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사 사례중심으로 M&A 이후 합병조직의 기업문화 창출에 관한 연구

        이부영 서경대학교 경영문화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687

        전 세계적으로 기업들의 Global화가 추진되고 있으며, 기업들은 치열한 경쟁 속에서 성장과 생존을 위한 하나의 경영전략으로 기업 간의 인수 합병(Merger & Acquisition: M&A)를 실시하고 있다. 기존의 M&A 시장은 구조조정의 수단으로 이루어졌으나, 최근에는 외국인의 투자유치 정책 및 활성화를 위한 나라별로 각종 법규 규제 완화를 지원을 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국기업도 내수시장의 한계성을 극복하고자 Global 경영전략을 수립하여, 기술력을 바탕으로 적극적인 해외 M&A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그러나 많은 기업들이 M&A 이후 통합관리(PMI : post merger & integration)에 실패함으로써 기대했던 시너지 효과를 얻지 못 하고 있다. 조직통합은 두 개의 회사를 하나로 만드는 법적, 재무적 과정뿐만 아니라, 상이한 경영철학과 기업문화, 조직구조, 경영시스템과 프로세스를 가지고 운용되던 두 회사를 하나로 만드는 어려운 일이다. 세계 최대의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인 독일의 다임러 벤츠와 미국 크라이슬러의 M&A는 '천상 의 결혼'에서 '지상의 이혼'으로 전락한 경우라고 할 수 있다. 두 회사의 합병 실패는 재무적 요건만 고려해서는 결코 성공적인 M&A가 될 수 없다는 교훈을 남긴 사례이다, 벤츠의 독일식 제조 기술과 크라이슬러의 미국식 대량 생산력 융합이란 꿈같은 시나리오를 기대했지만, 무엇보다 두 회사의 이질적인 기업문화 충돌로 합병 시너지의 큰 걸림돌이 되었으며, 통합 구성원간의 업무 커뮤니케이션 부재, 그리고 새로운 기업문화 창출에 대한 노력 부족으로 직원의 사기 저하와 더불어 합병 시너지의 걸림돌이 되었다.(파이넨셜 뉴스, M&A로 상장다리 올라타라 (5) 사례로 본 M&A 성공과 실패의 교훈, 2014) 이렇듯 우리주변에서는 숱한 M&A가 실패로 끝나는 것을 많이 접하고 있으며, 많은 경우 그러한 실패의 중대한 이유는 문화적 측면에 충분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많은 회사들이 기업문화와 관련된 문제를 사소하게 인식하거나, 무시하거나 문제를 제대로 다루지 않아, 그 대가를 톡톡히 치르곤 한다. 기업의 구성원들이 경영진이 추구하는 전략을 마음속으로 받아들이지 않으면, 그들은 그것을 따르기는커녕 훼방 놓을 것이다. M&A 이후에 기업이 해야 중요한 원칙은 비전 제시와 리더십 그리고 성장, 초기의 가시적 성과, 기업문화 차이의 극복,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리스크 관리와 변화 관리가 필요하다.(장수용, 세종 사이버대학교, 글로벌 기업들의 기업통합 성공사례, 2015) 결론적으로 M&A에 있어서 가장 큰 성공요인은 구성원들이 조직변화를 수용하고 새로운 기업문화에 정착하여, 업무에 몰입 하였을 때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많은 기업들은 합병이후 조직 변화에 소홀이 하고 의사 결정을 내리고 있다. 물리적인 통합이 이루어졌다면 다음은 구성원이 새로운 기업문화 변화에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도록 하기 위한 조직적 노력이 필요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그 동안 상대적으로 간과되어 왔던 합병기업 구성원의 지향 가치인 기업문화 정립이 중요하다는 인식을 토대로 연구를 시작 하였다. 합병기업의 조직안정화에 대한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다양한 국내외 연구결과를 종합하였으며, M&A 기업 구성원들의 설문조사를 통하여 기업문화 변화를 진단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M&A 이후 합병기업의 비전 및 전략과 연계되는 새로운 기업문화를 정립하여 시너지를 극대화 하고 직무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대안을 제시 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M&A 기업의 새로운 기업문화를 정착하여, 조직구성원의 Mind를 향상하여 직무성과를 향상을 실현함으로서 M&A 실패를 줄이는 데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globalization of the companies being promoted around the world, companies have a mergers and acquisitions between companies with the business strategy (Merger & Acquisition: M&A) for the growth and survival in a highly competitive and conduct. While M&A is to utilize the existing restructuring measures, in recent years, a trend that supports the deregulation laws and regulations in each country and enabling the Government to attract foreign investment policy. South Korea also established the Global Corporate business strateg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domestic market, and to penetrate the technology based on active overseas M&A market. However, after many companies M&A Integration Management (PMI: Post Merger & Integration) has been unable to find synergies expected to fail. Organizational integration, as well as legal and financial process of making the two companies into one, a different management philosophy and corporate culture, organizational structure, management system and difficult to make the two companies that were operating together with the process. As such it may encounter a lot of M&A ends in failure. In many cases, significant reason for the failure is because you did not pay enough attention to cultural aspects. Many companies are aware of the corporate culture, or trivial, ignoring and do not address the issue properly, it pays a terrible price. If you do not accept the strategy of management with existing members of mind, they would rather not follow the strategy set slander. After M&A, an important principle is to have vision and leadership and growth, early in visual performance, overcoming cultural differences, facilitate communication, and risk and change management. As a result, the biggest success factors of M&A are a member acceptance of organizational change, and a new corporate culture, the immediate task commitment. But many companies do not make decisions carefully change the organization after the merger. The next step in the physical integration, membership requires organizational efforts of the management team to have a positive attitude to the new corporate culture change. The study relates to the members that have been overlooked in the meantime relatively value-oriented corporate culture that recognizes the importance formulation. Comprehensive studies were based on a variety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leading research organizations for the stabilization of the merged company, M&A survey of businesses throughout the member was diagnosed a corporate culture change. The findings of the foundation after the merger with M&A corporate vision, strategy and establish a new corporate culture that is linked to maximize synergies and wish to improve job performance.

      • 골프장 이용객들의 골프장 선택속성이 골프장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 : 골프장 이미지를 매개변인으로

        한동훈 서경대학교 경영문화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71

        골프장 이용객들의 골프장 선택속성이 골프장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 : 골프장 이미지를 매개변인으로 한 동 훈 서경대학교 경영문화대학원 경영학과 레포츠경영전공 본 연구의 목적은 골프장 이용객들의 골프장 선택속성이 골프장 이미 지에 따라 골프장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하여 이용객에게는 골프장 선택 시 합리적인 선택을 통해 골프 플레이에 만족도를 높이고 또한 골프장 경영자들에게는 이용객들의 스타일을 파악하여 효율적인 경 영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 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드 골프 경험 이 있는 골프장 이용객 531명을 대상으로 골프장 선택속성, 골프장 이미 지, 골프장 재방문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여 분석 하였으며, 구조방정식의 부트스트래핑 방법을 활용하여 매개효과를 확인 하였다. 이상의 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골프장 선택속성이 골프장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골프장 선택속성 중 네 가지의 하위요인인 편리성, 비용적절성, 코스상 태, 부대서비스는 골프장 재방문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관계가 있음을 확 인하였다. 둘째, 골프장 선택속성은 골프장 이미지에 따라 골프장 재방문에 미치 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골프장 이용객들의 골프장 선택속성과 골프장 재 방문간의 관계에서 골프장 이미지는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 였다. 본 연구에서 골프장 이용객들의 골프장 선택속성과 골프장 재방문간의 관계에서 골프장 이미지가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나타남에 따라 골프장 경영자들은 편리성, 비용적절성, 코스상태, 부대서비스 등 직접적인 유형 의 요인들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지만 ESG 경영을 기반으 로 한 사회공헌적 이미지와 같은 무형의 요인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노력 과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주제어 : 골프장 선택속성, 골프장 재방문, 골프장 이미지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olf course selection attributes of golf course users and the impact on revisiting the golf course according to the image of the golf course. The aim is to provide a basis for users to increase their satisfaction with golf play through rational choices when selecting a golf course, and for golf course managers to understand the styles of users and establish efficient management strategies.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golf course selection attributes, golf course image, and golf course revisits among 531 golf course users who have field golf experience. Using the collected surve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mediating effect was confirmed using the bootstrapping method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ese methods and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ly, the analysis of the impact of golf course selection attributes on revisiting the golf course revealed that four sub-factors of golf course selection attributes, namely convenience, cost appropriateness, course condition, and auxiliary services, all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revisiting the golf course. Secondly, the analysis of the impact of golf course selection attributes on revisiting the golf course according to the golf course image revealed that the golf course image has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olf course selection attributes of the golf course users and revisiting the golf course. In this study, as the golf course image showe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olf course selection attributes of the golf course users and revisiting the golf course, it is judged that golf course managers need continuous management for direct types of factors such as convenience, cost appropriateness, course condition, and auxiliary services, but also need continuous efforts and management for intangible factors such as a socially contributory image based on ESG management.

      • 풍수지리 이론으로 분석한 교하지역의 수도입지 적정성 연구 : - 광해군과 이의신의 천도론을 중심으로 -

        조석원 서경대학교 경영문화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655

        <Abstract> A Study on the Appropriateness of the Capital Location of the Gyoha Area from a Perspective of Geomantic Principles - Focused on the Capital Transfer Theory of Gwanghaegun and Lee Eui-shin - Seogyeo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and Culture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Major in Geomantic Principles Jo Seok-won The capital as well as territory, people and sovereignty is needed for a state to exist. The capital is a symbol of the state and the homeland of the mind, and so the state can be said to identify with its capital. There have been many discussions over the transfer of the capital in the history of Korea. But seeing that the transfer of the capital has been a problem directly related to the fate of the state, every discussion over it has led to acute controversies. Influenced by the introduction of Taoism in the Goguryeo State and the introduction of the thought of topography-based divination and the thought of Tuchen by monks pursuing Buddhist lessons in the Chinese Tang Dynasty in the late Shilla State, the Goryeo Dynasty transferred its capital to Gaegyeong on the basis of the thorough thought of Tuchen-based geography. Wanggeon's absolute deep belief in the thought of Feng-shui and Tuchen led to frequent discussions over the transfer of the capital throughout the Goryeo Dynasty, which resulted in the decline of its national power and finally in its demise. In the Joseon Dynasty, the thought of Tuchen declined and the pure art of Feng-shui had many effects on the transfer of the capital. The king Gwanghaegun made an attempt to transfer the capital of the Joseon Dynasty to Gyoha but failed to achieve it on account of the battle between the royal power and the persistent resistance to it of the forces with vested interests. This led to the vanishment of his dream of transferring the capital and to his dethronement. If the theory of transferring the capital of the Joseon Dynasty to Gyoha had come true at the reigning period of King Gwanghaegun, the current result would have been different. Seeing that the royal mausoleum of King Injo was moved to Gyoha, it must have been the auspicious site. At that time, it is not reasonable that both Fengshui specialists and court subjects have praised it highly.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ree areas, from a perspective of Feng-shui, as to whether or not Paju would be adequate as the capital of the reunified Korean peninsula. It could take a look at their land from several perspectives but attempted to approach them with Saron as Kukron by giving consideration to Rongron, Suron and Yanggiji. It can be said that the location of Galhyon-ri Tanhyeon-myon is optimal, of three areas, as the location of the capital as the office of the supreme ruler of state affairs is a core in determining the capital of the state. But in determining the location as the capital of a state Hurong of the location is weak compared to Hanyang and has the riskiness of inundation due to localized torrential downpour. The requirements for function and selection of the capital change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confronting the state over time. The capital of reunified Korea is important in playing its role after the two Koreas, the only divided countries on earth, are reunified. It can be said that Paju has more or less defects from a perspective of Feng-shui but can become a location as the capital. But if a new capital of the reunified Korea is found in the area of Panmunjeom or the Military Demarcation Line rather than Paju in order to concentrate its national power, it would contribute to the symbolicity of its reunification and national integration. This element other than Feng-shui should put before its logic. Therefore, the above-mentioned area should be a capital of reunified Korea rather than Paju by adopting the situation of the times as a superordinate concept and the logic of Feng-shui as the subordinate concept from this perspective. <국문초록> 풍수지리 이론으로 분석한 교하지역의 수도입지 적정성 연구 -광해군과 이의신의 천도론을 중심으로- 서경대학교 경영문화대학원 경영학과 풍수지리전공 석사과정 조 석 원 한 국가가 존립하기 위해서는 영토, 국민, 주권에 더하여 首都가 있어야 한다. 수도는 그 나라의 상징이며, 마음의 고향이며, 국가와 수도는 동일시 할 수도 있다 하겠다. 우리 역사상 수많은 건도 논의가 있었다. 천도가 국가의 명운과 직결된 문제이다 보니 논의가 있을 때 마다 첨예한 논쟁이 벌어지기도 하였다. 고구려 때 도교의 유입과 신라 말의 入唐 求法僧들에 의해 풍수지리사상과 도참사상이의 전래로 고려는 철저한 도참지리사상에 의해 개경을 건도하였다. 왕건의 풍수도참사상에 대한 절대적 信心이 고려 내내 도참사상에 의한 잦은 천도논의로 국력이 소진되어 왕조의 종말을 고하였다. 조선은 도참사상이 퇴조하고 순수한 풍수술이 천도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광해는 교하로의 천도를 시도하나 기득권세력의 집요한 저항과 왕권과 신권의 싸움에서 이기지 못하고 광해의 꿈은 사라지고 결국 왕위마저 잃었다. 광해군대에 교하천도론이 실현 되었더라면 결과는 달랐을 것이다. 교하가 그 후 인조의 능을 옮길 전도였으니 길지임이 분명해 보인다. 그때 풍수인이나 대신들이 극찬한 것도 무리는 아니다. 통일수도로서 파주가 적당한지 세 곳에 대해 풍수적으로 검토하였다. 땅을 볼 때에 여러 관점으로 볼 수 있으나 龍論과 水論외에 陽基地인 점을 고려하여 砂論을 局論으로 접근 하였다. 수도를 정할 때 국정의 최고 통치자의 집무소가 핵심이므로 세 곳 중에서 탄현면 갈현리가 최적이라 할 수 있다. 다만 일국의 수도로서 하기에는 後龍이 한양에 비하여 허약한 점과 집중호우로 인한 범람의 위험성이 있다. 시대에 따라 수도의 기능과 선정 요건도 그 국가가 처한 환경에 따라 변한다. 지구상 유일한 분단국인 대한민국이 통일 후 통일한국의 수도로서의 역할이 중요하다. 파주가 풍수적으로는 다소 결함은 있으나 수도로서의 입지는 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통일 한국의 수도로서 민족의 힘을 결집시키기 위해서는 파주보다는 판문점이나 휴전선 지역에서 찾는다면 통일에 대한 상징성과 국민통합에 도움이 될 것이다. 이러한 풍수외적인 요소가 풍수논리보다 우선하여야한다. 이런 관점에서 시대적 상황을 상위개념으로 하고, 풍수적 논리를 하위개념으로 하여 파주 보다는 위에 언급한 곳이 통일 한국의 수도가 되어야 하는 所以然이다.

      • 왕릉과 사대부 묘의 망주석 연구

        이윤재 서경대학교 경영문화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655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correct location of Mangjusuk among stone figures for tombs and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of the Mangjusuk. Therefore, I first studied the origins of stone figures for tombs during the Joseon dynasty, especially Mangjusuk, and to divide the site of its installation depending on royal tombs and tombs of nobilit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tandards of Mangjusuk installation through comparison. Also, Mangjusuk of China serves as a type of tomb gate that notifies the location of the tomb or village, being a markstone that possesses factual significance as a system of sign. This paper reveals that, unlike this, Mangjusuk of the Joseon dynasty not only possesses the significance as a markstone but also the significance of a Yeack music which symbolizes the sacred area of the deceased. The composition of this paper is largely threefold. First, according to True Record of the Joseon Dynasty(『王朝實錄』) and Sanreung Dogam(『喪禮圖鑑』), royal tombs were created based on the regulations and principles in Five Rites of State(『五禮儀』) and Chungwan Tongo(『春官通考』), etc. On the other hand, there seems be no books that serve as the criteria or the basis for tombs of general nobility. For such reason, the composition of installations in royal tombs, the model of stone figures for tombs, was selected as a preliminary consideration for exploring the standards on the location of installing Mangjusuk. Second, the paper explores various cases of tombs for nobility that installed stone figures without certain criteria and reference documents. According to their rise and fall, many nobility households reconstructed or installed stone figures on their own by neglecting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stone figures for tombs, damaging their significance. The culture of stone figure for tombs contains the spirit of the Korean race and the value of cultural arts with implications on the set of values and world view of totemism, Taoism, Buddhism, and Confucianism. Moreover, stone figures for tombs constitute the system that symbolizes the Yeack culture which has expressed the emotion of filial duty for ancestors from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until now. Therefore, stone figures may not be installed or reconstructed just based on the rise or fall of the family, thoughts of individual people, or political stances without following certain principles. Furthermore, the standards of China should not be followed since there are standards of Korea which have been nationally regulated. In such aspects, I selected Mangjusuk among the stone figures for royal tombs of Joseon and the tombs of nobility to present its correct standards for installation. Third, the paper considered that the location of installation and significance of Korean Mangjusuk are different from those of China. Mangjusuk of China serves as a type of tomb gate that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villages or tomb sites to serve as a markstone which notifies the location of the tomb or village. However, Mangjusuk of China not only serves as a markstone but also possesses a symbolic significance that it protects the area of the deceased. In other words, Mangjusuk contains multiple significance as follows. For royal tombs, it is a boundary stone which marks the site for burying the royal tomb, indicating the area of the deceased. In terms of Feng-Shui, this can be seen as a classification of xue and tang, and can serve to deliver the sad news in terms of Feng-Shui which seeks the harmony of yin and yang through the blue dragon and white tiger on the left and right. Also, it serves as the indicator and gate that leads to the way to heaven, the symbolic passage where the spirit goes out to the Big Dipper and then comes down again at the time of ancestral rites. Mangjusuk, which contains such various significance, can be said to express the traditional spiritual culture of Korea and the set of Feng-Shui values. In conclusion, the site of installation for Mangjusuk, which contains such various meaning, ought to be based on books like True Record of the Joseon Dynasty(『王朝實錄』), Gyeongguk Daejeon(『經國大典』), Five Rites of State(『五禮儀』), Confucian Ritualism(『朱子家禮』), and Chungwan Tongo(『春官通考』). In other words, based on the standard drawing of Joseon royal tombs, Mangjusuk should be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of tomb table, the inner part of the place where Sasung ends,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of Honusuk. 이 논문의 목적은 묘지석물(墓地石物) 중에서 망주석(望柱石)의 올바른 설치 위치가 어디인지 살펴보고, 그 망주석의 의미를 탐구하는 데 있다. 따라서 필자는 먼저 조선시대의 묘지석물, 특히 망주석의 기원과 그것이 설치된 위치를 왕릉과 사대부 묘지로 나누어 비교⦁고찰해서 망주석 설치의 기준을 살펴보았다. 중국의 망주석은 묘지나 마을의 위치를 알리는 화표(華表)로서 일종의 신호(sign)체계인 사실적 의미만을 갖는 표지석(標識石)이다. 이와 달리, 조선의 망주석은 표지석의 의미뿐만 아니라 망자의 경건한 영역을 상징하는 예악문화의 가치 의미도 포함하고 있다는 점을 밝혔다. 이 논문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첫째, ��조선왕조실록��과 ��산릉도감��의 기록에 의하면, 왕릉은 ��국조오례의��⦁��춘관통고�� 등의 규정과 원칙에 근거해 조성되었다. 반면에 일반 사대부의 묘지는 아마도 조성기준이나 근거자료인 서적이 없는 것 같다. 따라서 일정한 기준 없이 묘지석물을 설치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런 까닭에 묘지석물의 표본인 왕릉상설의 구성을 풍수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망주석 설치 위치의 기준을 탐색하는 예비적 고찰로 삼았다. 둘째, 일정한 기준과 근거문헌 없이 석물을 설치한 사대부 묘지의 여러 사례를 탐구하였다. 많은 수의 사대부들은 집안의 흥망성쇠에 따라 묘지석물이 갖는 역사적 의미를 외면한 채 자의적으로 석물을 개축하거나 설치하여 그 존재 의미를 훼손하였다. 묘지의 석물문화는 토템신앙과 도교⦁불교 및 유교의 가치관과 세계관 등이 함축된 한민족의 정신과 문화예술적인 가치가 내포되어 있다. 더욱이 묘지석물은 삼국시대부터 지금까지 조상에 대한 효도의 감정을 표현하는 예악(禮樂)문화의 상징체계이다. 따라서 가문의 흥망성쇠나 개인의 생각, 혹은 정치적 입장에 의해 일정한 원칙 없이 석물을 설치하거나 개축해서는 안 된다. 더욱이 국가적으로 규정된 한국의 기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기준을 추종해서는 더더욱 안 된다. 이런 점에서 필자는 조선 왕릉과 사대부 묘의 석물 중에서 특별히 망주석을 선택해서 그 올바른 설치기준을 제시하였다. 셋째, 한국 망주석의 설치 위치와 의미는 중국과 다르다는 점을 고찰하였다. 중국의 망주석은 화표(華表)로서 마을 입구나 묘역 입구에 설치해 마을이나 묘지의 위치를 알리는 표지석의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한국의 망주석은 이러한 표지석의 역할 뿐만 아니라, 망자의 영역과 그 영역을 수호한다는 상징 의미를 담고 있다. 다시 말해, 망주석은 다음과 같은 여러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왕릉의 경우에 하현궁을 알리는 경계석이며, 이것은 망자의 영역을 알리는 표식이다. 풍수적 사고에 의하면, 혈(穴)과 당(堂)의 구분으로도 볼 수 있고, 아울러 세호의 운동성을 통한 좌우 청룡과 백호의 음양적 조화를 추구한 풍수적 비보의 역할도 하였다. 또한 영혼이 북두칠성으로 나가는 통로인 동시에 제례 때 다시 내려오는 상징적 길, 즉 하늘의 길로 인도하는 표식이며 관문의 의미를 갖는 것이다. 이러한 다양한 의미가 함축된 망주석은 한국의 전통적인 정신문화와 풍수적 가치관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위와 같은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망주석의 설치 지점은 그 위치가 정확하게 명기되어 있는 『조선왕조실록』, 『경국대전』, 『국조오례의』, 『주자가례』, 『춘관통고』 등에 근거해야 한다. 다시 말해, 망주석은 조선 왕릉의 상설도를 표준으로 삼아, 즉 혼유석 좌우측에 연하여 사성(莎城: 활개⦁곡장)이 끝나는 지점의 안쪽인 상석 좌우에 세워야 한다고 생각한다.

      • 중년층 뷰티 라이프스타일 유형이 미용실 서비스품질 지각에 미치는 영향 : 서울 강남지역 중년층(40~65세) 거주자를 중심으로

        문지은 서경대학교 경영문화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5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beauty salon service quality according to the level of beauty lifestyle of middle-aged people, and to use it as an important basic data to increase the service quality of beauty salon management according to middle-aged people's perception of beauty salon service qualit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earch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survey,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using the SPSS 24.0 program for data analysis. First,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influence of beauty lifestyle on human services of beauty salon service quality are individuality-seeking (β=.261, t=33.336, p<.001), the ostentatious pursuit type (β=.181, t=33.179, p<.01)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human service. Seco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 of beauty lifestyle on environmental services of beauty salon service quality, and it was found that the relative influence relationship of independent variable beauty lifestyle on environmental services of service quality was not significant. Third, as a result of conduct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influence of beauty lifestyle on technical services of beauty salon service quality, individuality-seeking type (β=.239, t=2.986, p<.01), a display-seeking form (β=.118, t22.019, p<.05)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echnical services. Fourth, as a result of conduct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influence of beauty lifestyle on customer care services of beauty salon service quality, the trend-seeking type (β=.205, t=2.717, p<.01), a show-off pursuit type (β=.142, t=2.506, p<.05)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customer management services. In summary, the beauty lifestyle of the middle-aged was partially influenced by the service quality of the beauty salon, and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service quality factors necessary for the management of the beauty salon. Based on these results, in the process of preparing services necessary for beauty salon management, efforts should be made to increase the level of service for factors other than services that middle-aged people want.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층의 뷰티 라이프스타일 수준에 따라 미용실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었으며, 미용실 서비스 품질에 대한 중년층의 인식에 따른 미용실 경영에 필요한 서비스 품질을 증대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문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4.0 program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뷰티 라이프스타일이 미용실 서비스 품질의 인적 서비스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개성 추구형 (β=.261, t=3.336, p<.001), 과시 추구형 (β=.181, t=3.179, p<.01)이 인적 서비스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뷰티 라이프스타일이 미용실 서비스 품질의 환경 서비스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독립변수인 뷰티 라이프스타일이 서비스품질의 환경 서비스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 관계는 유의미한 관계가 성립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뷰티 라이프스타일이 미용실 서비스 품질의 기술 서비스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개성 추구형 (β=.239, t=2.986, p<.01), 과시 추구형 (β=.118, t=2.019, p<.05)이 기술 서비스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뷰티 라이프스타일이 미용실 서비스 품질의 고객관리 서비스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유행추구형 (β=.205, t=2.717, p<.01), 과시추구형 (β=.142, t=2.506, p<.05)이 고객 관리 서비스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해보면 중년층의 뷰티 라이프스타일은 미용실 서비스 품질에 부분적인 영향 관계가 성립하였으며, 이를 통해 미용실 경영에 필요한 서비스품질 요인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미용실 경영에 필요한 서비스를 준비하는 과정에서는 중년층이 원하는 다양한 서비스 수준이 높아지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 지형지세를 활용한 상권 및 점포입지의 풍수론적 연구 : 서울시내4개 대학상권을 중심으로

        안호형 서경대학교 경영문화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655

        점포입지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같은 금액이면 조금이라도 좋은 상권, 좋은 입지에서 하고자하는 업종을 한다면 실패를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 창업자들이 좋은 상권, 좋은 입지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오랜 부동산 경험과 노하우에 풍수지리이론을 접목 시켜 관찰해 보았다. 점포입지는 영업을 준비하는 창업주들에게 가장 중요한 성공과 실패 원인이다. 그래서 창업을 하는 업주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본 논문을 연구하고 작성하게 되었다. 서울시내4개 대학상권을 중심으로 지형지세가 점포입지에 미치는 영향을 현실에 맞게 비교 분석하고 풍수론 적 연구를 통하여 접근한다면 점포입지분석 시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보고, 상권 배후지라 할 수 있는 대학교 4곳을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A권역은 배후지 주변, B권역은 배후지에서 지하철역 및 다른 배후지 사이, C권역은 지하철역 주변 및 배후지가 연결되는 곳으로 정하고 점포 두 곳을 선정하여 점포이력과 추정매출액을 인터넷 사이트 BC카드(스토아스토리),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상권정보시스템 등을 참조하고, 관찰대상점포를 방문해 지형지세 중 물길을 중심으로 주변을 확인하고 점포내역도 확인하였다. 쾌적성을 추구하는 주택풍수와 고객의 마음을 움직여서 이윤을 추구해야하는 상가풍수는 서로 입지조건이 다름을 연구하였다. 주택풍수는 배산임수와 타고 들어오는 맥이 중요하고 물이 굽이굽이 집을 향해 다가오면 좋으며 주산이 봉긋하면 더욱 좋게 본다. 하지만 상가풍수는 지형지세 중 배후지인 사격과 도로인 물길의 형태가 중요한데, 주거지는 물길에 위치하면 소음과 위험성으로 쾌적성을 잃어버리지만 점포입지는 물인 고객이 물길을 따라 도로를 따라 차량과 도보로 이동하기에 물길과 접해있어야 했다. 상권은 와혈인 소쿠리모양의 지형 안에 점포가 입지해 있느냐가 중요하였다. 물이 고이고 서서히 빠져 나가 듯이 사람이 모이고 고객이 되었다. 평지이거나 점포입구로 경사가 있는 점포는 고객이 편안하게 이용을 하면서 영업이 잘 되었다. 반면에 경사가 있는 점포는 물이 빠르게 흐르듯이 유동인구의 속도가 빨라 영업의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폭이 넓은 도로는 물인 사람이 차량으로 더욱 빠른 속도로 이동을 하거나 도보로 빠르게 이동을 했고, 넓은 도로를 경계로 양쪽에 동일 경쟁점포가 있을 때 비록 횡단보도가 있다 하더라도 적은수의 고객이 건너편으로 건너가서 점포를 이용했다. 지상으로 지나가는 철길과 같이 넓은 도로가 상권단절요인을 만들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배후지 인구의 규모와 버스정류장, 지하철역 등을 통한 유입인구의 수는 유동인구의 수를 결정했고 유동인구의 성별 연령대별 비율은 상권의 크기를 결정했다. 점포입구는 물길의 형태에 의해서 달랐다. 도로가 평지이거나 입구 쪽으로 경사가 살짝 있는 점포는 점포이력이 복잡하지 않았고 매출액이 대부분 높았다. 하지만 도로가 경사가 있거나 입구 반대쪽으로 경사가 조금 있고 안으로 들어간 경우의 점포는 점포이력이 복잡하고 매출액이 대부분 낮았다. 대부분의 점포가 업종에 맞는 적절한 평수를 찾아서 평수는 적당했다. 주택입지와는 다르게 상가입지에서 배산임수는 크게 비중을 차지하지는 않았고 물길과 접해있는 점포는 방향도 영향을 많이 미치지 않았다. 경쟁업체의 유무는 점포이력과 매출에 많은 영향을 주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권리금과 임대료가 높거나 낮은 점포는 이러한 요인에 의해서 거의 대부분 결정이 되었다. 지형지세가 점포입지분석에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항목임을 보여주고 있음을 연구 하였다. 따라서 점포입지분석 시에 풍수지리이론을 적극 활용한다면 효율적인 입지선정으로 창업자는 실패를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 In determining the store location, the type of business opened in a good trade area and in a good location if possible could minimize its failure under the condition of the same rent.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ed to observe the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topography-based divination to long experiences and knowhow about real property to assist business founders in determining a good trade area or a good location. The store location is the most important cause of failure and success for business founders in preparing their operations. So this study came to investigate a Feng-shui study of the trade area and store location using geographical features in order to help business founde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select and survey four colleges of trade-area hinterlands under the understanding that an attempt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ffect of geographical features on the store location with a focus on four college trade areas in Seoul to fit the reality and to approach it through Feng-shui theoretical study could make a great contribution to store location analysis. The 'A' area was set as around the hinterland, the 'B' area was set as between the subway station and the hinterland and the 'C' area was set as the place connected between the place around the subway station and the hinterland. And two stores was selected. To find out their store history and estimated sales, this study attempted to consult the Internet website BC Card(store story) and the trade area information system of Small Enterprise and Market Service(SEMAS), visit the store subject to observation, check its perimeter with a focus on the water route of geographical features and check the store histor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locational condition between housing Feng-shui pursuing comfortableness and store Feng-shui moving the customer's mind and pursuing profits. In case of the housing Feng-shui, the housing site, which is back to the mountain and facing the water and towards which water comes meanderingly, is considered to be good and to be better if the main mountain is gently high. But in case of store Feng-shui, Sageok corresponding to the hinterland and the form of water route corresponding to the road, geographical features, are important, but if a place of residence is located on the water route, it comes to lose comfortableness due to noise and riskiness. But the store should border on the water route as the customers corresponding to water, and the traffic moves along the road corresponding to the water route and along the sidewalks. In relation to the trade area, whether or not the store is located in the basket-shaped terrain, the external point, is important. People come along and become customers as water stagnates and then slowly flows out. On the other hand, the store located on the slope has difficulty in operation because of the rapid speed of the floating population as water flows rapidly on the slope. On the road of large width, people corresponding to water have moved by car at a faster velocity or on the sidewalks. And when the competitive stores engaged in the identical business are located on both sides with the wide road as the boundary, a small number of customers have crossed to the other side and used the store though there is the crossing. The broad road like the railroad passing underground was found to make the factor of cutting off the trade area. The size of the hinterland population nd the number of the incoming population through bus stops and subway determined the number of the floating population and the percentage of the floating population by gender and by age determined the size of the trade area. The store lease varied according to the form of water route. The store, on which the road is on the flat land or towards which the small slope exists, has the uncomplicated history and high sales for the most part. But the store, on which the road is sloped and the opposite side of whose entrance is uncomplicated, has high sales for the most part. But the store, on which the road is a little sloped or towards the opposite side of whose entrance there is the slope and which is located inside, has the complicate history and low sales for the most part. Most of the stores have the floor space suited to the type of business. In case of the store location, unlike the housing location, being back to the mountain and facing the water is not greatly important, and in case of the store bordering on the water route, the direction has an effect on sales. The store whose goodwill and rent are high or low is almost determined by this factor. If was found that geographical features, topography, are the item of high weight in store location analysis. Accordingly, the active use of the theory of divination based on topography in store location analysis could enable business founders to minimize their business failure through efficient location selection.

      • 품질분임조 개선 활동 활성화를 위한 개선변리사 제도 도입 실증 연구

        박완복 서경대학교 경영문화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655

        KS Q ISO 9000:2015에 따르면 개선(Improvement)이란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활동이고, 지속적 개선(Continual Improvement)이란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반복하는 활동을 의미하며, 조직은 품질경영시스템의 적합성과 적절성 및 효과성을 지속적으로 개선하여야 한다. 개선 활동 중 기업에 큰 영향을 미쳤던 도구는 TPM (Total Productive Maintenance)이었다. 일본에서 전파된 TPM은 많은 기업의 생산시스템의 효율화와 체질 개선에 큰 효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진단과 Step Pass 제도는 조직 간의 경쟁 유발, 실적 따른 줄 세우기 등을 불러왔다. 또한 리더의 실적을 위한 강압적 지시는 구성원의 반발로 이어지고 품질분임조 활동의 축소 또는 중단으로 이어졌으며, 개선 활동의 거부로 전개되었다. TPM이 중단으로 품질분임조 활동을 경험하지 못한 구성원들은 개선 활동을 수행해야 하는 목적과 의미에 둔감하고, 필요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등 부정적이었다. 반면 경험이 있는 구성원은 품질분임조 활동에 대한 열의는 있으나 복잡한 문제해결 기법에 대한 이해 부족, 체계적인 표현력 부족 그리고 주 52시간 근무로 인해 근무 중 개선 활동 시간이 부족해서 품질 개선 활동을 미루거나 중단 또는 포기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은 기업 내의 품질분임조 개선 활동을 구성원의 자발적 참여 유도하고, 이를 단편적 개선에 그치지 않고 지속적 개선으로 연결하기 위해 품질인이 개선변리사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현장 구성원은 자율적으로 품질분임조 활동을 하면 품질인은 현장의 품질분임조 활동을 개선변리사 제도로 지원을 하고, 조직은 정책적으로 동기부여를 지원하는 모델이다. 여기서 개선변리사는 특허변리사가 발명에 대한 출원서를 작성하는 것과 유사하게 품질 개선 내용에 대한 제안서를 체계적으로 작성한다. 그리고 변리사가 특허청에 특허를 등록하는 것과 유사하게 개선 결과와 관련된 표준의 범위를 파악하고 이를 등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개선 변리사 활동을 600명 규모의 조직에 적용하고 이를 실증한 결과 적용 전인 2016년과 2017년은 각각 9건과 8건에서 적용 후인 2018년과 2019년 8월말 현재 181건과 162건으로 기하급수적으로 과제 완료 건수가 증가 되었다. 또한 표준 등록 건수 역시 개선변리사 제도 적용 전인 2016년과 2017년은 모두 1건으로 저조 했지만, 적용 후인 2018년과 2019년 8월말 현재 64건, 71건으로 역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했다. 이처럼 개선변리사 제도의 도입으로 기업에서 수행하는 품질분임조 개선 활동에 동력이 살아나는 것이 실증된 것이다. According to KS Q ISO 9000: 2015, Improv- ing is an activity to improve performance, and Continuous Improvement means an iterative activity to improve performance. Effectiveness must be continually improved. The tool tha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ompany during the improvement activities was TPM (Total Productive Maintenance). The TPM spread in Japan has had a great effect on improving the efficiency and constitution of many companies' production systems. However, diagnosis and step pass systems have brought about competition among organizations and line-up according to performance. In addition, the coercive instruction for the leader's performance led to the backlash of members, the reduction or suspension of small group activities, and the rejection of improvement activities. Members who did not experience small group activities due to the discontinuance of the TPM were negative, insensitive to the purpose and meaning of the improvement activities and questioning the necessity. Experienced members, on the other hand, are enthusiastic about small group activities, but lack of understanding of complex problem-solving techniques, systematic lack of expressiveness, and lack of improvement activities on the job due to 52 hours of work, delaying, stopping or giving up quality improvement activities. It was confirmed. This paper argues that the quality person should play the role of an improvement patent attorney in order to induce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members in the company's small group improvement activities and to connect it to continuous improvement. On-site members voluntarily conduct small group activities. Quality workers support on-site small group activities with improved patent attorneys, and the organization supports policy motivation. Here, the patent attorney systematically prepares a proposal for quality improvement, similar to that of a patent attorney. The patent attorney is responsible for identifying and registering the scope of the standard related to the improvement result, similar to the patent attorney. As a result of applying these improved patent attorneys to an organization of 600 peopl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ed exponentially from 9 cases and 8 cases before 2016 to 181 cases and 162 cases as of the end of August 2018 and 2019 after application. The number of tasks completed has increased. In addition, the number of standard registrations was low in both 2016 and 2017 before the application of the improved patent attorney system, but increased exponentially to 64 and 71 as of 2018 and the end of August 2019. The introduction of the improved patent attorney system has proved to be a driving force for small group improvement activities performed by companies.

      • 6시그마 개발BB 선발 및 양성모형에 대한 실증 연구

        장동관 서경대학교 경영문화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55

        Most companies put a lot of effort into maintaining the sustainability of survival and growth, and are constantly agonizing over it. In order to strengthen corporate competitiveness in a rapidly changing market environment, various management innovation activities were proposed and appli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company. Therefore, in order to maintain corporate continuity, if there is even a small clue to increase corporate competitiveness, it has always moved for customer satisfaction. For successful 6 Sigma activities, the more various conditions are satisfied, the more certain results can be achieved. Based on this, it is necessary to support project managers or team members to achieve excellent results before starting a project.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success and failure of the project are determined by the person in charge and team members. Therefore, excellent manpower must be secured so that the 6 Sigma project can be successfully carried out, and it is also very important to train manpower to demonstrate ability. In order to secure excellent belt manpower and improve the level, it is necessary to train belts for each functional organization, and to supplement the existing system, the selection and training model for BB is proposed to activate effective 6 sigma activities. The existing belt manpower selection and training process was uniformly and uniformly selected and nurtured regardles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functional organization. Based on Company L's case, it suggests limitations on the selection and training model of BB personnel among the existing 6 sigma belts, and compensates for vulnerabilities through comparison with other companies. Based on this, a selection and training model was proposed for BB candidates belonging to the development team among the functional organizations and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empirical analysis. In order to propose and demonstrate the research model, it was carried out through the following five steps based on Company L's certification system. First, existing studies on the 6 sigma process, success factors, and belt system were analyzed. The success factors suggested by previous researchers could be largely summarized as common topics of managerial interest, education and training, and compensation.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raining belt manpower is a major success factor for 6 Sigma innovation activities. Second, the existing BB selection and training model was analyzed, and the role and certification system of BB were confirmed. Company L's uniform belt system was used as a basis for establishing a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by grasping the current level. Third, a development BB selection and training research model was proposed. Those eligible for BB education will be selected through an additional point system that reflects their team experience, GB activity performance, and completion of specific education. In the training process, the design considering the costs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organization, the development quality improvement process, and the idea development method were reflected and nurtured. Fourth, a survey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development BB selection and training process to demonstrate the development BB selection and training model. The results of the survey confirmed the average difference before and after implementation through paired analysi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atisfaction level after the selection of the development BB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positive model was high. Finall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expertise can be developed by applying selection and training courses suitable for functional organizations, and that 6 sigma innovation activities can be properly carried out through activities suitable for each function, not unique activities of quality and production departments. In addition, the limitations of candidate selection evaluation through optimization of operations, accumulation of know-how, and interviews were presented to present limitations and plans that require in-depth research in the future. 대부분의 기업들은 생존과 성장의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끊임없이 고민하고 있다. 급격히 변화하는 시장 환경 속에서 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경영혁신 활동을 제안하고, 기업의 실정에 맞게 적용되었다. 따라서 기업의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기업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작은 단서라도 있다면, 고객 만족을 위해 항상 움직이는 시대가 되었다. 성공적인 6시그마 활동을 위해서는 다양한 조건들을 만족할수록 확실한 성과를 이룩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프로젝트 담당자 또는 팀원들의 능력 훌륭한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뒷받침 해줘야 한다. 프로젝트의 성공과 실패는 담당자와 팀원에 의해서 결정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6시그마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우수한 인력이 확보되어야 하며,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인력을 양성하는 방법 또한 매우 중요하다. 우수한 벨트 인력 확보와 수준 향상을 위해 기능조직별 담당 벨트가 양성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기존의 제도를 보완하기 위해 벨트인력 중 BB에 대한 선발 및 양성모형을 제안하여 효과적인 6시그마 활동이 활성화 되도록 하고자 한다. 기존 벨트인력의 선발 및 양성과정은 기능 조직의 특성과는 무관하게 획일적이고, 일률적으로 선발 및 양성되었다. L사의 사례를 바탕으로 기존 6시그마 벨트 중 BB 인력의 선발 및 양성모형에 대한 제한점을 시사하고, 타사와의 비교를 통해 취약점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기능 조직 중 개발팀에 소속된 BB 후보자들을 대상으로 선발 및 양성모형을 제안하여 문헌 연구와 실증분석을 통해 진행하였다. 연구모형 제안 및 실증은 L사의 인증제도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5단계를 통해 진행되었다. 첫째, 6시그마 프로세스, 성공요인 및 벨트 제도에 대한 기존 연구를 분석하였다. 선행 연구자들이 제시한 성공요인은 크게 경영자의 관심, 교육 및 훈련, 보상의 공통 주제로 정리될 수 있었다. 즉, 벨트인력 양성은 6시그마 혁신활동의 주요 성공요인임을 알 수 있다. 둘째, 기존 BB 선발 및 양성 모형을 분석하고, BB의 역할 및 인증체계를 확인하였다. L사의 획일적인 벨트제도 현수준을 파악하여 연구모형 및 가설을 설정하는 근거로 활용하였다. 셋째, 개발BB 선발 및 양성 연구모형을 제안하였다. 소속팀 경력, GB 활동 성과, 특정 교육 이수 여부를 반영한 가산점 제도를 통한 BB 교육 대상자를 선발한다. 양성과정에서는 개발조직에 필요한 원가를 고려한 설계, 개발품질 향상과정, 아이디어 발상법 등을 반영하여 양성하였다. 넷째, 개발BB 선발 및 양성모형을 실증할 수 있도록 개발BB 선발 및 양성과정 실시 전과 실시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쌍체 분석을 통해 실시 전과 실시 후의 평균 차이를 확인하였고, 개발BB 선발 및 양성모형 실시 후의 만족도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기능조직에 적합한 선발 및 양성과정을 적용하여 전문성을 키우고, 6시그마 혁신활동은 품질 및 생산부서의 고유한 활동이 아닌 각 기능에 맞는 활동을 통해 적절히 수행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기업 환경에 따른 운영최적화와 노하우 축적, 인터뷰를 통한 후보자 선발평가의 한계를 제시하여 향후 심층연구가 필요한 한계점과 계획을 제시하였다.

      • 조선시대 행궁의 역사와 풍수론 연구 : 남한산성행궁을 중심으로

        빈경민 서경대학교 경영문화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논문의 목적은 남한산성행궁을 중심으로 행궁의 역사와 풍수지리적 연구를 통해 조선 시대 행궁의 역사 문화적 가치를 고찰하는 데 있다. 남한산성행궁은 유사시 왕의 보장지로 건축되었지만, 평시에는 유수가 그 지방을 관리하였던 다목적 행궁이다. 최근까지 인근 도시민의 휴식처나 식당가로 인식되었지만, 남한산성은 백제, 신라, 고려를 거쳐 조선 시대까지 국가의 전략적 요충지였고 적의 침입 시 한 번도 패한 적이 없는 천혜의 요새였다. 특히 산성 내에는 행궁과 함께 조상의 신주를 모실 수 있도록 좌전과 우실을 갖추고 있어 왕이 머물 때 조상도 함께 모시어 국가 정사를 계속할 수 있는 보장지 역할을 하였고 평상시에는 정2품 유수가 지역을 관리할 정도로 국가 통치 차원에서도 중요한 위치에 있었다. 남한산성행궁은 인조 때 청나라와 긴장이 고조되고 이괄의 난을 겪은 후 남한산성 축성과 함께 축조되었다. 이후로도 숙종, 영조, 정조 등 여러 왕대에 걸쳐 증⦁개축을 하며 관리되어왔지만 일제 강점기에 광주부 읍치를 경안으로 이전하면서 행궁과 관아건물은 그 용도를 잃게 되었고 많은 건물이 소실되었다. 현재의 행궁 건물은 1990년대 들어 국가유적지로서 남한산성의 중요성이 인식되면서 행궁터의 정비와 행궁의 복원 작업이 시작되었고 2011년까지 내행전, 외행전, 좌전, 한남루 등 주요건물을 복원하였다. 이런 노력으로 2014년 6월 우리나라에서 11번째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정약용은『민보의(民堡議)』에서 산성을 축성하는데 제일 좋은 입지조건으로 사면이 높은 봉우리이고 가운데 오목하니 파여 있는 고로봉 형이 최고라 하였는데 남한산성이 이와 같다 하였다. 이렇게 나성(羅城)형으로 둘러싼 보국 안의 남한산성행궁은 검단지맥의 근간을 이루는 청량산의 주봉에서 내려오는 주맥 선상에 위치하여 청량산의 강한 기운을 받고 있다. 『금낭경(錦囊經)』에 “기는 바람을 타면 흩어진다.”라고 하는데 고로봉 형의 보국 안에 있는 남한산성행궁은 현무, 청룡, 백호, 주작이 기가 흩어지지 않도록 훌륭한 역할을 하는 용진혈적(龍眞穴的) 자리라고 할 수 있다. 남한산성행궁 내 건물 중 신좌을향으로 자리한 외행전의 자리를 살펴보면 음래양수(陰來陽收)의 기울기 변화와 신입수한 용맥 중 가장 넓은 터와 외삼문 근처에서 용맥이 끝남을 알리는 전순을 근거로 보아 혈의 결지는 외행전에 자리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물 또한 분지 내 여러 곳에서 나와 한 곳으로 모여 나가는 다득일파(多得一破) 형국에 서출동류로 빠져나가 길하다 할 수 있다. 또한, 가상의 3요소인 배산임수와 전저후고, 전착후관 측면에서 보아도 모두 원칙에 부합한다. 음양오행의 조화를 중시하는 이기론적으로 검토하면 팔십팔향법은 정묘향(正墓向)으로 길격이고 사국수법은 왕궁(旺宮)에서 득수하고 절궁(絶宮)으로 파구하는 길격이다. 선천산법은 입수룡이 탐랑(貪狼)으로 길격이고 사국용법은 신입수룡이 관대룡(冠帶龍)으로 길격에 해당한다. 남한산성행궁 축조 당시에 직접적인 풍수적 검토기록을 찾는 데 어려움이 있다. 이로 인해 축조 당시 시대적으로 급박한 상황으로 풍수적 검토가 없었을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하지만 이번 연구를 통하여 풍수지리적 관점에서 점검해 본 결과 남한산성행궁은 매우 좋은 자리에 위치한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축조 당시의 풍수적 검토기록의 유무를 떠나서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삶의 터전을 정하는 조상들의 지혜를 볼 수 있는 점이기도 하다. 오랫동안 삼전도의 치욕으로 기억되던 남한산성이 이제 남한산성행궁의 생기를 받아 품격 있고 사랑받는 세계문화유산으로 남기를 기대한다. 주제어: 남한산성, 남한산성행궁, 행궁, 풍수, 풍수지리, 세계문화유산

      • 정리수납 교육의 참여 동기가 교육만족도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김혜경 서경대학교 경영문화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55

        Abstract A Study on the Effect of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Organized Storage Education o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Happiness -For Adult Learners- Graduate School of Business and Culture, Seokyung University Department of Health and Welfare Management Kim Hye-kyung Reflecting the recent social trend in which professional interest in "Organization Storage Education" and "Organization Storage Experts" has increased despite the covid-19 situation,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happiness. To this end, onlin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adult learners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who participated in organized storage education to conduct empirical analysis based on related prior research. Of the 384 questionnaires recovered, 342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excluding 42 unfaithful and missing responses. Based on the final 342 samples, we verify the reliability, feasibility, and fit of our research model to verify a total of four hypotheses.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ee factors of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of adult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organized storage training were identified as goal-oriented, activity-oriented, and learning-oriented motivation having a positive effect on euphoria.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goal-oriented, activity-oriented, learning-oriented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which are three factors for adult learners participating in organized storage education, it has a positive effect on education satisfaction. Goal-oriented adult learners are analyzed to have high educational satisfaction with obtaining certificates, certificates, and professional knowledge or skills necessary to achieve what they plan through theory and practice. This is analyzed as an increase in interest in organized storage education, which leads to a new job called "Organization Storage Expert" in a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 Third, as a result of simple regression analysis for testing the hypothesis betwee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euphoria of adult learners who completed organized storage education, the higher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level, the higher the happiness level, the higher the assumption (+). Fourth,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mediated effects of educational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happiness of adult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organized storage education, it was verified that educational satisfaction is partially mediated in three factors: goal-oriented, activity-oriented and learning-oriented. Fifth,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job retention and absence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results of educational persistence, it was found that more adult learners with jobs and educational persistence participated in organized storage educa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hich has been summarized based on the results so far, are as follows. First, it is meaningful that research on clean-up storage education, which had little educational and academic motivation, identified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Houle (1961),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euphoria, and verified an integrated model of educational satisfaction mediated effect analysis. Nowadays, interest in "Organization Storage Education" and "Organization Storage Experts" is growing, and professional, detailed, and diverse parts of education are needed based on the results of adult learners' participation (target-oriented, activity-oriented, and learning-oriented). Keywords: Education for organized storage,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educational satisfaction, happiness. 국문초록 정리수납 교육의 참여 동기가 교육만족도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 서경대학교 경영문화대학원 보건복지경영과 김혜경 코로나19상황 속에서도 ‘정리수납 교육’과 ‘정리수납 전문가’에 대한 직업적 관심이 높아진 최근의 사회적 흐름을 반영하여, 본 연구에서는 정리수납교육에 참여 성인학습자들의 참여 동기가 정리수납 교육에 대한 만족도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및 참여 동기에 따른 각 변인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규명하고, 참여 동기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교육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관련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실증분석을 하기 위하여 정리수납교육에 참여한 서울, 경기, 인천의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회수된 384건의 설문지 중에서 불성실하고 결측치가 있는 응답지 42건을 제외하고 342건의 응답지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최종 342건의 표본을 바탕으로 연구모형의 신뢰성과 타당성, 적합도를 확인하여 총 4개의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리수납 교육에 참여한 성인학습자의 참여 동기 세 가지 요인인 목표지향형, 활동지향형, 학습지향형 동기는 행복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참여 동기의 요인별로 살펴보면, 활동지향형, 학습지향형 요인에 비해 목표지향형이 더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리수납 교육에 참여한 성인학습자의 참여 동기 세 가지 요인인 목표지향형, 활동지향형, 학습지향형과 교육만족도의 영향 관계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에 의하면 목표지향형, 활동지향형, 학습지향형 순으로 교육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표지향형 성인학습자들은 수료증이나 자격증 취득, 계획하고 있는 일을 성취하는데 필요한 전문적 지식이나 기술을 이론과, 실기를 통해 얻는 것에 대한 교육적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정리수납 교육에 참여한 성인학습자의 교육만족도와 행복감 간의 가설 검정을 위한 단순회귀분석을 실행한 결과 교육만족도가 높을수록 행복감이 정(+)의 방향으로 높아졌다. 즉, 교육만족도가 종속변수인 행복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리수납 교육에 참여한 성인학습자의 참여 동기와 행복감의 영향관계에서 교육만족도의 매개효과 분석의 결과에 의하면, 교육만족도가 참여 동기의 세 가지 요인인 목표지향형, 활동지향형 그리고 학습지향형에 부분매개하고 있는 것이 검정되었다. 다섯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서 직업 유·무의 특성과 교육지속의도에 따른 결과를 살펴보면, 직업을 가지고 있고 교육지속의도를 가진 성인학습자가 정리수납 교육에 더 많이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급속하게 변화하는 사회적 환경 속에서 ‘정리수납 전문가’라는 새로운 직업으로 가는 정리수납 교육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분석된다. 지금까지 결과를 토대로 정리한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그동안 교육 및 학술적으로 거의 없었던 정리수납 교육에 대한 연구를 Houle(1961)의 참여 동기와 교육만족도, 행복감 간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고 교육만족도의 매개효과 분석에 대한 통합적 모형을 검증 하여 향후 연구를 위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한 데 의의가 있다. 실무적인 부분에서는 ‘정리수납 교육’과 ‘정리수납 전문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요즘, 성인학습자의 참여 동기(목표지향형, 활동지향형, 학습지향형)가 교육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부분에 대한 결과를 바탕으로 정리수납 교육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들의 다양한 욕구와 동기에 맞는 전문적이고 세부적이며 다양한 부분의 정리수납 교육 프로그램개발들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키워드 : 정리수납 교육, 참여 동기, 교육만족도, 행복감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