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Sinchon Transit Mall Project on the Pedestrian Satisfaction and Commercial Area : 신촌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이 보행자 만족도 및 지역 상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Kim, Sung Eun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가로의 보행환경 개선을 통해 보행활동을 증진시키고 지역의 침체된 상권을 회복시키고자 서울시 최초 대중교통전용지구로 조성된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를 대상으로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 전후의 보행환경 변화를 도시설계적인 관점에서 분석하였으며,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에 따른 보행환경 개선이 보행자 만족도 변화 및 지역 상권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분석은 크게 세 가지로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 전후 보행환경 변화 분석,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 전후 보행환경에 대한 만족도 변화와 만족도에 영향을 준 보행환경 요인 및 인구특성 분석, 그리고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 전후 신촌 지역의 보행량, 매출, 지가 변화 분석 및 신촌 지역 상권 변화 관련 심층면접(In-Depth Interview) 분석이다. 분석방법으로는 첫 번째,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 전후 보행환경 변화는 도면 및 실측 조사와 자료 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두 번째,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 전후 보행환경에 대한 만족도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만족도 차이 분석은 chi-square test, 조성 전후 만족도 변화는 paired t-test, 만족요인 분석은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및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 전후 신촌 지역의 보행량 변화는 보행량 조사, 매출 및 지가의 변화는 자료 조사를 실시한 후 기초통계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상권 변화에 대한 신촌 상인들의 의견을 듣기 위해 In-Depth Interview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 전후 보행환경 변화를 분석해 본 결과 조성 후 보도폭 확장, 보차분리 및 진출입구 안전 강화, 보도포장 개선, 위생시설 설치, 교통안전정보시설 추가 설치, 가로등 조도 강화, 횡단보도 추가 신설, 보행자 신호대기시간 감축, 벤치 설치, 명물거리와 연계한 벚꽂나무 식재, 노상적치물 및 불법노점상 철거 및 이전, 불법주정차 철거, 버스승강장 설치 및 BIT(버스도착안내 단말기) 설치로 인한 대중교통 접근성 강화, 명물거리 광장 조성 및 유효보도폭 확장을 통한 인근지역과의 연계성 강화, 다양한 문화 활동 공간 및 휴식공간 조성 그리고 지역 특색을 반영한 다양한 조형물 설치 등을 통해 연세로 보행환경이 개선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 전후 보행자 만족도 변화 분석 결과 통계적 유의수준 내에서 전반적 만족도는 조성 전 `불만족'(2.37)에서 조성 후 `만족'(4.12)으로 크게 변화하였으며, 18개 보행환경요소별 만족도 모두 통계적 유의수준 내에서 조성 전보다 조성 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응답자의 성별, 연령, 직업, 거주지를 포함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전반적 만족도 수준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보행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 보행환경요인 분석결과 통계적 유의수준 내에서 `매력'(.282), `연속성'(.242), `안전성'(.172) 인자 순으로 영향력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매력' 요인의 구성요소는 볼거리, 즐길거리, 벤치, 위생시설, 노점상이며, `연속성' 요인의 구성요소는 횡단보도위치, 보행자 신호대기시간, 인근지역과의 연계성, 가로수, 대중교통 접근성이며, `안전성' 요인의 구성요소는 보차분리, 진출입구 안전, 보도폭이다.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 전후 보행량 변화 분석결과 조성 전보다 조성 후 전반적으로 보행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에 따른 보행환경 개선이 연세로 보행량 증가와 관련이 있다고 추론해 볼 수 있겠다. 그리고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 전후 신촌 지역 내 점포 월별 매출액이 전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보이며, 조성 후인 2014년-2016년 연세대 상권 1인당 카드 매출이 다른 대학 상권(홍대 2.2%, 서강대 3.2% 포함)에 비해 큰 폭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나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에 따른 보행환경 개선이 매출액 상승과 관련이 있다고 유추해볼 수 있겠다.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 전후 신촌 지역 지가 변화를 살펴보고자 연세로에 인접한 필지와 신촌 인근 홍대 `걷고 싶은 거리'에 인접한 필지를 대상으로 조성 전 개별공시지가 증감률과 조성 후 개별공시지가 증감률을 비교 분석해 본 결과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에 따른 연세로 보행환경 개선이 신촌 지역의 지가 상승에 영향을 주었다고 보기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 전후 지역 상권 변화에 대한 상인들의 의견을 듣기 위해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분석해 본 결과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 후 연세로의 보행환경이 개선된 것에 대해 대부분의 상인들은 만족스럽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연세로 차량 통행 불편과 주차 공간 부족, 연세로 이면도로 보행환경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 후 연세로에서 진행되고 있는 행사들 관련 의견을 분석해보면 대부분의 상인들은 연세로 내 다양한 행사 유치로 인한 유동인구 증가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었으나 행사를 즐기러 온 사람들이 행사 후 이면도로로 유입되지 못하는 문제점, 자연발생적 문화 컨텐츠 창출이 아닌 서대문구의 개입으로 인한 인위 발생적 문화 컨텐츠 창출의 문제점과 U-Plex 앞에서 중점적으로 행사가 집중되어 진행되는 문제점에 대해서 지적했다. 본 연구에서 진행한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 전후 신촌 지역 전체 매출 변화 분석 결과에 의하면 조성 전보다 조성 후 지역 매출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조성 전후 매출 변화에 대한 상인들의 의견을 종합해보면 매출이 증가했다는 상인들이 있는 반면 매출이 감소했다는 상인들도 있었다. 매출 감소를 경험하고 있다는 상인들은 연세로 차량 진입 통제로 인한 차량 통행 불편과 주차 공간 부족이 매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주원인으로 꼽았다. 그러나 모든 상인들의 답변을 종합해보면 2013년 연세대학교 1학년 학부생 송도캠퍼스 이전, 경기침체, 세월호 참사, 메르스 사태 등 복합적인 요인들이 부정적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conducted the analysis the changes in the pedestrian environment before and after the creation of transit mall in Yonsei-ro targeting the Seoul's first public traffic-only district in view point of urban design in order to promote walking activity through the pedestrian environment improvement and restore the downturn in commercial areas of the region. This study also analyzed influences of the changes in pedestrian environment on satisfaction of pedestrians and commercial supremacy in Sinchon. As the analytical methods; First, the changes in pedestrian environment after the creation of transit mall were analyzed in terms of urban design by studying plans, field and data. Second, a survey of satisfaction of pedestrians with pedestrian environment before and after the creation of transit mall was conducted. Chi-square test was conducted to analyze differences in satisfac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Paired t-test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hanges in satisfaction of pedestrians with pedestrian environment before and after the creation of transit mall.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analyze satisfaction factors of pedestrians. Finally, the basic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hanges in pedestrian volume, sales and land price in Sinchon after the creation of transit mall.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to take opinions about the changes in commercial supremacy from mearchants. An analysis of the changes to the pedestrian environment before and after the creation of the Yonsei-ro transit mall showed that the pedestrian environment in Yonsei-ro was improved by expanding the width of the sidewalk, enhancing the level of safety at the entrance, separating the sidewalk and the roadway, improving the pavement of the sidewalk, installing a sanitation facility, further installing traffic safety information facilities, improving the streetlights' illumination intensity, adding more crosswalks, reducing the amount of time pedestrians were required to wait for a signal to change, installing benches, planting Oriental cherry trees, removing distribution box, illegal roadside piles and street stalls, removing illegal parking, installing bus stops and bus information terminals (BIT), creating the Myeongmul street Plaza, expanding the effective width of the sidewalk, creating spaces where people can enjoy the culture and take a rest, and installing three-dimensional artwork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Sinchon. An analysis of the changes in the level of pedestrians satisfaction before and after the creation of the Yonsei-ro transit mall showed that overall, pedestrians' satisfaction changed from `dissatisfied' (2.37) to `satisfied' (4.12), and that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eighteen pedestrian environment elements improved following the creation of the transit mall; these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 analysis of pedestrians' overall satisfaction level,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cluding gender, age, occupation, and residence), showed tha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overall satisfaction. An analysis of the pedestrian environment factors that influence pedestrians' satisfaction levels showed that `attraction' (.282) had the highest influence, followed by `continuity' (.242) and `safety' (.172); this resul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lements related to `attraction' comprise anything that can be seen or enjoyed, as well as benches, sanitation facilities, and street vendors, Components of `continuity' include the location of crosswalks, time for pedestrians to wait for signal to change, connectivity to neighboring areas, street trees, and accessibility to public transportation and, `safety' includes elements such as separation of the sidewalk and roadway, safety at the entrance, and width of the sidewalk. An analysis of the changes in the pedestrian volume before and after the creation of the transit mall showed that pedestrian volume increased after the creation of the transit mall. This suggests that improvements to the pedestrian environment are related to an increase in pedestrian volume in Yonsei-ro. Monthly credit card sales per person in the trade area of Sinchon increased as a whole, when comparing before and after the creation of transit mall. Moreover, the sales per card in the trade area of Sinchon increased considerably when compared with the sales other areas including Hongik University (2.2%) and Sogang University (3.2%).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mprovements to the pedestrian environment by the creation of the transit mall are associated with a rise in sales in Sinchon. An analysis of the changes in official land prices (in percentage) based on lots in the vicinity of Yonsei-ro and `walkable street' near Hongik University to examine how land prices in Sinchon changed before and after the creation of the transit mall showed that improvements in the pedestrian environment by the creation of the transit mall did not result in an increase in land prices in Sinchon. After compiling merchants' positions and opinions on the changes in commercial supremacy following the creation of the transit mall,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interviewed merchants were satisfied with the improvements to the pedestrian environment after the creation of the Yonsei-ro transit mall; however, they were dissatisfied with the inconvenience of vehicular traffic in Yonsei-ro, the lack of parking spaces, and the pedestrian environment in the alleys. After analyzing the merchants' opinions about the events held in Yonsei-ro following the creation of the transit mall,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interviewed merchants were satisfied with the increase in the floating population, which resulted in response to an attraction to various events in Yonsei-ro; however, the merchants pointed that as downsides, the participants in the events did not stay in Sinchon for long, the cultural contents were created artificially by the intervention of Seodaemungu office, and events were held mainly in front of the U-Plex. An analysis of changes in overall sales in Sinchon after the creation of the transit mall showed that sales after the creation of the transit mall were greater than before its creation. Some merchants said that their sales increased after the creation of the transit mall, whereas others said that their sales decreased. Those merchants who said that their sales decreased after the creation of the transit mall pointed out that the inconvenience of vehicular traffic arising from the restricted access of cars into Yonsei-ro and the lack of parking spaces served as the main causes of these declining sales. After compiling the responses of all interviewed merchants, it was determined that complex factors, such as the relocation of freshmen at Yonsei University to the Songdo Campus in 2013, the economic recession, the sinking of the Sewol ferry, and the MERS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outbreak also likely had negative influences on sales.

      • 유급을 경험한 의과대학생의 적응과정 연구

        장익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9631

        ABSTRACT The Failure Experiences of Medical Students and the Process of their Adaption Jang, Ik Dept. of Theology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medical students, specifically in the adaptation processes of students having experienced failure, and to present directions to care. The subject of the study were 12 students that have experienced failure at least once as a registered student and attending school at the time. 8 of those students have experienced failure more than once, while 4 students, only once. Duration of study was from January of 2012 to January of 2013, in which 3 individualized deep-interviews were conducted. Collected data were open coded on basis of Grounded Theory (Strauss & Corbin, 1990), resulting in 160 codes, 34 concepts and 9 categories. Categories were further analyzed by axial coding to establish common demonstration of ‘acquisition of academic adaptation,’ ‘return to anxiety ridden life,’ and ‘acceptance to continued failure’ within aforementioned students. Furthermore, four stages of adaptation was established, the first being ‘acknowledgement of collapse due failure,’ second, ‘adjustment efforts in overcoming failure,’ third, ‘reinforcement of overcoming failure,’ and fourth, ‘finalization to adaptation.’ Thus, core category was established as ‘overcoming failure and processing adaptation’ with subcategories of ‘resistance to continued failure,’ ‘anxiety,’ and ‘self-discipline,’ leading to four types of adaptation: ‘driven,’ ‘conceited,’ ‘effortful,’ and ‘anxious.’ The ‘driven’ types were optimistic of their failure and were confident they will overcome the difficulties, maintaining their self-discipline actively. The ‘conceited’ types were less sensitive in understanding anxiety and their situation, while being resistant and overly confident in continued failure but were poor in self-discipline. The ‘effortful’ were more stable and highly resistant to continued failure while showing less confidence, but active in self-discipline, resulting in high academic adaptation . The ‘anxious’ type wee highly resistant to continued failure but were highly sensitive their surroundings, while being poor in self-discipline, resulting in low academic adaptation, demanding much help. The liberation model by Watkins Ali was used to spotlight the hidden mentality of ‘first-place-or-nothing’ and ‘disconnection from society’ present in medical students, while presenting a pastoral counseling model that involves ‘nurturing,’ ‘empowering,’ ‘liberating,’ and ‘reconciling,’ for ‘voluntary resources’ and ‘restoration of relationship.’ This research expands from previous studies of finding fault in individuals to encompassing the actual voices of medical students, presenting experience-driven theories to help understand overcoming processes. It also presents a systematic rehabilitation model as well as academic notes for failure-experienced medical students to become a new subject to their academic society. 국 문 요 약 유급을 경험한 의과대학생의 적응과정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유급을 경험한 의과대학생의 적응과정과 적응유형을 확인하여 이들을 위한 체계적 돌봄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의과대학생 중 유급을 1회 이상 경험한 총 12명의 학생으로 2회 이상 유급을 경험한 학생은 8명이며, 유급을 1회 경험한 학생은 4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2012년 1월부터 2013년 1월까지 이루어졌으며, 연구 참여자와의 개별적 심층 인터뷰를 근거이론방법론에 따라 자료를 개방 코딩하여 160개의 개념과 34개의 하의범주, 9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범주들 간에 연관성을 정렬하는 축코딩을 통해 ‘학업 적응감 획득’, ‘불안한 일상으로의 회기’, ‘재유급에 대한 수용’이라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유급을 경험한 의과대학생의 적응과정은 총 4단계로 구성되어 첫째, ‘유급경험 붕괴 인식단계’, 둘째, ‘유급극복 조정시도단계’, 셋째, ‘유급극복 강화단계’, 넷째, ‘유급극복 적응단계’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중심적 주제를 응축하고 핵심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핵심범주로 ‘유급을 극복하고 적응하기’로 설명할 수 있으며 속성은 ‘재유급에 대한 저항’, ‘불안감’, ‘자기관리’이었다. 핵심범주와 각 범주간의 가설적 관계유형을 통해 유급을 극복하고 적응하기의 4가지 유형으로 ‘주도형’, ‘자만형’ ,‘노력형’, ‘불안형’으로 구분하였다. 유급을 경험한 의과대학생의 적응과정에서 나타나는 4가지 유형 중 첫째 ‘주도형’은 자신의 유급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유급과 관련한 어려움들을 극복할 자신감과 확신을 통해 자기관리가 매우 적극적인 유형이었다. 둘째, ‘자만형’은 다른 유형에 비해 불안감과 주변 환경에 대한 평가의 민감성도 매우 낮고 재유급에 대한 저항과 자신감이 있으나, 자기 관리가 취약한 유형이었다. 셋째, ‘노력형’은 다른 유형에 비해 안정적이며 재유급에 대한 강한 저항을 보이고 자신감은 다소 약한 편일 수 있으나 적극적인 자기 관리로 학업 적응감 획득이 높은 유형이었다. 넷째, ‘불안형’은 재유급에 대한 저항이 매우 강하지만 타인에 대한 민감성이 매우 강하고, 자기관리 부족으로 학업 적응감 획득이 낮아 불안감을 느껴 실제적인 유급극복을 위한 도움이 필요한 유형으로 나타났다. Watkins Ali의 신학방법론을 통해 유급의 경험 속에 숨겨 있는 ‘일등주의에서의 실패’와 ‘관계의 단절’ 이라는 문화적 정황을 해석 할 수 있었고, 유급을 극복하고 적응하는 개인의 ‘자발적 자원’과 공동체로서의 ‘관계성 회복’의 통괄적 관점을 이루기 위한 목회상담 돌봄 모델로 ‘양육(nurturing)’, ‘힘 실어주기(empowering)’, ‘해방(liberating)’, ‘화해(reconciling)’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유급의 문제를 한 개인의 문제로 인식하던 기존의 연구를 넘어 유급을 경험한 의과대학생의 실제적인 이야기를 담아냈고, 이를 통해 유급을 극복하는 과정을 이해하는 경험적 이론을 마련하였다. 또한 유급을 경험한 의과대학생이 유급을 극복하고 공동체의 새로운 구성원으로 회복하기 위한 체계적인 모델과 학문적인 자료를 제시한 연구라 할 수 있다.

      • 이집트 한국어교육 실태 조사와 요구 분석 : 대학교 전공 한국어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김지영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itu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Egypt, where demand is increasing, and to analyze the demand for curriculum suggestions centered on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as a major to review current Korean language education. Chapter 1 revealed the need to review the overall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Egypt,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MENA), and suggest implications. It emphasizes the need to examine Egypt’s education, which is a pioneer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MENA, and suggests that research will be conducted through survey and needs analysis based on the stage of curriculum development. Chapter 2 examines the history and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Egypt, which has been sporadic since 194, and describes in detail the current status of instructors and students at Ain shams University and Aswan University, where major Korean language departments exist. In addition, the status of non-major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has been opened so far, is described by dividing it into general and special purposes. Chapter 3 analyzes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Egypt comparing with the Japanese language curriculum of Cairo University, based on the Egyptian national academic standards. The ratio of each area was analyzed based on the comprehensive area subjects, and as a result, among the specifications that language students must have in the national academic standards, Ain shams University and Aswan University focused on the aspect of linguistic knowledge and training interpretation experts. In contrast, Cairo University emphasizes learning culture and literature as well as linguistic knowledge, and accordingly,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s lack the corresponding area, so subjects on culture and literature should be supplemented. In Chapter 4 and 5, in order to sugges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a survey of enrolled students, graduates, instructors and Korean workers in Egypt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needs analysis, it was found that learners need to reinforce oral functions such as speaking and listening, and additional practical subjects such as business Korean that can be linked to work when they get a job. In the cultural area, there were high needs to learn about areas that were different from Egyptian learners’ cultures, such as values, etiquette culture, and traditions. Moreover,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subjects that can learn and practice interpreting in the existing classes focusing on transla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 reference for the qualitativ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Egypt, and that it will serve as a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when new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s will be established in MENA. 본 연구는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이집트 내의 한국어교육 실태 조사와 현행 한국어교육 검토를 위해 전공으로서의 한국어과를 중심으로 한 교육과정 제언을 위한 요구 분석에 목적이 있다. 1장에서는 중동·아프리카 지역의 중심에 위치해 있는 이집트의 한국어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현황 검토와 시사점을 제언할 필요성이 있음을 밝혔다. 한국어교육이 발전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닌 중동·아프리카 지역에서 한국어교육의 선구자 역할을 하고 있는 이집트의 교육을 살피고 발전 방향성을 제언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으며, 교육과정 개발 단계에 따라 실태 조사와 요구 분석의 방법을 통해 연구를 진행할 것이라고 제시한다. 2장에서는 1994년 이후 산발적으로 진행된 이집트 내 한국어교육의 역사와 현황을 조사하고, 전공 한국어과가 개설되어 있는 아인샴스 대학교와 아스완 대학교의 교강사 및 학생 현황, 교재, 기관 시설 등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더불어 현재까지 개설되었던 비전공 한국어교육 실태를 일반 목적과 특수 목적으로 구분하여 서술하였다. 3장에서는 이집트 국가 학업 표준을 기반으로 아인샴스 대학교와 아스완 대학교의 한국어 교육과정과 카이로 대학교 일본어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상위 영역 항목을 기준으로 각 영역의 비율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국가 학업 표준에서 언어 분야 학생이 갖추어야 하는 사양 중 아인샴스 대학교와 아스완 대학교는 언어의 지식적 측면과 통번역 전문가 양성에 비중을 두고 있음을 밝혔다. 대조적으로 카이로 대학교는 언어 지식과 더불어 문화와 문학에 대한 학습도 강조하고 있으며, 이에 한국어과는 해당 영역이 부족하기에 문화, 문학에 대한 과목을 보완해야 한다고 분석하였다. 4장과 5장에서는 교육과정의 발전 방향성을 제언하기 위해 재학생, 졸업생, 교강사, 이집트에서 근무하는 한국인 직장인 등 교육 관계자를 대상으로 요구 조사를 시행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습자들은 말하기와 듣기 등 구술 기능을 보강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취업 시 업무와 연계할 수 있는 비즈니스 한국어 등의 실용 과목에 대한 추가 개설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 영역에서는 가치관, 예절 문화, 전통 문화 등 이집트 학습자의 문화와 차이가 있는 영역에 대한 학습 필요도가 높았다. 또한 기존에 번역 위주로 진행된 수업에서 통역을 배우고 연습할 수 있는 과목이 보충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가 이집트 한국어교육의 질적 발전을 위한 참고 자료가 되며, 아울러 이집트를 비롯한 중동·아프리카 지역에 추후 새로운 한국어교육 기관이 마련될 시 교육과정 개발의 초석을 다질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A Self-Reported School Participation Assessment: Development, Validity, & Reliability : 자가-보고식 학교 참여 측정도구의 개발 및 타당도·신뢰도 연구

        Choi, Yu Jin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9631

        The objectives of the present study were 1) to develop a self-reported school participation assessment (SPA) tool that reflects the school culture in South Korea, and 2) to test its internal consistency, test-retest reliability, construct validity,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During the development stage, a total of 50 initial items were compli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review by current primary school teachers. The items were then deleted and revised to 39 items via a Delphi survey completed by an expert panel. The comprehensibility of these items were tested on 20 forth to sixth grade students; based on this, the items were narrowed down to 34.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item analysis were performed following the final 34-items four-point scale survey on perception of school participation among 482 children who understood and were capable of responding to the questionnaire. The results from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performed for testing construct validity showed four factors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53.64%. These four factors were education, play,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environment. The results from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four factors were valid for the construct that explained school participation. To examine convergent validity, correlations between SPA scores and KIDSCREEN-52 quality if life (KIDSCREEN-52-HRQOL) scores were analyzed. Total SPA scores and total KIDSCREEN-52-HRQOL scor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r=.58, p<.01). To measure discriminant validity, levels of school participation between children with (n=29) and without depression (n=29).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een between these two group (U=214.50, p<.001). Internal consistency was tested with Cronbach’s alpha, and internal classification coefficients (ICCs) were used for test-retest reliability. The Cronbach’s alpha was .92 for 482 children, and ICCs were .96 for 30 children. In conclusion, a self-reported SPA serves as the necessary tool for assessing perception of school participation reflecting the educational culture of South Korea. The present study established the statistical integrity of the self-reported SPA tool by testing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SPA tool can be useful to occupational therapists, teachers, and school health management professionals for intervention and assessing perception of school participation in children who are capable of participating in a self-report survey. 본 연구의 목적은 1) 국내 학교 문화를 반영하는 자가 보고식 학교 참여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2) 내적 일치도, 검사-재검사신뢰도, 구성타당도, 수렴타당도와 판별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개발단계에서 문헌고찰과 현직 초등학교 교사의 검토과정을 거쳐 50개 문항을 수집하였다.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통해 문항을 삭제 또는 수정하여 39개 항목을 선택하였다. 이 항목으로 일반 초등학교 4~6학년 학생 20명을 대상으로 문항이해도를 검사하고, 항목을 수정하여 34문항을 구성하였다. 그 다음설문의 문항을 이해하고 설문에 응할 수 있는 482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최종 34 문항에 대한 학교 참여 지각을 4점 척도로 조사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문항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성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4개요인, 53.64% 설명력을 보였다. 4개 요인은 교육, 놀이, 대인관계와 환경이었다. 확인적 요인 분석 결과 4개의 요인은 학교 참여를 설명하는 구조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렴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학교 참여 측정도구의 점수와 KIDSCREEN-52- HRQOL 점수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교 참여 측정도구의 총점과 KIDSCREEN-52-HRQOL의 총점 사이 상관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r=.58, p<.01). 판별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일반 아동(n=29)과 우울증이 있는 아동(n=29)의 학교 참여 정도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두 그룹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U=214.50, p<.001) 개발된 자가 보고 학교 참여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일반아동 482명을 대상으로 Cronbach 의 내적일치도 계수를 산출한 결과 .92였다. 또한 일반아동 30명을 대상으로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측정한 결과 급간내 상관계수(ICCs)가 .96으로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자가-보고식 학교 참여 측정도구는 한국 교육 문화를 반영하는 학교 참여 지각을 평가하기 위해 필요한 도구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함으로써 자가-보고식 학교 참여 측정도구의 통계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학교 참여 측정도구는 자가보고 설문이 가능한 아동의 학교 참여지각을 평가하고 중재하기 위한 작업치료사, 교사를 포함한 아동 건강관리 전문가에게 유용할 것이다.

      • Favorable outcome of alternate intra-arterial and systemic chemotherapy for retinoblastoma : 망막모세포종 환자를 대상으로 한 동맥 항암 및 전신 항암 병용 요법의 효과

        Hahn, Seung Min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31

        눈동맥 항암은 망막모세포종의 표준치료로 자리 잡아가고 있으나 전신 전이나 재발을 막는데에 얼마나 효과적인지에 대해서는 아직 확립 되지않았다. 따라서 전신 항암치료와 눈동맥 항암을 병용하는 요법의 장점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2012년 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 병원에서 망막모세포종으로 진단된 환자 중 눈동맥 항암, 전신 항암 병용요법을 시행한 12명 (13안구)을 대상으로 치료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Retinoblastoma (ICRB) 분류에 따라 그룹 B (n = 1), 그룹 C (n = 2), 그룹 D (n = 5), 혹은 그룹 E (n = 5) 환자를 나누었으며 눈 적출까지 안구의 생존율을 비교하였다. 중간 값 30.4 개월 간의 추적 관찰 기간 동안 안구의 생존율은 63.9 ± 14.7% 였으며 사망한 환자 및 심각한 부작용을 보인 환자는 없었다. 눈동맥 항암 및 전신 항암의 병용 요법이 망막모세포종의 효과적인 치료적 방법 중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Intra-arterial chemotherapy (IAC) is one of the current standard treatment of retinoblastoma, however it cannot exclude the risk of occult micrometastases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in advanced stage retinoblastoma. Alternate fashion of IAC and intravenous chemotherapy (IVC) strategy was developed to increase the eye salvage rate and to reduce the metastatic risk. Between January 2012 and December 2014, 13 eyes of 12 patients with newly diagnosed retinoblastoma received alternate IAC and IVC in Yonsei Cancer Center. Eye salvage rate was assessed by the eye preservation time which was defined as the duration from the diagnosis to the time of enucleation. Total 13 ey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Retinoblastoma (ICRB) as group B (n = 1), group C (n = 2), group D (n = 5), or group E (n = 5). IAC was performed three to five times for each eye, total 54 times. Five to fifteen courses of IVC were performed. During the median follow-up period of 30.4 months, overall eye salvage rate was 63.9 ± 14.7%. All patients survived. The treatment was tolerable without significant complications. Primary alternate IAC-IVC was tolerable and effective for retinoblastoma.

      • 다변량 일반화가능도 이론을 적용하여 채점자 효과가 혼합형 검사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김지은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31

        These days, mixed-format(MF) tests which are composed of multiple-choice (MC) items and free-response(FR) items are widely used. Unlike to MC items, FR items are affected by raters' subjectivity and errors are introduced by raters(Schoonen, 2005). It is called as 'rater effect'. The most popular rater effects are rater severity/leniency and consistency/variability of rater severity. When a rater rates higher/lower score than the other raters, the rater is lenient/severe. When a rater gives scores consistently/inconsistently compared to the reasonable scores, the rater has consistency/variability of rater severity. Because these rater effects decrease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measurement, it is recommended to use proper model considering rater effects. Several studies examined reliability of MF tests using multivariate generalizability theory. First, Powers and Brennan(2009) estimated reliability of MF tests. However, the paper did not take a consideration of rater. Moses and Kim(2015) added rates facet in design, not rater. Recently, Kim et al.(2016) developed advanced research, and introduced new design for MF tests. Although the study is meaningful for using new indices to express MF test, limitation of using real data exists. In this paper, simulation study is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ater effects on reliability of MF tests. The research question of this paper is to check the effects of various rater effects on reliability of MF tests by changing the design and the ratio of MC items and FR items. With 12 rater conditions and 3 designs, MF tests data are generated, and the reliabilities are calculated.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that the reliabilities of designs without rater effects were higher than those considering rater effects. The differences of severity had more effects on the reliability than consistency of severity. When the rater effects were low, by adding FR items, the reliability increased. And the reliabilities of crossed designs with raters were computed lower than nested designs. To sum up,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like below. The effects of differences of rater severities on reliabilities are larger than another effect, especially to dependence index. When the difference of severity is high and the consistency of severity is low, the reliabilities are overestimated. And the reliabilities of rater nested models are higher than crossed model. The ratios of items function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rater effects. 많은 평가 상황에서 선택형 문항과 서답형 문항으로 구성된 혼합형 검사가 사용되고 있다. 선택형 문항과 달리, 서답형 문항을 채점할 때는 채점 과정에서 채점자에 의한 오차가 개입될 수 있으며(Schoonen, 2005), 채점 시 채점자로 인해 추가되는 오차를 채점자 효과(rater effect)라고 한다. 채점자 효과는 크게 채점자의 엄격성/관대함과 채점자 엄격성의 일관성/변동성으로 구분된다. 채점자 엄격성/관대함은 다른 채점자가 부여하는 점수보다 낮은/높은 점수를 부여하는 채점자의 경향성을, 채점자 엄격성의 일관성/변동성은 타당한 채점점수를 기준으로 얼마만큼 일관적/비일관적으로 점수를 부여하는지를 의미한다(Myford & Wolfe, 2003). 채점자 효과는 신뢰도를 낮추므로, 분석 시 채점자를 고려하는 모형이나 설계를 적용할 필요가 있다. 다변량 일반화가능도 이론을 이용하여 혼합형 검사의 신뢰도를 계산하려는 시도는 꾸준히 이루어져왔다. Moses와 Kim(2015)은 채점 국면을 포함한 설계를 이용하여 혼합형 검사의 신뢰도를 계산하였으나, 채점자 국면이 아닌 채점 국면을 포함하였다. Kim et al.(2016)은 발전된 설계를 적용하여 혼합형 검사의 신뢰도를 산출하였다. Kim et al.(2016)의 연구는 새로운 기호를 사용하여 혼합형 검사의 설계를 규정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나, 기존의 자료를 가공하여 사용하여 연구의 결과가 연구에서 사용한 자료에 국한된다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모의실험 연구를 통해 다변량 일반화가능도 이론을 적용하여 채점자 효과가 혼합형 검사의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의 문제는 채점자 효과가 여러 다변량 일반화가능도 모형의 신뢰도 차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채점자 효과가 다변량 일반화가능도 모형의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하며, 채점자 효과가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이 문항 구성 비율에 따라 다르게 기능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12가지 채점자 조건과 3가지 모형의 설계에 따라 혼합형 검사의 자료를 생성하였고, 문항 구성 비율을 다양하게 설정하여 각각의 신뢰도를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 채점자를 고려하지 않는 모형의 신뢰도가 채점자를 고려하는 모형의 신뢰도보다 항상 높았으며, 신뢰도 간의 차이의 정도는 채점자 조건과 신뢰도의 종류마다 달랐다. 채점자 효과 중 채점자 간 엄격성의 차이가 채점자 내 엄격성의 일관성보다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이 컸다. 또한 채점자 효과가 작을 때는 서답형 문항의 수가 증가할수록 신뢰도가 증가하였고, 채점자 효과가 클 때는 서답형 문항의 수가 증가할수록 신뢰도가 감소하였다. 채점자가 문항에 내재된 모형은 채점자와 문항이 교차하는 모형의 신뢰도보다 대체로 크게 추정이 되었으며, 과대추정의 정도는 채점자 조건마다 달랐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채점자 효과 중 채점자 간 엄격성의 차이가 채점자 내 엄격성의 일관성보다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이 더 컸고, 채점자 간 엄격성의 차이는 일반화가능도 계수보다 의존도 계수에서 더 큰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채점자 간 엄격성의 차이가 크고 채점자 내 엄격성의 일관성이 낮을 때, 채점자를 고려하는 모형의 신뢰도가 과대추정이 되었다. 마지막으로, 채점자를 반영하지 않는 모형과 채점자를 반영하고 내재된 모형이 채점자를 반영하고 교차하는 모형보다 과대추정이 되었으며, 채점자 효과는 문항 구성 비율에 따른 신뢰도의 변화에 다르게 기능하였다.

      • 심장이식 후 간호사주도 지속 퇴원교육프로그램의 임상성과

        이지현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심장이식 환자의 퇴원 후 관리에 필요한 내용과 효과적인 방법을 확인하여 추후 연구와 교육의 근거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간호사주도 지속 퇴원교육프로그램을 기존 퇴원교육과 비교하여 증상으로 인한 외래내원, 계획되지 않은 첫번째 재입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인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전자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한 연구로서 서울시 소재한 Y상급종합병원에서 2005년 11월 1일부터 2018년 11월 30일까지 심장이식 수술을 받고 퇴원교육을 받은 환자 중 총 136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일반적 퇴원교육을 받은 군 25명, 간호사 주도 퇴원교육을 받은 군 66명, 간호사주도 지속 퇴원교육프로그램을 받은 군 45명을 대상으로 최종 분석하였다. 간호사주도 지속 퇴원교육프로그램을 받은 군은 병동 간호사가 퇴원 시 제공한 일반 퇴원교육과 이식 코디네이터가 교육용 책자를 가지고 전문지식을 기반으로 제공한 간호사주도 퇴원교육에 추가적으로 퇴원 후 2개월 이내에 1년동안 정기교육과 전화상담을 제공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24.0 version을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자의 특성은 기술통계를 이용하였으며, 심장이식 후 퇴원교육에 따른 임상성과를 비교하고, 심장이식 후 임상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Kaplan-Meier, Cox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과 사후분석은 Sheffe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간호사주도 지속 퇴원교육프로그램을 받은 군이 일반적 퇴원교육과 간호사주도 퇴원교육을 받은 군보다 연령이 많았고(p=.001), 이식 전 흡연율(p=.011)과 당뇨병 유병률(p=.002)이 높았으며, 총동반질환 개수가 많았고(p=.008), 심폐기(p=.002) 및 인공호흡기(p=.046) 적용 비율이 높았고, 퇴원 시 Cyclosporine사용 비율이 낮으며, Tacrolimus 사용 비율이 높았다(p<.001). 2. 간호사주도 지속 퇴원교육프로그램을 받은 군은 일반 퇴원교육과 간호사주도 퇴원교육을 받은 군에 비해 증상으로 인한 외래내원 횟수가 유의하게 낮았다(p=.004). 다른 변수를 통제한 이후에도 간호사주도 지속 퇴원교육프로그램은 일반 퇴원교육(p<.001)과 간호사주도 퇴원교육(p=.001)보다 유의하게 증상으로 인한 외래내원을 낮추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3. 간호사주도 지속 퇴원교육프로그램을 받은 군은 일반 퇴원교육과 간호사주도 퇴원교육을 받은 군에 비해 계획되지 않은 첫번째 재입원까지의 기간이 유의하게 길었다(p<0.001). 다른 변수를 통제한 이후에도 간호사주도 퇴원교육에 비해 간호사주도 지속 퇴원교육프로그램은 계획되지 않은 첫번째 재입원의 위험을 낮추는 유의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p=.011). 결론적으로 간호사주도 지속 퇴원교육프로그램을 받은 군이 기존 퇴원교육을 받은 군에 비해 중증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임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식의 사례가 적은 심장이식의 경우 간호사의 중재를 통해 성과를 확인하는 연구가 제한적이었지만 본 연구를 통해 이식 코디네이터의 교육자로서 역할을 확인하였으며, 심장이식 후 효과적인 교육방법에 대해 확인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심장이식 후 관리와 교육에 있어 근거자료가 되며 앞으로 수행되어질 연구에 기초자료가 되어 심장이식 환자의 예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을 기대하는 바이다. PURPOSE: This study was intended to confirm that the Nurse-led Continued Discharge Education Program affects outpatient visits due to symptoms and unplanned rehospitalization in comparison to the existing discharge education to provide data on the basis of later education and research by identifying what is required for post-discharge care after heart transplant.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36 patients who were operated for heart transplantation and had received discharge education at Seoul-based Y-General Hospital from November 1, 2005 to November 30, 2018. In addition to general discharge education, which was provided when a ward nurse was discharged from a hospital, and additional education by a transplant coordinator based on expertise, the group provided regular education and telephone counseling for one year within two months after the transplant coordinator was discharged. Data analysis, one-way ANOVA, Multiple register, Kaplan-Meier, Cox professional hazard register, and post analysis using Sheffe were conducted using SPSS WIN 24.0. RESULTS: Nursing-led continuous discharge education programs have been identified as factors that significantly reduce outpatient visits due to symptoms, rather than general discharge education (p<.001) and nurse-led discharge education (p=.001). Compared to nursing-led discharge education, the nursing-led continuing discharge education program has been identified as a significant factor reducing the risk of unplanned first rehospitalization (p=.011). CONCLUSIONS: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group that received discharge education from coordinators who had acquired expertise related to heart transplants and continued discharge education programs that provided additional regular education and telephone counseling for one year had a positive impact on clinical outcomes despite the high severity compared to the group receiving the previous discharge education.

      • Enhanced Dynamic Spectrum Access and Adaptive Control of Cognitive Radio Networks : Cognitive Radio 네트워크의 동적 스펙트럼 접속 및 적응적 채널 접속 제어 기술 연구

        Park, Jong-Hong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9631

        The Internet of Thing (IoT) means a network of physical objects—devices, vehicles, buildings and other items—embedded with electronics, software, sensors, and network connectivity that enables these objects to collect and exchange data. Due to a development of the Internet technology and an increase in the device for Internet access, a request of a technique for the efficient use of the limited frequency resources is becoming more and more increasing. It is cognitive radio (CR) communications in the spotlight as the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needed to meet those needs. CR technology is marketable brighter and cheaper prices than conventional cellular radio communication channel management. It can distribute interference detection, such as conjunction with the next genera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s used in a mutually secure, and using the unused channels in the broadcast frequency band capable of roaming and it can be used for broadband network configuration. Also CR network can be useful in ad-hoc network. IEEE 802.22 WRAN (Wireless Regional Area Network) are locally used and TV broadcast band utilization by relatively communication environment is poor outside the city area on the wireless data service to order proposals was centralized MAC protocol used, and one base station and service a wide area ranging from the 33km ~ 100km. IEEE 802.22 network operates by dividing the time in the frame and sensing the channel currently being used by frame unit. The silent period is required to sense the channel in use. Therefore, if the sensing channel is unnecessarily long it can use its service quality is poor. To prevent this situation, IEEE 802.22 identifies the presence of another network through a short energy detected every frame, if other through the feature detection that require a long time that the network that the priority user on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network is present check. Thus, by reducing the number of times over a two channel sensing step, such that the characteristics as much as possible to minimize the performance degradation is detected. IEEE 802.11h, all station, as existing networks 802.11 send data to each other to stay on a channel, change the channel if the priority user detected in a channel through the sensing channel . The station or access point responsible for the channel used is indicated to all the station may continue the data communication by moving to the same channel. IEEE 802.11h networks is required relative to channel usage may transfer data without interference by taking advantage of the lower 5 GHz band , channel and sensing channels may change due to the development of an effective quality of service falls silent period management and channel change techniques . In identification of a hierarchy structure of cognitive radio communication, the physical layer (PHY) becomes an understanding and determination as to the environment through the spectrum sensing. In MAC layer performs the scheduling function and coordinator for the channel access, the last to the network layer and the network tomography, routing, QoS (Quality of Service) and the error control function. In this paper, focusing on the MAC layer of the function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enhanced dynamic spectrum access and adaptive control of cognitive radio networks are proposed. First, a dynamic spectrum access (DSA) method is proposed to perform dynamic prioritized channel allocation in cognitive radio sensor networks (CRSNs) that do not support spectrum handoff. The proposed CRSN supports primary users (PUs) and two types of secondary users (SUs), where one type of SU data traffic has a higher priority. The proposed prioritized channel allocation (PCA) scheme was designed to provide adaptive spectrum access control for CRSNs supporting SU prioritized data types. Compared to the existing DSA schemes, SNO and DSA-C2, the proposed PCA scheme shows an advantage in throughput and fairness in supporting SU prioritized traffic. Secondly, an analysis of random channel access of cognitive users controlled in a distributed manner in a CR network is conducted. Spectrum sharing in centrally controlled cognitive radio (CR) networks has been widely studied, however, research on channel access for distributively controlled individual cognitive users has not been fully characterized. Based on the proposed estimation method, each cognitive user can estimate the current channel condition by using its own Markov-chain model and can compute its own blocking probability, collision probability, and forced termination probability. Using the proposed scheme, CR with distributed control (CR-DC), CR devices can make self-controlled decisions based on the status estimations to adaptively control its system parameters to communicate better. Finally, a cognitive radio based hybrid data-type clustering (CR-HDC) algorithm is proposed to maximize network energy efficiency of cognitive radio (CR) sensor networks (CRSNs). By analyzing the overall energy consumption of CRSNs under various conditions, the optimal transmission range of a sensor node can be obtained for both when spectrum handoff (SHO) is applied and when it is not.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CR-HDC achieves performance enhancements in terms of network lifetime and the number of packets received at the base station (BS) compared to when applying the centralized low energy adaptive clustering hierarchy (LEACH-C) or hybrid data-type clustering (HDC) to CRSN environments.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은 사물에 센서를 부착하여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는 기술이나 환경을 의미한다. 이러한 사물인터넷 기술의 발전은 인터넷 접속을 위한 기기의 증가로 이어지게 되었고, 한정된 주파수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술의 요구는 점점 더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사항에 맞춰 차세대 이동통신 필요 기술로 각광받고 있는 것이 바로 인지무선(cognitive radio) 통신이다. 인지무선 기술은 기존 셀룰러 무선통신보다 가격이 저렴하여 시장성이 밝아 채널 관리, 분배, 간섭, 검출 등 차세대 무선 통신과 연동하여 상호 보안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방송 주파수 대역에서 미사용 채널을 이용하여 로밍이 가능한 브로드 밴드 네트워크 구성에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Ad Hoc 네트워크에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IEEE 802.22 WRAN (Wireless Regional Area Network)은 지역적으로 사용되고 있지 않은 TV 방송 대역을 활용하여 상대적으로 통신 환경이 열악한 도시 외곽 지역에서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하기 위해 제안되었는데 중앙 집중적 MAC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하나의 기지국(base station)이 33km~100km에 이르는 넓은 지역을 서비스한다. 802.22 네트워크는 시간을 프레임으로 나누어 동작하며, 프레임 단위로 현재 사용 중인 채널을 센싱한다. 사용 중인 채널을 센싱하기 위해서는 침묵 기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채널 센싱이 불필요하게 길어질 경우 사용자국이 느끼는 서비스 품질이 매우 떨어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802.22에서는 매 프레임마다 짧은 에너지 검출을 통해 타 네트워크의 존재 유무를 파악하고, 만약 타 네트워크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었을 시에만 긴 시간이 필요한 특성 검출을 통해 해당 네트워크가 선순위 사용자인지를 확인한다. 이와 같은 두 단계 채널 센싱을 통해 가급적 특성 검출을 하는 횟수를 줄임으로써 사용자국이 느끼는 성능 저하를 최소화한다. 802.11h도 기존의 802.11 네트워크처럼 모든 STA(station)들이 한 채널에 머물면서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지만, 채널 센싱을 통해 해당 채널에서 선순위 사용자를 검출한다면 사용 채널을 변경한다. 이때 AP나 채널 사용을 책임지는 STA은 모든 STA이 동일한 채널로 이동하여 데이터 통신을 지속할 수 있도록 지시한다. 802.11h 네트워크는 상대적으로 채널 사용률이 낮은 5 GHz 대역을 활용함으로써 간섭 없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나, 채널 센싱과 채널 변경으로 인해 서비스 품질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침묵 기간 관리 및 채널 변경 기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인지무선 통신은 통신시스템이 주변 환경을 인지하여 이를 기반으로 기회적으로 주파수 자원인 스펙트럼을 공유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인지무선 통신의 주요 기능으로는 스펙트럼 센싱(spectrum sensing), 스펙트럼 관리(spectrum management), 스펙트럼 공유(spectrum sharing), 스펙트럼 이동(spectrum mobility) 등이 있다. 스펙트럼 센싱은 사용가능 스펙트럼의 부분을 확인하고, 그 스펙트럼을 사용하게 해 준다. 또한 스펙트럼 사용 중에 허가 받은 사용자가 채널에 등장하거나 존재하는 사실을 검출하게 된다. 스펙트럼 관리 기능은 비인가 받은 사용자가 사용 가능한 스펙트럼 중 가능한 최상의 채널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게 해준다. 스펙트럼 공유 기술은 다른 비인가 사용자와 사용 가능한 채널에 대한 접근 방식을 조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스펙트럼 이동의 경우, 허가 받은 사용자가 채널에 등장하여 검출되게 되는 경우 채널에서 물러나게 되거나 스펙트럼 핸드오프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인지 무선 통신은 동적 스펙트럼 접근(Dynamic Spectrum Access, DSA) 기술과 직접적인 연관을 갖고, 사용 가능한 스펙트럼을 최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해준다. 인지무선 통신의 계층 구조를 파악해보면, 물리 계층에서는 스펙트럼 센싱을 통해 환경에 대해 이해와 판단을 하게 되고, 최적화 기능을 수행한다. MAC (Medium Access Control) 계층에서는 채널 접근에 대한 스케줄링과 코디네이터 기능을 수행하며, 마지막으로 네트워크 계층에서는 네트워크 단층촬영(tomography), 라우팅, QoS (Quality of Service)와 에러 제어 기능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인지무선 통신의 기능 중 MAC 계층에 초점을 맞추어 스펙트럼 관리, 스펙트럼 공유, 스펙트럼 이동 기술 향상을 위한 방법들을 제안한다. 첫째, CR (Cognitive Radio, 인지무선) 환경에서의 채널 할당 방법을 최적화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PU (Primary User, 1차 사용자) 가 언제 채널을 사용할 지 예측할 수 없는 환경에서 PU와 CU (Cognitive User, 2차 사용자)의 채널의 사용 순위를 정해서 Forced Termination Probability를 최소화하고 Throughput을 최대화하는 CR 채널 할당 방법에 관한 것이다. CR 기술은 주파수 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기술이다. 현재 무선 주파수 자원이 대부분 사용 중에 있어 신규 주파수 사용여지가 적은 상황이고, 특히 전파 특성이 우수한 6GHz 이하 대역의 주파수 자원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CR 기술은 채널의 사용률을 높여 무선 자원의 효율을 극대화 하기 위한 기술로, 원래 채널을 사용하기로 할당된 PU가 채널을 사용하지 않는 시간에 CU가 비어있는 채널을 사용하여 통신함으로써 채널의 사용 효율을 높이게 된다. 이 때 CU의 채널 사용은 PU의 통신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 즉 CU는 채널의 상태를 검사해서 채널이 비어있을 경우에만 사용하며, PU가 통신하고자 할 때 즉시 사용하고 있는 채널을 비워주어야 한다. 즉 CR 기술은 한정된 무선주파수 자원의 효율적 이용을 위해 배정된 주파수가 사용되지 않을 시 이를 감지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다. CR 기술은 PU가 채널을 사용하지 않을 시에 비어있는 채널을 이용해서 통신하는 기술로 PU가 채널을 사용하고자 할 때 CU는 이를 인지하는 순간 곧바로 채널을 비워주어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 CU의 통신은 강제로 종료(forced termination)되며 이는 CU의 throughput을 현저하게 떨어뜨리게 된다. 특히 PU가 언제 채널을 사용할 지 알 수 없기 때문에 CU가 강제 종료를 피하기가 더욱 어렵기 때문의 CU의 강제 종료를 최소화하기 위한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더 나아가서, 스펙트럼 핸드오프가 있는 환경과 없는 환경에서의 성능의 차이는 크게 나타나는데, 앞선 핸드오프가 없는 환경에서도 좋은 성능을 나타내기 위한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CR은 채널을 사용하고자 하는 PU와 CU, PU에게 할당된 PU Time-Slots, 그리고 PU에게 할당된 Time-Slots을 여러 개의 Sub Time-Slots으로 나눈 CU Time-Slots로 구성된다. PU와 CU에 순차적으로 채널을 할당하여 이러한 CU의 강제 종료 확률을 낮추고자 한다. 스펙트럼 핸드오프가 없을 때와 비교하면, Forced termination probability가 상대적으로 많이 낮춰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Throughput 역시 기존의 스펙트럼 핸드오프가 없을 때보다 크게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이는 기존의 미리 상황을 알고 스펙트럼 핸드오프가 이루어졌던 환경에서의 Forced termination probability와 Throughput값과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어, 미리 상황을 알 수 없어 스펙트럼 핸드오프를 조절할 수 없는 환경에서 최적의 결과를 갖게 한다는 효과를 알 수 있다. 둘째, 인지무선 통신 환경에서 분산형 방법을 사용하는 이차사용자들의 무작위 채널 접근 방법(random channel access)을 분석하였다. 각각의 이차사용자들이 자신만의 마르코프 체인 (Markov-chain) 모델을 가지고 채널의 상태를 예측한 후, 자신의 채널 접근 차단 확률 (blocking probability), 충돌 확률 (collision probability), 강제 종료 확률 (forced termination probability)를 계산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각각의 이차사용자들은 자신들의 통신 성공을 높일 수 있는 변수들을 스스로 제어 (self-controlled decision) 할 수 있게 된다. 인지무선 환경에서, 이차사용자들은 일차사용자 (primary user)들이 사용하고 있지 않는 허가대역의 채널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네트워크 토폴로지에 따라 각각의 이차사용자들이 채널에 접근할 확률은 달라지게 된다. 같은 채널을 공유하게 되는 이웃 노드가 더 많이 존재하는 이차사용자들은 채널 접근에 있어서 더 심한 경쟁을 겪게 되고, 그에 따라 채널에 접근 시에 충돌이나, 접근 차단 등의 사건이 더 자주 발생하게 된다. 무선 메쉬 네트워크에서 이웃 노드의 수가 많은 노드들은 일반적으로 릴레이/포워딩 등의 보다 더 중요한 역할을 갖게 되는데, 각 노드들의 정확한 채널 접근 추정이 없이는 이러한 노드들의 채널 접근 확률을 구하기는 어렵다. 인지무선 네트워크의 중요성으로 인해, 이차사용자들의 채널 접근 차단 확률과 강제 종료 확률 등에 대한 연구 및 발명은 진행되어 왔지만, 대부분의 이전 연구 및 발명들은 전체 인지무선 네트워크의 특성 및 확률을 분석하였다. 전체 네트워크의 관점에서의 모델링은 개별 사용자의 채널 접근 확률이 관심의 대상이 아니고, 단지 전체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효율 극대화를 목표로 하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더 중요한 위치에 있는 이차사용자들의 채널 접근 확률을 높이는 것에는 관심을 두지 않는 단점이 있다. 앞서 언급한 전체 네트워크에서의 채널 접근 효율 향상을 목표로 하는 것이 아닌, 각각의 이차사용자들의 관점에서 이차사용자간 충돌을 고려한 채널 접근 모델링 분석 기법을 제안한다. 보다 자세히, 현재까지 연구된 기법들이 네트워크 전체의 관점에서 채널 사용 효율을 분석한 중앙적 제어 방식이었다면, 제안하고자 하는 방식은 인지무선 통신의 분산형 제어 방식이다. 분산형 제어 방식을 위하여, 네트워크 전체의 마르코프 모델이 아닌, 각각의 이차사용자들의 마르코프 모델을 제안한다. 각각의 이차사용자들은 자신의 1 홉 이웃 (1-hop neighboring) 노드들의 수와 자신과 1 홉 이웃 노드들의 액티브 확률 (active probability)를 반영한 마르코프 체인을 구성하게 되고, 마르코프 체인을 통하여 각각의 이차사용자들이 바라보게 되는 채널의 상태 확률을 구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각각의 이차사용자들이 채널에 접근하기 전에, 현재 전체 채널 중 일차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채널의 수, 1 홉 이웃 노드들이 사용하고 있는 채널의 수에 대해 측정이 가능하게 되고, 그러한 측정에 근거하여 자신이 채널에 접근하려할 때, 차단 확률과 충돌 확률, 채널 접근 성공 확률 분석이 가능하다. 제안하는 방식을 통하여 각각의 이차사용자들은 채널 접근 차단 확률, 충돌 확률, 성공 확률 모델링이 가능하게 되고, 이를 통해 개별 성능 분석 또한 가능해진다. 제안하는 분석 기법을 통하여, 분산형 인지무선 네트워크의 정확한 성능 분석이 가능하며, 더 나아가 네트워크 토폴로지에 따라 액티브 확률을 조정함으로써 전체 네트워크의 성능 효율 또한 증대가 가능하다. 셋째, 센싱 데이터의 종류가 다양한 센서들로 이루어진 네트워크 환경에서 각 센서들의 인지무선 통신 기능 지원 가능 할 때, 전체 네트워크의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클러스터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지무선 통신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의 전체 에너지 소모량을 분석함으로써 센서 노드의 최적화된 전송 범위를 결정할 수 있는 다중홉 클러스터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물 인터넷 (Internet of Thing, IoT) 환경에서 모든 사물 인터넷 장치들은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다. 사물 인터넷 지원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점 중에 하나는 수많은 사물 인터넷 장치들에게 할당하기 위한 스펙트럼의 부족 현상이다. 사물 인터넷은 일반적으로 비허가대역인 ISM (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밴드를 이용하는데, 이 ISM 밴드는 다른 프로토콜의 네트워크들도 사용하기 때문에 장치들 사이의 접속을 위한 심한 경쟁이 존재한다. 인지무선 통신은 이러한 스펙트럼의 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통신 기법으로 허가대역 중 현재 사용하지 않는 채널을 일차사용자 (primary user)의 연결을 방해하지 않는 선에서 접속하여 사용하는 기법이다. 인지무선 통신과 관련된 표준으로는 IEEE 802.22 Wireless Regional Area Network (WRAN), IEEE 802.11af Wi-Fi over TV white-space (TVWS), 그리고 WhiteFi 등이 존재한다. 인지무선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허가 받은 무선 사용자들은 일차사용자로 규정되고 항상 우선권을 가진 채로 채널을 사용할 권한을 가진다. 반면에 인지무선 통신을 사용하는 각각의 센서 노드들은 이차사용자 (secondary user)로써 일차사용자가 사용하지 않을 때만 비어있는 채널을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 이차사용자가 채널을 사용하고 있다가 일차사용자가 채널에 들어오게 되면 이차사용자는 바로 전송을 종료하고 채널을 비워주거나 다른 비어있는 채널로 옮겨가 전송을 계속하게 된다. 이를 스펙트럼 핸드오프 (spectrum handoff) 라고 한다. 인지무선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는 일반적으로 배터리로 작동하는 수백에서 수천 개의 작은 기기와 센서들로 이루어지게 된다. 센서들은 습도, 온도, 조도 등의 환경적인 상태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센서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수집하기 위해 클러스터링 프로토콜들이 존재한다. 클러스터링 프로토콜들은 네트워크의 수명을 최대화 혹은 배터리로 동작하는 각 센서들의 수명 최대화를 목표로 한다. 현재 존재하고 있는 에너지 소비량 최소화 혹은 네트워크 수명 최대화를 위해 클러스터링 기법을 도입한 센서 네트워크 기술들은 대부분이 하나의 클러스터 내부에서만 분석한 기술들이다. 하지만 점점 센서 네트워크의 규모가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하나의 클러스터 내부에서의 에너지 분석은 다중 홉 기반의 네트워크에 바로 접목할 수가 없다.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클러스터 내부에서의 센서들의 에너지 소모 분석이 아니 다중 클러스터간 다중 홉 상황에서의 센서들의 에너지 소모량 분석을 제안한다. 또한 이러한 다중 홉 상황에서의 센서 네트워크에서 각 센서들이 인지무선 통신 기법 사용이 가능한 환경에서의 센서들의 접근 차단 확률 (blocking probability)와 강제 종료 확률 (forced termination probability)를 분석 기법을 제한다. 인지무선 통신 기술이 탑재된 센서들의 접근 차단 확률과 강제 종료 확률을 분석함으로써, 더 정확한 인지무선 통신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의 에너지 소모량 분석이 가능하다. 더 나아가, 현재 존재하고 있는 센서 네트워크의 에너지 분석 기법들이 대부분은 동일한 종류의 센서 데이터 유형을 가정하고 있는데 반해,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 데이터 유형을 가정하여, 데이터 유형마다 다른 압축률을 실제 분석에 반영한 에너지 소모량 분석 기법을 제안한다. 다중홉 클러스터링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의 에너지 분석을 위하여, HDC (Hybrid Data-type Clustering)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접근 차단 확률과 강제 종료 확률 분석을 위하여 Markov 채널 모델을 도입하여 새로운 확률 공식을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방식을 통하여 인지무선 통신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다양한 종류의 센서 데이터 유형을 가진 다중 홉 클러스터링의 에너지 분석이 가능하며, 인지무선 통신 기법을 탑재한 센서들의 접근 차단 확률과 강제 종료 확률의 정확한 분석이 가능하다. 또한 기존의 존재하는 다른 클러스터링 기법을 도입한 센서 네트워크보다 향상된 네트워크 수명 최대화가 가능하고 정확한 분석 또한 가능하다. 위와 같은 인지무선 네트워크의 동적 스펙트럼 접속 및 적응적 채널 접속 제어 기술 연구를 통하여 스펙트럼 핸드오프가 존재하지 않는 환경에서도 스펙트럼 핸드오프가 존재하는 환경과 유사한 성능을 낼 수 있는 방식을 제안하였고, 분산형 인지무선 네트워크의 정확한 성능 분석을 가능하게 하였다. 나아가 네트워크 토폴로지에 따라 채널 접근 확률을 조정함으로써 전체 네트워크의 성능 효율 또한 증대 효과를 보였으며, 마지막으로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인지무선 환경에서 네트워크의 수명을 최대화하는 클러스터링 기법을 제안하였다.

      • COVID-19 팬데믹 이후 응급실 임종 환자의 전자간호기록 분석

        이효진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전자간호기록 분석을 통해 COVID-19 팬데믹 이후 응급실 임종 환자의 특성 및 수행된 임종 간호 내용과 빈도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2020년 3월 1일부터 2021년 2월 28일까지 응급실 임종 환자 506명의 전자간호기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익명화된 자료를 제공받아 자료 수집을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R 4.1.2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임상적 특성을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진단명 및 주호소는 각각 가장 많은 10개의 항목을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하였다. 전자간호기록을 간호진단/프로토콜, 간호중재, 간호활동 3개로 분류하여 각각 가장 많은 10개의 항목을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하였다. 또한 대상자의 일반적 및 임상적 특성에 따라 수행된 간호진단/프로토콜, 간호중재, 간호활동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각 항목의 빈도와 백분율, independent t-test, ANOVA, Chi-squared test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으로는 남성이 40.1%, 여성이 59.9%였으며, 65세 이상이 75.9%였으며 평균 연령은 74.19±15.52세였다. 기저질환으로 내원한 경우가 92.5%였으며, COVID-19 의증에 따른 격리를 시행한 환자가 43.7%이었다. 연명의료중단 서류를 내원 전에 작성한 경우가 7.7%, 내원 후에 작성한 경우가 27.5%, 작성하지 않은 경우가 64.8%였다. KTAS 중증도는 1단계가 가장 많았으며 64.8%를 차지하였다. 사망의 종류는 ‘도착 전 사망’이 55.7%였으며 내원 경로는 직접 내원이 91.7%로 가장 많았으며 내원 수단은 119 구급차가 63.8%로 확인되었다. 도착 당시 의식 상태는 ‘No response’가 66.8%로 가장 많았고 응급실 체류시간은 4시간 미만이 63.0%였으며 평균 체류시간은 270.41±319.201분 이었다. 대상자의 전체 주호소는 595개였으며, 주호소 중에 가장 많은 것은 ‘No response’로 53.4%를 차지하였고, 진단명은 총 1,519개로 진단명 중에 가장 많은 것은 ‘도착 전 사망’으로 18.8%를 차지하였다. 간호진단/프로토콜의 총 개수는 18,067개였으며 가장 많은 항목은 ‘심폐소생술’로 28.6%를 차지하였다. 간호중재의 총 개수는 19,289개이고 ‘응급 상황 관리’ 항목이 26.3%로 가장 많았다. 간호활동의 총 개수는 31,383개이고 가장 많은 항목은 ‘약물을 투여함’으로 10.1%를 차지하였다. 일반적 및 임상적 특성에 따른 수행된 임종 간호 개수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나이와 사고 여부에 따른 그룹 간 빈도의 차이는 존재하지 않았다. 그러나 COVID-19 의증에 따른 격리 여부, 연명의료중단 서류 작성 여부, KTAS 중증도, 사망의 종류에 따른 그룹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반적 및 임상적 특성에 따른 임종 간호 비율의 차이는 나이, 사고여부, COVID-19 의증에 따른 격리 여부, 연명의료중단 서류 작성 여부, KTAS 중증도, 사망의 종류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실제 응급실 현장에서 수행되고 있는 임종 간호의 빈도와 내용에 대해 파악할 수 있었으며 추후 응급실 임종 간호를 위한 프로토콜 개발과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또한 팬데믹 상황을 고려한 추가적인 응급실 임종 간호 프로토콜 개발을 위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frequency of palliative care for patients who died in the emergency room during COVID-19 pandemi by analyzing electronic nursing records. Methods: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on electronic nursing records of adult patients who died in the emergency room from March 1, 2020 to February 28, 2021. Data were analyzed using R 4.1.2 program for the descriptive analysis, independent t-tests, ANOVA, and Chi-squared test. Results: This study included 506 patients. The most frequent items wer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nursing diagnoses/ protocol, ‘code management’ in nursing interventions, and ‘medication administration’ in nursing activitie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care according to suspected COVID-19, registration of DNR, KTAS, and type of death. Also, there were differences in ratio of care according to age, accident, suspected COVID-19, registration of DNR, KTAS, and type of death. Conclusion: Our study findings suggest that the emergency palliative care protocol and policies should be developed according to pandemic situation.

      • 국내 건설기술용역 대가기준 확립을 위한 정책방향 : 인식과 현황에 대한 다면분석 연구

        이태원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9631

        Construction engineering services are a creative industry that may yield higher added value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since it demands concentrated technology and knowledge created from conjoining a construction project with applied sciences. Therefore, there is a high need for national efforts to foster this industry as a core industry. However, it appears that construction engineering services in Korea have yet to gain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The fundamental reasons for this are the poor rewards for the construction engineers and the low influx of skilled engineers into construction engineering services. Since engineering services heavily depend on human capacity, securing skilled engineers is an important priority for the industry. Therefore, there is the need to re-examine the current construction engineering services from the viewpoint of the appropriateness of the service prices. This study aims to set future policy directions on pricing for construction engineering services in Korea, through a review 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construction engineering service prices, perception surveys, examination of the status quo, and a comparative analysis of construction engineering service prices in foreign countries. In the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construction engineering service prices in Korea, the first pricing guide was introduced in 1961 when the Guide for the Preparation of Estimated Price was adopted on the basis of the domestic contracting law. Afterwards, responsible ministries introduced the percentage-of-construction-costs method and ‘the Cost Plus Fixed-Fee Method’ as needed, as did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currently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in 1966, the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currently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in 1974, and the Ministry of Science (currently the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in 1989. In 1993, the Ministry of Finance (currently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inserted a provision in the Guide for the Preparation of Estimated Price section of the Contracting Regulation, which reads "With regard to the cost calculation for services, if other laws and regulations provide for the pricing guides, the cost calculation may be made on the basis of such guides". A variety of cost calculation methods have been applied since then, such as the functional-points method, the maintenance-and-repair-price-rate method and the consulting-index-point method. Among these various methods, the percentage-of-construction-costs method and ‘the Cost Plus Fixed-Fee Method’ have been applied to construction engineering services. A perception survey was conducted among 140 officials of public entities (project owners) on their preferred pricing guide for reliability and rationality on a 5-point scale. The result showed the highest rating of 4.75 for the Guide for the Preparation of Estimated Price for public works, followed by 3.73 for the Guide for the Preparation of Estimated Price for academic researches. The ratings for the percentage-of-construction-costs method and ‘the Cost Plus Fixed-Fee Method’, that are the most prevalent methods applied for construction engineering services, were 3.23 and 2.93 respectively. Another survey was conducted among 72 service providers on their perception of the current percentage-of-construction-costs method and ‘the Cost Plus Fixed-Fee Method’. In this survey, 69.6% of the respondents indicated that there is the need for a separate calculation guideline for direct labor costs. When asked whether the items under overhead costs, technical royalties and direct expenses were being appropriately used, 43.6% of the respondents answered negatively, indicating a low trust in the current pricing methods on the suppliers' side. On the basis of the status quo analysis and perception surveys on construction engineering services, this study examined the projects carried out using the percentage-of-construction-costs method and ‘the Cost Plus Fixed-Fee Method’ in order to identify the reasons for the discrepancies between the budget and the actual spendings. For the percentage-of-construction-costs method, examinations on 17 projects showed that, when modifying the design, the increase in the project costs is not accompanied by an appropriate increase in the service price. Also, subcontracting prices are not being paid as laid out in this method.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is method lacks a calculation guideline for increased workforce and costs. To examine the reliability of ‘the Cost Plus Fixed-Fee Method’, this study calculated the prices for construction management service projects using 4 different pricing guides : the Pricing Guide for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before and after the 2014 revision), the Pricing Guide for Construction Project Supervision, and the Budget Preparation Instructions. As the revised Pricing Guide for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allows workforce allocation as needed on the project site, the service prices were generally higher compared to the prices prior to the revision (153.4% increase on average), and even higher compared to the calculation using the Budget Preparation Instructions (196.8% increase on overage). However, while indirect costs are calculated in proportion to the direct labor costs in ‘the Cost Plus Fixed-Fee Method’, the direct labor costs itself includes some indirect costs in the current ‘Cost Plus Fixed-Fee Method’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premium, national pension contributions, health insurance premium, employment insurance premium, etc.). Therefore, the current method contains a weakness in terms of reliability and rationality. For instance, this study examined the settlement results of health insurance premiums and national pension contributions in 3 construction projects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the Guide for the Preparation of Estimated Price. In these projects, only 10∼30% of the original budget was paid for the two items after the settlement, and the remaining 70∼90% were returned to the national treasury. However, if the current ‘Cost Plus Fixed-Fee Method’ is applied, the minimum 152% of the direct labor costs are reflected in the overhead costs and technical royalties. Supposing that the sum of the health insurance premiums and national pension contributions included in the direct labor costs is 100, the additional sum of 152 is reflected into the overhead costs and technical royalties for the same items, since this method allows 152% of the direct labor costs to be included in the overhead costs and technical royalties. As a result, a total sum of 252 is reflected in the overall project costs for health insurance premiums and national pension contributions. Despite the inflated cost calculation, there is no balance settlement process for these items, resulting in an irrational spending of the budge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grounds for the calculation and settlement of indirect cost items are as important as wages for the deployed engineers when implementing ‘the Cost Plus Fixed-Fee Method’. As the current method lacks such ground, public officials often reversely adjust the costs to meet the pricing guide within the available budget, by reducing the overhead costs, technical royalties, or the number of engineers. Such reduction of workforce leads to work overload or omission of important tasks, deteriorating the quality of the services and obstructing the maturing of the construction engineering service industry. This study reveals the lack of reliability and rationality of the current pricing guides provided in the current laws and regulations through the status quo analysis and perception surveys, and identifies the problems through case analyses. In order to overcome such problems and improve the reliability and rationality of the pricing guides, this study prepared concrete policy directions through consulting experts and setting priorities for improvements in three stages. The summary of the policy directions are summarized below, with detailed elaborations in Chapter 5. Firstly, in order to avoid the fragmentation and coexistence of multiple pricing guide for engineering services, a more clearly defined pricing guide needs to be established on the basis of the Guide for the Preparation of Estimated Prices, a contracting regulation by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the Cost Plus Fixed-Fee Method’ should be used as a principle as it clearly defines the criteria for the workforce input in accordance with the statement of work, and the percentage-of-construction-costs method should be used limitedly for small scale projects or for approximate budget calculations. Secondly, general management costs and indirect expenses under overhead costs should be separately accounted for, and profit and indirect expenses under technical royalties should also be separated. The cost constituents need to be itemized in further detail with clear calculation criteria, and verification needs to be strengthened through account settlements. Thirdly, with regard to the unit price for labor, labor costs and indirect expenses (national pension contributions, health insurance premium, etc.) should be separately accounted for, and labor costs need to be managed by business type. For general management costs and profit, the price rates should be established by business type reflecting each respective business' characteristics. Fourthly, provided that ‘the Cost Plus Fixed-Fee Method’ gains rationality and reliability, ground principles should be established so that the project owners may abide by the governing laws and regulations with regard to their budget execution. Lastly,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nstruction engineering service industry the adoption of a value-based pricing method, where the price for the service is determined on the basis of its market value, should be considered in the long term for engineering services that require a high level of expertise and creativity. If the policy directions proposed in this study are implemented and serve as the basis for preparing a more reasonable pricing guide, it will serve to minimize the waste of state funding through a more transparent budget planning and execution. It will also facilitate the project owner's effective price calculation with less administrative burden, relying on the pricing guide for construction engineering services well grounded in the governing laws and regulations. For construction engineering service providers, it will provide a valid basis for demanding due reward as stipulated in relevant laws, and receiving appropriate rates for general management expenses and profit. By ensuring reasonable wages, it is expected to help the engineering service engineers developing technical expertise with economic stability and pride in their jobs. In the long-term perspective, the proposed policy directions will contribute to job creation, ensure the influx of competent engineers, and improve the quality of construction engineering services. This will solidify the foundation of this high added-value industry and serve to enhance the global competitiveness of Korea's construction engineering services. 건설기술용역은 해당 건설 프로젝트에 대해 응용과학을 접목시켜 기술 및 지식을 집약한 창조적 산업으로서 타 산업에 비해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해낼 수 있다. 따라서 국가적으로 건설기술용역을 핵심 산업으로 성장시킬 필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는 아직 국제적인 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상황의 근본적인 원인은 해당 건설기술자들의 열악한 처우로 인해 능력 있는 기술자들이 건설기술용역에 유입되지 못하는 현상에서 기인한다 할 수 있다. 용역은 인력의 투입을 통해 제공되므로 우수기술자 확보는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현재 국내 건설기술용역으로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들의 적정 대가 확보 측면에서 재검토해 볼 필요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건설기술용역 대가의 변천사 연구, 인식조사, 현황조사, 해외 건설기술용역 대가 비교연구를 통하여 향후 우리나라 건설기술용역 대가의 정책방향을 정립하는 데 목적이 있다. 먼저, 우리나라의 건설기술용역의 변천사를 살펴보면, 1961년에 국내계약법을 근간으로 ‘예정가격작성기준’이 처음 만들어졌다. 이후 1966년에는 건설부(현 국토교통부), 1974년에는 과학기술처(현 산업통상자원부), 그리고 1989년에는 과기처(현 미래창조과학부)에서 필요에 따라 각각 ‘공사비요율방식’ 또는 ‘실비정액가산방식’ 등을 만들어 사용해 왔다. 1993년에는 재무부(현 기획재정부) 회계예규 ‘예정가격작성기준’에 따라 ‘공사비요율방식’과 ‘실비정액가산방식’이 적용되었다. 다만 ‘용역에 대하여는 다른 법령에서 그 대가 기준을 규정하고 있는 경우에는 당해 법령이 정하는 기준에 따라 원가계산을 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는 규정이 생긴 후로 ‘기능점수방식’, ‘유지보수 요율방식’, 그리고 ‘컨설팅지수방식’ 등 다양한 기술용역 대가 산정방식이 신설되어 함께 적용되고 있다. 한편 수요자(발주자) 140명을 대상으로 현행 각 기술용역 대가기준의 신뢰성과 합리성 측면에서 선호도를 5점 척도로 인식 조사한 결과, 시설공사 ‘예정가격작성기준’이 4.75로 신뢰도와 합리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학술용역 ‘예정가격작성기준’ 3.73, 현재 건설기술용역에서 가장 많이 적용되고 있는 ‘공사비요율방식’ 3.23, ‘실비정액가산방식’ 2.93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급자(용역업체) 72명을 대상으로 현행 ‘실비정액가산방식’과 ‘공사비요율방식’의 인식에 대해 설문조사한 결과, 직접인건비는 별도의 산출근거를 마련할 필요성이 있다는 응답이 전체의 약 69.6%였다. 아울러 ‘실비정액가산방식’으로 산정된 항목 중 제경비, 기술료, 직접경비에 대한 사용 비목이 제대로 사용되고 있는지 여부를 조사한 결과 약 43.6%의 응답자가 제대로 사용되고 있지 않다고 응답해 공급자 측면에서도 현행 대가기준을 신뢰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같이 건설기술용역에 대한 현황조사 및 인식조사를 토대로 국내 건설기술용역 대가기준의 대표적인 산정방법인 ‘공사비요율방식’과 ‘실비정액가산방식’으로 운영된 실제 사업(project)들을 사례로 하여 예산과 차이가 나는 원인들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먼저, ‘공사비요율방식’의 경우 설계용역 프로젝트 17개 사업장을 대상을 검토한 결과 공사비 증액에 따라 용역비도 증액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용역비 증가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또한 공종별 하도급 대금도 요율대로 지급되고 있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현행 ‘공사비요율방식’으로 적용된 사업은 투입되는 인력 및 비용 증가에 대한 산정근거와 정산자료가 없는 데서 기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실비정액가산방식’의 경우를 대표할 수 있는 건설사업관리용역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2014년도 개정 전·후의 ‘건설사업관리대가기준’, ‘건설공사감리대가기준’, ‘예산편성지침’에 의한 대가기준 등 총 4가지 산정방식의 대가기준 차이를 분석한 결과 개정된 ‘건설사업관리대가기준’의 용역비가 더 클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 중심으로 인원을 배치될 수 있게 하여 용역비가 개정 전 대가기준보다 상향(평균적으로 153.4% 상향)되었으며, 개정된 현행 ‘예산편성지침’에 의해 산정되는 용역비보다 더 큰 차이(평균적으로 196.8% 상향)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비정액가산방식’의 직접인건비 항목에는 일부 간접비(4대 보험료 기타)가 포함되어 있으나 직접인건비와 연동되어 산정하는 간접비 항목을 중복하여 인정하는 구조여서 대가산정의 적정성 측면에서 신뢰성과 합리성 등이 결여될 수밖에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대표적인 유사 사례로 ‘예정가격작성기준’에 의하여 경비 항목을 정산하는 3건의 건설공사를 살펴본 결과, 간접비 항목에 해당되는 국민건강보험료 및 국민연금보험료의 경우 예산에 반영된 금액을 100이라 가정할 때 약 10∼30 정도만을 정산, 70∼90을 국고로 반납하게 된다. 그러나 ‘실비정액가산방식’의 경우 제경비 및 기술료는 직접인건비의 최소 152%를 반영하게 되므로 직접인건비에 반영된 국민건강보험료 및 국민연금보험료를 100이라 가정하면 제경비 및 기술료 152를 합한 252의 예산이 반영되고 있다. 더구나 차후에 전혀 정산을 요하지 않는 불합리한 규정에 의해 예산이 집행되고 있는게 현실이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현행 건설기술용역의 ‘실비정액가산방식’은 투입되는 기술자 품에 대한 자료도 중요하지만 간접비 항목에 대한 산정 및 정산 근거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즉 현행 대가기준의 명확한 기준 부재로 인해 예산범위 내로 적정기술자 수를 줄이는 사례가 발생하거나 제경비 및 기술료를 줄이는 사례 등 예산의 범위 내에서 역으로 대가기준을 맞추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로 인해 예산 대비 인원 수가 줄어들게 되면 결국 투입 인원 대비 업무량의 과중 현상을 초래하고 주요 과업이 누락되어 서비스의 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되어 국내 건설기술용역의 발전을 저해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건설기술용역에 대한 현황조사 및 인식조사를 통해 법령으로 운영되는 대가기준이 합리적이지 못하고 신뢰할 수 없음을 증명하였으며 사례분석을 통해 구체적인 문제점 및 원인들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건설기술용역 대가기준의 합리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3차에 걸친 전문가 의견수렴 및 개선 우선순위 선정 과정을 통하여 구체적인 정책방향을 도출하였다. 그 개괄적인 내용은 아래와 같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5장에서 다루고 있다. 첫째, 필요에 따라 여러 법령에서 제정 운용하고 있는 기술용역 대가기준의 난립을 막기 위하여, 기획재정부 고시 계약예규인 ‘예정가격작성기준’에 근거하여 명확한 건설기술용역 대가기준을 마련하되 과업지시에 따라 투입인원 기준이 구체적으로 명시된 ‘실비정액가산방식’을 원칙으로 하고 ‘공사비요율방식’은 소규모사업 또는 대략적 예산 산출용에 한정에서 운용하여야 한다. 둘째, 제경비에서는 일반관리비와 간접경비를 구분하고 기술료에서는 이윤과 간접경비를 분리하여 운영하며 간접경비의 원가구성 요소를 세분화하여 명확한 기준을 설정하고 정산을 통한 검증을 강화하여야 한다. 셋째, 인건비 단가는 순수인건비와 간접경비(연금보험 및 건강보험 등)를 분리하고 순수인건비는 업종별 통합관리하도록 한다. 또한 일반관리비 및 이윤에 대해서는 업종별 특성에 따라 구분하여 요율을 설정하도록 한다. 넷째, ‘실비정액가산방식’의 신뢰성 및 합리성이 마련된다는 전제 하에 발주자는 예산 근거를 법령에 따라 준수할 수 있도록 근거원칙을 설정한다. 다섯째, 시대적 흐름에 따른 건설기술용역의 발전을 고려하여 전문성, 창의성 등이 요구되는 기술용역에 대해서는 시장가치로 가액을 결정하는 ‘가치기반 대가산정방식’의 도입을 장기적으로 검토한다. 이 연구에서 제안하는 정책이 성공적으로 구현되어 건설기술용역에 있어 보다 합리적인 대가기준이 마련된다면 국가적으로 투명한 예산수립과 집행을 통해 국고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발주자에게는 법령에서 규정하고 있는 건설기술용역 대가를 토대로 효율적인 대가수립과 산정근거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아울러 건설용역업체는 법령에서 규정한 대가기준대로 정당한 대가근거를 주장할 수 있으며 이윤 및 일반관리비 등에서는 적정 요율을 보장받을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건설기술용역 참여하는 기술자에게는 합리적인 급여수준이 보장되므로 경제적 안정과 더불어 해당 분야에 대한 전문성과 업종에 대한 긍지를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궁극적으로는 건설기술용역과 관련된 산업에 있어 고용창출 증대와 우수기술자 유입이 확보되어 서비스 질이 향상될 수 있으며, 이는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건설기술용역의 원천을 견고히 하고 나아가 글로벌 경쟁력을 키울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