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용실 서비스 품질이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옥규 서원대학교 산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미용실 서비스 품질이 소비자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고객특성과 미용실의 특성에 따른 미용 고객의 행동을 분석하고 다음으로 서비스 품질요인과 재구매 의도 간의 관계를 실증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이 4 개로 설정하였다. 가설 1.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라 미용실 이용행동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2. 인구통계 및 미용실 특성에 따라 미용 서비스 품질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3. 인구 통계적 특성 및 미용실 특성에 따라 재구매 의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4. 미용 서비스 품질이 재구매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위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자료수집을 위해 청주 시내 및 외곽지역, 대학가 주변에서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350부 설문을 수집하여 신뢰도가 낮다고 판단된 7부를 제외한 343부를 분석하였다. 설문내용은 개인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을 측정하는 문항과 독립변인으로 서비스 품질을 측정하는 문항, 그리고 종속변인으로 구매행동 및 재구매 의도를 측정하는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척도는 리커트식 5점 척도를 사용하였다. 분석은SPSSWIN(Version 12.0) 프로그램으로 Cronbach's alpha 신뢰도 계수, t검증, F검증,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미용실 이용 행동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 1과 관련하여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재방문 기간이 짧았고, 여성이 남성보다 디자이너 수가 많은 미용실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에 있어서는 직장인이 학생이나 주부에 비해 다양한 헤어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는 디자이너가 많은 큰 미용실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있어서는25-29세 연령대에서 많은 디자이너가 있는 큰 규모의 미용실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 및 미용실 특성에 따라서 미용 서비스 품질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 2와 관련하여, 성별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자신이 이용하는 미용실의 기술, 친절·서비스, 예약·시간, 주차·위치에 대해 높은 평가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연령별로는 홍보 요인 외에 나머지 6개 요인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직업별로도 서비스 품질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미용실 특성 중에서 미용실의 입지에 따른 서비스 품질에 대한 차이는 시내중심가에 위치한 미용실이 기술, 친절·서비스, 편의시설, 위치·주차, 홍보 요인에 있어서 보다 높은 평가를 받았다. 미용실 브랜드에 따라서는 프랜차이즈 미용실이 편의시설, 위치·주차, 홍보 요인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었다. 디자이너 수에 있어서는 20명 이상의 대형 미용실이 기술요인, 편의시설, 위치·주차, 홍보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구 통계적 특성과 미용실 특성에 따라 재구매 의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 3에 대해서, 여성이 남성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재구매 의도를 보였다. 반면에 연령별 직업별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미용실 특성 중 미용실 위치에서는 시내 중심가 미용실에 대한 재구매 의도가 높았으나 미용실브랜드와 디자이너 수에 따라서는 재구매 의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넷째, 서비스 품질이 재구매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4의 검증을 위해서 기술, 친절·서비스, 예약·시간, 편의시설, 가격·할인, 위치·주차의 편리성, 홍보 요인 활동 7개의 변수를 독립변수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기술과 친절·서비스는 재구매 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외 예약·시간, 편의시설, 가격수준, 위치·주차, 홍보 요인은 통계적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고객들은 미용실의 기술이나 친절·서비스 수준을 재구매 의도에 가장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미용기술과 친절·서비스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교육 및 투자를 통해서 재구매 의도의 향상과 고정고객 관리에 집중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service quality on repurchase intention in beauty salons. In order to achieve research purpose, following three hypotheses were tested. Hypothesis Ⅰ: There are differences in salon use behavior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ustomers. Hypothesis Ⅱ: There are differences in perceived service qualit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ustomers and beauty salons. Hypothesis Ⅲ: There are differences in 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ustomers and beauty salons. Hypothesis Ⅳ: Quality of the cosmetic service influences on repurchase intention.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es, 350 customers were surveyed in the areas of university campuses, central district and resident areas of Cheongju. A total of 343 cases were analyzed, seven cases were excluded because of unreliable response.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questions that measure the demographic factors of customers, descriptive characteristics of beauty salons, service quality and purchase behavior. the measurement scale was 5 point Liker scale. Cronbach's alpha reliability coefficient, t test, F 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The first hypothesis that states the differences in salon use behavior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ustomers was partially accepted. Male customers use beauty salons more frequently than female customers. Women, college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prefer the salons with greater number of designer. The older customers over forty use smaller beauty shops. The second hypothesis that there are difference in perceived quality of servi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ustomer and salon was also partially accepted. Female customers perceived four factors of service qualify(technique, kindness, convenience of reservation and traffic) higher than male customers did. No difference showed by age group and kind of Job. The salons in downtown were more highly evaluated in view of service quality except time and price factors than those were in resident areas. The third hypothesis that there are difference in re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ustomer and salon was also partially accepted. Female customers showed higher repurchase intention than male customers.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 by age and occupation groups. The customers of beauty shops in downtown area showed higher repurchase intention than the those of beauty shops in resident area. But the number of hair designer didn't influence repurchase intention of customers. The forth hypothesis that the quality of the cosmetic service may influence on repurchase intention was partially accepted as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Two factors, technique and kindness, among 7 service quality facto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repurchase intention. And the regression model with 7 independent variables explained 28.2% of variance of dependent variable, repurchase intension, and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From the above analysis, technique and kindness of hair designers are most important variables which influence on repurchase intention. Therefore, hairdressing salons have to invest time and effort to develop systematic education programs which upgrade designer's technique and manner.

      • 탈색과 퍼머넌트 처리에 따른 연령별 여성모발 특성 연구

        이동범 서원대학교 산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15

        Recently hair coloring and permanents for children have become more common, thus the problem of hair damage occurs. This study collected untreated, colored and permed samples of hair from women in the growth period and the maturity period. They were then compared to find the change of color, strength, the coefficient of expansion, and thick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ellows. 1) Women's hair in the maturity period had an increase in thickness, strength, and the coefficient of expansion as compared with the growth period. There was no difference in color. 2) The change of hair color by coloring was not significant in the maturity period, but hairs were changed in the growth period more than in the maturity period, and all of L, a, and b were increased. 3) In the maturity period, hair strength was greatly changed by coloring, and the coefficient of expansion was much higher in the growth period. 4) The thickness of hair treated with permanent chemicals became thicker when using cysteine than thioglycol, and it was higher in the growth period than in the maturity period by 0.6%. 5) The tensile strength of hair treated with permanent chemicals decreased, and the coefficient of expansion increased in both the growth period and the maturity period respectively. 6) Comparing colored hair with permed hair in the growth period, the tensile strength of cysteine was lower, and its coefficient of expansion was greater. 7) Comparing colored hair with permed hair in the maturity period, the tensile strength of thioglycol was lower, and its coefficient of expansion was greater in the End coloring and cysteine. 요즈음 아동들에게 모발 염색이나 퍼머넌트 처리가 빈번해지고 있고 이에 따른 모발 손상의 문제도 생겨나고 있어 이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성장기와 성숙기 여성의 순수한 모발을 수집하여 탈색처리와 퍼머넌트 처리를 한 후 색상, 강도와 신도, 굵기 등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성숙기의 모발이 성장기에 비해 굵기, 강도와 신장률은 많이 증가했으나 색상은 차이가 없었다. 2) 탈색처리에 의해 성숙기의 모발의 색상 변화는 크지 않았으나 성장기 모발은 성숙기에 비해 색상 변화가 컸으며 L, a, b값이 모두 증가하였다. 3) 탈색제 처리에 따른 강도의 변화는 성숙기가 높고, 신장률은 성장기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4) 퍼머넌트 1약제로 침투시킨 모발의 굵기는 티오글리콜계보다는 시스테인계가 굵어 졌으며 성숙기보다는 성장기가 0.6% 커졌다. 5) 퍼머넌트 약제 처리에 따른 모발의 인장강도는 성장기나 성숙기 각각 약제처리에 따라 낮아지고, 신장률은 증가했다. 6) 성장기의 탈색처리와 퍼머넌트약제 모발비교는 시스테인계가 인장강도가 낮고, 신장률은 높게 나타났다. 7) 성숙기의 탈색처리와 퍼머넌트약제 모발비교는 티오글리콜계가 인장강도가 낮고, 신장률은 2차 탈색과 시스테인계가 높게 나타났다.

      • 마사지 종류에 따른 스트레스 경감 효과에 관한 연구

        김정화 서원대학교 산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15

        This study is to further investigate and assess the effects and role of massage in Korea, and to reinforce research conducted in the past. In order to estimate the effect of massage on stress reduction, I conducted a survey, from July 1st to August 29th, 2008, of 300 massage clients in Chung-cheong Province. I then inserted PSI (Psychiatric Symptom Index) and VAS (Visual Analogue Stress Scale) fields into the survey to quantify the effects of massage.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nalyzing the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before having a massage did not present meaningful findings according to their ages, jobs and the frequency of doing workouts. However, their income and health condition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stress. Those participants with higher salaries and better health had less stress. Secondly, the research proved that having a massage can be quite helpful to alleviate stres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 person's stress level before and after receiving a massage. Thirdly, after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age, Job, and number of work-outs per week with the frequency of receiving massages, there were no meaningful findings However, the group of people most fond of receiving massages were those with a monthly income exceeding 3 million KRW a month. Lastly, in the Duncan-Test,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It presented meaningful findings according to their age and health condition. Consequently, having a massage reduces stress. This study supports previous studies about the effects of massage on stress reduction. Also, there are few studies to examine the stress relief effects by cross-correlating massages. This shows that there are differences amongst the type of massage and the stress reduction level, It offers data which can be helpful for people when choosing what type of massage to receive. 본 연구는 마사지가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 경감에 미치는 효과 및 마사지종류에 따른 스트레스 경감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사람들의 건강한 삶을 위해 마사지에 대한 유용한 정보자료를 제공하기 하여 시도한 것이다. 충청북도에 소재한 마사지실과 피부 관리실 등에서 마사지를 받고 있는 일반성인 300명을 대상으로 2008년 7월 1일부터 2008년 8월 29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스트레스 경감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Ilfeld의 PSI(Psychiatric Symptom Index), 시각적 상사 스트레스 VAS (Visual Analogue Stress Scale)를 마사지실시 전. 후에 대상자가 직접 기입. 작성하게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마사지실시 전. 후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별로 스트레스 증상 및 정도를 분석한 결과, 거의 모든 부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월평균 가계소득에서는 소득이 낮을수록 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으며 건강상태가 나쁜 경우에 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나 소득과 건강상태가 스트레스와 깊은 관계가 있었다. 2. 마사지종류별(스웨디시, 경락, 림프, 아로마, 발반사)로 일반적 특성에 관하여 이용실태를 분석한 결과 연령, 직업, 운동 횟수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월평균 가계소득별에서는 300만원이상인 경우에 전체적으로 마사지를 가장 많이 이용하였고 마시지종류별로는 스웨디시, 림프마사지가 100~199만원에서, 경락, 아로마마사지는 300만원이상인 경우 가장 많이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상태에서는 스웨디시마사지를 제외한 모든 마사지에서 건강이 보통인 경우에 가장 많이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사지 받은 횟수에서는 발반사요법만이 매달 1~2회 받는 경우가 가장 이용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는 주1회 받는 경우가 과반수이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3, 마사지종류에 따른 스트레스 경감 효과를 비교. 분석한 결과, 연령별로는 30대에서 발반사요법이 스트레스 정도의 경감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고 스웨디시마사지와 경락마사지, 아로마마사지는 발반사요법보다 경감 효과가 낮은 집단으로 나타났다. 건강상태별로는 건강이 좋다에서 림프마사지가 스트레스 정도의 경감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고 스웨디시마사지와 경락마사지, 발반사요법은 림프마사지와 아로마마사지보다 경감 효과가 낮은 집단으로 나타났다. 건강이 매우 좋다에서는 발반사요법이 스트레스 정도의 경감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고 스웨디시마사지와 경락마사지, 림프마사지는 발반사요법보다 경감 효과가 낮은 집단으로 나타났다. 또한 불안증상은 스웨디시마사지의 경감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고 스웨디시마사지와 경락마사지, 아로마마사지는 발반사요법보다 경감 효과가 낮은 집단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를 볼 때 마사지는 스트레스 경감에 효과가 있었으며, 소득이 300만원이상인 경우와 건강이 보통인 경우인 마사지를 가장 많이 이용하였고 주1회 마사지를 받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또한 30대에서는 발반사요법이 스트레스 경감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고 건강이 좋다에서는 림프마사지, 매우 좋다에서는 발반사요법이 경감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불안증상은 스웨디시마시지의 경감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 주민참여형 마을만들기의 활성화방안에 과한 연구 : 한평공원계획을 중심으로

        林恩英 西原大學校 産業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9615

        20C동안 우리나라는 급증하는 인구와 요구되는 기능들을 수용하기 위해 개발을 중심으로 도시가 발달되어 왔다. 그러나 이제는 이미 만들어진 도시공간을 가꾸고, 정비하는 방향으로 그 흐름이 바뀌어 가고 있다 이를 반영하듯 1995년 지방자치제의 실시와 더불어 마을만들기라는 용어가 나타나게 되었다. 마을만들기라는 말은 1962년 일본 나고야시의 도시 재개발 운동에서 시작된 용어로서 주민참여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마을만들기로의 움직임은 지방자치제의 정착과 시민의식의 성장으로 주민들 스스로 주변 환경을 개선하려는 움직임으로 이어져 갔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가, 아파트 단지, 상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곳에서 전개되기 시작된 운동은 1997년 IMF사태를 맞으면서 지방을 중심으로 활성화되기 시작했다 IMF사태는 지역간 격차를 더욱 심화시켰고, 이에 지역간 격차를 줄이고 지방경제를 활성화 시켜야 하는 과제가 범국가적 이슈로 부각 되었다. 이와 더불어 주민참여에 대한 중요성도 높아지고, 주민참여 없는 마을만들기는 사업의 성공가능성이나, 지속성에 어려움이 따른다는 사실을 인지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마을만들기는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가 부족한 채 진행되어 왔고, 공동체의식이나 참여의식에 대한 고려보다는 개수 늘리는 일에만 급급했다. 이러한 마을만들기의 문제를 인식한 도시연대에서는 한평공원 조성사업을 시작하였고, 설계부터 시공까지 전 단계에 주민들을 참여시키고자 노력했다. 뿐만 아니라 주민과 행정, 시민단체 등 다양한 주체를 참여시켜 파트너십을 형성하고자 했다. 결국, 한평공원을 중심으로 마을만들기로의 연결을 시도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이러한 흐름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인이 참여하는 마을만들기를 통해 도시와 지역을 활성화 하는 것이 시대적 과제라고 보고 이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마을만들기의 사례분석을 통해 한평공원이 갖는 공간적 의미와 한평공원 공간계획의 사례연구 제시로 주민참여형 마을만들기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 연구의 범위와 방법은 다음과 같이 구분 된다. 첫째, 주인참여형 마을만들기의 조성사례, 유형분석과 한평공원 조성사례에 대한 이론적 고찰로 마을만들기와 한평공원과의 상관성을 검토하였다. 둘째, 한평공원의 현황분석과 설문을 통해 가능성과 한계점을 모색해보고, 한평공원 조성계획에 유용한 공간계획 자료를 찾았으며, 셋째, 상기의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실행연구를 대상지를 선정하여 한평공원의 공간 계획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주민참여형 마을만들기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모식의 일환으로서의 시발적인 가능성을 문헌 및 설문조사와 병행한 계획연구 작품제시를 통하여 구하는데 그 의의를 두고 빈다. 20C our cities have developed to accommodate the functions which are demanded with the population which grows. and It was to develop in the center. As the time repeats, that flowing has been changing with the direction to cultivates the city space which is already made and to maintain. Reflects this, local self-governing was executed in 1995 and to join in we are frequently talking about 'making village'. 'Making village' is as the terminology which is originated from urban redevelopment motion of 1962 Japanese Nagoya city. and this is based on a resident participation. Due to a growth of local self-governing proposal fixation and civil consciousness, the residents tried to improve a circurmferential environment themselves with this movement. The movement started in the place which is various ; residential street, apartment complex, even a shopping center around the National Capital region. After the IMF situation, this movement has been activated in the provinces. IMF situation made deepen still further regional differences, it was being urgent national issue that we should considered in order to Reduce regional differences and activate a region economy. Moreover, Importance of resident participation Is emphasized, we started to recognize a difficulty in maintaining successful possibility or persistence of the enterprise without making village project which is not related with resident participation. Until now the making village is not accompanied with a Voluntary participation of residents, there was no community spirit or the consideration of participation consciousness and was intent in only the work which is incresed. About this kind of problem, "urban action network" started Han Pyeong park(=pocket park) creation enterprise and they've tried to let residents participate in every single process from design to construction. Besides they made upon a partnership which is based on various participated with the resident and administrative civil society. Finally, Han Pyeong park project attempts making a connection to making a village. but, like this flowing so far, does not become accomplished well. Consequently, The village analysis will make the research which sees the activation plan. this research will make presentation of the spatial meaning which one phyeong park has and space planning the resident participation. The scope and method of the research is divided with this following First, this research will examine thoroughly about examples of creating resident participation style village, type analysis ,and a case of creating Han Pyeong park with theoretical investigation. this will investigate relativity between making village and Han Pyeong park. Second investigated the space planning data which is useful in Han Pyeong park creation which leads the present condition analysis and a question investigation of Han Pyeong park. Third the research will make the spatial blueprint of Han Pyeong Park and the result which is from case study selected objectively. Ultimately, the research presents the possibility of resident participation style village activating plan. not only is based on a investigation of literature and question , but also goes hand in hand with presentation of work.

      • 민화를 응용한 네일아트 디자인

        이창익 서원대학교 산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15

        네일아트의 분야는 외모를 가꾸는 중요한 부분이지만 매니큐어의 의미가 손과 손톱을 가꾸고 치료하는 모든 분야이기에 단순히 아름답게 꾸미는 것뿐만 아니라 네일을 관리하여 보호, 치료, 장식하는 개념이라 할 수 있다. 과거 역사에서도 이집트와 중국에서 BC 3000년 전부터 행해졌으며 계급을 나타내는 수단이 되기도 하였고, 아름다움의 표현과 부의 상징이기도 하였다 이런 의미의 네일아트가 현대에 들어 더욱 광범위하고 다양해지면서 네일아트의 분야도 네일케어, 마사지, 칼라링, 악세사리를 이용한 네일아트, 마블아트, 스톤아트, 핸드페인팅, 아크릴릭 디자인, 젤아트, 에어브러시 등으로 세분화되어 이미지와 개성의 표현으로 행해지고 있다. 민화는 생활양식과 철학, 민족 정서의 사상을 회화적 조형 감각을 통해 표현한 것이다. 그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소망과 바램이 그대로 나타난 것이 민중에 의한 민화이다 서민들의 마음속 기복신앙이나 벽사신앙을 표현하여 일상생활인 결혼이나 회갑 등의 잔치에서, 궁궐의 행사나 양반가에서도 빠지지 않고 사용되어 온 친숙하고 편안한 그림이다. 서론에서는 우리 민족의 정서와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는 민화의 개념과 분류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민화의 분류는 여러 연구자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으로 화조도, 연화도, 초충도, 모란도, 십장생도를 선택하여 소재에 따른 특징을 살펴보았다. 또한 민화의 조형성을 구도, 선, 색채로 나누어 알아보고, 구도에서는 다시점, 상호비례관계 무시, 대칭 나열형 구도, 과거, 현재, 미래의 동시적 표현, 색채효과 극대화 다섯 분야의 특징을 알아보았다. 작품을 제작하는 데 있어서는 민화의 분류에서 알아본, 화조도, 연화도, 초충도, 모란도, 십장생도 다섯 가지 민화를 선택하여 작품의 주제로 삼았으며 민화의 화려한 오방색인 파랑, 빨강, 노랑, 하양, 검정을 위주로 주제별 작품 Ⅰ은 선택한 민화의 이미지를 응용하여 아크릴 물감만을 사용하여 민화적 아름다움을 충실히 표현하였다. 주제별 작품Ⅱ에서는, 네일아트의 표현분야와 민화의 조형적 특징을 살려 아크릴 물감, 아크릴릭파우더 2D,3D, 스톤아트, 마블아트, 에어브러시를 사용하여 작품을 완성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서민들의 소망과 꿈을 표현한 민화를 네일아트 작품으로 완성하여, 현대의 네일 산업에서도 널리 이용될 수 있는 디자인을 제시하는 것에 그 의의를 두었다. Adorning the appearance is the important part of nail art however it means not only adorning something beautifully but also protecting, treating and decorating through caring the nails cause nail art is the overall concept. We found that nail art was Performed in ancient Egypt and China in 3000 B. C. Nail art symbolized social class, expressed the beauty, and symbolized wealthy. Theses days, nail art is performed as the expression of neat image and character as it is widely spreaded and diversified to many categories; 'nail care', 'massage', 'coloring', 'nail art with accessaries', 'marble art', 'stone art', 'hand painting', 'acrylic design', 'gel art,' 'air brush', and so on. Korean Folk-painting expresses life style, philosophy and the racial spirit through pictorial figurative sense. Korean Folk-painting describes contemporaries' wish and desire honestly. That is Korean folk-painting by the people. Korean Folk-painting is pretty familiar one as it describes religious beliefs and contemporaries' ordinary life that exists and happens all the time. In introduction, Ⅰ would like to introduce the concept and categories of Korean folk-painting with full of our racial spirit and beauty. Many scholars categorize Korean folk-painting variously but I would like to select 'flowers and birds', 'lotus', 'grass and worms', 'peony blossom', and '10 longevities', then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basis on different subjects. Also, the figurative feature of Korean folk-painting will be introduced with 'composition', 'line', and 'color'. Then, composition is categorized to 'point', 'defying of mutual comparison', 'symmetrical arrangement composition', 'coincidence of past, present and future' and 'enhance of color effect'. In relation to works, I selected flowers and birds', 'lotus', 'grass and worms', 'peony blossom', and '10 longevities' as a subject and express the beauty of Korean folk-painting with 5 basic colors-blue, red, yellow, white, and black. For subject No.1, I applied the image of Korean folk-painting and used only acrylic dye-stuffs, For subject No.2, I used acrylic dye-stuffs, acrylic power 2D & 3D, stone art, marble art, and airbrush to enhance the expression of nail art and the figurative features of folk-painting. In this study, I complete the works of nail art with Korea folk-painting presenting ordinaries' hope and desire, then would like to suggest various designs that can be used widely in the present nail art industry.

      • 노인의 동적평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오진석 서원대학교 산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1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factors affected the dynamic balance of elderly people of sixty and over in a bid to lay the foundation for providing motor intervention for the elderly not to get hurt from a fall.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22 elderly people who were 60 years old and up and used a senior club in the city of C. They included41 men and 81 women. They were at the mean age of 69.46±5.03. Their average height and weight were 1.56±0.08cm and 59.55±9.26kg. Sensorimotor tests were conducted since the sensorimotor organ seemed to have an impact on dynamic balance. Their motor-related basic physical fitness was tested by implementing a chair-stand test, two-minute step test, chair sit-and-reach test, 8-foot-up-and-go test and MDRT(multidirectional reach test). Their range of ankle motion was evaluated as well. In terms of sense, M-CTSIB(clinical test of sensory interaction in balance) was employed, and age and BMI were selected as additional factors that might affect dynamic balance. For data handling, independent-samples t-test was used to see if there were any differences between the men and women in dynamic balance, and step 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tilized toidentify which factors affected dynamic balanc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When independent samples t-test was employed to look for any differences in dynamic balance by gender, there appear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lderly men and women in left/right dynamic balance, but a significant gap was found in front/rear dynamic balance(p<0.05). 2. The elderly men were older than the elderly women, and the former excelled the latter in muscular strength of the lower part of the body, aerobic endurance, front stability, rear stability, right stability and left stability. The former got better scores in M-CTSIB2 and 3 than the latter. The latter surpassed the former in BMI, agility, flexibility of the lower part of the body, range of ankle motion and M-CTSIB4.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collective averages of the two, but the gaps were not significant. Bu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ge, flexibility of the lower part of the body, range of ankle motion and rear stability(p<0.05). 3. Whe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impact of the factors on left/right dynamic balance, the elderly people who had a better sensory information literacy, who had a better muscular strength in the lower part of the body and who were less older were better at left/right balance(p<0.05). 4. As a result of mak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check into which factors affected the front/rear dynamic balance of the elderly people, the elderly people who had a better sensory information literacy, who were less older and whose BMI was lower were better at front/rear dynamic balance(p<0.05). 5. Whe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grasp the influence of the factors on the elderly men's left/right dynamic balance, those who were better agile and whose range of ankle motion was broader were better at left/right dynamic balance(p<0.05). 6. Whe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gure out the impact of the factors on the elderly men's front/rear dynamic balance, those whose sensory information literacy was better, whose front stability was better and who were less older were better at front/rear dynamic balance(p<0.05). 7. As a result of implement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find out the impact of the factors on the front/rear dynamic balance of the elderly women, those who had a better sensory information literacy and whose muscular strength was better in the lower part of the body were better at front/rear dynamic balance(p<0.05). 8. Whe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see how the factors affected the front/rear dynamic balance of the elderly women, those who had a more excellent sensory information literacy and whose BMI was lower were better at front/rear dynamic balance(p<0.05).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uggested that the elderly people who were less older, who had a more excellent sensory information literacy, who had a stronger muscular strength in the lower part of the body and whose BMI was lower were more excellent in terms of dynamic balance. The elderly people were deteriorated in every regard with age, and the sensory organ had a huge impact on dynamic balance. To produce the best results, programs that provides motor intervention for elderly people not to be injured from a fall should cater to less older people, and a wide variety of sustained exercise programs that consist of sensory exercise, muscular workout and flexibility workout should be provided. Elderly people should be encouraged to keep moving their bodies to lower their BMI, and nutrition education should be offered to change their dietary habits(p<0.05). 이 연구의 목적은 노인들의 낙상예방을 위한 운동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60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동적평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피험자는 C시 시니어클럽을 이용하는 60세 이상 노인 122명(남성:41명, 여성:81명)으로 연령은 69.46±5.03세이며, 평균 신장은 1.56±0.08cm이었으며, 평균 체중은 59.55±9.26이었다. 측정은 동적평형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운동계, 감각계 검사를 실시하였다. 운동계와 관련된 기초체력검사는 하체근력(Chair Stand Test), 2분 걷기(2-Minute Step Test), 하체유연성(Chair Sit - And Reach Test), 민첩성(8-Foot Up And - Go Test), 발목가동범위, MDRT(Multidirectional Reach Test)를 측정하였고, 감각계 검사로는 M-CTSIB(Modified version of the Clinical Test of Sensory Interaction Balance)를 측정하였다. 또한 연령 및 BMI를 예상요인으로 부가하여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남, 여 동적평형성의 차이를 보기 위해 독립 t-검정을 사용하였으며, 동적평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중다 회귀분석(stepwise)을 사용하였다. 1. 노인의 남, 여 성별에 따라 좌/우 동적평형성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전/후 동적평형성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남성이 여성에 비해 전/후 동적평형성 이 낮다. 2. 노인의 남, 여 성별에 따른 동적평형성 예측 요인 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남성노인은 연령, 하체근력, 유산소지구력, 전면, 후면, 우측, 좌측 안정성, M-CTSIB 2,3의 평균이 여성노인에 비해 높았으며, 여성노인은 BMI, 민첩성, 하체유연성, 발목가동범위, M-CTSIB 4의 평균이 남성노인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평균의 차이는 있었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연령, 하체 유연성, 발목가동범위, 후면안정성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3. 노인의 좌/우 동적평형성에는 M-CTSTB4, 연령, 하체근력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각정보사용능력, 하체근력이 좋을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좌/우 동적평형성의 수준이 높았다(p<.05). 4. 노인의 전/후 동적평형성에는 연령, M-CTSIB4, BMI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각정보사용능력이 좋을수록, 연령과 BMI는 낮을수록 좌/우 동적평형성의 수준이 높았다(p<.05). 5. 남성 노인의 좌/우 동적평형성에는 민첩성, 발목가동범위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첩성과 발목가동범위가 좋을수록 남성 노인의 좌/우 동적 평형성의 수준이 높았다(p<.05). 6. 남성 노인의 전/후 동적평형성에는 연령, 전면안정성, M-CTSIB4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이 낮을수록, 감각정보사용능력과 전면안전성이 좋을수록, 남성 노인의 전/후 동적평형성의 수준이 높았다(P<.05). 7. 여성 노인의 좌/우 동적평형성에는 M-CTSIB3, 하체근력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각정보사용능력과 하체근력이 좋을수록, 여성 노인의 좌/우 동적평형성의 수준이 높았다(p<.05). 8. 여성 노인의 전/후 동적평형성에는 BMI, M-CTSIB3, M-CTSIB4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질량지수가 낮을수록, 감각정보사용능력이 좋을수록, 여성 노인의 좌/우 동적평형성의 수준이 높았다(p<.05). 이와 같은 연구 결과로 볼 때 노인의 좌/우, 전/후 동적평형성은 연령이 낮을수록, 감각계정보사용능력과 하체근력이 좋을수록, BMI가 낮을수록 동적평형성의 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연령이 증가 할수록 모든 기능이 감소함을 볼 수 있었으며 감각계가 동적평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낙상예방프로그램 운동 중재에 있어서 연령의 기준을 낮춰서 실시하여야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으며 감각향상운동, 근력운동, 유연성 운동을 포함한 다양하고 지속적인 운동프로그램이 운영되어야 하고, 신체질량지수를 낮추기 위한 신체활동량의 증가 및 식습관 변화를 위한 영양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 모바일 비즈니스의 성공적 구현을 위한 전략

        임재돈 西原大學校 産業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9615

        본 연구는 모바일 비즈니스의 성공적 구현을 위한 전략에 대한 일반인들의 관심도와 활용수준 및 척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충청북도와 대전 지역에 있는 학생과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표집 방법은 편의표출을 이용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 배부된 질문지 150부중 124부가 회수되어 82%의 회수율을 나타냈다. 회수된 설문지는 SPSS 10.0 for Windows를 사용하여 분석되었으며 요인의 타당성과 설문의 일관성을 검증하기 위해 신뢰성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가설검증을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분석결과 내적요인 즉 개인이 느끼는 요인에는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호기심을 자극하여 성공적인 구현을 할 수 있겠고, 외적 요인 중에는 시스템품질 즉, 통신이용료나 통신기기의 가격, 정보의 정확성을 주로 한다면 성공적인 구현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용자의 만족도와 관련하여 내적요인 즉 개인이 느끼는 만족도를 자극하여 구현을 하는 것인데, 이에는 유용성과 용이성을 중점으로 구현을 하고, 품질과 신뢰도를 높임에 따라 성공적인 구현을 할 수 있을 것이며, 모바일 비즈니스의 성공적 구현을 위해서는 소비자들이 만족도를 높임에 따라 모바일 비즈니스의 성공적 구현을 할 수 있음에 소비자들의 만족도를 높이는데 중점으로 구현을 한다면 성공적인 모바일 비즈니스의 구현을 할 수 있을 것이다. To investigate the strategic directions for successful mobile businesses, the research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to identify the level of interest and practical usage of mobile business among young people. We collected 124 copies of questionnaires out of 150.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by SPSS 10.0. We conducted authoritativeness analysis to verify the validity of major factors and onsistency of questions, and performed regression analysis to construct verifica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two main factors that can affect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mobile business. One is personal factor, and the other is outside factor The personal factors determine the perspectives of individuals. The key factors in personal factors are interest and curiosity toward mobile business. Lots of people want to use moblie services because they think the services are interesting and fun to use. This survey shows one main direction of mobile business, that is, the service for personal entertainment. Second factors are closely related to the system of moblie business itself. They are the quality of system, the rate of service, the prices of communication instuments, and the accuracy of information. We also found that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customers is critical to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mobile business. A thesis submitted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industry Seowon University ,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 for the degree of master's industry in August, 2003

      • 제2형 당뇨 환자의 대사증후군 보유율과 대사증후군 결정요인 별 당내성에 대한 영향력 조사연구

        김수진 서원대학교 산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15

        Purpose : Metabolic syndrome is usually accompanied with diabetes, central obesity, hyperlipidemia, hypertension, etc. In the literature, patient with this disease has the higher chance of diabetes, coronary disease, cardiac infarction, stroke, etc. Therefore, the retention rate of metabolic syndrome in type 2 diabetes, retention of determinant factors for metabolic syndrome, and impact of these factors on glucose intolerance was evaluated in this study. This will be utilized in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type 2 diabetes. Methods : Targets are the patients diagnosed as type 2 diabetes in S general hospital in G area from January 2006 to August 2007. 823 adults aged between 40 and 69 (male: 536, female: 287) a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Chi-square inspection is used to evaluate the difference in retention rate of metabolic syndrome by gender and age. For the impact of determinant factors in metabolic syndrome on glucose intolerance, blood sugar count after 2 hours from eating is taken as parameter for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Data in this study was treated with SPSS 12.0, and general features were expressed as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to p<.05. Results : 1. Retention rate of metabolic syndrome in type 2 diabetes was 63.9%, and female showed the higher retention rate than male (73.9% far female and 58.6% for male, x^(2)=18.935, p<.000^(*)). Retention rate by ages was 66.5, 61.5, and 64.8% for 40s, 50s, and 60s, respectively (x^(2)=1.839, p<.399). 2. Results on the retention aspects for determinant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in type 2 diabetes are the following. 1) For overall type 2 diabetes, 56.3% showed the nominal range of triglyceride(less than 150 mg/dl). 43.8% displayed high triglyceride (more than 150 mg/dl). Retention rate by gender for high triglyceride was 44.9% for male and 41.5% for female (x^(2)=4.127, p<.248). For ages, nominal range of triglyceride was found mostly in 60s as 63.4%. The most cases with high triglyceride was found at 40s as 56.5% (x^(2)=26.853, p<.000^(*). 2) Central obesity was 66% of type 2 diabetes, which was two times larger than non-central obesity (34%). Retention rate of central obesity by genders was 85.7% for female and 55.4% for male (x^(2)=76.469, p<.000^(*)). Retention rate by ages was 63.8, 63.2, and 72.7% for 40s, 50s, and 60s, respectively (x^(2)=6.314, p<.043^(*). 3) The ratio of hypertension in early stage far type 2 diabetes was 49.5%, and stage 2 and 3 was 33.3%. Control on blood pressure has the utmost importance in diabetes. Retention rate by genders for nominal blood pressure was 19.9% for female, which was slightly higher than male (15.7%). Hypertension in early stage showed still higher chance in female (50.2%) than male (49.1%). Hypertension in stage 1 displayed the reversal (31.2% far male and 26.8% for female). Hypertension in stage 2 was also prevalent in male (4.1%) than female (3.1%, x^(2)=3.607, p<.307).Retention rate by genders for nominal range of blood pressure was 40% for 40s. For hypertension in early stage, stage 1 and 2, 40s, 50s, and 60s showed 79.6, 83.1, and 85.9%, respectively. Therefore, blood pressure rises with ages ( x^(2)=7.620, p<.267). 4) Retention rate of low level for HDL-cholesterol (tess than 40 mg/dl) in type 2 diabetes was 30.4%, which was 2 times larger than high level of HDL-cholesterol (more than 60 mg/dl, 12.8%). Retention rate by genders for low level in HDL-cholesterol was 35.1% for male and 21.6% for female. For high level of HDL-cholesterol, fomale showed higher retention rate (14.6%) than male (11.8%, x^(2)=16.070, p<.000^(*)). Retention rate by ages for low level of HDL-cholesterol was 31.1, 30.2, and 30.0% for 40s, 50s, and 60s, respectively. Therefor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ages. For high level of HDL-cholesterol, 40s, 50s, and 60s showed 10.6, 12.7, and 15.0 respectively. 60s showed the highest retention rate (x^(2)=1.975, p<.740). 3.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that showed significant impact on blood sugar count after 2 hours of eating far type 2 diabetes were girth, triglyceride, and blood sugar at empty stomach. Blood pressure and HDL-cholesterol did not have significant impact on blood sugar count. Conclusions : Through this study, the retention rate of metabolic syndrome for type 2 diabetes was excessively high. Determinant factors for metabolic syndrome significantly affected on the incidence of type 2 diabetes. Therefore, change in lifestyle (regular exercise and diet), control on lipid level (triglyceride, HDL-cholesterol, etc), central obesity, blood pressure, etc are required to prevent type 2 diabetes. 목적 : 대사증후군은 당뇨병, 복부비만, 내당능 장애, 고지혈증, 고혈압 등이 동반되어 나타나는 증후군으로써 이 질환을 가진 사람에서 당뇨병, 관상 동맥질환, 심근 경색증, 뇌졸중 등의 발병 위험이 매우 높다고 보고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 2형 당뇨환자를 대상으로 대사증후군의 보유율과 대사증후군의 결정 요인별 보유양상 및 이러한 요인들이 당내성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조사함으로써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을 가진 제 2형 당뇨환자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대상 및 방법 : 대상은 2006년 1월부터 2007년 8월 사이에 G지역의 S종합병원 당뇨크리닉에서 제 B형 당뇨환자로 진단된 자이며, 나이는 40세 이상에서 69세 이하의 성인 총 823명(남자 536명, 여자 287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제 2형 당뇨환자의 성별과 연령대별 대사증후군 보유율의 차이를 조사하기 위해 카이제곱 검정을 사용하였으며, 대사증후군의 결정요인별 당내성 영향력을 조사하기 위해 식후 2시간 혈당을 종속변수로 하여 다중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징은 평균 및 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통계적 유의한계는 p<.05의 수준으로 정하였다. 결과 : 1. 제 2형 당뇨환자 전체의 대사증후군 보유율은 63.9% 이었으며, 여자 73.9% 로 남자 58.6% 보다 높은 대사증후군 보유율을 나타내었고(x^(2)=18.935, p<.000^(*)), 연령대별 보유율은 40대, 50대 60대별로 66.8%, 61.5%, 64.8%로 나타났다(x^(2)=1.839, p<.399). 2. 제 2형 당뇨환자에서 대사증후군 결정요인의 보유양상에 대한 결과들은 아래와 같다. 1) 전체 제 2형 당뇨환자에저 정상범위의 중성지방(150mg/dl 미만)에 속하는 경우는 56.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고 중성지방(150mg/dl 이상)에 속하는 경우는 43.8%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보유율은 고 중성지방(150.mg/dl 이상)에 속하는 경우가 남자 44.9% 로 여자 41.5% 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x^(2)=4.127, p<.248),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정상범위의 중성지방(150mg/dl 미만)에 속하는 경우가 60대에서 63.4% 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고 중성지방(150mg/dl 이상)에 속하는 경우는 40대에서 56.5% 로 가장 높은 보유율을 나타내었다(x^(2)=26.853, p<.000^(*)). 2) 전체 제 2형 당뇨환자에서 복부비만 환자는 66% 로, 비 복부비만 자 34% 보다 2배 정도 많았으며, 성별에 따른 복부비만 환자의 보유율은 여자 85.7%로 남자 55.4% 보다 높은 보유율을 나타내었고(x^(2)=76.469, p<.000^(*)), 연령대별 보유율은 40대, 50대 60대별로 63.8%, 63.2%, 7B.7%로 나타나 60대에서 가장 높음을 알 수 있었다(x^(2)=6.314, p<.043^(*)). 3) 전체 제 B형 당뇨환자에서 조기 고혈압을 차지하는 비율은 49.5% 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고혈압 1기와 2기에 차지 비율은 33.3%로 적지 않게 나타나 당뇨환자에게 있어 혈압관리가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성별에 따른 보유율은 정상 혈압의 경우 여자 19.9% 로 남자 15.7% 보다 약간 높은 보유율을 나타내었으며, 조기 고혈압의 경우 여자 50.2% 로 남자 49.1% 보다 약간 높았고, 고혈압 1기의 강우 남자 31.2% 로 여자 26.8% 보다 높았으며, 고혈압 2기의 경우 남자 4.1%로 여자 3.1% 보다 높게 나타났다(x^(2)=3.607, p<.307), 연령대별 보유율에서는 정상 혈압인 경우 40대에서 20.4% 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조기고혈압에서 고혈압 1기와 2기에 속하는 경우는 40대, 50대, 60대별로 79.6%, 83.1%, 85.9로 60대에서 가장 높은 보유율을 나타내었다. 즉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혈압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x^(2)=7.620, p<.267). 4) 전체 제 2형 당뇨환자에서 낮은 HDL-콜레스테롤(40mg/dl 미만)의 보유율은 30.4% 로 높은 HDL-콜레스테롤(60mg/이 이상) 12.8% 에 비해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보유율은 낮은 HDL-콜레스테롤(40mg/dl 미만)이 차지하는 비율이 남자 35.1% 로 여자 21.6% 보다 높게 나타났고, 높은 HDL-콜레스테롤(60mg/이 이상)이 차지하는 비율은 여자 14.6% 로 남자 11.8% 보다 약간 높은 보유율을 나타내었다(x^(2)=16.070, p<.000^(*)). 연령대별 보유율은 낮은 HDL-콜레스테롤(40mg/dl 미만)인 경우 40대, 50대, 60대별로 31.1%, 30.2%, 30.0% 로 나타나 40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연령대별로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높은 HDL-콜레스테롤(60mg/dl 이상)인 경우 40대, 50대, 60대별로 10.6%, 12.7%, 15.0%로 60대에서 가장 높은 보유율을 나타내었다(x^(2)=1.975, p<.740). 3. 제 2형 당뇨환자에서 식후 2시간 혈당수치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대사증후군 요인으로는 허리둘레, 중성지방, 공복혈당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 혈압, HDL-콜레스테롤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제 2형 당뇨환자에게 있어 대사증후군 보유율이 매우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으며, 대사증후군 결정요인들이 제 2형 당뇨의 발병에 크게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평소 생활요법(규칙적인 운동과 식이요법)으로 혈중지질(중성지방, HDL-콜레스테를 등)과, 복부비만, 혈압 관리를 꾸준히 하는 것이 제 2형 당뇨를 예방하는 데 매우 필요함을 시사해 준다.

      • 대학병원 건진 수검자의 대사증후군 발병 추세 및 운동습관과의 관계 : 2001년부터 2007년까지

        윤석찬 서원대학교 산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1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relations between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health examinees of a university hospital and their exercise habits. Aimed at 106,621 health examinees of Seoul A Hospital, the total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the prevalence per sex and per age in 2001, 2003, 2005 and 2007 each were checked. According to the diagnosis criteria of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including BMI as necessary one, the examinees of 2001, 2003, 2005 and 2007 were classified, and the metabolic syndrome of those examinees of 2005 and 2007 was re-classified under the .adjusted criteria of IDF which necessarily include Asia/Pacific-Criteria Waist Circumference. Then, relations between the determinant factors of the syndrome and exercise habits of the examinees of each year were researched. Here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1. The total prevalence in case checked according to BMI was 16.3%, 16.5%, 16.4% and 15.1% in 2001, 2003, 2005 and 2007, which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years; in case checked under APC-WC, it was 11.2% and 12.2% in 2005 and 2007, respectively, which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valence from one another (<.001). 2. As for the classification of metabolic syndrome per sex and per age, according to the BMI-applied diagnosis criteria, the prevalence of the syndrome was greater in males than in females in the case of the examinees of their thirties, but was higher in females than in males when they were their fifties and over (<.001). 3. In the case of classification per age, the prevalence fended to decrease in the females of their forties to sixties (<.001). 4.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of the males was observed to slightly decrease without increase as those examinees became older, but in the case of the classification under APC-WC criteria, it increased both in the males and males as they became older (<.001). 5. In the analysis on relations between the determinant factors of the syndrome and its prevalence, the prevalence was most highly related with BMI and APC-WC, which were used as necessary diagnosis criteria, and secondly with the items of blood pressure (SBP, DBP). It also increased as the level of HDL-cholesterol and glucose became increased. The factor which had the Beast contribution to the prevalence was neutral fat (<.001). 6. Neutral fat and glucose tended to be given increasingly more weight, in the relation of the determinant factors and the prevalence (<.001). 7. No factor of exercise habit had effects in successive years on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the examination of relations between the syndrome and exercise habit. It was difficult to decide any significant effects of 'exercise frequency on it; more than 20 minutes of exercise duration was significant; and exercise intensities of 'light' and 'a little difficult' were observed to decrease the prevalence in the males and of 'middle' and 'a little difficult' were shown to be significant in the females(<.05). 본 연구는 대학병원의 건강검진 수검자의 대사증후군 발병 추세와 운동 습관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 A병원 건강검진 수검자 106,621명을 대상으로 하여 2001년, 2003년, 2005년, 2007년의 각각의 대사증후군 전체 유병율, 성별, 연령별 유병율 추세를 조사하였으며, 대사증후군 진단은 BMI를 필수 기준으로 한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의 진단기준을 이용하여 2001년, 2003년, 2005년, 2007년 건진 수검자들을 분류하였고, 2005년과2007년은 아시아/태평양 기준으로 한 허리둘레(Asia/pacific-Criteria Waist Circumference)를 필수 기준으로 조정된 IDF의 진단기준을 적용하여 다시 대사증후군을 재분류하였으며, 각 연도별 대사증후군 유무에 따른 대사증후군 결정요인과 운동습관과의 관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각 연도별 전체 유병율은 BMI를 기준으로 적용 시 2001년에 16.3%, 2003년에 16.5%, 2005년에 16.4%, 2007년에 15.1%로 연도별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APC-WC를 기준으로 적용 시 2005년 11.2%, 2007년 12.2%로 필수 기준 적용 시 유병율의 차이가 나타났다(<.001). 2. 성별 연령별 대사증후군 분류에서는 BMI 기준을 적용한 진단기준 시 30대에서는 남성의 대사증후군 유병율이 여성보다 높았지만 50대 이후부터는 여성의 대사증후군 유병율이 남성의 대사증후군 유병율보다 더 높아졌다(<.001). 3. 연령별 분류에서는 여성 40대에서 60대의 대사증후군 유병율이 점점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001). 4. 남성의 대사증후군 유병율은 계속 증가하지 않고 고령으로 갈수록 약간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하지만 APC-WC를 기준을 적용하여 분류 시에는 남, 여 모두 연령이 증가할수록 대사증후군 유병율 또한 증가하였다(<.001). 5. 대사증후군의 결정요인의 유병율의 관계 분석에서는 필수 진단기준으로 적용한 BMI와 APC-WC과의 관계가 가장 높았으며, 두 번째로 혈압(SBP, DBP)항목이 높았다. 또한 HDL-콜레스테롤과 Glucose의 수준도 증가할수록 유병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성지방의기여도는 가장 낮았다(<.001). 6. 대사증후군 결정요인과 유병율의 관계에서는 증성지방과 글루코스의 비중이 점점 더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001). 7. 대사증후군과 운동습관에 대한 조사에서는 연도별로 연속적으로 유병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없었다. 운동 빈도에서는 유의성을 판단하기가 어려웠고 운동 시간은 20분 이상, 운동 강도는 남성의 경우 '가볍다','약간 힘들다'에서 대사증후군의 유병율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은 '보통이다', '약간 힘들다'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05)

      • 지역아동센터 아동복지교사 지원사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충북지역 종사자를 중심으로

        김경태 서원대학교 산업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15

        본 연구는 아동복지교사 지원사업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에 대하여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구체적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아동센터의 일반적 특성은 어떠한가? 둘째, 아동복지교사 지원사업의 적절성은 어떠한가? 셋째, 아동복지교사 지원사업의 인식수준은 어떠한가? 넷째, 아동복지교사 지원사업의 만족도는 어떠한가? 다섯째, 아동복지교사 지원사업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아동복지교사 지원사업에 참여하여 아동복지교사를 지원 받고 있는 충북 지역아동센터의 종사자(센터장, 생활복지사) 180명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여 배부된 180부 중 165부(92%)를 본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복지교사 지원사업의 적절성을 높여야 한다. 아동복지교사 채용시 지역아동센터의 의견을 반영하여 성별 및 연령대를 고려한 채용기준이 필요하고, 근무시간은 센터의 운영시간과 맞게 조정하고, 적극적인 예산 확보를 통해 매년 비정규직을 양산시키는 현재의 아동복지교사 지원사업의 계약방식을 개선해야 한다. 둘째, 아동복지교사 지원사업의 인식수준을 높여야 한다. 아동복지교사 지원사업의 모든 과정에 지역아동센터 현장의 의견을 반영하고, 아동복지교사 선발과정, 모니터링 방식에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지역아동센터 현장의 의견 전달이 좀 더 용이하도록 지자체가 아닌 각 시도의 지역아동센터 거점 역할을 하고 있는‘지역아동센터 시·도지원단’이 아동복지교사 채용 및 관리 감독을 전담하는 것을 방안으로 제안한다 셋째, 현재의 아동복지교사 1~2명이 격일로 하루 4~5시간 근무하는 근무형태를 지역아동센터의 운영시간 및 이용현원 등을 고려하여 개선할 필요가 있다. 아동복지교사 지원사업의 주요 목적 중 하나는 지역아동센터의 부족한 인력을 보충한다는 것이므로 아동복지교사 근무형태를 1명의 교사가 한 센터에 주5일 8시간 이상 근무하는 전일제로 변경하여 센터에 도움이 되도록 개선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아동복지교사 지원사업이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한테 만족도 높은 사업으로 계속 진행되려면 본 연구 결과에서 보듯이 우선적으로 아동복지교사와 처우면에서 상대적 불만을 갖고 있는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처우개선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지역아동센터와 아동복지교사 지원사업의 예산확보를 위한 적극적인 노력과 법적,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