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내 안경사의 업무역량 평가지표 개발을 위한 연구

        문제식 신한대학교 일반대학원(석사) 2024 국내석사

        RANK : 250655

        국내 안경사의 업무역량 평가지표 개발을 위한 연구 목적: 본 연구는 국내 안경원에서 근무하는 안경사의 업무역량을 평가하기 위한 새로운 평가지표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안경원 업계에서는 안경사의 업무역량을 구체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체계적인 지표나 기준이 부재하여 안경원의 인사관리 및 업무개선을 통한 경쟁력 향상에 어려움이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부재를 인식하고, 안경사의 전문성 향상 및 체계적 인 업무평가를 위한 기준을 마련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국내 안경원에서 근무하는 안경사 및 원장들을 대상으로 사전에 조사한 주요 업무 및 평가항목에 대한 설문조사와 통계분석을 통해 진행되었다. 연구 방법론에는 기존 업무역량 평가 방법의 분석과 새로운 평 가지표 개발이 포함되었으며, 총 203부의 응답을 통해 안경사들의 실제 업 무역량과 필요한 역량을 파악하였다. 데이터 분석은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 신뢰도 검사, 요인 분석, 독립표본 t-검정 및 분산분석 (ANOVA), 피어슨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 등의 통계 기법을 사용하였다. 또 한 최종 평가표 개발을 위한 항목별 평가 가점을 산출하여 적용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안경사의 다양한 업무(검안, 조제가공, 판매, 피팅, 고객응 대, 마케팅, 매장관리 등)에 대한 역량과 인성 및 주요 항목들에 대한 연관 성과 상관계등을 파악하였다. 또한 업무역량 평가와 인성평가의 가점 비중 은 5.12:4.88 이며 주요 평가항목에 대한 결과 값으로 항목별 가점을 적용하 여 최종 평가지표 개발에 반영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새로운 업무역량 평가지표는 안경원에서 근무 하는 안경사의 업무역량을 보다 객관적이고 표준화된 평가를 통해 보다 효 율적이고 체계적인 안경원 인사관리, 급여체계, 업무분장 등 안경원 운영에 있어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개발된 평가지표는 아직 초기 단계에 있으므로, 향후 지속적인 검증 및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 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new evaluation index to evaluate the work competency of opticians working in domestic optical shops. In the optician industry, there are no systematic indicators or standards that can specifically evaluate the work capabilities of opticians, making it difficult to improve competitiveness through personnel management and business improvement. This study recognizes this absence and seeks to establish standards for improving the expertise of optometrists and systematically evaluating their work.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survey and statistical analysis of major tasks and evaluation items surveyed in advance among opticians and directors working at domestic optical shops. The research methodology included analysis of existing work competency evaluation methods and development of new evaluation indicators, and the actual work competency and required competencies of optometrists were identified through a total of 203 responses. Data analysis used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test, factor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Additionally, additional evaluation points for each item were calculated and applied to develop the final evaluation table.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apabilities and personality of optometrists in various tasks (optometry, dispensing, sales, fitting, customer service, marketing, store management, etc.) and the relationships and correlations between major items were identified. In addition, the ratio of additional points between work competency evaluation and personality evaluation is 5.12:4.88, and additional points for each item were applied as the result of the main evaluation items and reflected in the development of the final evaluation index. Conclusion: The new work competency evaluation index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provides a more objective and standardized evaluation of the work competency of the opticians working in the optician's office, making it more effective and systematic in the operation of the optician's office, such as personnel management, salary system, and division of work. I hope it will be helpful. However, since the developed evaluation indicators are in their early stages, it is believed that continuous verification and improvement will be necessary in the future.

      • 이산화탄소 나노버블을 이용한 친환경 Carbon Eating Concrete(CEC) 제조 및 특성 분석

        나병찬 신한대학교 일반대학원(석사) 2024 국내석사

        RANK : 250655

        온실가스의 주원인으로 이산화탄소가 주목받기 시작하면서 이를 저감하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로드맵 및 관련 정책을 수립 및 추진하고 있다. 철 강, 석유화학산업과 함께 이산화탄소가 다량으로 배출되는 건설 분야에서는 콘 크리트의 주재료인 시멘트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가 배출 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효과적으로 저감 하고자 하였다. 그러 나 이는 일시적인 방안으로 이미 배출된 이산화탄소를 저감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더 나아가 능동적인 방안으로 콘크리트 탄산화 메커니즘을 활용하여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콘크리트 내부로 저장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콘크리트의 탄산화 양생 연구에서는 양생 챔버 내 가스 형태의 이산화탄소를 주입하여 탄산화 반응을 통해 콘크리트 내부로 영구히 저장시키는 연구가 주 를 이루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시간적, 공간적으로 제약이 있어 최근에는 양 생 과정이 아닌 배합 과정에서 이산화탄소가 용해된 배합수를 통해 콘크리트 를 제조하는 연구가 보고되었다. 일반적인 물에 이산화탄소를 용해시킬 경우 가압 시 최대 1,400mg/L의 이산화탄소가 용해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또한 감압 시 표면 밖으로 방출되어 콘크리트 배합수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압 력이 없는 조건에서 이산화탄소를 효율적으로 용해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 다. 나노버블은 200nm 이하의 직경을 지니는 버블로 높은 내부압력과 비표면 적으로 인해 독립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부상되지 않고 장기간 존재할 수 있는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기체 용해도를 증가시킬 수 있어 다양한 연구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나노버블을 이용해 수중에 이산화탄소를 용해 시켜 콘크리트 배합수로 활용하였으며, 친환경 Carbon Eating Concrete (CEC)를 제조하고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수중에 용해된 이산화탄소, 중탄산 이온, 탄산 이온이 모두 포함된 총무기탄소 농도를 분석하기 위해 다양한 분석 을 진행하였으며, 최적의 총무기탄소 농도 분석 방법을 도출하였다. 나노버블을 이용한 최적의 이산화탄소 용해 조건을 도출하기 위해 원수 유 량에 따른 회분식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실험 결과 최적의 조건은 원수 60L일 때, 이산화탄소 2L/min, 주입 시간 4시간으로 최대 2,244mg/L의 이산화탄소가 용해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최적의 총무기탄소 분석 방법으로 도출된 침전법을 통해 총무기탄소 농도를 분석한 결과 11,820mg/L로 확인되었으며, 일반수의 약 2.5배의 이산화탄소가 무기탄소 형태로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제조된 CEC의 압축강도 분석 결과 이산화탄소가 용해된 나노버블수는 일반 수(수돗물) 대비 24.06%의 압축강도가 증진되었으며, 이는 탄산화 반응으로부 터 생성된 탄산칼슘이 콘크리트의 미세 공극을 메꾸어 조직이 치밀해져 압축 강도가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열중량 분석 결과 이산화탄소 나노버블수로 제조한 시편의 수산화칼슘 함량은 8.71%로 가장 낮으며, 탄산칼슘 함량은 5.99%로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수중에 존재하는 많은 양의 이산 화탄소가 수산화칼슘과 활발한 탄산화 반응이 작용하여 탄산칼슘이 더 많이 생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나노버블을 이용해 수중에 이산화탄소를 용해한다면 압력이 없는 일반적인 조건에서 성공적으로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를 용해시킬 수 있으며, 이를 콘크리트 배합 과정에 적용할 경우 탄산화 반응에 의한 콘크 리트의 압축강도 증진과 더불어 이산화탄소를 친환경적으로 저장할 수 있어 탄소중립 실천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s carbon dioxide(CO2) begins increased attention as a primary contributor to greenhouse gas emissions, countries worldwide are formulating and implementing various roadmaps and policies to mitigate its impact. Along with the steel and petrochemical industries, large amounts of carbon dioxide are emitted during the manufacture of cement, the main material of concrete, and in this process, carbon dioxide is intended to be effectively reduced. However, since this is a temporary measure and there is a limit to reducing carbon dioxide already emitted, research is actively underway to store the captured carbon dioxide inside concrete using the concrete carbonation mechanism as a more active measure. In concrete carbonation curing research, gas-type carbon dioxide in the curing chamber is injected and permanently stored inside concrete through carbonation reaction. Due to time and space limitations, a study on manufacturing concrete through mixed water in which carbon dioxide is dissolved in the mixing process rather than the curing process has recently been reported. When carbon dioxide is dissolved in general water, it is known that up to 1,400 mg/L of carbon dioxide is dissolved under pressure. In order to be released out of the surface during decompression and used as concrete water, a technology capable of efficiently dissolving carbon dioxide is required. Nano bubble are bubbles with a diameter of less than 200nm and are applied to various research fields because they can exist for a long time without floating due to high internal pressure and specific surface area. In this study, carbon dioxide is dissolved in water using nano bubble and used as concrete water to manufacture eco-friendly carbon eating concrete(CEC) and analyze its characteristics. In addition, various analyse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overall total inorganic carbon concentration containing carbon dioxide, bicarbonate ions, and carbonate ions dissolved in water, and the optimal overall carbon concentration analysis method was derived. In order to derive optimal carbon dioxide dissolution conditions using nano bubble, a batch experiment was conducted according to raw water flow rate,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optimal conditions were 2L/min of carbon dioxide and up to 2,244mg/L of carbon dioxide dissolved in 4 hour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centration of total inorganic carbon through precipitation gravitational method from the optimal total inorganic carbon analysis method, it was confirmed that 11,820mg/L, and about 2.5 times more carbon dioxide than ordinary water exists in inorganic carbon form. As a result of the CEC compression strength analysis, carbon dioxide-dissolved nano bubble water is 24.06% higher than general water(tap water), which is judged to have increased compression strength as calcium carbonate formed from carbonation fills fine gaps in concrete. As a result of thermogravimetric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calcium hydroxide content of samples manufactured with carbon dioxide nano bubble water was the lowest at 8.71%, and the calcium carbonate content was the highest at 5.99%. It is judged that a large amount of carbon dioxide present in the water produced more calcium carbonate due to active carbonation reaction with calcium hydroxide. If carbon dioxide is dissolved in water using nano bubble, a large amount of carbon dioxide can be successfully dissolved under normal conditions without pressure, and if it is applied to the concrete mixing process, it can improve the compression strength of concrete by carbonation reaction and store carbon dioxide in an eco-friendly, contributing to the practice of carbon neutrality.

      • 감각통합 교육 실습 경험이 아동 작업치료사의 임상적응에 미치는 영향

        최하얀 신한대학교 일반대학원(석사) 2024 국내석사

        RANK : 250655

        감각통합 교육 실습 경험이 아동 작업치료사의 임상적응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임상에서 감각통합중재를 사용하는 아동 작업치료사의 감각통합 교육 실습 경험이 임상적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전국의 감각통합중재를 제공하는 기관에서 감각통합 중재 경력이 있는 아동 작업치료사 223명으로, 2023년 10월 9일부터 10월 3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7.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Cronbach's α 계수 산출, Pearson의 적률 상관 계수 산출,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상적응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최종 학력(F=6.562, p<.01), 근무기관(F=6.562, p<.05), 중재 경력(F=5.727, p<.001)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석사가 학사보다 임상적응 수준이 높았으며, 대체로 중재 경력이 높을수록 임상적응 수준이 높았다. 둘째, 실습 경험 여부에 따른 임상적응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먼저 실습 경험 여부에 따라 임상적응 차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t=4.264, p<.001), 실습 경험이 있는 집단이 경험이 없는 집단보다 임상적응 수준이 더 높았다. 현장실습 경험 여부에 따라서도 임상적응 차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t=3.477, p<.001), 현장실습을 경험한 집단이 현장실습을 경험하지 않은 집단보다 임상적응 수준이 더 높았다. 감각통합 실습 과목 이수 여부에 따라서도 임상적응 차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t=4.264, p<.001). 실습 과목을 이수한 집단이 이수하지 않은 집단보다 임상적응 수준이 더 높았다. 또한 실습 과목을 이수한 집단 중 현장실습 형태로 교과목을 이수했는지 여부에 따라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t=4.369, p<.001), 현장실습 형태로 과목을 이수한 집단의 임상적응 수준이 더 높았다. 결론적으로 감각통합중재를 사용하는 아동 작업치료사의 임상적응에 실습 경험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실습 경험 여부에 따라 임상적응 수준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아동 작업치료사가 전문적으로 충분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임상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의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Effect of Sensory Integration Education Practice Experience on Clinical Adaptation of Child Occupational Therapis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practical experience of sensory integration education of child occupational therapists using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in clinical practice affects clinical adapt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3 occupational therapists for children with experience in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at institutions nationwide, and a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9 to October 31, 2023.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Cronbach's α coefficient was calculated, Pearson's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was calculated,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were perform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27.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 in clinical adapta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ccording to the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F=6.562, p<.01), working institution (F=6.562, p<.05), and intervention experience (F=5.727, p<.001). The master's degree of clinical adapt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the bachelor's degree, and the higher the intervention experience, the higher the level of clinical adaptation.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 in clinical adaptation according to the practice experienc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fference in clinical adaptation according to the practice experience (t=4.264, p<.001), and the group with practice experience had a higher level of clinical adaptation than the group without experience. There was als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fference in clinical adaptation according to the field experience (t=3.477, p<.001), and the group who experienced field practice had a higher level of clinical adaptation than the group who did not experience field practice. There was als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fference in clinical adaptation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sensory integration training course was completed (t=4.264, p<.001). The group who completed the practice course had a higher level of clinical adaptation than the group who did not. In addit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roup who completed the practice course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y completed the course in the form of field practice (t=4.369, p<.001), and the level of clinical adaptation was higher in the group who completed the course in the form of field practice.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practical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linical adaptation of child occupational therapists using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and that the level of clinical adaptation varied depending on whether they had practical experience. Therefore,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ways to improve clinical adaptation so that child occupational therapists can play a sufficient role professionally.

      • 가족기능이 대학생의 자기분화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강지연 신한대학교 일반대학원(석사) 2024 국내석사

        RANK : 250655

        가족기능이 대학생의 자기분화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강 지 연 신한대학교 대학원 남북협력복지행정학과 본 연구는 후기 청소년기에서 성인기로 진입하는 과도기를 지나고 있는 대학생 을 대상으로, 대학생들에게 가장 중요한 발달과업인 자기분화와 자기효능감을 확 립할 수 있도록 건강한 가족기능을 찾는 데 있다. 가족기능과 자기분화의 관계와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가족기능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를 확인하고, 대학생의 안 정적인 자기분화와 자기효능감 확립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가족기능 향상을 위 한 정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경기 북부에 거주 중인 대학생 17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 였으며, 자료수집은 2023년 07월 10일부터 2023년 8월 10일까지 자기 보고식 온라 인 설문조사와 대면 설문으로 진행되었고, 실제 177부 전부 분석에 활용되었다. 분석방법은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내적 합치도를 산출하였고, 연구대 상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 연구 변인의 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기술통계분석, 연구대상의 특성에 따른 연구 변인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독립표 본 t 검정과 분산분석 및 사후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변이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족기능이 자기분화와 자기효능감에 미치 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연구 변인의 차이에서 자기분화의 하위요인인 정서 조절과 자 기효능감의 자신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종교에 따른 연구 변인의 차이에서 자기효능감 전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천주교와 불교가 없음보다 자기효능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님의 결혼상태에 따른 연구 변인의 차이에서 자기분화의 자기주장과 자기효능감 전체와 자기조절 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자기분화의 자기주장과 자기효능감 전체, 자기조절 효능감은 이혼/사별/기 타가 기혼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넷째, 동거인에 따른 연구 변인의 차이에서 자기효능감 전체와 과제난이도 선호, 자기조절 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 전체와 과제난이도 선호, 자기조절 효능감은 친구/연인 /기타가 부모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생활 수준에 따른 연구 변인의 차이에서 가족기능 전체와 가족응집성, 가족 의사소통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기능 전체 와 가족 응집성, 가족 의사소통은 부유한 편이 어려운 편보다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가족에 대한 느낌에 따른 연구 변인의 차이에서 가족기능 전체와 가족 응집성, 가족 적응성, 가족 의사소통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가족기능 전체와 가족 응집성, 가족적응성, 가족 의사소통은 매우 행복, 행복, 보통, 행복하지 않음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자기분화에서는 가족에 대한 느 낌에 따른 자기분화 전체와 자기주장, 정서 조절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분화 전체는 매우 행복이 보통과 행복하지 않음보다 높 게 나타났고 자기주장과 정서 조절은 매우 행복이 보통보다 높게 나타났다. 자기 효능감에서는 가족에 대한 느낌에 따른 자기효능감 전체와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 감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 전체,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은 매우 행복이 보통보다 높게 나타났다. 대학생들이 가족에게 느 끼는 차이를 한마디로 정의하자면 가족기능의 차이라고 할 수 있다. 일곱째, 가족기능이 자기분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족기능은 자기분화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기능의 하위요인인 가족 응집성, 가 족 적응성, 가족 의사소통 요인 중 가족 의사소통, 가족 응집성, 가족 적응성 순으 로 자기분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가족기능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족기능은 자기효능감에 유 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기능의 하위요인인 가족 응집 성, 가족 적응성, 가족 의사소통 요인 중 가족 의사소통, 가족 적응성, 가족 응집 성순으로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 결과는 가족기능이 대학생의 자기분화와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 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하며,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자기분화와 자기효능 감 향상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본 연구의 학문적 측면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기능을 대학생의 자기분화와 자기효능감으로 접근하여 가족기능에 관 련된 변인들의 관계를 살펴보았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둘째, 가족기능과 대학생의 자기분화와 자기효능감의 상관성을 실증적으로 증명 하였으며, 가족기능과 대학생의 자기분화와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가족의사소통 의 주요한 역할이 검증되었다. 셋째, 가족기능이 대학생의 자기분화와 자기효능감에 주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 이란 가설이 검증되었으며, 따라서 가족기능을 높이기 위해 현재 시행 중인 가족 복지정책의 구체화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정책적 측면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기부터 청소년 후기인 대학생에 이르기까지 건강한 가족을 위한 교 육을 국가 정책으로 수립해야 한다. 둘째, 대학생은 미래의 가정을 이룰 예비부부로서 부부역할, 부모역할, 바람직한 자녀 교육 등을 효과적으로 수행 할 수 있도록 각 대학에 건강한 가족 구성원으 로서의 역할을 배울 수 있는 교양필수과목을 개설하여야 한다. 셋째, 가족생활 주기에 적합한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개발하고 제공할 수 있는 다기능 종합사회복지관 설치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실천적 측면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에서는 대학생의 자기분화와 자기효능감 향상에 있어 가족기능이 중 요한 요인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교육 및 상담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자 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도록 자기실현 교육 및 실제적인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다양한 형태의 가족소통방식과 차이를 연구하고, 성공적인 가족의사소통 사례를 발굴·공유하여 가족기능 향상 프로그램에 활용할 필요가 있다. 셋째, 사회복지 기관에서는 가족이 형성되기 전 혹은 초기 단계에 결혼 준비교 육, 신혼기 부부 교육, 예비 부모 교육 등의 선제적이고 보편적인 가족복지 서비 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주제어: 대학생, 가족기능, 자기분화, 자기효능감 This study aims to find healthy family functions to establish self-differentiation and self-efficacy, which are the most important developmental tasks for college students, for college students going through a transition period from late adolescence to adulthood. This study is to confirm whether family function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unction and self-differentiation and self-efficacy, and to provide basic data on policies for developing programs and improving family function for stable self-differentiation and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177 university students living in northern Gyeonggi Province, an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a self-report online survey and a face-to-face questionnaire from July 10, 2023 to August 10, 2023, and all 177 copies were actually used for analysis. The analysis method used the SPSS 25.0 program to calculate the internal consistency, an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o grasp the level of the research variable, and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to grasp the difference in research variabl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 were conducted.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research variations.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 of family function on self-differentiation and self-efficacy. The main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fidence of emotional regulation and self-efficacy, which are sub-factors of self-differentiation, in the difference in research variables according to gender. Second, in the difference in research variables according to relig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overall self-efficacy.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was higher than that of Catholicism and Buddhism. Thir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elf-assertion, self-efficacy, and self-regulatory efficacy of self-differentiation in the difference in research variables according to parents' marital status. Self-assertion, overall self-efficacy, and self-regulatory efficacy of self-differentiation were higher in divorce/division/other than in married. Fourth, in the difference in research variables according to the partner,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overall self-efficacy, preference for task difficulty, and self-regulatory efficacy. The overall self-efficacy, preference for task difficulty, and self-regulatory efficacy were higher in friends/lovers/other than parents. Fifth, in the difference in research variables according to living standard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verall family function, family cohesiveness, and family communication. The overall family function, family cohesion, and family communication were higher in the wealthy than in the difficult side. In self-differentiat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assertion and emotional immersion of others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living. In terms of self-efficacy as a whole, the wealthy were higher than the average and the difficult, and the confidence was higher than the difficult, and the self-regulatory efficacy was higher than the rich. Sixth, in the difference in research variables according to feelings about fami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verall family function, family cohesion, family adaptability, and family communication. The overall family function, family cohesion, family adaptability, and family communication were high in the order of very happiness, happiness, normal, and not happiness. In self-differentiat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verall self-differentiation, self-asser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according to feelings about family. As for the whole of self-differentiation, very happiness was higher than normal and not happy, and self-asser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were very higher than normal. In self-efficac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overall self-efficacy, confidence, and self-regulation efficacy according to feelings about family. In terms of overall self-efficacy, confidence, and self-regulation efficacy, happiness was very higher than normal. In one word, the difference that college students feel about their families can be defined as the difference in family function. Seventh, in the effect of the family function on self-differentiation, the family func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self-differentiation. Among the sub-factors of family function, family cohesion, family adaptability, and family communication factors, family communication, family cohesion, and family adaptability were found to have an effect on self-differentiation in order. Eighth, in the effect of family function on self-efficacy, family func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self-efficacy. Among the sub-factors of family function, family cohesion, family adaptability, and family communication factors, family communication, family adaptability, and family cohesion were found to have an effect on self-efficacy in order. The above findings suggest that family func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college students' self-differentiation and self-efficacy, and suggest the following to improve college students' self-differentiation and self-efficacy. The suggestions for the academic aspec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significan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related to family function was examined by approaching the family function as the self-differentiation and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family function and college students' self-differentiation and self-efficacy was empirically proved, and the main role of family communic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unction and college students' self-differentiation and self-efficacy was verified. Third, the hypothesis that the family function will act as a major variable in the self-differentiation and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was verified, and and thus the necessity of specifying the family welfare policy currently in place was confirmed to enhance the family function. The suggestions for the policy aspec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ducation for healthy families from infancy to late adolescent college students should be supported as a national policy. Second, college students should open mandatory liberal arts courses at each university to learn the role of healthy family members so that they can effectively carry out marital roles, parental roles, and desirable child education as a prospective couple who will form a future family.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multifunctional comprehensive social welfare center that can develop and provide programs and services suitable for the family life cycle. The suggestions for the practical aspec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universities should emphasize that family function is an important factor in improving college students' self-differentiation and self-efficacy, and prepare policies to provide self-realization education and practical help to increase self-efficacy. Second, it is necessary to study various types of family communication methods and differences, discover and share successful family communication cases, and use them in programs to improve family function. Third, social welfare institutions need to provide preemptive and universal family welfare services such as marriage preparation education, newlyweds education, and pre-parent education before or at the beginning of family formation. Keywords: College student, family function, self-differentiation, self-efficacy

      • 안구진탕을 동반한 저시력 아동의 시기능훈련 전과 후의 비교 및 분석

        김인숙 신한대학교 일반대학원(석사) 2024 국내석사

        RANK : 250639

        안구진탕을 동반한 저시력 아동의 시기능훈련 전과 후의 비교 및 분석 목적: 본 연구는 안구진탕을 동반한 저시력 아동의 시기능훈련 전과 후의 변 화를 알아보고 기능적 측면의 개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여 시 기능 훈련의 필요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한국시기능훈련 기흥센터에서 시기능훈련을 받은 5명의 안구진탕을 동반한 저시력 아동들을 대상으로, 시기능훈련 전후의 시기능의 변화를 측정하고, 훈련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설문지를 통한 시기능훈련 만족도를 조사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결과: 시기능훈련 후 훈련생 5명 모두 원거리 교정시력이 상승함과 시표 인 식 가능 거리도 길어졌고, 근거리 교정시력과 가독 거리의 개선을 보였다. 주 시력과 홱보기, 따라보기에 개선이 보였으며, 고개 돌림이나 안구진탕의 정도 의 감소에 개선을 보였다. 훈련을 받은 아동 및 보호자들의 시기능훈련 만족 도는 훈련 후 시기능의 개선 정도가 평균 약4.48점(89.6%)으로 높게 나타났 으며, 훈련을 통한 일상생활의 질 향상도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안구진 탕을 판단하는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안구운동과 주시력이 개선을 보임 에 따라 시기능훈련이 안구진탕을 동반한 저시력 아동들의 시각 및 기능적 능력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결론: 저시력은 시기능훈련과 다른 치료 방법들과의 통합적 접근을 통해 종 합적인 시각 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평가해야 하며, 안구진탕을 포함한 다 양한 개인 변수들과 개선의 정도를 수치화하고 표준화하는 작업이 필요할 것 이다. 이러한 연구는 시각 장애 아동의 시각 재활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이해 를 제공할 것이며, 저시력 아동들이 보다 나은 삶의 질과 사회 참여를 경험할 수 있기를 바란다. 주제어: 저시력, 안구진탕, 시각 재활, 시기능훈련, 저시력 아동 Comparison and Analysis of Visual Training in Low Vision Children with Nystagmus Before and After Purpose: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need for visual function training by examining changes before and after visual function training in children with low vision accompanied by nystagmus and analyzing the impact on improvement of functional aspects. Method: In this study, we measured changes in visual function before and after visual function training in five low-vision children with nystagmus who received visual function training at the Korea Vision Function Training Giheung Center, and analyzed the effects of training. In addition, data were collected by surveying satisfaction with visual function training through a questionnaire. Results: After visual function training, all five trainees showed improvement in distance corrected visual acuity, target recognition distance became longer, and near corrected visual acuity and reading distance improved. Improvements were seen in the ability to look, glance, and follow along, as well as a decrease in the degree of head turning and nystagmus.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visual function training among children and their guardians who received training was high, with the average degree of improvement in visual function after training being about 4.48 points (89.6%), and the improvement in quality of daily life through training was also positive. In addition, as eye movement and attention ability, which are important factors in determining nystagmus, showed improvement, it was confirmed that visual function trai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visual and functional abilities of low vision children with nystagmus. Conclusion: For low vision, the effectiveness of a comprehensive visual rehabilitation program must be evaluated through an integrated approach with visual function training and other treatment methods. It is necessary to quantify and standardize various individual variables, including nystagmus, and the degree of improvement. You will need it. This research will provide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visual rehabilitation for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 and we hope that children with low vision will be able to experience a better quality of life and social participation. Keywords: low vision, nystagmus, visual rehabilitation, visual function training, children with low vision

      • 아메바 경영 전략을 기반으로 한 기업조직구조 혁신에 관한 연구

        추기항 신한대학교 일반대학원(석사) 2024 국내석사

        RANK : 250639

        Since the outbreak of the novel coronavirus infection disease in 2020, China has been affected by uncontrollable factors such as epidemic prevention and control policy, labor mobility control, and market economy fluctuation.Some domestic enterprises with low management level, lack of technical barriers and high homogeneity of products and services have lost their competitiveness, and their operating profit has increased slowly.Under the long-term pressure of the epidemic, the ability of enterprises to resist risks and capital gradually weakened, and the backward management methods aggravated the crisis of enterprises. Company A, which is a beer brewing equipment manufacturing enterprise, has the disadvantages of the old system and the financial situation is not optimistic.In the early stage of enterprise establishment, because the reform and construction of enterprise management system is not perfect, the management is extensive and the rights and responsibilities are unclear.Therefore, in the face of the epidemic, facing the economic downturn environment, the internal staff management and system is weak, backward management methods, financial situation is not optimistic, etc. 아메바 management model is a kind of enterprise management system, which was created by Mr. Kazuo Inamori in the practice of running Kyocera Company.The company is divided into several small collectives, small collectives are called 아메바, the task management is 아메바 long, let ba long like a small enterprise independent management, independent accounting, empowerment management. In this paper, the author summarizes the application of 아메바 management model, optimizing organizational structure, opening source, establishing enterprise culture and optimizing performance management. This paper uses systematic analysis, literature research and experience summarization to study and master the management system of 아메바, and provides theoretical basis for this paper.At the same time, through observation and data analysis, the problems existing in enterprise A are systematically analyzed, such as bloated organization structure, low process efficiency, weak cost control ability, low organization energy efficiency. As a practical case paper, this paper summarizes the effect of A enterprise's practice of 아메바 business model through the data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practice of 아메바 business model.In this paper, we use the evaluation tools "human and monthly labor productivity", "labor cost labor productivity", "fixed cost labor productivity", to evaluate the role of Amiba management on improving organizational management ability. This paper summarizes that the application of 아메바's management model, using 아메바's organizational system, accounting system and philosophy system, can help the enterprise to improve its management ability and lead the enterprise out of trouble. Keywords: amoeba management; Performance management; Independent management; Independent accounting; Empowerment management;Organizational structure optimization; 2020년 세계적으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병이 발생한 이후,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감염 예방 및 통제 정책을 시행하였으며, 전체 시장 경제가 통제할 수 없는 요인에 영향을 받아 기업의 발전이 불확실성으로 가득한 상황이었다. 중국에서는 일부 관리 수준이 낮고 기술적 장벽이 부족하며 제품 및 서비스의 동질성이 높은 기업들이 원래의 경쟁력을 상실했다. 비용이 상승하면서 기업의 영업 이익은 둔화되었으며, 일부 기업은 생존 압력에 직면하게 되었다. 장기간에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병의 유행 압박 속에서 기업의 위험 대응 능력과 자금 능력은 점차 약화 되었으며, 낙후된 경영 방식은 기업의 위기를 악화시켰다. 본 논문에서 연구된 A 기업은 맥주 양조 장비 제조 기업으로, 옛날의 경영 모델에서 문제가 있으며 재무 상태가 낙관적이지 않았다. 기업 설립 초기에는 경영 제도 개혁이 완벽하지 않았기 때문에 관리가 거칠고 권한과 책임이 명확하지 않은 상황이 일반적이었다. 따라서 경제 불황 환경에서 기존 제도가 상대적으로 취약하며 관리 방식이 뒤떨어지며 재무 상태가 낙관적이지 않은 등의 문제로 기업 위기가 심화 되었다. 기업의 제도를 개선하고 프로세스를 최적화하며 직원의 참여를 높이는 등의 방법으로 조정하여 기업의 위기를 극복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아메바 경영모델은 기업 경영의 체계로, 이나모리 가즈오 선생이 경영하는 경세 회사의 실천 중에서 개발한 것이다. 기업을 여러 개의 소규모 집단으로 나누고 작은 집단을 아메바라고 부르며 업무 관리층을 아메바 바장이라고 한다. 바장에게는 소규모 기업처럼 독립적으로 경영하고 독립적으로 계산하는 권한이 주어지며 모든 사람이 경영의 일원이 되는 경영 모델이다. 집단의 힘과 기여를 통해 기업의 경영 지표를 달성하고 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실현하는 것이다. 본 논문의 연구는 A 기업이 아메바 경영 모델을 사용하여 조직 구조를 최적화하고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며 기업 문화를 구축하고 성과 관리를 최적화하는 실천과정을 연구 및 요약하였다. 이는 동일 업종의 소규모 기업이 아메바 경영 모델을 적용하여 자체 위험 대응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실용적인 의미가 있다. 본 논문은 시스템 분석법, 문헌 연구법, 경험 정리법을 활용하여 아메바 경영 관리 모델과 관련된 문헌, 학술지, 도서를 검토하고, 아메바 교육과정을 이수함으로써 아메바 경영 관리 체계를 학습하고 다루는데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였다. 동시에 조직 구조가 비대하고 프로세스가 복잡하며 효율성이 낮은 A 기업의 문제를 관찰하고 데이터를 분석하며 비용 제어 능력이 약하고 조직 효율이 낮은 문제를 식별하며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실증 사례 연구 논문으로, 본 논문은 아메바 경영모델 도입 전후의 데이터 변화를 통해 A 기업이 아메바 경영모델을 적용한 효과를 총결하였다. 논문에서는 아메바 평가 도구인 “인건비 노동생산성," “고정비 노동생산성”을 사용하여 아메바 경영이 조직 관리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또한 2020년과 2021년의 재무 보고서 데이터 변화 및 직원 수입 증가를 통해 아메바의 독립 계산, 권한 위임, 시장과 연동된 계산 메커니즘을 구축하는 경영모델이 기업의 영업 성과 및 직원 인센티브에 미치는 촉진 효과를 평가하였다. 또한 직원들의 기업 경영에 대한 동의와 기업 문화 구축에 대한 참여도를 조사한 설문 조사 데이터를 수집하여 아메바 경영 철학 체계가 기업 문화 구축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아메바 경영 관리 모델을 사용하여 아메바 조직 시스템, 회계 시스템, 철학 체계를 활용하면 기업의 경영 관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기업을 어려움에서 이끌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동시에 본 논문의 실증적인 경험 정리는 아메바 경영모델의 기업 적용에 실현 가능한 사례 및 참고 가치를 제공할 수 있다. 키워드: 아메 바경영, 성과관리, 독립경영, 독립회계, 권한 위임, 조직 구조 최적화

      • 임상화학자동분석기의 사용 연한에 따른 신뢰도 및 유효성 평가

        김남철 신한대학교 일반대학원(석사) 2024 국내석사

        RANK : 250639

        진단검사의학과에서 사용하는 검사장비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다. 따라서 장비에 따른 예방정비 및 장비의 질을 유지하기 위한 질관리 활동은 검사실 근무자의 매우 중요한 업무이다. 또한 검사장비의 사용연수가 길고, 검사수행 건수가 많은 분석기의 경우 장비의 신뢰성 확인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현재 국공립기관인 경기도의료원 포천병원 진단검사의학과의 검사장비는 지역거점공공병원 기능 보강사업의 지원 규정 및 조달청 고시 제2018-14호에 의해 검사장비가 8년 이상 사용되고 있다. 통상 대학병원급 진단검사의학과 임상화학 장비의 경우 3-5년을 주기로 신장비로 교체하는 데에 비해 경기도의료원 포천병원 임상화학분석기의 경우 약 2배 정도의 기간을 사용하고 있다. 임상화학자동분석기는 일반화학검사, 혈청단백질 검사 및 치료적 약물농도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장비로써 환자는 물론 일반인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는데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검사장비이다. 본 연구에서는 포천병원 진단검사의학과에서 8년간 사용 되고 있는 임상화학자동분석기 AU680(Beckman Coulter Inc., Brea, CA, USA)에 대한 장비 신뢰성을 확인하기 위해 AU680과 동일한 검사를 수행하는 1년간 사용 중인 임상화학자동분석기 DxC700AU (Beckman Coulter Inc., Brea, CA, USA)와 비교하여 장기간 사용한 장비와 신규 도입된 장비간의 검사결과의 차이를 분석 하여 장기 사용으로 인한 데이터 차이 및 정도관리상 문제가 발생하는지를 평가 하였다. 장비간 검사결과 일치도 평가를 위해 장비간 차이 검증과 Bland & Altman plot, 급내상관계수(Intra Class Correlation, ICC)를 분석하였다. 임상화학용 CONTOL SERUM 1, ODC0003(Beckman Coulter Inc., Brea, CA, USA)을 이 용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는 ALT와 AST는 p-value가 0.003과 0.000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평균에서 1.1 U/L과 0.567 U/L로 차이가 있었다. Creatinine, Glucose, GGT는 p-value가 각각 0.773, 0.915, 0.659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임상 화학용 CONTOL SERUM 2, ODC0004(Beckman Coulter Inc., Brea, CA, USA)에서는 ALT, AST, Creatinine, Glucose, GGT의 p-value는 0.093, 0.700, 0.500, 0.606, 0.108으로 유의하지 않아 모든 항목에서 장비간의 차이가 없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Bland & Altman plot을 이용한 장비간의 농도별 분포 평가는 모든 항목에서 신뢰구간 안에 분포되었고 Glucose에서 AU680이 DxC700AU 보다 낮게 측정되었다. ICC의 경우 Glucose, GOT, GGT는 1.00으로 나타났으며 Creatinine, GPT는 0.99의 값을 나타내어 거의 완벽한 일치도를 보여주어 AU680과 DxC700AU 간에 동일한 결과로 측정됨을 알 수 있었다. AU680의 자체성능평가를 위해 실시한 측정시스템분석(measurement systems analysis, MSA) 결과에서 반복성(repeatability)은 합격이지만 편의(bias)는 “0”이 아닌 것으로 판정되어 기준값보다 낮게 측정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원배치 모형에 의한 Gage R&R 반복성 분석에서 %기여는 평가기준 1%미만 으로 합격되었고 %SV(%연구변동)은 평가기준 10%미만으로 판정되었다. %PTR(%공차)는 평가기준 10%미만으로 합격되어 현재 사용하고 있는 AU680의 관리상태가 양호하고 측정시스템분석의 결과상 검사결과의 유효성이 인정되어 AU680 분석시스템이 전반적으로 양호함을 알 수 있었다. 선형성 그래프를 통해 장비에 대한 선형성은 기울기(a)≠0, 절편(b)=0으로 선 형성은 불합격으로 판정되었다. 모든 농도값에서 기준값보다 낮게 측정되었고 고농도로 갈수록 더 낮게 측정되고 있어 교정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안정성 분석에서는 관리한계선을 벗어나는 측정값이 없었고, 일정한 주기나 경향이 없 으므로, AU680는 안정적(stable)이라고 판정할 수 있었다. 장비간 검사결과 일치도 분석에서는 알 수 없었던, 허용범위 안에서 기준치보다 낮게 측정되고 있는 것을 측정시스템분석을 통하여 알 수 있었다. 장비의 사용기간이 길수록 장비의 기능적 저하로 인해 산출하는 결과의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이 높고 이로 인해 측정 시 검사결과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진다. 본 연구에서는 도입 1년된 DxC700AU와 8년된 AU680를 비교하여 장기 사용 장비와 단기사용 장비의 차이를 측정 결과값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본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를 분석한 결과 현재 8년째 사용중인 AU680의 신뢰도가 1년된 DxC700AU와 비교하였을 때 유의한 차이가 없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U680의 측정시스템분석(장비 유효성 평가)에서도 편의와 선형성을 제외하고는 대체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보여 주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8년째 사용 중인 AU680과 1년째 사용 중인 DxC700AU 사이에 장비에서 사용 연한에 따른 측정결과의 유의한 차이는 없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이는 검사실에서 통상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장비의 사용 연한에 따른 교체가 아닌 정확한 성능평가를 통하여 장비교체의 가부를 결정하여야 한다는 일부 주장에 동의할 수 있는 결과라 하겠다. 본 검사실에서는 일반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장비 매뉴얼에 따른 예방정비 활동 및 정기적인 전문가 A/S를 실시하여 장비의 상태를 적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정기점검이 지속적으로 실시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지역거점공공병원 기능보강사업의 지원규정 및 조달청 고시 제2018-14호의 규정에 대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 을 것이라 사료된다. There are many different types of testing equipment used in the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Consequently, preventive maintenance and quality control management for these equipment are very important tasks for laboratory workers. Specifically, the testing equipment of the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at Gyeonggi Provincial Medical Center Pocheon Hospital, a national public institution, has been used for more than 8 years in accordance with the support regulations of the project for functional enhancement of regional public hospitals and Public Procurement Service Notice No. 2018-14. Normally, clinical chemistry instruments used in the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at university hospitals are replaced every 3-5 years, but the clinical chemistry analyzers at Gyeonggi Provincial Medical Center Pocheon Hospital have been used for about twice as long. The automatic clinical chemistry analyzer can perform general chemistry tests, serum protein tests, and therapeutic drug concentration tests. It plays a large role in checking the health status of patients as well as the general public. In this study, the automatic clinical chemistry analyzer AU680 (Beckman Coulter Inc., Brea, CA, USA), which has been used in the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at Pocheon Hospital for 8 years, was compared to the DxC700AU(Beckman Coulter Inc., Brea, CA, USA), an automatic clinical chemistry analyzer that has been in use for one year and performs the same tests as the AU680. The comparison sought to determine instrument reliability and whether data differences and quality control problems occurred due to long-term use by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results between new equipment and equipment that has been used for a long tim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quipment were verified and Bland & Altman plot and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were analyzed to evaluate the consistency of results between the old and new equipment. Using CONTROL SERUM 1,ODC0003 (Beckman Coulter Inc., Brea, CA, USA) for clinical chemistry, the analysis showed, ALT, and AST had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p-values of 0.003 and 0.000, and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s of 1.1 U/L and 0.567 U/L, respectively. Creatinine, glucose, and GGT were not significant with p-values of 0.773, 0.915, and 0.659, respectively. In the CONTROL SERUM 2,ODC0004 (Beckman Coulter Inc., Brea, CA, USA) for clinical chemistry, the p-values of ALT, AST, Creatinine, Glucose, and GGT were not significant at 0.093, 0.700, 0.500, 0.606, and 0.108, demonstrating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devices in all items. Based on the evaluation of the distribution by concentration between equipment using the Bland & Altman plot, all items were distributed within the confidence interval, and the measurement result of AU680 in glucose was lower than DxC700AU. ICC showed almost perfect agreement: the value of glucose, GOT, and GGT was 1.00, while the value of creatinine and GPT was 0.99, indicating that the results were the same between the AU680 and DxC700AU. Based on the results of the measurement systems analysis (MSA) for the self-performance review of AU680, repeatability but bias was determined to be not “0”, which was measured lower than the standard value. In the Gage R&R repeatability analysis using a one-way ANOVA model, % contribution was judged to be less than 1% of the evaluation criteria, which was at the acceptable level, while %SV (% study variation) was less than 10% of the evaluation criteria. %PTR (%tolerance) was less than 10% of the evaluation criteria, which was at the acceptable level, reflecting that the AU680 currently in use was in good condition. In addition, the validity of the test results of the measurement system analysis was recognized, and the AU680 analysis system was generally favorable. The linearity of the equipment in the linearity graph was slope (a) ≠ 0 and intercept (b) = 0, and the linearity was not acceptable. All concentration values were measured lower than the standard value. The measurement became lower when the concentration was increased, indicating that correction was necessary. In the stability analysis, there were no measured values outside the control limits and no constant cycle or trend was observed, so AU680 is considered stable. By analyzing the measurement system, the measurement was found to be lower than the standard value within the allowable range, which could not be known from the consistency analysis of test results between equipment. If the period of use of the equipment is prolonged, the volatility of the results is likely to increase due to functional deterioration of the equipment, which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errors in test results during measurement. In this study, the DxC700AU, which was used for 1 year, was compared with the AU680, which was used for 8 years. The difference between long-term use equipment and short-term use equipment was analyzed. Results show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liability of AU680, which has been in use for 8 years, compared to DxC700AU, which has been used for 1 year. The measurement system analysis (evaluation of equipment effectiveness) of AU680 also showed generally favorable results except in terms of convenience and linearity.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equipment service life between the AU680, which has been in use for 8 years, and the DxC700AU, which has been in use for 1 year. This can be considered consistent with some of the claims that the approval or disapproval of equipment replacement should be decided through accurate performance evaluation rather than replacement based on the service life of the equipment normally applied in the laboratory. I would like to state that this laboratory is making efforts to maintain the equipment in proper condition by conducting preventive maintenance and regular expert after-sales service (A/S). In addition,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a reference for the support regulations of the project for the functional enhancement of regional public hospitals and Public Procurement Service Notice No. 2018-14.

      • 전립선 비대증 환자의 약물복용이행 관련 요인

        박현상 신한대학교 일반대학원(석사) 2024 국내석사

        RANK : 250639

        전립선 비대증 환자의 약물복용이행 관련 요인 이 연구는 전립선 비대증 환자의 약물복용이행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경기도 U시에 있는 종합병원 비뇨의학과에서 2023년 8월부터 12월까지 전립선 비대증으로 진단받은 남성 120명을 대상으로 시 행하였다. 측정도구는 약물복용이행, 복약 자기효능감, 가족지지 도구를 사용하였 고,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분 석,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약물복용이행 48점 만점에 43.9점, 복약 자기효능감 39점 만점에 32.4점, 가족지 지 55점 만점에 19.8점이었다. 2. 약물복용이행은 연령(F=3.662, p=.015)이 높을수록, 만성질환 유병수(F=4.762, p=.003)가 많을수록 높았다. 연령의 경우 사후분석 결과 ‘70세 이상’ 그룹에서, 만 성질환 유병수의 경우 사후분석 결과 만성질환 ‘3개 이상’ 그룹에서 약물복용이행 이 높았다. 3. 복약 자기효능감은 경제 상태(F=7.419, p=.001)가 높을수록 높은 점수를 보였다. 복약 자기효능감의 경우 사후분석 결과 경제 상태 ‘상’ 그룹에서 복약 자기효능감 이 높았다. 4. 가족지지는 동거 형태(F=8.132, p<.001), 경제 상태(F=5.900, p=.004), 앉아 있는 시간(F=2.619, p=.010)에서 차이가 있었다. 동거 형태의 경우 ‘독거’그룹보다 ‘부부 만’ 그룹에서 가족지지가 높았으며, 경제 상태의 경우 ‘중’, ‘하’ 그룹 보다 ‘상‘그룹 이 가족지지가 높았다. 앉아있는 시간의 경우 ’8시간 미만‘ 보다 ’8시간 이상‘에서 가족지지가 높았다. 5. 약물복용이행은 복약 자기효능감(r=0.295, p<.001), 가족지지(r=0.278, p<.001)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6. 대상자의 약물복용이행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 과 경제 상태(β=.20, p<.001)와 연령(β=.33, p<.001), 만성질환 유병수(β=.25, p<.001)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조사되었다(Adjusted R2=.195). 이 연구 결과에서 전립선 비대증 환자의 연령이 높을수록, 경제 상태는 높을수록, 만성질환이 많을수록, 약물복용이행을 잘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가족지지와 복 약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약물복용이행을 잘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영 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조사하여 약물복용이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가 연 구하고 가족 지지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가족 상담 프로그램 개발하고 건강증진 프로그램 적용해야 할 것이다. 주제어 : 전립선 비대증, 악물복용이행, 복약 자기효능감, 가족지지 This is a descriptive exploratory study aimed at identifying factors influencing medication adherence in patients with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at the urology department of a comprehensive hospital in U City, Gyeonggi Province, from August to December 2023, involving 120 men diagnosed with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Measurement tools included medication adherence, self-efficacy in medication, and family support, analyzed using SPSS 26.0 for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1. Medication adherence scored 43.9 out of 48, self-efficacy in medication scored 32.4 out of 39, and family support scored 19.8 out of 55. 2. Medication adherence was higher with increasing age (F=3.662, p=.015) and a greater number of chronic illnesses (F=4.762, p=.003). Post hoc analysis revealed higher medication adherence in the '70 years and older' age group and the '3 or more chronic illnesses' group. 3. Self-efficacy in medicat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higher economic status (F=7.419, p=.001), particularly in the 'high' economic status group. 4. Family support showed differences in living arrangement (F=8.132, p<.001), economic status (F=5.900, p=.004), and sitting time (F=2.619, p=.010). Living with a spouse was associated with higher family support than living alone, and 'high' economic status and sitting for more than 8 hours were associated with higher family support. 5. Medication adherenc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efficacy in medication (r=0.295, p<.001) and family support (r=0.278, p<.001). 6.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economic status (β=.20, p<.001), age (β=.33, p<.001), and the number of chronic illnesses (β=.25, p<.001) wer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medication adherence (Adjusted R2=.195). The study suggests that older age, higher economic status, and more chronic illnesses are associated with better medication adherence in patients with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Additionally, higher family support and self-efficacy in medication are related to improved medication adherence. Therefore, nursing interventions should be developed to enhance medication adherence by investigating influencing factors, and various family counseling programs should be designed to increase family support, along with the application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Key word : Benign Prostate hypertrophy, Medication adherence, Self-efficacy of medication, Family support

      • 3D 프린터로 제작된 치관보철물의 UV경화시간에 따른 적합도 비교

        원민지 신한대학교 일반대학원(석사) 2024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연구는 CAD/CAM 시스템을 이용하여 3D 프린터로 제작된 치관보철물의 UV경화시간에 따른 내면 및 변연의 적합도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치관보철물을 제작하기 위한 모형으로 D51DP-500A0MF모델을 사용하였다. 모델스캐너를 사용하여 지대치를 스캔한 후 디자인 프로그램으로 치관보철물 시편을 제작하였다. DLP방식의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총 30개의 레진 시편을 출력하였고, 세척 후 UV경화기를 사용하여 시편을 각 10개씩 2분(A군), 6분(B군), 10분(C군)으로 나누어 최종경화를 진행하였다. 경화 된 레진 치관보철물을 모델스캐너를 사용해 스캔하여 30개의 데이터를 획득하였다. CAD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지대치와 레진 치관보철물의 협,설측 변연과 축벽 그리고 협,설측 교두에서 간격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변연부분과 축벽부분은 경화시간이 증가할수록 내면 간격이 감소하였으며, 교두부분에서는 내면 간격이 감소하다가 C군에서 간격이 증가하였다. 접합제 간격과 내면 간격을 비교하여 적합도를 확인한 결과 협측 축벽부분에서는 C군이 가장 높게 나왔고, 협설측 변연부분과 교두부분, 설측 축벽부분은 B군이 가장 높게 나왔으며 이는 통계분석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위 내용을 바탕으로 UV경화시간 차이에 따른 레진 치관보철물의 적합도를 통계분석 결과 평균적으로 경화시간이 증가할수록 내면 간격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적합도는 부위마다 차이는 있지만 제품의 가이드북에 표기된 5∼7분에 해당되는 B군일 때가 적합도가 높은걸 알 수 있다. 더불어 모두 임상적 허용범위인 120μm 이내이므로 위 시편들은 레진 치관보철물로 사용하기에 특별한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printed the prosthesis using the DLP method during additive manufacturing after designed a crown prosthesis using a CAD/CAM system, and compared the differences in the inner and marginal fit of the resin prosthesis when the curing time was different using a UV curing machine. The D51DP-500A0MF model was used as a model to manufacture the crown prosthesis. After scanning the abutment tooth using a model scanner, a resin crown prosthesis specimen was produced using a design program. A total of 30 resin specimens were printed using a DLP 3D printer, and after cleaning, the specimens were cured using a UV curing machine, dividing them into 10 pieces of 2 minutes (group A), 6 minutes (group B), and 10 minutes (group C) according to time. Using a CAD program, the distance between the buccal and lingual margins of the resin prosthesis, the axial wall, and the cusp and abutment were measured. As a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using one-way analysis of variance, the inner gap decreased as the curing time increased in the marginal and axial wall areas, and the inner gap decreased in the cusp area, but then increased in group C. As a result of checking the suitability by comparing the bonding agent spacing and the inner spacing, group C had the highest score in the buccal axial wall portion, but group B had the highest score in the buccal/lingual margin portion, cusp portion, and lingual shaft wall portion, and the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showed. Based on the above, as a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of crown prosthesis according to differences in UV curing time, it can be seen that on average, the inner gap decreases as the curing time increases. Although the degree of fit varies depending on the area, on average it is 5% as indicated in the product guidebook. It can be seen that the suitability is high for group B, which corresponds to ~7 minutes. In addition, since they are all within the clinically acceptable range of 120μm, there appears to be no particular problem in using them as a crown prosthesis.

      • 신소매 산업의 기업모델에 관한 연구 : 중국 외식산업을 중심으로

        양김 신한대학교 일반대학원(석사) 2024 국내석사

        RANK : 250639

        최근 몇 년 동안 치열한 경쟁으로 인해 중국 소매 산업의 발전은 지연되었다. 인구수, 소비자 인구, 소비자 채널 등의 변화로 인해 현재 소매업의 전환과 업그레이드를 어떻게 할 것인가가 최우선 과제가 되었다. 전통적인 소매 기업의 생존과 발전은 외부 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외부 기술 환경이 변화하면 기업도 그에 따라 변화해야 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허마생선(生鲜)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엄격한 경계를 허물고 소매 산업의 발전을 위한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공했지만 이 과정에서 많은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업계 경쟁자들의 압력뿐만 아니라 허마생선(生鲜) 자체가 경제 환경의 지속적인 변화를 배경으로 드러낸 단점이다. 본 논문에서는 생선식품 전자상거래 산업의 선두기업인 허마생선(生鲜)을 사례로 연구하였으며, 먼저 포터의 5가지 파워 모델과 PEST 이론을 기반으로 기업이 처한 환경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외부 환경과 결합하여 비즈니스 모델의 원인을 분석하고 기존 문제를 제기했다. 마지막으로 생선 산업의 단점을 중심으로 생선 산업의 미래 발전 전략과 새로운 소매 마케팅 모델의 발전 추세를 제시했다. 본 논문의 연구를 통해 허마생선(生鲜)의 비즈니스 모델을 최적화한 환경을 기반으로 해야 하며 비즈니스 포지셔닝 측면에서 소비 업그레이드의 시장 요구를 충족시키고 과학 기술 분야와 인재 양성에 지속적으로 투자해야 한다. 신흥 기술을 사용하여 소매 판매를 안내하고 미래 모델 수출 및 경자산 확장 방향으로 발전을 촉진하다. 키워드: 신소매, 전통마케팅, 환경 분석, 비즈니스모델, 허마생선(生鲜), 생선식품 전자상거래 The development of the Chinese retail industry has been delayed due to fierce competition in recent years. Changes in the population, consumer population, and consumer channels have made the transition and upgrade of the current retail industry a top priority. The survival and development of traditional retail compani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as the external technology environment changes, companies must change accordingly. Against this background, Freshippo has broken down the strict boundaries between online and offline and provided new ideas for the development of the retail industry, but they are facing many challenges in the process. Not only the pressure from industry competitors, but also the Freshippo itself is a disadvantage that reveals the continuous change in the economic environment. In this paper, he studied the leading company in the fresh food e-commerce industry as an example, and first, based on Porter's five power models and PEST theory, the company's environment was systematically analyzed, the cause of the business model was analyzed by combining it with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existing problems were raised. Finally, focusing on the shortcomings of the fresh industry, the future development strategy of the fresh industry and the development trend of new retail marketing models were presented. Through the research of this paper, it should be based on an environment in which the business model of Freshippo Marine is optimized, and in terms of business positioning, it should meet the market needs of consumption upgrades and continue to invest in science and technology fields and talent training. It uses emerging technologies to guide retail sales and promote development in the direction of future model exports and light asset expansion. Keywords: New retail, traditional marketing;environmental analysis; business model;Freshippo, fresh food e-commer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