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 일반대학 공공예술 교육과정 현황에 관한 연구

        YANG JILONG 안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663

        공공예술교육은 일반대학교 전인 교육의 중요한 구성 부분으로 대학생의 전면적인 발전을 촉진하는데 다른 학과가 대체할 수 없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공공예술교육은 대학교 예술교육사업의 중심이며 대학교가 정서 교육을 실시하는 주요 방법이다. 정서 교육을 추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와 작용을 하고 있다. 경제 건설의 진전과 함께 사람들의 사상 관념, 종합 자질 및 문화예술교육을 동시에 발전시키면 사회주의 정신문명 건설에도 도움이 된다. 따라서 학교의 예술교육을 전면적으로 강화하고 개선하고, 아름다운 문화인 양성을 고수하여 학생 의 심미적 인문 적 소양을 높이고, 지덕체미로(德智体美劳)를 전면적으로 양성하는 교육 체계 구축에 힘써 더 높은 수준의 인재양성체계를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교육이 당과 국 가의 사업발전 요구에 부응하고 대중의 기대에 부응 하며 중국의 국력과 국제 지위와 어울리도록 하는 것이 현재 중국 일반 대학교의 공공예술교육을 연구하는 가치이다. 최근 중국 정부는 학교 예술교육의 인재양성 기능을 한층 더 강화하고, 학교 예술교육업무 를 더욱 중요시하며 일련의 중대한 결정을 내린바 있다. 중국 대학교육체계에서 공공예술 교육 커리큘럼의 위상이 나날이 부각되며, 어느 정도의 발전 성과를 거두었지만, 그와 동시 에 시급히 해결해야 할 여러 가지 문제도 존재한다. 문제가 발생하는 구체적인 원인과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적인 대책을 찾기 위해 본 연구는 관련 문헌 연구를 결합하여 MI(다중 기능) 이론과 포스트 모더니즘 과정론의 지도로 Tyler 원리(Tyler Rationale) 가 주목하는 과정 설정 네 가 지 문제를 중심으로 현재 중국 일반대학교 공공예술교육 과정의 과정 목표, 과정 내용, 과 정 실습과 교수 평가 등에 대해 연구를 전개하였다. 본 논문은 세 부분으로 나뉘며 전체 다섯 개의 연구 장절을 포함한다. 첫 번째 부분은 제1장 과 제2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은 서론으로 주로 본 논문의 연구 배경, 연구 목적과 의미를 소개했다. 제2장은 이론적 배경으로 주로 관 련 연구 문헌을 정리하고 논술했으며, 정서 교육과 예술교육, 공공미술교육과 공공예술 교육과정 등과 같이 본 논문의 핵심 개념을 정의했다. 이 부분은 전문 연구에 사전 준비와 이론적 뒷받침 역할을 했다. 두 번째 부분은 제3장과 제4장 두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3장은 본 논문의 연구방법과 연구 설계를 소개하고 본 논문의 연구 방향을 명확하게 했다. 본 논 문은 전체적으로 근거이론 연구방법론에 기초하여 체계적으로 규범화된 질적 연구를 하고 설문 조사와 심도 있는 인터뷰를 통해 연구자료를 수집했다. 제4장에서는 설문 조사 결과 에 대한 분석을 통해 현재 중국 공공예술 교육과정 발전상황과 문제점을 기초적으로 파악한 후, 기존 문헌 연구와 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중국 7개 서로 다른지역, 서로 다른 등급, 서로 다른 유형의 일반대학의 17명의 인터뷰 대상에게 심도 있게 인터뷰하여 더욱 발전된 연구자료를 얻고 연구자료가 전 면적이고 객관적인 데이터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마지막으로 근거 이론의 조작 절차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3단계 코딩 절차를 통해 과정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요소를 탐색하고 중국의 일반대학교 공공예 술 교육과정 발전에 적합한 이론모델을 구축하였다. 연구 결과, 현재 중국의 일반대학교 공공예술 교육과정에는 중요성과 교육과정 목표에 대 한 인식이 부족하며, 기능적 메커니즘, 관리, 격려및 평가 메커니즘이 완벽하지 못한 것으 로 드러났다. 교과목 개설이 과학적이고 합리적이지 못하며 교과목 사이에 단계적인 계획 과 종합적인 실행이 이루어지지 않아 교과목 개설에 체계성이 부족하였다. 교육내용 은 학생들의 요구를 만족시킬만한 뚜렷한 특색을 갖추지 못하였다. 많은 대학교가 공공예술교육 과정의 내용을 단순히 전문예술교육 내용의 요약 본으로 이해하여 공공예술교육 과정의 내용이 어느 정도 전문적으로 치우친 문제가 있었다 . 또한 교수 방식이 풍부하지 못하고 다양하지 못하며 관련 교육자원에 대한 이용도 충분하 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대학교 공공예술교육의 관련 부설 보호조치가 현재 여전 히 제대로 실시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있음이 밝혀졌다. 세 번째 부분은 본 논문의 제5장으로 연구 결과를 분석하고 논술했으며 중국 일반대학교 공공예술 교육과정의 지속적인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대책과 방향을 제시했다. 첫째. 대학교 공공예술교육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강화하고 인식 과정의 목표를 심화한다; 둘째, 일반대학교 공공 예술교육의 관리 체계를 건전하게 구축하고 과정 평가체계를 보완한다; 셋째, 과학적으로 과정 내용을 설정하고 과정 특색을 돋보이게 하여 학생들의 다방면 학습 수요를 충족시킨다; 넷째, 유연하고 다양한 교육방식을 채택하고 학교 내외 예술교육 자원 의 유기적 결합을 중시한다; 다섯째, 완벽한 공공예술교육 부설 보호제도를 구축하고 전방 위적으로 조건부 지원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을 분석하고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As an important part of quality education in universities, public art education plays an irreplaceable role in promoting the all-round development of college students. The goal of the public art education curriculum in universities is to take aesthetic education as the core, cultivate students’ humanistic quality, help students establish healthy aesthetic temperament, shape noble and perfect personality traits, and make them become comprehensive talents with high quality and all-round development. Public art education is the central link in the artistic education work of universities as well as the main way for their implementation of aesthetic education. The value of public art education lies in comprehensively strengthening and improving aesthetic education, cultivating people by aesthetics and virtue, improving students’ aesthetic and humanistic qualities, striving to build an education system for all-round cultivation of morality, intelligence, physique, aesthetics and labor, forming a higher-level talent training system, and constantly adapting education to the development requirements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and the country, to the expectations of the people, and to China's comprehensive national strength and international status. With the promulgation of a series of policies in China, the public art education curriculum in China’s higher education system has become increasingly prominent and had some achievements. However, there are still problems to be solved while making progress. Combined with the relevant literature research, under the guidance of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MI) and Postmodern Curriculum theory, centered on the four issues of curriculum provision that the Tyler Rationale mainly focuses on, this paper studies the curriculum objectives, contents, implementation and instructional evaluation of public art education curriculum in Chinese universities. This paper is divided into three parts including five chapters. The first part consists of chapter one and chapter two. The first chapter is the introduction, and it mainly introduces the research background, research purpose and significance of this paper. Chapter two is literature review, which mainly sorts out and reviews the relevant research literature, and defines the core concepts of this paper, such as aesthetic education and art education, public art education and public art education curriculum. This part serves as the preliminary preparation and theoretical basis for the full text research. The second part consists of chapter three and chapter four. The third chapter mainly introduces the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design of this paper, clarifying research ideas, determining that this paper is a qualitative study under the guidance of Grounded Theory, and collecting research data through questionnaires and in-depth interviews. In chapter four,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we preliminarily understand the current development and existing problems of public art education curriculum in China. Then, based on the existing literature research and survey results, we conduct in-depth interviews with 17 interviewees from seven different regions, levels and types of universities of China to further obtain comprehensive and objective research data. Finally, through the operation steps of procedural Grounded Theory, using three-stage coding to process the collected data, we construct a theoretical model suitable for the development of public art education curriculum in Chinese universities. It is found that the current public art education curriculum in Chinese universities mainly have such features: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curriculum importance and objectives; unsound functional mechanisms, incomplete management, incentives and evaluation mechanisms; unreasonable curriculum provision, and educational content that cannot satisfy students’ demand; insufficient diversification of teaching methods, insufficient utilization of educational resources, and incomplete relevant supportive measures and many other problems. The third part is the fifth chapter of this paper, which analyzes and expounds the research results, and puts forward suggestions and countermeasures to promot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public art education curriculum in Chinese universities. Firstly, strengthen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public art education in universities, and deepen the understanding of curriculum objectives. Secondly, establish and improve the management mechanism of public art education in universities, and improve the curriculum evaluation mechanism. Thirdly, set up the curriculum content scientifically, highlight the curriculum characteristics, and meet the students’ various learning needs. Fourth, focus on the organic combination of art education resources inside and outside the school with flexible education methods. Fifth, build a sound public art education supporting security system, providing comprehensive conditional support. Finally, this paper analyzes the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nd makes further prospects on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s.

      • 예악결합 : 중국 일반대학의 공공음악 교육모델 탐색

        DENG JUN 안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663

        Aesthetic education is of great importance to the overall development of the individual. It can facilitate people's perception of beauty and help them to recognize it. In 1951, at the first national conference on secondary education, the Minister of Education Ma Xulun mentioned that "the goal of secondary education is the all-round development of the youth in moral, intellectual, physical, and aesthetic terms". This was the first time that aesthetic education appeared in China's educational policy. For the decades that followed, China's education policy had been adjusted several times. In the course of these adjustments, aesthetic education has suffered blows, but it has also developed to a certain extent. Basically, music education is the main component of aesthetic education, which cultivates sentiment, improves quality, transmits inheritance, and innovates in the process of education to encourage students' all-round development. Music education in general colleges and universities is part of China's music education in schools, and is a systematic and independent public music course for non-music major college students. From a scientific point of view, it aims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people, and between art and science, as well as inspire and develop high quality and innovative talents. Due to historical reasons, music education in general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China started late and developed slowly, and music education in Chinese colleges and universities hasn't yet established a comprehensive education system. At present, the system of public courses such as Ideology and Politics, English and Physical Education has been well-built in China, but in music education, fewer colleges and universities have included music courses into the compulsory public courses. The orientation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for public music education is biased; the investment is insufficient, and its curriculum is also very unreasonable. This status quo is not equal to the importance of music education. In this regard, it is of great significance that the public music curriculum system in Chinese general colleges and universities be further strengthened and improved. With the diversified development of today's society, individual college students have been disturbed by the outside world in their thoughts, and misconceptions such as foreign-favoring, materialism and utilitarianism have emerged. In Confucianism, the culture of ritual and music(Li-Yue) is very important, and the core content of the education system of Confucianism is to use music(Yue) to teach people, so that people can clearly understand themselves in the education of music. Since its birth in the pre-Qin period, music has been recognized by the emperors of all dynasties, and Confucianism still has a certain influence on society today. Confucianism's Li-Yue culture cultivates a sound personality and noble sentiment, aids people in regulating their emotions, and contributes to the overall development of an individual. There is a need for combining both public music and Confucian Li-Yue culture due to the lagging development of public music in general colleges and universities. Therefore, this study will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of music education in general colleges and universities, then combine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Confucian Li-Yue thought to today's society, explore the public music curriculum, strive to explore a public music curriculum suitable for contemporary general colleges and universities, provide an idea for building a music education model combining Li-Yue culture in general colleges and universities, play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music education more deeply and comprehensively, enhance students' aesthetic ability, and strive to shape the perfect person, while further promoting music education reform. In addition, it actively respond to the changing mindset of contemporary college students by incorporating Confucianism, which means providing them with classical Confucian thought, teaching them good cultural knowledge at the university level, and encouraging them to be active in society. This study is divided into five chapters. The first introductory chapter analyzes the research background and research questions of this paper, presents the current national policy on aesthetic education and the current development and problems of public music education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reflects the necessity of this study, and at the same time clarifies the research purpose and research significance, and determines the research ideas and research contents accordingly. The second chapter of music education overview and literature review section composes a large amount of literature, presenting the meaning and functions of music education, pointing out that music education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contains aesthetic functions such as cultivating sentiment, educating with music, enlightening wisdom and strengthening physical - 196 - fitness; analyzing the functions that will be produced by integrating ritual and music culture into music education, covering personality education, creative thinking, noble morality, improving aesthetics, emotional management and the development of music education in China is reviewed, and the development of music education from ancient China to modern China and the development of music education in Chinese general colleges and universities is briefly described.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Confucian Li-Yue culture,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Li-Yue culture, the main contents of Li-Yue culture, and then the value of Li-Yue culture are explained. It also summarizes the inspirations brought by related literature. Chapter 3 investigates the current situation of public music education in today's general colleges and universities through research methods such as distributing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Chapter 3 investigates two questions through research methods of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First, what is the current situation of public music course in Chinese colleges and universities? Second, what is the current music foundation and humanistic literacy of non-music major students in Chinese colleges and universities? Six representative colleges and universities were selected from Shaanxi and Sichuan in the west, Anhui in the middle and Jiangsu in the east. These six universities are Yan'an University, Chengdu University, Huaibei Normal University, Yancheng Normal University, Southwest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Changshu Institute of Technology. Among them, Yan'an University is a key university in Shaanxi Province and the first comprehensive university founded by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Chengdu University is a key comprehensive university in Chengdu; Huaibei Normal University is a key university in Anhui Province; Yancheng Normal College is a normal university in Jiangsu Province; Southwest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is one of the 14 key universities in the western part of the country under the national construction; Changshu Institute of Technology is a pilot university of national education system reform in Jiangsu Province. From these six colleges and universities, 600 students were selected. The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ir music quality as well as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public music education, and interviewed the music teachers of these six universities to further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of these universities in public music education. By conducting an empirical study,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and the current status of public music curriculum construction in general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China, teachers' attitudes toward the current status of public music education in schools, students' current music literacy, and students' expectations for the future of public music education, etc. were learned. On the basis of sorting out the collected data, this study analyzes the basic starting points, preliminary preparations and specific ways in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public music courses in general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the context of Confucianism's Li-Yue thought, so as to pave the way for building a music education model combining Li-Yue. The fourth chapter explores the construction of the Li-Yue combined public music course model and it is divided into eight sections. First of all, it summarizes the basic starting point of the public music course combined with Li-Yue Culture, clarifies the status of music education, firmly inherits and carries forward the educational concept of "teaching without class distinction", and realizes the aesthetic education function of music. Secondly, cultivating music teachers' musical education concepts, optimizing the public music curriculum and improving the public music course evaluation system are proposed as the preparations for constructing a public music course combined with Li-Yue Culture. Thirdly, the specific implementation plan for building a public music course combined with Li-Yue Culture is proposed: to guide students' music appreciation mindset correctly, to make full use of the edifying effect of music; to fully realize that students are independent individuals, to respect their own differences, and to transfer skills from different perspectives. In order to cultivate students' comprehensive cultural literacy, teachers need to not only understand the uniqueness of music, but also integrate it with other arts such as dance, literature, film and television, and let students feel the artistic beauty of music works through designing different teaching activities. Meanwhile, teachers should build the music classes with humanistic color, strictly stick to the process of listening—emotional stimulation—exploration of emotion—summary&evaluation, and conduct emotional teaching in the public music courses. Fourth, the development of a public music course combined with Li-Yue Culture is explored at the teacher, student, and school levels in a three-dimensional manner. The process of developing public music course resources for Li-Yue combined music education includes the establishment of the course resources development group, the collection of the course resources, the screening of the course resources, the utilization of the course resources, and the evaluation and revision of the course resources. Fifth, the development of course resources is a strong support for the music course, and the selection of the teaching content should also follow the following three principles: first, to discard the dross and draw the essence; second, to highlight the typicality and representativeness; third, to highlight the culture and entertainment. Sixth, this section analyzes specific ways in which Li-Yue Culture can be integrated into the public music courses at the teacher's level as well as at the student's level: make full use of multimedia teaching to fully display the "shape", "sound" and "color" of music to enhance students' interest; adopt the contrast appreciation method in teaching; conduct emotionally pervasive teaching; give etiquette culture lectures to enhance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culture of Li-Yue; organize community activities; and promote the design of campus cultural and creative products. Seventh, the ways of creating the atmosphere of the public music classes with Li-Yue Culture is summarized, and specific implementation methods are given for creating harmonious, efficient and interactive music classes. Eighth, it summarizes the strategies for strengthening teaching in public music courses combined with Li-Yue culture, and specifies how to make the combined public music course fulfill its educational role to the maximum and fully achieve its objectives from the point of view of three aspects: attaching importance to the development of students' interests, respecting students' individual differences, and cultivating students' comprehensive quality. The fourth chapter explores the specific model of ritual music combined music education, striving to reflect the value of music education and the value of Li-Yue culture while meeting the needs of college students, so that they can gain something in the music class, thus fulfilling the goal of music education and realizing the aesthetic education function of music. The fifth chapter summarizes the whole text, and based on a comprehensive analysis of many historical documents, analysis of the content and functions of Confucian Li-Yue culture, and investigation of the contemporary music education situation, concludes that although Confucian Li-Yue culture has been experienced for thousands of years, it still has its unique function of nurturing people. It can be combined with public music education in general colleges and universities and effectively alleviate many ideological problems that exist in today's society, and at the same time, promote the reform of public music education in general colleges and universities, as well as promote public music education to better realize the aesthetic education function of music education. 예술교육은 한 인간의 전반적인 성장에 있어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인간은 예술교육을 통해 아름다움을 포착하고 느낄 수 있다. 1951년, 중 국 제1차 중등교육 회의에서 마수룬(马叙伦) 당시 교육부장은 중국 교육 과정에 처음으로 예술교육을 도입하며, 중등교육의 목표는 청소년의 지 덕체미(智德体美)를 고루 길러주는 것이라고 하였으며, 이는 중국 교육 방침에 예술교육이 처음 출현한 사례였다. 그 후 몇십 년간 중국의 교육 과정은 여러 번 변화를 거듭했고, 그 과정에서 예술교육이 설 자리를 잃 기도 하였으나 어느 정도 발전을 이루었다. 음악은 예술교육의 중심축으로서 이를 통해 얻은 정서 수양, 교양 제 고, 그리고 전통계승의 정신과 창의력을 통해 학생이 다방면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일반대학의 음악교육은 중국 교육기관이 진행하는 음 악교육의 일부로서 비전공 학생들이 체계적이고 독립적으로 음악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 교육은 학생들이 과학적인 세계관으로 예술과 인간 그리고 예술과 과학의 관계를 탐구하도록 하여, 예술과 과학을 모 두 아우르는 종합형 인재를 길러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역사적인 이 유로, 중국 일반대학의 음악교육은 그 시작이 비교적 늦었고 발전 속도 도 더뎠기 때문에, 아직도 중국 일반대학의 음악교육은 완성된 시스템을 갖추지 못한 상태이다. 중국은 현재 정치사상, 영어, 체육 등에서 보다 성된 교육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나 음악교육을 필수 과목으로 채택한 대학은 매우 적다. 또한, 많은 대학이 음악교육에 대해 각기 다른 시각을 가지고 있고, 적극적인 투자도 진행하지 않는 데다 과목 개설이 합리적 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음악교육은 그 중요도에 비해 합당한 대우를 받 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중국 일반대학의 공공음악교육 과정 시스템 구 축을 더욱 강화, 개선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사회가 다원화되면서 외국사상의 영향을 받은 대학생들은 사대주의, 물질주의, 공리성(功利性) 등 잘못된 가치판단 기준을 가지게 되었다. 예 악 문화는 유교 사상의 중요한 내용이며, 음악을 통해 사람을 교화(教化) 하고, 그 과정에서 자신을 바로 알게 되는 것이 바로 유교적 교육방식의 핵심이다. 음악교육은 선진시대에 처음 등장하였는데 모든 역대 왕조의 인정을 받았으며, 유교적 음악교육 사상은 현대 사회에서도 어느 정도 그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유교의 예악 문화는 올바른 인품과 고상한 지조를 가진 사람을 배양할 수 있고, 사람이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고 더 나은 발전을 이룰 수 있도록 도와준다. 현대음악의 교육 이념 또한 반드 시 중화전통문화를 그 바탕으로 하여 좋은 것은 취하고, 현대 음악교육 체계에 이를 접목해야 한다. 유교의 예와 악의 조화를 중심으로 하는 예 악 사상은 후대 음악교육에 강한 영향을 미쳤으며 현대적 가치를 발휘함 으로써 예악과 실천이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였다. 또 이를 현재 일 반대학 음악 과정에 도입함으로써, 일반대학의 음악교육 발전의 촉진에 큰 역할을 하였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중국 일반대학의 음악교육 현황에 대해 분석하고, 현대 사 회에 대한 유교의 예악 사상의 가치와 의미를 재결합하며, 음악 공교육과정을 연구하는 동시에 현시대에 적합한 일반대학 음악교육 과정을 탐색할 것이다. 또한, 예악을 접목한 일반대학의 음악교육 과정 개설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시하여 음악교육이 보다 깊이 있고 전반적인 교육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고, 학생들의 예술 감각을 강화할 수 있 도록 함으로써, 일반대학의 음악교육 개혁을 더욱더 촉진할 것이다. 또 한, 유교 사상을 본받아 현시대 대학생의 사상 변화에 맞서, 학생들이 유 가 경전 사상을 받아들이고 대학에서 문화 지식을 배우며, 이를 사회에 서 충분히 발휘하고 개인의 가치를 실현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다. 이 연구는 총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 서론은 이 논문의 연구 배경과 연구대상을 분석하여, 현재 예술 교육에 대한 중국 정책과 대학 내 음악교육의 발전 및 현존하는 문제에 대해 설명하고, 이 연구의 필요성을 명시하였다. 또한, 연구 목적과 의의 를 명확히 하고 이를 통해 연구 방향과 내용을 확정하였다. 제2장 음악교육의 개술과 문헌 총론에서는 대량의 문헌 자료를 정리하 고, 음악교육의 의미와 기능을 설명하였으며, 대학의 음악교육을 통해 이 룰 수 있는 정서 수양, 즐거움 속의 학습, 지혜 계발, 신체 건강 등 예술 교육의 순기능을 설명하였다. 예악 문화를 음악교육에 도입했을 때 발생 할 순기능과 올바른 인격 및 창의력과 아이디어를 기르고, 도덕성 및 미 적 수준 제고, 감정조절과 팀워크 능력 강화 등 예악 문화에 내포된 예 악의 교육적 기능을 설명하였다. 중국 음악교육의 발전사를 돌아보고, 고대부터 현 대까지의 중국 음악 교육상황을 간략히 서술하였으며, 중국 일 반대학의 음악교육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 관련 연구성과를 평가하였다. 유교적 예악 문화의 의미와 특징 그리고 예악 문화의 탄생과 발전사, 주 요 내용 및 가치에 대해 서술하였다. 마지막으로 관련 문헌에서 제기된 시사점을 정리하였다. 제3장은 설문조사와 인터뷰 등 방식을 통해 첫째, 중국 일반대학의 음 악교육 현황에 대한 연구와 둘째, 현재 일반대학에 재학 중인 비 음악 전공생의 음악 기초 및 인문 소양 수준에 관한 연구 등 두 가지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두 가지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옌안대학(延安大学), 청두 대학(成都大学), 화이베이사범대학(淮北师范大学), 옌청사범대학(盐城师范 学院), 시난과기대학(西南科技大学), 창수이공대학(常熟理工学院) 총 6곳 등, 중국 서부 지역의 산시(陕西)성과 쓰촨(四川)성, 중국 중부지역의 안 후이(安徽)성, 그리고 북부지역의 장쑤(江苏)성 등 네 지역의 주요 대학 을 선별했다. 그중 옌안대학은 산시성의 중점대학(국가가 인정한 지역 내의 가장 권위 있는 대학)으로서 중국공산당이 세운 최초의 종합대학이 다. 청두대학은 청두시의 중점 종합대학이며, 화이베이사범대학은 안후이 성에 있는 중점대학이다. 옌청사범대학은 장쑤성의 고등사범 본과대학이 고, 시난과기대학은 중국 정부가 중점적으로 설립한 14개 대학 중 한 곳 이며, 창수이공대학교는 장쑤성 산하 국가교육체제개혁 시범대학이다. 본 연구는 상기 6개의 대학에 재학 중인 60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음악 수준을 조사 및 분석하였으며, 교내 음악교육 현황에 대하여 조사 및 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상기 6개 대학 음악 담당 교수와의 인터뷰를 통해 현재 중국 일반대학 내 음악교육 현황에 대해 한층 더 이해할 수 있었다. 실증연구와 연구 자료 수집을 통해 중국 일반대학교의 음악 교육과정 현황, 강사의 음악교육에 대한 태도, 학생들의 음악교육 수준 및 미래 음악 공교육에 대한 기대 등을 이해할 수 있었다. 예악과 결합 한 음악교육 방식의 기초를 다지기 위해, 정리 완료된 수집 데이터를 기 초로 하여 유가의 예악 사상을 결합한 후, 이를 일반대학교 음악교육 과 정 이념의 출발점으로 삼고, 사전 준비 업무와 구체적인 방식에 대한 분 석을 진행하였다. 제4장은 총 8개 부분으로 세분화하였다. 첫째, 예악을 결합한 음악교육 과정의 기본 착안점을 정리하였고, 음악 교육의 지위를 명확히 하였으며, ‘차별 없는 평등한 교육’ 정신을 계승, 널리 알림으로써 음악이 예술교육의 기능을 다 하도록 하였다. 둘째, 예악 결합 음악 과정을 위한 준비의 일환으로, 음악교육 이념을 갖춘 음악교육 전문가를 육성하고, 음악교육 과정을 신설하고 음악 공교 육 평가 시스템을 개선할 것을 제안하였다. 셋째, 예악을 결합한 음악 공교육과정의 구체적인 실시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즉, 음악의 교훈적 효과를 충분히 활용하여, 학생이 옳 은 방식으로 음악을 감상하고, 올바른 사고를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맞 춤 교육을 통해 학생이 독립된 개인임을 받아들이고, 학생 간 차이를 인 정하여 차별화된 교육을 제공한다. 학생의 종합적인 문화적 소양제고를 위해, 교강사는 음악의 특징적 요소를 활용하는 한편, 음악과 춤, 문학, 영상매체 등 음악을 벗어난 다양한 형식의 교육방식을 접목해 교육해야 한다. 또, 다양한 형식의 학습 활동을 통해 학생들이 음악 작품의 예술적 가치를 느낄 수 있도록 한다. 인문학 색채를 띤 음악 강의실을 만들고, 음악 수업에서 정서적 교육을 진행하여야 한다. 이 과정에서 교강사는 반드시 경청하고, 감정을 끌어내고, 감정을 살피고, 최종평가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넷째, 교강사와 학생 그리고 학교는 예악을 결합한 음악 공교육과정 개발에 대해 다각적으로 논의한다. 예악을 결합한 음악 공교육과정 개발 에는 교육과정 개발팀 구성, 교육과정 자원 수집, 교육과정 자원 선별, 교육과정 자원의 이용 및 평가와 수정을 모두 포함한다. 다섯째, 교육과정 자원개발은 음악교육 과정의 단단한 기반이 된다. 교 육과정 내용의 선택 역시 다음의 세 가지를 준수해야 한다. 1) 도움이 되는 것은 취하고, 불필요한 것은 배제한다. 2) 보편적이고 상징적인 부 분은 강조한다. 3) 문화적 요소와 오락적 요소를 강조한다. 여섯째, 미디어 교육을 충분히 활용하여 음악의 ‘형태’, ’소리’, ’색채’ 를 통해 학생의 흥미를 돋우고, 수업 중 ‘비교 감상법’을 활용하며, 감정 에 몰입할 수 있는 교육과 예의 문화 강좌를 진행하고, 학생들의 예악 문화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며, 동아리 활동을 늘리고 교내 창작품 설치 를 추진하는 등 교강사와 학생은 예악과 결합한 음악 공교육과정의 구체 적 절차에 대해 분석한다. 일곱째, 예악과 결합한 음악교육의 장 분위기를 조성할 방법을 정리하였다. 조화롭고 효율적이며 상호작용이 활발한 음악 교실을 만들기 위한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정리하였다. 여덟째, 예악과 결합한 음악 공교육의 강화 전략을 정리하였다. 예악과 결합한 음악 공교육이 음악에 대한 학생의 흥미를 돋우고, 학생 간 차이 를 존중하며, 학생의 종합적인 소양을 제고하는 세 가지 측면에 대해 어 떻게 기여하고 교육의 목표를 실현할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서술하였다. 제4장에서는 예악을 접목한 음악 교과과정의 탄생을 통해 예악 결합 음악교육의 구체적인 방식을 탐색하였고, 이를 통해 음악교육과 예악 문 화의 가치를 드러내는 동시에 대학생들의 음악교육에 대한 수요를 만족 하며, 그들이 음악교육을 통해 무언가 얻어감으로써 음악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고, 음악이 예술적 기능을 발휘하도록 노력하였다. 제5장은 본 연구에 대한 마무리로서 대량의 역사 문헌 자료를 정리하 였고, 유교 예악 문화의 내용과 기능을 분석하였으며 현대 음악교육 현 황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유교적 예악 문화가 탄생한 지 몇천 년이라 는 시간이 흘렀지만, 여전히 교육적인 기능을 하고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예악 문화는 일반대학의 음악교육과 통합하여 현대 사회에 존재하는 많은 사상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일반대학교의 음악 공교 육 개혁을 진행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되며, 음악교육이 예술교육의 기능을 더 잘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 중국 대학교 무용 감독 학과 교육 동화 현상 연구 : 산서성을 중심으로

        YAO PENG 안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647

        Promoting the characteristic construction and connotative development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s an inevitable trend in the development of higher education and a basic prerequisite for education to serve the development of society. Based on the fact that the development of dance choreography in higher education in China is in the stage of characteristic and connotative construction, the establishment of dance choreography in ordinary universities and the blind obedience of talent training, the inadequate layout and professional construction of dance choreography education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Shanxi Province, and the lack of obvious quality of talent training under the background of differences and similar teaching content and models,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article are raised. Then the strategy of promoting the distinctive and diversified development of the dance choreographer profession in Shanxi Province’s colleges and universities is gradually promoted to respond to the needs of actual development and supplement existing research. In this study, by constructing an evaluation item of the phenomenon of convergence in dance choreography education, it is used to explore whether there is convergence in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construction of dance choreography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Shanxi Province, and to find the main reasons for the convergence phenomenon, so as to make suggestions to promote the construction and development of professional education on dance choreography.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is research combines the previous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dance choreography professional education to establish research questions and clarifies the concepts of education convergence and dance choreography professional education convergence based on the literature using "Delphi" experts to investigate and summarize the evaluation items of choreography professional education convergence. It carries out comparative research on evaluation items, collects relevant materials from the four universities studied by methods such as questionnaire surveys, interviews, and document collection, compares and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choreography professional education to analyze the convergent items in the construction of the professional education of choreographers and their formation factors, thus obtain research enlightenment and give reasonable suggestions. From how to establish the evaluation dimensions of the phenomenon of convergence in dance choreography professional education, how to analyze whether the phenomenon of convergence exists through survey data, what effect does convergence phenomenon have on the construction and development of dance choreography professional education, and how to construct and diversify the professional education of dance choreography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The logic starting from issues such as the development of chemistry, follow the basic path of raising questions, theoretical discussion, method application, data research and forming conclusions. The main research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clarify the confusion and problems that exist in the education of dance choreographers in ordinary universities. Combining the thoughts and examinations in the teaching research and management practice of the dance choreographing specialty, the goal of the problem to be studied is determined-the phenomenon of the convergence of dance choreographing specialty education. Multi-dimensional surveys and interviews on the dance choreography majors were conducted by ordinary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Shanxi Province and it found out the current status of the dance choreography majors in the four universities, mastered the first-hand materials needed for research problems to know the current existence of the majors confusions and problems. Second, the establishment of the "Dance Choreography Professional Education Convergence Phenomenon Evaluation Dimensions" based on the "Qualification Evaluation Index System for Undergraduate Teaching Work in General Colleges and Universities". Using the Delphi expert survey method, the expert questionnaire was designed after three rounds of expert consultation, and the experts reached a consensus and agreed that there are 11 evaluation dimensions that can be used to evaluate the phenomenon of the convergence of dance choreographer professional education. The questionnaire survey method and the Delphi method are combined to screen the primary indicators, which not only compensates for the insufficient accuracy of the questionnaire survey, but also eliminates unnecessary indicators. In the determination of weights, the AHP method is used to comprehensively consider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perspectives. This evaluation dimension reflects the basic connot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evaluation of the phenomenon of convergence in the education of dance choreographers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it fills the gap in this research field, and opens up a possibility for scientific evaluation of the convergence. Third, it tested whether the phenomenon of homogenization of dance choreography education in ordinary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Shanxi Province objectively exists. Through investigations and interviews on the various content of the evaluation dimensions of convergence, from school positioning and planning, talent training, teaching level of the staff, professional training plans, curriculum resource construction and teaching contents, classroom teaching and learning evaluation to practical train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data and content in terms of, graduation thesis (design) and comprehensive training, basic theories and skills of students' majors, etc. were conducted and found that the ten items under the evaluation dimension of convergence phenomenon have homogeneity performance, which confirms the common college dance in Shanxi Province. The phenomenon of convergence in the professional education of choreography exists objectively. This research result has solved the mystery of the dance education in Shanxi Province for many years. And it revealed the objective deficiencies in the construction and development of the dance choreography profession and provided a healthy development and motivation for reforming the dance choreography profession in Shanxi Province. Fourth, it analyzes the main reasons and influence of the homogeneity of dance choreography education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Shanxi Provinc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nvergence performance, from the external and internal factors of education and teaching, analyze the main factors that cause the convergence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Shanxi Province, and further analyze the construction and development of dance choreography, and talent training. The influence of other aspects provides a useful exploration for exploring the countermeasures of the characteristic construction and diversified development of the education and teaching of the dance choreographer major in Shanxi Province, and seeking effective solutions to this problem. Fifth, suggestions are made for the professional education of dance choreography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Shanxi Province from the perspective of characteristic construction and diversified development. Based on the mutual corroboration and supplementation of research conclusions and analysis conclusions, this paper starts from the professional education of dance choreography in Shanxi Province, and proposes characteristic construction suggestions and diversified development suggestions to promote the construction and development of college dance choreography. From the social level, policy level, school level, and teaching level, it is proposed that the concepts and standards of employers need to be changed, enterprise cooperation methods need to be innovated, government classification and decentralization management, and the evaluation system should focus on diversification, optimization of professional school positioning and school running mode, and deepening the collaboration of school-enterprise, the establishment of the correct teaching concept of dance choreography, the implementation of diversified dance education evaluation standards, the continuous update of dance professional teaching concepts, and the compilation of special teaching materials for dance choreography. The construction and development of the dance choreography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Shanxi Province should actively adapt to the needs of local cultural, economic and artistic development, continuously optimize the structure of higher education, gather high-quality resources, condense characteristics, and accelerate the transition from "unified" to "specialized" dance choreography. 특성화와 내포적인 발전을 추진하는 것은 대학 교육 발전의 필연적인 추세이고 사회 발전에 대한 교육의 역할을 이행하는 전제 조건이다. 현재 중국의 대학에서 무용감독 전공은 특성화와 내포적인 발전의 단계를 거쳐가고 있으나 많은 대학에서 학과 설립과 인재양성 방안의 맹종은 흔한 문제이다. 특히 산서성 대학에서의 무용감독 전공은 아직 시작 단계에 있기 때문에 학교 투자와 교육 인력이 부족하고 각 대학 인재양성의 질도 뚜렷한 차이가 없으며 수업 내용과 방식도 동질화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선행연구의 부족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실제 수요에 걸맞은 산서성 대학의 무용감독 전공 특성화와 다원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무용감독 전공의 동질화 현상에 대한 평가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산서성 역내 대학 무용감독 학과 구성의 현황 중 동질화 현상의 유무를 모색하고, 동질화 현상의 주요 원인을 밝힘으로써 무용감독 전공의특성화 구성과 발전을 촉진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무용감독 전공의 발달과정에 대한 탐색 연구의 성과에 의거하여 연구 문제를 제시하고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교육 동질화, 무용감독 전공 동질화의 개념을 정리한다. 또한 델피 전문가 조사방법을 통해 무용감독 전공 동질화 현상의 평가 항목을 귀납하고 비교 ·연구한다. 즉 설문조사, 인터뷰, 문헌조사 등 방법을 통해 4개 대학의 관련자료를 수집하고, 무용감독 전공의 현황을 비교 분석하며, 무용 감독 전공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동질적인 내용을 찾아내어 형성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연구의 시사점을 도출하고 합리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무용감독 전공의 교육 동질화 현상을 평가 차원 확립, 데이터 분석을 통해 동질화 현상 유무 확인, 동질화 현상이 무용감독 전공교육의 구성과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양상, 대학 무용감독 전공 교육의 특성화와 다원화 발전 등 문제를 검토하고자 한다. 그리고 문제제기, 이론적인틀의 구성, 연구방법의 적용, 데이터 분석과 결론 도출 등 기본절차를 따라 연구를 진행하였다. 주요 연구 결론은 아래와 같이 정리한다. 첫째, 일반 대학에 설치된 무용감독 전공의 교육 실시 과정에서 존재하는 문제점을 분석하여 밝혔다. 무용감독 전공 교육에 관한 연구와 관리 등에 대한 성찰에 입각하여 무용감독 전공 교육의 동질화 현상이라는 연구문제를 확인한다. 산서성 역내 일반 대학에 개설된 무용감독 전공에대 해 다차원적인 조사와 인터뷰를 실시하여 네 개 대학의 무용감독 전공의 운영 현황, 존재하는 문제점을 파악하여 연구에 필요한 일차적인 자료를 입수한다. 둘째#일반 대 학 학부 교육 합격 평가 지표 체계』에 의거한 "무용감독 전공 교육 동질화 현상 평가 차원"을 구축하였다. 델피 전문가 조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전문가 자문 설문지를 설계하여 세 차례에 걸쳐 전문가 자문을 실시함으로써 전문가들이 공동으로 지적한 무용감독 전공교육 동질화 현상을 평가하는 차원 11개를 도출하였다. 설문조사와 델피 방법을 결합하여 일차적인 차원을 확인하는 것은 정확도가 떨어진 설문조사의 단점을 보완하고 불필요한 지표를 배제하였다. 또한 AHP법에 따라 양적 ·질적인 차원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가중치를 설정하였다. 이평가 차원은 대학 무용감독 전공 교육 동질 화 현상 평가의 기본적 함의와 특징을 반영하고 선행연구의 부족한 점을 보완하고 동 질화 현상에 대한 과학적인 평가의 실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셋째, 산서성 일반 대학에서 설립된 무용감독 전공 동질화 현상의 객관적인 존재를 검증하였다. 동질화 현상 평가 차원 각 항목의 내용에 관한 조사와 인터뷰를 통해 학교의 자리매김과 계획, 인재양성 방침, 교수진 강의 실력, 전공 인재양성 방안, 수업 체계 구성과 수업 내용, 수업실시와 평가, 실습 교육, 졸업논문과 종합훈련, 학생의 전공 기초 이론과 기예능 등을 비교 ·분석하여 동질화 현상 평가 차원의 10개의 항목에서 동질화 현상 지표를 발견하였다. 따라서 산서성 일반 대학 무용감독 전공 교육 동질화 현상의 객관적인 존재를 입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산서성 역내 무용교육 전문가와 교사들이 오래전부터 가진 의혹을 풀고 무용감독 전공 구성과 발전에 있는 객관적인 문제점을 밝혀냄으로써 산서성 역내 대학 무용감독 전공의 건전한 발전과 개혁을 위해 근거와 역량을 제공하였다. 넷째, 산서성 대학 무용감독 전공 교육 동질화 현상의 형성 요인과 영향 을 분석하였다. 위의 방법을 통해 파악한 동질화 현상을 교육 내적 ·외적 차원에서 산 서성 대학 무용감독 전공 교육 동질화 현상의 주된 요인,무용감독 전공 구성, 발전, 인 재양성 등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산서성 대학 무용감독 전공 특성화와 다원 화 대책, 문제 해결에 대한 유효한 방안 등의 탐구에 유익한 모색을 시도하였다. 다섯째, 특성화와 다원화 발전의 각도에서 산서성 대학 무용감독 전공교육에 대해 건의한다. 본 연구는 조사 결과와 분석 결과에 의한 상호방증과 보완을 통해 산서성의 대학 무용감독 전공 교육에 대한 실용성에 입각하여 대학 무용감독 전공의 구성과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특성화와 다원화 발전에 대해 건의한다. 사회, 정책, 학교, 교육 등 측면에 입각하여 대학의 관념과 기준의 변화 필요성, 기업 협력 방식의 혁신, 정부 분권, 평가 체계 다양화, 학과와 학교 운영 최적화, 산학협력 추진, 올바른 무용감독 전공 교육 이념 수립, 다원화된 무용교육 평가기준 시행, 무용감독 전문 교육이념의 혁신, 무용 감독 전문 교과서 편찬 등에 관한 책략을 제시하였다. 산서성 대학 무용감독 전공의 구성과 발전은 지방 문화,경제, 예술 발전의 수요에 적극적으로 부응해야 하며, 대학 교육 구조의 지속적인 최적화와 양질 자원의 광범위한 통합을 통해 특성화를 이루고 무용감독 전공의 "획일"에서 "특성화"로의 전환을 가속화해야 한다.

      • 스마트 교육이 중국 대학 디지털미디어아트 전공 교육에 미치는 영향

        KANG YING 안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631

        스마트 교육의 제안 및 많은 신흥기술의 끊임없이 나타나면서 생기는 신기술과 신방식은 교사가 직업발전 중 피할 수 없는 중요한 도전이 되 었다. 교사가 전통적인 교육 이념과 수업 모델을 타파하고, 스마트 교육 기술과 교육내용, 교육방법을 융합시키면 더욱 좋은 교육 효과를 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많은 창조적인 인재를 배양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교 육인의 시각으로 출발하여 인공지능 시대의 배경에서 스마트 교육이 중 국 대학의 디지털 미디어 전공 교육 교습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스마트 교육 시대의 교 육, 관리, 연구 및 학생과 교사의 새로운 요구에 중점을 두었다. 스마트 교육은 현대 교육 이론 지도와 현대 교육 관리 체계 하에, 정보기술의 지원을 받아 개방적이고 광범위하며 연결된 다중 상호작용과 지능화된 교육 서비스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학습자 중심의 교육과 학 습 모델을 지원하고 학습자의 효율적인 지식 습득, 사고, 능력과 지혜의 발전을 실현하는 새로운 교육이다. 스마트 교육의 발전은 한 번에 이루 어질 수 없는 점진적인 과정인데 이념 정체성, 통치 체계의 완전성, 환경 요건의 구비, 응용의 보급 과정을 통해 점진적으로 발전해야 한다. 지금까지 스마트 교육의 특징은 학교 교육이 인터넷 교육 생태 환경하에서 개방적으로 발전하고, 교육 관리능력의 향상, 교육모델의 혁신, 학습 방 식과 학생 개성의 다원적인 발전 등을 포괄하는 체계적인 혁신이다. 구 체적으로 학생들이 효율적으로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교사 가 효율적으로 지식을 전수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개성화된 교육과 학 생의 다원적인 발전을 실현하는 이 두 가지 목표를 실현해야 한다. 스마 트 교육은 지역 교육체제의 혁신을 촉진할 수 있고, 현대적인 방식으로 교육 관리를 실현하면서, "인터넷+스마트+"의 사회기술환경에 향한 교육 시스템의 심층적인 혁신을 촉진할 것이다. 올바른 스마트 교육은 단지 기술을 응용한 혁신일 뿐만 아니라 교육형 태의 혁신이며, 정보기술 단일 구동의 결과가 아니라 사회발전의 요구, 교육 발전의 요구, 사회환경의 조건, 기술발전의 조건이 함께 작용하여 정보기술에 에너지를 부여하는 보기 드물고도 큰 교육 혁신이다. 스마트 교육의 현황을 연구함으로써 교육역사를 되돌아보고, 결론 부분에서 미 래의 발전 추세를 토론, 전망한다. 본 논문의 비교적 많은 부분을 현재 교육에서 스마트 교육의 응용 현황을 소개하는데 할애함으로써, 사람들 이 기술 혁신의 현황과 미래의 발전 추세를 거시적인 시각에서 볼 수 있 게 되었다. 동시에 스마트 교육에 관한 이론도 소개한다. 중국 대학교의 디지털 미디어 전공의 수업 환경과 교내외 활동의 심도 있는 융합에 대 한 스마트 교육의 도움을 분석하여 '인공지능 시대에 스마트 교육이 중 국 대학교의 디지털 미디어 전공 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주제로 한 조사 연구를 도입한다. 스마트 교육이 중국 대학교의 디지털 미디어 전공 교육에 영향을 미치 는 연구 주제를 결합하여, 교육기술 및 정보화의 측면에서 "스마트 교 육"을 연구하고, 교육학, 사회학, 디자인학 등 관련 이론과 방법을 통합 하여 스마트 교육이 중국 대학교의 디지털 미디어 전공 교육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한다. 즉, 스마트 교육을 교육 정보화 발전의 새로운 형 태로 보고, 정보기술 등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를 통해 편리하고 효율적 으로 교육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스마트 교육과 중국 대학교의 디지털 미디어 전공 교육 수업의 융합에 대한 중요한 핵심개념을 해석하 고, 스마트 교육과 전공 교육의 융합 방식 및 적응성을 탐구하며, 스마트 교육이 중국 대학교의 디지털 미디어 전공 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구한다. 교사와 학생의 학과 간 연구 능력 및 지속적인 학습능력을 배 양에 주목, 검증하고, 학생들에게 계산사고와 관련된 수업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하며, 각종 개발된 기술 플랫폼을 사용하여 설계 원형을 구축하 도록 훈련시킬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스마트 시대의 사고방식과 실행 도구를 파악, 적응력과 경쟁력을 갖춘 디자인 교육의 제공 등으로 중국 대학교의 디지털 미디어 전공의 스마트 정보기술과 교육의 융합을 실현 하여, 이 전공 교육의 효율성과 질을 높인다. 본 논문은 스마트 교육과 중국 대학교의 디지털 미디어 전공 교육의 효과적인 융합 방법을 주제로 하여 스마트 교육자원의 사용실태, 스마트 교육에 대한 적응성 문제, 수업방식 및 교육 이념의 변화, 스마트 교육 후의 평가 상황을 통하여 영향요인의 실체, 영향의 원인, 영향의 정도 및 영향요인 사이의 상관관계 등을 구체적으로 분석한다. 스마트 교육과 중국 대학교의 디지털 미디어 전공 교육의 융합에 대한 연구 문헌이 비교적 부족하여, 본 연구는 스마트 교육 및 중국 대학의 디지털 미디어 전공 교육에 융합된 이론 연구를 추진하였으며, 주제에 관한 심화 연구로 일정한 이론의 촉진 역할을 하였다. 동시에 디지털 미 디어 전공 연구에 대한 참고와 이론적 근거를 제공한다. 영향요인은 복 잡성, 난제성, 종합성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학, 교육학, 디자인학에 관한 이론을 융합하고, 질적 연구의 기초이론 등의 방법을 종합 운용하였으며, 스마트 교육이 중국 대학교의 디지털 미디어 전공 교육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탐구를 통하여 디자인학과 관련 전 공 교육의 연구를 위하여 참고와 이론적 근거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또한 과학기술을 이용한 교육 현대화의 가속화를 모색하여 실천적 도움을 제공한다. 스마트 교육은 미래를 이끄는 전략 기술이다. 미국, 유럽연합, 일본 등 세계 주요 선진국들은 모두 스마트 교육을 핵심 으로 하는 교육 과학 기술의 발전을 교육 경쟁력을 높이는 중대한 전략 으로 삼고 있으며, 교육 혁신에서 주도권을 지배하려고 할 것이다. 스마 트 교육의 적용을 추진하면, 중국 대학교의 디지털 미디어 전공 교육 개 혁의 촉진, 수업 중 사고 계발, 현존하는 미비점의 해결, 산학연 플랫폼 화 촉진 등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스마트 교육의 발전과 특성, 스마트 교육환경 플랫폼, 온라 인 교육, TPACK 연구, 정보기술과 과정의 심도 있는 융합의 발전과 디 자인전공 수업 모델 등에 대한 관련 문헌을 분석하였다. 연구는 주로 아 래의 영역에서 일정한 성과를 거두었다. 첫째, 스마트 교육은 무엇인가, 즉, 스마트 교육의 개념이다. 둘째, 필요한 스마트 교육은 무엇인가, 즉, 스마트 교육의 기본 특징이다. 다른 하나는 스마트 강의의 효과를 어떻 게 평가하는가, 즉, 스마트 강의의 평가 방식이다. 문헌연구법 및 조사연구법 등을 통하여 대학교의 디지털 미디어 전공 교육을 대상으로 인공지능(AI)을 배경으로 한 스마트 교육과 디지털 미 디어 전공 수업이 융합된 수업 모델을 토대로 허난성, 산둥성, 저장성, 장쑤성, 하얼빈시, 쓰촨성, 상하이시, 우한시, 베이징시, 안후이성, 쿤밍시, 시안시에 있는 985, 211대학교, 전통미술대학교와 지방대학교의 디지털 미디어 전공의 교사와 전문가를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질적 연구법을 적용하여 교육과정 중, 디지털 미디어 전공 수업에서의 원격 교육, 시뮬레이션 등 수업 형식의 이용하는 스마트 교육에 대한 디 지털 미디어 전공 교사의 진실한 생각을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스 마트 교육과 디지털 미디어 전공 교육의 효율적 융합을 위한 새로운 교 육자원의 활용실태, 스마트 교육의 적응성 문제, 교육방식과 교육 이념의 변화실태, 스마트 교육 후의 평가실태 등을 분석하여 영향요인 모델을 명확히 한다. 본 연구의 결론에서는 위에 언급한 내용을 총결하고 그 결과 토론의 기초에서 디지털 미디어 전공 수업의 문제점, 영향요인에 대한 분석, 디 지털 미디어 전공의 특징, 현황과 문제를 결합하여 교육방식의 혁신, 교 육환경의 구축, 교사와 학생의 효과적인 상호작용 등 측면에서 스마트 교육과 디지털 미디어 전공 교육의 융합을 위한 효과적인 전략과 건의를 제시한다. 심도 있는 인터뷰와 설문 조사의 상호검증을 통하여 스마트 교육이 디지털 미디어 전문 교사들의 교육에 미치는 영향, 즉 실제 교육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등을 살펴본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교사는 주관적으로 자신의 기술과 학생의 능력 및 기술이 가져올 수 있는 교육 효익(효과와 효율)에 더욱 관심을 두고 있으며, 현재 자신의 기술 능력과 학생의 이러한 모델에 대한 적응성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함을 발견하였다. 다만, 실제 수업에서 교사가 실제 로 기술을 사용했을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현실적인 '가르침'의 요 구와 수업 효과에 대한 기술의 도움과 효율성 제고였다. 이는 교사들의 심층 인식 속에서 기술과의 통합을 인정하지 않거나, 이념적으로 근본적 인 통합 기술에 대한 교육 또는 교육 정보화에 대한 명확한 인식이 근본 적으로 명확하고 안정적으로 인지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실용주의적 태 도 기반한 기술과 교육 이념, 교육방법은 분리되기 마련이며, 쉽고 딱딱 한 전공 교육에 스마트 교육을 더하게 된다. 인터뷰나 설문 조사에서 교사들은 기술에 대한 깊은 이해가 부족하다 는 점을 보여줬다. 그들은 기술을 주로 교육 효율의 제고를 보고하기 위 한 하나의 수단으로 삼는 경우가 더 많다. 스마트 교육의 본질과 가치, 사회발전에 미치는 역할, 플러스-마이너스 효과 등에 관한 문제의 접근 성이 아직 부족하고, 스마트 교육에 대한 과학지식과 이론적 소양이 부 족하다. 일반 대중과 비슷한 스마트 교육의 이념을 가진 교사가 많아 인공지능 시대의 교사가 가져야 할 소양이 부족하다. 또한, 대부분의 교사는 기술을 사용할 때 스마트 교육이 융합된 전공 교육을 받아들이고 적극적으로 호응함도 밝혀냈다. 그런데 전반적인 수 업 모델과 이념은 근본적으로 변화하지 않았으며, 모두 '강의+질문'식의 혼합형에 속하고, 새로운 혁신적인 수업 모델이 나오지 않았다. 다른 현 상은 인터뷰 중 교사들이 기술통합에 관하여 이야기할 때, 예로 특정 기 술을 특정 교육에 융합하였을 때 더욱 효과적인 교육 효율을 얻었다는 등, 디지털 미디어 전공 수업과 융합을 분명하게 이야기하였다. 이는 교 사의 인식 안의 스마트 교육의 융합은 교육방법에 영향을 주지 않고 오 히려 방법에 따라 기술을 선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술은 새로운 방 법 야기하지도 않고, 원래 있는 방법에 실질적인 혁신과 변화를 가져 오지도 않았다. 전반적으로, 스마트 교육은 디자인학과의 교육에 대하여 양면성을 띤 다. 따라서 교사의 전문성과 기술의 향상, 스마트 교육기술의 활용, 그리고 교사의 교육 이념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17명의 인터뷰 대상 교사 중에 스마트 교육의 편리함과 장점을 체득한 사람도 있고, 스마트 교육 의 진행이 부담스럽다는 사람도 있다. 스마트 교육의 편리함에 대하여 대부분의 교사는 교육자원이 더욱 풍부해지는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플 랫폼이 많아지며, 학생과의 상호작용이 더욱 긴밀하고 즉각적이며, 학생 의 능동적인 사고능력을 향상시키고 사고의 범위도 넓힐 수 있으며, 재 능에 맞춰 교육하여 창의적인 인재를 양성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게다 가 학교 재정의 투입과 전문가 개입, 스마트 교육 등을 통해 디지털 미디어 전공의 중요한 인턴 수업도 원활하게 진행됐다. 분석 결론을 계층형 구조로 전환하면, TPACK 이론에 따른 스마트 교육을 사용하는 중국 대학교의 디지털 미디어 전공 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관계 구조를 보면, 교육 효과와 격려 요소 소양에 미치는 영향 정도가 가장 높고, 교사의 자아실현, 학생의 개인 수준, 학교의 교육자원 환경, 교사의 교육 이념에 미치는 영향 정도는 보통이었으며, 학교의 교 육 활동이나 정책에는 거의 영향이 없었다. 교육의 목적과 결과의 관점에서 볼 때, 스마트 교육은 개인의 지혜 발 전에 주력하는 교육 이론의 연구와 실천 탐구이다. 교육의 과정과 구조 에서 볼 때, 스마트 교육은 지능화된 기술수단을 통하여 과정의 지능화 를 실현하고, 학습자의 능력이 향상되고 지혜를 증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이런 환경 속에서 교사는 지혜롭게 가르칠 수 있으며 학생은 지혜롭게 배울 수 있다. 그리고 학생은 주관적으로 학습하고 열정적으로 창의력을 발전시키며, 인격을 보완할 것이다. 고로 본 연구에서, 스마트 교육의 실천은 스마트 학습 환경의 지원에 서 떨어질 수 없고, 교사의 창의적인 스마트 교육 실천에서 더욱 떨어질 수 없다고 생각한다. 이런 실천 활동은 반드시 선진 기술의 지원 상에서, 과학 이념의 지도로 실천되는 활동이어야 한다. 스마트 기술이 제공하는 버팀목에서 혁신적인 교육을 배워야 할 뿐만 아니라, 과학적인 교육 이 념과 실천 활동을 연계시켜야 하며, 이 방법만이 진정한 스마트 교육을 실현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With the introduction of smarter education, the emergence of various new technologies makes new technologies and new ways become an inevitable challenge for teachers in career development. Only through breaking the traditional teaching concepts and teaching models of teachers, and integrating the technology of smarter education with teaching content and teaching methods in depth, can better teaching results be produced, so as to cultivate more innovative talents. This dissertation discusses the influence of smarter education on the education and teaching of digital media i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from the educator's point of view, focusing on the teaching, management, research and the new requirements on teachers and student in the era of smarter education. Under the guidance of modern teaching theory and modern educational governance system, smarter education supports learner-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mode by constructing the interconnected, open and general multi-interaction and smarter education service system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realizes the new type of education of learner's efficient knowledge mastery, deep thinking, individual ability and wisdom development. The development of smarter education is a gradual process, which cannot be achieved overnight. It needs to be gradually achieved in the concept of recognition, and it needs to be gradually achieved after the governance system is perfect, the environment is equipped, and the popularization of application is done. The characteristics of its current development are: the open development of school education under the ecological environment of Internet education, including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governance ability, innovative changes in teaching models, learning styles and the multi-development of students' personality and other systematic changes. Specifically there are two goals to achieve: first, to help students master knowledge efficiently, to help teachers to express and teach knowledge efficiently; Second, to achieve personalized teaching and students' diversified development. Smarter education will promote the innovation of educational system mechanism at the regional level, empower regional education governance to modernize the way, so as to promote the reform of education system facing the social and technological environment of "Internet plus" and "intelligence plus", showing the trend of deep change. The overview of smarter education is not only a change of technology application, but also a change of educational form. It is not the result of a single drive of information technology, but the result jointly produced by the social development needs, educational development needs, social environment conditions,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conditions. It is a century-old educational revolution enabled by the information technology. By describing the current situation of smarter education, and also going back to history, the development trend is discussed in the conclusion section. The application of smarter education to education is introduced in a larger space, which enables us to view the current situation of technological change and the future development trend from a broader perspective. At the same time, the relevant theories of smarter education are introduced. The analysis of the teaching environment in the education of digital media and the teaching mode deeply integrated with the digital media classes together lead to the investigation and study of the topic of the article "A Study of Smarter Education’s Influence on Collegiate Teaching and Training in Digital Media Art in China” Combined with the research topic of the influence of smarter education on the teaching of digital media in Chinese universities, this paper studies "smarter education" from the field of education technology and informatization, and analyzes the influencing factors of smarter education on the teaching of digital media in Chinese universities by using relevant theories and methods such as pedagogy, sociology and design. In other words, smarter education is considered as a new form of education informatization development, which improves the convenience, efficiency and smartness through changes in educational paradigm such as information technology. This dissertation explains the integration of smarter education into the core concept of education and teaching of digital media in Chinese colleges and universities; explores the way and integration adaptability of smarter education into professional education teaching; explores the factors and verification of the influence of smarter education on the education and teaching of digital media in Chinese universities; pays attention to the cultiva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interdisciplinary research ability and continuous learning ability; and constructs education and teaching based on the prototype of courses related to computational thinking, and courses that can train students to use various open source technology platforms, so as to enable them to master the thinking mode and realization tools of the intelligent age. By providing more adaptable and competitive design education, the target should be to achieve the in-depth integration of professional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and education in digital media among Chinese colleges and universities, so as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quality of the education and teaching in digital media major. This paper focuses on how to integrate smarter education effectively with education and teaching of digital media in Chinese universities, through the main research line about use of smarter education resources, the adaptability of smarter education, the change of teaching methods and teaching ideas, the post-use evaluation of smarter education and other dimensions, providing specific analysis of what the influencing factors are, why the influence, the degree of influence and whether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ous influencing factors. For there is a shortage of research literature on the integration of smarter education into the professional education and teaching of digital media in Chinese colleges and universities, this study promotes the theoretical research of the integration of smarter education into the teaching of digital media in Chinese universities, and plays a certain theoretical role in further studying the subject. At the same time, it provides methodological reference and theoretical basis for the research of digital media major, as the influencing factor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complexity, difficulty and comprehensiveness. This study integrates theories of sociology, pedagogy, and design, comprehensively using qualitative research, rooting in theory, and other methods to explore the influencing factors of smarter education on the teaching of digital media professional education in Chinese universities, and provide a method reference and theoretical basis for the teaching of design-related professionals. This study also provides practical help to explore the use of science and technology to speed up the process of educational modernization. Smarter education is a strategic technology to lead the future. The United States, the European Union, Japan and other major developed countries in the world have taken the development of smarter education as the core of education technology and as a major strategic measure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education, striving to take the lead in the new round of educational reform. Promoting the application of smarter education will help to promote the reform of digital media teaching in Chinese colleges and universities, to enlighten the teaching ideas of digital media majors in Chinese universities, to solve the shortcomings of classroom teaching in digital media majors in Chinese universities, to train the practical study of interdisciplinary and collaborative innovation among digital media students in Chinese universities, and to promote the new business outlook of the platform for the production, learning and research of digital media major in Chinese universities. According to the needs of this study, this paper summarizes and analyzes the relevant literature from the aspects of the development of smarter education, the characteristics of smarter education, the environment platform of smarter education, online education, TPACK research, the development of the deep integr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curriculum, and the design of professional teaching model. It is summarized that the research on this issue has made some achievements mainly in the following fields: First, what is smarter education, or the concept of smarter education. Second, what kind of smarter education is needed, or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smarter education. Third, how to evaluate the teaching effect of smarter teaching, or the evaluation mode of smarter teaching. Through literature analysis and research, this dissertation chooses the education and teaching of digital media in Chinese colleges and universities as the research object, the teaching mode under the deep integration of smarter education into the teaching of digital media under the background of artificial intelligence as the entry point; teachers and experts of digital media major of 985, 211 universities, traditional art academies, regional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Henan, Shandong, Zhejiang, Jiangsu, Ha’erbin, Sichuan, Shanghai, Wuhan, Beijing, Anhui, Kunming, and Xi'an as the study samples. By the application of qualitative research, this dissertation uses interviews to research on teachers' education and teaching situations of digital media in an in-depth way. The issues include teachers' genuine ideas about the application of smarter education such as distant learning and simulation; how can effectively integrate smarter education into the education and teaching of digital media; the adaptability of smarter education; changes in teaching methods and concepts; and the post-occupancy evaluation of smarter education, thus clarifying the influencing factor model. In the research conclusion, based on the summary of previous chapters and discussion on the research results, this dissertation analyzes the reasons for the application problems during the integration of smarter education into the professional teaching of digital media and the influencing factors. Combin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media, present situations and problems, this dissertation also provides effective strategies and suggestions on the deep integration of smarter education into the education and teaching of digital media from the aspects of the reforms in teaching and learning, construction of teaching environment, and the effective teacher-student interactions.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mutual verification of questionnaires, the influencing factors of wisdom education on digital media professional teachers in teaching, or the main factors affecting teachers' practical actions are summarized. The study found that teachers pay more attention to their own technology and students' ability and the teaching benefits (effect and efficiency), and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eir own technical ability and students' adaptability to this model. But in practical teaching, when teachers really use technology, the first thing that comes to mind is the realistic "teaching" needs, as well as the help of teaching effects and improvement of efficiency assisted by technology. This shows that in their deep understanding, technology integration is not really recognized, or they do not have the concept of integrated technology teaching or educational information, to form a clear and stable understanding. Based on the pragmatic attitude, it will inevitably lead to the separation between technology and teaching ideas and teaching methods, thus they simply and rigidly superimpose smarter education into professional teaching. Whether in the interview or in the questionnaire, it is very clear that the teacher's deep understanding of technology is not enough. They mainly use technology as a means o to help improve teaching efficiency. There is little contact on the nature and value of smarter education, its effect on social development, th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smarter education, and the lack of scientific knowledge and theoretical literacy in smarter education. Many teachers' smarter education ideas are similar to that of the general public, and lack the qualities that teachers should have i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 study also found that although teachers use technology, although most teachers are very receptive and responsive to the integration of smarter education into professional education and teaching, the overall teaching model and teaching philosophy has not been fundamentally changed, which all belong to a hybrid type of "teaching and asking questions", and there is no new innovative teaching model. Another phenomenon is that the teachers interviewed talked more explicitly about integration with digital media teaching, such as integrating a technology into a particular teaching, and thus achieving more effective teaching results. It is shown that in the teacher's understanding, the integration of smarter education does not affect the teaching method, but they choose the technology according to the method. Technology has not brought about new approaches, nor led to substantial change and innovation in the original approach. In general, smarter education is a double-edged sword for the education and teaching of design majors, and its influences depend on how the sword is wielded. Therefore, for the teachers themselves, the promotion of their professional skills is of great importance for the use of smarter education technology, as well as the teacher's own educational philosophy, which is also the reason why during our interviews with 17 teachers, some people have realized the convenience and advantages of smarter education, and some people think that the development of smarter education has brought them a burden. Referring to the convenience brought about by smarter education, most teachers believe that education resources are more abundant, there are more platforms to use at the same time, teacher-student interaction is closer, feedback is more immediate, at the same time it can increase students' ability to think actively, expand the breadth of thinking, offer teaching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alent, thus better training innovative talents.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financial input of schools, the intervention of experts, as well as the training of intelligent education, the practical courses that are important in digital media have been successfully carried out. The relationship structure of influencing factors of the teaching in digital media majors in Chinese colleges and universities under the TPACK theory by converting the analysis conclusion into a hierarchical structure: it has the highest degree of influence on teaching effects and hormone literacy; it has mediate influences on teachers’ self-achievement, students’ personal literacy, schools’ teaching resources and environment, and the teachers’ teaching concepts; it has little influence on schools’ training activities and policy trends. From the goal and result of education, smarter education is a kind of educational theoretical research and practical exploration committed to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 wisdom. From the process and structure of education, smarter education achieves the smarter process through intelligent technical means, and on this basis builds suitable environment for learners to improve their ability, and enhance wisdom. In such an environment, teachers’ smarter teaching and students' smarter learning is integrated to a great extent, thus develop students’ individual wisdom and perfect their personality at their willingness of learning. Therefore, this dissertation holds that the practice of smarter education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support of smarter learning environment, and cannot be separated from teachers' creative smarter teaching practice, which must be based on advanced support of technology and guided by scientific concepts. Teachers not only need to learn to innovate teaching in the supporting environment provided by smarter technology, but also link scientific educational ideas with practical activities, only after which can we truly realize smarter education.

      • 재정비촉진사업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안양시 만안지구를 중심으로

        손진일 안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heoretical basis of urban renewal project in order to examine its conceptual and primary contents; to analyze the satisfaction rate of residents from various social strata in order to examine conflicts between residents per interested parties and resettlement problem; through these, the paper seeks to propose a solution on the subject. To that end, the paper explored relevant legislations and prior studies, conducted interviews in order to analyze residents' satisfaction rate, and the research areas include whether a person agrees or disagrees with the urban renewal project and his or her reasons, whether a person like to resettle and his or her reasons, the requisite factors for resettlement, problems with the existing urban renewal project, and ways to maintain transparency; the paper used a cross-tabulation. As for each interested party's conflict resolution of Manan urban renewal project, the paper discovered that generally compensation was lacking, no inconvenience was found at the moment, economic ability to resettle was lacking, and there was a need for preventing destruction of district community; more specifically, there is a need to be more considerate to households with less income; there must be an increase of 10% of the urban renewal project's volume, and Anyang2-dong's quasi -residential area must be changed to business area so that part of the additional volume be used as a place to build small-sized apartments near Anyang station in order to supply affordable housing; low-interest mortgage must be provided as well and government assistance to the destitute like the recipient of livelihood program must be considered. For those who own retail stores, they must not encounter economic difficulties such as the receiving of the rent income, and there must be a realistic compensation plan for loss of rent income during the project implementation period. As for multi-family housing, there are many who rely on rent income, and we must consider constructing an apartment house that can be rented partially. As for inducing resettlement, generally, there needs to be diversification of apartment's floor areas, financial assistance, reduction of move-in payment, and increase of infrastructures; more specifically, there needs to be promotions like information session that would attract interests of low-income households and tenants towards urban renewal project. As for lessees of retails stores, realistic compensation plan such as preservation of premiums must be considered, and during the project period, there must be a countermeasure, like temporary retail store, as business arena would be eliminated; as for business method, project must be implemented first around Anyang station where profits would be high, following step-by-step business plan, so that part of the development profits would be used for temporary residence, which would achieve circulation development. Through integrating Anyang3-dong's hilly areas and Anyangland 2-dong's business district and developing them, hilly areas must be developed low-density, and the business district must be developed high-density. Further, through developing the business district in small scale, various business methods must be considered, which reflects the opinions of the resi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재정비촉진사업의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개념 및 주요내용을 파악하고 다양한 계층의 주민 만족도를 조사 분석하여 이해관계자별 주민갈등문제 재정착문제 등을 검토하여 사업의 합리적 추진을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련법령,선행연구고찰,지역주민의 만족도 분석을 위한 면접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조사내용은 재정비촉진사업의 찬성 여부 및 이유,재정착 의향 및 이유,재정착을 위해 필요한 사항,기존 재정비촉진사업의 문제점,투명성 확보 방안 등을 조사하여 교차 분석하였다. 만안 재정비촉진사업의 이해관계자별 갈등 해소 방안으로는 전체적으로 보상금 부족,현재 불편함 없음,재입주할 경제적 능력 부족,지역공동체 파괴 등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며 세부적으로는 가구의 소득이 낮은 저소득층에 대한 배려가 펼요하며 대책으로 재정비촉진사업의 추가 용적률 10% 와 안양2동의 준주거지역을 상업지역으로 변경하여 늘어나는 용적률의 일부를 안양역 인근에 소형아파트를 지어 저렴하게 공급하고 저금리 은행대출도 필요하며 생활보호대상자 등 최극빈자에 대하여는 정부의 지원도 검토되어야 한다. 상가소유자에 대하여는 임대 수입 등 경제적으로 불편함이 없는 상태로 사업기간 중 임대 수입 손실에 대한 현실적인 보상 계획이 강구되어야 한다. 다가구주택에 대하여는 임대수입 생활자가 많으므로 부분임대용 공동주택의 건립을 검토해야 한다. 재정착 제고 방안으로는 전체적으로 아파트 평형 다양화,금융지원,입주부담금 절감,기반시설확충 등에 대한 대책이 펼요하며,세부적으로는 가구의 소득이 낮은 저소득층과 주거세입자가 재정비촉진사업에 관심을 가질 수 있게 설명회 등 홍보가 필요하다. 상가세입자에 대하여는 권리금 보전 등 현실적인 보상 계획이 강구되어야 하며 사업기간 동안 영업장소 없어짐에 대한 사업기간 중 임시상가 등의 대책이 필요하고 사업방식에 있어서도 단계별 사업계획에 따라 사업성이 높은 안양역 주변 등을 먼저 시행하여 개발이익에 대한 일부를 임대주택으로 확보하여 순환개발을 검토하여야 한다. 안양3동의 구릉지와 안양 1. 2동의 상업지역을 결합개발방식을 통하여 구릉지는 저밀도로 개발하고 상업지역은 고밀도로 개발하는 계획도 필요하다. 또한 사업구역을 소규모로 계획하여 주민 의견을 반영한 다양한 사업방식의 검토도 필요하다.

      • 뉴미디어환경에서의 중국대학생 사상정치교육 연구

        WANG MEIYING 안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631

        Great changes have taken place in the media ecology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mobile Internet and the application innovation of intelligent terminal devices. The widespread use of the network and new media has become a new symbol of the network society, indicating the arrival of the new media era. The new media era is a new form of the network era in which concise words, vivid images and original videos are used to spread information instantly and efficiently under the background of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Internet, intelligent terminals and social media using modern communication technology, audio and video communication technology, big data, cloud computing and other means, marked by the extensive use of new media such as Wechat, Weibo, digital broadcasting, online video, etc. New media has triggered new trends and new ideas, which not only provides a new platform and carrier for ideological and political education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but also has an important impact on the ideological behavior and social psychology of young people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and has a great impact on their original value system and behavior concepts. Ideological and political education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is facing new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As a consequence, ideological and political educators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should pay attention to the profound changes brought by new media technology to the environment of college students' ideological and political education, and think about how to flexibly use new media technology to innovate the ways and methods of college students' ideological and political education. It is of great significance to carry out effective ideological and political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 Marxist theory on the all-round development of human beings and the theory of ideological and political education, this study makes a theoretical definition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e basic concepts, characteristics, types, functions and principles of the new media, the new media era and the ideological and political education of college students. This study focuses on the essential regulations of Chinese college students' ideological and political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new media. In addition, it puts forwar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ideological and political education in the view of new media, as well as the factors of the change and immutability of Chinese college students' ideological and political education in the view of new media. Under the guidance of Marxist theory, this study makes an in-depth analysis of the ideological and political education of Chinese college students from the perspective of new media by comprehensively using the relevant knowledge of pedagogy, communication, psychology and journalism by using the methods of literature, investigation and comparative analysis. Based on field investigation and questionnaire survey, this study makes a detailed analysis of the main problems facing the ideological and political education of Chinese college students in the view of new media. Based on on-the-spot investigation and questionnaire survey, this study makes a detailed analysis of the main problems facing college students' ideological and political education in the view of new media: formalization leads to the seclusion of educational object. Utilitarianism leads to the narrowing of educational value; replication leads to the deviation of educational goals;and decentralization leads to the separation of educational resources. This study analyzes the deep-seated causes of the problems from four angles: the lack of long-term, the absence of standardization, the lack of cooperation and the absence of evaluation of ideological and political education in new media. This study makes a systematic analysis of the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faced by the ideological and political education of college students. Besides, it puts forward the strategies of ideological and political education of college students from the aspects of constructing new media, enriching and optimizing the content of ideological and political education, strengthening the construction of teaching staff, and improving the media literacy of college students, so as to provide reference for the pertinence and effectiveness of ideological and political education of college students in the view of new media. The integration of new media into the work of ideological and political education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to provide new ideas and means will contribute to solve the problems existing in ideological and political education in Chinese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addition, it will contribute to provide ideas and measures for colleges and universities to build a permeable ideological and political system; contribute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country to transport high-quality talents. This study strengthens the work of ideological and political education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new media, that is, to establish a network platform for learning classes in the view of new media, the construction and improvement of education carrier channels and the establishment of a harmonious new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combined with the actual situation of college students' ideological and political education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new media. The ideological and political education of college students is related to the future and destiny of the party and the country, and to the long-term stability of the country. How to strengthen and improve the ideological and political education of college students from the perspective of new media is of practical significance. 모바일 인터넷의 비약적인 발전과 스마트단말기 응용 혁신에 따라 미 디어 생태계에 큰 변화가 일어나고, 범재화된 네트워크와 뉴미디어의 보 편적인 사용은 네트워크 사회의 새로운 아이콘이 되어 뉴미디어 시대의 도래를 보여주고 있다. 뉴미디어 시대는 인터넷, 스마트단말기, 소셜미디 어 등이 급성장한 배경에서 현대 통신기술, 영상음향 전파기술,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등을 활용해 위챗, 웨이보, 디지털방송, 온라인 동영상 등 뉴미디어의 폭넓은 사용을 로고로 간결한 문자, 생생한 그래픽, 오리 지널 동영상 등을 사용해 즉각적이고 효율적인 정보를 전파하는 인터넷 시대의 새로운 형태이다. 뉴미디어는 새로운 조류와 새로운 이념을 불러 일으키고, 중국대학교 사상정치교육에 새로운 플랫폼과 정체성을 제공하 며, 또한 중국대학교 청년들의 사상 행위, 사회 심리 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그들 본연의 가치 체계와 행동 관념에 큰 충격을 주고 있으며, 중국대학교 사상정치교육은 새로운 기회와 도전에 직면해 있다. 따라서 중국대학교 사상정치교육 종사자들은 뉴미디어 기술이 대학생 사상정치교육 환경에 가져오는 심각한 변화에 관심을 가져야 하며, 뉴미 디어 기술을 어떻게 활용하고 대학생 사상정치교육의 방식을 혁신할 것 인지를 고민하고, 효과적이고 효과적인 대학생 사상정치교육을 전개하는 것은 중요한 의의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마르크스주의 이론의 전반적인 발전과 사상정치교육 이 론에 입각하여 뉴미디어, 뉴미디어 시대 및 대학생 사상정치교육의 기본 개념, 특징, 유형, 기능, 원칙 등에 대한 이론의 규정과 학리적 검토를 실 시했다. 뉴미디어 환경의 중국 대학생사상정치교육의 본질적 규제를 집 중 분석해 뉴미디어 환경에서의 대학생 사상정치교육의 개념과 특징, 뉴 미디어 환경에서의 중국 대학생 사상정치교육의 변화와 불변의 요인을 제시했다. 문헌법, 조사연구법, 비교분석법을 운용하여 마르크스주의 이론을 지도하고, 교육학, 전파학, 심리학 및 신문학에 관한 지식을 종합적으로 운용 하여 뉴미디어 환경에서 중국 고교생들의 사상정치교육을 심층 분석하여, 현지 조사 연구와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뉴미디어 환경에서 중국 고교생 들의 사상정치교육이 직면한 주요 문제를 상세하게 분석하였다. 현지 조 사와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뉴미디어 환경하 대학생들의 사상정치교육이 직면한 주요 문제점은 형식화에 따른 교육객체 은둔, 공리화에 따른 교 육가치 축소 , 복제화에 따른 교육목표 이탈, 분산화에 따른 교육자원의 분열을 꼽았다. 뉴미디어 사상정치 교육의 장기적 결여, 규범적 결여, 합 동성의 결여, 평가적 결여 등 4가지 관점에서 문제의 심층적 원인을 분 석했다. 대학생 사상정치교육이 직면한 기회와 도전을 체계적으로 분석 하여 뉴미디어 환경 하에서 대학생사상정치교육 콘텐츠의 다양화 및 최 적화, 교수진 구축 강화, 대학생 매스컴 소양 향상 등을 통해 대학생사상 정치교육의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뉴미디어 환경 대학생들의 사상정치교 육의 지향성과 실효성에 참고가 될 것이다. 뉴미디어를 대학의 사상정치교육 사업에 통합하여 전개하는 새로운 생 각과 수단을 제공하는 것은 중국 대학의 사상정치교육이 안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유리하고, 대학 실현을 위해 참고할 수 있는 침투식 사 상 체계 구축의 사고와 조치를 제공하며, 국가의 높은 인재의 수송을 위 한 기초를 다지는 데 유리하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고등학교에서 전개 되고 있는 뉴미디어 환경에서 대학생들의 사상정치 교육의 실상과 결합 하여 뉴미디어 환경에서 대학의 사상정치 교육을 강화한다. 즉, 뉴미디어 환경에서 학습형 학급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교육용 미디어 채널의 건 설과 보완 및 조화로운 새로운 교사 학생 관계를 구축한다. 대학생 사상 정치 교육 사업은 당과 국가의 장래가 달린 사업이고 국가의 장기적 치 안이 걸린 사업인 만큼 뉴미디어 환경에서 대학생 사상정치 교육을 어떻 게 강화하고 개선할 것인가는 현실적 의의가 있다.

      • 중국 대학교 디자인경영학과의 인재양성 방식에 관한 연구

        GUO YUN 안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631

        全球经济高速发展的今天,消费需求也与日俱增,优秀的设计则变成了 商业活动的必要条件。当前中国处在设计管理学科发展的初级阶段,怎样发 展并构建中国自己的设计管理人才培养模式是设计管理所急需解决的一个重 要问题。设计管理的崛起也带来一系列问题,例如从业者质量与产业发展需 求的人才供给等问题。当今设计管理教育目前在中国无论从从业者的知识结 构还是能力方面都与社会市场需求匹配程度不高,与西方发达国家的差距比 较明显。有能力在普通设计的基础之上进行创新、沟通、管理和制定策略的 人才是目前企业迫切需求的人才,目前的设计师或是管理者往往缺乏这样的 设计管理专业知识和能力。归根结底还是中国教育层面对设计管理的重视程 度以及认知程度的不够,导致设计管理发展的速度比较缓慢,以及设计创新 产业遇到发展的瓶颈。 设计管理在中国属于新兴学科,如何在文化体制和机制的不断变革中, 培养适应中国社会经济发展及设计管理专业领域发展需要的设计管理管理人 才,这些都和中国高校设计管理人才培养模式的构建息息相关。如何使用设 计学科和管理学科已有的理论研究作为基础去丰富设计管理学科理论体系, 之后再使用设计管理理论去指导设计商业活动。在其学科属性、定位、分 类、研究内容、研究方法和评估标准等等各方面目前都比较模糊,需要对其 进行更加清晰明确的学科体系构建。目前中国设计管理专业在各高校的普及 程度还很低,但是相关产业和专业领域发展迅猛,对设计管理优秀人才的需 求非常旺盛。这个年轻的学科非常需要对各方面体系构建的研究才可以在今 后在走上规范化发展的道路。 本研究分析了设计管理发展历史和中国和欧美发达国家发展现状,从课 程设置、师资力量、教学方法等方面研究了欧美知名大学设计管理相关专业 人才培养模式,结合中国特殊国情,探索设计管理教育在中国较为可行的人 才培养模式,意在通过设计管理教育来提升整体设计创新水平与设计管理思 维意识,使得设计管理教育可以用来补充目前中国设计教育中的不足之处, 可以解决中国目前出现的设计教育模式培养的人才与市场需求脱节的情况。 通过调研分析西方各个发达国家的设计管理教育,得知设计管理人才培养模 式主要由于受教育者的不同专业背景、社会环境、知识需求和随着设计管理 发展而不断改变的教学内容会造成不同国家在设计管理教育上有些许差异。 所以本研究通过梳理中外设计管理教育现状,从设计管理人才的素质结构以 及人才培养模式构建的层面分析了设计管理教育人才培养在中国发展的方 向,希望可以从设计管理人才培养的源头解决目前中国设计人才市场供需不 平衡的局面,并且希望通过本研究提高整个设计和设计管理学科在中国的发 展水平。本研究主要取得了以下研究结果: 1.通过对设计管理学科的产生背景及理论构成的分析,了解了设计管理 人才培养模式的内涵。设计管理教育离不开高校各个教育主体与教育受众的 配合,但是常年固化的教育模式与学习模式是长时间养成的习惯,这也是中 国目前高等教育现状所造成的,短时间之内很难改变。所以如何在设计管理 教育中打破传统高等教育常年来产生的固有思维,积极寻找新的教育理念、 教育模式是本研究重点研究的方向。通过研究西方设计管理学科发展过程得 出的理论构成,结合分析其内涵特征,寻找其中可以为中国设计管理可借鉴 的部分,最后为中国高校的设计管理人才培养模式的构建提供理论指导功 能。 2.通过对西方发达国家在设计管理学科建设中的丰富经验进行分析研 究,在研究了世界各大名校例如麻省理工学院、南安普顿大学、伊利诺伊理 工学院等等在设计管理相关专业有代表性并且有着丰富教育经验的高校以 后,发现其设计管理人才培养模式主要围绕四类展开:以工商管理为中心、 以设计为中心、以工程技术为中心、以企业项目为中心。它们在培养方案、 课程结构、教学方法和师资队伍建设等方面都有着鲜明特色。对这些西方发 达国家设计管理学科的优势及特色进行分析后,对中国高校设计管理人才培 养模式的构建给出合适的建议。 3.通过对中国高校设计管理相关专业的发展现状研究,并且对各大高校 的专家学者进行访谈研究,采用多个高校学生的问卷调查结果作为辅助,了 解设计管理人才培养模式在中国高校发展所需要的重要元素,人才素质结 构。只有了解了人才所需的素质,才能明确人才培养的目标。创新意识、问 题意识、商业意识以及品格涵养是设计管理人才培养最为重要的人才素质, 对这些素质特质进行剖析,并且研究其培养方法,可以为设计管理人才培养 模式的构建指明前进的道路。 4.为构建有价值的设计管理人才培养模式,本研究尝试总结当前新知识 经济时代下设计管理人才培养模式构建所需要的途径。虽然设计管理在中国 发展的缓慢且落后,但是多位专家学者依然肯定了其中国高等教育乃至社会 发展的重要性。构建新的培养模式的首要工作是对旧教育理念的改革,本研 究尝试使用OBE成果导向的教育理念为中国设计管理学科人才培养中所使用 的教育理念,因为OBE教育理念在西方发达国家的教育改革中都起到至关重 要的作用。培养方式的改革同样非常重要,本研究在专家学者的建议下总结 了设计管理应该走产学研结合的培养方式,并且需要政府的大力支持与引 导、市场的运作、企业与学校之间也需要具有千丝万缕的联系,使培养全方 位人才的培养目标得以实现。除了教育理念的更新换代,推进教育范式的转 换、改革人才培养目标和人才素质结构也同样重要。本研究通过对目标素质 结构的研究,确定了以品格培养——知识培养——智能培养的培养方案,力 求塑造全方位的应用型设计管理人才。最后,使用系统论为理论原型来构建 人才培养模式。人才培养模式是一个复杂的系统,所以本研究着重以国家、 学校、专业、课程这四个从宏观到微观的层次构建总体的人才培养模式设计 框架。 本研究共六章。第一章为绪论,主要交代论文的选题背景、依据、研究 意义及所选用的各种研究方法包括问卷调查和访谈调查的对象基本信息。最 后介绍了研究框架并描述本研究所创新的地方。第二章为综述和理论基础, 介绍高等教育人才培养的发展历史以及设计管理在中国以及西方发达国家的 发展现状,并且介绍本研究所选用的研究理论。第三章为设计管理学科及其 培养模式的初步探究,介绍了设计管理的背景及理论构成并尝试总结其人才 培养的内涵特征,并对设计管理学科做详细分析,从设计学和管理学相关概 念解析到设计管理存在一些相关问题和困难并分析解答。从设计产业的发展 趋势以及宏观层面国家社会经济发展的需求来阐述设计管理的重要性。最后 阐述设计管理人才培养的价值与培养的目标。第四章为对西方发达国家设计 管理学科人才培养经验的研究分析,在对伦敦艺术大学、南安普顿大学、伊 利诺伊理工学院、麻省理工学院和三星设计学院不同类型的设计管理专业培 养模式的研究中,以对比研究总结出其人才培养模式和其优势特色。并且通 过对文献的研究总结出西方设计管理的发展对中国设计管理的影响。第五章 为对中国高校设计管理人才培养模式的研究,通过各研究方法,从学科定 位、学科属性等视角总结出中国设计管理人才最需要的四项素质特质(问题意 识、创新意识、商业意识、品格涵养),并对这些素质特质做详细的解读分 析。接下来是本研究的核心,通过上文的研究结合系统论等理论对设计管理 人才培养做拓展与深化研究,并采用OBE理论对设计管理教育理念进行更 新,尝试对中国高校设计管理人才培养模式的构建途径做出规划。本章的重 点在于对设计管理人才培养模式的构建途径进行了分类以及结合了各个专家 学者的观点和看法进行分析。第六章为总结本研究的各项研究结果以及本研 究的不足之处和本研究在未来的研究展望。 중국 대학교 디자인경영학과의 인재양성 방식에 관한 연구 세계 경제가 급격히 발전하면서소비 수요가 날로 증가하는 가운데 디자 인은 상업 경쟁의 유력한 무기로 급부상하고 있다. 따라서 디자인 리소스 의 효율적인 배치와 통합, 그리고 크리에이티브 디자인을 발전시키는 것은 디자인 경영(Design Management)이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다. 물론 디자 인 경영의 부상은 종사자의 질과 산업 발전에 필요한 인재 공급 등 문제 를 초래하고 있다. 현재 중국에서 디자인 경영 교육은종사자의 지식구조나 능력 면에서 사회시장의 수요와 잘 부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서구 선진 국과의 격차도 비교적 뚜렷하다. 현재 기업 인재는 일반 디자인을기초로 하여 혁신과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관리와 전략 수립 등 행동을 수행할 수 있는 인재를 절실히 필요로 하는데도 불구하고 디자이너나경영인은 종종 이러한 디자인 경영의 전문 지식과 능력이 결여된다. 근본적으로 말하면, 중국 교육 층의 디자인 경영에 대한 부족한 중시와 인식은 더딘 발전 속 도와 디자인 혁신 산업 발전의병목현상을 초래한 것이다. 중국에서 디자인 경영은 신흥학과이다. 문화 체제와 메커니즘의 끊임없 는발전과 더불어 중국의 사회경제와 디자인 경영 전문분야의 발전에 필요 한 디자인 경영 인재의 양성은 중국 고등교육기관의 디자인 경영 인재양 성 모델구축과 서로 밀접히 이어지고 있다. 그러므로 관련 학과의 연구성 과를 활용해 디자인 경영 이론 체계를 꾸준히 다양화하고 그 이론으로 실 천을지도하며 디자인 경영학과의 속성과 포지션, 디자인 경영의 분류와 연 구 내용, 연구방법, 그리고 평가 기준 등 차원에서 명확한 학과 체계를 구 성할 필요가 있다. 물론 아직 중국 고등교육기관의디자인 경영학과의 보급 정도가 매우 낮지만, 관련 산업과 전문분야가 신속히 발전하면서 디자인 경영 관련 인재에 대한 수요가 매우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이 젊은 학과 의 각 방면의체계 구축에 대한 연구만이 향후 규범화된 발전의 길로 이어 갈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우선 디자인 경영의발전사를 돌이켜 보고 중국과 구미 선진 국의 발전상을 분석했으며 교과과정 설치와 교수진, 교수법 등 차원에서 구미 명문대학의 디자인 경영 관련 전문인재 양성 모델을 연구하고 중국 만의특수한 국정과 결합하여 중국에서 실행 가능한 디자인 경영 교육의 인재양성 모델을 탐구하고자 하며, 디자인 경영 교육을 통해 전반적인 디 자인 혁신 수준과 디자인 경영 의식을 높이고, 현재 중국 디자인 경영 교 육의미비점을 보완함으로써, 현재 나타나고 있는 중국 디자인 교육모델의 인재양성과 시장 수요의 불일치 상황을 해결하는 데 목적을두고 있다. 각 서구 선진국의 디자인 경영교육에 대해 연구하고 분석한 결과, 서구 선진 국은 주로 피교육자의 전공별 배경과 사회환경, 지식 욕구 및 디자인 경영 발전에 따라 꾸준히 관련 교육 내용을 변화시켰기 때문에, 국가별 디자인 경영 교육에는약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 국 외 국가의 디자인 경영의 교육 현황을 정리하고, 디자인 경영 인재의 자질구조및 인재양성 모델 구축의 차원에서 디자인 경영 교육 인재의 중 국 내 발전 방향을 분석하여 디자인 경영 인재양성의 근본에서 현재 중국 디자인 인재시장의 수급 불균형의 국면을 디자인 경영 인재양성을 통해 근본적으로 해결할 방안을 제시할 것을 희망하며,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중 국의전체 디자인 및 디자인 경영학과의 발전수준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 한다. 본 연구는 주로 다음과 같은연구 결과를 얻었다. 1. 디자인경영학과의 발생 배경과 이론구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 디자인 경영 인재양성 모델의 내실을 알아보았다. 디자인 경영 교육은 고등교육기 관의각 교육 주체와 피교육자의 배합에서 벗어날 수 없지만, 장기간 고착 화된 교육 패턴과 학습 패턴은 중학교, 심지어 초등학교 시절부터 비롯된 것으로, 이 또한 현재 중국 고등교육의 상황이며 짧은 시간 안에 바꾸기 어렵다. 그러므로 디자인 경영 교육에서전통 고등교육의 고착화된 사고방 식을 벗어나 새로운 교육 이념과 교육모델을 적극적으로 모색하는 것이 본 연구의 중점 방향이다. 본 연구는 서구 디자인 경영학과의발전 과정을 연구하여 얻은 이론적 구성을 통해 그 내면의 특징을 분석하고, 그중 중국 의 디자인 경영에 본보기가 될 만한 부분을 찾은 뒤, 중국 고등교육기관의 디자인 경영인재양성 모델의 구축을 위한 이론적 지도 기능을 제공할 것 이다. 2. 서구 선진국의 디자인 경영학과 건설 경험을 분석하고 매사추세츠 공 과대학교, 사우스햄튼대학교, 일리노이 공과대학교를 비롯한풍부한 디자인 경영 관련 전공 교육경험을 가진 대표적인 글로벌 명문대학을 연구한 결 과, 디자인 경영 인재양성 모델은 주로 경영, 디자인, 공학 기술, 그리고 기업 프로젝트 등 네 가지를 중심으로 전개되며, 양성 방안과 교과과정 구성, 교수법, 교수 진 구축 등에서 뚜렷한 차별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앞서 언급한 서구선진국 디자인 경영학과의 강점과 특색을 분 석하고, 중국 고등교육기관의 디자인 경영 인재양성 모델 구축에 적합한 건의를 제공할 것이다. 3. 중국 고등교육기관의 디자인 경영 관련 학과의 발전상에 관한 연구 및 고등교육 전문가의 인터뷰, 그리고 고등교육기관 학생들을대상으로 진 행한 설문 조사를 통해 중국 고등교육기관에서 디자인 경영 인재양성 모 델을 발전하는 데 필요한 요소 및 인재의 자질구조를 이해한다. 사회가 필 요로 하는 인재 자질을알아야만 인재의 양성 목표를 명확히 할 수 있다. 혁신 의식, 문제의식, 비즈니스 마인드 및 품격 함양은 디자인 경영 인재 양성에서 가장 중요한 인재 자질로, 이러한 자질에 대해 상세하게분석하고 그 양성 방법을 연구하여 향후 디자인 경영 인재양성 모델 구축에서 나아 갈 길을 제시한다. 4. 본 연구는 가치 있는 디자인 경영 인재양성 모델을 구축하고자 오늘 날 새로운 지식경제 시대에서 디자인경영 인재양성 모델 구축에 필요한 경로의 요약을 시도하였다. 비록 중국에서는 디자인 경영의 성장이 더디고 뒤처졌지만 여러 전문가는 여전히 중국의 고등교육, 나아가 사회발전의 중 요성을 인정한다. 새로운 양성 모델을 구축하기위한 첫 번째 작업은 낡은 교육 이념에 대한 개혁이다. OBE 교육 이념이 서구 선진국의 교육 개혁에 서도 극히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본 연구는 OBE 성과 지향의 교육 이념 을 중국의디자인 경영학과 인재양성에 사용하였다. 물론 양성방식에 대한 개혁 역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전문가들의 건의에 따라 ‘산업, 학업, 연구’가 결합된 디자인 경영 인재의 양성방식을 따르고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선도, 시장 운영, 기업과 학교 간의 긴밀한 연계를통해 전방위적인 인재양성 목표를 실현할 것이다. 또한, 교육 이념의 세대교체 외에도 교육 패러다임의 전환, 인재양성 목표와 인재 자질구조의 개혁도 중요하다. 본 연구는 목표의 자질구조에대한 연구를 통해 ‘품격양성-지식양성-지능양성’ 의 양성 방안을 확정하고전방위적인 응용형 디자인 경영 인재양성을 도모 하며, 마지막으로 시스템론을 이론의 모티브로 활용해 인재양성 모델을 구 축한다. 인재양성 모델은 하나의 복잡한시스템이며 본 연구는 그 목적성 원칙과 사람 중심 원칙, 정체성 원칙, 역동성 원칙, 그리고 조화 및 최적화 의 원칙 등을 강조한다. 이는 중국의 새로운 지식 경제적 배경에 따라 디 자인 경영 인재양성 모델을 구축하는 과정에서반드시 지켜야 할 준칙이며, 국가와 학교, 전공학과, 교과과정 등 네 가지 거시적 및 미시적 차원에서 총체적인 인재양성 모델 프레임을 디자인할 것이다. 본문은 총 6장으로 구성된다. 제1장은 서론으로, 논문의 주제 선정 배경 과 근거, 연구의 의미, 그리고 설문지와 인터뷰 조사대상의 기본 정보를 포함한 선택된 각종 연구방법을 제시하고, 마지막으로 연구의 구조를 소개 하고 본 연구에서 혁신한 부분을 서술하였다. 제2장은 종합 서술과 이론적 토대를통해 고등교육 인재양성의 발전사와 중국 및 서구 선진국의 디자인 경영 발전상을 소개하고, 본 연구에서 채택된 연구 이론을 소개하였다. 제 3장은 디자인 경영학과 및 양성 모델의 기초 탐구이며 디자인 경영의 배 경과 이론구성을 소개하고 그 인재양성에내포된 특징을 요약했으며, 디자 인 경영학과에 대한 상세한 분석을 통해 디자인학과 관리학에 관한 개념 해석, 디자인 경영에 존재하는 문제점과어려움에 대한 분석 및 답을 제시 하였다. 디자인 산업의 발전 추이와 거시적 차원에서 국가의 사회경제 발 전 수요로 디자인 경영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마지막으로 디자인 경영 인 재의양성 가치와 양성 목표를 서술하였다. 제4장은 서구 선진국의 디자인 경영학과 인재양성 경험을 분석하고 런던예술대학교, 사우스햄튼대학교, 일리노이 공과대학교,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삼성디자인교육원 등의 유 형별디자인 경영학과 양성 모델을 비교 연구해 그들의 인재양성 모델과 강점을 알아보고, 또 문헌 연구를 통해 서구의 디자인 경영 발전이 중국의 디자인 경영에 미치는 영향을 요약했다. 제5장은 중국 고등교육기관의 디 자인경영 인재양성 모델에 대해 연구하고자 다양한 연구방법을 통해 학과 포지션과 속성 등의 차원에서 중국 디자인 경영 인재가 가장 필요로 하는 4가지 자질 특성 (문제의식, 혁신 의식, 비즈니스 마인드, 품격 함양)을 총 결산하고 이를 자세히 해독, 분석하였다. 이어서 본 연구의 핵심인 앞서언 급한 연구와 시스템론 결합 등의 이론을 통해 디자인 경영 인재양성에 대 한 확장 및 심화 연구를 시행하고, OBE 이론에 힘입어 디자인 경영 교육 이념을 업그레이드하면서, 중국 고등교육기관의 디자인 경영 인재양성 모 델 구축 수단에 대한 기획을 시도하였다. 본 장은 디자인 경영 인재양성모 델의 구축 수단을 분류하고, 각 전문가의 관점과 생각을 결합하고 분석하는 데 중점을 뒀다. 제6장은 본 연구의 각 연구 결과와연구에서의 미비점, 그리고 향후 연구 전망을 결산하였다.

      • 중국대학교 카운셀러 직업스트레스 조정전략에 관한 연구

        QIAN CHUAN 안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631

        중국 공산당 제19차 전국대표대회에서는 당의 교육방침을 전면적으로 관철하고, 입덕수인(立德樹人)의 근본적 임무를 수행하며, 지덕체미가 전면적으로 발전하는 사회주의 건설자와 후계자를 양성할 것을 명시했 다. 2018년 5월 4일 시진핑 총서기는 베이징대학교의 사제 좌담회에서 ‘대학이 사회주의 건설자와 후계자를 양성하는 근본을 잡아야 중국 특색 의 있는 세계 일류 대학을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대학 지도원 (counsellor)은 대학생이 대학에 입학하여 접촉하는 첫 번째 사람이로, 사 상적 가치를 교육 전 과정과 각 단계를 일관되게 이끌어야 하는 중요한 직책을 지니고 있다. 게다가 현재 사회 발전은 대학생의 전면적인 성장 에 대해 더 높은 요구를 제공하므로, 이것은 의심할 여지없이 대학 지도 원의 업무 깊이와 폭을 더욱 넓혔다. 고등교육 실천에서 중국 대학교 지 도원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대학생들의 사상 정치 교육 사 업을 전개하는 핵심일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일상적인 사무와 관리 업무 를 조직하는 사람, 실행하는 사람, 지도하는 사람이기도 한다. 교사와 임 원이라는 이중적 신분을 가진 대학교 지도원으로서 그들의 가치 추구, 능력, 업무 성과 등은 대학교에서 ‘어떤 사람을 기르고, 어떻게 사람을 기르고, 누구를 위해 사람을 기른다’고 하는 근본적 문제가 걸려 있다.대 학교 지도원들의 업무 성과는 주로 대학 지도원들이 대학생 사상정치 교육 사업을 전개하고 사회주의 적격 건설자와 믿을만한 후계자를 양성 하는 전반적인 상황을 가늠하는 것으로, 대학 지도원 대오 건설의 중요 한 일환이다. 특수한 신분과 지위, 복잡한 업무내용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현재 중국 대학교 지도원들이 직면한 직업 스트레스 문제가 갈수록 부각되고 있으며, 직업 권태, 심리 건강 등의 현상이 나타나 대학생들의 사상 정 치 교육 사업의 유효성과 중국 고등 교육 사업의 발전 전반에 영향을 주 고 있다. 따라서 중국 대학교 지도원의 직업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적극적인 스트레스를 대처하는 대책을 모색하는 것은 현실에 대한 긍정적인 지향성이 있다. 입덕수인의 근본적 임무를 수행하 고, 덕지체미노(德智體美勞)가 가진 사회주의 건설자와 후계자를 양성 하는 데 중요한 의의가 있다. 이 연구는 마르크스주의를 지도사상으로 삼아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 이론 체계에서 일관된 마르크스주의의 입장, 관점, 방법을 깊이 이해하고 체계적인 과학 이론에 대한 이해를 결합하였다. 이 연구는 현실을 기초 로 하여 마르크스주의 경전 저서가 직업 이론에 대해 천명하는 것을 충 분히 받아들였을 뿐만 아니라, ‘사람이 중심’ 이라는 이념을 견지하며 개 별 사례를 인터뷰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지도원들을 인터뷰하였다. 지도 원의 시각으로 조직지원감, 자기효능감, 적응전략, 업무성과, 업무만족도 와 이직성향 간의 상관관계와 영향 정도 등을 심층적으로 분석해 중국 대학교 지도원의 직업 스트레스 조절 경로를 구축하고 직업 스트레스가 미치는 영향을 완화한다. 심층 인터뷰로 중국 대학교 지도원의 전반적인 직업 스트레스, 스트레 스의 표현 및 원인을 조사했다. 인터뷰 조사에서 이 세 가지 가장 두드 러진 직업 스트레스는 중국 대학교 지도원들 사이에서 보편적으로 존재 하며 지도원의 삶의 질과 근무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대학교 지도원은 직업 스트레스가 심해 직장생활의 권태, 심신건강 저하, 업무성과 저하, 인간관계 긴장, 업무 만족도 저하, 사회력 약화, 이 직 경향 부각 등의 스트레스가 나타난다. 지도원의 직업 스트레스에 대 한 분석을 통해 사회·고교·가정·개인 등 4개 분야별로 원인을 분석한다. 사회의 기대는 높지만 사회적 지지는 맞지 않고, 사회의 직업 인정은 낮아서 지도원의 업무 의욕에 영향을 받고, 교육 정책의 전환은 지도원 의 직업적 자질에 새로운 도전과 스트레스를 주고 있다. 중국 대학교 지 도원에 대한 직책의 위치가 명확하지 않고, 관리 메커니즘이 완벽하지 않으며, 초빙 메커니즘이 규범적이지 않고, 심사 평가 메커니즘이 과학적 이지 않으며, 격려 메커니즘이 완벽하지 않고, 업무 부하가 너무 심한 등 지도원의 직업 스트레스 감각을 가중시킨다. 지도원이 가정을 꾸리고, 정 서적으로 보살피고, 가족을 돌보는 데는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개인적 인 스트레스의 근원은 주로 자신의 발전 경로와 발전력, 능률 및 업무 강도와 작업 방식에 대한 적응성에서 기인 것이다. 이 모두가 직업 스트 레스의 형성을 구성하는 요인이다. 지도원은 업무 중에 시간과 정력이 많이 투입되기 때문에 가족을 위한 투입과 노력이 상대적으로 적고, 일 과 가정의 충돌로 지도원들은 저울질 사이에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다. 개인 스스로의 종합적인 소질과 스트레스에 취약하고 대인관계의 조정력이 떨어지는 점, 그 리고 개인의 스트레스 해소력 차이 등이 직업 스트레 스의 요소로 작용한다. 중국 대학교 지도원의 직업 스트레스 발생 원인에 대한 분석을 고려해 마르크스주의 인문학, 심리학, 사상정치교육학 등 다양한 학과의 이론을 종합적으로 활용해 사회·고교·가정·개인 등 네 가지 방면에서 적절성 대 책을 제시한다. 첫째는 사회환경을 최적화하기 위해 사회적 지원 시스템을 정비해야 하고, 좋은 여론 분위기를 조성해야 하며, 지도원의 직업 정체성과 자긍 심을 높여야 하고, 외국의 선진 고교의 경험을 참고해야 하여, 중국의 실 제를 결합하고 점진적으로 흡수해야 하여 중국 대학교 지도원 제도의 혁 신을 촉진해야 한다. 둘째는 대학교이 중시해야 하며 지도원의 직책을 명확히 해야 하고, 지도원의 직업기준을 보완해야 하며, 전문화, 직업화, 전문가화를 견지하 되 전문성과 다능함, 즉 지식기능을 바탕으로 전문성을 발전시켜야 하며, 현재의 ‘가정부(保姆)’식, ‘만금유(萬金油)’식, ‘소방관(消防員)’식 의 사용 성향을 극복해야 하여 직업 스트레스를 해소한다. 또한 행정관 리부서의 직책 범위 안의 업무를 담당할 수 없도록 해야 하고 지도원에 게 떠넘겨 실행에 옮겨서는 안 된다. 그리고 평가 인센티브를 보강해야 하고, 지도원 대열을 보강하며, 지도원의 직업 발전 경로를 넓혀야 한다. 셋째는 가족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가족정서 지원기능을 충분히 발휘해 화목하고 원만한 가족분위기를 조성하여 직장생활을 균형 있게 하는 통에 직업 스트 레스를 해소해야 한다. 넷째는 개인의 자질 향상에 대해 자신의 종합적인 자질을 높여야 하며, 자기 효능감과 심리 조절 능 력을 강화시키고, 학생 관리 모델을 혁신해야 한다. 위의 네 가지 방면에 서 제시한 적응 전략은중국 대학교 지도원의 직업 스트레스를 경감할 수 있고, 지도원의 업무 즐거움과 행복지수를 높일 수 있으며, 중국 대학교 지도원 업무의 목표성과 실효성을 높일 수 있으며, 학교의 관리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중국 고등 교육 사업의 각 방면의 양호하고 질서 있는 발 전을 촉진할 수 있다. College counsellor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ractice of higher education in China. They are not only the backbone for carrying out the ideological and political education of university students, but also the organisers, implementers and instructors of students’ daily affairs and management. Under the influence of various factors, such as special status and complex work content, the current occupational pressure faced by college counsellor has become increasingly prominent, and phenomena such as job burnout and psychological subhealth have emerged. To a certain extent, this has affected the effectiveness of the ideological and political education work of college students and the overall development of China’s higher education. Therefore, it is of positive practical relevance to analyse and study the factors affecting the occupational stress of college counsellor and to explore strategies for them. It is of great significance to implement the fundamental task of establishing moral education and cultivating socialist builders and successors who are well-rounded in moral, intellectual, physical and aesthetic development. This study takes a practical approach, making extensive reference to the elaboration of career theories in classic Marxist works, adhering to a humanistic approach and interviewing counsellor on a case-by-case basis.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the perspective of counsellor’s perceptions of occupational stress, and in-depth analyses were conducted on the interconnections and degrees of influence between the perceptions of organisational support, self-efficacy, adjustment strategies, job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and propensity to leave, in order to construct a pathway for them to adjust occupational stress and mitigate the adverse effects caused by occupational stress in Chinese colleges and universities. Employing in-depth interview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ense of occupational stress, its manifestation and the analysis of its causes among college counsellor. The interviews found that this sense of occupational stress was prevalent among the group of college counsellor and affects their quality of life and work status. As a result of excessive occupational stress, college counsellor can develop stress manifestations such as burnout, declining health, reduced performance, interpersonal tension, low job satisfaction, diminished social competence and a pronounced tendency to leave the profession. This study explores the causes of occupational stress among counsellor by analysing the four aspects of occupational stress: society, colleges and universities, family and individual. Expectations from the society are high, but the support from the society is not reciprocal. Low recognition of their profession by society reduces the motivation of counsellor to work. Changes in education policies have brought new challenges and pressures to the professional quality of counsellor. Colleges and universities have not clearly defined the duties of counsellor, with poor management mechanism, unstandardised selection and recruitment mechanism, unscientific assessment mechanism, poor motivation mechanism, and excessively heavy workload. counsellor need time and energy to run a household and take care of their families. Individual sources of stress are mainly development channels and development potential, difficulty in adapting to the intensity and manner of work. All of the above are factors that contribute to occupational stress. In view of the analysis of the causes of occupational stress of college counsellor, this study makes comprehensive use of the theories of Marxist anthropology, psychology and ideological and political education to propose adjustment strategies from four aspects: society, colleges and universities, family and individual. Firstly, optimise the social environment. The social support system should be improved and a good public opinion atmosphere should be created, so as to enhance the professional identity and pride of counsellor. The counsellor system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should also draw on the advanced experience of overseas universities in the context of China. Secondly, the importance that colleges and universities attach to counsellor should be raised. Colleges and universities should clarify the duties of counsellors and improve their professional standards. Under the premise of specialisation, professionalism and expertism, counsellor should have expertise as well as other competencies, relieving occupational pressure by getting rid of the past impression of having everything on their hands. The assessment and incentive mechanism should be improved to strengthen the team of counsellor and broaden their career development path. Thirdly, create a harmonious family atmosphere. Giving full play to the function of family emotional support can balanc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and family and relieve the occupational stress of counsellor. Fourthly, improve the quality of individual counsellor. counsellor should improve their comprehensive quality, enhance their self-efficacy, psychological adjustment ability and innovate the mode of student management. The above four aspects of adjustment strategies are conducive to reducing the occupational stress of college counsellor, enhancing the well-being of their work, improving the relevance and effectiveness, enhancing the management effectiveness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and promoting the sound and orderly development of all aspects of China’s higher education.

      • 중국 동·중·서부 지역 대학교육의 투입산출 효율 비교에 관한 연구

        CUI BO 안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631

        Accelerated popularization of higher education has become the top priority in China’s education development in the knowledge economy-oriented era. China has also expressed the urgent need for high-quality talents in the construction process of a country with a strong socialist culture. Now, the gradually growing school size concerning China’s higher education indicates the initial success of the popularization of higher education. China witnessed a gross college enrollment rate of 51.6% in 2019, marking that China officially entered the universal higher education stage. Nevertheless, some problems and shortcomings resulted from the growing scale and level of higher education as well. For example, the unbalanced inter-regional higher education resource allocation and greatly varying higher education development levels have become prominent than ever. Narrowing the inter-regional gap and promoting balanced higher education development in various regions require immediate solutions. In the 18th National Congress of the CPC, it was advocated to practice education to the satisfaction of our people, promote the intensive development of higher education and reasonably allocation educational resources. As a result, the key factors in the effective development of China’s higher education require proper assignment of the expenditure on educational resources and increasing the input-output efficiency in education. The panel data from the 2009-2018 Educational Statistics Yearbook of China were taken in this research with the three-stage DEA efficiency evaluation method to conduct the science-based analysis of the input-output efficiency of higher education in 31 provinces and municipalities from the eastern, central and western regions. The research on the current situation f and difference in the input-output efficiency of higher education in different regions of China accelerates the establishment of a more science-based, reasonable and effective index system by scholars when they study the effectiveness of China’s higher education in the future and provides a science-based, effective and valuable evaluation idea for the healthy future development of China’s higher education industry. The research results also help to discover major problems existing in the utilization of educational resources in the meantime, so as to locate the reasons why the higher education resource allocation efficiency is low and seek effective ways to optimize higher education resource allocation with proper improvement solutions. The research is significant to improve China’s higher education quality and narrow the inter-regional gap. First of all, based on a summary of the literature and theories related to higher education input and output efficiency, the input and output indexes for higher education efficiency evaluation were taken with factor analysis in this research. Then, environmental indexes needed with the environmental impact factors excluded were selected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Next, the three-stage DEA model was established to evaluate the input-output efficiency of China’s higher education. The model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DEA model as the impact of external environmental effects on the efficiency measured is eliminated and the evaluation results are more scientific and objective. The time span in this research is from 2009 to 2018, totaling ten years. All data related to higher education input and output indexes involved in this research were collected and summarized from all general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China’s eastern, central and western regions. The detailed research was carried out as follows: First, an input index system covering labor input, material input and financial input of higher education, an output index system covering talent cultivation, the output of scientific researches and social services and an environment scalar index system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summary and analysis of basic theories and existing literature researches. Second, original input and output indexes of higher education were subject to the standard and dimensionless processing with factory analysis respectively. 2 additional input indexes and 2 additional output indexes were generated based on 13 input and 9 output indexes, which provided a data basis for the following three-stage DEA analysis. The 13 input indexes include: total number of faculty members of general colleges and universities, number of full-time teachers, percentage of teachers with doctoral degrees in all full-time teachers, percentage of teachers with senior professional titles in all full-time teachers, full-time equivalent of R&D personnel, expenditure on institutional funds, expenditure on infrastructure construction, internal expenditure on R&D funds, total land area, area of school buildings, total value of instruments and equipment for teaching and scientific research, total number of computers for teaching, and total number of books; 9 output indexes include: total number of current students, total number of graduates, percentage of graduate students in all current students, percentage of graduate students in all graduates, pieces of scientific and technical paper published, number of scientific and technical monographs published, number of R&D projects, patent application quantity, and patent transfer and license income. Third, the three-stage DEA evaluation method was utilized for empirical analysis. In Stage I, the input-output efficiencies of higher education from 2009 to 2018 in 31 provinces and municipalities in China were measured with the conventional DEA method; in Stage II, the adjusted input value based on the SFA model was applied to exclude the impact of environmental effects on the input-output efficiency evaluation of China’s higher education. The environment variables include: per capita GDP, percentage of the secondary and tertiary industry structures, foreign trade dependence and percentage of higher education funds; in Stage III, new input values and the original output values were used to re-calculate the input-output efficiency value of China’s higher education. The difference in input-output efficiency values of higher education measured with the DEA method in Stages I, II & III were compared and analyzed at last.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were that compared with the efficiency value measured with DEA in Stage I, the input-output efficiency of China’s higher education decreased significantly as the environmental effects were excluded. The comprehensive efficiency was reduced from 0.859 to 0.839 with technical efficiency from 0.959 to 0.946 and scale efficiency from 0.896 to 0.873.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input-output efficiency of higher education was over-estimated by DEA in Stage I but the impact of environmental effects was under-estimated. By region, the eastern region realized the average comprehensive efficiency of 0.87 with the central region of 0.81 and the western region of 0.76, showing that China failed to seek an effective way to optimize the input-output efficiency of higher education in the past ten years and there remained a huge development space. The input-output efficiency values of higher education also varied in distinct regions, that is, the eastern region with high technical efficiency and low scale efficiency, the central region with high scale efficiency and low technical efficiency and the western region with low technical and scale efficiency. The input-output efficiency values differ greatly among China’s three major zones and the efficiency value requires improvement. n addition, the low input-output efficiency of higher education for most areas in each region resulted from distinct causes and environmental effects significantly impacted the input-output efficiency of higher education. The discussion about the above results laid a foundation for proposing targeted and detailed solutions and suggestions to improve the input-output efficiency of China’s higher education and optimize the resource allocation quality. Solutions and suggestions to optimize the resource allocation efficiency of China’s higher education were provided from the perspective of several hot topics at present in this research based on the above conclusions: (1) Within the political context of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colleges and universities must initiate exchange and cooperation and broaden the channel for the capital introduction. Local governments should intensify the educational fund input for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the central and western regions as well as local colleges based on the central budget and provide financial support for local colleges and universities to cultivate talents under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Joint cultivation, joint scientific researches, targeted funding and other methods should be adopted for a win-win. It is also needed to realize intensive development centered on improving the quality and scale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The core competitiveness of these colleges and universities will be raised with better governance structures, unique school running principles and stringent talent introduction and cultivation. Relevant administrations responsible for international exchange and cooperation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should also be improved with enhanced teaching staff construction. Scientific researches should be conducted based on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and scientific research platforms and achievement transformation platforms should be established to provide intelligence support for the Initiative. At last, university-enterprise cooperation is also needed to improve the capacity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Efforts should be made to boost university-enterprise cooperation themed by industry-university-research cooperation as well as the industry-university-research university-enterprise cooperation with the focus on talent cultivation and scientific research cooperation, thus promoting the predominant characteristic discipline development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Industrial organizations should participate in the high-level talent cultivation by colleges and universities, that is backbones and managers in industrial enterprises may fully develop their business and management advantages to take part in the talent cultivation by colleges and universities. This can effectively address the shortage of practice-based teachers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and form an integrated full-time and part-time theory- and practice-based faculty team that is united to train excellent talents meets the needs of the “Road and Belt” Initiative. It can also optimize internal resource allocation and utilization within colleges and universities and raise their input-output efficiency. (2) Measures should be taken to build a smart campus, establish resource sharing platforms among colleges and universities, destroy their resource sharing barriers conventionally, provide more powerful software and hardware support for resource sharing and promote the reasonable utilization of internal resources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The colleges and universities should also combine their reality to gradually improve their hardware facilities for information-based teaching, strengthen the teaching platform construction and integrate both online and offline teaching platforms in the meantime. It is needed to integrate quality information-based teaching resources to guarantee law teaching quality; establish intelligent libraries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to optimize the library collection structures, enhance the sorting and utilization of scientific research and teaching-related information resources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improve the professional quality of library-related staff and accelerate the quality industry-university-research development. (3) As an important part of China’s higher education, higher vocational education casts a significant impact on resource allocation and utilization and the general resource utilization level of China’s higher education. Therefore, it is of paramount significance to highlight the improvement of resource allocation efficiency of higher vocational education. Under such circumstances, colleges and universities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government’s regulation of industrial structure, financial support, talent information and laws and regulations; make endeavors in talent cultivation, scientific and technical service and university-enterprise cooperation; and strengthen the cooperation within the same industry. 지식경제를 주도로 하는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고등교육의 보급 가속화는 이미 중국의 교육 운영 중 가장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사회주의 문화강국을 건설하기 위한 중국의 높은 자질을 갖춘 인재에 대한 갈망은 갈수록 절박해지고 있다. 현재 중국 고등교육의 학교운영 규모가 점차 확대됨에 따라 고등교육을 보급하는 사업도 이미 효과를 보기 시작했다. 2019년까지 중국 고등교육기관의 총 입학률은 이미 51.6%에 달하여, 정식으로 고등교육의 보급화 단계에 들어섰다. 그러나 고등교육의 규모가 확대되고 수준이 제고됨에 따라 일부 문제와 단점도 뒤따라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면 각 지역 간의 불균형한 고등교육 자원배치 문제와 비교적 큰 고등교육 발전수준의 차이 문제가 점차 두드러지고 있다. 지역 격차의 축소와 고등교육의 지역별 균형발전의 도모에 대한 문제가 시급하게 대두되고 있다. 중국공산당 제18차 전국대표대회는 인민이 만족하는 교육을 운영하고, 고등교육의 내실 발전을 추진하 며, 교육자원을 합리적으로 배치해야 한다고 제기하였다. 교육자원지출의 합리적 배치와 교육의 투입과 산출 효율률의 제고 방법 분석은 중국 고등교육의 고효율률 발전의 핵심 요소가 되었다. 본 연구는 2009년부터 2018년까지 중국교육통계연감의 패널데이터에 근거하고, 3단계 DEA의 효율성 평가방법을 적용하여, 동부, 중부, 서부 지역의 31개 성・시의 고등교육 투입산출의 효율성에 대한 과학적인 분석을 진행하였다. 중국 각 지역의 고등교육 투입 및 산출 효율성의 발전 상황과 차이점에 관한 연구는 미래 학자들이 중국 고등교육의 효율성을 연구할 수 있도록 보다 과학적이고 합리적이며 효과적인 지표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중국 고등교육의 좋은 미래 발전을 위해 과학적이고 효과적이며 가치 있는 평가 아이디어를 제공한다. 동시에 연구 결과에 따라 교육에도 큰 도움이 될 자원이용 중에 존재하는 주요 문제를 발견하여 고등교육 자원배치 효율 저하를 초래하는 원인을 정확히 찾아내고, 고등교육자원 배치의 최적화된 유효한 경로를 찾아내고 합리적인 개선방안을 제출하여 중국의 고등교육 수준 개선과 지역 사이의 격차를 줄이는데 긍정적인 의의를 지니고 있다. 본 연구의 과정은 우선 고등교육의 투입산출효율에 관한 문헌과 이론을 정리하는데 기반하여, 요인분석법을 이용하여 고등교육의 효율성을 평가하는 투입산출지표를 선택하고, 다시 문헌의 검토를 통해 환경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제거하는데 필요한 환경지표를 선택하였다. 그 후, 3단계 DEA 모형의 수립을 통해 중국 고등교육의 투입산출 효율률을 평가하였다. 해당 모형과 전통적인 DEA 방법의 다른 점은 평가 결과가 더욱 과학적이고 객관화되도록 외부 환경요소의 영향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기간 범위는 2009년부터 2018년까지 10년으로 지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언급된 고등교육의 투입과 산출의 모든 지표 항목의 관련 데이터는 모두 중국 동부, 중부, 서부 지역의 모든 일반대학교를 기반으로 통계와 정리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인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이론과 기존 문헌 연구의 정리와 분석을 통하여, 고등교육 인력 투입, 물리적 투입과 재정 투입을 포함하는 투입지표 체계, 인재양성, 과학연구 산출과 사회서비스를 포함하는 산출지표 체계 및 환경 스칼라 지표체계를 구축하였다. 둘째, 요인분석법을 사용하여 고등교육 투입 및 산출에 대한 원시 지표의 표준화와 무차원 처리를 진행하였으며, 13개의 투입지표와 9개의 산출지표에서 2개의 새로운 투입지표와 2개의 새로운 산출지표를 생성하였다. 아래 3단계 DEA 분석을 위해 데이터 기초를 만들었다. 그중 13개의 투입지표는 각각 일반대학교의 전체 교직원 수, 전임교원 수, 박사학위 교원의 전임교원 비율, 전임교원에서 차지하는 고위직 인원수 비율, R&D 인력, 사업성 경비지출, 기본건설 경비지출, R&D 내부 지출, 총 토지 면적, 학교 건물 면적, 교육 및 연구 장비의 총 가치, 전체 교육용 컴퓨터 및 도서 수이며, 9개 산출지표는 각각 전체 재학생 수, 전체 졸업생 수, 재학 중인 대학원생의 비율, 졸업생 중 대학원생의 비율, 발표된 과학 및 기술 논문 수, 출판된 과학 및 기술 저서 수, R&D 과제 수량, 특허 출원 건수, 특허 양도 및 라이선스 수입이다. 셋째, 3단계 DEA 평가방법을 운용하여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제1단계에서는 기존의 DEA 방법을 운용하여 중국 31개 성, 직할시의 2009년부터 2018년까지의 고등교육 투입산출효율을 측정하였다. 제2단계는 SFA 모형 조정 후의 투입 값을 이용하여 중국 고등교육의 투입산출효율 평가에 대한 환경요소의 영향을 배제하였으며, 그중 환경변수는 각각 1인당 총생산, 2, 3차 산업구조 비중, 대외무역 의존도 및 고등교육 경비 비중 등 4개 분야였다. 제3단계에서는 새로운 투입 값과 원시산출 값을 운용하여 중국 고등교육의 투입산출 효율 값을 다시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제1, 3단계의 DEA가 측정한 고등교육의 투입산출효율의 차이를 비교 및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환경적 요인을 제외하고, 제1단계 DEA가 측정한 효율성 값과 비교 했을 때, 중국 고등교육의 투입산출효율이 크게 떨어졌고, 종합 효율성은 0.859에서 0.839로 떨어졌으며, 기술 효율성은 0.959에서 0.946으로, 규모 효율성은 0.896에서 0.873으로 떨어졌다. 이는 제1단계에서 DEA가 고등교육의 투입산출 효율성을 과대평가하고, 환경적 요인의 영향을 과소평가했음을 보여준다. 지역적 관점에서 동부지역의 평균 종합효율 평균값은 0.87이고, 중부지역의 평균 종합효율은 0.81이며, 서부 지역의 평균 종합효율은 0.76이었다. 이는 중국이 지난 10년 동안 고등교육의 투입 및 산출 효율성을 최적화하는 효과적인 방법을 찾지 못했고 여전히 개선의 여지가 많다는 것을 보여준다. 고등교육의 투입산출효율 값은 지역마다 달랐다. 동부지역은 기술 효율이 높고 규모 효율이 낮은 지역, 중앙 지역은 규모 효율이 높고 기술 효율이 낮은 지역, 서부는 기술 효율과 규모 효율이 낮은 지역에 속하였다. 이는 중국의 3대 지역 간 고등교육의 투입효율에 상당한 차이가 있으며, 고등교육의 투입효율을 개선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다양한 지역에서 대부분의 고등교육의 투입 및 산출의 효율을 낮추는 원인도 달랐다. 동시에 환경적 요인이 고등교육의 투입산출효율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결과에 관한 토론을 통해 중국 고등교육의 투입과 산출 효율을 높이고 자원 배분의 수준을 최적화하는 구체적인 대책과 건의를 제기하는데 기초를 닦는다. 마지막으로 위의 결론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현 단계에서 몇 가지 화제인 중국의 고등교육 자원 배분의 효율성을 최적화하기 위한 제안과 대책을 제시하였다. (1) “일대일로” 정책의 배경하에 우선 대학은 교류와 협력을 창출하고, 자금 유입 경로를 확대해야 한다. 지방정부는 중앙재정에서 중부, 서부 지역의 지방대학에 대한 교육기금 투자를 늘려야 한다. 지방대학이 “일대일로” 이니셔티브 인재를 훈련하고 봉사할 수 있도록 재정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 연합 교육 훈련, 연합 과학연구 및 목표 자금 조달을 통해 윈-윈 상황에 도달해야 한다. 둘째, 대학의 질과 규모 향상을 중심으로 내실적 발전을 할 필요가 있다. 보다 최적화된 학교 관리 구조, 독특한 학교운영 정책, 고급 인재 도입 및 교육을 통해, 학교의 핵심 경쟁력을 점차 향상시켜야 한다. 학교의 국제교류협력 관련 관리기관을 개선하고, 교직원 구축을 강화해야 한다. “일대일로”를 둘러싼 과학연구를 전개하여, 과학연구 플랫폼과 성과전환 플랫폼을 구축하고, “일대일로” 구상에 대한 지적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산학협력을 통해 대학교 생산성을 향상하여야 한다. 산학협력을 주제로 산학협력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인재양성 및 과학연구 협력을 내용으로 산학협력을 추진하며 대학의 우수하고 특색 있는 학문의 발전을 촉진하여야 한다. 산업 조직을 대학의 고급 인재양성에 참여하는 주체로 간주하고, 대학의 인재양성 작업에 참여 시 산업 기업의 중추 및 관리 인력은 비즈니스 및 관리 이점을 활용하여 대학교의 실전형 교사 부족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전임교사 및 겸임교사가 일체화된 이론 및 실전 교사 팀을 형성하여 “일대일로” 발기에 필요한 뛰어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함께 최선을 다해야 한다. 대학 내부 자원의 배치 및 사용을 최적화하고, 대학 투입 및 산출의 효율성을 개선해야 한다. (2) 자원 공유가 더 큰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보장을 제공하고 대학교 내부 자원의 합리적인 사용을 추진하기 위하여 스마트 캠퍼스와 대학 자원 공유 플랫폼을 구축하고, 기존 대학 사이에 존재하는 자원 공유 장벽을 허물어야 한다. 동시에 각 대학은 현실에 비추어 정보화 교육의 하드웨어 시설을 점진적으로 최적화하고, 교육 플랫폼 건설을 강화하며, 온라인과 오프라인 교육 플랫폼을 통합해야 한다. 양질의 정보 기반 교육자원을 통합하여 법률 교육의 품질을 보장해야 한다. 대학에 스마트 도서관을 구축하고, 대학 도서관의 소장 구조를 최적화하며, 대학의 과학연구 및 교육과 관련된 정보 자원의 분류 및 활용을 강화하고 개선하며, 대학 도서관의 관련 직원의 전문적인 자질을 높이고 생산, 교육 및 연구의 효율적인 개발을 촉진해야 한다. (3) 고등직업교육은 중국 고등교육을 구성하는 중요한 부분이므로, 자원배치 및 활용의 효율성도 중국 고등교육 자원 활용의 전체 수준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고등직업교육의 자원 배분효율성 제고를 중 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각 대학은 정부의 산업구조, 재정 지원, 인재 정보, 법률 및 규정에 대한 규제를 잘하고, 인재양성, 과학 기술 서비스, 학교 산학협력을 강화하며, 산학협력을 중시해야 한다.

      • 중국 대학 디자인학과 혁신 창업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안후이성 대학교를 중심으로

        XU QIULEI 안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631

        在经济全球化和高新技术产业化的时代背景下,在传统制造业和服务业 饱和的困境中,中国的现代化进程需要完成经济结构转型和产业结构调整。 随着高等教育在国家发展战略地位的进一步提升,创新创业成为了中国高新 技术产业提升和发展的重要发展方向和途径,创新创业教育也随之成为高 校、教育部门和社会各界探讨的热点话题。作为艺术大类中的重要学科,设 计学专业在社会主义现代化建设中发挥了举足轻重的作用,设计人才的培养 对创新创业产业的发展有着深远的影响。创新创业教育的首要目标是激发学 生的创新创业热情,提升创新创业意愿。因此,设计学专业学生创新创业意 愿的影响因素是目前设计学专业创新创业教育中非常具有研究价值的一项课 题。 经过高等教育洗礼的大学生具有很大的创新创业潜力,是实现中华民族 伟大复兴的主力群体。高校的创新创业教育对高等教育人才技术创新、创办 高新技术企业、实现人生和社会价值都有着极其重要的意义。随着中国经济 科学技术的持续进步,在经济全球化、媒体信息化、生产工业化的时代背景 下,设计学专业对人才素质的需求不断提高,依托艺术设计进行创新创业活 动对学生创新思维、创造意识的要求与日俱增。虽然中国在创新创业教育领 域已经渡过起步阶段,正在不断进步与革新,但是以设计学专业为代表的诸 多应用型专业在创新创业教育方面仍然处于发展阶段,相当数量的高校对设 计学专业的创新创业教育理念还没有清晰的认识,对设计学专业如何开展创 新创业教育,如何将专业特色与创新创业理念有效融合还没有正确的理解。 因此,对于设计学专业创新创业意愿影响因素的研究,应当从专业特色、学 科特点出发,通过对设计学专业学生综合素质、教师队伍建设、教学课程设 置、政策环境营造和基础设施构建等方面的基本信息收集,科学分析各个影 响因素与创新创业意愿之间的关系。 参照中国创新创业教育的发展历程,设计学专业的创新创业教育也需要 从理论出发,通过对专业特色和创新创业基础理论的研究,寻找其中的融合 要素,在实践探索中寻找最适合设计学专业的创新创业培养模式。同时参考 国外高校创新创业教育专业化的相关研究和实践经验,结合中国国情和中国 高校设计学发展现状,依托设计学专业教育和现有的创新创业教育体系,构 建设计学专业创新创业教育培养体系。汇聚高校、政府、社会各方面资源, 从教学方式、教师队伍、基础设施、舆论环境等方面协同构建适宜的创新创 业教育系统。 本研究立足于中国高校设计学专业创新创业教育亟待改革和发展的时代 背景,分析中国教育部门在高校设计学创新创业教育方面的政策导向和设计 学专业对于创新型人才培养的内在需求,对提升设计学专业大学生创新创业 意愿的途径和要素进行深入剖析。创新创业教育的目的是培养大学生创新创 业能力和意愿,拓宽大学生的就业渠道,大学生的创新创业意愿对于创新创 业教育的成效有至关重要的影响,通过总结和归纳创新创业意愿影响因素, 针对性的提出改革措施,提升设计学专业大学生的创新创业意愿是本研究需 要达成的目的。因此,本研究的目的是通过分析安徽省高校设计学专业创新 创业教育现状和存在问题,在问卷调查收集样本高校数据的基础上,分析并 得出中国高校设计学专业创新创业意愿的正向影响因素,并且针对相关影响 因素提出改革措施和建议。 本研究分为六个章节主要内容如下: 第一章是绪论部分。本章通过论述中国高等教育,尤其是设计学教育在 就业方面面临的严峻挑战,提出本研究的目的,即研究中国高校设计学专业 创新创业意愿的影响因素。并针对研究目的提出具体问题:美国、英国、韩 国高校创新创业教育发展对中国高校的启示有哪些?中国高校开展创新创业 教育的优劣势有哪些?中国高校设计学专业大学生创新创业意愿的影响因素 有哪些?如何解决目前中国高校设计学专业创新创业教育存在的问题?在论 述本研究理论意义与现实意义的基础上,确定研究思路与研究方法,即文献 研究法、比较研究法、问卷调查研究法、分层次回归分析法。 第二章是创新创业教育文献综述和理论背景。本章对创新创业和创新创 业教育概念进行界定,通过创新创业教育方面的文献综述展示目前中国创新 创业教育研究现状。对主要国家的创新创业教育发展历史进行系统性论述, 以美国、英国、韩国的创新创业教育发展史作为参照,结合中国高校的创新 创业教育发展历史,得出国外创新创业教育发展对中国的启示。 第三章是设计学专业的创新创业教育。本章通过对中国高校创新创业教 育和设计学专业的萌芽出现、发展演进历程以及现状进行梳理,剖析中国设 计学专业与创新创业教育之间的关系,提出创新创业意愿的影响因素包括学 生素质、教师素质、课程质量、政策环境和基础设施,为第四、五章的数据 收集与分析提供变量依据。 第四章是研究设计,本章通过对创新创业意愿影响因素相关文献的研 究,提出创新创业意愿同教师素质、学生素质、课程质量、政策环境、基础 设施等五个要素有关联,在此基础上设计调查问卷。以高等教育发展状况、 创新创业产业发展状况、地域优势与潜力等因素为依据,选取安徽省四所高 校:安徽大学、安徽工程大学、安徽财经大学、安徽工业大学作为研究对 象。通过对以上四所高校的设计学专业学生,包括在校学生以及毕业生在内 的研究样本进行创新创业意愿方面的数据收集,以问卷调查的方式进行调 研。应用数据分析软件SPSS24.0,针对收集的样本数据进行检验,通过克隆 巴赫系数进行效度检验,通过巴特利特球形度进行信度检验。对样本数据进 行探索性因子分析,因子的解释变量大于建议值,证明各项数据适合做因子 分析。 第五章是研究结果。本章将问卷调查回收的数据以性别和年级为界定进 行分组,进行差异性检验,了解样本数据中不同性别和不同年级的大学生在 创新创业意愿方面的差异。对一级维度和二级维度的数据进行相关性分析, 各个变量之间的关系在相关性分析中得到支持,能够进行下一步检验。通过 SPSS24.0对样本数据进行多层次回归分析。得出创新创业意愿影响因素的五 个变量中,课程质量、教师素质和基础设施正向影响创新创业意愿的结果是 接受,而学生素质和政策环境正向影响创新创业意愿的结果是拒绝。 第六章是结论与建议。本章通过回归分析得出结论,学生素质和政策环 境对创新创业意愿无明显相关影响,教师素质、基础设施和课程质量对创新 创业意愿有明显的正相关影响。最后基于此结论,对设计学专业创新创业教 育的发展方向做出预测,列举出目前设计学专业创新创业教育存在的问题, 并且提出改善性意见,同时为未来设计学专业创新创业教育的长远发展提出 个人的建议。 경제 세계화와 첨단기술 산업화라는 시대적 배경에서 전통 제조업과 서비스업 포화라는 딜레마 속에서 중국의 현대화 과정에 경제 구조 전환 과 산업구조의 조정이 요구되고 있다. 고등교육은 국가 발전의 전략적 위치가 한층 향상됨에 따라 혁신 창업이 중국 첨단기술 산업을 이끌고 발전시킬 중요한 발전 방향과 수단으로 자리 잡게 되었고 혁신 창업 교육 역시 대학과 교 육 부문, 사회 각계에서 화제가 되고 있다. 예술 분야 중 중요한 학과로서 사회주의 현대화 건설에서 디자인학 전공은 매우 중 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고, 디자인 인재 육성은 혁신 창업 산업의 발전 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혁신 창업 교육의 가장 중요한 목표는 학생들의 혁신 창업 열정을 불러일으키고 혁신 창업의 뜻을 끌어 올리는 것이다. 따라서 디자인학 전공 학생들의 혁신 창업 의지에 영향을 미치 는 요인은 현재 디자인학 전공의 혁신 창업 교육에서 가장 연구 가치가 있는 과제이다. 고등교육을 접한 대학생들은 혁신 창업에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고, 이들은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을 실현할 주력인 것이다. 대학의 혁신 창업 교육은 고등교육 인재의 기술 혁신, 첨단기술 기업 설립, 인생과 사 회적 가치 실현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중국 경제 과학기술이 지속적으 로 진보함에 따라 경제 세계화, 미디어 정보화, 생산산업화의 시대적 배경에서 디자인학 전공 인재의 자질에 대한 요구가 끊임없이 높아지고 있고, 예술적 디자인을 바탕으로 한 혁신 창업 활동은 학생들의 혁신적 생각과 창조적 의식에 대한 요구가 날로 커지고 있다. 중국은 혁신 창업 교육 영역에서 이미 걸음마 단계를 지나 끊임없이 진 보하고 혁신하고 있지만, 디자인학 전공을 비롯한 많은 응용형 전공들은 혁신 창업 교육 방면에서 여전히 발전 단계에 머물고 있으며, 상당한 수 대학은 디자인학 전공의 혁신 창업 교육 이념에 대해 뚜렷하게 인지하지 못하고 있으며, 디자인학 전공이 혁신 창업 교육을 어떻게 전개할 것인지, 전공 특색과 혁신 창업 이념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융합할 것인지에 대해 여전히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이 때문에 디자인학 전공의 혁신 창업 의지 의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는 응당 전공 특색, 학과 특색에서 출발해야 하며, 디자인학 전 공 학생의 종합적인 자질, 교수진 구축, 교육과정 설정, 정책 환경 조성과 인프라 구축 등 방면의 기본 정보 수집을 통해 각각의 영향요인과 혁신 창업 의지의 관계를 과학적으로 분석해야 한다. 중국 혁신 창업 교육의 발전 과정을 살펴보면 디자인학 전공의 혁신 창업 교육 역시 이론에서 출발해야 하고, 전공 특색과 혁신 창조 기초이 론에 대한 연구를 통해 그 중 융합 요소를 찾고, 실습 탐구에서 디자인학 전공에 최적화 된 혁신 창업 육성 모델을 찾아야 한다. 동시에 해외 대학의 혁신 창업 교육 전문화와 관련된 연구와 실습 경험을 참고하여 중국 상황과 중국 대학 디자인학 발전 현황에 결부시키고, 디자인학 전공 교육과 기존 혁 신 창업 교육시스템을 바탕으로 디자인학 전공 혁신 창업 교육 양성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대학, 정부, 사회 각층의 자원 을 한데 모아 교육방식, 교수진, 인프라, 여론 등이 협력하여 적절한 혁신 창업 교육시스 템을 구축해야 한다. 본 연구는 중국 대학 디자인학 전공의 혁신 창업 교육에 개혁과 발전이 시급한 시대적 배 경에 근거를 두고, 중국 교육부의 대학 디자인학 혁신 창업 교육 방면에서의 정책 방향과 혁신형 인재양성에 대한 디자인 학 전공의 내재적 요구를 분석하고, 디자인 전공 대학생의 혁신 창업 의 욕을 높일 수단과 요소에 대해 심층 분석한다. 혁신 창업 교육의 목적은 대학생의 혁신 창업 역량을 키우고 의지를 높여 대학생 취업 경로를 넓히는 것이며, 대학 생의 혁신 창업 의지는 혁신 창업 교육의 성과에 상당히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혁신 창 업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정리하고 종합하는 것을 통해 맞춤형 개혁 조치를 제안 하고, 디자인학 전공 대학생의 혁신 창업 의지를 높이는 것은 본 연구에서 달성해야 할 목표 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안후이성 대학 디자인학 전공의 혁신 창 업 교육 현황과 문제점 분석하고, 설문 조사로 수집된 대학 데이터를 바 탕으로 안후이성 대학 디자인전공 혁신 창업의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 인을 분석하여 결과를 얻어내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바꿀 조치를 제안한다. 본 연구는 여섯 장으로 나누어지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장은 서론 부분이다. 본 장에서는 중국의 고등교육, 특히 디자인학 교육이 취업에 직 면한 가혹한 도전에 대한 논술을 통해 본 연구의 목적을 제기한다. 즉, 중국 대학 디자인 학 전공의 혁신 창업 의지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연구한다. 그리고 연구 목적에 맞추어 구체적 문제를 제 기한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 영국, 한국의 대학 혁신 창업 교육 발전이 중국 대학에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가? 둘째, 혁신 창 업 교육을 펼치는 데 있어 중국 대학의 장단점은 무엇인가? 셋째, 중국 대학의 디자인학 전공 대학생들의 혁신 창업 의지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무엇인가? 넷째, 현재 중국 대학 디자인학 전공의 혁신 창업 교육에 존 재하는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본 연구의 이론적 의의와 현실적 의의 논술을 기초로 하여 연구의 사고 방향과 연구방법을 확정하였다. 즉 문헌 연구법, 비교 연구법, 설문 조사연구법, 단계적 회귀 분석법이다. 제2장은 혁신 창업 교육 문헌의 총론과 이론 배경이다. 본 장에서는 혁신 창업과 혁신 창업 교육의 개념을 제시하였으며 혁신 창업 교육 방 면의 문헌 총론을 통해 현재 중국의 혁신 창업 교육 연구 현황을 제시하 였다. 주요 국가의 혁신 창업 교육 발전사를 체계적으로 논술하고 미국, 영국, 한국의 혁신 창업 교육 발전사를 참고하여 중국 대학의 혁신 창업 교육 발전사를 결합해 외국 혁신 창업 교육 발전이 중국에 시사하는 바를 도출하였다. 제3장은 디자인학 전공의 혁신 창업 교육에 관한 내용이다. 본 장에서 는 중국 대학의 혁신 창업 교육과 디자인학 전공의 태동, 발전 과정 및 현황 정리를 통해 중국 디자인학 전공과 혁신 창업 교육의 관계를 분석 하고 혁신 창업 의지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학생의 자질, 교사 자질, 수업 품질, 정책 환경과 인프라를 제시하여 제4, 5장의 데이터 수집과 분 석을 위한 근거를 제공하였다. 제4장은 연구의 설계이다. 본 장에서는 혁신 창업 의자에 영향을 주 는 요인과 관련된 문헌 연구를 통해 혁신 창업 의지가 교사 자질, 학생 자질, 수업 품질, 정책 환경, 인프라 등 5가지 요인과 연관이 있음을 확 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조사 설문지를 설계하였다. 고등교육 발전 상 황, 혁신 창업 산업 발전 상황, 지역적 이점과 잠재력 등 요인을 근거로 하여 안후이성 4개 대학을 선정하였다: 안후이 대학교, 안후이 공과대학 교, 안후이 재경대학교, 안후이 공업 대학교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이 4개 대학교의 다지인학 재학생과 졸업생을 대상으로 하고 혁신 창업 의 지 방면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설문 조사 형식으로 조사를 진행하였다.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 SPSS24.0을 사용하여 수집된 샘플 데이터에 대 한 검증을 진행하였고, 크롬바흐 계수를 통해 타당성 검증을 시행하였고, 바틀렛 구형도를 통해 신뢰도를 검증을 시행하였다. 샘플 데이터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요인의 해석 변수가 권장값보다 커 각 항목의 데이터가 요인분석에 적합함을 증명하였다. 제5장은 연구결과이다. 본 장에서는 설문 조사로 회수한 데이터를 성별과 학년별로 구분하여 그룹화하여 차이를 살펴보았고, 샘플 데이터 로 성별과 학년별 대학생의 혁신 창조 의지 방면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 았다. 일차적, 이차적 데이터에 대해 관련성 분석을 실시하고, 각각의 변 수 간의 관계가 관련성 분석에서 지원을 얻으면 다음 단계의 검증을 진행할 수 있다. SPSS 24.0을 통해 샘플 데이터에 대한 단계적 회귀 분석을 진행한다. 얻어진 혁신 창업 의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의 5개 변수 중 수업 품질, 교사 자질과 인프라가 결과적으로 혁신 창업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게 되었고, 학생 자질과 정책 환경은 혁신 창업 의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6장은 결론과 제안이다. 본 장은 회귀 분석을 통해 결론을 얻었다. 학생들의 자질과 정책 환경이 혁신적인 창업 의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 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교사의 자질, 인프라, 교과과정의 품질이 혁신적인 창업 의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 으로 이 결론에 근거하여 디자인학 전공 혁신 창업 교육의 발전 방향을 예측하고 현재 디자인학 전공 혁신 창업 교육의 문제점을 열거하며 개선 가능한 의견을 제시하는 한편 미래 디자인학 전공 혁신 창업 교육의 장 기적인 발전에 대하여 개인의 의견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