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성결교회 성결론 형성 배경 및 정체성 연구

        김정호 성결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87

        본 논문은 한국성결교회 성결론 형성 배경 및 정체성을 연구한 것이다. 한국성결교회는 그 이름도 성결교회로 칭할만큼 성결을 강조함으로 그 특징을 이루고 있다. 그렇다면 성결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 오늘 한국성결교회가 이해하고 있는 성결은 무엇인가? 여러 교파들이 거의가 전부 성결이란 용어를 사용하지만 성결의 내용과 신학적 정의는 큰 차이를 가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개신교의 시작은 마틴 루터의 종교개혁에서부터이다. 루터는 천주교의 공로구원에 반대하여 구원은 오직 믿음으로 이루어진다고 주장하였다. 개신교는 루터의 칭의 교리 위에 세워졌다. 하지만 이 루터의 칭의의 교리가 여기에서 끝난다면 그것은 잘못이다. 칼 바르트는 우리를 의롭다고 인정하신 하나님은 우리가 실제로 의로와지기를 바란다고 했다. 칭의의 교리는 신앙의 출발점은 될지라도 목적은 아니다. 신앙의 목적은 “내가 거룩하니 너희도 거룩하라”(벧전 1:16)고 말씀하신대로 온전한 성화이다. 필자는 본 논문 1장에서 한국성결교회 성결론 형성 배경 연구를 통해 한국성결교회 성결론의 신학적 배경을 밝히고자 했다. 한국성결교회는 웨슬리가 주장하던 성결의 도리를 그대로 전하기 위해 창립되었다. 웨슬리는 “칭의가 구원의 문이라면 성결은 구원의 방”이라고 주장하며 칭의 후의 제2의 축복으로 성결을 강조하였고 성결은 하나님께서 감리교회에게 전하라고 맡겨주신 “위대한 유산”이라고 말하면서 이것을 전하지 않는 감리교가 있을까 두렵다고 했다. 그러나 한국성결교회는 웨슬리가 직접 창립한 교회가 아니라 웨슬리 전통을 물려받고 있는 교회다. 감리교가 18세기 웨슬리로부터 직접 유래한 데 반해, 한국성결교회는 웨슬리를 계승한 19세기 미국 성결운동으로부터 유래했다. 그러므로 한국성결교회는 18세기 웨슬리신학과 그것을 시대적 상황 속에서 발전적으로 계승한 19세기 미국의 성결운동을 배경으로 탄생되었다. 2장에서 한국성결교회 주요한 인물들의 신학에서 그들이 성결을 어떻게 이해했는지를 연구했다. 1907년 김상준과 정빈의 복음전도에 태동된 한국성결교회를 건축한 분이 이명직이라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명직은 한국성결교회 창립자는 아니었지만 그 이상으로 성결교회 신학과 교리 정립과 발전에 공헌했다. 김응조는 이명직으로부터 가르침을 받고 그의 신앙과 신학을 계승한 성결교 2세대였다. 이성주는 대표적인 3세대 성결교 신학자이다. 성결에 대한 이명직 그리고 김응조와 이성주의 정의는 동일하다. 중생과 성결을 구분한 것, 성결과 성령세례를 동일한 경험으로 이해하고, 또 성결을 원죄와 관련시킨 것은 이들의 성결론이 웨슬리 전통과 입장을 같이하는 것이며 더불어 19세기 후반 급진파 성결운동 노선에서 영향 받았음을 보여준다. 3장에서 한국성결교회 성결론의 정체성 및 신학적 특징을 연구하였다. 한국성결교회는 1961년 분열되어 기독교대한성결교회와 예수교대한성결교회로 양립되어있다. 그러나 성결에 대한 주장과 입장에는 아무런 차이가 없다. 기성과 예성이 말하는 성결은 같다. “성결이란 중생 이후에 이루어지는 이차적인 축복이며 성결의 은혜를 받게 되면 인간의 마음속에 자리잡고 있는 원죄(혹은 부패성)에서 정결케 되며 성결은 성령의 사역이기 때문에 성령세례라고 불려진다.” 그래서 한국성결교회 성결론은 다음과 같은 신학적인 특징이 있다. 한국성결교회는 웨슬리안 성결교파중의 하나이며 웨슬리안 성결운동에서 강조하는 성결론의 핵심은 다음 세 가지이다. 그것은 중생과 성령세례가 구분된다는 것이고 성령세례는 곧 즉각적인 성결의 체험이며 또한 성결에 대한 이해는 명백한 죄성 제거설(eradication theory)을 주장한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 한국성결교회 성결론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왜냐하면 신학은 과거의 역사를 연구하고 분석하는 데서 끝나서는 안되며 오늘 우리의 문제에 대한 대답이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 전문인선교로서 태권도를 통한 선교전략에 관한 연구

        윤승범 성결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21세기 세계복음화와 선교에 대한 주님의 명령을 이루기 위한 선교전략으로서 태권도 전문인선교에 대한 이해와 필요성 그리고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세계 인구 중 2/3가 창의적 접근지역 즉 선교사의 입국을 거부하는 지역에 살고 있다. 창의적 접근지역이란 법적 제한이나 사회 문화적 상황으로 전통적인 선교방법으로는 활동이나 접근 자체가 제한된 지역을 말한다. 특히 단 한번도 예수 그리스도에 대하여 들어보지 못한 미전도종족들의 대부분이 이 지역에 살고 있다. 그러므로 접근 제한지역(선교사 비자로 입국이 거부되는 나라)에 살고 있는 미전도종족들에게 복음을 전하기 위해서는 창의적인 방법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전파할 전문인선 교사들의 필요가 절실하다. 전문인선교 중에서 누구나 좋아하는 스포츠선교는 가까운 이웃은 물론 인종 , 사상과 언어를 초월하여 모든 사람들을 만나게 해주며, 대화의 접촉점 역할을 하기 때문에 신체적, 사회적, 정신적인 위치에서도 중요하다. 그리고 선교적인 측면에서는 복음의 매개체로서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전문인선교로서 태권도 선교는 한국이 종주국으로 기득권을 갖고 각 국가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선교사의 입국을 제한하는 지역에 있어서 한국인 태권도 선교사의 우수성은 매우 뛰어나다. 본 연구논문의 내용은 제Ⅰ장에서는 연구 동기와 목적, 방법과 범위로 논문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제Ⅱ장에서는 21세기 세계선교 동향과 흐름 그리고 전문인선교의 이해를 통해서 현대 선교전략은 전문인선교의 시대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제Ⅲ장에서는 전문인선교로서 스포츠와 태권도선교의 우수성 그리고 스포츠선교의 성경적 근거와 복음의 관계성, 태권도 선교단체들의 활동들을 살펴봄으로서 스포츠와 태권도가 선교에 있어서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제Ⅳ장에서는 태권도 선교전략의 우수성과 보완점 그리고 구체적인 선교전략방법, 선교현장에서의 태권도 선교사들의 실제적인 사례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서 태권도 선교전략의 중요성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제Ⅴ장에서는 결론으로서 앞으로의 태권도 선교전략에 대한 과제와 현대 전문인 선교에 다양한 선교전략이 있지만 그중에서도 한국인의 전문인 선교전략에 있어서 무한한 가능성과 함께 창의적 접근방법과 접촉점 형성에 뛰어난 가치를 갖고 있는 선교전략이 바로 태권도 선교임을 결론지으면서 본 연구 논문을 마무리하였다. The study is to have a mission strategy for achieving the great commission of Jesus Christ such as the world evangelization and mission in the 21th century. Also,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esent it's understanding, need and strategy for the tent-making mission. People of the two-thirds of the world live in the area of refusing the missionary entry. The creative approach is needed to contact them in their social and cultural situations. They are the most unevangelized tribes who have not heard of Jesus Christ. The author, therefore, feels keenly the necessity of the tent-making mission for conveying the gospel of Jesus Christ to them with the creative missionary method. The sports mission is one of the most popular method among the tent-making mission. It can make all kinds of people be oriented to the gospel through the sport, even though they have different images and languages. Also, it can provides them with the important meaning of the gospel through the physical, social, and mental contacts during the process of training sports. Specially, korea is the nation of Taekwondo and it can be applicable to the tent-making mission. It has a good advantage to excel the missionary works for easy accessibility to the limited areas in the world. The research treatise has five chapters. The first chapter is to present a direction in treatise as the motive, the purpose, the method, and the limitation for the study. The second chapter explains a modern strategy and tendency of missions as a tent-making mission. The third chapter analyzes the role between sports and Taekwondo in the light of the missionary works. It continues to survey the activities of some Taekwondo mission organizations and the superiorities of sports and Taekwondo for the missionary works related to evangelism and missions. The fourth chapter makes focus on the importance of Taekwondo mission strategy by describing some cases of Taekwondo missionaries. The fifth chapter comes to the finish in conclusion. The author suggests some guidelines for doing missionary works as Taekwondo missionaries and for managing some problems of Taekwondo mission strategy in the future. Finally, above all things, the author confirms that it's Taekwondo missionary work as a creative missional approach and tent-making strategy of missions.

      • 사중복음이 평신도의 영성에 미치는 영향

        전상준 성결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05 국내박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후기산업시대를 맞이한 한국교회는 1990년을 기점으로 영성의 퇴보와 성장이 둔화되고 있다. 한국교회의 영성약화 요인을 교회의 정체성의 약화, 영성의 결여, 개인주의화, 세속화, 교회의 성령의 능력상실로 본다. 새로운 시대로 진입한 한국교회는 정체성 상실의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교회의 정체성 확립과 능력회복에 있다고 보며, 사역의 주역인 평신도 영성성숙에 둔다. 본 연구의 필요성은 사역의 현장에서 평신도들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평신도의 영성을 극대화 시키는 방법으로 사중복음 영성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평신도의 영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현대 영성훈련의 모델이 될 사중복음 영성훈련을 연구하는데 있다. 이 목적을 위해 문헌을 연구하였으며, 사중복음 영성훈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본 연구자가 개발한 설문지로 설문조사 하였다. 본 설문지는 일반적인 특성을 6개의 문항과 사중복음 영성훈련을 위한 66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자의 설문조사는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도 지역)과 비수도권(충청도, 전라도)에 있는 13개 교회에 350부를 배부하여 290부가 회수되어 문항분석과 요인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주제인 “사중복음 영성훈련”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여 검증하였다. 1. 성별에 따라 중생, 성결, 신유, 재림에 대한 확신과 목회자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과 평신도 영성을 위한 노력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연령에 따라 중생, 성결, 신유, 재림에 대한 확신과 목회자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과 평신도 영성을 위한 노력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3. 교육수준에 따라 중생, 성결, 신유, 재림에 대한 확신과 목회자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과 평신도 영성을 위한 노력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4. 직분에 따라 중생, 성결, 신유, 재림에 대한 확신과 목회자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과 평신도 영성을 위한 노력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5. 신앙생활기간에 따라 중생, 성결, 신유, 재림에 대한 확신과 목회자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과 평신도 영성을 위한 노력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6. 사중복음 영성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신자들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는 통제집단의 신자들보다 중생, 성결, 신유, 재림에 대한 확신과 목회자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과 평신도 영성을 위한 노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위 문제들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각 30명씩 구성하여 사전동질성 검사를 하였으며, 실험집단의 12주 훈련 후에는 훈련결과를 검증하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후검사를 위하여 설문지를 부호화(coding)하여 SPSS 11.0 for windos를 사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들을 검증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라 사중복음의 확신과 목회자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과 평신도 영성을 위한 노력의 차이가 있는 지를 검증한 결과 남, 녀 간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령별에 따라 사중복음의 확신과 목회자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과, 평신도 영성을 위한 노력의 차이가 있는 지를 검증한 결과 사중복음 중 성결에 대한 확신, 신유에 대한 확신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목회자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과 평신도의 영성을 위한 노력에서도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즉, 연령이 높아질수록 사중복음에 대한 확신이 더 높았으며, 목회자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과 평신도의 영성을 위해 더 많은 노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수준에 따라 사중복음의 확신과 목회자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과, 평신도 영성을 위한 노력의 차이가 있는 지를 검증한 결과 평신도 영성을 위한 노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교육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평신도의 영성 성숙을 위해 더 많은 노력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비록 유의미 한차이는 아니었지만, 교육수준이 높은 집단이 사중복음에 대한 확신이 더 높은 경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목회자를 신뢰하고 목회자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을 위해 좀 더 많은 노력을 하는 경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분에 따라 사중복음의 확신과 목회자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과 평신도 영성을 위한 노력의 차이가 있는 지를 검증한 결과 사중복음 중 성결에 대한 확신과 신유에 대한 확신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목회자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과 평신도의 영성을 위한 노력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권찰이나 집사보다는 권사나 장로들이 사중복음에 대한 확신을 더 많이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목회자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과 평신도의 영성을 위한 노력도 더 많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신앙생활기간에 따라 사중복음의 확신과 목회자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과 평신도 영성을 위한 노력의 차이가 있는 지를 검증한 결과 사중복음의 전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목회자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과 평신도의 영성을 위한 노력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신앙생활기간이 길수록 사중복음에 대한 확신이 더 높았으며, 목회자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을 위한 노력이나 평신도의 영성을 위한 노력도 더 많이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여섯째, 사중복음 영성훈련을 받으면 평신도의 사중복음 확신과 목회자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과 평신도 영성을 위한 노력에 차이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후검사에 대한 사중복음의 확신과 목회자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과 평신도 영성을 위한 노력의 차이가 있는 지를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사중복음 영성훈련은 의미있는 효과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사중복음 영성훈련이 신자들에게 영성에 대한 확고한 자신감과 체험을 인식시켜 주었다. 교육을 하고 집중 기도를 함으로 은혜를 체험하였고, 일상생활속에서 영성성숙을 추구하도록 하였다. “사중복음이 평신도 영성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본 연구를 통해 사중복음의 새로운 영역의 가능성을 보았다. 성결교회는 사중복음을 유업으로 받았다. 사중복음의 신학화 작업뿐만 아니라 생활가운데 실천적으로 도움이 되는 실천신학적 연구가 앞으로 더욱 활발하게 될 때 한국 교회에 부흥과 성장을 가져올 것이다. 중생, 성결, 신유, 재림의 복음을 더욱 체계적이고, 전문적이며, 실천적인 영성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평신도 영성성숙을 위해 사중복음이 폭넓게 활용될 수 있다는 확신을 얻게 된다. 앞으로 남은 과제는 깊이 있는 영성훈련 프로그램의 개발과 지속적인 교육이다. 성결교회는 유업으로 받은 귀중한 유산인 사중복음을 더욱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중생으로부터 시작된 영성은 재림으로 완성되어지며, 영원한 하나님의 나라를 사모하고 현재 주어진 환경속에서 더욱 충성, 봉사, 헌신하는 신자가 되어야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복음주의 교회에서 적용될 것이다. The Korean church in the age of post industrialism has become dull in growth and spirituality since 1990. The cause of weakened spirituality of the Korean church is seemed because of weakened identity of church, lacking spirituality, individualism, secularization, and lacking holy capability of church. The Korean church that entered into new age is facing the risk of losing her identity. To overcome it, Church identity needs to be established and Church sacred capability required to be recovered. And the spirituality of lay believers and the leading part of ministry should be matured. This study developed spirituality training program for the Fourfold Gospels as a method to maximize the spirituality of lay believers to use them effectively ministry. The goal of this study is on studying the Fourfold Gospels spirituality training that would be the model of modern spiritual training to maximize the spirituality of lay believers. To achieve this goal, the researcher studied documents, to verify the effect of spirituality training for the Fourfold Gospels, and the researcher performed research with questionnaire that is developed the the researcher. This questionnaire is consisted of 6 general characteristics questions and 66 questions for spirituality training for the Fourfold Gospels. The researcher distributed 350 copies of questionnaire to 13 churches in metropolitan areas (Seoul, Incheon, and Gyeonggi) and local areas (Chungcheongdo, and Jeollado). With 290 recollected copies the researcher analyzed questions and causes.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spirituality training of the Fourfold Gospels", the researcher sets hypothesis as below and verified it. 1. There will be difference in effort for spirituality between pastor and lay believers, in desirable recognition on pastor, and in assurance of Regeneration, Sanctification, Divine Healing, and Second Coming of Christ according to gender. 2. There will be difference in effort for spirituality between pastor and lay believers, in desirable recognition on pastor, and in assurance of Regeneration, Sanctification, Divine Healing, and Second Coming of Christ according to age. 3. There will be difference in effort for spirituality between pastor and lay believers, in desirable recognition on pastor, and in assurance of Regeneration, Sanctification, Divine Healing, and Second Coming of Christ according to level of education. 4. There will be difference in effort for spirituality between pastor and lay believers, in desirable recognition on pastor, and in assurance of Regeneration, Sanctification, Divine Healing, and Second Coming of Christ according to job. 5. There will be difference in effort for spirituality between pastor and lay believers, in desirable recognition on pastor, and in assurance of Regeneration, Sanctification, Divine Healing, and Second Coming of Christ according to the terms of religious life. 6. There should be mor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orts for spirituality of pastor and lay believers, in desirable recognition on pastor, and assurance of Regeneration, Sanctification, Divine Healing and Second Coming of Christ in the believers in the test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spirituality training for the Fourfold Gospels, rather than the believers in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To verify the subjects above, the researcher consisted test group and control group with 30 believers each, and performed preliminary similarity test, and verified training result after 12 weeks training of test group. And for post examination between test group and control group, the researcher coded questionnaire and took statistics using SPSS 11.0 for windows. Summary of the results obtained by verifying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is as below. Firstly, from the verification, it was found out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econdly, important difference in assurance of Divine Healing and Sanctification among the Fourfold Gospels was found out. Also,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efforts for spirituality between pastor and lay believer and in desirable recognition on pastor. Therefore, as getting older, assurance of the Fourfold Gospels was higher, and it was found out that the older makes more efforts for spirituality of pastor and lay believer and for the desirable recognition on pastor. Thirdly, serious difference was found out in efforts for spirituality of lay believer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group in higher education level puts more efforts for spirituality maturity of lay believers than the group in lower education level. Although it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t was found out that the assurance of the Fourfold Gospels was higher in the group of higher education level, and that they rely on pastor more are tend to show more efforts for spirituality of pastor and the desire more recognition from pastor on to them. Fourthly, important difference was found out in assurance of Sanctification and Divine Healing among the Fourfold Gospels. Als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out in efforts for the spirituality of pastor and lay believers and in desirable recognition on pastor, too.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deaconess or elders have more assurance in the Fourfold Gospels and put more efforts for spirituality of pastor and lay believers and for the desirable recondition on pastor than deacons. Fifth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out in all areas of the Fourfold Gospels. In efforts for spirituality of lay believers and for the desirable recognition on pastor, there was important difference between pastor and lay believers. Therefore, as the term of religious life is longer, assurance of the Fourfold Gospels was higher, and the efforts for spirituality of lay believers or for the desirable recognition on pastor were higher, too. Sixthly, from the result of verifying if there is difference in efforts for spirituality of pastor and lay believers, for desirable recognition on pastor and for assurance of the Fourfold Gospels on post examination in test group and control group,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out statistically. Therefore, the spirituality training of the Fourfold Gospels has valuable effect. Through this study, the spirituality training for the Fourfold Gospels recognized self-confidence and experience on spirituality for believers. It made grace to be experienced through education and concentrated pray, and spirituality to be pursued to mature in daily living. Through this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Fourfold Gospels on the spirituality of lay believers", new area of the Fourfold Gospels was found out. The Sungkyul Church received the Fourfold Gospels as its work. When the Fourfold Gospels is made to theology and practical theological research is more actively done in daily living, the Korean church will grow and revive. More systematic, special and practical spirituality training program for gospels of human nature, Sanctification, Divine Healing and Second Coming of Christ should be developed. It is assured that the Fourfold Gospels can be broadly used for the maturity of spirituality of lay believers. The task laid in the future is to develope the practice constant education of intensified spirituality training program. The Sanctification Church should progress more the Fourfold Gospels, precious inheritance. Spirituality started from human nature is completed by Second Coming of Christ. In that sense we should be a faithful, voluntary and devoting believers in the present given environment and should long for the Kingdom of God that will last forever.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ill be applied in the Evangelical Church.

      • 中國敎會의 神學과 敎育改善方向에 關한 硏究

        嚴震澤 聖潔大學敎 神學專門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논문은 현재 삼자교회와 가정교회를 포함한 중국교회의 신학을 분석하고, 중국교회 지도자 교육을 포함한 선교교육방법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삼자교회 신학은 하나님은 사랑이심을 강조한다. 인간성의 전체적인 타락을 부정한다. 삼자신학의 가장 큰 문제점은 성경을 보는 관점이다. 삼자신학은 하나님의 계시가 아직 이 세상에서 실행되어지고 있음을 강조한다. 그들은 성경 전체가 하나님으로부터 왔음을 믿지 않는다. 그러므로 신자들은 진정한 복음을 들을 수 없고, 예수그리스도 안에서 참 생명을 얻늘 수 없다. 교회에 생명력이 없으며, 영적으로 죽어가고 있는 것이다. 가정교회는 사회주의 제도가 시행되면서부터 생겨났다. 가정교회에는 3가지 형태가 있다. 공개적인 교회, 반공개적 교회, 비공개적인 교회가 그것이다. 가정교회의 신학은 한국교회와 같이 비교적 말씀중심의 보수신학이다. 그들은 성경전체가 하나님으로부터 왔음을 믿는다. 그들은 목회자를 포함하여 교회리더를 양성하는 훈련이 지나칠 정도로 단기간이며, 여러가지 이단들의 침투에 대한 방비가 미약한 편이다. 삼자교회와 가정교회의 가장 큰 문제점은 교회지도자의 부족에 있다. 정부에 등록되지 않은 가정교회에 있어서 목회자, 교사 등 모든 레벨의 리더와 일반 신자의 비율은 1:1,000이다. 삼자교회에 있어서 목회자 수와 일반신도의 비율은 1: 7,000이다. 오늘날 중국교회에 있어서 가장 절실한 문제는 성경도 아니고 교회건물도 아닙니다. 그것은 바로 교회지도자의 부족입니다. 많은 교회지도자와 목사들이 다른 직장에서 일하면서 하나님을 섬기고 있습니다. 그들은 낮에 직장에서 일하고 밤에 교회를 섬기고 있다. 더욱이 그들의 대부분은 조직적인 신학훈련을 받지 못한 상태이다. 많은 양떼들이 목자의 돌봄을 기다리고 있으며, 중국 어느 곳에서도 리더의 수는 부족한 가운데에 있다. 결론적으로 본 저자는 중국교회에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하고자 한다. 첫 번째, 중국교회는 바른 신학을 수립하여야 한다. 중국은 세계복음화를 실현시킬 수 있는 능력을 소유한 국가이다. 중국인들은 그들이 세계의 중심에 있는 국민이라고 생각한다. 그들이 세계를 품을 수 있는 교회가 되려면 중국교회의 신학의 틀이 세계를 품을 수 있는 넓은 신학으로 변화되어야 한다. 현 시점에 있어서 중국교회의 신학은 지역주의적이고, 사회주의 지상 천국주의 색채가 강하다. 세계선교를 수행하려면 성경 말씀을 기초로 한 복음주의 신학을 수립하여야 한다. 바른 신학으로서 중국철학 근저에 깔려 있는 ‘聖’의 사상과 닮은 한국의 ‘聖潔’神學을 추천한다. 둘째로, 삼자교회 목회자들을 위한 신학교정 사역이 필요하다. 삼자교회의 신학은 한마디로 중국정부의 정치적인 계획과 목적에 의해 정부주도하에서 이루어지는 중국사회주의건설을 위한 삼자정책을 앞세운 중국본색화 신학이다. 결국 삼자교회신학교 통해 배출된 목회자들은 바른 신학을 배울 수 없기 때문에 결국 교회에서의 섬김과 사역에서 많은 문제와 갈등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바른 신학을 전수해줄 선교사들을 필요로 하고 있다. 삼자교회 목회자들의 신학교정사역이야 말로 신학적으로 갈등을 갖고 있는 목회자들과 장래 중국삼자교회의 변화를 위해 반드시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사역 중에 하나이다. 셋째로, 신학교육과정의 다양화가 필요하다. 가정신학교가 열악한 환경에서 낮은 수준으로 신학교육을 실시하지만 가정교회 사역자 육성에는 어느 정도 기여해 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 수준으로는 가정교회 사역자들을 훌륭한 사역자로 육성하기에는 부족하다. 중국교회에서 지도자교육을 시킬 때 앞으로는 다양한 방면의 교육을 개발해야 한다. 현재 신학교에서 배출하는 지도자는 말씀을 전하는 사역자들이다. 그러나 현재의 중국교회는 말씀 사역 외에도 문서사역, 교회음악, 기독교 교육, 유아교육, 가정사역, 사회복지사역, 상담방면의 지도자가 필요하다. 그리고 앞으로 점점 컴퓨터나 캠코더와 같은 미디어를 이용한 교육기법이 늘어감에 따라 이에 대한 교육도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넷째로, 중국교회가 주도하는 신학교육사역이 되야 한다. 21세기 중국선교는 중국교회가 주도하는 선교이어야 함을 누구도 부인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선교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인재를 키우는 신학교육도 당연히 중국교회가 주체가 되어야 하고 선교사는 이들을 섬기고 그들이 부족한 부분을 채워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섯째로, 다양한 교육방법의 개발과 활용이 필요하다. 인터넷 영상문화 활용 등의 다양한 교육방법을 활용함이 절실히 요구된다. 교육할 내용과 가르침을 받아야 할 사람은 많은데, 가르칠 사람은 적고 대상지역은 넓은데 지도자는 극히 모자란다. 그런데다가 가르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도, 사회환경적인 여건도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나 가르침은 절실하다. 이는 교육방법의 혁신과 변화를 요구하는 절실한 요소로 작용한다. 여섯째로, 하나님이 하시는 중국선교임을 알아야한다. 1966년부터 시작된 문화대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present theology of the Chinese churches including Sam Ja[three self] churches and the House churches and to propose a way of revitalizing the educational methods toward China such as developing a method for Christian leaders in China. Sam Ja theology emphasizes God as Love. It denies the total depravity of humanity. The biggest problem of the Sam Ja theology is in its biblical point of view. It insists that God's revelation is still active in this world. They do not believe that the whole Bible comes from God. So believers cannot hear the true gospel and cannot have the real life in Christ. There is no vitality and they are dying in spirituality. The House churches began from the period of the establishment of the Communist regime. There are three categories in the types of house church: the type of church, the publicly open type, and the secret type. The theology of the house churches is relatively evangelistic like Korean churches. They believe that the whole Bible comes from God. They currently allow the Christian leaders and pastors to preach with only 3 month of training, though they need much more course work and training. This weakness in pure theological study makes them vulnerable to anti-evangelical and Biblical theories. The biggest common problem of Sam Ja and House churches is the lack of leaders. In the non-registered house churches, the rate of church leaders including all level preachers, teachers and workers to the members is about one to one-thousand(1:1,000). In Sam Ja churches, the percentage of pastors to Christian members is one to seven-thousands(1:7,000). It is not the Bible, nor the church buildings, but the leaders that lacks most in the Chinese mainland churches today. Many church leaders and preachers serve God while they have some job at other places. They work in the daytime and lead the churches at night. Furthermore, most of them haven't received the systematic theological training. Many sheep with very limited shepherds, the supply cannot meet the demands in everyplace. In conclusion, the author proposes some suggestions for the Chinese churches as follows; First, Chinese churches should establish the evangelistic theology. China has the power to carry out the evangelization of the world. Chinese people think that they are in the center of this world. In order to get in the mainstream of world-wide churches, Chinese churches should reform to be evangelistic. Chinese church's theology at present time is to be regional, utopian, and socialistic. To do Christian missions, they should have the evangelistic theology on the basis of the Bible. Second, Chinese Churches should accept the internal demand for improving their theological education. Chinese seminaries need to establish more specific departments of Christian education for missions. They have a desire to indigenize Christianity as from the nature of leadership. So they need their cultural based contents in the part of education of Christianity. Third, a more effective mission methodology for the future of China is for the Chinese to take ownership of mission work themselves, including taking part in mission abroad. Computer and Internet resources should be maximized, for example, as in the sending of audio-visual materials such as contemporary Christian music and dance. Chinese missions will be most effective when the missional strategy is that of a partnership and also includes the indirect missional works such as the medical and the industrial missional works. Fourth, Korean Christian missionaries should work together in developing the vision for the missionary activities in China. Although the religious policies of China cannot be trusted totally, the new and more open policies will help in establishing the missionary activitie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accurately the Chinese religious policy for the missionary works together. Finally, it should be ultimately realized that the driving force of Chinese missionary works needs to originate from the Chinese people themselves. In the immediate future, however,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the missionary works in China will be to understand the culture of the land and how much of Christianity can be accommodated by Chinese culture without conflict. 本文将对中国教会的神学,即三自教会和家庭教会的神学进行剖析,力求在中国教会领导者的培养以及其他传教教育方面提出好的方案。 三自教会的神学强调上帝是爱,却否定了人性之堕落。三自神学最大的问题就是看待圣经的问题。三自神学强调上帝的启示还处于人世间的实现阶段,并不相信圣经全部是源自上帝。因此,信者并不能听到真正的福音,也就不会相信主耶稣内有真生命。 家庭教会是社会主义制度下的产物。它有三种形式,即公开性的教会、半公开性的教会和非公开性的教会。家庭教会和韩国的教会相似,它的神学是以福音为中心的保守神学。它相信圣经是源自上帝。在包括牧会者在内的教会领导人培养方面,它严重不足,而面对各种异端的侵入,其防备也很薄弱。 不管是三自教会还是家庭教会,最大的问题都是教会领导者严重缺乏。没有在政府部门登记的家庭教会中,牧会者、教师等各种水平的领导者和一般信徒的人数比例是1:1000。在三自教会中,牧会者人数与一般信徒人数的比例是1:7000。今天,在中国教会里需要解决的最迫切的问题不是圣经的问题也不是教会场所建筑的问题,而是教会领导人不足的问题。很多教会的领导者和牧师都是在做别的工作的同时为上帝做工。他们白天在公司上班,晚上在教会服务。而且他们中的大部分人都没有受到过专门性的神学教育培训。羊群等待着牧羊人的照看,中国各地的教会都处于领导者不足的状态。 最后,对于中国教会,本文提出如下建议。 第一,树立正确的神学观。 将来,中国教会应该担负起向历史文化状况与本国完全不同的其他国家传播福音的重任。为此,必须摆脱当今中国国内“中国化神学”的框架和羁绊,要立足于圣经,树立起更客观、更普遍的神学观。中国政府认定倡导进化论的“丁光训神学”是与社会主义中国建设相适应的神学,因而在三自教会和三自神学校积极地提倡推广。这种神学立场的差异使得三自神学校正面临着改革开放以来最大的危机。而分散于全国各地的家庭教会,由于所处的社会、历史及文化条件不同而具有各自独特的性质特征。要在全世界范围内担当起传教的主导型角色,就必须克服中国化的个性环境,以圣经为根本和基础,树立起统战性、普遍性的神学观。说起端正的神学要推荐与奠定中国哲学基础的圣的思想相似的韩国圣洁神学。 第二,为三自教会的牧会者设立神学课程是当务之急。 三自教会的神学一言以蔽之是依据中国政府的政治计划和目的,在中国政府主导下实现的,为中国社会主义建设服务的,以三自政策为引导的中国特色化的神学。所以,出身三自教会的牧会者并不能学到真正的神学,在教会的侍奉和做工等方面存在着诸多的问题和矛盾。这些牧会者不论是在“灵”或“智”方面还是在对神学的理解方面都有欠缺,这也使得教会缺乏应有的生命力。但是,他们的影响力是惊人的。从地方数百人的小教会到城市几千人的大教会,都由他们组织。因此,为三自教会的牧会者设立正确的神学课程是解决神学纷争并实现未来三自教会改革的重中之重。 第三,神学教育课程需要多样化。 在中国教会培养领导人时应注意日后教育课程开发的多样化。现在从神学校走出的领导人只是传道口授者,但当今中国教会需要的不仅仅是传道者,在文书撰写、音乐教育、幼儿教育、家庭管理、社会福利以及咨询等方面也需

      • 목회서신에 나타난 신학과 윤리의 통합

        이우경 성결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671

        This study is focused on pastoral epistles by the integration of theology and ethics. This study's argument is followed on: First, False teachers, the community has a decisive influence. They fell into a speculative an exposition. House churches of Ephesus, importantly, the map location of the church, and exercised considerable influence on the false teachers in the fact that the wrong way. As a result, the beliefs and deeds of believers who had heresy was influential. It was wrong to theological or ethical teachings. Second, In the Pastoral Epistles, based on this key theological eschatology and soteriology, ecclesiology and ethics deployed to respond to the situation of the church in Ephesus. These from a theological perspective, the Christian, as a steward, you need proper deeds. Third, Pastoral Epistles through the 'sound doctrine' 'correct language' emphasizes the relationship of theology and ethics. Theology and ethics, combine to form one coherent structure.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the opinions and commentaries of scholars. Contents are as follows: (Howard Marshall) saw it as the core theological pastoral epistles of christology and soteriology. In the same vein (Philip Towner) also the center of the Pastoral Epistles Theology salvation is formed from a combination of theology and ethics was more thinking. Grasp the importance of the combination of theology and ethics, and to apply it when you begin to understand the pastoral epistles. Interested in Paul's belief in the right that is represented by a straight life. What characterizes the pastoral letter is not a doctrine. Holy life, and a mixture of right doctrine can be said. In conclusion, theology and ethics dense connected. Paul's message was determined by the specific nature and results. They had caused a distortion of the gospel of the roots of division lies. This counsels of Paul and the theological and ethical response is at the heart of ethical beliefs and practices, matching the right theology. And it is the duty of the church to maintain it is balance. A good minister of Jesus Christ, we should strive for further growth. This paper, through the example of others and hope to indicate maturity. 이 연구는 목회서신의 신학과 윤리의 통합에 대한 연구이다. 이에 관련한 목회서신에 나오는 본문을 통하여 신학과 윤리의 연결점을 찾고자 했다. 왜냐하면 목회서신의 바탕에는 신학적인 골격이 깔려있기 때문이다. 목회서신은 바울의 다른 어떤 편지들보다 더 특징적으로 신학과 윤리의 온전한 결합을 강조한다. 이 현재의 시대에서 구원을 통하여 주어지는 그리스도인의 실존은 윤리의 응답을 포함하지만 그러기를 방해하는 세력들이 있다. 그것은 거짓 선생의 문제이다. 목회서신의 일련의 본문에서 거짓 선생들의 문제를 다룬다. 때문에 거짓 선생들의 문제는 목회서신의 핵심적인 주제 중에 하나라고 생각 할 수 있다. 논문의 중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거짓 교사로 인해 지역 사회가 결정적인 영향을 받았으며 에베소와 그레데 교회들은 중요한 교회의 위치를 잃었고 잘못된 방법으로 잘못된 교사에 상당한 영향을 받았다. 그 결과, 이단의 가르침으로 신자의 믿음과 행동이 일치하지 않았다. 그것은 신학적 또는 윤리적 가르침의 문제를 주었다. 거짓 선생들은 다른 교훈을 가르치는 일에 집중했다. 그들은 율법의 가르침을 핵심모드로 삼았으나 율법의 본뜻을 파악하지 못하고 사변적인 석의 방법에 빠졌다. 둘째, 목회서신은 편지들의 초두에서 ‘청결한 마음’, ‘선한 착한 양심’ 혹은 ‘선행’, ‘거짓이 없는 믿음’ 그리고 ‘더러운 마음과 양심’에 대한 비난 등을 통하여 믿음과 경건한 인격의 결합을 함축적으로 제시한다. 이렇게 윤리적 도덕적 성실을 반복해서 강조하는 것은 목회서신의 가장 독특한 특징이다. 그리스도인들은 내적 성결의 삶을 살 뿐만 아니라, 또한 그리스도교적 방식의 길을 걸으며 도덕적으로 우월함을 사람들에게 보여주어야 한다. 셋째, 목회 서신서는 신학과 윤리의 관계를 강조하고 있기 때문에 일관된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결합할 수 있다. 방법은 학자들의 의견과 주석으로 정리하였다. 대표적으로 마샬은 신학적 핵심을 기독론과 구원론으로 보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에베소와 그레데 교회의 상황에 대응하는 교회론과 윤리를 전개한다고 주장한다. 타우너 또한 목회서신의 큰 주제를 구원론으로 본다. 목회서신의 핵심적 신학인 구원론을 비롯하여 다른 주요 신학적 주제들(종말론, 구원론, 교회론)을 다룰 것이다. 결론적으로 목회서신은 건전한 가르침과 건전한 삶, 그리고 그 결합을 반복해서 강조하는데 이는 단지 많은 주제들 가운데 하나이거나 편지의 실천적인 후반부를 위하여 남겨진 주제가 아니라, 바른 가르침과 뒤엉켜 연결되고 전 작품의 구조에 짜여 들어간 주제라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목회자와 교회는 이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며 반드시 이행해야 할 의무로서 이해되어 진다.

      • 신명기 역사가와 역대기 역사가의 관점에서 본 요시야

        최사무엘 성결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671

        This thesis main point is to research the theology in the Deuteronomistic history book and the Chronicle history book that have the history of ancient Israel. The two history books difference comes from the fact that the final shape of the Deuteronomistic and the Chronicles history are different. These differences come from the target of the books, in other words the readers difference in the place and time of life. The Deuteronomistic history targets the Jewish prisoner community that were taken to Babylon after the fall of Jerusalem, and the Chronicle history targets the Jews that were brought back by Persian King Cyrus imperial order. The Deuteronomistic history focus on the monotheistic theology, the Torah (commandments), the ban of idol worship, and the holification of the center of proposal of ancient history to the Jewish prisoner community in Babylon. The Chronicle history focus on the David Dynasty, the chief priest and Levite centered church community, and proposal theology as a retribution theology for the Jewish community that have returned back to Jewish land. Josiah, who is the 16th Jewish king (reign BC 640-609) is a great king who unified the 12 branches of territory that was Israel before with David and Solomon. Josiah is introduced as a kind king who followed all of Yahweh's commandments completely in both the Deuteronomistic and the Chronicles historian. Josiah's main points are shown completely in both historians theology perspective. The Deuteronomistic history interprets Josiah's religious reformation with focus on the monotheistic theology, the Torah (commandments), the ban of idol worship, and the holification of the center of proposal as a point of the regain of the land through Josiah's main points. The Chronicle history interprets Josiah's religious reformation with focus on the David Dynasty, the chief priest and Levite centered church community, and proposal theology as a point of purify through Josiah's main points. 본 논문은 고대 이스라엘 역사의 내용을 담고 있는 신명기 역사서와 역대기 역사서의 신학을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신명기 역사서와 역대기 역사서의 최종적인 형태가 틀리기 때문에 각 역사서의 차이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차이점은 각 역사서를 읽는 대상, 즉 독자의 삶의 자리의 시공간적인 차이이다. 신명기 역사서는 예루살렘 멸망 후 바벨론 포로로 끌려간 유다인 포로공동체에게 쓰여졌고, 역대기 역사서는 페르시아 고레스 왕의 칙령으로 귀환된 유다인 귀환공동체에게 쓰여졌다. 신명기 역사가는 바벨론에 있는 유다인 포로공동체에게 옛 조상들의 역사를 유일신 신학, 토라(율법), 우상숭배 금지, 제의의 중앙 성소화 강조와 함께 보응신학적 관점으로 해석하였다. 역대기 역사가는 유다땅으로 돌아온 유다인 귀환공동체에게 조상들의 역사를 다윗왕조, 제사장 · 레위인 성전중심공동체, 제의신학 강조와 함께 응보신학적 관점으로 해석하였다. 유다 16대왕 요시야(재위 BC 640-609)는 다윗, 솔로몬과 함께 전 이스라엘 12지파 영토를 통합하고, 예루살렘 중앙제의를 실시한 위대한 왕이다. 요시야는 신명기 역사가와 역대기 역사가에게 야웨의 모든 율법을 온전히 준행한 선한 왕으로 소개하고 있다. 요시야의 본문은 각 역사가의 신학적 관점이 그대로 드러난다. 신명기 역사가는 요시야의 본문을 통해 유일신 신학, 토라(율법책), 우상숭배 금지, 제의의 중앙 성소화 강조와 함께 땅의 회복이라는 관점으로 요시야의 종교개혁을 해석하고 있다. 역대기 역사가는 요시야의 본문을 통해 다윗왕조, 레위인 성전중심공동체, 제의신학 강조와 함께 정결이라는 관점으로 요시야의 종교개혁을 해석하고 있다.

      • 스탠리 그랜츠(Stanley J. Grenz)의 신학 연구

        차종관 성결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논문은 스탠리 그랜츠(Stanley J. Grenz, 1950-2005)의 신학을 연구했다. 그랜츠는 복음주의 침례교 신학자이자 윤리학자로, 포스트모던 복음주의의 대표적인 학자이다. 그는 90페이지가 넘는 대작인 『공동체를 위한 신학』(Theology for the Community of God)을 발표함으로 그의 포스트모던 신학을 소개했다. 그랜츠는 이 분야에서 탁월한 업적을 남겼으며, 신학에 있어서 매우 영향력 있는 지위를 확보 했다. 그는 생전에 이머징 교회 운동(Emerging church movement)을 시작하는데 매우 깊이 관여하기도 했다. 그랜츠는 판넨베르그의 제자이자, 그의 전문가이기도 하지만, 이머징 네트워크를 좋아했던 신학자이기도 했다. 그랜츠는 또한 후기 복음주의 운동에 가장 영향력을 끼친 신학자로 인정받기도 한다. 그가 포스트모던 신학을 주도 할 때, 주변의 많은 동료 학자들이 포스트모던 신학에 대한 위험성을 경고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더욱 선명하고 적극적인 태도를 취하며 어떻게 토대주의 인식론을 넘어 새로운 신학 방법론을 모색할까에 대한 깊은 고민을 했던 학자이다. 그는 또한 복음주의 신학에서 교리의 역할에 대하여 상당한 비판을 함과 동시에 내러티브(narrative)와 회심적 경건주의(a convertive pietism)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이같은 포스트모더니즘을 포용하는 그의 태도에 대하여 D. A. 카슨(D. A. Carson)이나 밀라드 에릭슨(Millard J. Erickson)같은 학자들은 그랜츠의 신학이 복음주의 정신을 유지하고 있는지 조차 의심이 든다고 비판을 쏟아 냈다. 그랜츠가 이와 같은 신학 방법론에 집착했던 이유는 최근에 대두되고 있는 경향성과 무관하지 않다. 최근 수년 동안 복음주의 신학적 개념에 관한 새로운 신학 방법론을 소개하는 중요한 변화들이 있어왔다. 예를 들면: “신학의 본성은 무엇인가?” “성경의 본질은 무엇인가?” “신학을 위한 자료는 무엇인가?” “해석학적 방법은 복음주의의 신학을 위하여 어떤 노력을 기울여 왔는가?” 1993년에 그랜츠는 『신학의 재개정』(Revisioning Evangelical Theo- logy)를 출간했다. 그는 거기서 복음주의 신학이 개시된 이래로 복음주의 신학을 지배해 왔던 인식론적 명제주의를 넘어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랜츠는 말하기를 “복음주의 신학의 중심적 임무는 특정한 문화적 상황 내에서 믿음공동체로써 함께 공유하는 믿음에 대한 지성적인 반성이 있어야 한다고 했다. 그리고 신학은 전체로 조직화되고, 탐구되고, 그리고 공동체의 상징을 질서 있게 유지해야 한다고 했다. 그랜츠는 신학을 정의하기를, 신학은 공동체와 소통하는 하나님에 대한 학문으로서가 아닌, 공동체스스로, 공동체와 공동체의 믿음을 반성하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므로 신학자들은 공동체의 편에서 메시지를 전달 할 뿐 아니라, 하나님 편에서도 동일하게 메시지를 전달해야 한다. 그랜츠는 성경에 관하여 매우 다른 견해를 가진다. 성경은 본질적으로(per se)계시가 아니라, 초대교회가 경험했던 하나님에 대한 경험을 기록한 것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계시는 역사 안에서 발생한 사건이지 텍스트 자체가 아니라고 한다. 신약성경은 공동체의 간증이며, 역사에 대한 응답이다. 그러므로 초대교회 신자들이 그 공동체에 근거를 둔 메시지를 발전 시켰다. 그랜츠는 기독교 신학의 세 가지 기준을 제시한다. 그것은 성경, 전통, 그리고 사상이다. 그는 말하기를, 우리들의 임무는 교회의 신학적 전통을 통하여 성경의 메시지로부터 우리들이 살고 있는 사상적 틀과 문화적인 이슈들로 옮겨가는 것이라고 한다. 또한 그랜츠는 주장하기를 진정한 복음주의, 즉 바른 교리라는 것은 충분하지 않다고 한다. 기독교 믿음의 참된 진리성은 개인적 체험을 통하여 경험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랜츠는 또한 성경적 내러티브를 강조하는데, 성경에 기록된 구속의 역사는 하나님께서 성경을 주시고, 이러한 구속의 역사를 계속해서 이루어 가신다. 하나님은 성경을 통하여, 그리고 성령의 부으심을 통하여 사람을 자신과의 관게에로 이끄신다. 기독교 신학이란 단지 믿음의 시스템이 아니다. 즉 어떤 신념이나, 윤리 시스템이 라니다. 기독교는 우주의 주인이신 하나님과의 관계이며, 자신을 위하여 사람을 부르시는 하나님과의 관계이다. 이것은 인식과 행동을 넘어서는 것이다. 그러므로 성경의 이야기는 우리드르이 이야기 인 것이다. 그러므로 크리스찬들은 역사 가운데, 역사의 하나님과의 관계안에서의 하나님의 구속의 사역의 한 부분인 것이다. 그랜츠는 자신과 프랑케(Franke)가 함께 집필한『Beyound Foundatio- nalism』(2000)에서 역사적 복음주의 신학과 특별히 성경이 제 1명령이자 마지막이라고 불리며, 크리스찬들의 신앙과 실천위한 충분한 권위인 “오직 성경(Sola Scriptura)”이라는 의미로부터 자신들의 신학을 구별하고 있다. 즉 성령에 의한 성경의 사용에 있어서 성령의 의도는 본문에서 저자의 의도와 단순하고 전체적으로 연결하지 않는다고 본다. 즉 그랜츠와 프랑케는 하나님의 말씀과 성경의의 단어들 사이에 일대일의 상응하는 관계로 이해하는 것을 꺼린다. 그랜츠의 신학 작업은 복음주의 신학과 포스트모던 사상과 문화의 다양성과 다원성에 의하여 도전 사이에서 확신있는 하나의 형태를 구현하고자 하는 일관성 있고, 생기 있는 논쟁을 제공했다. 그랜츠의 이러한 비평적이며 실제적인 잡근은 린드벡(Lindbeck)이나 맥킨타이어(MacIntyre)같은 중요한 학자들 이론들을 차용하므로 복음주의와 후기 복음주의를 연구하는 사람들에게 매우 강력한 목소리를 내는 계기가 되었으며, 21세기 기독교 신학에 대한 철학적 방법론적 접근에 관한 그림을 그릴 수 있도록 했다. 결론적으로 포스트모더니즘은 동일한 방식으로 기독교 신학에 도전과 기회들을 계속해서 제공할 것이다. 그의 탁월한 연구는 위험으로부터 약속을 이루어 내도록 도울뿐 아니라, 우리 앞에 놓인 시대적 요청을 위한 건설적인 제안을 제공하고 있다는 것이다. This thesis has been researched about Stanly J Grenz's theology. Stanley Grenz(1950-2005) is an Evangelical Baptist theologian, ethicist, and proponent of a postmodern evangelicalism. His Theology for the Community of God, a large work of nearly 900 pages, sets forth his postmodern evangelical theology. Grenz became a leading exponent of this approach, and thus can be considered as representative of postmodernism's influence on theology. Toward the end of his life, he was involved in the beginnings of the Emerging church movement. Grenz was a leading expert on the theology of Wolfhart Pannenberg, his doctoral professor, but he was also a favorite theologian of the emerging church network. Grenz is viewed by many evangelical scholars as the theologian who has most influenced the postconservative evangelical movement. At a time when other evangelical thinkers were warning of the dangers of postmodernism, Grenz adopted a more open attitude that considered how the move from foundationalist epistemology could be used as a theological method. He also deemphasized the role of doctrine in evangelical theology, preferring to focus on shared narrative and a renewed focus on a convertive pietism. This embrace of postmodernism has led many of Grenz's critics, including D. A Carson and Millard J. Erickson, to question whether his theology retained anything distinctly evangelical. The reason why he focuses on this kind of theological methodology is not irrelevant to the tendency of emerging culture recently.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shift in recent years in the evangelical conception of the theological task. What is the nature of theology? What is the nature of the Bible? What are the sources for theology? And what hermeneutical method should be used in the evangelical's theological endeavor? In his 1993 book Revisioning Evangelical Theology, Stanley Grenz sets forth new answers th these questions, seeking to move beyond what he sees as the cognitive propositionalism which has dominated evangelical theology since its inception. Grenz writes that the "central task" of evangelical theology is "the intellectual reflection on the faith we share as the believing community within a specific cultural context." "Theology systematizes, explored and orders the community symbols and concepts into a unified whole." Grenz defines theology, not as the study of God's communication to the community, but as the community's self-reflection upon itself and its beliefs. Theology is an exercise "from below", in that its starting point is not God's communication, but the community's experience. The purpose of theology is not to describe what the community believes, but to describe what God has communicated, which in turn defines what the community must believe. The theologian is not so much conveying a message on behalf of the community, but on behalf of God. Grenz understands the nature of the Bible quite differently. The Bible is not revelation, per se, but the first century Church's reflection upon its experience of the Divine. Revelation is the event in history, not the text. The New Testament is the community's testimony of and response to the history. From these events, the first Christians developed a message, which becomes foundational to the community. Grenz, however, proposes three sources of norms for Christian theology: Scripture, tradition, and the thought forms of the day. He writes, "Our task moves from the biblical message, through the theological heritage of the church, to the thought forms and issues of the cultural context in which we live." Grenz writes, "To the truly an evangelical, right doctrine, as important as it is, is not enough. The truth of the Christian faith must become personally experienced truth." Grenz is also helpful in stressing the importance of the biblical narrative. Redemptive history is the context in which God gave the Scriptures, and this redemptive history continues. God is seeking through the Scriptures and the outpouring of His Spirit to bing men into relationship with Himself. Christian theology is not merely a system of beliefs; nor is it a system of beliefs and ethics. Christianity is a relationship with the Author of the universe, who is calling out a people for Himself. This moves beyond the cognitive and behavioral. The biblical story is our story. The Christian is a part of God's redemptive work in history, in relationship with the God of History. In their Beyond Foundationalism(2000), Grenz and Franke are clearly distinguishing themselves from historic evangelical theology and especially what has been meant by Sola Scriptura, namely, that Scripture is first-order language and thus the final, sufficient authority for all Christian faith and praxis. For them, Scripture is authoritative because it is the vehicle through which the Spirit speaks, yet in the Spirits's appropriation of Scripture, the Spirits's intention is not simply and totally tied to the author's intention in the text. Hence, they are reluctant to posit a one-to-one correspondence between the Word of God and the words of scripture. His theological work offers a coherent and lively argument that convincingly squares the circle between evangelical theology and the challenges posed by the diversity and plurality of postmodern thought and culture. Its critical-realist approach to Grenz's thought, allied to a well-selected use of other key thinkers such as Lindbeck and Maclntyre, begins to map a philosophical and methodological approach to Christian theology in the 21st century that will speak powerfully to both evangelical and post-evangelical audiences. In conclusion, while postmodernism continues to present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to Christian theology in equal measure, Grenz's penetrating study helps to disentangle the promise from the peril, and offers some constructive proposals for the way ahead.

      • 김응조의 재림론에 관한 역사적 연구

        이종섭 성결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논문은 재림론으로 성결교회에 영향을 준 사람들과 그중에 성결대학교의 창설자인 학자요 목회자요 부흥사였던 김응조의 재림론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최근들어 예성,기성의 학자들이 양교단 공동 학술 세미나를 통해 이명직, 김응조의 신학사상에 관해 심도 있게 조명을 하고 있으며 비판적 견해에 대해 변증을 하는등 이명직. 김응조의 신학사상에 관해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김응조의 신앙과 삶이 그리고 그의 신학사상이 시대의 공간을 넘어 우리들에게 많은 영향력을 주고 있음을 밝혀주고 있다. 1907년 전도중심으로 설립된 성결교회가 지금은 국내 대표적 교단중 하나로 성장한 배경중 주요 요인이 사중복음(Full Gospel)이라는 중심 기둥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중 하나인 재림론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정립하기 위하여 신학적, 교회사적, 성경적, 그리고 김응조에 이르기 까지의 재림론 신학 형성에 영향을 준 역사적 고찰과 김응조 재림론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제1장은 본 연구를 하게 된 동기와 목적, 그리고 연구범위 및 방법을 서술하였다. 제2장은 김응조의 재림론 형성의 역사적배경으로 19세기말 다비(J.N. Darby)로부터 일어난 세대주의(dispensationalism) 사상이 블랙스톤(W.E. Blackstone)등을 거쳐 동양선교회 (The Orientel Missionary Society)에 영향을 끼쳤고, 여기에서 수학한 김상준. 이명직등의 재림론 형성과정을 살펴보았다. 제3장은 김응조의 생애와 신앙체험 그리고 그의 재림론을 그의 저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제4장은 김응조의 재림론의 중심인 세대주의 전천년설(Premillennialism)의 평가와 제언 그리고 이 사상이 한국교회에 미친 영향을 고찰하였다. 제5장은 결론 부분으로 김응조가 남긴 한국성결교회 재림론 사상의 배경과 김상준. 이명직등의 재림론을 종합 하였음을 서술하고 예수의 재림은 모든 성도들의 산 소망이며 시대의 요구임을 인식하여 이복음이 선포되어야 함을 강조하는 것으로 마치려 했다. This thesis is about the doctrine of christ second coming. And studied focus on the people who have influenced on the Holiness Church and on the doctrine of Christ second coming of Eung Jo Kim, who is the founder of the Holiness church, scholar, pastor, and revivalist. Lately a scholars of Jesus Korea Sungkyul Church and Evangelical Holiness Church deeply have illuminated on theology thought of Myong Jik Lee, Eung Jo Kim through the common academic seminar of two religious body and have demonstrated critical opinion, and because of a lot of studies going on about theology thought of Myong Jik Lee, Eung Jo Kim going on. They have showed us that faith, life, and their thelogy thought of having a great impact on us over the space of this age. In the background of mission- centered established Holiness church in 1907. It has grown one of the typical domestic mission body. The main factor of growth of the Holiness Church is because there was the center pillar called full gospel. For erreting theoretical background which doctrine of christ second coming, have studies christ second coming formation and the Eung Jo Kim's Christ second coming untill theological, church historical, biblical, and Eung Jo Kim. First chapter describes the motive of this study, aim, study range, and method. Second chapter is made up of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Eung Jo Kim's Christ second coming formation. This chapter describes how dispensationalism-established by J.N. Darby in the late 19c-affected The Orientel Missionary Society through W.E. Blackstone and then how Myong Jik Lee, Sang June Kim who had studied there formed the doctrine of Christ second coming Third chapter studied Eung Jo Kim's life, faith experience, and his doctrine of christ second coming by his work. Forth chapter survey the evaluation and suggestion of premillennialism, which center of Eung Jo Kim's doctrine of Christ second coming and influence that this thinking influence on korea church. Fifth chapter is finish part and this chapter describes unite korea Holiness church doctrine of christ second coming, which Eung Jo Kim leave and Sang June Kim's, Myong Jik Lee's doctrine of christ second coming. Finely, this chapter emphasize that this gospel must be proclaimed as recognize christ second coming is the alive hope of all christian and the need of age.

      • 생태계 위기에 대한 신학적 이해와 기독교 윤리의 실천방안

        김만수 성결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50671

        오늘날 인류가 직면한 최대의 위기는 환경 파괴와 오염으로 인한 재앙이다. 환경오염은 인간의 생존 문제뿐 아니라 생태계 전체를 위협하고 있는데 이는 인간의 죄와 탐욕이 가져온 결과이다. 이제 어디를 가도 맑은 공기, 깨끗한 물, 비옥한 토양은 찾아보기 힘들고 대신 인류가 만든 신종 유해물질의 등장으로 생태계가 교란되어 지구의 생명을 점점 단축 시키고 있다. 현대인은 이러한 생태학적 위기 속에 살고 있다. 인간의 유일한 삶의 공간인 지구의 자연 환경이 훼손되어 인간 생존의 필수 조건인 공기, 물, 땅이 오염되어 가고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위기 속에서 성경에서 말하는 환경 보호를 위한 연구로서 그 연구의 내용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Ⅰ장에서는 문제의 제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연구의 방법 및 범위를 다루고자 한다. 생태계의 위기를 초래한 근본 원인을 인간의 소유 욕심과 주객도식에 입각한 자연과학의 방법에 있다는 사실을 지적하며 동시에, 생태학적 신학의 바른 규명을 시도하고, 교회와 신학은 인간의 삶의 현장을 전제로 할 수밖에 없으므로 인류의 최대의 과제로 대두되고 있는 생태계의 문제는 교회와 신학의 중요한 과제라는 인식하에 생태학적 창조 신학을 고찰해 보고 기독교인의 성경적인 바른 윤리 방향의 제시하며, 성경에서 말하는 생태학적 윤리를 다루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제 Ⅱ 장에서는 생태계의 이론적 배경으로 생태계의 용어와 생태학의 정의를 생각하였다. 제 Ⅲ 장은 생태계의 위기 원인으로 환경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책임이 기독교와 신학에 있는 것인가에 대하여 두 가지 다른 견해가 있음을 말하며, 기독교의 창조 신앙의 인간 중심적 세계관이 생태계 파괴와 위기의 근본 원인이라는 극단적인 주장과, 그 근본 원인을 단지 기독교의 창조 신앙에서 찾을 수만은 없다고 생각하는 온건한 입장이이 있음을 논하려고 한다. 196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확산되기 시작한 세계적 차원의 생태계의 위기에 대한 문제 인식은 주로 자원의 부족과 환경 파괴에 대한 의식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따라서 오늘날과 같은 생태계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먼저 그 원인 규명이 있어야 하고 그에 따른 대책 및 올바른 실천이 있어야 한다. 그리하여 본장에서는 현실적 직접적 요인, 역사적 철학적 요인, 기독교적인 요인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제 Ⅳ 장에서는 생태계에 대한 신학적 이해로 신구약 성경에 나타난 올바른 생태학적 관점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신학적 이해를 찾아 생태계 위기의 신학적 과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제Ⅴ 장에서는 생태학적 위기 속에서 보존을 위해 규범으로 하는 근본적인 요소인 생태계 회복을 위한 기독교 윤리의 실천 방안인 생태학적 윤리관 정립과, 생태학적 윤리에 대한 교회의 역할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결론적으로는 생태계 위기는 인류 전체의 문제이며 인류 생존의 문제이기에 어떠한 계급성도 당파성도 끼어들 수 없다. 인류 생존의 위기 앞에 서 있는 인간은 모든 부분 속에서 생태 신학적 대안들을 모색하고 이를 성공적으로 이끌어 내도록 기독교 윤리적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끝으로 프랑스의 사회학자 Jacques Ellul은“지구적으로 생각하고, 지역적으로 실천하자”(Think Globally, Act Locally)라고 추구했다. 그것이 바로 인간들이 가져야 할 자세이다. 인간은 하나님 앞에서 살 가치 없는 생명체란 하나도 없다는 말을 생각하면서 하나님의 피조 세계를 향한 구원의 의지를 이루시도록 돕는 도구로서의 교회가 되어야 한다. This research is to clarity that Theological Understanding on Ecosystem and Practical Plans of Christian Ethics. These days the biggest crisis mankind has been facing is those disasters from environmental destruction and pollution. Due to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human crime and greed, not only the existence of mankind, but also the whole ecosystem has been exposed to danger. Clean air, water and rich soil is disappearing, and toxic substances made by human have been disturbing the ecosystem and threatening precious lives on the earth. Today People live in this crisis; the crisis of environmental destruction and pollution of the earth, which is only the place human can live, and pollution of essential factors to mankind such as air, water and soil. The greenhouse effect has caused those sudden changes in the environment as polluted air from various waste gases generated the greenhouse shed, raised the level of seawater and simulated the desertification of the developing countries. Sewage and garbage from living, industrial wastes and wasted water, misuse of agricultural chemical is polluting soils. Additionally population explosion, exhausted natural resources, fear and intimidation from nuclear weapon and much more are just some examples of threads to human existences. In this thesis, this ecosystems crisis is studied from the ecological point of view, however, the solution to the crisis is directed by the Christian ethical codes. The followings are proposed problems. Especially many documents of ecology in which the codes of conduct of Christianity are reflected were used as reference, and by bringing assertions of other thesis, publications, and various documents from theologies into the ethics of the ecosystem, todays biblical ethics is proposed from biblical view and the fact that the restoration of the whole ecosystem is the purpose of creation by God is focused. The procedure of study was as follows. Chapter Ⅰ is the introduction of the thesis proposing problems, and necessity, method and scope of the study. Chapter Ⅱ with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ecosystem is defined and its crisis circumstances are described. Chapter Ⅲ reveals the reasons of the crisis from the practical,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point of views as well as Christianity view. Chapter Ⅳ focuses on the various studies to understand the ecosystem and those studies are biblical consideration with theological understanding, womens theology with theological understanding, the ecology in Wesleys theology, and the ecology in the movement of process theology. In Chapter Ⅴ as a practical plan of Christian codes of conducts for the restoration of the ecosystem, any criticism and proposal for the establishment of ecological codes and the role of churches are made. The examined issues are; as only the correct understanding in Gods creation would overcome this crisis,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the ecology shall be established, and the issue of diffusing the common ethics requested to churches. Chapter Ⅵ summarizes this thesis and concludes the necessary sense of values for the codes of conduct. Focusing on those problems, this thesis examines and analyzes the assertions of ecological theology and settles the position as evangelic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