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소기업의 경영주역량, 기술혁신역량, 사업화역량 및 경영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 동남권 제조, 건설 및 지식서비스 기업들을 중심으로

        진봉재 국립부경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36351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SMEs) play a crucial role as follows as a core component of our nation's economy. Firstly, in many countries, SMEs act as a major source of employment and hold a significant portion of jobs in specific industrial sectors. Secondly, SMEs play an essential role in introducing new ideas and technologies to the market, thereby promoting innovation, enhancing productivity, and vitalizing the national and local economies. Thirdly, SMEs expand the range of choices for consumers by offering a variety of products and services. Finally, SMEs maintain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ir local communities, fostering social integration through their social responsibility and investments in these communities. However, SMEs face considerable constraints in resources, infrastructure, and establishing competitiveness compared to large corporations. In such an environment, they must possess unique and robust core competencies for continuous growth and sustaining competitiveness. Numerous studies have activel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SMEs' core competencies, as management capability,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business capability—on their performance. Existing research on the core competencies of SMEs primarily focuses on the impact of entrepreneurial characteristics or spirit on technological outcomes. However, such studies are limited in explaining a company's ultimate goal of sustainable growth. Consequently, this study, focusing on manufacturing, construction, and knowledge service enterprises in the southeastern region, analyzed the impact of management capability,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business capability on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This study utilized corporate data from the Korea Credit Information Services for the first half of 2023.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analysis, were employed for hypothesis testing. Research findings indicated the following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management capability of SMEs has a positive impact on business capability,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positively affects business capability, financial performance,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Additionally, business capability positively influences financial performance, and a mediating effect was observ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ment capability,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and financial performance. This suggests that enhancing management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is essential for SMEs to achieve business success, with firms possessing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likely to gain a competitive edge in the market. Moreover, SMEs should focus on strengthening a combination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business capabilities for both short-term profits and long-term growth. Secondly,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cross different industrial sectors revealed that the key factors determining business performance vary by industry. In manufacturing,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is a crucial factor, while in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safety,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capabilities are more important. For knowledge service companies, brand recognition and service quality are seen as essential for sustainable growth. Thirdly, an analysis based on the age of the enterprise showed that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is vital for start-ups, whereas management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are crucial for more established companies. This implies that for continuous growth, SMEs need to identify key competencies appropriate for their business tenure and growth stage, and develop strategies and implementation plans accordingly. Therefore,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MEs should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ey competencies required in their industry sector and business performance. They should also accurately assess their position in their growth stage to establish effective management strategies. Additionally, governments and related agencies should take the lead in designing and implementing detailed policy support measures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SMEs,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중소기업은 우리나라 경제의 핵심 구성요소로서 다음과 같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첫째, 중소기업은 많은 국가에서 중요한 고용 원천으로 작용하며, 특히, 제조업 산업 분야에서 고용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둘째, 중소기업은 새로운 아이디어나 기술을 시장에 도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혁신과 생산성 증대를 촉진하는 등 국가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셋째, 중소기업은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 선택의 폭을 넓히는 역할을 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중소기업은 지역사회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며, 사회적 책임과 지역사회에 대한 투자를 통해 사회적 통합을 촉진시키고 있다. 그러나 중소기업은 대기업과 비교하면 자원, 인프라 및 경쟁력 확보에 있어서 많은 제약이 있으며, 이러한 환경에서 중소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그들만의 독특하고 강력한 핵심역량을 갖추어야 한다. 중소기업의 핵심역량 중 경영주역량, 기술혁신역량 및 사업화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들은 현재까지 활발히 수행되어 왔다. 기존 중소기업의 핵심역량에 관련한 선행연구는 경영자의 특성 혹은 기업가정신과 기술적 성과에 관한 영향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기업의 존재 목적인 지속가능한 성장과 수익 창출을 설명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어 왔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동남권 소재 제조, 건설 및 지식서비스 기업들을 중심으로 경영주역량, 기술혁신역량 및 사업화역량이 재무성과와 비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한국신용정보원의 2023년 상반기 기업 데이터를 활용하여 1,786개의 기업들을 대상으로 실증분석 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요인분석과 신뢰성 분석, 다변량 통계분석 방법인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분석을 사용하였다. 실증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기업의 경영주역량은 사업화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술혁신역량은 사업화역량, 재무성과 및 비재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사업화역량은 재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영주역량과 기술혁신역량이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소기업의 사업적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경영주역량과 기술혁신역량 강화가 필요하고, 기술혁신역량을 갖춘 기업은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가질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중소기업은 단기적인 이익 추구와 함께 장기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기술혁신역량과 사업화역량을 결합하여 강화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산업 분야별 구조적 영향 관계를 비교·분석한 결과, 각 산업 분야별로 경영성과를 결정하는 핵심 요인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술혁신역량이 경영성과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제조기업과는 다르게 건설기업은 프로젝트 관리, 안전성 및 환경경영역량 등이 중요한 요인이며, 지식서비스기업은 브랜드 인지도나 서비스 품질이 지속가능한 성장의 핵심 요인인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업력별 구조적 영향 관계를 비교·분석한 결과, 창업기업은 기술혁신역량이 중요한 요인이고, 일반기업은 경영주역량과 기술혁신역량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중소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사업경력과 성장단계에 맞는 핵심역량을 파악하고, 그에 맞는 전략과 실행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중소기업들은 그들이 속한 산업 분야에서 필요한 핵심역량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를 이해하고, 자신들의 성장단계에서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여 효율적인 경영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정부나 관련 기관은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세분화된 정책적 지원방안을 설계하고 수행하는 데 앞장서야 할 것이다.

      • 수소 버스 개발의 경제적 파급효과와 보급확대 정책의 중요도 분석 연구

        박현석 부경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36335

        전 세계적으로 ‘탄소경제(Carbon Economy)’에서 “수소경제(Hydrogen Economy)”로의 혁신적인 전환이 예고된다. 수소경제는 수소를 주요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경제산업구조를 말한다. 세계 주요국들은 탄소중립이라는 글로벌 트랜드와 친환경 미래에너지원으로서 수소경제의 가능성을 일찍부터 주목하여 수소경제로의 전환을 위한 로드맵을 발표하면서 온실가스 감축과 수소경제 글로벌 리더십을 갖고자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이런 전환에 앞장서기 위해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하였다. 우리나라가 강점으로 가지고 있는 ‘수소차’와 ‘연료전지’를 양대 축으로 세계적인 수소경제를 선도할 수 있는 산업생태계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이 새로운 혁신이 정부 주도의 추진을 넘어 민간 주도의 자생력 있는 생태계 구축으로 나아가기까지 규모의 경제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규모의 경제는 사회의 수용 정도를 통해 검토 가능하다.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에서 수소차 목표의 사회 수용 정도는 조기수용자(early adopters)를 넘어 전기다수수용자(early majority)로 넘어가려는 과정에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수소경제로 원활한 이행을 위해서는 조기수용자와 전기다수수용자 사이에 존재하는 사회 수용의 불연속면인 캐즘(The Chasm)을 통과하는 것이 중요한 요인이 됨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소경제 활성화에 필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코자 하였으며, 특히 주목하고 있는 점은 수소 버스의 개발과 보급이 수소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하는 바가 크다는 점이다. 수소 버스는 타 차종에 비해 오염배출량 감축 등 환경개선 효과와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효과가 특히 뛰어나다. 또한 운행거리가 긴 고정적인 버스노선 운행으로 대용량의 수소 사용처 확보와 거점 충전소 확보 및 충전소 운영 안정화 등 수소 생산, 저장·운반 및 활용의 전주기에 걸쳐 수소 생태계를 견인하는 역할을 한다. 더하여 대중교통으로서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수소 기술을 직접 체험하게 하고 안전성·친환경성에 대한 대중의 수용성을 높이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의 성공적인 이행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소 버스 개발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제시하고, 수소 버스 보급확대 정책의 중요도 분석으로 정책의 우선순위를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 경제적 파급효과의 제시는 산업연관분석(IO분석)을 수행하였고, 정책의 중요도 분석은 계층분석과정(AHP분석)을 수행하였다. 산업연관분석은 2018년도 전국 산업연관표를 토대로 수소 버스 산업을 새롭게 정의하고, 외생화 작업 후 수소 버스 산업으로 인하여 타 산업에 유발되는 생산, 부가가치, 고용유발효과를 산정하고, 전후방연쇄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수소 버스 산업이 국가 산업에서 차지하는 상대적 특성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수소 버스 산업으로 인한 타 산업의 생산유발효과는 0.704, 부가가치유발효과는 0.267, 고용유발효과는 2.494명/십억 원으로 산정되었다. 또한 산업별 생산유발효과가 큰 순위로는 화학제품, 1차 금속제품, 도소매 및 상품 중개서비스,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 금속가공제품 등으로 나타났으며, 부가가치유발효과가 큰 산업은 도소매 및 상품 중개서비스, 화학제품,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 사업지원서비스 및 금속가공제품 등으로 나타났다. 고용유발효과의 순위는 도소매 및 상품 중개서비스, 사업지원서비스,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 음식점 및 숙박서비스 및 운송서비스 등으로 나타났다. 전체 34개 산업 중 전방 연쇄효과는 17위, 후방 연쇄효과는 13위로 산정되어 전후방 모두 중간재적 성격이 강한 산업으로 분석되었다. 계층분석과정은 수소 버스 보급확대를 위한 지원정책을 AHP 계층구조도로 표현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였고, 설문조사는 부산광역시 버스운송사업자를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분석의 Tool은 전문프로그램인 Expert Choice 2000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는 “충전소 보급 지원”이 45.8%, “버스 보급 지원”이 34.0%, “기술 고도화”가 12.5%, “제도 정비”가 7.7%로 중요하다고 분석되었으며, 하위 계층의 요소는 “적정 운영비 지원”이 19.5%로 1순위, “충전소 설치비 보조”가 15.3%로 2순위, “연료비 보조금 지급”이 10.4%로 3순위, “버스 구입비 지원”이 10.2%로 4순위를 나타냈다. 즉 버스운송사업자들은 “충전소 보급 지원”이 가장 중요하다고 평가한 것을 알 수 있다. 분석의 과정에서 버스 운송사업자 중에서 수소 충전소를 운영 중이거나 운영 계획을 가진 사업자를 운송사업 단독 사업자와는 구분하여 충전소 병행 사업자로 구분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운송사업 단독 사업자와 충전소 병행 사업자의 설문 결과는 가중치의 변화는 있었지만, 충전소 보급 지원이 우선 중요하고 두 번째 버스 보급 지원이 중요하다는 순위에는 변화가 없었다. 본 연구는 수소 버스 개발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IO분석으로 제시하고, 수소 버스 보급을 위한 정부 지원정책의 운송사업자 관점에서 우선순위를 AHP분석으로 나타내었다. 따라서 IO분석을 통한 경제적 측면을 살펴보고 AHP분석을 통하여 정책적 방향을 살펴봄으로써 IO분석과 AHP분석의 연계 연구의 효과로서 경제성과 정책적 측면을 연계하여 연구할 수 있는 연구의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수소 버스 산업의 확대를 위한 정책적 지침이 될 것으로 기대하며, 수소 버스 보급확대가 수소경제 활성화에 중요한 트리거 역할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transition from "Carbon Economy" to "Hydrogen Economy" heralds an innovative change worldwide. The hydrogen economy refers to an economic industrial structure that uses hydrogen as a major energy source. Korea has also announced a roadmap to vitalize the hydrogen economy to take the lead in these changes. Korea plans to build an industrial ecosystem that can lead the global hydrogen economy with its strengths of "Fuel Cell Electric Vehicles" and "Fuel Cells" as the two pillars. Examining the degree of social acceptance of this new innovation, the goal of supplying fuel cell electric vehicles, it is estimated that it is in the process of moving beyond early adopters to early majorities. In order for the hydrogen economy to vitalize, it must pass ‘The Chasm’, a discontinuous surface of social acceptance, and a plan is needed for it. This paper attempted to derive policy implications necessary for vitalizing the hydrogen economy. What is particularly noteworthy is that the development of fuel cell buses and the supply of fuel cell buses contribute greatly to the vitalization of the hydrogen econom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economic impact of fuel cell bus development and to show the priority among the policies supplying fuel cell bus. As a research method, an input-output analysis was performed to present the economic impact, and a analytic hierarchy process was performed to show the priority among the policies supplying fuel cell bus. This study by input-output analysis redefines the fuel cell bus industry based on the 2018 input-output table and calculates the production, value-added, and employment induction effects caused by exogenous specification and analyzes the forward and backward linkage effect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production induction effect caused by the fuel cell bus is 0.704, the value-added induction effect is 0.267, and the employment induction effect is estimated as 2.944 people/billion won. Moreover, out of the total 34 industries, the forward linkage effect is ranked 17th and the backward linkage effect is ranked 13th, which is analyzed as an industry with a strong intermediate property in both the forward and backward. This study by analytic hierarchy process expressed the support policy for the distribution of fuel cell buses as an AHP hierarchical diagram.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on busan metrobus company. For analysis, 'Expert Choice 2000', a specialized program, was us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45.8% of "supporting the supply of hydrogen charging stations", 34.0% of "supporting the supply of fuel cell buses", 12.5% of "technology advancement", and 7.7% of "institutional support". It can be seen that busan metrobus company evaluated "supporting the supply of hydrogen charging stations" as the most important.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expected to serve as policy guidelines for the expansion of the fuel cell bus industry, and the expansion of fuel cell bus supply is expected to serve as an important trigger for revitalizing the hydrogen economy.

      • 패션 소매유통점의 효율성 분석과 그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이은정 부경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36335

        본 연구는 패션 소매유통점의 효율성을 분석하고,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분석한 것이다. 분석은 패션업체 A사의 로드샵 대리점 104개의 2017년에서 2019년까지 3개년간의 자료를 대상으로 하였다. 효율성의 측정과 분석은 DEA 모형을 활용하였으며 투입변수로 직원 수, 임차료, 입점브랜드 수를, 산출변수로 매출액과 구매고객 수를 사용하였다. 효율성 분석결과, 104개의 매장 중에서 11개가 기술 효율성과 순수기술 효율성, 규모 효율성이 모두 효율적이다. 비효율적인 매장이 93개(89.4%)다. 비효율성의 원인이 순수기술 효율성에 있는 매장이 89개로, 비효율적 매장의 95.6%이다. 이를 규모수익형태와 함께 고려하면, 규모수익증가(IRS) 형태이면서 비효율성 원인이 순수기술 효율성에 있는 매장이 가장 많다. 이러한 경우 규모의 경제가 존재하므로 투입물을 증가시키면서, 동시에 운영방법의 개선 등으로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 실질적인 효율성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Tier 분석을 실시하였다. Tier 분석은 기본 DEA 모형을 통해 벤치마킹을 할 경우 나타나는 한계점을 보안한 것으로, DEA 모형을 계층화하는 분석방법이다. Tier 분석결과, 가장 비효율적인 것으로 분석된 DMU 10개에 대하여 벤치마킹 경로를 8단계로 도출하였으며, 각 단계별로 효율성 개선을 위한 개선목표를 제시하였다. 효율성 결정요인은 토빗(tobit) 회귀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종속변수는 DEA 모형으로 측정된 기술 효율성, 순수기술 효율성, 규모 효율성이며, 독립변수는 소매유통점의 특성을 반영하여 입지특성, 점포특성, 점주특성으로 구분하였다. 입지특성에는 인구밀도, 타겟연령 유동인구 비율, 경쟁브랜드 수로 설정하였고, 점포특성은 면적, 전면길이, 점주특성은점주의 운영 기간과, 점주 역량으로 설정하였다. 효율성 결정요인의 분석결과, 입지특성에서 타겟연령 유동인구 비율, 경쟁브랜드 수가 점포특성에서는 면적과 전면길이가 점주특성에서는 점주 역량이 효율성 결정요인으로 분석되었다. 경쟁브랜드 수가 작을수록, 점주 역량이 높을수록 기술 효율성이 높아진다. 타겟연령 유동인구 비율이 높고 경쟁이 심하지 않은 상권에 입지할수록, 면적이 좁고 전면길이가 길수록, 점주의 역량이 높을수록 순수기술 효율성이 높아진다. 면적이 넓을수록, 점주의 역량이 높을수록 규모 효율성이 높아진다. 특히 점주의 역량은 기술 효율성, 순수기술 효율성, 규모 효율성을 모두 높이는 중요한 결정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전문소매점인 패션 소매유통점의 효율성을 분석하고,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는 소매유통점의 효율성 분석 연구의 범위를 확장하고, 효율성 분석에만 국한되었던 연구의 영역을 결정요인 분석으로 확대한 점에서 학문적 의미가 있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개별 소매유통점의 효율성 제고와 기업의 경쟁력 강화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iciency of fashion retail stores and the analyzes the determinants that affect the efficiency. The analysis was done with data for 3 years from 2017 to 2019 of 104 road shop agencies of fashion company A. Efficiency was measured and analyzed using the DEA model. The input variables are the number of employees, rental fee, and the number of brand, and the output variables are sales and the number of customers. As a result of the efficiency analysis, 11 out of 104 stores are efficient in both technical efficiency, pure technical efficiency, and scale efficiency. Most of the stores were analyzed as inefficient with 93 (89.4%) inefficient stores. The cause of inefficiency is pure technical efficiency, with 89 stores, which account for 95.6% of inefficient stores. Considering this together with the scale return form, most stores are in the form of increasing return on scale (IRS) and the cause of inefficiency is pure technical efficiency. In this case, since economies of scale exis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input while increasing the efficiency by improving the operation method at the same time. In this study, a Tier analysis was performed to suggest a more practical efficiency improvement plan. This is to secure the limitations that appear when benchmarking through the basic DEA model. Tier analysis is an analysis method that stratifies data envelope analysis models. As a result of the Tier analysis, 8-step benchmarking routes for the 10 most inefficient DMUs were derived, and benchmarking routes and improvement goals were presented for step-by-step efficiency improvement of inefficient stores. The determinants of the measured efficiency were analyzed using a Tobit regression model. Technical efficiency, pure technical efficiency, and scale efficiency measured by the DEA model were used as dependent variables, and independent variables were classified into location characteristics, store characteristics, and store owner characteristics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retail outlets.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is population density, target age, floating population ratio, and number of competing brands. The store characteristics is a area, front length, and store owner characteristics is the owner's operating period and owner's competenc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efficiency determinants, the ratio of the target age floating population in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the number of competing brands, the area and front length in the store characteristics, and the owner's competency in the store owner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as the efficiency determinants. The smaller the number of competing brands and the higher the store owner's competency, the higher the technical efficiency. The higher the target-age floating population ratio and the less competitive it is in the commercial district, the narrower the area and the longer the front length, and the higher the capability of the store owner, the higher the pure technical efficiency. The larger the area, the higher the capacity of the owner, the higher the scale efficiency. In particular, the competency of the store owner was analyzed as an important determinant of all of the technical efficiency, pure technology efficiency, and scale efficiency. In this study, the efficiency of fashion retail stores, which are specialized retail stores that were not covered in previous studies, were analyzed, and the determinants affecting the efficiency were analyzed. This has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expands the scope of retail efficiency research and expands the scope of research that was limited only to efficiency analysis to determinant analysis. In addi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useful implications were provided for enhancing the efficiency of individual retail stores and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companies.

      • 기술 테마 분석을 통한 국내 조선산업의 친환경 기술 트렌드 분석

        민건태 부경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6335

        잠재 디리클레 할당(LDA)은 대량의 문서에 포함된 단어의 확률적 관계를 파악해 키워드를 표현하는 자연어 처리 알고리즘 가운데 하나다. 하나의 특성에 모인 키워드를 보고 토픽을 추론하는 형태로 분석이 진행된다. LDA의 이런 특성으로 말미암아 특허 분석에도 LDA를 활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허의 서지 정보를 분석뿐 아니라 요약문에 포함된 기술의 특성을 언어로 표현이 가능하므로, 특정 산업 내에서의 기술의 내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 연구는 국내 조선산업의 특허 기술을 LDA를 활용해 분석했다. 조선산업에 LDA를 적용한 이유는 선박 건조 공정을 중심으로 한 혁신의 과정이 최근 급격하게 변화했기 때문이다. 선박의 배기가스를 줄이기 위한 장치나 선박 평형수 내 미생물을 처리하는 설비가 대표적인 사례다. 엔진 역시 디젤과 LNG 활용 등 이중 연료 사용부터 시작해 최근에는 수소 추진 선박을 개발하기 위한 움직임이 나타난다. 선박의 부품과 장치에서 시작돼 선박 자체가 친환경 영역으로 바뀌는 추세다. 따라서 지난 10년 동안의 조선산업 부문에 대한 대량의 특허 문서를 수집해 기술적 특성을 파악했다. 한국조선해양기자재공업협동조합 회원사 255개사의 10년치 특허 13,607건을 분석했다. 이 특허 문서에서 도출한 64개의 토픽은 중소벤처기업부가 발표하는 ‘중소기업 전략기술로드맵 2020-2023’에 따라 8개의 카테고리 기준에 맞춰 분류했다. 전략기술로드맵에서 제시한 8개 카테고리(배기가스 저감 장치, LNG 선박용 기자재, 듀얼 추진 선박용 기자재, 복합경량소재 적용 중소형 선박, 레저선박 기자재 및 레저기기, 오염물 제거 시스템, 선박충돌 감지 시스템, 기관실용 기자재)가 각각의 기술 테마를 나타낸다. 연구 결과 8개 기술 테마에 64개의 토픽 중 47개가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허와 토픽을 연결한 매트릭스를 만든 뒤, 이를 다시 ‘친환경 기술’과 나머지 기술로 분류해 연도별 특허량을 비교했다. 양쪽 모두 2012년을 정점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지만, 양적 측면에서는 친환경 관련 기술 개발이 압도적으로 많이 이뤄졌음을 밝혀냈다. 특허의 서지 정보를 통한 R&D 활동의 양적 분석에서 벗어나 기술의 특성을 포괄적으로 살펴봤다. 분석 과정에서 해양플랜트 관련 기술에 관한 토픽도 다수 발견됐는데, 마찬가지로 2012년을 기점으로 관련 기술이 대폭 줄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IMO 선박 규제와 관련한 친환경 선박 관련 기술개발 활동이 활발하게 이어졋음을 알 수 있다. 나아가 해양플랜트와 친환경 관련 기술의 연관성, 수소 추진선박과 자율운항선박의 개발 가능성을 위한 기술 특성을 파악하는 연구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The IMO(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regulations is changing the technologies of shipbuilding and marine equipment sector. The initial IMO’s plan on greenhouse gas emission from ships stipulated that CO2 per transport work by international shipping should be reduced 40% compared to 2008 by 2030. Since the IMO regulations has been effective in market, new technologies have been adopted in the ship, like ballast water management system, scrubber, related to LNG system. This study is on patent analysis of shipbuilding and marine equipment sector in Korea, using Latent Dirichlet Allocation(LDA) algorithm. Finding 64 topics in this study and 47 topics were specified in ‘Green Technology’ theme what is based on ‘Small Business Strategic Technologies Road map 2021-2023’, the Korean government’s suggestion. In 2009-2012, Korean patents related to ‘green technology’ have been steeply increased, and the patent quantities were three times higher than the other patents. And then the patents in the two technology theme were steeply decreased. It is presumed that fails in the offshore plant in 2008-2013. This study aims to discovering technology changes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echnology themes that describe specific technological implications as a set of technology attributes.

      • 제약·바이오 기업의 경영전략 유형이 비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 기술혁신 활동의 조절효과를 고려하여

        박세진 국립부경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6335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mpact of management strategies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in pharmaceutical and bio companies on ESG evaluation ratings. ESG is widely used as an indicator of corporate sustainability.Previous research on management strategies,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and ESG primarily focused on financial performance. There is limited research examining the impact of these factors on non-financial performance. Accordingly, this study classified the management strategy types of pharmaceutical and bio companies into Prospector strategy and defender strategy types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complex factors surrounding pharmaceutical and bio companies, and examined the impact on ESG evaluation ratings. Additionally, we examined whether companies’ innovation activities could be categorized as closed of open innovation for better control. We conducted an analysis on 90 pharmaceutical and bio companies that received an evaluation grade from the Korea ESG Standards Institute. The company’s management strategy score was derived from Fn Dataguide.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were measured using the Korean patent information search servic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ESG was analyzed using a hierarchical regression model. The result of the analysis) confirmed that the leading management strategy had a positive (+) effect on all grades of ESG integration (T), environmental (E), social (S), and governance (G).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open innovation activities have a negative (-) regulation effect in the impact of leading management strategies on integration (T) and social (S) ratings. Several implications can be present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since leading management strategies have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ESG evaluation, companies should strive to improve their non-financial performance by establishing leading management strategies and reflecting ESG evaluation criteria well. Second, since open innovation activities have a negative control effect on ESG (T) and social (S) ratings, efforts should be made to minimize the impact of open technology innovation activities to prepare a response strategy according to changes in the business environment. 본 연구는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하는 지표로써 “ESG”가 활용되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제약·바이오 기업의 경영전략 유형과 기술혁신 활동이 ESG 평가등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경영전략, 기술혁신 활동, ESG와 관련된 연구는 기업의 재무적 성과와의 연관성이나 ESG 성과지표에 대한 연구들이 다수를 이루고 있으며, ESG 활동과 경영전략, 기업의 기술혁신 활동을 함께 고려하여 이 요인들이 비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연구는 아직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제약·바이오 기업을 둘러싼 여러 복잡한 요인들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제약·바이오 기업의 경영전략 유형을 선도형과 방어형으로 구분하고, ESG 평가등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또한 기업의 혁신 활동을 폐쇄형 혁신과 개방형 혁신으로 세분화하여 조절작용을 할 수 있는지도 함께 살펴보았다. 한국 ESG 기준원의 평가등급을 받은 90개의 제약·바이오 기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Fn Data-Guide의 재무제표를 통 해 기업의 경영전략 점수를 도출하여 유형을 구분하고, 한국특허정보검색 서비스를 이용하여 기술혁신 활동을 측정한 후 위계적 회귀모형을 통한 조절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선도형 경영전략은 ESG 통합(T), 환경(E), 사회(S), 지 배구조(G) 모든 등급에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선도형 경영전략이 통합(T)과 사회(S)등급에 미 치는 영향에서 개방형 혁신 활동이 부(-)의 조절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다음의 시사점을 제약·바이오 기업에게 제시할 수 있다. 선도형 경영전략은 ESG 평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기업은 선도적인 경영전략을 수립하고 ESG 평가 기준을 잘 반영하여 기업의 비재무적 성과를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하지만 개방형 혁신 활동이 ESG(T)등급과 사회(S)등급에 부정적인 조절작용을 보이고 있으므로 개방형 기술혁신 활동 추진함에 있어 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노력하여, 경영환경 변화에 따른 대응전략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기술혁신역량에 관한 연구

        김일번 부경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6335

        The impact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on the national economy and employment effect is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it is true that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is quite poor compared to large enterpris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business performance of SMEs, and to improve the business performance,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innovation capabilities of SMEs. As a result of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there are many papers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tents and business performance, but studies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and quality certifica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are lacking.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it considers patents and technology/quality certification at the same tim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that affect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technology innovative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of technology innovative SMEs is divided into innovation holding capability(IHC) and human development capability(HDC). Two variables, patent and technology/quality certification, were used as innovation holding capacity, and three variables were used as human development capacity: the number of R&D manpower owned by a company, and the last educational background and industry experience of CEOs. Sales, operating profit, and employment were used as management performance variables. The analysis data were analyzed targeting 437 technology innovative SMEs in Busan, Ulsan, and Gyeongnam regions owned by the Korea Technology Guarantee Fu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echnology/quality certification and R&D manpower showed a positive (+) relationship between business performance (sales, operating profit) and employment, and patent acquisition showed a positive (+) relationship to operating profit, and CEO Industry experience showed a positive (+) relationship to sales. These results mean that acquiring technology/quality certification as well as patents is important for technological innovative SMEs to grow. In SMEs, securing R&D manpower is important for business performance improvement, and in particular, patent acquisition is an important factor for improving operating profit This study is an empirical study based on quantitative data obtained from the field, and it provides some implications to help local SMEs growth strategies by targeting technology innovative SMEs in Busan, Ulsan and Gyeongnam area. keywords : Technology innovative SMEs, Technology Innovation Capability, Innovation Holding Capacity, Human Development Capacity, Business Performance, Regression Analysis 중소기업은 국가경제의 성장과 고용측면에서 상당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나, 경영성과는 그리 높지 못하므로 무엇보다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육성이 긴요한 상황이다. 선행연구의 검토결과, 기술/품질인증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가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특허와 기술/품질인증을 동시에 고려한 점이 기존 연구들과 차별성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는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기술혁신역량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규명하고자 한다.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이 보유한 기술혁신역량을 혁신보유역량과 인적개발역량으로 구분하여, 혁신보유역량으로는 특허와 기술/품질인증의 두 개의 변수를 사용하고, 인적개발역량으로는 기술개발인력과 CEO의 학력 및 CEO의 동업계경력의 세 개 변수를 사용하였다. 종속변수로는 매출액, 영업이익, 고용을 설정하였다. 실증분석은 기술보증기금이 보유한 부산, 울산, 경남지역의 437개의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기술/품질인증과 기술개발인력이 경영성과(매출액, 영업이익)와 고용에 정(+)의 관계를 나타냈으며, 특허취득은 영업이익에, CEO 동업계경력은 매출액에 각각 정(+)의 관계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이 성장을 위해서는 특허뿐만 아니라 기술/품질인증의 취득도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중소기업에서도 기술개발인력의 확보가 경영성과 향상에 중요하며, 특히, 영업이익 개선을 위해서는 특허취득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연구가 실증데이타를 기준으로 한 실증연구라는 점과 부산/울산/경남 지역의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함으로써 지역 중소기업 성장전략에 몇 가지 시사점을 제공한다. keywords : 기술혁신형 중소기업, 기술혁신역량, 혁신보유역량, 인적개발역량, 경영성과, 회귀분석

      • 디지털 기술수용이 비즈니스모델혁신과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중국 국제 전자상거래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송창송 부경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36335

        제 4 차 산업혁명의 발전에 따라 인공지능, 빅 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블록체인, 사물인터넷 등 신디지털 기술 및 인터넷 기술도 급속히 발전하여 전통적인 생산경영 방식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에 따라 디지털 기술은 기업들의 관심의 초점이 되고 있다. 디지털 기술 채택과 기업 비즈니스 모델 혁신을 통해 비용 절감, 생산성 향상, 제품 및 서비스 차별화 향상을 모색하는 기업이 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중국 중소기업들의 디지털기술수용 결정요인을 알아보고 기업의 혁신기술수용이 비즈니스의 혁신성과 및 수출성과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하였다. 그리고 비즈니스 모델 혁신을 중개변수로 기업의 신기술 채택과 기업 수출성과 간의 영향 관계 및 작용 경로를 찾아내다. 우선, 디지털 기술 채택, 비즈니스 모델 혁신 및 기업 수출성과에 관한 기본 이론을 정리하며 국내외 관련 문헌을 참고하여 이론적 가설을 제시하고 개념 모델을 구축한다. 기업 기술 채택의 영향 요인과 비즈니스 모델 혁신, 기업 수출성과의 운영 메커니즘을 탐구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국내외 문헌에 있는 계량표를 참고하여 기술 채택 및 비즈니스 모델 혁신의 특징을 결합하여 변수 측정 항목을 설계하고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중국 국제 전자상거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해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SPSS 23 및 AMOS 23을 사용하여 회수된 샘플 데이터를 분석하고 샘플 데이터의 신뢰성과 유효성을 검증합니다. 디지털 기술 채택과 비즈니스 모델 혁신 및 기업 수출성과 간의 상관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 방정식 모델을 구축하고, 모델의 적합도를 평가해서 수정한다. 분석의 결과에 따라,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가설은 모두 검증되었고, 기술 유용성, 기술 용이성은 기업이 디지털 기술을 채택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경쟁자의 압력과 고객 요구의 사회적 환경 요인은 기업의 디지털 기술 채택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동시에 기업은 디지털 기술 채택을 통해 비즈니스 모델 혁신 및 기업 수출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비즈니스 모델 혁신에서 참신한 비즈니스 모델 혁신과 효율적인 비즈니스 모델 혁신은 모두 기업 수출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비즈니스 모델 혁신의 중개 효과도 검증되었지만 중개 효과는 분명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와 조사에서 발견된 문제에 대한 대응 의견을 제시하고 중국 국제 전자상거래 중소기업 발전을 위해서 의견을 제시한다. The developm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seen the rapid growth of the digital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big data, cloud computing, blockchain, Internet of Things (IoT), and Internet technologies, which has had significant impacts on traditional production and operation systems. Accordingly, enterprises have focused more on the digital technologies. Also, enterprises that use digital technologies and innovative business models to save costs are increasing in number, as they promote efficiency and diversify their products and services. Therefore, this research conducted by Chinese SMEs analyses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adoption of digital technologies, and is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 of companies’acceptance of digital technologies on the results of business innovation and exportation. Moreover, this research also takes business model innovation as an intermediary variable to explore the mutual relationship and interaction between the adoption of new technologies by enterprises and their exportation. First, this research sorts out the basic theories about the adoption of digital technologies, business model innovations, and enterprise exportation results. It also refers to the relevant domestic and foreign documents so as to put forward the theoretical hypotheses and construct the conceptual models. In addition, it explores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 adoption of digital technologies by enterprises, the innovation of business models and the operating mechanism of exportation. Secondly, this research designs variable measurement projects and questionnaires with reference to the measurement tables in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echnology adoption and business model innovation. Data has been collected though a questionnaire survey conducted by Chinese international e-commerce SME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ample data has been verified though SPSS 23 and AMOS 23. It construct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at could a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doption of digital technology and business model innovation as well as exportation in order to evaluate the suitability of the established model and modify it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hypotheses proposed in this research have been verified, concluding that the usefulness and easy-to-use technology have positive impacts on the adoption of digital technologies by enterprises. The pressure from competitors and the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of customer demands also have positive influences on the company's intention to adopt new digital technologies. Simultaneously, companies do adopt digital technologies to promote business model innovation and exportation. In the business model innovation, both novelty-oriented and efficiency-oriented business models can exert positive impacts on the exportation of enterprises. The intermediary effect of business model innovation has been verified and can be seen as obvious. In the final part of this research, the limitations and future topics are proposed. Solutions to the problems found in the conclusion and the survey and the development of China's international e-commerce SMEs are proposed.

      • Research on the Influence Mechanism of Technological Innovation investment and Technological Alliances on Business Performance of Enterprises : Focus on listed companies in China

        WANG LINGKANG 국립부경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36335

        As a result of the turbulent global economic environment, firms must accelerate technological innovation to cope with intense competition. However, with the rapid diffusion and penetration of knowledge, the shortening of the development cycle of new technologies, and the fact that product structures are becoming increasingly complex, the complexity of enterprises' innovation activities is also increasing, causing them to consider improving the speed of product development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echnological alliances with other enterprises and the adoption of cooperative technological innovation. Cooperative technology alliances for technological innovation have become one of the important modes of innovation and an important means for enterprises to improve their innovation performance.Therefore it is particularly important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ical innovation, technology alliances and firm performance. At present, academics usually only use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a single dimension of enterprise performance for correlation test, the research angle is relatively single. Moreover, in the existing research, a large number of literatures only focus on whether the enterprises have technological alliances or not, while the type and degree of technological alliances are not well quantified. Therefore, this study is based on resource base theory, organizational learning theory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theory. It divides technological innovation inputs into technological innovation capital inputs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human capital inputs. Innovatively using the factor analysis method, multiple indicators are constructed to evaluate the business performance of enterprises based on solvency, profitability, turnover capacity, growth capacity and market value. Meanwhile, the word frequency method is used to quantify the degree of technological alliance of enterprises. Finally, a fixed-effect model is used to conduct correlation analysi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1) Both technological innovation capital investment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human capital investment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business performance. This i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echnological innovation capital investment helps to expand the knowledge base and skills of enterprises and enhance their innovation ability. By researching new fields, firms are able to accumulate expertise, cultivate professionals, form a unique innovation culture, and promote organizational learning and growth. At the same time, technological innovation capital investment prompts firms to explore new market opportunities and discover and fulfill potential consumer needs. As for technological innovation human capital investment, enterprise technological innovation human capital investment realize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enterprise performance through various aspects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theory. Through well-designed recruitment, training, motivation, and career development strategies, firms not only improve their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but also enhance employee-organizational bonding, which drives innovation and growth, thus achieving significant positive performance impacts.(2)The interaction between technology alliances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investment (both capital and human) has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on firm performance.The results of this study disprove what previous studies have said about the positive aspects of technology alliances.The reasons for the results may be: firstly over-reliance on technology alliances for resources leads to a weakening of the impact of firms' innovation inputs on performance; secondly, the sharing of information resources in technology alliances may provide opportunities for technological theft; and the retention of information resources and negative willingness to give in technology alliances may also contribute to their negative moderating effect. In conclusion,This study not only challenges prevailing perceptions, but also contributes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delicate relationship between firms' technological innovations and technological alliances, providing valuable insights into both academic and practical applications in the field. Keyword:Investment in technological innovation; technology alliances; business performance of firms 글로벌 경제 환경이 불안정하기 때문에 기업은 치열한 경쟁에 대처하기 위 해 기술 혁신을 가속화해야 한다. 그러나 지식의 급속한 전파와 침투로 신기 술의 개발 주기가 계속 단축되고 제품 구조가 점점 복잡해지고 기업 혁신 활 동의 복잡성이 증가하고 있어 기업은 다른 기업과 기술 동맹을 구축하고 협력 기술 혁신의 방식을 채택하여 제품 개발 속도를 향상하는 방법을 고려하지 않 을 수 없다. 협력 기술 혁신 동맹은 기업 혁신의 중요한 형식 중 하나가 되었 으며 기업이 혁신 성과를 향상하는 중요한 수단이기도 하므로 기술 혁신, 기 술 동맹 및 기업 성과 간의 관계를 논의하는 것이 특히 중요한다. 현재 학계 는 일반적으로 기술 혁신과 기업 성과 간의 단일 차원만을 적용하여 상관성 검증하고 연구 각도는 비교적 단일한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 많은 문헌은 기 업에 기술 동맹이 존재하는지 여부에만 초점을 맞추고 기술 동맹의 유형과 정 도를 잘 정량화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원 기초 이론, 조직 학습 이론 및 기술 혁신 이론을 기 반으로 하였다. 기술 혁신 투입을 기술 혁신 자본 투입과 기술 혁신 인적 자 본 투입으로 나나누었다. 요인 분석법을 혁신적으로 적용하여 부채 상환 능력, 수익 능력, 회전 능력, 성장 능력 및 시장 가치 측면에서 기업의 경영 성과를 평가하는 여러 지표를 구축하였다. 동시에 단어 빈도 방법을 적용하여 기업의 기술 동맹 정도를 정량화하였다. 마지막으로 고정 효과 모델을 적용하여 관련 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기술 혁신 자본 투입과 기술 혁신 인적 자본 투입은 모두 기업 성과와 긍정적인 관계가 있다. 기술 혁신 자본 투자는 기업 의 지식 기반과 기술을 확대하고 기업의 혁신 능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이 된 다. 새로운 분야에 대한 연구를 통해 기업은 전문 지식을 축적하고 전문 인재 를 육성하며 독특한 혁신 문화를 형성하고 조직의 학습과 성장을 촉진할 수 있다. 동시에 기술 혁신 자본 투자는 기업이 새로운 시장 기회를 탐색하고 소 비자의 잠재적 수요를 발견하고 충족하도록 촉구한다. 기술 혁신 인적 자본 투자 측면에서 기업의 기술 혁신 인적 자본 투자는 인적 자원 관리 이론의 여 러 측면의 역할을 통해 기업 성과에 현저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신중하 게 설계한 채용, 교육, 인센티브 및 직업 개발 전략을 통해 기업은 기술 혁신 능력을 향상할 뿐만 아니라 직원과 조직의 접착력을 강화하여 기업의 혁신과 발전을 촉진하고 현저한 긍정적인 성과를 달성했다. (2)기술 동맹과 기술 혁신 투자(자본 투자 및 인력 투자 포함) 간의 상호 작용은 기업 성과에 현저한 부 정적인 관계가 있다. 이러한 결과의 원인은 첫째, 기술 동맹의 자원에 과도하 게 의존하면 기업 혁신 투입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약해지고 둘째, 기술 동 맹의 정보 자원 공유가 기술 도난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으며 기술 동맹의 정 보 자원 보유 및 소극적인 기여 의지도 부정적인 조절로 이어질 수 있다. 요컨대, 본 연구는 보편적인 인식에 도전할 뿐만 아니라 기업의 기술 혁신 과 기술 동맹 간의 미묘한 관계를 깊이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며 이 분야의 학술 연구 및 실제 적용에 귀중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개인맞춤형화장품 자동조제기의 기술사업화 연구

        강용웅 국립부경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6335

        After the customized cosmetics system was implemented by law in March 2020, the number of people who hold national certificates is expected to accumulate 6,200 as of March 2023 and additional successful applicants will be produced on average in the future, but only about 200 people are currently starting or employed (in March 2023).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stomer's skin type, problems, and necessary ingredients using technologies such as optical skin analysis, vacuum equilibrium extraction, and centrifugal stirring, and to study the technical commercialization of a customized cosmetics automatic preparation system that can accurately extract and mix and stir the ingredients accordingly to provide cosmetics that satisfy the customer's skin. To this end, based on patent analysis, the validity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is evaluated and analyzed by analyzing the rights, technology, business feasibility, and marketability of patents. Sinc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using a customized cosmetics automatic preparation system is expensive equipment centered on large companies, this study is a high-performance customized cosmetics automatic preparation system of small and portable low-cost types that differentiates it from large companies. It was confirmed that when a customized cosmetics manufacturer prepares skin, essence, and cream, it takes 40 to 60 minutes in the order of skin analysis, preparation for checking necessary ingredients, quantitative extraction using scales, and mixed stirring. After that, it took more than 30 minutes to clean various equipment, including beakers. On the other hand, preparation managers using customized cosmetics automatic preparation systems did not exceed 10 minute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IY method and the automatic preparation system showed that the dispensary's fatigue and stress decreased and the speed of work increased, resulting in a big difference in sales. In addition, as a result of conducting a briefing session and experience practice of the preparation management system to about 100 preparation managers at "Dr. Hwah:", a group of customized cosmetics preparation managers, they were interested enough to sign a pre-contract for 10 units. As a result of research and comparative analysis, it was proved that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is effective and marketability also exists. The automatic preparation system for customized cosmetics is expected to help the accumulated preparation managers start up and find employment and grow in the customized cosmetics market. 맞춤형화장품은 개인의 피부 특성과 취향에 맞추어 조제하는 것으로, 조제 방식에는 기존 화장품에 성분을 추가하여 혼합하거나 작은 양으로 소분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이중에서 첫 번째 방식의 맞춤형화장품을 자동조제기를 이용하여 기술사업화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내용이다. 한국은 맞춤형 화장품을 법적으로 정의하고 이 분야를 선도하는 국가로, 다양한 소비 계층의 확대와 소비 트렌드의 변화로 인해 맞춤형화장품 산업이 성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맞춤형화장품 산업의 육성을 위한 제도 개선에 주력하고 있으며, 이는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형 맞춤형화장품 산업의 성장을 촉진할 것으로 보인다​​. 맞춤형화장품 자동조제기의 기술사업화를 위해 필요한 다양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맞춤형화장품 관련 특허 분석으로, 자동취출기의 진공실린더를 이용한 원리 분석, 교반기의 자전과 공전을 동시에 시행하는 원심교반 방식 등이 포함된다. 또한, 국내·외 맞춤형화장품 관련 업체들의 유사 특허 분석, 특허 연도별 및 국가별 출원 추이 분석, 테크트리와 검색식 도출 등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맞춤형화장품 시장을 파악하고 사업화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인플루언서의 도움을 받아 현장 설명회를 진행하고 맞춤형화장품 판매업장의 요구를 수집하였다​​. 기술사업화 평가를 위해 기술성, 시장성, 사업성을 분석하였는데, 특허기술의 경제적 수명을 산출하여 현금흐름 추정기간을 15.5년으로 도출하여 기술성을 평가하였다. STEEP 환경분석 모델을 활용하여 사회적 요인, 기술적 요인, 경제적 요인, 환경적 요인 및 정치적 요인 등 5가지 요인이 모두 충족되어 시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사업성 평가 또한 BMO 사업매력도 평가점수와 자사적합도 평가 점수가 모두 40점 이상으로 유망사업에 해당된다. 이와 더불어, 경력 10년 이상의 국내 맞춤형화장품 전문가 5인을 대상으로 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통해 소상공인이 사용가능한 가격대의 자동조제기라는 점을 부각하고, 재고의 부담을 줄여주며 전성분 표시 라벨 출력과 판매내역서와 원료목록의 자동보관이 이루어지는 점을 개발의 방향과 마케팅 시 활용해야 할 전략으로 삼았다. 기술사업화 실행전략을 위해 이미 피부 건강과 관리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을 갖추고 있으며, 고객들의 신뢰를 얻고 있는 곳인 피부과병원을 1차 타겟으로 하고, 표적시장에 제품의 가치를 설명하고 시연하여 그 가치를 경험하게 하는 STP 전략을 작성하였다. 또한 졸리이론에 의한 다윈의 바다를 극복하기 위한 단계의 방안으로, Marketing Mix 4P 전략을 Product, Place, Price, Promotion 4개의 항목별로 수립하고, 수익을 예측하여 기술로드맵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는 이미 개발된 제품을 기반으로 한 사업화 모델로, 스타트업 기업의 기술사업화에 대한 모범사례인 점과 초기시장 단계인 맞춤형화장품 시장의 성장을 견인하며, 저가의 자동조제기와 필수 소모품 사업화로 소상공인들에게 화장품 창업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시사점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