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대학섭리기관에 대한 연구

        김선학 선문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메시아 구세주 재림주이신 참부모가 탄생하여 역사하신 “참부모 섭리”가운데 한 단체로서 대학가의 대학생과 교수를 중심으로 세워진 대학섭리기관에 대한 연구이다. 대학섭리기관은 그 시대에 있어서 참부모로부터 주어진 섭리적 역할과 책임을 다하고자 노력하였다. 참부모 섭리와 발 맞춰 성장되어지는 과정 속에서 분명 한계점을 극복하고 가능성을 모색하여 발전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래서 본 논문은 대학섭리기관들의 창립의 목적과 시대적 활동에 대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그리고 대학섭리기관들의 활동과정 속에 담겨진 섭리역사를 통해 현제 한국대학원리연구회의 젊은이들이 상속받아야 하는 핵심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대학섭리기관의 역할을 전망과 대학섭리기관을 통해서 우리에게 제시해 주는 참부모의 가르침 대해서도 알아보고자 한다. 대학섭리기관을 중심해서 참부모 섭리와 함께 시작된 활동은 60년대와 70년대 80년대 초반까지 주로 승공활동과 교수초청 통일원리 공청회 및 통일교지지 서명운동, 다양한 수련회와 봉사활동, 헌수생 등 전도와 통일원리 수련을 중심으로 대학 내에서 통일교회의 입지를 다지는 말씀을 전파하는데 주력을 다 하였다. 그리고 80년대 후반부터는 대학가에 팽배했던 학생운동권의 세력과 대자보 논쟁과 좌경사상의 위험성을 전 국민에게 알리는 국민사상계몽활동을 통해 한반도의 통일이 사상적 재무장을 통해 준비되어야 하는 필요성을 알렸다. 그리고 참어머님의 40개 대학 순회와 더불어 5차례에 걸친 남북 대학생 만남을 주선하며 학내 통일운동의 주역으로 전면에 나섰다. 그리고 통일운동의 바람과 더불어 대학가에 순결운동을 하였다. 무너져가는 인륜과 도덕과 본질을 왜곡하거나 변질시켰던 성에 대한 바른 가치관 확립운동을 전개하였다. 대학섭리기관의 국제교류 활동은 한·일 승공세미나, 세계종교청년세미나, 세계종교회의, 하나님회의, 국제기독인교수학술회의, 한·일 경제 경영인을 위한 산학관 협력 세미나, 세계평화국제학술회의, 국제과학통일회의, 세계평화교수협의회 세계대회, 한·일 해저터널연구회 등 이외에도 국제적 교류가 있다. 이러한 참부모 섭리를 중심한 국제교류는 인종, 국가, 종교, 정치 등 하나 되지 못하게 하는 내용을 극복하여 하나의 세계와 평화의 세계로 변화시켜 하나님의 새로운 역사적 주류를 이 땅 가운데 세우고자 하였다. 이와 같이 대학섭리기관이 역사적으로 남긴 흔적들에는 그 본연의 목적과 참부모가 섭리하신 내용들이 곳곳에 밀알처럼 배어 있다. 참부모의 섭리사적 흔적들에는 대학섭리기관으로 하여금 하나님 나라와 의를 그리고 백성을 찾고자 하는 뜻을 다 할 수 있도록 인도하심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참부모의 인도하심 앞에 대학생들과 교수들은 하나님 나라와 의를 그리고 백성을 찾고자 절대복종 하였다. 이처럼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에서 대학섭리기관은 참부모 섭리가운데 중심에 서서 시대적 사명을 다 하였다. 인류의 메시아요 구세주요 재림주인 참부모 섭리에 따라 요청되는 시대적 사명을 다하기 위해서 40여년 동안 노력하였던 활동은 섭리적으로나 역사적으로 참부모와 함께하지 않으면 안 되는 소명들이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해서 고백하지 않을 수 없다. 대학가 뿐만 아니라 세상의 정치 문화 경제 등의 모든 것을 재림주인 참부모는 창조본연의 위치로 되돌려 놓을 수 있는 섭리를 해야 한다. 즉 하나님의 나라와 의를 그리고 백성을 찾는 섭리 중 하나로 대학가 섭리를 참부모는 하셨다. 그리고 참부모는 사탄세계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대학가 섭리를 복귀시켜서, 참부모 섭리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 할 수 있도록 초창기부터 섭리하신 것이다. 이렇게 대학섭리기관은 섭리의 흐름에 발맞추어 내, 외적으로 시련과 어려움을 이겨 내면서 한계를 극복하여 성장하였다. 이것은 천운 즉 하늘의 인도하심과 가르침에 발맞추어 활동하였기에 가능 하였다. 마지막으로 참부모 섭리의 가르침을 본 연구에 다 정리 할 수 없음을 고백하면서 현재 우리는 인류의 구세주요 메시아인 참부모와 동시대권에 살고 있음을 감사해야 한다. 참부모가 현존해 있음으로서 참부모 섭리에 동참할 수 있고, 하늘의 역사하심을 체험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참부모 섭리와 더불어 갈 수 있는 귀한 시대에 살고 있다는 것에 감사하며 미래를 열어가는 대학섭리기관이 되길 바란다.

      • 한국대학원리연구회 정향성에 대한 한 연구 : 개신교 대학선교단체와 비교 중심으로

        박영배 선문대학교 신학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47

        This thesis deals with progressive orientation goal of CARP, reflecting activities of university missionary groups of Protestantism and Unification Church. The purpose of foundation of Collegeate Association for the Research of Principle states that CARP seeks for the search of the view of true life, the model of true university students and establishment of new culture by studying all fundamental truths of humanities, social and natural science and art based on Divine Principle.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CARP had led many activities such as lectures of Divine Principle, Divine Principle workshops in summer and winter vacation, campus missionary activities, anticommunism campaign and seminar, international exchange throughout the world to settle down Movement of Divine Principle and build favorable surroundings at campus until the middle of 1980s. From 1966 to the middle of 1980, CARP established the missionary foundation at campuses developing various instructing programme based on Divine Principle. However, since the middle of 1980 CARP unfortunately have been defeated in ideological struggle, demonstration and rally against radical groups of inclination to the left. At those days CARP was expelled from the society of universities and lost the ground of movement. Despite the incident CARP movement has tried to settle down the society of universities and gather a main stream for Unification. While CARP focused the evangelization of Divine Principle until the middle of 1980s, after then it turned into the common society. According to the thesis, the evangelical situation at campus is changing rapidly with the change of an historical period. Most of the missionary groups began to recognize the need of more effective responses and sympathized that the influence of evangelistic activities at campus didn't maximize more than the past. At the middle of 1990s, the number of Churches in Korea began to decrease, and the missionary groups at campus also decreased. Since the middle of 1990s, nearly all the missionary groups in Korea have congested or decreased in the number of church members except for a few groups. Negative attitudes to the social affairs of the missionary groups as well as social and periodical situations have had an influence on the decrease. Missionary groups in Korea should put their more energy on the mission activities for restoration of the nation, social salvation and service as well as their church members and their church. In this respect, both CARP of Unification Church and other mission groups of the Protestantism should find a new orientation goal about evangelism to maximize the impact of gospel in order to achieve the restoration of individual and society. Therefore, pursuing the new view of point about evangelism is very important in missionary activities. The new orientation goal about evangelism of CARP follows below. Firstly, the road map of evangelism and social activities are introduced giving examples of the activity case of the South Block. Secondly, common purpose of activities of other missionary groups such as CCC, UBF, IVF is to reproduce the disciples who will be dedicated to evangelism. CARP should also focus to train the disciples who will be dedicated to evangelism. At the same time, CARP should treat internally the lack of confidence of Divine Providence which providential delay causes. The new orientation goal of evangelism of CARP in 2005 through mission and instruction of new and established members outside the university society enables CARP to overcome the prejudices of other missionary groups and find many good people outside the university. However, it is doubtable whether new members are used to the four-hearted sphere through instruction and training. The established members should be confident of the realization of large family society of human beings, in other words, final destination of Divine Providence to achieve the true direction of true family based on four -hearted sphere. Confidence of Divine Providence enables new members to establish the centralization of true family culture and overcome the circumstantial problems caused by external situations. CARP have faced the positive change under the leadership by chairman Moon Hyun Jin. WSTF and Jr-STF has been changing the culture of Unification Church. The members of WSTF have created a new vision of faith through experiences happening in the real lives and instruction of true heart. Concrete activities for orientation goal of CARP should be acted and successful mission strategies of other Protestant groups should be studied and enacted in order to make these changes have an real influence on the university mission. In the future, the process of verification about performance and effect is needed so that this study should be recognized as the mission strategy. The necessity of concrete study for verification needs to be remain the necessary assignment.

      • 통일교 신학생과 목회자의 성격유형 선호지표에 관한 연구 : MBTI를 활용한 성격유형 선호지표를 중심으로

        황인춘 선문대학교 신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47

        하나님은 각 시대마다 중심인물, 제사장, 선지자들을 소명하여 구원섭리를 발전시켜 오셨다. 하나님의 소명과 소명 받은 자의 고백에 따라 임무와 사명이 다르겠으나 현재에 있어서 가장 보편적 직무는 '목회자'(牧會者)이며 그 장소는 교회일 것이다. 전통적으로 목회자는 개교회에 있어서 중심이 되고,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며, 교인들의 모든 삶과 영혼을 돌보는 자이기 때문에 감당해야 할 역할이 무척이나 많고 모든 역할을 완벽하게 수행해야 한다고 느끼고 있다. 하지만 교회와 교인들이 원하는 모든 역할을 완벽하게 수행할 수 있는 목회자는 없을 것이다. 이제 목회자들은 교회와 교인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해야 할 것이다. 즉 교회는 '기독교적 구원의 방주적 개념'이 아닌 '하나님 나라의 훈련의 장'이고, 목회자와 교인은 질적인 차이가 있는 것이 아닌 섭리적 차이가 있을 뿐이며 '하나님 나라를 향한 공동운동체'라는 인식이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연구 필요성으로 첫째 교회는 하나님의 구원섭리를 완성해야 할 소명을 가지고 교인들을 훈련하는 장소이기 때문에 이들을 교육시킬 다양한 목회적 접근분야가 필요한데, 이를 위해 목회자는 자신에게 적합한 목회사역의 분야를 발견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교회는 목회자와 교인간에, 목회자들 간에, 또한 교인들 간에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성 훈련의 장소이기 때문에 각자의 성격과 요구조건을 조화시킬 다양한 목회적 접근방법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 목회자는 자신에 대한 이해와 타인에 대한 이해를 높일수 있는 방법론을 배우고 이를 교육하는 문제가 필요하다. 연구 대상은 하나님의 소명을 받고 복귀섭리의 최일선에서 활동하고 있는 통일교 목회자와 탁월한 목회자가 되기를 원하는 통일교 신학생이다. 연구 목적은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를 활용한 성격유형 선호지표를 중심으로 첫째, 통일교 신학생과 목회자에게 성격유형별 유사성과 차이성에 대한 교육을 통해 자신에 대한 이해와 타인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이다. 둘째, 한국 대학생과 한국 일반인과의 비교를 통해 통일교 신학생과 목회자의 성격유형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를 통해 통일교 신학생과 목회자에게 적합한 목회사역의 방향제시와 이들에 대한 교육프로그램과 정책결정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써 도움을 주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MBTI검사와 교육을 실시하고, 검사결과를 해석하였으며, 16가지 성격유형별 영성개발과 목회사역의 분야를 찾기 위한 자료를 각각 배부했다. MBTI는 Jung의 심리유형론을 근거로 하여 모녀관계인 Briggs와 Myers에 의해서 연구 개발된 인간이해에 유용한 심리유형 검사도구이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통일교 신학생들은 사람과의 대면관계에서 이루어지는 목회의 영역에서, 통일교 목회자들은 조직의 체계와 행정을 위한 목회의 영역에서 뛰어난 자질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연구 제한점은 통일교 신학생과 목회자의 자료는 한국인 남자에 한정되어 있으므로 전체 통일교의 특성으로 일반화하기 어렵다. 그리고 통일교 신학생과 목회자의 성격유형별 특성은 나타났지만, 신학생들이 목회자가 되기까지 각자의 성격유형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는 추후 연구를 통해서 밝혀야 할 것이다. God has developed salvation providence by summoning the central figure, the chief officiating priest and the prophet of each era. The mission and order are different from God's summon and the confession of each summoned person but in recent, the most general duty is the priest and its place must be the church. Traditionally the priest is the center in the terms of Protestantism and transfers God's words as well as takes care of followers so that he feel himself have a plenty of roles to carry out and accomplish completely. But there is no such a priest who completely achieves all the roles that the church and followers demand. Now the priest should newly recognize the church and followers. Namely the church is not 'ark notion of christian salvation' but 'the training spot of God's land' and the church and followers don't have the qualitative difference but have the difference in the terms of the province and the recognition of the jointed fatal body for God's land is requested. Accordingly based on study necessity, firstly because the church is the place in which the followers should be trained with mission to accomplish God's summon, there should be a pastoral approach field to educate the followers and for this purpose, the pastor needs to develop a pastoral employment field appropriate to himself. Secondly because the church is the relationship training place between the pastor and followers, between pastors and between followers, there should be a pastoral approach field to harmonize individual personality and demands and for this purpose, the pastor is requested to acquire a methodology so as to increase understandings for himself and others and educate them. The study subjects are pastors of Unification Church who are working in the fire front in compliance with God's summon and seminary students of Unification Church who want to be outstanding pastors. Focusing on personality type preference index utilizing Myers-Briggs Type Indicator (MBTI),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 of all enables pastors and seminary students of Unification Church to improve the understandings for themselves and others by educat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for each personality type. The second purpose is to widen the understandings for personality types of Unification Church pastors and seminary students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Korean students and Korean citizens. Lastly through these results, they can help provide Unification Church pastors and seminary students with adequate pastoral employment direction and they can be used as basic materials utilized for educational programs and policy decision. The study method was complied with MBTI test and education and test results were interpreted and materials for finding divine nature development of 16 personality type and field of pastoral employment were distributed. MBTI is a test method useful for the understandings of human beings developed by Briggs and her daughter, Myers based on Jung's psychology material theory. The summary of this study shows that pastors are outstanding in the area of pastoral duty relating to organization's system and administration and seminary students in the area of pastoral duty relating to relationship with others. The limit of this study is that the data of Unification Church seminary students and pastors are restricted to female Korean so that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it to the total characteristic of Unification Church. In addition, even though the characteristics by personality type about Unification seminary pastors and seminary students appears, further study is required to reveal how each personality type will affect until the seminary students become pastors.

      • 관계전도를 통한 교회성장 방안 연구 : 선문대학교 원리연구회의 전도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선주삼 선문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9647

        전국대학원리연구회는 참부모님이 제시하는 통일원리를 기본이념으로 하여 대학가 학생운동과 사회변혁을 이끌어온 통일교 대학선교단체이다. 1954년 하령회를 시작으로 성화기독학생회, 성화청년회, 성화대학생회 등으로 활동하다가 1966년 전국대학원리연구회가 창립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60 여 년 동안 통일교의 중심 기관으로 지도자 및 목회자 양성 등 1990년대에는 500여명의 선교사를 파송하여 중추적인 사명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선문대학교 원리연구회가 실시하고 있는 관계전도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비전2020 달성을 위한 교회성장 방안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는 관계전도와 교회성장과의 상관성에 대한 이론적 토대 위에 관계전도프로그램의 구성과 실제에 대해 논한 후 관계전도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스탶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관계전도프로그램의 교육목적은 하나님을 닮은 인간을 만드는 것으로 이를 위해 세 가지로 구체화하였다. 첫째, 하나님과의 관계성 회복, 둘째, 삶의 태도 변화, 셋째, 천일국 지도자 양성이다. 교육과정은 교육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각 교육 단계마다 세부적인 교육목표와 주제를 체계적으로 설정하였다. 교육방법은 강의를 통해 교사와 교육대상자가 관계성을 맺는 것으로 교사의 입장에서 교육대상자의 입장에서 위치와 역할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교육과정을 토대로 교수-학습 모형을 사위기대를 중심한 관계로 제시하였다. 이 모형을 토대로 관계전도 프로그램의 중심이 세워지면 상호간에 관계가 맺어져 전도의 방향성이 명확해지고 결과에 대한 성찰과 반복적 학습이 이루어진다. 이론적 배경 위에 5단계의 교육과정을 수립하였다. 5단계 교육과정이 진행되기 위해서는 세 가지 구성요소가 필요하다. 위하고자 하는 정적인 충동이 고객 감동을 위한 환경창조, 스탶, 강의로 표현되었다. 이 세 가지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관계전도 프로그램은 전도학교, 어프로치, 오해피데이, 쓰리데이, 정착 과정이 진행된다. 각각의 프로그램은 전도를 위한 실천적이며 현장 중심 적인 프로세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계별 교육목표와 주제가 뚜렷하다. 위와 같은 이론적 토대 위에 설문을 3가지 관점 즉, 전도의 필요성 인식 및 참여도 조사, 관계전도의 목적 인식 및 신앙성숙도 조사, 관계전도프로그램의 효과성 조사 관점에서 실시하여 분석결과를 도출하였다. 이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위기대 구조에 의한 전도의 지속성, 둘째 지속적인 발전으로 인한 전도프로그램의 정착, 셋째 실제 전도로 연결된 성장과 발전, 마지막으로 전도방법론에 대한 새로운 대안 제시이다. 이를 네 가지 관점에서 평가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원리적 관점이다. 관계전도프로그램은 통일원리에 입각한 이론적 교수-학습 모형의 형태로 실제 적용 가능한, 적용되고 있는 프로그램이다. 이는 이론에 그치지 않고 현장에서 확대 재생산되어 성과를 창출하고 있으므로 전도 방법에 대한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고 있어 긍정적 평가를 얻어냈다. 둘째, 스탶들의 관점이다. 대다수의 스탶들이 관계전도를 통해 신앙이 성숙해지고 이를 통해 기쁨을 얻는다고 답하였다. 셋째, 전도대상자의 관점이다. 대다수의 전도대상자들이 관계전도를 통해 접한 통일교에 대해 선입견, 무관심, 부정적 인식 등이 제거되는 효과를 가져왔다. 마지막으로 교회성장의 관점이다. 프로그램이 적용된 지 3학기임에도 불구하고 프로그램 도입 전과 후를 비교하면 월등한 성과를 창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심정적 관계를 바탕으로 한 관계전도프로그램은 통일원리적 이론이 실제에 적용된 사례라는 점에서 천일국 창건을 위한 비전2020목표 달성에 기여할 수 있다.

      • 통일신학에 있어서의 교회와 국가의 관계에 관한 한 연구 : 칼빈 두정부론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신형필 선문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47

        기독교 역사를 통해서 보면 교회와 국가의 관계성에 따라 삶의 존재양식은 계속 변화하고 적응하였으며 또한 인류는 시대의 변화에 따라 교회와 국가의 새로운 관계성을 요구하였다. 칼빈은 기독교 역사상 가장 큰 변화의 시기였던 종교개혁기의 신학자로서 과거에 잘못 표현되었던 교회와 국가 그리고 그 관계성을 새롭게 재정립하였다. 과거의 교회와 국가와의 관계는 황제교황주의나 교황지상주의의 두 주장 사이에서 해결되지 않는 복잡하고 미묘한 역사적 사건을 표출하였다. 두 영역 사이의 갈등과 대립은 분명한 목적의식 없이, 서로의 주도권 싸움으로 일관하는 양상을 띠었다. 국가는 교회를 장악함으로써 자신의 통치 기반구축과 권력 장악의 명분을 얻고자 하였고, 교회는 후천년설적인 교회의 세속 지배를 영속화하고자 하였다. 칼빈은 이러한 역사적 모순을 파악하고 종교개혁으로 빚어진 시대변화의 원인이 여기에 있음을 간파하였다. 이에 칼빈은 제정분리를 원칙으로 하는 교회와 국가 그리고 그 관계성을 주장하였다. 인간은 교회와 국가의 이중통치아래 존재한다고 설명하였으며 교회와 국가의 영역구분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이처럼 제정분리를 기준으로 하는 교회와 국가 그리고 그 관계성의 내용을 토대로 하여 이 땅위에 제정일치된 하나님 나라는 세울 수 없음을 분명히 하였다. 이러한 제정분리를 기준으로 하는 칼빈의 교회와 국가 그리고 그 관계성의 내용은 오늘날까지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새천년의 시대를 맞이하여 교회와 국가의 새로운 관계성을 요구하고 있다. 왜냐하면 우리는 오늘날 정치로부터 종교가 완전히 분리되는 것은 불가능하며, 또한 바람직하지 않은 시대에 살고 있기 때문이다. 냉전시대 이후 모두가 평화의 세계를 원하였지만 국가(정치)의 힘만으로는 불가능한 것이 현실의 모습이기 때문이다. 제정분리를 기준으로하는 칼빈의 교회와 국가의 관계성은 오늘날 모두가 원하는 평화의 세계를 만드는 삶의 존재양식이 될 수 없는 것이다. 여기에 통일원리는 하나님의 복귀섭리에 대한 내용을 새롭게 밝히고 있다. 그리고 통일신학은 이를 근거로 하여 제정일치를 기준으로 하는 교회와 국가 그리고 그 관계성을 이야기하고 있다. 통일신학은 하나님의 복귀섭리의 내용에 근거하여 제정일치된 하나님 나라를 이 땅위에 세울 것을 주장한다. 본 논문은 교회와 국가 그리고 그 관계성에 대하여 통일신학의 내용과 칼빈의 내용을 비교함으로써 오늘날 새롭게 요구되어지는 삶의 존재양식에 답하고 있다. Throughout the Christian history, the modes of existence in life continued to change and adapt themselves according to the relevance between the Church and the State and mankind also demanded new relevance between them as ages changed. Calvin, a theologian in the Reformation which was the period with the greatest changes in the Christian history, newly reestablished the Church and the State which were erroneously expressed in the past and their relevance. The relation between the Church and the State in the past exposed complex and delicate historical events not solved between the two assertions of Caesarpapism and Ultramontanism. The conflict and opposition between the two areas assumed the aspect of consistently struggling with each other for a leadership without any clear sense of purpose. By controlling the Church, the State tried to construct its own ruling base and justify the control. The Church tried to perpetuate its secular domination in postmillennialism. Calvin understood such historical contradiction and saw through that it resulted in age changed by the Reformation. He herewith asserted the Church and the State with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as their principle and their relevance. He explained that man existed under the dual rules of church and state and stressed that the areas of church and state should be divided. And he made clear that based on the contents of church and state on the basis of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and their relevancy and that the Kingdom of God with unity of church and state could not be built on the earth. Calvin's church and state on the basis of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and their relevancy have many effects even today. We are demanding the new relevancy between church and state welcoming the age of a new millennium. It is because we live in the age when it is impossible and also undesirable to completely separate religion from politics. It is because it is actually impossible for state (politics) to realize for itself the world of peace desired by every one after the Cold War. Calvin's relevancy between church and state on the basis of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cannot becomes the mode of existence in life of creating the world. Here, the principle of unification newly clarifies the contents about divine providence that sinners return to God. And based on it, Unification Theology talks about church and state on the basis of unity of church and state and their relevancy. The theology asserts that the Kingdom of God should be built on the earth based on the contents about the divine providence. This thesis provides answers for the modes of existence in life newly demanded today by comparing the contents of the theology and Calvin about church and state and their relevancy.

      • 통일신학으로 본 어거스틴의 결혼관 : 축복론과 은총론을 중심으로

        서강아지 선문대학교 신학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9647

        One of the problems that humankind has not been able to solve yet but must solve is the problem of sex, that is, of sexual desire. In ancient times St. Augustine(354-430) analyzed sexual desire in term of libido. And the result of his analysis became the basis of his theory. Augustine regarded libido as negative. He encouraged the ascetic celibacy denying libido. But it is impossible that almost every person practices the ascetic celibacy he encouraged. Moreover, if most of the human being practice the ascetic celibacy, we will not be able to maintain today's civilized society because of the decrease in population. Consequentry we can say that the Augustine's insistence is a mistake. But no one has been able to fundamentally point out his mistake.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we point out his mistake through "Unification Theology". The Augustine's theoretical ground that made him think the ascetic celibacy to be ideal was his theory of grace. Thus we must consider the theory of grace, at first. His understanding about libido became his motive of the concept of original sin. And the concept of original sin became the basis of the theory of grace. Therefore, we must analyze how he related the problem of libido to the concept of original sin and to the theory of grace. We wi11 grasp his view of marriage based on the theory of grace and compare with the Unification Theology's view of marriage. And we point out his mistake of the view of marriage. We understand how the ideal society is realized through the marriage presented by Unification Theology. Then it is neccessary for us to consider systematically the Unification Theology's view of marriage before considering the Augustine's. We can attain the Unification Theology's view of marriage from the core teaching of Unification Theology, which was disclosed to redeem humankind. God's grace to redeem humankind is also called "the blessing" in Unification Theology. We understand the Unification Theology's view of marriage through the theory of "the blessing". In Unification Theology, the ideal family realized through the blessing is called "the true family", and the ideal society is called "the kingdom of God on earth". The true family and the kingdom of God on earth are the purpose of marriage. Therefore, we will present the way bow to realize the true family and the kingdom of God on earth. The final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ove that the kingdom of God on earth is never able to be realized through the ascetic celibacy. And it is to show that the Unification Theology's theory will establish the kingdom of God on earth through the completion of the true family.

      • 문선명선생의 ‘성인(聖人) · 성자(聖子)'원리에 대한 연구

        문병조 선문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47

        현대에 있어서 인간이 갖고 있는 개인적 이기주의와 집단적 이기주의는 심각한 상황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이기주의를 통해 나타나는 여러 가지 사회현상들 가운데 생태계의 파괴,핵과 전쟁의 위협, 빈곤과 풍요의 격차, 기아와 사치 · 낭비의 격차, 인종 · 성의 차별, 과학문명의 발달과 인간의 소외, 도덕성의 타락과 인명경시 등은 인류의 미래에 상당히 불안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신학자 한스 큉은 인류가 당면한 이러한 불안요소들을 파악하여 윤리적 책임을 배제하는 과학, 기술, 민주주의로부터 윤리적 책임을 인정하는 과학, 기술, 민주주의로의 가치변화를 통한 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인간이 왜 공동선을 추구해야 하는가? 이제까지 인류사회는 오로지 자신의 “힘에 대한 의지”로서 성공, 재물, 안락만을 추구해야 했다. 이는 많은 부작용을 낳았는데, 인간으로 하여금 삶의 윤리에 대한 새로운 가치를 돌아보게 하는 계기가 되게 한 것이다. 이제 인류가 공동관심사로서 윤리에 근거를 둔 삶의 목적판단의 기준으로서 인간을 뒤돌아보게 한다. 특히 가정의 위기는 뜻있는 가정의 전문가들이나 종교가, 학자들에 의해 지적되어온 바이다. 방글라데시 다카대학교의 아지줌 나하 이슬람박사는 가정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소위 성혁명(Sexual Revolution)에 대응하는 경전적 혁명(Textual Revolution)이 필요하다고 역설하였다. 20세기의 사회변화는 인류역사에 전례없이 빠른 속도로 일어나고 있는데, 특히 가정기능의 변화, 결혼의 악용및 해체의 원인, 그리고 파탄가정의 문제 등의 주제로 쏠리고 있다. 가정의 건강은 사회가 어떠한 물질적 정신적 상태에 있는가를 확실하게 암시해주고 있는데,이러한 측면에서 제기되는 남녀의 결혼을 중심한 가정의 정체성과 더불어 무분별한 성행위가 조장되는 사회적 흐름이 있다. 특히 피임과 낙태, 유아살해의 문제가 몇몇 연구기관과 개인들에 의해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데, 이들은 이러한 성행위를 사랑의 자유, 성의 자유, 재생산적 건강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인간은 인간 자체의 불가사의한 성격을 재고하는 많은 노력이 필요한데, 과학의 발명과 그것들의 남용뿐만 아니라 무분별하고 이기적인 성격을 강조하는 경향적 측면에서 오늘의 철학자와 신학자들은 말하고 있다. 다문화적 사회속에서 종교가 갖는 역할을 무엇인가? 한스 큉은 종교학자 머시아 엘리아드와 더불어 프로테스탄트의 탁월한 조직신학자로 인정받은 폴 틸리히는 생전에 종교의 다양한 주장들을 일체화하려는 노력을 시도한 바 있었는데, 그 첫째 관문으로 세계 종교에 대한 다양한 비교가 시도되어야 한다고 지적한다. 오늘에 있어 각 종교의 문화양태는 결코 쉽게 소멸되지 않는다는 인식이 필요하다. 다만 변화할 뿐이다. 이러한 인식의 전환위에 종교가 인류의 미래를 위해 공헌해야 할 가치를 찾고, 흘러넘치는 다양한 정보를 한 방향으로 집중케 하는 통찰이 필요하다. 한스 큉은 이에 대한 대안으로 평화신학을 주장한다. 이는 각 종교 안에 내재하는 핵심적인 차이점을 파악하는 신학으로서 자체의 쇄신과 조화를 위한 자아비판을 통해 공동선의 지향을 위한 공동윤리에 관심한다. 미국 통일신학대학원(UTS)의 디트리츠 자이델 박사는 유대교와 기독교신학자들이 인간의 타락상황에 대하여 계시에 근거를 둔 구원론을 발전시켜 왔기 때문에 타락이전 상황과 창조주와 조화를 이루며 살아야할 인간 본래의 잠재능력에 대한 가르침에는 별로 관심을 갖지않아 왔다고 지적한다. 그는 서구의 종교적 전통속에서 인간의 죄에 대한 선입견은 삼라만상에 대한 주관권을 가질 수 있는 천부적 기질을 실현하여 그들의 목표를 달성하는 것이 하나님의 뜻이라는 명확한 인식을 신앙인들로 하여금 하지 못하게 했다고 말한다. 그렇다면 인간이 타락하기 전의 상태에 대한 정확히 인식이 필요한데,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리는‘창조본성’에 관심하지 않을 수 없다. 앞으로 새로운 시대는 새로운 종교적 신행(信行)으로서 새로운 신앙과 행동 곧 실천이 요구되는데 이는 종교의 미래를 희망으로 맞게 하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이러한 사회와 문화의 변혁 혹은 창조적 주체가 인간이기 때문에 성인과 성자에 대한 인간이해와 더불어 인간의 창조본성을 드러낼 수 있는 인간의 성장원리가 요구되는데, 본고에서는 이에 대한 내용을 ‘성인(聖人)· 성자(聖子)의 원리’로서 다루고자 한다. 참된 인간의 가치로서 인간을 어떻게 완성할 수 있으며, 인간 자체로부터 승리하여 만 우주에 자랑할 수 있는 승리의 완성격을 어떻게 이루느냐 하는 문제를 중심삼고 수많은 철인들과 종교인들이 나와 고심하면서 주장하여 왔는데,‘성인· 성자의 원리’는 개인에 있어서 개인적 이기주의를 극복하고, 더 나아가 집단적 이기주의를 극복함으로써 나의 가족, 이웃, 사회, 자연, 지구, 우주와 공생의 관계를 맺고 살아갈 수 있는 가치를 발견한다는 점에서 참되 의의를 갖는다. ‘성인(聖人)· 성자(聖子)’를 지향하는 통일신학적 의미는 타락한 인간이 하나님의 창조본연의 인간으로

      •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참어머니 메시아론 연구

        유경석 선문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9647

        The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FFWPU) agrees to the objective that humanity, composed of male and female, must recover an equal and balanced relationship and reconstruct social orders, in order to overcome the fundamental issues faced by humanity today, as is claimed by feminist theology. This is because feminist theology is a women's liberation movement, and a theological response toward such a movement that arose to overcome the sexist culture, social reality and ideology, or mechanism of female suppression, underlying in patriarchal society that has lasted throughout human history. FFWPU is aware that a male-centered understanding of God and the Messiah have been interpreted as a male-centered salvation theory and has resulted in the forming of a sexist social order. God does not exist as a father alone, but rather as a father and a mother. Furthermore, the hypostasis of the Messiah cannot be achieved by Jesus alone. The only-begotten son must marry the only-begotten daughter and become the True Parents to become the Messiah. It makes it possible for us to discuss true gender equality and cooperative salvation when we examine the problem of sexist social order today, based on the perspective of such an understanding toward True Parents God and True Parents Messiah. FFWPU holds the key to cure the problems of chaotic sexual conflict and sexual antagonism through innovative and reformative theological symbols and systems such as True Parents God, True Parents Messiah achieved through the marriage of True Father Messiah and True Mother Messiah, a sound ideal family centered on True Parents Messiah, and world peace that is realized by expanding such families. God as a man appeared on earth as the only-begotten son Jesus and died on the cross by carrying human sin through sovereign authority. Christian salvation theology reveals that salvation was realized and God's kingdom was constructed through the case for Christ centered on God the Father and Jesus the Son. However, such understandings toward the Messiah and God gave rise to various theological arguments. Ecclesiastical authority was established centered on the masculine representation of the Father God and the Son Jesus, and the feminine representation could not receive its due attention. God, the Father was absolutized, and the Jesus, as a symbol of man, was theologized. This led to the establishment of male-dominated governmental system and patriarchal family structure, where women were restricted as subordinate objects to men. Unlike the Christian doctrine of God and Christology, which contain sexist interpretations, FFWPU reveals God as the True Parents who possess the nature of a father and a mother. By referring not only to the only-begotten son or True Father Messiah, who has appeared as the substance of the masculine nature of God, but also to the only-begotten daughter or True Mother Messiah, who has appeared as the substance of the feminine nature of God, FFWPU is revealing the True Parents Messiah as the subject of gender equality inherent in the work of salvation. FFWPU also explains that since creation is the substantial form of God, the parents of humanity, salvation is also a work that must be achieved by the only-begotten son, along with the only-begotten daughter, as the Messiah, the parents of humanity. Christian doctrine of God and Christology even threatens the universal order of humanity that serves God, our True Parents, and the ideal of true family and world peace. This theory of struggle that leads to the conflict of thesis-antithesis-synthesis paradigm between subject and subject could not achieve true equality. Based on the FFWPU understanding of human existence, people must know that man and woman must serve each other as God, and that they are absolute partners in achieving unity through love. Furthermore, FFWPU's True Mother Messiah theory emphasizes that man and woman must maintain absolute sex, purity and chastity, and must unite through mutually unchanging love to enjoy eternal trust and peace. Keywords: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True Parents God, True Mother God, True Parents Messiah, True Mother Messiah, the only-begotten son, the only-begotten daughter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은 기독교의 여성신학이 주장하듯이 인류를 구성하는 남성과 여성이 동등하고 균형 잡힌 평등한 관계를 회복하고, 그와 같은 사회질서를 재구성함으로써 현대의 인류가 직면한 근본적인 문제를 극복해야 한다는 취지에 동의한다. 인류의 오랜 역사를 통해 남성 가부장제 사회 아래에서 내재되어 온 여성차별적 문화와 사회적 현실, 여성 억압의 이데올로기 또는 메커니즘을 극복하기 위해 여성해방운동과 그에 대한 신학적 응답이라고 할 수 있는 여성신학이기 때문이다.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은 남성 중심의 하나님과 메시아에 대한 해석이 남성 중심의 구원사상으로 해석되어 성차별적인 사회질서를 배태하였음을 인지하고 있다. 하나님은 단순히 아버지로 존재하는 분이 아니라 참부모로 존재한다. 또한 메시아도 독생자 예수 그리스도 한 남성이 홀로 이룰 수 있는 위격이 아니라 독생자와 독생녀가 성혼하여 참부모로서 이루어지는 위격이라고 말한다. 이와 같은 참부모 하나님과 참부모 메시아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현대사회의 성 차별적인 질서의 문제를 살펴 볼 때, 진정한 성 평등과 협력적인 구원을 논하는 것이 가능하다. 참부모 하나님, 참아버지 메시아와 참어머니 메시아의 성혼을 통해 이루는 참부모 메시아, 이를 중심한 온전한 이상가정으로서 참가정과 확대된 평화세계 등 혁신적이며 개혁적인 신학적 상징과 체계를 통해 현대 사회의 혼란한 성 대립과 갈등의 문제를 치유할 단초를 갖고 있는 것이다. 남성이신 하나님이 남성이신 독생자 예수로 인간이 되어 나타났으며 주권적 권위로서 세상의 죄를 지고 십자가에서 죽었으며 전능으로 부활하였다. 기독교의 구원신학은 성부 하나님과 성자 예수를 중심한 예수 사건을 통해 구원이 도래하였으며, 하나님의 나라가 출발하였다고 고백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메시아 이해와 하나님 이해는 많은 문제를 낳았다. 남성적 표상만 남은 성부 하나님과 성자 예수를 중심으로 교권이 성립되었고, 여성적 표상은 주목 받지 못했다. 하나님 아버지만 절대화되었고, 예수의 남성으로서 상징만 신학화 되었다. 남성중심의 지배체제와 가부장적 가족구조가 현실이 되었고, 여성은 남성에게 종속된 소유물로 속박되어야 했다. 기독교의 성차별적인 신론과 그리스도론과는 달리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은 하나님을 아버지와 어머니의 성품을 함께 갖춘 참부모 하나님으로 고백하고 있다. 하나님의 남성성품을 실체적으로 전개한 독생자·참아버지 메시아와 함께 여성성품을 실체적으로 전개한 독생녀·참어머니 메시아를 말함으로써, 구원사역의 성평등적 주체로서 참부모 메시아를 밝히고 있다. 창조도 부모이신 하나님이 하나님의 형상을 실체적으로 전개한 것이며, 구원도 부모이신 독생자·독생녀가 함께 메시아로서 사역하여 이루어야 할 일이라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인류의 보편적 질서인 참부모 하나님을 모시는 참된 가정과 평화세계의 이상마저 위협한 것이다. 이처럼 정반합적인 주체와 주체로서 갈등하고 대립하는 투쟁의 이론으로는 진정한 평등을 이룰 수 없다.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인간 존재 이해에 기초하여 남녀가 상호간에 하나님을 모시고 사랑으로 일체를 이루기 위한 절대적인 파트너임을 알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참어머니메시아론은 절대성과 순결, 정절을 지키며 서로 변치 않는 사랑으로 하나 되어 영원한 신뢰와 안식을 누려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