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소방산업 진흥 방안에 관한 연구 : 소방산업 글로벌화 전략을중심으로

        임채필 목원대학교 산업정보언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1695

        This study is related with a plan of system and the policy development for fire industry globalization. The issues were analysed from the condition of the policy enforcement of fire industry promotion and analysis results of the fire industry's environment, in order to prepare the strategy of fire industry promotion system's globalization. This study proposed the globalization's plan which is the measures of fire-fighting industry promotion act improvement which is the foundation of the fire industry promotion fund. This study suggested the promotion policy such as the globalization's strategy and the activation plan to support the overseas market expansion.

      • 공동주택 개인정보 관리 실태분석과 개선방안 연구

        안정윤 목원대학교 산업정보언론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1695

        ICT의 발전은 사회 각 분야와 경제, 문화, 산업 등 모든 변화를 초래하는 중심이 되고 있다. 이러한 컴퓨터 산업의 발달로 인해 인터넷(Internet) 사용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로 인해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크게 대두되는 문제는 개인정보 유출 문제이다. 개인정보 유출이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서 발생한다면 사회적으로 더욱더 커다란 혼란과 문제가 야기될 것이다. 이러한 공동주택에 입주하려면 다양한 개인정보를 의무적으로 공동주택의 관리자들에게 제공해야만 한다. 그렇게 제공된 개인정보는 공동주택의 관리자들에 의해 대규모의 개인정보 파일이 만들어지고 있고 나름의 방식으로 관리하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사회적 문제에 부응하여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주거 형태인 아파트를 중심으로 공동주택에서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 주체와 정보 주체의 분쟁 및 갈등, 유출 사고, 관리상의 어려움 등을 파악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현재 다양하게 사용되는 개인정보에 대한 개념을 고찰해보고 본 연구의 주제와 맞는 개인정보보호 관련 법제도「헌법」과「개인정보 보호법」,「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을 검토하였다. 더불어 개인정보 침해와 관리기준, 개인정보 관리 실태점검, 공동주택의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였다. 또, 전문가 심층면접 FGI (Focus Group Interview) 및 설문 조사를 통해 분석 자료를 확보하고 통계 결과를 토대로 빈도분석을 시행하였다. 설문 내용은「개인정보 보호법」인지도, 개인정보의 수집 항목과 방법, 개인정보의 이용 제공, 개인정보의 저장 및 관리, 개인정보처리의 시스템 관리, 개인정보 안전한 처리를 위한 내부관리체계의 수립 여부, 정보관리 주체와 정보 주체의 교육 여부, 공동주택관리 애로사항 및 정책제언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공동주택에서 개인정보 관리 실태분석 및 개선 필요의식 조사 결과 다음과 같은 개선이 필요하였다. 첫째, 공동주택 내 개인정보 보호 인력 확보 기준 마련. 둘째, 개인정보 유출대비 내부대응 세부 규정 신설. 셋째, 개인정보 보호 인력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 넷째, 개인정보 주체(입주민) 대상 「개인정보 보호법」 홍보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종합하면 공공주택에서의 개인정보 보호 기준이 명확하게 설정돼야 하고 개인정보 침해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관리 주체들의 강제적이고 의무적인 교육이 강화되어야 하겠다. 또 공동주택에서 개인정보 관리 시 기준이 될 구체적인 조항들을 관리규약에 제정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로써 이론적 고찰과 실태분석을 바탕으로 공동주택 개인정보 관리 실태분석과 개선방안을 연구하고 향후 제도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지표의 중요도 평가 및 사례 비교 연구 : AHP 분석을 중심으로

        이경미 목원대학교 산업정보언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1679

        최근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화석연료 사용, 생태계 파괴 등 환경문제가 대두되었고, 자족시설 부족, 지역간·계층간 격차문제 등 경제문제와 오픈스페이스 부족, 주민참여 활성화 부족, 문화유산 훼손 등 사회 문제로 다양한 도시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도시 환경의 보존과 개발의 조화를 추구하는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의 개념은 리오회의, 세계환경 및 개발위원회(WCED), 해비타트 Ⅰ및 해비타트 Ⅱ 등 여러 UN 국제회의를 통해 논의되고 일반화되어왔다. 특히, UN 해비타트 II 의제 및 2005년 세계 정상회의 결과보고서에서는 경제, 사회 및 환경의 개념을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의 핵심요소로 정의하고 있다. 본 연구 목적은 계층분석기법(AHP) 분석방법을 통해 사회·문화적, 경제적, 환경적 지속성 세가지 분야에 대한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지표의 중요도를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외 도시 사례의 중요도 비교 및 평가를 통해 국내 신도시의 개선방안과 장기적인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AHP 분석방법을 위해 세 계층으로 구성하였으며, 첫번째 계층은 상위요인으로 사회·문화적, 경제적 그리고 환경적인 지속성을 선정하였다. 중위요인 및 하위요인을 각각 2계층 및 3계층으로 구성하고 각 요인별로 중요도 요인들을 선정하였다. 계층별 요인들을 구성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였고, 부동산 분야에 전문성을 가진 전문가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결과를 토대로 각 계층별로 요인들의 중요도를 평가하였다. 각 계층별 요인들의 중요도를 바탕으로 복합가중치 및 우선순위를 결정하였다. 국내·외 도시 사례를 비교 평가하기 위해 국내 도시는 지속가능한 도시 개념을 포함하여 개발중인 세종시, 동탄신도시, 검단신도시를 선정하였다. 국외도시로는 세계에서 지속가능한 도시로 인정받고 있는 프라이부르크, 꾸리찌바, 마스다르 도시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국내·외 도시들에 대하여 중요도 요인별로 구체적 사례를 통해 반영점수를 평가하였다. 반영점수와 복합가중치로부터 각 도시별 평가점수를 계산하였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HP 분석 결과에서 상위요인으로 사회·문화적 지속성과 경제적 지속성이 환경적 지속성보다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중위요인에서는 사회·문화적 지속성과 환경적 지속성의 중요도 간에 근소한 차이를 보였으나, 상대적으로 경제적 지속성의 중요도는 큰 차이를 보였다. 하위요인에서는 사회·문화적 지속성 분야의 역사, 문화적 유산보전, 연령·소득별 혼합, 세대·평형별 혼합의 중요도가 높았고, 경제적 지속성 분야는 자족시설 조성, 지하철 교통망, 지역산업기반조성의 중요도가 높았고, 환경적 지속성 분야의 적정밀도 개발, 태양광 에너지 이용, 공원 녹지 확충의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복합가중치와 우선순위 분석결과는 경제적 지속성과 사회·문화적 지속성 분야의 대부분이 상위그룹에 속하고, 환경적 지속성 분야의 대부분이 하위그룹에 속하였다. 셋째, 국내·외 도시별 사례 비교 및 평가 결과, 저탄소 도시를 지향하는 마스다르 도시를 제외한 국외도시가 국내도시 보다 높은 결과를 보였다. 국내·외 도시의 지속성에서는 모든 도시에서 경제적 지속성이 가장 높았으며, 국외 도시가 국내 도시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또한, 국외 도시는 사회·문화적 지속성 보다 환경적 지속성이 다소 높은 반면에, 국내 도시는 사회·문화적 지속성 보다 환경적 지속성이 다소 낮은 결과를 보였다. 국내·외 도시별 구체적 사례 항목별 평가에서는 도시별 다소 차이는 있지만 사회·문화적 지속성 분야의 역사·문화적 유산보전, 경제적 지속성 분야의 자족시설 조성, 주거·상업 복합시설 및 지역산업 기반조성, 환경적 지속성 분야의 적정밀도 개발 등이 상대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 특히, 국외도시의 사회·문화적 분야에서의 오픈스페이스 확충, 경제적 분야의 지역산업기반조성, 환경적 분야의 적정밀도개발, 자연순응형 개발 및 열병합 에너지 이용 등에서 국내도시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AHP 분석을 통한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지표에서 환경적 지속성 보다 경제적, 사회·문화적 지속성이 중요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국외의 도시 사례와 비교해 볼 때, 국내 도시의 모든 지속성의 발전이 요구되며, 특히 환경적 지속성의 발전이 사회·문화적 지속성보다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국내 도시별 지속가능한 도시개발 지표의 차이는 있지만, 국외도시와 비교해 볼 때 사회문화적 분야에서의 오픈스페이스 확충, 경제적 분야의 지역산업기반조성, 환경적 분야의 적정밀도개발, 자연순응형 개발 및 열병합 에너지 이용 분야의 발전을 우선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

      • 스마트폰환경에서 GPS와 WiFi를 이용한 위치추적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유중욱 목원대학교 산업정보언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1679

        연간 미아 발생 수는 10,000여건이며 그 중 몇 명은 아직도 부모의 품으로 돌아가지 못한 채 장기미아로 남아있다. 미아 사건은 단순히 사건 만으로 끝나지 않으며 가정에 큰 문제이다. 또한 단기적으론 경제적, 장기적으로 심리적, 신체적 문제를 가져온다. 이에 미아의 위치를 감지하고 신속하게 위치를 탐지하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 된 스마트 폰 기반의 미아 방지 시스템은 GPS와 가속도 센서의 사용으로 보호 대상자의 이동 및 상태를 스마트폰을 통해 통보하여 결과를 전달한다. 보호자는 스마트폰을 통하여 보호 대상자의 이동 및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보호자는 모니터링 이외도 차량이동 감시, 안심지역 이탈 확인, 낙상감지 등의 이벤트를 통해 보호 대상자의 상태를 확인 할 수 있다. 차량이동 감시는 가속도센서를 이용하여 보호 대상자가 차량으로 이동하였을 시 보호자에게 즉시 통보하여 이상을 알린다. 보호자는 지도에 안심지역이란 영역을 두어 보호 대상자가 진입 및 이탈 상태를 확인 할 수 있다. 낙상감지는 가속도 센서 및 기울기 센서를 이용하여 보호 대상자의 낙상을 감지, 보호자에게 통보하여 빠른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결과들은 구글 맵 기반으로 하여 지도에 표시되며 시각적으로 확인이 가능하기에 더욱 신속하게 자녀의 상태를 확인 및 대처 할 수 있다.

      • Defourny와 Thorbecke 모델을 이용한 U-헬스케어산업의 구조경로 변화 분석

        사현주 목원대학교 산업정보언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1679

        본 연구는 U-헬스케어산업의 도입 시기 전・후 U-헬스케어산업의 구조경로를 비교하여 변화된 결과에 대한 타 산업별 연관관계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수행되었다. 첫째, U-헬스케어산업의 도입 시기 전・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산정한 투입계수와 생산유발계수를 통하여 U-헬스케어산업의 도입 시기 전・후 U-헬스케어산업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둘째, U-헬스케어산업의 투입계수와 생산유발효과가 증가 또는 감소할 경우, 그 원인이 산업별 구조적 변화 요소인지, U-헬스케어산업 외의 부문 생산증대 요소에 의한 것인지를 밝히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각 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의 경로에 대한 구조적인 요소를 파악하기 위하여 구조경로분석(Structural Path Analysis)을 수행하였다.

      • 단지개발 효율화를 위한 제도개선방안 연구

        엄기철 목원대학교 산업정보언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1679

        주택단지와 산업단지개발은 국가정책적으로 1가구 1주택 등 국민 주거안정과 중화학공업 등 국가 기간시설 육성을 통한 산업경쟁력 강화 등을 목표로 196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되었다. 사회적, 경제적 여건의 변화에 맞추어 단지사업과 관련한 법령 및 제도는 꾸준하게 개선되어져 왔으나 사업승인권을 지자체로 대폭 위임하여 수요 분석이 충분히 검토되지 않은 채로 경쟁적인 과잉 개발이 이루어지고 복합적인 개발 추세로 변화하는 시장 여건을 반영하기에는 제도적 뒷받침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등 사업 전반에 걸친 문제점을 분석해 보고 개선 방안을 도출할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이를 위하여 택지개발과 산업단지개발의 시대적 변천과정과 개발현황을 조사하고 입지선정, 수요분석, 재원조달, 사업추진방식, 용지공급방식, 분양가격 산정, 조성원가 산정 등 사업 전반에 걸쳐 사업지구 지정단계부터 용지공급단계까지 개발사례와 제도적 기준을 연구하였다. 연구 자료는 국토연구원, 한국토지주택공사 등 유관기관의 논문 등 연구자료와 국토교통부 등 정부기관의 통계자료 및 고시자료, 학술연구자료를 참고하고 관련 법령 및 제도의 개정 추이를 조사 분석하면서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안을 모색하였다. 이론적 고찰과 사례조사 등을 통하여 조사된 주요 문제점은 개발사업지구 지정권한이 국토교통부장관에서 광역지자체장 및 기초지자체장에게 대폭 위임되어 계획적 개발에 어려움이 발생하고, 공급자 중심의 분양절차로 변화하는 시장여건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총사업비 및 조성원가 관리를 위한 기준 정립 등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조사된 주요 문제점에 대하여는 국토연구원,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수자원공사, 공인회계사, 감정평가사 등 관련분야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FGI조사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입지선정, 수요분석, 재원조달 방안에 대하여는 주로 학술연구자료와 정부 고시자료를 중심으로 기준을 정립하였다. 지방자치제 시행과 함께 사업지구 지정권자가 지방자치단체장에게 대폭 위임됨으로 인한 중복․과잉개발의 문제점에 대하여는 대규모 개발은 중앙정부나 광역지자체장이 승인하는 절차와 기준을 제시하였다. 산업단지 신규지정시 제한 요건이 되는 산업단지 미분양 기준에 대하여는 산업단지 지정후 수요부족으로 개발되지 않은 면적이 미분양면적에서 제외되는 불합리한 기준을 개선하여 산업단지 지정후 5년이 경과되고도 개발되지 않은 면적은 미분양면적에 포함하여 중복개발을 예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수요자의 창의적 개발 욕구 등 변화하는 부동산 패러다임을 반영하기 위하여 택지개발과 산업단지개발에도 사업자 공모에 의한 복합개발방식을 확대 도입할 수 있도록 제도적 개선방안도 모색하였다. 투명한 조성원가 산정을 통한 공영개발사업의 신뢰 제고 및 주택과 산업용지를 저렴하게 공급하여 국가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자본비용산정과 물가상승률 적용 등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과정을 통하여 단지사업 전반에 걸쳐 정립된 기준과 법령 및 제도개선방안이 공영개발사업 시행 및 정부정책 입안시 단초로서 참고가 되어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사업추진에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다가구주택 거주자의 주거선호 및 주거만족 요인 연구 : 산업도시 당진시를 중심으로

        조나경 목원대학교 산업정보언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1679

        최근 우리 사회는 경제 환경의 변화, 과학정보기술의 발달, 가족구조의 변화 등 복합적 사회변동 과정에 있다. 2018년 고령화 사회 진입을 앞둔 상황에서 인구감소에도 불구하고 가구 수는 계속하여 증가 추세에 있으며, 이러한 단독가구의 증가현상은 주택유형의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다가구주택은 사회적 변화에 따른 패러다임의 한 부분으로, 서민의 주거안정과 주택공급 활성화 방안으로 법제화되어 대학생과 직장인 등 단독가구나 소형가구에 선호되면서 양적 확대와 함께 새로운 주거유형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당진시(唐津市)는 산업화와 도시화의 영향으로 가파른 인구증가가 이어지면서 소형임대주택의 필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다가구주택이 들어서기 시작했다. 이러한 당진시의 사회·환경적 변화와 인구변화에 따른 소형가구 증가를 바탕으로, 다가구주택 거주자의 주거선호 및 주거만족도 조사를 통하여 다가구주택의 주거환경 개선과 거주자의 특성에 맞는 적합한 형태의 주택공급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가구주택 거주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주거선호 및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관련 변수들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문헌적 연구방법으로는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를 토대로 하여 연구범위를 공동주택에 해당하지 않는 다가구주택으로 한정하였다. 실증적 연구방법으로는 설문조사 도구를 작성하여 다가구주택 거주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연구에 사용한 통계방법으로는 기술통계를 이용하여 빈도, 평균, 교차분석,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으며, 타당성 검증을 위한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설문을 기초로 T-검정과 분산분석을 통해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주거환경 특성에 대한 주거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IPA 분석을 활용하여 측정된 주거만족 요인의 상대적인 중요도와 만족도에 대한 우선순위를 비교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하여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과의 인과관계를 밝혀 현상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종합적인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주변 환경, 안전성, 경제성, 접근성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경제성은 접근성에 영향을 주며, 편리성과 접근성, 안전성과 주변 환경은 서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총 효과로는 당진시 다가구주택의 경우 주변 환경에 대한 요인이 주거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다음으로 안전성, 경제성, 접근성 순으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거만족 요인 중 가장 우선하여 중점 개선해야 할 요인은 공장 및 산업체들로 인한 소음과 악취, 주변 근린환경, 주택 내부옵션설치 여부로 나타나 이에 대한 방안이 다가구주택 건축 시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점진개선이 필요한 요인은 건물의 방범 및 경비상태, 건물 내·외부 청결 및 관리상태, 건물의 층간·가구 간 소음, 건물 주변의 치안, 주택의 채광 및 환기 여부, 교육문화 시설, 의료복지 시설, 대중교통 및 주요 교통이용의 접근성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검토와 보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다가구주택 거주자들이 가장 불만족하다고 응답한 부분은 주차시설공간으로 나타나 주차문제 해결 방안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가 요구된다. 연구 결과를 보면 당진시의 경우 주변 환경 요인이 주거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는 기존 다가구주택 주거만족도 연구에서 경제성이나 접근성이 가장 큰 영향 요인으로 작용한 것과는 다른 것으로, 당진지역은 철강 관련 기업이 많이 입지해 있으며 산업도시라는 지역적 특성으로 인하여 주거만족도에서도 일반도시를 대상으로 한 기존연구와는 차별된 결론이 도출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주택공급에서도 이러한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차별화된 계획이 필요할 것이며, 미래 다가구주택의 공급계획에서는 과거 주택의 양적 확대와 물리적 측면이 우선시되었던 공급자 위주의 관점에서 벗어나, 다차원적인 관점에서 수요자의 특성이 반영된 실효성 있는 현실적 대안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특히 대도시와 비교하여 교통이나 의료시설, 주변 근린 환경 등의 도시기반시설 부족과 산업단지로 인한 비선호 요인 등 당진시의 지역적 특성에 대한 보완책 마련과 도시 인프라에 대한 우선적 확충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이렇게 기존의 단편적이고 획일적인 공급을 지양하고 실효성 있는 주택 공급 계획으로 주거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노력이 전제되었을 때 만족도 높은 미래 주거가치 실현을 이루어 낼 수 있을 것이다.

      • 우리나라 상조산업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이군호 목원대학교 산업정보언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1679

        현대 사회는 복잡한 문화의 변천과 핵가족의 일반화 등으로 가정의례와 미풍양속의 의미가 퇴색되고 있다. 그러나 20여 년 전 국내에 ‘상부상조’ 전통을 비즈니스 모델로 차용한 상조회사가 등장함으로써 가정의례와 미풍양속의 보존이 다소나마 이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들 상조회사는 현재 각 가정의 복잡한 대소사를 전문 인력의 파견을 통해 대행해주고 있으며, 이를 통해 우리 민족 문화의 현장인 가정의례의 보존과 발전, 나아가 국민의 복지 증진에 일정 부분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상조시장이 발전하는 과정에서 많은 업체들이 난립하면서, 이로 인해 소비자 피해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는 등 제도의 보완과 소비자 보호방안에 대한 관심과 논의가 높아지는 것도 사실이다. 상조시장의 설명에 앞서 우선 가정의례 문화에 관하여 살펴보면, 먼저 우리나라의 가정의례 행사의 변천 배경은 생활환경과 인간관계의 변화에서 엿볼 수 있다. 우리나라는 한국전쟁 이후 단기적으로 폭발적인 경제성장을 이룩했던 시대 배경을 안고 있어, 이 시기에 가정의례문화의 변화가 급속도로 이뤄졌다. 사회가 발전하면서 그에 걸 맞는 윤리규범과 경제행위가 가정의례의 변화에 있어 밀접한 영향을 미쳐왔으며, 그로 인해 현재에는 과거 전통적인 방식에 따른 가정의례 행사가 아닌 도시적 생활양식이 반영된 형태로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상호의존적 행위규범이 발달한 우리나라의 경우 각종 가정의례 양식이 과거에 비해서 많이 간소화 되었다고 하더라도,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가정의례를 의식절차에 따라 진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부분에 큰 역할을 차지하는 것이 바로 상조회사의 존재이다. 현재 전국의 상조 회사들은 나름대로의 경영방침과 영업방침에 의해 상부상조에 입각한 각종 업무를 영위하고 있으며, 각 회사마다 영업조직의 명칭, 수당 등과 관련하여 제각기 다른 용어와 명칭 등을 사용하며 특색을 갖추고 있다. 이에 따라 우선 향후 상조시장 활성화를 위해서는 각기 다른 상조업무 전반에 대한 표준 업무 매뉴얼을 마련하여, 영업 조직들의 정확한 상조업무 파악을 통한 영업 경쟁력을 제고 시켜야 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상조회사에 가입을 희망하는 소비자의 입장에서 보면 현재 판매되고 있는 각기 다른 전국의 상조 회사들의 상품구성이 오히려 가이드라인 없이 무분별하게 판매되는 것으로 오해를 사는 경우도 존재해, 이러한 추세가 이어질 경우 상조산업은 점점 고객들로부터 외면당하는 처지에 놓일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우려를 사전에 예방하고 더욱 고객들로부터 사랑받는 산업으로 발돋움하기 위해서는 하루 빨리 상조상품의 표준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작업이 의미 있는 결과를 낳기 위해서는 업계 차원의 노력과 더불어 정부 차원에서도 제도 개선 방안이 활발히 논의가 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는 정부의 일방적인 제도 개선에 따라서는 상조산업이 안고 있는 포괄적인 문제들의 해결이 어려우므로 업계의 현실에 적합한 제도가 마련될 수 있도록 통로 확보를 위한 창구 마련이 선행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고객의 질 높은 서비스를 위해 장례식장과도 원활한 협의를 통해서 서로 공생·공존하는 전략을 마련해야 할 것이며, 장례식장 또한 마찬가지로 상조회원에 대한 장례행사에 임하는 과정에서 장례식장에서 자체적으로 판매하는 용품의 사용만을 고집하기 이전에 상호 협의하여 적정 용품의 판매를 유도하거나 적정선에서 판매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상호간의 유기적 관계 형성과 시장 유지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통해 책정된 용품 등의 가격이 상조회사 입장에서 볼 때, 특정 거래처에서 제공받는 가격보다 크게 비싸지 않는 선이라면 상조 회사들은 굳이 별도의 거래처를 통해 용품을 공급받을 필요가 없어 더욱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쌍방 간의 공생공존 전략이야말로 향후 우리나라의 장례식장과 상조회사간의 바람직한 성장을 이끌어낼 수 있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이다. 위에서 살펴 본 것과 같이, 우리나라 상조산업의 활성화 방안에 필요한 다양한 과제들을 살펴보고, 심도 깊은 연구를 진행했으며 이 밖에 미진한 부분은 향후 추가 연구 등을 통해 우리나라의 상조산업이 더욱더 활성화가 되는 계기가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 중국 유학생의 기숙사 주거만족도 및 추천의도에 관한 연구

        이계옥 목원대학교 산업정보언론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1679

        2004년부터 시작한 외국인 유학생 유치사업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현재 한국에 있는 외국인 유학생수가 14만명을 넘었다. 그중 중국 유학생은 48%를 차지하고 있다. 고령화 및 저출산 등 사회적 문제로 인하여 노동력이 부족한 상황에 직면한 한국은 우수한 외국인 유학생 유치사업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한국의 대학교 기숙사 보급률이 낮은 원인으로 외국인 유학생들은 한국 학생들과 같이 기숙사 쟁탈 전쟁이 진행 되고 있으며 경제적인 원인으로 유학생들은 더욱 어려운 환경에 직면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황을 살펴보고자 목원대학교 중국 외국인 유학생들을 상대로 기숙사 주거만족도 및 이에 따른 추천의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참조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144부 자료를 참고하였으며, 자료처리를 위하여 SPSS를 이용하였다. 이를 토대로 조사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주거환경 특성을 파악하였고, 주거 만족도 및 중요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거주 만족도 및 중요도의 요인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과 중회귀분석을 통하여 만족도와 중요도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의 순서를 밝혔고 T-검증 및 분산분석을 실시하여 성별에 따른 주거만족의 차이성을 연구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현재 목원대학교 중국 유학생은 연령별로는 20대∼30대가 66명(45.83%)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30대∼40대 57명(39.58%), 40대 이상이 11명(7.64%), 20대 미만은 10명(6.94%)으로 나타났다. 과정별로는 대학원생(집중이수과정)은 78명(54.17%)로 가장 높았으며, 그다음으로는 학부생 40(27.78)%, 한국어연수과정 학생 및 대학원생은 각각 13명(9.03%)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교 기숙사에 거주하고 있는 중국 유학생의 연령계층 및 과정이 다양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만족도 요인의 기타항목인 기숙사 비용 및 행정관리자의 친절도는 추천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두 번째로 추천의도의 영향을 미치는 항목은 냉난방 시스템, 공공구역의 시설, 기숙사의 보안 시설 및 침실공간의 시설이다. 그 다음으로는 공공구역, 입사시 침실공간의 청결성, 수면환경, 학습 환경 및 휴식구역의 쾌적성이다. 셋째, 중요도에서는 공간성 요인 중에 기숙사 면적, 기숙사의 공간구조, 화장실의 크기 및 구조, 수납공간의 크기만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다른 요인은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결과를 얻었다. 넷째, 성별의 따른 주건 만족도의 요인별 분산분석 결과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음으로 나타났다. 중요도의 요인별 분산분석 결과는 기숙사비용 및 행정직원 관리자의 친절도만 차이가 있으므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미래에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기숙사 리모델링 혹은 신축기숙사를 건설시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미래 외국인 유학생 유치 또는 유학생들의 한국정착 관련 자료, 외국인 유학생 주거환경 개선 사업의 도움을 주고 기초자료를 제시해줄 수 있을 것이다.

      • 골프클럽의 구전정보원천의 신뢰에 따른 구매만족도 분석

        김경태 목원대학교 산업정보언론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1679

        본 연구는 골프클럽의 구전정보원천 신뢰에 따른 구매만족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은 2012년 현재 D광역시에 위치한 골프참여자를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무선집락표집법을 이용하여 표본을 표집하였다. 표집대상처는 D광역시의 5개 지역구에 위치한 실내․외 골프연습장을 비율에 맞게 선정하여 해당 골프연습장을 이용 중인 골프 참여자 총 250명 중 202명의 자료를 실제 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설문지 내용의 구성은 선행연구를 토대로 구전 정보원천의 영향력, 정보원천의 신뢰도 및 골프클럽만족에 대한 척도를 구성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변인간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사용한 통계기법은 기술통계분석, X2검증, t-검증, 일원변량분석, 중다회귀분석이었다. 이에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골프클럽 구매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골프참여특성, 구전 정보원천의 영향력, 정보원천의 신뢰도 및 골프클럽만족은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골프클럽 구매자의 골프참여특성에 따른 정보원천의 신뢰도 및 골프클럽만족은 부분적으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골프클럽에 대한 구전 정보원천의 영향력은 정보원천의 신뢰도 및 골프클럽만족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골프클럽 구매자의 정보원천에 대한 신뢰도는 골프클럽만족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