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영성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심만섭 신한대학교 지식복지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71

        국문요약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영성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우리나라 사회복지실천 현장에 있어서 최근까지 인간의 행동과 정신에 대한 이해와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어 왔으나 영성(spirituality)에 대한 이해와 연구는 종교적인 부분으로 전락시켜 비과학적이며 객관적인 검증이 어렵다는 이유로 도외시되어 왔다. 다행히 최근 영성(spirituality)은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으로 인간의 다양한 초월경험과 신비한 종교체험, 직관능력을 아우르는 영적 경험들이 존중되고 있으며 이제 영성(spirituality)은 신학분야에서 뿐만 아니라 보건과 심리학, 정치 경제학, 경영학에 이르기 까지 매우 중요한 요소로 다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시설종사자들의 영성(spirituality)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변수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의 종속변수는 직무에 대한 만족도이며, 독립변수는 영성(spirituality)이며, 통제변인은 인구사회학적 특성이다. 연구방법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은 경기 북부지역 동두천, 양주 소재의 사회복지시설의 시설관리자와 일반사회복지시설종사자(사회복지사, 요양보호사, 생활지도사, 보육사, 간호조무사 포함) 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기존의 선행연구는 가톨릭 사회복지시설에 종사하는 가톨릭 수도사들과 가톨릭 수녀들을 대상으로 하여 특정 종교를 대상으로 한 연구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특정 종교를 초월하여 기독교 불교 및 비종교인이 운영하는 시설 및 시설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선행연구에서 계속 사용해온 영성 척도와 직무만족 척도를 사용하여 통제변수로 설정한 변수들을 투입하여 SPSS 분석을 통하여 영성이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석을 통해 나타난 연구의 주요 결과는 영성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종교인이 비종교인보다 영성의 정도와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왔으며 기독교가 불교보다 영성과 직무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왔다. 연구결과를 통해 보여주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실천현장에 “영성(spirituality)”의 이해와 개발 및 활용의 필요성이 검증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사회복지시설종사자들의 직무만족에 기여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셋째, 특정 종교에 국한하지 않고 비종교인까지 포함시켜 영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발전시켰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영성의 정도와 직무만족에 대한 측정을 자기기입식으로 하였으므로 긍정적 응답 오류의 가능성이 있으며, 선행연구 척도를 그대로 사용하여 직무만족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도 있는 변수들을 적절하게 통제하지 못한데 대한 오류의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클라이언트의 평가를 측정하지 못하고 사회복지시설종사자들의 판단을 기준으로 삼았으므로 클이언트의 평가에 대한 오류가 있을 수 있다 는 점이다. 본 연구의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전문교육 컬리큐럼과 사회복지시설종사자들 직무교육 과정에 기독교 영성훈련과정 도입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보수나 환경의 개선보다 더 시급한 것은 사회복지시설종사자들의 ‘영성’개발과 활용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이다. 셋째, 클라이언트를 위한 신체적 돌봄과 물질적 보조 및 심리치료서비스에만 안주할 것이 아니라 ‘영성’ 개발 및 활용을 위한 사회서비스 프로그램 개발과 활용이 필요하다. 넷째, 영성과 직무만족의 관계는 영성의 사회복지실천을 위하여 계속적인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주요어: 영성, 직무만족 Abstract Although the understanding and studies has been processed until now about the behavior and spirit of human beings in social welfare practical fields in South Korea, those of spirituality has been ignored because of non-scientific characteristics and the difficulty of objective tests of religious fields. Fortunately, spirituality is treated nowadays as very important element from theological field to psychology, political economics, and business administration, with regard to various transcendental and holy religious experience and intuition ability of human beings. This study is aimed to analyse the variables relationship to find out the influence on the job satisfaction of spirituality of social welfare center worker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structured questionnaires is used for collecting data and the subjects of the study is the managers and workers of social welfare centers located in Dongducheon and Yangju city of Northern Gyeonggi-Province. Existed literature is restricted in the specific religion by Catholic monks and nuns working at social welfare facilities operated by Catholic churches, but this study treats with the relationship of spirituality and job satisfaction of social welfare center workers indifferently with specific religion, included in Christians, Buddhists, and Atheists.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the higher the spirituality is,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is; the spirituality of religious people are higher than that of non-religious people; and, the spirituality of Christians is higher than that of Buddhists. Key words: Spirituality, Job satisfaction

      • 민간사회복지조직 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조직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임경옥 신한대학교 지식복지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민간사회복지조직의 효과성을 높이고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해 민간사회복지조직 구성원들의 조직시민행동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양자의 관계에서 조직신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기북부 D시에 근무하는 민간사회복지시설 종사자 25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조직시민행동과 조직유효성, 조직신뢰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연령과 직급이 높을수록 조직시민행동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유효성은 연령과 학력, 현재직책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조직신뢰에서도 연령과 직급이 높아짐에 따라 조직신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민간사회복지조직 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조직시민행동의 구성 요소 중 예의바른 행동과 참여적 행동이 조직유효성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민간사회복지조직 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이 조직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결과와 동일하게 예의바른 행동과 참여적 행동이 조직신뢰에 높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민간사회복지조직 구성원의 조직신뢰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정(+)적인 영향(=.754)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조직신뢰가 조직유효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민간사회복지조직 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이 조직신뢰를 매개로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두 번째 연구문제 결과에서 보듯이 조직시민행동의 하위변수중의 하나인 이타주의는 조직신뢰간의 분석이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어 진행하지 않았으며 그 외 양심적 행동, 정당한 행동, 예의바른 행동, 참여적 행동은 모두 민간사회복지조직의 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과 조직유효성의 관계에서 조직신뢰는 부분 매개의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민간사회복지조직 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과 조직유효성, 조직신뢰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게 나타나 구성원들이 조직에 대한 책임감과 관심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조직시민행동과 조직신뢰가 조직유효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조직시민행동과 조직유효성 관계에서도 조직신뢰가 부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민간사회복지조직 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과 조직유효성, 조직신뢰와 관련된 다양한 변수들을 함께 고려한 후속 연구를 통해 급변하는 민간사회복지조직의 효율적인 관리 및 운영 방안을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되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the member of private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nd improve the quality of service provided to clients, so try to the identify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verified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 trust betwee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e performed a survey of 250 people private social welfare workers who work at the Northern Gyeonggi D to achieve this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rganization trust result that ages and higher rank, more with high level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s showed that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age and education, current rank. Seco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the member of private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s analyzed that courtesy and civic virtue which is components of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is high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ir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the member of private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effect on organizational trust is analyzed that courtesy and civicvirtue, which showed a high effect on organizational trust. Fourth, the organizational trust of the member of privat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to be analyzed on a positive result (+) influence (= 0.754) analyzed the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howed that organizational trust has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ifth,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member of privat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via a organizational trust is second research question results shown, a altruism which is one of sub-variable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has not conduct to analysis as did not showed signigicant meaning in the analysis between organizational trust. but the other sub-variable of which courtesy and civic virtue, sportsmanship, conscientiousness both appeared to have the part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tru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mbers of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private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Through result of above, member of privat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rganizational trust who higher members were found to have high sense of responsibility and concern for the organization. In additi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organizational trust have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relation showed that organizations trust that the part-mediating effect. Therefore, The members of the privat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organization effectiveness, organizational trust concern a variety of variables through follow-up studies considering associated with rapidly changing privat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want to be proposed that it more specifically, how to operate the efficient management.

      • 가족탄력성이 노인의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윤석훈 신한대학교 지식복지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655

        현대 사회의 급격한 사회변동은 노인들이 과거에 비해 사회적 역할활동으로부터 조기 이탈이라 할 수 있는 은퇴 및 퇴직 등으로 사회적 지위와 역할 등에 보조적·주변적 역할 등을 담당하게 되었다. 노인의 사회적 역할은 성공적인 노화를 위한 핵심 요소로써 노인들의 지속적인 활동은 자아실현의 요인이며 나아가 삶의 질의 지표로도 이해할 수 있을 만큼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최근 사회적 활동의 참여정도와 노인의 생활만족도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활동이론의 패러다임과 함께 핵가족 시대의 고령화 사회에서 가족관계가 여전히 노인의 삶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가족탄력성의 위기상황과 역경에 대처하는 가족관계의 긍정적인 능력은 성공적인 역할수행을 위한 노년기 노인에게 가장 중요한 자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기북부지역의 노인여가시설을 이용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가족탄력성이 노인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그를 통하여 노인의 역할수행지원정책과 서비스를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북부에 거주하고 있는 65세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로 토대로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설문지를 분석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통계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인구사회학적특성과 가족탄력성, 가족 안과 밖에서의 역할수행을 확인하였다. 둘째, 상관관계 분석방법을 통하여 가족탄력성과 노인의 역할수행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변수간의 유의한 관계를 확인하였다. 셋째, 회귀분석방법을 이용하여 가족탄력성의 하위변수인 신념체계, 조직유형, 의사소통과정등이 가정내에서의 역할, 또는 가정밖에서의 역할 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으로 남녀 노인의 구성비는 남성49.7%, 여성 50.3%로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대는 70세-75세미만이 49.4%로 가장 많았으며 90세이상이 1.9%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은 중졸이 41.2%로 가장 많았으며 현재 혼인상태로 배우자와 동거가 67.3%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인여가시설방문은 주2회이상이 43.3%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상태는 보통이다 48.8%, 좋다가 38%로 나타나 연구대상자가 인식하는 스스로의 건강상태는 전반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대상자의 가족탄력성 하위요인중 가족신념의 수준은 3.90( SD= .647) 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부하위요인중 가족통제감이 4.10(SD= .698)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조직유형의 수준은 3.43( SD= .522)로 세부하위요인중에는 융통성의 수준이 3.96(SD= .609)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의사소통의 수준은 3.56( SD= .461)로 세부하위요인중에는 상호협력적 해결수준이 3.74(SD= .608)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말하자면 연구대상자의 가족탄력성은 하위요인중 가족신념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다음으로 가족의사소통, 가족조직유형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대상자의 역할수행중 가정밖 역할수준이 3.68(SD= .610)로 가정내 역할수준 3.34 (SD= .689)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가족탄력성과 역할수행수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연령과 학력, 가족형태, 종교유무, 건강상태에 따라서 가족탄력성과 역할수행수준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연구대상자의 가족탄력성과 역할수행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가족탄력성의 신념체계와 의사소통수준이 높을수록 노인의 가정밖 역할수행수준이 높아지며 가족탄력성의 조직유형 수준이 높을수록 노인의 가정내 역할수행수준이 높아짐을 알수 있었다.. 여섯째, 연구대상자의 가족탄력성이 역할수행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족탄력성은 노인의 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름과 같이 연구결과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해보면, 첫째,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노년기가 연장됨에 따라 노년기에 속한 노인의 건강한 역할수행을 위하여 가족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노인의 가족탄력성과 역할수행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연구결과는 가족탄력성의 회복이나 향상을 지원함으로서 노인의 역할수행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노인의 가정밖 역할인 사회적 역할, 즉 은퇴 후 직업, 자원봉사활동 등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에 가족탄력성의 하위요인인 신념체계와 의사소통요인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내용을 포함시키고 노인부부 및 가족을 위한 역할, 즉 가정내 역할수행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에 가족탄력성의 하위요인인 가족조직유형요인을 향상시킬 수 잇는 내용을 포함함으로서 노인역할수행을 위한 효과적인 지원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노인의 가족탄력성이 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그중 가족탄력성의 의사소통요인이 노인의 역할수행에 보다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과 노인가족을 위한 지원서비스와 프로그램을 개발, 실시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평균수명의 연장과 더불어 노인세대가 증가함에 따라 노인과 노인가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노인세대층이 확대됨에 따라 노인의 욕구도 다양해지고 있으며 무엇보다 노인부부와 노인부모. 자녀관계 등 노인가족문제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노인가족을 위한 복지정책이 마련되어야 하며, 지역내 노인복지관, 종합사회복지관, 건강가정지원센터등이 연계하여 노인과 노인가족을 위한 통합적인 서비스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도적인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Abstract The Effect of Family Resilience on Elderly Role Performance Yun, SeokHun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Shinhan University The rapid social change of modern society has become a supplementary and peripheral role to the social status and role by retirement and retirement, which can be called early departure from social role activities compared to the past. The social role of the elderly is a key element for successful aging, and the importance of the continuing activity of the elderly is emphasized as a factor of self-realization and also an indicator of quality of life. In addition to the paradigm of activity theory,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involvement of social activities and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nd the family relationship still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in the nuclear family aging society. In addition, the positive ability of family relationships to deal with the crisis of family resilience and adversity is the most important resource for the elderly in order to fulfill a successful rol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family resilience on the performance of the elderly in the elderly using leisure facilities in the Gyeonggi area, I have left.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surveyed the elderly over 65 years old residing in Gyeonggi - do based on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as follows. First, using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e confirme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amily resilience, and role performance in and out of the family.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resilience and the role performance of the elderly was identifi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Third, using the regression analysis method, we examined the effect of the sub - variables of family resilience, such as belief system, organizational type, and communication process, on the role in the home or outside the home. The results of the abov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composition ratio of male and female elderly was similar to that of male (49.7%) and female (50.3%). In addition, 49.4% of the aged 70 to 75 years old were the most, while those aged 90 and over were the lowest at 1.9%. The most educated were 41.2% of middle school graduates and 67.3% of them were living with their spouses. In addition, visits to the elderly leisure facilities were twice as many as twice a week (43.3%), and their health status was usually 48.8% and good 38%. Second, the level of family belief among the sub-factors of family resilience of the subjects was 3.90 (SD = .647) (SD = .698) was the highest among the sub-factors. The level of family organization type was 3.43 (SD = .522). Among the sub-factors, the level of flexibility was 3.96 (SD = .609). The level of communication was 3.56 (SD = .461). Among the sub-factors, the level of mutual cooperation was 3.74 (SD = .608). In other words, the family resilience of the subject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family belief among the sub factors, followed by family communication, family organization type. SD = .610), which is higher than the in-home role level of 3.34 (SD = .689).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family resilience and rol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and family resilience and role according to age and education, family type, religion,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vel. Fifth,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resilience and role performance of the subjec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higher the belief system and communication level of family elasticity, In the home. Six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family resilience on the level of role performance. The results showed that family resilience influenced the role performance of the elder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as the elderly age is extended due to the extension of the life expectancy, it can be seen that the role of the family is important for the healthy role of the elderly in the old age. Secon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elderly 's family resilience and role performance, which can improve the elderly' s role performance by supporting the recovery or improvement of family resilience. Third, the program to support the social role of the elderly, such as retirement, job, and volunteer activities, includes the contents that can improve the belief system and communication factors, which are sub - factors of family resilience, The role for the family, that is, the program to support the role in the home, can include the contents that can improve the factor of the family organization type which is the sub-factor of family resilience in the program Fourth, family resilience of elderly affects role performance. Among them, communication factors of family resilience have more influence on role performance of elderly peopl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e program. Fifth, as the elderly generation increases with the increase in the average life expectancy, the elderly and the elderly family are increasing their interest. As elderly households are expanded, the needs of elderly people are becoming more diverse. The problem of the elderly family including the child relationship is also increasing. At this point, welfare policies should be prepared for the elderly family, and institutional measures should be provided so that the elderly welfare center, comprehensive social welfare center, .

      • 재한 몽골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질적 연구 :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박순옥 신한대학교 지식복지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는 몽골 유학생의 대학생활 경험에 관한 연구로 대학생활에서 겪고 있는 여러 가지 어려움과 대처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그 어려움과 대처방법을 탐색하여 향후 대학생활 적응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연구는 경기북부 지역에 위치한 대학원에 재학 중인 몽골인 유학생 12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하였고, 현상학적 자료 분석 방법 중 국내 논문에 소개되어 있는 Colaizzi의 분석 방법을 선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는 ‘알 수 없는 환경 : 고독한 유학생활’, ‘환영과 친절한 대학원 생활’, ‘유학생활의 만족과 기대’, ‘글로벌 세상과 함께 ’의 4가지 영역이 도출되었다. 몽골유학생은 중국유학생을 포함한 외국 유학생들과 유사한 학업적, 경제적, 심리적, 사회문화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어려움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주변의 도움을 받거나 문제 해결을 위한 적극적 노력 혹은 종교단체로부터의 도움을 받고 있었다. 몽골 유학생들은 유학생활을 통해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하여 졸업 후 사회적인 지위를 보장 받거나 대부분 몽골로 돌아가 전문 분야에서 일하기를 희망하였고 사회적으로 유학생을 위한 제도적 개편을 가장 많이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학생에 대한 연구로 몽골 유학생의 대학생활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로써 몽골 유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 향상을 위한 실질적인 토대가 되는 것에 그 의의를 두었다. A Study on the Mongolian students of the college experience, this study in university life is suffering from various difficulties and to learn about and the difficulties and responding method.Navigate through the measures in the event of future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at can improve and aimed. The study is 12 foreign students attending graduate school located in northern Mongolia, Gyeonggi-do, Korea, in-depth interviews with the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s of data.Introduced in article I selected the analysis of the colaizzi. Studies show that, in this work ‘an unknown environment : a lonely life studying abroad’, ‘I extend a warm welcome and friendly school life’, ‘studying abroad life satisfaction and expectations’, global world and ‘With four areas of the ’ was derived. Mongolian students are similar to Chinese students for overseas studies, including academic, economic, psychological, sociocultural and appear that having a hard time.In order to meet the challenge is around the active efforts to resolve the problem for help or being helped from religious groups. Mongolian students professional knowledge through studying abroad and guaranteed social position or most of its area of expertise back to Mongolia after graduation to work.And socially for the students hope appears to be the most looking forward to the institutional reform. Mongolian students with A Study on the students of the college experience, this study as qualitative study on the Mongolian students for college life adaptation elevation of the real foundation.Put sense to the. Mongolian students, experience, college life. : juyongeo

      • 대학생의 노인장기요양보험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

        이희정 신한대학교 지식복지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6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analyze perception of university students on 10th year of implementation of elderly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students attending one of the Universities in Gyeong-gi Province. There is great significance for the university students on grasping the awareness of the elderly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as they will later become taxpayers and elderly supporters in the near future, and first-hand recipients in the distance future. In addition, the perception by the younger generation on the current social insurance system can be indirectly identified by asking them about their understanding on the elderly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survey results and suggestions. First of all, it was identified that there was higher number of university students who attended the elderly long-term care insurance related courses than who did not attend. The average time for the related classes was 5.61 hours, and more than half of the participants who did not attend the related classes responded that they would like to enrol if a such course on the elderly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is established. Most of the participants responded that their intent to engage in the field of elderly related field or elderly long-term care insurance related industry, is average after graduation. Not only there is demand on elderly long-term care insurance related courses by the university students, it is essential for the universities to provide professional training in order to engage young workforce in the elderly long-term care insurance business for increasing population of the elderly and desire for high quality services by the recipients. Secondly, the analysis of the perception on the elderly long-term care insurance by the university students showed a very low awareness at an average of 3.13 percent correct out of a total 11 questions. When the awareness by common nature, it was observed that there was a noticeable difference influenced by their eligibility by the age, major, or eligibility of elderly long-term insurance benefits. It was also observed that university students aged 22 or above were more aware of the elderly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than those under the age of 22, and students in the Social Welfare and Nursing departments were more aware of the insurance system than other departments. Furthermore,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with families receiving the elderly long-term care insurance have higher awareness regarding the insurance system. It is necessary to raise positive awareness of the elderly by gaining correct knowledge about the elderly before raising the awareness of the elderly long-term care insurance. Therefore, education and support are needed to develop correct knowledge. Third, in order to analyze the attitude of the university students towards elderly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six questions were given and the responds were positive by more than half of the participants. The result on analysis of the attitud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higher positive attitude by female students than male students and better attitude was observed as the age was lower. Also, the attitude of Social Welfare and Nursing students were better than attitude of other department students. When they responded that their ability is lower compared to the desire level on elderly long-term care insurance network related education and employment intention, it was revealed that there was higher willing to engage in elderly related field and elderly long-term care insurance after graduation. If the education to build up the knowledge about the elderly is preceded the perception and attitude of the elderly will also improve. If this happens, there will be proactive participation by the university students on elderly related volunteering activities and they will obtain understanding and positive awareness towards elderly by gaining quality experience via these volunteering activities which they could not learn in theoretical training. Finally, the perception of elderly long-term care insurance, which is a policy to support for the elderly and their dependents, will also be improved. 본 연구는 올해로 시행 10년차를 맞이하는 노인장기요양보험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을 파악 및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1개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대학생들은 가까운 미래에 납세자 및 노인 부양자, 먼 미래에는 직접적인 수급자가 될 입장으로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는데 큰 의미가 있다. 또한, 이들에게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관한 인식을 물음으로서 젊은 세대가 우리나라의 현행 사회보험제도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 지를 간접적으로도 파악할 수 있다. 조사 결과를 요약하고 조사 결과에 대한 제언을 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관련 교육 수혜 현황은 관련 수업을 수강한 적 있는 학생이 없는 학생보다 많았다. 관련 수업시간은 평균 5.61시간이었으며, 관련 수업을 수강하지 않았던 응답자의 절반 이상은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관련 과목이 개설된다면 수강신청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졸업 후 노인 및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관련 업무에 대한 취업 의도를 파악한 결과 대부분의 응답자가 노인 및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관련 분야에 종사할 의사가 보통이라고 대답했다. 대학생들의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관련 수업에 대한 수요가 있을 뿐만 아니라, 노인 인구의 증가와 서비스 수요자의 높은 질의 서비스 수혜 욕구에 따라 노인장기요양보험 관련 업무에 젊은 인력을 투입시키기 위해서는 교육을 담당하는 대학의 전문적인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 둘째, 대학생의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대한 인지도를 분석한 결과, 총 11개의 문제 중 평균 3.13개의 정답률로 매우 낮은 인지도를 보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지도를 분석했을 때, 연령, 전공학과, 주위의 노인장기요양보험 혜택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2세 미만의 연령보다 22세 이상 연령의 대학생들이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대한 인지도가 높았으며, 사회복지학과와 간호학과 소속의 학생들이 타학과보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대한 인지도가 높았다. 또한, 주위에 노인장기요양보험 혜택을 받는 가족이 있는 학생들의 관련 인지도가 높다는 결과가 나왔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관련 교육 수혜 및 취업 의도에 따른 인지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관련 수업 경험이 있는 경우와 노인장기요양 관련 취업분야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응답한 경우, 졸업 후 노인 관련 분야에 종사할 의향이 있는 경우와 졸업 후 노인장기요양관련 분야에 종사할 의향이 있는 경우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단순 노인장기요양보험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전에 노인 전반에 대한 바른 지식을 쌓음으로써 노인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높여야 한다. 따라서 바른 지식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교육 및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대학생의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대한 태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6가지 항목을 질문하였는데 절반 이상의 응답자가 긍정적으로 반응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태도를 분석한 결과, 남학생 보다 여학생의 태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이 낮을수록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대한 태도가 좋았다. 또한 사회복지, 간호학과에 재학생의 태도가 타학과 재학생의 태도보다 좋았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관련 교육 수혜 및 취업 의도에 따른 태도는 노인장기요양 분야의 요구 수준과 비교할 때 본인 능력의 수준이 낮다고 응답한 경우, 졸업 후 노인 관련 분야 및 노인장기요양 관련 분야에 종사할 의향이 있는 경우에 높게 나타났다. 노인에 대한 지식을 쌓을 수 있는 교육이 선행된다면 노인에 대한 인식 및 태도 또한 좋아질 것이다. 그렇게 된다면 노인관련 자원봉사 활동 또한 대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있을 것이며, 봉사활동을 통하여 이론 교육에서는 배울 수 없었던 양질의 경험을 쌓게 되어 노인에 대한 이해와 긍정적인 인식을 갖게 될 것이다. 최종적으로는 노인 및 그들의 보호자를 위한 정책적인 지원인 노인장기요양보험에 대한 인식 또한 좋아질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 시설 노숙인의 재입소에 관한 경험 연구 : 사회적지지기반을 중심으로

        김형우 신한대학교 지식복지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는 노숙인 생활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노숙인 중 탈 노숙 및 사회북귀 후 사회복귀를 유지하지 못하고 시설의 재입소 한 경험이 있는 이들을 대상으로 탈 노숙 및 사회복귀를 성공할 수 있었던 경로를 파악하고 분석하여 노숙인들이 탈 노숙 및 사회복귀를 함으로써 안정적인 사회복귀 유지와 지역사회로의 적응을 위한 방향과 과제를 제시한다. 이를 통해 탈 노숙 및 사회복귀에 성공한 노숙인의 욕구와 문제를 파악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방안과 정책 활용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 참여할 노숙인들을 선정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적절한 참여자를 규명할 수 있는 연구참여자 선정 준거를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도출하였다. 이후 도출된 선정 준거에 따라 6명의 노숙인들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각 참여자들의 생활시설 최초 입소의 상황이 모두 다르지만 모든 연구참여자들이 노숙인으로 전락하게 된 가장 도드라지는 공통점으로 사회적 외면과 지지 부족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로 선정된 연구참여자들의 경우 이미 중년 이후의 나이대를 형성하고 있으며, 노숙인이 된 시기가 80~90년대에 우리나라의 복지체계와 지원이 미흡한 상황이기에 초기 입소 상황에서 사회적 외면과 지원의 부족이 두드러진 경향을 나타낸다고 보여진다. 또한 그 당시 사회적 분위기는 복지에 대한 관심보다는 모두가 힘든 시기에 경제 발전을 목적으로 발전에 집중하는 시기이기에 오히려 소외되고 도움이 필요한 이들이 쓰러져가는 것을 외면한 시기였다고 사료된다. 이러한 사회적 외면, 소외됨, 가족 지지체계의 부재 등이 ‘노숙인’들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며, 이는 통틀어서 사회적 지지체계가 결여되기에 나타나는 부분이라고 본다. 사람은 ‘사회적 동물’이며 혼자 살아갈 수 없는 생물이기에 흔들리고 무너질 때 곁을 지켜줄 누군가가 필요하다. 이는 우리 모두가 알 듯이 직접적 영향이 아니더라도 옆에 있어주는 것만으로도 힘이 되는 것을 알 것이다. ‘노숙인’들은 이러한 누군가의 존재가 부족하였고 이는 이 시대를 함께 살아가는 우리 모두의 책임이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nd analyze the path of homeless escape from homelessness and stable social return among homeless welfare facility users, present directions and tasks for continuous social settlement of homelessness and social return homelessness, and seek effective service construction and policy utilization. In order to select homeless people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the criteria for selecting research participants that can identify appropriate participants were derived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After that, six homeless people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study according to the derived selection criteria. Although the situation of each participant's initial admission to living facilities is different, it is considered that social neglect and lack of support are the most prominent common things that all study participants have become homeless. The study participants selected as subjects of this study are already forming an age group after middle age, and the lack of social neglect and support tends to be remarkable in the early admission situation as Korea's welfare system and support are insufficient in the 80s and 90s. In addition, it is believed that the social atmosphere at that time was a time when everyone focused on development for the purpose of economic development rather than interest in welfare, so it was a time when those who were alienated and in need were turning a blind eye to collapse. This social neglect, alienation, and the absence of a family support system are common phenomena among "the homeless," which are considered to be due to the lack of a social support system. People are "social animals" and cannot live alone, so they need someone to stand by when they are shaken and collapsed. As we all know, even if it is not a direct effect, just being around is helpful. The "homeless" lacked the existence of someone like this, which is the responsibility of all of us living together in this era. Rather than stigmatizing and avoiding someone, I wonder if they would have been able to lead their own lives without becoming homeless simply by being there.

      • 지체장애인의 여가생활 참여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김연산 신한대학교 지식복지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655

        We are faced with many odstacles to living in modern society. Such physical and mental disadility dreaks down the happiness of individual through stress, and largely hinders social development by becoming a factor that hinders the organic flow of society. Recently, korea has been trying har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has been making efforts to systematically ensure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disadilities. Leisure activities for disabled people are not simply for enjoying random time but for enhancing the happiness of human beings. Leisure activities include physical effects that improve physical fitness and athletic ability, as well as the rules to be followed by oneself And to recognize the existence of others and to improve the social personality .Interest in human happiness began to appear not only for the general public also had a profound effect on policy changes. The perspective to the viewpoint of disability to the systemic development of various social welfare policies promoted since 1980s, and the change of our society due to the seizure of society as a disadvantage and effor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living as disabled people Changes in life due to disability have a profound impact not only on people with disabilities but also on people around them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was considered to be a forbidden area that was not easily accessible to people with disadilities because it was regarded as the exclusive property of ordinary people. However, due to social maturity, due to social maturity,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came to the disabled with natural phenomenon. This manuscript was made with the help of the Northern people with Disabilities Association.(The Association of Seniors with Disabilities, Dongducheon General Welfare Center, Yeoncheon Visually Impaired Persons Association)The surver period started in early January 2018 and lasted until the of May 2018. Leisure can be viewed as a good way to improve the quality of mental health, which is deteriorating. ln addition, the hact that daily discrimination frequently occurs suggests that self-reliance of the mentally retarded oneself becomes very difficult and life will fall down in despair. However, the change of thinking about the handicapped, created by the will of the lower part and the social maturity, was a factor that surpasses the various constraints that preceded us and gave us a bridge to reach the happy welfare that everyone can dream of. This manuscript further reinforces the fact that mental health status due to mental retardation is improving with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es. “I feel depressed and unhappy(57.2%), (51.4percent)answered that they were office(60.8percent), while 50.4 percent said their life was desperate(55.6 percent) And 54.8%). However, they are trying to see their future as hopeful(50.8%), trying diligently to devote themselves to work(60.8%), and to live with others smoothly(63.2%). there are many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who have positive mental health(66.4%) who have close love and warmth and affection. The economic burden, the physicaal limit, is a barrier that can be overcome, but if there is willingness to change, the wall can become a bridge. This is the result of continuous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The percentage of being able to concentrate on what theyb are doing is increasing from 17.6% to 20%, and the answer that the worry is that there is a lot of mistakes in sleep 12.4% To 10%, and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who answeted that they are useful in many ways also imoroved from 10.6% to 16% Mental health refers to the ability of an indivibual to cope with everyday stress, anxiety, and conflict that comes from his or her life and achieve happiness. This manuscript is designed to develop various kings of stress, anxiety, and conflicts that come from his/her life through particies, to develop his/her own qualities constantly, to improve self-esteem through relationships with various people, I wes able to get a sense of accomplishment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는 수많은 장애를 만나게 된다. 이러한 신체적, 정신적으로 발생된 장애는 스트레스를 통해 작게는 개인의 행복을 깨트리고, 크게는 사회의 유기적 흐름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어 사회적 발전을 가로막기도 한다. 최근 우리나라는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을 구현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하고 있고, 장애인들의 인권을 체계적으로 보장하기 위해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장애인에게 있어서 여가활동은 단순히 임의의 시간을 즐기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행복감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감당하고 있다. 여가활동은 장애인으로 하여금 체력 및 운동능력을 향상시키는 신체적 효과와 더불어 자신이 지켜야 할 규칙과 타인의 존재를 인식하는 등의 사회적 성격을 향상시키는데 있어 도움을 준다고 할 수 있다. 인간의 행복에 대한 관심은 일반인뿐만 아니라 장애인에게도 지속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했고, 이러한 관심은 정책의 변화에도 깊은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장애를 바라보는 변화된 우리 사회의 시선은 1980년대 후반부터 추진된 다양한 사회복지정책의 체계적 발전과 사회적 불이익으로 여겨지는 장애와 장애인으로 살아가는 장애인들의 노력과 어우러져 우리 사회에 많은 변화를 주었다. 장애로 인한 삶의 변화는 장애인 자신뿐 아니라 주변 사람들에게도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 그런데 여가활동 참여는 주로 일반인들의 전유물처럼 여겨지며 장애인에게는 쉽게 참여할 수 없는 금단의 영역으로 여겨졌다. 그런데 사회적 성숙으로 인해 여가 생활 참여는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장애인에게 다가왔다. 본고는 경기북부 지체장애인 협회의 도움을 받아 이루어졌다. (의정부지체장애인 협회, 동두천종합복지관, 연천시각장애인협회 등) 조사기간은 2018년 1월초에 시작하여 2018년 5월말까지 이루어졌다. 여가는 저하된 정신건강의 질을 높이는 좋은 방법으로 볼 수 있다. 더구나 일상적인 차별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현실로 미루어 볼 때 지제장애인 스스로의 자립은 매우 어려워지고 나아가 삶은 절망 속에서 무너지게 될 것이다. 그러나 정부의 의지와 사회적 성숙으로 조성된 장애인을 바라보는 사고의 변화는 우리 앞에 놓인 여러가지 제약을 뛰어넘는 요인이 되어 모두가 꿈꿀 수 있는 행복한 복지에 다가갈 수 있는 다리를 놓아 주었다. 본고를 통해 지체장애로 인한 정신적인 건강상태가 여가생활 참여를 통해 호전되고 있다는 사실을 더욱 확고히 깨닫게 되었다. “우울과 불행함을 느낀다.(57.2%)고 답한 비율이 높고, 이로 인해 자신감이 없어졌다고 느낀 적(51.4%)도 답한 비율도 과반이 넘었다. 외출은 일반적으로 하고 있지만(60.8%) 인생이 절망적이라고 답한 비율(50.4%)도 높았다. 또한 신경 쓰일 만큼 힘들고 (55.6%), 잠을 잘 못 이루고(54.8%) 있다. 그렇지만 자신의 미래를 희망적(50.8%)으로 보려하고, 부지런히 일에 전념하려하고 있으며(60.8%) 다른 사람과도 원만히 지내려(63.2%) 하고 있다. 자신의 일에 애정을 가지고 (56%), 가까운 사람과도 따뜻함과 애정을 가지고 (66.4%) 하며 다른 사람과 원만히 지내려(63.2%) 노력하고 있는 긍정적인 정신건강을 소유한 지체장애인이 많다.” 여가 생활의 제약요소인 경제적 부담, 신체적 한계는 얼마든지 극복할 수 있는 는 벽이다. 그러나 변화하려는 의지가 있다면 벽은 다리가 될 수 있다. 이는 여가 생활을 지속적으로 참여한 후의 결과가 대변하고 있다. 여가생활 참여 후에 점점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생활태도로 바뀌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고 있는 일에 잘 집중할 수 있다는 비중이 17.6%에서 20%로 향상되었고, 걱정 때문에 잠을 잘 못 잔적이 많다는 응답이 12.4%에서 10%로 줄었고, 자신이 여러 면에서 쓸모 있다고 답한 비율도 10.6%에서 16%로 향상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정신건강이란 개인이 자신의 삶에서 오는 일상적인 스트레스나 불안, 갈등 등에 대해서 잘 대처해 나가면서 심신이 편안한 상태로 사회 환경에 적응하고 독립적인 삶을 통해 생활에 만족하면서 행복을 이루어갈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본고는 지체장애인이 여가 생활참여를 통해 자신의 삶에서 오는 다양한 스트레스, 불안, 갈등을 뛰어넘고, 자신의 소질을 끊임없이 개발하고 다양한 사람들과의 관계를 통해 자신의 자존감을 향상시키며 나아가 도전의식과 성취감을 얻을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 사회복지사 재교육이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의정부시 사회복지시설을 중심으로

        현명진 신한대학교 지식복지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data that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and maintenance of social workers' professionalism by conducting a survey on the reality and desires of social workers' reeducation and studying the effect of retraining on job performance.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180 social workers working in the Uijeongbu area were surveyed for retraining, interest, and desir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orkers' reeducation and job performance was analyzed. The summary of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respondents had experience in reeducation, and the reason for not receiving reeducation was 'due to work overload'. Second, in terms of education contents, 'education on prevention of sexual harassment and assault', 'rights of the subject and guarantee of human rights, and prevention of abuse' appeared in that order. Third, as for the problems with retraining, ‘a sense of discrepancy between the contents of education and the field’ appeared the highest, followed by ‘work burden due to long-time absence’. Fourth, most of the respondents thought that reeducation was helpful to their work ability, and satisfaction with reeducation was found to be higher with online education through PC and mobile than one-way educat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revitalization plan for the reeducation program to improve the job performance of social workers is presented as follows. First, interest in reeducation was classified into individuals and facilities. Most of the individual interest was high, and most of the survey subjects were aware of the need for retraining, but it was found that the delivery of educational information was not smooth, such as not knowing specific information about reeducation other than refresher education provided outside the facility. As an alternative to this problem, the main organization providing the reeducation program should promote the information of the reeducation program planned every year using various media that social welfare workers can easily receive. Second, as for the desire for education instructors that are considered the most appropriate, 'practicing person' was found to be the most appropriate in 12 out of 13 areas. Among them, 'Community Protection, Community Organization and Movement, and Network' were found to be the most desired with 76% of them, the most wanting to activate the network with practition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onditions for social workers to receive reeducation by establishing a facility-level support system and introducing an incentive system in order to share field cases and form a network among practitioners between facilities and regions. Third, since most of the survey subject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type of online education, it was found that the preference for online education, which guarantees the autonomy of the subjects of education, is higher than that of traditional collective education. Rather than viewing this as a temporary phenomenon caused by the corona pandemic,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online education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times and generations. Fourth, Uijeongbu City, as an administrative city in northern Gyeonggi Province, should increase the proportion of the education budget fo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social worker retraining program in the social welfare budget to serve as a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social worker retraining programs suitable for the local environment. Fifth, social welfare-related associations and organizations should create an institutional device to maintain the professionalism of social workers by installing a committee in charge of retraining. Sixth, institutions that implement reeducation should identify the needs of social workers receiving education, select the subjects and contents of education, and make efforts to raise the level of reeducation by conducting surveys after the education is over. 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desire and satisfaction for online educ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face-to-face education, such as seminars and workshops, which were emphasized in previous studies. You should be able to provide an opportunity.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재교육 실태와 욕구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고 재교육이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함으로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향상, 그리고 유지에 이바지할 수 있는 자료를 제언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의정부지역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 180명을 대상으로 재교육의 실태와 관심도, 욕구를 파악하고, 사회복지사의 재교육과 직무수행과의 관계가 어떠한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 중 대부분 사회복지사들이 재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었으며 재교육을 받지 못한 가장 많은 이유로는 ‘업무 과중으로 인해서’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내용으로는 ‘성희롱 및 성폭행 예방 교육’, ‘대상자 권리 및 인권보장, 학대 피해 예방’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재교육에 내용에 대한 문제점은 ‘교육내용의 현장과의 괴리감’ 이 가장 높았으며, 그다음으로는 ‘장시간의 부재로 인한 업무부담’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사대상자의 대부분이 재교육에 참여하는 것이 업무 능력에 도움이 된다고 하였으며, 재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일방적 전달식의 교육보다는 PC와 모바일을 통한 온라인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사의 직무수행을 향상하게 시키기 위한 재교육의 활성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재교육 관심도에 대해 개인과 시설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개인적 관심은 대부분 높게 나타났고 조사대상자 대다수가 재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나 시설 외부에서 제공되는 보수교육 이외의 재교육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잘 모르는 등 교육 정보의 전달이 원활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의 대안으로 재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주체 기관은 매년 기획하는 재교육프로그램의 정보를 사회복지사들이 쉽게 전달받을 수 있는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홍보를 진행해야 할 것이다. 둘째,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교육 강사에 대한 욕구는 13개 분야 중 12개 분야에서 ‘실무자’가 가장 적절하다고 나타났다. 그중에서도 ‘지역사회 보호, 지역사회조직 및 운동, 네트워크’ 분야가 76%로 실무자와의 네트워크 활성화를 가장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시설 간, 지역 간 실무자들이 현장의 케이스를 공유하고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하여 시설 차원의 지원제도 구축 및 인센티브 제도를 도입하여 사회복지사가 재교육을 받을 수 있는 여건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조사대상자의 대부분이 온라인교육 유형에 대하여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보아 전통적인 집체 형태의 교육보다 교육대상자의 자율성을 보장하는 온라인교육의 선호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코로나 펜데믹으로 인한 일시적 현상으로 보기보다는 시대적, 세대적 요구에 따른 온라인교육의 비중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의정부시는 경기 북부 행정 중심의 도시로써 지역 환경에 맞는 사회복지사 재교육프로그램 개발의 모델의 역할을 위해 사회복지 예산 중 사회복지사 재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시행을 위한 교육예산의 비중을 높여야 할 것이다. 다섯째, 사회복지 관련 협회나 단체에서는 재교육을 담당하는 위원회 등을 설치하여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을 유지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이다. 여섯째, 재교육을 시행하는 기관에서는 교육을 받는 사회복지사의 욕구를 파악하여 교육 주체와 내용을 선정하고, 교육이 끝난 이후에는 반드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재교육의 수준을 높이는 등의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기존 연구에서 강조되던 세미나 및 워크숍과 같이 직접 교육에 참여하는 대면 교육보다는 온라인교육에 대한 욕구와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사회복지 분야에 대한 실질적이고 지속적인 재교육프로그램 참여의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 직업군인 아버지의 양육태도가 유아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 경기도 군직장 어린이집 유아대상

        이미성 신한대학교 지식복지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655

        Abstract A Study on the Influences on Infants Empathy by Parenting Attitude of Their Fathers Who are Professional Officers and NCOs (Focusing on infants in military nursery school in Gyeonggi-do) Lee Mi Seong Major in Social Welfare Dept. of Social Welfare The Graduate School of Knowledge and Social Welfare Shinha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parenting attitude of soldier fathers living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in which the empathy counts influences child's empathy. This study aims to encourage to have proper parenting attitude and recognize importance of parents role when the soldier fathers with their children perform their roles, especially as their children has developed empathy. In addition, it aims to provide basic data that childcare centers in the military camp make use of for parent education and counseling. The research problems are as listed below. Question 1. How’s the parenting attitude depending on background variables of soldier father such as age, academic background, employment history, duty hours per day, number of transfer, branch and rank? Question 2. 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soldier father’s parenting attitude and child's empathy? Question 3. How’s the influence of soldier father’s parenting attitude on child's empathy? The survey was carried out with 250 soldier fathers who rear children aged 3-5 attending 7 childcare centers in the military camps located in Gyeonggi-do Province. In addition, ‘Father’s Child-rearing Attitude Questionnaire’ by Kim Eun-hee(1996) and Hwang Sun-myung(1997) that revised and completed Schaefer(1959)’s MBRI(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accordingly with the father’s parenting attitude is used as a testing tool to assess father’s parenting attitude. Also, Tools of Measuring Empathy Ability translated, revised and completed by Park Seong-hee(1997) is used to assess the child's empathy. With IRI (Interpersonal Reaction Index) test and Index of Empath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by Bryant(1982), the empathy rating scale has 4 sub-scales such as Perspective-taking, Imagination, Empathic Arousal and Empathic Concern and consists of 30 questionnaires.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through SPSS 18.0 with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one-way ANOVA and Bonferroni method to analyze the data.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oldier father‘s parenting attitude depending on their background variables such as age, academic background, employment history, duty hours per day, number of transfer and branch. However, the parenting attitude depending on branch and rank, especially rejecting attitude and entire parenting attitude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ntire parenting attitude, the sergeant first class showed highest, most positive parenting attitude while the sergeant major showed lowest parenting attitude generally.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ldier father’s parenting attitude and child's empathy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Father’s affectionate attitude and autonomous attitude hav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erspective-taking, Imagination, Empathic Concern and the whole. In addition, the rejecting attitude has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Empathic Arousal, Empathic Concern and the whole. Such results indicates that soldier father’s affectionate, rejecting attitude and entire sub-scales of child's empathy have significant relation. In other words, the child's empathy can be positively and negatively influenced depending on soldier father’s parenting attitude. Therefore, the soldier father should pay attention to various parenting attitudes that match with personality of their child and development. Since the affectionate attitude which is a sub-scale of soldier father’s parenting attitude has positive impact on child's empathy, it’s important to have affectionate attitude. On the contrary, the rejecting attitude shows that it’s appropriate to accept and be moderate depending on situation. Third, the soldier father’s parenting attitude affects child's empathy. When classifying the soldier father’s attitude into sub-scale, the child’s empathy is affected by affectionate attitude, autonomous attitude, controling attitude, rejecting attitude in order. Especially, the father’s affectionate attitude and rejecting attitude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child's empathy in Imagination, Empathic Arousal and Empathic Concern while the affectionate attitude, autonomous attitude and rejecting attitude in Perspective-taking has significant relation. Such results accord with preceding research(Moon Yeon-sim, 2004: Shin Gun-ho, 2004: Um Jeong-suk, 2000: Choi Su-rang, 2002: Baumrind, 1991: Murray, 1996) as the soldier father rearing and communication affect child's empathy development. Therefore, the child's empathy development is affected by the soldier father’s parenting attitude and also, it has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child’s problem-solving skills. The children were aged from 3 to 5 and also, the survey was carried out only targeting soldier fathers who send their children to the childcare centers in the ROK military camp. Therefore, it’s difficult to generalize research results. Also, the father’s opinions on their child's empathy were collected and thus, the research results can be different by father’s observation skills and their understanding in the questionnaires. Despite of such limitations, the survey was successfully conducted with soldier fathers and their children. The research findings showed that child's empathy differed by the soldier father’s parenting attitude and also, affectionate and rejecting attitude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b-scales of child's empathy, making positive or negative influence. Among the background scal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nk and branch and thus, the military camps should pay more careful attention and support with advisories in order to provide parent education and program based on the instruction of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so that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kindergarten or daycare centers offer education for fathers and at home. Also, it’s essential to recognize necessity of various studies targeting the soldier fathers and their children. In addition, it’s required to promote their welfare so that Military Social Welfare Association and soldier fathers can play a role as parent who influence their child’s empathy. Therefore, it’s necessary to add new budget item for the welfare in the national defense budget and also, establish legal system to improve welfare in the army society. 국문요약  직업군인 아버지의 양육태도가 유아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기도 군직장 어린이집 유아대상) 본 연구에서는 공감이라는 키워드가 중요시 되고 있으며 현재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살고 있는 직업군인 아버지의 양육태도가 유아 공감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로 인해 유아기 자녀를 둔 직업군인 아버지가 역할을 수행함에 있어서 유아 공감능력을 발달시키는 결정적인 시기에 올바른 양육태도를 갖고, 부모의 역할에 있어서 중요성을 인식시키고자 한다. 또한, 군부대 직장어린이집 기관에서 부모교육 및 상담에 사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연구 목적이 있다. 다음은 본 연구를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이다. 연구문제 1. 직업군인 아버지의 배경변인(연령, 학력, 근무경력, 근무시간(하루), 근무이동횟수, 병과, 계급)에 따른 양육태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직업군인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유아 공감능력 간의 관계는 어떠한 가? 연구문제 3. 직업군인 아버지의 양육태도가 유아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 떠한가?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의 군부대직장어린이집 7곳에 재원하고 있는 만 3, 4, 5세 유아의 직업군인 아버지 2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아버지의 양육태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검사도구로는 Schaefer(1959)의 MBRI(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로 사용하여 아버지의 양육태도에 맞게 수정, 보완한 김은희(1996), 황선명(1997)의 ‘아버지의 양육태도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유아 공감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박성희(1997)가 번안하고 수정, 보완한 공감 능력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Davis(1980)의 IRI검사(Interpersonal Reaction Index) 및 Bryant(1982)의 정서공감척도(Index of Empath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이며, 공감능력 평정척도는 4가지의 하위척도 (조망취하기, 상상하기, 공감적 각성, 공감적 관심)로 구분하고 있으며 총 3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및 기술 통계분석, 일원분산분석, 본페로니 방법으로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이 이루어졌다.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군인 아버지의 배경변인(연령, 학력, 근무경력, 근무시간(하루), 근무이동횟수, 병과)에 따른 양육태도는 배경변인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병과와 계급에 따른 양육태도에서 거부적 태도와 전체 양육태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양육태도에서 중사 계급이 가장 높은 긍정적인 양육태도를 보인 반면 원사 계급이 전반적으로 가장 낮은 양육태도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군인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유아 공감능력 간의 관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다. 부의 애정적 태도와 자율적 태도에서는 유아 조망취하기, 상상하기, 공감적 관심, 전체와 유의한 정적상관으로 나타났다. 또한, 거부적 태도에서는 공감적 각성, 공감적 관심, 전체와 유의한 부적상관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 직업군인 아버지의 애정적, 거부적 태도와 유아 공감능력의 하위요인 전체에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업군인 아버지의 양육태도에 따라 유아 공감능력에 긍정적인 영향 및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직업군인 아버지가 유아의 성격과 발달 특성에 맞도록 여러 양육태도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 한다. 그 중 직업군인 아버지의 양육태도 하위요인인 애정적 태도는 유아 공감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애정적인 태도를 가지도록 하는 자세가 중요하다. 반면 거부적인 태도는 상황에 맞도록 적절히 수용하고 절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직업군인 아버지의 양육태도는 유아 공감능력에 영향을 미친다. 직업군인 아버지의 태도를 하위요인별로 분류하면, 애정적 태도, 자율적 태도, 통제적 태도, 거부적 태도 순으로 유아 공감능력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부의 양육태도가 유아 상상하기, 공감적 각성, 공감적 관심에서 애정적 태도와 거부적 태도가 유아 공감능력과 유의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조망 취하기에서는 애정적 태도, 자율적 태도, 거부적 태도가 유의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직업군인 아버지의 양육방법이나 의사소통 방법이 유아 공감능력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한다(문연심, 2004: 신건호, 2004: 엄정숙, 2000: 최수랑, 2002: Baumrind, 1991: Murray, 1996). 따라서 유아 공감능력 발달은 직업군인 아버지가 어떤 양육태도를 갖는지에 영향을 받으며, 유아의 문제해결능력의 발달에도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유아의 연령을 만 3, 4, 5세를 대상으로 해서 제한적이었고, 육군본부 군부대 직장어린이집에 재원하고 있는 직업군인 아버지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 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유아 공감능력에 대해 아버지의 견해를 응답 받은 것이므로 아버지의 관찰 능력이나, 설문문항에 대한 이해도에 따라 연구결과가 달라질 수 있는 한계점이 있다. 이처럼 여러 가지 한계점이 있었으나, 직업군인 아버지와 유아 자녀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라는 것에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로는 직업군인 아버지의 양육태도에 따라 유아 공감능력에 차이가 보이고, 애정적, 거부적 태도가 유아 공감능력의 하위요인에 유의한 차이가 있어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배경변인 중에서는 계급과 병과에 대한 유의한 차이가 보여 교육기관인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서 아버지 교육과 가정에서의 다양한 교육을 위해 군부대 직장어린이집의 부모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국방부 훈령에 의한 부모교육 및 프로그램을 마련할 수 있도록 권고사항과 지속적인 지원 및 군부대에서의 세심한 배려와 관심이 필요하다. 더불어 직업군인 아버지와 유아 자녀를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또한, 군 사회복지협회 등 군인아버지들이 유아공감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부모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복지적인 측면에서고 고려를 해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국방예산에서의 복지예산에 반영할 수 있는 항목을 신설하고 군 사회복지를 제도관에서 추진할 수 있는 구체적인 법적 제도화 마련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