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여대생과 교육대학원생의 혈액성상 비교

        박희진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조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2년생이 19.6세, 3년생이 21.7세,교육대학원생이 29.8세 였다. 신장과 체중은 2년생이 161.2㎝, 54.2㎏, 3년생이 160.5㎝, 49.6㎏, 교육대학원생이 159.5㎝, 55.8㎏으로 나타났다. 신장은 교육대학원생, 3년생, 2년생 순으로 낮았으나 유의성은 없었지만, 체중은 3년생, 2년생, 교육대학원생 순으로 높았고, 3년생은 교육대학원생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함량 및 AI지수는 2년생이 3년생과 교육대학원생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지만(p<0.05) 중성지방의 함량은 유의적으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2년생, 3년생, 교육대학원생 순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교육대학원생은 2년생과 3년생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LDL-콜레스테롤 함량은 2년생이 3년생과 교육대학원생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혈청 총 단백질 함량은 교육대학원생이 2년생과 3년생에 비교하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Plasma nitrogen urea(PUN)함량은 3년생과 교육대학원생이 2년생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했으며(p<0.05) Uric acid(UA)함량은 교육대학원생이 2년생과 3년생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뇨 중 UA함량은 교육대학원생이 2년생과 3년생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또한 Total bilirubin 함량도 교육대학원생이 2년생과 3년생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Glutamate oxaloacetate trsaminase(GOP)함량은 교육대학원생이 2년생과 3년생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creatinine phosphokinase(CPK)함량도 2년생, 3년생, 교육대학원생 순서로 낮은 경향으로 특히 교육대학원생은 2년생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Alkaline phosphatase(ALP)함량은 2년생, 교육대학원생, 3년생 순서로 낮게 나타나는 경향이고 특히 3년생은 2년생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뇨 중 무기질 함량은 3년생과 교육대학원생은 2년생에 비교하면 유의적으로 감소했다(p<0.05). 또한 calcium(Ca)함량은 교육대학원생이 2년생과 3년생에 비교하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그러나 뇨 중 Ca함량은 교육대학원생이 2년생과 3년생 순서로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고 뇨 중 K는 2년생, 교육대학원생, 3년생 순서로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나타냈지만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뇨 중 Na는 3년생, 교육대학원생, 2년생 순서로 높았고, 3년생은 2년생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0.05) 뇨 중 Cl도 교육대학원생, 2년생, 3년생 순서로 낮게 나타났으나, 3년생은 2년생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고(p<0.05) 교육대학원생에 비하면 현저하게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본 조사 대상자의 연령이 높은 교육대학원생은 2년생과 3년생에 비교하면 신장은 낮으나 체중이 높게 나타났고, LDL-콜레스테롤, 동맥경화지수, Urinary chlorine 도 현저하게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총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뇨 중 amylase, 총 단백질, BUN, UA, TBIL, 뇨 중 UA, 무기질, Ca함량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Studies on health problems of female college students ( sophomor : S, n=20), Third years: T, n=20) and educational graduate school: E, n=20) were observed,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biochemical nutritional status were also analyzed. the mean anthrophometric values for S group, T group and E group were heights of 161cm, 160cm and 159cm, respectively, and weights of 54㎏, 49㎏ and 55㎏, respectively, weights of the T group was much lower than the E group. The mean BMI(body mass index, ㎏/㎡) and body fat rate(%), which are obesity indices, were significantly(p<0.05) higher the S and E groups than the T group. Mean blood LDL-cholesterol, AI(altherogenic index), urinary chlorine levels of the E group were significantly(p<0.05) higher the S and T groups. But, mean blood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total protein, urea nitrogen, uric acid, total bililubin, inorganic phosphorous, calcium and urinary amylase, uric acid levels of E group significantly(p<0.05) lower then the S and T groups. As a result, the age went up effected the biochemical nutrtional status for the subjects.

      • 광주·전남 음악교육학 석사학위논문 경향분석

        장중선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95

        음악교육에 대한 새로운 연구가 활발히 일어나고 있는 현재에도 전국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전공생들은 석사학위논문의 연구 과정에서 기존의 음악교육학 석사학위논문 경향 및 전반적인 분석과 통계, 체계적인 목록의 미비로 연구 방향 설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광주·전남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중 필요한 논문 목록을 찾고자 할 경우 학위 논문에 따른 적절한 통계자료가 없음으로 논문자료를 찾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광주·전남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을 장르별로 목록을 작성하고, 논제 분석을 통하여서 여러 각도로 논문의 연구방향을 모색할 수 있도록 기본적인 문헌의 목록 및 기초적인 정보자료를 제공하려는 뜻에서 이 논문의 논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광주·전남 교육대학원의 교육현황, 교육목적을 통하여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둘째, 광주·전남 교육대학원 석사과정 논문을 14개 장르로 나누어 그 세부적인 내용을 살펴보았다. 셋째, 1983년부터 2002년까지 제출된 광주·전남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들을 장르별 분석, 학교별 장르분석, 장르별 논제의 접근 경향분석을 각각의 표에 의하여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여 광주·전남 교육대학원 음악교육학 전공의 논문경향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새롭고 선진적인 논문들이 끊임없이 발표되는 현실 속에서 본 논문의 자료를 참고로 보다 많은 연구를 통하여 광주·전남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논문의 발전에 조금이나마 기여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더 나아가 음악 연구자뿐만 아니라 음악에 관심을 가진 모든 이들에게 참고자료로서 도움을 주고자 하며, 우리나라 논문 분석자료의 발전에 기여하였으면 하는 바램이다. Whole countr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usical education students are suffering difficulty in research direction set by existent music pedagogy master's thesis tendency and general analysis and figure, unpreparedness of systematic list at research process of master's thesis in present that new research about musical education is happening abuzz. Specially, there is difficulty this to find treatise data that there is no suitable statistical data by thesis in case wish to find necessary treatise list of Gwangju Jeonnam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degree Therefore, Gwangju Jeonnam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thesis established subject of this treatise in intention to make out list by genre, and offer list and basic information data of basic literature so that can grope research direction of treatise by several angles through subject analysis. First, examined theoretical background through education present condition of Gwangju Jeonnam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education purpose Second, divide Gwangju Jeonnam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course treatise by 14 genres and examined contents that is the details Third, Kwangju Cholla-namdo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thesises that is submitted from 1983 to 2002 presenting result that analyze genre analysis, school analysis, access tendency analysis of genre subject each tables of Gwangju Jeonnam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usic pedagogy treatise tendency analyze. It is desired that the preparation of the superintendence of the degree thesis related to music education shall become the good information data for Gwangju Jeonnam music education circles. In order for our music pedagogy field to be hardened as an academic learning, our study attitude should be progressive and creative to new theories, and ceaseless study and effort to study on the ultra-modern theories of foreign countries so that they can be ours. When such efforts continue, our music pedagogy shall hvae a firm foundation.

      • 대학입학전형의 농·어촌학생 특별전형제도에 대한 농·어촌 중학생의 인식도 조사

        기옥서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의 목적은 1970년대 이후 갈수록 과소화와 황폐화 되어가는 우리나라 농․어촌 학교교육을 활성화하고, 교육의 기회균등 실현을 위해 1996학년도부터 실시되어 오고 있는 대학입학전형의 한 유형인 농․어촌학생 특별전형제도가 농․어촌 중학생들에게 어느 정도의 인식도를 가지고 있으며, 농․어촌 고등학교로의 진학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보다 발전적인 방향으로 농․어촌학생 특별전형제도가 정착되도록 하는데 있다. 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농․어촌 중학생들의 진학의 경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1). 농․어촌 중학생들의 진학 희망사항 (2). 농․어촌 중학교의 진학지도 상황 (3). 농․어촌 중학생들의 진학 실태 둘째, 농․어촌학생 특별전형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1). 농․어촌 중학생들의 농․어촌 학생 특별전형에 대한 인식도 (2). 농․어촌 학생 특별전형이 농․어촌 중학생의 진학에 미치는 영향 (3). 농․어촌 학생 특별전형의 운영효과 본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서 이론적 배경연구에서 교육의 기회균등에 관한 문헌 연구, 농․어촌 교육과 진로지도에 관한 선행연구, 농․어촌학생 특별전형제도에 관한 내용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설문조사를 위해 전남 서남부지역에 위치한 6개 시․군의 10개 읍․면 단위 중학교를 선정하였으며, 각 학교의 2,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 617부를 배부하여 그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설문자료는 문항분석을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조사대상 학생들의 특성에 따라 진학에 대한 인식의 차이, 농․어촌학생 특별전형에 대한 인식의 정도 등을 알아보기 위하여 x²(Chi-Square)검증을 실시하였다. 농․어촌학생 특별전형에 대한 자료와 설문자료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농․어촌 중학생들의 진학의 경향 첫째, 농․어촌 중학생들은 56.2%가 도시로의 전학을 희망하고 있으며, 31.8%만이 재학중인 학교에 만족하고 있다. 둘째, 농․어촌 중학생들은 졸업 후 59.3%가 인문계고등학교로 진학을 희망하고 있으며,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이 더 희망하고 있다. 그리고 99학년도 실제 진학한 결과도 56.5%로 나타나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농․어촌 중학생들은 졸업 후 40.5%가 도시의 고등학교로 진학을 희망하고 있으며, 읍단위 고등학교로 44.4%가 희망하고 있어 도시의 고등학교를 능가했다. 그리고 99학년도 실제 진학한 결과는 20.2%만이 도시의 고등학교로 진학했고, 77.8%의 학생이 농․어촌 고등학교로 진학함으로써 설문조사의 결과와 매우 큰 차이를 보였다. 넷째, 농․어촌 고등학교로의 진학시 잇점은 ‘부모형제와 같이 지낼 수 있다’가 45.2%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대학입학에 유리하다’는 13.6%를 차지했다. 다섯째, 농․어촌 중학생들은 고등학교 졸업 후 75.4%가 대학진학을 희망하고 있으며, 그 희망지역으로는 서울이 39.3%로 가장 많았고 광주, 전남 순이었다. 여섯째, 농․어촌 중학생들의 진로결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사람은 부모가 39.9%로 가장 컸고, 결정요인으로는 취미와 적성이 38.1%, 장래성이 35%를 차지했다. 일곱째, 농․어촌 중학생들의 진로결정을 위한 교사와의 상담은 67.4%가 3학년 2학기에 이루어지며, 상담횟수의 조사에서 56.6%는 ‘상담한 경험이 없다’고 응답했다. 또한 고입원서 1개월전 조사였는데 3학년의 26.2%는 ‘진로를 결정하지 못했다’고 응답했다. B. 농․어촌학생 특별전형에 대한 인식 첫째, 농․어촌 중학생들의 52.3%는 도시의 고등학교로 진학하는 것이 ‘대학입학에 유리하다’고 했으며, ‘그렇지 않다’고는 17.0%만이 응답했다. 둘째, 농․어촌학생 특별전형에 대해 43.2%는 ‘알고 있다’, 30.6%는 ‘들은 바는 있으나 잘 모른다’고 했으며, 26.1%는 ‘거의 내지 전혀 모른다’고 응답했다. 그런데 3학년의 50.5%, 2학년의 36.4%가 ‘알고 있다’고 응답해 고학년일수록 인지도가 높았다. 셋째, 농․어촌학생 특별전형을 알게 된 경로는 TV, 신문 등 대중매체가 34.0%, ‘선생님을 통해서’가 18.3%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입학 전형시 농․어촌학생 특별전형은 농․어촌 학생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응답한 학생은 80.0%에 달했으며, 그것이 농․어촌 고등학교로의 진학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응답한 학생은 64.5%로 나타났다. 다섯째, 앞으로도 농․어촌 고등학교를 위해서는 또 다른 혜택을 늘려야 한다가 85.7%였으며, 그 혜택으로는 ‘대학입학 등록금 면제’가 42.5%로 가장 많았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자료를 정리 분석하여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농․어촌 중학생들은 과반수 이상이 재학중인 학교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으며 졸업 후에도 도시학교로의 진학을 희망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적으로는 20%가량의 학생만이 도시로 진학하고 80%가량의 학생은 농․어촌 고등학교로 진학하고 있다. 이는 농․어촌 학생들이 고교진학에서 자신들의 이상과 현실간의 괴리 현상을 실감케 해주는 한 단면이다. 둘째, 농․어촌 중학생들은 75%가량의 학생이 대학진학을 희망하고 있으며, 그 희망지역으로는 서울이 40%가량을 차지했다. 이로써 농․어촌 중학생들의 대학진학 희망사항도 도시 중학생들과 크게 다를 바 없음을 확인시켜 주고 있다. 셋째, 농․어촌 중학생들의 진로결정시기는 대부분이 3학년 2학기에 이루어지며, 고교입학원서 작성 1개월 전까지도 26%의 학생은 진로를 결정하지 못하고 있었다. 더군다나 그 학생들은 진로에 대해 상담한 경험이 전혀 없다고 응답함으로써 교육현장에서 진로지도가 잘 이루어지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농․어촌학교에서의 진로지도가 보다 시급하고 절실한 교육적 과제임을 명시하고 있다. 넷째, 농․어촌학생 특별전형제도는 1996학년도부터 실시하기 시작하여 1998학년도에는 전국 4년제 대학의 91.4%인 170개 대학에서 채택하였고, 학생 수도 꾸준히 증가하여 총9690명의 농․어촌학생들이 이 제도의 덕택으로 대학에 진학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대학신입생 모집 총 정원의 2.7%에 이르는 수준이다. 그러나 서울대학교를 비롯하여 전국의 16개 대학에서는 아직도 이 제도를 채택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집정원 3% 범위 내에서 모집인원이 증가할 수 있는 여지는 많이 남아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농․어촌학생 특별전형의 인지도 조사에서 ‘알고 있다’가 43.2%, ‘들은 바 있으나 잘 모른다’가 30.6% 였으며, 26.1%는 ‘거의 내지 전혀 모른다’고 응답함으로써 제도시행 3년째인 현재, 아직은 홍보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제도에 대한 홍보활동이 보다 적극적이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겠다. 여섯째, 농․어촌학생 특별전형에 대해 알게된 경로는 TV, 신문 등 대중매체가 가장 높았다. 그것은 농․어촌학교가 홍보에 관한 역할을 증대해야 함을 의미한다. 일곱째, 농․어촌학생 특별전형이 농․어촌학생들의 대학진학에 ‘도움이 될 것이다’라고 응답한 학생이 80.0%로 나타났으며, ‘농․어촌 고등학교로의 진학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가 64.5%로 나타난 것은 이 제도에 대한 기대가 매우 크고, 실질적으로 고교진학에 커다란 영향이 미치고 있음을 나타낸 것으로, 본래의 목적에 근접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농․어촌학생 특별전형제도는 시행 5년째를 맞아 본래의 취지인 농․어촌교육의 회복과 활성화에 상당한 효과를 거두고 있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아직은 그 효과를 극대화 할 여지가 매우 큰 만큼 농․어촌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기관이나 담당자들은 보래의 목적달성을 위해서 제도의 보완과 홍보에 최선을 다해야 하겠다.

      • 초등학교 교육목표 설정과 실천간의 연계성 분석 연구

        한평주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현행 초등학교에서 설정한 학교교육목표의 설정과정과 설정된 학교 교육목표의 교육현장에서의 실천간의 연계성을 조사 분석하여 바람직한 학교교육목표의 설정방안과 합리적인 학교교육목표 운영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들이 다음과 같이 설정되었다. 첫째, 초등 학교교육목표의 설정과정은 어떠한가? 둘째, 초등 학교교육목표는 교육현장과 실천간에 연계성이 있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문헌고찰과 조사연구가 병행되었다. 문헌고찰은 본 연구의 주제와 관련된 선행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고찰하였으며, 그 결과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구성되었다. 조사연구는 설문조사로 선행연구물을 근간으로 하여 작성한 초등학교 교육목표 설정과정과 실태를 조사하고 아울러 실천에 있어 교육현장과의 연계성을 분석하는 설문지로 총 23개의 문항을 사용하였으며 조사대상은 전라남도 목포 및 주변지역 6학급 이하인 학교 15개교, 7학급 이상 24학급 이하인 학교 12개교, 25학급 이상인 학교 8개교의 250명의 교사를 표집하여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된 설문지중 유의수 240부를 본 연구의 기초자료로 삼았다. 초등학교 학교교육목표 설정과정과 그 실태를 바탕으로 실천간의 연계성에 관한 집단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서 x2 검증을 사용하여 통계 분석 하였다. 이상의 과정에서 설정된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연구결과를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1. 학교교육목표는 대부분의 학교가 겨울방학중에 소수의 교사와 관리층의 사고에 의해 일부 수정하여 설정하고 있는데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전 교직원과 학부모 등이 참여한 집단적 사고에 의해 설정되어야 하겠다. 2. 학교교육목표 설정시 반영할 요소로 국가시책이나 장학방침도 중요하지만 학교교육목표 자원요소가 골고루 방영되어야 하며 반영방법에 있어서도 개인별 설문지를 작성하여 충분하게 분석하여 설정되어야겠다. 3. 학교교육목표에는 교육과정에서 바라는 인간상 및 4개의 영역(인지, 사회, 정의, 기능)과 학교특정목표들이 골고루 반영될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전인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하겠다. 4. 학교교육목표 추진방법은 주로 교육과정과 목표중심으로 계획 실천되고 있어 수업현장에 적용시키려는 모습이 긍정적으로 평가되었으나 상대적으로 학교교육목표가 너무나 막연하고 실제의 교육과 거리감이 있어 형식적 구호에 그친다는 반응도 상당히 높아 보다 구체적이며 실천 가능한 계획을 세우도록 해야겠다. 5. 학교교육목표에 대하여 대부분이 꼭 필요하며 있어야 된다고 응답은 하고 있으나 교사들은 가끔씩 인식하고 교사가 보는 학부모와 아동의 학교교육목표에 대한 인식은 매누 낮았다. 따라서 학교교육목표 설정시 다양한 교사의 의견을 반영해야 하며 설정후에도 충분한 토의를 거쳐야 하겠으며 학부모와 아동의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충분한 홍보와 학부모의 학교 참여 폭을 넓혀야 하겠다. 6. 학년목표 설정시 대체로 학교교육목표를 반영하고 학급경영목표를 설정할때도 학교교육목표와 학년목표를 반영하므로 학교교육목표가 잘 설정되어야만 연계된 다른 목표들도 잘 설정될 것이며 교육현장에서 교과, 특별, 재량활동 지도시 관련성과 계열성을 잘 분석한 뒤 표로 작성한 후 체계적으로 지도해야 되겠다. 7. 학교교육목표 달성도를 평가할 때는 대부분의 학교가 평가위원회를 구성하지 않고 계량화되지 않은 언어로 구술한 것을 평가하고 있으며 평가 시기는 학기별 1회씩 실시하고 있었다. 평가 결과는 대부분의 학교가 다음해 교육계획에 반영한다고 답하고 있으나, 당수 반영하지 않는다라고 응답한 경우도 있었다. 따라서 모든 초등학교가 학교교육목표 달성도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 위원회를 구성할 필요가 있으며, 평가시기는 평가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평가하여야 하고 평가는 계량화된 척도에 의해 정확한 평가를 하여 다음 교육계획에 반영하고 활용이 되어야 하겠다.

      • 初等學校 敎師의 自己奬學과 專門性과의 關係 硏究

        박상술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일선 교육현장에서 행하고 있는 자기장학 행위가 교사의 개인적 변인에 의해 어떻게 지각되고 있으며, 자기장학과 교사의 전문성 향상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규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초등 교사들은 자기장학에 대해 성별, 경력별, 근무하고 있는 학교 규모별, 학력별, 근무 지역별 변인에 따라 어떤 지각차이를 나타내는가? 2. 일선 학교 현장에서 실시되고 있는 자기장학 활동이 교사의 전문성 향상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의 해결을 위해 관련문헌과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였으며, 자료의 수집을 위해 전남지역에 근무하는 초둥학교 교사가 응답한 273부의 통계처리가 가능한 설문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자료처리에 사용된 통계적 기법은 평균치, 표준편차, F-검중(ANOVA) 등이었으며 집단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집단간의 차이가 검증된 경우에는 Duncan-test를 이용하여 집단간의 개별비교를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 배경에 따라 교사는 자기장학내용에 대해 어떠한 지각차이를 나타내는가? (1) 성별에 따른 자기장학에 대한 지각차이는 F-검증 결과, 교과연구서클활동, 일반 연수회 참여, 교윽관련 전문도서나 논문 숙독, 전문인사나 동료교사와의 상담활동, 연구·시범학교 보고회 참관, 선진학교 견학, 방송청취 및 신문 월간지의 구독 등 모두 의의 있는 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2) 경력에 따른 자기장학에 대한 지각차이는 F-검증과 개별비교에 의한 검증 결과, 일반연수회의 참여활동에서는 6년 이상 16년 미만의 교사집단과 16년 이상 25년 이하의 경력을 가진 교사집단간에는 의의 있는 차(P<.05)가 나타났고, 연구 ·시범학교 보고회 참관에 관해서는 5년 이하의 경력을 가진 교사집단과 6년 이상 25년 이하의 교사 집단간에 P<.05의 수준에서 유의한 차를 나타냈고, 방송청취에 관해서는 5년 이하 경력 소유 교사집단과 16년 이상의 교사집단과는 P<.01의 수준에서 의의 있는 차를 나타냈다. (3) 학교 규모에 따른 자기장학에 대한 지각차이는 F-검증과 개별비교를 실시한 결과, 교과연구서클활동, 연구·시범학교 보고회 참관, 방송청취영역에서 6학급 미만 소규모학교와 12학급 이상 중·대규모 학교와 의의 있는 차(p<.01)를 보였다. (4) 학력에 따른 자기장학에 대한 지각차이는 F-검증과 개별비교 결과, 교과연구서클활동, 교육관련 전문서적 및 논문의 숙독, 동료교사와의 면담, 연구·시범학교 보고회 참관 등에서 대학원 이상의 고학력 소유교사집단과 2년제 이하 대학교 졸업 학력소유 교사집단간에 P<.01의 수준에서 의의 있는 차를 보였다. (5) 지역에 따른 자기장학에 대한 지각차이는 F-검중과 개별비교 결과, 교과연구서글 활동, 전문인사 면담, 연구·시범학교 보고회 참관, 방송청취 영역에서 도시 지역에서 근무하는 교사 집단과 읍·면 소재지 학교에서 근무하는 교사집단간에 의의 있는 차(P<.01)가 나타났다. 둘째, 자기장학 활동은 교사의 전문성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1) 자기장학활동과 교사의 전문성 향상과의 상관관계는 10개 자기장학 활동이 5개 교사의 전문성과 유의한 상관(P<.0001)이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특히 교육관련 논문(현장교육연구논문)의 숙독과 교사의 전문성 향상과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게(r=.538) 나타났다. (2) 교과연구서클활동은 교사의 전문성 중 학습지도와 정보수집 면에, 일반연수회 참여는 교사의 전문성 중 학습지도와 학급경영의 순으로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교육관련 전문도서나 논문의 숙독은 교사의 핀문성 중 학습지도와 학급경영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전문인사 및 동료교사와의 상담활동은 교사 전문성 중 학습지도 분야와 학급경영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연구·시범학교 보고회의 참관은 학습지도와 정보수집 및 학급경영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진학교 견학은 학급경영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방송청취 활동은 교사의 전문성 중 학습지도에, 신문·월간지의 구독은 교사 전문성 중 정보수집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 의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일선 현장의 교사들은 자신의 교직 전문성 향상을 위해 활용하고 있는 자기장학 내용 중 경력별, 학교규모별, 학력별, 지역별 변인에 따라 선호하는 자기장학 내용이 달랐다. 따라서 학교 현장에서 장학을 책임지고 있는 교장, 교감은 자기장학을 위한 여천 조성을 일률적으로 실시하는 것보다는 교사들의 개인별 변인에 따라 다르게 조성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2. 일선 현장의 교사들은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자기장학으로 주위에서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대중매체 즉 컴퓨터, 인터넷, CNEI(전남교윽 정보망) 등을 통하여 필요한 정보나 지식을 얻고 있으며, 도서 벽지의 교사들은 교육관련 전문서적의 숙독 등 의도적인 자기장학 노력에 힘쓰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3. 교사들은 그들이 행하고 있는 자기장학이 대체적으로 교사의 전문성 향상에서 학습지도, 학급경영, 정보수집 둥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지각하고 있다. 따라서, 교사의 자질향상과 교육의 질적 향상을 꾀하기 위해서는 보다 폭넓은 교사의 자기장학 기회 즉 교과연구서클활동, 일반연수회 참여, 연구 시범학교 보고회의 참관, 교육관련 전문도서나 현장교육연구논문 등을 쉽게 접할 수 있는 기회 등이 마련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보다 적극적인 교육의 행정·재정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론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교사들의 자기장학을 위한 연수학점제를 시급히 실시하여 교사들이 의윽적으로 참여하게 하고, 인사상의 이익이나 승진에 대한 혜택을 부여하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2. 본 연구는 자기장학이 교사의 전문성과의 관계에 국한하였고 학생에 대한 교육효과에 대해서는 연구하지 않았다. 앞으로 교사의 자기장학 활동과 학생의 교육효과와의 관계를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gram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lf-supervision, and to find how teachers' self supervision is perceived, and to find w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supervision and teachers' professionalism. for this purpose,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How do teachers perceive the difference among the variations such as sex, career, the size of school, and regions? 2. How does self-supervision in the real field effect the increase of teachers' professionalism? Research utilizing both literary and direct investigative methods, has been carried out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main research effort employed the survey method. As a survey technique, a questionnaire is used. Subjects of survey are 273 voluntary teachers in Chunnam province. The statistical methods employed in this research for data analysis are Mean, Standard Deviation, F-testing(ANOVA). To verificate the difference among the groups, analysis were carried out, and then compared the individual groups according to Duncan-test. A summary of the major results of this research was as follows: First, How does teachers perceive the contents in self-supervision? (1) Difference of perception depending on sex is presented the meaningless difference in study group, study and training, reading the thesis and other literature about education, visiting the advanced school, listening the broadcasting and reading the newspapers and magazines. (2) Difference of perception depending on career showed that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study and training between teachers with experience of 6-15 years and teachers with experience of 16-25 years, and tha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 in attending the study and training between teachers with experience of less than 5 years and teachers with teachers with experience of 6-25 years, a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P<.01) in listening the broadcast between teachers with experience of less than 5 years and teachers with experience above 16 years. (3) Difference of perception depending on school size show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P<.01) in study group, attending the study and model school, and listening broadcast between teachers of small size schools with less than 6 classes and teachers of middle-large size schools with above 12 classes. (4) Difference of perception depending on academic career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P<.01) in reading the literature and theses, interview with persons with resources, attending the study and model school between teachers with high academic level and teachers with less 2 year college. (5) Difference of perception depending on region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P<.01) in study group, interview with Persons with resources, attending the study and model school, and listening the broadcast between teachers of schools located in remoted places such as islands and teachers of schools located in town (up) and township (myun) Second, How does self-supervision effect the elevation of teachers' professionalism? (1) Corelationship between self-supervision and the elevation of teachers' professionalism was positive correlation in 10 self-supervision behaviors and 5 teachers' professionalism. especially, the corelationship between reading the literature on education and the evaluation of teachers' professionalism was the highest (r=.538.). (2) It showed that Study group activity effected teaching and learning and collecting information in teachers' professionalism while opportunities to attend study and training class effected teaching and learning and class management in order. (3) It showed that reading of literature and thesis effected teaching and learning and class management in teachers' professionalism. (4) It showed that interview with persons having resources and other teachers effected teaching and learning ,and class management in teachers' professionalism. (5) It showed that opportunities to attend study and model school effected teaching and learning behavior and class management much. And Visiting the advanced school effected class management most in teachers' professionalism. (6) Listening broadcast activity effected teaching and learning behavior and reading newspaper and monthly magazine effected collecting information behavior most in teachers' professionalism. Based on the aforementioned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reached. 1. Teachers in the real field favoured a different content of self-supervision, in which teachers utilize to evaluate, depending on the variation of career, the size of school, academic level, and region, so principal and vice-principal taking charge of field supervision should make different educational condition according to individual variation rather than same educational condition. 2. It seemed that teachers in the real field got the necessary information and knowledge using computer, internet, CNEI (Chun Nam Educational Information) to evaluate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teachers In the remote island side made an intentional effort by means of reading literature to evaluate teachers' professionalism. 3. Teachers believed that their self-supervision teaching and learning behavior, class management, collecting information in evaluating teachers' professionalism. so there should be wide opportunities such as study group activity, attending the general study class, attending studv and model school, reading literature and concerned thesis to improve the quality of both teachers themselves and education. For doing this, More active educational administrational & financial support should be provided.

      • 보건소 당뇨병 교육 참가 노인들의 영양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

        이수현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이 연구는 목포시 하당보건소에서 당뇨병 환자를 위한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영양교육효과와 중요성을 알리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대상자는 ‘2007 당뇨교실’ 3차 교육에 참석한 33명(남 20명, 여 1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식습관과 생활방식은 교육 전에 조사되었고 혈당은 교육 전,후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69.9±6.4세 였으며 당뇨 유병기간은 10.1±9.2년, BMI는 24.9±3.5로 나타났다. 그들 대부분은 일반적으로 규칙적인 운동을 하고 있었으며 육식과 채식을 선호하였으며 기름진 음식은 좋아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혈당은 공봉시 혈당을 측정하였다. 대상자는 1,3차 교육에 참석한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혈당은 교육 후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TG와 TC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HDL콜레스테롤은 교육 후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1,2차 교육에 참석한 25명을 대상으로 한 혈당은 교육 후 증가하는 것으로 보였으나 2,3차 교육에 참석한 30명을 대상으로 했을 때는 교육 전 147.7±60.2㎎/㎗에서 교육 후 117.4±39.5㎎/㎗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보건소에서 영양교육은 당뇨환자에게 혈당조절 효과를 보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보건소에서의 영양교육 사업은 건강증진사업을 위해 꼭 필요함을 알 수 있겠다.

      • 초등학교 일기 쓰기 실태와 지도 방법 연구

        강형채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9663

        In this thesis, for children's diary writing which Ins deserved a little less consideration compared to its great importance, based on the perception of the absence of systematic research and analysis on its curriculum and the lack of understanding on its current situation in terms of the development of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 about children's diary writing, this article is aimed at providing bo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children with the basic materials of diary writing, which will be very useful for the balanced development of children's personality as well as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the writing skill. It also includes the research and analysis on a series of diary writing guidance theories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children's diary writing in elementary school. Since the fifth revision of the education curriculum, which focused on method-oriented education rather tban content-oriented, one of the major goof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 been expected to develop and improve the children's language performance ability. It bas represented to encourage children to listen, speak, read and write on the basis of their participation and experience in daily lives instead of simply depending on the teacher's explanation and instruction. When it comes to the style, diary might be considered as a kind of prose in terms of an easy availability of all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pite of the similarities to other genre. Its unique features, - free expressions of children's own feeling and thinking of the surrounding world, regardless of writing forms, the harmony between one's own internal experience and the real situation cf the outer world, -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children's language performance ability. Under the current 6th revision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although units related to diary writing are presented in the reading/writing textbook ranging from the 1st grade through the 3rd grade, they have relatively neglectfully been treated compared to its 5th revision. In addition to tint, most of the diaries in those textbooks consist of life-style ones except for 'obsenxuion diary' in the 3rd grade and 'wartime diary by Admiral Yi, Soon Shin' in the 6th grade. In coming 7th revision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presenting of diary units of various themes will be demanded appropriate to the level cf each grade. Some researches indicate that children fail to do writing clearly demonstrating the logical evidences supporting their convictions in the artides. Considering the current situation, which writing activity is extremely limited in other subjects but the Korean language subject, urging children to write diaries on incidents they have experienced will make it possible to practice how to express their thinking and opinions accurately and effectively. According to its contents, the diary can be classified as the imaginary diary, the obseroation diary, the reading diary, the working diary, the animal-keeping diary and the plant-growing diary. And by its form, the diary can be classified as the picture diary, the life-style diary, the poetry diary, and the journey diary. Looking for the writing materials in our daily lives, trying to express our own thinking and feeling, and more importantly, making our efforts to write in an honest and sincere attitude without giving up are essential to keep a good diary. A total number of 773 people including 125 teachers of 5 elementary schools and 648 children of 3 schools were questioned about the diary writing, and upon the basis of the analysis, the result is tbat most teachers responded positively on the necessity of the diary writing units in the elementary education curriculum of all grades. And more tban tint, they believed tbai diary writing Ins greatly contributed to the balanced development of children's personality as well as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the writing skills in spite of the difficulty of teaching diary writing caused by their over-burdened school duties. In contrast, most children turned out to avoid keeping a diary everyday appealing the difficulty of looking for the writing materials. Nonetheless, they responded positively on diary writing itself in terms of the advantages of the writing practice in lower grades and the channel of dialogue with teachers and parents in upper grades. In order to encourage children to write a diary as a part of their pleasant lives , systematic and well-organized instruction should be made in the early stage of keeping a diary along with the teacher's help and guidance appropriate to the level of each grade. And regarding the fact tbat keeping a diary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veloping children's balanced personality,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practical improvement and activation of children's diary writing. 본 연구는 일기 쓰기가 그 중요성에 비추어 이론적 연구가 글짓기의 일부분에 한정되어 미홉할뿐더러 체계적인 교육과정과 단원 분석 빛 이론 연구가 없었다는 점과 교사들의 일기 쓰기 지도 실태나 아동들의 일기 쓰기 실태 조사 분석이 극소수로 한정되어 었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일기 쓰기 지도에 대한 제 이론 및 아동 실태와 교사의 지도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아동들의 달짓기 능력향상과 정서순화 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일기 쓰기의 질적 개선을 위하여 펼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연구의 주안점을 두었다. 제 5차 국어과 교육과정 이후 내용중심의 국어교육에서 방법중심의 국어교육으로 변하면서 국어교육의 중요한 목표는 아동들의 언어사용기능을 신장시켜 주는 것이 되었다. 이러한 목표 달성을 위하여서는 교사의 설명보다는 아동들의 실제적 참여, 경험, 연습이 크게 요청되며, 말하고, 듣고, 얽고, 쓰는 아동들 자신의 언어사용이 가장 적절한 교육 방법이 될 것이다. 아동들은 주로 자신이 경험환 일에 대해 글짓기를 하는데, 쟁활경험을 제재로 삼는다는 점에서 보면 일기는 생활문과 유사하지만, 초등학교 전학년 아동들이 손쉽게 쓸 수 있다는 산문의 장르로 볼 수 있다. 즉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지식이나 정보에 의존하기보다는 글쓴이의 생각과 느낌, 감정을 드러내는 글의 종류이므로, 일기는 아동들이 속해 있는 외부 세계의 경험을 내적 경험과 조화롭게 결합시킬 수 있어서 다양한 언어사용 기능을 신장시킬 수 있는 방법 중의 하나이다. 현행 6차 국어과 교과서에서 일기 쓰기와 판련된 단원은 1 학년부터 3학년 1학기까지 읽기와 쓰기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데, 5차 교육과정에 비해 소홀히 취급되고 있으며, 3학년의 관찰일기와 6학년 ‘난중일기’를 제외하고는 모두 생활일기 형식으로써 7차 교육과정 개정 시에는 각 학년 단계에 알맞으면서도 다양한 일기 단원이 수록될 수 있도록 하여야겠다. 여러 연구들은 요즈음 아동들이 설득력 있게 자신의 신념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는 글을 쓰지 못한다는 점을 지적하고 었다. 그러나 실체적으로 국어과를 제외한 다른 교과에서는 이러한 쓰기 활동이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을 감안할 때, 아동들에게 그 날에 있었던 사건들에 대해 일기를 쓰게 함으로써 자기의 생각과 언어의 사용에 있어서 표현 능력의 정밀성을 연습할 수 있으며, 사고에 대한 어떤 통찰을 얻을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일기의 유형은 내용에 따라 사색일기, 관찰일기, 독서일기, 작업일기, 사육일기, 재배일기, 여행일기, 내용에 따라 그립일기, 생활문일기, 시 일기, 독서 감상문일기, 기행문일기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일기를 쓸 때 생활 속에서 글감을 찾는 것이 중요하며, 생각과 느낌이 잘 드러나게 써야하고, 형식에 맞게 계속적으로 쓰데, 정직하게 쓰는 습관형성 또한 중요하다. 일기 쓰기에 대한 실태 분석은 목포지역을 중심으로 하였으며, 5개 초등학교의 교사 125명과 3개 초등학교 아동 648명을 대상으로 각종 문항에 대하여 분석하였는데, 대부분의 교사들은 아동들의 일기 쓰는 능력을 낮은 것으로 보고, 전학년 교육과정 속에 일기 쓰기 단원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일기 쓰기 지도의 어려움으로 많은 아동 수와 학교 업무의 과중함을 뜰었으나, 글짓기능력 향상과 정서순화에 도움을 준다고 옹답하였다. 아동들의 대부분은 매일 일기 쓰기가 귀찮으며, 글감 찾기가 어려워 쓰기가 싫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일기 쓰기는 생활반성에 도움이 되며, 특히 저학년 아동들은 글씨 쓰기, 고학년 아동들은 선생님이나 부모님과 일기장을 통한 대화를 원하고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저학년부터 체계적이며 학년 단계에 알맞은 지도와 함께 일기쓰기가 생활의 일부분으로써 습관화되어 즐거운 마옴으로 쓸 수 있도록 교육적인 지도가 펼요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일기 쓰기는 아동들의 성장 발달에 미치는 효과가 지대함으로 본 연구가 아동들의 일기 쓰기에 실질적 개선과 활성화에 기여하기를 바란다.

      • 과학영재교육에서 정보과학교재에 관한 연구

        김영주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63

        <Abstract> It is natural emphasize to importance of information science gifted education and value in knowledge base information societies. Studied a information science gifted education belong to a collage to the centers as follows in order to be helpful to efficiency of information science gifted education to an improvement of a professor - education way. First of all looked into definition of various gifted, and investigated definition of an information science gifted and a characteristic in study ways. By the followings review teaching material contents Investigate the present situation. Result of study presented class teaching material contents to meet to an educational spread and characteristic of motive induction to be exposed to a characteristic. Also, the results that the class way that reflected a characteristic of an information science gifted needed were analyzed. Presented the teaching material contents that considered a characteristic of an information science talent, and attempted so that efficiency, charm anger, an effective castle etc. became an elevation than the existing teaching material. As this is provisional theory along study in quality, the problem that shall pass through educational experiment and certification remains. <국문초록> 지식기반 정보화 사회에서 정보과학영재교육의 중요성과 가치를 강조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정보과학영재교육의 효율화를 기하고 교수-학습 방법의 개선에 도움이 되고자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교재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연구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먼저, 다양한 영재의 정의를 살펴보고, 정보과학영재의 정의와 특성을 조사하였다. 다음으로 현재 정보과학영재교육을 운영하고 있는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현황을 조사하고, 정보과학영재의 교재 내용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로, 정보과학영재아의 특성을 규명하고, 특성에 맞는 동기 유발의 교육전개와 특성에 맞는 수업교재 내용을 제시하였다. 또한, 정보과학영재의 성격적 특성을 반영한 수업방법이 필요하다는 결과가 분석되었다. 정보과학영재의 성격적 특성을 감안한 교재내용을 제시함으로, 기존의 교재보다 효율성, 효과성, 매력성 등이 향상 되도록 시도하였다. 이는 질적 연구에 따른 잠정적 이론이므로 교육 실험과 검정을 거쳐야 할 문제가 남아 있다.

      • 우리나라의 외국어 교육정책과 일본어 교육의 방향

        양지승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63

        1. 문제제기 현재 세계 정세의 흐름에는 큰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미국이 초강대국으로서 세계를 주도하고 있지만, 지역별로는 유럽연합과 같은 블록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당연히 해당지역에서는 각 지역의 언어를 이용한 의사소통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세계의 여러 나라들은 다양한 언어교육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으며, 외국어 교육을 개시하는 연령도 점차 조기화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외국어 교육은 영어 일변도로 질주하고 있다. 영어를 능숙하게 구사하지 못하면 마치 세상에서 살 수 없기라도 한 듯이 압박을 가하고 있다. 당국자들은 학교에 제공되는 외국어의 수가 증가되어 왔음을 들어 외국어 교육이 확대되었다고 하지만 내용을 보면 영어 집중현상 만이 확대되고 다른 외국어 교육은 오히려 축소되었다고 해도 좋을 만큼 심각하게 왜곡되고 있다. 영어로만 외국어 교육이 획일화되었을 때, 사회와 문화 또한 획일화되어 영어권에 종속될 위험성이 크다. 외국어 교육은 다양화되어야 한다. 다양한 언어의 교육은 학생들이 다양한 문화를 섭취하고 이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수 있게 지원하고 사고의 폭이 넓은 인간, 조화로운 인간이 될 수 있게 한다. 본고는 영어에 집중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외국어 교육현황을 살펴보고 바람직한 외국어 교육정책을 위한 개선점을 몇 가지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학생과 교사에 대한 설문결과를 토대로 일본어 교육의 개선방향에 대해서도 몇 가지 제안을 해보고자 한다. 본고에서 논의하는 바는 주로 정책적인 측면이며 우리나라의 제2외국어 교육이 본격화하는 고등학교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서술하였다. 2. 우리나라 외국어 교육정책의 현황과 문제점 우리나라 외국어 교육정책의 변화와 현황을 가장 잘 나타내는 것은 국가의 교육과정이다. 1954년에 제1차 교육과정이 제정되어 현재 제7차 교육과정이 시행되고 있지만, 그동안 우리나라의 외국어 교육은 외형적인 성장을 거듭하여 왔다. 학교에 제공되는 외국어의 수도 1차 교육과정기의 4개(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중국어)에서 8개(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중국어, 일본어, 스페인어, 러시아어, 아랍어)로 늘었으며, 각 과목은 Ⅰ,Ⅱ등으로 세분화되었다. 또한 7차 교육과정에서는 교수-학습 분량의 적정화와 의사소통 활동중심의 외국어 교육, 문화이해 교육의 중시,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활동의 강조, 과목별 내용체계의 유연성을 강조하는 등 상당부분에서 바람직한 변화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제2외국어 교육에 있어서는 고교 2학년이 되어서야 실시할 수 있게 한다든지, 학생 자유선택제로 한다든지 하여 오히려 교육환경이 열악해졌고, 그나마 대학입시에 거의 반영하지 않음으로써 학교에서의 제2외국어 교육은 파행에 이르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외국어 교육의 조기화와 다양화, 그리고 실질화를 추구하고 있는 여러 다른 나라들과는 상당히 대조적인 모습이며, 국제 경쟁력의 저하를 초래할 수도 있는 위험한 부분이다. 3. 일본어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본고는 우리나라 일본어 교육에 대한 관계자들의 인식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일본어 교육의 개선방향을 제안하기 위해 일본어 교사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일본어 학습환경에 대해서는 교사와 학생의 압도적인 다수가 잘 갖추어져 있지 않다고 응답하였으며, 그 이유로 교사들은 일본어를 입시에 반영하는 대학이 많지 않다는 것을 들었고, 학생들은 영어 위주의 외국어 교육정책을 들었다. 이에 따라 일본어 학습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학생들은 한일교류를 지원하고 일본어 학습시설을 보강해야 한다고 응답하였고, 교사들은 대학입시에서의 반영 및 활용도를 높여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교사들은 일본어의 대학 입시 반영도가 낮아서 학생들의 관심이 적어지고 결국 고교의 일본어 수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다수의 학생들은 대학 입시부담이 없을 경우, 일본어를 적극적으로 공부하고 싶다는 뜻을 드러내어 현행 입시제도가 일본어 학습의 큰 장애가 되고 있음을 확인시켜 주었다. 마지막으로 교사들은 대부분 일본어를 가르친다는 사실에 만족을 표시하면서도 정부의 제2외국어 교육정책에 대해서는 커다란 불신감을 나타내었다. 4. 결 론 영어교육에 집중된 외국어 교육정책은 다른 외국어 교육의 파행을 초래한다. 그동안 제2외국어 교육이 확대되어 왔다고 하지만, 실제로는 도입된 외국어의 수만 늘었을 뿐, 교육과정이나 선택제도의 문제로 인해 제2외국어 교육은 오히려 축소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런 상황이 지속되면 우리 사회는 언어와 문화의 다양성을 상실하고 영어권에 종속되는 최악의 사태를 맞을 수도 있다. 따라서 외국어 교육정책은 다언어주의, 다문화주의 가치관에 맞추어 제2외국어 교육을 활성화시키는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언어의 다양성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정책 가치관을 재정립하고, 제2외국어 교육을 사실상 제한하고 있는 교육과정을 재편성하며, 학생에 의한 선택제도를 재고하여 다양한 언어들이 학교 현장에서 교육될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한다. 또한 입시에서의 활용방안을 연구하여 반영률을 확대하거나 필수화하여야 한다. 우리나라에서 제2외국어 교육의 정상화는 현실적으로 대학입시에서의 반영여부에 달려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중등학교 수준에서의 실질적인 외국어 전문학교 개설도 고려해봄직한 일일 것이다. 또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일본어 교육이 발전하기 위한 방향을 몇 가지 제시해 보면, 우선 대학입시에의 반영확대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것, 한일교류에 대한 지원을 늘리고 일본어 학습시설을 설치하는 등 일본어 학습지원체제를 보강해야 한다는 것, 또 의사소통 기능중심의 현행 교수-학습 과정에 대해 재고가 필요하며, 가능한 한 중학과정부터 필수화를 추진해야 한다는 점 등을 들 수 있을 것이다. 그럼으로써 일본어 교육은 일본어 교육 자체의 발전 뿐 만 아니라 우리 사회의 다양성을 지키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1. 問題提起 現在世界情勢の流れには大きい變化が現われている。アメリカが超大國として世界を主導しているが、地域別ではヨ一ロッパ連合のようなブロック化現象が著しい。當然該當地域では各地域の言語を利用した意思疎通の必要性が增大されている。これによって世界の多くの國國は多樣な言語敎育に心血を傾けているし、外國語敎育を開始する年齡も徐徐に早期化している。 しかし我が國の外國語敎育は英語一邊倒で疾走している。英語が上手に驅使することができなければまるで世の中で住むことのできないように壓迫を加えている。當局者たちは學校に提供される外國語の數が增加されて來たことを持って外國語敎育が擴がったと言うが、內容を見れば英語集中現象だけが擴がって他の外國語敎育はむしろ縮まったと言っても良いほど深刻に歪曲されている。英語にだけ外國語敎育が劃一化された時、社會と文化も劃一化されて英語圈に從屬する危險性が大きい。 外國語敎育は多樣化されなければならない。多樣な言語の敎育は學生たちが多樣な文化を取って利用することができる能力を取り揃えるように支援して思考の幅が廣い人間、調和な人間になることができるようにする。 本稿は英語に集中されている我が國の外國語敎育現況を考察して望ましい外國語敎育政策のための改善點をいくつか提案しようとする。また學生と敎師に對するアンケ一ト結果を土臺にして日本語敎育の改善方向に對してもいくつか提案をして見ようとする。本稿で論議することは主に政策的な側面や我が國の第2外國語敎育が本格化する高等學校に對する考察を中心に敍述することにした。 2. 我が國の外國語敎育政策の現況と問題點 我が國の外國語敎育政策の變化と現況を一番よく現わすことは國家の敎育課程である。1954年に第1次敎育課程が制定されて現在第7次敎育課程が施行されているが、その間我が國の外國語敎育は外形的に大きな成長を成し遂げて來た。學校に提供される外國語の數も1次敎育課程期の 4個(英語、ドイツ語、プランス語、中國語)から8個(英語、ドイツ語、プランス語、中國語、日本語、スペイン語、ロシア語、アラビア語)に增えたし、各科目は Ⅰ、Ⅱなどに細分化された。 また 7次敎育課程では敎授-學習分量の適正化と意思疎通活動中心の外國語敎育、文化理解敎育の重視、學習者中心敎授-學習活動の强調、科目別內容體系の柔軟性を强調するなど相當部分で望ましい變化を成していることに評價される。 しかし第2外國語敎育においては高校2年生になってから實施することができるようにするとか、學生自由選擇制にするとかしてむしろ敎育環境が劣惡になったし、それさえも大學入試にほとんど反映しないことで學校での第2外國語敎育は破行に至るようになった。 このような狀況は外國語敎育の早期化と多樣化、そして實質化を追い求めている他の國國とはよほど對照的な姿であり、國際競爭力の低下をもたらすこともできる危ないどころである。 3. 日本語敎育の現況と問題點 本稿は我が國の日本語敎育に對する關係者たちの認識を把握して、これを土臺にして日本語敎育の改善方向を提案するために、日本語敎師と學生たちを對象でアンケ一ト調査を實施した。 日本語學習環境に對しては敎師と學生の壓倒的な多數がよく揃っていないと回答したし、その理由として敎師らは日本語を入試に反映する大學が多くないということを擧げたし、學生たちは英語を主とする外國語敎育政策を指摘した。 これによって日本語學習を效果的に支援するために必要なことで、學生たちは韓日交流を支援し,日本語學習施設を補强しなければならないと回答したし、敎師らは大學入試での反映及び活用度を高めなければならないと回答した。また敎師らは日本語の大學入試反映度が低くて學生たちの關心も低くなって、結局高校の日本語授業が正常的に實施されることができないと指摘した。 そして多數の學生たちは大學入試負擔がない場合、日本語を積極的に勉强したいという意志を現わして現行入試制度が日本語學習の大きい障害になっていることを確認させてくれた。 最後に敎師らは大部分日本語を敎えるという事實に滿足を表示しながらも政府の第2外國語敎育政策に對しては大きな不信感を現わした。 4. 結論 英語敎育に集中された外國語敎育政策は他の外國語敎育の破行をもたらす。その間第2外國語敎育が擴がって來たと言うものの、實際では導入した外國語の數が增えただけで、敎育課程や選擇制度の問題によって第2外國語敎育はむしろ縮まったと言っても過言ではない。こんな狀況が持續すればうちの社會は言語と文化の多樣性を喪失して英語圈に從屬する最惡の事態にあうこともできるだろうと思う。したがって外國語敎育政策は多言語主義、多文化主義の價値觀に合わせて第2外國語敎育を活性化させる方向に改善しなければならない。 この爲に、言語の多樣性を重視する方向に政策價値觀を再確立して、第2外國語敎育を事實上制限している敎育課程を再編し、學生による選擇制度を見直して多樣な言語が學校現場で敎育されることができるように改善しなければならない。また入試での活用方案を硏究して反映率を擴大するとか必須化しなければならない。我が國で第2外國語敎育の正常化は現實的に大學入試での反映によって左右されるからである。そして中等學校水準での實質的な外國語專門學校開設も考えられることである。 また、アンケ一ト結果を土臺にして日本語敎育が發展するための方向をいくつか提示して見れば、まず大學入試への反映擴大のために努力しなければならないということ、韓日交流に對する支援をふやし、日本語學習施設を設置するなど日本語學習支援體制を補强しなければならないということ、また意思疎通機能中心の現行敎授-學習過程に對して再考が必要であり、できるだけ中學過程から必須化を推進しなければならないという點などを擧げることができるだろうと思う。それによって日本語敎育は日本語敎育自らの發展だけでなくうちの社會の多樣性を守ることにも寄與することができるだろうと思う。

      • 유아 과학 프로그램의 활용실태 및 개선방향

        양은 木浦大學校 敎育大學院 敎育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유아기관에서 진행되는 과학교육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유아과학 프로그램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 개선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목포지역 근교의 유아교육기관에 재직하는 교사 155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교사들은 과학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잘 파악하고 있었으며, 유치원 교육과정에서 명시된 목적을 바르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유아교육기관에서는 과거 담당교사가 모든 과목을 지도 했던 것과는 다르게 전문화된 과학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쓰고 있는 유아교육기관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는 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프로그램의 만족도는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셋째, 사용하는 과학프로그램은 나름대로 특징과 장점이 있고 과거에 비해 현대의 교육흐름에 맞추어서 개발되었다. 그러나 유아의 과학적 지식이나 개념중심의 활동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결론에 대해 본 연구자는 유아 과학프로그램에 대한 심의 제작기구를 두어서 제작된 교재, 교구가 심의를 통한 질적 통제가 있어야 할 것과 과학교육과 관련한 현장학습의 필요성, 교사연수의 필요성, 정부, 대학, 연구기관, 개발회사에서는 유아 교육기관 설정에 맞고 유아의 수준에 맞는 구체적인 프로그램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제공해야 하는 방안 등을 지적하는 바이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problems of the science program for young children and also to prepare the improvement plans of it after analyzing the science educations in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young children. for this, the incumbent teachers at the institutions for young children educational in Mokpo were surveyed by questionnaire.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l the teachers fully understood the importance of the science education and had a true perception of the purpose which is indicated in the 6th kindergarten curriculum Second, At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young children, a teacher who was in charge of her class used to teach every subjects but now they prefer to use the specialized science program and the consumer satisfaction is estimated affirmativly. Third, the program of science education has a distinguishing mark and many advantages and it has developed more suitable with the modern educational system compared with the past. However it couldn't be out of the activities for children's knowledge and their general idea. In conclusion, the organ of concertation for young children science education is needed to have a qualitative control through deliberation on teaching materials and tools. I would like to point out the necessity of study tour related to the science education and the training of teachers. The government, the universities, the research institutions and the companies should offer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definite programs to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young children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