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근로조건에 따른 직무만족도 연구 : 충남당진 지역을 중심으로

        송영팔 성결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당진지역 사회복지시설종사자를 대상으로 당진군 사회복지시설의 기관현황과 근무환경이 종사자들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준다는 전제 아래 직무만족도를 조사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그 동안 사회복지시설 및 단체 서비스 분야 근로자들의 근로조건에 대한 연구결과들과 많은 부분에서 일치하고 있었다. 먼저 당진 지역사회 내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 전체만족도를 7개 영역인 업무, 감독, 보수, 승진, 동료, 기관, 이직의 만족도를 측정해 보았다. 그에 따른 직무만족도 분석결과는 대체로 만족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전체의 55.9%이었고, 보통은 30.1%이며, 불만족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14%에 불과하여, 충남당진 지역사회 내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경우 자신이 맡고 있는 직무에 대체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직무만족 척도 7가지 하위영역 중 자신의 업무가 흥미로웠고 자신의 개발기회를 제공하였으며, 미래에 대한 희망 등 업무자체의 긍정적인 질문들로 구성된 척도를 분석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53.0%가 만족, 30.0%가 매우 만족하다고 응답하였고, 2.0%가 불만족이라고 응답한 결과를 보였다. 이것은 당진지역사회 내 시설, 단체 종사자의 경우 80% 이상이 자신의 업무에 대체적으로 만족스럽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상사의 감독에 대해서는 절반이상이 상사의 감독에 대한 만족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보수에 대하여는 자신의 노력과 능력에 비하여 종사자의 80.4%가 공정한 대우를 받지 못한다고 나타났다. 승진기회 가능성과 능력에 기초하여 공정한 승진의 기회가 주어지는가 의 질문에는 불만족이 71.4%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본 논문에서도 언급하였지만 당진군 내 사회복지시설이 소규모이며 종합사회복지관등이 없기에 경쟁의 기회가 주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직장 동료들의 상호작용 관계를 내용으로 한 만족척도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70.4%가 신뢰하고 만족하고 있어 매우 긍정적이다. 자신이 근무하는 사회복지시설이 대내외 공신력 수준과 종사자들이 어느 정도의 대우를 받고 있는가의 질문에는 응답자의 52.5%가 비교적 만족해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음은 사회복지시설종사자가 자신의 직무에 대한 전체적인 만족과 불만족의 의사를 가늠해 볼 수 있는 직장의 이직의사를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40.6%가 이직을, 반면에 48.6%가 이직할 생각이 없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매우 큰 의미를 두어야 한다. 이것은 사회복지종사자로서 평생직업의 신념과 당진군에 종합사회복지관 등 대형복지시설이 설치되면 괜찮은 일자리가 제공된다는 기대가 있어 현재에 만족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반면에 당진군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이 보수에 관해서는 유독 불만을 나타내는 것은 보수가 전반적으로 열악함을 잘 나타내는 결과라고 생각된다. 당진군의 종사자들은 익히 알려진 사회복지분야 근로자들의 저임금 실태보다 훨씬 심각한 저임금 수준이며, 특히 조사에서는 근로기준법상 당연히 지급되어야 할 법정수당 전액을 지급받고 있다는 비율도 매우 낮게 나타났다. 끝으로 연구자는 최근 ‘사회복지사의 처우 및 지위향상을 위한 법률’이 제정 공포되었으니 하루속히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처우개선과 전문가로서의 직무만족도가 높아질 수 있는 기관환경과 근무환경에 대한 구체적 대안을 모색하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직무만족도 향상은 품질 좋은 사회복지시설과 합당한 사회복지예산, 경쟁력있는 복지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employees job satisfaction under the premise that the effect of the present situation and working conditions of the social welfare centers in Dangjin-gun on the job satisfaction of their employees. In many sens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consistent with those of studies concerning the working conditions of workers at social welfare centers and collective service fields conducted for the years. First of all, an attempt was made to measure the job satisfaction of employees working at social welfare centers within the community of Danjin by dividing their overall satisfaction into five domains such as job, supervision, reward, promotion, fellow worker, center, and turnover. The analysis their job satisfaction showed that 55.9% of the respondent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ir job, 30.1% were usually satisfied with their job and 14% were unsatisfied with their job. It was found that the employees working at social welfare centers within the community of Dangjin were mostly satisfied with their given job. Of seven job satisfaction scale subdomains, an attempt was made to analyze the scale composed of positive questions concerning the job itself such as taking an interest in their job, providing them with an opportunity for development and giving a hope for the futur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53.0% responded 'satisfied', 30.0% responded 'very satisfied' and 2.0% responded 'unsatisfied'. This indicates that more than 80% of the employees working at the social welfare centers and organizations within the community of Dangjin felt "generally satisfied" with their job. It was found that more than half of the employees were satisfied with their boss's supervision. It was found that 80.4% of the employees did not receive a fair treatment of the reward for their efforts and ability. 71.4% of the respondents showed 'unsatisfaction' as to the question of 'Are you provided with an opportunity for fair promotion on the basis of 'ability'. This is thought to be because an opportunity for competition was not given as the social welfare center within the community of Dangjin-gun was small-scale and there was no general social welfare center as mentioned in this study. Seeing that 70.4% of the respondents were confident in and satisfied with the satisfaction scale for the interactive relationship to fellow workers, it was very positive. It was found that 52.5% of the respondents were comparatively satisfied as to the question of what level of public confidence the social welfare center where they were working had inside and outside it and how far they were treated. As to the question of whether social welfare center employees had the turnover intention to judge the feelings of overall satisfaction and unsatisfaction with their job, 40.6% of the respondents had the turnover intention, whereas 48.6% had no turnover intention. This has a very great significance. This suggests that they currently feel satisfied because they have a faith in lifelong job as social welfare specialist and the expectation that good jobs will be provided for them if the large welfare facility is established, such as the general social welfare center, in Dangjin-gun. On the other hand, employees working at the social welfare center in Dangjin-gun felt unsatisfied with their reward, which is because the reward is overall poor. Employees working at the social welfare center in Dangjin-gun was at the level of far more serious low wage than the well-known low wage of workers at the social welfare field. Especially, the research showed that a very low proportion of the respondents received the total amount of the legal benefits to be paid in accordance with the Labor Standard Act. Finally, it is thought that it is necessary to find out a specific alternative to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and the working environment to improve the treatment of social welfare center employees and enhance their job satisfaction as specialist immediately because the 'Act for Treatment and Status Improvement of Social Workers' has recently been enacted and proclaimed. To improve the job satisfaction of social welfare center employe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good-quality social welfare centers, their proper social welfare budgets, and competitive welfare programs.

      • 사도행전에 나타난 기독교 사상을 통한 사회복지실천에 관한 연구

        이경순 성결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703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modern people who met the age of change, can't live in the world without social welfare. Nowaday, Information, globalization, low employment, low growth, and aging society show us that the matter of welfare is not the one of the poor neighboring countries. Modern society's social welfare should get out of the classical and passive concept, so called optional welfare that gives benefits to the people of some class and become an universal one that support all the people. According to the changes, there has been studies at the church about the necessity that the church should participate at the social service program on the process of going toward the 2nd century missionary work by reestablishing the social missionary mission and renewal within the church. When we put the social welfare into practice, we should do it on the basis of christian thought which becomes the basic thought and spirit. Therefore, in order to inform that the present social welfare practice thought is based on the christian thought, we focused on the acts of the apostles in which, with the guide of Holy Spirit things, property and belongings were given to the widows, orphans, sick people, and the people who are pressured for their faith according to their necessities(ngs wer 2:44-45), and the crowd become united heartly and helped and served each other(Apostle 4:32-37). Above mentioned behaviors represents the christian thought. We understood the relation between the christian thoughts of the Acts of the Apostles and social welfare practice as follows. First, the love (the dignity of human) of the christian thought of the Acts of the Apostles and that of social welfare practice. Second, The serving in the christian thought of the Acts of the Apostles and service of the social welfare practice. Third, Curing the sick in the christian thought of the Acts of the Apostles and that of social welfare practice. Fourth, No poor people exist in the christian thought of the Acts of the Apostles and the equality of distribution of social welfare practice. Fifth, Helping in the christian thought of the Acts of the Apostles means relief of social welfare practice. Sixth, Serving out something according to their necessities in the christian thought of the Acts of the Apostles equals to that of social welfare practice. Seventh, Sharing the rice cake according to the teaching of the christian thought of the Acts of the Apostles equals to that of the social welfare practice. Eighth, Getting together in the christian thought of the Acts of the Apostles equals to association of the social welfare practice. Ninth, Taking pains and helping the weak in the christian thought of the Acts of the Apostles equals to serving of the social welfare practice. Tenth, The blessed are the givers in the christian thought of the Acts of the Apostles equals to the fortune of the social welfare practice. Namely, the christian thoughts of the Acts of the Apostles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social welfare practice. I suggested the model of the study at the chart 5, chart 6, chart 7 ... chart 14 in detail about the analysis of the content that the basic thought and spirit for the social welfare practice was done on the basis of the christian thought. Therefore, we could confirm at the relation between christian thought of the Acts of the Apostles and social welfare practice that though the situation of the age, structure, system, environment, custom and form can be different the thought doesn't change. That's, the social welfare practice began firstly on the basis of the christian thought. So I propose to accomplish more active social welfare practice through the christian thought on the Acts of the Apostles by suggesting the definite basis: social welfare love (human dignity), service, healing, equal distribution, salvage, sharing, serving, for the christians, non christians, the weak, the need. 변화의 시대를 맞이한 현대인들은 이제 사회복지 없이는 살 수 없는 세상이 되었다 해도 지나치지 않을 정도이다. 정보화, 세계화, 저고용, 저성장, 고령화 등은 더 이상 복지의 문제가 가난한 이웃의 문제가 아니라는 것이다. 현대 사회의 복지는 일부 계층에게만 혜택을 주는 선택적 복지라는 고전적이고도 소극적인 개념에서 벗어나서 모든 사람을 지원하는 보편적 복지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에 맞추어 선교 2세기를 향하는 과정 속에서 교회 자체 내의 갱신과 사회적 선교사명을 재정립 하면서 사회봉사에 관한 관심과 프로그램을 정책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교회가 참여해야 한다는 당위성에 관한 연구는 교회 내에서 계속되어 왔다. 사회복지를 실천함에 있어서 사회복지의 실천을 위한 근원 사상, 정신이 되는 기독교사상을 바탕으로 되어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현재 사회복지실천 사상이 기독교 사상에 토대가 된 사상임을 밝히기 위하여 기독교 사상을 대표 할 수 있는 성경중기독교 정신에 입각한 성령의 인도로 과부, 고아, 병자, 어려움을 당하거나 신앙을 위해 핍박 받는 이들을 위해 물건을 통용하고 재산과 소유를 팔아서 각 사람의 필요에 따라 나누었고(행2:44-45), 무리들이 한마음과 한뜻이(행4:32-37) 되어 돕고 섬기는 것을 주장 한 사도행전을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다. 사도행전 기독사상과 사회복지실천 관계는 다음과 같이 이해하였다. 첫째, 사도행전의 기독교 사상에 있어서 사랑(인간의 존엄성)과 사회복지실천의 사랑(인간의 존엄성). 둘째, 사도행전의 기독교사상에 있어서 접대와 사회복지실천의 봉사. 셋째, 사도행전의 기독교사상에 있어서 병자치료는 사회복지실천의 치유. 넷째, 사도행전의 기독교사상에 있어서 가난한자 없음과 사회복지실천의 분배(평등). 다섯째, 사도행전의 기독교사상에 있어서 부조는 사회복지실천의 구제. 여섯째, 사도행전의 기독교사상에 있어서 각 사람의 필요에 따라 나눠 줌은 사회복지실천의 나눔. 일곱째, 사도행전의 기독교사상에 있어서 가르침을 받아 떡을 떼며는 사회복지실천의 가르침. 여덟째, 사도행전의 기독교사상에 있어서 함께 있어 서로 통용은 사회복지실천의 교제. 아홉째, 사도행전의 기독교사상에 있어서 수고하여 약한 사람 도움은 사회복지실천의 섬김. 열째, 사도행전의 기독교사상에 있어서 주는 자가 복이 있음은 사회복지실천 복으로 분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사도행전의 기독사상은 사회복지 실천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사회복지의 실천을 위한 근원 사상, 정신이 되는 기독교사상을 바탕으로 되어졌다는 입장을 자세하게 내용 분석하여 <표 5> <표 6> <표 7> ... <표 14>로 연구의 모형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시대의 상황이나, 구조, 제도, 환경, 관습, 형태 등은 달라 질 수 있지만 정신, 사상은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사도행전 기독사상과 사회복지 실천에서 알 수 있듯이 사회복지실천이 최초로 기독교 사상에서 이루어 졌다. 기독교, 기독교인, 비기독교인은 약한 자, 힘없는 자, 도움을 필요로 하는 자들을 위해 사회복지사랑(인간의 존엄성), 봉사, 치유, 분배(평등), 구제, 나눔, 가르침, 교제, 섬김, 복 실천 즉 사도행전에 나타난 기독교사상을 통한 사회복지실천을 정확한 근거로 제시하여 더욱더 역동적인 사회복지실천을 이루어 가기를 제언한다.

      • 예성교회 사회복지 활성화를 위한 교회사회사업 실천에 관한 연구

        문제영 성결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0703

        교회는 사회적 서비스에 있어서 사회사업보다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자원체계를 지니고 있어 교회사회사업의 관심과 기대는 교회 안팎에서 시대를 초월하여 계속되었다. 더욱이 이웃에 대한 봉사라는 신앙적 동기부여는 고갈되지 않는 에너지를 봉사활동의 주체들에게 공급하고 있다. 그러나 교회에서제공되는 교회사회사업은 대체로 신앙이라는 가치관만으로 제공되고 있기에 투자되는 자원에 비해서 그 효과를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교회사회사업이 더욱 효율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교회의 사회봉사 실태와 실천과정을 조사하여 필요한 교회사회사업의 방법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고 이에 대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교회사회사업의 분야는 아동, 청소년, 노인, 장애인, 여성 그리고 지역사회등 우리 나라의 사회복지서비스 분야와 일치하였지만 이러한 사업들은 대부분 현물, 금전을 직접 제공하는 방식으로 실천되고 있었다. (2) 교회사회사업을 시행하면서 나타나는 문제점들 첫째, 사회사업에 대한 관념적인 인식은 높지만 현재의 사업에 대한 수준이나 문제에 대해서는 문제의식을 거의 갖고 있지 않아 새로운 사업을 확대하지 않고 있고 둘째, 교회사회사업비 지출도 인식과 실재 집행의 차이가 심각하여 재정적 어려움을 겪고 있고 다양한 프로그램과 지식, 전문인력이 부족하며, 임기응변적이고 일방적인 서비스의 제공으로는 지역사회,혹은 교회내의 다양한 욕구에 효과적, 예방적으로 대처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3) 사회사업과 관련된 정보제공자가 목회자, 교인의 순이었으며 목회자의 복지의식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봉사사업의 동기와 목적은 신앙적인 이유였으며 수혜자의 욕구만족이라는 사회사업적 목표와는 거리가 있었다. (4) 대부분의 교회가 교회사회사업이 저조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실시되는 사업은 복지시설과 결연하여 지원하는 것과 장학사업, 빈민구호, 청소년이나 가정문제 상담 등으로 나타났으며 일시적인 사업으로는 모금을 하여 지급하거나 북한동포돕기 같은 모금운동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프로그램의 홍보와 평가는 미흡하였다. 교회사회사업을 실시함에 있어서 우선적으로 필요로 하는 것이 사회사업과 관련된 지식과 정보, 다양한 프로그램에 대한지식과 정보였지만 사회사업 전문인력을 활용하는 교회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노인과 청소년에 대한 서비스를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며 여성관련 분야는 교회가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사업을 실시하면서 가장 어려운 점은 재정문제를 들고 있으나 작은 교회, 년수가 짧은 교회는 경제적인 문제로 사회사업실천을 하지 못하고 있었고 창립년수가 있고 규모가 있는 교회는 당회나 교회조직의 보수적인 성향으로 교회사회사업실천에 적극적이지 못하였다. 즉,복지의식이 있는 교회는 재정적인 문제로 봉사활동을 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았고, 재정에 여유가 있는 교회는 복지의식이 없어 교회사회사업에는 관심이 없었다. 끝으로 교회사회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회사회사업의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되는 예산의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모금 의 형식을 지닌 사회복지주일헌금, 혹은 사랑의 헌금 등을 적극 활용하는 방안이다. 둘째, 전문요원의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각교단의 신학대학 내에 사회복지 관련학과의 신설과 그 학생들의 활용이다. 교회도 이제는 전문화 목회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셋째, 교회사회사업 연구소 혹은 센타 같은 지역교회의 사회사업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기관들이 많이 설립되어야 한다. 넷째, 대학에서 목회자나 사회사업담당자들을 계속 교육, 훈련시키는 방안이다.

      • ADHD 아동의 치료활성화를 위한 사회복지적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 경기도 ADHD 담당교사를 중심으로

        정명원 성결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87

        우리나라는 ADHD 학생들 중 극히 일부만이 개별적으로 병원에서 치료받고 있고, 그 외 나머지 ADHD 아동의 대부분은 치료를 받아야 할 대상으로 인식되기보다는 문제아나 다루기 힘든 학생으로 낙인 찍혀 질책과 처벌을 받을 뿐 적절한 치료 및 교육적인 중재를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ADHD 아동 담당교사들이 좀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ADHD 아동들의 장애가 심화되는 것을 예방하고 이들이 장애를 극복하여 사회생활 등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시대적 요청이라 사료되어 ADHD 아동을 현장에서 지도할 때 느끼는 애로사항과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ADHD아동의 치료활성화를 위한 사회적 복지 측면에서의 지원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ADHD 개념, ADHD 원인 및 진단, ADHD 치료, ADHD아동 담당교사의 역할, 선행연구 등을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본 연구방법으로는 ADHD 아동의 문제점, 지원방안, ADHD 아동의 사회복지적 치료활성화의 연관성을 도출하는 연구모형을 제시하였고, 조사대상은 군포시 등 경기도 치료교육 기관 연합회 ADHD아동을 담당하는 교사들이며 수집기간은 2009년 5월 6일부터 5월27일까지 3주간으로, 110부의 설문지를 우편, 메일, 연구자의 동료교사의 도움 및 연구자가 직접 기관을 방문하는 방법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설문지 101부를 회부하였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는 교사의 일반적인특성, 근무 경력 및 기관특성, 교사의 조기진단 인지실태, 교사의 상담 인지실태, 담당교사의 연수 실태, ADHD 아동지도 시 애로사항, ADHD 아동지도 시 요구사항 등 30문항으로 구성하였고 자료분석 방법은 SPSS/12.0 통계패키지를 활용하여 전산통계처리 하였으며 빈도분석, 기술통계, 다중응답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실천 분야에서 거의 도외시되고 있는 ADHD 아동과 그 가족을 위한 전문사회복지사의 활동을 유도하는 노력이 경주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ADHD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조기진단의 필요성과 치료시기를 빨리 시작할수록 그 경과가 좋은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ADHD 아동에 대한 가족의 이해는 무엇보다 중요하며, 기관과 연계한 가정교육은 ADHD 아동의 교육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므로, 간담회를 통한 연계 및 부모 상담은 교사와 부모 서로간의 정보 공유와 공감대를 형성하여 서비스 발전을 도모 할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넷째, ADHD 담당교사들의 ADHD에 대한 효과적인 교육활동을 위해서는 ADHD에 대한 교육을 이수 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기회의 확대와 현장에서 사용되어질 수 있는 실질적인 프로그램 및 활용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관련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하며 효율적인 교수활동을 위한 기반 여건의 조성이 시급하다고 생각되어진다. 다섯째, ADHD 담당 교사들은 지도가 가능한 학급 인원수의 조정 및 수업진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보조교사 충원이나 조기진단, 학부모 상담, 교사연수의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여섯째, ADHD 학생에 대해 적절한 교육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학급 인원수 조정 및 전문 상담교사 전담배치, 전문성 강화를 위한 교사의 연수기회의 확대, 부모의 적극적인 협조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일곱째, ADHD 학생에 대해 적절한 교육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학급 인원수 조정 및 전문 상담교사 전담배치, 전문성 강화를 위한 교사의 연수기회의 확대, 부모의 적극적인 협조가 적극적으로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여덟째, ADHD 담당교사들을 위하여 ADHD 아동의 부모교육 및 상담, 특히 아동과 부모관련 프로그램, 구체적인 정책제시, 치료 비용지원, 지역사회와의 연계, ADHD 아동에 관한 홍보, 사례관리 프로그램 실시 등 대책 마련을 통해 적절한 교육적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해야 할 것이다. 아홉째, ADHD 아동과 가족치료를 위해 치료프로그램을 사회복지 현장에서 실시하고 이를 기초로 보완적인 프로그램 개발을 통하여 현재 사회복지 실천분야에서 거의 도외시 되고 있는 ADHD 아동과 그 가족을 위한 전문 사회복지사의 활동을 이끌어 내는 것은 하나의 과제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열 번째, 정부차원에서도 더욱 심각해지고 있는 아동∙ 청소년 정신건강대한 적극적인치료를 위하여 ADHD 조기검진 및 상담 후 고위험군으로 선별되어 정신과 전문의의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협력의료기관(150여개)으로 연계하여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계획하고, 일반계층, 차상위계층, 저소득계층 아동・청소년들에게 적정한 치료비의 일정액을 지원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아동・청소년의 정신건강을 추진하고 있는 정신보건센터, 시・도 단위의 청소년상담지원센터, 교육청, 학교, 협력의료기관 등이 시・ 도 지역단위로 협력체계망을 구성하여 유기적인 협조체계를 통해 사업을 전개함으로써 정신건강문제를 호소하는 수요자 중심의 상담∙치료서비스를 포괄적으로 제공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을 토대로 앞으로 수행될 연구와 ADHD 아동치료활성화를 위한 사회복지적 지원방안에 대한 본 연구자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1) ADHD 아동에 대한 조기발견 및 치료의 필요성 (2) 보호자와 정기적인 상담의 필요성 (3) ADHD 아동에 대한 부모 교육   (4) ADHD 담당교사 연수의 필요성 (5) ADHD 아동에 대한 교육적 중재 사용정도 (6) ADHD 아동 치료활성화를 위한 사회복지적인 측면 ① ADHD 아동의 조기진단 및 치료의무 ② 구체적인 정책제시 및 홍보 ③ 지역사회와의 연계 및 치료비용 지원 ④ ADHD 아동 ∙ 청소년 정신건강 정책추진 실태점검 In Korea, only a small portion of the ADHD child population is receiving medical treatment. The rest of the children, which are the major portion of the ADHD child population, are branded as problem children or unmanageable children rather than perceived as patients who need special care; they often get reproved and punished instead of getting proper treatment and special education. We believe that the teachers who teach ADHD children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their students and thus prevent ADHD symptoms from getting more severe and help the children better adapt themselves to the societ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way to provide support in terms of social welfare, and ultimately to find a solution that can help activate medical treatment and care for ADHD children. For this purpose, we studied the concept of ADHD, the causes, screening, and treatment of ADHD, the role of a teacher for ADHD children, and previous studies. As the study method, we provided a model to draw relationships between the issues related to ADHD children, aid program, and activation of ADHD children welfare program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eachers who teach ADHD children and are members of the Special Educational Institution Union of Gyeonggi-do, including Gunpo-si. Data were collected over three weeks, from May 6th to 27th, 2009. Total 11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hrough either mail or e-mail, or handed out by the researcher and the colleagues visiting the institutions, and 101 of them were collected. The measurement used in the study consists of 30 questions related to a teacher's general characteristics, career, characteristics of an organization, teacher's acknowledgments on early screening and counseling, teacher training, difficulties when dealing with ADHD children, requirements in dealing with ADHD children, and so on. The data is analyzed through a computer-based statistical process using the SPSS/12.0 statistics package an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response analysis are used. The following are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study. First, professional social work practices on ADHD children and their families, who have been neglected in the area of social welfare, need to be encouraged. Second, the survey on the ADHD specialized teacher reveals that early diagnosis is important and the early initiation of the appropriate treatment improves its symptoms. Third, family's understanding of an ADHD child is most important, and home education cooperating with institutions exert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education of ADHD children; thus, cooperation through conferences and counseling with parents are necessary for both teachers and parents to share information and form connection between each other for promoting a better service. Fourth, to allow ADHD children to get effective education, expansion of various training opportunities for teachers to learn thoroughly about ADHD and related research for practical program and application that can be put in real life situations should be encouraged. Also, foundations for efficient education practice are urgently needed. Fifth, teachers for ADHD children reported that limiting the class size and supplementing of assistant teachers for manageable in-class activities, early screening, parents counseling, and teacher's training program are needed. Sixth, in order to provide proper educational service for ADHD children, adjustment of the class size, assignment of professional counselors, expansion of training opportunities for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active cooperation of parents are needed. Seventh, foundations for proper education practices need to be established through measures including parent training and counseling, programs especially related to the ADHD children and the parents, proposal of practical policies, financial aids for treatment, cooperation with community, publicity for ADHD children, and case management programs. Eighth, therapy programs for ADHD children and their families should be performed in the social welfare field, and based on these, supplementary programs should be also developed to promote the operation of professional social workers to help ADHD children and their families, who have been largely neglected in social welfare practice. Ninth, the government also should connect those who are in need of active treatment to cooperating medical institutions (approximately 150) to allow them to receive treatment and offer adequate amounts of financial aids to children and adolescents from middle-class, upper-middle-class, and lower-class families for their medical fee. Tenth, mental health centers dealing with mental health of children and adolescents, adolescent counseling centers, the department of education, schools, and cooperative medical institutions of the local community should collaborate with each other and work systematically to provide demand-centered services and care to those who are in need. The followings are the suggestions drawn from the results and conclusion of the study for future research and improved social welfare through the expansion of ADHD treatment. (1) the importance of early screening and treatment of ADHD children (2) the importance of regular counseling with parents (3) education for parents of ADHD children (4) the importance of training programs for teachers for ADHD children (5) use of special education on ADHD children (6) social welfare program for promotion of ADHD treatment ① responsibility for early screening and treatment for an ADHD child ② proposal of practical policies and publicization ③ cooperation with local community and financial aids for treatment ④ programs for ADHD children and teens and examination

      • 홀몸노인의 이성교제 태도에 관한 연구 : 사회경제적 특성을 중심으로

        강구민 성결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87

        경제성장에 따른 생활수준의 향상과 의학의 발달은 평균수명을 연장시켜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를 가져왔다. 그 결과 노인이 홀로 사는 기간이 장기화 되면서 홀로된 노인이 겪는 고독과 소외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예상 된다. 이러한 가운데 노인의 여생에 대한 가치관이나 태도도 변화되어 지난 유교적인 굴레에서 벗어나 적극적으로 서로 마음을 터놓고 깊은 감정을 교환할 대상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정서적 안정을 위해 이성교제를 선호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홀로된 노인의 사회경제적 격차에 따른 이성교제에 대해 문헌고찰을 통하여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도출하고 조사분석을 위한 지표를 개발하고 현장연구를 통하여 노인의 이성교제에 대한 태도의 실태를 파악하여 욕구를 살펴보고 그 욕구를 기반하여 연구가설를 설정 및 검증을 하고 제언을 통해 차후 건전하고 원활한 이성교제를 돕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자 한다. 본 연구는 경기도 군포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만 65세 이상의 홀몸노인 중 노인돌봄기본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대상자를 각 동에서 120명을 무작위 추출하여, SPSS12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통계처리를 통해 자료처리와 분석을 하였다. 연구방법은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인구사회학적 요인분석은 빈도 및 퍼센테이지(%)를 활용하고 사회경제적 변인간의 관계 또는 관련성을 파악하기위해 교차분석을 활용하였다. 본 조사의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학력은 분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조사자료 중 고졸이상 학력자를 '상'으로 중졸 학력자를 '중' 초등졸 미만 학력자를 '하'로 하였을 때, '상'인 노인이 43.1% '중'인 노인이 20.3% '하'인 노인이 36.6%로 나타나 학력이 '상'인 노인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조사대상자의 재정상태는 분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조사자료 중 51만원 이상 소득자를 '상'으로 21만원~ 50만원 소득자를 '중' 20만원 미만 소득자를 '하'로 하였을 때, '상'인 노인이 23.5% '중'인 노인이 47.2% '하'인 노인이 29.2%로 나타나 재정상태가 '중'인 노인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홀로된 노인의 이성교제 욕구를 사회경제적인 면에서 살펴보면 학력과 소득이 낮은 노인에 비해 학력과 소득이 높은 노인이 '이성교제가 필요하다'라고 응답하는 노인이 많았다. 또, 필요정도에 대해서는 말벗수준과 가벼운 스킨쉽, 사랑의 표현, 육체적 관계에 있어서도 학력과 소득이 높은 노인이 낮은 노인보다 응답률이 높았다. 노인의 이성교제에 대한 사회적분위기도 학력과 소득에 따라 체감적 차이가 났으며, 학력과 소득이 높을수록 노인의 이성교제에 대한 사회적분위기가 긍정적으로 보는 견해가 높았다. 이외에도 기본적 태도에서 경제력과 이성교제전 적당한 사전교제기간 이성교제 시 적당한 연령 차이 이성교제의 문제-경제적 어려움, 건강문제과 상황적 태도에서 이상형에따른 이성교제, 경제적 문제로인한 이성교제, 타인의 이성교제 영향, 건강으로 인한 수발, 의지처필요에 의한 이성교제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경제적이 부분이 이성교제에 대한 높은 영향을 끼쳤다. 이상의 연구내용을 종합하여 보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노인들의 배우자와의 사별과 자녀의 독립은 심리적으로 외로움과 고독감을 느끼게 하고 이러한 외로움과 고독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노인들은 이성교제나 재혼을 선택하게 된다. 조사결과 상당수의 홀로된 노인은 이성교제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노인의 학력과 소득에 따라 이성교제의 긍정도와 욕구 또한 높은 편 이었다. 이러한 욕구는 현실에서 음성적인 이성교제로 이루어져 다양한 부작용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학력과 소득별로 노인들이 이용하는 노인복지서비스 기관을 파악하여 이성교제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 해 노인들이 이성교제로 인해 소외감을 경감 시키는 것만 아니라 이성교제로 인해 생길 수 있는 노인의 다양한 불안감을 방지해 노후를 정서적인 안정과 즐거움을 가지고 살아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경제성장에 따라 생활수준의 향상과 의학의 발달로 평균수명이 연장된 노인이 당면한 가족구조의 급속한 변화와 그로인해 배우자 없이 생활하는 노인의 고독과 소외라는 또 다른 문제를 일으키고 있으며, 그러한 문제에 대해 최근 노인들은 기존에 가지고 있던 유교적 가치관을 바꾸면서 고독과 외로움으로부터 벗어나 활기찬 노후를 보내기 위한 한 방법으로 많은 노인들이 이성과의 만남을 희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노인의 고질적인 문제로 여겨진 경제적 부분을 위의 이성교제와 연관 하여 그 욕구를 살펴보고 그 욕구를 기반하여 차후 건전하고 원활한 이성교제 통해 소외감을 완화 시키는 것을 돕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학력은 분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조사자료 중 고졸이상 학력자를 '상'으로 중졸 학력자를 '중' 초등졸 미만 학력자를 '하'로 하였을 때, '상'인 노인이 43.1% '중'인 노인이 20.3% '하'인 노인이 36.6%로 나타나 학력이 '상'인 노인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조사대상자의 재정상태는 분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조사자료 중 51만원 이상 소득자를 '상'으로 21만원~ 50만원 소득자를 '중' 20만원 미만 소득자를 '하'로 하였을 때, '상'인 노인이 23.5% '중'인 노인이 47.2% '하'인 노인이 29.2%로 나타나 재정상태가 '중'인 노인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홀로된 노인의 이성교제 욕구를 사회경제적인 면에서 살펴보면 학력과 소득이 낮은 노인에 비해 학력과 소득이 높은 노인이 '이성교제가 필요하다'라고 응답하는 노인이 많았다. 또, 필요정도에 대해서는 말벗수준과 가벼운 스킨쉽, 사랑의 표현, 육체적 관계에 있어서도 학력과 소득이 높은 노인이 낮은 노인보다 응답률이 높았다. 또, 노인의 이성교제에 대한 사회적분위기도 학력과 소득에 따라 체감적 차이가 났으며, 학력과 소득이 높을수록 노인의 이성교제에 대한 사회적분위기가 긍정적으로 보는 견해가 높았다. 이외에도 기본적 태도에서 경제력과 이성교제전 적당한 사전교제기간 이성교제 시 적당한 연령 차이 이성교제의 문제-경제적 어려움, 건강문제과 상황적 태도에서 이상형에따른 이성교제, 경제적 문제로인한 이성교제, 타인의 이성교제 영향, 건강으로 인한 수발, 의지처필요에 의한 이성교제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경제적이 부분이 이성교제에 대한 높은 영향을 끼쳤다. 이상의 연구내용을 종합하여 보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노인들의 배우자와의 사별과 자녀의 독립은 심리적으로 외로움과 고독감을 느끼게 하고 이러한 외로움과 고독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노인들은 이성교제나 재혼을 선택하게 된다. 조사결과 상당수의 홀로된 노인은 이성교제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노인의 학력과 소득에 따라 이성교제의 긍정도와 욕구 또한 높은 편이었다. 그러나, 조사와 분석을 하는 과정에서 홀몸 노인들은 이성교제에 대하여서는 긍정적이었으나, 이성교제를 하고자 했을 때에는 이성교제에 대한 긍정적인 측면보다는 부정적인 측면을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 이것은 홀몸노인의 가족, 친지, 이웃 등의 주변 환경이 노년기 이성교제에 대한 이해부족과 사회적 편견 그리고 경제적 부담감으로 인해 이성교제를 망설이는 노인이 많다는 것이었다. 이러한 노인의 욕구에 대한 부정적인 상황은 현실에서 음성적인 이성교제로 이루어져 다양한 부작용을 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학력과 소득별로 노인들이 이용하는 노인복지서비스 기관을 파악하여 이성교제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 해 노인들이 이성교제로 인해 소외감을 경감 시키는 것만이 아니라 음성적인 이성교제로 인한 부작용과 불안감 등을 방지해야 하는 것이 우선적이고, 노인이 음성적인 이성교제에서 벗어나 남은 인생을 정서적인 안정감과 즐거움을 가지고 살아갈 수 있도록 홀로된 노인의 이성교제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는 사회의 인식 변화가 있어야 한다고 본다. 본 연구는 앞의 종합적인 결론을 근거로 하여 홀몸노인의 이성교제에 있어 정책적, 민간적 부분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첫째, 노인의 이성교제에 대한 정책적 방안으로 노인상담센터의 노인복지기관 연계 활용을 제시해 본다. 이는 현재 노인들의 경우 이성교제에 대하여 사회적 분위기로 인해 음성화 되고 있는 경우가 큰데, 기존 노인상담센터의 전화상담의 경우 노인의 의사전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노인과 상담원간의 신뢰가 형성되지 않아 효과성은 있으나, 이용률은 높지 않았다. 이에 소득 수준에 따라 생기는 욕구를 파악하여 다양한 노인복지시스템에서 이성교제에 따르는 문제를 느끼고 상담을 희망하는 노인에게 그동안 전화로서 진행되던 이성교제 관련 상담을 전문적인 지식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상담자가 복지시설이나 노인의 가정에 방문하여 노인이 가지고 있는 이성교제에 대한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방안으로, 이를 위해서는 정부에서는 노인복지기관에 부족한 상담실을 확충하고 노인의 이성교제상담 연계부분을 노인시설 업무지침 등에 기재하여 홀몸노인의 이성교제 등으로 인한 상담을 할 수 있는 공간과 전달체계를 확보해 사회복지사를 통해 이성교제가 노인의 일시적인 만남이나 경제적 또는 성적 욕구를 충족시키려는 목적의 만남으로서 부정적으로 악용되지 않도록 사회복지적 측면에서 보다 체계적인 지지와 개입이 있어야 할 것이다. 둘째, 홀몸 노인의 이성교제에 대한 사회적 인식개선이부분이다. 위의 서론에서 밝힌 것과 같이 과거에 비해 홀몸노인의 이성교제에 대하여는 많은 사회적 인식개선이 이루어 졌으나, 아직도 우리사회에서는 걸음마 단계라 할 수 있다. 홀몸노인의 정서적 욕구에 따른 이성교제에 문제가 생기는 이유는 대부분 음성적 이성교제로 인한 문제로 파악된다. 이러한, 부분의 해소는 음성적인 이성교제를 비음성적으로 만드는 것에 있다. 이러한, 부분은 결론에서 언급한 홀몸노인의 가족, 친지, 이웃 등의 주변 환경이 노년기 이성교제에 대한 이해부족과 사회적 편견 때문이다. 이에 따라 다양한 사회적 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노인의 이성교제에 대한 인식전환이 필요로 하는데, 이는 정책적 접근과 민간차원의 개입이 모두 필요하다. 우선 정책적으로는 노인복지관, 노인학대센터와 건강가정센터 등의 기존 기관에 노년기 이성교제의 사회적 인식개선 역할을 부여하여 지속적인 사회 인식개선을 주도하고, 민간차원에서 방송과 캠페인, 사회적 분위기 조성 등으로 인식개선을 지원함으로서 홀몸노인의 이성교제가 사회적인 편견에서 벗어나 주변이웃과 지역의 정서적 지지를 받을 수 있도록 개선하여 노인이 더 이상 음성적인 이성교제로 인한 부작용의 불안에서 벗어나 건전하고 원활한 이성교제를 통해 정서적으로 소외되지 않고 즐겁고 건강한 노후가 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현재 노인에게 가장 영향력이 큰 사회경제적 특성과 이성교제와의 관계만을 연구하였으나, 차후 노인의 이성교제를 파악하고 개입하기 위해서는 보다 구체적이고 다양한 인구사회학적요인들을 연구해 노인이 이성교제를 통해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노인의 이성교제와 정년, 활동이 가능하며 생활이 어려운 노인 등으로 그 범위를 확대한 후속연구가 진행 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 caused by economic growth and development of medical science brought about a rapid increase in population of aged people. In accordance as the time when aged people live alone without spouse is growing longer, it is expected that loneliness and isolation suffered by them may become more and more serious. Meanwhile, values and attitudes of old people toward the rest of life also witness change; old people now want partners to communicate feelings to each other in an open-minded way, coming out of past Confucian customs, and favor association with the opposite sex for their emotional stability. Thus, this study selected research issues through literature investigation about socioeconomic divide between single aged people and resulting association with the opposite sex; developed index for research analysis; identified the actual conditions of aged people's attitudes toward association with the opposite sex and their desires through on-the-spot survey; set up and tested research hypotheses on the basis of their desires. Based upon the results, this study is aimed at presenting proposals; basic data which can help aged people associate with the opposite sex in a sound and smooth manner in the future. This study random-sampled 120 single old recipients of basic welfare service for old people from each Dong among single old residents above 65 years old in full in Gunpo city; processed and analyzed data through computer statistical processing with the help of SPSS12 statistical program. As for research method, in order to test hypotheses of this study, population sociological factor analysis used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used cross tabulation to identify relations or relationship among socioeconomic variables. The results are summed up as follows: First, in regard to educational background of research subjects, in order to facilitate analysis, this study defined people with educational attainments higher than highschool graduate as "top'; people with educational attainments higher than middle school graduate as "middle'; people with educational attainments equal to or lower than elementary school graduate as "bottom'. 'Top' old people were found 43.1%; 'Middle' old people were found 20.3%; 'Bottom' old people were found 36.6% In regard to financial standing of research subjects, in order to facilitate analysis, this study defined people with an income more than 510,000won a month as 'top'; people with an income from 210,000won to 510,000won a month as 'middle'; people with an income less than 200,000won a month as 'bottom'. 'Top' old people were found 23.5%,; 'Middle' old people were found 47.2%; 'Bottom' old people were found 29.2%.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looking into desires of single old people to associate with the opposite sex in socioeconomic terms, more old people with higher educational attainments and income responded more positively compared to old people with lowerer educational attainments and income: "Association with the opposite sex is needed." In regard to "how much association with the opposite sex is needed?", more old people with higher educational attainments and income responded more positively compared to old people with lowerer educational attainments and income; "Association with the opposite sex is needed for conversation, for light physical contact, for expression of love or for physical intimacy." Meanwhile, social attitudes show a noticeable difference depending upon educational background and income; The higher educational attainments and income people have, the more positive to old people's association with the opposite sex they are It was an economic factor that has a greater influence upon old people's association with the opposite sex than other factors except for basic attitudes and situational attitudes; basic attitudes toward association include economic ability, proper preparation time before association, proper age difference, obstacles to association, economic difficulty and health problems; situational attitudes include association caused by a ideal type, association caused by economic problems, effect of others' association, nursing caused by health problem and association caused by necessity of dependence. In summing up above research,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When old people are bereaved of spouse and their children become independent, they feel loneliness and isolation. Old people choose association with the opposite sex or remarriage as a way to settle loneliness and isolation. According to research, a considerable number of old people think positively of association with the opposite sex; positive attitude and desire are higher in proportion to the level of educational attainments and income. It is a fact that this desire to association leads to secret or inappropriate association, which brings about various adverse effects. Therefore, there is need to identify old people's welfare service organizations which aged people use depending upon educational background and income, to provide information for association, to decrease their isolation through association, to prevent various possible concerns caused by association, and to help them live with emotional stability and happiness.

      • 유료노인복지주택에 대한 지역주민의 태도와 선호도에 관한 연구 : 안양, 군포, 의왕지역을 중심으로

        조중현 성결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0687

        우리나라는 2002년 말 현재 노인인구가 전체인구의 7.9%에 이르러 고령화 사회에 이미 진입하였으며, 2019년에는 14%를 초과하여 고령사회가 될 전망이다. 또한 노후에는 자녀와 별거율이 2000년 말 현재 45%에 도달하고 있고, 2010년에는 60%로 치솟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는 실정이다. 노년기는 우리 인간의 생애기간 중 제일 길지만, 노인의 빈곤, 건강상실 및 소외 등으로, 노인의 사회적 환경 적응력이 떨어져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는 이때에 지역실정에 맞는 노인복지주택의 모형을 개발하여 제공함으로서 노인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한 커뮤니티(community)형성으로 정상화이론을 실천하고 탈 시설화 운동을 돕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먼저 이론적 배경을 통하여 유료노인주택의 정의, 필요성, 법적기준, 개발유형 및 도시형 노인복지주택의 특성을 파악하고, 국내 및 외국의 유료노인복지주택의 모형비교를 통하여 개념을 보다 명확히 정립하였다. 이와 같은 예비적 고찰을 통해서 살펴본 사항들을 바탕으로 안양ㆍ군포ㆍ의왕 지역의 거주자 중 30세 이상 550,687명을 대상으로 노후주거시설에 대한 일반적인 태도, 노인복지주택의 시설 및 프로그램에 대한 선호도 및 노인복지주택의 비용부담에 대한 견해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후주거에 대한 견해로는 가족과 함께 자기 집에서 그대로 도시에 살고 싶어 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는 단위 주택 당 15가구 정도의 규모로 가구당 주거공간은 약 20평(66 ㎡)정도의 복지주택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노인복지주택의 시설에 대해서는 거실, 작은 부엌, 식탁, 침실 및 욕조가 있는 화장실을 선호하고 있으며, 공유시설은 이웃과 함께 사용하기를 원하고 있고, 주택내부 시설로는 냉난방시설 및 식당, 엘리베이터를 제일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고, 은행ㆍ병원ㆍ쇼핑센터, 개인적인 공간, 헬스ㆍ사우나ㆍ안마시설,오락시설 순으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셋째, 제공되는 프로그램으로는 건강검진을 제일 중요시하고 자원봉사, 식사제공 등을 우선적으로 원하고 있다. 넷째, 비용부담에 대해서는 소유를 원할 시 평균 11,690만원을, 임대를 원할시에는 3,082만원을 지불할 의사를 나타내고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 이 지역에 적용되는 노인복지주택의 모형은 영국의 보호주택(Sheltered Housing)이나 미국의 집합주택(Congregate Housing)의 개념을 고려한 형태로서, 안양ㆍ군포ㆍ의왕 지역적 특성에 맞는 모형으로는 이 지역의 도시외곽에 최소한 250평 규모(826 ㎡)의 대지를 구입하여, 바닥면적 150평(496 ㎡) 이상으로 하여 가구 당 20평 정도(66 ㎡)의 주택 30가구가 입주하는 것으로 계획하여야 경제성이 있으며, 주택의 형태는 5층 정도의 단일 건물로 하고 공간계획으로는 1층에는 공용시설인 공용거실, 라운지, 식당, 간호실, 관리실, 주방 및 오락실 등을 배치하고, 2-5층에는 독신자와 부부가구비율을 감안하여 1침실형 12실, 부부용 1침실형12실, 부부용 2침실형 6실의 비율로 배치하는 것이 적당할 것이다. 운영하는 프로그램으로는 건강진단 프로그램을 우선적으로 시행하고 자원봉사, 식사제공, 가족방문, 여가지원 프로그램 등을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실시해야하겠으며, 지방정부에서는 지역 내 노인복지주택의 부지로 적합한 그린벨트지역에 한해서 정책적으로 개발제한구역에서 해제를 하여 민간자본의 투자를 유도하고, 일부 저소득층을 위해서는 시청이나 구청에서 직접 건립하여 운영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지역주민은 지금 현재 살고 있는 처소에서의 서비스를 받고 싶어하는 욕구가 강하므로 주간보호센터, 단기보호센터 및 가사도우미 등의 프로그램이보다 더 적극적으로 제공되도록 하여야겠다. Aging society has been already reached in our country in that the peoples of old age constitute 7.9% the whole population in the end of 2002 and are expected to exceed the ratio of 14% in 2019. Furthermore, the separation from their children has reached the rate of 45% and is predicted to abruptly rise to that of 60% in 2010. Although the senescence is longer than any other's during life period of our human beings, the situation is that the social problem takes place due to the deprivation of adaptation to their society and environment undermined by the poverty, health loss and estrangement of the old ag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herefore, to develop the model of and construction of the aged's welfare house suitable to regional situation , practice the normalization theory and help the deinstituionalization movement through the formation of community based on the social interaction of the old age. In order to carry out the said purpose, the theoretical background is, first of all, made understood to ascertain the necessity, legal standard, development type and special quality of Paid Welfare House in the style of urban life. In the meantime, the concept thereof is definitely established by evaluating the comparison between the domestic and overseas models of Paid Welfare House. Such preliminary reviews are followed by the questionnaire investigation to the 550,687 peoples of 30 years or over in the areas of Anyang, Gunpo, and Uiwang of general attitude toward such residential houses for the old age, the preference to facilities and programmes, and the affordable cost thereof.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are as follows; Firstly, the people who lives with their family in their own house prefers to reside in the city as it is. The investigation results in recommending the welfare house to afford to accommodate the 15 families or so with a space of 66m2 per family. Secondly, in respect of facility and programme of Welfare House for the old age it is to be furnished with a living room, small kitchen, dining table, bedroom and a toilet with bathtub. The common facilities are to be shared with their neighborhood. The air conditioning, restaurant, and elevator are mostly required as an interior equipment and the bank, hospital, shopping mall, private space, health center, sauna, massage room and recreation facilities are requested in their sequential order. As a served programme the medical check should be placed on the top priority and then the volunteer programme and meal service, etc. are preferentially requested . Thirdly, in respect of payment, they afford to pay 30,820,000won as a lease and 116,900,000won for their own at an average. In this research, it has been reached that the model of Welfare House suitable to the areas of Anyan, Gunpo, and Uiwang should be the complex of 30 houses with 66m2 per a house totalling to 496m2 floor space and 826m2 ground at minimum at the external area of city in respect of profitability. The type of house is to be of 5 stories including common living room, lounge, mess, nursing room, office, kitchen and recreation room at 1st floor and rooms at 2 - 5 floors at a ratio of 12 rooms of single bed, 12 rooms of double bed and 6 rooms of twin bed at consideration of proportion of single and couple. This model is stemmed from English extra care Sheltered Housing and the concept of American Congregate Housing type. With respect to the operation of programme, the medical examination should be first carried out and the others such as volunteer service, meal service, family visiting and leisure support plan etc. follows sharing a communication with local district office, which sets up and executes their policies that they are pleased to give an incentive to the investment from private sector in building the Welfare House for the old age by lifting the restriction on the development in the green belt zone. In the meantime, the residents strongly want to receive services in their own place and so the community programmes like a care center, short term care center and household helper etc. should be offered in more active manner.

      • 통합적 측면의 노인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 노인복지 이용시설을 중심으로

        조화운 성결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50687

        고령화사회에서 가장 시급하고 중요한 과제는 미래 사회의 주도 세력인 노인집단의 발달과업인 통합의 과제를 성취하도록 돕고, 미래 고령사회의 인적자원을 개발하는 통합적인 노인교육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이다. 주대상인 노인을 중심으로 부양세대와 노년을 준비하는 모든 젊은 세대를 대상으로 이뤄져야 할 노인교육, 2001년 고령사회에 대한 대책으로 교육인적자원부와 복지부가 노인교육전문가를 양성하면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는 애초 계획한 대로 통합적 노인교육이 성공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만약 실패하고 있다면 그 이유와 대책, 특히 정책적인 대안을 마련코자 한다.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은 주로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하였으며, 노인교육현장 실태파악을 위해 고양, 안양, 의왕, 군포시 노인복지관 4곳의 노인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지 100매를 배포, 56부를 수거하여 조사했으며, 특히 노인교육의 근본문제 확인을 위해 각 노인교육프로그램 담당자들을 직접 만나 비형식적 면담형식으로 조사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관한 조사를 위해서는 비모수검정의 chi-square를 통해 근사 유의확률을 찾아냈으며, 교육유무와 만족도와 효과성의 결과는 SPSS 12.0 프로그램을 통계도구로, 유의도 확인을 위해 Pearson chi-square를 사용하여 교차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당초 노인의 일반적 특성인 성별, 학력별, 종교별, 연령별, 경제능력별, 배우자 유무별로 통합적인 노인교육의 유무와 만족도와 효과성이 다를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거의 신뢰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그러나 통합적 노인교육을 위한 내용의 편성 여부를 확인하는 내용별 교육유무와 그에 따른 교육만족도와 교육효과성에 대한 분석결과 통합적 노인교육목적에 따른 다양하고 체계화된 교육은 거의 이뤄지지 않았고, 대부분 교육받은 내용들에 대해서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그리고 노인교육을 통한 자아 및 세대간, 가족, 사회, 국가정책, 그리고 초월적 관점의 통합효과성도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노인교육담당자 대상의 조사결과, 첫째로 대부분 노인교육을 받은 적이 없는 사회복지사에 의해 교육프로그램이 계획·운영되고, 둘째로 노인교육을 위한 별도의 예산이 없어 자립적 프로그램만 선호하며, 셋째로 노인교육 필요성 인식의 부족으로 노인집단의 욕구인 흥미위주의 프로그램에 집중하고, 노인개개인의 자발성에만 의존하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해결을 통한 노인교육활성화와 노인교육효과성을 담보할 통합적 노인교육의 종합적인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우리나라 노인에 대해서 오늘의 역사를 만들어낸 역사유공자요, 미래고령사회의 소중한 인력자원으로 이해를 바로하고 노인교육의 내용과 목적을 설정해야 한다. 그래서 노인을 역사유공자로서의 자존감과 미래 산업인력으로서의 가치를 부여하고, 그럼에도 그들이 현재 겪고 있는 노인 4고(4苦)를 극복하도록 돕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단순히 복지대상인 노인대상의 교육차원이 아닌 노인을 역사유공자로 우대하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 둘째, 모든 노인에게 공평한 교육혜택을 주기 위해 노인교육을 의무교육화하는 법적 제도적 모색을 통해 별도의 노인교육예산을 확보하고, 중증와상환자를 제외한 모든 노인의 교육을 강제하여 노인교육 참여율을 높여야 한다. 셋째, 교육인적자원부는 지방정부와 연계, 노인교육전문가를 인적 사회자원으로 관리하여, 그들이 노인교육을 담당하도록 교육시스템을 정상화해야 한다. 넷째, 성공적인 노인교육을 위해 기초체계와 상위체계로 구분된 표준노인교육교재개발로 교육의 최저 한계를 규정해야 한다. 노인의 인격적 측면과 복지적 측면을 고려한 기초체계 교육과정을 정리하여 의무교육으로 지정하고, 그에 이어 자기개발이나 노인에 의한 교육을 준비시키는 보다 세분화되고 전문화된 상위체계 교육과정을 구분하고 체계화시키되 통합목적을 지향하도록 하는 교육의 표준화가 이뤄져야 한다. 성공적인 노인교육을 위해 정부가 정책적인 접근을 해야 함을 강조하며, 이에 관한 보다 풍부한 후속연구로 건강한 노인교육제도가 정착되기를 바란다. The most important and urgent policy of the aging society is how to educate the senior citizens who will have a leading role in future society. The education of senior citizens is a task not only for the aging generation but also for the families who support them, to the younger generation who prepares for their old age and overall, to every generation who needs to understand the old age. The purpose of the education of senior citizens should be to help them to achieve self-development in their old age. Achieving this is to understand and accept their strong and weak points to make the best of them. Another aim that will be helpful to society as a whole is to move from the current self-integration of senior citizens to inter-generational integration. Succeeding in this will contribute to society as a whole. Moreover, the education for senior citizens should help them to integrate their life transcendentally, so that they can live without regret when they look back their life and not to be ashamed of their life in front of God and death. In 2001,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ministry of welfare began the education of senior citizens with training from educational experts as a response to aging society. In this study, we will see how well the education for senior citizens has been in actual society, and if not, we will find out why and how to improve it. The first part of this study is a literature review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From this review a survey was developed to find out about the actual conditions, and 100 of thes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senior citizens' welfare centers in Goyang, Anyang, Euiwang and Gunpo. The 56 responses were analysed for this research. In addition, to explore fundamental problems of senior citizens education,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met the managers of old age care facilities to conduct face-to-face interviews in an informal and comfortable atmosphere. To analyz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 used SPSS 12.0 as a statistical method and cross-analysis with Pearson chi-square for validity checking. The results didn't quite match the expectation that the degree of effect and satisfaction of the education for senior citizens would differ from their general qualities such as sex, academic background, religion, age, economic capacity and presence of spouse. We analyzed the results of 3 factors. The first one is the suitability of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to see if it's appropriate for senior citizens. Secondly, the degree of satisfaction was analysed to see how good the educators' methods and skills are. The final one is the efficiency of the program to check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whether the objectives of the program were successfully taught. The analysis shows that, in contrast to the goals of the integral education for senior citizens, the actual programs don't have enough variety and are not well organized, and that the senior citizens are, generally, not satisfied with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they received. It also signifies that the education program for senior citizens are not currently able to call for efficiency on integration in terms of inter-generational integration, family integration, social integration, or the national government's policy integration andoverall, transcendental integration. The reasons are like the following after the interview with the people in charge for the senior citizens' education program. Firstly, the program is planned and run by social welfare workers without related background, who are not specialists in this field. Secondly, the purpose of current programs is to secure a budget as there's no separate budget fixed for the program. Thirdly, lack of practical functions of the program that help the targets' development and concentration on programs that only match the desire of senior citizens to just have simple fun. In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presents synthetic solutions like the following, in order to activate the education for senior citizens and to make it more effective. Firstly, we should properly understand the old generation and set a purpose of the education program for senior citizens. Senior citizens are those who built our history and important labor source of this aging society. The education program for senior citizens should be able to remind them self-respect as the history builder. Also, it should be able to help them to overcome the 4 problems they're suffering from, for all. So, the reason why it should be is not just on the necessity of the program. When the society treats them as people of historic merit like the ones of independence merit and the merits performer, the value and the meaning of the education program would get more important. Secondly, the society should find a legal and institutional way to define the education program for senior citizens as compulsory education, if we want give them the fair opportunity of education. Thirdly, after authorizing the senior citizens as a subject of compulsory education, we should assure the budget for the education program. The specialists of this program who were train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ministry of social welfare should manage the human resource, cooperating with local governments. We need to normalize the system of the education program for senior citizens so that the specialists can take complete charge of the education program. Finally, for the education program to be more successful, there should be standard textbooks of the education program for senior citizens, published and divided into basic and high rank system. Considering and synthesizing the aspects of senior citizens' character and welfare, we should arrange the process of the basic system and designate it as compulsory. After that, to help them prepare for self-development and the education by senior citizens, we should classify and systemize the high ranked program which is more subdivided and professional. However,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e standardization of the education program with an object of integration. In that way, the senior citizens can have coherent education whenever and wherever. The academic background is not so important in this education program for senior citizens. For a good example, Christian churches in Korea gave education to illiterate grand-mothers and they became to take important roles and make the Christianity in Korea more successful. The education for senior citizens needs to be successful. For that, there should be an approach in terms of policy,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Hopefully, there are various further studies to help the strong and healthy education program settle down.

      • 장애인 직업재활시설의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최훈서 성결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671

        Social Security Basic Law (1995) identifies disease, disability, old age, unemployment, death, birth, parenting, and poverty as social risks and states that a nation, local government, and the people should go share with those risks. The law defined disability as a social risk and institutionalized social security in terms of the disabled people’s income, health, and education. As a part of the institutionalization, Promotion of Employment of the disabled enacted in 1990 states employment rate standards to expand the employment opportunity for the disabled. For those with disability, job is not only a prerequisite for the normalization but also important meaning to have opportunity to contribute as a member of society. Moreover, that the disabled have a job means that they maintain stable life, improve life quality and, by extension, meet the basic conditions that would accomplish a true social unification. This may be a desire of majority of the disabled people regardless of their type or degree of disability. However, most of participants in economic activity were mildly disabled people or a few disabled who had benefited from vocational training. Namely, the employment of severely disabled people was excluded, so that their desires for the career and social unification were not reflected in. Disability Employment Promotion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Act were enacted in 2000 to resolve these issues. Provision of article 20 of the Act provides that when selecting personal assistance service provider, the target is the severely disabled who have an ability to conduct the tasks but have difficulty performing because of disability, thereby creating a system for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severely disabled people. However, the disabled judgment system that only relied on disabled registration and medical diagnosis revealed a limitation of service subject. In addition, employment opportunity provided from pay details made infra-facility be concentrated on major city, and the lack of service provider cause not only decrease in the economic activity of the disabled but also low service quality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abled. Despite the limited financial resource, a plural system of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d local governments induced waste of resources and redundant supports. In addition, a transfer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business into the local government foretells the difficulty of continuous supports for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under their low level of financial independence. To improve these problems, the effort to offer appropriate job according to the type of disability, age, and gender is needed, and it is required to define and classify disabled people in terms of holistic healing. Furthermore, in the process of rehabilitation, it should reinforce services that provide consultation, assessment, and training, which reflect the need of disabled people and their family, and reinforce the institution’s own function to resolve redundant tasks of social service center for the disabled, association of the disabled people,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Also, it is required to develop diverse jobs to prompt employment of market economy, not for just quantitative expansion considering employment rate of the severely disabled. Post management regarding job training and discrimination should be arranged so that severely disabled people could receive not dispensation but true pay by improving their ability. Specifically, by unifying diverse transfer systems and reinforcing cooperation among administrative departments, vocational rehabilitation centers associating with the institutions can offer services that revolve around beneficiaries. The way to support budget should be designed to improve productivity and profit and to differentiate social welfare recipients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ones. Lastly, at the practical implications,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a standardized service supply is discrimination of the disables in terms of human rights, and try to build social conditions where social community have keen interest in disabled people, and many disabled people can work without social prejudice. Also, although research cost take the small portion of budget for the severely disabled, when putting effort to develop the appropriate vocational program, the culture of disabled employment promotion should be created in the region. At the political implications, government should prepare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cess- specific program for the severely disabled as economic agents, unifying transfer system and enacting related law, and employment promotion considering the weakness of female disabled. Moreover, as the demands about social welfare are increased, vocational rehabilitation should become a place for true social integration to the disadvantaged severely disabled. 사회보장기본법(1995)에서는 질병, 장애, 노령, 실업, 사망, 출산, 양육, 빈곤을 사회적 위험으로 규정하고 국가와 지자체 및 국민이 공동분담해야 한다는 취지를 밝힌 바 있다. 이 중 장애를 사회적 위험으로 규정하고 장애인의 소득 및 의료, 교육 등 총체적인 입장에서 사회보장을 제도화하고 있다. 이러한 제도화의 일환으로 제정된 1990년 장애인고용촉진등에 관한 법률은 기준고용률을 명시하여 장애인의 고용기회를 확대하고자 하였다. 장애인들에게 직업이란 정상화를 위한 전제조건일 뿐만 아니라 사회의 구성원으로써 기여의 기회를 갖는 중요한 의미이다. 또한 장애인이 직업생활을 한다는 것은 안정된 생활을 유지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며, 더 나아가 지역사회 내에서 진정한 사회통합을 이루어 나갈 수 있는 기본조건을 갖추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장애의 유형이나 장애 정도와는 무관하게 대다수의 장애인이 갖는 욕구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기준고용률에 의한 다수의 경제활동 참여자는 경증장애인이나 직업훈련 등의 혜택을 받은 소수의 장애인이였다. 즉, 중증장애인의 고용이 배제되어 이들의 직업생활이나 사회통합에 대한 기본적 욕구가 반영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이를 해결하고자 제정된 법이 2000년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이다. 이 법 제20조에 근로지원인 서비스제공대상자의 선정 시 담당업무를 수행하는 능력을 갖추었으나, 장애로 인하여 업무를 수행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는 중증장애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다고 규정하여 중증장애인 직업재활을 위한 제도가 마련되었다. 그러나 중증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서비스대상자가 되기 위한 장애인 등록절차와 의학적 진단만을 의존한 등급판정은 서비스대상자의 한계를 드러냈다. 또한 급여내용으로 제공되는 고용기회는 시설인프라의 대도시 집중현상이나 서비스제공자인 종사자의 부족현상은 장애인의 결제활동참가율의 저하는 물론 장애의 특성상 서비스의 질적 문제를 야기했다. 보건복지부와 고용노동부 및 지자체의 다원화된 전달체계는 재원의 유한성에도 불구하고 자원의 낭비와 중복지원의 문제를 유발시켰다. 또한 직업재활사업의 지자체 이양은 재정자립도가 낮은 현실에서 지속적인 직업재활시설의 지원의 어려움을 예고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장애인의 장애유형과 연령 및 성별에 따른 적합한 일자리제공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전인적 재활측면에서 장애인을 정의하고 분류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직업재활과정에서도 장애인 및 가족의 욕구를 충분히 반영하여 상담, 평가, 훈련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강화하고, 직업재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애인복지관, 장애인단체, 직업재활시설의 중복업무를 해결하기 위한 기관의 고유기능을 강화해야 한다. 또한 중증장애인의 고용률만을 고려한 양적 확대가 아닌 시장경제에서 고용촉진을 위한 다양한 직종을 개발하고, 이를 수행할 능력을 인정받아 시혜가 아닌 진정한 임금을 받을 수 있도록 직업훈련·취업후의 차별 등에 대한 사후관리 등의 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특히 다원화되어 있는 전달체계도 일원화하고 행정부처간의 협력을 강화시켜 기관간 연계체계를 통한 역할증대로 직업재활 관련기관이 제공하는 서비스가 수혜자 중심에서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예산지원 방식도 생산성과 수익성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사업아이템 개발요구나 사회복지대상자와 직업재활대상자로 구분하여 차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모색되어야 한다. 끝으로 실천적 측면에서는 획일적인 서비스제공이 인권차원에서 장애인 차별인 것을 인지하고, 사회의 공동체가 장애인에 대한 관심과 사회적 편견없이 더 많은 장애인이 직업을 가지고 평등하게 일할 수 있는 사회적 여건이 조성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또한 중증지원사업 예산 중 1%의 낮은 조사연구비 지원이지만, 적절한 직업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노력하여 지역 내에서 장애인고용문화가 창출되어야 할 것이다. 정책적 측면에서는 중증장애인들이 경제적인 독립주체로써 직업재활 과정별 전문화를 마련하고, 일원화된 전달체계 구축 및 관련법의 정비와 여성장애인의 근로취약성을 고려한 고용촉진 대책마련이 필요하다. 그리고 사회복지에 대한 수요와 욕구 수준이 점차 증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장애인 직업재활시설이 사회배제적 빈곤속에 힘들어 하는 중증장애인들에게 진정한 사회통합의 장으로 거듭날 필요가 있다.

      • 준고령자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정수 성결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671

        In the viewpoint of the mid-long term, the semi-aged can partcipate in the social activity by the newly start up business, in this way they can solve the employment problem, prepare the income after the retirement. This start up activity is important for them to enforce the national competition and reduce the welfare cost. In the short- term view point, it is the core policy of all the present problem that the semi-aged have the job opportunity consistently, realize the income creation. This study model is for the purpose of finding factors that effect on the start up intention of the semi-aged. This model's independence variableis 'the start up intention', and it's dependence variables are 'the psycholosical factors', 'the social economic environmental factors' The control variable is consist of the individual demographics. In this study, there is two topics. One is the question,‘Do the psychological factors effect on the intention of the semi-aged?’ The other is that ‘Do the social economic envioronmental factors effect on the intention of the semi-aged?’ And there are two hypothesis for analyzing this topic, the name is null hypothesis and research hypothesis. According to result of the analyzing these topics, the first,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ampling people in this study are the semi-aged who were learned the education for start up , of them chosen randomly, the number are 334. The characteristic factors are sex,age, education level, job career, asset income, monthly income, job opportunity after retirement. The second, for the mean difference I analysis one-way variance analysis nd independent sample t-test. According to this mean analysis,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nce(psycholosical factors and social economic environmental factors)and sex, age, job career, asset income, otherwise there is significant result between the dependent variance(start up intention)and sex, age, job career, job opportunity after retirement. The third,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analysis for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and multicollinearity, Pearson’s correlation value(r) is 0.7 under, this value means there is no multicollinearity. All factors is related to the intention of the business start up. Especially, in this study the dependent variance(start up intention) shows up the more correlation in the psycholosical factors than the social economic environmental factors. At last, according to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analysizing on effecting the start up intention of the social demographic variance, the psycholosical factors and the social economic environmental factors, the social demographic variance didn’t effect on the start up intention. But he psycholosical factors and the social economic environmental factors effected on the start up intention positively,this appears the statisic sensibility(p<.001) To summarize, in this study, according to the regression analysis, I chose the research hypothesis, instead of rejecting the null hypothesis. That is, the psychological factors and the social economic environmental factors effected on the start up intention. In spite of this effection, in this study, there are some defect in that it is few research in advance, overlapping question, the range of selecting the samples. However, there are some merits in this study. Otherwise the prior study tended to youth in the research area, this study specify to the semi-aged(from 50 age to 64age). Under the present Korea situation, it is considerable to decide the social policy. In short, The factor most effecting on the start up intention of the semi-aged is the psychological aspect 본 연구는 고용문제 해결과 노후대책차원에서 은퇴 후 소득확보책을 마련하기 위해 준고령자의 신규창업을 통한 사회참여는 중장기적으로는 고령화에 따른 복지비용 경감과 단기적으로는 준고령자들의 지속적인 일자리와 소득창출을 위해서는 창업이 핵심이라고 보고, 이와 관련하여 준고령자의 창업의도에 영양을 미치는 요인이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취지에서 준고령자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모형은 종속변수로서 ‘준고령자의 창업의도’를 두었으며,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하여 독립변수로서 ‘심리의지적요인’과 ‘사회경제적 환경요인’을 설정하였으며, 개인적 환경을 포함한 인구사회학적요인은 통제변수로하여 분석모형을 구성하였다. 가설설정과 관련하여 연구문제로서 ‘심리의지적요인은 준고령자의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사회경제적 환경요인은 준고령자의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가?’로 하였으며, 이에 따라 각각 영가설과 연구가설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요약해 보면, 대상자들은 재취업, 창업관련 교육기관에서 교육을 받거나 상담을 받고 있는 중고령자들 중에서 무작위로 선정된 33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인 일반적 특성을 구분하는 요인은 성별, 학력,연령, 근무직종, 자산소득, 월간 총소득, 퇴직후 소득을 위한 일의 여부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둘째,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주요변수와의 평균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 또는 독립표본 t분석을 수행하여 심리의지적 요인과 사회경제적 환경요인 및 창업의도 수준이 어느정도인지를 분석하였다. 이 결과 독립변수인 심리의지적 요인, 사회경제적환경요인과는 성별, 연령, 근무직종, 자산소득유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종속변수인 창업의도와는 성별,연령, 근무직종, 퇴직후 일의 유무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요변수들 간의 상관관계와 다중공선성을 파악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수행한 결과 피어슨의 상관계수값(r)이 0.7미만으로 나타남에 따라 다중공선성의 문제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모든 주요변수가 창업의도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본 연구의 종속변수인 창업의도는 사회경제환경요인 보다 심리의지적 요인이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인구사회학적변수와 심리의지적 요인, 사회경제적 환경요인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인구사회학적 변수는 종속변수인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립변수인 심리의지적 요인은 창업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p<.001). 사회경제적 환경요인은 창업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준 것이다(p<.001). 요컨대, 본 연구에서는 준고령자의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서, 심리의지적 요인과 사회경제적 환경요인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각각의 영가설을 기각하고 연구가설을 채택하였다. 즉 심리의지적 요인과 사회경제적 환경요인은 준고령자의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연구와 관련하여 우리나라에서는 준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가 많지 않다는 점, 독립변수 선정과 설문구성의 중복성, 표본추출의 범위등 몇 가지 한계점도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창업의도관련 기존의 연구가 청장년을 대상으로 한 것과는 달리, 연구대상자로서 50세 이상 64세까지의 해당연령을 ‘준고령자’로 특정하여 이들의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고, 이는 베이비 부머 퇴직자등 준고령자의 퇴직이 일상화 되고 있는 현재 우리나라 상황에서, 준고령자들이 노후를 준비하여 창업을 할 경우 본 연구 결과와 같이 심리의지적 요인 및 준고령자의 위험감수성향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는 내용은 준고령자 예비창업자나 창업을 지원해주는 사회적 시스템과 정부의 정책적 구상에도 참고할만한 점이 있다고 생각한다.

      • 생활지도원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소재 노인요양시설과 전문요양시설 비교를 중심으로

        강영순 성결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과 노인전문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생활지도원의 개인적 요인에 따른 직무만족도와 조직의 특성에 따른 만족도를 분석하여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모색하여 생활지도원들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상자들에게 질적으로 향상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소속된 무료노인요양시설과 무료노인전문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생활지도원 122명(요양시설 49명, 전문요양시설 73명)을 대상으로조사하였다 생활지도원 개인 및 시설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교차분석을 실시하였고, 그에 따른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차의가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 하부집단이 두 집단인 경우 t-test분석을, 세 집단 이상인 경우는 일원분산분석(ANOVA)을 적용하였으며, 일원분산분석에서 유의한 차이가 파악된 경우 던컨 (Duncan)의 사후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 개인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성별 분포에서는 여자가 87.7%, 연령은 40대와 50대가 64.4%, 고등학교 졸업자가 전체의 41.8%를 차지하였고, 기혼자가 67.2%, 기독교가 49.6%이며 종교를 가진 종사자가 81.8%의 분포를 보였다. 현재 근무하고 있는 시설 경력은 1~3년 미만이 50.0%이었으며, 자격증 현황을 살펴보면 사회복지사가 36.1%, 자격증이 없는 종사자가 62.3%였으며, 주 업무는 신체청결, 식사수발, 청소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의 환경적 특성을 살펴보면 근로형태의 분포는 정규직이 63.9%, 근무형태는 1일2교대가 43.4%, 주당근무시간은 60-64시간 근무자가 22.5%, 담당노인 수는 6-10명이 24.8%, 내부교육은 없음이 39.3%, 외부교육도 없음이 36.1%로 조사되었다. 셋째, 생활지도원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를 살펴보면, 연령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지도감독 및 재교육기회에서 30대가 높았고, 인간관계만족도에서는 20대가 가장 낮았으며 연령이 높아질수록 만족도가 높았다. 결혼 여부에 따라서는 기혼자의 만족도가 미혼자에 비해 인간관계 만족도가 높았다. 종교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직업의 안정성과 성장가능성 만족도에서 종교가 있는 종사자의 만족도가 높았다. 간호사의 경우 인간관계 만족도 및 보수 만족도가 높았다. 넷째, 조직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를 살펴보면 시설에서 담당하고 있는 노인 인원에 따라서는 20명이상 집단의 경우 후생복지 만족도가 높았고, 6-10명, 16-20명, 20명 이상인 집단에서는 직무관련 인간관계만족도가 높았다. 근로형태에 따라서는 파견근로자가 직업안정성과 성장가능성, 지도감독 및 재교육 만족도가 높았고, 정규직 종사자는 직무관련 인간관계 만족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근무형태에 따라서는 1일2교대 근무 집단의 직무관련 인간관계 만족도가 높게 파악되었다. 교육 횟수에 따라서는 내부교육은 4회와 5회 이상의 교육을 받은 집단이 지도감독 및 재교육 만족도가 높게 파악되었다. 다섯째, 요양시설과 전문요양시설의 직무만족도 비교에서는 6개의 요인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파악되지 않았다. 이는 시설에서 생활하는 노인의 기능의 차이는 있지만 생활지도원의 만족도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파악 되었다. This Study is about job satisfaction of the geriatrics facility's care workers and is going to discuss the theme based on the individual/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factors that those individual/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have impact on job satisfaction. This Study is designed for porviding the qualitatively improved services to the poeple that life guiders are supposed to render by analyzing the job satisfaction as a result of the individual factors of the care workers who work in the senile nursing homes and the facilities exclusively to the aged and the job satisfaction as a result of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then seeking their problems and ways to improve. I carried out a survey over 122 care workers (49 people in senile nursing homes and 73 people in the facilities exclusively to the aged) who work in order to look into a general characteristic of the individual and facility of those care workers, I used a cross-analysis method. To grasp whether or no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job satifaction as a result of cross-analysis, I applied t-test to the group that has 2 subgroups and one-way ANOVA to the group that has more than 3 subgroups. In case of the one-way ANOVA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 used Duncan's post-hoc test and analyzed it.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subjects' individual general characteristic, H-R diagram showed that female care workers accounted for 87.7%, 40s-50s took charge of 64.4% with the high school-graduates were 41.8%. 67.2 % of the total people were the married, christians accounted for 49.6% and the people who had a religion whatever were 81.8%. 50.0% were working in the then-facilities for more than one year and less than 3 years and 36.1% had a qualification of Social Worker and the people who did not have a qualification accounted for 62.3%. Their main job were body-cleaning, meal service and cleaning. Second, in terms of the organization's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 work type, the full-time workers took charge of 63.9% and 2-shifts-a day accounted for 43.4%. 22.5% worked for 60-64 hours a week and 24.8% were in charge of 6-10 old people. 39.3% told that there was not any inner education and 36.1 % responded that there was not even outside education. Third, the job satisfaction of the care workers' individual characteristic is as follows. In the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age group, the survey showed that the care workers in their 30s were satisfied most in ‘supervision’and ‘reeducation’sectors and the care workers in their 20s were satisfied least in ‘human relation’ sector. The older the care workers were,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became. In a ‘human relation satisfaction’ as a result of a marriage, the married were more satisfied than bachelors. In a religion, the people that had a religion were more satisfied in ‘job stability’ and ‘growth possibility’sectors. In case of nurses, it turned out that they were very satisfied in ‘human relations’and their ‘remuneration’sectors. Fourth, the job satisfaction as a result of the general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is as follows: In the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aged that care workers cared for, the facility that had more than 20 old people was most satisfactory in ‘fringe benefits’and the facilities of 6-10 people, 16-20 people and more than 20 people were most satisfactory in ‘human relations associated with a job’. In work type, dispatched workers (outsourced workers) were most satisfied with ‘job stability’, ‘growth possibility’, and ‘reeducation’and the full-time workers were most satisfied with ‘human relations associated with a job’. And people on 2-shifts-a-day system showed that they were satisfied with ‘human relations associated with a job’. In the number of education the group that received an inner education on more than 4-5 occasions was most satisfied with ‘job stability’and ‘growth possibility’sectors. In contrast, the group that received an outside education on 3 occasions told that they were very satisfied with ‘supervision’and ‘reeducation’. Fifth, in the job satisfaction comparison of the senil nursing homes and the facilities exclusively to the aged, all of the 6 factor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This indicates that the aged who live in the facilities are different in their function but do not have an influence on the job satisfaction of the care work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