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주거만족도 및 원룸주택 주거선호도에 관한 연구

        전효진 목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55

        1993년부터 우리나라에 본격적으로 선을 보이면서 큰 인기를 얻게 된 것이 원룸주택이며 입지의 특성에 따라 아파트, 오피스텔, 연립주택, 다가구주택 등의 형식으로 도입되고 있다. 그 중에서 가장 큰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 원룸형 다가구주택이다. 원룸형 다가구주택은 건물의 규모가 작고, 주로 소규모 지주들에 의해 임대전용으로 지어진다. 또한 아파트나 오피스텔보다는 경제적이며, 젊은 신세대들이 선호한다. 과거에는 자취나 하숙의 형태인 대학가 주거유형이 현대에는 자취, 하숙, 고시원에 비래 편리한 시설을 갖추었고, 독립생활이 가능한 원룸형 다가구주택으로 젊은 신세대층 거주자인 대학생들이 밀집해 있는 대학주변을 중심으로 대학가 주거의 한 형태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대학생 위주의 원룸형 다가구주택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원룸주거환경은 대학생들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편리성과 독립성이 보장되어야 할 원룸이 불편하고, 위생상, 보안상 여러 가지 허점을 드러내고 있으며, 사생활의 침해를 받는 경우도 있어 원룸 본래의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살펴보고자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주거선택 만족도와 선호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 열린 예배를 통한 채플의 가능성과 전망 : 목원대학교를 중심으로

        호대선 목원대학교 신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기독교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의무적인 채플에 대해 학생들은 불만을 제기한다. 한번도 교회에 가본 적이 없고 또는 종교가 불교나 천주교인 학생들이 학교를 졸업하기 위해 채플을 신청하게 된다. 조사 결과 10명중 7명의 학생이 이 경우에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목원 대학교의 채플은 이 7명의 학생을 위한 채플 준비되어지지 않았고, 나머지 3명의 기독학생을 위한 예배만이 준비되어 있다. 이 논문에서는 전통적인 예배를 통해서 비기독학생들이 변화될 수 없다는 것을 말하려 하는 것이 아니라 좀더 효과적이고 영향력이 있는 방법으로의 채플을 제시하려고 하였다. 남서울대학교와 전주대학교의 채플 프로그램을 살펴보고 목원 대학교의 프로그램과 학생들의 반응을 조사해 본 결과 채플에 대한 이미지와 만족도가 남서울대학교와 전주대학교의 학생들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는 이 이유를 전통적인 예배를 드리는 목원 대학교와 열린 예배를 드리는 남서울대학교, 전주대학교 와의 차이라고 인식하였다. 분명 남서울대학교와 전주대학교의 무교, 불교, 천주교 학생들도 채플에 대한 이미지와 만족도, 예배의 내용을 전부 만족 하고 있지는 않았다. 그러나 10%에서 많게는 20%의 차이의 만족도는 "채플이 누구를 대상자로 삼고 있는가?"에서 찾을 수 있었다. 기독학생들은 전통적인 예배이든 열린 예배이든 채플에 대해서 대체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지만, 비 기독학생들은 열린 예배에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주었다. 이 결과는 채플자체가 무조건적으로 학생들이 피하고 싶은 시간이 아니라 어떻게 다가가느냐에 따라서 채플의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배 설문조사에서 알게 된 사실은 무교학생들과 천주교 학생들의 응답 수치는 거의 같게 나왔다. 반면에 불교학생들은 목원 대학교, 남서울대학교, 전주대학교에서 공통적으로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는 특징이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방안으로 기독학생들을 위한 '부흥 채플'과 비 기독학생들을 위한'열린 채플'을 제시하여 대상에 맞는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부흥 채플'과'열린 채플'은'열린 예배'를 바탕으로 예배디자인을 하였다.'열린 예배'가 구도자를 위한 · 구도자를 배려하는 예배로, 예배의 대상이 대학 채플의 학생들과 여러 부분에서 같다고 할 수 있다. 열린 예배가 구도자(seeker)를 위한 예배라면 '열린 채플'은 비기독학생들을 위한 예배로 그들의 기호와 눈높이에 맞는 메시지와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말하였다. 이 '열린 채플'을 통해 학생들이 지니고 있는 삶의 고민을 어루어 만져 주고, 해결의 열쇠를 제시해주어야 한다. '부흥 채플'은 기독학생들을 대상으로 디자인된 예배이다. 이러한 학생 신앙 공동체의 형성은 학교를 위한 기도와 열린 채플을 듣고 있는 친구들을 위해 중보기도 할 수 있는 능동적인 채플임을 말하였다.

      • 대학가 주변지역 개발방향에 관한 연구 : 목원대학교 주변지역을 중심으로

        석종덕 牧園大學校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연구는 현재 목원대학교 주변지역이 대전 도안 신도시 택지개발로 지정되어 진행 중이고, 2단계 예정지역은 건축법으로 건축행위 제한이 되어있어 대학교가 1999년 이전되어 정착기간이 10년이 경과함에도 학교자체의 움직임이나 행정당국의 관심 있는 움직임이 부족하여, 학생 및 교직원 그리고 지역주민에게 대학가의 즐거움을 빠른 시일에 찾아주고 대학가 주변지역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하여 연구를 시작하게 됐다. 대학과 주변지역의 관계는 대학은 주변지역 주민에게 학교의 시설과 교육적인 혜택을 주며, 주변지역은 학교의 부족한 여가와 휴식 공간 그리고 주거의 시설을 제공하므로 서로는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목원대학교는 북측 현 정문 앞 학교용 부지와 서측의 대학교 후문과 연접한 용계동 주변지역의 계획적인 개발을 위해, 학교의 학생과 교직원 그리고 용계동지역주민에게 인터넷 조사와 직접 면접 조사방식으로 다양한 의견을 수집하였다.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전광역시 서남부의 도안 신도시 택지개발 지역은 목원대학교와 주변지역 주민의 입장에서 보면, 주거중심지역을 중심으로 접근성과 복지시설에 중점을 둔 개발을 원하고 있다. 단지 공사기간이 지연되어 장기간에 개발이 이루어져 불편한 환경이 지속 될 것이라는 의견이 상당수가 있다. 둘째, 목원대학교 정문 앞 부근에 학교용부지에 대하여는 학교가 매입하여 학교에 필요한 시설을 건립하고, 학교의 입지를 높이는 기회로 삼아야 될 것으로 생각되어지며, 학교의 직접적인 개발이나, 투자기업을 유치하는 개발 방식이나, 학교의 이미지 제고 및 특성화된 대학가를 만들어야한다. 셋째, 목원대학교 주변지역 개발에 대하여는 학생과 교직원 그리고 용계동 지역주민의 개발완료 시기를 5-9년으로 의견이 비슷할 뿐이고, 여러 분야에서 개발 주체나 수행할 역할, 필요한 시설에 대한 의견에 상당한 격차가 있고, 개발후의 바람직한 모습에 대하여도 의견차를 나타내었다. 본 논문에서는 목원대학교 주변지역의 대학가 개발을 위하여 서로의 의견을 충분히 공유하는 협의체를 구성하며, 체계적이고 발전 가능한 좋은 대학가 문화를 빠른 시일에 정착시키기 위해 학생 및 교직원 그리고 용계동 지역주민은 함께 추진하여야 한다고 생각된다.

      • 대학 행정의 효율화를 위한 정보공동활용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대학 행정 조직을 중심으로

        김종천 목원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23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은 현대사회에 지식정보사회라는 목표개념으로 정립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정보화 사회환경의 구현을 위하여 정보통신기술의 개발, 보급 및 활용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 전반의 노력에 발맞추어 한국의 고등교육기관인 대학 또한 정보통신기술을 통한 변화와 혁신이라는 시대적 인식을 바탕으로 대학의 정보화를 활발히 추진하고 있다. 대학의 정보화란 의미는 정보통신기술을 통한 대학조직의 전반적인 혁신과 변화에 대한 노력으로 정리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학의 정보화를 바탕으로 정보의 공동활용을 통하여 대학의 효율적인 행정 구현을 위한 혁신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아직 보편화되어 있지 않은 정보공유 실태에 대한 상황적 근거를 바탕으로 하여 이론적 틀을 전개하고자 하였다. 이와 더불어 정보화에 가장 민감한 집단인 대학에서의 정보공동활용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또한 정보의 공동활용을 저해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기존의 사례분석을 통한 이론적 논의를 선행적으로 전개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학조직의 개념적 특성을 고려한 합리적인 정보공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학 행정조직의 특수성에 따른 합리적인 정보공동활용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대학조직의 개념적 이해와 정보화 실태, 그리고 대학행정 조직의 문제점을 통한 발전방향 차원에서의 대학 정보화의 당위성을 제시하였다. 대학정보화를 바탕으로 정보의 공동활용을 통하여 효율적이고 혁신적인 대학 행정 구현을 모색하고자 하는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대학의 지식정보화 구현을 위해서는 정보기술이 차지하고 있는 위치는 절대적인 것이며 이를 통해 대학 생존의 방향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정보화 추진에 있어서 재정적인 취약성의 개선과 대학 내의 체계적인 의사결정 및 지원체제가 필요하다. 셋째, 정보화 전담직의 설치로 부서 갈등을 해소하고 전문성을 갖추어야 한다. 끝으로, 대학정보화를 위한 전담 부서의 역할은 기본적으로는 기술적 전문성을 바탕으로 하여 대학운영의 효율화를 위한 분석 및 기획·관리기능을 갖추어야 한다는 것이다.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being accomplished under information-oriented society modern society is heading for. Hereup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s developed popularized and came into wide use to keep up with the trend of modern society. To meet the demand of the time, University, the higher education Institute, in Korea carry out various projects for information-oriented society with the awareness based on changes and renovations b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o put it another way, information-oriented university means effort for the general changes and renovation of university organization by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earch for the innovative methods for the efficiency of university administration by sharing and using the pieces of informations. In this regard, I show theoretical frame about it. Considering the situation that many fields in society don't share and use their pieces of informations each other under the circumstances that joint ownership of information has generalized yet. What I especially suggest is efficiently practical uses of it in University administration. Besides I argued about them first with the preceding analyses about this study in order to analyze the obstructions of these practical uses. And then by this grounding, I present the reasonable ways of sharing and using information by setting on the specifics of university administration organization, after considering conceptional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Organization. Finally I show what the university should do under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In conclusion, Information technology is the absolute being so that the university realize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I maintain that university has something to do for this reason in this thesis. First, university has to find their survival ways under fierce competition for existence by using it. Second, university should cope with financial troubles and need to have systematic decision making and backup system. Third, university should set up the department which has exclusive responsibility and solve the conflicts among the departments. Then, its departments have the speciality respectively. Finally, The exclusive department of information has to possess the function of analyzing, making, managing the project based on the technical speciality for the efficiency of university administration.

      • 노인대학 운영에 관한 연구 : 당진감리교회 사례 중심으로

        김진범 목원대학교 신학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23

        21세기를 맞이하면서 우리나라는 65세 이상의 노령인구가 7%대를 넘어서면서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고, 노인인구가 계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에 따라서 노인문제는 사회의 문제로 대두되고 있고, 이는 심각한 위험 수위에 이르고 있다. 노인문제는 의학이 발달하여 인간 평균 수명이 연장된 것도 이유 중의 하나이지만 그것보다는 산업화, 도시화, 가족의 핵가족화로 인한 것이 심각한 사회 문제로 발전되었다고 볼 수 있다. 노인들은 사회적 소외감 신체적 연약함, 심리적 문제, 경제적 어려움, 빈곤, 가족과의 관계를 이루는 어려움, 죽음, 영적 문제 등 여러 가지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노인에 대한 지원은 지금까지 경제적인 측면에서의 지원이었다. 하지만 노인들이 원하는 많은 욕구를 다 채워 주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특히 배우고자 하는 교육적인 욕구를 정부에서 지금까지 그다지 신경 쓰지 못하였고, 지역사회에서도 그들의 욕구를 일일이 다 충족시켜 주지 못하였다. 그러기에 교회의 노인을 위한 관심이 요구되고 있다. 교회의 봉사로서의 사명, 그리고 영혼 구원의 선교적인 사명을 위해서 교회는 지역의 노인들에게 사랑과 관심을 쏟아야 한다. 그의 좋은 방법 중의 하나의 예가 바로 교회 내 노인대학 설립이다. 노인대학 설립으로 인하여 교회가 노인복지를 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긴다. 그로 인하여 노인들은 교육적인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외롭고 힘든 노년에 활기를 불어 넣는 좋은 기회가 된다. 교회의 노인대학은 뚜렷한 목적과 목표를 세우고 나아가야 한다. 그리고 노인들의 욕구를 충족시켜주며 그들의 복지를 위한 프로그램들을 만들어야 한다. 건강관리, 취미활동, 교양강좌, 사회활동, 경제활동 등 노인들을 위한 다양한 학과들을 만들어 노인들에게 유익한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기본 학과 이외에도 많은 노인들을 위한 특별활동을 지원하여 노인대학에 다니는 즐거움을 이끌어 내야 한다. 또한 추가로 일반 복지시설이 아닌 교회 내의 노인대학이기에 선교적인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성경교육이나 찬양교육 등의 프로그램 개설도 필수적이다. 노인대학의 대부분의 예산이 교회 내의 예산으로 지원되고 있다. 물론 재정적인 부분 말고도 노인대학의 운영에 필요한 재원들을 교회내의 자원으로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교회의 풍부한 시설자원, 인력자원, 재정자원 등은 교회의 노인대학 운영의 최대 장점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그 밖에도 지역사회의 자원을 적극적으로 개발, 확보 동원 하여 노인대학의 운영에 필요한 재원으로 활용해야 한다. 국가에서도 노인대학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제도적, 행정적, 재정적 지원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즉 노인대학의 설립요건과 관련된 사항들을 강화하여 노인대학의 수준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행정기관에서 철저한 지도감독을 실시하여 운영을 활성화시켜야 하며, 재정적인 지원을 점차 확대해 나가야 한다. 또한 노인대학이 사회교육이나 평생교육 차원으로 인식되어 정규교육기관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교회의 노력도 필요하다. 노인대학을 경로대학, 노인교실 등의 단순한 그리고 일시적인 사역, 주 1회 노인봉사 수준이 아니라 체계적인 교육 방안을 마련하고 노인복지와 교육에 대한 사명감을 가지고 나아가야 할 것이다. 그리고 여건이 된다면 교육으로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교회가 현실적인 노인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주간보호시설, 노인복지회관, 종합복지센터 등과 같은 독립기관 설립에도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우리들은 성도로서 말씀에 비추어 어긋나지 않는 삶과 실천으로 복음을 이 사회에 전파해야 하는 사명이 있다. 그리고 우리의 사회 현실에서 어떤 이유에서든 노인문제로 인하여 노인들이 힘들어하고 고통 받지 않기 위하여 노인문제를 예방하고 치유해야 하는 책임이 있다. 교회는 이러한 일에 소홀히 하지 않고 특히 노인대학이라는 좋은 제도와 방법으로 많은 노인들의 어려움을 함께하고 그들의 욕구를 충족 시켜야 할 것이다.

      • 마이크로 공익활동 참여 촉진 요인에 관한 연구 : 대학생의 ‘마이크로 공익서비스 행동’ 프로젝트 참여 사례를 중심으로

        유진 목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23

        마이크로 공익활동은 최근에 흥기한 새로운 형태의 공익참여모형으로 전통적 공익서비스가 가지고 있던 비효율적이고 형식이 단일하고 투명성이 결여되는 등의 문제들을 해결하여 전 국민의 공동 참여를 통한 가치 생산을 권장하고 시민의식의 각성을 호소함으로써 ‘누구든지, 언제든지, 어떤 일이든지 가능한 공익’을 실천하여 공익의 새로운 발전추세와 연구대상이 되었다. 하지만 국내외 학계에서 개인의 마이크로 공익활동 참여의 내적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을 뿐 아니라 대부분 미디어학의 시각에 집중되어있다. 특히 ‘Web 3.0 시대’에 흥기한 마이크로 공익서비스 행동에 대해서는 실천 방면의 탐구만 진행되었을 뿐 이론연구는 거의 공백에 가깝다. 대학생은 정보화시대의 주력으로 마이크로 공익서비스 행동의 가장 훌륭한 대변자이다. 따라서 본고는 사회혁신의 시각에서 실증분석을 이용하여 대학생들의 마이크로 공익활동 참여의 영향요인들을 연구하였는바 이는 ‘전 국민공익’의 이념을 심화시키는 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본고는 우선 문헌연구, 사례분석, 초점집단인터뷰, 개방형 설문조사 등 방법을 이용하여 마이크로 공익서비스 행동의 특징을 이루는 핵심요인들을 식별, 선별하고 그것들을 기술수용모형의 틀에서 분석한 동시에 공동생산 이론을 적용하고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마이크로 공익서비스 행동 -가치 및 감정공감대 형성 - 마이크로 공익활동의 강화’라는 영향경로를 논증하였다. 아울러 본고는 다자간이론과 성숙도 검사를 참고하여 마이크로 공익서비스 행동의 특징을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용이성 등 두 가지 차원으로 갈라 보았고 가치 및 감정 공감대를 교제 가치, 향유 가치, 사회 가치와 성장 가치의 네 가지 차원으로 갈라 보았다. 대학생들의 마이크로 공익활동 참여행위에 대해서는 행동 지속성과 참여 영향력 등 두 가지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연구에 따르면 가치 공감대는 마이크로 공익서비스 행동 속성인지와 대학생들의 마이크로 공익활동 참여행위와의 영향관계에 있어서 매개역할을 한다. 그중 인지된 유용성은 대학생들의 마이크로 공익활동 참여 영향력에 대해서는 큰 작용을 하지 못하고 교제 가치, 향유 가치, 사회 가치와 성장 가치 등은 마이크로 공익활동의 참여 영향력과 영향관계를 가진다. 아울러 교제 가치 정감의 변수가 마이크로 공익서비스 행동 속성 인지와 참여행위와의 영향관계에 있어서 일으키는 매개 작용은 크지 않다. 이밖에 본고는 공익 분위기의 조절작용을 논증하였는데 다양한 성별, 학년, 신분, 공익 경력 등이 공익 분위기의 인지에 있어서 현저한 차이를 보이고 있고 공익 분위기는 마이크로 공익서비스 행동 속성인지가 참여행위에 대한 영향경로에 있어서 정도 다양한 조절작용을 가지고 있다. 실증연구의 결과에 따라 본고는 마이크로 공익활동의 특수성을 충분히 발휘하여 가치 및 정감 공감대 형성과 공익을 중요시하는 분위기를 강화시켜야 함을 주장했다. 아울러 본고는 연구 결과를 사회혁신의 구조 속에 두고 네트워크 거버넌스 이론을 이용하여 마이크로 공익활동에 참여하는 다자 간 주체들이 사회적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여 대학생들의 마이크로 공익활동의 참여행위를 촉진하기 위한 구체적인 대안을 제출하였다. 우선, 마이크로 공익서비스 행동 플랫폼을 구축한 기업, NGO 및 기타 공익 기증자들로 말하면 공익 제품의 설계, 개발과 확산에 중심을 두고 마이크로 공익서비스 행동의 인지된 용이성 속성 설계를 최적화 하고 공익성과의 공유를 촉진하고 대학생들과 공익 프로젝트 및 수혜자들과의 상호 작용을 강화하여 마이크로 공익서비스 행동 프로젝트 브랜드를 구축하고 학교와의 연계를 강화해야 한다. 다음으로, 정부는 감독과 지도에 주력해야 하는바 감독과 관리의 역할을 발휘하고 장기적인 효력을 발휘할 수 있는 동기부여시스템을 구축하며 플랫폼 사이의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 끝으로 대학은 공익 분위기의 강화를 통해 대학생들의 가치 및 감정 공감대를 형성해야 한다. 아울러 마이크로 공익서비스 행동에 대한 홍보를 강화하고 상시적인 격려 메커니즘을 구축하며 선도적 활동자를 양성하고 사회자원의 통합을 실현해야 한다.

      • 중국 대학생 장학금지원정책 효과의 영향 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강초 목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23

        최근 몇 년 동안 국민의 교양 향상 및 균등하게 고등교육을 받을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서 중국 정부는 많은 저소득층 대학생을 대상으로 관련 지원 정책을 지속적으로 발표하였다. 경제적으로 어려운 대학생들이 공평하게 질 높은 교육지원을 충분히 받을 수 있도록 제공하는 여러 지원 정책들은 이들의 물질적 생활 조건을 개선시키고 개인의 소양을 향상시키는 기본 조건이기도 하다. 또한 대학교의 교육 기능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내용이며, 국가 교육 사업이 지속적으로 잘 발전할 수 있고 동시에 사회의 안정성을 촉진하는 것에 대한 중요한 전략이다. 그러나 중국에서 고등교육의 규모가 지속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경제적으로 어려운 대학생에 대한 문제가 갈수록 심해지고 있으며, 이러한 학생들의 수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대학생 지원 정책에 대한 새로운 요구가 제기되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많은 학자들은 대학생 지원 정책에 대해 다양한 시각에서 연구를 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상당한 성과를 이루었다. 일부 학자들은 한국 등 국가의 대학생 지원 정책 방안을 참고하여 사회적 지원 방안을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기하였다. 또 다른 학자들은 지원구조의 최적화 등의 다양한 의견을 제기하였다. 종합적으로 볼 때 현재까지의 대다수 연구들은 지원을 수행하는 공급자의 입장에 입각하여 지원 체계를 최적화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많이 제기하고 있다. 현재, 지원을 받은 학생 즉, 수혜자의 입장에서 진행된 대학생 대상 지원 정책의 효과 및 평가에 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적은 편으로, 이는 본 연구에 학술적이고 창의적인 공간을 제공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정책 수혜자인 학생의 입장에서 출발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고, 학생들이 인식하는 지원 정책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탐색한 후 이 요소들이 정책 효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다. 또한, 정책 효과 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여 지원 방안 수립 및 학생 지원 정책을 보완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 검토를 바탕으로 공공정책평가이론을 결합하였으며, 우선 대학생 지원 정책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6개 변수를 추출하였다. 이는 지원 정책의 효율성, 공평성, 충분성, 지원 정책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수준, 만족도 및 효용평가이다. 둘째, 효율성, 형평성 및 충분성은 독립 변수로 투입하였다. 정책효과는 종속변수로, 정책 인식 수준과 효율성, 공평성과 충분성의 곱셈은 상호작용 변수로 투입하였다. 또한, 회귀 모형을 구축하였으며, 6개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셋째, 중국 쓰촨성(四川省,사천성)에 소재한 대학교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측정 지표는 6개이며, 총 41개의 문항으로 설문지 내용을 구성하였고, 온라인을 통한 설문방법으로 총 1,252부의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넷째, SPSS 25.0과 Amos 24.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 번째 단계는 표본 특징에 대한 기술 통계분석이다. 두 번째 단계는 표본 데이터의 무응답 편차 검사로, 동일방법편의 검사, 지표 항목의 편별 검사, 정규분포 검증 및 신뢰도, 타당도 검증이 포함된다. 세 번째 단계는 변수 간의 상관관계 및 변수 간의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관분석, 회귀분석 및 상호작용 분석을 실시한다. 네 번째 단계는 회귀모형을 검증하고 정책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에 대해 심도 있게 연구한다. 마지막으로, 정책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 변인 간의 관계 및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실증분석 결과는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에 있어서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접 영향 관계에서 학생 지원 정책의 효율성, 공평성 및 충분성은 정책 효과, 정책 만족도 및 정책 효용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 인식 수준은 정책 효과, 정책 만족도 및 정책 효용 모두에 정적 영향을 미친다. 상호작용 분석 결과에서 정책인식 수준(정책내용인식, 정책환경인식)과 효율성의 상호작용은 정책 효과 및 정책 효용에 정적 영향을 미친다. 정책 인식 수준(정책내용인식, 정책환경인식), 형평성 및 충분성의 상호작용은 모두 정책 효과, 정책 만족도 및 정책 효용에 정적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입장에서 정책효과를 평가하고, 양적분석과 질적분석을 실시한 결과에 근거하여 정부, 고등교육기관 및 개인 등 차원에서 정책 문서 제도에 대한 학습을 강화하고 경제적으로 어려운 학생에 대한 인정 표준과 규정을 통일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지원 전략 수립에 대한 종합적인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이는 저소득층 대학생들에게 충분한 지원을 더욱 공평하게 제공하는 데에 어느 정도 더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정책효과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제고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학술적으로 볼 때 본 연구는 지원 정책의 효율성, 공평성, 충분성 및 대학생들의 지원 정책에 대한 인식 수준, 정책 만족도 및 정책효용평가 등 학생들의 정책 효과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6개 변수를 혁신적으로 추출하였다. 정책 인식 수준과 효율성, 공평성 및 충분성의 곱을 상호작용항으로 투입하여 회귀모형을 구축하였다. 이는 기존연구의 부족한 점을 어느 정도 보완하고 또한 후속 연구의 진행을 위한 이론적 뒷받침을 제공하여 혁신성과 실천성을 갖추고 있다.

      • 협동교육 참여 대학(원)생의 혁신능력 향상 성과 요인분석 : -강서성 대학을 대상으로-

        송가 목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23

        중국은 현재 혁신형 국가 건설을 가속화하는 중요한 시기에 있으며, 혁신형 인재 육성과 국민 혁신적 소양의 전면적 향상을 매우 중요시하고 있다. 국가 차원에서 혁신형 인재의 발굴과 육성은 최우선의 과제로 삼았으며, 대학(원)생이 혁신형 인재 중에서의 주력 대상이라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그들의 혁신능력을 높이는 것은 매우 중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와 동시에, 고등교육이 확대됨에 따라 인재교육의 질에 관한 문제가 점차 대두되었다. 이로 인해 대학(원)생의 혁신능력 육성은 많은 주목을 받게 되었다. 대학, 정부부처, 기업, 과학연구기관 등 다원적 주체가 각자의 우세한 자원을 대학(원)생 협동교육 참여체제에 통합한 것은 대학(원)생의 혁신능력을 향상시키고 높은 수준과 소질을 가진 혁신형 인재를 육성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므로, 중국 국정에 입각하여 협동교육 참여 대학(원)생 혁신능력 향상의 영향요인을 연구하고 이를 기반으로 혁신능력 향상에 관한 정책적 제언을 지향성 있게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는 시대적 요구와 사회 발전에 부합할 뿐만 아니라, 현실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다. 본 연구는 객관적 분석을 실시하여 설문조사와 분석을 통해 발견된 문제점에 대해 바람직한 해결책을 찾아내고자 하였다. 먼저, 국내외의 기존 문헌자료와 관련 이론에 대해 종합적으로 분석 및 검토를 하고 “혁신”에 대한 학자들의 다양한 이해를 참고로 하여 대학(원)생의 시점에서 혁신능력과 협동교육 등 핵심 개념을 정의하였다. 다음으로, 협동교육 참여 대학(원)생 혁신능력 향상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모형을 구축하였고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혁신환경, 혁신특징, 혁신실천, 혁신성과 등 4가지 요인이 대학(원)생 혁신능력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였다. SPSS 통계프로그램으로 취득한 1차 자료에 대한 통계분석 결과에 따르면, 혁신환경, 혁신특징, 혁신실천이 모두 대학(원)생의 혁신능력에 어느 정도 긍정적인 예측작용을 한다. 대학(원)생은 성별, 학과별, 교육수준별로 혁신능력에 현저한 차이를 보이며, 그들의 혁신성과는 혁신환경, 혁신특징, 혁신실천과 정(+)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 협동교육의 이념에서 한국의 선전적 경험을 참고로 하여 자료분석결과 및 경험적 논의와 결합해서 국가전략, 대학전략, 학생의 3개 측면에서 지향성과 전체성을 가진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주제어: 협동교육, 대학(원)생, 혁신능력, 영향요인 我國正處於加快建設創新型國家的重要時期,高度重視創新型人才的培養和國民創新素質的全面提升。高校學生作爲高層次創新型人才隊伍中的主力軍,國家對其創新人才的挖掘和培養可謂是重中之重。與此同時,隨著高等教育規模的擴大,人才教育的質量問題逐漸顯現,高校學生創新能力的培養問題引起廣泛關注。而高等院校、政府部門、企業、科研機構等多元主體整合其各自優勢資源參與到高校學生協同育人的機制,對提升高校學生的創新能力,培養高水平、髙素質創新型人才具有關鍵作用。因此,立足中國國情,研究協同育人視域下高校學生創新能力的影響因素,進而有針對性地提出提升創新能力的對策建議,既符合時代要求,順應社會發展,又能解決現實問題。 本研究從客觀分析出發、開展問卷調研、再從發現的問題中提出解決辦法。首先,本研究對現有國內外文獻和相關理論進行綜合分析,結合國內外專家學者關於“創新”的見解,從高校學生的角度出發,對創新能力、協同育人等主要概念進行了界定。其次,構建了本研究的協同育人視域下高校學生創新能力影響因素研究模型,從創新環境、創新特征、創新實踐以及創新成果四個角度出發,闡述它們對高校學生創新能力的影響作用,並提出研究假設。再次,運用SPSS軟件對收集到的一手數據資料進行統計分析。分析結果表明,創新環境、創新特征和創新實踐都在一定程度上對高校學生創新能力存在正向的預測作用。高校學生在性別、學科類別、受教育程度方面,其創新能力存在著顯著性差異。高校學生創新成果與創新環境、創新特征、創新實踐存在顯著正相關關系。最後,從協同育人的理念出發,吸收借鑒韓國的成功經驗,結合數據分析結果和經驗討論,提出了有針對性和整體性的對策,本文從國家策略、高校策略和學生自身三個方面提出協同育人視域下高校學生創新能力的提升策略。 關鍵詞:協同育人;高校學生;創新能力;影響因素 China is in a pivotal stage of accelerating its development and innovation, placing emphasis on supporting innovative talent and on improving the overall innovative abilities of its citizens. With college students as the main drivers behind high-level innovative teams, China places great emphasis on identifying and cultivating innovative talents among this population. At the same time, with the expansion of the higher education sector, problems surrounding the quality of training for talents begin to appear, with increased attention placed on the training and cultivation of innovative college talents. Universities, government departments, corporations, research institutions and other multi-faceted organizations are combining their respective talents and resources in enhancing the structure around cultivating innovative talent, playing key functions in cultivating high-caliber, high-achieving innovative talents. Given this macro backdrop in China, researching factors that impact the cultivation of college students’ innovative talents under collaborative education and thereby proposing targeted measures and suggestions to improve their innovative abilities adheres to the needs of the time, contributes to societal development and solves a practical challenge. This research starts with objective analysis, progresses to questionnaires, and then offers solutions based on problems observed. First, this paper conducts a comprehensive analysis of existing literature and relevant theories, combining the opinions of Chinese and foreign experts on the definition of “innovation,” thereby proposing a framework for key concepts such as innovative ability and collaborative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ollege students. Then, the project creates a model of factors that impact college students’ innovative ability through the lens of collaborative education. It focuses on the four angles of innovative environment, innovative characteristics, innovative practice and innovative results, explaining their influence on college students’ innovative ability and proposes our hypothesis. Further, the researcher uses the SPSS software to perform statistical analysis on the collected primary data. The analysis shows that the innovative environment, innovative characteristics and innovation practice all have a positive predictive effect on the innovative ability of college students to a certain exten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novative ability of college students in terms of gender, subject category, and education level.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innovation achievements of college students and the innovative environment, innovative characteristics, and innovative practices. Finally, this paper suggests targeted and comprehensive strategies by using the tool of collaborative education, learning from successful practices in South Korea, and combining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and empirical discussions. The study proposes a strategy to improve the innovative abilities of college students under collaborative education through the three areas of national strategy, university strategy and self-motivation. Key words: collaborative education, college students, innovative ability, contributing factors

      • 知識情報化 時代에서의 大學行政 改革方案에 관한 硏究

        朴春植 목원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23

        오늘날 대학의 현실을 볼 때 대학 교육의 규모가 방대해지고, 그 내용이 복잡해짐에 따라 대학 교육을 지원하고 보조하는 대학 행정의 중요성이 부각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행정직원이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커지고, 또 그 역할 역시 확대됨에 따라 지식집단인 대학을 잘 관리하고 효용을 창출 관리하여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행정이 이루어져야 함을 말한다. 그렇게 하기 위하여 첨단 정보기술을 대학 행정에 접목시키는 것이야 말로 대학의 정보화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대학행정에의 정보기술 도입은 결국 교육, 연구, 행정 모든 영역에 걸친 효율화와 개선노력으로 나타나고 있다. 대학교육의 내용도 주로 교수단의 주관이나 필요에 따라 편성 운영되어 왔으나 앞으로는 학생들의 희구(希求)와 성향 및 입장이 보다 강조될 것이다. 대학의 자율화 추세와 함께 각 대학은 창의적이고 자기 체질에 맞는 입시제도, 교육과정, 학생지도 및 취업지도를 새로 구상하고 이를 제도로 정착시켜야 한다. 앞으로 대학은 관리능률 향상면에서도 선도적인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 정도로 획기적인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대학내 행정기능의 배분을 전면적으로 재조정하고 사무처리절차를 간소화 하여야 한다. 여기에는 현행 행정체제 및 운영실태에 관한 종합적인 진단과 평가가 선행되어야 하겠다. 전산화된 정보들이 대학전체의 운영상태를 수시로 분석·진단하고 대학발전을 위한 방향과 계획을 수립하는데 활용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수집·처리·축적되어야 할 것이다. 최근 기업을 중심으로 경영혁신, 비즈니스 업무과정 리엔지니어링, 신경영, 업무과정혁신과 같은 용어가 기업들의 비상한 관심을 끌고 있다. 급변하는 국제 정세속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BPR(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과 같은 획기적인 경영기법을 대학에도 적용시켜야 할 것이다. BPR은 조직내의 핵심업무과정(core process)을 선택하여 그것들을 중심적으로 재 설계하는 것이다. 이때 어떠한 업무과정이 핵심적인가를 결정하는 일이 중요한 것으로 대두되는데, 고객의 가치를 가장 중요한 판단기준으로 삼는다. 조직이 고객의 가치창조에 기여하지 못할 때 그 조직은 더 이상 존재근거를 가질 수 없기 때문이다. 정보화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정보시스템의 구축과 아울러 기존의 조직구조와 업무수행과정을 창조적으로 개혁해야 한다. 공공행정에 대한 BPR적용을 위해서 가장 필수적인 것은 최고관리자의 리더십이다. BPR의 비전과 목표를 제시하고 실행에 옮기는 일련의 과정에서 리더십의 역할은 지대하다. 이상으로 급변하는 지식정보화 시대에 대학행정을 개혁하는 방안은 정보화를 통하여 자율적·독창적·효율적·전문적인 경영을 하는 것으로 대학 행정에 BPR 기법을 잘 활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본다.

      • 노인대학 학생들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 대전광역시 서구·중구 노인대학을 중심으로

        조용주 목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23

        우리나라는 1960년 대 이래 산업화, 도시화를 동반한 사회적, 경제적 발전과 성공적인가족계획의 실시 등의 복합작용으로 지속적인 출산율의 감소와 함께 의료기술의 발달 등으로 인한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노인의 절대 수 뿐 만 아니라 노인인구의 비율도 급속하게 증가하였다. 이로 인하여 우리사회도 바야흐로 고령화 사회를 맞이하며 노인문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노인문제를 4고 라고 표현하는데 이는 사회적 역할상실문제, 소득감소에서 오는 경제적 빈곤문제, 노화에 따른 건강문제, 사회적·심리적 고독감과 함께 새롭게 나타난 현상인 연장된 여가시간, 부양 및 보호문제를 들 수 있다. 이는 개개인적, 사회적으로 차이는 있으나 누구나 필연적으로 직면하게 되는 문제이며, 우리사회가 공동으로 대처해야 할 사회문제로 등장하였다. 특히 노인복지 사업 중 노인교육은 인간의 가능성을 도출하여 참다운 자기실현을 하게하여 고독감과 무력감에서의 해방과 삶의 보람을 느끼게 함으로 노인들에게 심리적 안정을 주며, 학습교육 충족과 학습기회를 제공하여 타인과의 관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한다. 본 연구는 노인대학 참여 학생들의 생활만족도를 조사, 연구하여 노인대학을 통해서 고립된 노인에게 노후생활에 필요한 정보제공과 교육을 통하여 역할상실로 인한 정체감의 위기를 극복하고 관심 분야의 교육활동 참여를 계속 유지하여 상호작용 관계를 통해 심리적 지지를 받게 함으로써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갖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전광역시 서구, 중구에 노인대학에 참여하는 남. 여 노인 110명을 대상으로 각각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주요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 이상의 학력을 가지신 건강하신 70세~80세 노인 중 대 다수의 노인들의 여가 활용을 위해서 보내시는 장소로 노인대학이 높게 나왔다. 또한 노인대학에 다니면서 생활이 즐거워졌으며, 친구가 많아졌다. 노인대학 참여 남. 여 학생 모두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조사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제언을 한다. 1. 노인대학의 증설 본 조사 결과에 빠르면 노인대학에 다니는 목적이 '여가 활용을 위해서'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고 노인대학을 다니면서 가장 변화된 점은 '생활이 즐거워졌다'가 가장 높은 응답으로 나왔다. 즉 노인대학의 출석은 여가시간을 보람있게 보내고 생활이 즐거워져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킨다. 노인인구가 2002년 현재 377만명인데 노인대학 수는 2003년 현재 등록수가 642개소에 불과하며 미등록 노인대학 까지 합치면 1500여개에 불과한 실정이다. 정책적으로 노인대학을 증설하는 것이 시급하다. 2.노인대학의 활성화를 위한 재정적 지원의 확대 노인대학의 학생들은 소정의 회비를 납부하고 있으며, 노인대학 운영자 측에서 적지 않은 비용을 감당하고 있다. 국가는 필요한 재정을 평생교육이라는 측면에서 노인대학의 활성화를 위해 재정적 지원이 요구된다. 3. 노인대학 전담기구의 설치 노인대학은 시설이나 규모 그리고 구성원등에 따라 매우 차별적이다. 또한 대학마다 수업일수, 수업시간, 수업내용 등이 다양해서 노인대학 학생들은 규범화된 교육을 받지 못하고 있다. 노인대학의 질적 제고를 위해 교육목표와 운영지침 등을 표준화하고 일정한 수준의 강사진을 확보하며 교육 시설 등의 현대화가 요구된다. 또한 운영자에게 정기적인 연수교육이 제공 되어야한다. 이를 위해 노인교육을 전담할 기구의 설치가 필요하다. Since the threshold around 1960's korea began to grow into an industrial country because of economic growth. As a result production technology began to develop remarkable improving people's living standards much while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extended people's average life, increasing the number of population. Now senile people's problems have become a social problem. For a stable and healthy life senile people should be given opportunities to receive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enhancing their human potential and sense of self- achievement. Such educational programs serve to satisfy senile people's needs and maintain positive mental condition! So, the educational programs of college for old people purpose primarily to solve their serious problems such as loneliness. For this study, 110 old people attending the old people's college in Daejeon were sampled to be subject to a questionnaire survey designed to suggest means for old people's better life.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most of the old people answered that they were attending the college for old people for recreational purpose health life and that their life had become happier due to the college. Such responses seem to be related with enhanced satisfaction with living. Generally the factor influencing old people's satisfaction with living is the level of family income, followed by attending the college for old people health and educational background in their order. Since family income or health is related much with individual conditions, they may not be reflected in designing and implementing of welfare programs. However, the attending college for old people or educational background can be enhanced by proper welfare programs, more colleges for old people should be built with increased financial supports, whil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for college be establish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