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中国普洱茶文化形成及产业发展研究

        曹 博 목포대학교 대학원 국제차문화과학협동과정 2023 국내박사

        RANK : 254783

        Puerh tea is famous both at and abroad, and its main producing areas are Simao Prefecture (now Pu'er City), Xishuangbanna Prefecture, Lincang and other regions in Yunnan Province, China. Puerh tea culture is an important part of Chinese tea culture.35.4 million years ago in the Oligocene of the Early Tertiary, the only fossil origin of the new species of Magnolia platyphylla, the ancestor of tea in the flora, was in the Jinggu Basin in Simao area; The world's longest surviving (2700 years) wild type ancient tea tree "living fossil" is in Qianjiazhai, Zhenyuan, and the wild type ancient tea tree "living fossil" (1700 years) is in Menghai Bada; The only living "living fossil" of the millennium transitional ancient tea tree on the earth is in Lancang Bangwei; Thousands of years of cultivated ancient tea forest in Jingmai; The 800 year old cultivated tea tree died at the end of 1994 in Nuoshan, Menghainan.Now Simao Prefecture and Xishuangbanna Prefecture were under the jurisdiction of Yinsheng Festival in the Nanzhao period of the Tang Dynasty, and were called Puerh Prefecture in the Qing Dynasty。 Manshu in the Tang Dynasty said that "tea leaves the mountains of Yinsheng City", and Dianlue in the Ming Dynasty said that "all the tea used by scholars and common people is steamed into a group"Pu'er tribute tea was also processed here in the Qing Dynasty.Pu'er tea has been popular at home and abroad for a long time since the late Qing Dynasty and the early Republic of China, and is deeply loved by people.Pu'er tea has a long history of cultivation and rich cultural connotation.As one of the most distinctive categories of Chinese tea, Yunnan Puerh tea has gradually transitioned from drinking value, health value, and cultural value to collection value and investment value. In Yunnan, south of the colorful clouds, the wild ancient tea trees grew in the dense primeval forest. The ancestors who lived there learned that the wild tea leaves had the effect of detoxification, and then began to collect and use tea.At - 128 - that time, tea was only used as a kind of herbal medicine. After picking, it was boiled directly for drinking. The process of tea production didn't begin until the Zhou Dynasty, when tea officials were set up to gather tea for funeral purposes. This habit continued to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If we want to collect tea as sacrificial supplies, we must solve the problem of long-term preservation of tea. Due to the limitation of technical conditions, people chose the most direct "dehydration method" to dry and store tea leaves for use at any time. Once the fresh tea leaves are dried in the sun, the internal quality has changed greatly. This method is now called "raw drying", which is similar to the modern white tea processing technology. As time went by, people found that raw and dried loose tea still could not meet the demand for convenient storage. Because the aroma of loose tea was easy to dissipate, people tried to make dried tea into tea cakes, tea slices or ground into powder, which could not only improve the taste of tea, but also make storage more convenient. Guangya, written by Zhang Yi, a member of the Wei Dynasty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records that "tea is picked to make cakes between Jingba and Jingba." During the Tuoba period of the Northern Wei Dynasty in the Sixteen Kingdoms of the Eastern Jin Dynasty, there were also historical records of cake making and grinding technology: the residents in Sichuan and Hubei made tea into cakes, dried it, crushed it, and drank it with water. This method lasted until the Tang and Song Dynasties, that is, fresh leaves were made into cakes and slices, which were crushed when they were drunk. In the Tang Dynasty, the first qualitative leap in tea making technology was the invention of the technology of steaming green tea. The green sun dried tea cannot remove the "grass smell" in the leaves. Through repeated practice and summary, people found that once the tea was steamed, the taste could be greatly improved. Lu Yu's "Tea Classic" records in detail the process of steaming green tea, which goes through six steps, namely, "picking, steaming, pounding, shooting, baking, wearing, sealing, and drying the tea".The key is to make cakes after steaming, and leave a hole in the middle for drying. The grass flavor of steamed cake tea or group tea is basically removed, but because the steaming process allows more leaching of the tea content, the steamed group tea brings bitter problems when drinking. Therefore, people continued to make improvements, forming a method of first washing the fresh leaves, then steaming, pressing the tea leaves after steaming, squeezing out part of the tea juice, and then making cakes to reduce the final bitter taste. This method was very popular in the Song Dynasty, and it was stated in the Daguan Tea Theory written by Zhao Ji, Emperor Huizong of the Song Dynasty. During the Song Dynasty, the process of washing tea was also improved. For example, the tea after steaming was washed again to make it cool quickly and keep its bright green color unchanged. It is worth mentioning that during the reign of Emperor Taizu of the Song Dynasty, a kind of Longtuan tea - 129 - was made. In the first year of Xianping (AD 998), a model of dragon and phoenix was set up to make the group tea. The group tea was decorated with dragon and phoenix patterns, which is called Longtuan and phoenix cake, and this is the origin of Yunnan brick tea and cake tea in the future. Although the process of steaming Qingtuan tea reduces the bitterness by pressing, the taste of the tea itself has been greatly damaged. Therefore, after the tea was steamed, people dried it directly without kneading or pressing, and the steamed green tea began to change to steamed green tea. The steaming method did not change fundamentally from the Tang Dynasty to the Yuan Dynasty. The method of frying green tea was vigorously promoted in the Ming Dynasty, where frying pan was widely used to eliminate green tea. In the tea monographs of the Ming Dynasty, there were very detailed records of the roasting technology, and they all paid great attention to the preservation of tea aroma. This has played a decisive role in the innovation of tea making technology and the development of China's tea industry. Because of the fry green technology, it has laid the foundation for the emergence of various famous teas in China. The exact chronological sequence of the development from roasted green tea to various teas has not yet been recorded. If we judge from the processing methods of various kinds of tea today, we can infer that yellow tea and black tea are the first, and white tea, black tea and green tea are the last. Tracing back to the history of tea development in Chen Chuan's "General History of Tea Industry", we can see that the history of tea industry development has changed from unfermented green tea with the core process of green removal; And yellow tea based on the green tea bleaching process, with the stuffy yellow as the core process; On the basis of green tea decreation without fermentation (oxidation) process, black tea with the core of heap stuffiness and pile fermentation process, and white tea with the core of fermentation (oxidation) process; To green tea with green semi fermentation (oxidation) as the core process; And black tea with Wohong (also known as full fermentation) as the core process; The emergence of fermented tea has also experienced a long time. It is developed slowly through the continuous innovation of tea making technology an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raw materials in different regions. In this process, fermentation played a great role. This article will analyze the classification of Puerh tea by sorting out the development history of six types of tea and the changes of tea making technology. From the comparison between black tea with microbial fermentation as the core technology and other types of tea, this paper will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microbial fermentation tea and fermentation (oxidation) on the basis of the tea property classification of Puerh tea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re tea making technologies of each type of tea. Exquisite processing technology is one of the conditions to ensure the excellent - 130 - quality of Puerh tea, and is also the key to the formation of Pu'er tea products. In terms of the processing technology of Puerh this paper has carried out many investigations and field visits to the tea mountain in the origin of the production area, visited many local Puerh tea processing factories in Yunnan, observed and learned the raw material processing of Pu'er tea, the raw tea processing technology of Puerh tea and the processing technology of cooked tea, and combed the development and changes of the processing technology of Pu'er tea in different periods in history, And the national and local standards related to the processing technology of Puerh tea in different periods. A cup of high-quality tea cannot be presented without high-quality water and appropriate brewing methods. This paper tests several commonly used tea brewing water in the Korean market, and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tea brewing water with examples to provide a data experimental basis for making a cup of Puerh tea. In addition to the water used for making tea, the selection of tea making equipment and methods plays a key role in how to make a cup of Pu'er tea. This article classifies and compares the common and commonly used tea making equipment, selects the tea props suitable for making various types of Pu'er tea, and makes a specific case analysis. Through Puerh tea drinking methods such as raw tea seats, cooked tea seats, roasted tea seats, boiled tea seats, and mixed drinks of Puerh tea, it is applied to the influence of various materials of tea making equipment on Puerh tea soup, Make specific application demonstration. Through the above drinking methods of Puerh tea, it is proposed that the health care value of drinking Puerh tea can be maximized by reasonable and healthy drinking methods for different constitutions and different age groups based on drinking interests. Pu'er tea has a long history of production and drinking in ethnic minority areas. Many local ethnic minority people regard Puerh tea as a daily drink, even an important part of national culture. Yunnan minority tea culture has a profound impact on Pu'er tea culture. The production technology and traditional drinking methods of Pu'er tea also draw heavily on the tea culture of local ethnic minorities, including Dai, Bulang, Lahu, Naxi, Tuo, etc. The influence of ethnic minority tea culture on Pu'er tea culture and industrial development is multifaceted, including production technology, drinking methods, quality characteristics and multi-ethnic cultural exchanges. These influences have promoted the prosperity and development of Pu'er tea culture, and also enriched and diversified the cultural connotation of Pu'er tea.At the same time, this cultural exchange and integration has also brought a broader sense of cultural identity and regional identity to Yunnan ethnic minorities, which is conducive to promoting the development and exchange of multiculturalism in Yunnan. In terms of investment and collection of Puerh tea, this paper combs the - 131 - development process of the investment market of Puerh tea, and expounds the general situation of investment in Puerh tea from the aspects of investment theory, value basis, investment market, appreciation path, etc., which can enable the lovers of investment and collection of Puerh tea to form a certain understanding of the investment and collection of Puerh tea, which is conducive to making better judgments and decisions. At present, the investment and collection of Pu'er tea are not only popular in China, Hong Kong, Macao and Taiwan, including neighboring South Korea, Malaysia, Singapore and other places. The field of physical investment of Puerh tea is one of the most popular categories, and its trading volume, trading unit price and trading volume are showing a rising trend year by year. However, with the continuous expansion of the investment and trading market of Puerh tea, credit risk problems such as forgery, fraud, evasion and dishonour also come along. In the process of tea industry development, consumption is one of the main factors restricting supply.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tea industry economy and market trends tend to change with the consumption capacity of the economy and the public. In recent years, for example, in 2007, 2014, 2021 and 2022, there have been dramatic fluctuations in the transaction price of Puerh tea trading market, and the negative impact is called the "collapse of the tea market" by the market. In recent years, because the price of raw materials in the country of origin has increased year by year, the fluctuation range of its product price has also chang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at before, and its change factors will drive the sales and supply of Pu'er tea enterprises to fluctuate synchronously. It is difficult to explain this price fluctuation and supply and demand relationship with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consumption alone. Therefore, there must be other factors affecting this supply and demand relationship. In my daily work, I am also a participant in the operation of Puerh tea market. In the operation, I found that investment and collection are actually one of the factors restricting the supply and demand relationship of Puerh tea, and may even play a major role. The collection craze and investment behavior of Puerh tea have appeared in the development of the tea market for about 20 years, and its market changes and consumption demand have attracted enough attention from the tea industry and tea academia. For Pu'er tea, the author believes that investment and personal collection belong to different categories, and investment needs to make an estimate and prediction of the profitability and return on investment of tea products, It is also required that the tea has a certain market liquidity and liquidity. However, if you want to collect Pu'er tea as a personal preference, you only need to choose the tea that suits your consumption ability and habits. There are also some differences in people's attitudes towards the investment of Puerh tea. Especially after 2007, the market price of Puerh tea has fluctuated sharply several times. The industry also has - 132 - some negative views on investment and collection, and many different voices have emerged, such as Jiang Xinfeng (2010)They believe that the consumption of instant drinks of Puerh tea lags behind the purchase consumption brought by investment collection, which is likely to lead to distortion of market supply and demand and price chaos. He also believed that this distortion would lead to malicious speculation in the market, which would make the Pu'er tea market go against the law of value.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investment in and collection of Puerh tea have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in the development of the industry, and even this model has begun to extend to other storable tea categories. For example, in recent years, black tea and even white tea have also begun to collec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se a more rigorous and scientific way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collection on the supply and demand relationship of Puerh tea market, and understand the internal factors of the sharp fluctuations in the price of Pu'er tea market, so as to help tea producers and sellers correctly evaluate this impact mechanism, so as to avoid harm to normal production and operation. And it is more necessary to put forward reasonable suggestions on investment collection for investors and collectors of Puerh tea, so as to avoid economic losses caused by the negative impact of blind investment. The scientific storage mode of Puerh tea is also an important factor for the improvement of the post fermentation quality of Puerh tea and its appreciation space. Yan Zi's Spring and Autumn Annals said: "Oranges born in Huainan are oranges, while those born in Huaibei are trifoliate orange, with similar leaves, but different flavors." Although Puerh tea originated in Yunnan, it is the main consumer in Guangdong, Hong Kong, Taiwan and other regions. At present, the mellowing method of Puerh tea is natural storage The storage area represented by Kunming, the provincial capital of the origin of Pu'er tea, is called Kunming Warehouse or North Warehouse. The Pearl River Delta and Lingnan regions, which are the largest consumer markets, are called Guangdong Warehouse or Nanfang Warehouse. Due to the difference in natural storage conditions between different regions, the mellowing quality of Pu'er tea will be greatly affected. The change of storage and quality is also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price of Pu'er tea. Through the above contents, this paper conducts a comparative study on the culture of Puerhr tea, the tea category, processing technology, healthy drinking methods, and the investment and collection of Pu'er tea. It can deeply understand the cultural connotation of Pu'er tea, promote the construction of the brand of Puerh tea, and propose investment plans for various brands, promote, protect, and inherit the culture of Puerhr tea. And the positive development of Puerh tea industry. 보이차는 국내외에서 잘 알려져 있으며, 주요 생산 지역은 중국 운남성의 사모思茅지역 (현 재 보이시普洱市), 서쌍반나西雙版納 및 임창臨濸등 이다. 진원 천가채鎮沅千家寨에서 발견된 2700 년 야생 고차수는 "살아있는 화석"이라고 부른다. 남라산南糯山에 심은 800년 된 재배형 차나 무는 안타깝게 1994년에 고사하였다. 현재 사모 지역과 서쌍반나주은 당나라 남조 시대에 은 성계두銀生節度의 관할 하에 있었고, 청나라 때는 보이부普洱府라 불렸다. 당나라의 『만서蠻書』 는 "차는 은생성의 경계에 있는 여러 산에서 나온다. 독특한 제다방법이 없이 몽사만이 이 차 를 산초, 생강 계피와 함께 넣어 끓여 마신다.茶出銀生城界諸山,散收無采造法。蒙舍蠻以椒姜桂和烹而 飲之"는 기록이 있고 명나라의 『전락滇略』에서는 "사대부와 서민들이 모두 이 '보차普茶'를 마셨 다. 이차는 쪄서 둥글게 단차모양으로 만들었다. 士庶所用,皆普茶也,蒸而成團." 청나라의 공차貢茶 도 이와 같이 만들었다. 보이차는 청나라 말과 중화민국 초기부터 국내외에서 유행하여 오랫 동안 사람들의 사랑을 받아 왔다. 보이차는 오랜 재배 역사와 풍부한 문화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중국 차의 가장 독특한 범주중 하나인 운남 보이차는 점차 음용 가치, 건강 가치 및 문 화적 가치가 높아 수장 및 투자 가치로 전환되었다. 채운의 남쪽彩雲之南에는 울창한 원시림에서 야생 고차수가 자라고 그곳에 사는 사람들은 야 생 차나무 잎이 해독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된 후, 찻잎을 따서 활용하기 시작했다. 당시 차는 일종의 한약재로만 사용되었고 따서 바로 끓여서 마셨다. 차 가공 및 생산 기술은 주나 라에서 시작하였으며, 당시 주나라에서 차 담당자를 내 세워 제사용 차를 모았다. 이러한 풍 습은 춘추시대까지 이어져 찻잎을 제물로 모으기 위해서는 찻잎을 장기간 보존하는 문제를 해 결해야 했다. 기술적 조건의 한계로 인해 사람들은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찻잎을 건조하고 저장하기 위해 가장 직접적인 탈수 방법을 선택했다. 신선한 찻잎을 햇볕에 말리면 내부 품질 이 크게 변화하는데, 이 방법은 현재 '생쇠生曬'라고 불리며 현대의 백차 제조 과정과 다소 유 사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람들은 차의 향기가 쉽게 발산되기 때문에 생쇠生曬하는 대신 사람들은 건조 차를 병차, 조각차 또는 산차로 만들려고 했다. 긴압緊壓으로 만들 수 있어 차 의 맛을 좋게 할 뿐만 아니라 보관도 편리하다. 삼국시대 쓴 『광야廣雅』에는 “경파 지역에서는 차를 따서 병차를 만든다荊巴間,採茶作餅.”는 기록이 있었다. 이 방법은 당나라와 송나라까지 계속되었다. 즉, 신선한 찻잎을 병차와 조각으로 만든 다음 마실 때 빻아 갈아서 음용했다. 당나라에서 차를 만드는 과정은 첫 번째 질적 도약, 즉 녹차를 만들기 위해 차를 찌는 방법 - vii - 이 있었다. 햇볕에 말린 찻잎은 잎의 "풋내青草味"을 제거할 수 없으며, 사람들은 반복적인 연 습을 통해 찻잎을 한 번 찌면 맛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음을 발견했다. 당나라 육우의 『다경茶 經』에는 "좋은 날씨에 찻잎을 따기, 찌기, 두드리기, 찧기, 굽기, 뚫기, 밀봉하기晴採之,蒸之,搗 之,拍之,焙之,穿之,封之,茶之幹矣 "라는 여섯 단계를 통하여 이중에 가장 중요한 단계는 차를 찌는 과정을 거쳐 떡차를 만드는 과정이다. 찻잎을 찐 후에 떡차를 만들고, 중간에 작은 구멍 을 뚫어 건조해서 함께 묶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핵심이다. 찐 떡차는 기본적으로 떫은 맛이 제거되지만 찌는 과정에서 찻잎에 있는 물질이 더 많이 침출되기 때문에 떡차는 마실 때 쓴맛 이 나는 문제를 가져온다. 그래서 사람들은 차잎을 먼저 씻은 다음 쪄서 찻잎을 세게 누르는 방법을 선택했다. 찻잎의 쓴 맛을 줄이기 위해, 송나라에서 매우 인기가 있었고 송나라 휘종 황제宋徽宗가 쓴 『대관다론大觀茶論』에 이 과정에 대한 설명이 있다. 송나라 에는 찻잎을 씻는 과정도 개선되었으며, 찐 찻잎을 물로 씻어 빠르게 식히고 밝은 녹색을 변하지 않게 유지할 수 있었다. 이러한 영향으로 송나라 태조 때 일종의 용봉단차龍鳳團茶가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998년에 용과 봉황 모형을 세워 단차를 만들었다. 단차를 찌는 과정은 눌러 짜서 쓴맛을 줄이 지만 결국 차 자체의 맛이 크게 저하된다. 따라서 차를 찐 후에 사람들은 반죽하거나 누르지 않고 직접 말리면 단차가 산차로 변하기 시작한다. 따라서 당나라와 송나라의 병차와 단차의 제다방업은 오늘날의 보이차와 깊은 관련이 있다. 보이차의 기원 및 문화 발전바탕으로 보이 차의 문화적인 배경, 가공기술의 변천, 보이차의 음다문화 및 소수민족 차문화 그리고 보이차 의 산업 및 유통 등의 층면에서 고찰하여 논술하였다. 제 1 장에서 연구목적과 배경, 선행연구 검토, 연구방법 및 범위를 논의하였다. 제 2 장에서 보이차의 문화 형성, 보이차의 정의, 그리고 보이차의 효능에 대해 논의하였다. 정교한 가공 기술은 보이차의 우수한 품질을 보장하는 조건 중 하나이며 보이차 제품 형성의 중요한 요소이기도 한다. 보이차 제다 측면에서 생산 지역의 차산지 기원과 역사에 대한 많은 문헌고찰 및 현장 견학을 수행했으며 운남의 많은 보이차 가공 공장이나 현지 차 박물관도 방 문하였다. 보이차 가공 기술의 발전과 변화를 정리하였다. 소수민족 지역에서 보이차의 생산과 음용 역사는 매우 길며, 많은 지역 소수민족이 보이차를 일상 음료로 삼고 심지어 민족 문화 의 중요한 부분으로 받아들였다. 운남 소수민족의 차 문화는 보이차 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 쳤다. 보이차의 생산 과정과 전통적인 마시는 방법은 또한 태족傣族, 포랑족朗族, 라후족拉祜族, 나시족納西族, 이족彝族등 현지 소수민족의 차 문화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소수민족 차 문화가 보이차 문화와 산업 발전에 미치는 영향은 생산 기술, 마시는 방법, 품질 특성 및 다민족 문 화 교류 등을 포함하여 다양하다. 이러한 영향은 보이차 문화의 번영과 발전을 촉진했으며 보 이차의 문화적 의미를 더욱 풍부하고 다양하게 만들었다. 동시에 이러한 문화 교류와 통합은 운남성 소수민족에게 더 넓은 문화적 정체성과 지역적 정체성을 가져다주어 운남 다문화주의 의 발전과 교류를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런 한 점에서 보이차와 소속민족 차문화를 문 헌과 현지탐방을 통해서 정리했다. 제 3 장에서 중국 6대다류의 분류에 바탕으로 보이차의 소속에 대한 논정을 이론적인 토대 를 제시하였다. 녹차에서 민황悶黃 공정을 거쳐 황차가 만들어 진다. 황차에서 악퇴발효渥堆發 - viii - 酵 공정을 통해 흑차가 만들어 진다. 위조萎凋 공정과 경발효(산화)輕發酵(氧化)을 통해 백차가 만들어 진다. 좌청做青(요청搖青、량청涼青、살청殺青포함)과 반발효(산화)半發酵(氧化)공정를 거 쳐 우롱차가 만들어 진다. 또한 악홍渥紅을 통해 전발효(산화)全發酵(氧化)가 되어 홍차가 만들 어 진다. 이런 과정에서 산화와 발효의 역할이 컸다. 보이차 포다泡茶의 물의 원산지에 따라 차의 특성을 설펴보았다. 차를 끓이는 물외에도 차를 마시는 도구와 차를 우리는 방법은 좋은 보이차를 마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고는 시중에 일반적으로 사용된 차 마시는 도구를 분류하며 비교하고, 구체적인 사례 분석을 위해 다양한 유형의 보이차를 마시기에 적합한 차 도구 선택을 제안했다. 각종 재료로 만든 차도구가 보이차에 미치는 영향을 응용하여 구체적 인 사용법을 제시했다. 그리고 다양한 보이차 음용방법을 통해 다양한 체격과 연령층에 따라 관심과 취미에 기반을 둔 합리적인 건강 차 음용방법을 통해 보이차 음용의 건강한 가치를 극 대화할 수 있음을 제안했다. 보이차 가공 기술에 대한 국가 및 지역 표준뿐만 아니라 좋은 차 한 잔을 제시하는 것은 양질의 물과 적절한 추출 방법과 불가분의 관계있다. 또한 보이차의 품질관리를 위해 관능평가가 필요하다. 올바른 차를 마시기 위해 과학적인 음용밥법이 종요한 다. 보이차 포다泡茶의 물의 원산지에 따라 데이터 기반을 실험했다. 차를 끓이는 물외에도 차 를 마시는 도구와 차를 우리는 방법의 선택은 좋은 보이차를 마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고는 시중에 일반적으로 사용된 차 마시는 도구를 분류하며 비교하고, 구체적인 사례 분석 을 위해 다양한 유형의 보이차를 마시기에 적합한 차도구 선택을 제안했다. 각종 재료로 만든 차도구가 보이차에 미치는 영향을 응용하여 구체적인 사용법을 제시했다. 그리고 여러 사례 보이차 음용방법을 통해 다양한 체격과 연령층에 따라 관심과 취미에 기반을 둔 합리적인 건 강한 차 음용방법을 통해 보이차 음용의 건강한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음을 제안했다. 제 4 장에서 보이차의 투자 및 유통 측면에서 보이차 투자 이론, 가치 기준, 투자 시장, 평 가 측면에서, 보이차 투자의 일반적인 상황을 제시하였다. 차 투자 및 수장은 더 나은 판단과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되는 특정 인식을 형성한다. 현재 보이차의 투자 및 수장은 중국본 토, 홍콩, 마카오, 중국대만뿐만 아니라 한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등 주변 국가에서도 많은 관심이 있다. 보이차의 핫이슈는 실물적인 투자이며 거래량, 거래단가, 거래액이 해마다 증가 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보이차 투자 및 거래 시장이 지속적으로 확장됨에 따라 위 조, 사기 및 주문 회피와 같은 신용 위험 문제도 동반된다. 차 산업이 발전하는 과정에서 소 비는 공급을 제한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이므로 차 산업 발전과 시장 동향은 대중의 소비 경 향과 변화하는 경우가 많다. 최근 몇 년 동안, 예를 들어 2007년, 2014년, 2021년, 2022년에 보이차 거래 시장에서 거래 가격의 급격한 변동이 있었고 부정적인 영향은 시장에서 "차 시장 붕락茶市崩盤"이라고 불렸다. 변동이 주기적이고 반복적이라는 것이 특징이며, 최근 몇 년 동안 원산지의 원자재 가격이 해마다 상승함에 따라 제품의 가격 변동 폭도 이전에 비해 크게 바뀌 었으며, 변화 요인은 보이차 기업의 판매 변동에 있다. 이러한 가격변동과 수급관계는 소비의 증감만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우므로 이러한 수급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이 있을 수밖 에 없다. 일상 업무에서 저자 본인도 보이차 시장에 참여하고 있으며, 운영 중에 실제로 투자 와 수장이 보이차의 수급 관계를 제한하는 요인 중 하나라는 사실을 발견했으며 심지어 중요 한 역할라고도 할 수도 있다. 보이차의 수장 열풍과 투자 행태는 지금까지 약 20년 동안 차 - ix - 시장의 발전에 나타났으며, 시장 변화와 소비자 수요는 차 업계와 차 학계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했다. 보이차에 대해 저자는 투자와 개인 수장은 다른 범주에 속한다고 생각하고 투자는 차 제품의 수익성과 투자 수익을 예측해야 하며 차 제품은 일정한 시장 유동성과 유동성이 있 어야 한다. 그러나 보이차를 개인의 취향으로 모으기 위해서는 자신의 소비능력과 소비습관에 맞는 차를 선택하기만 하면 된다. 보이차 투자에 대한 사람들의 태도에도 차이가 있는데, 특 히 보이차 시장 가격이 여러 차례 변동한 2007년 이후 업계에서도 투자 및 유통에 대해 부정 적인 시각을 보였다. 그러나 보이차의 투자 및 수장은 산업 발전에서 점점 더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으며 이 모델조차도 최근에 다른 종류 흑차 및 백차와 같은 저장 가능한 차로 확장되기 시작했다. 따라서 보이차 시장의 수급 관계에 대한 수장의 영향을 조사하고 보이차 시장의 큰 가격 변동의 내부 요인을 이해하기 위해 보다 엄격하고 과학적인 방법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차 생산자와 판매자가 이 메커니즘을 올바르게 평가하여 정상적인 생산 및 운영에 해를 끼치 지 않도록 도와주야 한다. 그리고 블라인드 투자의 부정적인 영향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피 하기 위해 보이차 투자자와 취미 수장가에게 합리적인 투자 및 수장 제안을 제시하는 것이 더 필요하다는 점에서 여러 사례와 브랜드 가치를 분석하였다. 보이차의 과학적 저장 방법은 보이차의 후발효後發酵 품질과 감상 공간을 향상시키는 데 중 요한 요소이다. "귤이 회남에서 크면 귤이 되고 회북에서 크면 탱자가 된다.橘生淮南則為橘,生於 淮北則為枳". 보이차의 원산지는 운남성에 이지만 주요 소비지는 광동성, 홍콩, 대만과 주변국가 인 한국、마레시아등에 분포한다. 현재 보이차의 숙성 방법은 자연 저장自然幹倉을 기반으로 한다. 그러나 보이차의 후발효後發酵와 진화陳化는 일정한 온도나 습도가 필요함으로서 창고 환 경을 관리하지 않으면 품질 좋은 보이차를 숙성하기가 어렵다고 본다. 주로 보이차의 발원지 인 운남곤명으로 대표되는 보관창고를 곤명창昆明倉고 또는 북방창北方倉고라고 부른다. 가장 큰 소비 시장인 주강 삼각주珠江三角洲와 링난 지역嶺南地區은 광동창廣東倉 또는 남쪽창南方倉이 라고 부른다. 지역마다 자연 저장 조건의 차이로 인해 보이차의 숙성 품질에 더 큰 영향을 미 친다. 보관 및 품질 변화도 보이차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어기 떄문에 과학적인 보관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보이차의 문화, 보이차의 분류, 가공기술, 건강한 음용 방법, 보이차의 투자 및 수장에 대한 비교 연구를 통해 문화적 의미를 깊이 이해하고자 하며 보이차 브랜드 구축, 브랜드에 대한 투자 계획 제안, 보이차 홍보, 계승, 보이차 산업의 적극 적인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 西北絲綢之路茶文化的發展和向後展望 : ——以中亞茶文化為中心

        류심죽 목포대학교 대학원 국제차문화과학협동과정 2023 국내박사

        RANK : 254767

        <국문초록> ‘실크로드’라는 개념은 독일의 지리학자 페르디난트 폰 리히호펜에 의해 처음 제기되었다. ‘실크로드’는 장안에서 시작하여 간쑤(甘肅), 신장(新疆) 등 중국 을 거쳐 중앙아시아, 서아시아 및 유럽을 통해 서쪽 끝 로마(羅馬)까지 미쳐 있다. 이 길은 ‘육로 실크로드, 즉 ‘서북 실크로드’ 라고도 불린다. ‘실크로드’는 일반적으로 넓은 의미와 좁은 의미로 나뉘는데, 넓은 의미로는 ‘육상 실크로드’와 ‘해상 실크로드로’ 나뉘며, 좁은 의미로는 장건(張騫)이 개통한 ‘서북 실크로드’、‘초원 실크로드’、 ‘남방 실크로드’, ‘해상 실크로드’가 있다. 장건(張騫)이 ‘실크로드’를 개척면서 중요한 국제무역통로가 열렸다. 중국의 특산품인 실크、찻잎、자기 등이 이 길을 따라 중앙아시아와 서아시아、유럽으로 운송되었다. 중앙아시아의 서아시아와 유럽 지역 상품도 이 경로를 따라 중국으로 운송되면서 각 지역의 선진 생산기술과 문화, 사상 등이 서로 교류되었다. 제 1장 서론에서는 연구배경, 연구목적, 연구의의, 기존연구현황과 본 고와의 차이점, 연구방법을 서술하였다. 제 2장에서는 ‘고대 실크로드’의 노선과 그 형성을 살펴봄과 동시에 ‘서북 실크로드’, ‘초원 실크로드’, ‘남방 실크로드’, ‘해상 실크로드’의 4가지 주요 노선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제 3장에서는 본 논문의 주요 코스인 ‘서북 실크로드’를 부각시켜 ‘서북 실크로드’의 형성과 발전을 왕조 순으로 기술하였으며, 이 중 ‘위진남북조 시대’와 ‘수당 시대’를 중심으로 서술함과 동시에 ‘서북 실크로드’ 차 문화가 어떻게 전파되었는가 살펴보았다. 제4장에서는 본 논문의 핵심인 중앙아시아를 중심으로 전파된 차문화를 살펴보았다. 중국의 차와 차 문화는 ‘서북 실크로드’를 통해 ‘중앙아시아 5개국’으로전파되었으며, ‘중앙아시아 5개국’에 새로운 음료 경험을 가져다 주었고 차는 중앙아시아 지역 사람들에게 큰 환영을 받았다. 중국의 차 문화와 중앙아시아의 민속과 풍습, 식습관이 어우러져 중앙아시아 고유의 차 문화를 형성하게했으며 중앙아시아 차 문화는 세계 차 문화에서 없어서는 안될 귀중한 자산이 되었다. 제5장에서는 주로 중앙아시아 지역의 차 문화에 대한 향후 전망과 정책을 건의하였다. 이 장에서는 ‘서북 실크로드’의 ‘중앙아시아 지역’에 대한 차 문화의 새로운 시사점을 기술하였는데, 여기에는 ‘일대일로’(一帶一路)의 구축과 시대적 가치가 포함됐다. 실크로드 경제벨트를 통해 중앙아시아의 경제、문화 등이 함께 발전하고 번영했다 제 6장에서는 본문을 요약함과 동시에21세기 차 문화의 발전 방향과 ‘서북 실크로드’의 문화 정책, 중앙아시아를 중심으로 ‘서북 실크로드’의 차 문화 교류방안을 서술하였다. ‘서북 실크로드’의 발전은 ‘중앙아시아’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고, ‘중앙아시아’의 발전은 ‘실크로드’와 상호 보완하면서 발전했다. 중국의 차 문화는 ‘서북 실크로드’를 통해 중앙아시아로 전파되고 지역 문화와 융합하여 새로운 중앙아시아만의 혁신적인 ‘중앙아시아 차 문화’를 형성하였는데 이는 세계 차 문화 발전사에서 매우 중요하다. 키워드: ‘서북 실크로드’, ‘차 문화’, ‘중앙아시아 지역’, ‘일대일로’, ‘실크로드 경제벨트’, ‘중앙아시아 차 문화’있다. <Abstract> The concept of the“Silk Road” was first introduced by the German geographer Ferdinand Paul Wilhelm Freiherr von Richthofen, and began in Chang'an, with a route from Gansu, Xinjiang and other areas of China to Central Asia, Western Asia and Europe. The western route extends to Rome in Europe. This route is also known as the 'Land Silk Road', or the 'Northwest Silk Road'. The Silk Road is generally divided into a broad and a narrow sense, with the broad sense being divided into the Land Silk Road and the Maritime Silk Road, and the narrow sense being divided into the "Northwest Silk Road", the "Grassland Silk Road", the "Southern Silk Road" and "Maritime Silk Road". With the opening of the Silk Road by Zhang Qian in the Western Han Dynasty, an important international trade route was built. The Silk Road was the route along which Chinese products such as silk, tea and porcelain were shipped to Central Asia, Western Asia and Europe, while goods from Central Asia, Western Asia and Europe were also shipped to China along this route. The second chapter focuses on the route of the Ancient Silk Road, including its formation and development, and its cultural significance, then the routes are divided into the 'Northwest Silk Road', the 'Grassland Silk Road', the 'Southern Silk Road', and the 'Maritime Silk Road', these four routes are described in detail. The Silk Road and tea culture were inextricably linked, and tea culture was spread further and further along the Silk Road, evolving and changing. Chapter 3 highlights the main route of this thesis, the 'Northwest Silk Road', and describes the changes in the formation of the 'Northwest Silk Road' in the order of dynasties. Among the dynasties, the ‘Wei’ and ‘Jin’ dynasties, and the 'Sui’ and ‘Tang’ dynasties are the most representative periods, which are described in detail. At the same time, it also describes how the tea culture was spread along the Northwest Silk Road, including the "Ancient Tea Horse Road" and the "Ten Thousand Mile Tea Road". Chapter 4 begins the central study area of this thesis - the 'Central Asian region'. This thesis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tea culture in the Central Asian region, with a focus on the development of tea culture in the Central Asian region. In order to make the names of the countries more intuitive and easier to understand, the five Central Asian countries of Uzbekistan, Kyrgyzstan, Tajikistan, Turkmenistan and Kazakhstan are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Central Asian region. The story focuses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se five countries and the Silk Road, as well as the spread of Chinese tea and tea culture to the five Central Asian countries through the Northwest Silk Road. Chinese tea and tea culture brought a new beverage experience to these five Central Asian countries, and tea was greatly welcomed by the people of Central Asia, and Chinese tea culture and the folk customs and eating habits of Central Asia fused with each other, thus forming a unique Central Asian tea culture and Central Asian tea rituals. This has led to the formation of a unique Central Asian tea culture and Chinese tea rituals, making the tea culture of Central Asia an indispensable and valuable asset to the tea culture of the world. Chapter 5 is devoted to the future outlook of tea culture in Central Asia, including the age values of the "One Belt, One Road" . Through the Silk Road Economic Belt, the Central Asian region will develop and prosper together economically and culturally. Since China proposed the "One Belt, One Road" policy, many countries have responded positively. Given that the geographical advantage, coupled with its long-standing relationship with the Silk Road, the Central Asian region has made exchanges and development more convenient. Chapter 6 focuses on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tea culture in the 21st century. Besides, the cultural policy direction and the tea culture proposals of the "Northwest Silk Road" are the key issues explored in this chapter. In this thesis, in choosing the topic of the thesis, I found that there are many scholars who have studied the Silk Road, but there are very few scholars who have subdivided the topic into "tea culture of the Northwest Silk Road". There are even fewer writings on "tea culture in Central Asia" and "tea culture in Central Asia", and there is not even a single relevant master's or doctoral thesis on the China Knowledge Network. After reading the results of the search, I was deep in thought, what is the reason for this situation? "The development of the Northwest Silk Road is inseparable from the Central Asian region, and the development of the Central Asian region is inseparable from the Silk Road. The two complemented each other and contributed to each other's success. The tea culture of China was spread to Central Asia through the Silk Road and fused with the local culture to form a new and innovative "Central Asian Tea Culture", which is very important in the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tea culture in the world. With this belief in mind, I have chosen the topic of ‘ The Development and Prospect of Tea culture along the Northwest Silk Road——Centered on Tea culture in Central Asia ’ for my research. I hope that in my study can enrich the related research, so that the Central Asian region and its tea culture can be taken seriously and more and more scholars can discover this treasure of Central Asia as an important region. Through a study of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evolution of the Northwest Silk Road and the route of the Northwest Silk Road, the analysis of the expanded route is followed, and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ea and tea culture along this route is written, and the new experience and changes tea culture has brought to people's lives along the route through the Northwest Silk Road are analyzed, followed by a section highlighting the future outlook and policy recommendations for tea culture in Central Asia. The subsequent section of the study highlights the future outlook and policy recommendations for tea culture in Central Asia, with chapters on the inspiration of tea culture for the new era of the Northwest Silk Road and the contemporary values of the Belt and Road, as well as the direction of the advancement of tea culture along the Northwest Silk Road in the 21st century. Through the characteristics and influence of tea and tea culture, the historical status and value of the Northwest Silk Road in the ancient Silk Road is restored, and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Northwest Silk Road and the tea culture of Central Asia is affirmed. It also looks forward to a brighter future for tea culture in Central Asia. Key words: ‘Northwest Silk Road’, ‘tea culture’, ‘Central Asia’, ‘One Belt, One Road’, ‘Silk Road Economic Belt’, ‘Tea Culture in Central Asia’.

      • 中、日、韩抹茶文化及中国抹茶文化发展研究

        진응염 목포대학교 대학원 국제차문화과학협동과정 2023 국내박사

        RANK : 254767

        한·중·일은 지리적으로 인접해 있고 상호 교류가 끊이지 않기 때문에 차 문화는 각국에서 동질성과 이질성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크게 두 가지 측면이 있는데, 하나는 중국 차 문화에서 말차 문화의 번영과 쇠퇴 과정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동시에 동아시아 문화에 속하는 한국 및 일본의 차 문화,말차 문화를 비교 분석하여 동아시아 3국의 차 문화와 말차 문화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도출하는 것이다.두 번째는 중국, 한국, 일본의 차 문화 산업, 특히 차 문화 산업에서 말차 문화 산업의 상황을 비교하여 현대 중국 차 문화와 말차 문화 산업의 발전을 위한 의미 있는 제안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중일 3국의 말차법의 차이점과 공통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거시적 관점에서 한국, 일본, 중국 3국의 차 문화 특성을 보면 차법의 호칭에도 차이가 있다. 한국은 유교에 주안점을 두고 유교에서는 예의범절을 중시하기 때문에 한국 다도는 예의법절을 중시하는데, 이를 다례라고 한다. 일본은 불교를 위주하여 일본의 다도는 선에 귀종되었으며, 즉 차법에서도 다도라고 한다. 중국 다도는 차를 마시고 품평하는 예술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이를 차예라고 한다. 둘째, 모두 불선문화를 담고 있다.중국과 한일 양국을 막론하고 삼국 다도의 형성은 불선문화의 영향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셋째, 모두 유교 문화의 영향을 받았다. 중국 다도 정신의 '화'에는 유석도 문화가 포함되어 있다.한국의 '오행헌다례'와 한국 백성들의 관혼상제 등의 풍습은 유교 사상에 녹아있다.일본의 다도 정신에서 '화'는 유가의 '인' 사상의 표현 중 하나이다. 넷째, 한·일·중 다도의 정신에서 '화'의 차이이다.한국의 다도 정신에서 '화(和)'는 사람 간의 상화를 말한다.일본 다도 정신의 '화'는 주로 '사람과 사물'의 상화를 추구하는 것이다.중국 다도 정신의 '화'는 하늘과 사람이 서로 화합하는 '천인합일'이다. 다섯째, 한·일·중 다기의 사용도 다른다.현재 한국에 대표하는 다기는 백자다기와 청자다기이다.일본에는 많은 다도 기구가 있으며 매우 까다롭다.그 중 특이한 것은 철기, 은기, 주석기 등으로 만든 다기이다. 점다 문화의 부활로 인해 중국에서도 건잔다기가 다시 등장했다. 여섯째, 행다례에 있어서 한국과 일본, 중국은 5~7단계의 공통점을 발견하였고, 26~38단계의 차이점을 발견하였으며, 다구 사용의 경우 총 26개 정도의 다구 중 6개가 일치하였다. 일곱째, 다례의 주도층 에 한국이 유생, 승려, 규방, 왕족 등이었다면 일본의 다도는 승려, 귀족, 막부(무사) 계층이었다. 중국 송나라의 차예는 귀족이고 중국의 현대 차예는 대중이 주도하고 있다. 여덟째, 한국이 자유로운 화랑차에 집중했다면 일본은 권력을 과시하고 관계를 맺는 사교적이고 형식적인 절차에 집중한다. 반면 중국은 '사일다도'(1인, 1수, 1차, 1 잔)에 집중하고 있다. 본 논문은 중국, 한국, 일본의 차 문화 산업, 특히 차 문화 산업에서 말차 문화 산업의 상황을 비교하여 현대 중국 차 문화와 말차 문화 산업의 국내외 발전을 위한 다음과 같은 의미 있는 발전 계획을 제안했다. 현대 중국 차 문화, 말차 문화 산업의 국내 발전 방안: 첫 번째는 차 문화 산업의 발전을 중시하는 것이다.두 번째는 차 문화 산업의 발전에 대한 연구를 강화하는 것이다.세 번째는 차 문화 산업의 주체를 발전시키는 것이다.네 번째는 차 관련 분야에 차 문화의 전면적인 침투를 촉진하는 것이다.다섯째, 차 문화 소비 시장을 적극적으로 개척하는 것이다.여섯째, 차 브랜드는 브랜드 보호 의식을 확립해야 하는 것이다. 현대 중국 차 문화 및 말차 문화 산업의 해외 발전 방안: 첫째, 다양한 차 문화 교류 회의의 개발은 더 많은 사람들이 중국의 차 문화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여 여러 국가의 고위층 사이에서 차 문화의 홍보을 촉진하고 차 문화가 중국과 세계 국가 간의 교류를 증진시키는 연결 고리가 될 수 있다.둘째, 중국과 차 문화와 관련된 경제 및 산업 체인이 비교적 완벽하여 차 문화의 진흥이 간접적으로 촉진될 수 있다.세 번째는 차 기계화 대량 생산을 실시하여 생산량을 확대하고 규모 효과를 발휘하며 기업 자금을 절약하는 것이다.네 번째는 차 수요를 혁신하고 차 회사의 매출을 늘려 차 회사의 자금원을 확대하는 것이다. 다섯 번째는 기술 혁신을 강화하고 전체 생산 공정의 과학적 관리과 기업 인재를 과학적으로 양성하는 것을 달성한다.마지막으로 개념의 전환을 강화하고 선진 기술을 사용하여 녹색 장벽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wofold: first, to understand the rise and fall of matcha culture in Chinese tea culture, and to compare and analyse it with the tea and matcha cultures of Korea and Japan, which are also part of East Asian culture, in order to draw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mong the three East Asian countries. The second is to compare the tea culture industries of China, Korea and Japan, especially the matcha culture industry, in order to make meaningful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modern Chinese tea culture and matcha culture industri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matcha tea laws in Korea, China and Japan are as follows. Firstly, from a macro perspective, the tea culture of Korea, Japan and China is characterised by different names in the tea law. Korea is mainly Confucianism, Confucianism and etiquette, so the Korean tea ceremony focuses on etiquette, the tea law is called tea ceremony. Japan is the Lord of Buddha, so the Japanese tea ceremony is attributed to Zen, so the tea law is also known as the tea ceremony. While the Chinese tea ceremony focuses on the art of tasting tea, the tea law calls it tea art. Secondly, they all contain Buddhist and Zen culture. Whether it is China or Japan and Korea, the development of the tea ceremony in all three countries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influence of Buddhist and Zen culture. Thirdly, they are all influenced by Confucianism. The "harmony" in the spirit of the Chinese tea ceremony includes the culture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The Korean "five elements of tea ceremony" and the Korean people's wedding and funeral customs and activities are integrated into Confucianism. The Japanese tea ceremony spirit of "and" is one of the expressions of Confucianism's "benevolent" thought. Fourth, the difference between the spirit of "and" in the Korean, Japanese and Chinese tea ceremonies. The "harmony" in the spirit of the Korean tea ceremony refers to harmony among people. The "harmony" in the spirit of the Japanese tea ceremony is mainly the pursuit of harmony between "people and things". The "harmony" in the spirit of the Chinese tea ceremony is the "unity of heaven and man", the harmony between heaven and man. Fifthly, the use of tea ware differs between Korea, Japan and China. Korea is now represented by white porcelain tea ware and celadon tea ware. Japanese tea ceremony utensils are numerous and extremely elaborate. The iron, silver and pewter tea sets are particularly special. In China, the revival of the tea-light culture has led to the reappearance of Jianjian tea ware. Sixth, in terms of tea rituals, a comparison between Korean and Japanese China reveals similarities between the 5-7 stag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26-38 stages, and in terms of the use of tea utensils, 6 out of about 26 tea utensils are common. Seventh, among the dominant classes of tea rituals, if Korea was the Confucian, monk, boudoir, royal, etc., then the Japanese tea ceremony was the monk, noble, and shogun (samurai) classes. The Chinese tea ceremony of the Song Dynasty was aristocratic, and the modern Chinese tea ceremony is dominated by the masses. Eighth, if Korea focused on the free and simple Hanaro tea, Japan focused on the social and formal procedures of demonstrating power and building relationships. China, on the other hand, focuses on the 'four-one tea ceremony'. In addition, in Korea there is no restricted place for drinking tea, and in Japan there is a separate place for practising the tea ceremony, whereas in China it is only practised in tea parties and tea ceremony halls. Modern Chinese tea culture, domestic development programmes for the matcha cultural industry: The first is to pay attention to the development of the tea culture industry. The second is to strengthen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the tea culture industry. Three is to develop the main body of the tea culture industry. Four is to promote the all-round penetration of tea culture into tea-related fields. Five is to actively explore the consumer market of tea culture. Sixth, tea brands should establish a sense of brand protection and a unique brand identity system and anti-counterfeiting mark. Modern Chinese Tea Culture, Matcha Cultural Industry Overseas Development Programme Firstly, various tea culture exchanges can be carried out to enable more people to understand Chinese tea culture and make tea culture a link between China and the rest of the world to enhance communication. Second, the economic chain related to tea culture in China is already relatively complete, and the promotion of tea culture can indirectly promote the development of the tea economy. Third, the implementation of tea mechanisation and mass production to expand production, bring into play the scale effect and save enterprise capital. Fourth, innovative tea demand, increase the sales of tea enterprises to expand the source of funds for tea enterprises. Fifth, strengthen technological innovation to achieve scientific management of the whole production process and scientific training of enterprise talents. Finally, we should strengthen the concept of change and use advanced technology to break the green barrier problem.

      • 명?청시대와 조선시대의 다기 비교 연구

        진엄영 목포대학교 국제차문화과학협동과정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54767

        차 문화는 천인합일, 도법자연과 귀진반박(归真反璞)의 인간 정신으로 가득차 있으며, 온화(溫和)·선량(善良)·공경(恭敬)·절검(節儉)·겸양(謙讓)의 인간 미덕도 포함하고 있으며, 사람과 사람, 사람과 자연 사이의 신앙과 감정 등 각종 문화 형태를 표현하여 한·중 양국의 전통문화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중 다기는 차 문화를 계승하는 매개체로 중요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도자기 역사에 획을 크게 그었습니다. 중국은 경덕(景德), 덕화(德化) 등을 비롯하여 세계적으로 유명한 도자기의 수도로 차의 본고장이자 차문화의 발원지이다. 영어로 차이나(China)는 중국 또는 도자기라는 뜻이다. 이를 통하여 중국과 도자기의 밀접한 관계를 짐작할 수 있다. 그리고 유럽이나 동아시아를 막론하고 도자기의 발전은 중국의 영향을 크게 받아왔다. 다기는 차 문화와 도자기 문화의 결정체라는 차원에서 중국 전통문화에서 두드러진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조선 시대에 차 문화는 다산 정약용(丁若镛), 추사 김정희(金正喜), 초의선사 의순(意恂) 등의 부흥으로 크게 발전했다. 또한 조선 시대에는 일찍 도자기 기술을 습득한 나라로 높은 수준의 다기를 구웠고 조선 시대의 도자기는 세계 도자기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래서 본 논문은 명·청 시대 및 조선 시대의 다기 비교연구를 통해 한·중 양국이 다기 문화의 전파·혁신의 공동체를 형성하고, 양국의 서로 다양한 다기 문화를 고찰하는 과정에서 각 나라의 다기에 대한 깊은 이해를 통하여 다른 문화의 융합을 촉진시키고, 인류세계화사회를 함께 건설하는 데 있어 양국은 다기 문화의 시대 가치를 보여주면서 한·중 양국의 오늘날 다기 문화의 다양화 발전을 촉진하는 목적을 이루려고 한다. 또한 다기를 통하여 역사적으로 한·중 양국의 깊은 우의를 다시 확인함으로써 한·중 양국의 경제·문화 등 다방면적 교류를 활발하게 전개하는 데 의미가 있다. 본 논문은 주로 다음과 같은 연구 방법을 응용하다. 첫 번째는 문헌 연구법이다. 다양한 고문헌의 정리와 수집을 통하여 역사 자료를 근거로 하고 다기의 기원을 고찰하여 다기는 각 시대에 양상을 분석하도록 한다. 두 번째는 역사 연구법이다. 이 논문에서 명·청 시대 및 조선 시대의 역사를 통하여 다기의 발전 맥락은 역사적 배경과 결합한다. 이에 대표적인 다기의 유형에 따라 전면적인 비교로써 시대적·사회적 정신 양상을 거슬러 올라가고자 한다. 세 번째는 비교 연구법이다. 명·청 시대 및 조선 시대에 대표적 다기의 고찰을 통하여 공예성, 전파성, 민족성, 종교성 등 측면에서 그 특징을 수평적·수직적으로 분석하겠다. 네 번째는 미학적 연구법이다. 다기는 자체가 일정한 미학적 가치를 갖고 있으며 그 가치는 형태, 구조, 서예, 회화 등 여러 영역에서 드러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논문은 새로운 세계화의 시점으로 같은 시대의 명·청 및 조선 시대의 다기를 함께 비교한다. 이런 세계화 시점으로 더 넓은 눈으로 지역 경계를 넘어 서로 교류하면서 한·중 양국이 다기 문화의 전파와 발전을 하는 데 가치가 있는 결론을 도출하려고 한다. 본 논문에서 명·청 시대 대표적인 청화자기 다기, 백자 다기, 자사호 다기 등 세 가지의 도자기다기 및 조선 시대 대표적인 분청사기 다기, 백자 다기, 정호다완 다기 등 세 종류의 도자기 다기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비교하려고 한다. 명·청 시대에는 산차(散茶)가 유행하면서 차를 마시는 방법과 다기도 함께 변화하였다. 당·송 시대에 차 마시는 방법에 적용되던 차 맷돌(茶碾), 다라(茶罗), 차시(茶匙) 등 다기는 점차 사용되지 않게 되었고, 반대로 기존에 그다지 중시하지 않았던 찻잔(茶盏), 찻주전자(茶壶) 등 다기는 명·청 시대에 주요 차 담그는 기구가 되었다. 조선 시대에는다기 양식은 그때 문인 사상 및 사회 변혁과 깊은 관련이 있다. 실학주의와 함께 점점 더 많은 학자들이 차 문화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차 문화에 대해 체계적 연구를 수행하면서 차와 관련된 책을 저술하였다. 18세기에 이르러 차 문화가 전면적으로 부흥하였음으로써 명나라 때 포다법(泡茶法)도 점차 대중화되었다. 그래서 조선 시대 후기에 이르러 찻주전자와 찻잔 같은 다기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조선 시대의 주요 다기 중에서 말차에 적합한 분청 차완(茶碗), 백자 찻잔 등 다기가 있었고, 산차에 적합한 찻병, 찻주전자, 찻잔 등 다기도 있었다. 다기는 차 생활에 필수품으로 사람들의 정신생활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다기는 제작 방법, 형태, 장식 문양 등을 통하여 시대의 사회상과 다양한 민족적 특징이 드러날 수 있다. 그래서 이 비교과정을 통하여 다기에 내포된 공예성, 전파성, 민족성, 철학성이라는 관점에서 유사점과 차이점을 발견하고자 한다. 이중 공예성과 전파성에서는 이질성, 철학성과 민족성에서는 동일성이 더 뚜렷하게 드러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명·청 시대 및 조선 시대의 서로 참고할 수 있는 세 가지 점을 찾았다. 하나는 한국 다기가 기다란 손잡이 주전자 모양을 선호한다는 점이다. 사이드 포트는 중국에서 기원한 것으로 고증됐지만 결국 다기로 발전하지 않고 일반 생활용 도자기로만 사용됐다. 이 점에서 중국이 참고할 만한 가치가 있다. 둘째, 말차의 다기인 찻잔을 참고할 수 있다. 한국과 달리 명나라 때 단차를 만들지 않았기 때문에 단차의 생산 기술이나 단차의 음용 다기에 모두 전승이 끊긴 것처럼 빠르게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또한 중국 다기에도 참고할 만한 점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찻주전자 그릇의 다양화이다. 전해지거나 출토된 한국의 다기를 살펴보면 주전자의 종류가 단일화할 뿐만 아니라 주전자보다 다완에 중점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중국이 발전시킨 풍부한 찻주전자 유형도 매우 본받을 만한 것이다. 이어 전통 다기 공예의 혁신과 발전을 촉진하는 것이 다기 문화 발전에 주요한 추진력이 될 것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하고 다기 문화를 발전시키는 진정한 의의를 논술하였다. Tea culture is full of the human spirit of the unity of nature and man, the way of nature and the spirit of returning to nature. It contains the human virtues of gentleness, kindness, politeness, frugality and forgiveness, and expresses various cultural forms such as the belief and emotion between people and nature,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traditional culture of China and South Korea. Among them, tea sets not only play an important role in tea culture as a carrier to inherit tea culture, but also a profound stroke in the history of ceramics. China is the hometown of tea and the birthplace of tea culture. It also has Jingde, Dehua and other world-famous ceramic capitals. The word "China" in English not only refers to "China", but also has another meaning of "porcelain", which can also be seen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China and ceramics. No matter in Europe or East Asia, the development of porcelain was greatly influenced by China. Tea sets are the crystallization of tea culture and ceramic culture, which shows that tea sets play a prominent role in Chinese traditional culture. At the same time, the tea culture in Korea during the Joseon Lee dynasty also flourished under the revival of Jeong Yak-yong, Kim Jeong-hee, Chan master Choui and so on. Moreover, the Joseon Lee dynasty was also a country that mastered the ceramic technology earlier and had a higher level of tea set firing. The ceramics of the Joseon Lee dynasty also had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world ceramic history.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make China and South Korea form a community of tea ware culture communication and innovation through the comparative study of tea ware between the Ming and Qing dynasties and the Joseon Lee dynasty. In the process of comparing and integrating different tea ware cultures of the two countries, it aims to promote their deep self-understanding, explore the integration of other cultures, and highlight the contemporary value of the tea ware cultures of the two countries in the construction of a global human society. To achieve the purpose of promoting the diversified development of contemporary tea sets in China and South Korea. Secondly, the profound historical friendship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is confirmed through the perspective of tea sets, so as to promote the exchange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in many aspects such as economy and culture. This paper mainly uses the following research methods. One is the literature research method. Through the collation and collection of a large number of ancient documents, based on historical materials, under the mutual confirmation of different documents, the origin of different tea sets is investigated, and the development of tea sets in different historical periods is analyzed. The second is the historical research method.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the Ming and Qing dynasties and the Joseon Lee dynasty, this paper combines the development of tea sets with the historical background, makes a deep and comprehensive comparison between the main tea sets of the Ming and Qing dynasties and the Joseon Lee dynasty, and then traces back the spiritual outlook and social atmosphere of The Times. The third is comparative research method. This paper analyzes the representative tea sets of Ming and Qing dynasties and Joseon Lee dynasty, and then compares their characteristics from low to high from four aspects, such as craft, dissemination, nationality and philosophy. Fourth, the aesthetic research method. Tea set itself has a certain aesthetic value, the aesthetics of tea set is reflected in all aspects related to it, such as form, structure, calligraphy, painting and other arts. At the same time, this paper compares the tea sets of Ming and Qing dynasties with the tea sets of Korea in the same period from a new perspective of civilization and globalization. Under the concept of globalization, we can pay attention to the exchanges and connections between regions from a more grand perspective, and draw a conclusion that China and South Korea can learn from each other and have more value in the development of tea ware culture. First of all, this paper analyzes and compares three kinds of ceramic tea sets, such as blue and white porcelain tea set, white porcelain tea set and purple clay teapot tea set, which are representative in the Ming and Qing Dynasties. And three kinds of ceramic tea sets, such as grayish-blue-powdered celadon tea set, white porcelain tea set and Jeong-ho tea set, which are representative in the Ming and Qing Dynasties. In the Ming and Qing Dynasties, with the popularity of loose tea, the way of drinking tea and tea sets also changed together. The style of tea sets in the Joseon Lee dynasty had a great relationship with the thoughts of the literati and social changes at that time. With the prosperity of practical learning, more and more scribes realized the importance of tea culture, systematically studied tea culture, and even wrote tea books. By the 18th century, tea culture was fully revived, and the method of making tea in the Ming Dynasty gradually became popular. Therefore, in the late Joseon Lee dynasty, tea sets such as teapots and cups began to appear. The main tea sets in the Joseon Lee dynasty included powder green tea bowls and white porcelain tea bowls suitable for matcha drinking; And both suitable for brewing loose tea bottles, teapots, teacups and other tea sets. Tea sets are not only the necessities of people's tea life, but also have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spiritual life of tea people. Therefore, tea sets can reflect the social appearance and different n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from the aspects of production methods, forms, decorative patterns and so on. From the perspective of tea sets, this chapter analyz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ea sets of the Ming and Qing dynasties and the Joseon Lee dynasty in four aspects: craft, communication, nationality and philosophy. Among them, in the craft and communication, more of them reflect the differences; And in philosophy and nationality, more is reflected in the same. Finally, this paper finds three points that can be learned from each other in Ming and Qing dynasties. First, Korean tea sets have a preference for the side handle pot. According to research, the side-handle pot originated in China, but it did not develop into a tea set in the end, but was only used as a common life pottery. In this innovation, South Korean tea sets are worth learning from China. The next thing we can learn from is the matcha tea set -- tea bowl. Since China stopped making Tuan tea in the Ming Dynasty, both the making technology and drinking utensils of group tea quickly disappeared into history. However, tea bowls were preserved in Korea. In addition, there is also something that Korea can learn from Chinese tea sets, that is, the diversification of teapot types. From the Korean tea sets spread or unearthed, it can be seen that there are few types of teapots, and even the emphasis is on the tea bowl instead of the teapot. Therefore, the more abundant types of teapots developed in China are also very worthy of learning. in the process of analyzing and comparing the tea ware of the two countries, this paper find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hind the tea ware in four aspects: craft, communication, nationality and philosophy. The paper draws the conclusion that promoting the innovation and progress of traditional handicraft of tea set will be the primary focus of developing tea set culture, and discusses the real significance of carrying forward tea set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