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공디자인 관련한 홍보프로세스 비교분석과 개선방안 연구 : 서울특별시 본청과 25개 구 지자체를 중심으로

        김다빈 서울시립대학교 디자인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63

        Seoul is considered both symbolically and practically as the center of Korean design, and the municipal government has especially been focusing on a variety of policy and projects in terms of public designs. However, in the past five years, a majority of the projects that had been implemented with much importance have now lost the momentum due to many external factors. Hence, this study tries to examine how can Seoul city’s public design policy and its projects be sustainable and be acknowledged by the civilian society. Especially, this study investigates possible improvements on the public design marketing process.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on the case analysis, which are Seoul’s public design projects, namely the‘Design Seoul’, the‘Design Seoul Guidelines’, and the‘Seoul Color.’Through the three aforementioned cases, this study examines what has incurred the presumable decline of Seoul’s public design policy. Furthermore, this study critically analyzes the lack of Seoul municipal government’s lack of marketing on newly launched public design projects, which led to the lack of public recognition, and also this study provides policy suggestions on the problematic situation. The research method incorporates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Seoul city itself and its twenty-five districts’ municipal governments in order to identify profound correlation between their public design marketing processes. A remarkable aspect is that most of the citizens were unaware of public design projects due to lack of knowledge. This study tries to investigate the reasons behind this problematic circumstance. The results proved that both Seoul city and its districts’ municipal governments have shown, on their part, efforts to promote the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on public designs. However, the marketing processes between the two layer of municipal bodies were separated, and mostly inconsistent. Citizens found it hard to get enough information on the projects, and it can be attributed to the lack of communication between Seoul city government and the district governments. To solve this problem, it is required firstly that Seoul and its districts form a consistent system based on communication. Information on public design marketings have to be shared on a regular basis, and the system itself has to be improved. The ultimate goal of these improvement has to be public awareness on the public design projects. The aforementioned changes require more than currently existing guidelines. Hence, this study tries to suggest a ground-breaking environment upon which the city and district governments can share the information on public design policies and projects. The usage of smart phones can be considered, since it is the most efficient, real-time based communication measure. Mobile environment will foster an organized system of public design management, and will result in the elevation of public awareness. 서울시는 우리나라 디자인의 중심이라 볼 수 있으며, 공공디자인 측면에서 디자인 도시의 실현을 위해 다양한 정책과 그에 따른 세부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5년간 비중 있게 진행되었던 공공디자인 정책과 관련 세부사업의 상당수는 여러 외부적 요인으로 인해 힘을 잃게 되었으며 현재는 더 이상 지속될 수 없는 상황에 놓여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의 공공디자인 정책과 관련 세부사업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고, 시민들에게 공공디자인에 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 정책의 어떠한 부분을 개선해야 하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에서 주도했던 공공디자인 정책 과정 중 ‘디자인 서울’과 ‘디자인서울 가이드라인’, ‘서울색’사례를 중심으로, 서울시 공공디자인 정책과 관련 세부사업이 현재까지 지속되지 못하고 유명무실해질 수밖에 없었던 이유에 대해서 비판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또한, 새로이 진행되고 있는 공공디자인 정책에 대한 서울시의 홍보 부족과 각 자치구의 무관심한 응대로 인해 시민들이 최근 추진되고 있는 공공디자인 정책에 대한 정보를 접하기 어려워졌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이러한 악순환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좀 더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서울시와 25개 구 지방자치단체의 공공디자인 정책과 관련 세부사업의 홍보 프로세스를 비교 분석하여 서울시와 지방자치단체의 홍보 진행 방식과 그 관계를 살펴보았다. 특히 원활하지 않은 정보의 전달로 인해 시민들이 공공디자인 정책과 관련 세부사업에 대한 정보를 접하기 어려워졌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그 근본적인 원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종합한 결과, 서울시와 지방자치단체가 각자 나름대로의 방식으로 시민들에게 공공디자인 관련 정보를 전달하고자 노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서울시와 지방자치단체의 홍보 프로세스에 일관성이 없고, 구체적인 전달 체계가 갖춰져 있지 않아 시민들이 정책과 관련된 제대로 된 정보를 얻기가 어려우며, 정책의 진행 상황에 대해서도 체감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은 여전히 존재하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의 주된 원인으로는 서울시와 지방자치단체의 소통 부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서울시와 지방자치단체가 유기적인 관계를 가지고 원활히 소통해야 하며, 공공디자인 정책과 관련 세부사업에 대한 정보도 서로 공유해야 한다. 또한, 정책에 관한 전체적인 체계도 개선되어야 한다. 이러한 방식을 활용하여 최종적으로는 시민들에게 공공디자인 관련 정보가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현 매뉴얼이 가진 권장 사항만으로는 문제 해결을 위한 틀을 갖출 수 없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와 지방자치단체가 공공디자인 정책 시행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피드백을 주고받을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하다고 보고 그 해결 방안으로 스마트폰 활용을 제시하였다. 스마트폰은 정보의 교류와 공유부분에 있어서 가장 효율적인 수단이며, 무엇보다도 실시간 피드백이 가능하여 물리적으로 수반되는 시간과 불필요한 인력의 소모를 줄이는 데에 최적의 도구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모바일 환경을 바탕으로 공공디자인에 관련된 정보를 전달하고 공유한다면 서울시와 지방자치단체의 상호 관리 체계 구축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며, 지속적인 교류와 소통도 가능하게 되어 시민들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새로운 장 또한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 서울 지하철 노선도의 개선과 응용에 관한 고찰

        이경아 서울시립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문초록 본 논문은 서울 지하철 노선도의 디자인 개선과 응용을 통하여 이용자에게 보다 나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는 단지 이론적 분석과 나열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노선도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하루 수송 인구 700만을 육박하는 서울 지하철은 1974년에 개통된 이래 국철을 포함하여 현재 8호선까지 운행되고 있고, 공사 중인 9호선을 비롯하여 신분당선, 경전철, 강남 모노레일까지 계획 중에 있을 정도로 양적으로 발전했다. 이제 지하철은 단순한 대중 교통 수단이 아니라 우리 사회의 기반시설로서 보다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된 것이다. 사회 기반 시설은 그 실질적 역할을 넘어 한 사회의 수준을 평가 할 수 있는 척도가 된다. 서울 지하철은 에스컬레이터나 엘리베이터, 냉ㆍ난방 시설 등 외형적인 시설 면에서는 꾸준한 발전을 해 왔지만, 지하철의 가장 기본적 목적인 이동과 관련한 효율적 정보 제공에 대해서는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노선도는 승객이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도달할 수 있게 하는 기본적인 정보의 매개체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지만 그에 대한 디자인적인 관심은 미미한 것이 현실이다. 목적을 갖고 정보를 얻기 위한 수단인 노선도는 정보의 나열로써 그치는 것이 아니라, 대중이 쉽고 정확한 정보를 인식하도록 더욱 정확하고 과학적으로 조직화해야 하며 아울러 미학적 측면도 고려하여야 한다. 서울 지하철은 운영 주체가 4원화되어 전반적인 통합이 쉽지 않은 상태이다. 같은 운영 주체 내에서도 인식 부족 등으로 인하여 통일성 없이, 상황에 따라 제각각 다른 노선도를 사용하고 있다. 노선의 증설에 따른 노선도의 개선 없이 기존 형식에 첨가하는 방식으로 정보를 제공하여 시각적 명료성을 획득하지 못하고 날로 복잡해지고 있다. 1930년대 당시 런던은 5개 지하철 회사가 통합되면서 명확하고 논리적인 교통 시스템 구축을 위해 디자인을 필요로 했다. 이와 마찬가지로 향후 5~10년 사이 9호선과 신분당선 등 노선이 증설될 계획에 있는 현 시점에서 서울 지하철 노선도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보 디자인과 다이어그램에 대한 이해와 이론적 방법을 성립하고, 지하철 노선도가 다이어그램 형태의 정보 디자인이 집약적으로 표현된 대표적인 예로 꼽히는 만큼 이를 바탕으로 지하철 노선도의 역사를 알아본다. 현대 지하철 노선도의 시발점이자, 원형으로 자리하고 있는 런던 지하철 노선도의 발전 과정을 통해 노선도의 역사와 디자인의 발전 과정을 살펴본다. 아울러 런던, 뉴욕, 파리, 베를린, 도쿄 등 해외 지하철 노선도 사례를 통해 서울 지하철 노선도 디자인 개선에 대한 기준을 마련한다. 먼저 서울 지하철 노선도의 현황을 살피고 앞서 조사한 디자인 기준을 적용하여 서울 지하철 노선도를 개선한다. 개선된 노선도는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다. 그에 대한 예로 본 논문에서는 언어별 노선도와 문화 노선도를 제시한다. 언어별 노선도는 약 400개의 역으로 구성된 서울 지하철 상황에 익숙하지 않은 외국인과 타지역인들에게 보다 쉽게 원하는 출발지와 목적지를 찾을 수 있도록 돕는다. 문화 노선도는 교통과 문화의 접목을 시도한 것으로 지하철과 연계되어 있는 서울의 다양한 문화를 테마별로 분류한 것이다. 이는 문화 서울의 이미지 형성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을 통해 서울 지하철 노선도가 역의 위치만을 단순 표기하는 소극적인 역할에서 벗어나, 이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지하철을 사용할 수 있고, 나아가 서울의 도시 이미지 형성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되길 바란다.

      • 로봇의 이동형식 분석을 통한 모듈구조로봇 디자인에 관한 연구

        김인동 서울시립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47

        우리가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 많은 로봇들이 우리 주변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 로봇들은 대부분 공학적 산물의 결과로써 아직까지 디자이너의 참여가 부족한 실정이다. 로봇 디자인은 일반적인 제품디자인과 다르게 그 형태의 특성이 대부분 이동형식에서 나타난다. 이는 로봇의 주된 특징 중의 하나가 실질적인 움직임을 통해 각각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에 기인한다. 로봇의 이동형식은 로봇 디자인에 있어서 가장먼저 고려할 요소 중의 하나로써 이동 형식을 선택함을 통해 다른 디자인의 요소를 결정짓게 된다. 모듈구조로봇 디자인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게 된 배경으로 모듈구조가 지닌 장점을 이동형 로봇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모듈구조로봇은 동일한 모듈 사이의 결합을 통한 새로운 디자인의 개발이 용이하고, 각각의 모듈을 동일한 플랫폼으로써 개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모듈이 손상되었을 때 동일 모듈로 신속한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한 환경에 따라 모듈의 결합을 변경하여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듈 간 결합 변화를 통해 다양한 형태와 새로운 이동방법을 얻을 수 있는 모듈구조로봇의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모듈구조로봇의 디자인을 위하여 작용기반에 따른 로봇이동형식을 분석하였고, 기존의 모듈구조로봇의 중요구성요소를 추출하였다. 그 중 로봇이동형식과, 조인트 운동형식을 중심으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모듈구조로봇의 기본 형태를 선정하기 위한 방안으로 모듈트리구조의 개념을 제안하였다. 모듈트리구조를 통해 모듈간의 연결 방법을 추출할 수 있었고, 모듈구조로봇의 기본 형태 선정에 활용하였다. 모듈구조로봇 디자인 프로세스의 제안을 통해 모듈구조로봇 디자인 전개에 있어 필요한 구성요소를 체계적으로 선정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세 가지 형태의 모듈구조로봇 디자인을 제안하였고, 본문에서 선정한 모듈구조로봇 구성요소를 적용하여 모듈구조로봇의 디자인을 완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진행한 모듈구조로봇 디자인을 통해 모듈구조로봇 디자인을 위한 요소들과 모듈구조로봇 디자인 프로세스를 살펴볼 수 있었다. 앞으로 이 모듈구조로봇 디자인 프로세스를 활용하여 보다 체계적인 로봇 디자인 전개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로봇디자이너들이 설정할 수 있는 범위를 로봇의 외형중심 디자인에서 벗어나 로봇의 이동형식과 모듈 간 움직임 설정, 모듈트리구조 설정 등에서 로봇 디자이너의 역량을 발휘 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Without our full awareness, there are robots being used all around us. These robots are mostly results of engineering products and there are still lack of participation from designers. In contrast with other product designs, the forms of robot designs mostly appear as locomotion figures. This is because one of the main characteristics of a robot is that it performs each of its functions from actual movements. The locomotion figure of robots is the utmost important factors to consider first for robot design and by selecting locomotion figure the other design factors are determined. The background for a study on the module-structured robot designs was to utilize the advantages of module-structures in a locomotion robots. The module-structured robots have advantages of ease in development of a new design through combining modules and of possibility of developing separate modules in a single platform. In addition, in case one of the module is damaged, an efficient exchange of the same module can be made. And it has characteristics of various functions being able to be carried out by changing the combination. This study proposes designs of module-structured robots that enables various forms as a result of different combination of modules and different locomotion methods. For module-structure robot designs, the robot locomotion methods were analyzed depending on functional base and the important components of the existing module-structured robots were derived. Out of those factors, the study focused on locomotion forms of robots and joint movement forms. In order to select the module-structured robots as the basic form, a notion of the module tree structure was proposed. Through the module tree structure, the connection methods between modules were derived and this was used to select the basic form for module-structured robots. Through the proposal of design process of module-structured robots, the important components for the development of the module-structured robots were selected. As a result, three types of forms for module-structured robot designs were propos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module-structured robot designs can be completed by applying components of module-structured robots selected in the main body of this study. In this study, through module-structured robot design, the components of module-structured robot design and the design process involved in module-structured robots were inspected. Going forward, by utilizing the design process involved in module-structured robots, more structured robot designs can be developed. In addition, this study confirms the possibilities of extending the boundaries set by robot designers from externality-focused design and hence to exhibit the capabilities of robot designers by setting movements between locomotion forms of robots and modules as well as by establishing module tree structure.

      • 옥외광고물 정비시범사업의 성과향상방안에 관한 연구 : 지자체 추진 프로세스 개선을 중심으로

        박진애 서울시립대학교 디자인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47

        As a self-examination and introspection of the outdoor advertisement culture censured as representative factor causing urban environmental pollution because of great visual excitation, each local governments like Seoul city have been implementing maintenance pilot project of the outdoor advertisement for formation of beautiful and nice urban landscape by investing public budget. 8 years have passed from 2008 that the maintenance pilot project of inhabitant initiative for the outdoor advertisement is carried forward in earnest, but there are problems same as beginning of project promotion like low citizen satisfaction of lack of voluntary community involvement and standardized education that disappear regional identity by lack of design diversification. The research would like to suggest effective promotion method for maintenance pilot project of the outdoor advertisement that the residents sympathize and take lead by solution search for realization of voluntary community involvement that can ease problem of lack of design diversification by understanding problems and role structure of participation subject that influence result of maintenance pilot project of the outdoor advertisement. As a result of problem analysis from lack of voluntary community involvement in promotion process for maintenance pilot project of the outdoor advertisement implementing at each local government, it is hard to form sympathy of residents on conversion and promotion of maintenance pilot project of inhabitant initiative after target area selection by government one-sidedly. So, they have refused role performance as main promotion like resident committee or have implemented formally and inactively. In case of shop owners that refuse agreement of project promotion, it is connected to case that demand only high visibility design as a reward of improvement agreement to avoid compulsory execution, and it have played a part in making standardized streetscape. But, citizen satisfaction shows very low. A total look on the basis of analysis result, for supplementation of design result and citizen satisfaction from lack of voluntary community involvement, not existing method that target area is selected through internal procedure by considering project possibility at administrative organ, but active and voluntary community involvement process shall be adopted and implemented before planning. If the advance preparation stage is made for a target area contest after a previous process improvement, the active and voluntary participation of residents will be involved before the planning. It makes an appropriateness of the outdoor advertisement of plot and maintenance project as a city street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by resident’s consultation. Also, a signboard improvement consultative group is established for a target area contest before the planning. With a consultant with a local government, as a main of plot and maintenance project of outdoor advertisement, they could involve the project including a basic planning and selection of an advertisement which needs improvement, selection of design and manufacturers. Therefore, the smooth process and increasing of resident’s satisfactory are expected. When target area is promoted to select through contest, it can enhance community involvement and satisfaction. But, it can occur case that be installed non-harmonious advertisements with townscape by design selection of shop owner and decision capability in process of consultation for sign design of individual shop. Therefore, the contents of agreement shall be supplemented to obey and specify performances of design consultation on agreement of resident to prevent this. Also, the citizen as public subject is using resident that can give an objective opinion for townscape and public space without an interest. So, it shall be adopted process of design decision participation of citizen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maintenance pilot project of the outdoor advertisement, and shall make use as improvement of design problem caused by one-sidedly design selection of shop owner and citizen. Because the citizens, the interested parties, took part in the project on the condition of complying the resolutions of design consultation about target area, a design expert has to choose and accept the most excellent design which has public concerns through a series of preference survey of the citizen. And it is expected to make landscape of urban city pleasant and attractive and improve the performance of pilot project on maintenance of the signboard as the result of solution of the problem of lack of design diversification caused by one-sided design selection of shop owners. keyword : pilot project of the outdoor advertisement, voluntary community involvement, a target area contest, citizensatisfaction, public subject, specify performances of design consultation 시각적인 자극이 매우 커서 도시환경공해를 유발하는 대표적 요인으로 성토되고 있는 옥외광고 문화에 대한 반성과 성찰의 행위로, 서울시 등 각 지자체에서는 아름답고 쾌적한 도시경관 조성을 위해 공적 예산을 투입하여 옥외광고물 정비시범사업을 시행해 오고 있다. 이러한 주민주도형 옥외광고물 정비시범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된 2008년 이후 8년이라는 시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자발적 주민참여 결여에 따른 낮은 주민만족도, 디자인 다양화 결여로 인한 지역 정체성이 사라진 획일화된 경관 조성 등 여전히 사업추진 초기와 같은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옥외광고물 정비시범사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참여 주체의 역할 구조와 문제점을 파악하여 디자인 다양화 결여의 문제를 완화할 수 있는 자발적 주민참여 실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주민이 공감하고 주도하는 옥외광고물 정비시범사업의 효과적 추진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현재 각 지자체에서 시행하고 있는 옥외광고물정비시범사업 추진 과정에 주민들의 자발적 참여가 미비하여 발생하는 문제점을 분석한 결과, 관의 일방적 대상지 선정 이후 주민주도형 정비시범사업으로 전환하여 추진하는 것에 대한 주민들의 공감대가 형성되지 않는 결과로 인해, 주민위원회 등 추진주체로서의 역할 수행을 거부하거나, 참여하더라도 형식적·피동적으로 수행하는 경우가 많으며, 사업추진 동의를 거부했던 업소주들의 경우 강제집행을 면하기 위해 개선 동의하는 것에 대한 보상으로 시인성이 높은 디자인만을 요구하는 사례로 이어져 획일화된 가로경관 조성에 일조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주민만족도는 매우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자발적 주민참여의 결여에서 오는 주민 만족도 부분과 디자인성과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행정기관에서 사업성과를 고려하여 내부절차를 통해 일방적으로 대상지를 선정하던 기존의 방식이 아닌, 능동적이고 자발적인 주민참여 과정 즉 대상지 공모 과정을 사업계획 수립 이전에 도입하여 추진하여야 한다. 기존의 프로세스를 개선하여 대상지 공모라는 사전 준비 단계가 만들어지면 주민들의 능동적이고 자발적인 참여의 과정이 추진 계획 수립 이전에 도입되어, 주민협의에 의해 만들어지는 도시가로환경 개선사업이라는 옥외광고물 정비시범사업의 추진 당위성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대상지 공모에 참여하기 위해 주민들을 대표하는 간판개선주민협의체를 계획 이전에 구성하게 되고, 지자체와의 협정을 통해 옥외광고물 정비시범사업의 추진 주체로서 기본계획 수립부터 광고물 개선물량 선정, 디자인 및 제작업체 선정 등 사업 전반에 걸쳐 주민을 대표하여 진행하게 됨으로써 원활한 사업추진과 함께 주민 만족도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사업 대상지를 공모를 통해 선정 추진 시 주민 참여 및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나, 개별 업소의 간판 디자인 협의 과정에서 업소주의 디자인 선택 및 결정 역량에 따라 주변 경관과 조화롭지 못한 광고물이 설치되는 사례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디자인 협의 이행사항을 주민 동의서에 명시하여 준수하도록 주민 협정 내용을 보완하여야 한다. 또한 공공주체인 시민은 이해관계를 떠나 도시경관과 공공 공간에서의 객관적 의견을 줄 수 있는 사용 주민이므로 옥외광고물 정비시범사업 추진 과정에서 시민의 디자인 의사참여 과정을 도입하여, 업소주 주민의 일방적 디자인 결정으로 인해 디자인이 획일화되는 문제점을 개선하는 도구로 활용하여야 한다. 아울러 이해당사자인 주민들은 디자인 협의 이행 사항을 준수하는 조건으로 대상지 공모에 참여하였으므로, 디자인 전문가가 시민의 선호도 평가·조사를 통해 공공성을 확보하여 제시하는 우수디자인을 선택, 수용하여야 된다. 이에 따라 업소주 주민의 일방적 디자인 결정으로 인한 디자인 다양화 결여 즉 획일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 옥외광고물 정비시범사업의 성과 향상 및 쾌적하고 매력적인 도시경관을 만들어 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잠재적 서사를 상상하기 : 그래픽디자인으로 이야기하는 법

        정해리 서울시립대학교 디자인전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그래픽디자인이 발생시키는 잠재적 서사성을 다룬다. 서사는 이야기와 서사담화로 이루어지는데, 이야기는 일어난 사건을 시간 순으로 나열한 것이라면 서사담화는 그것을 구조화하고 시현하거나 발현하는 것을 이른다. 그래픽디자인이 하는 역할은 서사담화에 해당한다. 그래픽 디자이너는 형식을 고안하고 이야기의 순서를 포함해 글자의 선택, 행간, 주석, 그것들의 배치 등 구조를 만들며 적합한 양식을 씌워 전달한다. 즉, 하나의 이야기도 디자이너에 따라 개별 서사담화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 과정에서 디자이너는 디자인 역사 속에 있었던 여러 가지 방식을 차용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그래픽디자인의 역사에서 1980년대 이후는 포스트모더니즘 시기로 분류된다. 그러나 2000년대 이후 디지털 기술의 발달, 급격한 사회의 변화는 포스트모더니즘 시기와는 분명히 다른 시각성을 가진다. 모더니즘의 디자인이 정답을 제시하려는 목표 지점을 향해 나아갔다면 포스트모더니즘의 디자인은 그것을 해체하며 자유롭고자 했다. 그와 달리 현재의 디자이너는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시기의 시각적 특성을 동시에 사용하면서 시공간의 동시성, 비선형성, 가능성을 발생시킨다. 이는 디자인을 경험하는 독자나 관람객을 가르치려 하거나 정답을 제시하지도 않으며 그렇다고 허무주의로 치닫지도 않는다. 이에 연구자는 그래픽디자인에서 현재의 시기를 메타모더니즘의 관점으로 새로이 바라보고 그 특성에 기반하여 잠재적 서사성을 발생시키는 디자인을 시도해 보고자 한다. This study addresses potential narrativity generated by graphic design. Narratives consist of story contents and discourse expressions. Stories are chronological sequences of events, and discourse expressions structure, manifest or represent them. The role of graphic design falls under the discourse expression: It devises a form, creates a structure, including an order of a story, choices of words, spacing of lines, annotations and their placements and tells a story in an appropriate form. In other words, a single story can consist of individual discourse expression depending on each designer, and in the process, a designer can borrow or manipulate approaches from the design history. In the history of graphic design, 1980s onwards have categorized as postmodernism. However,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rapid changes in societies since the 2000s brought a distinctly different perspective on postmodernism. Whereas the modernist designs aimed to provide answers, the postmodernist designs sought to deconstruct and free themselves from them. On the contrary, today's designers take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both modernism and postmodernism designs and generate simultaneity, non-linearity and potential possibility in space and time. They do not attempt to teach or provide answers to readers and viewers, nor do they fall into nihilism. Therefore, the researcher would like to take a fresh look at the current graphic design period from a metamodernist perspective and attempt to design that generates a potential narrative based on its characteristics.

      • 디자인된 스코어, 스코어가 된 디자인 : 움직임을 상상하는 기호들

        이주현 서울시립대학교 디자인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47

        스코어는 대상이 수행해야 할 동작과 행위, 위치와 경로, 박자와 타이밍을 기록한 것으로서 시각적 기호를 통해 정보와 메시지를 전달하는 매체이다. 즉, 지시사항을 기록하는 과정과 만들어진 스코어를 재해석하는 창작의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본 연구는 창작의 지침서 그리고 놀이나 규칙 등으로 불리는 스코어를 마주한 연구자의 경험을 디자인 작업에 녹여내는 과정과 그 결과물을 엮어서 펼쳐 놓은 배열이다. 연구자는 임의로 설정한 시간 안에서 발생할 사건의 구조를 조율하고 디자인한다. 이를 위해 과거부터 현재까지 안무가들의 스코어에 담긴 실험적인 시각 표현과 지시의 방식을 분석했다. 완성된 스코어는 해석을 기다린다. 누군가가 사건을 만들고 움직임과 소리를 낼 때까지. 스코어를 마주하는 이들은 나름대로 자신만의 규칙과 해석을 덧입은 채로 이 기다림의 시간을 상상할 수 있게 된다. 스코어를 통한 지시와 수행을 반복하며 디자인을 이어가는 것은 매번 다르게 행함을 상상하고 실천하는 과정임을 확인하고자 한다. A score is a recorded instruction of movement, action, location, path, rhythm, and timing that a subject should follow. It serves as a medium that conveys information and messages through visual signals. The process consists of recording instructions and translating scores into movements created by the subject. This thesis is the research which shows a series of processes where my experience of exploring scores, often referred to as guidebooks for creation, games, or rules, was rendered in design works. I organised and designed the structure of events that would happen during a particular time set by myself. For the research, I analysed experimental ways of visual expressions and instructions of choreographers from their scores written from fifteenth century to date. A fully written score waits for translation, by someone to break the silence and start making any movement and sound. People who are soon going to be watching the visualised score will wait for it with their own translation and imagination about the score. I aim to demonstrate that carrying on a design procedure based on a score is a job of following the instruction step by step, imagining how each result will turn out.

      • 희극(적) 장치 : 그래픽 디자인과 코미디와의 관계

        양으뜸 서울시립대학교 디자인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47

        코미디는 일상적인 기준에서 일탈하고, 보편적인 규범을 위반한다. 형태를 비틀고, 무언가를 흉내내고, 반복하고, 실수를 만들어내고, 터부시 되는 것을 전면에 드러낸다. 이 연구의 목적은 코미디에서 사용하는 기법들과 희극성이 드러나는 그래픽 디자인의 연결점을 찾고, 사물을 인지하는 하나의 관점으로 코미디를 제시하는 데 있다. 또한 ‘일상적’이라 칭할 수 있는 사물의 형태와 성질을 비트는 작업을 통해 희극성을 드러내는 실험을 한다.

      • 트램 외형디자인의 이미지 분석을 통한 형태연구

        최형진 서울시립대학교 디자인전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47

        오늘날 철도산업은 한 국가 경제 및 산업을 발전시키는 견인차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국민 삶의 질을 높이는 선도적 역할을 하여 그 영향력이 매우 커지고 있다. 이렇게 철도산업의 영향력이 커지게 된 배경에는 자동차 수의 급격한 증가로 인한 공기오염, 지구 온난화 등과 같은 환경문제, 사고, 정체, 주차와 같은 도시교통문제가 선진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심각하게 받아들여지게 되어 이러한 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철도산업이 대두되게 되었다. 선진적인 교통문화를 도입한 나라에서는 도시교통과 환경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적용함으로써 해결책을 찾아나가고 있고, 이런 기술들 중 트램이라는 도시교통시스템이 미국, 유럽, 일본 등 주요 선진국들과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과 같은 후발국에서 해결책으로 도입되고 있다. 전 세계적인 추세 속에 우리나라도 90년대 초부터 도시교통과 환경문제를 인지하고, 그에 대한 대안으로 건설·운영측면에서의 경제적 효율성, 철도 특유의 안전성, 편리성 그리고 높은 환경친화성 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는 도시의 간선 및 연계수송 교통수단으로 트램을 주목하게 되었다. 도시의 구성요소로서 트램이 운용 될 경우 도시의 수준이 상승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그 자체가 랜드마크가 됨으로써 트램에 적용된 기술만큼이나 트램 디자인이 차지하는 비중도 높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에서 진행되고 있는 연구들은 교통 시스템과 차량운행 기술 등 트램의 디자인에 대한 연구보다 기술·행정 연구에 편중되어 있다. 따라서, 향후 성공적 트램의 개발을 위해서 디자인 중심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트램을 분석하여 나타난 형태 변화와 특징을 찾는 것이다. 트램의 형태를 분석하는 순서는, 첫째, 트램 형태 분류. 둘째, 중요구성요소 찾기. 셋째, 구성요소별 유형 분류. 넷째, 업체별·요소별·시대별 형태분석의 과정을 거친다. 트램의 형태를 분류 방법은 크게 두가지로, 트램 전두부를 구성하고 있는 구성요소별 분류와 전두부의 조형을 결정하는 형태기준선에 의한 분류이다. 구성요소의 분류 방법은 전두부의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환경적 변수요인과의 상관성으로 중요구성요소를 분류한다. 구성요소별 유형 도출은 중요구성요소와 형태기준선의 기준과 변화를 관찰하여 각각의 요소별 유형을 도출한다. 업체별·요소별·시대별 형태분석은 도출된 요소별 유형을 기준으로 업체별 특징과 시대의 흐름으로 트램의 변화로 형태 분석한다. 이런 과정을 거쳐 향후 트램 디자인 시 전두부의 구성요소와 유형의 척도가 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트램 전두부를 구성하는 중요구성요소는 기본구성요소 15가지에 외적 변수요인을 대입하여 도출한 상단커버, 전면창, 전조등, 중앙커버, 범퍼, 전면하단 연결기커버, 운전석 측면창의 7가지 요소로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트램 전두부 형태 유형의 판단 기준이 되는 요소는 트램의 측면에서 관찰 될 수 있는 형태기준선이라는 것을 밝혀냈다. 요소별로 추출된 데이터는 공통점과 변화점을 중심으로 각 각 5가지의 유형(Type)으로 정리가 된다. 이 유형은 트램의 각 요소가 가지는 특성과 이웃 요소와의 관계를 분석할 수 있는 기준이 된다. 5가지 유형으로 6곳 해외업체의 트램들의 형태를 분석하면 각 업체별 트램들의 정체성을 알 수 있는데, 그 중 정체성을 강하게 나타낼 수 있는 요소는 전면창, 전조등, 전면하단 연결기커버로 나타났다. 중요구성요소를 조합한 트램 전두부 형태에서도 타 업체와의 차별화된 특성을 가질 수 있지만, 일반적 구성요소에 새로운 기술이나 형태를 적용하여 구성했을 경우에도 차별화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시대를 트램의 환경과 기술적 변화를 기준으로 분류하면 도입기, 성장기, 확산기로 나눌 수 있는데, 트램 전두부의 형태와 이를 구성하는 요소가 실험적으로 여러 가지 형태로 시도되지만 기술적으로 제한된 도입기를 시작으로 성장기를 거쳐 업체별 형태가 확립되어 정체성을 가지는 확산기에 이르게 되었다. 이러한 흐름으로 보아 향후 트램도 고속열차와 같이 트램만의 명확한 형태적 특징을 가지게 될 것이라는 것이 예상된다. Railroad industry has gradually influenced not only as a principal force in the economic field of a country but also as the unchallenged lea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t is sincerely concerned that environmental issues such as air pollution, global warming caused by an increasing number of vehicles as well as traffic problems all over the world. Worldwide, the automobile is probably the number-one contributor to air pollution, and policies designed to protect the environment are expensive. So far, mass transportation systems such as subways have prove inadequate for solving the needs of conveniently moving large numbers of people from place to place. Due to these matters, railroad industry has become on the rise in order to resolve several issues mentioned. In an attempt to do that, one of the solutions being able to apply is "tram(also known as a tramcar, streetcar)" This transportation system has been applied among the various nations such as Europe, Japan, the U.S.A, Singapore, Malaysia. The recognition in Korea of environmental issues and traffic problems lead to wide attention to the trams which have remarkable advantages since early 1990s. For examples, trams have economic efficiency, safety probability, and eco-friendly respects from all aspects especially construction and management fields. If the trams run in the city as an important component, it will be the landmark that can indicate the elevated level of the city. Therefore, design of the trams can be given a great deal of weight on the country as well as the techniques applied. However, the studies operating today concentrate on only traffic system or the skills for operating rather than the design. And so, the study focusing on the design needs more so as to develop the trams successfully. This study will show you the conformational changes and feature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trams from past to present. The first order of analyzing the type of trams is form classification and then searching for the essential elements, form classifi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elements, analysis by enterprise, factor, era respectively. The way to classify the forms is categorized into two basic methods : classification by elements of tram front shape and by central shaped-line which can determine shape of front shape. The essential constituents are sorted by the correlation among factors environmental variables after investigating the relation among components of front shape. The types deduction from every part are derived each element of types by means of observing the transition and the standard of major component and central shaped-line. By going through the process, this study does play the role as major criterions of front shape formation from now on. The outcome of this study are presented the several facts below. Major components that construct front shape can be defined as seven components such as front top cover, windshield, headlight, center cover, bumper, coupler cover, driver’s window as a result of deduction which fifteen basic components substitute factors external variables. It is also discovered that the elements of a standard of judgements is central shaped-line which is able to observe from the side view of a tram. Extracted data from each categories are organized five-type and this is the standards that can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other elements. When the forms of trams in six foreign companies analyze according to the five sorts of types, there are some characteristics to identify themselves, which are windshield, headlight, coupler cover. Based on the environments and transition in the rail transit development, the three periods are divided like introduction, growth , diffusion . A variety of experiments, yet technically limited period called introduction. After going through a period of growth, the forms of trams have established at last in diffusion. As we can see, the tram will have its own characteristics just like rapid-transit railway soon.

      • 텍스트, 소리, 그리고 벌레: 꿈틀거리는 언어의 생명력과 디자인하는 인간

        문정주 서울시립대학교 디자인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언어학자 노엄 촘스키의 심성주의 언어 이론에서 출발하여 언어로부터 생명체(소리벌레)를 생성하는 제너러티브 디자인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의 알고리즘으로 구현한 언어 생명체(그래픽)를 책, 음악, 악보, 웹사이트와 같은 매체에 담아내어 언어와 디자인 사이의 연결고리를 연구하고자 한다. 언어의 역할 중 하나인 타인과 생각을 주고받는 의사소통의 기능은 인간 사회에서 매우 중요하다. 인간 사회는 언어와 함께 발전해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디자인을 포함한 산업과 학문 역시 그러하다. 한편, 노엄 촘스키는 ‘언어는 인간이 설계하는 도구가 아니라 생물학적 실체’라고 말했다. 더 나아가서는 ‘언어 능력은 인간이 태어나면서부터 가지고 있는 본유적인 기관이자, 무한하게 변주되는 생명체’라고도 했다. 인간은 ‘나’의 관점을 ‘너’에게 부딪혀 ‘우리’의 생각을 만들며 언어로 소통한다. ‘디자인’을 ‘언어의 생명력을 다루는 일’로 수렴해 보면 어떨까. 화자가 전하고자 했던 애초의 생각은 언어가 되고, 텍스트의 형태로 전달 받은 그래픽 디자이너는 타이포그래피 등을 활용해 디자인 언어로 번역하며 사회에 방생한다. 사람들은 방생된 언어를 읽고 말하고 들으며 소통한다. 결국 디자인의 모든 과정에는 언어가 헤엄치고 있다. 나는 언어의 생명력을 구체화하는 과정을 통해 생각하는 인간 존재를 긍정하며, 나아가서는 이것이 디자이너의 역할 중 하나가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타진해 보고자 한다. Initiated from the mentalism theory of linguist Noam Chomsky, the study carries out the generative design that creates a living organism (sound-worm) from languages. Specifically, I’d like to study the link between languages and design by embodying the language creatures (graphic) formed with algorithms of computer programming languages in media, such as books, music, sheet music, and websites. One of the roles of language is to communicate with others, and it is essential in human society. It is not an overstatement to say human society has developed with language, and the same goes for studies and industries, including design. Noam Chomsky said, ‘Languages are not tools humans design, but biological objects.’ Furthermore, he even stated that ‘Human beings are born with the ability to learn languages as an innate organ, which is also a living organism with infinite possibilities of variations.’ As a human, I communicate in language by sending out the perspective that ‘I’ have to ‘others’ (you) and get responses to form the thoughts that ‘we’ share. How about conversing ‘design’ as ‘the work dealing with the vitality of language’? The original idea that the speaker wants to convey becomes language, and the graphic designer translates the language in text form into design language using typography or other forms and releases them into society. Then, people read, speak, and listen to the released language and communicate with it. After all, language is swimming in every design process. With the process of embodying the vitality of language, I acknowledge the existence of thinking human in a positive light. Furthermore, I would like to examine the possibility that carrying out this process could be one of the roles of designers.

      • 자기 지시적 그래픽 디자인 : 2000년대 이후 인쇄물을 중심으로

        윤지수 서울시립대학교 디자인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2000년대 이후 인쇄물 그래픽 디자인에서 나타나는 자기 지시(self-reference)를 다룬다. 자기 지시는 매체의 조건을 통해 그 매체 자신을 가리키는 표현 전략으로, 매체의 관습에서 탈피하고, 매혹으로서의 예술과 결별하며, 매체적 구조물로서 스스로의 인공성을 강조하는데, 이 같은 특징은 20세기 이후의 시각 예술을 이전 시기와 구분 짓는 특징 가운데 하나로 이해된다. 20세기 미술에서 자기 지시는 미술에서 환영주의로 대표되는 종래 회화의 전통, 혹은 여타의 관습으로부터 탈피하는 비평적 실천 전략이었으며, 영화에서는 서사(극)에 몰입되어 허구를 진짜인 것처럼 바라보는 관객의 환상을 깨고, 작품을 다른 시각에서 바라보게끔 하는 비평적 연출 방법이기도 했다. 그래픽 디자인에서 자기 지시는, 독해 대상을 전달되는 메시지나 내용을 넘어 매체적 조건으로까지 확장시킴으로써 특정한 의미를 발생시키는 시각화 개념이자 전략이다. 이때 매체적 조건은 매체가 지닌 물질성은 물론, 특정 인물이나 시대의 양식을 비롯한 사조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그래픽 디자인에서 비평적 개입 전략으로서 자기 지시는 1960년대 이후 포스트 모더니즘과 맞물려 그 양상이 나타나기 시작하는데, 이 같은 흐름은 포스트모더니즘이 퇴조한 2000년대 이후에도 사라지지 않았으며, 특히 인쇄물에서 나타나는 자기 지시는 물질로서의 인쇄 매체가 지니는 성질에 집중한다는 점에서 20세기 현대주의 그래픽 디자인과 밀접히 관계한다. 2000년대 이후 그래픽 디자인에서 자기 지시는 인쇄물의 물성을 강조하고, 인쇄물 제작의 기술적 조건을 활용하며, 리서치를 통해 참조를 다각화하는 양상을 보인다. 본 연구는 각 양상을 기술하고, 관련 있는 디자인 사례를 통해 설명한다. 이어서 본 연구는 그래픽 디자인에서 자기 지시가 능동적 독서・디자인 유도 효과, 참조 대상의 지시를 통한 소통 효과, 개별 디자이너의 참여를 통한 비평적 논의의 활성화 효과가 있다고 제안한다. 본 연구는 그간 미술과 영화 등에서 주로 논의된 바 있는 자기 지시를 그래픽 디자인이라는 전문 영역에 적용함으로써, 그래픽 디자인 논의의 지평을 넓혀보려 한다. This study deals with self-referentiality in graphic design, particularly in printed matter, since the 2000s. Self-referentiality in graphic design, particularly in printed matter, since the 2000s. is a strategy for expression that points to itself through the conditions of the medium, breaking away from established media conventions and art as seduction, while emphasizing its own artificiality as a mediating structure. These characteristics are understood to be part of the features that distinguish the visual arts of the 20th century onward from what came before. In the 20th-century visual arts, self-referentiality was a strategy for critical practice, to molt out of the tradition of painting (such as illusionist paintings) or other conventions, and a method of critical presentation, to offer alternative perspectives; in the case of film, disrupting the immersion into the narrative experienced by the audience, who otherwise regard the fiction as reality. Self-referentiality in graphic design is a visualization concept and strategy that generates meanings by expanding the subject of interpretation beyond the message or content to include the conditions of the medium itself. Here, media conditions may include not only the materiality of the medium, but a variety of aspects such as specific characters, or the conventions of a time. Self-referential modalities of graphic design as a strategy for critical intervention emerged after the 1960s, enmeshed with the rise of post-modernism. This trend persisted through and after the 2000s, when post-modernism as a style was in decline; particularly, the self-referential gestures evident in printed matter closely correspond with the 20th-century modernist graphic design, in the way that they are focused on the properties of print media. Since the 2000s, self-referentiality in graphic design tends to emphasize the material nature of printed matter, while utilizing the technical conditions of print-production and diversifying references through research. This study documents each modality and describes them through related design examples. Subsequently, this study suggests that self-referentiality in graphic design solicits proactive reading and designing, communication through shared references, and stimulates critical discourse through participation of individual designers. By applying the concept of self-referentiality established in the field of art and film, this study aims to broaden the scope of graphic design discour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