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부산 지역 초등학교의 실과 조리실습 실태에 관한 연구

        진경옥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연구는 실과 조리영역 학습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부산 지역 초등학교의 조리실습 환경 및 지원 실태와 초등학교 교사들의 조리실습 지도 실태, 초등학교 학생들의 조리실습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고 그 문제점을 분석하였으머,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부산 지역 초등학교의 실과 조리실습을 활성화시키는데 유용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설문지를 통하여 부산광역시 소재의 초등학교 58개와 각 교육청 소재의 급지별로 각각 1개 초등학교를 선정하여 교사 453명, 학생 930명을 조사하였고,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산 지역 초등학교 전반의 조리실습 실태는 조리실이나 조리대용실이 갖추어지지 않은 아주 열악한 환경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었고, 기본적인 가열시설과 조리기구 보관대, 수도시설 등도 거의 미비된 상태였다. 또한 조리실습을 위한 학교의 시설 및 설비의 지원 실태가 원활하지 못하고 그 구비 정도가 아주 미흡하며, 기존의 조리기구도 정상적으로 보관, 관리하지 못하고 있어 실습을 위한 기본적인 환경이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정상적인 조리실습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 수 없었다. 학교의 입장에서도 조리실습에 가장 필요한 것이 조리실과 조리시설 및 설비로써 그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므로, 근본적인 교육시책의 시정과 관리자 및 교사들의 관심으로 실과 조리실습에 대한 지원이 보다 활성화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둘째, 부산 지역 초등학교 교사들은 조리실습 지도에 있어서 조리단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나, 조리실의 미비와 조리기구의 부족, 조리실습에 대한 관리자의 무관심 등으로 조리실습의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따라서 올바른 식생활의 지도를 위해서는 조리실을 비롯한 조리시설 및 설비와 조리기구의 마련, 관리자의 관심과 지원을 요구하고 있었다. 또한 교사들은 조리실습을 위하여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고 조리실습 시간을 적절하게 운영하고 있으며, 조리실습 전의 사전지도를 비교적 잘 하고 실습중심수업을 바람직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그러나, 실습 지도를 빠짐없이 하는 교사들이 비교적 적고, 대부분 담임 혼자 일반 학급의 교실에서 일제학습 형태의 조리실습을 많이 하고 있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따라서 전담교사나 도움 교사의 필요성과 조리실이나 조리대용실의 활용 등이 절실히 요구되며, 학생들이 실습한 내용을 실생활에 적용해 보도록 지도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본다. 셋째, 부산 지역 초등학교 학생들은 조리단원에 대단한 흥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밥과 빵으로 음식만들기를 가장 하고 싶어하는 조리실습으로 나타나 학생들의 조리단원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알 수 있었다. 조리실습을 하기 전에는 사전학습을 충분히 하나, 조리실습을 하는 데에는 실습재료 및 기구를 준비하는데 어려움이 많다고 하였으며, 조리실습을 위한 조리실 및 시설·설비가 가장 필요하다고 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부산 지역 초등교육 현장에서는 열악한 조리실습 환경에서 조리단원의 학습지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실과 조리실습의 바람직한 지도를 위해 교사들의 열의와 학생들의 관심에 부응할 수 있는 실습환경 이 시급하게 갖추어져야 하겠다. 또한 이들을 제대로 관리 할 수 있는 담당자가 있어야 할 것이며, 실습준비물에 대한 지원도 따라 주어야 할 것으로 본다. 따라서 학교 관리자들의 실과 조리실습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고, 나아가 조리실습 환경 개선을 위한 행·재정적인 원활한 지원이 따라야만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alize the importance and the necessity of cooking practice,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practice teaching for cooking in the practical arts of elementary school and to search for the effective devices in cooking practic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can provide a useful basic materials on an effective cooking practice in the practical arts of the elementary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ggested as follows. 1.School has poor cooking facilities and cooking appliances. Students should prepare and bring the cooking materials and the cooking appliances from their home because of the low utility ratio of cooking facilities in the school. To solve these problems, the practical arts should be taken care of by schoolmasters and education policy should be considered. 2. Many teachers realize the importance of cooking practice and think cooking practice is useful for a student's real life. Most teachers think it is necessary to put an professional practical arts in each elementary school. Most teachers are planning their cooking practice classes by the seasonal and local traits, and are charging their classes in the classroom. Few teacher does not skip their Practical Arts class. 3.Students think their Practical Arts helpful. Most students want to cook their foods with he materials of bread and rice. They do not think easy to prepare cooking materials .They want to need to have good cooking place in the school. This study reads that cooking practice classes are one of the most difficulties in the practical arts. All we have to do is have cooking facilities, cooking materials, educational policy and financial support. One of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is that both school masters and teachers are to have continual efforts for the cooking practice in the Elementary school.

      • 부산지역 국립대학 일반직공무원의 평생학습 참여실태 분석

        김종완 부산교육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9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articipation and perception of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by administrative officials (administration, facilities, librarians, computer, etc.) belonging to the National University of Busan and to analyze the needs for lifelong learning based on this, Its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future direction and improvement plan. The specific research problems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degree of participation of the administrative Officers of the National Universities in Busan? Second, what is the motivation for the administrative officials in the Busan National University to participate in lifelong learning? Third, what is the difficulty of participating in lifelong learning by administrative officials at the National University in Busan? Fourth, what is the need to improve lifelong learning programs? In order to solve the above research problem, in this study, a total of about 100 persons (administrative, librarian, technical, institutional, industrial, etc.) were distributed according to gender, workplace, and rank, but the questionnaire was low response rate, so distributed to 80 persons again. 75 respondents, excluding one redundant person, are the total number of respondents who combined the first and second responses. Based on the concepts extracted from the previous research review, the questionnaire was reconstructed according to the specific purpose of the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26.0 program. As a method of analysis,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to identify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In addition, χ2 (Chi-square) verification and frequency analysi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lifelong learning by public officials and their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in recent years,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factors that impede lifelong learning, and lifelong learning ne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68% of the total 75 respondents in the administrative offices of the National University of Busan recognized that the lifelong learning system was helpful to the self - realization of public officials and that lifelong learning of government officials belonging to the National University was necessary. However, the participation rate of lifelong learning is as low as 50.7%. Especially, I think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stitutional devices that can support the participation of subordinates in ages 20 ~ 30.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distribute a variety of remote training programs in accordance with the wishes of the consumers, as the participating institutes of lifelong education are participating most in the distance training. Second, the motivation for the participation of lifelong learning by the administrative officials belonging to the National University of Busan was the highest in responding "I want to spend my life worthwhile in the future" and the second highest in the question "for self-realization through learning". It seems that this reflects the desire of the future for life in a situation where the concept of lifelong job is disappearing, and education conditions that help the civil servants to actively support their development are desperately needed. Third, respondents who answered "I do not have time" responded to the difficulties of participating in lifelong learning by government officials in the Busan National University, followed by "I do not have any information" and "I do not have time to provide educ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ifelong learning institutions for lifelong learning and their affiliated universities are required to provide support to their employees at various times. Fourth, the results of the responses to the improvement requests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re summarized as follows. respondents answered most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that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need to improve is that they should focus on "Expanding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on in various lifelong learning". The result of multiple responses to the part of the university that should focus on lifelong learning support of employees is the most important answer to emphasize "expansion of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It was found that the public officials of the National University were highly popular with their lifelong learning classes for self - development and lifelong learning classes related to health sports, It was found that they preferred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of national universities or colleges, Most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claim attached with the receipt after the attendance was suitable for the cost support method of their university, and it was found that the majority of applicants would wish to receive support of less than 100,000 won per month. These conclusions provide the following implications. The choice of civil servants to participate in lifelong learning is also determined by individuals, but the accumulation of human capital through lifelong learning enhances the quality of civil servants and ultimately enhances the quality of service for their customers. Therefore, I think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variety of information and active budget support of each university so that they can recharge and learn while enjoying their work and life, find out the meaning of life in their lives, and develop themselves. 본 연구는 부산 지역 국립대학 일반직공무원(행정, 시설, 사서, 전산 등)의 평생학습 참여정도와 인식을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평생학습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여 향후 지원방향과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산지역 국립대학 일반직공무원들의 평생학습 참여정도는 어떠한가? 둘째, 부산지역 국립대학 일반직공무원들의 평생학습 참여동기는 무엇인가? 셋째, 부산지역 국립대학 일반직공무원들의 평생학습 참여의 어려움은 무엇인가? 넷째, 평생학습 프로그램 개선 요구는 무엇인가? 위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 국립대학에 근무하는 일반직공무원(행정직, 사서직, 전산직, 시설직, 공업직 등)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을 성별, 근무처별, 직급별로 총 100명을 표집하여 온라인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응답률이 저조하여 80명을 추가 표집하여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중복인원 1명을 제외한 75명이 1차와 2차 응답을 합한 응답인원이다. 측정도구는 선행연구 검토를 통하여 추출한 개념들을 기초로 하여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에 맞게 재구성하여 제작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회수된 자료의 처리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26.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또한 공무원의 평생학습 참여정도, 참여동기, 참여의 어려움, 그리고 평생학습에 대한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 χ2 (Chi-square)검증과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얻어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산지역 국립대학 소속 일반직공무원들 중 전체 응답자 75명의 68%가 평생학습제도가 공무원의 자아실현에 도움이 되며 국립대학교 소속 일반직공무원의 평생학습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평생학습 참여정도는 50.7% 정도로 저조한 실정이다. 특히 2∼30대 연령층의 하위직에 대한 참여를 지원해 줄 수 있는 제도적인 장치가 필요하다고 본다. 평생교육 참여기관으로는 원격연수를 가장 많이 참여하고 있으므로 수요자의 희망에 맞춘 다양한 원격연수 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이 필요하다. 둘째, 부산지역 국립대학 소속 일반직공무원들의 평생학습 참여동기는 '앞으로의 인생을 보람있게 보내고 싶어서'라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배움을 통한 지속적인 자아실현을 위하여'라는 문항이 두번째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평생직업의 개념이 사라지고 있는 상황에서 미래에 대한 생애계발의 욕구를 반영하는 것으로 파악되며, 공무원들의 자기계발을 적극 지원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교육여건이 무엇보다도 절실하게 요구된다 하겠다. 셋째, 부산지역 국립대학 소속 일반직공무원들의 평생학습 참여의 어려움에 대해서는 '시간이 없어서'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정보가 없어서'와 '교육제공 시간과 맞지 않아서'라는 응답이 그 뒤를 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평생학습을 위한 평생교육기관과 소속대학의 지원체제를 다양한 시간대에 직원에게 제공하여야 할 것을 요구하는 것이라 파악된다. 넷째,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선 요구에 대한 응답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평생교육기관이 개선해야 할 사항으로는 '다양한 평생교육 참여기회 확대'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대학이 소속 직원의 평생학습 지원에 중점을 두어야 할 부분에 대한 응답 결과에서도 '평생학습 참여기회 확대'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국립대학 소속 일반직공무원들에게 자기계발을 위한 평생학습 강좌와 건강 스포츠 관련 평생학습 강좌에 대한 인기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고, 대학 또는 전문대학의 평생교육기관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속 대학의 비용 지원방법에 있어 수강 후 영수증을 첨부한 청구가 적합하다고 대다수 응답하였고, 지원규모로 월10만원 이하의 지원을 대다수가 희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결론은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공무원의 평생학습 참여 선택도 개개인이 결정하지만 평생학습을 통한 인적자본 축적은 공무원의 질적 수준 향상으로 결국은 고객인 국민에 대한 서비스 질을 높이는 것이다. 그러므로 자신의 일과 삶을 즐기면서 재충전과 학습을 하고 생활 속에서 삶의 의미를 찾아 자기계발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보 제공과 각 대학의 적극적인 예산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본다.

      • 인터넷 교육방송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 부산 에듀넷을 중심으로

        황장섭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연구는 실시간 학습 및 원격교육을 결합한 교육정보화 모델로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인터넷 교육방송 중, 부산광역시 교육연구정보원에서 운영하고 있는 부산에듀넷 VOD 인터넷 교육방송의 이용자라고 할 수 있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특성을 분석하여 향후 학교 현장에서 요구되는 VOD 동영상 컨텐츠 개발 및 그 활용 방향과 전반적인 운영의 질적 향상 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 소재 6개 교육청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을 비례 유층표집하고 표집 비율은 5%로 하여 20개 초등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남교사 105명, 여교사 394명 총 49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적용한 설문지는 부산에듀넷 인터넷 교육방송의 운영 및 활용에 대한 인식과 부산에듀넷 인터넷 교육방송의 효과성 부분에 대한 인식 그리고 부산에듀넷 인터넷 교육방송의 발전가능성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연구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부산에듀넷 인터넷 교육방송의 운영실태에 대한 인식은 대체로 모든 교사들이 이러한 교육자원에 대해 알고 있지만, 공식적인 경로를 통해 정보를 접하지는 못하고 있었다. 둘째, 부산에듀넷 인터넷 교육방송 활용은 교수-학습의 간접적인 활용의 형태로 이루어지기를 바라고 있고, 대부분의 교사들은 교수-학습에 활용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부산에듀넷 인터넷 교육방송의 교육적 효과성에 대한 인식은 남교사가 여교사에 비해 더욱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었지만, 학년별, 연령별 차이는 없었다. 넷째, 부산 에듀넷 인터넷 교육방송의 발전가능성에 대한 인식은 대체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통해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현장에서 BEIB에 대한 홍보와 활용에 관한 직무연수 등의 활발한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교사들의 현장 활용을 높이기 위해 현재 BEIB에 개발 탑재된 VOD 동영상자료의 목록을 온라인이나 오프라인을 통해 교사들에게 수시로 제공되어져야 하며 접근의 용이성 확보를 위해 VOD 동영상자료의 검색 체제도 메타 데이터에 의한 학교급별, 학년별, 교과목별, 주제별로 좀 더 세분화하여 보다 손쉬운 검색이 되도록 강구되어야 하겠다. 셋째, BEIB의 컨텐츠 유형의 다양화를 통하여 보다 폭넓은 자료 공유의 체제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넷째, 보다 활발한 인터넷 교육방송에 대한 추후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e-Learning이나 원격교육 활용 등, 교수-학습분야에서 인터넷의 영향력이 높아지고 더욱 확대, 적용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다양한 추후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d Edunet run by Busan Educational Research & Information Institute as the users of its VOD services. Since educational webcasting has newly been highlighted as an efficient online education model that features a combination of real-time learning and distance education. The present study intends to extend the knowledge base in the area of developing and managing VOD contents which meet the school need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99 teachers who worked at 20 elementary schools under the six different school districts in the city of Busan. They were selected by 5% proportional stratified sampling, and included 105 males and 394 female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questionnaires to see how they perceived the management, utilization and effectiveness of Busan Edunet and its possibility of development.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ir awareness of Busan Edunet, all the teachers investigated were cognizant of this sort of educational resources, but they didn't acquire detailed information on that through formal routes. Second, concerning its utilization, they wanted it to be used in a secondhand manner, and most of them intended to apply it to their instructions. Third, as to the effectiveness of Busan Edunet, the male teachers viewed it more favorably than the females, but their age and the school year of their students made no significant differences to their view. Fourth, regarding the possibility of its development, they generally had a high opinion about that. Based on the above-mentioned findings, there are some suggestions: First, school should put more efforts into publicizing BEIB(Buasan Educational Internet Broadcasting) and providing on-the-job training for teachers to learn how to take advantage of it. Second, online or offline information about BEIB's VOD animation contents lists available should be offered to teachers on demand, and an easy-to-use retrieval system should be prepared by using meta-data by school grade, school year, subject and theme to allow teachers to gain easier access to VOD animation materials. Third, in order to diversify BEIB contents, it's required to build an extensive network to share information. Fourth, more intensive research efforts should be dedicated to the field of educational webcasting. As the Internet is expected to have a greater impact on education owing to its unique features including e-learning and distance education, studies of diverse approach should be fulfilled on a long-term basis.

      • 국립부산과학관 전시물 특성 분석 및 교육과정 연계성에 대한 연구

        강은정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95

        국립부산과학관은 2015년 12월 개관 이후 전시물에 대한 부분적인 리뉴얼을 매번 진행하고 있고 2021년 현재의 상설전시관 전시물은 개관 당시에 비해 5분의 3이 리뉴얼된 상태이다. 본 연구는 리뉴얼된 전시물의 특성을 전시주제와 전시형태에 따라 분석하였고 또 전시물의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연계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국립부산과학관 상설전시관 전시물 129개의 전시형태는 능동형 관람 전시물이 많이 전시되어 있었다. 자동차 주제관의 경우 72% 이상의 전시물이 능동형 전시물로서 일상생활과 연관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부분 체험형 전시물로 구성되어 있었다. 항공우주 주제관은 능동적 전시물이 많았으며 버튼 조작형의 작동 전시물이 자동차관에 비해 많이 구성되어 있었다. 선박관의 경우 항공우주 주제관과 유사하게 능동형 전시물의 구성이 많은데, 버튼, 조작 전시물의 비율이 높고 반면 신체 이용 체험형 전시물의 비율은 낮게 구성되어 있었다. 20년 신규 리뉴얼 오픈한 에너지 주제관은 기존 패널 모형 자동영상 구성의 수동형 전시물에서 조작, 신체 이용으로 능동형 전시물과 체험형 전시물의 구성이 많았다. 둘째, 국립부산과학관 상설전시관 전시물의 체험유형은 관람형 전시물(Eyes-on)이 43개로 33.35%, 체험형 전시물(Hands-on)이 71개로 55.04%, 탑승형 전시물(Boy-on)이 10개로 7.75%, 이해형 전시물(Minds-on)이 5개로 3.87%로 구성되어 있었다. 관람형 전시물 33.33%에 비해 작동 체험형 전시물이 62.79%로 2배 정도 높게 설치되어 있었다. 작동 체험형 전시물 설치 비율이 타 과학관에 비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는 국립 부산과학관의 역할이 박물관의 일반 전시기능과 달리 과학적 요소에 대한 직접 체험기회를 제공하는 과학체험관의 역할을 수행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셋째, 상설전시관 전시물의 초등과학 교육과정 연계성 분석 결과 총 129점의 전시물 중 83(64.34%)점의 전시물이 초등과학 교육과정과 연계성이 있었다. 과학 과목의 영역별 전시물의 구성 비율은 물리 영역이 88(68.2%)점으로 가장 많았고, 지구과학영역은 10(7.7%)점, 생물영역과 화학 영역이 8(6.2%)점으로 같은 비율로 구성되어 있었다. 전시주제에 따라 살펴보면 에너지 주제관의 전시물이 23(76.67%)점으로 초등과학 교육과정과 연계성이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항공우주 주제관의 전시물이 12(75%)점, 의과학 주제관 전시물이 14(73.68%)점, 선박관 21(53.8%)점, 자동차 주제관이 13(52%)점으로 초등과학 교육과정과 연계성이 있었다. 중등 교육과정 연계성은 모든 전시물에 높게 반영되어 있는 것 같다. 에너지, 의과학관은 모두 연계되어 있었고, 선박관은 총 34점으로 87.17%, 항공우주관은 13점(81.25%), 자동차관은 7점(28%) 순으로 나타났다. 초등교육과정과 중등 교육과정이 중복으로 연계되어 있어서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초등 3-4학년 과정과 연계된 전시물은 24.81%, 초등 5-6학년 과정과 연계된 전시물은 64.34%, 중등과정과 연계된 전시물은 79.84%로 중등 교육과정과 연계성이 높게 나타났다. 과학관의 전시물의 교육과정 연계성의 분석이 과학관의 교육적인 의미를 최대한 활용하여 수준별 전시해설, 전시물 활용 교육, 과학관 교육프로그램과 체험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비 형식 교육기관으로서 과학관의 역할 수행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과학관의 전시물의 특성 분석은 향후 진행되는 과학관의 전시물 개선 및 제작에 대한 방향을 결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 교사 글에 나타난 문장부호 오류 유형 연구 :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송서영 부산교육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95

        문장부호를 올바로 사용하는 것은 음성학적으로는 어조를 반영하고, 통사론적으로는 구성 요소와 문장 구조를 연결 시켜주며, 의사 전달에 있어서 화자가 청자에게 자신이 무엇을 의도하고 있는가를 정확히 알려주는 중요한 기능을 함으로 국어과 학습에서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다. 하지만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국어의 문장부호는 맞춤법이나 표준어에 비해 소홀히 다루어져 왔다. 또한 <한글 맞춤법>의 부록으로 제시되고 구체적인 해설이 부족하여 언중들의 글 속에서 잘못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실제 글 속에서 언중들이 잘못 사용하고 있는 문장부호의 사례를 찾아 비교하고 분석하여 이를 유형화하고 문장부호를 사용할 때 특히 유의해야 할 점을 모색하여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특히 초등학생을 가르치는 교사들은 학습자들의 문장부호 교육을 행하는 주체로써 이들의 문장부호 사용 능력을 분석하는 일이 가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을 인문사회, 자연과학, 예체능 분야로 나누어 문장부호 오류를 분석하였다. Ⅱ장에서는 5차 교육과정부터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교육과정 상에 나타난 문장부호 관련 내용을 살펴보고, 교사들을 대상으로 문장부호에 관한 인식을 설문조사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6차 교육과정에서 가장 많은 문장부호를 다루었으나 그 후 7차 교육과정과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문장부호 종류가 축소되었으며 지도되는 학년도 줄어들었음을 확인하였다. 교사들은 6차 교육과정에서 제시되었던 줄임표의 경우 전체의 19%가 맞지 않는 표기를 선택하였고, 45%는 실제 언어활동에서 평소 자신이 옳다고 생각한 문장부호와 다르게 사용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오늘날 대부분의 문서가 컴퓨터로 작업되는 과정에서 자판상의 어려움으로 인해 올바른 문장부호를 사용하지 않아 오류가 발생되는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Ⅲ장에서는 석사학위논문에 나타난 문장부호 오류를 인문사회, 자연과학, 예체능 분야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분석한 결과 대체로 공통적인 오류가 발견되었다. 온점 관련 오류는 인용문이 끝날 때 큰따옴표의 앞에 온점을 찍지 않는 오류와 표시문자, 연월일 뒤에 온점을 찍지 않는 오류들이 있었다. 반점 관련 오류는 반점을 지나치게 많이 사용하는 경우와 일반적인 접속어 뒤에 습관적으로 반점을 찍는 오류들이 있었다. 따옴표 관련 오류는 큰따옴표와 작은따옴표의 기능을 혼동하여 사용하는 오류, 컴퓨터로 문서를 작업 할 때 발생하는 띄어쓰기 오류들이 있었다. 그 밖에 다른 문장부호로 바꾸어 사용한 경우와 문장부호의 모양이나 위치를 바꾸어 사용한 경우, 띄어쓰기의 오류들이 발견되었다. Ⅳ장에서는 교사들이 문장부호를 사용 할 때 특히 유의해야할 점을 제시하였다. 교사들이 가장 틀리기 쉬운 문장부호인 온점, 반점, 따옴표, 물결표, 쌍점, 줄임표를 중심으로 사용법과 예를 제시하여 교사들의 문장부호 오류를 교정하는데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교사들이 실제로 쓴 석사학위논문에서 문장부호 오류를 찾아보고 이를 유형화하여 분석하여 교사들의 문장부호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석사학위논문에서 자주 발견되는 문장부호 오류들을 교사들이 숙지하여 올바르게 사용함으로써 학습자들의 문장부호 지도에 앞장서고 올바른 국어 문자 생활을 선도할 수 있기를 바란다.

      • 부산광역시 결혼이민자 사회통합 발전방안

        문남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연구은 다문화사회에서의 사회통합의 의미와 다문화주의·상호문화주의의 개념적 고찰을 토대로 부산광역시 결혼이민자 사회통합의 정책적 기반과 정책현황을 알아보고 바람직한 결혼이민자 사회통합정책 구현을 위한 발전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다문화시대의 사회통합이란 다양한 관점이나 신념체계, 관심영역 등이 상호 열린 소통을 통해 이루어내는 또다른 차원의 정체성이다. 통합의 정도에는 개인차나 상대적인 부분도 있겠지만, 그 본질은 일방적인 것이 아니라 이민자와 기존 사회구성원과의 상호성에 있다. 이를 구별하지 않으면 통합의 개념은 쉽게 동화나 포섭의 의미와 혼용될 수 있게 된다. 사회통합은 다차원적 개념으로 social inclusion, social integration, social cohesion 세가지 차원에서 구성요소를 정의하면 이민자에게도 동등한 기회를 제공하는 ‘사회적 포용성’ 차원, 다양성을 ‘인정’하고 ‘존중’하는 ‘다양성의 조화’ 차원, 이민자들이 소속감을 느끼고 우리 사회에 ‘참여’할 수 있도록 환경을 만들어 주는 ‘사회적 결속’ 차원으로 정리할 수 있다. 다문화주의는 한 지리적 공간에 둘 이상의 복수문화가 공존 내지 병존하는 현상을 가리키며, 정태적인 문화의 경계(cultural boundary)를 전제로 한다. 그에 반해 상호문화주의는 한 지리적 공간에서 둘 이상의 복수문화가 서로 접촉하여 서로의 경계를 허물고, 상호접촉과 상호대화와 상호작용과 상호융합을 통해 새로운 혼종문화(hybrid culture)를 탄생시키는 역동적 과정에 초점을 맞춘다. 다문화주의와 상호문화주의는 이질적인 문화들이 부딪히고 섞이는 사회나 국가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다루는 과정에서 제출된 사회통합 모델로 대립적 관계 혹은 대안적 관계보다는 각각의 역할을 강조하면서 함께 어우러져야 할 패러다임이 되어야 한다. 부산지역 결혼이민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부산광역시에서정책환경과 제도적 기반 확충은 물론 다양한 지역 특색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다차원적 사회통합 구성요소에서 언급한 사회적 포용성 차원, 다양성 조화 차원, 사회적 화합 차원에서 결혼이민자 사회통합 프로그램 내용을 살펴보면 사회적 포용성과 다양성 조화 차원의 한국문화 적응에 초점을 맞추어 자녀 양육 관련 영역, 가족관계 증진을 위한 영역, 한국어 교육 관련 언어영역 등의 정책에 치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2020년 부산시민의 외국인주민 수용성 조사 결과에 따르면 외국인주민에 대한 세부 정책의 필요와 개선에 대한 요구는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난 반면, 경제활동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인식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외국인주민에 대한 부산시민의 수용성은 학력 수준이 높을수록, 외국인과의 의사소통이 가능한 사람, 외국인과 접촉 경험이 있는 사람, 다문화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사람, 학생과 사무·경영·전문직의 인식이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런 수용성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부산광역시 결혼이민자 사회통합 발전방안을 4가지로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결혼이민자에게 복지혜택을 제공하는 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한국 사회의 일원으로 정착하고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사회적응 지원이 아닌 실질적인 사회참여 기회를 확대하여야 한다. 둘째, 진정한 사회통합을 이루기 위해서는 사회통합을 위한 정책에 통합의 한 축인 내국인주민의 참여가 있어야 하고 결혼이민자와 내국인주민이 함께 소통할 수 있는 상호소통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결혼이민자 사회통합을 추진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는 결혼이민자와 내국인주민 간 상호이해를 위한 소통 촉진으로 양자 간 소통 공간의 확대는 기초 기반을 튼튼히 한다는 점에서 꼭 필요하다. 셋째, 상호문화 수용성 향상을 위한 다문화교육이 진행되어야 한다. 내국인주민들이 결혼이민자의 문화에 대해 열린 마음으로 이해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고 결혼이민자에 대해 편견을 갖지 않도록 타 문화의 다양성을 존중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형태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넷째, 예산의 효율적 운용이라는 측면에서 결혼이민자 지원사업 시행 관련 중앙부처의 유관기관과 민간기관과의 유기적 협력관계를 강화하고 이를 통해 추진하고 있는 사업의 다양한 연계, 역할을 분담하는 것이라고 본다. 결혼이민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정책이나 프로그램을 공공과 민간의 유기적 협력을 통해 보다 효율적이고 통합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한 것이다. 결혼이민자 사회통합은 단지 결혼이민자에게 복지혜택을 제공하는 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우리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정책의 방향성과 과정을 재설정할 필요가 있다. 정책의 방향과 내용을 결정하기 위한 논의는 내국인주민의 합의를 기반으로 이루어져야 하는데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연구해야 하는 것이 앞으로의 과제이다.

      • 초등 영어교사 양성과정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연구

        김수연 부산교육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연구에서는 전국 교육대학교에서 전담하고 있는 초등 영어교사 양성과정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여 교사들이 바라는 실제적이고 효과적인 초등 영어교사의 양성과정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지향적인 영어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 10개 교육대학교의 영어교과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1993년 이후 교육대학교를 입학한 초등교사 18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영어심화과정을 이수한 초등 영어교사 5명과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영어교사 양성과정의 실태를 분석한 결과 영어 교양과정에서는 예비교사의 영어구사능력 향상을 위해 영어실기 과목을 집중적으로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었으나 주로 일상적인 회화 중심의 강의였기 때문에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기능을 동시에 향상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있었으며, 초등 교사에게 필요한 영어능력을 함양하는 과목 개설이 요구되었다. 영어 전공과정에서는 모든 예비교사가 영어교육에 대한 기본적 소양을 갖출 수 있도록 영어교육이론 및 영어수업실기와 관련한 과목들을 필수 과목으로 개설하고 있었다. 영어 심화과정은 영어 전담교사 교육의 핵심적 과정이었으며, 교과교육학의 편성 비율이 가장 높았다. 그러나 가장 큰 문제점은 교육과정에 대한 일관된 기준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각 교육대학교에서 개설하고 있는 교과목, 이수학점, 이수방법, 이수학기 등이 매우 상이하여 영어교사로서 일정한 자질을 갖추기는 어려울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초등 영어교사 양성과정에 대한 인식을 설문 조사한 결과 영어 교사의 필수적인 자질은 ‘영어 교수법에 대한 이해와 활용 능력’과 ‘유창한 영어 사용능력 및 교실 영어 구사력’이며, 대부분의 교사들이 교육대학교의 영어교과 교육과정을 통해서 이러한 자질을 충분히 함양할 수 있는 정도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인식을 나타냈다. 영어 심화과정에 대해서도 지나치게 이론 중심의 강의가 많고, 영어 수업실습 과목이 부족하다는 인식을 보였다. 개별 교과목의 중요도와 활용도를 알아본 결과 <초등 영어과 수업실습>, <초등 영어교육론>, <교실영어> 순으로 교과교육학과 관련한 과목들이 높게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대다수의 교사들이 영어교과 교육과정에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따라서 영어수업실기의 강화 등 영어교사 양성과정에 대한 실질적인 정비가 필요하였다. 셋째, 초등 영어교사의 양성과정의 개선점에 대해 영어 심화과정을 중심으로 살펴 본 결과 실기와 이론 과목이 서로 균형을 이룰 수 있어야 하며, 초등교육과 관계성이 낮고 지나치게 이론 중심적인 과목들은 축소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또한 영어교사를 양성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기존의 교육과정 운영체제를 최대한 유지하여 큰 변화를 야기하지 않으면서 영어 교사로서의 전문성을 키울 수 있는 ‘영어 계절제 운영’ 또는 ‘영어심화과정의 교과목 강화’와 같은 방안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초등교사로서의 정체성에 혼란을 가져올 수 있는 영어교사의 분리양성과 같은 극단적인 방안에 대해서는 매우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초등교사의 양성 및 배치의 현실적인 상황을 고려할 때, 전국 교육대학교 간에 표준화된 교육과정이 요구된다. 반복적인 내용을 가진 과목들을 재조정하고 영어수업실기 과목의 확대가 필요하다. 또한 이렇게 표준화된 기준을 바탕으로 강의를 담당하는 교수자 간의 협의 과정을 통해 개별 교과목이 갖는 중요성과 그 내용을 공유하는 노력도 필요하다. 둘째, 장기적으로 우수한 초등 영어교사를 양성하기 위해서 영어교과 교육과정의 재정비가 필요하다. 빠르게 변화하는 영어교육의 패러다임과 초등학교의 현실, 초등교사의 요구를 충실히 반영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영어교사의 전문성을 인증하여 전담교사의 자격을 부여할 수 있도록 국가영어능력평가 시험이나 TOEIC, TEPS, TOEFL 등의 공인 인증 영어시험, 영어수업실기 인증제 등의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으로는 첫째, 영어교과 교육과정 및 영어 심화과정을 이수하고 있는 예비교사들의 인식조사 및 교과목 운영 실태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앞으로 더욱 발전적인 교육과정이 되기 위해서는 예비 교사들의 목소리를 듣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방법에 있어 문헌연구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도록 수업관찰 및 심층면담 등의 질적 연구를 적용하여 실제적으로 강의가 진행되는 과정과 이에 대해 가지는 인식을 함께 분석해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질적 연구를 기반으로 한 장기적인 종단적 연구를 수행 할 필요가 있다. 예비교사에서 현직교사로 옮겨가는 과정에서 소속집단과 경험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인식을 조사하고 분석함으로써 영어교사를 양성하는데 더욱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논문은 2012년 1월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 학위 논문임.

      • 다문화교육 정책 변화와 사회과 교육과정 : 교육부와 부산시교육청 업무계획을 중심으로

        이재명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우리나라 다문화교육 정책의 변화과정과 이에 따른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변화를 살펴 다문화교육의 발전과 현재를 분명히 하고 미래의 모습을 진단하고자 시작하였다. 정부에서는 2006년 처음으로 다문화라는 말을 사용하기 시작하였고 교육부에 ‘다문화’라는 용어가 등장한 것은 2007년이다. 국제결혼 가정이 28만가구가 넘고 전체결혼의 10%에 육박하는 현재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었다. 이에 다문화사회에 도래한 우리는 다문화가정 자녀들과 이들을 포함하는 학교교육을 어떤 과정으로 어떤 준비를 하여 왔는지 살펴보고 미래를 준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교육부와 부산시교육청의 업무계획을 분석하고 다문화교육이 어떻게 변화해왔는지 살펴보고 시기별 특징과 그 시기에 교육부와 부산시 교육청에서 제작한 사회교과서를 통해 다문화교육 정책이 어떻게 반영되었고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할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하여 최근 10년 동안의 교육부의 업무계획과 역시 최근 10년의 부산시교육청 업무계획을 정밀 분석하였다. 그리고 7차, 2007(년)개정교육과정, 2009개정교육과정의 변화를 총론과 사회과교육과정 중심으로 분석하였고 2014년 현재 적용되는 초등 1-4학년의 2009개정교과교육과정에 따른 2014년 도입될 새 국정 사회과 및 사회과 지역과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다문화교육의 흐름을 살피기 위해 인구학적 변화에 따른 정책 수립과 연계하여 살폈는데 다문화가정을 위한 교육부의 직접적 교육정책 수립과 추진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부산시의 경우도 전국의 추세와 마찬가지로 인구학적 변화가 일어나고 있어 부산시교육청의 업무계획 수립과 추진이 필요했다. 다만 부산시는 촌락중심의 중소도시에 비해 산업인력인 외국인노동자의 비율이 높아서 그에 따른 정책의 수립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한국의 다문화교육은 특수성이 존재한다. 첫째는 분단국가라는 특수성이다. 종족적 민족주의에 기반한 국가통합 정책과 통일정책을 생산하고 분단국가라는 특수한 맥락에서 무리없이 작동할 수 있는 다문화정책 생산이 요구된다. 둘째, 복지국가의 경험부재라는 특수성이다. 국민으로 하여금 다문화정책을 형평성에 어긋나는 역차별 정책으로 여기게 하는 결과. 일반적 차원의 복지정책과 긴장관계에 놓이지 않는 다문화 정책을 개발하는 것이 요구된다. 다문화 교육정책의 고찰과정을 사회교과와 연계하였는데 다문화교육이 사회과를 통해 가장 효과적으로 실현하고 한 나라와 세계의 역사와 문화, 지리, 정치, 사회, 민속 등의 제반 인간생활 영역을 두루 포함하는 교과이며 당면한 사회현상과 사회변동, 갈등을 주요한 교과의 내용으로 다루기 때문에 당대의 사회와 국가의 요구와 필요성에 가장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 것이 사회과이다. 공동체의 유지와 발전을 위한 정치적 사회화 기능을 사회과가 담당하는 등 다문화교육과 사회과는 바람직한 민주시민 육성을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진다. 교육부와 부산시교육청의 다문화교육 정책 변화과정을 분석한 결과, 십여 년이 안 되는 짧은 시간 우리나라 다문화교육 정책은 해가 갈수록 학계와 시민단체 등의 요구를 적극 반영하여 양적․질적 성장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시혜와 포용이 아닌, 인종 간의 공존이라는 유토피아를 향해 나아가고 있음을 알았다. 여전히 아쉬운 것은 우리의 다문화교육 정책들 어디에서도 당사자들에 의한 다문화교육 지원과 운영의 협의체는 발견할 수 없었다는 것이다. 한국인에 의한 다문화교육 정책수립과 시각의 견지는 끊임없이 풀어가야할 과제이다. 시기별 정리를 통해 다문화교육 정책 역사를 돌아보아 과거로 회귀하지 않도록 경계하고 살펴야 할 것이다. 7차 교육과정에서 2007(년) 개정교육과정으로, 다시 2009 개정교육과정으로의 변화는 교육부의 다문화교육 정책과 그 맥락을 같이 하고 있다. 다문화의 가치 변화와 담론에 따른 정책의 변화를 교과교육과정에 적극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7차 교육과정은 다문화 사회로 가는 과도기적, 또는 태동기로서의 성격이 강했다. 2007 개정교육과정에서는 총론에서 사회과 교육과정까지 다문화를 본격적으로 다루고 있다. 그러나 단일민족주의와 국가정체성을 더 강조한다. 2009 개정교육과정 총론에서는 다문화 학생을 위한 특별 학급을 설치‧운영과 한국어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자료의 활용에 관한 조항을 명시하고, 이전의 교육과정에 비해 다문화를 우리 사회의 주요 변화 중 핵심으로 다루면서 진일보하고 있다. 이 시대의 다문화 담론을 깊이 있게 풀어가고자 하는 등 그간의 학계의 논의와 시민단체의 요구들, 다문화 당사자들의 요구가 교육과정에 적극 반영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교육과정의 변화는 곧 다문화교육의 발전상임을 발견할 수 있었다. 다만 아직 다문화에 대한 시각은 우리 사회의 소수자로서 하층민의 이미지를 담고 있는 것은 풀어가야 할 과제이다. 또한 교육과정의 구성과 교과서의 기술은 1인칭 한국인이 캄보디아 사람에게 앙코르와트의 역사

      • 초등교사 음악교과 연수 교육과정 분석 : 부산, 경인, 경남 지역을 중심으로

        최은주 부산교육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79

        학교 교육에서 대부분의 교육적 효과는 교사를 통해 나타난다고 할 만큼 교사의 자질은 중요하다.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음악 교사는 새로운 지식과 기능 및 교수 기술을 계속 보강하여 자질 향상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따라서 초등학교 음악 교육의 능동적인 개선을 위해 음악교과 연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음악교과 연수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 음악교과 연수 교육과정의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초등교사 음악교과 연수 교육과정의 개선을 위한 유익한 시사점을 얻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문헌을 통해 음악 교사의 자질, 교사연수의 의미, 교사연수 기관 및 교육과정 등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2006학년도 부산, 경인, 경남 지역의 교사연수 기관에서 시행한 초등교사 음악교과 연수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연수의 개설 현황 및 연수 내용, 연수 방법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산, 경인, 경남 지역의 연수 기관에서는 음악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자율적으로 교사연수를 운영하고 있으며, 2-3개의 교사연수를 개설하였다. 둘째, 음악교과 연수 교육과정의 내용에 있어서는 부산, 경인, 경남 지역 모두 기악 영역의 비율이 높게 편성되어 있었다. 셋째, 음악교과 연수 교육과정의 내용에 있어서 부산과 경남 지역에서는 대체로 국악의 비율이 높게 편성되어 있었다. 넷째, 음악교과 연수의 방법에 있어서는 부산, 경인, 경남 지역의 연수가 모두 실습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교사 음악교과 연수 교육과정 개선에 대한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연수 기관을 다양화하고, 연수의 기회를 확대하도록 한다. 둘째, 연수의 내용에서 기악 영역 위주의 편성을 지양하고, 각 영역의 내용을 골고루 포함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셋째, 일부 지역에 한정된 본 연구를 확장하여 우리나라 전체의 초등교사 음악교과 연수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현재 시행되고 있는 초등교사 음악교과 연수의 효과에 대한 실질적인 조사연구가 필요하다. Well-trained, dedicated teachers are essential to the education process because most of the educational effects are provided by teachers. Changes in our society make it important that music teachers study and accept the changed knowledges and methodology for improvement of their teaching abilities. Therefore, a training curriculum for the music teacher has a great role in improving active music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and it is necessary for teachers to understand the training curriculum. This study tried to discover improvements for the training curriculum for elementary music education by analyzing the current teaching training curriculum. First, this study considered on the qualities of a music teacher, the meaning of teaching training, the organization for teaching training, and the curriculum from pre studied records. Next, the number of teacher training sessions, the content and the method were examined and profiled the teaching training curricula for elementary music education in the institutions of the Busan, Kyeongki-Incheon, and Kyeongnam areas in 2006. The results of the examined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Busan, Kyeongki-Incheon, and Kyeongnam training centers, which operate teacher training courses autonomously, recognize the importance of music education and have begun two to three new teacher training courses. Second, in the training curriculum for a music education, instrumental parts are emphasized to a greater degree than other aspects of music education in each of the regions: Busan, Kyeongki-Incheon, and Kyeongnam. Third, with respect to content, national classical music elements are emphasized in the Busan and Kyeongnam areas. Fourth, with respect to the methods of the training curriculum for a music education, teachers are given practical teaching opportunities in the curriculum in all of the regions: Busan, Kyeongki-Incheon, and Kyeongnam. In conclusion, the following are suggested: First, the training centers should be varied and the opportunities for the training of teachers should be expanded. Second, the focus on the instrumental aspects of music should be avoided, and effective ways should be found to include all of the elements of music education. Third, the study of the training curriculum for a music education needs to be expanded to other regions so that all elementary schools in Korea may benefit. Fourth, practical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th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for music education is necessary.

      • 어머니와 교사의 교육관과 유아 행복감 간의 관계

        유민영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7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the educational views of mothers with children in early childhood and of teachers on the happiness of preschoolers in an effort to understand the variables of mothers and teachers related to the happiness of preschoolers and provide some information on parent-teacher education programs required for increasing the happiness of preschoolers. Four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What are the differences among preschoolers in happiness according to the general background of their mothers(age, academic credential, employment status, family income level and view of education)? 2. What are the differences among preschoolers in happiness according to the general background of their early childhood teachers(age, career, academic credential and view of education)? 3. What are the differences among preschoolers in happiness according to their own general background(gender and age)? 4. What influence do the educational views of their mothers and teachers exert on their happines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e preschoolers, their mothers and teachers in 15 different kindergartens located in the city of Busan. The young children were at the western ages of 3 to 5. Questionnaires on mothers' view of education were handed out to 350 mothers of the preschoolers, and questionnaires on teachers' view of education were passed out to 70 homeroom teachers of the preschoolers. 350 questionnaires for mothers and 70 questionnaires for teachers were distributed from November 20 to December 15, 2017. 317 questionnaires(90.5%) from the mothers and 65 questionnaires(92.8%) from the teachers were collected, and 269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except for incomplete 48 ones that couldn't be analyzable due to non-response or omission. To see if there were any differences in happiness according to the general background of the mothers(age, academic credential, employment status, family income level and view of education), that of the teachers(age, career, academic credential and view of education) and that of the preschoolers(gender and age), independent-samples t-test and ANOVA were used by group level, and Scheffe test was conducted to make a post-hoc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ANOVA. In addition, Cronbach alpha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to tes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s. To find out how the educational views of the mothers and the teachers affected the happiness of the preschoolers, statistic data on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obtained,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23.0.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ut of the general background variables of the mother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preschoolers in happiness according to academic credential, employment status and family income level, and age and view of education didn't affect their happiness becaus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ccording to the two variables. Second, out of the general background variables of the teache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preschoolers in happiness according to career, academic credential and view of education, and age had no impact on their happiness becaus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ccording to that. Third, out of the general background variables of the preschooler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overall happiness according to gender, bu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ccording to relationship with the teachers, spirituality and emotions among the subfactors of happiness. In addition, their age affected happiness because it made significant differences. Fourth, the educational views of the mothers and the teachers exercised a 4% influence on the happiness of the preschoolers in total, and the human view, educational objectives, educational contents and educational methods of the mothers and the teachers that were the subvariables of view of education had a 12% explainability on the happiness of the preschoolers overall. This study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ascertained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mothers and the teachers and their views of education affected the happiness of the preschoolers. And that could be said to suggests the importance of the roles and educational views of mothers and teachers in terms of an increase in the happiness of preschoolers. Beside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parent-teacher education programs that are necessary to boost the happiness of preschoolers.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와 교사의 교육관이 유아의 행복감에 어떠한 관계가 있을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유아 행복감에 관계되는 어머니와 교사의 관련 변인들을 이해하고, 유아의 행복감을 증진시키는데 필요한 부모-교사 교육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어머니의 일반적 배경(연령, 학력, 취업유무, 가정소득수준, 교육관)에 따른 유아 행복감은 어떠한가? 2. 교사의 일반적 배경(연령, 경력, 학력, 교육관)에 따른 유아 행복감은 어떠한 가? 3. 유아의 일반적 배경(성별, 연령)에 따른 행복감의 차이는 어떠한가? 4. 어머니와 교사의 교육관이 유아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에 소재하는 유치원 15곳에 재원중인 만 3세~만 5세 유아와 그들의 어머니와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유아의 어머니 350명에게 어머니 교육관 설문지와 유아 행복척도 검사지를 배부하였고, 유아의 담임교사 70명에게는 교사 교육관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2017년 11월 20일~2017년 12월 15일까지 총 어머니 350부, 교사 7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총 어머니 317부(90.5%), 교사 65부(92.8%)를 회수하였으며, 분석에 부적절한 무응답과 누락으로 부실 기재된 48부를 제외하여 269부가 자료 분석에 사용되었다. 유아 어머니의 일반적 배경(연령, 학력, 취업유무, 가정소득수준, 교육관)에 따른 유아 행복감의 차이, 유아교사의 일반적 배경(연령, 경력, 학력, 교육관)에 따른 유아 행복감의 차이, 유아의 일반적 배경(성별, 연령)에 따른 행복감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집단의 수준에 따라 독립표본 t-검증 및 일원분산분석(ANOVA)을 사용하였으며, 일원분산분석의 사후분석은 Scheffé를 실시하였다. 유아 어머니와 교사의 교육관이 유아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기 전에 잔차의 독립성을 확인하기 위해 Durbin-Watson 값을 확인하였고, 다음으로 다중공선성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VIF 값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일반적 배경 중 학력, 취업유무, 가정소득수준은 유아의 행복감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연령과 교육관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유아의 행복감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둘째, 교사의 일반적 배경 중 경력, 학력, 교육관은 유아의 행복감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연령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유아의 행복감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셋째, 유아의 일반적 배경 중 성별은 행복감 전체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행복감 하위요인 중 교사관계, 영성, 정서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유아의 연령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유아의 행복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와 교육관 하위변인 중 교육방법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어머니와 교사의 교육관 하위변인과 유아 행복감 전체의 상관관계가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 교육관은 유아 행복감에 정적 예측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어머니 교육관은 유아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어머니와 교사의 관련 변인과 교육관이 유아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유아의 행복감을 높이기 위한 어머니와 교사 역할과 교육관의 중요성을 시사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유아의 행복감을 증진시키는데 필요한 부모-교사 교육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 키워드 : 어머니 교육관, 교사 교육관, 유아 행복감 ※ 본 논문은 2018년 8월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