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재한 중국유학생의 여가활동유형이 여가만족도와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부타오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71

        최근에 중국유학생이 급격한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한국에 유학하는 동안 문화, 정치, 사회, 경제적인 차이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래서 여가활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여가 및 대학생활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찾기 위해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지역의 재한 중국유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이 많이 참여하는 여가활동 유형을 조사해 보고, 여가활동유형, 여가만족, 대학생활만족간의 영향 관계를 실증적으로 조사, 연구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는 설문지의 작성 및 검토, 예비조사, 수정을 통해서 본 연구의 조사를 진행하였다. 2013년 9월1일부터 9월20일까지 20일간 설문지의 작성 및 검토를 진행하였으며, 본 조사를 실시하기 전에 2013년 9월 말에 약 10일간 세종대학교, 건국대학교의 중국유학생 20명을 대상으로 예비 조사를 시행 하였다. 예비 조사를 진행한 후 설문지의 내용이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이나, 의미가 정확하지 않은 문항은 이해하기 쉽도록 재 수정하였다. 본 연구는 2013년 10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31일간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총 7개 대학교(세종대학교, 건국대학교, 한양대학교, 경기대학교, 단국대학교, 동국대학교, 상명대학교)의 어학원, 학부, 대학원에 재학 중인 중국유학생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한다. 조사방법은 자기응답기입법을 이용하여 총 300부를 배포하여 270부를 회수하였고 설문에 성의가 없거나 불명확하게 기재한 설문지 35부를 제외한 235부를 유효 표본으로 분석에 사용하였다. 표본의 일반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빈도분석을 실행하였고, 재한 중국유학생의 여가활동유형과 여가만족도, 대학생활만족도의 디테일 항목들을 영역별로 분류하기 위해서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실행하였으며, 측정도구에 대한 신뢰도를 장악하기 위해서 신뢰도분석(Reliabilit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각 변수간의 상관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관관계(Correlation)분석을 실시하였고, 변수들 간의 인과 관계를 파악하는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활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 논문의 실증분석 결과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유학생의 여가활동 유형은 여가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부분 채택되었다. 둘째, “중국유학생의 여가활동 유형은 대학생활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부분 채택되었다. 셋째, “여가만족도는 대학생활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부분 채택되었다. 상술한 결과를 기초로 중국유학생들의 한국에서 여가만족도와 대학생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그래서 재한 중국유학생이 한국사회를 많이 이해하고 같이 어울릴 수 있는 다양한 여가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한다. 또한 한국 현지 생활의 적응과 대학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여가에 대한 정확한 가치관을 정립시키고 적극적으로 여가활동을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야 한다. 그리고 중국유학생들은 언어장벽 문제를 극복하고 한국인 친구들과 함께 여가활동을 많이 참가하여야 한다.

      • 중국 대학생의 코로나 19 스트레스가 틱톡(TikTok) 중독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자기통제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LI ZHENGYANG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중국 대학생들의 코로나19 스트레스가 틱톡(TikTok) 중독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그리고 자기통제력의 조절효과에 대하여 탐색하였다. 인터넷을 통해 332명의 중국 대학 학부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대학생의 코로나19 스트레스와 틱톡(TikTok) 중독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자기효능감과 틱톡(TikTok) 중독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더 나아가 매개효과 분석에서, 자기효능감이 대학생의 코로나19 스트레스와 틱톡(TikTok) 중독 사이를 부분 매개하였다. 즉, 대학생의 코로나19 스트레스는 자기효능감을 감소시키며 이는 또다시 틱톡(TikTok) 중독 정도를 증가시킨다. 또한, 본 연구는 자기통제력이 대학생의 코로나19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 사이의 관계에 유의한 조절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즉, 자기통제력 수준이 높을수록 대학생의 코로나19 스트레스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상대적으로 작다. 이러한 발견은 대학생의 코로나19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틱톡(TikTok) 중독도를 낮추는 데 있어 자기효능감의 중요한 역할, 그리고 높은 수준의 자기통제력이 심리적 건강을 보호하는데 어떠한 효과를 가지는지 강조하고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틱톡(TikTok) 중독을 억제하는 구체적인 전략에 대한 탐색이 가능하다. The present study embarked on an exploration into the effects of COVID-19 induced stress among Chinese university students on their potential addiction to TikTok, with specific consideration towards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and the moderating role of self-regulation.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a sample of 332 Chinese undergraduate students via the internet. Findings from the analysis demonstrat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university students' stress derived from COVID-19 and their addiction to TikTok. In contrast, self-efficacy display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ikTok addiction. Expanding further in the mediation analysis, self-efficac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stress and TikTok addi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other words, the stress students experienced due to COVID-19 reduced their sense of self-efficacy, which in turn escalated the degree of their TikTok addiction. Additionally, the study identifie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self-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stress and self-efficacy. That is, the negative impact of COVID-19 stress on self-efficacy was relatively less among students possessing a higher level of self-regulation. These discoveries underscore the significant role of self-efficacy in alleviating university students' COVID-19 stress and reducing the degree of TikTok addiction. They also emphasize the effects of a high level of self-regulation in protecting psychological health. Future research could delve into specific strategies for suppressing TikTok addiction and enhancing self-regulation.

      • 인구감소 시대의 실용음악 전공 개선방안 : -입시, 교육제도를 중심으로-

        오성택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55

        실용음악 전공은 1980년대 말 대학에 설치되어 전국의 2·3년제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으로 점차 확산되었고, 오디션 프로그램과 K-pop 음악의 인기로 실용음악 전공의 지원자 수는 넘쳐나고 있다. 한편, 낮아진 출산율로 인한 인구감소 현상은 사회적인 문제로 주목되고 있으며 대학의 서열화와 수도권 대학 집중 현상은 실용음악 전공뿐 아니라 우리 사회 전반의 심각한 문제로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실용음악 전공은 대학 입학고사 점수와 관계없이 실기성적 위주로 학생을 선발해 왔으며 이는 심각한 대학 서열화와 재학생들의 거듭 지원으로 인한 몇몇 대학으로 집중되는 현상을 초래했다. 또한, 실용음악 전공은 보컬과 연주 위주의 선발과 교육과정을 고수하고 있기에 졸업 후 진로 선택이 어렵다. 또한, 대학 진학 후 기대에 못 미치는 수업 수준과 시설 및 환경은 진로에 대한 전공자들에게 불안감으로 다가온다. 실용음악 전공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현재 우리 사회가 직면한 인구감소 시대에 대학 모집 위기 해결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에 대한 연구를 위해 문헌 연구를 통해 실용음악의 의미를 고찰하고 인구감소에 따른 대학의 대응 방안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국내외 실용음악 전공 비교를 진행하고 다음 단계로 재학생과 졸업생, 교육전문가를 대상으로 FGI를 통해 실용음악 전공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를 진행하였다. 논의 결과 매년 증가하는 경쟁률과 늘어나는 지원자의 수로 인해 짧은 실기고사 시간의 해결과 교육의 질 개선이 필요하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또한, 실용음악 전공 지원 집중 현상 해결을 통한 입학자원 확보와 교육과정 변화를 통한 졸업 후 음악 산업으로의 진로 탐색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로 몇몇 대학으로 집중되는 현상을 개선하고 인구감소 시대의 실용음악 전공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시작으로, 후속 연구를 통해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문제에 대응하고 음악 산업을 통한 국가 경쟁력 성장까지 주도하는 학문으로 실용음악 전공이 발전되길 기대해 본다.

      • 무용전공 대학생의 신체이미지와 신체관리 및 무용수행 만족의 관계성 연구

        안진주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55

        논문요약 무용전공 대학생의 신체이미지와 신체관리 및 무용수행 만족의 관계성 연구 이 연구는 무용전공 대학생의 신체이미지가 신체관리 및 무용 수행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들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진행되었으며, 이를 통해 무용전공 대학생이 부정적인 신체이미지를 극복하고 보다 행복한 무용수행을 이루는데 도움이 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도권에 소재하고 있으며 무용과가 개설되어 있는 4년제 대학 5곳을 방문하였으며, 유의표집방법을 통하여 총 422명의 연구 대상자를 표집 하였다. 조사도구는 총 39문항으로 이루어진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 18.0을 사용하였다.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여 빈도분석과 t-test, 일월변량분석, 중다회귀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과 절차를 거쳐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무용전공 남학생은 여학생 보다 신체이미지의 하위요인 중 총체적평가가 높았으며, 신체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과 이상적 체형에 대한 열망은 여학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에 따른 신체이미지는 현대무용이 한국무용 보다 체형이 뚱뚱하다고 생각하며, 신체에 부정적인 생각은 발레나 현대무용보다 한국무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무용전공 대학생의 신체관리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다이어트관리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훈련관리와 정신관리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무용이 현대무용보다 정신관리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4학년이 1, 2, 3학년보다 다이어트관리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용전공 대학생의 무용 수행만족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기술적 만족이 높게 나타났으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심리적 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무용이 현대무용보다 심리적 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전공 대학생의 신체이미지가 신체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신체이미지의 하위변인 중 체형평가, 총체적외모평가는 훈련관리, 정신관리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정서는 훈련관리, 정신관리에 부(-)의 영향을 미치며 다이어트관리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키열등감은 훈련관리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용전공 대학생의 신체이미지가 무용 수행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신체이미지의 하위변인 중 체형평가, 총체적외모평가가 기술적 만족과 심리적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정서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키 열등감은 기술적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무용전공 대학생의 신체이미지와 신체관리 및 무용 수행만족의 인과관계를 살펴본 결과, 신체이미지는 무용 수행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신체관리를 통해 무용 수행만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 보면, 무용전공 대학생의 신체이미지 중 키나 외모 등 실질적인 자신의 외모에 대한 불만족은 훈련관리나 정신관리를 높이는 긍정적인 역할을 하지만 자신의 신체에 대해 부정적 정서는 다이어트관리만을 높일 뿐, 훈련이나 정신관리 등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신체이미지에 대한 부정적 평가는 자기관리를 통해 재선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며 무용전공 대학생이 심리적으로 신체에 대한 부정적 정서를 가지지 않도록 지나치게 외모만을 중요시하는 풍토가 개선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주제어 : 신체이미지, 신체관리, 무용수행 만족

      • 호텔·관광 전공 대학생이 지각한 교육서비스의 실행도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손은영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대학교육서비스 내용을 중심으로 학생들이 교육서비스에 대하여 어떻게 지각하고 있는 지를 검토함으로써 대학에서 제공하는 교육서비스의 내용들을 개선하여 학생에게는 교육서비스의 성과라 할 수 있는 대학생활적응에 도움을 주고 학교관계자(교수, 행정서비스 직원 등)에게 좀 더 나은 교육서비스의 제공함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IPA분석을 통하여 대학생들이 교육서비스를 제공 받기 전 가지는 사전 기대 즉 중요도와 교육서비스를 받고 난 후의 사후평가인 실행 도를 분석하였으며, 교육서비스의 실행도가 대학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대학과정(2년제,4년제) 및 학년별로 비교 및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인분석을 통하여 독립변수인 교육서비스의 실행 도는 시설복지, 취업진로, 행정지원, 강의방법, 강의내용, 인적 교류의 4가지 요인으로 도출하였으며 종속변수인 대학생활적응은 학교생활만족과 학과공부 및 학교생활적응이라는 2가지의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교육서비스의 중요도와 실행 도에 대한 차이분석 결과 학생들이 인식하는 교육서비스의 중요도와 실행도 간에는 모든 항목에서 중요도 보다 실행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생들이 교육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지 못하고 있음을 나타내며 따라서 대학은 교육서비스를 개선을 통하여 제공하여 교육서비스의 실행 도를 높여야 한다. 셋째, 대학과정에 따른 교육서비스의 세부항목별 중요도-실행 도를 분석한 결과, 2년제 대학과 4년제 대학모두 강의방법 부분에서 중요도와 실행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강의실 및 실습실 시설을 제외한 기타시설부분과 행정지원 분야는 중요도와 실행도 모두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요도는 높지만 실행도가 낮은 부분으로는 2년제 대학과 4년제 대학 모두 장학금 제도와 취업 및 진로정보 신속제공 항목으로 나타났다. 반면 취업 및 진로정보 신속제공항목은 2년제 대학에서는 중요도, 실행도 모두 높게 나타났지만 4년제 대학에서는 실행도가 낮아 노력이 집중되는 부분으로 나타났다. 2년제 대학에서는 강의시설이 중요도와 실행도 모두 낮아 저 순위로 나타난 반면 4년제 대학에서는 강의시설이 중요도에 비해 실행도가 과잉 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2년제 대학의 학년별 교육서비스 중요도-실행도 분석결과 저학년, 고학년 모두 강의방법부분은 중요도와 실행도가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취업 및 진로정보의 신속한 제공 또한 중요도, 실행도 모두 높게 나타났다. 저학년, 고학년 모두 장학금제도와 취업 및 진로상담•지도 항목은 중요도는 높지만 실행 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4년제 대학의 학년별 교육서비스 중요도-실행도 차이로는 먼저 저학년, 고학년 모두 강의방법분야에서 중요도와 실행도 모두 높게 평가되었다. 또한 저학년, 고학년 모두 장학금제도가 중요하지만 실행도가 낮다고 평가하고 있다. 장학금제도의 경우 학년과 학교에 상관없이 중요하게 인식하지만 실행 도는 낮다. 저학년의 경우 현장실습•실습수업통한 실무교육과 취업 및 진로정보의 제공, 취업 및 진로상담•지도가 중요도는 높지만 실행도가 낮은 것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고학년의 경우 동문과 재학생간의 유대관계가 중요도에 비해 실행도가 낮다고 평가하고 있다. 저학년, 고학년 모두 실습실과 강의시설을 제외한 기타 시설과 행정지원 서비스에 대하여서는 중요도, 실행도 모두 낮게 평가하고 있다. 여섯째, 교육서비스의 실행도가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검증을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교육서비스의 실행도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대학과정에 따라 차이가 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 1에 대한 채택은 부분채택 되었으며 세부 내용으로는 2년제 대학의 경우 교육 서비스중 강의방법과 강의내용의 실행도가 학교생활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년제 대학의 경우 교육서비스 중 강의방법의 실행도가 학교생활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IPA분석결과 2년제, 4년제 대학모두 강의방법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모두 높은 것과 함께 생각해볼 때 현재 교육서비스의 강의방법은 매우 좋은 수준을 나타내며 이는 대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4년제 대학의 경우 교육서비스 중 시설복지의 실행도가 학교생활적응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의 연구결과들과 같은 결과로서 학교의 물리적 환경이라 할 수 있는 시설복지는 학생들에게 좋은 교육여건을 제공하며 이는 결국 교육활동의 능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교육서비스의 실행도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학년에 따라 차이가 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 2에 대한 채택은 부분채택 되었으며 세부 내용으로는 2년제 저학년의 경우 교육서비스의 시설복지 실행도가 학교생활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2년제 고학년의 경우 교육서비스의 시설복지 실행도가 학교생활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년제 대학의 고학년일 경우 현장실습의 기회가 많고 실무중심의 수업을 이루고 있기에 학업적 스트레스로 연결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IPA 분석결과에서도 나타난 적절한 학습과제의 부과, 실무교육 등이 중요도에 비해 실행도가 너무 높아 과잉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과 연관된다고 볼 수 있다. 2년제 저학년의 경우 교육서비스의 시설복지 실행도가 학과공부 및 학교생활적응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년제 고학년의 경우 교육서비스의 취업지원 실행도가 학과공부 및 학교생활적응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년제 저학년의 경우 교육서비스의 인적 교류 실행도가 학교생활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년제 고학년의 경우 교육서비스의 강의방법은 학교생활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나, 인적 교류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의 결과와 비교해 볼 때 강의방법은 학교생활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은 결국 강의방법의 훌륭한 수행 도는 물론 학생의 학업참여의지가 강하여 만족으로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4년제 저학년의 경우 교육서비스의 시설복지는 학교생활적응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 인적 교류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선행연구들처럼 4년제 저학년들은 시설복지는 학교생활의 만족과 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교수와 동문과의 인적 교류는 대학생활에 만족을 주지만 학과공부 및 학교생활적응에는 자기조절과 효능 감 같은 학생들의 개인적인 성향과 친구와의 관계 또한 함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되며, 결국 다원적 접근을 통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기존의 관광교육서비스에 대한 연구는 관광분야의 직원들을 위주로 한 교육훈련에 초점을 맞춘 연구들이 주로 진행되고 있는 실정에서 본 연구는 대학과정에 따른 교육서비스의 비교분석을 하여 교육서비스의 향상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또한 학과공부 및 학교생활적응은 대학생의 취업과 진 This study is to improve education service contents by investigating how the student perceives the education service through the contents of College education service, to give student aids to adopting campus life and to provide better contents of education service to college operators, such as professor, administration staff. For the purpose of research by IPA analyses the importance level, the advance expectation before the education service provided, and the performance level, the evaluation after the service provided, and the influence of performance level to adopting campus life has been analysed and compared by curriculum, 2 year and 4 year, as well as the grad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y factor analysis independent variable, education service performance level has led 4 factors, facility welfare, job counseling, administrative support, lecture content, lecture manner and manpower circulation, and dependant variable, adopting campus life has led 2 factors, curriculum study and adopting school life. Second, the analysis result of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level and performance level education service shows that in every factor the performance level is lower than the importance level. This means that te student is not satisfied with education service, and the college authority should improve education service to increase performance level. Thir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of importance level - performance level of education service by detailed factors, for lecture system both importance level and performance level are high in both 2 year college and 4 year college, facility factor, except classroom and practice room, and administration support factor show low in both importance level and performance level. The factor with high important level and low performance level is scholarship in 2 year college and 4 year college, and the performance level of job counselling factor in 2 year college is high while 4 year college is low. Both importance level and performance level of classroom facility factor in 2 year college is low, while performance level of classroom facility is excessive against importance level in 4 year college. Fourth,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of importance level - performance level of education service for each grade in 2 year college, Both importance level and performance level of lecture system factor are high from both grade. But importance level is high while performance level is low from scholarship factor and job counselling factor in both grade. Fifth, according to the importance level - performance level difference for each grade in 4year college, the lecture system factor shows high in both importance level and performance level by all grade. For scholarship factor the importance level is high but performance factor is low from all grade. For in-site training, job information and job counselling factor show high in importance level and low in performance level from low grade, while the relationship between low grade - high grade factor show high in importance factor and low in performance factor from high grade. Both the importance level and performance level of facility factor, except classroom and practice room, and administration support factor are low from all grade. Sixth, To examine the hypothesis, the importance level of education service influences to adopting campus life, the regression analysis is carried out. The hypothesis 1, the influence of importance level of education service to adopting campus life there is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urriculum, is partly accepted, and the performance level of lecture system factor and lecture content factor of 2 year college give positive influence to campus life satisfaction. The performance level of lecture system factor of 4 year college gives positive influence to campus life satisfaction. As IPA analysis result the importance level and performance level of lecture system factor of both 2 year and 4 year college are high, current lecture system is very high in quality and give positive influence to adopting campus life. Also the performance level of facility welfare of 4 years college give positive influence to adopting campus life. This result is identical to existing study result. So the facility welfare, physical environment of college, provides better educational condition and influence to the efficiency of educational activity. The hypothesis 2, the influence of the performance level of education service to adopting campus life is depending on the grade, has been partly accepted. The performance level of facility welfare gives positive influence to campus life satisfaction from low grade, while negative influence from high grade of 2 year college. Because of many on-site practice and practical job oriented class induced the stress in study. According to the IPA analysis result the practical training factor and appropriate study subject factor of the performance level is very high against the importance level, and may be over evaluated. The performance level of facility welfare factor give negative influence to study and adopting campus life from low grade of 2 year college, and the performance level of job counselling factor give negative influence from high grade of 2 year college. The performance level of manpower interchange factor give positive influence to campus life satisfaction from low grade, while negative influence from high grade of 4 year college. But Lecture system factor give positive influence from high grade of 4 year college. Compare with prior study the positive influence of lecture system is not only good execution but also strong desire of the student's participation. Last the facility welfare factor gives positive influence to adaptation of campus life, but manpower interchange factor gives negative influence from low grade of 4 year college. Like prior study it is understood that the facility welfare factor give direct influence from low

      • 조리전공대학생들의 의사결정유형이 진로결정도에 미치는 영향 : -직업가치의 조절효과-

        이화진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55

        외식산업의 급속한 성장으로 인한 조리 관련 학과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실제 조리전공 대학생들의 진로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흡한 실정이다. 많은 대학생들이 자신의 흥미와 적성을 고려하지 않고 대학과 전공을 선택한다. 그리하여 외식관광관련 대학생들의 전공-취업 일치도 역시 낮은 수준을 보이는데, 이러한 점을 바탕으로 일반 대학생 중에서도 조리전공 대학생의 진로결정에 관하여 의사결정유형과 직업가치의식이 관련 있다고 판단하여 연구과제로 설계한 것은 의미가 있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의사결정유형의 4개의 하위요인인 합리적, 의존적, 즉흥적, 감정적 의사결정유형을 독립변수로 하여 진로결정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알아보고자 연구 과제를 설정하였다. 합리적 의사결정유형은 미래전망에 따라 논리적으로 의사결정을 하는 유형이고, 의존적 의사결정유형은 수동적으로 타인에 의존하고 의사결정에 따른 책임을 부정하는 유형이고, 즉흥적 의사결정유형은 신중히 고려하는 시간 없이 즉흥적으로 떠오르는 대로 의사결정을 하는 유형이며 감정적 의사결정유형은 본인의 감정과 육감에 의해 의사결정을 하는 유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조리전공 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이 진로결정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검증하고 진로결정도를 높이기 위한 의사결정 지도 및 진로상담을 제언하는 것이다. 조리전공 졸업예정자의 의사결정유형은 진로확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검증 결과 합리적 의사결정이 진로확신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래를 예견하며 충분한 시간을 갖고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는 합리적 의사결정유형이 진로결정에 대한 높은 확신수준을 갖게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즉 대학에서는 졸업 전 진로지도 및 상담에 있어서 학생들이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갖고 다양한 정보를 모아 진로선택 시의 결과까지 고려하여 진로결정을 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함을 시사한다. 조리전공 졸업예정자의 의사결정유형은 우유부단적 진로미결정과 미래불투명적 진로미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검증 결과 합리적 의사결정성은 우유부단적, 미래불투명적 진로미결정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의존적, 즉흥적 의사결정성은 우유부단적, 미래불투명적 진로미결정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리전공 졸업예정자의 의사결정유형은 의존적 진로미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검증을 실시한 결과 의존적, 감정적 의사결정성은 의존적 진로미결정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넓은 의미로 해석하면, 합리적 의사결정성, 의존적 의사결정성, 즉흥적 의사결정성, 감정적 의사결정성은 진로미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선행연구 결과(이종길, 2009; 박현창, 2014)와 일치하고 합리적 성향을 갖는 대학생은 본인의 진로에 대한 확신이 뚜렷하므로 이들은 진로미결정도가 낮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의존적, 즉흥적, 감정적인 성향을 갖는 대학생은 본인 스스로 진로를 결정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므로 진로결정도가 낮아 진로를 결정하지 못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아직까지 미비하게 연구되어 온 조리 관련 전공-진로에 관해 연구함으로써 이와 관련 대학들과 외식산업에 의미가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이 지각한 지도교수의 감성리더십과 개인-조직적합성이 전공만족 및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진실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55

        Since mid-2000 low-cost career have been established, explosive growth of air passenger demand is continuing to increase the number of aircraft cabin crew training institutes, which are important factors in aircraft operations. As a result of the various recruitment processes, the applicants' knowledge, function, attitude and basic appearance required by the crew are judged. Through these procedures, even after the final acceptance, many candidates are supporting the Department of Aeronautical Service to take a step closer to the goal of aviation cabin crew by prioritizing these courses. It is necessary to actively study the curriculum, learning method, teaching method, etc. necessary for the advancement of the aviation service major educ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is a subject of mutual respect. Professors show interest and affection for their majors and students, continue their academic inquiry, provide intelligent motivation to students, Should be. One of the important points of this professor's capacity is the emotional leadership of the supervisor. Professors must demonstrate effective leadership in relationships with students. In addtion, based on the personal-organization fit who wants to become an airline crew and the value of an organization such as nurturing professional manpower based on suitability of Personal (student)-organization(depart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cademic Adviser's emotional leadership and personal-organizational fit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on major satisfaction and job preparation behavior. In addition, we will examine whether individual self - efficacy has a moderating effect.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rom April 16, 2015 to May 5, 2018, and the sample of the research was collected from colleges in Seoul, Incheon, Gyeonggi, Chungnam, Busan, and Gwangju. And general university students. The questionnaire responses were processed by self - report method and online questionnaires, and the completed questionnaire was collected directly to collect 289 copies. A total of 280 validated samples were us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except for the nine unsuccessful samples with missing values.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 data is based on the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motional leadership of advisor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viation service had a positive (+) effect on major satisfaction. Despite the fact that the students were admitted with the specific goal of aviation cabin crew, the satisfaction of the major could be influenced by the emotional leadership of the professor. Second, the personal-organization fit of airline service majors showed a positive (+) effect on major satisfaction. Unlike other majors, students and departments are considered to be successful in aviation cabin crew, so students with self-esteem and self-esteem are more satisfied with their majors. Third, emotional leadership and personal-organization fit of advisor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irline service had a positive (+) effect on job preparation behavior. Finally, the self - efficacy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viation service showed no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eadership and major satisfaction, but showed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 organizational suitability and major satisfaction. In this, way, students with high beliefs that they can do well on their own can be satisfied with their major. However,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 - efficacy on the emotional leadership and personal-organization fit of advisor 's job preparation behavior were partially adopted. Both hypotheses show that self - efficacy plays a moderating role in pre -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s and does not affect full - time employment behavior. 2000년 중후반 저비용항공사의 설립 이후 항공여객수요의 폭발적인 성장으로 항공기 운항의 중요 인적 요인인 항공객실승무원 양성 기관이 계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산업체 특성 상 다양한 채용 프로세스를 통해 지원자들의 지식, 기능, 태도 및 승무원으로 요구되어지는 기본적 용모 등이 판단되며 이러한 절차를 통과해 최종합격이 된 후에도 집중적인 객실승무원 양성 교육과정을 수료해야 승무 자격을 취득할 수 있다. 이러한 교육 과정을 선행하여 항공객실승무원이라는 목표에 한 발짝 더 다가가기 위해 많은 수험생들이 항공서비스전공 관련학과를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항공서비스전공 교육의 발전을 위해 필요한 교육과정, 학습법, 교수법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되어야 한다. 교수와 학생간의 관계는 상호존중의 대상으로 교수는 전공과 학생에 대해 관심과 애정을 보이며, 학문적 탐구를 지속하며 학생에게 지적인 동기부여를 제공하여 전공만족 및 취업준비행동을 효과적으로 해나갈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이러한 교수의 역량 중 주목해 볼 점은 지도교수의 감성리더십이다. 교수는 학생과의 관계에서 효과적인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 또한 항공서비스전공 특성이 가지는 개인(학생)-조직(학과)적합성을 바탕으로 항공객실승무원이 되고자 하는 개인의 가치와 전문인력양성이라는 조직의 가치가 일치하였을 경우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이 지각한 지도교수의 감성리더십과 개인-조직적합성이 전공만족 및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더불어 학생 개인의 자기효능감이 조절효과를 가지는지 함께 살펴볼 것이다. 국내 2년제/4년제 관련학과 대학생들을 설문대상으로 하고, 2018년 4월부터 5월까지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표본은 서울, 인천, 경기, 충남 부산, 광주에 소재한 2,4년제 대학생들로 각 학년별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설문지 응답은 자기기입법 및 온라인 설문으로 진행되었으며, 기입을 완료한 설문지를 직접 수거하여 총 289부 수집하였다. 회수한 설문지 중 결측치가 있는 불성실한 표본 9부를 제외한 유효표본 280부를 실증분석에 이용하였다. 그리고 설문 데이터의 실증 분석은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였고, 본 연구의 가설 검증을 통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들이 지각한 지도교수의 감성리더십은 전공만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 특성상 항공객실승무원이라는 구체적인 목표를 가지고 입학 했을지라도 전공에 대한 만족은 개인차가 있을 수 있는 바, 이에 지도교수의 감성리더십이 영향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이 개인-조직적합성은 전공만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전공과 달리 개인(학생)과 조직(학과) 모두 항공객실승무원이라는 취업 성공을 가치로 두고 학과를 통해 본인의 능력이 발휘되고 자부심을 갖는 학생의 경우 전공에 대한 만족도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이 지각한 지도교수의 감성리더십과 개인-조직적합성은 모두 취업준비행동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은 감성리더십과 전공만족의 영향관계에서는 조절효과가 없게 나타났으나 개인-조직적합성과 전공만족의 영향관계에는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학생 스스로 잘 할 수 있다고 믿는 신념이 높은 학생들의 경우 전공에 대한 만족도가 더 높아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지도교수의 감성리더십과 개인-조직적합성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의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는 부분적으로 채택이 되었다. 두 가설 모두 예비적 취업준비행동에 있어서 자기효능감은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본격적 취업행동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대학교양무용의 교수유형이 흥미도, 친밀감 및 무용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윤경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8655

        이 연구는 대학교양무용의 활성화와 교수유형이 흥미도, 친밀감 및 무용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연구하였다. 이는 대학교양무용 수업을 통한 학생들의 흥미도, 친밀감, 무용소비행동 등의 변화는 어떠한지 구체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목적도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문조사 방법을 통한 양적 연구와 심층면담을 통한 질적 연구방법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교양무용 강좌가 개설되어 있는 서울,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 중 서울 4개교, 경기도 4개교 총 8개교를 임의 선정하였다. 대학교양무용 수업에 참가경험이 있는 대학생 500명을 표집을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된 유효 응답자 408명의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빈도분석, 상관분석, 일원변량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심층면담의 피면담자는 교양무용 수업에 참가경험이 있는 일반 대학생 8명을 선정하였다. 양적 연구결과, 학생들의 배경적 특성에 따른 흥미도, 친밀감, 무용소비행동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여자가 남자보다 무용소비행동이 높고, 학년이 낮을수록 무용소비행동이 높으며 예체능 계열이 인문계열, 자연계열 보다 흥미도, 친밀감, 무용소비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무용경험이 있으며, 교양무용 수강 강좌 수가 많은 학생일수록 무용소비행동이 높으며 현대무용, 재즈를 교양무용으로 수강하는 학생들이 친밀감, 무용소비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대학교양무용 수업에서의 교수유형이 무용에 대한 흥미도와 친밀감 및 무용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교수유형은 흥미도와 친밀감 및 무용소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친밀감은 무용소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양적 연구결과를 보완하는 질적 연구의 심층면담결과, 대학교양무용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흥미와 재미, 성취감, 표현활동, 스트레스 해소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원만한 대인관계, 세밀한 지도방법, 자유로운 수업분위기를 통하여 친밀감의 변화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교양무용 수업에서 무용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 문화적 활동에 대한 관심의 변화를 경험하며 학생들의 무용소비행동의 변화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대학교양무용 수업에서 교수의 수업방법은 학생들의 흥미도, 친밀감, 무용소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교수는 학생들의 재미와 호기심을 유발하여 단순히 움직임에만 그치는 것이 아닌, 자신만의 창작력, 독창성을 기반으로 하여 무용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심어주는 것에 중점을 두어야 함이 부각되었다. 따라서 교수는 무용수업 시간에 배운 동작을 응용하여 창작할 수 있게 유도함으로써 지속적인 무용 활동으로 이어질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교수와 학생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친밀감을 형성하고 실제적으로 학생들의 학습능력, 잠재능력 개발에 도움을 주며 무용학습효과를 증진하는데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effect of activation and professor types in university elective dance courses on interest, intimacy, and dance consumer behavior. It included the goal to analyze in detail the shifts of interest, intimacy, and dance consumer behavior among the students attending university elective dance course. To achieve the goal, quantitative research through survey and qualitative research through further interview were combined. The subjects were randomly selected, among 4-year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or Gyeonggi-do, from 4 universities in Seoul and 4 in Gyeonggi-do which open university elective dance. 500 students with the experience of attending a university elective dance course were selected for sampling and the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valid questionnaires of 408 respondents, used for final analysis.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In addition, the subjects for the further interview consisted of 8 common university students with the experience of attending a elective dance course. The quantitative research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erest, intimacy, and dance consumer behavior regarding the background trait of the subjects. In detail, the result showed higher level of dance consumer behavior in female than in male, and higher in lower grade and in the respondents with dancing experience and more courses attended. And it suggested higher level of interest, intimacy, and dance consumer behavior in Art and Athletic Department than in Liberal Arts and Natural Science. In addition, the students attending contemporary dance and jazz classes as a elective dance course showed high level of intimacy and dance consumer behavior. The investigation on the effect of professor types in university elective dance on interest, intimacy and dance consumer behavior indicated that teaching method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hree items and intimac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dance consumer behavior. To conclude, the study allows us to find that the professor types in university elective dance plays a critical role in influencing interest, intimacy and dance consumer behavior of students in a positive way. The findings suggested that dance professors should focus on impressing new awareness of dance upon students, based on their own creativity and originality, rather than simply triggering their fun and curiosity. It means that dance professors should seek for a teaching method to enable students to continue dance activity by leading them to apply the movements they learn in class to new ones. Therefore, it might be said that teaching method is more critical than any other factor in establishing intimacy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through interactions, helping them develope their learning capability and potentials, and enhancing the effect of learning dance.

      • 문화예술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효과 연구 : 대학로 공연예술을 중심으로

        이종원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8655

        The performance places in Korea are concentrated in Daehangno, and domestic and foreign performances are held throughout the year, including dramas, dances, musicals, etc. Daehangno, known as the Mecca of Korean performance art, has led the trend of our performing arts. Thus, it has also been known to domestic and foreign producers as the market place of performing arts and as the area for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performing art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local economic impact of Daehangno's performing arts in order to contribute to making a better policy of performing arts. For this reason, this study analyzes the local economic impact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input·output analysis with the model of 'Economic Analysis and Vitalization on Art and Culture (1996)' by the Institute of Industry Research. Since there were no preceding empirical studies, the actual running of Daehangno's performances and the average consumption of audiences must have been assumed with the survey. The local economic impact has been analyzed with the induction coefficient of input·output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amount of consumption per capita is ₩50,611 on average. Among the gross consumption, 81.9% is spent on the admission fee and a meal. The survey on performance halls shows that at this moment there are 121 performance halls in Daehangno, which are usually furnished with 161 seats, and the gross annual spectators is 3,241,860 peopl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economic impact, the direct economic impact is estimated at ₩221,000,000,000, the indirect impact of production induction is ₩393,400,000,000, and the induction impact for added value is ₩196,700,000,000. The whole induction impact will be ₩196,700,000,000 in total and the induction impact for employment is also estimated at 4,949 people, according to the survey. This study expects to help in making better policies for performing arts in that it will suggest the economic impact on this particular area with the measuring analysis and without the use of alternative figures, and it will suggest the direct and indirect economic impact through the empirical survey and analysis. The aim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o suggest a new approach, or model of evaluation, analysis of various art performances. To become the first case of empirical study on the economic impact of performing arts. To reach the amount of audience's average consumption. To measure the economic impact of a certain area causing performing arts. To motivate the impact analysis of performing arts. To make the first inductive analysis and output." One of the limits of this study is the difficulty in practically collecting the data involved in the operating costs of performance halls and the production costs of performance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rt and the art policy, the study should be continued at large, analyzing Daehangno's phenomenon and how it changes. The study should be continued and should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of performance agencies in Daehangno, how to raise the cost of production and operation for performing arts, the contents of the employment induction impact, etc. The analysis which applies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of unmarketable goods such as the social and also the cultural value of performing is left as a future task to be solved. 대학로는 서울연극제, 서울무용제, 서울국제공연예술제, 현대무용 축제, 신춘단막극제, 젊은 연극제 등 다양한 국내외의 공연예술 축제와 연극, 무용, 뮤지컬 등이 연중 개최되고 있다. 세계적으로 유례가 드물 정도로 공연장이 밀집해 있고, 다양한 공연예술이 존재하는 대학로를 우리나라 공연예술의 메카로 불리며, 공연예술의 조류를 주도해 오고 있다. 따라서 대학로는 국내외의 제작자들에게도 공연예술의 마켓으로 창작과 유통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외국의 공연예술 축제나 대학로와 유사하게 공연장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있는 브로드웨이의 공연예술이 지역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는 연구되고 있으나 대학로의 경제적 유발효과에 대한 실증적 선행연구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로 공연예술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여 공연예술정책 수립에 기여하게 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산업연구원의 ‘문화예술의 경제적 효과분석과 활성화 방안(2006)’ 을 연구모델로 하여 산업연관분석(IO 분석)에 의한 직?간접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였으며, 향후 임상오 교수의 ‘예술의 가치평가분석’의 연구에서 시도한 CVM을 활용하여 대학로의 사회적, 문화적 가치 등 비시장적 가치를 분석하고자 한다.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에 있어 선행된 실증연구가 없으므로 설문조사를 통해 대학로 공연장운영 실태와 관람객의 평균 소비지출액을 추정하고, 산업연관분석의 유발계수를 적용하여 대학로 지역의 경제적 간접파급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평균 소비지출액은 50,611원, 지출용도는 총 지출비용의 81.9%를 공연관람과 식사비용으로 지출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연장 운영조사결과는 2009년 11월 현재 121개 공연장, 총 객석 수 19,667석, 평균 객석수 162석, 연간 총 관람객수는 3,241,860명으로 조사되었다.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결과 직접파급효과는 2,210억 원, 간접파급효과는 생산유발효과 3,934억 원, 부가가치유발효과 1,967억 원 등 총 6,144억 원의 유발효과와 4,949명 의 취업유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대체계수 사용을 지양하고 실증조사와 분석을 통하여 경제적 직?간접의 파급효과를 연구함으로써 특정한 지역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계량적으로 제시함으로써 향후 이 지역에 대한 공연예술정책 수립에 기여할 것이며, 여타의 예술축제 평가분석에 새로운 방법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또한 공연예술의 경제적 파급효과분석에 있어서 실증적 연구의 첫 사례라는 점, 실증연구에 의해 대학로 공연관람객의 평균 소비지출액을 도출한 점, 공연예술에 의해 유발되는 특정지역의 경제적 효과를 계량화 하였다는 점, 공연예술에 의한 파급효과분석이 활성화 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었다는 점, 공연예술정책이나 지역경제정책에 활용할 수 있는 최초의 실증적 분석과 산출액을 도출했다는 점 등은 유의미한 연구결과이다. 연구의 한계와 과제로는 공연장 운영비용, 작품제작비용의 실 지출액을 확보하여 보다 더 정밀한 연구가 필요하며, 이러한 경제적효과 연구가 일정기간을 간격으로 지속되어 대학로 현상의 변화추이를 분석하여 정책의 수립에 기여할 수 있도록 연구를 연속해야 한다. 또한 대학로 공연기획사의 특성, 예술단체의 작품제작과 운영비용 조달에 관한 연구, 취업유발효과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분석하는 등 미시적 측면에서의 연구도 계속해야 하며, 공연예술의 사회적 가치, 문화적 가치 등 비 시장적 재화에 대한 가치평가를 연구를 향후 과제로 남긴다.

      • 관광관련학과 교육서비스품질이 경제적 가치, 전공만족도 및 대학생활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수도권 4년제 대학교 학부에 재학 중인 중국유학생을 대상으로

        김정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관광관련학과 교육서비스 품질의 교육요인, 행정요인, 인적요인에 대해서 중국인 유학생이 지각된 경제적 가치, 전공만족도 및 대학생활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여 교육품질의 만족도를 위한 시사점 제공하고 중국인 유학생을 유지할 수 있는 발전 방향성을 설정하는 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세종대학교, 한양대학교, 경희대학교, 경기대학교 및 수원대학교 관광관련학과 재학중인 중국인 유학생 2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중 204부를 회수하였고, 불성실한 응답이 있는 11부를 제외한 193부를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조사 자료에 대한 분석방법으로는 SPSS Ver. 18.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구성개념간의 영향관계에 대한 가설검증을 위하여 다중 회귀분석 및 단순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각 변수 간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측정변수들에 대한 영향관계는 회귀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 하였다. 첫째, 교육서비스품질은 경제적 가치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구성개념인 교육요인, 인적요인은 경제적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행정요인은 경제적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서비스품질은 전공만족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구성개념인 교육요인, 인적요인은 전공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행정요인은 경제적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서비스품질은 대학생활의 질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구성개념인 교육요인, 행정요인, 인적요인은 대학생활의 질에 모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경제적 가치는 전공만족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경제적 가치는 대학생활의 질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전공만족도는 대학생활의 질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어: 교육서비스 품질, 경제적 가치, 전공만족도, 대학생활의 질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