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타샤 튜더의 브랜드 연구

        심필영 숙명여자대학교 라이프스타일디자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172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asha Tudor as a personal brand. This will be examined through investigating the development and activities of Tasha Tudor’s lifestyle, illustrative work design and a brand. Tasha Tudor is a renowned American illustrator and fairy tale writer. She has worked on over 100 works of illustrations for over 70 years. In addition to her works of illustrations, She has been known to the public as a naturalistic lifestyle. Previous studies on Tasha Tudor described her merely as an illustrator and fairy tale writer, this study will be focusing on Tasha Tudor’s life. Thus, the study will examine the process of personal branding. Tasha Tudor has lived nearly 100 years. It shall be examined as an example of an individual life becoming a brand. This paper will concentrate more on the artists themselves in contrast to the previous studies that were limited to the works of the artists. The study gives its significance in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later case focusing on personal brand. Moreover,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the expansion of the Tasha Tudor study. Therefore, this paper shall be titled as “Brand Research of Tasha Tudor”. The paper is consisted of an introduction (Chapter 1), main bodies (Chapter 2∙3∙4),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asha Tudor brand (Chapter 5), and a conclusion (Chapter 6). <Chapter 1: Introduction> discusses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research, scope and method of research, and precedent research. <Chapter 2: Tasha Tudor Lifestyle>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of Tasha Tudor through examining her life, achievements and lifestyle. [Section 1: life and achievements] considers Tasha Tudor’s life and major accomplishments; [Section 2] considers her lifestyle. [Section 3: characteristics of lifestyle] categorize and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her lifestyle, based on an assumption that her behavior arises from her thinking. The residential life, clothing style, food culture, and leisure activities will be considered as the analytical factors. <Chapter 3: Tasha Tudor Illustrative work design> discusses about the methods and the objects of the analysis about Tasha Tudor’s illustrations in [Section 1]. Analysis will be done by considering the color, structure, and story of each illustration. Analysis of the color contains examination of the emotional keyword assigned to the Kobayashi image. The structure will be analyzed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the frame artwork, and the story will be analyzed by separating the subject and object of the illustrations. In addition, the illustrative works which be analyze are limited to a total of 24 books and 5 separate independent illustrations. The works are illustrated and written by Tacha Tudor only, or illustrated and composed of poems or quotes selected by Tasha Tudor directly. [Section 2] considers these works by region separately. The artworks by region came from Tasha Tudor’s previous residential areas. They are limited to six works from Connecticut, nine works from New Hampshire, nine works and five independent illustrations from Vermont. [Section 3] discusses about the design features of the illustrations analyzed in [Section 2]. <Chapter 4: Development and Activities of Tasha Tudor Brand> discusses about the branding of an individual artist, Tasha Tudor. [Section 1] considers Tasha Tudor as a personal brand. The validity of Tasha Tudor brand shall be examined in an aspect of personal brand. [Section 2] examines a company “Tasha Tudor and Family” expanded Tasha Tudor brand to product and experience brand. [Section 3] demonstrates the activities of Tasha Tudor brand through its communication activities via website, and the activities of a non-profit organization “Tasha Tudor Society”. [Section 4] summarizes the previous points. <Chapter 5: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he Tasha Tudor Brand> illuminates the value of the Tasha Tudor brand in an aspect of relationship, based on the previous analysis from Chapter 2, 3 and 4. [Section 1] discusse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lifestyle; [Section 2] describes the relationship between ego and illustrations; [Section 3] discusse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ety and brand. <Chapter 6: Conclusion> concludes the paper discussing the value of Tasha Tudor brand in an aspect of branded artist’s personal life and presenting the utilization of this paper as a basic data for extended and academic studies. 본 연구는 미국의 대표적인 삽화가이자 동화 작가인 타샤 튜더의 라이프스타일・삽화 작품 디자인・브랜드로서의 전개와 활동을 고찰함으로 인해, 타샤 튜더라는 개인이 브랜드화된 특성과 의의를 조명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타샤 튜더는 삽화가・동화 작가로서 70여 년의 기간 동안 100여 권의 삽화 작품집을 작업하였고, 삽화 작품 활동 외에도 자연주의 라이프스타일로 대중에게 알려졌다. 본 연구에서는 삽화가 및 동화 작가로서만 거론이 되었던 기존의 연구와 달리, 타샤 튜더의 삶에 가치를 두어 개인의 삶이 브랜드화 되기까지의 과정을 고찰함으로써, 예술가 개인에 의해 창출된 작품에만 국한되었던 기존의 예술가에 관한 연구에서 예술가 개인에 집중한 연구로, 100년 가까운 삶이 브랜드가 된 사례로써 타샤 튜더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는 앞으로 개인이 브랜드가 되는 사례 연구에 대한 초석이자 계기가 되는 것과, 타샤 튜더 연구의 확장에 기초 자료로 활용됨에 연구의 의의를 둔다. 이에 본 논문은 <타샤 튜더의 브랜드 연구>라고 제목하고, 1장의 서론, 2・3・4장의 본론, 5장의 타샤 튜더 브랜드의 특성과 의의, 6장의 결론으로 구성된다. <제1장 서론>에서는 연구 배경 및 목적, 연구 범위 및 방법, 선행 연구에 관하여 논한다. <제2장 타샤 튜더 라이프스타일>에서는, 타샤 튜더의 생애와 업적, 라이프스타일을 통해 그 특성에 관하여 논한다. 제1절 생애와 업적에서는 타샤 튜더의 생애와 주요한 업적에 관하여 고찰하고, 제2절에서는 자연주의 라이프스타일에 관하여 고찰한다. 제3절 라이프스타일의 특성에서는 행동은 사고에 기인함을 기본으로 두고, 라이프스타일에서 고찰되어진 특성을 별도 분류하여 정의하며, 주거 생활・의복 양식・식문화・여가 활동을 그 분석 요소로 다루어 살펴본다. <제3장 타샤 튜더 삽화 작품 디자인>에서는, 타샤 튜더의 삽화 작품을 고찰함에 있어서, 제1절에서 분석 방법과 대상에 관하여 논한다. 분석 방법은 각 삽화별로 색상・구도・스토리 측면으로 나누어 고찰한다. 색상 측면은 고바야시 이미지 스케일에 대입한 감성 키워드 언어를 분석하고, 구도 측면은 프레임 아트워크의 유무로 나누어 분석하며, 스토리 측면은 삽화 대상의 주체와 소재로 나누어 분석한다. 또한 대상은 삽화가와 동화 작가로서 작업한 삽화 작품집 혹은 삽화가로서만 작업하였다 하더라도 그 내용의 구성을 타샤 튜더가 직접 선정한 명언이나 시로 구성된 작품집으로 한정한 총 24권과 별도의 독립 삽화 5점으로 한정한다. 제2절에서는 이를 지역별로 구분하여 고찰한다. 지역별 삽화 작품은 타샤 튜더의 거주 지역이었던 코네티컷에서의 6권의 작품집・뉴햄프셔에서의 9권의 작품집・버몬트에서의 9권의 작품집과 5점의 독립 삽화로 한정하여 분석한다. 제3절에서는 제2절에서 분석한 삽화 작품의 디자인 특성을 논한다. <제4장 타샤 튜더 브랜드의 전개와 활동>에서는, 개인 예술가 타샤 튜더의 브랜드화에 관하여 논한다. 제1절에서는 개인브랜드로서의 타샤 튜더에 관하여 고찰한다. 개인브랜드에 대한 개념을 바탕으로 두고, 타샤 튜더의 개인브랜드로서의 타당성을 살펴본다. 제2절에서는 타샤 튜더 브랜드의 전개에 있어서, 제품 브랜드와 체험 브랜드로 확장된 타샤 튜더 브랜드에 대하여 타샤 튜더 앤드 패밀리라는 회사의 고찰을 통해 분석한다. 제3절에서는 타샤 튜더 브랜드의 활동으로써, 웹사이트를 통한 커뮤니케이션 활동과 타샤 튜더 소사이어티라는 비영리 단체의 활동에 관하여 고찰한다. 제4절에서는 정리하여 소결한다. <제5장 타샤 튜더 브랜드의 특성과 의의>에서는, 앞서 고찰한 2・3・4장의 분석을 토대로, 타샤 튜더 브랜드의 가치를 관계성으로 조명한다. 제1절에서는 자연과 라이프스타일의 관계성에 대하여 논하고, 제2절에서는 자아와 삽화 작품과의 관계성, 제3절에서는 사회와 브랜드와의 관계성에 관하여 논한다. <제6장 결론>에서는 예술가 개인의 삶이 브랜드화된 타샤 튜더 브랜드의 가치와 다양한 학문으로의 확장된 연구에 대한 기초 자료로의 활용을 논하며 본 논문 전체를 맺는다.

      • 한국과 중국의 리빙스타일디자인에 관한 비교연구 : 아파트 모델하우스를 중심으로

        증묘 숙명여자대학교 라이프스타일디자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1711

        본 논문은 한국과 중국의 모델하우스에 대한 리빙스타일디자인을 비교함에 있어서, 양국의 의식주를 담는 기본 생활공간인 아파트에 대한 리빙스타일디자인의 연출 특성을 밝히고자 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리빙스타일디자인의 개념과 시대적인 유형 및 모델하우스의 구성요소를 기본 이해에 두고, 양국의 모델하우스의 변천 및 현 현황 조사를 통하여 연출에서 기능적 측면과 장식적 측면의 스타일을 비교함으로써, 양국의 리빙스타일디자인의 연출 특성에 대한 선호도 및 연출 유형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 활용과 각국의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차이점과 유사점을 좀 더 명확하게 이해하는 척도로 서로의 라이프스타일을 존중하는 의미와 가치를 두는데 목적이 있다.이에 본 논문은 <한국과 중국의 리빙스타일디자인에 관한 비교 연구>라고 제목하고, 제1장의 서론, 제2,3,4의 본론, 및 결론으로 구성 된다. <제1장 서론>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 및 의의, 범위 및 방법, 선행연구에 관해서 논한다. 또한 본 논문의 시대적 대상이 되는 리빙스타일디자인의 유형은 서구의 실내 장식사에서 있어서 종교를 비롯한 특수 공간이 일반화되어 개인공간에서 장식이 보여지기 시작하는 바로크시대에서부터 현재시점까지 한다. 또한 공간적 대상이 되는 모델하우스는 서울과 상해의 실제적 조사를 통하여 시대적 변천 및 현 현황과 구성요소로 나누어 고찰한다. <제2장 이론적 고찰>에서는 리빙스타일디자인에 기초가 되는 역사적 경위와 유형을 제 1절에서 논하고. 제2절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모델하우스에 관하여 변천 및 현 현황 그리고 리빙스타일디자인의 구성요소에 관하여 고찰한다. <제3장 한국과 중국의 모델하우스에서 리빙스타일디자인의 사례고찰>에서는, 제2장을 근거하여 제 1절에서는 분석 대상과 분석방법 및 분석요소에 관하여 고찰한다. 모델하우스의 조사대상은 각 국의 부동산 회사에서 2012년 아파트 브랜드에 대한 선호도 조사에 의해 선정한다. 분석요소는 모델하우스의 구성요소에 근거한 고찰 대상으로 연출에서 있어서 기능과 장식적 측면의 요소를 1형태/패턴 2재료 3색상으로 분석한다. 분석 방법으로 형태와 패턴은 TTSS 형태환, 재료와 색상은 고바야시의 이미지 스케일을 도입하여 포지셔닝 방법으로 스타일을 분석한다. 나아가 분석 방법의 포지셔닝의 기준을 설정하기 위해 제 2절에서는 사례분석을 위한 예비적 고찰로 바로크시대에서 현재 포스트 모던니즘까지 동ㆍ서양의 시대적 리빙스타일디자인을 고찰함으로써 포지셔닝에 대한 기준을 설정한다. 이러한 분석방법을 통하여 제3절에서는 한국의 모델하우스, 제4절에서는 중국의 모델하우스를 기능과 장식적 연출요소로 나누어 고찰한다. 그리고 제5절 에서 3장의 전체를 정리한다. <제 4장 한국과 중국의 모델하우스에서 리빙스타일디자인 비교>에서는, 사례조사의 비교를 정리하고 있다. 제 1절에서는 모델하우스에 대하여 제 2장의 이론을 근거로 하여 한국은 주민을 위한 문화공간으로 활용하며, 중국은 생활 공간인 아파트로 사후 활용도가 상이하며, 제 2절에서는 공간구성의 비교로 음식문화의 차이에서 오는 한국과 중국의 생활공간구성에 관한 차이점을 발견한다. 제 3 절과 4절은 한국과 중국의 연출에 관한 비교로 기능과 장식적 측면의 스타일을 도출함으로써 한국은 1미니멀 스타일 2 캐주얼 스타일 3하이테크 스타일로, 중국은 1 신고전 스타일 2 미니멀 스타일 3 하이테크 스타일로 리빙스타일디자인에서 선호하는 스타일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도출했다. 제 5 절에서 한국과 중국의 리빙스타일디자인의 요소의 연출 특성에 관한 비교로 유사점과 차이점을 총 정리한다. 마지막으로 <제 5장 결론>에서는 이하3항목, 즉, 1. 모델하우스의 사후 관리 비교, 2. 음식문화에 따른 생활공간구성의 비교, 3. 리빙스타일디자인의 연출 선호도 비교에서의 차이점과 유사점을 본 논문의 결론으로서 논하며, 한국과 중국에서 리빙스타일디자인의 비교를 통하여 문화적 차이에서 오는 연출의 기초적 자료 활용 및 향후 동아시아의 중심시대에 각국의 주거문화에 대한 가치를 이해는 방향으로 본 논문 전체를 맺고 있다.

      • 도자브랜드의 확장 경향에 관한 연구

        곽수경 숙명여자대학교 라이프스타일디자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1711

        본 논문은 도자브랜드에 대한 디자인 측면과 마케팅 측면을 분석함에 있어서, 확장 특성을 밝히고자 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도자기와 브랜드 확장의 정의와 유형에 대하여 논하고 도자브랜드의 사례 조사를 통하여 디자인 측면은 장르 믹스, 소재 믹스, 스타일 믹스로, 마케팅 측면은 라인 확장, 카테고리 확장으로 분석함으로써 도자브랜드의 브랜드 확장 및 다각화의 방향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제1장의 서론, 제2장, 제3장의 본론, 제4장 사례 분석 및 제5장 결론으로 구성된다. <제1장 서론>에서는 본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연구의 범위 및 방법, 선행연구에 관해 논한다. 또한 시대적 대상이 되는 도자 브랜드는 국내 백화점 본점에 입점해 있는 도자브랜드를 일차적으로 한정하며, 글로벌 브랜드이면서 역사가 40년 이상인 브랜드를 2차로 선정한다. <제2장 이론적 고찰>에서는 도자브랜드의 기초가 되는 도자기의 정의와 유형, 스타일에 대하여 제1절에 논하고, 제 2절에서는 브랜드 확장의 정의와 유형, 브랜드 다각화에 관하여 고찰한다. <제3장 도자브랜드에 관한 확장 사례 조사>는 제 2장에 근거하여 연구의 전제로 제 1절에서는 도자브랜드의 연대별로 분류하여 도자브랜드를 고찰한다. 도자브랜드의 조사대상은 국내 백화점 본점에 모두 입점한 15업체의 도자브랜드로 선정하고 분석요소는 디자인 측면에 있어서 ①장르 ②소재 ③스타일로 나누어 사례를 조사한다. 제 2절에서는 마케팅 측면에서 본 도자브랜드를 브랜드 확장 요소인 ①라인 확장 ②카테고리 확장으로 나누어 고찰한다. 그리고 제 3절에서는 정리된 특성을 종합한다. <제4장 도자브랜드의 확장 사례의 분석 및 특성>은 제1절에서는 도자브랜드의 연출에 관한 비교로 장르 믹스, 소재 믹스, 스타일믹스의 확장 특성을 도출한다. 제2절에서는 장르 믹스에서 ①인물 확장 ②직능 확장 ③타브랜드 확장 ④캐릭터 확장, 소재 믹스에서는 ①소재 믹스 ②소재 변화 ③기타 소재, 스타일 믹스는 ①elegant 스타일 ②classic 스타일로 도자기에서 나타난 디자인 확장 사례의 선호하는 스타일을 도출하였다. 제3절에서는 도자브랜드에 대하여 제 2장의 이론을 근거로 하여 도자브랜드 확장이 국내외는 라인 확장이 일어나고 있었고, 국외는 카테고리 확장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제 4절에서는 국내외 도자브랜드의 특성을 유사점과 차이점으로 구분하여 정리한다. 마지막으로 <제5장 결론>에서는 이하 3항목, 1. 도자브랜드의 디자인 2. 브랜드 확장의 비교 3. 도자브랜드의 발전 방향을 연구의 결과로 제시하여, 국내와 국외의 도자브랜드 확장 경향과 디자인의 비교를 통하여 앞으로 도자브랜드의 발전 방향에 대한 디자인 측면 및 마케팅 측면에서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전략적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선물포장디자인 유형에 관한 연구 : 국내 사례를 중심으로

        박혜숙 숙명여자대학교 라이프스타일디자인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1695

        산업화, 도시화, 디지털화로 표현되는 현대사회에서 역설적으로 인간관계는 더욱 중시되고 있다. 끊임없이 이루어지는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이를 유지, 발전시키고 심화하는 도구로서 선물은 자주 이용된다. 단순한 재화의 증여가 아닌, 상대방에 대한 관심과 배려에서 비롯되는 감성과 메시지의 전달 도구로서 선물은 인간관계에서 매우 유효한 미디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의 라이프스타일에서 이루어지는 선물과 선물포장디자인의 역할과 가치를 알아보고, 아울러 선물포장디자인의 구조와 유형 분석을 통한 시사점을 도출해 보았다. 현재 우리 생활에서 이루어지는 선물의 기능은 의사전달의 기능, 사회적 교류 기능, 경제적 기능, 사회화 기능으로 대별되고 있다. 선물포장디자인은 이러한 선물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배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선물포장디자인은 계절, 명절, 기념일, 이벤트 등 선물의 용도에 따라서 포장소재, 액세서리, 색상 등의 이미지를 포함하여 고려해야 한다. 그리고 현재 유행하는 선물포장디자인을 선물이 가지는 메시지의 테마별로 의미적 유형, 디자인의 부가적 액세서리 유무에 따른 방법적 유형, 그리고 현재 선물포장디자인의 트렌드인 자연주의의 접목을 고려한 적용적 유형으로 분류하여 그 특색과 시사점을 알아보았다. 의미적 유형으로는 메시지의 내용에 따라 축하, 존경, 감사, 사랑으로 구분하여 디자인의 내용과 특징을 알아보고, 방법적 유형으로는 단순형과 복합형으로, 그리고 적용적 유형으로는 자연주의 트렌드 중 환경 친화적인 콘셉트를 반영한 그린디자인, 리사이클링디자인, 그리고 우리의 전통의 색감과 문양을 반영한 전통 포장 디자인으로 나눠 보고 디자인의 내용과 특징 등을 분석했다. 그중에서도 적용적 유형에 나타나는 자연주의는 환경 친화적인 21세기의 가치를 포장디자인에서 어떻게 표현되고 있고 어떻게 전개되어야 하는가 하는 문제로 매우 중요한 시사점을 보여주고 있다. 환경문제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생활쓰레기의 상당부분이 과도한 포장, 환경문제를 고려하지 않은 포장 재료로 인해 기인하고 있으며, 선물포장디자인에 있어서도 앞으로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한 디자인 요소라고 볼 수 있다. 그래픽디자이너 밀톤 글레이저(Millton Glaser)는 디자이너의 사회적 역할을 강조한 바 있으며, IBM의 CEO였던 토마스 왓슨(Thomas Watson)은 자신의 저서「Good design is Good business」에서 디자이너는 시대를 넘어서 자신의 디자인이 직업적으로 문화적으로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자각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최근의 상업패키지디자인이 기업들의 적극적인 연구개발과 투자로 큰 발전을 이루고 있는 데 비하여 지금까지의 국내 선물포장디자인 분야는 단순한 선물의 포장기능 분야로 다루어져 왔다. 그중에서도 소재나 기능 분야에 편중되어 발전되는 과정에서 디자인에 대한 체계적이고 심도 있는 연구가 부족했다고 본다. 국내 선물포장디자인 분야도 시대의 흐름을 적극적으로 반영해야 함은 물론, 시각디자인의 한 분야로서 소재, 교육, 관련 서비스 분야의 발전에 부합하는 체계적인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Ironically, human relationship is getting important in industrialized, citificated and digitalized modern society. In continuous relationship with others, people usually use the present to keep and develop the relationship. The present is regarded as very useful medium only for giving goods but also for delivering emotion and message with concern and care. In this study, I identified the role and value of the present and gift wrapping design in our life-style and concluded some issues by analysis of the structure and type of gift wrapping design. Currently, the function of present is classified generally into communication, social interaction, economical interchange and socialization. These functions are effectively increased by gift wrapping design. For gift wrapping design, it should include the image of wrapping material, accessory and color etc for season, festival day, ceremony and event etc. And I identified the property and issue of currently prevailing gift wrapping design by analyzing it with thematic meaning type of the message in the present, methodological type of additional accessory and application type of naturalism. I divided the message by its contents into celebration, respect, appreciation and love for the meaning type, into simple type and complex type for the methodological type and into green design, recycling design and traditional design for application type and discussed the contents and features of design. Among those types, naturalism of application type reveals very important issue about how environmentally-friendly value in 21st century is expressed in gift wrapping design and how it should be developed. Most of domestic waste that are most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 are caused by overused wrapping and unenvironmental materials and it is necessary to take aggressive action of design field for gift wrapping design. Milton Glaser, graphic designer, has already pointed the social role of designers and Thomas Watson, former CEO of IBM, argued that designers should understand the impact of design on the society in vocational and cultural side. Comparing to recent substantial development of industrial wrapping design with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investment, domestic gift wrapping design has been regarded just as simple wrapping function. Especially, I think that there was little study which are well-organized and deepen as it is developed just by materials and functions. For the field of domestic gift wrapping design, I believe that the field should include the trend of the times and it is necessary to conduct studies continuously for the development of materials, education and related-service field.

      • 착시현상 표현방법을 적용한 화예디자인 연출 : 작품 ‘융融’을 중심으로

        홍슬기 숙명여자대학교 라이프스타일디자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1695

        Audiences viewing of work in the current twenty first century not only prefer to a new, fresh, interesting item but also desire a strong visual effect's work design. Therefore various expression methods in the flower design are developing nowadays. And it is maintained and developed into a convergence or conflation of the studies through the interdisciplinary approach. At that points this study's primary object in view is to get it's effectiveness by linking between flower design and optical illusion which is expanding into the diverse fields, i.e. picture, sculpture, construction, advertisement, and so forth. The optical illusion is captured people's powerful imaginations because of appearing into psychological disturbance for the sake of paralyzing with sensibility and characterizing as the instant response. But the optical illusion is a normal phenomena by sight generally. Communications and interesting needs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audiences in the flower design are required further recent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realize the visual experimental works by utilizing the interesting optical illusion such as an method of all flower design's expression methods. This study classified the optical illusion's expression methods in the audience's perspective and in the author's perspective. And analysed the optical illusion's effect through the case investigation research. In the case investigation, this study analysed various optical illusion's expression methods which is utilized in the construction, advertisement, etc. and classified into participation and intension as to participative illusion, recognition and camouflage as to interesting illusion, shapes and extension as to delusive illusion in the audience's perspective. And in the formative experiment by the author's perspective., this study indicated the effecting which is combined with virtual image and reality state and is expended to the space inside by reflation of light in shapes and extension as to delusive illusion's expression methods, which is connected visually when objects are arrived at intensive fixed time point in intension and shapes as to participative illusion's expression methods, which is hushed up and is assigned to new meaning at fixed time point in camouflage and intension as to interesting participative expression methods, and which is camouflaged with extended space according to the light's reflecting in extension and camouflage as to delusive interesting expression methods. In the research work, the concept and image of 'young' is configured as that " dissolves in space, break bounds circle is 'young' ", " be a long time, layer of plain is 'young' ", " opens onto anything, aggregation of virtuality and reality is 'young' ", and " gains prosperity, spread of axis is 'young' " through suggestion in the author's perspective. It is expressed in diffusion and depth by the light's reflection and becomes one of the work through the 'dissolves in space'. It is attracted voluntary participation from audiences and concentrated attentions and curiosities by the architectural form's view at that fixed point through the 'be a long time'. And it is communicated with mutual feelings between author and audience and is felt interesting from recognition process of work through the 'opens onto anything'. It is displayed ambiguity of boundary by the unlimited extension and repetition of objects through the 'gains prosperity'. This study proposed a guideline about the creative activities utilizing optical illusion in flower design. Also the study is uniquely distinctive from existing researches regarding optical illusion by a criteria in author's perspective and audience's perspective. Particularly this study is realized basing on the ideas of optical illusion which is a new expression method on third dimensional space display in the flower design. Throughout such a outstanding artistic value and meaningful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study, audiences of art work heighten an effect on the freshing and interesting in the work world. 21C 오늘날 관람자들은 예전과는 달리 새롭고 신선하며 흥미로운 아이템을 선호할 뿐 아니라 강한 시각적 효과를 선보이는 예술디자인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화예디자인의 표현방법이 다양해지고 타 학문 영역과 경계가 모호할 정도로 상호연계에 의한 통섭과 융합 형태로 나아가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시각예술 분야에도 큰 영향을 미쳐 건축, 회화, 조각, 광고 등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착시현상을 화예디자인과 연계함으로써 그 실효성을 거두고자 한다. 착시는 보는 사람들로 하여금 불확실성과 애매모호한 시각적 불안감을 조성하는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에 강력한 시각적 효과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그러므로 화예디자인의 표현방법으로써 착시를 활용하게 되었을 때 예술작품에 새롭고 흥미로운 영향을 미칠 수가 있다. 이러한 착시현상은 정상적인 지각의 한 형태이므로 은연중 일상에서도 주변 환경을 인식함에 있어서 아무 거리낌 없이 생활해 나갈 수 있게 해 준다. 오늘날의 화예디자인은 보고 감상하는 차원에서 벗어나 관람자들의 참여에 의한 소통이 요구되기 때문에 아름다움을 비롯한 그 안에서의 관람자의 참여성과 재미를 통한 흥미성이 요청된다. 그러므로 착시의 흥미로운 시각적 요소를 화예디자인 표현방법으로 활용함으로써 시각적인 체험 작품을 구현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착시의 표현방법을 관람자적 관점과 작가적 관점에서 유형화하였고 사례조사를 통해서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사례조사에서는 건축, 광고 등의 각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착시현상의 표현효과 및 표현방법의 사례들을 분석한 후, 관람자적 관점에서 참여적 착시에서의 참여성과 의도성, 재미적 착시에서의 인지성과 위장성, 착시적 착시에서의 형상성과 확장성으로 유형화하여 심층조사를 실시하였다. 조형실험에서는 화예디자인 작품을 실현함에 있어서 작가적 관점의 표현을 통하여, 착시적-착시적 표현방법의 형상성-확장성에서는 빛의 반사에 의한 허체와 실체의 결합과 공간의 확장 효과를, 참여적-착시적 표현방법의 의도성-형상성에서는 의도된 고정시점에 이르렀을 때 개체들이 시각적으로 연결된 형태의 효과를, 그리고 재미적-참여적 표현방법의 위장성-의도성에서는 고정된 시점에서 사물의 은폐효과와 새로운 의미부여 효과를, 착시적-재미적 표현방법의 확장성-위장성에서는 거울의 반사에 의한 확장된 공간의 위장적 효과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작품에서는 작가적 관점에서의 제안을 통해서 작품 ‘융融’을 구현하는 단계로 ‘녹이다-원형圓形의 탈脫은 융이다’, ‘오래다-평이平易의 겹은 융이다’, ‘통하다-허실虛實의 合합은 융이다’, ‘성하다-축畜의 번짐은 융이다’로 작품의 컨셉과 이미지를 설정하였다. ‘녹이다’를 통해 반사에 의한 작품의 확산과 깊이 감각을 표현하였고 실체와 허체를 합쳐서 하나의 작품으로 구성하였다. ‘오래다’를 통해 고정 시점에서의 입체조형 관람에 의한 관람자의 참여를 유도했을 뿐 아니라 호기심과 주의력을 집중시켰다. 그리고 ‘통하다’를 통해 고정 시점에 따라서 형이 변하는 모습을 체험하게 함으로써 관람자와 작가간의 상호소통이 이루어지게 하였으며 작품의 인지 과정에서 오는 유희성을 느낄 수 있게 하였다. ‘성하다’를 통해 공간의 무한한 확장성과 사물의 반복에 의한 경계의 모호성을 나타내 주었다. 이러한 본 연구를 통해서 착시현상의 표현방법을 화예디자인에 적용함으로써 화예디자인의 창작활동에 따른 착시활용의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착시현상을 유형화함에 있어서 관람자와 작가의 관점에서 그 기준을 설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착시현상 연구에 나타난 표현방법과 뚜렷한 차별성이 있다. 따라서 화예디자인의 3차원 공간 연출에 있어서의 새로운 표현방법인 착시에 착안하여 본 연구를 실행하였다는 점에서 큰 연구의 가치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의 의의와 예술적인 가치를 통해서 예술작품에 대한 관람자들은 새롭고 신선할 뿐 아니라 흥미로운 세계로 빠져들 수 있는 시각적 효과를 느낄 수 있게 되었다.

      • 푸드스타일링을 위한 화예조형요소의 연출 기법

        박성연 숙명여자대학교 라이프스타일디자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1695

        현대의 다양한 문화발달은 식공간에서도 시각적인 고도화를 이루며 발전하여 왔다. 음식은 이제 맛과 향을 넘어서 시각적인 조형연출의 발달로 인해 예술의 일부분으로 인식되고 있다. 푸드스타일링은 음식에서의 시각적 조형연출로서 시각적 고도화를 다루는 분야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푸드스타일링 사례에서 나타난 화예조형적 특징을 분석하여 푸드스타일링 창작에 적용 가능한 체계적 가이드라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인간은 자연을 떠나서 살아갈 수 없는 존재이다. 자연은 인간을 둘러싼 환경이며 생명의 음식을 제공하는 관계에 있다. 그럼에도 현대 도시 중심의 삶은 인간의 환경을 자연에서 벗어나 인공적인 공간에 머물게 하고 있으며 화예조형은 이러한 인공 환경에 자연을 교감할 수 있도록 발전되어 온 분야라 할 수 있다. 푸드스타일링의 조형미는 자연적인 부분과 인공적인 부분으로 나뉘어 볼 수 있으며, 푸드스타일링의 자연적 범주에서 화예조형적 접근은 매우 긴요한 분야이다. 자연성은 푸드스타일링의 기저이며 이러한 맥락에서 구현되어야 할 자연적 조형미를 푸드스타일링 사례 분석을 통하여 화에적 연출의 가능성을 찾고 조형어휘로 분석하여 새로운 푸드스타일링의 방법론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사례로서는 웹상과 문헌 검색을 통하여 세계적인 요리사, 세계적인 레스토랑 등의 검색어를 통하여 얻은 500여장의 음식이미지에서 중복되거나 목적과 맞지 아니한 것을 제외한 200여장의 음식이미지를 질적 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방법론으로 근거이론방법론을 적용하여 개념을 분석하고 통합하여 화예적 연출의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였다. 많은 요리사들이 직관적이고 암묵적으로 사용해 온 화예적인 연출 방법을 이론적으로 체계화하여 28가지의 함축개념을 추출하였다. 함축개념은 형태이미지의 상징, 상황이미지의 상징, 유사색 연출, 액센트, 중앙 장식, 바닥 장식, 회화적 연출, 형식적 연계화, 내용의 연계화, 기하학적 입체연출, 기하학적 평면연출, 자유로움, 둘레장식, 보색대비, 입체오브제화, 오브제장식, 도구사용, 선택가능, 유니트 분리, 유니트 포인트, 유니트 거리, 식기변환, 지배적 장식, 선적인 변화, 명암대비, 색상대비, 대칭연출, 질감대비 등이다. 이러한 함축 개념을 분류·통합하여 상징화, 자극화, 기능화, 장식화, 조형연출로 분류하였다. 다시 상위개념으로 강화와 연출의 범주로 재분류하여 이론적으로 체계화하였으며 푸드스타일링 상의 화예적 연출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푸드스타일링 상의 화예적 연출을 연구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과 화예디자인의 전문적인 영역의 확대를 모색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화예적 가이드라인은 화예 및 푸드스타일링의 교육자료 또는 실제적인 개인의 창작의 가이드라인으로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Dining space design has been highly developed with more visual performance along with cultural development of modern society. Food has been recognized not only by as its taste and flavor but also as a part of art through development of visual and formative coordination. Food styling is a field of dealing with visual performance as visual and formative coordination. This study aims for conducting glower formative attributes of food styling area. It is particularly focusing on expressing floral design guidelines which can be systematically applied. Humanity cannot live without nature. Nature is the environment which is surrounding human beings and is also related to providing the food of life. Nevertheless, modern city centered life forces humanity to leave nature and to live within the artificial space. Floral design has developed into a field which has been able to commune with nature. Coordinating beauty of food styling is classified with natural parts and artificial ones. Floral design approach in natural parts of food styling is a very significant field. Food styling is based on naturality. In these context, natural coordination beauty is presented as a possibility of coordination and is analyzed with terms of coordination through analyzing food styling examples in order to find new methodology of food styling. As research examples, 200 food images out of 500 food images which were collected by literature reviews and web searching of famous cooks or famous restaurants in the world, except overlapped or unfit purposed, were intuitively analyzed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Attributes of floral design direction were drawn by applying, analyzing, and integration into grounded theory methodology. Floral design intuitively and implicitly used by many cooks were selected as 28 implied concepts with theoretically systematized. These implied concepts include such as symbol of shape image, symbol of situation image, similar color coordination, accent coordination, centerpiece, floor decoration, pictorial coordination, formal connection, content connection, geometrical solid figure, solid object, geometrical plane coordination, undestructiveness, border decoration, complementary color contrast, object background coordination, method usage, selection possibility, unit separation, unit emphasized coordination, street coordination, tableware coordination, overpower decoration, linear change, contrast between light and shade, color contrast, and symmetrical coordination, texture contrast etc. These implied concepts are classified and combined into symbolization, stimulation, functionalization, decoration, and formative coordination. Categories of reinforcement and coordination are reclassified and are theoretically systematized as superior concepts and are reached in floral coordination guide line in terms of the food styling. For the first time, this study deals with floral design in terms of food styling, which has never been of research subject before. It also has a great significance for the enlargement of professional area of floral design. It is anticipated to be used as educational or practical materials of personal uses in accordance with floral design attributes.

      • 디자인 분야에 나타난 FUN 연출 사례연구 : 시대별 주 경향 분석을 중심으로

        이혜문 숙명여자대학교 라이프스타일디자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1695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method and developmental aspect of expressions related to the changes with time. The case of representation of 'fun' in the field of design will be explained with the basic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production design, characterization and representation techniques of 'fun'. Modern society is flooded with new information. And for the contemporary people looking for information, visual expression of information is delivered more effectively compared to the language expression. This information delivery method gives modern people the visual satisfaction, and it uses 'fun' as a distinguished way to communicate. Before organizing expression techniques and methods for 'fun' in the field of design, the characteristics of 'fun' are visualized by incorporating description of a situation or an object, visual modification with changing locations, and conversion of functions into the aspect of expression development.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methods of 'fun' and the aspect of expression development according to different times. And we present the flow of “fun” expression by different eras as the fundamental data. This study is titled as 'A Case Study of Fun Direction in Design Field' and is organized into Chapter 1 Introduction, Chapters 2 and 3, Chapter 4 Theoretical Understanding, and Chapter 5 conclusion. In Chapter 1 Introduction, the originality of this study is shown through the background, purpose, scope, method, and preceding studies. Chapter 2 consists of production design and theoretical background of 'fun'. Section 1 defines the concept of production design and discusses about the visual aspect and meaning of information and the aspects of functional information in the production design. Section 2 considers the general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fun', and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fun' were derived using dictionary definition and internet word search tool. In addition, expression techniques and methods to visualize the characteristics of “fun” were studied. Chapter 3 is based on Chapter 2, with Section 1 discussing about the case study overview and methods. The scope of analysis was from 1950 to 2013, classified into four eras based on the design companies and the core keywords of the eras, concentrated on the images containing “fun” characteristics in the field of designs. For the image analysis method, Kobayashi image scale was used with the positioning method to analyze the expression method and developmental aspect. With this analysis, in Section 2, the visualiz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fun” and the expression technique and flow of methods in the fields of ①advertisement ②products ③space ④fashion were based to derive aspects of expression development of “fun” by eras in the ①visual modification ②functional conversion. In Section 3, the entire Chapter 3 is summed up. Chapter 4 drew the flow of 'fun' representation and expression by different eras based on the case studies of products, space, and fashion design, to derive the characteristic of 'fun' representation with the changes in time. In Section 1, with the characteristic of 'fun' expression, the flow of characteristic is emphasized on friendliness, and gradually emphasized on humor and contradictoriness. In Section 2, as the expression method of 'fun', strong image expression is progressively emphasized into story telling. Section 3 derives the flow of visual modification gradually enhancing into functional conversion, in the aspect of 'fun' expression development. Section 4 presents comprehensive summary of the characteristic of flow in the production of “fun” applied in the field of design. Finally, in Chapter 5,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laid out in Sections 1-4. In the field of production design, ①expression characteristic ②expression method ③expression development aspects of the characteristics is suggested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ime, and the direction of 'fun' expression for the flow of future production is presented as the basic data in this entire study. 본 논문은 디자인분야에서 나타나는 펀(fun) 연출의 사례를 해명함에 있어 연출디자인의 개념과 펀(fun)의 특성 및 표현 기법을 기본 이해에 두고 펀(fun)의 특성을 시각화하는 표현 방법과 표현전개 측면에 관하여 시대적 흐름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현대 사회는 새로운 정보 홍수로 인하여 정보를 습득하는 현대인들에게는 언어적 표현보다 시각적 표현이 정보를 전달함에 있어 효율적이다. 이러한 정보전달 방법은 현대인들의 시각을 충족시키고, 차별화된 방법으로 펀(fun)을 소통의 수단으로 이용한다. 디자인분야에서는 펀(fun)의 표현 기법과 방법을 구성하기 이전에 표현 전개 측면을 어떤 상황이나 대상의 내용 및 위치를 바꾸는 시각적 변형과 기능적 전환으로 설계하여 펀(fun)의 특성을 시각화한다. 본 연구에서는 펀(fun)의 특성 및 방법 그리고 표현 전개측면을 시대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시대적 펀(fun)의 표현 흐름 특성을 기초적 자료로 제시한다. 이에, 본 논문은 ‘디자인 분야에 나타난 FUN 연출 사례연구’라 제목하고, 제 1 장 서론, 제 2, 3, 4 장의 이론적 이해 및 본론 제 5장을 결론으로 구성한다. 제 1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목적, 범위 및 방법, 선행연구를 통해 본 연구의 독창성을 밝힌다. 제 2장 연출 디자인과 펀(fun)의 이론적 배경으로, 제 1절은 연출디자인의 개념을 정의하고, 연출 디자인이 갖는 정보의 시각적 측면과 의미·기능정보 측면을 논한다. 제 2절은 펀(fun)에 관한 일반적 개념과 특성에 대한 고찰로 펀(fun)의 사전적 정의와 인터넷 어휘망 툴(tool)을 통해 나타나는 일반적인 펀(fun)의 특성을 도출한다. 아울러 펀(fun)의 특성을 시각화는 표현 기법과 방법에 관하여 고찰한다. 제 3장에서는 제 2장을 근거하여, 제 1절에서 사례 분석 개요 및 방법에 대해서 논한다. 분석 범위는 1950년에서 2013년까지로 디자인 사 및 시대의 핵심 키워드 근거로 4개의 시대로 분류하여 디자인 분야에서 펀(fun) 특성이 적용된 이미지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이미지 분석방법은 고바야시 이미지 스케일을 도입하여 포지셔닝 방법으로 표현 방법과 전개 측면을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 방법을 통하여 제 2절에서는 ①광고 ②제품 ③공간 ④패션 디자인의 분야의 펀(fun) 특성을 시각화하는 펀(fun) 특성과 표현 기법 그리고 방법의 흐름을 바탕으로 시대별로 나타나는 펀(fun)의 표현 전개 측면을 ①시각적 변형 ②기능적 전환으로 도출한다. 그리고 제 3절에서는 3장의 전체를 정리한다. 제 4장에서는 시대별 펀(fun) 연출의 표현 흐름 도출로 광고, 제품, 공간 그리고 패션 디자인 분야의 사례조사를 바탕으로 펀(fun) 연출의 시대적 흐름 특성을 도출했다. 제 1절에서는 펀(fun)의 표현 특성으로 특성의 흐름은 친근성에서 점차적으로 재치성과 모순성을 강조한다. 제 2절에서는 펀(fun)의 표현 방법으로 강한 이미지를 표현하는 것에서 점차적으로 스토리성을 강조한다. 제 3절에서는 펀(fun)의 표현 전개 측면으로 시각적 변형에서 점차적으로 기능적 전환이 증가되는 흐름을 도출했다. 제 4절에서는 디자인에서 펀(fun)이 적용된 디자인 분야의 연출 흐름의 특성을 종합소결로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제 5장은 제 1장부터 제 4장까지 나열한 본 논문의 요약으로 연출 디자인 분야에서 펀(fun)의 ①표현 특성 ②표현 방법 ③표현 전개 측면의 시대적 흐름의 특성을 제시하며 향후 연출 디자인에서의 펀(fun)의 표현 방향을 기초적 자료로 제시하며 본 논문 전체를 맺고 있다.

      • 리빙디자인에 적용된 아트모티브 : 매체미학적 관점에서의 '-graph'와 'iconology'개념을 중심으로

        김정아 숙명여자대학교 라이프스타일디자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1695

        This thesis is about the study of art-motifs and applications of the art-motif which is useful in a Living Design, as a new design category. At the first, basically the definition of a living design and art-motif is announced and then, the case studies of design and art-motifs is presented to derive characteristics of art-motifs and the applications from the design process. The case study and analysis is from the view point of Medien&auml;sthetik. This thesis is “"Art-motif in Living Design”" and consisted of the title, the first introductory chapter and 2,3,4 of main chapter and conclusion chapter. <Chapter 1 Introduction> is the background, purpose and significance, scope and method of the research. The definition of a living design and art-motif and the summary of other precedent studies also belong to this section. <Chapter 2 Living Design and Medien&auml;sthetik>is the chapter for theoretical insights. Section 1 provides that the concept of living design is design for human life and something alive and it would be the main theme to developing human’'s future life. Section 2 is an announcement of Medien&auml;sthetik as a new view point of aesthetics which runs parallel with a science and new media having characteristics that it is from the considering a world of image, attentive process of acceptance and acceptor, and it also backs up the art as enjoy or having fun. <Chapter 3 Case studies> presents many kinds of design such as graphics, fashions, products, space which art motifs are applied. The cases are from the insights of art history, design works and mass media including web searching. It also provides the idea that the design with art-motif is a kind of visual communications and the designer and the public who is going to use the design products should be the main agents of the communications. The analysis of this case study is that the process of making art motif for design is considered as an element of visual perception and outcome of design or reactions of user as an element of understanding. <Chapter 4 The deduction of key points from the view of Medien&auml;sthetik>is suggestion of ‘'-graph’' and ‘'iconology’' as important concept in design with art motif. In this visual communication, between designers and users such as living design and art motif, ‘'-graph’' is a kind of starting points of semiotics which is based on aesthetic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aesthetic elements, ‘'iconology’' is a kind of understanding system admits diversity of meanings from the ‘'-graph’' the public take in. This idea and key points are related closely to media, living design, and Medien&auml;sthetik and can be the basic foundation developing and activating a living design, especially actual design processes, because life-close design become more popular and more familiar to the people and the mass media will function as well inevitably. Finally, < Chapter 5 Conclusion> summarizes this thesis and suggests the vision of the living design that the key words, ‘'-graph’' and ‘'iconology’' make the design process and tools verity and methodical, so as design has a helpful effect on human life and life style. 본 논문은 '리빙디자인'이라는 새로운 디자인 영역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아트모티브(Art Motif)와 관련하여, 이를 이용한 디자인 과정과 그 방법론적 특성을 학문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리빙디자인의 정의 및 아트모티브에 대한 이해를 기본에 두고, 리빙디자인에 적용된 아트모티브의 실제 사례를 분석하여 디자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커뮤니케이션과 디자인 과정상의 특성을 도출함으로써 이와 관련한 디자인 방법론적 탐구를 목적으로 하는 연구이다. 실제 사례의 분석은 매체미학적 관점이 그 토대가 되었다. 본 논문은 '리빙디자인에 적용된 아트모티브에 관한 연구'로서 제 1장 서론, 제 2, 3, 4장의 본론, 제 5장 결론으로 구성하였다. <제1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연구의 범위와 방법에 관해 논한다. '리빙디자인'과 '아트모티브'에 대한 용어 및 그와 관련한 선행연구에 대한 정리도 본 연구의 전제가 된다. <제 2장 리빙디자인과 매체미학>은 연구의 바탕이 되는 이론 및 개념에 대한 고찰의 장이다. 제 1절은 리빙디자인 개념과 발전 양상을 부연(敷衍)하고, 제 2절은 새로운 미학적 시각으로서의 매체미학에 대해 정리한다. '과학기술과 매체의 발달'이라는 시대적 배경을 공유하는 리빙디자인과 매체미학에 대한 이해는 본 연구에서 전개될 사례의 분석 기틀이자 핵심개념 도출의 학문적 토대가 된다. 본 연구의 주된 관점으로서, 이미지 중심, 수용과정 및 수용자 중심, 즐김의 예술을 표방하는 매체미학적 특성 또한 본 장에서 제시된다. <제 3장 사례 분석>에서는 미술사, 디자인 분야별 집성(集成), 대중매체 등을 통해 수집된 사례를 분석한다. 아트모티브를 적용한 디자인을 예술 작품, 디자인, 대중 사이의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으로 보고, 이를 행위 주체자인 디자이너 중심에서 세분화 하여 분석항목을 정리하되, 앞 장에서 언급한 매체미학의 특성에 입각하여 이미지의 지각과 대중적 수용 과정에 그 비중을 둔다. 디자이너가 예술 작품에 대한 경험을 바탕으로 그것을 모티브화 하여 새로운 디자인에 적용하게 되는 일련의 과정과 완성된 디자인을 통해 디자이너에서 디자인을 사용하는 사용자, 혹은 그것을 직,간접적으로 접하게 되는 대중에게 전달되어 지는 의미 체계를 앞서 언급한 매체미학적 특성에 부합시켜 사례를 분석 한다. 그러한 결과로서 예술 작품이 아트모티브화 되는 과정은 미적 경험과 인식 경험을 전제로 하는 시각적 조형요소로, 디자인 결과물과 아트모티브를 통한 디자이너와 대중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은 지시작용과 해석작용을 전제로 하는 인지적 의미요소로 분류될 수 있다. <제 4장 매체미학적 관점에서의 핵심 개념 도출>에서는 매체미학적 관점을 종합 정리함과 동시에, 제 3장에 근거하여 아트모티브를 적용한 리빙디자인의 과정의 핵심 개념을 제시한다. 디자인의 과정에서 아트모티브를 적용함에 있어, 사고의 전개 및 디자인의 방법, 대중적 수용의 단계에서 부각되는 이론적 체계의 분석 과정을 거치면서 본 연구는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의 체계의 시발점으로서 미적경험과 인식경험을 토대로 대중에게 제시되는 발화(發話)적 개념과 그것을 수용하게되는 대중의 이해 및 해석의 단계에 주목하게 된다.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의 발단이자 의미의 표현적 측면을 강조한 포괄적 개념, 즉 '~으로 그리다/ 쓰다'의 의미를 가지는 어미적 형태의 개념어인 '-그래프(-graph)' 와 디자인 결과물이 대중에 의해 이해, 해석되는 인지적 의미 요소인 수용(受用)적 개념인 '아이코놀로지(iconology)'가 주요 개념으로 제시된다. 또한, 이렇게 디자인 과정과 수용자 측면에서의 의미 전달 체계를 중심으로 하는 단계적이고 포괄적 개념의 고찰을 통해 20세기 이후 필연적으로 등장할 수 밖에 없었던 매체미학과 리빙디자인에 적극 활용되는 아트모티브, 그 디자인의 수용 과정에 근거한 연구의 당위성을 재확인 할 수 있으며, 이는 리빙디자인에 있어 다양한 방법론적 탐구의 토대가 됨을 언급한다. 마지막으로 <제 5장 결론>에 있어서는, 앞 장의 내용 및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서, 본 논문에서 새롭게 제시된 '-그래프(-graph)'와 '아이코놀로지(iconology)' 개념이 디자인학과 리빙디자인의 학제적 영역을 확장하고, 그 가치 실현의 의의를 가짐을 전망하며 본 논문 전체를 맺음 한다.

      • 이벤트 공간에서의 화예디자인에 관한 연구 : 패션쇼 스테이지를 중심으로

        유재은 숙명여자대학교 라이프스타일디자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1695

        디자인 아트센터 칼리지 총장 리처드 코샐렉은 “디자이너는 미래의 연금술사다.”라고 하였다. 디자인은 이처럼 삶의 질적 향상을 유발하는 핵심적 소재이며, 이에 인간의 의식은 점차 고급화된 라이프스타일을 지향하고 있다. 그런 흐름을 따라 일부 특권층의 전유물처럼 여겨졌던 패션쇼와 같은 문화행사는 현대인들의 중요한 관심사로 부각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부합하여, 패션쇼 스테이지를 기준으로 한 이벤트 공간의 통찰을 통해 인간의 의식변화에 대처하고자 연구되었다. 이에 패션쇼의 연출과 이의 소재로 화예디자인의 상호연계성을 고찰함으로써, 본 분야의 미학적 가치를 널리 알리고 새로운 인식과 위상을 확립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게슈탈트의 시지각 원리 이론을 통한 학문적 이론을 마련하여 패션쇼와 같은 일회적이고 즉흥적인 이벤트 공간 분야에서의 화예디자인의 적극적인 구현을 제시하고자 한다. 학문적으로 바탕이 된 게슈탈트 이론은 순수한 공간 해석을 바탕으로 부분과 전체의 관계성에 대해 다루는 학문으로, 부분으로의 화예디자인과 전체로의 이벤트 공간의 관계 형성을 통해 양 분야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 사료된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게슈탈트의 시지각 원리는 패션쇼 스테이지 연출구성의 시각적 기본요소로써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고, 유형화의 체계적인 표현요소로써 활용할 수 있다. 둘째, 화예디자인 적용으로 차별적인 패션쇼 스테이지를 창조해낼 수 있으며, 자연소재의 사용은 관객과의 교감을 형성하여 패션쇼의 목적을 달성하도록 하는 하나의 통로로써 충분한 미학적 가치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화예디자인분야에서도 시대에 흐름에 맞는 새로운 표현과 기법을 요구하는데, 게슈탈트의 시지각 원리는 현대 예술적 창작활동을 하는데 있어 근간이 되고, 새로운 공간을 표현하고 그 활동영역을 확장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벤트 공간의 연출이 다양한 디자인적 감각을 필요로 함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연구는 기획적 측면에서의 접근이 대부분이었다. 일회적이고 즉흥적인 공통점을 지닌 이벤트와 화예디자인 분야가 창출할 시너지 효과는 나아가 디자인 전반을 변화시킬 혁신적 요소로 다뤄질 것이다. 화예의 근본속성인 자연성과 생명성을 바탕으로 예술성과 디자인적 감성을 동시에 지닌 화예디자인 분야는 타 분야와의 적극적인 공감대 형성과 연계를 통하여 보다 심화·발전될 것이며, 이로써 후에 새로운 場을 열게 되기를 기대한다. “Designers are Alchemists in the future." mentioned by Richard Koshalek, President of Art Center College of Design. Design is the fundamental factor that motivates people to improve the quality of lives, with this, human consciousness are gradually following exclusive lifestyles. With the flow of life changing, cultural event such as fashion show previously regarded as exclusive possession to the rich, is becoming emphasized as important interests of people today. Corresponding to the stream of times, this thesis was written to adapt to the changing awareness through insight into the Event Spaces in terms of the Fashion Show Stages. By inquiring into the interrelation of fashion show's display and natural materials as design elements, it will contribute to popularize esthetic value and establish new cognition and status. Besides, it will suggest the materialization of the floral art and design at the event space area that is one-off and extemporaneous by providing a theoretical foundation through the visual perception principles of Gestalt. It is the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whole and parts based on purely spatial analysis. The floral art and design as a part and the event spaces as whole will positively affect both of them to form a relationship. The results, coming from this article are as follows. First, the visual perception principles of Gestalt is widely used as the visual basic factor of display design of stages and the typology of systematic expression. Second, applying the floral art and design could invent discriminative fashion show stages, and using natural materials provides sufficient aesthetic value as the medium that communicates with audiences to achieves show's goal. Lastly, the floral field needs fresh expression techniques along with the flow of times. Therefore, the principles become the ground rules that make current artistic creative work, and it render assistance to express new space and broaden its operations. Although the display of event spaces needs a great sense of design, most of the existing case analysis have been managed about an aspect of planning progress of the show. Both fashion show and floral art and design, have something one-off and extemporaneous in common, will not only generate a significant synergy effect but also become an innovative factor changing the design field in general. The floral art and design area based on nature and life has both artistry and sensibility of design, and it will deeply develop by sympathizing and connecting with others. With this, the present study expects that it will open up a new possibility in the future.

      • 리빙브랜드의 프로모션 디자인에 대한 연구 : 이케아(IKEA) 사례를 중심으로

        이솔지 숙명여자대학교 라이프스타일디자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1695

        본 논문은 최근 다양해진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리빙브랜드와 브랜드 이용자 간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판매촉진, sales promotion)을 위해 해외 리빙브랜드의 프로모션 디자인에 관한 특성을 도출하고, 이를 통해 향후 관련 국내 리빙브랜드의 프로모션 디자인에 그 기초 자료로 활용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2012년부터 2014년 10월까지 서울 및 경기도에 입점한 해외 리빙브랜드 중 국내 입점한 리빙브랜드와 국내 입점 예정인 리빙브랜드로 구분하여, 문헌조사와 실증조사를 병행하였다. 1차의 조사대상은 20~40대의 젊은 세대를 겨냥한 서울시 강남구에 위치한 브랜드(무지, 니코앤드, 리비에라 메종)로 선정하였고 2차의 조사대상은 최근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경기도 광명시에 입점예정인 이케아로 선정하였다. 이러한 연구 대상은 브랜드와 고객과의 접점인 그래픽 아이덴티티(G.I), 프로덕트 아이덴티티(P.I), 스페이스 아이덴티티(S.I)와 오프라인 (전시형, 퍼포먼스형, 체험형, 공모형, 캠페인형) - 온라인 (브랜드형, SEO형, SNS형, MPR형, 체험/리뷰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차 조사대상의 리빙브랜드는 오프라인인 전시형과 퍼포먼스형. 체험형의 G.I , P.I 프로모션 디자인 활동이 활발하였으나 상대적으로 공모형과 캠페인형 프로젝트형, 세미나형에서는 그 활동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반해 2차 조사 대상의 이케아는 해외 매장을 다수 보유하고 있는 글로벌 기업으로써, 세계적인 프로모션 디자인 활동이 관찰되었으며, 현재 국내에 입점된 해외 리빙브랜드인 무지, 니코앤드, 리비에라 메종에서 관찰 할 수 없었던 캠페인형, 세미나형, 프로젝트형에 해당되는 프로모션 디자인 활동이 나타났으며, 오프라인은 전시형을 통해, 온라인에서는 홈페이지 및 SNS를 통해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리빙브랜드 무지, 니코앤드, 리비에라 메종과 국내 입점할 이케아의 프로모션 디자인 사례분석을 종합적으로 정리해 보면, G.I, P.I 의 따른 프로모션 디자인이 S.I 프로모션으로 통합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S.I 프로모션 디자인의 특징으로, 독립된 부스공간의 구조로, 오픈형 ZONE을 형성하였고, 이용자의 이동 경로를 따라 제품을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이를 통한 자연스러운 프로모션 존(Promotion Zone)의 지향이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시장에 입점한 리빙브랜드 무지, 니코앤드, 리비에라 메종과 입점예정인 이케아를 통한 프로모션 디자인 방향을 G.I , P.I , S.I 의 총제적 디자인 방향으로 ´토탈 스페이스 디자인(Total Space Design,이하 TSD )화´ , 브랜드와 이용자의 접점을 강화하기 측면으로 ´퍼포먼스 & 체험 마케팅(Performance & Experience Marketing,이하 PEM )화´, 온, 오프라인 영역의 확장을 통한 이용자 중심의 ´증강현실 프로그램(Augmented Reality Program,이하 ARP)화´로 나누어 그 가능성을 제안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리빙브랜드와 이용자 간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프로모션에 관한 연구로써 국내 입점예정인 글로벌 라이프스타일 기업 이케아(IKEA)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했다. 이에 국내 토종 리빙브랜드들도 이러한 해외리빙브랜드의 프로모션 디자인의 매뉴얼을 통해 이용자와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방향에 좋은 선례가 될 것이라 기대해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