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문화예술교육이 창의성과 문화향유에 미치는 영향 및 정책적 시사점 : 청소년 합창단을 중심으로

        박나송 용인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703

        This research investigates in creativity and practical changes concerning culture enjoyment of youth experiencing education through arts activities via education through arts education and furthermore suggests political implic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through arts educational experiences. Some researches have stated that cultural experience during adolescent period has overall impacts on cultural consumption. Culture enjoyment gained through cultural consumption offers emotional stability and enrichment, and in order to broaden its range, a variety of education through arts educational experiences are essential.ᅠ Therefore necessity of education through arts education is increasing.ᅠ Definition of the term, education through arts education, has not been established yet and is still undergoing discussions, though Support for education through arts Education Act defines education through arts education as an education that includes cultural industry and cultural assets in curriculums or applies them into curriculums. Furthermore, by stating its basic principle as 'We aim for education that will allow all to enjoy education through arts and develop creativity', it has emphasized concepts of creative learning and culture enjoyment through education through arts education.ᅠ Hence, this research sets <Youth Choir>, an education through arts education program, as its subject of analysis and studies its effects on creativity and culture enjoyment.ᅠ A quantitativ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with participants(choir members), and on- and off-line 1:1 surveys have been made. ᅠ A quantitative research has been held with the choir members' parents and instructor as a group interview.ᅠ To retain objectivity for the survey and survey results of 103 participants(choir members), observers(instructor and parents) were interviewed, which led to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studying creative learning's 5 factors, which are inquiry skills, persistence, imagination, skills, and collaborative skills,ᅠ in the participants scored above 3 points.ᅠ The longer the exposure, the higher points they received, showing that their imagination has enhanced.ᅠ Also, in studying the observers, positive changes could be found as they had attitude of daily life concerning the 5 factors.ᅠ Thus, it can be stated that the study results of the participants and observers match. Second, the study result of the participants(choir members) on culture enjoyment, they received above 3 points for sections of positive mentality, durability, interest, and comprehension on the survey.ᅠ A sense of friendliness on education through arts showed improvement according to questions related to changes found in daily life.ᅠ Psychological factors of culture enjoyment were recognized as 'happiness' and 'joy'. The study of observers also showed a rise of interest in education through arts compared to what it was before undergoing education through arts education, and the participants were willing to continue with it, demonstrating positive influence on culture enjoyment.ᅠ In addition, consumers' willingness to pay for culture enjoyment could be observed. Thus, it can be stated that the study results of the participants and observers match. Meanwhile, political implications to improve how Korea's education through arts education is regarded to have limits from observers' point of view have been drawn. First, provision for more opportunities of culture enjoyment and a policy to overcome regional differences are necessary. Even within a same region, opportunities of culture enjoyment showed great disparity depends on locations' characteristics. Second, enhancement of the public awareness on culture enjoyment is necessary. The fact that culture enjoyment is not something special that only those who do it 'well' can possess but is an element of daily life that will bring happiness into life needs to be known. Third, culture enjoyment should not be optional but essential. As the period of adolescence is the crucial time when one's course of life and life value are decided, it is crucial to provide diverse cultural experiences apart from academics.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문화예술 활동을 경험하고 있는 청소년의 창의성과 문화향유에 대한 실제적 변화를 규명하고자 하며 나아가 문화예술교육의 경험을 통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일부 연구에 따르면 청소년기의 문화경험은 문화소비 전반에 영향이 나타난다고 하였다. 문화소비를 통한 문화향유는 정서적 안정과 풍요로움을 제공하지만 그 폭을 넓히기 위해서는 청소년기부터 다양한 문화예술교육과 경험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문화예술교육의 용어는 보편적인 정의가 아직 정립되지 않고 여러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문화예술교육지원법에서 정의한 문화예술교육은 문화산업, 문화재를 교육내용으로 하거나 교육과정에 활용하는 교육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기본 원칙을 ‘모든 국민의 문화예술 향유와 창조력 함양을 위한 교육을 지향한다.’고 정하여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창의학습과 문화향유에 대해 강조한 바 있다. 이에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인 <청소년 합창단>을 분석 대상으로 설정하여 창의성과 문화향유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 하였다. 참가자(단원)를 대상으로 한 양적 연구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1:1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관찰자인 학부모와 교사를 대상으로 한 질적 연구는 그룹인터뷰를 진행하였다. 103인의 참가자(단원)의 설문조사와 설문결과에 객관성을 더하기 위한 관찰자(지도교사·학부모)와의 인터뷰 결과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먼저 창의학습 요소에 대한 참가자 연구 결과 탐구력, 끈기, 상상력, 숙련, 협력성 5가지 요소 모두 3점 이상의 평가를 받았으며 경력이 오래 될수록 높은 점수를 받아 창의력이 향상 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관찰자 연구에서는 5가지 요소에 대한 일상생활 태도를 발견하여 긍정적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에 참가자와 관찰자의 연구결과가 일치 한다고 볼 수 있다. 두 번 째로 문화향유에 대한 참가자(단원) 연구 결과 긍정적 심리, 지속성, 친밀도, 관심도, 이해도 항목의 설문결과 3점 이상의 점수를 받았으며 일상생활의 변화에 관련된 항목의 질문에서 문화예술에 대한 친밀감이 상승 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향유에 대한 인식은 ‘행복함’과 ‘즐거움’ 의 심리적 요소로 나타났다. 관찰자 연구에서도 문화예술교육 수행하기 전보다 후에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도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속적인 활동의지를 나타냄으로서 문화향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문화향유를 위한 소비의지를 관찰 할 수 있었다. 이에 참가자와 관찰자의 연구결과가 일치 한다고 볼 수 있다. 한편, 관찰자 입장에서 바라본 국내 문화예술교육의 한계에 관한 인식개선과 정책적 시사점이 도출되었다. 첫째, 문화향유에 대한 기회확대와 지역적 차이를 극복하기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 같은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위치적 특성에 따라 향유기회의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난 것을 볼 수 있었다. 둘째, 문화향유에 대한 인식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문화향유는 ‘잘’ 하는 사람만 가질 수 있는 특별한 것이 아닌 삶에 행복한 감정을 느낄 수 있는 일상의 요소임을 알려야 할 것이다. 셋째, 선택적 문화향유가 아닌 필수적 문화향유가 되어야 한다. 청소년은 다양한 진로와 삶의 가치를 결정하는 중요한 시기인 만큼 학업에서 탈피 할 수 있는 다양한 문화적 경험을 제공 하는 것이 중요하다.

      • 태권도 공연의 관객개발 방안 연구

        배정은 용인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관객의 입장에서 바라 본 태권도 공연의 문제점을 도출하여 관객개발을 위한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태권도’는 대한민국의 전통무예로서 한국을 대표하는 문화 상품적 가치를 가지고 있음이 분명하다. 태권도 시범을 통해서 해외 수많은 사람들이 대한민국이라는 나라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현재 태권도 시범은 단순히 태권도를 보여주고 국위선양에만 힘쓰는 것이 아닌 공연예술로서 발전하여 대한민국의 문화적 가치를 높이고자 한다. 하지만 대중적으로 알려지기 보다는 태권도 관련 직에 있는 사람들, 전공자, 수련자들 위주로 태권도 공연이 알려져 있으며 공연예술로서 인정받기에는 미흡한 점들이 많다. 이에 본 연구는 태권도 공연에 대한 대중들의 의견을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Alan R. Andreasen이 제시한 공연예술 수용과정 단계(무관심, 관심, 시도, 긍정적 평가, 수용, 확신)를 태권도 공연에 적용시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00명의 설문 응답자를 대상으로 ‘태권도 공연예술 수용과정 단계’에 적용시킨 결과 태권도 공연에 대하여 무관심 14%, 관심 15%, 시도 16%, 긍정적 평가 18.5%, 수용 12.5%, 확신 24%로 나타났다. 이들의 설문 결과를 통해 태권도 공연예술 수용과정 단계별 발전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는 바이다. 첫째, 무관심 단계에서 관심 단계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태권도 공연에 대한 홍보와 비(非) 수련생들도 함께 공감하고 이해할 수 있는 새로운 스토리 소재가 필요하다. 태권도에 대한 이해가 어려우며 딱딱하고 낯설 것 같다는 인식이 강한 무관심 단계의 사람들에겐 이러한 인식들을 바꿔줄 수 있는 태권도 공연 홍보와 스토리 연출이 필요하다. 둘째, 관심 단계에서 시도 단계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태권도 공연에 대한 활발한 홍보가 필요하다. 관심 단계의 응답자들은 관심이 있는데 태권도 공연에 대한 특별한 정보가 없어서 관람을 하지 못했다고 하였다. 셋째, 시도 단계에서 긍정적 평가 단계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스토리 소재와 태권도 공연이 가능한 공연장, 다른 요소들과의 적절한 조화가 필요하다. 태권도 공연의 문제점들로 인해 향후 재 관람 의사가 없다고 말한 시도 단계의 응답자들은 이러한 부분이 잘 보완되고 해결된다면 시도 단계의 응답자 모두가 향후 재 관람 의사가 있다고 하였다. 넷째, 긍정적 평가 단계의 모든 응답자들은 태권도 공연에 관심이 있었고 향후 태권도 공연 관람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러한 긍정적 반응으로 이들은 수용 단계로 바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하지만 이들이 말한 태권도 공연의 문제점으로는 시도 단계 사람들과 비슷한 견해를 보였는데 새로운 스토리 소재 부족, 태권도 공연이 가능한 공연장 제한, 다른 요소와의 적절한 조화 필요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긍정적 단계의 관객들이 향후 더 높은 만족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다섯째, 수용 단계에서 확신 단계로 가기 위한 방안으로는 새로운 스토리 소재와 배우들의 연기력 필요이다. 수용단계의 응답자들은 태권도 공연의 문제점으로 새로운 스토리 소재 부족과 배우들의 연기력이 미흡하다고 응답 하였다. 이로 인해 향후 태권도 공연의 재 관람 의사가 없다고 말하였지만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하여 태권도 공연을 기획한다면 수용단계의 96%가 관람할 의향이 있다고 하였다. 여섯째, 마지막 확신 단계의 관객들은 태권도를 수련해 본 사람들이 대부분이었고 전공자들이 반 이상을 차지했다. 그렇기 때문에 이들은 태권도에 대한 관심이 아주 높았고, 태권도 공연을 좋아했다. 하지만 이들이 말한 태권도 공연의 문제점으로 새로운 스토리 소재 부족, 다른 요소와의 적절한 조화 필요, 배우들의 연기력 미흡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따라서 확신단계의 관객들을 유지시키고 열성적인 공연 참여자로 발전시키기 위해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하여 태권도 공연을 기획하여야 한다. 각 단계별 분석을 통해 공통적인 내용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최종적으로 제시하는 태권도 공연의 관객개발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태권도 공연의 홍보 활성화, 둘째, 태권도 공연의 새로운 스토리 소재이다. 권선징악, 선과 악, 대립 등의 틀에 박힌 스토리 연출에서 벗어나 새롭고 다양한 스토리 연출을 해야 한다. 즉,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태권도 공연의 관객개발 방안을 통해 태권도인들 뿐만 아니라 비(非) 태권도 인들도 함께 공감할 수 있는 태권도 공연을 기획한다면 본 연구에서 제시한 ‘태권도 공연예술 수용과정’의 각 단계별 발전이 가능할 뿐더러 태권도 공연의 높은 문화 상품적 가치에 비례하는 대중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suggests plans of audience’s development for Taekwondo performance and investigates a problem that is not popularized compared to its high culture value. In order to do that, this study considered audiences’s stances on Taekwondo and made ‘The Taekwondo Performing Arts Adoption Process’, applying ‘The Performing Arts Adoption Process’ by Alan R. Andreasen. It is six stages about Taekwondo performance(Disinterest, Interest, Trial, Attempt, Positive evaluation, Adoption, Confirmat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of each stage, It is drew audiences’ common answers. Ultimately, planning of audience’s development for Taekwondo performance is followed. First, promote publicity of Taekwondo performance. Second, the necessity for new subject matters of story. As a result of this study, by complementing problems of Taekwondo performance and making the quality of performance higher, It is possible for the audiences to improve for each stage of The Taekwondo Performing Arts Adoption Process. Also, It is possible to have popularity, being directly proportional to its high culture value.

      • 중국과 한국의 문화산업 지원정책 비교 분석에 관한 연구

        등전원 용인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50671

        한 국가의 단계별 문화산업 정책은 그 당시의 문화산업 발전 상황을 토대로 입안되며, 문화산업의 발전은 그 사회 객관적인 발전 상황과 정부의 주관적인 정책 추진과 상호작용의 산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문화산업 정책을 비교 연구하여, 중국 문화산업 육성정책의 개선을 제안하였다. 분석방법은 비교연구법, 문헌분석법, 다른 이론과 교차연구방법 등이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비교연구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책적인 측면에서는 첫째 중국의 문화산업 정책은 지역별로 각각 그 특성에 맞는 정책을 수립한 반면, 한국의 경우와 국가 전체적 측면에서 중앙 정부 중심의 정책을 수립하였다. 두 번째는 한국은 시장 중심적으로 정책을 추진한 반면 중국의 경우에는 공공성을 바탕으로 국가에서 주도적으로 추진한 부분이 큰 차이점이다. 세 번째는 한국의 경우 콘텐츠 자체를 중심으로 해외진출을 추진한 반면 중국은 미디어의 현대화와 인수합병을 통한 정책을 추진하였다. 이는 결국 시장중심 정책과 국가 주도 정책의 차이점으로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지원정책의 측면에서 비교하였을 때도 같은 현상이 발생한다. 즉 시장중심의 한국 지원정책과 국가주도의 중국 지원정책이 차이점이다. 먼저 해외진출 지원정책 부분에서는 한국의 경우 콘텐츠 그 자체를 해외진출 시키기 위한 지원정책인 반면 중국의 경우에는 문화의 교류라는 측면에서 지원정책을 접근하였다. 두 번째 인력양성의 부분에서 시장 중심인가 국가 주도인가 구분이 분명하게 나타난다. 한국의 경우 창의력을 키우기 위한 인력양성정책을 진행한 반면 중국의 경우에는 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하는 관료를 대상으로 정책을 추진하였다. 즉 중국은 정부 주도하에 문화산업의 정책의 추진을 목표로 하였다. 마지막으로 금융정책의 부분에서도 민간주도의 금융정책을 한국은 추진하였는데 중국은 이 부분도 정부에서 주도하여 추진하였다. 연구 결과 중국과 한국은 모두 중앙에 관련 문화조직을 두고 있지만 한국의 조직구조는 보다 구체적이고 합리적이며, 각 부처별로 업무가 명확하고 정책체계가 잘 갖춰져 있고, 한국은 변화하는 외부 환경과 발전 상황에 따라 기관과 정책을 적절한 시점에 조정할 수 있는 반면 중국은 그에 비해 상대적으로 조직이 경직되어 있고, 지금까지 전국적으로 통합된 문화산업 정책을 수립하지 않았으며 지역 중심으로 추진한 결과 중국의 각 지역 경제 발전이 불균형을 이루면서 지역마다 고유한 문화산업을 형성하게 되었고, 전반적으로 한 지역의 경제 수준에 따라 문화 경제적 차이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중국은 정책적으로 상호보완적·협력적 개발을 유도하고, 발달 구역의 앞선 문화 이념, 과학기술, 예술적 형식을 저개발 지역에 접목하여 조정·촉진할 필요가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그리고 한국 문화산업 정책의 최대 실적은 '한류' 전파다. 한국의 조류가 아시아 시장에 밀려들면서 한국의 문화가 세계 속에 스며들기 시작하고 세계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할 뿐만 아니라, 다채로운 세계문화가 함께 조성되면서 문화발전정책은 전국의 경제 성장을 촉진하고 경제적 이익을 발생시켜 문화는 진정한 산업화를 가져왔다. 그리고 해외에 진출할 때 문화 수출을 상품과 연계한 결과, 한국의 문화콘텐츠는 아시아는 물론 유럽까지 진출하여 한국의 문화를 전파하였다. 이와 같이 문화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한 전략적 의사결정이 합리적인 산업구조를 만들어 가는 점을 생각할 때 중국에 제시하는 정책적인 시사점으로서는 중국의 풍부하고 독특한 전통문화 자원을 통합 분석하여 강점을 발견하고, 최첨단 정보기술(IT)로 시대의 활력을 불어넣고, 앞선 작동기술을 활용해 중국의 전통문화 제품을 새롭고 독특하게 만들어 브랜드의 강점을 만들어 내야 한다. 또한 인력 양성에 있어서도 한국은 창의적 인재양성에 중점을 두고 있는 부분이 시사하는 점은 중국이 문화산업의 고속 발전을 위해서는 반드시 높은 자질을 갖춘 전문 인력을 보유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문화전문인력의 부족은 중국 문화산업 발전의 내재적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는 것이 분명하기 때문에 중국은 계속해서 자질이 높고, 한국과 같이 창의력이 있는 새로운 인재를 양성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하지만 정책적 측면이나 지원정책 부분에서 한국의 경우에는 문화산업백서가 있어 이에 대한 내용을 분석할 수 있었음에 비해 중국의 경우에는 문화산업백서가 아직 발간되지 않아 중국과 한국의 세부 지원내용을 비교 분석하지 못한 한계로 존재하며, 보완의 필요성이 있는 개인적 주장들이 담겨져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부분들은 앞으로의 후속 연구를 통해 보완이 필요하다 생각되며 후속 연구를 통해 중국과 한국 양국 문화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적 제언들이 추진되기를 기대한다. A country's step-by-step cultural industry policy is drawn up based on the development situation of the cultural industry at the time, and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industry is the product of the social objective development situation and the subjective policy drive and interaction of the government. In this study, it was proposed to improve China's cultural industry development policy by comparing and studying the cultural industry policies of Korea and China. There are comparative research methods, literature analysis methods, and other theories and cross-research methods. In this study, the analysis focused on comparative research methods. As a result, in terms of policy, China's first cultural industry policy established policies suitable for each region's characteristics, while central government-centered policies were established in terms of Korea's case and the country as a whole. The second is that South Korea has pursued its policies market-oriented, while in China, it has been driven by the state based on its public nature. The third was for Korea to pursue overseas expansion based on the content itself, while China pursued policies through the modernization of media and mergers and acquisitions. This can be represented as a difference between market-oriented and state-led policies. And the same thing happens when compared in terms of support policy. In other words,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market-oriented South Korean aid policy and the national government's support policy for China. First of all, the support policy was approached in terms of cultural exchange in China while the support policy was designed to help Korea advance its contents abroad. There is a clear distinction between market-oriented and state-led in the second part of fostering human resources. In the case of Korea, the government implemented a human resources development policy to foster creativity, while in the case of China, policies were implemented for government officials who established and promoted policies. In other words, China aimed to implement policies of the cultural industry under the initiative of the government. Finally, in the part of its financial policy, Korea pushed ahead with its private-led financial policy, which China led by the government. According to the study, China and Korea both have related cultural organizations in the center, but Korea's organizational structure is more specific and rational, each ministry has clear work and a well-established policy system, and Korea can adjust institutions and policies according to changing external environment and development situation at the right time, while China has relatively rigid organization and has not established a unified cultural industry policy across the country so far, resulting in an imbalance in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China needs to induce complementary and cooperative development policy, and adjust and promote the advanced cultural ideology, science and technology and artistic form of the development zone by grafting them into underdeveloped areas. And the biggest performance of Korea's cultural industry policy is the spread of "hallyu." Not only does Korean culture begin to permeate the world and affect the world as Korea's currents flood the Asian market, but with the creation of colorful world cultures, cultural development policies have promoted economic growth across the country and generated economic benefits, resulting in genuine industrialization. And as a result of linking cultural exports to products when entering foreign countries, Korean cultural contents have spread Korean culture not only in Asia but also in Europe. Considering the fact that strategic decision-making to develop the cultural industry is creating a rational industrial structure, the policy implications that we present to China are to discover the strengths of China's rich and unique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through integrated analysis, invigorate the times with state-of-the-art information technology, and make Chinese traditional cultural products new and unique using advanced operating technologies to create the strengths of the brand. In addition, Korea`s emphasis on fostering creative talent suggests that China must have a highly qualified professional workforce for the rapid development of its cultural industry. It is clear that the lack of cultural professionals does not meet the inherent needs of the development of China's cultural industry, so China should continue to focus on nurturing new talent with high quality and creativity like Korea. However, in terms of policy and support policy, Korea has a white paper on the cultural industry, so it can be analyzed, whereas in China, detailed support details of China and Korea are not yet published, and there are personal arguments that need to be supplemented. These parts are thought to need to be supplemented through further research, and we hope that further research will push forward policy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industry between China and Korea.

      • 통합예술교육이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권은희 용인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671

        The study was conducted for seven first graders attending a regular middle school in a large city. The test subjects consisted of three boys and four girls. and to explore the influence of integrated art education on young adults ' school adaptation. The study was conducted for seven first graders attending a regular middle school in a large city. The test subjects consisted of three boys and four girl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rom Mar 28 to Jul 19, 2017 through 12 sessions of an integrated art program (90 min per 1 session) at a classroom of the school. To verify the program effectiveness, psychological scale and survey were used before and after performing the program, and the phenomenal relationship was measured through peer relationship tests. For the psychological scale, the criteria were classified into individuals and interaction in the adolescents’ group and the group as the whole, and the detailed items of self-regard, personal growth initiative, self-expression, sympathy, cooperation, social solidarity, and school adaptation scale were verified for the significance through t-test. The survey was added with questions on ‘elements of worries,’ ‘understanding myself,’ ‘getting along with peers,’ and ‘school adaptation,’ and difficulties of school adaptation and program effectiveness were verified subjectively. To analyze individual peer relationship in school, peer relationship test (SNA) was performed, and group members not designated for each item by classmates was defined as maladjusted adolescents (isolated group from relationships) to conduct significant relevance to school adaptation through this program. The group members, most of them had maladjusted relationships, were lethargic and had insensitive self-concept, isolation of peer relationship, low social solidarity and difficulties in school adaptation. Therefore, this research aimed to improve their self-concept, peer relationship, social solidarity and school adaptation through the integrated art program. For changes in the group members, a program mediated with arts and plays was appli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integrated art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adolescents’ school adaptation. For psychological scale, changes of self-growth initiative +0.97, self-expression +0.03, sympathy +0.20, school adaptation +0.50, and social solidarity +0.67 were acquired, while self-regard and cooperation decreased slightly by –0.13 and -0.33, respectively. The significance verification through SPSS statistical t-test revealed effects in self-growth initiative, school adaptation, and social solidarity, showing entire improvement of group scales; the scales of group interaction were not confirmed for the significance. The post-program questionnaire reported positive effects that the integrated art program was helpful for school adaptation for all group members. The integrated art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in decreasing relationship maladjustment risks by improving peer relationship. In the post-test of the program, the number of students in the peer relationship safety group increased from 1 to 3, and the relationship isolated risk decreased by 1 of the high risk group moving to the safety group and 1 of the mid-risk group moving to the low risk group. Through the reduction of risks, it was revealed that the group’s peer relationship had improved. The post-test results revealed the below: First, the integrated art program provides stability in school life and helps experience positive self-recognition and improve peer relationship to improve school adaptation. In the integrated art program, ideal self, materialization of desires, and heroic work help develop individual’s resources, recognize internal desires, and develop active attitude. Second, when it comes to providing elements to recognize problems, projection and expression through multimedia is effective for adolescents’ growth. Art was excellent for reflecting the recognition and problems of the internal world of individuals without defending, while plays were useful in experiencing new roles, learning physically, and reflecting the attitude responding to their own problems. Third, expression activities of stories, images, objects, sculptures, and roles as the integrated art program are effective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changes of adolescents. Moreover, the experience of similarity and difference through observation in the group was helpful in getting out of the self-centered thinking, expanding self-image of adolescents who were confused of their identities, and developing adaptive attitude. Fourth, plays and games relieved tensions of adolescents through physical contacts and movements and are effective for promoting interaction. In particular, performance strengthens bonds in the society of intimate relationships, and is effective for groups to experience accomplish through collaborations. Finally, emotional supports from peers and promotion of ties were reported to have contributed to adolescents’ satisfaction with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display positive influence on adaptation to personal relationship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 초기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자기개념, 교우관계, 학교적응의 연관성을 살피고, 통합예술교육이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대 도시에 위치한 일반 중학교에 다니고 있는 1학년 학생 7명이며, 남학생 3명, 여학생 4명으로 구성되어있다. 연구기간은 2017년 3월 28일 부터 2017년 7월19일 까지 1회 90분씩 총 12회기에 걸친 통합예술교육이 학교 교실에서 이루어졌다.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을 위해 프로그램 사전과 사후에 심리척도와 설문지를 활용하였고, 교우관계진단검사를 통해 현상적 관계를 측정하였다. 심리척도에는 청소년의 집단 내 개인, 집단 내 상호작용, 전체로서의 집단으로 평가기준을 구분하고, 세부 항목으로 자존감, 자기성장 주도성, 자기표현, 공감, 협력, 사회적 결속감, 학교적응 척도를 활용하여 t-test를 통해 유의미성을 검증하였다. 설문지는 ‘고민요소’ ‘나를 알기’ ‘또래와 친해지기’ ‘학교적응’에 대한 문항을 첨부하여 학교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요인들과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주관적으로 검증하였다. 교우관계는 개인의 학교 내 현상을 분석하기 위해 교우관계진단검사(SNA)를 실시하였고, 각 항목들에서 학급 교우들에게 의해 지명되지 못한 집단 원을 관계 부적응 청소년(관계소외위험군)으로 정의하여 본 프로그램을 통한 학교적응에 유의미한 연관성을 연구하였다. 관계부적응이 대부분인 본 집단원은 무기력하고 무감각한 자기개념, 교우관계의 고립, 낮은 사회적 결속감과 학교적응에의 어려움을 갖고 있어 통합예술교육을 통한 자기개념, 교우관계, 사회적 결속과 학교적응에의 향상을 목표로 하였다. 집단원의 변화를 위해 미술과 연극을 매개로 한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통합예술교육은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심리척도 에 있어 자기성장주도성 +0.97, 자기표현 +0.03, 공감+0.20, 학교적응+0.50, 사회적 결속감 +0.67의 변화를 얻었고, 자존감 –0.13, 협력-0.33 은 소폭 하락하였다. SPSS 통계 t-test를 통한 유의미성 검증에서는 자기성장주도성, 학교적응, 사회적 결속감에서 효과를 보여 전체로서의 집단에 해당되는 척도들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집단 내 상호작용에 해당되는 척도는 유의미성을 확인하지 못했다. 프로그램 사후 설문지에서는 모든 집단원이 통합예술교육이 학교적응에 도움이 된다는 긍정적 효과를 보고하였다. 통합예술교육은 교우관계를 향상시켜 관계부적응 위험을 감소하는데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프로그램 사후검사에서 교우관계위험 안전군의 학생 수가 1명에서 3명으로 증가하였으며, 고위험군 1명이 안전 군으로, 중위험군 1명도 저 위험 군으로 관계소외위험도가 하락하였다. 이처럼 위험도의 감소를 통해 집단의 교우관계가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사후검사들을 통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예술교육은 학교생활에서의 안정감을 주고, 자기에 대한 긍정적인식과 교우관계의 향상을 경험하도록 하여 학교적응에 도움을 준다. 통합예술교육에서의 이상적 자기, 욕구구체화, 영웅작업을 통해 개인의 자원, 내적 욕구에 대해 인식하도록 하고 능동적 태도를 발달시켰다. 둘째, 문제를 인식할 거리를 제공하는데 있어 다매체를 통한 투사와 표현은 청소년의 성장에 효과적이다. 미술은 개인의 내적세계에 대한 인식과 문제를 방어 없이 깊이 반영하는데 탁월하며, 연극은 새로운 역할을 경험하고 몸으로 학습하는 것과 자신의 문제에 대한 대응 태도를 반영하는데 유용하였다. 셋째, 통합예술교육으로서 이야기, 그림, 오브제, 조각상, 역할 등의 표현활동은 청소년의 정서적, 행동적 변화에 효과적이다. 또한 집단 안에서 관찰을 통한 유사와 차이의 경험은 자기중심적 사고를 탈피하고, 정체성의 혼란을 가진 청소년들의 자기상을 확장하는데 도움을 주었으며 적응적 태도를 개발시켰다. 넷째, 놀이와 게임은 신체접촉과 움직임을 통해 청소년의 긴장감의 완화시켰고 상호작용을 촉진시키는데 효과적이다, 특히 공연은 친밀한 유대관계의 사회에서의 결속감을 강화시키고 집단이 공동 작업을 통한 성취를 경험하도록 하는데 효과적이었다. 다섯째, 교우로부터 얻은 정서적 지지와 유대관계의 촉진은 청소년들은 학교생활에의 만족과 적응에 크게 기여하여, 앞으로의 대인관계 적응에 있어서도 긍정적 영향력을 발휘할 것이라고 보고하였다.

      • 연극치료의 셀프 슈퍼비전 정립을 위한 연구

        정지현 용인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655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activation of self-supervision needs as the plans to expand and facilitate supervision of drama therapy and tried to suggest the practical ways on the organization elements of self-supervision for drama therapy and its practical utilization. The established research question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organization elements of self-supervision for drama therapy? 2) What are the efficient utilization plans of self-supervision for drama therapy? To do so, previous studies on the other art therapies, psychodrama, and drama therapy related to supervision, and on self-supervision were reviewed to perform theoretical review for supervision and drama therapy. Based on these, the organization elements of self-supervision for drama therapy were extracted to establish its organization and the items were classified to summarize the objective checklist. The structure of self-supervision for drama therapy consists of 1)self-evaluation and 2)self-reflective steps. In this study, self-evaluation step is to evaluate himself/herself with self-critical attitude after reviewing personal experiences as a therapist. In self-reflective step, personal and psychological problems and conflicts were checked based on the evaluation results, and after countertransference with therapeutic relation confirmed, The positive results of the work, including its own strengths, and the insufficient aspects of the work, including its own weaknesses, are found and restructured. Self-evaluation step is classified as the working contents and working environment, and the former consists of relation and media utilization, and the latter is related to administration. Afterwards, each item was subdivided and the specific inspection details for each paragraph were organized and presented. In the next section, action plans of self-supervision were sought multidimensionally. It envisioned a self-checking method through body sculpture, a mono-drama method in which therapists check themselves through creative dramatic activities, and a shape-use method in which an integrated diagnostic evaluation model was modified. The result of combining the advantages and limitations of each method, the self-supervision of drama therapy should be an objective, systematic, and easily structured way to examine the overall treatment process, including the use of drama media, in the contex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rapist and participants. Activity questionnaire developed and presented for efficient use of self-supervision. Activity questionnaire was designed from the schematic process with organizational elements and checklist of self-supervision for drama therapy, and then secondary activity questionnaire was designed by application of concept map. Self-supervision method using activity questionnaire was applied to the real clinical cases of the investigator and 9 drama therapists. As a result, the effects and needs of self-supervision, feedback on the amendment and supplementation were generated. Self-supervision of drama therapy was effective to check the administrative parts which had not paid attention much upon checking the work contents as well as acknowledging the communication problems with institutions and guardians. Self-supervision process using the activity questionnaire could result in the integrative insight because it could check the overall process at once. It was possible to structurally analyze the work by checking the mutual influence between the checks that make up the activity questionnaire, and it was effective to grasp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and relationship dynamics and the therapist's condition and attitude. And the therapists were also helping to prepare for the next treatment work, as they were working on the activity questionnaire to supplement or resolve the problems found. Self-Supervision can be used to communicate with peers and peer supervision, exchange new insights, function as support and encouragement, integrate with the therapist's work journal, and even engage in therapeutic diagnostic assessment. Self-supervision is useful when the therapist requires checking, evaluation, or review on his/her works and effective as a supplement of supervision limitation. In addition, it could generate synergic effect if self-supervision is preceded before supervision or done parallelly with therapist’s work log. The study was aimed to summarize the organizational elements of self-supervision to meet the characteristics of drama therapy and to check the work contents structurally by suggesting the activity questionnaire that could be implemented by the drama therapist independently so as to prepare the efficient utilization plans. This study has the meanings that it suggested the practical plans by drama therapeutic approach with self-supervision which had not been studied in the art therapy area, upon establishing the structure of self-supervision for drama therapy in application with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drama and proposing the activity questionnaire to prepare the efficient implementation plan based on these. 본 연구는 연극치료 슈퍼비전의 확장과 촉진 방안으로서 셀프 슈퍼비전 활성화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시행되었으며, 연극치료 셀프 슈퍼비전의 구성요소와 실질적인 활용에 관한 실제적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연극치료 셀프 슈퍼비전의 구성요소는 무엇인가? 2) 연극치료 셀프 슈퍼비전의 효율적인 활용방안은 무엇인가? 이를 위해 먼저 슈퍼비전에 관한 타 예술치료, 사이코드라마, 연극치료의 선행연구와 셀프 슈퍼비전의 선행연구를 검토하였고 슈퍼비전과 연극치료에 관한 이론고찰을 진행하였다. 이를 토대로 연극치료 셀프 슈퍼비전의 구성요소를 추출하여 셀프 슈퍼비전의 구조를 구축하였다. 연극치료의 셀프 슈퍼비전 구조는 1)자기평가 2)자기성찰 단계로 나뉜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적 경험 및 치료사로서의 자기를 탐색한 후 자기비판적인 태도로 평가하는 것을 자기평가단계라고 보았다. 자기성찰단계에서는 평가를 토대로 개인적·심리적 문제 및 갈등을 확인하고, 치료적 관계와 역전이를 확인한 뒤, 자신의 강점을 포함한 작업의 긍정적 결과와 자신의 약점을 포함한 작업의 미흡한 측면을 찾고 이를 재구조화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자기평가단계는 작업 내용과 작업환경으로 구분되며 작업 내용은 관계와 매체 활용, 작업환경은 행정과 관련된다. 그리고 각 항목들을 세분화하여 각 항에 맞는 구체적인 점검 내용을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다음으로는 다방면으로 셀프 슈퍼비전의 실행방안을 모색하였다. 신체 표현을 통한 자기점검 방법인 신체조각상 활용방안과 치료사가 스스로 창조적인 극적 활동을 통해 자신을 점검하는 모노드라마 활용방안, 통합적 진단 평가 모델을 변형하여 구성한, 도형 활용방법을 구상하였다. 각각의 방식들의 장점 및 한계점을 종합한 결과, 연극치료의 셀프 슈퍼비전은 치료사와 참여자 간의 관계맥락에서 연극 매체 사용을 포함한 전반적인 치료 과정을 점검하기 위해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쉽게 구조화할 수 있는 방식이어야 한다고 판단하여 효율적인 셀프 슈퍼비전의 활용을 위해 활동지를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활동지는 앞서 정리한 연극치료 셀프 슈퍼비전의 구성요소 및 점검 내용을 중심으로 하여 도식화 과정을 거쳐 초안을 구성한 뒤, 이후 개념도 양식을 접목하여 2차 활동지 양식을 구안하였다. 활동지를 통한 셀프 슈퍼비전 방식을 연구자와 9명의 연극치료사들의 실제 임상사례에 적용해 보았고, 그 결과 셀프 슈퍼비전의 효과 및 필요성, 수정 및 보완사항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극치료의 셀프 슈퍼비전은 작업 내용에 관한 점검뿐 아니라 기관 및 보호자와의 소통 문제를 인식하여 다소 관심이 적던 행정적 부분을 점검하는 것에 효과적이고, 활동지를 활용한 셀프 슈퍼비전 과정은 작업 전반적인 과정을 한 번에 확인할 수 있어 통합적인 시야를 얻을 수 있다. 활동지를 구성하고 있는 점검 내용간의 상호영향을 확인하며 구조적으로 작업을 분석할 수 있고, 치료적 관계 및 관계 역동과 치료사의 상태 및 태도 등을 파악하는 것에 효과적이다. 그리고 활동지를 작성하며 발견된 문제를 보완하거나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다음 치료 작업을 준비하는 것에도 도움이 되었다. 셀프 슈퍼비전은 동료와의 소통 및 동료 슈퍼비전과 연계되어 새로운 통찰을 주고받거나 지지 및 격려의 기능을 할 수 있고, 치료사의 작업 일지와 통합될 수 있으며 연극치료 진단평가와 연관되기도 한다. 셀프 슈퍼비전은 치료사 스스로 작업에 대한 점검 또는 평가, 성찰이 필요할 때 유용하며 슈퍼비전의 한계 보완책으로서 효과적이다. 또한 슈퍼비전을 받기 전에 선행되거나 치료사의 작업 일지와 함께 병행되면 좋은 시너지를 얻을 수 있다. 본 연구는 셀프 슈퍼비전을 연극치료의 특성에 맞춰 구성요소를 정리하고, 효율적인 활용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치료사가 독립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활동지를 제시하여 구조적으로 작업 내용을 점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극의 예술적 특성을 반영하여 연극치료 셀프 슈퍼비전의 구조를 구축하고 이를 토대로 효율적인 활용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활동지를 제시하여, 예술치료 영역에서 연구되지 않은 셀프 슈퍼비전에 관해 연극치료적 접근을 통한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함으로서 관련 연구를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국내 소장 서양고서의 훼손과 보존방법에 관한 연구

        김수미 용인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655

        국내 소장 중인 고서 중에 표지가 가죽으로 되어 서양의 제본방식으로 만들어진 도서는 최근 보존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그 훼손 유형에 따른 보존대책이 시급한 상황에 이르렀다. 이에 본 연구자는 서양식으로 제본된 서양고서의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고 국내에 소장 중인 19세기 이전 서양고서의 훼손유형을 분류하여 유형별 보존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열화의 진행을 늦추어 주는 예방적 보존과 열화가 진행된 후의 보존방법은 유기적으로 이루어져야 추가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현재의 상태를 객관적인 판단을 하기 위해 상태 조사를 실시하여 보존과학적 분석을 한 후에 고서의 상태에 맞는 보존대책으로 탈산처리 및 보수와 복원 그리고 보존환경 개선과 보존상자 제작방법 등에 대해서도 다루었다. 본 연구는 국내 소장 서양고서의 보존현황을 알아보고 훼손상태를 분류하는 과정에서 한정된 자료만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한계를 안고 있으며 직접적인 보존처리 실험에 대해 제한적이었다. 표지가 가죽으로 된 서양고서의 보존 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우선 훼손 유형을 분류하는 과정을 통해 고서의 표지 훼손유형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서양 고서의 경우 대부분 수납 방법이 세로로 세워서 책장에 보관하기 때문에 책등과 책머리 그리고 표지의 박락과 탈락, 분리 등의 손상이 주를 이룬다. 그러나 가죽이라는 재질적인 특성 때문에 오랜 시간 전해져 내려온 기간에 비하면 책 내부로의 손상을 줄이기에 가죽만한 표지 제본재료도 드물다는 것을 이번 연구를 통해서 확인 할 수 있었다. 동양에서 특히 한국에서 책의 표지를 전통적으로 제작했던 방식과 보존성을 비교해보는 것도 흥미로울 것으로 생각되며 가죽 표지에 불도장을 찍는 것은 표장 종이를 염색하여 능화문을 찍어 장식하는 것과 견줄만큼 예술성을 지닌 부분이기도 하다. 온도와 습도, 빛, 먼지와 대기오염 그리고 곤충과 곰팡이 등 해충과 미생물 등에 의한 열화가 진행되고 있는 산업혁명 이전의 서양고서를 보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현재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한 상태조사가 선행되어져야 하며, 관리를 위한 고서번호, 고서명, 지정번호, 수집경로, 크기/중량, 보존상태, 재질과 색, 사진1, 사진2, 형상, 박락, 변형, pH, 온도, 습도, 상태 등을 상세하게 기록하고 소장처와 격납위치, 상태조사 담당자와 조사일시를 정확하게 기록해 두어야 한다. 상태조사는 보존과학적 조사를 실시하여 고서의 현재 상태를 분석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결과물들을 빠짐없이 기록하여 추후 진행될 보존처리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예방보존을 위해서는 보존환경을 알맞게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온도와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며 습도는 45~55%, 온도는 18~20℃로 직접적인 태양광선이나 직접조명에 대한 노출을 최소화하고 외부대기와의 접촉을 차단한다. 정기적인 관리를 통해 먼지 제거와 병·해충의 발생을 억제하고 먼지가 습기와 뭉치지 않도록 안전한 환경을 만들어 준다. 안전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서는 공조시스템의 필터 사용을 통해 외부공기의 직접적인 유입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며, 고서는 낱권으로 한지, 중성지로 포장하여 보존하거나 가능하다면 중성 재질의 견고한 보드로 만들어진 중성 보존상자에 넣어 보존하는 것이 적절하다. 동양에서는 포갑 형태의 상자에 넣어 보존하였다. 가죽표지 고서의 경우 무겁고 두꺼운 형태로 열화가 진행되고 있는 고서의 경우 고서의 크기에 맞게 중성보드로 견고하게 보존상자를 제작 혹은 구입하여 고서를 보존한다면 더 없이 좋은 보존 방법이 될 것이다. 소장처의 현재 여건을 조사하여 개선하려는 노력이 필요한 부분이며 고서의 수집만큼 보존 부분을 고려하여야 한다. 국립중앙도서관, 백석대학교 기독교박물관, 명지대학교 LG연암문고, 대한성서공회 성서학도서관 고본실, 한국학서양문헌박물관, 평강성서박물관, 국제성서박물관, 세계기독교박물관 및 국내 보존 현황을 조사하여 국내 소장처들의 보존 현황을 파악하는 자료로 삼았다. 보존처리는 보존전문가의 자문과 충분한 사전 조사를 거쳐 적절한 환경에서 시행되어야 한다. 만약 처리를 맡은 보존가가 숙련된 전문가가 아닐 경우 오히려 복원하지 않는 것이 나은 결과가 나올 수 있음을 숙지하고 고서의 보존처리에 대해서는 더욱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 표지가 가죽으로 된 서양고서의 보존에 대해 국내외 연구와 교류가 확대되어 능력 있는 연구자들의 지속적인 연구로 이 분야의 보존기술이 더욱 발전하고 깊이 있게 연구하는 연구 인력이 체계적으로 양성되길 기대하며 부족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For old and rare books having leather cover and made by western bookbinding manner, measures to conserve them by damage types, has become urgent due to recent highlighting on conservation of modern materials. Accordingly, this study was began, intending to study historical background of western old and rare books made with western book and classify damage types of western old and rare books before 19th century to suggest conservation methods by damage types. In order to minimize additional damage, both a preventive conservation method to slack progression of degradation and a conservation method after significant progression of degradation from several causes must be accomplished organically. It is intended to identify conservation methods considered as the most ideal method at present for deoxidation, repair and restoration, improvement of conservation environment and production of conservation box as measures to conserve them according to their current state, as well as status investigation and analysis in terms of conservation science for objective judgment on current state of old and rare books. In addition, it is considered that it is more desirable to use Jechek製冊 or Janghwang粧䌙 instead of Jangjeong裝訂 or Jebon製本 as a term in Korean language indicating overall process of bookbinding for both Korean books and western books. This study has some limits that only limited data were used in course of studying current state of western old and rare books collected in Korea and classifying their damage state and it is acknowledged that unverified experiments cannot help be restricted because of possibility of another physio-chemical damage that may be caused by direct treatment to the old and rare books. Because most previous studies on book conservation have approached in terms of content conservation for assisting use of old and rare books centering on libraries or document houses, I started and progressed this study on conservation state and methods of western old and rare books, hoping the study on conservation of western old and rare books as relics further activated by addressing shape conservation of western old and rare books on which study was insufficient in Korea.In order to study conservation method for western old books with leather cover, cover damage types were focused through classification process of the damage types. Because the western old books are generally stored vertically on a book shelf, damages are concentrated to peeling off, exfoliation, and separation of their back and head. However due to material characteristics of leather, it was identified in this study that there was nothing like leather as a cover material to reduce damages into inside of books, considering terms that the books had been passed over. It is considered interesting to compare traditional manners to make book cover in the Orient, particularly in Korea and their conservation property and that fire stamping on a leather cover is comparable to decorating cover by staining and stamping Neunghwa pattern. In order to conserve western old books before the Industrial Revolution, which have ongoing deterioration by temperature, humidity, light, dust, air pollution, insects and fungi, status survey to investigate their current state exactly must be preceded. In addition, details for management such as number, name, assigned number, collection route, size/weight, conservation state, material and color, photo 1, photo 2, peeling off, deformation, pH, temperature, humidity, and status should be recorded and information including place and location of collection, staff name and date of state survey should be noted. In the state surgery, it is needed to analyze current state of old books by performing conservation science investigation and results should be noted thoroughly and used in conservation treatment to be progressed in future. For prevention, it is important to form conservation environment appropriately.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hould be maintained consistently as 45~55% of humidity and 18~20℃ of temperature; direct exposure to sunray or direct illumination should be minimized and contact to external atmosphere should be blocked. It is required to inhibit dust and gest generation through regular management and make safe environment to avoid building of dust with humidity. To make the safe environment, it is needed to minimize direct inflow of outer air through filter application in ventilation system and it is considered appropriate to store the books in a neutral conservation box made of neutral hard board or conserve them by covering them separately with Korean paper, neutral paper, or neutral plastic sheet. In the Orient, old books has been conserved in a box with a shape of ‘pogap (a kind of paket)’ Because old books with a cover made of leather are often heavy and thick, when immediate conservation treatment of important old books with ongoing deterioration is judged impossible, it will be the best conservation method to store them in a conservation box made of neutral board by laminating, covering with bookbinding fabric and drying it thoroughly. Conservation of western old books with a cover made of leather is accomplished by state investigation, establishment of conservation environment, and application of conservation treatment after conservation box, starting from accurate analysis of the material. Efforts to investigate and improve current state of each collection facility are needed and conservation of old books as well as their collection should be considered. When a conservation treatment is conducted during storage in a conservation box, the conservation treatment should be applied in proper conditions through consultation of a conservation expert according to the state of old books. It should be fully aware that if the conservation staff is not a skilled expert, it may be better not to conduct the conservation and further careful approach is required for conservation treatment of old books. Although this article on conservation of old books with leather cover is insufficient, further development of conservation technology in this field is expected by continuous study of researchers from activated exchange with foreign conservation studies.

      • Lived experience of stress reducing art activity among russian employees in language school in korea

        전옥사나 용인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50655

        This qualitative research was guided by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using Max Van Manen research procedures. During the review of the literature, it became known that the fact that many studies focused on children or people suffering from any disorders or post-traumatic syndrome, and not on adult employees of any institutions, gives rise to this study. The study was aimed at studying the lived experience of art making in stressful situations of Russian school employees in Korea. The main issue of the study is: what is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 lived experience of stress reducing art making. Nine Russian language school employees in Korea were selected for the study. They have experience in art making for stress reduction and provided at least 3 samples of their artwork. Participants must work in Korea, and agreed to voluntarily participate in the study without any incentives, other employees who did not meet this criterion were not qualified for this study. The authenticity of the study was measured by methodological congruence and continual availability in the form of interviews, literal translation of all the words of the participants, reflexivity, audit trail, data accuracy and data saturation. All data were recorded and then analyzed to determine the essence of the lived experience of stress relieving art making stress relieving participants in the study. The results of a study conducted for the concept of the essence of lived experience of art making by Russian employees in language schools in Korea will be useful to art therapists, academic professors, HR managers in companies and students for understanding the lived experience of art making research participants. 이 질적 연구는 Max Van Manen의 연구 절차를 이용한 현상학적 접근에 의해 유도되었다. 문헌을 검토하는 동안, 많은 연구가 어떤 기관의 성인 직원이 아닌, 어떤 장애나 외상 후 증후군을 앓고 있는 어린이나 사람들에게 초점을 맞춘다는 사실이다. 이 연구는 한국에 있는 러시아 학교 근로자들의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 속에서 예술활동이 그들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한 것이다. 이번 연구의 주요 쟁점은 미술이 스트레스를 줄이는 삶의 경험의 의미와 본질은 무엇인가이다. 한국의 러시아어학교 직원 9명이 이 연구에 선발되었다. 그들은 미술에 대한 스트레스를 줄여준 경험이 있고 그들의 예술작품의 최소한 3개의 샘플을 제공했다. 참가자들은 한국에서 일해야 하고, 자발적으로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했다. 어떤 인센티브도 없이, 이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다른 직원들은 이 연구에 참여할 자격이 없었다. 연구의 진위는 방법론적 일치와 인터뷰 분야의 지속적인 가용성, 참가자의 모든 단어를 문자 그대로 번역한 것, 반사성, 감사 추적, 데이터 정확도 및 데이터 포화에 의해 측정되었다. 모든 데이터를 기록한 다음 분석하여 예술이 살아 있는 경험의 본질인 스트레스 해소를 결정하였다. 국내 어학원에서 러시아인 종업원의 생활경험의 본질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결과는 미술치료사, 학술교수, 기업의 인사담당자, 학생에게 미술제작연구 참여자의 생활경험을 이해하는 데 유용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