of valve seats persist. Once firefighting water infiltrates, it does not drain completely through natural drainage, leading to residual water remaining in the pipes. Subsequently, this water freezes, potentially causing delays or failure in water discharge from the sprinkler heads during a fire. This could result in the spread of fire to nearby vehicles and residential areas, causing significant casualties and property damage. To address these issue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xplore economically viable and effective solutions for preventing the freezing of pre-action sprinkler systems in underground parking lots using forced air injection.The experimental method for examining residual water in sprinkler pipes involved selecting two out of 31 protection zones in the underground parking lot of a residential complex under construction. After supplying water, natural drainage and forced drainage were conducted, and the status of residual firefighting water was examined. The final results, obtained by utilizing forced air injection for drainage, revealed that areas with bends in the pipes (14 zones) retained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water, approximately 0.5 cubic meters. In contrast, areas without bends (18 zones) retained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water, approximately 0.15 cubic meters. This experiment confirmed that natural drainage alone is insufficient to eliminate residual water. Based on the experimental findings,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methods for preventing freezing in pre-action sprinklers in underground parking lots using forced air injection: Integration of an air compressor with an automatic drainage valve (Auto Drip Valve) for a freeze prevention system. Installation of an air compressor and automatic drainage valve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outdoor temperature. Installation of an outdoor temperature-linked quick-opening door for wind protection at the main vehicle entrance. Installation of heat wires and insulation materials linked to outdoor temperature (selective installation due to power cost concerns). During the course of this study, several key insights were gained. While the most comprehensive method for freeze prevention is using a wet sprinkler system with heat wires and insulation along the entire sprinkler network, this approach poses challenges due to the additional costs associated with construction and ongoing facility operation, including electricity expenses. For pre-action sprinkler systems, it is crucial to address the freezing vulnerability and potential for residual water on the 2nd-stage valve side. Recommendations include installing automatic drainage valves at the lowest point of pipes where firefighting water may accumulate, air exhaust and supply valves at the highest point in the pipe network, installing an automatic drainage valve at the lower point of the pre-action valve on the 2nd-stage side, and installing drainage angle valves at the bottom of bends, extending the pipes for easy access by facility managers. In unavoidable situations where bends occur in pipes between architectural structures and facility intersections, drainage valves must be installed at the lower ends of these sections. Main and intersection pipes should be constructed with minimal bends, adhering to the slopes specified in fire safety standards during installation. If necessary, relevant technical standards, including fire safety standards, should be revised and supplemented to generate more interest, research, and solutions for freeze prevention in pre-action sprinkler systems. This research serves as a catalyst for confirming the need for increased attention, research, and measures to address freeze prevention in pre-action sprinkler systems, contributing to the protection of citizens' lives and property and the advancement of the fire protection industry. 지하주차장의 대형화, 심층화, 다양화로 인한 화재에 대한 위험도가 증가 추세에 있으며, 매우 넓은 면적임에도 불구하고 방화구획이 되어있지 않아 연소 확대는 더욱 용이한 구조이다. 소방대 진입로와 차량 및 피난자의 대피 경로가 중복되어 소방대가 신속하게 진입한 후 초기 소화가 곤란하다. 대규모 주차장의 경우 피난 동선이 매우 길고 정전 시 암흑 상태의 어두움으로 피난이 어렵다. 지상 화재와는 다르게 화점 파악이 곤란 한 점도 지하주차장 화재 시 예상되는 문제점이다. 최근 전기차의 급증도 지하주차 장 화재 위험성을 더욱 가중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자동식 스프링클러는 지하주차장 화재의 초기 진화를 위해 매우 중요한 핵심 소화설 비이다. 지하주차장 용도의 스프링클러는 습식과 건식(준비작동식)으로 대별되며, 동 결 우려가 없는 장소에는 습식 스프링클러가 설치되고, 지하주차장 등 동결 우려가 있는 장소에는 건식의 일종인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가 대부분 설치되고 있다. 최근 성능설계 현장의 경우 지하 3층 이하의 동결 우려가 없는 장소에는 선별적으로 습식 스프링클러 시스템으로 설계시공 하는 곳도 있다. 지하주차장에 대부분이 동결 우려 가 있는 장소에 설치하는 스프링클러 시스템 중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가 설치되고 있으나,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 설비도 건설 시 설비의 수압시험, 운영 중 오작동, 수 격작용, 작동점검, 밸브시트의 노후화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하여 준비작동식 밸브의 2차 측으로 소화수가 유입 될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으며, 한번 유입 된 소화수는 자 연 배수만으로는 완전하게 배수되지 않고 배관에 잔류하게 된 후 동결되어, 화재 시 스프링클러 헤드에서 소화수가 방수되지 않거나, 방수가 지연되어 주차장 내 인근차 량과 주거지로 화재가 확산 될 수 있고, 그 결과 많은 인명과 재산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프링클러 2차 측 배관의 동결 문제를 해결하여 국민의 생명과 재 산을 보호함은 물론, 소방산업의 발전에 조금이나마 기여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게 되었다. 스프링클러 배관의 잔류수에 대한 실험 방법은 현재 건설 중인 공동주택의 지하주차장 스프링클러 31개 방호구역 중 2개 구역을 선정하여 충수 후 자연배수 및 강제배수를 시행하여 소화수 잔류 현황을 알아보는 실물을 대상으로 한 실험을 실시 하였고, 최종적으로는 강제 공기주입을 활용하여 배수시킨 결과, 배관 중 굴곡부가 있는 14구역은 강제 배수량이 약 0.5㎥ 정도로 비교적 많은 양이 잔류하였고, 굴곡부 가 없는 18구역은 약 0.15㎥ 정도의 비교적 적은 잔류수량이 존재한 것으로 나타났 다. 이와 같이 자연배수만으로는 잔류수가 존재 할 수밖에 없음을 실험을 통하여 확 인한바 있다. 따라서 강제 공기 주입을 활용한 지하주차장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의 동결방지 방법에 관한 실험적 연구를 통해 보다 경제적이고 실효성 있는 해결 방안과 대안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제안한다. 첫 번째 공기압축기와 자동배수밸브(Auto Drip Valve) 병합한 동결 방지 시스템 두 번째 외기 온도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공기압축기 및 자동배수밸브 설치 세 번째 차량 주 출입구의 외기온도 연동 방풍용 자동문(Quick Opening Door) 설치 네 번째 외기온도와 연동하는 열선 및 보온재 설치(전력비용 부담으로 선별적 설치) 본 연구를 수행하면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게 되었다. 동파방지를 위한 가장 완벽한 방법은 습식 스프링클러 시스템으로 하고 스프링클러 전 구간의 배관에 대하 여 열선과 보온재를 시공함이 최상의 방법이 될 수 있겠으나, 이 공법은 공사비와 설 비 운영 시 발생되는 전력비 등 많은 유지관리 비용 부담이라는 또 다른 문제점을 야 기 시키게 된다.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 2차 측 배관의 동결 가능성 및 취약성의 확인과 소화수 체류가 예상되는 배관은 가장 낮은 위치에 자동배수 밸브 설치, 배관 계통 중 가장 높은 위치에 공기 배출 및 공기 공급용 밸브의 설치, 프리액션밸브 2차 측 입상배관 및 수평 배관의 낮은 위치에 자동배수밸브의 설치, 굴곡부 하단에는 반 드시 배수용 앵글밸브 설치하고 앵글밸브는 조작이 용이한 높이까지 배관을 연장 설치하여 관리자가 쉽게 접근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건축 구조물 및 시설물 교 차구간 등 현장 여건상 불가피하게 발생되는 배관의 상하 간 굴곡부의 하단에는 반드시 배수용 밸브를 설치하도록 해야 한다. 가지배관 및 교차배관에는 굴곡부를 최소화하 고 화재 안전기준에서 제시하는 기울기를 준수하여 시공하도록 해야 한다. 필요시 화재 안전 기준 등 관계 기술기준을 개정 보완하여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 시스템의 동결 예방 에 대한 많은 관심과 더 많은 연구와 대책이 요구되고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 하지의족 착용 장애인을 위한 자석락 시스템 개발

        홍범기 인천대학교 공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31

        하지의족 착용 장애인을 위한 자석락 시스템 개발 기계공학과 : 홍범기 하지절단 장애인들이 일상생활 복귀를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다리의지(의족)을 착용해야 한다. 절단부와 의지를 연결해주는 연결시스템(소켓, 라이너, 락장치)은 절단부와 의지부분을 연결시켜주는 현수장치(Suspension)로서 보행뿐 아니라 일상생활 중에 가장 민감하게 느끼는 부분이다. 하지만 기존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소켓의 연결 말단부에 금속제 핀을 고정하여 소켓과 의지를 연결하는 락 장치인 핀락(pin lock) 방식은 기립자세에서 체중심을 잡기가 어렵고 장시간 보행에 핀 단면적 부위의 통증과 피로감이 발생으로 의지 착용자의 23%는 여전히 통증과 불편함을 호소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장시간 보행해도 통증 및 피로감을 줄일 수 있으며, 편리성을 갖춘 자석 타입 락 장치를 개발하여 핀 타입 락장치의 단점을 보안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자석락 자계해석을 통해 자석을 이용한 락장치의 자속, 자속밀도, 자속강도를 확인하여 자석을 이용한 현수장치 개발의 타당성을 확인하고1), 영구자석과 생크의 안정적인 결합력을 파악하는 시뮬레이션 해석2), 극성변환을 이용한 원활한 탈착과, 절단위치에 따른 결합력 및 자석의 선정3), 자석락용 실리콘 소켓 라이너 개발을 진행하였다4). 자석락 시스템 대한 주관적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신뢰성과 타당도가 검증된 의지 평가 설문(PEQ, Prosthesis Evaluation Questionnaire)를 이용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5) 핀락과 자석락의 궤적을 측정하기 위해 3차원 동작분석을 진행하였다.7)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실험과 평가를 통해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자석락 자계해석을 통해 자석을 이용한 락장치의 자속, 자속밀도, 자속강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1). 시뮬레이션 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석락 시스템의 최소 결합력을 도출할 수 있었다2). 실험을 통해 극성변환을 이용한 원활한 탈착범위를 도출할 수 있었다3). 3차원 동작분석 시스템을 이용하여 핀락과 자석락의 궤적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었다.

      • 시내버스 준공영제를 통한 운송관리 효율화 방안 연구

        안현진 인천대학교 공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31

        국내 버스 이용객 변화를 살펴보면 1990년을 정점으로 하여 감소 추세를 보이다가 2003년도를 저점으로, 2004년도부터 서울시 준공영제 시행과 버스노선체계 개편 등에 힘입어 다시 연평균 2.5%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현재 전국적으로 준공영제를 실시하고 있는 도시는 서울 등 7개 대도시이며 이들 도시의 준공영제 전후 비교한 결과 서비스 공급과 이용객 향상 등의 시행효과를 나타냈다. 인천시는 2009년 8월 수입금공동관리형태의 준공영제를 도입하였고 인천 버스회사에 대한 규모의 경제성 분석을 실시한 결과 서비스 공급과 수요 향상 측면에서 다소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준공영제는 노선개편과 서비스 개선으로 이용객이 증가하면 수입이 많아져 지자체의 재정지원이 감소할 것이라는 예측과는 다르게 재정지원금은 이전보다 약 1.3배에서 5.4배까지 증가하였다. 또한 운송수입 축소와 누수, 정부보조금 및 영업외 수입금 누락으로 운송수지 적자규모의 파악이 곤란하며 노선 인면허의 불합리, 버스의 재정지원제도 기준 미흡, 버스업자의 경영수지 개선 노력 회피라는 문제가 계속되고 있다. 그에 따른 효율적인 운송관리 정책방향은 과학적인 버스요금징수, 버스운행관리, 버스운송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적정수요 검토를 통한 합리적인 버스노선 운행계통을 정비하며 재정지원, 서비스 평가 등의 제도 정비라 할 수 있다. 향후 각종 버스 관련 통계자료 축적을 통해 준공영제에 의한 효율성과 효과성을 분석하는 세부적인 연구를 지속하여 시내버스 준공영제의 안정적인 정착과 지속적인 발전을 도모하여야 할 것이다. When we talk about the bus passengers, it was the highest peak the bus passengers in 1990 and it continually decreased until the lowest point in 2003. But it got started to increase about 2.5% since 2004, by modifying the system of urban bus routes and performing 'Bus Quasi-Public Operating System' in Seoul city. Currently there are 7 big cities including seoul where performing 'Bus Quasi-Public Operating System' and it was figured out that the system had good effects for providing services and increasing passenger. Incheon city has adopted 'Bus Quasi-Public Operating System', which is a kind of income co-management system in August 2009. And after that, they performed economies of scale analysis for incheon bus company, and it was slightly improved in terms of supply services and demand improvement. Even though they expected 'Bus Quasi-Public Operating System' to cause decreasing of financial support from community because of modifying the system of the bus routes and improving the bus service and increased passenger so increased income, the financial support has been increased 1.3∼5.4 times more than before. But still there are problems. The problems are, there are some decreased and hided transportation income and there is some deficit because there is no government subsidies and extra income. Also, there are some absurdity of recognized licenses, the standard for financial aid hasn't been confirmed and bus businessmen aren't willing to correct the management system. Therefore, the effective ways to solve these problem are, first we have to build bus fee collection system in scientific way, and construct the bus station management system and the bus transportation management system. Additionally, we need to improve reasonable bus routes system by reviewing the demand, and complete the financial support system and the service assessing system. Also, we have to keep studying detailed analysis of the efficency and effectiveness for urban bus quasi-public operating system with previously statistically accumulated bus data so that we can continually develop it and settle the system stably.

      • 고화재를 이용한 연약지반개량의 최적 혼합비 산정

        박수영 인천대학교 공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31

        고화재를 이용한 연약지반개량의 최적 혼합비 산정 이 연구는 지반개량의 한 방법으로 현장에서 사용하지 못하고 사토되는 점토에 대하여 고화재를 통해 지반을 안정화 시키고, 강도 개선 및 내구력을 증진시킴으로써 흙의 공학적 특성을 효율적으로 개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시험의 시료는 송도 지구의 해성연약점성토를 대상으로 현장 그대로의 자연함수비에 맞추어 고화재를 혼합하여 공시체를 제작하여 표준양생 하였다. 고화재 처리의 개선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단계별로 증량하여 고화재를 혼합하고 기본물성시험, 일축압축시험, 투수시험을 실시하였다. 점토에 소량의 고화재를 혼합하였을 때 압축강도의 개선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1, 3, 7, 14, 28일 양생 압축강도에 대하여 일축압축강도 시험을 하였다. 현장에서 고화재를 혼합한 후 단기간의 강도발현이 가장 중시되므로 1일 때의 강도가 가장 주요 관심사로 실험을 하였다. 1일 양생을 거친 고화재를 혼합하지 않은 점토의 일축압축강도는 3.22t/㎡이며, 1% 혼합했을 때는 8.41t/㎡, 3%혼합 했을 때에는 20.33t/㎡, 5%혼합하였을 때에는 29.10t/㎡, 7%혼합하였을 경우에는 50.75t/㎡, 9% 혼합하였을 경우에는 61.76t/㎡ 일축압축강도를 나타냈다. 또한 그 결과를 시범적으로 현장시험시공을 실시한 결과 점토 중량에 대한 고화재의 중량비 7%에서 압축강도가 완만히 증가하는 변곡점으로 나타났으며, 이 점을 경제적인 혼합비의 한계로 생각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고화재의 첨가량에 따른 투수 계수 시험을 하였다. 투수 계수는 고화재 함량에 따라 뚜렷이 감소하다가 고화재 혼합 중량비 5%에서 완만해 짐을 뚜렷이 나타났다. 현장에서 활용하지 못하고 사토되는 연약점토는 고화재를 혼합한 화학적 배합을 통해 강도를 개선시킴으로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고화재의 양에 따른 투수계수의 정도를 파악하여 최적 고화재 혼합비를 연구하여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시공방법으로서의 개선효과가 있다.

      • 사용종료 폐기물 매립장의 재활용을 위한 안정성 평가

        허 영 인천대학교 공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31

        근래에 들어 사용종료 된 매립시설은 인구밀집 지역과의 근접성, 부지개발에 따른 경제적 가치의 급등 등의 이유로 활용 가능한 새로운 건설부지로서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또한, 개발면적이 협소하고, 도시지역에서 개발대상지역의 확보 필요성이 절실한 우리나라의 경우, 도시 인접지역의 폐기물 매립장 재활용은 큰 의미를 갖는다. 폐기물 매립지반 위에 신규구조물을 축조할 경우, 구조물의 축조 전에 폐기물을 치환한다거나, 완벽하게 안정처리를 하여, 큰 문제가 없는 경우도 있으나, 특별한 안정처리 및 보강처리를 하지 않은 경우, 오염물질 확산, 기존 매립시설의 안정성, 신규구조물의 침하, 지지력 확보 등에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폐기물 매립지반 위에 구조물을 축조할 경우에는 폐기물 매립지반의 특성파악, 기존매립시설물의 안정성 확보, 예상침하량 산정, 구조물 기초지반 보강, 지반안정화 등에 대한 충분한 대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사용종료매립장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평판재하시험을 통하여 지지력을 평가하고 지반의 기초지반 및 노상, 노반의 지반반력계수를 구하였다. 사용종료매립지의 사면부 차수층의 안정성 해석을 위하여 Koerner (1992) 등이 제안한 한계 평형법을 이용하였고 구조적 안정성 확보 여부를 평가하기 위하여 사용종료매립장의 대표단면을 결정하여 범용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인 를 활용한 수치 해석을 수행 하였다. 수치해석을 통한 사용종료 매립장의 안정성 평가 결과, 기초지반, 매립제방, 최종 복토층의 지지력 등은 안정성을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지방자치단체가 주도하는 공공디자인 사업의 성과에 관한 연구 : 인천광역시 간판이 아름다운거리 조성사업 중심으로

        황유철 인천대학교 공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31

        거리에 버스정거장, 보행자 안전 펜스, 가로등, 보안등, 그리고 판매 부스까지 다양한 형태의 시설물들이 있다. 이러한 시설물들을 디자인 하는 것을 공공디자인 이라고 한다. 특히 공공디자인은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가 주도하는 경우가 대부분인 디자인 사업을 말한다. 이에 우리는 공공디자인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수용으로 보다 공익적 가치에 대한 올바른 대처와 수용을 통하여 더불어 바람직한 도시 환경을 형성 전개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현대 공공디자인은 새로운 경향인 주민참여라는 가치의 확대와 지속가능성의 중요성이 대두되기 시작했다. 이전 공공디자인 사업은 사업을 추진하는 지방자치단체가 일방적으로 주도하고 시행하였기 때문에 일반주민의 의견은 거의 반영되지 못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공공디자인 사업을 시행하여도 주민들이 사용하지 않고 유지 관리도 되지 않아 거리의 흉물로 전락하는 사례들이 늘어났다. 또한 전반적인 기본계획(Master Plan)하에 공공디자인 개선사업이 추진되지 않고 단편적이 사업들이 추진되는바 그 사업의 효과는 지속 가능하게 되지 않았다. 이러한 사례는 대표적 사업으로 1구1특화사업, 고가하부 개선사업, 경관형성사업등이 있다. 특히 관공서(공공기관)가 주도하는 간판이 아름다운거리 조성사업은 2008년부터 본격적인 시행을 하여 왔다. 이 기간동안 인천광역시는 각 구,군청을 중심으로 30여차례 인천 전역의 대도로 상권을 중심으로 간판 개선 사업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 무분별하고 대형 간판은 대부분 정비가 되었다. 하지만 얼마나 많은 시민들이 현재의 간판이 아름다운거리 조성사업에 대하여 만족하고 있는지와, 이 시범거리를 유지하고 있는지는 평가 되지 못하고 있다. 물론 인천광역시는 자체적으로 10개 구군에 매년 간판이 아름다운거리 조성사업을 포함한 다수의 공공디자인 개선 사업에 대하여 평가를 하고 있지만 행정적인 평가에만 머물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일반시민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실질적인 만족도를 평가하여 간판이 아름다운거리 조성사업의 발전방향과 거리 경관의 지속 가능성에 관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논문에서는 보다 다양한 사람들의 의견을 조사하여 간판이 아름다운거리 조성사업의 만족도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실질적인 공공디자인 개선사업에 성공적 수행을 추구하고자 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 가로주택정비사업의 사업시행 지연요인에 관한 연구 : 인천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영훈 인천대학교 공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31

        가로주택정비사업은 불량한 주거환경을 개선하면서 기존의 뉴타운사업과 같은 대규모 정비사업의 다양한 부작용을 개선하기 위한 대안사업으로 제시되었다. 가로주택정비사업은 기존의 도시공간을 해치지 않으면서 간소화된 절차로 신속하게 사업을 진행할 수 있다는데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실제 가로주택정비사업이 도입된 이후 사업실적은 매우 저조한 실정이고, 장점으로 주목받았던 신속한 사업추진 속도마저도 대부분의 정비구역에서 사업시행이 지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정비사업 대비 절차의 간소화가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사업시행이 늦어지고 있는 지연요인의 도출과 분석을 통해 가로주택정비사업이 신속하게 마무리되어 불량한 주거환경의 개선과 조합원들의 금전적ㆍ정신적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인천시 가로주택정비사업을 대상으로 사례분석과 심층면접을 통한 지연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가로주택정비사업의 사업시행 지연요인으로는 사업적 측면으로 저조한 시공사 참여율, 사업계획 변동, 까다로운 대출보증자격요건 등이 나타났고, 시행주체적 측면으로 조합원간의 갈등, 정비사업 관련 전문가 부재, 시행주체의 역량부족 등이 나타났으며, 제도적 측면으로 장기간의 공동시행 체결과정, 관련 가이드라인의 미비 등이 지연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개선방안으로는 지자체의 미분양분 선매입 방안과 가로주택정비사업 내 생활SOC 확충 시 재정지원 및 인센티브 적용을 통해 사업성을 보완하고, 중간지원조직의 외부 지원 및 조합원 내부적 역량강화를 통한 시행주체의 능력을 배양하며, 공동시행 체결 과정 단축을 위한 공공참여 공모사업의 확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조합설립 이전의 내용을 다루지 못한 점과 각 단계별 참여주체의 의견을 수렴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지만, 향후 가로주택정비사업을 추진하는데 있어 본 연구를 참고로 신속한 사업시행에 조금이나마 기여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Block-unit Housing Rearrangement Project It has been proposed as an alternative to improve poor residential conditions but also side effects of large-scale maintenance projects, such as New town project. block-unit housing rearrangement project has been noted that it be proceed quickly with simplified procedures without harming existing urban spaces. After implementing this project, however, It is revealed that result of project are not great as we expected plus implementation of business are being delayed at most of areas for maintenance. In another word, it lost its advantage of rapid spe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r both verifying factors that makes business be delayed despite procedure of maintenance projects has been simplified comparing with previous one and analyzing them so that we could make this project be done quickly. I believe it helps people by improving poor quality of housing environments and by minimizing financials and mental damages of union members. In order to carry out the purpose, I conducted analysis of factors that delay the implementation of the block-unit housing rearrangement project by studying and in-depth interviewing case of the Incheon block-unit housing rearrangement project. Factors that delayed the implementation of the block-unit housing rearrangement project included low participation rates of construction companies, changes in business plans, and demanding loan guarantee qualifications. In terms of implementation entities, conflicts among union members, the absence of experts related to maintenance projects, and the lack of capabilities of implementation entities were shown. In terms of the system, the long-term joint implementation process and the lack of related guidelines were found to be factors of delay. The improvement plans are proposed like following. Local governments may purchase unsold house in advance. Business feasibility could be supplemented via financial supports or incentives when living SOCs are expanded. Cultivating the ability of the implementing entity could be increased through external support from third parties and strengthening the internal capabilities of the members. Public offering business could be expanded to shorten the process of concluding joint implementation. In this study,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it failed to address the contents before the establishment of the union and failed to gather opinions from participating parties at each stage. But, In the future we hope to contribute a little to the rapid implementation of the project, referring to this research in promoting Block-unit Housing Rearrangement Project.

      • 청평댐의 수리학적 특성을 이용한 팔당원수의 냄새물질 발생예측

        최성우 인천대학교 공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31

        Recently, odor-producing compounds have been found originating from drinking water resources which flow into Bupyeong drinking water treatment plant, Incheon. Since it is tricky to predict the occurrence of these odorous materials before they come into the treatment plant, it has difficulty in removing those compounds, some of which were not removed and remained in drinking water. Consequently, it is very crucial to predict the occurrence of musty and earthy materials at drinking water treatment before the water is provided. To date, the occurrence of odor-producing materials, however, has entirely depended on "algae forecast system". Due to many shortcomings of this system such as difference between an intake place and a sampling place or experimental errors from analysts it cannot be an accurate indicator of the occurrence of odor-producing compounds. This study focused on 4 points based on geosmin from 2009 to 2011. Firstly, the occurrence trend of geosmin at Bupyeong drinking water treatment plant where Paldang Lake is the source of drinking water was investigated. In addition, when geosmin outbreak occurred, the status of water quality such as pH, temperature, the content of ammonium nitrogen, nitrate nitrogen, and biological oxygen demand was examined. Secondly, the occurrence trend of geosmin in Paldang Lake was investigated. Thirdly, when geosmin outbreak occurred, it was studied how hydraulic conditions such as rainfall, discharge flow, retention time, water temperature, ambient temperature of Cheongpyeong dam located in the upper part of Paldang dam could have an effect on the occurrence of geosmin outbreak using statistical anlaysis. Lastly, before and after geosmin outbreak occurred, the hydraulic conditions in Cheongpyeong dam were compared in order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causing geosmin outbreak. Three results were found in this study. Firstly, the occurrence of geosmin outbreak had correlation with the quantity of storage in dam, discharge flow, retention time of Paldang Lake and Cheongpyeong Lake using the statistical analysis. In regression analysis, change of water temperature in Paldang dam and retention time and change of ambient temperature in Cheongpyeong dam had an effect on the occurrence of geosmin outbreak in Paldang Lake. Secondly, the reason why geosmin outbreak did not occur in the summer of 2011 can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compared to the same period (April to June) from 2009 to 2010, the hydraulic conditions such as rainfall, discharge flow, retention time, water temperature, ambient temperature of Cheongpyeong dam were relatively unfavorable to the occurrence of geosmin outbreak. Thirdly, the reason why geosmin outbreak occurred in the winter of 2011 can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compared to the same period (September to November) from 2009 to 2010, the hydraulic conditions such as rainfall, discharge flow, retention time, water temperature, ambient temperature of Cheongpyeong dam were relatively favorable to the occurrence of geosmin outbreak. Prior to "algae forecast system", by analyzing the hydraulic conditions of Cheongpyeong dam beforehand and predicting the occurrence of geosmin outbreak in Paldang dam we can take preemptive measurement against odor-producing compounds. Accordingly, the high demand of high quality of tap water to which public health of people is related and about which we can come up to people's expectation can be stably produced. 최근에 정수장으로 유입되는 상수 원수에서 냄새 물질이 매년 발생하고 있으나, 상수 원수가 정수장으로 유입되기 전에 냄새 물질 발생에 대한 사전 예측이 어려워 초기에 발생한 냄새 물질이 적절한 정수 처리 공정을 거치지 못하고 수요처에 공급되는 등 냄새 물질 처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와 같이, 냄새 물질 발생에 대한 사전 예측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데 현재는 상수원의 냄새 물질 발생 여부를 거의 조류예보제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조류예보제는 실제 취수 위치와 시료채취 위치 간의 차이, 실험자에 따른 실험 오차 등으로 냄새 물질 발생의 정확한 지표가 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총 3년 동안 대표적 냄새물질인 지오스민을 중심으로 하여 첫째, 팔당호를 상수원으로 하는 인천광역시 부평정수장 유입 상수 원수의 지오스민 발생 추이 및 발생시 정수장 유입 상수 원수의 pH, 수온, 암모니아성질소, 질산성질소, BOD 등을 분석하였다. 둘째로는, 팔당호의 지오스민 발생 추이를 분석하였으며 셋째, 팔당호 내 지오스민 발생에 팔당댐 및 청평댐의 강수량·방류량·체류시간·수온·기온 등의 수리학적 조건이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 셋째로는, 지오스민의 발생 특성을 찾기 위하여 팔당호 내 지오스민 발생 직전, 청평댐의 강수량·방류량·체류시간·기온·수온 등의 수리학적 조건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팔당댐 및 청평댐의 수리학적 통계분석에서는 팔당댐과 청평댐에서 공통적으로 지오스민의 발생과 댐 저수량·방류량·체류시간이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회귀분석 결과, 팔당댐에서는 수온의 변동이, 청평댐에서는 체류시간과 기온의 변동이 팔당호의 지오스민 변동에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로는, 2011년 여름철 중 팔당호에서 지오스민이 발생하지 않은 원인의 분석 결과, 2009∼2010년의 같은 기간(4∼6월)과 비교하여 2011년이 청평댐의 강수량·방류량·체류시간·수온·기온 등의 수리학적 조건이 상대적으로 지오스민 발생 억제 조건에 더 부합하는 특징이 있었다. 셋째로는, 2011년에 겨울철 중 팔당호에서 지오스민이 발생했던 원인은 2009∼2010년의 같은 기간(9∼11월)과 비교하여 2011년이 청평댐의 강수량·방류량·체류시간·수온·기온 등의 수리학적 조건이 상대적으로 지오스민 발생 조건에 더 부합하는 특징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팔당호의 지오스민 발생은 청평댐의 수리학적 특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정수장에서는 조류예보 발령에 앞서 팔당댐 북측 직상류에 위치한 청평댐의 수리학적 조건을 사전에 분석하여 계절별 팔당호 내 지오스민의 발생을 예측함으로써 냄새물질에 대한 선제적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이를 통해 국민의 보건과 직결되고 국민의 높아진 기대 수준에 부응하는 고품질의 수돗물을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대학실험실 안전관리 현황 및 안전사고 분석을 통한 예방 효과 제고

        강주혁 인천대학교 공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에서는 서울 소재 OO대학의 2016년부터 2020년의 실험실 사고사례 192건을 전수 분석하여 연구 실험 등에 의한 사고의 유형을 일반화하고 전반적인 안전 사고 발생의 경향성을 도출하였다. 또한, 분석 결과와 실험실 안전사고에 대응한 기존의 정책 방향을 비교하여 안전 사고 예방 조치의 적정성을 판단하고자 하였다. 현재까지 실험실 안전관리는 실험실 안전관리 정책에 따른 일정한 분류 기준과 가이드라인에 의하여 일괄적으로 수행되었지만, 본 연구와 같이 실험실 안전사고 분석 결과에 기반한 귀납적인 정책 수립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나아가, 실험실 사고 특징을 고려한 세분화된 실험실 안전사고 관리 방안을 수립한다면 실험실 사고예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지난 5년 동안의 국내 최대 연구 대학의 연구실 안전사고 192건을 유형화하여 분석한 결과, 중점 관리 부문을 도출하였으며, 주요한 사고 예방 활동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정책 개선 방향을 제안할 수 있었다. 다양한 연구 활동 분야 중 화학분야의 “안전수칙 미준수와 누출”, 그리고 “취급부주의에 의한 접촉사고”, “화학 실험에 의한 누출사고와 이에 의한 화상 사고”가 중점 관리해야 할 실험실 사고 유형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유형에 속하는 연구실의 책임자는 「연구실 사전유해인자위험분석 실시에 관한 지침」에 따라 연구실 안전현황 분석, 연구개발 활동별 유해인자 위험분석, 연구실 안전계획, 비상조치계획 등을 수립하여 연구 활동 종사자들이 충분히 인지 할 수 있도록 조치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모든 연구실의 연구 활동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을 전공, 실험 유형 등에 따라 다양화하고, 특히 화학실험의 안전수칙, 취급방법, 누출 등과 관련된 교육을 중심으로 유사 계열의 연구실 사고 예방 교육을 증대하여 사고 발생을 억제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연구실 정기 점검을 통해 연구실의 모든 유해인자와 위험요소의 분석 및 평가를 실시하고, 연구 시설에 대한 결함 유무를 점검 후 그 결과에 따라 연구실 등급을 부여하고 등급별 개선조치 사항을 이행하여야 할 것이다. 이번 연구는 대학 연구실에서 발생된 안전사고의 결과를 분석하여 대학에서 실시하고 있는 연구실 안전관리 제도와 안전사고 예방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한 의의가 있었다. 더불어, 주기적인 결과 보고와 정보 공유를 위한 내부 활동 강화의 필요성을 확인한 계기가 되었다. In this study, 192 accident cases from 2016 to 2020 in university laboratory were completely investigated to generalize the types of accidents caused by research experiments and derive the overall tendency of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In addition, the analysis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existing policy directions with a view to judging the appropriateness of accident-prevention measures in lab. Laboratory safety management has been performed uniformly according to certain classification standards and guidelines based on laboratory safety management policies so far, but it can be possible to reestablish more effective policies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of laboratory safety accidents. Furthermore, if subdivided safety accident management plan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laboratory accidents are established, it can greatly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laboratory accidents. By analyzing laboratory accidents of the largest research university in Seoul, the types of priority management were derived, and major accident prevention activities were analyzed so that following policy improvement directions could be proposed. Among the fields of research activities, “non-compliance with safety rules and leakage”, “contact injury due to careless handling”, and “leakage accident due to chemical experiments and burn accidents” in the chemical field were identified as the types of laboratory accidents that must be intensively managed. Therefore, the persons responsible for these types of laboratories should carry out the analysis of the present condition of laboratory, the analysis of the risk of harmful factors by research activities. Moreover, they should establish laboratory safety plans, emergency action plans according to the 「Guidelines Regarding the Implementation of Prior Analysis of the Risk of Harmful Factors of Laboratories 」and make sure that those who engage in research activities sufficiently recognize these plans. Education programs for those who engage in research activities should be diversified according to their majors and experiments types. In particular, education on the prevention of accidents in similar laboratories should be expanded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accidents by focusing on education related to safety rules, handling methods, and leakage of chemical experiments. Finally, all harmful factors and risk elements of laboratories should be analyzed and evaluated through regular inspections of laboratories. And research facilities should be inspected to see if there are any defects to assign laboratory safety grades so that improvement measures by grade should be taken.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the results of accidents that occurred in university laboratories to verify the safety management systems being implemented by universitie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periodic reporting of results and strengthening internal activities for information sharing are essentially needed to prevent accidents in univer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