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교육의 서비스 품질, 학생 만족, 학생충성도 간의 인과관계에 관한 사례연구 : S대학을 중심으로

        권오봉 세명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655

        대학교육은 국가 경쟁력의 중심에 있다. 대학은 탁월한 인재를 양성하여 개인의 발전을 도모하고 국가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ACSI모형을 응용하여 대학교육의 서비스 품질, 학생 만족, 학생충성도 간의 인과관계 모형을 실증분석을 통해서 대학 경쟁력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시작하였다. 연구모형의 실증분석을 위해서 2010년 ‘잘 가르치는 대학’에 선정된 세명대학교 재학생들을 편의 추출하여 실증분석 하였다. 세명대학교는 ‘위세광명(爲世光明)’의 건학이념하에 인성역량, 실용전문역량, 글로벌 역량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다. 통계분석결과, 대학교육 서비스 품질, 학생 만족, 학생충성도간에는 인과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증분석결과, 학생의 기대는 지각된 품질과 지각된 가치에 수준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품질은 지각된 가치와 학생만족에 수준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만족은 학생의 불평에 수준에서 음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생만족은 학생의 불평을 감소시킴을 알 수 있다. 또한 학생만족은 학생충성도에 수준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의 불평은 학생의 충성도에 수준에서 음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생의 불평정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학생 충성도가 낮아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대학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학생의 기대에 기반한 서비스품질 강화를 통한 학생만족도 향상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학생만족도 증진을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제공을 통한 학생충성도 제고노력이 끊임없이 이루어져야 한다. University education is the heart of a national competitiveness. It is necessary for university to cultivate men of outstanding talent, to strive for the individual prosperity and to play a decisive role for the national development. In this study, I have applied ACSI model to the servic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student satisfaction and student loyalty to his university. To analyze positively study model, I've sampled Semyung University(ACE University)'s students. On the basis of 爲世光明, Semyung University is making efforts to train men of ability, who have human nature, usefulness and a global view. As a result of analysis, it has been possible to check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ree factors(servic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the student satisfaction and the student loyalty). It has been revealed as follows. First, the expectation of students notably has an effect on sensible quality and value(). Second, Perceived quality on perceived value and student satisfaction(α=0.05), and student satisfaction has an the negative effect on student dissatisfaction(α=0.05). That is to say, student satisfaction has played a decisive role, decreasing student dissatisfaction(α=0.05). Besides, student satisfaction notably has an effect on student loyalty(α=0.05). Student dissatisfaction has an the negative effect on student loyalty(α=0.05). The more student dissatisfaction grows bigger, the more student loyalty becomes worse. As mentioned above, to prosper university continuously, it is indispensable to strengthen the service quality and to improve student satisfaction. Especially, to raise student loyalty through diverse educational programs, is the best way.

      • 대학에서 S-TQM적용을 위한 탐색적 연구 : S 대학을 중심으로

        권영일 세명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655

        개인이나 조직을 둘러싼 환경은 급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개인이나 조직은 경쟁력을 바탕으로 적응성을 높이고 유연성을 확보해야 한다. 대학설립자유화 이후 대학의 수는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나, 학령인구 감소로 대학입학정원은 부족한 상황을 맞고 있으며 더욱이 FTA체결로 인한 교육시장개방은 한국 대학간 경쟁을 치열하게 만들고 있다. 이러한 경쟁에서 불리한 위치에 있는 대학은 중소규모의 지방대학들이 될 것이며 교육시장이 개방되면 수도권에 위치한 대학들 또한 이런 상황에 국면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는 대학 교육에 S-TQM(서비스지향적인 품질경영)을 바탕으로 교육경쟁력강화에 힘쓰고 있는 S대학의 학생 297명을 대상으로 표본 조사하여 S-TQM의 요인이라고 할 수 있는 신뢰성, 확신성, 유형성, 공감성, 대응성이 학생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였으며, 또한 학생만족도는 추천의사와 충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신뢰성, 확신성, 유형성, 대응성 있는 서비스품질이 학생만족도 에서 학생만족은 추천의사와 학생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서비스 지향적인 품질 마인드를 바탕으로 총장의 서비스 지향적인 품질경영이 대학경영에서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대학 구성원들은 학생의 요구 사항을 지속적으로 파악하여 대학경영에 적극 반영하여야 한다. The Environment surrounding individual or organization keeps changing rapidly. In this situation, the individual and organization should improve their adaption capability and flexibility based on the competitiveness. While the number of university is increasing steadily after the liberalization of university foundation, the shortage of school age children leads the lack of university admission. In addition, the opening of education market through FTA makes the competition among domestic universities engaged in fierce battle. Not only the local small universities but also ones located in capital area are at a disadvantages position in this compet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what effect of S-TQM segments (reliability, conviction, corporeality, sympathy, response) is on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For this, I did a sample survey on 297 students of S-university that focus on reinforcement based on S-TQM. Besides I did an analysis on relationship between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and the willingness of recommendat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affects meaningfully the willingness of recommendation and the loyalty of students.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reliability, assurance, tangibles, and responsibility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student satisfaction(). Throughout the research, I make sure that the service-oriented quality management of principle is very important in university management. Hereby the whole members of university should investigate what the student demand is and reflect it in the university management.

      • 대학조직에서 변혁적‧거래적 리더십이 조직냉소주의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신뢰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배승수 세명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55

        2015년경에는 대학 입학정원이 고교졸업자 수보다 20만 명이 부족이 예상되는 만큼 대학 스스로 변화와 혁신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도록 환경이 변화되고 있다. 성공적인 대학의 변화와 혁신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대학조직의 직무 만족도를 높이고, 조직혁신에 대한 냉소주의를 감소시키기 위한 리더의 관심과 역할이 성공적인 변화와 혁신을 위한 필수적인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대학조직의 조직구성원들이 지각하는 변혁적·거래적 리더십, 조직냉소주의, 상황변수로서 신뢰의 조절적 역할관계를 살펴봄으로써 환경의 불확실성에 대비하여 대학조직이 나아가야 하는 전략적 방향을 제시 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검증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변혁적 리더십은 조직냉소주의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변혁적 리더십의 구성요소인 카리스마, 지적 자극, 개별적 배려는 조직냉소주의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거래적 리더십은 조직냉소주의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상황적 보상, 예외적 관리는 조직냉소주의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뢰는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냉소주의와의 관계에 있어 대체적으로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지적자극을 제외하고 요인을 카리스마, 개별적 배려 요인과 조직냉소주의와의 관계에 있어 신뢰가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신뢰는 거래적 리더십과 조직냉소주의와의 관계에 있어 부분적으로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예외적 관리와 조직냉소주의와의 관계에 있어 신뢰가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할 때, 본 연구에서 제시할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이 조직냉소주의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대학조직의 관리자들은 조직 내에서 이러한 두 가지 리더십을 적극적으로 발휘해야 할 것이다. 다만, 조직의 리더들은 비전을 제시하고 비전 달성을 위하여 부하들의 고차원적인 욕구를 유발시키며, 상하간의 신뢰분위기를 통하여 리더십을 발휘하는 변혁적 리더십으로 접근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동시에 관리자들은 부하직원들에게 사전에 명확한 기대 수준을 제시하고, 이를 달성했을 경우, 약속한 보상을 함으로써 조직에 대한 믿음을 높여야 한다.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을 적절히 혼용할 때 부하 직원들을 만족시킬 수 있고, 조직의 신뢰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조직냉소주의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할 때 조직 구성원들이 자신이 몸담고 있는 조직에 더욱 몰입하게 될 것이다. 한편, 본 연구는 대학조직의 리더십 유형, 조직혁신냉소주의 그리고 조직신뢰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대한 실무적, 이론적 시사점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mpleted on the concep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ransactional leadership, organizational trust, organizational cynicism through approaching empirically to the present state by searching various mutual relations. It is focused on providing a theoretical basis and strategic alternative ideas in the college organization. For the study, research data was collected from 129 in the college organization. Each variable is measured by Likert's 5-point scale. The data are analyzed by such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est,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 and implicat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as a empirical analysis result, charisma, intellectual stimulation,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v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ynicism. Secondly, contingent reward, management by exception of transactional leadership als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ynicism. Thirdly, organizational trust moderated relation between charisma,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ynicism. Finally, organizational trust moderated relation between management by exception of transac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ynicism.

      • 제천 지역 유아교육기관 선택요인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우경미 세명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639

        In this thesis a study was conducted on determinants in choos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and parent's satisfaction in Jecheon area. A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targeting a total of 633 parents whose children atten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cluding private institutes operated in the same way of kindergartens in Jecheon City. Accordingl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suggestions for the ope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based on the survey. To achieve the aim, literature review, data analysis, and research were conducted at the same time. The literature review included theoretical consideration on previous studies concerning concepts and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stitution selection factors and satisfaction with the institutes. In terms of the data analysis, present conditions and statu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Jecheon were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regions using statistical data.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examination was conducted on difference in selection factors and satisfaction by typ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correlation of selection factors and satisfaction, and difference in demands for improvement by types of the institutes.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nalyzed by SPSS WI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the factors affecting selec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were children's health and safety, human resource and physical environments, and curriculum regardless of types of the institutions, the parents' income levels and educational background. Second, satisfaction with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was the highest in private preschools followed by private kindergartens, national or public preschools, national or public kindergartens, and private institutes. Third, in terms of satisfaction factors by types of the institutions, public kindergartens attached importance to education fees, ways of attending the institutions, human resource environment, and health and safety in order. Private kindergartens selected health and safety, human resource environment, curriculum, and ways of attending the institutions in order. Fourth, regarding satisfaction factors, national or public preschools placed their importance on human resource environment, health and safety, ways of attending the institutions, and curriculum in order, while private preschools on human resource environment, ways of attending the institutions, curriculum, and health and safety in order. Fifth, regarding the parents' demands for improvement by typ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special education, physical environment,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s were pointed in order in national or public kindergartens, while the number of teachers and young children each class, interchange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and physical environment were pointed in private kindergartens. National or public preschools selected interchange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management of health and safety, the number of teachers and young children each class, while private preschools did education fees, management of health and safety, interchange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in order. Private institutes pointed physical environment, interchange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and education fees in order. 본 논문에서 충북 제천 지역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학부모의 선택요인과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제천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과 유치원처럼 운영되는 학원도 포함하여 학부모 633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유아교육기관 운영상에 보완되어야 할 시사점을 찾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 자료 분석, 조사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서는 유아교육의 개념 및 중요성과 유아교육기관의 유형 및 특성, 유아교육기관의 선택요인과 만족도에 관한 선행 연구를 이론적으로 탐색하였고, 자료 분석으로는 제천지역의 유아교육실태 및 현황을 통계자료를 이용해 타 지역과 비교 분석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제천지역에서의 유아교육기관의 유형별로 선택요인과 만족도 차이, 선택요인과 만족도와의 상관관계, 유아교육기관 유형별로 개선과 요구사항의 차이를 SPSS WIN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 선택요인은 기관의 유형, 학부모 소득수준과 학력에 관계없이 자녀들 건강과 안전, 인적환경, 물리적 환경, 교육과정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육기관 만족도는 민간어린이집, 사립유치원, 국·공립어린이집, 국·공립유치원, 사설학원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육기관 유형별 만족요인의 중요도 순위는 국·공립유치원은 교육비, 통원방법, 인적환경, 건강과 안전, 사립유치원은 건강과 안전, 인적환경, 교육과정, 통원방법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국·공립어린이집은 인적환경, 건강과 안전 통원방법, 교육과정 순, 민간어린이집은 인적환경, 건강과 안전, 교육과정, 물리적 환경 순, 사설학원은 인적환경, 통원방법, 교육과정, 건강과 안전 순으로 만족요인의 중요도가 나타났다. 다섯째, 회귀분석을 통한 유아교육기관 만족도를 조사 결과 국공립유치원은 인적환경, 교육비 요인만, 사립유치원은 통원방법, 교육비, 인적환경, 건강과 안전요인이, 국·공립어린이집은 통원방법과 인적환경만, 민간어린이집은 교육과정과 통원방법요인, 사설학원은 통원방법과 가정과의 연계요인만이 학부모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유아교육기관 유형별 학부모의 개선 및 요구사항으로 국·공립유치원은 특별교육, 물리적 환경, 교육과정 및 교육방법 순, 사립유치원은 학급당 교사 수와 유아 수, 학부모와 교사간 교류, 물리적 환경 순, 국·공립어린이집은 학부모와 교사간 교류, 건강 및 안전관리, 학급당 교사 수와 유아 수 순으로 나타났으며, 민간어린이집은 교육비, 건강 및 안전관리, 학부모와 교사간 교류 순으로, 사설학원은 물리적 환경, 학부모와 교사간 교류, 교육비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다음과 같은 제천 지역 유아교육기관 운영상의 보완되어야 할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첫째, 유아교육기관은 아동의 안전감독 철저, 급식과 간식의 질과 교사나 원장의 자질과 태도를 높이고, 학급당 유아수와 교사수의 조정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국·공립유치원은 서비스 수준을 강화, 특별교육으로써 특기교육, 초등 준비교육, 외국어 교육에 대한 관심, 각 원의 특성을 살린 운영과 대규모로의 변화로 적합하고 충분한 환경을 갖추어 학부모 만족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셋째, 사립유치원은 학급당 원아 수를 낮아지도록 조정하고, 충분한 공간 확보와 환경 정비, 학부모와 교사 간 교류를 통한 유아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 넷째, 어린이집은 건강과 안전관리를 철저히 하고 부모와 교류를 통하여 유아에 관한 세밀한 보육정보를 제공하고 연령이 높은 유아에게는 특별교육에도 관심을 가지고 지도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편성 운영하여야 할 것이다. 다섯째, 유아를 교육하고 있는 사설학원은 전인적인 발달에 적합한 환경을 갖추고 유아에 관한 세밀한 정보를 학부모에게 제공하며 교육비와 보호적 기능으로서의 건강과 안전에 대한 철저한 감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소규모댐 건설이 단양관광발전에 미치는 영향

        최규성 세명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50639

        단양의 소규모댐 건설은 단양수변의 적정수위 유지를 통한 광광개발·발전을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와 사회·문화의 발전, 환경적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사업이다. 본 연구는 소규모댐 건설이 단양의 경제와 사회·문화, 환경, 관광개발·발전에 미치는 긍정적, 부정적 영향에 대해 지역주민과 관광객의 인식을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조사대상자는 소규모댐 건설에 따른 긍정적 영향에 높은 인식이 나타났다. 또한 부정적 영향에 대한 인식도 높게 나타났다. 지역주민과 관광객을 비교한 결과 지역주민은 긍정적 영향에 대해 높은 인식을 보인 반면 관광객은 부정적 영향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나 두 집단 간 분명한 차이가 나타났다. 관광개발·발전 영향에 대한 인식은 지역주민이 관광객보다 긍정적 영향에 매우 높은 인식이 나타났다. 지역주민의 거주 지역에 따른 인식의 차이는 부정적 경제 영향, 부정적 사회·문화영향, 부정적 환경영향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관광개발·발전 영향은 단양읍, 적성면, 매포읍, 단성면 순으로 높게 나타나 단성면이 관광개발·발전적 영향에 대해 다른 지역보다 낮은 인식이 나타났다. 소규모댐 건설이 단양의 관광발전과 지역발전을 위해 지역주민은 보다 객관적 입장에서 긍정적, 부정적 영향에 대해 생각해보고, 관광발전을 위한 시설물이 될 수 있도록 적극적 참여가 이루어 져야 하겠다. 또한 소규모댐 건설의 배경과 관광활성화 세부내용을 대외적으로 홍보 하고, 소규모댐 건설후의 관광객유치를 위한 댐과 주변관광지와 연계관광의 개발과 체류형 관광을 즐길 수 있고 재방문 시 지루하지 않은 시설과 경관유지 등의 관광프로그램의 계획과 개발을 함께 수반하여야 할 것이다. Small-size dam construction in Danyang is a kind of business to vitalize the local economy, promote the social and cultural growth, and pursue environmental development by developing and growing tourism through maintaining the proper water level around the waterside. This study presents an investigative analysis of the perceptions that the locals and tourists had with the positive and negative impacts of a small-size dam on the community'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environment, and tourism development and growth. As a result from the study, most subjects indicated a high level of perception about the positive impacts caused by a small-size dam. The result was about the same with the negative impacts. The two groups imply a clear distinction with the comparison between tourists and the locals because tourists had a high level of perception while the locals highly had positive cognition on the construction. As for the impacts on the tourism development and growth, the locals were much more aware of the positive impacts than the tourists were. The perception differences were apparent in the negative impacts on economy, society and culture, and environment according to where the locals dwelled. The locals' perception of the impacts on tourism development and growth was high in the order of Danyang-eup, Jeokseong-myeon, Maepo-eup, and Danseong-myeon, which means those who lived in Danseong-myeon were less aware of the impacts than the rest. The locals need to evaluate positive and negative impacts of a small-size dam from more objective points of view and take active part in the process so that the dam can contribute to Danyang's tourism and local development and serve as a facility for more tourism. It's also important to promote the background of a small-size dam construction and the details of tourism activation to people out of town. What's needed to attract tourists after the completion of a dam is to plan and develop diverse tourist programs such as developing joint tourism with the dam and the surrounding tourist destinations, offering stay tourism, and keeping the facility and landscape up to date not to bore revisiting tourists.

      • 차별적 한방떡 카페의 확산전략에 관한 인과적인 연구

        김수길 세명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우수한 식(食)문화인 한방떡 문화를 현대적 레스토랑 개념으로 전파하는데 있다. 한방떡의 기본 컨셉은 약리기능(鍵理機能)에 있다. 이 연구는 쌀소비의 진작(振作)과 떡문화 보급에 기여할 수 있는 한방떡 카페의 합리적 발전방안과 마케팅 전략 수립에 기여하고자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적 고찰(Documentarγ Study)과 실증연구(Empirical Study)를 병행하였으며 각 지역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사용 무작위 편의표본추출(convenience sampling)을 통한 설문을설시하였다 총 5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499부를 회수하였으며 설문에 참여한 표본(標本)은 결혼을 한 중년층으로 이들은 평소 우리의 떡문화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로 본 연구목적에 적합한 표본이라 할 수 있다. 이 표본은 SPSS프로그램을 통해서 기본분석과 회귀분석 (regression analysis)을 설시 하였다. 분석결과, 한방 떡카페의 품질, 유연성, 납기, 가격 요인이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유의확률=0.000<α=0.05). 고객만족이 종속변수(從屬變數)인 추천의도에 미치는 여향을 실증분석한 결과 고객만족은 추천의도와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유의확률=0.000<α=0.05). 또한 구매의도와 추천의도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상관분석(相關分析)한 결과, 구매의도와 추천 의도간에는 상관계수(相關係數)가 0.638로 매우 유의함을 알 수 있다(유의확률=0.000<α=0.05). 기능성 한방떡에 관한 설문결과, 조사대상자의 많은 부문에서 긍정적 의사와 추천의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기능성떡에 대한 출시의 필요성과 우리의 떡문화를 계승 발전 시켜야 한다는 조사 대상자의 의견도 매우 높게 나타나 차별적 기능성 한방떡의 시장성 전망은 매우 밝다는 사실을 유추(類推)할 수 있다. 서비스 품질과 고객만족의 회귀분석 결과에서는 떡카페의 품잘, 가격, 유연성, 납기 순으로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적(要素的) 순위로 나타나 한방떡 카페를 운영하는 관계자나 새로 한방떡 카페를 사업화 하려는 예비창업자들은 품질, 가격, 유연성, 납기에 대한 차별적(差別的)인 전략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기능성 한방떡 카페의 확산전략 방안은 기능성과, 먹기 좋은 떡, 일일 식품이 아닌 보존성(保存性)이 있는 떡의 품질과 각족 홍보와 함께 부재료의 연구와 개발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research is for the spread of oriental rice cake, which is the Korea's excellent food cultures, based on the concept of modern restaurant. The basic concept of oriental rice cake is medical function. This research is for the establishments of rational development plan and marketing strategy of oriental rice cake cafe which can contribute to the boost of rice consumption and spread of rice cake culture. In this research, both documentary study and empirical study were used and I carried out surveys in particular regions through random convenience sampling. The number of questionnaires that is collected from the total number of distributed 550 questionnaires was 499. Those who took surveys were all married-middle-aged and they have been ordinarily interested in our rice cake culture. It is very fair to say that they were suitable subjects to be samples for this research and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program.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quality, flexibility, period for delivery and cost factor of rice cake café appear to have notable effects on customer satisfaction (significance probability = 0.000 < α=0.05). Recommendation wills which has customer satisfaction as a dependent variable went through an actual analysis and as a result, customer satisfaction appears to have impact on both recommendation wills and purchase wills. (Significance probability = 0.000 < α=0.05).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in order to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ills of recommendation and purchase allowed me to get correlation coefficient, 0.638, which shows that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m (Significance probability = 0.000 < α=0.05) According to the survey about functional oriental medicine rice cake, many of those who surveyed had positive perspectives about oriental medicine rice cake, and also score recommendation wills very high. Not only the necessity of the launch of functional rice cake, but also opinions about the need of succession and further development of rice cake culture were scored very high. By taking these results into account, it is very fair to make positive assumption that the marketability of this unique functional oriental medicine rice cake has a bright prospect. In the regression analysis of the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rice cake café’s quality, price, flexibility and period of payment were ranked in order which significantly affects on customer satisfaction. Therefore, those people who are running the oriental medicine rice cake café or planning to open one need to prepare distinctive strategies that deal with such factors. It is thought that spreading strategy of functional oriental medicine rice cake café would be functionality, production of rice cake which is good to eat, not a daily but conservative rice cake, various kinds of public relations exercise and precedenc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 외식업체의 내부고객 직무 만족이 서비스품질 향상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영화 세명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639

        급속한 경제의 성장으로 인하여 소비자의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윤택해 지면서 식생활의 패턴도 변하고 있다. 또한 주 5일제 근무와 여성의 사회진출이 증가하면서 외식을 단순히 밖에서 식사만 하는 것이 아닌 하나의 휴식과 즐거움을 주는 여가의 차원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외식산업은 경영구조 특성상 인적 자원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큰 전형적인 인적 서비스 산업이라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외식산업의 경우 인적자원에 대한 관리 면에서 아직도 미흡한 면이 많다고 할 수 있다. 양질의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우선 종사원의 직무만족에 대한 충분한 파악이 전제되어야 할 것 이다. 훌륭한 서비스의 제공은 바로 직무만족을 통한 종사원의 마음가짐 여부에 따라 결정되므로 종사원의 인적 서비스는 외식산업의 중요한 구성요소로서 기업 이윤창출의 근원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중요성을 인식하고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외식업체를 중심으로 서비스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종사원 직무만족요인을 알아보고 그에 따른 현실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직무만족에 대한 이론과 서비스 품질 이론, 외식업체의 일반적 특성에 관한 문헌적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외식산업 종사원의 직무만족이 서비스 품질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가설검증을 토대로 한 실증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만족요인이 서비스품질의 절차서비스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보상요인이 다른 요인들에 비해 그 영향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종사원들에게 적절한 보상을 했을 때 서비스품질 또한 상승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외식업체는 종사원의 직무만족에 있어서 합당한 대우를 받을 수 있도록 성과에 따른 보상을 해야 할 것이다. 둘째, 직무만족요인이 서비스품질의 대응서비스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첫 번째와 마찬가지로 보상요인이 다른 요인들에 비해 그 영향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회사정책 및 동료관계요인과는 많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종사원들에게 보상요인 못지않게 회사정책 및 동료관계요인 역시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승진과 인사고과제도 등에 대한 객관적이고 공정한 평가가 정책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며, 동료관계 및 부서간의 상호 유대관계가 원만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해야 할 것이다. 셋째, 직무만족요인이 서비스품질의 인적서비스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회사정책 및 동료관계요인, 보상요인을 제외한 능력활용 요인만이 유일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서 고객들에게 인적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회사정책 및 동료관계요인, 보상요인은 관련이 없음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인적서비스는 종사원들 개개인의 기본능력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사원들의 능력을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회를 주고 동기부여를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종사원들의 생산성 증가를 유도하며 동시에 기업의 경영 성과를 높이기 위해 실시되고 있는 것 중 하나가 성과급 제도이다. 이는 종사원들에게 성과에 대한 보상을 해 줌으로써 그들의 업무 의욕을 고취시키고 생산성 향상을 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성과급 제도에 따른 객관적인 평가 모델이 마련되어 있지 않을뿐더러 지급 범위가 한정되어 있어 전 직원이 공유할 수 있는 제도 마련이 시급하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는 외식업체의 내부고객인 종사원의 직무만족이 서비스품질 향상에 대체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외식업체는 종사원에 대한 능력활용의 기회 제공, 근무환경의 개선과 미래에 대한 회사정책 및 동료관계가 원만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분위기조성, 개인 또는 조직의 성과에 따른 인정과 보상 등을 통해 종사원이 자신의 일에 대한 만족을 느낄 수 있도록 유도하여 보다 나은 서비스품질을 창출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With the economic growth, the quality of life becomes upgrade and the eating patterns are changed. As the five-weekday system was introduced and more and more women continue to have careers dining out is not regarded as a simple eating out but as a leisure experience of rest and pleasure. The food service industry is a typical people business. This characteristic influences on the management of the food service industry. However the industry still has a long way to go in terms of human resources management. In providing customers with high qualify service, the job satisfaction of the employees is very important. High qualify service depends on the mind of the employees based on their job satisfaction. The employees are critical element of the food service industry to improve profits. Recognizing their importance this study investigate the job satisfaction factors of employees that would affect their service quality in the food service industry. After literature study related to the theories of job satisfaction, service quality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taurants, an empirical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the job satisfaction of employees on their service quality improvement in the food service industry.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nfluences of job satisfaction on the procedure service factor of service quality were examined. As a result, the reward factor of job satisfaction turned out to give greater influence than the other factors, which implies that proper rewards would upgrade the service quality. Restaurants should reward their employees according to their performance so that they can feel they are appropriately rewarded. Second, the influences of job satisfaction on the response service factor of service quality were examined. The result was the same from the procedure service with the reward factor giving more effects than the other ones. But it wa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company policies and relationships within colleagues, which suggests that the company policies and relationships within colleagues are as important as rewards. Therefore, they should make it a policy to evaluate objectively and fairly in respect to promotions and performance rating and to create an atmosphere to promote the employees relationship within their colleagues and with each other departments. Third, the influences of job satisfaction on the human service factor of service quality were examined. As a result, only the utilization of abilities factor gives influences on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company policies, relationships within colleagues, and rewards factor give no influence on the job satisfaction. In other words, the service of the employees had nothing to do with the company policies, relationships within colleagues, and rewards. Because the service quality depends on the ability of the employees. Thus restaurants should give them diverse chances to utilize their abilities and motivate them.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job satisfaction of the employees, who are the internal customers of restaurants, gives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improvement of their service quality. Therefore, restaurants should make them be satisfied with their jobs and provide better quality service by offering them the chances to utilize their abilities, improving the working environment, preparing company policies for the future, creating an atmosphere for good relationships among the colleagues, and recognizing the performance of the employees and giving them rewards according to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 웰빙축제 서비스품질이 방문객 만족도와 재방문의도에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2019 제천한방바이오 박람회를 중심으로

        문정옥 세명대학교 경영행정복지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639

        As extended life span brings our attention to how to live a healthy and long life, we enter the era of "well-being life" tha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our food, culture, and industry. Moreover, the tourism industry, which considers health and wellness (healing) as tourist resources, has been rapidly growing while local festivals have been playing a key role in accelerating the development and promotion of the regions as important tourist products. Particularly among them, well-being festivals have been emerging, reflecting our growing interest in health, and promoting local characteristics and specialties. Along with the emergence of food tourism and medical tourism, herbal medicine festivals associated with traditional Korean medicine have been attracting our attention. Thus, this article explores how the service quality of well-being festivals affects visitors'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to promote the Korean Medicine Bio Fair in Jecheon 2019. By examining their correlations, it aims to raise awareness of well-being festivals' success factors, such as service environment and facilities, while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revitalization of well-being festivals. To achieve this article's goal, it uses a mixture of theoretical and empirical research methods and analyzes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s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service quality of well-being festivals and visitors'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during the Korean Medicine Bio Fair in Jecheon 2019, held from October 2 to 7, 2019, for seven days. The visitors of the festival filled out the questionnaires in person. Out of the 380 questionnaires, a total of 347 were collected, and from which, this article analyzed 313 valid questionnaires. In this article, the factors determining the service quality can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subcategories: connectivity, convenience, food marketability, information and promotion, and festival content.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reveals that there are statistically meaningful correlations between the festival visitors' satisfaction and "connectivity," "convenience," "food marketability," and "festival content." Meanwhile, in terms of "information and promotion," this factor fails to communicate with the visitors and affect their level of satisfaction. It turns out that among the subcategories of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service quality of well-being festivals, "connectivity," "convenience," "food marketability," and "information and promotion" have an impact on the visitors' revisit intention. However, unlike our expectations, "festival content" does not bring about statistically meaningful results in terms of its level of significance. As you can see from this,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on Korean medicine to satisfy the visitors' expectations of the fair. Furthermore, it is important to put constant effort into developing and differentiating the fair content that would prompt a broader range of people to revisit the fair. Hopefully, this article can lay the foundation for developing a well-being (healing) festival that satisfies its visitors' needs, which could eventually become a tourist resource in the Korean medicine and wellness sectors. 평균 수명이 길어지고 ‘건강하게 오래 사는 법’이 화두로 떠오르면서 우리는 식품, 문화, 산업으로 확대되는 이른바 ‘well-being life'시대를 살게 되었다. 더불어 건강과 힐링(치유)을 관광자원으로 하는 관광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다양한 지역의 축제는 지역의 발전과 홍보를 위한 중요한 관광 상품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 중에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트렌드를 반영하여 지역색과 특산물을 살린 웰빙축제가 등장하였고, 식품 관광, 의료 관광과 함께 한국의 전통 의술인 한방과 관련한 한방축제가 각광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웰빙을 테마로 한「2019 제천한방바이오박람회」의 활성화를 위해 웰빙축제의 서비스품질이 방문객의 만족도와 재방문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연구를 실시하고 이들의 영향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웰빙축제와 관련된 서비스 환경, 편의시설 등 웰빙축제의 시사점을 제공하고 웰빙축제 활성화를 위한 기초 연구가 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여 웰빙축제에 대한 방문객의 축제서비스품질의 만족도, 재방문의도 간의 영향 관계를 설문조사의 결과를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 조사는 2019년 10월 2일에서 2019년 10월 7일까지「2019 제천한방바이오박람회」7일간의 축제 기간에 배포하였으며「2019 제천한방바이오박람회」에 방문하는 방문객이 직접 작성하는 자기기입식 설문지법으로 시행하였다. 총 380부를 배포하여 347부를 수거하여 그중 유효 설문지 313부를 분석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품질 요인을 연계성, 편의성, 음식상품성, 안내·홍보성, 내용성 차원으로 세분화하였다. 분석 결과 웰빙축제 서비스품질의 ‘연계성’, ‘편의성’, ‘음식상품성’, ‘내용성’이 축제 박람회를 방문하는 방문객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안내·홍보성’에 대한 부분은 방문객에게 충분히 전달이 되지 못한 부분에 따른 만족을 주지 못하여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웰빙축제 서비스품질의 하위 요인 가운데 ‘연계성’, ‘편의성’, ‘음식상품성’, ‘안내·홍보성’이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대와는 다르게 ‘내용성’의 경우 유의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위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축제 박람회의 다양한 욕구에 맞출 수 있는 한방과 어울리는 특성을 살린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하며 박람회의 차별화된 내용성이 다양한 방문객의 재방문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끊임없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가 방문객의 욕구에 부합하는 웰빙(치유)축제를 개발하여 한방의료와 웰니스(wellness)관광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 한국의 성인 문해교육 실태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충청지역 성인 문해교육 현장을 중심으로

        김종천 세명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50639

        현대는 평생학습사회이며 개방화 및 세계화, 다양화와 기술 혁신의 가속화 등으로 가치관의 변화와 주변 환경 변화에 따른 효과적인 자기계발이 요구되고 필요한 시대다. 그러나 기초 문해교육의 혜택을 받지 못하면 사는 동안 공정한 출발이 어렵게 되며 정치, 경제, 문화, 교육 등 균등한 기회제공으로부터 소외된다. 개인이 가지고 있는 잠재력을 전 생애에 걸쳐 최대한 계발·활용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가능한 시대에서 기초 문해교육의 혜택을 받지 못한 이들에 대한 시사점은 크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는 한국 성인의 문해교육에 대한 실태 및 인식도와 기관의 특성에 따른 차이점을 알아보고 문해 학습에 참여하는 성인 학습자들이 자신이 속한 기관의 인지도와 학습 진행의 인식도를 탐색하는데 역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에 수행된 연구의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문해교육에 대한 실태분석 결과 문해교육을 받는 목적이 연령은 높고, 학력과 소득 수준이 낮았으며 무직이거나 농업에 속한 사람이 대부분으로 ‘답답하고 서러운’ 한 풀이를 위해 배우려는 소외계층으로 나타났다. 희망하는 학습과목으로는 영어, 컴퓨터, 노래교실과 같은 교양교육보다 기초국어와 수학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나 기초교육의 절실함을 알게 해주었으며 학습과정은 3년이상 지속되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이 속한 문해교육 기관의 운영비 마련과 기관에 대한 인지도 조사에서는 자신이 속한 문해기관에 대한 관심과 인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해기관 운영은 국가의 지원 없이 민간차원에서 운영되어 국가와 사회적 관심이 절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해교육에 대한 인식정도 분석에서는 무학자가 중졸 이상 학생들보다 국가가 문해교육기관 지원 및 육성에 대한 의무를 져야 하며, 연구기관 설립 및 지원은 국가의 의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나 문해교육에 대한 책임은 국가에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문해 학습권의 보장으로 교통비 지급과 그 외 비용을 국가가 부담해야한다고 응답했다. 연령 20-40대에서 자신이 속한 문해교육 기관의 업무수행 능력은 매우 전문적으로 학습자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생각하며, 교육을 통해 자신의 꿈을 실현 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성별은 여자, 학력별로는 초등 중퇴, 무학, 중학 중퇴, 초등 졸, 중졸 이상 순으로 나타났다. 문해현장의 환경과 진행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문해교육을 통해 자신의 꿈을 실현할 수 있다고 지각하는 긍정적인 학생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해 전문가 면담 분석 결과에서는 문해기관의 운영과 문해교사로서 자긍심이 높으며 보람을 느껴 정부지원 없이 운영할 수 있었던 것은 내적 가치 추구가 원동력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정부의 지원책에 대한 만족정도는 매우 낮아 모든 기관이 정부의 제도적·물리적 지원과 아울러 법적 지원을 원하고 있으며, 가장 시급한 문제는 운영비와 교육기자재의 부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첫째, 문해 학습자가 경제적, 학력이나 직업적으로 소외되었고 대부분 고령의 여성이 많은 점을 인식하고 근본적인 연구와 지속적인 지원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문해교육의 효율적인 진행을 위해 단기적인 지원보다는 제도의 개선과 장기적인 학습자중심의 연구와 수업연한에 따른 현실적인 지원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셋째, 성인 문해교육을 받는 학습자들에게 학력인정보다는 연령이 높고 소득이 낮은 점을 감안하여 교통비와 학습비 지원 및 수업환경 개선과 사회적 인식의 전환을 돕는 사실적 행정지원이 필요하다. 넷째, 국가가 책임을 다하지 못한 30년 동안 애정과 사명을 가지고 문해교육을 자발적으로 운영한 민간 문해기관에 대한 사회적 공로를 인정하고, 전문성을 살려 운영할 수 있는 장기적인 방안을 검토해야한다. 이와 같은 결과들을 종합해볼 때 교육기회균등을 실현하려면 국가의 법과 제도의 개선을 통한 지속적 지원과 관심이 필수적으로 요구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lve into the reality of literacy education for Korean adults and to seek ways to boost that education. Specifically, whether or not the characteristics of literacy education institutes made any differences to literacy education was investigated, and how adult learners perceived their learning progress and the characteristics of institutes where they received education was examined as well.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As for global trend in studies on literacy, the focus of those studies have primarily been placed on the economic and social values of literacy, and illiteracy and literacy were understood as a series of changing processes that might take place in a row. 2. Compared to international trend in relevant studies, domestic studies have made little progress, and existing studies didn't yet establish the concept of literacy nor prepared measuring criteria. There wasn't social consensus about the definition of literacy. 3. This study was based on the findings of domestic research, and approached literacy nearly in the same way as earlier studies. Bu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between this and other studies. 1) Illiteracy and literacy were looked upon as a series of ongoing progresses, and two different sorts of subjects were selected, including instructors and learners, to figure out each group's characteristics. 2) An instrument was developed based on the findings of a recent study conducted by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on the state of illiteracy among Korean adults. 3) Educational institutes were classified by type, and how those institutes of different types perceived the government's support and whether or not their way of applying for national aid and their hope made any differences to that were analyzed. Besides, the way learners looked at the management of those institutes was checked. The satisfaction level of teachers and learners might depend on the principles of operation, financial state and the types of program provided. Accordingly, to what extent educational institutes and adult learners are satisfied should accurately be grasped, and educational institutes and the government should perform what they are responsible for in order to take Korean adult literacy education to another level. The effort by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made an experimental analysis of the impact of educational environments on the perception of literacy education. But there are some theoretical or practical limits to this study, which future research efforts should take into account: 1. The way each educational institute looks at national policies is not the same, and in order to produce more accurate results, prolonged observation is called for. But just a short-term, fragmentary approach was taken in this study. 2. As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ed, people's perception might hinge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own and their organizations. Yet it's just attempted in this study to shed light on some of relevant factors, such as the improvement of system, financial aid or standardized textbooks. 3. Just a small number of people in Chungcheong province were examined in this study. In the future, more subjects from diverse backgrounds should be selected to produce more generalizable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