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수산계 고등학교 학생의 진로 실태 조사 연구

        김창원 위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591

        본 연구는 경북 포항시 소재 수산계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수산계 고등학교 진로 실태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 및 자료 분석을 통하여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바람직한 진로교육과 직업교육의 방안과 내용을 제시하여 진로지도에 효율성을 높이는데 목적을 두었다. 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관과 의식 구조를 조사한 결과, 직업이 생계의 수단을 위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고, 학년이 높을수록 이에 대해 높은 인식을 보였으며, 심신의 건강이 인생의 최고 가치라고 응답하였다. 또 여가 시간이 많은 직업이 가장 좋은 직업이라고 인식하였으며, 자신이 원하고 있는 직업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4년제 대학교의 학력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고,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1학년이 2, 3학년보다, 전자통신과 학생이 다른 학과의 학생보다, 성적이 상인 학생이 중, 하인 학생보다, 부모님의 평균 소득이 상인 학생이 중, 하인 학생보다 이에 대해 높은 인식을 보였다. 둘째, 직업 가치관 형성 요인을 조사한 결과, 학생들은 장래 직업에 대하여 많은 생각을 하였으며, 해양생산과 학생이 다른 학과의 학생보다 장래 직업 선택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장래 직업 선택 시기는 고등학교 입학 후라고 가장 많이 응답하였고, 3학년 학생과 성적이 높은 학생이 이에 대해 높은 인식을 보였다. 장래 직업으로는 기타에 응답한 학생이 가장 많았고, 남학생, 동력기계과·자영수산과 학생, 성적이 하인 학생 그리고 부모님의 평균 소득이 하인 학생이 다른 학생보다 이에 대해 높은 인식을 보였다. 직업 선택을 위한 상담은 부모·형제 혹은 선배·친구와 많이 하였으며, 남학생과 학년이 낮을수록 부모·형제와 직업 선택을 위한 상담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 선택 동기 및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수산계 고등학교 지원 시 전공학과 교육 내용에 대해 잘 알지 못했던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품가공과 학생들과 부모님의 평균 소득이 상인 학생이 전공학과 교육 내용에 대해 좀 더 알고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수산계 고등학교 진학은 선생님의 권유로 선택한 학생이 가장 많았으며, 학년이 높을수록 그리고 자영수산과 학생이 이에 대해 높은 인식을 보였다. 또 학교 성적이 부족하여 수산계 고등학교에 진학한 학생이 가장 많았으며, 전자통신과 학생이 이에 대해 높은 인식을 보였고, 진학 만족 이유는 내신 성적으로 진학이 쉬워서, 불만족 이유는 적성에 맞지 않아서가 가장 많았다. 수산계 고등학교에 진학했기 때문에 전공학과를 선택한 학생이 전공학과를 선택하기 위해 수산계 고등학교에 진학한 학생보다 훨씬 많았으며, 학년이 높을수록 이에 대해 높은 인식을 보였다. 넷째, 장래 진로 선택 성향을 조사한 결과, 졸업 후 진로를 아직 결정하지 못한 학생이 많았으며, 성적이 낮은 학생과 부모님의 평균 소득이 낮은 학생이 다른 학생보다 졸업 후 진로 계획에 대해 아직 결정하지 못한 학생이 많았다. 하지만 졸업 후 진학을 원하는 학생이 취업을 원하는 학생보다 조금 높게 나타났으며, 진학 이유는 더 나은 직업을 갖기 위해서, 취업 이유는 공부에 흥미가 없기 때문이라고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또 학교에서 교사와 진로상담을 별로 하지 않았으며, 자영수산과 학생과 부모님의 평균 소득이 높은 학생이 다른 학생보다 학교에서 교사와 진로 상담을 많이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 학교에서의 진로 정보 제공에 대해서 그다지 만족하지 않았으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학년이 낮을수록, 해양생산과 학생이 다른 학과의 학생보다 학교에서의 진로 정보 제공에 만족하였다. 사회에 요구하는 사항으로는 진학 기회를 확대해야 한다고 인식하는 학생이 가장 많았으며, 3학년 학생과, 해양생산과 학생, 성적이 높은 학생 그리고 부모님의 평균 소득이 중인 학생이 이에 대해 높은 인식을 보였다. 이상의 조사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직업이 생계의 수단을 위해 필요하며, 심신의 건강이 인생의 최고 가치라고 인식하는 것을 볼 때, 대체로 건전한 직업관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자신이 원하고 있는 직업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4년제 대학교의 학력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보였고, 수산계 고등학교 졸업 학력에 대한 사회적 평가에 대해서도 그다지 긍정적으로 인식하지 않았다. 이것은 우리 사회의 인문계 고등학교 선호 사고 방식과 직업에 대한 편견이 학생들의 사고에 그대로 반영되고 있으므로, 수산계 고등학교 학력에 대한 우리 사회의 인식이 변해야 하며, 직업을 올바르게 바라보는 사회적 노력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둘째, 학생들은 장래 직업에 대해서는 많은 생각을 하고 있었으나, 직업 선택의 상담은 주로 부모·형제나 선배·친구와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진로상담 교사의 체계적인 진로 지도와 수시로 상담할 수 있는 제도가 마련되어 활성화되어야 한다. 셋째, 수산계 고등학교 진로 선택 시 선생님의 권유에 의해 결정하였고, 진학 동기는 학교 성적이 부족하기 때문이며, 전공학과의 교육 내용에 대해서는 제대로 알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학생들이 자신의 적성, 흥미, 장래의 희망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 진학할 수 있도록 중학교 때부터 체계적인 진로 지도가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졸업 후 진로를 아직 결정하지 못한 학생이 많았으며, 학교에서 교사와 진로 상담을 별로 하지 않았고, 학교에서 제공하는 진로 정보에 대해서도 그다지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서, 폭넓은 진로 정보 자료의 제공과 홍보 활동을 전개하여야 하며, 학생들이 스스로 직업 세계에 대하여 올바르게 이해하고 합리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진로 지도가 강화되어야 한다. This study applies to the fisheries high school students in Gyung sang buk do for investigating the students' actual conditions of direction in life. This study focuses its purpose upon promoting efficiency of guidance counseling by present actual condition and problem.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Students regarded vocation as a tool for living and they think that sound body and mind is the most valuable thing in life, and the vocation with more free time is better. Moreover, to get a job that they want, they should go academic university. In this view, boy students, higher grade students, and students whose family income level is high shows more recognition. 2) Students thought about future job a lot and especially marine production department students have positive attitude. In the proper time to choose the future job, most of students responded it is after the entrance to high school and 3rd grade students shows more recognition in it. In the future job, boy students, power mechanical engineering department self managing fishery department students, have a small family income students showed more recognition in it. And many students consulted with their parents, brothers, or friends about choosing job, and boy students and low grade students. 3) The motive for choosing the major, students didn't know well about the curriculum of their major before entrance, seafood processing department students and students whose family income level is high understood more about it. And the main reason for applying the fisheries high school was canvass of the teacher and second was a junior high school record. And they satisfied with the entrance because 'it is easy to enter the academic university with their high school records', on the other hand, the reason of dissatisfaction was 'their major is not suit their aptitude'. And many students selected their major because they entered the fishery school. 4) Many students have not yet decided what to do after graduation and students whose family income level is low and students who have a low grade tend to do it. The number of students who want to get into the academic university after graduation were a little bit more than who want to get a job. The reason of entrance was to get a better job and the reason of getting a job was that they were not interested in study. And they didn't consult with teachers about guidance counseling but self-managing fisheries department students and students whose family income level is high tend to consult with teachers. While girl students, low grade students and Marine production department students were relatively satisfied with the information from school, many students did not satisfy with it. And also they thought that the opportunity to get into the academic university should be expanded and 3rd grade students and students who have high grade students and students whose family income level is medium were show more recognition in it. The facts stated above result in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the responses that the vocation is needed for a living and sound body and mind is the most valuable thing reflect students' sound onlook on the vocation. But they thought academic background is needed to get a job that they want and they didn't show too much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evaluation of society about fishery high school career. This reveals the preferences of academic high school and the biased view of jobs in our society. So we have to get a new mind about the academic attainment of fisheries high school graduates and, also we should change the view of jobs. Second, students think of their future job a lot, but they get guidance counseling from a friends, parents, senior. So, it is necessary to activate the system to help students getting counselling with professional guidance teacher. Third, many students selected the major by the canvass of the teacher and it was because of lacking of school records, moreover, they didn't know the curriculum of their major fully. So, systematic direction guidance which enables students to choose their direction according to their ability, interest, and aptitude should be established. Fourth, though many students have not yet decided what to do after their graduation, they rarely try to get a guidance counseling with teachers and dissatisfy with the informations from school. Therefore, publicity activities should be strengthened and direction guidance should be intensified so that students can rational selection in their direction in life.

      • 企業會計와 說務會計의 差異調整에 관한 硏究

        김종섭 위덕대학교 경영대학원 2000 국내박사

        RANK : 248591

        The purpose of business accounting is to provide the users with useful and appropriate information about the financial status of the business corpo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lly accepted accounting principles. In contrast, tax accounting is intended to calculate the taxable income of the business corporation according to the regulations of tax laws so that the government can impose and collect the taxes fairly and accurately. That is, business accounting and tax accounting practices have been developed for different purposes and user groups. To avoid the confusion and inconvenience caus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accounting practices, it is desirable to narrow the gap between both practices through balanced development. If either of the two is dominated by the other in the adjustment process, then one may not serve its purpose and function properly. For example, if the tax accounting is biased toward the business accounting, it will not fully serve its purpose because the business accounting will not completely reflect the principles of tax legalism and fair taxation. Likewise, if the business accounting is biased toward the tax accounting, inappropriate financial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users, and it will also fail to achieve its purpos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ek for the ways to adjus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accounting practices so that their respective purposes and functions can be fully served. With this in mind, this study suggests several ways to adjust the difference between the business accounting and the tax accounting practices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where differences arise because the tax accounting practice does not accept the accounting processes acceptable according to the standards of business accounting practice, the tax laws must accept the standards of business accounting practice. The reason is that the business accounting practice has more general purpose and is more systematically and consistently structured than the tax accounting practice. Second, in the case where the permanent difference between the business accounting and the tax accounting practices arises primarily because the revenues or expenses recognized by the standards of business accounting in calculating the income before tax of the business corporation are not taken account of by those of the tax accounting, or vice versa,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effect of such difference on the taxable income empirically, and then to alleviate the restrictions set by the tax laws i( the effect is insignificant. Third, for the items to be accepted as expenses under the tax laws only if those items are appropriated as expenses by the management through accounting settlement, it is necessary to seek for the measure by which both the business accounting and tax accounting practices treat those items identically. Fourth, it is suggested that establishment and revision of the standards of business accounting and tax accounting practices should be made by a joint committee made up of all the interested parties including practitioners, academicians, etc., rather than by the government. In this way, an in-depth study of the critical issues such as the introduction of new accounting system can be done beforehand by the committee so that the relationship of both accounting practices will not only be settled, but their long-term development will also be guaranteed. Fifth, for the adjustment of the tax accounting records arising out of discrepancy between the business accounting and tax accounting practices, the items to be adjusted and their amount should be legally required to be announced to the public. This will make it possible not only to provide the user groups with more useful information, but also to pave a ground for analyzing the actu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accounting practices.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focused on analyzing the overall difference between business accounting and tax accounting practices, thus bypassing the detailed investigation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accounting practices and the empirical analysis. In future study, therefore, it is desirable not only to analyze in detail the difference between those two accounting practices item by item, but also to perform the systematic study so that the two accounting practices can achieve their respective purposes and can be further developed in harmonic way.

      • 중학생의 학교생활 및 학교환경 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용택 위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591

        본 연구는 중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 및 학교환경만족도를 조사·분석함으로써 학생들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기 위한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조사 분석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를 조사·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대체로 학교생활에 대해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학년이 낮을수록, 읍면지역의 학생보다 시지역의 학생들이 학교생활 만족도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생활 만족도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부정적으로 인식하였는데, 이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고교 진학에 따른 심리적 부담감과 자아정체감이 확립되면서 자신의 욕구가 충족되지 못하는 학교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불만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학생들이 학교생활에서 욕구를 충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학생, 교사, 학부모의 의견을 종합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학생 개인의 잠재능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다각적이고, 통합적인 프로그램이 실질적으로 적용되었을 때, 즐거운 학교생활이 이루어지리라고 생각된다. 둘째, 중학교 학생들의 학교환경 만족도를 조사·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자신의 교우 관계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중 학생이 남중 학생과 남녀공학 학생보다 좀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수업과 학습 환경에 대해서는, 대체로 만족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남녀공학 학생이 여중 학생과 남중 학생보다, 3학년 학생이 1학년 학생보다, 읍면지역 학생이 시지역 학생보다 좀 더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오늘날 현장의 추세가 남녀공학으로 가고 있는데 반해, 남녀공학 학생이 수업과 학습 환경에 대해 가장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은 심각한 사태가 아닐 수 없어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된다. 1학년에 비해 3학년 학생이 수업과 학습 환경에 대해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이유는 고등학교 입시 반영이 내신 성적 위주로 이루어지며 3학년 성적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오는 부담감이라고 보여진다. 또 시지역 보다 읍면지역이 수업과 학습 환경에 대해 다소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학생이 많음으로, 읍면지역 학생에 대한 차별화 된 교수-학습 방법이 모색되어야 한다. 선생님들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다소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3학년 학생이 1학년 학생보다 좀 더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교사가 학생을 인격체로서 존중하고 교실이 정서적, 인지적 기능을 발휘하도록 해야 하며 무엇보다 교사와 학생의 '인간적 관계'를 회복해야 함을 시사해주고 있다. 교실 분위기에 대해서는, 대체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시지역 학생이 읍면지역 학생보다 좀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복지 시설에 대해서는, 다소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3학년 학생이 1학년 학생보다 좀 더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 복지 시설 및 환경 조성에 있어서, 학생들의 건강을 유지하거나 체력을 연마할 수 있는 방안이 적극적으로 모색되어야 하며, 이에 따르는 노력과 과감한 투자가 국가적인 차원에서 필요하다 하겠다. 학교 주변 환경에 대해서는, 대체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학생 스스로 긍정적인 견해를 갖고 있다는 것은 매우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본다. 이상의 조사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학생들은 대체로 학교생활에 대해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지만 학년이 올라갈수록 부정적으로 인식하였으므로, 학생들이 학교생활에서 욕구를 충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학생, 교사, 학부모의 의견을 종합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학생 개인의 잠재능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다각적이고, 통합적인 프로그램이 실질적으로 적용되어야 한다. 둘째, 학생들은 교우 관계, 교실 분위기, 학교 주변 환경에 있어서는 대체로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며, 수업과 학습 환경, 선생님들과의 관계, 학교 복지 시설에 대해서는 다소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오늘날 현장의 추세가 남녀공학으로 가고 있는데 반해, 남녀공학 학생이 수업과 학습 환경에 대해 가장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서 심각한 사태로 보여지며 이에 대한 대책에 요구되고, 시지역 보다 읍면지역의 학생이 다소 부정적이므로, 읍면지역 학생에 대한 차별화된 교수-학습 방법도 모색되어야 한다. 또 선생님들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다소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것은 교사가 학생을 인격체로서 존중하고, 교실이 정서적, 인지적 기능을 발휘하도록 해야 하며, 무엇보다 교사와 학생의 인간적 관계가 회복되어야 함을 시사해준다. 학교 복지 시설에 대해서도 다소 부정적으로 인식하였으므로, 시설 투자에 따르는 노력과 과감한 투자가 국가적인 차원에서 필요하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sult of investig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life and their school environment satisfaction. this study is designed(is aimed at) to provided the basic materials of solving their school problems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ir fundamental desires about their school life and environmental satisfaction. The results of above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about contentment of school life says that most of middle school students are satisfied with their school life and environmental situation. And it also shows that the students who live in rural area have more negative attitude that the ones who live in a city. And the students' grade is getting higher, the satisfaction to school life and environment is getting lower. it is because of the mental burden about the entrance of for high school. It is also because of their discontentment to the simple and general school educational programs and lacking of identity.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e various, practical and unified school programs to provoke each student's potential abilities. This kind of programs will help the students to enjoy their school lives better. Second, the study of contentment of school environmental situation says that; most of students have good and positive relationship. Girls have more closer relationship than the boys and co-ed school students have also more positive attitude that the ones in girls' school or boys' school. Regarding the lessons and learning environment, most of students seem not to be satisfied. The co-ed, urban and the third grade students have more negative recognition than the ones in boys', girls' and rural school students. As you know, it is current educational tide that the proportion of co-ed school is getting higher and higher but the proportion of contentment of the lessons and learning environments is lower. This is very serious and we have to strongly pay attention to this regard. And also, we have to consider more practical and possible counterplans. As previously speaking. the thi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have the severe mental burdens of high school entrance examinations than the lower grade students and the rural middle school students think that they live in the poor academic facilities and conditions. So, we need to develope the different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students in this area.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teachers, most of students do not think they have good relationship with their teachers. The thi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have weaker human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and them than the lower grade students. This conclusion suggests the teachers to reinforce them essential quality; to respect students as independent human beings, to make the classrooms emotional and cognitive places and to recover "human and mortal relationship" between the students and teachers. With the classroom mood, most of students are positive. About the school welfare facilities the senior and girl's middle school students are somewhat dissatisfied with them in comparison with the junior and boy's middle school students. Our government should invest financial investment to activate the students healthcare and physical training in relation to school welfare facilities. In the long run, one of the best way to satisfy the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life and learning environment is to revise the present entrance exams to invest much money in school welfare fac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