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공영어수업 참여 유무에 따른 외식조리교육서비스품질, 교육만족 및 전공몰입간의 관계 연구 : 대전W 외식조리대학 사례중심으로

        김현준 우송대학교 글로벌 외식조리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1711

        현대에 들어 인터넷과 매스컴의 발달로 인해 학생들은 외식조리에 관련한 다양한 정보들을 접할 수 있고, 자가발전을 위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하고, 시대에 맞는 트렌드 한 교육을 받기를 원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국가적인 정책차원에서 교육의 다양성이 이루어져야 하고 대학에서는 국가정책에 맞는 경쟁력 있는 학생들을 배출하기 위해선 현대에 맞는 시설 및 교육프로그램, 학습자가 원하는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교육서비스품질프로그램, 전문지식을 갖추고 있는 교수 및 강사진을 구축하여 학생들이 현장에서의 적응력을 습득하고 취업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렇기에 현 시대에 맞는 외식조리교육서비스 품질에 관련된 연구는 지속적으로 늘어나곤 있지만, 점점 변화되어가는 현장 외식조리 산업의 발달과 이에 맞는 학생들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외식조리교육서비스의 발전, 그리고 학생들의 교육만족도 및 전공에 대한 몰입도 에 관련된 지속적인 연구들이 필요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고 볼 수 있다. 한편, 21세기 국제화·세계화 시대에 발맞춰 영어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고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따라 국내대학에서도 영어전공강의(English Medium Instruction)가 증가하고 있다. 교육문화가 지식기반 사회로 변화해 가고 글로벌을 지향함으로서 대학의 개혁과 혁신, 국제화를 위해 세계 각국들은 많은 지원을 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우리나라도 외국인 유학생 및 우수 교원의 유치를 통해 국내 대학의 국제 경쟁력의 제고를 위한 노력을 하고 있으며 국내 대학생들의 영어실력 향상 및 국제화 소질 함양을 목표로 국제적인 교육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고, 조리대학 또한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 서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행하는 전공영어 외식조리교육에 관련된 연구사례는 매우 미비한 상황이며, 이에 관련한 연구가 필요 하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외식조리교육서비스품질이 학생들의 교육만족과 전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하고, 전공수업을 영어로 듣는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 간의 차이를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여 집단 간의 차이점을 고찰 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대전지역 조리대학 학생들을 중심으로 Google form을 이용한 온라인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실증분석을 위해 채택된 유효표본의 내용을 바탕으로 SPSS 26.0 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단순회기분석, 다중회기분석, 그리고 독립표본 T-검정분석을 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식조리교육서비스품질이 교육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 이라는 가설 중 하위가설의 유형성, 신뢰성, 확신성, 공감성이 정(+)의 영향으로 부분채택 되었으며, 반응성은 영향성이 없다는 회기분석 결과로 외식조리서비스품질 변수의 일부요소만 부분 채택 되었다. 둘째, 외식조리교육서비스품질이 전공몰입에 영향을 미칠 것 이라는 가설 중 하위가설의 유형성, 신뢰성, 확신성, 공감성이 정(+)의 영향으로 부분채택 되었으며, 반응성은 영향성이 없다는 회기분석 결과로 외식조리서비스품질 변수의 일부요소만 부분 채택 되었다. 셋째, 교육만족이 전공몰입에 영향을 미칠 것 이라는 가설은 회기분석 결과 정(+)의 영향으로 채택 되었다. 넷째, 전공영어수업 참여 유무에 따른 외식조리교육서비스품질, 고육만족, 전공몰입 간의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전공영어수업을 참여하는 집단과 전공영어수업을 참여하지 않는 집단으로 분류하고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하여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전공영어수업 참여 유무에 따른 외식조리교육서비스품질, 교육만족, 전공몰입간의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모두 전공영어 참여 집단이 참여하지 않는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대학의 조리시설, 교육과정프로그램이 학생들의 교육만족과 전공몰입도 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고 교수가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정보들이 학생들에게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더하여 교육 이외에 교수가 학생들에게 편안함을 제공하고 학생들의 입장을 고려하여 교육에 임한다면, 학생들의 만족도가 상승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는 교수와 학생이라는 교육자, 학습자의 단순한 관계를 넘어서 직업군의 선배, 멘토 라는 관계를 형성하여 학생들과 격이 없는 대화를 하고 학생들에게 미래를 제시하기에 앞서 학생들을 생각하는 과정에서 무조건 적인 편의, 신뢰 보다는 관심과 냉정한 비판을 동시에 해주는 관계를 형성하여 학생들 스스로 미래를 잘 준비할 수 있는 냉철한 조언과 관심이 동시에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고 학생들이 미래의 사회 구성원으로서 성장할 수 있는 조언자 역할을 해줌으로써 대학과, 교수, 학생들과의 신뢰도와 대학의 성장을 동시에 이루어 낼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가 있다. 또한, 시대가 글로벌화 되어가고 외식산업, 외식조리교육 또한 글로벌화 되어감에 따라, 대학에서는 시대의 흐름에 맞추어 보다 경쟁력 있는 교육을 지향하게 되고 학생들 역시 그 흐름에 반응하고 있다. 연구결과를 통해 학생들은 전공영어수업을 진행하는 학과에 대한 기대감이 큰 것으로 알 수 있고, 글로벌 교육을 통해 본인들의 향후 진로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 이란 기대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글로벌 교육을 통해 학생들은 국내뿐 아니라 해외진출의 기대감을 가지게 되고, 단순한 영어교육의 틀을 벗어나 외식조리인 으로서의 전문적인 교육의 제공, 영어수준의 향상 등을 모색할 수 있을 것 이란 기대가 크다. 이에 대학은 단순히 영어로만 수업을 하는 것의 영역을 탈피하고, 세계화 수준에 맞는 영어조리교육, 현대사회에서 지향하는 국내외 외식조리 트렌드 실태에 맞는 교육을 준비하고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것이 학생들 분 아니라 대학의 미래를 위한 초석에 큰 역할을 할 것이라 사료된다.

      • 외식프랜차이즈의 서비스 품질 및 브랜드 이미지가 고객만족과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우철 우송대학교 글로벌 외식조리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1695

        본 연구는 외식프랜차이즈의 서비스 품질과 브랜드 이미지가 고객만족과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통하여 한국 외식 프랜차이즈업체의 마케팅전략 및 서비스 전략을 세워 고객만족도와 재방문의도를 향상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서비스 품질, 브랜드 이미지, 고객만족과 재방문의도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한 이론적 고찰을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설정된 연구모형에 따라 서비스 품질, 브랜드 이미지, 고객만족과 재방문의도의 상호영향 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천안지역의 한식 프랜차이즈 L, K 업체를 이용하는 남․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서비스 품질, 브랜드 이미지, 고객만족과 재방문의도에 대한 항목은 리커트 5점 척도로 응답하도록 하였다. 이에 본 논문의 실증적 분석결과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요약하며, 분석에 대한 연구결과와 그에 따른 시사점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 품질은 브랜드 이미지에 대부분 영향을 미친다. 신뢰성, 쾌적성, 친절성은 유형적 브랜드 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유형성, 신뢰성, 친절성은 무형적 브랜드 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 결과로 가설 H1(서비스 품질은 브랜드 이미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부분 채택되었다. 이는 신뢰성과 친절성이 높을수록 브랜드 이미지에 공통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래서 기업들은 브랜드 이미지를 고양할 수 있도록, 신선하고 영양이 균형 잡힌 음식을 저렴하게 만들어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하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이러한 외식업체의 서비스 품질 제고를 위한 노력은 브랜드 이미지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둘째, 서비스 품질과 고객만족의 관계에서는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에 대부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H2(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부분 채택되었다. 쾌적성은 유의확률이 낮아 채택되지 못하였다. 무형적 브랜드 이미지에도 유의확률이 낮았던 점을 미루어 보아, 인접 테이블과의 식사에 방해가 없이 쾌적한 식사를 할 수 있는 부분은 고객만족에 큰 영향이 없다고 판단이 되었다. 즉 고객들은 쾌적한 식사를 할 수 있는 환경보다는 간편하게 친절하고 좋은 서비스를 받을 때 만족한다고 판단되었다. 따라서 기업은 차별화된 마케팅으로 고객에게 질 좋은 서비스와 음식을 제공하고, 가격을 적당하게 하여 고객의 만족도를 효율적으로 높일 수 있다. 셋째, 브랜드 이미지와 고객만족의 관계에서는 브랜드 이미지는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명되어 가설 H3(브랜드 이미지가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채택 되었다. 이 결과는 유·무형의 브랜드 이미지는 높을수록 고객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기업은 독창적이고 차별화된 브랜드의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해, 창의적이고 세련된 이미지로 친숙성을 높이고 광고를 잘 이용해야 한다. 넷째, 서비스 품질과 재방문의도의 관계에서는 서비스 품질은 재방문의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결과가 나타나 가설 H4(서비스 품질이 재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부분적으로 채택되었다. 즉 높은 신뢰성과 친절성이 곧 재방문의도의 형성을 촉진시켜 기업의 이윤을 증진시킨다. 강하게 형성된 신뢰성은 일정한 품질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는 고객의 심리를 충족시켜 외식 프랜차이즈 업체를 재방문하게 되는 선순환을 이뤄내기 때문이다. 따라서 경영자는 기존 서비스 상품의 품질을 일정수준 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한 매뉴얼 제작 등 전략을 수립해야 하며, 종사원들에 대한 교육을 통해 재방문하는 고객에 대한 친절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고객의 만족과 가치를 보전·증진하는 것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다섯째, 브랜드 이미지와 재방문의도의 관계에서는 브랜드 이미지가 재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결과가 나타나 가설 H5(브랜드 이미지가 재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채택되었다. 즉 유·무형의 지각된 브랜드 이미지는 고객으로 하여 다른 외식프랜차이즈와는 다른 차별화된 서비스와 독창적인 메뉴를 제공받을 것을 떠올리게 하여 재방문의도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 따라서 기업은 외식 프랜차이즈업체에 방문한 고객이 지각하는 브랜드 이미지에 대하여 특별한 서비스를 받는 느낌을 받도록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고객만족도와 재방문의도와의 관계에서는 고객만족도는 재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H6(고객만족이 재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채택되었다. 외식 프랜차이즈업체가 제공하는 지각된 모든 서비스와 분위기를 고객이 얼마나 호의적으로 받아들이냐에 따라, 같은 외식 프랜차이즈업체를 재방문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경영자는 고객의 작은 문제 상황에 대해서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을 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고해야 하며, 고객의 기대 서비스와 욕구를 잘 파악하여 고객이 만족을 충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마케팅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기업은 고객의 만족과 재방문의도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어떤 방식으로 서비스와 브랜드 이미지를 제공했을 때 고객들이 높은 수준의 만족도를 갖게 되는지 찾고 지속적인 유지와 발전방안을 찾아, 외식 프랜차이즈의 서비스와 브랜드 이미지에 대한 분석도를 작성하여 고객을 관리하면 더욱 발전하는 기업이 될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 외식업의 푸드테크 적용이 고객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동진 우송대학교 글로벌 외식조리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1695

        전 세계적으로 미래 식품 트렌드는 변화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환경문제가 대두되면서 미래식품 트렌드 또한 지속 가능한 솔루션을 찾아 가고있는 상황이다. 특히,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해 식품산업의 동향도 발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실정이며, 모든 산업 분야에서 비대면(언택트) 서비스가 발달됨에 따라 식품 산업에서도 사람을 대체할 수 있는 자동화 시스템이 상용화되고 있다. 푸드테크란 음식(Food)과 기술(Technology)이 융합한 새로운 산업으로 생산, 보관, 유통, 판매 등 식품 관련 분야의 기술적 발전을 의미한다. 푸드테크는 식품에 로봇과 같은 기술을 접목한 것으로 기존 컨베이어 벨트가 재료를 나르고 키오스크 수준에서 더 나아가 로봇이 직접 음식을 만들어 서빙까지 하는 형태로 자리 잡고 있다. 푸드테크가 글로벌 식품산업의 면면을 바꾸면서 언택트(비대면) 소비를 주도하고 있고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우려로 언택트 트렌드와 사회적 거리두기가 확산되면서 식품 기획뿐 아니라 제조, 서빙, 배달까지 사람이 아닌 로봇이 핵심 역할을 맡기 시작하였다. 코로나 19사태로 ICT(정보통신기술)와 결합한 푸드테크 기술 발전은 한층 가속할 전망으로 보이고 있다. 외식업의 자동화는 운영비용이나 인건비의 감소는 물론이거니와, 고객에게는 경험의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노년층이나 신기술이 익숙치 않는 고객에게는 불편함을 줄 수 있다는 단점도 존재한다. 따라서 점차 외식업 운영에 고객이 이용할 수 있는 기술기반 서비스의 도입 및 구축이 가속화되면서 이에 관한 고객행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고찰을 바탕으로 외식업의 푸드테크 적용이 고객 이미지 및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연구함으로써, 외식업의 푸드테크 적용이 외식 소비자의 행동 의도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를 입증하여 지속적인 성장 및 발전에 필요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 한다. 본 조사는 2021년 4월 29일부터 5월 18일까지 20일 동안 대전 · 세종 지역의 푸드테크가 적용된 외식업의 이용에 대하여 10대 이상의 외식업 종사자와 외식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지 280부를 배포하여 유효표본 252부를 실증분석에 이용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21 Statistic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식업의 푸드테크 적용이 고객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3D푸드프린터, 키오스크, 스마트팜, 대체식품은 고객 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객 이미지는 행동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외식업의 푸드테크 적용이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3D푸드프린터, 푸드로봇, 키오스크, 스마트팜, 대체식품은 행동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푸드테크의 종류 및 특성을 살펴보고, 외식업의 푸드테크 적용이 고객 이미지 및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요인 간의 영향관계를 제시함으로써, 외식업 푸드테크 적용이라는 새로운 비즈니스 채널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학문적으로 의의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외식업의 푸드테크 적용이 고객 이미지 및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규명하였다. 둘째, 둘째, 코로나19로 푸드테크 산업이 식품 분야를 빠르게 바꿔놓고 있다. 코로나19 감염자 발생으로 해외 육류 공장이 멈추면서 비싸진 고기를 대체할 수 있는 대체육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비대면(언택트) 서비스가 늘면서 사람을 대체할 수 있는 3D푸드프린터, 푸드로봇의 도입이 증가 되고 있다. 푸드테크는 다양한 형태로 소비자에게 다가오고 있다. 앞으로 국내 푸드테크는 자동화 시스템 외에도 미래 식량난을 해결하기 위한 대체육, 밀키트, HMR등 농업과 유통, 소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로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따라서 앞으로 외식기업은 푸드테크 분야에 대해 폭넓게 이해하고 발전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으로 사료 된다. 셋째, 푸드테크 산업은 외식산업의 새로운 발전 방향성을 제시하고 고객의 만족과 신뢰를 충족시키며 긍정적 행동 의도를 이끌어낼 것이다. 이를 통해 외식기업들은 경쟁력과 차별성을 갖추고 고객에게 다채로운 상품에 대한 긍정적 영향을 제공할 것으로 사료 된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를 대전·세종의 지역의 거주자만을 대상으로 표본을 한정하였고, 이에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 한계가 있다. 향후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후속 연구에서는 지역적으로 표본을 할당하여 다양한 의견을 수렴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 된다. 또한, 현재까지는 푸드테크 산업의 연구가 매우 부족 하며, 국내 푸드테크 산업의 연구는 더욱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문헌이나 연구 보고서를 통해 얻어진 푸드테크 산업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더욱 실증적 연구를 활발하게 진행해야 할 것으로 사료 된다.

      • 커피 바리스타 교육서비스 품질이 교육만족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참여동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향미 우송대학교 글로벌외식조리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1679

        우리나라에서의 커피문화는 21세기에 들어오면서 남녀노소 연령층에 제한 없이 모든 연령대에서 큰 관심이 생겨나게 되고, 이러한 관심은 단순히 커피 한 잔에서 커피를 산업화하는데 이르렀다. 커피산업의 급격한 성장의 그 중심에는 공중파를 통해서 알려진 커피의 붐을 일으킨 바리스타라는 이름의 직업이다. 이러한 바리스타(Brista)의 유래는 이탈리아에서 시작된 언어로 바(Bar)에서 고객에게 서비스하며, 머신을 관리하고 에스프레소를 추출하는 바맨(Barman)에서 생성된 용어로 쓰이고 있다. 이러한 바리스타는 에스프레소 머신을 사용하여 커피를 추출하고 우유 및 각종 소스, 시럽 등을 사용하여 음료를 만들고 서비스하는 사람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리고 보편적으로 에스프레소 커피를 바탕으로 라떼아트(LatteArt), 커피의 품질 및 종류, 커피 로스팅, 커피 관련 기구 및 장비관리 등 커피에 대한 수준 높은 커피 추출과 서비스에 대한 전문 지식 및 경험, 능숙함을 바탕으로 고객이 원하고 바라는 서비스로 커피를 제공하는 것이다(김미향, 2015). 그동안 우리나라의 커피는 인스턴트커피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고, 돈을 지불하고 커피를 공부한다는 것을 그 당시 상식으로 납득하지 못하였다. 커피를 공부하는 사람들에 대한 긍정적인 시선은 커피의 소비가 증가되면서 조금씩 변화하기 시작하였다. 원두커피와 인스턴트커피의 불균형적인 구조를 갖고 있는 국내의 커피산업에서 원두커피의 변화는 2006년 하반기를 기점으로 감소되던 커피 프랜차이즈가 다시 살아나기 시작했으며, 소비자의 원두커피에 대한 인식이 점차 높아지게 되었다. 또한 영상매체에서 커피를 추출하고 볶는 사람들에 대해 방영되면서 바리스타라는 직업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높아지게 되었다. 이를 시작으로 커피와 관련한 관심도 늘어나 커피를 배우려고 하는 사람들이 늘면서 사회·평생교육원 아카데미가 생겨났고, 2004년에는 우리나라 최초로 커피 바리스타 학과를 도입한 전문대학이 등장하였다(월간커피, 2007). 김미향(2015)의 연구에 따르면 커피 소비의 급증에 따른 커피산업의 급속한 성장은 커피와 관련된 새로운 직업군인 바리스타(Barista), 커피 로스터(Coffee Roaster), 향미 평가사(Cup Sensory), 생두 판매자(Green Coffee Buyer), 카페 컨설턴트(Cafe Consultant), 에스프레소 머신 판매자(Espresso Machine Engineer) 등의 새로운 직업을 탄생시켰다. 이러한, 커피 바리스타의 관심은 커피를 알고자 하는 교육으로 이어지면서사설 아카데미, 학원, 사회·평생교육원 등에 전문적으로 커피교육 관련한 강좌가 개설되었고, 이후 커피 관련 학과가 생겨나기 시작하여 현재는 전문 직업인의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직업전문학교, 전문 및 4년제 대학교, 대학원에서도 커피와 관련된 과목이 개설되기 시작하였다(정인성, 2018).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보면 커피산업에 있어서 커피교육은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며 바리스타가 전문직으로 인식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커피 시장은 경제산업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교육적· 학문적· 문화적인 측면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되어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꾸준히 증가하는 커피시장은 앞으로 더욱 확장되고 세분화 되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커피산업 발전에 발맞추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교육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실무에서 필요한 자질을 전문적으로 교육하고 기본적인 이론과 더불어 로스팅과 다양한 추출방법을 통한 기술을 배우고 트랜드에 맞는 실무교육이 중요하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현재 커피에 관련된 선행연구들은 최성임(2011)의 커피전문점 방문수요의 결정요인분석, 김영주(2015)의 커피전문점의 서비스 스케이프, 인적서비스와 고객만족, 점포 이미지, 재방문 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등으로 커피시장에 관한 연구가 가장 활발하였고 송호석(2016)의 생두의 가공법과 로스팅에 따른 커피 관능 특성연구, 박진영(2013)의 커피생두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항산화성 및 품질특성에 대한 연구 등의 커피의 성분에 관련한 연구 등이 주를 이루었다. 커피교육의 중요성이 점차 부각되면서 채선영(2011)의 직업전문학교 커피 관련 전공 교육서비스 품질이 학생만족도와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정창희(2014)의 대학의 바리스타 교육프로그램이 만족도 및 직업 선택에 관한 연구, 김진영(2017)의 바리스타 학원의 교육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도와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등 바리스타 교육서비스와 관련된 연구 등으로 다방면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은 이러한 바리스타 교육서비스에 관한 연구들은 국·공립 교육기관인 고등학교나 대학 등의 교육과정에 대한 서비스 품질의 연구가 대부분으로 이외의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하고 있는 평생교육기관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현재 미비한 실정이다. 기존의 연구들이 대학이나 직업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자의 만족과 교육서비스 품질의 관계, 학생만족도와 학습성과의 관계 등을 다루었는데 이러한 연구들을 바탕으로 좀 더 확장하여 모든 연령층에 교육의 기회가 제공되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하는 평생교육기관의 다양한 연령대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교육서비스 품질의 질적 향상을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서비스 품질, 교육만족도 및 행동의도, 학습자들의 참여동기 등의 구성개념 간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학습자들의 커피 바리스타 교육서비스 품질의 향상과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실증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연구를 통해 평생교육기관의 향후 질적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교육적인 환경조성, 제도적이고 체계적인 운영 등에 대한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한국과 중국의 국민간에 건강기능성식품에 대한 인지도와 섭취현황의 비교연구

        강사기 우송대학교 글로벌외식조리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1663

        The awareness of health functional foods and their intakes were compared between China and Korea.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 total of 200 Chinese including 125 women and 75 men responded to this survey. A total of 119 people were surveyed in Korea, 72 women and 47 men. Among the survey subjects in Chinese, 50.5% had experience in taking health functional foods, and 84.5 percent in Korean, higher than in Chinese. As for the types of health functional foods consumed in China and Korea in the past year, the people who ate 2 types were the most. Vitamins were the most common items in both countries, followed by probiotics. The most common functions to be improved with health functional foods were immunity/physical resistance (32.7%) and fatigue recovery (51.0%), respectively, by Chinese and Korean consumers. The average intake period for each type of health functional foods consumed in China and Korea was the highest for less than 3 month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eating health functional foods is 'safety' in 34.1% of Chinese people, and 41.5% of Koreans answered 'functionality of products'. Meanwhile, Korea was found to have higher satisfaction and reliability with healthy food than China. The main means of purchasing health functional foods were pharmacy/hospitals and Internet shopping malls, with the highest of 28.1% and 41.1% in China and Korea, respectively. The average monthly purchase cost of health functional food was ‘30,000 to 50,000 won’ for both Chinese and Korean respondents, accounting for the highest ratio. The most common thing to check for using health functional foods was 'the amount of intake and the method of intake', while 36.0% of Chinese and 65.4% of Korean were consumed without consultation with experts. Both Chinese and Korean respondents answered 'a pharmacist or a doctor' as an expert who had consulted for purchasing or would like to recommend. Nutritionists were also recommended by a number of consumers as experts in health functional foods. The most worrying thing about eating health functional foods is that Chinese consumers are harmful to the human body and Korean consumers are 'side effects'. In addition, the biggest problem of health functional food sales was 'false/overcharged advertisement' (26.5%, 31.0%) in both China and Korea respondents. The perception of function and effect of health functional foods ingested was the most frequently answered by both Chinese and Korean respondents, 'I know roughly' (75.2%, 71.0%), and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who answered 'I know exactly' was much lower. The most common means of acquiring information on the function of health functional foods were 'Internet/smartphone' in both countries. The survey subjects in China and Korea were 22.0% and 16.0%, respectively, as they wanted to receive positive opinions on the education on the right intake of health functional foods. As for the contents of education, 'functional and dietary therapy of health functional foods' was the highest at 27.7% in China, and 'the right way to eat health functional foods' was the highest at 28.6% in Korea.

      • A Qualitative Investigation of NESTs Use of Classroom Management Skills in South Korea: What Works What Doesn’t?

        Ariadne Patricia Borges 우송대학교 글로벌 외식조리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1663

        This thesis is an investigation into the beliefs and uses of classroom management skills (strategies) by native English-speaking teachers (NESTs) who teach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EFL) in South Korean English language institutions, such as private language schools (otherwise known as hagwons), English language departments at private universities, and after-school English classes at public schools.

      • Hemicellulose의 효율적인 가수 분해를 위한 칵테일 효소의 최적화 및 시너지 연구

        최현식 우송대학교 글로벌 외식조리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1663

        본 연구는 재조합 대장균으로부터 생산된 xylanase를 이용하여 cocktail enzyme을 제조하였으며, 제조한 cocktail enzyme의 반응 조건과 배합비의 최적화를 탐색하였음.

      • 한국 전통식품 제조에서의 탄산음료의 새로운 역할에 대한 연구 : 개성주악을 중심으로

        정 다 인 우송대학교 글로벌외식조리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1663

        본 연구는 막걸리를 대체할 수 있으면서도 개성주악의 맛과 특성은 유지할 수 있는 탄산음료에 대한 -- 중략 --

      • Camera as Storyteller: Encoding and Interpreting Multimodal Meanings in Student Video Projects

        Nathan Woudenberg 우송대학교 글로벌외식조리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1663

        Much learning is lost in the standard ways of presenting research as many interventions do not fit cleanly into a pre- and post-test research structure. This in turn leads to an inability to apply or replicate studies. The researcher explores this through an autoethnographic study documenting his own professional development regarding teaching student-generated video projects. The researcher lays out the complex an iterative learning process of practitioner action research he went through while developing this curriculum before diving into a closer examination of the most recent iteration of the action research cycle?namely, how and to what degree direct instruction on camera shots and storyboards increases the cinematographic quality of the final video projects.

      • 소비자들의 곤충식품에 대한 인식과 구매행태에 관한 연구 :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통하여

        배윤정 우송대학교 글로벌외식조리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1663

        본 연구의 목적은 곤충식품을 시중에서 원활하게 판매하기 위하여, 확장된 계획행동을 이용해 소비자의 곤충식품 구매의도를 규명하는데에 있다. 따라서 경상지역과 충청지역에 거주하는 20대 이상의 남녀를 대상으로 2018년 10월 16일부터 11월 16일까지 총 한달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