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광중합 시간과 거리에 따른 flowable bulk-fill 레진 및 packable bulk-fill 레진의 표면미세경도 비교

        김형민 을지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39

        치아우식증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복 재료로 광중합형 레진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중합 수축의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Bulk-fill 복합레진이 개발되었으나 기존의 연구는 복합레진과 Bulk-fill 레진의 물리적인 성질을 비교하는 것이 주된 연구였으며 Bulk-fill 레진 자체만의 광중합 시간과 거리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이에 본 연구는 flowable Bulk-fill 레진으로 SDR과 packable bulk-fill 레진으로 Tetric N-ceram을 광중합 시간과 거리를 달리하여 제작한 시편의 표면미세경도를 비교하고 최적의 경도가 되는 중합시간과 거리를 확인하여 치과진료 임상에서 보다 효율적인 진료진행과 만족스러운 치료 결과에 도움을 주고자 수행하였다. SDR과 Tetric N-ceram bulk-fill을 시간과 거리를 달리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광중합 시간(10초, 20초, 40초, 60초)과 광중합 팁과의 거리(0mm, 2mm, 4mm, 6mm)로 총 16개 군으로 구분하였고, 각 군당 10개의 시편을 제작하였다. 시편의 경도를 알아보기 위해 Vickers Hardness Number(Matsuzawa MMT-X, Japan)를 이용하여 미세경도를 측정하였다. 통계분석은 비모수 Kruskal-wallis test를 이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SDR은 광중합 시간에 대한 중합기 팁과의 거리 변화에서 모든 시간 군에서 거리가 멀어질수록 표면미세경도는 감소하였다. 2. SDR은 중합기 팁과의 거리에 대한 광중합 시간의 변화에서 시간이 길어할수록 표면미세경도가 증가하였다. 3. Tetric N-ceram은 광중합 시간에 대한 중합기 팁과의 거리의 변화에서 20초와 60초의 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10초와 40초의 군에서는 거리가 멀어질수록 표면미세경도가 감소하였다(낮아졌다). 4. Tetric N-ceram은 중합기 팁과의 거리에 대한 광중합 시간의 변화에서 모든 거리 군에서 광중합 시간이 길어질수록 표면미세경도가 증가하였다. 본 연구를 종합하면 SDR과 Tetric N-ceram은 충전재의 함량 정도에 따라 flowable과 packable로 구분할 수 있다. 하지만 두 재료는 공통적으로 중합기 팁과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경도가 감소하며 광조사 시간이 길어질수록 경도가 증가하였다. 따라서 임상에서 SDR과 Tetric N-ceram을 사용 시 중합기 팁과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제조사가 권장하는 중합시간보다 더 긴 광중합 시간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노인외상환자의 현장 응급처치 분석

        윤은정 을지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39

        국내 노인 인구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저출산의 이유로 인구 고령화가 시작되었으며 대한민국은 초고령사회를 대비해야 한다. 구급차를 이용한 응급환자 이송에서 보면 노인 인구가 전체 응급이송의 50 %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노인인구의 증가는 구급차의 이용이 증가 될 것임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응급환자 교육에서 노인에 대한 응급처치 및 노인환자의 대응과 같은 교육은 이루어지고 있지 않고있다. 먼저, 본 연구는 구급활동일지를 통해 65세 미만 집단(비노인 환자)과 65세 이상 집단(노인환자)으로 분류하여 환자의 일반적 특성과 환자평가 및 현장 응급처치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노인환자에게 적절한 환자평가 및 외상처치와 같은 구급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현재 한국형 응급환자 분류 도구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KTAS)를 통해 분류하고 있지만, 실제 구급대원의 응급환자와 비응급환자의 분류가 잘 진행되고 있는지 연구가 미비하다. 이 연구에서는 노인 응급질환의 분류를 확인하여 그 원인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을지대학교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심의 (EU21-033)를 통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2018년 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2년간 경기도 의정부시에서 119 구급대에 의해 병원으로 이송된 외상 환자 5,033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연구이다. 현장 응급처치에 따른 분석 자료는 외상환자 중 현장 출발 전 1차 활력징후 측정시간이 작성된 자료를 추출하였다. 분석 자료는 SPSS 18를 사용하여 통계 분석하였으며, 모든 검정의 유의수준은 .05로 정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노인환자들의 현장처치에 따른 소요 시간을 알아보았으며, 도수조작, 경추고정, 척추고정, 부목 고정에서 그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노인에 대한 교육 부족, 인력부족 등으로 시간적 차이가 나는 것으로 판단되어 진다. 또한 구급대원의 구급일지와 응급실 내의 KTAS를 분석한 결과 구급일지에 노인환자들에서 유의하게 비응급환자를 응급환자로 기록되었다. 따라서 119 구급대원을 대상으로 노인의 특성에 대한 이해와 각 술기에 대한 연습이 필요하다 판단된다.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in Korea is continuously increasing, and population aging has begun due to the low birth rate, and Korea needs to prepare for a post-aged society. In terms of emergency patient transport using 119 ambulances, the elderly population accounts for more than 50% of the total emergency transport, and it can be seen that the use of ambulances will increase as the elderly population increases. Currently, the emergency patient education is not being carried out for such as treatment for the elderly and response to the elderly. For this study, this study classified patients under the age of 65(non-elderly patients) and over 65(elderly patients) through the treatment activity log, and analyz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patient assessment, and trauma treatment status. Through the this study, i would like to present basic data to provide emergency services for elderly persons. Next, although classification is currently performed using the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KTAS),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whether the classification of emergency and non-emergency patients by paramedics is progressing well. In this study, the classification of emergency diseases in the elderly was confirmed and the causes were examined.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he review (EU21-033) of the Institutional Bioethics Committee of Eulji University, and 5,033 trauma patients were transferred to the hospital by 119 ambulances in Uijeongbu-si, Gyeonggi-do for two years from January 2018 to December 2019. This is a study conducted on Data for analysis according to on-site treatment were extracted from trauma patients who recorded the first vital sign measurement time before leaving on-site. Analysis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18, and the significance level of all tests was defined as .05.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time required for on-site treatment of elderly patients was investigated,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manual manipulation, cervical spine fixation, spinal fixation, and splint fixation. It means that there is a difference due to lack of education for the elderly or lack of manpower.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reatment diary of paramedics and KTAS in the emergency room, non-emergency patients were significantly recorded as emergency patients among elderly patients in the 119 relief diar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nd practice each skill for 119 paramedics.

      • 필라테스 안정화 훈련이 아마추어 골퍼의 아이언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현이슬 을지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39

        This study aimed to study the effect of 8-week spinal stabilization training using Pilates on iron performance. A total of 40 amateur golfers in their 20s and 40s were assigned to two different groups, 20 each: Pilates stabilization exercise group, full-body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group. Carry distance, ball speed, club head speed, smash factor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each exercise. in addition, core stability test, thoracic spine rotation range of motion, combined elevation test were evaluated. The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the SPSS 29.0.1.0 statistical program.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tes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and homogeneity test was conducted using an independent t - test. The paired t -test was used for intra-group comparison, and the independent t - test was used for inter-group comparison.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see the correlation between iron performance ability and the subject's physical fun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iron performance was improved in the Pilates stabilization training group, except for the smash factor, a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pine stability, back extension range, and rotation range were observed (p<0.05).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ron performance and spinal stability in the full – body muscle strengthening training group (p>0.05).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ft spinal stability, back extension range, and right rotation range and carry distance, ball speed, club head speed in iron performance between the two groups after training (p<0.05).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right rotation range of motion and the iron performance (p<0.05).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core stabilization training using pilates could improve iron golf performance because golf performance improved after pilates stabilization training. 본 연구는 필라테스 안정화 훈련을 이용한 척추 안정화 훈련이 아마추어 골퍼의 아이언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시에 거주하는 20대에서 40대의 총 40명의 아마추어 골퍼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들은 각각 20명씩 필라테스 안정화 운동군과 전신 근육 강화 운동군에 배정되어 주 2회 50분씩 운동을 진행하였다. 대상자의 아이언 수행능력 평가를 위해 비거리, 공 속도, 클럽 헤드 속도, 정타율과 신체 기능 평가를 위해 척추 안정성, 등의 폄 범위 및 돌림 각도를 각 운동 전후에 측정되었다. 본 논문의 자료들은 SPSS ver.29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으며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검정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고, 독립 표본 t 검정을 사용하여 동질성 검정을 시행하였다. 이후 집단 내 비교를 위해 대응 표본 t 검정을 사용하였으며, 집단 간 비교를 위해 독립 검정 t 검정을 사용하였다. 아이언 수행능력과 대상자의 신체 기능 간의 상관관계를 보기 위해 피어슨 상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필라테스 안정화 훈련 후, 필라테스 안정화 운동군에서 정타율을 제외한 아이언 수행능력이 향상되었고, 척추 안정성, 등의 폄 범위 및 돌림 각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둘째, 전신 강화 훈련 후, 전신 강화 운동군에서 아이언 수행능력과 척추 안정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셋째, 중재 후 두 집단 간의 왼쪽 척추 안정성, 등의 유연성, 오른쪽 등의 돌림과 아이언 수행능력에서는 비거리, 볼 속도, 클럽 헤드 속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넷째, 오른쪽 돌림 각도와 아이언 수행능력 사이의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p<0.05). 결론적으로 필라테스 안정화 훈련 후 아이언 수행능력의 향상이 나타났으므로 필라테스를 이용한 코어 안정화 훈련이 아이언 수행능력을 향상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근거중심치료에 대한 물리치료사의 태도, 장벽, 임상 수행도에 관한 연구

        백선우 을지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연구는 물리치료사의 근거중심치료(Evidence-based practice; EBP)에 대한 태도, 장벽, 임상 수행도에 관한 비교분석 및 상관관계를 규명하여 EBP를 보다 더 임상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216명의 물리치료사로 온라인 플랫폼(Naver Form)을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216부의 설문지 중 분석에 부적합하다고 판단되는 7부를 제외하고 총 209부의 설문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설문 문항은 사회인구학적 특성 13문항, EBP에 대한 태도 9문항, 장벽 6문항, 수행 능력 7문항, 과정 수행도 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조사 분석은 PASW statistics 18.0을 이용하였으며, 측정 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은 빈도분석을 시행하였으며 EBP에 대한 태도, 장벽, 수행 능력, 과정 수행도는 기술통계를 이용하여 자료를 요약하였다.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EBP에 대한 태도, 장벽, 수행 능력, 과정 수행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시행하였다. 각 영역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물리치료사의 EBP에 대한 태도는 매우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학력과 EBP 임상 활용 여부에 따른 태도, 장벽, 수행 능력, 과정수행도 모든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EBP 적용에 대한 방해요인으로는 ‘시간 부족’, ‘해외 논문에 대한 언어 제한’, ‘환자에게 연구 결과의 적용이 어려움’ 등이 나타났다. EBP에 대한 태도와 수행 능력, 태도와 과정 수행도, 수행 능력과 과정 수행도 간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EBP에 대한 장벽과 태도, 장벽과 수행 능력, 장벽과 과정 수행도 간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EBP에 대한 중요성을 대다수가 인식하고 있지만, 임상 실무에서 수행하기 어려운 점들이 많다. EBP가 임상에서 적극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기관, 협회, 보건의료 종사자, 보험 회사 등과 의사소통을 통해서 EBP의 중요성과 이점을 부각하고 더 나아가 체계적인 교육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a comparative analysis and correlations between attitude, barriers and clinical performance among physical therapists for Evidence-based practice (EBP). It was conducted to identify and suggest improvement in the best physical therapy method for enhancing EBP clinical performance among physical therapists. This study surveyed 216 physical therapists using the Internet platform. Of the 216 questionnaires, 209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after excluding those judged to be inappropriate for analysis. The questionnaire comprised 13 item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9 items, attitude toward EBP; 6 items, barrier to EBP; 7 items, self-efficacy skills for EBP; and 5 items, process performance for EBP. PASW statistics 18.0 was used for the survey analysis, Cronbach’s α coefficient was calculate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participants was analyzed using the frequency analysis method. Attitude, barrier, self-efficacy skill, and process performance for EBP were assess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was use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attitude, barrier, self-efficacy skill and process performance for EBP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associations between the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physical therapists’ attitude toward EBP was highly positive. Having a high level of academic degree and applying the EBP in clinical setting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all variables: attitude, barrier, self-efficacy skill, and process performance. Major barriers to EBP clinical performance include "Insufficient time", “Insufficient foreign language skills," and "Inability to apply research findings to individual patient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ttitude and self-efficacy skill; attitude and process performance; and self-efficacy skill and process performance.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barrier and attitude; barrier and self-efficacy skill; and barrier and process performance. In conclusion, although most people recognize the importance of EBP, it is difficult to perform in clinical practice. Communication with organizations, associations, healthcare workers, and insurance companies, among others, should be established so that EBP can be actively performed in clinical practice.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importance and benefits of EBP, and to establish a systematic education system.

      • 임상 치과위생사들의 윤리적딜레마 경험사례와 태도에 관한 측정 도구 개발

        임하늘 을지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연구는 임상 치과위생사들이 직면하는 윤리적딜레마의 경험사례와 태도에 관한 측정 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연구는 총 3단계에 걸쳐 진행하였으며, 1단계에서는 문헌 고찰을 통한 자료 수집을 진행하였다. 2단계에서는 윤리강령을 분석하고 사전 조사를 시행하여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6명의 전문가가 참여한 델파이조사를 수행하여 설문 문항의 내용타당도를 평가하였다. 3단계에서는 임상 평가를 시행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한 후 측정 도구를 확정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경기 지역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35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문항 분석 결과, 왜도 ±2, 첨도 ±7의 기준치를 벗어난 문항은 없었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윤리적딜레마 경험사례에서는 52개 문항 중 6개를 제거하여 46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6개의 요인에 대해 54.4%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윤리적딜레마에 대한 태도에서는 34개 문항 중 5개를 제거하여 29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4개 요인에 대해 58.3%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모형의 적합성 검증에서 모든 절대적합지수가 기준에 부합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모든 요인이 수렴타당도의 기준에 충족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판별타당도를 검증하여 개발된 문항은 판별 타당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추가로 구조모형을 분석하고, 주요 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경로분석 후, 윤리적딜레마 경험사례에서는 31개의 문항을 삭제하여 최종 15문항으로 확정되었으며, 윤리적딜레마에 대한 태도에서는 16개 문항을 삭제하여 최종 13문항으로 확정되었다. 마지막 검증 단계로 내적 일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반분 검사 신뢰도와 Cronbach's α 계수를 사용하였다. 반분 검사 신뢰도에서 윤리적딜레마 경험사례의 신뢰 계수는 0.967로 나타났으며, 윤리적딜레마에 대한 태도의 신뢰 계수는 0.891로 나타났다. Cronbach's α 계수는 윤리적딜레마 경험사례에서 0.941로 나타났으며, 윤리적딜레마에 대한 태도에서 0.904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개발된 측정 도구는 7개 요인, 28문항으로 치과위생사와 수행, 치과위생사와 불법, 치과위생사와 전문가, 치과위생사와 연구, 성희롱 및 신체학대에 대한 보고, 표준 이하 진료 및 과잉 진료, 전문가의 역할에 장애 되는 경우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측정 도구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도구로써 윤리적딜레마의 경험사례 및 태도를 측정하는데 적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measurement tool for the experiences case and attitudes of ethical dilemmas faced by clinical dental hygienists. Method: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ree stages. In the first stag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In the second stage, the code of ethics was analyzed,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and preliminary questions were constructed. To evaluate the content validity of the survey questions,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with six experts participating. In the third stage, clinical evaluation was conducted,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verified, and the measurement tool was confirmed. Resul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59 dental hygienists working in the Seoul/Gyeonggi area. As a result of item analysis, there were no questions that exceeded the standard values of skewness ±2 and kurtosis ±7.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 the ethical dilemma experience case, 6 out of 52 questions were removed to form 46 questions,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6 factors was 54.4%. Regarding attitudes to ethical dilemmas, 5 out of 34 questions were removed to form 29 questions, which showed an explanatory power of 58.3% for the 4 factors.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all factors met the criteria for convergent validity in the verification of model suitability, and the questions developed by verifying discriminant validity were confirmed to have discriminant validity. Additionally, path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structural model and determin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major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path analysis, 31 questions were deleted from the ethical dilemma experience cases, making the final 15 questions, and 16 questions were deleted from the attitude to ethical dilemmas, making the final 13 questions. In the final verification step, split-half reliability, the reliability coefficient for cases of ethical dilemma experience was 0.967, and the reliability coefficient for attitude to ethical dilemma was 0.891. Cronbach's alpha coefficient was 0.941 in ethical dilemma experience case, and 0.904 in attitude to ethical dilemma. The developed measurement tool consists of 7 factors and 28 items: Dental Hygienists and practice, Dental Hygienists and illegal, Dental Hygienists and professionals, Dental Hygienists and research, Reporting of sexual harassment and physical abuse, Substandard care and over treatment, Obstacles to the role of a professional. Conclusion: The measurement tool developed in this study has proven reliability and validity.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used as an appropriate tool to measure experience cases and attitudes of ethical dilemmas.

      • 천연 향료를 이용한 식욕 조절 효과와 EEG 반응 임상 연구

        김나영 을지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연구는 천연 자몽 향 흡입이 식욕 조절 효과와 Electroencephalogram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임상 연구이다. 연구는 경기도 성남시에 위치한 가 대학교(가칭) 재학 중인 20대 여대생 32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고, 연구에 참여한 32명 중 6명은 데이터 수집의 오류로 인해 분석에서 제외되었다. 실험군으로 사용된 향은 자몽과 베르가못을 3:2 비율로 혼합한 뒤 부향률 15%의 향수로 제조하여 사용하였으며, 대조군으로 사용된 향은 석류, 자몽, 샌달우드를 5:3:2 비율로 혼합한 뒤, 부향률 15%의 향수로 제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뇌파 측정을 위해 Neuroelectrics사의 Starstim 8을 이용하였으며, 전극 부착 위치는 국제 전극 배치법 10-20 system의 AF3, AF4, F3, F4, C3, C4, O1, O2에 부착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의 후각 기능 파악을 위해 후각 기능 검사를 사용하였고(Yang et al., 2018), 스트레스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스트레스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Koh et al., 2000), 식욕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식욕평가표를 사용하였다(Kim et al., 2005). 실험 결과는 통계처리 프로그램 SPS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Description statics 분석, Mann–Whitney U 분석, Friedman 분석, Pearson 상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자몽 향을 흡입하였을 때의 Topographical map에서 델타(Delta), 세타(Theta), 알파(Alpha) 영역에서 높은 전력 스펙트럼 밀도(Power Spectrum Density)가 나타나고, 뇌파 지점 AF3, AF4, F3, C4에서 알파파가 증가되어 이는 자몽 향 자극에 의한 뇌파의 안정적인 효과와 스트레스 완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스트레스 주관평가 결과, 대부분의 항목에서 자몽 향 흡입 전보다 흡입 후에 스트레스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함이 확인되어 자몽 향 자극에 의한 스트레스 완화 효과를 확인했으며, 식욕 주관평가 결과, 정상체중과 과체중인 연구 대상자들의 식욕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연구 대상자 전체를 대상으로도 식욕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여 자몽 향 자극에 의한 식욕 저하 효과를 확인하였다. 스트레스 주관평가와 뇌파 Power Spectrum Density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스트레스 설문지의 일부 항목과 델타파 Power Spectrum Density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면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나 자몽 향 흡입에 의한 스트레스 감소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객관적 실험 지표인 뇌파 검사와 스트레스 설문지, 식욕평가표를 통해 천연 자몽 향 흡입을 통한 스트레스 완화와 식욕 조절 효과가 검증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인체 생리적 측면과 정서적 측면을 고려한 연구를 시도하였음에 의의가 있으며, 향후 식욕 조절과 관련된 인체 긍정적 생리 반응 및 정서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감성과학 화장품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사료된다. This research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haling natural grapefruit scent on appetite regulation and Electroencephalogram changes. The study involved 32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twenties, enrolled at a university (tentatively named) in Seongnam City, Gyeonggi Province. From these participants, 6 were excluded from the analysis due to errors in data collec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a fragrance blend of grapefruit and bergamot in a 3:2 ratio was used, created as a perfume with a 15% scent concentration. For the control group, a fragrance made from pomegranate, grapefruit, and sandalwood in a 5:3:2 ratio was used, also prepared as a 15% concentration perfume. The Starstim 8 from Neuroelectrics was employed for Electroencephalogram measurements, with electrode placements at AF3, AF4, F3, F4, C3, C4, O1, and O2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10-20 system. Olfactory function in the subjects was evaluated using a test (Yang et al., 2018), while a stress questionnaire (Koh et al., 2000) was used to assess changes in stress, and an appetite assessment form (Kim et al., 2005) was utilized to measure appetite variations. Statistical analysis of the experiment’s data was conducted using SPSS, which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Mann–Whitney U test, Friedman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he study’s findings demonstrate that inhaling grapefruit scent leads to higher Power Spectrum Density(PSD) in the delta, theta, and alpha regions on the Topographical map, with an observed increase in alpha waves at EEG locations AF3, AF4, F3, and C4. These results suggest a stabilizing influence on brainwaves and a reduction in stress due to the grapefruit scent stimulation. In the subjective assessment of stres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 in stress levels after inhaling the grapefruit scent, as evidenced across most of the assessed items, thus confirming its stress-relief effectiveness. Concerning appetite, both normal-weight and overweight participants exhibited a significant decrease in appetite, a trend that was consistent across the entire group of subjects, validating the appetite-suppressing effect of the grapefruit scent.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subjective stress assessments and brainwave power spectrum density revealed a positive correlation. Specifically, certain items of the stress questionnair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correlating with delta wave power spectrum density, lending further support to the stress-relieving effects identified through Electroencephalogram measurements. As a result, this research confirms the efficacy of inhaling natural grapefruit scent in stress alleviation and appetite control, backed by objective experimental indicators like Electroencephalogram tests, stress questionnaires, and appetite assessment forms. The study is significant for its holistic approach, integrating both physiological and emotional human responses. The insights gained are expected to serve as valuable baseline data for the development of neuroscientific cosmetics designed to trigger positive physiological and emotional responses, particularly in the context of appetite control.

      • 코로나19 대유행기의 병원전 심정지 환자 생존에 관한 분석

        신다해 을지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39

        The global spread of COVID-19 in 2020 severely impacted healthcare services due to the overwhelming demand on public health systems. This was particularly evident in the increased incidence and decreased survival rates in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OHCA) patients. Understanding these changes is crucial for enhancing OHCA patient outcomes and preparing for future pandemics. This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using data from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KCDA), analyzed OHCA patient survival in 2019 and 2020 across South Korea.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Statistics ver. 25.0 and performed using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tests,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a significance level set at .05. The study included 56,615 patients, with 27,634 in the pre-pandemic period and 28,981 in the post-pandemic period. The findings include an increase in OHCA incidence among the elderly (from 59% to 60.6%, p<.001) and a decrease in the rate of shockable rhythms prior hospital arrival (from 12.7% to 11.8%, p<.001). Additionally, shockable rhythms at the emergency room also decreased (from 2.3% to 2.0%, p<.001). There were significant decreases in survived events, survival to hospital discharge, and favorable neurological outcomes at hospital discharge. Regarding the survival of OHCA patients, the odds ratio of survived events in cases presenting with a pre-hospital shockable rhythm increased to 9.354 times (95% CI=7.584~11.533) in the pre-pandemic period and 6.859 times (95% CI=5.604~8.395) in the post-pandemic period. The odds ratio of survived events in patients presenting with a pre-hospital shockable rhythm was 2.807 times (95% CI=1.777~4.433) in the pre-pandemic period and 4.425 times (95% CI=2.911~6.726) in the post-pandemic period. Furthermore, the odds ratio of favorable neurological outcomes at hospital discharge in these cases increased to 4.328 times (95% CI=2.606~7.189) in the pre-pandemic period and 6.000 times (95% CI=3.785~9.512) in the post-pandemic period. In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significant changes in OHCA outcomes during the pandemic period, with a notable impact on patients with shockable rhythms.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on the factors increasing the prevalence of shockable rhythms in OHCA patients. 2020년, 전 세계로 확산된 코로나19 바이러스는 공중보건 시스템의 과부하로 이어져 의료서비스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병원전 심정지 환자의 발생률 증가와 함께 생존율 감소와 사망률 증가로 이어졌다. 이에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감소한 병원전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개선하고 추후 발생할 또 다른 대유행 사태에 대비하기 위해 코로나19 대유행이 병원전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에 미친 영향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에 코로나19 대유행 전후로 병원전 심정지 환자의 생존에 관해 분석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급성심장정지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2019년과 2020년의 전국 병원전 심정지환자를 대상으로 한 후향적 관찰연구이다. 통계프로그램은 SPSS statistics ver. 25.0을 이용하였다. 코로나19 대유행 전후로 병원전 심정지 환자의 특성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빈도분석과 카이제곱 검정을 시행하였다. 코로나19 대유행 전후로 병원전 심정지 환자의 생존에 관한 분석을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법을 적용하였다. 코로나19 대유행 전후로 각각 27,634명과 28,981명(총 56,615명)의 환자가 최종분석에 포함되었다. 노인 인구의 병원전 심정지 발생률은 코로나19 대유행 전 16,316명(59%)에서 코로나19 대유행 후 17,560명(60.6%)으로 증가하였다(p<.001). 병원 도착 전 제세동필요리듬 발생은 코로나19 대유행 전 3,500건(12.7%)에서 코로나19 대유행 후 3,412건(11.8%)으로 감소하였다(p<.001). 응급실의 제세동필요리듬 발생은 코로나19 대유행 전 643건(2.3%)에서 코로나19 대유행 후 594건(2.0%)으로 감소하였다(p<.001). 코로나19 대유행 전후로 병원 도착 전 생존, 생존퇴원, 생존퇴원 시 양호한 신경학적 결과는 코로나19 대유행 전과 비교했을 때 코로나19 발생 후에 모두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적용하여 코로나19 대유행 전후로 병원전 심정지 환자 생존을 비교하였다. 병원전 제세동필요리듬인 경우 병원전 생존할 승산비는 코로나19 대유행 전후로 각각 9.354배(95% CI=7.584~11.533), 6.859배(95% CI= 5.604~8.395)로 증가하였고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전 제세동필요리듬인 경우 생존퇴원 시 양호한 신경학적 결과를 보일 승산비는 코로나19 대유행 전후로 각각 2.807배(95% CI=1.777~4.433), 4.425배(95% CI=2.911~6.726)로 증가하였고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응급실에서 제세동필요리듬을 보일 경우 생존퇴원 시 양호한 신경학적 결과를 보일 승산비는 코로나19 대유행 전후로 각각 4.328배(95% CI=2.606~7.189), 6.000배(95% CI=3.785~9.512)로 증가하였고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코로나19 대유행 전후로 병원 도착 전 생존, 생존퇴원, 생존퇴원 시 양호한 신경학적 결과는 모두 감소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병원전 심전도 리듬과 응급실 심전도 리듬이 제세동필요리듬인 경우 각각 병원전 생존과 생존퇴원 시 양호한 신경학적 결과를 보일 승산비가 증가하였기에 병원전 심정지 환자의 제세동필요리듬을 증가시키는 요소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척수손상 환자 옮겨 앉기 평가 도구 한국어 번역본의 원격 평가 신뢰도 타당도 검증

        김현두 을지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ransfer Assessment Instrument-Korean(TAI-K) developed to evaluate transfer and sitting in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on 30 spinal cord injury patients and 10 therapists who agreed to the study at N Hospital in S City from March 2023 to September 2023. The research tools are the Korean version of the Transfer-to-Sit Assessment for Spinal Cord Injured Patients (TAI-K), Spinal Cord Independence Measure Ⅲ (KSCIMⅢ), Sitting Balance Measure (SBM-K), and modified Sitting Balance Scale (mSBS) was use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IBM SPSS Statistics ver. 26.0, AMOS ver. The 26.0 program was us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ternal consistency was analyzed using Cronbach's α value. Intra-rater reliability, test-retest reliability, and remote inter-rater reliability were analyzed using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Absolute reliability was analyzed by Standard Error of Measurement (SEM) and Minimum Detectable Change (MDC). Content validity was analyzed using Content Validity Index (CVI), and concurrent validity was verified by the correlation between TAI-K, KSCIMⅢ, SBM-K, and mSBS.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The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s α value was 0.91. Reliability was verified as intra-rater reliability ICC=0.765, test-retest reliability ICC=0.790, remote inter-rater reliability ICC=0.969-0.980, SEM=0.140-0.459, MDC=0.390-1.272. Content validity was analyzed as CVI-S=0.91. Concurrent validity was not significant. The content validity of TAI-K met the criteria, and intra-rater test, test-retest, and remote inter-rater reliability were verified as “good” to “excellent.” Therefore, TAI-K will be an appropriate evaluation tool for moving and sitting ability in face-to-face and remote assessm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척수손상 환자의 옮겨 앉기의 평가를 위해 개발된 옮겨 앉기 평가 도구(Transfer Assessment Instrument, TAI)의 한국어 번역본 (Transfer Assessment Instrument-Korean, TAI-K) 원격 평가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자료수집은 2023년 3월부터 2023년 9월까지 서울시 소재 N병원에서 연구에 동의한 30명의 척수손상 환자와 10명의 치료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도구는 한국어판 척수손상 환자의 옮겨 앉기 평가 도구(TAI-K), 척수손상 환자 독립성지수 Ⅲ (Spinal Cord Independence Measure Ⅲ, KSCIMⅢ), 앉기 균형 측정(Sitting Balance Measure, SBM-K), 수정된 앉기 균형 척도 (modified Sitting Balance Scale, mSBS)을 이용하였고 자료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ver. 26.0, AMOS ver.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기술통계로 분석하였고 내적 일관성은 Cronbach's α 값으로 분석하였고, 평가자 내 신뢰도, 검사-재검사 신뢰도, 원격 평가자 간 신뢰도는 급내상관계수(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표준 측정 오차(Standard Error of Measurement, SEM), 최소 감지 가능한 변화(Minimal Detectable Change, MDC)로 분석하였다. 내용 타당도는 (Content Validity Index, CVI)로 분석하였고, 동시 타당도는 TAI-K와 KSCIMⅢ, SBM-K, mSBS를 상관분석 하였다. 자료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내적 일관성 Cronbach's α 값은 0.91, 평가자 내 신뢰도 ICC=0.765, 검사-재검사 신뢰도 ICC=0.790, 원격 평가자 간 신뢰도 ICC=0.969∼0.980, SEM=0.140∼0.459, MDC=0.390∼1.272로 신뢰할 수 있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내용 타당도CVI-S=0.91로 분석되었다. 동시 타당도는 음의 상관계수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평가자 내 검사, 검사-재검사, 원격 평가자 간 신뢰도는 “good”에서 “excellent”로 신뢰도가 높다고 볼 수 있다. TAI-K의 내용 타당도는 0.8 이상으로 TAI-K가 척수손상 환자의 옮겨 앉기 평가 목적에 부합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TAI-K는 대면 평가, 원격 평가에서 옮겨 앉기 능력의 적절한 평가 도구가 될 것이다.

      • 필라테스 운동이 아마추어 골퍼의 등뼈 가동성 및 드라이버 비거리에 미치는 영향

        이송이 을지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39

        드라이버 비거리 향상은 프로 및 아마추어 골퍼들의 최대 목표이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는 드라이버 비거리를 향상시키며, 편측 회전으로 인한 불균형이 생길 수 있는 스윙 운동의 한계점을 보완할 수 있는 운동법을 연구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드라이버 비거리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검증된 필라테스 운동과 스트레칭 운동을 비교하여, 아마추어 골퍼의 등뼈 가동성 및 드라이버 비거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에 거주하는 총 40명의 아마추어 골퍼들을 대상으로 20명씩 무작위로 필라테스 운동과 스트레칭 운동군으로 나누어 주 2회 40분씩 운동을 진행하였다. 드라이버 비거리 평가를 위해 캐리(m), 토탈(m), 클럽헤드 스피드(m/s), 볼 스피드(m/s), 를 측정하였고, 등뼈 가동성 평가를 위해 등뼈 회전 각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필라테스 운동군의 경우 운동 후, 캐리(m), 토탈(m)과 등뼈 왼쪽 회전 각도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05). 둘째, 스트레칭 운동군의 경우 운동 후, 등뼈 왼쪽 회전 각도가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등뼈 오른쪽 회전 각도는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5), 캐리(m), 토탈(m), 클럽헤드 스피드(m/s), 볼 스피드(m/s)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05). 셋째, 두 그룹 간 변화량 비교에서 등뼈의 오른쪽 회전 각도와 캐리(m), 토탈(m), 볼 스피드(m/s)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넷째, 등뼈 좌, 우 회전 각도와 캐리(m), 토탈(m), 클럽헤드 스피드(m/s), 볼 스피드(m/s), 사이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었다(p>0.05). 결론적으로 아마추어 골퍼들을 대상으로 필라테스 운동과 스트레칭 운동을 적용하였을 때, 드라이버 비거리 향상에 필라테스 운동이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필라테스 운동군과 스트레칭 운동군 모두 등뼈 왼쪽 회전 각도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는데, 이는 함께 병행된 스윙 운동의 영향일 것으로 추측된다. 추후 연구에서는 함께 병행된 스윙 운동의 횟수를 제한하거나, 전문 강사의 지도하에 진행하여 보완할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Professional and amateur golfers put in a lot of effort to improve driver distance and this remains their biggest goal. Therefore, this study evaluated the appropriate exercise method that improves driver distance and compensates for the limitations of the swing exercise that can cause imbalance. By comparing pilates and stretching exercises, we attemp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thoracic range of motion (ROM) of amateur golfers on their driver distanc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8 weeks ofthoracic ROM training using Pilates on driver distance. A total of 40 amateur golfers in their 20s and 50s were assigned to two different groups of 20 each, namely the pilates exercise groupand the stretching exercise group. The thoracic ROM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 In addition, carry, total, ball speed, and club head speed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8 statistical program. The summarized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arry, total, and left thoracic ROM were improved in the pilates exercise group, but not club head speed, ball speed, and the right thoracic ROM (p<0.05). Second, the left thoracic ROM was improved in the stretching exercise group (p<0.05), but the right thoracic ROM was significantly reduced (p<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river distance in the stretching exercise group(p>0.05).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ight thoracic rotation ROM and carry, total, and ball speed while evaluating the driver distance between the two groups after training (p<0.05). Fourth, no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thoracic rotation range of motion and the driver distance (p<0.05). In conclusion, the pilates exercises were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driver distance, with notable improvements in carry, total distance, and left thoracic ROM. However, both exercise groups exhibited an increase only in left thoracic mobility. Future study should investigate the incorporation of balance and spinal stabilization movements to comprehensively enhance the thoracic ROM.

      • 굿볼운동 참여동기가 중년여성의 삶의 질과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박진실 을지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연구의 목적은 굿볼 운동에 대한 중년 여성의 참여 동기가 삶의 질과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전국에 거주하고 있는 만 40대에서 만 65세의 중년 여성으로 굿볼 운동을 최소 주 1회 이상, 최소 참여 기간 1개월 이상 인자를 대상으로 연구자가 온라인 설문 조사 또는 직접 방문하였다. 설문조사는 2023년 4월 3일부터 5월 13일까지 51일간 회수된 설문지 총 205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29.0의 프로그램으로 빈도분석, 신뢰도와 타당도 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중년여성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과 심리적 행복감의 차이에 대해 살펴본 결과, 굿볼 운동의 참여 기간이 6개월~12개월 이상일 때 삶의 질과 심리적 행복감에 영향을 주며, 굿볼운동 횟수보다는 무리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규칙적인 운동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굿볼 운동에 대한 중년여성의 참여동기 중 내적동기가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나 운동 참여 그 자체가 가치가 있으며 삶의 질 하위요인인 생활 만족과 심리적 행복감의 하위요인인 자신감에 긍정적 영향을 주어 일상생활 속에서 쉽게 스스로 운동하고 움직임을 증진함으로 인해 중년 여성의 만족감과 생성감 확립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굿볼 운동에 대한 중년여성의 참여동기 하위요인인 즐거움, 건강 및 체력, 정신력 순으로 삶의 질의 하위요인인 심리적 영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굿볼 운동을 통해 통증 감소와 기능개선으로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굿볼 운동을 통해 중년여성은 즐거움과 행복 등 운동에 대한 긍정적 정서를 체험함으로써 자기 몸을 관리하고, 같은 운동에 참여하는 사람 간의 교제와 소통을 통해 몰입감과 자신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굿볼운동 참여동기가 삶의 질과 심리적 행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굿볼 운동은 즐거운 활동 참여를 통해 건강과 체력을 증진하고 삶의 만족감과 일상생활 수행 능력, 일하는 능력 등을 향상하는 데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굿볼 운동에 대한 중년여성의 참여 동기를 파악하여 삶의 질과 심리적 행복감을 위한 굿볼 운동 제공 및 참여 동기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iddle-aged women's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the Goodball Exercise on their quality of life and psychological happines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middle-aged women in their 40s to 65 years of age residing nationwide, and the researcher conducted an online survey or a direct visit to determine the factors of participating in the Goodball exercise at least once a week and for at least one month. A total of 205 questionnaires collected for 51 days from April 3 to May 13, 2023 were finally analyzed for the survey. Statistical processing of the data was performed using the program of SPSS 29.0, such a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d validity analysis,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quality of life and psychological happiness according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women, the participation period of Goodball exercise for 6 to 12 months or longer affects the quality of life and psychological happiness, and also the number of Goodball exercise It was found that regular exercise within a range that is not excessive was necessary. Second, among middle-aged women's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the Goodball exercise, intrinsic motivation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factor, and participation in the movement itself was found to be valuabl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easy self-exercise in daily life and increased activity positively affect self-confidence, a sub-factor of lif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happiness, which are sub-factors of quality of life, helping to establish a sense of satisfaction and generativity in middle-aged women. Third, it was found that the sub-factors of middle-aged women's participation motivation for the Goodball exercise, in the order of pleasure, health and physical strength, and mental strength,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sychological domain, a sub-factor of quality of life, and the Goodball exercise reduced pain and improved function has been shown to affect quality of life. Fourth, it was found that middle-aged women manage their bodies more by experiencing positive emotions about exercise such as joy and happiness through the Goodball exercise, and affect immersion and confidence through fellowship and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participating in the same exercise.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the Goodball exercise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and psychological happiness. It was confirmed that i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performance ability and work ability. By identifying middle-aged women's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the Goodball exercise,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provision of Goodball exercise for quality of life and psychological happiness and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