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웰빙축제 서비스품질이 방문객 만족도와 재방문의도에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2019 제천한방바이오 박람회를 중심으로

        문정옥 세명대학교 경영행정복지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1663

        As extended life span brings our attention to how to live a healthy and long life, we enter the era of "well-being life" tha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our food, culture, and industry. Moreover, the tourism industry, which considers health and wellness (healing) as tourist resources, has been rapidly growing while local festivals have been playing a key role in accelerating the development and promotion of the regions as important tourist products. Particularly among them, well-being festivals have been emerging, reflecting our growing interest in health, and promoting local characteristics and specialties. Along with the emergence of food tourism and medical tourism, herbal medicine festivals associated with traditional Korean medicine have been attracting our attention. Thus, this article explores how the service quality of well-being festivals affects visitors'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to promote the Korean Medicine Bio Fair in Jecheon 2019. By examining their correlations, it aims to raise awareness of well-being festivals' success factors, such as service environment and facilities, while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revitalization of well-being festivals. To achieve this article's goal, it uses a mixture of theoretical and empirical research methods and analyzes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s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service quality of well-being festivals and visitors'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during the Korean Medicine Bio Fair in Jecheon 2019, held from October 2 to 7, 2019, for seven days. The visitors of the festival filled out the questionnaires in person. Out of the 380 questionnaires, a total of 347 were collected, and from which, this article analyzed 313 valid questionnaires. In this article, the factors determining the service quality can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subcategories: connectivity, convenience, food marketability, information and promotion, and festival content.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reveals that there are statistically meaningful correlations between the festival visitors' satisfaction and "connectivity," "convenience," "food marketability," and "festival content." Meanwhile, in terms of "information and promotion," this factor fails to communicate with the visitors and affect their level of satisfaction. It turns out that among the subcategories of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service quality of well-being festivals, "connectivity," "convenience," "food marketability," and "information and promotion" have an impact on the visitors' revisit intention. However, unlike our expectations, "festival content" does not bring about statistically meaningful results in terms of its level of significance. As you can see from this,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on Korean medicine to satisfy the visitors' expectations of the fair. Furthermore, it is important to put constant effort into developing and differentiating the fair content that would prompt a broader range of people to revisit the fair. Hopefully, this article can lay the foundation for developing a well-being (healing) festival that satisfies its visitors' needs, which could eventually become a tourist resource in the Korean medicine and wellness sectors. 평균 수명이 길어지고 ‘건강하게 오래 사는 법’이 화두로 떠오르면서 우리는 식품, 문화, 산업으로 확대되는 이른바 ‘well-being life'시대를 살게 되었다. 더불어 건강과 힐링(치유)을 관광자원으로 하는 관광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다양한 지역의 축제는 지역의 발전과 홍보를 위한 중요한 관광 상품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 중에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트렌드를 반영하여 지역색과 특산물을 살린 웰빙축제가 등장하였고, 식품 관광, 의료 관광과 함께 한국의 전통 의술인 한방과 관련한 한방축제가 각광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웰빙을 테마로 한「2019 제천한방바이오박람회」의 활성화를 위해 웰빙축제의 서비스품질이 방문객의 만족도와 재방문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연구를 실시하고 이들의 영향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웰빙축제와 관련된 서비스 환경, 편의시설 등 웰빙축제의 시사점을 제공하고 웰빙축제 활성화를 위한 기초 연구가 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여 웰빙축제에 대한 방문객의 축제서비스품질의 만족도, 재방문의도 간의 영향 관계를 설문조사의 결과를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 조사는 2019년 10월 2일에서 2019년 10월 7일까지「2019 제천한방바이오박람회」7일간의 축제 기간에 배포하였으며「2019 제천한방바이오박람회」에 방문하는 방문객이 직접 작성하는 자기기입식 설문지법으로 시행하였다. 총 380부를 배포하여 347부를 수거하여 그중 유효 설문지 313부를 분석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품질 요인을 연계성, 편의성, 음식상품성, 안내·홍보성, 내용성 차원으로 세분화하였다. 분석 결과 웰빙축제 서비스품질의 ‘연계성’, ‘편의성’, ‘음식상품성’, ‘내용성’이 축제 박람회를 방문하는 방문객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안내·홍보성’에 대한 부분은 방문객에게 충분히 전달이 되지 못한 부분에 따른 만족을 주지 못하여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웰빙축제 서비스품질의 하위 요인 가운데 ‘연계성’, ‘편의성’, ‘음식상품성’, ‘안내·홍보성’이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대와는 다르게 ‘내용성’의 경우 유의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위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축제 박람회의 다양한 욕구에 맞출 수 있는 한방과 어울리는 특성을 살린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하며 박람회의 차별화된 내용성이 다양한 방문객의 재방문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끊임없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가 방문객의 욕구에 부합하는 웰빙(치유)축제를 개발하여 한방의료와 웰니스(wellness)관광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