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자어 접미사 '-가(家)'의 한·중 대조 연구

        이 지아줜 명지대학교 인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15

        본 논문은 한국과 중국에서 현재 쓰이고 있는 접미사 '-家' 파생어의 대조분석을 통하여 한국어와 중국어의 파생어가 지닌 공통점과 차이점을 정리함으로써 한국어 학습자들과 중국어 학습자들이 상대의 언어를 더 정확히 이해하고 활용하는 데 기여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이를 위해 실제로 쓰이는 말을 중심으로 표제어를 선정한 사전에서 '-家' 파생어를 뽑아서 이들의 비교를 통해 한국어와 중국어 '-家' 파생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혔다. 본 논문은 서론, 연구 대상 자료 선정, 개별 파생어 비교 연구와 결론 등 4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목적과 연구방법을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한·중 양국어에서 연구 대상이 되는 파생어를 선정하였다. 한국어와 중국어 사전을 각각 하나씩 택하여 ‘-家’로 끝나는 말을 골라 이 중에서 같은 기준에 따라 선택할 것은 선택하고 제외할 것은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한·중 파생어 목록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두 사전에 있는 것들의 형태와 의미를 따져서 비교하고 분류하였으며 한 사전에만 있는 파생어들은 실제 쓰임이 있는지 확인하고 그에 따라 분류하였다. 제3장에서는 2장의 분류에 따라 한·중 양국어의 파생어들을 하나씩 비교하면서 분석하였다. 두 사전에 있는 파생어는 사전의 풀이를 비교하면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혔으며 한 사전에만 있는 파생어는 실제 그 언어에서 쓰이는지를 확인하면서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제4장에서는 본 논문 연구 내용을 정리하고 연구 의의를 기술하였다. In this thesis, we analyz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stemming from the contrast analysis of suffix '-ga(家)' derivation words currently used in Korea and China, so that Korean learners and Chinese learners can understand the relative language more accurately.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ontribute to for this purpose, the '-ga(家)' derivation language was selected from the dictionaries which selected the headwords based on the actual words, and the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Korean and the Chinese. This dissertation is composed of 4 chapters: Introduction, Selection of research data, Comparative study of individual derivatives, and Conclusion. In Chapter 1, the purpose of this thesis and the research method is presented. Based on the precedent research statement, the subject of the study is proposed, and analysis and comparison of the proposed foundation presents the conclusion as opinion of one's own. In Chapter 2, the derivational words to be studied in both Korean and Chinese languages ​​were selected. The Korean and Chinese dictionaries are selected one by one, and the words ending with '-ga(家)' are selected. And we compare and classify the forms and meanings of the two dictionaries, and make sure that the derivation only in one dictionary is actually used and classified accordingly. In Chapter 3, the derivation of Korean and Chinese languages ​​are analyzed one by one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Chapter 2. Derived terms of two dictionaries were compared by comparing the solutions to dictionaries, and they were analyzed in terms of commonality and differences. Finally, Chapter 4 summarizes the contents of this thesis and describes the research implications.

      • 이광수와 루쉰 소설에 나타난 현실의식 비교 연구

        곡초 명지대학교 인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15

        본고의 연구 목적은 이광수와 루쉰 소설에 나타나는 현실의식을 찾아서 비교하는 데에 있다. 먼저 2장에서 이광수와 루쉰의 생애와 창작을 검토하고 그들의 계몽 사상의 근원을 고찰해보았다. 그 다음에 이광수와 루쉰 각각의 계몽 사상이 어떤 서구 사상의 영향을 받는지, 어떤 구체적인 생각이 가지고 있는지를 검토해보았다. 3장에서 이광수와 루쉰의 각 4편의 단편소설을 구체적으로 분석하면서 작품에 나타난 봉건성 비판과 근대성 추구를 찾아서 고찰해왔다. 4장에서 위에 내용을 토대로 이광수와 루쉰 소설에 나타난 현실의식을 비교해봤다. 이광수와 루쉰의 소설을 분석해 보니 이광수와 루쉰은 근대성 비판하는 대상이 다르다. 그리고 비판하는 실각과 깊이도 다르다. 이광수의 계몽 사상은 주로 봉건적 낙후한 풍습과 도덕을 대상으로 비판하였다. 루쉰은 봉건 예교 자체와 그의 본질을 대상으로 비판하였다. 루쉰은 개인 자유를 보다 사회의 진보를 추구하였다. 이광수가 비판하는 대상과 근대성 추구는 루쉰보다 지엽적인 문제에 치중하고 정치적 혁명에 관심이 없다. 반면에 루쉰은 비판하는 대성은 본건 본질이다. 그는 민중들을 계몽하는 데에 노력하는 목적이 민중들을 단결하여 혁명으로 국가와 민족을 구하는 것이다. It is the purpose of this thesis to compare and study the realistic meanings in Yi Kwangsu and Lu Xun's Novels. In the second chapter, the life and works of Yi Kwangsu and Lu Xun are compared. And examined the root of their enlightenment. It analyzes the Enlightenment ideas of Yi Kwangsu and Lu Xun, and what concrete content has been influenced by Western ideas. In the third chapter, each of the four stories of Yi Kwangsu and Lu Xun is analyzed. The critique of feudalism and the pursuit of modernity are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previous content, the realistic thoughts of Yi Kwangsu and Lu Xun's novels are analyzed. Through analysis, we found that Yi Kwangsu and Lu Xun criticized different objects. Their critical perspectives and depth are different. Yi Kwangsu mainly criticized the backward customs and morals in feudal society. The object of Lu Xun's critique is the feudal system itself and its essence. The object of Yi Kwangsu criticism belongs to detail. He does not care about the political revolution. It is the purpose of Lu Xun's ideological enlightenment to unite the masses and carry on the political revolution.

      • 채만식과 라오서 소설에 나타난 현실의식 비교 연구 : 『태평천하』와 『낙타상자』를 중심으로

        최한청 명지대학교 인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15

        채만식과 라오서는 20세기 초반 한중 양국 문단의 대표적인 작가이다. 두 작가의 창작 전성기는 모두 제국주의가 나라를 침략하고 식민 통치를 할 때였다. 하지만 그들은 봉건사상과 식민 통치로 인해 타락한 것이 아니라 필을 무기로 삼아 문학적으로 당시 제국주의 침략과 통치 계급의 부패함과 연약함을 풍자, 비판하였고 국민들의 자강과 반항 의식을 불러일으켰다. 본 논문은 채만식과 라오서가 20세기 30년대에 창작한 풍자 문학의 대표적인 작품 『태평천하』와 『낙타상자』를 대상으로 당시 사회적 배경, 작가의 의식 형태, 풍자의 대상과 내용, 풍자 인물의 성격, 두 작가의 현실 의식과 표현 방식을 비교함으로써 그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여 두 작가의 식민 통치 시기의 문학 창작의 사고방식에 대해 더 잘 인식할 수 있다. 첫 번째 부분은 주로 1930년대 한중 양국의 사회적 배경 및 두 작가의 생애와 작품에 대해 서술했다. 두 번째 부분은 주로 소설 속 인물 형상과 이야기 줄거리를 통하여 두 작가의 현실적 의식에 대해 비교했다. 세 번째 부분은 소설의 창작 수법으로 두 작가의 표현 방식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비교했다. 본 논문의 비교 대상의 구체적 분석을 통하여 진일보로 채만식과 라오서 작품에서 체현된 현실적 의식과 표현 수법에 대해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다. 20세기 30년대의 암흑한 사회 현실은 채만식과 라오서의 풍자 문학의 창작에 객관적인 조건을 제공했다. 그들의 생활 체험은 그들의 독특한 문학 창작 수법을 형성한 중요한 주관적인 요소이다. 바로 두 작가의 문학 창작의 시대가 같고 인생 경력이 다른 원인으로 인해 그들로 하여금 동시기의 문학 작품에서 비슷하면서도 다른 문학 풍격을 표현하도록 했다.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Chaemansik and LaoShe were representative writers in the Korean and Chinese literary world. The two writers reached their peak both in a special era of imperialist colonization and invasion of their country. However, they chose pen as a weapon to satirize and criticize the invasion of the colonists at that time as well as the corruption and weakness of the ruling class, in order to arouse the national self-reliance and revolt consciousness instead of being corrupted by feudal thought and colonial rule. This paper studies [Peaceful World] and [Camel Xiangzi], which are the representative satire works of Chaemansik and LaoShe in 1930s. It compares the two writers' realistic awareness and expressions from the following aspects: the social background, the writer's ideology, the object and content of satire, the characterization of satirical characters. On this basis, it can compar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and better understand their thinking forms in the colonial literary. The first part mainly describes the social background of Korea and China in 1930s, as well as the career and works of two writers; The second part mainly narrates the characters and the plot of the novels to compare the realistic awareness of the two writers; The third part compar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ir manifestation modes through the description of two writers' writing techniques. The realistic awareness and the way of expression embodied in the works of Chaemansik and LaoShe can be better understoo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mparative objects. It can be said that the dark social reality in 1930s provides the objective conditions for Chaemansik and LaoShe to write satiric literary, and their life experiences are important subjective factors in the formation of their unique literary creation. The two writers are able to show similar and the same time different literary styles in their works at the same time, precisely because their literary creations are in the same age but their life experiences are differ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