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중 대학간 국제교류 활성화 방안 연구

        공동휘 우송대학교 경영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한국과 중국은 지리적 접근성, 문화의 유사성, 한류열풍 등 많은 문화교류와 대학의 교류를 통하여 동반자 협력관계를 구축하였다.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18년의 짧은 기간에도 불구하고 양국 정상간 교류는 물론 고위급 인사 교류를 통하여 실제적인 교류를 확대하고 있다. 대학의 국제화에 따라 한·중 양국 대학들의 국제교류 및 협력은 전례 없는 수준에 도달하였다. 양국 대학들의 자매결연과 교류규모 및 영역이 양국 수교 전에 비교하면 많이 풍부하며, 자매결연, 학생 및 교수 교류, 학점교류, 복수 학위제 운영, 공동프로그램 개발 등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중 대학 간 학생교류 위주의 국제교류 현황을 알아보고 양국 유학생들이 상대방 국가에서 유학할 시 문제점에 대한 연구해서, 그에 대한 극복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한국 우송대학교의 국제교류의 사례를 연구하여 한·중 대학 간 자주 볼 수 있는 국제교류 방식을 파악하고 향후 한·중 양국 대학 간 국제교류 더 증진시키고 그것을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은 한국 및 중국 고등교육 국제화, 특히 양국 고등교육 국제교류 및 협력 관련 서적과 석박사논문, 양국정부 및 연구기관 통계자료, 연구기관의 조사보고서, 단행본, 인터넷 등의 자료를 수집 활용하여 고찰하였다. 그리고 사례분석 부분의 작성에 있어서는 대학교 국제교류 관계자를 직접 인터뷰하였다. 현재, 중국에서 한국으로 가는 중국 유학생의 수가 점점 많아지고 있을 뿐 아니라 한국에서 중국으로 유학 오는 한국 유학생도 최근 몇 년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1992년에 1,989명에 불과하던 한국 내 중국유학생은 현재 중국유학생은 44,746명으로 70%의 비율로 한국 내 외국인유학생 수의 제1위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 내에 한국유학생의 경우 역시6년간 연속 1위를 차지하며, 가장 높은 유학생 비율을 나타났다. 이로써 한·중 대학의 국제교류, 특히 학생교류는 굉장히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한국 우송대학교의 국제교류 사례를 연구하여 그 국제교류의 주요내용을 분석하며 시사점을 나타났다. 먼저, 대학 간의 국제교류는 경영자가 적극성과 선진화 의지를 가지고 있다. 그 다음에 다양한 홍보수단을 활성화 시킨다. 그리고 우수한 교수진 및 시설을 확보한다. 마지막으로 대학 간의 프로그램을 활성화시키고 개발 및 운영한다. 한·중 양국 대학 국제교류를 더 활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활성화 방안을 도출한다. 먼저, 양국 간 학생들이 상대방 국가에서 즐겁게 공부 및 생활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학생의 육체적·정신적·사회적·정서적인 안정을 통해 지역사회 적응의 필요 등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그리고 국제교류 관련부서의 체제강화, 자매결연 및 프로그램 개발 활성화, 홍보의 강화, 장학제도 개선, 유학생 관리방안 개선, 문화 체험활동 확대, 정부초청 중국 유학생 장학 사업, 그리고 중국유학생 비자발급절차 및 체류제도 개선 등 방범을 활용하여 양국 대학 간의 국제교류를 증진시켜다.

      • 관광 참여동기와 문화 적응 스트레스 및 대학생활 적응 관계연구 : 재한 중국유학생을 중심으로

        서우가 우송대학교 경영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주로 관광 참여동기와 문화 적응 스트레스 및 대학생활 적응 간의 영향관계를 검증하여 파악함으로써 앞으로 유학생들의 유학기간 문화 적응 스트레스를 개선하기 위해 대학생활에 더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아래와 같은 연구를 진행하였다.

      • 철도산업 글로벌 인재양성 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 철도분야 산·학·인재양성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이태구 우송대학교 철도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07

        This report compares cases of comprehensive human resource training system of government departments, industrial field, scholar field, research institute, etc, in terms of cultivating global railway professionals needed to enter into overseas rail market, in the long term. This is to suggest the plan for establishment of organized human resource cultivation system, which is need for ultimate goal of successful participation in overseas rail projects. I hope that this report would be a cornerstone for Korean rail companies to actively enter global rail market, by contributing to establish systematic method for cultivating global professionals in rail industry.

      • 기존선 고속화를 위한 전차선로 시스템 개선에 관한 연구

        이학표 우송대학교 철도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07

        철도는 도로 등 타 교통수단에 비해 속도에서 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해 수송 분담율이 저조한 ----- 중략

      • 커피 바리스타 교육서비스 품질이 교육만족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참여동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향미 우송대학교 글로벌외식조리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07

        우리나라에서의 커피문화는 21세기에 들어오면서 남녀노소 연령층에 제한 없이 모든 연령대에서 큰 관심이 생겨나게 되고, 이러한 관심은 단순히 커피 한 잔에서 커피를 산업화하는데 이르렀다. 커피산업의 급격한 성장의 그 중심에는 공중파를 통해서 알려진 커피의 붐을 일으킨 바리스타라는 이름의 직업이다. 이러한 바리스타(Brista)의 유래는 이탈리아에서 시작된 언어로 바(Bar)에서 고객에게 서비스하며, 머신을 관리하고 에스프레소를 추출하는 바맨(Barman)에서 생성된 용어로 쓰이고 있다. 이러한 바리스타는 에스프레소 머신을 사용하여 커피를 추출하고 우유 및 각종 소스, 시럽 등을 사용하여 음료를 만들고 서비스하는 사람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리고 보편적으로 에스프레소 커피를 바탕으로 라떼아트(LatteArt), 커피의 품질 및 종류, 커피 로스팅, 커피 관련 기구 및 장비관리 등 커피에 대한 수준 높은 커피 추출과 서비스에 대한 전문 지식 및 경험, 능숙함을 바탕으로 고객이 원하고 바라는 서비스로 커피를 제공하는 것이다(김미향, 2015). 그동안 우리나라의 커피는 인스턴트커피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고, 돈을 지불하고 커피를 공부한다는 것을 그 당시 상식으로 납득하지 못하였다. 커피를 공부하는 사람들에 대한 긍정적인 시선은 커피의 소비가 증가되면서 조금씩 변화하기 시작하였다. 원두커피와 인스턴트커피의 불균형적인 구조를 갖고 있는 국내의 커피산업에서 원두커피의 변화는 2006년 하반기를 기점으로 감소되던 커피 프랜차이즈가 다시 살아나기 시작했으며, 소비자의 원두커피에 대한 인식이 점차 높아지게 되었다. 또한 영상매체에서 커피를 추출하고 볶는 사람들에 대해 방영되면서 바리스타라는 직업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높아지게 되었다. 이를 시작으로 커피와 관련한 관심도 늘어나 커피를 배우려고 하는 사람들이 늘면서 사회·평생교육원 아카데미가 생겨났고, 2004년에는 우리나라 최초로 커피 바리스타 학과를 도입한 전문대학이 등장하였다(월간커피, 2007). 김미향(2015)의 연구에 따르면 커피 소비의 급증에 따른 커피산업의 급속한 성장은 커피와 관련된 새로운 직업군인 바리스타(Barista), 커피 로스터(Coffee Roaster), 향미 평가사(Cup Sensory), 생두 판매자(Green Coffee Buyer), 카페 컨설턴트(Cafe Consultant), 에스프레소 머신 판매자(Espresso Machine Engineer) 등의 새로운 직업을 탄생시켰다. 이러한, 커피 바리스타의 관심은 커피를 알고자 하는 교육으로 이어지면서사설 아카데미, 학원, 사회·평생교육원 등에 전문적으로 커피교육 관련한 강좌가 개설되었고, 이후 커피 관련 학과가 생겨나기 시작하여 현재는 전문 직업인의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직업전문학교, 전문 및 4년제 대학교, 대학원에서도 커피와 관련된 과목이 개설되기 시작하였다(정인성, 2018).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보면 커피산업에 있어서 커피교육은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며 바리스타가 전문직으로 인식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커피 시장은 경제산업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교육적· 학문적· 문화적인 측면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되어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꾸준히 증가하는 커피시장은 앞으로 더욱 확장되고 세분화 되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커피산업 발전에 발맞추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교육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실무에서 필요한 자질을 전문적으로 교육하고 기본적인 이론과 더불어 로스팅과 다양한 추출방법을 통한 기술을 배우고 트랜드에 맞는 실무교육이 중요하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현재 커피에 관련된 선행연구들은 최성임(2011)의 커피전문점 방문수요의 결정요인분석, 김영주(2015)의 커피전문점의 서비스 스케이프, 인적서비스와 고객만족, 점포 이미지, 재방문 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등으로 커피시장에 관한 연구가 가장 활발하였고 송호석(2016)의 생두의 가공법과 로스팅에 따른 커피 관능 특성연구, 박진영(2013)의 커피생두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항산화성 및 품질특성에 대한 연구 등의 커피의 성분에 관련한 연구 등이 주를 이루었다. 커피교육의 중요성이 점차 부각되면서 채선영(2011)의 직업전문학교 커피 관련 전공 교육서비스 품질이 학생만족도와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정창희(2014)의 대학의 바리스타 교육프로그램이 만족도 및 직업 선택에 관한 연구, 김진영(2017)의 바리스타 학원의 교육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도와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등 바리스타 교육서비스와 관련된 연구 등으로 다방면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은 이러한 바리스타 교육서비스에 관한 연구들은 국·공립 교육기관인 고등학교나 대학 등의 교육과정에 대한 서비스 품질의 연구가 대부분으로 이외의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하고 있는 평생교육기관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현재 미비한 실정이다. 기존의 연구들이 대학이나 직업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자의 만족과 교육서비스 품질의 관계, 학생만족도와 학습성과의 관계 등을 다루었는데 이러한 연구들을 바탕으로 좀 더 확장하여 모든 연령층에 교육의 기회가 제공되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하는 평생교육기관의 다양한 연령대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교육서비스 품질의 질적 향상을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서비스 품질, 교육만족도 및 행동의도, 학습자들의 참여동기 등의 구성개념 간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학습자들의 커피 바리스타 교육서비스 품질의 향상과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실증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연구를 통해 평생교육기관의 향후 질적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교육적인 환경조성, 제도적이고 체계적인 운영 등에 대한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대학가 활성화를 위한 가로환경디자인

        최근하 우송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07

        Recently the Campus street located in Daejeon city commercialized rapidly have been lost its own identity without a specific action plan. Based on this situation the aim of this paper is to propose for the street environmental design improvement method which maintains the appropriate balance between the campus culture and the commercial street. The method of this study is the architectural and sociological research complex methods ; the basic theory study, the physical condition investigation and the user questionare surveys. Through a basic theory study of the papers which relates with a street environmental design, the research process and the analysis frame for this paper were concluded. As a results of physical analysis of the existing Daejeon city campus streets, the Jayang street in Dong-gu was selected the research site as a standard location in Dajeon city. The user questionary survey led to a campus street activation plan ; university culture contents activation and university brand marketing. The above three differnet analysis results were combined and concluded the goal of this research, the campus street environmental design improvement alternative. After the conformation of the above alternative applied to Jayang street, the improvement method of street environmental design the activation of campus street is proposed as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 the first - the public financial support system must be prepared for a street environmental improvement, the second - the building elevation area have to be keep as a visual background which is not infringed sign advertisement, the three - the street environmental facilities' image have to be designed integratedly.

      • 조리전공 대학생의 경력개발역량과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정체감 연구 : 일반적 특성과 이력 특성을 중심으로

        임현우 우송대학교 Culinary-MBA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07

        우리나라에서 대학 진학은 취업 및 성공의 지름길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취업난이 심각해지면서 더 이상 대학교 졸업이 취업의 발판이 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우리나라 입시체제로 인하여 전공 선택 전 진로에 대한 탐색이 부족하며, 전공 선택 후에도 진로에 대한 확신을 갖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조리전공 대학생들에 대한 진로와 관련된 충분한 연구 없이 교과과정위주의 연구와 개선이 진행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조리전공 대학생의 경력개발역량과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정체감을 규명하여 조리전공 대학생의 효과적인 진로지도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목표는 조리전공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 및 이력 특성에 따른 경력개발역량, 진로결정수준, 진로정체감의 차이를 규명하고, 조리전공 대학생의 경력개발역량과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정체감 간의 관계를 규명하며, 경력개발역량이 진로결정수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 전공영어수업 참여 유무에 따른 외식조리교육서비스품질, 교육만족 및 전공몰입간의 관계 연구 : 대전W 외식조리대학 사례중심으로

        김현준 우송대학교 글로벌 외식조리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07

        현대에 들어 인터넷과 매스컴의 발달로 인해 학생들은 외식조리에 관련한 다양한 정보들을 접할 수 있고, 자가발전을 위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하고, 시대에 맞는 트렌드 한 교육을 받기를 원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국가적인 정책차원에서 교육의 다양성이 이루어져야 하고 대학에서는 국가정책에 맞는 경쟁력 있는 학생들을 배출하기 위해선 현대에 맞는 시설 및 교육프로그램, 학습자가 원하는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교육서비스품질프로그램, 전문지식을 갖추고 있는 교수 및 강사진을 구축하여 학생들이 현장에서의 적응력을 습득하고 취업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렇기에 현 시대에 맞는 외식조리교육서비스 품질에 관련된 연구는 지속적으로 늘어나곤 있지만, 점점 변화되어가는 현장 외식조리 산업의 발달과 이에 맞는 학생들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외식조리교육서비스의 발전, 그리고 학생들의 교육만족도 및 전공에 대한 몰입도 에 관련된 지속적인 연구들이 필요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고 볼 수 있다. 한편, 21세기 국제화·세계화 시대에 발맞춰 영어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고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따라 국내대학에서도 영어전공강의(English Medium Instruction)가 증가하고 있다. 교육문화가 지식기반 사회로 변화해 가고 글로벌을 지향함으로서 대학의 개혁과 혁신, 국제화를 위해 세계 각국들은 많은 지원을 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우리나라도 외국인 유학생 및 우수 교원의 유치를 통해 국내 대학의 국제 경쟁력의 제고를 위한 노력을 하고 있으며 국내 대학생들의 영어실력 향상 및 국제화 소질 함양을 목표로 국제적인 교육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고, 조리대학 또한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 서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행하는 전공영어 외식조리교육에 관련된 연구사례는 매우 미비한 상황이며, 이에 관련한 연구가 필요 하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외식조리교육서비스품질이 학생들의 교육만족과 전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하고, 전공수업을 영어로 듣는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 간의 차이를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여 집단 간의 차이점을 고찰 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대전지역 조리대학 학생들을 중심으로 Google form을 이용한 온라인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실증분석을 위해 채택된 유효표본의 내용을 바탕으로 SPSS 26.0 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단순회기분석, 다중회기분석, 그리고 독립표본 T-검정분석을 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식조리교육서비스품질이 교육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 이라는 가설 중 하위가설의 유형성, 신뢰성, 확신성, 공감성이 정(+)의 영향으로 부분채택 되었으며, 반응성은 영향성이 없다는 회기분석 결과로 외식조리서비스품질 변수의 일부요소만 부분 채택 되었다. 둘째, 외식조리교육서비스품질이 전공몰입에 영향을 미칠 것 이라는 가설 중 하위가설의 유형성, 신뢰성, 확신성, 공감성이 정(+)의 영향으로 부분채택 되었으며, 반응성은 영향성이 없다는 회기분석 결과로 외식조리서비스품질 변수의 일부요소만 부분 채택 되었다. 셋째, 교육만족이 전공몰입에 영향을 미칠 것 이라는 가설은 회기분석 결과 정(+)의 영향으로 채택 되었다. 넷째, 전공영어수업 참여 유무에 따른 외식조리교육서비스품질, 고육만족, 전공몰입 간의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전공영어수업을 참여하는 집단과 전공영어수업을 참여하지 않는 집단으로 분류하고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하여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전공영어수업 참여 유무에 따른 외식조리교육서비스품질, 교육만족, 전공몰입간의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모두 전공영어 참여 집단이 참여하지 않는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대학의 조리시설, 교육과정프로그램이 학생들의 교육만족과 전공몰입도 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고 교수가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정보들이 학생들에게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더하여 교육 이외에 교수가 학생들에게 편안함을 제공하고 학생들의 입장을 고려하여 교육에 임한다면, 학생들의 만족도가 상승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는 교수와 학생이라는 교육자, 학습자의 단순한 관계를 넘어서 직업군의 선배, 멘토 라는 관계를 형성하여 학생들과 격이 없는 대화를 하고 학생들에게 미래를 제시하기에 앞서 학생들을 생각하는 과정에서 무조건 적인 편의, 신뢰 보다는 관심과 냉정한 비판을 동시에 해주는 관계를 형성하여 학생들 스스로 미래를 잘 준비할 수 있는 냉철한 조언과 관심이 동시에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고 학생들이 미래의 사회 구성원으로서 성장할 수 있는 조언자 역할을 해줌으로써 대학과, 교수, 학생들과의 신뢰도와 대학의 성장을 동시에 이루어 낼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가 있다. 또한, 시대가 글로벌화 되어가고 외식산업, 외식조리교육 또한 글로벌화 되어감에 따라, 대학에서는 시대의 흐름에 맞추어 보다 경쟁력 있는 교육을 지향하게 되고 학생들 역시 그 흐름에 반응하고 있다. 연구결과를 통해 학생들은 전공영어수업을 진행하는 학과에 대한 기대감이 큰 것으로 알 수 있고, 글로벌 교육을 통해 본인들의 향후 진로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 이란 기대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글로벌 교육을 통해 학생들은 국내뿐 아니라 해외진출의 기대감을 가지게 되고, 단순한 영어교육의 틀을 벗어나 외식조리인 으로서의 전문적인 교육의 제공, 영어수준의 향상 등을 모색할 수 있을 것 이란 기대가 크다. 이에 대학은 단순히 영어로만 수업을 하는 것의 영역을 탈피하고, 세계화 수준에 맞는 영어조리교육, 현대사회에서 지향하는 국내외 외식조리 트렌드 실태에 맞는 교육을 준비하고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것이 학생들 분 아니라 대학의 미래를 위한 초석에 큰 역할을 할 것이라 사료된다.

      • Voice, its Perception, and the Possibilities for Negotiation in a Korean TESOL Graduate School Program

        Kang, Sue-Young 우송대학교 TESOL-MALL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07

        영어의 필요성이 고조된 오늘날 영어 교육에 대한 열정과 영어를 익히려는 학생들의 열의는 어떤 다른 분야의 교육에 비해 대단하다 할 수 있다. 이런 현상은 비단 한국 내에서만 일어나는 현상은 아니요 거의 전 세계적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왜 영어가 전세계적인 언어로 쓰이게 되었나 하는 역사적 배경을 설명하려면 영국식민지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야겠지만, 영어가 광범위하게 전세계적으로 정치, 경제, 그리고 기술분야의 의사소통을 위한 매개로 널리 쓰이게 된 역사가 겨우 반세기라는 것을 알면 더욱 놀라게 된다. 그리고 그 반세기 동안에 영국 영어가 아니라 미국 영어가 압도적으로 우세를 보이면서 영어를 배우려는 사람들에게 미친 영향 또한 막대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과연 이런 영어에 대한 과열 현상은 또 다른 미국 식민주의적 경제 논리로 이어진다는 지적이 있을 뿐만 아니라 미국 문화에 대한 지나친 우상화와 자문화 혹은 힘 없는 문화에 대한 배척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이런 일련의 과정에서 개개인의 학습자와 영어 교사에게 미치는 정체성의 문제 또한 간과 할 수 없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개인을 둘러싸고 있는 사회의 힘의 논리가 그 사회의 제도 및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치고 그리고 그 안에 속한 개인은 또한 그 결정된 정책과 그 사회의 가치체계에 영향을 받아 개인의 발전 목표가 설정되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한국에 있는 한 TESOL 대학원에서 영어 원어민과 영어 비원어민의 정체성 및 자신의 소리에 대해 어떻게 받아들이고 인식하는지를 조사했다. 교육현장에서 영어를 가르치고 있고 앞으로도 교육현장에서 일할 교육자로서 원어민과 비원어민이 자신과 함께 공부하는 대학원 동료들의 정체성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스스로 그려보는 자신의 이미지는 어떠한지, 서로를 어떠한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는지에 대해 조사했다. 연구자 역시 같은 대학원의 학생이며 사교육현장에서 일을 하고 있으므로 연구자 자신 역시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이 연구를 통해 자신이 그리고 있는 스스로의 이미지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이 그리는 자신의 이미지와 서로의 이미지를 들여다보고 어떤 이유로 현재의 이미지를 갖게 되었는지를 다시 한번 돌이켜 봄으로서 영어 원어민과 비원어민에 대한 왜곡된 고정관념을 탈피하고 영어교육이 나아갈 길에 대해 되돌아보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With the widespread distribution of English language all around the world, not only the desire of learning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but also the need of teaching it has been skyrocketing. In doing so, programs like TESOL graduate schools to satisfy the current English boom have been established in many expanding circle countries, and Korea is no exception. However, the distance between having to be a real good English user and teacher and being one is so far and wide and sometimes the obsession to be like native-likeness can give frustration and reduction of self-esteem to EFL learners and teachers. In this research site, a Korean TESOL graduate program, the voice of and perception of their voice of students in mixed classes- mixed classes with Korean vs. non-Koreans, native English speakers vs. non-native English speakers has been scrutinized and heard. And how to re-interpret their language proficiency and help the obsession of native-likeness alleviated, how to gain their self-esteem as graduate students and language learners and teachers and how to approach this issue pedagogically to mitigate the perceived gap of the voice have been explored. To do so, more “exploratory”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nd ethnographic interview, and self-narrative reflection as data sets have been used organically and comprehensively.

      • 대학생의 스포츠 활동 참여 형태와 대학생활 만족도

        김혜정 우송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스포츠 활동 참여 형태에 따른 대학생활 만족도를 분석하고 스포츠 활동의 효과를 파악하며 대학생활에서의 스포츠 활동의 중요성을 각인시키기 위하여 대전에 소재한 대학교를 다니는 대학생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여 대학교 내의 스포츠 관련 동아리에 참여중인 학생, 스포츠와 관련된 수업으로 참여중인 재학생 대학 내 스포츠 센터 및 운동장에서 자율적으로 운동을 하는 학생과 스포츠 활동을 참가하지 않는 학생 선정하였으며 조사도구로는 Regheb & Beard(1980)에 의해 개발된 Short Form을 근거로 강경빈(1998)에 의해서 번안된 설문지를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자료처리는 SPSS/PC 12.0 Version을 이용하였으며 빈도분석, 교차분석, -검정, 요인분석, T-test, one-way, ANOVA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은 얻었다. 첫째,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대학생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에 따른 대학생활 만족도에 차이가 있다. 즉 학년간의 사교요인에 차이가 있고, 건정 정도에 따라 휴식, 교육 요인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 활동 참여자들이 여가선용, 건강유지 및 체력증진, 체중조절 및 몸매관리, 스트레스 해소, 자아실현 ,사교 및 대인관계측면에 스포츠 활동이 효과가 있다고 응답하였으나 학업측면에서는 ‘잘 모르겠다‘라는 응답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스포츠 활동 참여 형태에 따른 대학생활 만족도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의 스포츠 활동 참여자가 불참여자보다 대학생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