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전 서부 지역에 위치한 단일 병원에서 경험한 A형 간염의 임상상에 대한 연구

        최기영 을지의과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31

        <목적>A형 간염은 소아에서 자연감염으로 항체를 획득하여 성인에서는 별 문제가 되지 않았고 B형 간염이나 C형 간염에 비해 전염성은 강하지만 합병증이 거의 없고 만성화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만성 바이러스 보유자도 없고 치료 경과와 예후가 매우 좋다는 점 등으로 1990년대 후반까지 큰 관심을 끌지 못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경제성장과 위생, 환경 개선으로 1980년 20세 미만의 A형 간염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 보유율이 60%에서 1995년에는 9%로 현저히 낮아졌으며, 최근 2002년과 2003년에 걸쳐 대전 지역에서도 A형 간염의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다는 보고가 있었다. 이에 저자는 2003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대전 을지대학병원에서 경험한 급성 A형 간염으로 진단된 환자들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A형 간염의 역학과 임상 증상, 자연 경과, 또한 임상상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이번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2003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대전 을지대학병원에 입원하여 HAV-Ab IgM 양성으로 판명되어 급성 A형 간염으로 진단된 228명을 대상으로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대상 환자의 연령, 성별, 임상 증상, 전구 증상 및 기간, 검사실 소견, 합병증, 회복 기간, 간초음파 등 방사선학적 자료 등을 조사 하였다. <결과>대상 환자 228명 중 남자는 136명, 여자는 92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29.2±2.2세(3-95)였다. 연령대는 20대 98명(43.0%), 30대 86(37.7%)명으로 가장 많았다. 환자 수는 2006년도에 113명(49.6%)으로 가장 많았으며 월별로는 6월에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58명, 25.4%), 상당수가 5월부터 7월(121명, 53.0%)에 발생하였다. 환자 발생 지역으로는 대전 서구가 108명(47.4%)으로 가장 많았다. 전구 증상의 평균 기간은 6.25일이었고, 식욕부진(85.5%)과 황달(81.6%)이 가장 흔한 증상들이었다. 환자들의 평균 입원기간은 9.17일 이었고 사망환자 없이 모두 회복하였다. 혈청학적 검사실 소견 상 환자들의 입원 당시 평균 AST 1673 IU/L, T-Bilirubin 4.86 mg/dl, INR 1.22 이었다. HBsAg 항원 양성인 환자는 8명이었다. 2명은 anti-HCV는 음성이었으나, HCV RT-PCR은 양성인 환자와 anti-HCV 양성과 HCV RT-PCR 음성인 환자이었다. 혈청 생화학 검사의 정상화되기까지의 기간은 평균 23.5일이었고, 모든 환자는 합병증 소견을 보이지 않았으며 추적 관찰 기간 동안 재발성 간염 환자는 없었다. <결론>대전 지역에서도 1999년 이후로 A형 간염의 발생이 지속적으로 발생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A형 간염의 예방 접종의 적응대상에 대한 검토 및 고위험군 설정 등을 위한 국가적 차원의 임상 연구와 예방접종에 대한 비용-효과 분석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Background and Aims: There was an outbreak of hepatitis A in Daejeon city in the late of 1990`s. Recent reports since 2002 and 2003 indicate increased incidence of hepatitis A in Daejeon area. So the author proceeded to the investigation with single center hepatitis A cases analyzing epidemiology, clinical symptoms, natural evolution, and laboratorial results in this area. Methods: The author analyzed retrospectively the medical records of 228 patients admitted under the diagnosis of acute hepatitis A with positive results of HAV-Ab IgM since January of 2003 to December of 2006 in Eulji University Hospital. Result: from the 228 patients 136 were male and 92 were female, the average age was 29.2±2.2(3-95). The major incidence ranged between the 20 and 40 years old patients. The amount of the patients was greater during 2006 with 113 patients (47.6%), most of them between May and July (121 patients, 25.4%) being the most common June with 58 patients(25.4%). Most of the patients were from Seogu district of Daejon city with 108 patients (47.4%) came to our service during this period. The average time of premonitory symptoms period was 6.25 days, being the anorexia(85.5%) and jaundice (81.6%) the most common symptoms. The mean admission period was 9.17 days and there was no mortality. The mean laboratory values upon admission were AST 1673 IU/L, T-Bilirubin 4.86 mg/dl, and INR 1.22. The average period of liver function test (LFT) normalization was 23.5 days. Conclusion: Hepatitis A has recovered with no complications and no mortality, but incidence is increasing around 3rd and 4th decade in our study. So the author recommends further investigation about the determination high risk popul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target population for vaccination.

      • 로봇 팔 형 항법 장치의 실현성 연구 : 척추경 나사 삽입술을 위한 모델

        장현진 을지의과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박사

        RANK : 249615

        본 논문의 목적은 연구자가 개발한 로봇 팔 형 3차원 디지타이져를 이용한 항법 장치를 척추경 나사 삽입술에 적용시켜 봄으로써, 그 정확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4 가지 환자-영상간합 기법을 개발하였으며, 항행 시에는 로봇 팔의 지시침의 중심축과 첨부의 위치 및 중심축의 연장선을 전산화 단층 촬영 영상 및 다평면 재구성 영상과 3차원 재구성 영상 위에 중첩하여 보여주도록 하였다. 요천추부 플라스틱 뼈 모델을 이용하여 제작한 팬텀을 대상으로 핀 정합과 복합 경합의 정합 오차와 표적 지시 오차를 측정하였으며, 또한 요추에 18개의 척추경 나사를 삽입하였을 때의 정확도를 측정하였다. 정합 오차는 핀 정합 시 0.78±0.27 mm, 복합 정합 시 0.76±024 mm였고, 표적 지시 오차는 핀 정합 시 1.34±0.32 mm, 복합 정합 시 1.28±0.29 mm였다. 플라스틱 뼈 모델에 삽입한 18개의 나사 중, 척추경의 벽을 뚫고 나온 나사는 1개(6%)였다. 결론적으로 연구자가 고안한 로봇 팔 형 3차원 디지타이져를 이용한 항법장치는 척추경 나사 삽입용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was aimed at investigating a feasibility of robot arm-type navigation system for insertion of pedicle screws in spine surgery. A navigator system was developed using a 3D digitizer (MicroScribe 3-D G2, Immersion, USA) and personal computer. This system enabled the central axis of the robot arm's stylus and its extension to be displayed over multi-planar and 3D images, that were reconstructed from axial CT scan images, during navigation. Four types of patient-to-image registration techniques were implemented. The errors of registration and target localization of the navigation system, and the accuracy of insertion of 18 screws into the pedicle were investigated using a phantom, plastic bone model of lumbosacral spine. The registration error was 0.78±0.27 mm at fiducial registration and 0.76±0.24 mm at hybrid registration. The target localization error was 1.34±0.32 mm at fiducial registration and 1.28±0.29 mm at hybrid registration. Of the 18 screws inserted into the pedicle of lumbar spine, one (6%) screw was observed to breach the lateral wall of the pedide. It is concluded that our proposed robot arm-type 3D digitizer-based navigation system is efficacious in the use of pedicle screw insertion.

      • Study on cell cycle regulatory genes specifically expressed in Kaposi's sarcoma associated herpesvirus infected Human Umbilical Venous Endothelial Cells : 카포시육종연관헤르페스바이러스(KSHV)에 감염된 사람 제대정맥 혈관내막세포(HUVEC) 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

        서정혁 을지의과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박사

        RANK : 249615

        카포시육종바이러스(Kaposi'a sarcoma associated herpesvirus, KSHV)는 사람면역결핍바이러스(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에 감염된 환자에서 카포시육종(Kaposi's sarcom, KS)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알려진 헤르페스바이러스의 하나로 카포시육종 뿐만 아니라 Primary effusion lymphoma (PEL), Multicentric Castleman's disease 등 종양성 질환의 원인 인자로도 알려져 있는 비교적 최근에 발견된 바이러스이다. 이 바이러스는 헤르페스 바이러스의 하나로 인체에서 잠복감염과 붕괴감염을 일으킬 수 있으며, 다양한 유전자를 숙주세포로부터 획득하여 숙주세포의 유전자와 유사한 상동 유전자를 가지고 있으며, 이 들 유전자들은 숙주세포에서 면역기능, 세포능동괴사, 세포주기 조절 등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전자들과 매우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처럼 바이러스가 획득하고 있는 유전자들은 바이러스가 숙주세포에 침입하여 감염을 일으킬 때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카포시육종바이러스 감염의 특징은 혈관내막세포를 침범하여 만성적인 염증성 병변을 유발하며, 실질장기나 결체조직을 침범하며, 만성화 경과의 하나로 악성종양으로의 형질전환을 유발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카포시육종바이러스 병태생리의 연구는 바이러스 자체의 병태생리에 대한 귀중한 정보를 공급할 뿐만 아니라, 인체 내에서 종양발생의 기전을 탐구하는데 소중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모델이다. 일반적인 종양세포의 특징은 세포주기조절의 엄격한 통제를 회피하여 구속없는 세포의 증식이 계속된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카포시육종바이러스 감염이 숙주세포에 침범할 경우, 종양세포에서 관찰되는 것과 유사한 소견을 나타냄을 제시하였으며, 이러한 세포 증식이 바이러스가 보유한 유전자 또는 바이러스에 의해 유도된 숙주세포 보유 유전자의 이상 조절에 의한 것임을 밝히고자 바이러스 유전자 및 이에 의해 유도되는 숙주세포의 유전자 중 세포주기 조절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대상으로 바이러스 감염 시 이러한 유전자의 발현 양상을 조사하고 그 상호작용을 관찰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카포시육종바이러스가 보유하고 있는 vCYC D의 발현은 숙주세포의 G1/S 변환을 촉진하고, 숙주세포의 유전자 중 G2/M 변환을 촉진하는 유전자들이 의미 있게 억제되며, 이러한 변화의 결과로 많은 세포들이 S 주기에 정체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조절은 물론 바이러스의 효과적인 증식을 위해 유도된 반응이겠지만, 이의 부작용으로 숙주세포는 세포주기조절 기능을 상실하게 되고, 이에 따라 숙주세포가 종양세포로 형질전환될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는 상황에 처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종양바이러스가 어떠한 기전으로 숙주세포에서 종양을 유발하는 가를 밝히는데 귀중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aposi's sarcoma associated herpesvirus (KSHV) is a relatively recently found herpesvirus that causes Kaposi's sarcoma in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infected patients. KSHV is also known as a causative pathogen involved Primary effusion lymphoma (PEL) and multicentric Castleman's disease (MCD). KSHV is subdivided into gamma-herpesvirus and it infects human and causes lytic and latent infection. In the KSHV genome, several cellular homologous genes, a.k.a. pirated genes, were found and these genes are believed to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pathogenesis. The function of these genes are usually related to immune modulation, apoptosis, and cell cycle control.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KSHV infection are KSHV infects endothelial cells and causes chronic inflammatory lestions, and finally causes a malignant transformation of infected cells. Therefore, study the pathogenesis of KSHV could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s about viral pathogenesis itself and oncogenesis. General feature of cancer cell are escape from strict cell cycle control and unlimited proliferation of cells. In this study, I tried to prove the KSHV infection induces similar phenotypic and molecular phenomenons in infected cells and cell cycle regulatory genes were specifically modulated by KSHV infection. The viral cyclin vCYC D has been expressed in the early stage of infection, and this can cause G1/S progression of host cells. Down-regulated G2/M progression related host gen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blockade of G2/M phase progression. As a result, many cells are stacked up at S phases and this could be helpful for the viral replication and side effect of these reaction is loss of control in cell cycle regulation. This result could provide very important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the pathogenesis of tumor development by oncogenic viruses.

      • 순목과 안검외형에 따른 RGP 콘택트렌즈의 움직임

        김대현 을지의과대학교 보건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15

        순목과 안검외형이 RGP 콘택트렌즈의 움직임과 안정위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안검외형의 주요각 및 순목 속도를 측정하였다. 순목 속도는 눈을 감는 방향과 뜨는 방향에 대하여 평균속도, 최대속도 및 최대가속도로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성인 남여 47명(94안)을 대상으로 굴절이상도, 각막곡률반경, 초당 순목횟수, 상안검 장력과 두께 및 안축장을 측정하였다. 안검외형의 주요 각은 디지털카메라로 촬영하고, 순목 후 렌즈 움직임은 apical clearance 피팅상태를 보인 25명을 대상으로 초고속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렌즈 움직임은 일반렌즈 및 이와 변수가 동일하지만 광학부 경계부에 직경 100㎛ 정도의 3개의 구멍을 뚫은 천공렌즈를 비교하였다. 상안검의 순목 평균속도와 렌즈 움직임의 양은 일반 렌즈와 천공 렌즈 모두 상관성이 없었고(일반렌즈: r=-0.109, p=0.456; 천공렌즈: r=-0.194, p=0.182), 렌즈 움직임의 양은 순목속도가 느린 집단과 빠른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일반렌즈: t=-0.526; p=0.601; 천공렌즈: t=0.693, p=0.492), 순목 평균속도와 순목 후 안정위치로 복귀속도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일반렌즈: r=0.586, p<0.001; 천공렌즈: r= 0.504, p<0.001), 순목속도가 느린 집단과 빠른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일반렌즈: t=-3.356, p=0.002; 천공렌즈: t =-3.154, p=0.003). 일반렌즈와 천공렌즈에서 움직임의 양은 차이가 없었으나(t=-0.141, p=0.888), 안정위치로 되돌아오는 속도는 일반렌즈가 더 빨랐다(t=3.264, p=0.002). 순목 평균속도와 렌즈의 회전량은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고(r=0.181, p=0.213), 상안검의 장력과 두께 역시 렌즈의 움직임(양, 복귀속도, 회전)과 상관성이 없었다(p>0.05). 안검외형의 주요 각 중 일부(Ø1, Ø4, Ø5)는 렌즈 움직임의 양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r>0.4, p<0.05), 모든 각(Ø1 ~ Ø6)과 렌즈의 복귀속도 및 회전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다(r<0.2, p>0.05). 일부 각(Ø1 및 Ø4)은 정적검열높이 및 BAV-30(30회 연속 순목시 평균속도)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r>0.5, p<0.001). 검열높이, 검열폭, 안검외형의 주요 각 중 일부 각, 안검두께는 성별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연령과 각막난시도 및 BAV-30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각막곡률반경과 BAV-30 역시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r=0.404, p<0.001). 연구 결과를 토대로 렌즈 움직임과 관련된 변수의 세부적인 조사와 상관성 유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이론적인 접근 및 임상적인 증명이 추후에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information, correlation of subject parameters and RGP contact lens movements through the measurement of eyelid contour.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lens movements related RGP contact lens fitting, so this study focused to understand lens movements relation to blinking velocity and the principal angles in the eyelid contour. Blinking velocity was divided into blinking average velocity, maximum velocity, maximum acceleration to direction (upward and downward). With 47 subjects(94 eyes), we measured the refractive error, the radius of cornea curvature, the number of blinking times per second, the axial length and the thickness of upper-lid. And we evaluated the upper-lid tension. Also we took two types of photograph, the principal angles in the eyelid contour and the contact lens movements after blinking. Blinking average velocity of upper lid and lens movement amount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Standard contact lens : p=0.456, Fenestrate contact lens : p=0.182). It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means of low velocity sample and high velocity sample related blinking average velocity(Standard contact lens : p=0.601, Fenestrate contact lens : p=0.492). But the blinking average velocity and lens reorientation velocity after blinking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tandard contact lens : r=0.586, p=0.000, Fenestrate contact lens : r=0.504, p=0.000). Mean difference of reorientation velocity between low and high groups in blinking average velocity was significant(Standard contact lens : p=0.002, Fenestrate contact lens : p=0.003). It had no statistically different means of lens movement amount in standard and fenestrate contact lens(t=-0.141, p=0.888). But, for lens reorientation velocity, reorientation velocity of standard contact lens was faster than fenestrate contact lens statistically(t=3.264, p=0.002). Blinking average velocity had not correlation with lens rotation (p=0.213) and tension and thickness of upper-lid also had a little influence on lens movements(movement amount, reorientation velocity, rotation)(p>0.05), but it did not validate statistically. Also it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of parts of the principal angles(Ø1, Ø4, Ø5) in the eyelid contour and lens movement amount(r > 0.4, p<0.05), and no significant correlation of all angles(Ø1~Ø6) in the eyelid contour and lens reorientation velocity, rotation(r<0.2, p>0.05). Some angles(Ø1, Ø4)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tatic palpebral height, BAV-30(r >0.5, p=0.000). It had difference with palpebral height, palpebral width, some angles in the eyelid contour and thickness of upper-lid, but no difference with blinking average velocity, tension of upper-lid and axial length in distinction of sex groups. In proportion to age, corneal astigmatism has increased but BAV-30 decreased. And the result showed correlation between the radius of corneal curvature and BAV-30(r=0.404, p=0.000). As mentioned above, this study is considerably used to evaluate contact lens movements related to blinking and lid contour and to make some basic information that the upper-lid has an effect on contact lens fitting.

      • 척추수술 환자와 간호사가 인식하는 간호요구도 비교

        정지영 을지의과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15

        최근 개인의 생활수준 및 교육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요구가 높아지게 되었고 동시에 높은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요구도 높아지게 되었다. 인간의 요구는 복잡하고 미묘하여 같은 질병의 환자들이라 할지라도 요구가 달라서, 전문인으로서의 간호사가 필요하다고 보는 내용이라도 환자나 가족이 원하는 요구가 아닐 수 있으므로 환자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 문화적 요소를 포함하여 요구를 파악해야 하며, 이러한 환자의 간호 요구는 간호 수행을 결정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에 본 연구는 척추 수술 환자를 대상으로 시기별, 영역별 간호요구도와 간호사의 간호요구도를 파악하여 대상자의 요구에 맞는 적절한 간호를 계획하고 수행함으로써 간호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를 시도하였다. 2006년 9월18일부터 11월17일까지 2개월간 대전 소재 3개 종합병원 척추센터에서 척추 수술을 받기 위해 입원한 환자 71명을 대상으로 수술 전, 수술 후, 퇴원 시의 시기에 따라 교육적, 치료·중재적, 신체적, 사회·심리적 영역으로 나누어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간호사에게도 동일 문항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도구는 최미경(2000)이 선행연구를 토대로 하여 개발한 구조화된 설문지와 서봉화(2000), 임삼영(2002)의 도구를 참조하여 수정 보완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환자와 간호사가 인식한 간호요구도 차이를 비교한 결과 수술 전 간호 영역에서 환자가 인식한 간호요구도는 총 평균평점 4.05점으로 나타났고, 간호사가 인식한 간호요구도는 4.25점으로 수술 전 간호요구도에서 환자와 간호사의 인식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p=.013). 영역별 요구도 차이를 보면, 교육적 영역에서 간호사(4.59)가 환자(4.35)보다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4). 영역별 순위를 살펴보면, 환자는 교육적 영역(4.35), 신체적 영역(4.13), 치료·중재적 영역(4.13), 사회·심리적 영역(3.66) 순이었고, 간호사는 교육적 영역(4.59), 치료·중재적 영역(4.38), 신체적 영역(4.27), 사회·심리적 영역(3.81) 순으로 차이가 있었다. 2) 척추 수술 후 영역별 순위에서 보면 환자는 사회·심리적 영역(4.48), 치료·중재적 영역(4.38), 교육적 영역(4.29), 신체적 영역(4.16) 순이었고, 간호사는 사회·심리적 영역(4.27), 교육적 영역(4.40), 치료·중재적 영역(4.35), 신체적 영역(4.27) 순으로 차이를 보였다. 3) 퇴원 시 간호의 영역별 순위에서는 환자와 간호사 모두 교육적 영역, 치료·중재적 영역, 사회·심리적 영역, 신체적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척추수술 환자와 간호사가 인식한 간호요구도는 시기별, 영역별로 차이가 있으므로 정기적으로 척추수술 환자의 간호요구도를 조사하여 변화하는 간호요구에 즉각적으로 대처할 필요가 있다. 그리하여 대상자의 요구에 맞는 적절한 간호를 제공함으로써 간호의 질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as people’s standards for life and education have been enhanced, demand in the quality of life is also increased along with the need of quality medical services. With complex and delicate human needs, a patient group with the same disease could have different needs. Even though what nurses, as a health professional, acknowledge as needed for patients could be different from what patents and their family really call for. As a result, they need to grasp with what patient’s physical, psychological, social and cultural needs are, and the nursing requirements acknowledged from the efforts will contribute to the decision making about nursing care. This study, in the subjects of spine surgery patients, was attempted to plan and implement appropriate nursing care and provide primary data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nursing care, identifying nursing requirements according to periods and areas between the patients and their nurs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71 spine surgery patients who admitted to three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Daejeon city for two months from September 18 to November 17. For them, a questionnaire survey was done divided into educational area, therapeutic and interventional area, physical area, social and psychological area according to time periods of pre-op, post-op, and at discharge. Data were collected from nurses by using the same questionnaire. A scale for this study was a questionnaire corrected and revised from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developed by Choi Mi Kyeong (2000)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the scale developed by Seo Bong Hwa (2000) and Im Sam‐Yeong (2002).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 statistic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In differences in the acknowledgment of pre‐op nursing requirements between the patients and the nurses, the score of the patients’ nursing requirements was mean 4.05 points, and the nurses’ score was 4.25 points so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cknowledgment of pre‐op nursing requirements between the patients and the nurses (p=.013). In differences in the acknowledgment of nursing requirements according to areas, the nurses resulted in higher score (4.59) than that (4.35) of the patients in educational area,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004). In differences in the order of nursing requirements according to areas, the patients showed the highest requirement in educational area (4.35), followed by physical area (4.13), therapeutic and interventional area (4.13), and social and psychological area (3.66), while the nurses showed the highest requirement in educational area (4.59), therapeutic and interventional (4.38), physical (4.27), and social and psychological area (3.81). 2) In differences in the order of post‐op nursing requirements according to areas, the patients showed the highest requirement in social and psychological area (4.48), followed by therapeutic and interventional (4.38), educational area (4.29), and physical area (4.16), while the nurses showed the highest requirement in social and psychological area (4.27), educational (4.40), therapeutic and interventional (4.35), and physical area (4.27). 3) In differences in the order of nursing requirements at discharge according to areas, both the patients and the nurses showed the highest requirement in educational area, followed by therapeutic and interventional area, and social and psychological area, and physical area. In conclusion, a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cknowledgement of nursing requirements between spine surgery patients and their nurses according to periods and areas, it needs to identify what patients’ nursing requirements are periodically in order to take immediate measures, and this effort will help improving the quality of nursing care through providing an appropriate nursing care.

      • 관동맥 좌전하행지를 침범한 허혈성 심질환에서 심초음파 상 수축기후 단축 양상

        남효정 을지의과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15

        목적 심근수축기 후 단축(postsystolic shortening)은 심근허혈 분절의 병리적인 지표로 여겨져 왔으나 정상인에서도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정상과 관동맥질환이 있는 환자를 구분하는데 심근수축기 후단축의 유용성을 알바보고자 하였다. 방법 정상대조군 18명, 급성관상동맥증후군 22명(불안정형 협심증 14명, 급성심근경색증 8명)과 반흔이 있는 진구성 심근경색증 환자 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칼라도플러 심근영상과 조직속도영상을 이용하여 장축 변형을 측정하였다. 각 분절마다 스트레인 레이트(strain rate(SR)), 스트레인(strain(ε))과 조직속도를 분석 비교하였고 모든 환자군은 좌전하행지의 관상동맥 75%이상 협착이 있으며 측부 순환이 없는 군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정상군에서 총 102개의 분절 중 13개에서(13%) 심근수축기 후 단축이 보였으며, 수축기 시 평균 SR 최고값은 -1.22/sec, strain 평균값을 -19.61%이였다. 질환군에서 수축기 strain 최고값과 SR은 현저히 감소하였고 심근수축기 후 단축은 정상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더 많이 보였으며 (불안정형 협심증 32%, 급성심근경색증 55%, 진구성반흔이 있는 심근경색증 77%) 심근수축기 후 단축의 최고치에 이르는 시간은 정상대조군에 비해 더 늦게 나타났다. (정상 63msec, 불안정형 협심증 73msec, 급성심근경색증 83msec, 진구성반흔 심근경색증 72msec) 결론 심근수축기 후 단축은 허혈 심근분절에 의한 심근기능이상의 지표로 여겨져 왔으나, 정상에서도 13%정도에서 나타남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심근수축기 후 단축의 이상소견은 수축기 strain의 감소, 수축기후 strain의 증가, 수축기후 strain이 정점에 미르는 시간의 지연 등이 공존할 때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Myocardial postsystolic shortening(PSS) which is considered a pathologic marker of segmental myocardial ischemia, can also occur in normal subjects. This study, therefore, was done to find the usefulness of PSS in distinguishing normal subjects from diseases. Methods In 18 normal control subjects, 22 patients with acute coronary syndrome (unstable angina(UA) 14 patients, acute myocardial infarction(AMI) 8 patients) and 8 patients with scarred old myocardial infarction(OMI), longitudinal myocardial deformation was measured with color Doppler myocardial imaging(CDMI) and tissue velocity imaging(TVI). Segmental strain rate(SR), strain(ε), tissue velocity were quantitatively analyzed and compared. All of the cases of acute coronary syndrome and old myocardial infarction had only above 75% stenosis at left anterior descending coronary artery(LAD). Results In normal subjects, PSS was found in 13 of 102 segments. (13%) During ejection time, mean peak SR was -1.22/sec and mean strain was -19.61%. In diseased groups, both peak systolic strain and SR were significantly reduced and PSS occured significantly more often (32%in unstable angina, 55% in AMI and 77% in old scarred MI respectively) and there was a tendency to occur its peak later than normal control subject (63.25msec in normal, 73msec in UA, 83msec in AMI, 72msec in OMI respectively). Conclusion Even though PSS is considered a marker of myocardial dysfunction due to segmental myocardial ischemia, also visualized in healthy subjects occurring in approximately 13% of myocardial segments. Pathologic PSS can be defined by coexisting reduction in systolic strain, increasing a postsystolic strain magnitude abnormally and delay of occurrence of peak postsystolic strain.

      • Effects of DcR3 on the apoptosis in Kaposi's Sarcoma associated Herpesvirus infected human endothelial Cells : 카포시육종연관헤르페스바이러스(KSHV)에 감염된 사람 제대정맥 혈관내막상피세포(HUVEC)에서 DcR3 발현이 세포능동괴사(apoptosis)에 미치는 영향

        이덕기 을지의과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박사

        RANK : 249615

        카포시육종 연관 헤르페스 바이러스 (Kaposi's sarcoma-associated herpesvirus, KSHV)는 사람면역결핍바이러스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감염자에서 카포시 육종(Kaposi's sarcoma, KS)을 유발하는 헤르페스바이러스의 하나이다. KS 병소의 주된 구성세포는 혈관내막세포이며, 혈관내막세포에서 에피좀(episome)형태의 KSHV 유전자를 관찰할 수 있다. 바이러스 감염이나 종양 발생을 방지하는 인체의 중요한 방어기전의 하나는 세포독성 T 세포 (Cytotoxic T lymphocyte, CTL) 또는 자연살해세포 (Natural Killer Cell, NK cell)이 매개하는 Fas-FasL 매개 세포능동괴사(apoptosis)이다. 정상적으로 혈관내막세포는 다량의 Fas를 발현하고 있기 때문에,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하여 유발되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에 따라 Fas 또는 FasL의 발현이 촉진되고, 이는 곧 감염된 세포의 세포능동괴사로 이어진다. 바이러스는 이러한 기전을 회피할 수 있는 수단을 획득하고 있어야 한다. 본 실험에서는 FasL와 결합하여 Fas-FasL 매개 세포능동괴사를 억제할 수 있는 DcR3의 발현 여부와 그 작용기전을 KSHV가 감염된 HUVEC 세포에서 조사하였으며, 감염 초기에 다량의 DcR3가 발현되고, DcR3에 대한 항체를 동시 투여하였을 때, FasL에 의한 세포능동괴사가 촉진됨을 관찰하였다. 결론적으로 바이러스 감염 초기 DcR3의 발현은 FasL에 의한 세포능동괴사를 효과적으로 방어하는 바이러스의 주요 회피기전이며, DcR3만으로는 완전한 방어효과를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HIV 감염에 따른 면역기능의 억제가 KSHV에 의한 KS 발생의 선행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Kaposi's sarcoma associated herpesvirus (KSHV) is a relatively recently found herpesvirus that causes Kaposi's sarcoma in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infected patients. KSHV is also known as a causative pathogen involved Primary effusion lymphoma (PEL) and multicentric Castleman's disease (MCD). KSHV is subdivided into gamma-herpesvirus and it infects human and causes lytic and latent infection. An important protective mechanism of human body against virus-infection and tumor development is Fas-FasL mediated apoptosis evoked by cytotoxic T cells and Natural Killer cells. Normally, endothelial cells express Fas on their cell surface, and viral infection can evoke Fas-mediated apoptosis. DcR3 is a decoy receptor for FasL and the binding of DcR3 to FasL is preventing Fas-mediated apoptosis. KSHV induced early and sustained expression of DcR3 and anti-DcR3 antibody treatment induced apoptosis of KSHV infected HUVECs.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expression of DcR3 plays an important role for preventing apoptosis induced by Fas-FasL mediated apoptosis, and guarantee successful establishment of KSHV infection and maintenance of infection status. And the protection by DcR3 may be not complete, soimmuno-compromization of host by HIV infection could be an essential preceding condition for KS development in vivo.

      • Pseudomonas Aeruginosa 감염창상에 사용되는 국소제제들의 항균효과 및 창상치유 효과의 비교

        민경희 을지의과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15

        목적 : 화상 및 만성 창상 감염의 주요 원인 균주인 Pseudomonas aeruginosa는 내성이 강하여 치료가 쉽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Pseudo- monas aeruginosa 감염 창상의 치료에 사용되는 국소제제들의 항균효과및 창상치유 효과를 쥐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마리 생쥐의 배부에 전층 피부결손창을 유발한 후 Pseudomonas aeruginosa를 창상에 점적하고 24시간 후에 비처치군, Betadine 처치군, 2 % Gentamicin 용액 처치군, Acetic acid 처치군 등 4 군으로 나누어 처치하고 이틀 뒤에 같은 방법으로 처치하였다. 창상유발 후 1일째, 3일째 그리고 7일째 창상의 면적을 측정하였으며, 창상유발 후 3일째와 7일째 창상조직의 세균 배양을 시행하였다. 그리고 창상유발 후 7일째 창상의 조직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 모든 군에서 창상 면적의 감소를 보였으나 서로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비처치군에 비해 모든 군에서 항균효과를 보였으나 Gentamicin 용액 처치군에서만 비처치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조직검사 결과 비처치군에 비해 처치군들에서 좋은 창상 치유 소견을 보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육아조직의 형성에서 Betadine 처치군이 비처치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된 소견을 보였다. 결론 : Gentamicin 용액을 이용한 방법이 Pseudomonas aeruginosa 감염 창상에서 전반적으로 좋은 치료 결과를 보였다. 이런 동물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국소제제로서 Gentamicin 용액을 임상에 적용하기 위해서 임상실험을 통해 Pseudomonas aeruginosa 감염 창상에 대한 Gentamicin 용액의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며 임상 적용 시 약물의 적정 농도를 정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Purpose : Pseudomonas aeruginosa is etiologic agent in serious infection in burned or chronic wound. The treatment of Pseudomonas aeruginosa infections is problematic because this organism is resistant to many antimicrobial drug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bactericidal effect of commonly used topical agents and their effect on wound healing. Subject and Method : Pseudomonas aeruginosa infected full-thickness skin defect on the mouse was used to compare 3 commonly used topical agents - Betadine, 2% Gentamicin solution and 0.3% Acetic acid - with the control group. Wound size change, bacterial colony counts and histologic findings of each groups were analyzed. Result : The wound size decreased in all treated groups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Gentamicin solution treated group was showed the lowest bacterial colony count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bactericidal effect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p=0.032). Other treated groups were also effective against Pseudomonas aeruginosa, but not different statistically. Histologic findings revealed that epithelialization, granulation tissue formation and microvessel proliferation were increased and necrosis and inflammation were decreased in all treated group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adine treated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granulation tissue forma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p=0.041). Conclusion : There is no single universal topical agent that enhances most aspects of wound healing while spontaneously decreasing the bacterial concentration. However, Gentamicin solution may be an optimal topical agent for Pseudomonas aeruginosa infected wound. Further study should experiment on human with Gentamicin solution to confirm a effect on Pseudomonas aeruginosa infected wound for clinical applications.

      • 변배출곤란을 동반한 치질환자에서 치질절제술후 증상과 내압의 변화

        방승호 을지의과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15

        치질환자에서 변배출곤란의 증상이 동반된 환자를 흔히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치질절제술후 이러한 증상이 호전되나 수술후에도 호전되지 않는 환자를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변배출곤란의 증상이 동반된 치질환자에서 치질절제술전후 휴지기압과 수축기압 등의 내압검사인자와 변배출곤란 증상의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를 분석하여 치질절제술시 항문내괄약근절개술을 추가하는 것이 필요한제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2년 9월부터 2004년 3월까지 을지대학병원 외과 대장항문병클리닉에서 치질로 수술받은 환자 중 변배출곤란이 동반된 환자 25예와 변배출곤란의 증상이 없는 대조군 13예를 대상으로 수술전과 수술후 약 2개월에 항문내압검사를 시행하였다. 변배출곤란이 동반된 환자군은 25예 전예 수술전후 내압검사가 가능하였으나, 변배출곤란이 동반되지 않은 환자군 13예에서는 수술전에는 모두 내압검사를 시행하였으나 수술후에는 6예만 검사가 가능하였다. 변배출곤란은 변이 직장 내에 차 있는 것을 느끼지만 배변을 시도해도 변이 제대로 배출되지 않는 증상으로 정의하였다. 항문 내압검사는 manometry (Polygraf ID, Medtronic, Tonsbakken, Skovlunde, Denmark)를 사용하였다. 치질환자에서 변배출곤란이 동반된 환자군 25예와 변배출곤란이 동반되지 않았던 환자군 13예의 비교에서 남녀성비, 배변빈도, 배현시간의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P<0.05). 치질환자에서 변배출곤란이 동반된 환자군의 수술전후의 비교에서 배변빈도는 수술전에 비해 수술후에 현저히 증가되었고(P<0.05), 배변시간은 수술전에 비해 수술후 현저히 감소되었다(P<0.05). 변배출곤란이 동반된 25예에서 치질절제술후 21예는 변배출곤란의 증상이 없어졌고, 4예는 변배출곤란의 증상이 남아 있었지만 많은 호전을 보였다(P<0.05). 변배출곤란이 동반된 환자의 수술전후 항문내압 검사인자의 비교에서 휴지기압, 최대휴지기압, 최대수축기압은 현저한 감소를 보였고(P<0.05), 고압대길이는 현저한 증가를 보였지만(P<0.05) 수축기압, 괄약근길이, 직장항문억제반사, 초기지각용적과 이때 측정한 풍선압과 직장압, 역치지각용적과 이때 측정한 풍선압과 직장압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변배출곤란이 동반된 치질환자에서 치질절제술후 휴지기합의 현저한 감소와 함께 변배출곤란의 증상이 호전되어 변배출곤란에 대한 항문내괄약근절개술은 시행하지 않아도 될 것으로 여겨진다. Hemorrhoids occurs as the result of abnormalities in the connective tissue of anal cushions that produce bleeding and prolapse with or without difficulty in evacuation. Following hemorrhoidectomy, the symptoms of difficulty in evacuation generally have been subsided. However, some patients have the symptoms after hemorrhoidectom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needs of adjunctive internal sphincterotomy based on the evaluation of changes of symptoms and manometric results after hemorrhoidectomy for hemorrhoids with difficulty in evacuation. Twenty-five hemorrhoids with difficulty in evacuation and thirteen hemorrhoids without difficulty in evacuation were assessed pre- and post-operatively in respect to symptoms of difficulty in evacuation and manometric results. The definition of difficulty in evacuation is the cases of evacuation is difficult although patients can feel feces filled in the rectum and are trying to evacuate.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sex ratio, frequency of bowel movement, and duration of bowel movement between twenty-five hemorrhoids with difficulty in evacuation and thirteen hemorrhoids without difficulty in evacuation (P<0.05). In hemorrhoids with difficulty in evacuation, the frequency of bowel movement is significantly increased postoperatively (P<0.05) and duration of bowel movement is significantly decreased postoperatively (P<0.05). In twenty-five hemorrhoids with difficulty in evacuation, the symptoms of difficulty in evacuation were disappeared in 21 patients, and remained in 4 patients, however, improved postoperatively (P<0.05). In hemorrhoids with difficulty in evacuation, the mean resting pressure, maximum resting pressure, and maximum squeezing pressur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postoperatively (P<0.05) and the length of high pressure zone is significantly increased postoperatively (P<0.05). In conclusion, adjunctive internal sphincterotomy is not necessary for hemorrhoids with difficulty in evacuation because the resting pressure i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the symptoms of difficulty in evacuation are nearly subsided postoperatively.

      • Visual Display Unit 사용을 위한 중근용 누진 가입도 렌즈의 성능평가

        김학준 을지의과대학교 보건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15

        본 연구는 노안교정이 요구되는 사람이 Visual Display Unit를 사용할 때 느끼는 Computer Vision Syndrome에 대해 알아보고, 누진 가입도 안경이나 근용 단초점 안경을 사용하다가 중근용 누진 가입도 렌즈로 바꾸었을 때 증상의 변화 및 만족도의 개선 여부를 평가하고자 한다. 서울보건대학에 근무하는 교직원 가운데 본 연구의 취지에 동의한 45~64세 사이의 55명(남 46명, 여 9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1차 방문시 자각식 굴절검사와 근용 가입도를 측정하여 중근용 누진 가입도 안경을 처방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차 방문시 안경의 사용방법을 숙지시키고 1개월간 컴퓨터 작업을 하는 동안 실험용 안경을 착용하도록 권고했고 1개월 후 2차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컴퓨터 작업 시 느끼는 전반적인 시기능 및 눈의 불편함과 관련된 시각적인 문제(Vision Problem)에 대한 항목의 평균 점수는 1차 설문에서 3.69± 0.65였고, 2차 설문에서 4.50±0.91로 0.54±0.87 만큼 유의하게 증가하였다(t=-9.23, p=0.00). 컴퓨터 작업 시 느끼는 심리적인 위축 및 부담과 관련된 심리적 안녕(Psychological Well-being)에 대한 항목의 평균 점수는 1차 설문에서 3.04±0.65였고, 2차 설문에서 3.74±0.98로 0.70±0.76이 증가되었다(t=-6.83, p=0.00). 또한 나이, 가입도, 원용교정도수 및 컴퓨터 작업시간에 관계없이 중근용 누진 가입도 렌즈를 사용했을 때 컴퓨터 시각증후군(Computer Vision Syndrome)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안교정이 필요한 사람의 컴퓨터 사용과 관련된 컴퓨터 시각 증후군(Computer Vision Syndrome)에 대한 관리 방법으로 중근용 누진 가입도 렌즈를 사용 하는 것이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ntends not only to investigate Computer Vision Syndrome(CVS) against presbyope who requires correction of near vision experiences using Visual Display Unit(VDT), but also assess trends of CVS and improvements in satisfaction when changed to VDU progressive lens while using progressive lens or single vision reading glasses. In this study, total 55 people(46 males, 9 females) the age between 45 and 64 currently working in Seoul Health College were selected as study subjects. In the first visit, subjective refraction and near addition were individually measured and VDU progressive lenses were prescribed and first survey was conducted. In the second visit, they were directed how to wear the glasses and recommended to wear the test glasses while working on computers for a month. Second survey was conducted at one month after the second visit. The average score for first survey of overall visual ability and vision problems related to the experienced discomfort in ey while using computers was 3.69±0.65. The average score for second survey was 4.50±0.91 which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first survey average about 0.54±0.87 (t=-9.23, p=0.00). The average score for first survey on the questionnaire item about psychological well-being related to psychological atrophy and experienced discomfort while using computer was 3.04±0.65 and the average score for second survey was 3.74±0.98 with a significantly increase of 0.70±0.76 (t=-6.83, p=0.00). Regardless of age, addition, corrective power of distance vision and hour of computer use, it indicated that CVS improved by using VDU progressive lens. As a conclusion, using VDU progressive lens as a method to manage CVS is recommended for presbyope who requires correction of near vision is effective while use compu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