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터넷 교육방송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 부산 에듀넷을 중심으로

        황장섭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실시간 학습 및 원격교육을 결합한 교육정보화 모델로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인터넷 교육방송 중, 부산광역시 교육연구정보원에서 운영하고 있는 부산에듀넷 VOD 인터넷 교육방송의 이용자라고 할 수 있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특성을 분석하여 향후 학교 현장에서 요구되는 VOD 동영상 컨텐츠 개발 및 그 활용 방향과 전반적인 운영의 질적 향상 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 소재 6개 교육청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을 비례 유층표집하고 표집 비율은 5%로 하여 20개 초등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남교사 105명, 여교사 394명 총 49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적용한 설문지는 부산에듀넷 인터넷 교육방송의 운영 및 활용에 대한 인식과 부산에듀넷 인터넷 교육방송의 효과성 부분에 대한 인식 그리고 부산에듀넷 인터넷 교육방송의 발전가능성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연구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부산에듀넷 인터넷 교육방송의 운영실태에 대한 인식은 대체로 모든 교사들이 이러한 교육자원에 대해 알고 있지만, 공식적인 경로를 통해 정보를 접하지는 못하고 있었다. 둘째, 부산에듀넷 인터넷 교육방송 활용은 교수-학습의 간접적인 활용의 형태로 이루어지기를 바라고 있고, 대부분의 교사들은 교수-학습에 활용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부산에듀넷 인터넷 교육방송의 교육적 효과성에 대한 인식은 남교사가 여교사에 비해 더욱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었지만, 학년별, 연령별 차이는 없었다. 넷째, 부산 에듀넷 인터넷 교육방송의 발전가능성에 대한 인식은 대체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통해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현장에서 BEIB에 대한 홍보와 활용에 관한 직무연수 등의 활발한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교사들의 현장 활용을 높이기 위해 현재 BEIB에 개발 탑재된 VOD 동영상자료의 목록을 온라인이나 오프라인을 통해 교사들에게 수시로 제공되어져야 하며 접근의 용이성 확보를 위해 VOD 동영상자료의 검색 체제도 메타 데이터에 의한 학교급별, 학년별, 교과목별, 주제별로 좀 더 세분화하여 보다 손쉬운 검색이 되도록 강구되어야 하겠다. 셋째, BEIB의 컨텐츠 유형의 다양화를 통하여 보다 폭넓은 자료 공유의 체제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넷째, 보다 활발한 인터넷 교육방송에 대한 추후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e-Learning이나 원격교육 활용 등, 교수-학습분야에서 인터넷의 영향력이 높아지고 더욱 확대, 적용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다양한 추후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d Edunet run by Busan Educational Research & Information Institute as the users of its VOD services. Since educational webcasting has newly been highlighted as an efficient online education model that features a combination of real-time learning and distance education. The present study intends to extend the knowledge base in the area of developing and managing VOD contents which meet the school need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99 teachers who worked at 20 elementary schools under the six different school districts in the city of Busan. They were selected by 5% proportional stratified sampling, and included 105 males and 394 female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questionnaires to see how they perceived the management, utilization and effectiveness of Busan Edunet and its possibility of development.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ir awareness of Busan Edunet, all the teachers investigated were cognizant of this sort of educational resources, but they didn't acquire detailed information on that through formal routes. Second, concerning its utilization, they wanted it to be used in a secondhand manner, and most of them intended to apply it to their instructions. Third, as to the effectiveness of Busan Edunet, the male teachers viewed it more favorably than the females, but their age and the school year of their students made no significant differences to their view. Fourth, regarding the possibility of its development, they generally had a high opinion about that. Based on the above-mentioned findings, there are some suggestions: First, school should put more efforts into publicizing BEIB(Buasan Educational Internet Broadcasting) and providing on-the-job training for teachers to learn how to take advantage of it. Second, online or offline information about BEIB's VOD animation contents lists available should be offered to teachers on demand, and an easy-to-use retrieval system should be prepared by using meta-data by school grade, school year, subject and theme to allow teachers to gain easier access to VOD animation materials. Third, in order to diversify BEIB contents, it's required to build an extensive network to share information. Fourth, more intensive research efforts should be dedicated to the field of educational webcasting. As the Internet is expected to have a greater impact on education owing to its unique features including e-learning and distance education, studies of diverse approach should be fulfilled on a long-term basis.

      • 중간관리자의 감성리더십이 치위생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승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79

        중간관리자의 감성리더십이 치위생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 승 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행정과 리더십전공 (지도교수 박 상 완) 감성리더십은 리더와 구성원의 조직 내 갈등상황을 긍정적으로 변화시켜 구성 원들의 감성을 이해하고 지지해주는 역할을 함으로서 직무에 대한 만족을 높이고 이직의도를 낮출 수 있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치과종사자인 치위생사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중간관리자의 감성리더십이 치위생사들의 직무만족 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치과계의 인력난을 낮출 수 있는 기 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자는 부산에서 근무하는 치위생사 80명으로 감성리더십, 직무만족, 이 직의도에 관한 설문지를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고, 치위생사의 배경 변인은 백분율로 산정하고 치위생사 가 지각하는 중간관리자의 감성리더십,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대한 정도는 평균 과 표준편차를 사용하였다. 중간관리자의 감성리더십,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의 차 이는 t-test, ANOVA를 이용하여 Bonferrini 사후검정을 진행하였다. 변수들의 상 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고, 도구는 Cronbach’α값을 사용하여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치위생사의 일반적 특성에 중간관리자의 감성리더십과 직무만족, 이직 의도의 정도는 감성리더십이 3.17점으로 파악되었고, 감성리더십의 하위요인 중 자기인식능력이 가장 높은 평균을 도출하였다. 직무만족에 대한 분석에서는 3.02 점, 이직의도는 3.25점으로 산출되었다. 둘째, 중간관리자의 감성리더십과 직무만족, 이직의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근무년수에 따른 감성리더십에서는 하위요인인 사회적인식능력에서 10년이상 4.25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근무년수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에서는 10 년이상 3.67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혼상태에 따른 이직의 도 차이에서 미혼 3.33점, 기혼 2.94점으로 산출되어 미혼의 이직의도가 기혼보 다 높음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간관리자의 감성리더십, 직무만족, 이직의도간의 상관관계분석 결과, 감성리더십과 직무만족은 정적(+)상관관계를, 이직의도는 부적(-)상관관계를 보 여주었다. 넷째, 중간관리자의 감성리더십이 직무만족,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직무만족에 감성리더십의 하위요인인 자기관리능력 β=.372(<.05) 관계관리능력 β=.317(<.05)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이직의도에서 감성리더십의 하위요소 인 자기인식능력은 β=-.469(<.01)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영향 을 미쳤고, 결혼(미혼)은 β=.283(<.01)로 나타나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중간괸리자의 감성리더십이 치위생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에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중간관리 자의 감성리더십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개발과 치위생사들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를 낮추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의의가 있다. * 키워드: 감성리더십. 직무만족. 이직의도 * 이 논문은 2024년 2월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석사 학위 논문임

      • 잠재적 수학영재의 문제해결과정에 나타난 정당화 유형 및 오류 분석

        박지솔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79

        잠재적 수학영재의 문제해결과정에 나타난 정당화 유형 및 오류 분석 박 지 솔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수학영재교육전공 (지도교수 김 성 준) 본 연구는 잠재적 수학영재의 문제해결과정에 나타난 정당화 유형과 오류 유형을 분석하기 위해 2020학년도 P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초등수학분야에 지원한 학생 206명 중 1차 심사에 통과한 40명을 잠재적 수학영재로 정의하고 창의적 문제해결 력 검사에서 이들이 작성한 답안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 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잠재적 수학영재의 문제해결과정에 나타난 수학적 정당화를 분석한다. 둘째, 잠재적 수학영재의 문제해결과정에 나타난 오류 유형을 분석한다. 다섯 가지의 정당 화 유형과 여섯 가지의 오류 유형으로 나누어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첫째, 본 연구의 대상인 4, 5학년 잠재적 수학영재 학생들의 경우 정당화 단계가 3수준인 포괄적 정당화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연역적 정당화, 귀납적 정 당화와 정당화가 없는 단계, 마지막으로 권위적 정당화 순이었다. 40명 중 2절반 이 상이 3, 4수준의 정당화에 이르렀다. 4수준인 연역적 정당화는 식의 조작과 단순 연 역이 일부 나타나기는 하였으나 그 논리가 결론까지 완성도를 갖고 이어지지는 못 했다. 둘째, 정당화 수준과 검사문항 점수는 매우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 정당화 수준이 높을수록 검사 문항의 점수가 높았으며 상관계수를 분석한 결과 0.83의 유 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검사 문항의 특성상 설명 즉, 증명의 과정에 점수를 부여하기 때문에 높은 수준의 정당화를 한 학생이 높은 점수를 부여받은 것으로 분 석된다. 셋째, 검사 문항에 대해 잠재적 수학영재 40명의 학생 중 최종 합격한 20 명의 학생과(그룹A) 불합격한 20명의 학생(그룹B)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룹 A와 B의 1번 문항 평균 점수가 동일한 것으로 보아 불합격한 20명의 학생들 도 영재로 선발되지는 못하였으나 충분히 잠재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넷 째, 잠재적 수학영재의 문제해결과정에서 오류의 대부분을 차지한 경우는 논리적으 로 부적절한 추론을 한 경우였다. 문제해결과정에서 타당성을 논리적으로 설명하지 못하고 비약이 있거나 논리적 추론이 막히면 중단하고는 했다. 보다 많은 문항을 분석한다면 수학적 정당화 수준과 점수의 분포에 대해 더 많은 사례를 바탕으로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잠재적 수학영재들이 다양한 수학적 정당화를 경험할 수 있도록 여러 유형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 문항을 개발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 키워드 : 잠재적 수학영재, 문제해결, 수학적 정당화, 오류 * 본 논문은 2024년 2월 부산교육대학교 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 위 논문임.

      • 청소년 창작극 공연제작 과정연구 <너랑 똑같은 자식 낳아봐> : 아우구스또 보알의 토론연극이 청소년 교육에 주는 시사점

        강이안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79

        청소년 창작극 공연제작 과정연구 <너랑 똑같은 자식 낳아봐> -아우구스또 보알의 토론연극이 청소년 교육에 주는 시사점 강 이 안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공연예술교육전공 (지도교수 심 상 교) 본 연구는 부산 거주 고등학생 1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Augusto Boal 의 토론연극 중 심으로 청소년 창작극 제작과정을 연구한다. 연구의 관점은 청소년문제의 교육방안 연 구와 그 효과성에 대해 초점을 둔다. 최근 소년범죄가 지능화되는 유형과 잔혹한 행위 등 촉법소년들에 의한 범죄에 대한 뉴스가 자주 보도되고 있다. 이번 연구에 활용될 Augusto Boal 의 토론연극은 상호침투(osmosis), 메타식스(metaxis), 유추적 감응 (analogical induction)의 세 가지 전제하에 토론연극을 경험해보면서 청소년들이 무대 위에서 억압된 감정을 충분히 표출하는 특성이 당 연구관점과 연결된다. 청소년들이 무 대에서 억압된 감정을 극적 상황 안에서 마음껏 표출할 수 있을 것이라 보았다. 실제로 청소년들은 연구 과정에서 끊임없이 참여하며, 자신의 가정과 학교 등에서 겪고 있는 갈등을 드러내고, 서로 간의 토론과 연극을 통하여 갈등에 대응하였으며, 특정 방법을 모색하는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비판적 성찰을 통해 극을 재구성해보는 경험과 이러한 토론상황이 지속되면서, 다양한 사례를 바탕으로 창작극이 완성될 수 있었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토론연극 프로그램을 10차시로 적용하여 진행하였으며, 참여자의 연습 과정 및 공연 현장에서 관객과 만나는 토론연극을 통하여, 이번 연구의 결과 및 그 효과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A. Boal 의 토론연극을 통하여, 청소년들이 겪는 주요한 억압 기제가 잘 드러났 으며, 청소년 창작극이란 공연 매체를 통해 의사소통 표현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 쳤다. 둘째, A. Boal 의 토론연극을 통하여, 청소년 자신들이 겪는 문제 상황들과 직면하였으 며, 이러한 과정에서 비판적 사고 능력이 향상되었다. 셋째, A. Boal 의 토론연극을 통하여, 청소년의 토론 능력 및 자기 표현향상 능력과 태 도 능력이 향상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우리 시대가 안고 있는 청소년문제를 바르게 이해하고, 건강한 방향을 제시하며, 나아가 청소년들의 질적 삶에 가치 있고, 긍정적인 영향을 기대한다. * 키워드 : 아우구스또 보알, 토론연극, 청소년문제, 교육연극 * 이 논문은 2024년 2월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석사학위 논문임.

      • 부산 지역 초등학교의 실과 조리실습 실태에 관한 연구

        진경옥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실과 조리영역 학습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부산 지역 초등학교의 조리실습 환경 및 지원 실태와 초등학교 교사들의 조리실습 지도 실태, 초등학교 학생들의 조리실습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고 그 문제점을 분석하였으머,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부산 지역 초등학교의 실과 조리실습을 활성화시키는데 유용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설문지를 통하여 부산광역시 소재의 초등학교 58개와 각 교육청 소재의 급지별로 각각 1개 초등학교를 선정하여 교사 453명, 학생 930명을 조사하였고,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산 지역 초등학교 전반의 조리실습 실태는 조리실이나 조리대용실이 갖추어지지 않은 아주 열악한 환경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었고, 기본적인 가열시설과 조리기구 보관대, 수도시설 등도 거의 미비된 상태였다. 또한 조리실습을 위한 학교의 시설 및 설비의 지원 실태가 원활하지 못하고 그 구비 정도가 아주 미흡하며, 기존의 조리기구도 정상적으로 보관, 관리하지 못하고 있어 실습을 위한 기본적인 환경이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정상적인 조리실습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 수 없었다. 학교의 입장에서도 조리실습에 가장 필요한 것이 조리실과 조리시설 및 설비로써 그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므로, 근본적인 교육시책의 시정과 관리자 및 교사들의 관심으로 실과 조리실습에 대한 지원이 보다 활성화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둘째, 부산 지역 초등학교 교사들은 조리실습 지도에 있어서 조리단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나, 조리실의 미비와 조리기구의 부족, 조리실습에 대한 관리자의 무관심 등으로 조리실습의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따라서 올바른 식생활의 지도를 위해서는 조리실을 비롯한 조리시설 및 설비와 조리기구의 마련, 관리자의 관심과 지원을 요구하고 있었다. 또한 교사들은 조리실습을 위하여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고 조리실습 시간을 적절하게 운영하고 있으며, 조리실습 전의 사전지도를 비교적 잘 하고 실습중심수업을 바람직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그러나, 실습 지도를 빠짐없이 하는 교사들이 비교적 적고, 대부분 담임 혼자 일반 학급의 교실에서 일제학습 형태의 조리실습을 많이 하고 있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따라서 전담교사나 도움 교사의 필요성과 조리실이나 조리대용실의 활용 등이 절실히 요구되며, 학생들이 실습한 내용을 실생활에 적용해 보도록 지도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본다. 셋째, 부산 지역 초등학교 학생들은 조리단원에 대단한 흥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밥과 빵으로 음식만들기를 가장 하고 싶어하는 조리실습으로 나타나 학생들의 조리단원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알 수 있었다. 조리실습을 하기 전에는 사전학습을 충분히 하나, 조리실습을 하는 데에는 실습재료 및 기구를 준비하는데 어려움이 많다고 하였으며, 조리실습을 위한 조리실 및 시설·설비가 가장 필요하다고 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부산 지역 초등교육 현장에서는 열악한 조리실습 환경에서 조리단원의 학습지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실과 조리실습의 바람직한 지도를 위해 교사들의 열의와 학생들의 관심에 부응할 수 있는 실습환경 이 시급하게 갖추어져야 하겠다. 또한 이들을 제대로 관리 할 수 있는 담당자가 있어야 할 것이며, 실습준비물에 대한 지원도 따라 주어야 할 것으로 본다. 따라서 학교 관리자들의 실과 조리실습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고, 나아가 조리실습 환경 개선을 위한 행·재정적인 원활한 지원이 따라야만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alize the importance and the necessity of cooking practice,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practice teaching for cooking in the practical arts of elementary school and to search for the effective devices in cooking practic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can provide a useful basic materials on an effective cooking practice in the practical arts of the elementary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ggested as follows. 1.School has poor cooking facilities and cooking appliances. Students should prepare and bring the cooking materials and the cooking appliances from their home because of the low utility ratio of cooking facilities in the school. To solve these problems, the practical arts should be taken care of by schoolmasters and education policy should be considered. 2. Many teachers realize the importance of cooking practice and think cooking practice is useful for a student's real life. Most teachers think it is necessary to put an professional practical arts in each elementary school. Most teachers are planning their cooking practice classes by the seasonal and local traits, and are charging their classes in the classroom. Few teacher does not skip their Practical Arts class. 3.Students think their Practical Arts helpful. Most students want to cook their foods with he materials of bread and rice. They do not think easy to prepare cooking materials .They want to need to have good cooking place in the school. This study reads that cooking practice classes are one of the most difficulties in the practical arts. All we have to do is have cooking facilities, cooking materials, educational policy and financial support. One of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is that both school masters and teachers are to have continual efforts for the cooking practice in the Elementary school.

      • 부산광역시 결혼이민자 사회통합 발전방안

        문남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은 다문화사회에서의 사회통합의 의미와 다문화주의·상호문화주의의 개념적 고찰을 토대로 부산광역시 결혼이민자 사회통합의 정책적 기반과 정책현황을 알아보고 바람직한 결혼이민자 사회통합정책 구현을 위한 발전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다문화시대의 사회통합이란 다양한 관점이나 신념체계, 관심영역 등이 상호 열린 소통을 통해 이루어내는 또다른 차원의 정체성이다. 통합의 정도에는 개인차나 상대적인 부분도 있겠지만, 그 본질은 일방적인 것이 아니라 이민자와 기존 사회구성원과의 상호성에 있다. 이를 구별하지 않으면 통합의 개념은 쉽게 동화나 포섭의 의미와 혼용될 수 있게 된다. 사회통합은 다차원적 개념으로 social inclusion, social integration, social cohesion 세가지 차원에서 구성요소를 정의하면 이민자에게도 동등한 기회를 제공하는 ‘사회적 포용성’ 차원, 다양성을 ‘인정’하고 ‘존중’하는 ‘다양성의 조화’ 차원, 이민자들이 소속감을 느끼고 우리 사회에 ‘참여’할 수 있도록 환경을 만들어 주는 ‘사회적 결속’ 차원으로 정리할 수 있다. 다문화주의는 한 지리적 공간에 둘 이상의 복수문화가 공존 내지 병존하는 현상을 가리키며, 정태적인 문화의 경계(cultural boundary)를 전제로 한다. 그에 반해 상호문화주의는 한 지리적 공간에서 둘 이상의 복수문화가 서로 접촉하여 서로의 경계를 허물고, 상호접촉과 상호대화와 상호작용과 상호융합을 통해 새로운 혼종문화(hybrid culture)를 탄생시키는 역동적 과정에 초점을 맞춘다. 다문화주의와 상호문화주의는 이질적인 문화들이 부딪히고 섞이는 사회나 국가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다루는 과정에서 제출된 사회통합 모델로 대립적 관계 혹은 대안적 관계보다는 각각의 역할을 강조하면서 함께 어우러져야 할 패러다임이 되어야 한다. 부산지역 결혼이민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부산광역시에서정책환경과 제도적 기반 확충은 물론 다양한 지역 특색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다차원적 사회통합 구성요소에서 언급한 사회적 포용성 차원, 다양성 조화 차원, 사회적 화합 차원에서 결혼이민자 사회통합 프로그램 내용을 살펴보면 사회적 포용성과 다양성 조화 차원의 한국문화 적응에 초점을 맞추어 자녀 양육 관련 영역, 가족관계 증진을 위한 영역, 한국어 교육 관련 언어영역 등의 정책에 치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2020년 부산시민의 외국인주민 수용성 조사 결과에 따르면 외국인주민에 대한 세부 정책의 필요와 개선에 대한 요구는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난 반면, 경제활동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인식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외국인주민에 대한 부산시민의 수용성은 학력 수준이 높을수록, 외국인과의 의사소통이 가능한 사람, 외국인과 접촉 경험이 있는 사람, 다문화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사람, 학생과 사무·경영·전문직의 인식이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런 수용성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부산광역시 결혼이민자 사회통합 발전방안을 4가지로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결혼이민자에게 복지혜택을 제공하는 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한국 사회의 일원으로 정착하고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사회적응 지원이 아닌 실질적인 사회참여 기회를 확대하여야 한다. 둘째, 진정한 사회통합을 이루기 위해서는 사회통합을 위한 정책에 통합의 한 축인 내국인주민의 참여가 있어야 하고 결혼이민자와 내국인주민이 함께 소통할 수 있는 상호소통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결혼이민자 사회통합을 추진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는 결혼이민자와 내국인주민 간 상호이해를 위한 소통 촉진으로 양자 간 소통 공간의 확대는 기초 기반을 튼튼히 한다는 점에서 꼭 필요하다. 셋째, 상호문화 수용성 향상을 위한 다문화교육이 진행되어야 한다. 내국인주민들이 결혼이민자의 문화에 대해 열린 마음으로 이해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고 결혼이민자에 대해 편견을 갖지 않도록 타 문화의 다양성을 존중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형태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넷째, 예산의 효율적 운용이라는 측면에서 결혼이민자 지원사업 시행 관련 중앙부처의 유관기관과 민간기관과의 유기적 협력관계를 강화하고 이를 통해 추진하고 있는 사업의 다양한 연계, 역할을 분담하는 것이라고 본다. 결혼이민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정책이나 프로그램을 공공과 민간의 유기적 협력을 통해 보다 효율적이고 통합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한 것이다. 결혼이민자 사회통합은 단지 결혼이민자에게 복지혜택을 제공하는 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우리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정책의 방향성과 과정을 재설정할 필요가 있다. 정책의 방향과 내용을 결정하기 위한 논의는 내국인주민의 합의를 기반으로 이루어져야 하는데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연구해야 하는 것이 앞으로의 과제이다.

      • 가정 연계 중심 통합적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 감수성 및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박신홍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 연계 중심 통합적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 감수성 및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의 방법은 부산시의 초등학교 3학년 학생 22명을 대상으로 가정 연계 중심 통합적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환경 감수성 및 환경친화적 태도의 변화에 관한 사전·사후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 연계 중심 통합적 환경 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환경 감수성 향상에 효과적이다. 가정 연계 중심 통합적 환경 교육 프로그램에서 환경 감수성에 관한 사전 사후 검사의 전체 평균을 살펴보면 3.71점에서 4.36점으로 증가하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이다. 이 결과는 학생들이 가정 연계 중심 통합적 환경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환경에 대한 심미감과 안정성, 민감성, 동정과 연민이 전반적으로 높아지면서 환경 감수성이 높아진 것을 의미한다. 또한 환경 지식, 환경 감수성, 환경 행동 및 실천을 통합한 통합적 환경교육이 환경 감수성의 여러 하위 요소들까지 깊숙하게 작용하여 환경 감수성 증진과 내면화에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가정 연계 중심 통합적 환경 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환경친화적 태도 향상에 효과적이다. 환경친화적 태도를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영역의 세 범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영역에서 각각에서 사후 평균 점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가정 연계 중심 환경 교육 프로그램 처치 전후 전체 평균을 살펴보면 3.69점에서 4.16점으로 증가하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 이 결과는 가정 연계 중심 환경 교육 프로그램이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모든 통합적 측면을 포함하는 초등학생의 환경친화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가정 연계 중심 통합적 환경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환경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가정 연계 중심 환경 교육 프로그램을 시행하면서 활동지에 실천한 점, 활동 후 느낀 점, 새롭게 알게 된 점을 기록하게 하였고 이 기록을 분석했을 때 학생들의 환경 인식은 매우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2주간의 환경 교육 프로그램이 끝나고 난 후 연구집단 학생들은 환경문제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민감하게 반응했으며 환경 관련 책을 많이 읽는 모습을 보였다. 이 결과는 가정 연계 중심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올바른 환경 인식 형성에 많은 이바지를 했다고 볼 수 있다. 위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특정 지역과 연령대, 22명이라는 적은 수의 표본으로 이루어진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가정 연계 중심 통합적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다른 대상에 확대하여 시행함으로써 여러 학습 현장에서도 일반화할 수 있는지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22명의 동일한 집단에 9차시 수업의 사전, 사후 검사를 시행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한 한계가 있다. 이 연구의 효과를 명확히 입증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집단에 대한 적용이 필요해 보인다. 또한 가정 연계 중심 환경 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 감수성 및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더 체계적으로 확인하기 위해서는 사전-사후 검사 통제집단 설계를 이용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에서 가정 연계 중심 통합적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의 환경 감수성 및 환경친화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이 검증되었으므로 앞으로 다양한 가정 연계 중심 통합적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날이 갈수록 심각해지는 환경오염 상황에서 환경교육은 불가피하기 때문에 새로운 시대를 이끌어갈 학생들을 위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풍부하게 개발된다면 학교와 가정이 연계된 환경교육을 실시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 증진을 위한 대학교육의 역할 : 부산 지역 대학생들의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강도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국내 대학생들의 다문화사회인식과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대학교육의 역할을 제안하고자한다. 설문은 다문화사회에 대해 국내 대학생들의 인식을 세분화하여 조사하기 위해 총 다섯 종류의 항목으로 진행하였다. 각 항목은 문화다양성, 문화교류, 다문화수용성, 취업 및 고용 차원, 대학교육으로 구성되었고 5점 Likert척도와 서술형 문항으로 결과를 수집하였다. 국내 대학생들이 평소에 인지하고 있는 다문화사회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기 위한 문화다양성 척도에 나타난 결과에서 응답자들은 다문화사회와 다문화가정구성원에 대한 인식이나 다양한 문화를 존중하는 태도를 보였으나 국내 대학생들의 외국인 및 이주민과의 관계나 교류에 대한 측정을 위한 문화교류 척도에서 응답자들은 다문화가정구성원들이 우리나라의 관습과 문화에 더 익숙해져야한다는 조사 결과를 통해 상호문화에 대한 교류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소극적인 자세를 보이며 다문화가정 구성원들이 우리나라의 적응을 위해 더 노력해야한다고 생각함을 알 수 있다. 국내 대학생들의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인식과 타문화에 대한 배경지식여부를 통해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 정도를 조사하기 위해 다문화수용성 척도를 통해 응답을 수집하였다. 응답자들은 외국인 유학생과 소통이 부재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문화차이를 느낀다고 조사되었으며 대학에서 국내 대학생과 외국인 유학생의 원활한 교류를 위한 교육과정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국내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는 매우 높은 편이며 따라서 국내 대학생의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인식이 대학 내 인식을 넘어 다문화사회에 대한 인식으로 확대될 것으로 가정하고 취업 및 고용 척도를 조사하였으며 응답자들이 다문화가정 구성원들로 인해 내국민들의 일자리가 줄어들었다고 생각하지는 않지만 내국민과 이주민 및 외국인 유학생들의 취업지원 유형이 달라야한다는 응답이 대다수였기에 국내 대학생들이 다문화가정구성원으로 인해 취업이나 고용부분에 있어 큰 위기를 느끼거나 다문화구성원과의 사회적 공존에 있어 거부감은 없지만 지원 유형에 있어 차별을 두어야 한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설문 결과를 통해 다문화사회에서 국내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을 증진 시킬 수 있는 대학교육의 역할을 4가지로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교과과정에서의 다문화교육 연계가 필요하다. 국내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 증진을 위해 선택교양과목 뿐 아니라 필수교양과목 및 전공과목을 통해 각 전공에 융합한 교과과정에서의 다문화교육 연계가 중요하다. 둘째, 다문화수용성을 위한 전공 연계 교육과정 개발을 제안한다. 전공 연계과정을 통해 다문화가정 구성원과 공존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지닐 수 있으며 학과 뿐 아니라 대학 전체 내 학생 간 소통을 기대할 수 있다. 셋째, 외국인 유학생 취업 연계프로그램이 진행되어야한다. 취업연계프로그램을 통해 대학차원을 넘어 사회차원에서까지 다문화수용성의 증진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넷째, 대학 내 전체 구성원을 대상으로 한 다문화 인식개선교육 강화가 필요하다. 대학생을 위한 다문화수용성 증진 교육은 학과, 학교 차원의 노력과 학교 내 구성원 간의 융합을 통해 진행되어야하며 국내 대학생들과 외국인 유학생의 의견을 수립하여 인식개선교육을 계속적으로 개발해야한다. 그러므로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 증진을 위해서 대학차원에서 다양한 교육적 노력이 이뤄져야하며 지속적으로 다문화연계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연구해야하는 것이 앞으로의 과제이다.

      • 학교조직풍토와 초등교사의 열린교육 수행 간의 관계

        이홍식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학교조직풍토의 유형 및 관련 변인과 교사의 열린교육 수행 간의 관계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첫째, 학교조직풍토 유형에 따른 교사의 열린교육 수행 수준의 차이 둘째, 교사 집단의 행동 특성인 자유방임, 장애, 사기 및 친밀성의 수준에 따른 교사의 열린교육 수행 수준의 차이 셋째, 교장의 행동 특성인 초연성, 생산성, 추진성 및 사려성의 수준에 따른 교사의 열린교육 수행 수준의 차이를 밝혀 보았다. 연구대상은 부산, 울산 및 경남 지역의 56개 공립 초등학교 교사 560명을 그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에 사용된 학교조직풍토 설문지는 Halpin과 Croft(1966)가 제작한 조직풍토기술척(OCDQ)을 강난희(1996)가 우리 실정에 맞도록 번역해서 사용한 것을 이용하였다. 교사의 열린교육 수행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자작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작성된 설문지는 예비 연구 결과에 의하여 최종 제작되었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들은 첫째, 학교조직풍토 유형에 따른 교사의 열린교육수행의 차이에 있어서는 개방형이 간섭형, 폐쇄형, 자율형을 지닌 학교의 교사들보다 교육과정을 탄력적으로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방형과 친교형을 지닌 학교의 교사들이 간섭형, 자율형 보다 교수- 학습방법을 다양화하고 있었으며, 또한 친교형, 개방형을 지닌 학교의 교사들이 간섭형, 자율형보다 열린교육에서의 질적평가의 수행을 바람직하게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져 학교조직풍토의 유형에 따라 교사의 열린교육 수행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 집단의 행동 특성인 자유방임 수준에 따른 교육과정의 탄력적 운영과 교수-학습방법의 다양화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질적평가의 수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집단의 행동 특성인 장애 수준에 따른 열린교육 수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집단의 행동 특성인 사기 수준에 따른 열린교육 수행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사기 수준이 높은 집단에서 교육과정의 탄력적 운영, 교수-학습방법의 다양화 및 질적평가의 수행의 전 영역에 걸쳐 열린교육이 바람직하게 운영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것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집단의 행동 특성인 친밀성 수준에 따른 열린교육 수행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친밀성 수준이 높은 집단에서 교육과정의 탄력적 운영과 교수-학습방법의 다양화 및 질적평가의 수행이 효과적으로 운영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교장의 행동 특성인 초연성과 교사의 열린교육 수행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장의 행동 특성인 생산성 수준과 교사의 열린교육 수행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교육과정의 탄력적 운영에 있어서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장의 행동 특성인 추진성 수준과 교사의 열린교육 수행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추진성이 높을수록 교육과정의 탄력적 운영, 교수-학습방법의 다양화 및 질적평가의 수행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여졌으며, 이것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장의 행동 특성인 사려성 수준과 교사의 열린교육 수행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사려성이 높을수록 교육과정의 탄력적 운영, 교수- 학습방법의 다양화 및 질적평가의 수행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여졌으며, 이것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school organization climate pattern, variables concerned to it and teacher's performance of open education. According to this purpose, the following problems were investigated. First, the difference in teachers' performance level of open education according to school organization climate pattern was investigated. Second, the difference in teachers' performance level of open education according to teacher group's behavioral characteristics, like non-interference, handicap, morale and intimacy was investigated. Third, the difference in teachers' performance level of open education according to principal's behavioral characteristics including transcendence, productivity, thrust and consideration was investigate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e 560 teachers who served at 56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Pusan, Ulsan and the region of Kyungn am. The questionnaire for school organization climate used in this study was Halpin and Croft(1963)'s one that was translated by Kang Nan Hee(1966). The instrument for assessing the teacher's performance level of open education was a questionnaire made by my self.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concerning the difference by school organization climate pattern, the teachers of a school, which had an open and familiar organizational climate, showed a significantly better performance level in every domain, including flexible operation of curriculum, diversification of teaching-learning method and execution of qualitative evaluation, than the teachers of a school that had a controlled, interference, closed and autonomous organizational climate did. This fact suggests that the most important task to implement an open education was to change school field that emphasizing control, direction, and interference toward the school field that encourage an open and familiar climate. Second, there was better achievement in flexible operation of curriculum, diversification of teaching-learning method and execution of qualitative evaluation when morale and intimacy became higher and non-interference level became lower among teacher group's behavioral characteristics. But handicap didn't take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open education as a significant variable. The principal's leader ship was, thus, required to focus on removing non-interference climate and raising teacher's morale and intimacy. Third, when thrust and consideration level became higher among principal's behavioral characteristics, open education was more activated in every domain, including flexible operation of curriculum, diversification of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execution of qualitative evaluation. It was certain th at transcendence and productivity didn't give a significant impact on th e performance of open education. To activate open education at the field of class, the principals are required to increase thrust and consideration to motivate teacher with humanistic concern.

      • 환경교육이 초등 예비교사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지식·태도 및 환경 소양에 미치는 효과

        문수란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에서는 초등교사 양성기관에서의 환경교육이 초등 예비교사들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지식·태도 및 환경 소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B광역시에 위치한 교육대학교에서 환경교육관련 수업을 수강한 학생 55명이다. 환경교육관련 수업을 수강하기 전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지식․태도, 환경소양 검사지를 이용하여 사전 검사를 실시하고, 한 학기 환경교육관련 수업을 수강한 후 사전 검사와 동일한 검사지를 이용하여 사후 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예비교사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지식·태도의 점수를 사전․사후 비교해 보았을 때 하위 요소 중 지식 부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인식 및 태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전체적으로 통계를 합산하였을 때 환경교육 수강 전과 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환경 소양에 미치는 영향을 각 하위 요소인 정의적, 인지적, 행동적 영역에서 비교해 보았을 때 정의적 영역에서는 사전․ 사후 검사 결과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인지적, 행동적 영역에서는 환경교육 수강 전보다 수강 후 평균 점수가 높고 사전․사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초등교사 양성기관에서 실시하는 환경교육이 초등 예비교사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지식·태도와 환경소양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등 예비교사들에 대한 환경교육은 초등 예비교사들이 기후변화 및 환경 문제에 대해 올바른 가치관을 형성하고 바른 인식을 하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미래 초등학생들의 환경소양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초등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한 체계적인 환경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후속 연구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