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책 연구 센터의 운영과 발전 방안

        김아영 동의대학교 산업문화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687

        부산광역시는 지역 경제 활성화와 지역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해 많은 노력을 하였고 기존의 주요 산업기반을 첨단 산업분야로 바꾸기 위해 노력했다. 그 중 전자세라믹스 분야는 당시 첨단 산업분야인 생물 산업, 광산업, 신소재산업, 전자부품산업 중 생물 산업을 제외한 3대 산업 분야의 핵심 기술이다. 또 IT(정보통신)산업의 필수적인 소재 기술로서 부가가치가 높은 분야이다. 당시 1999년 하반기부터 세계 최대 전자세라믹스 부품업체가 목표인 삼성전기 부산 사업장이 녹산 국가 산업 단지에 위치하고 있었고 관련업체들은 부산으로 이전 또는 신규 공자 설립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와 같은 부산광역시의 전자세라믹스 관련분야 육성정책에 부응하기 위하여 전자세라믹스를 이용한 전자부품산업 혁신시스템 구축을 통하여 지역사회에 공헌하는 전자세라믹스센터가 설립되어 국책사업을 진행하였다. 국책사업은 총 3가지로 지역협력연구센터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 지역기술혁신센터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 지역혁신센터 (Regional Innovation Center) 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국책사업을 통해 전자세라믹스센터는 많은 성과를 달성하였고 그러한 성과는 국가와 부산지역과 센터가 속해있는 동의대학교에 큰 기여를 했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는 국책사업을 진행했던 전자세라믹스센터의 결과를 살펴보고 이는 앞서 말했던 국가와 부산지역과 동의대학교에 어떠한 기여를 했는지 알아볼 것이다. 또, 센터를 운영하면서 발생했던 문제점에 대한 개선사항과 그에 따른 발전방안을 제시하여 앞으로의 신규 센터 설립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The Busan Metropolitan Government has made a lot of efforts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and make the local industry more valuable and tried to turn the existing major industrial base into a high-tech industry. Among them, electronic ceramics was the core technology of the three major industries, excluding biology, mining, new material technology for the IT(Information Communication) industry and is a highly value-added field. At that time, Samsaung Electro-Mechanics Co., the world’s largest electronics parts maker, was located in Noksan Industrial Park, while related companies were relocated to Busan or newly established factories. In order to comply with the Busan Metropolitan or Government’s policy for promoting electronic ceramics related fileds, the Electronic Ceramic Center for Community Contribution was established and carried out a national project by establishing an innovative system for electronic components industry using electronic ceramics. A total of three national project were carried out: the Regional Research Center project, the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project, and the Regional Innovation Center. through these state-run projects, the Electronic Ceramics Center project, and the Regional Innovation Center.

      • 유소년 요트 스포츠클럽 하위문화

        남용진 동의대학교 산업문화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671

        This study aims at understanding it by analyzing subculture of youth yacht sports club having been currently operated in Korea comprehensively and in depth so as to expand and settle correct culture of youth yacht sports club.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providing basic data in suggesting future activation plans of youth yacht sports club. In order to achieve goals of this study, this study was conducted ethnographic research, and executed participation observation while participating in and acting as a coach directly by objecting youth yacht sports club located in B Metropolitan City, and also selected 16 members of youth yacht sports club as main research participants to do in-depth interviews regarding the part of not being able to grasp through participation observation. Besides, 5 persons including yacht coaches in training department who worked in the industry related to yacht, yacht athletes of ex-youth yacht club were chosen as subsidiary research participant of this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by intensively doing participation observation on several fields of youth yacht club (yacht competition, club event, parent meeting, small group meeting etc) for 8 months from March 1 to October 31, 2016, and drew up participation observation notes, and 16 persons were selected in the last period of participation observation to do in-depth interviews. Based on collected data, area analysis and classific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and analytical results by using methods of reflective subjectivity, in-depth technology, researcher peer questioning, multi-angle analysis, revaluation by research participants to secure sociability and regularity are same as follows. First, social, cultural characteristics on subculture of youth yacht sports club were as follows. Participations in youth yacht club were made by recommendation and advice of acquaintances mostly, and the participants became to have sociability and regularity through constant yacht participation, and students of elite sports department appeared to form different-type relations from general students regarding relations with teachers owing to frequent absence of class etc. Youth yacht sports club played positive roles such as mutual motivation, community life, the pleasure of yacht etc. while coexisting together, and negative conflicts such as entering competition and training etc were displayed. Parents of students in youth yacht sports club played positive roles such like making intimate relations between parents of yacht club students and elite yacht department while being coexisted, and negative conflicts were revealed too due to discordance of opinions in off-season training, training support, and operating directions of the club etc. Second, so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youth yacht sports club were as follows. Social, structural image of yacht was turned up having recognition like ‘bourgeois sports,’ ‘risky sports,’ ‘sports which is not available in winter.’ Internal characteristics of yacht sports club had limitations of yacht activation due to restrictions by natural environment and time, and operation system has been systematized more. Regarding external characteristics of yacht sports club, there were limitations in activating yacht owing to aging and shortage of yacht club facilities, but they appeared to be very excellent in geographical accessibility compared to other areas. 본 연구는 유소년 요트 스포츠클럽의 올바른 문화를 확산 및 정착시키기 위하여 현재 우리나라에서 운영되고 있는 유소년 요트클럽의 하위문화를 포괄적이고,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이다. 이를 통해 향후 유소년 요트 스포츠클럽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문화기술적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B광역시에 위치한 유소년 요트클럽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직접 코치로 참여하여 활동하면서 참여관찰을 실시하였으며, 참여관찰을 통해서 파악할 수 없는 부분은 유소년 요트클럽 회원 16명을 본 연구의 심층면담을 위한 주요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또한 보다 객관적으로 유소년 요트클럽 문화를 바라보기 위하여 요트관련 업계에 종사하고 있는 운동부 요트코치, 유소년 요트클럽 출신의 요트선수 등 5명을 본 연구의 보조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2016년 3월 1일부터 2016년 10월 31일까지 8개월에 걸쳐 유소년 요트클럽의 여러 현장(요트 시합, 클럽 행사, 학부모 모임, 소모임 등)을 집중 참여관찰하며 참여관찰 노트를 작성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참여관찰 마지막 시기에 16명을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통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영역분석과 분류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타당도 및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반성적 주관성, 심층적 기술, 연구자 동료 심문, 다각도 분석, 연구 참여자에 의한 재평가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소년 요트 스포츠클럽 하위문화의 사회문화적특성은 다음과 같다. 유소년의 요트사회화는 대부분 지인의 권유 및 추천으로 참여하게 되었고, 지속적인 요트참여를 통해 사회성, 규칙성 등을 형성하게 되며, 엘리트 운동부 학생들은 잦은 수업결손 등으로 인해 교사와의 관계에서 일반학생들과 다른 형태의 관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소년 요트 스포츠클럽은 요트클럽 학생과 엘리트 요트부 학생이 함께 공존하면서 서로에게 동기부여, 공동체 생활, 요트의 재미 등 긍정적인 역할도 하며, 시합출전 및 연습 등 부정적인 갈등현상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소년 요트 스포츠클럽 학생의 학부모들은 요트클럽 학생 학부모와 엘리트 요트부 학생 학부모간에 공존하면서 서로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게 되는 긍정적인 역할도 하며, 전지훈련, 훈련지원, 클럽의 운영방향 등에서 의견불일치로 인한 부정적인 갈등현상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소년 요트 스포츠클럽 하위문화의 사회구조적특성은 다음과 같다. 요트의 사회구조적 이미지는 ‘부르주아 스포츠’, ‘위험한 스포츠’, ‘겨울에는 하지 못하는 스포츠’ 라는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트 스포츠클럽의 내부적 특성은 자연환경의 제약, 시간의 제약으로 요트활성화의 한계점을 갖고 있으며, 운영시스템이 보다 체계화되어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트 스포츠클럽의 외부적 특성은 요트클럽시설의 노후화 및 부족현상으로 요트활성화의 한계점을 갖고 있으나, 타 지역에 비해 지리적 접근성은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지속가능한 서핑 문화 형성을 위한 교육 콘텐츠 개발

        김민우 동의대학교 산업문화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71

        최근 국내 서핑 인구가 급증하면서 체계화된 서핑 교육을 받지 않은 서퍼 (surfers)들이 서핑을 즐기면서 다양한 안전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시점의 서핑 교육 현장 문화 특성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안전한 서핑 문화를 형성하기 위한 체계화된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이며, 이를 통해 제도적으로 서핑 교육 시스템을 체계화하여 올바른 서핑 문화를 형성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핑 교육 현황 분석 및 서핑 교육 콘텐츠 개발을 위해 서핑동호인, 서핑협회 유관 단체 전문가, 관련 전공 대학교수, 서핑 자격증 보유 사업체 대표 등 9인의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심층 면담 질문지는 서핑 관련 개인 인력 및 경험, 국내 서핑 교육 프로그램 의 필요성 및 문제점, 국내 서핑 안전사고, 서핑 문화 및 커뮤니티 등과 관련하여 반 구조화와 비구조화를 혼용한 심층면담 질문을 구성하였다. 심층 면담 결과, 국내 서핑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공교육기관은 전무하며, 사설 서핑업체에서 서핑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국내 서핑업체는 허가제로 사업체가 운영되는 것이 아니고 신고제(현재 법령 기준)로 운영이 되고 있으며, 전문지도 자격증을 갖춘 지도자 없이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체계적인 서핑 교육을 받지 못한 국내 서퍼들이 자신의 책임하에 위험한 상황 속에 서핑을 즐기고 있는 것이 한국 서핑문화의 현실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국내 서핑 문화 및 교육의문제점에 대해 서핑협회 및 스포츠 학계에서도 인지가 부족하며 관련 연구 또한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한 국내 서핑 문화를 형성하기 위해 서핑 교육 콘텐츠를 서핑 기술교육, 안전교육, 서핑 문화교육 으로 구성하여 제안하였다. 먼저 서핑 기술교육은 초급, 중급, 고급으로 구분하였고 안전교육의 경우 해상교육, 기상교육(기상특보, 조석, 이안류(조류, 해류)), 파도에 대한 우선권으로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서핑 문화 교육은 환경보호, 서퍼들 간의 관계, 커뮤니티 형성으로 범주화하여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서핑 교육 콘텐츠는 지속가능한 국내 서핑 문화를 형성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s the number of surfers in Korea has soared recently, surfers born without systematic surfing education enjoy surfing, causing various safety accidents.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to create a sustainable surfing culture by deepl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current surfing education field culture and developing systematic educational contents. The purpose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systematically organizing the surfing education system to form a sustainable surfing culture. In this study, nine research participants were selected, including members of surfing clubs, experts from related institutions, professors at related major universities, and representatives of companies with surfing licenses. The in-depth interview questionnaire consists of a mixture of surfing-related personal talent and experience, the necessity and problems of domestic surfing education programs, domestic surfing safety accidents, surfing culture and community questions. As a result of in-depth interview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no public education institution in charge of surfing education in Korea, and private surfing companies are in charge of surfing education. However, these domestic surfing companies are currently operating on a declaration basis, not a legal permit system, and are operating without a leader with aprofessional leadership certificate. Accordingly, it was confirmed that the reality of Korean surfing culture is that domestic surfers who have not received systematic surfing education are enjoying surfing in dangerous situations under their own responsibility. Surfing associations and clubs also lack awareness of these problems in domestic surfing culture and education, and related research is insufficient. Therefore, in order to form a safe and correct domestic surfing culture, this study proposed surfing education by organizing surfing technology education, safety education, and surfing culture education. First of all, surfing technology education is divided into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and safety education consists of marine education, weather education (weather warning, tidal current, tidal current (tidal current), and waves first). Finally, we proposed surfing culture education by dividing it into environmental protection, relationships between surfers, and community formation. The contents of surfing education presented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to form a sustainable domestic surfing cultur.

      • 방사선안전보고서의 표준화 연구

        김아령 동의대학교 산업문화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655

        At present, our society is using in various fields with many advantages of radiation. The Nuclear Safety and Security Commission emphasizes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radiation safety management in order to use the radiation more safely. The radiation safety report is one of the documents that must be submitted for the production, sale, use or transportation of a radioactive isotope (RI) or radiation generator (RI). However, the guidelines for writing radiation safety reports have already been made, but the radiation safety report is written by the agency because of the complexity of the procedure. In the case of foreign countries, books and manuals are published and disseminated. In Korea, guidelines for medical institutions are developed, but the situation and circumstance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are not reflected, which is different from radiation safety management at universities. In the case of radiology standard guidelines used in domestic medical institutions, the specificity of only the educational institution is not reflected, and since there is almost no standardized radiation safety report form for each university, effective and active radiation safety management is performed. In particular, some universities have to write radiation safety reports to use radioisotopes or radiation generators, but they give up using without permission because of lack of practical experience. In addition, some radiation safety managers have not written radiation safety reports, and it is difficult to get help because of few standardized radiation safety report forms. The majority of people who use radioisotopes or radiation generators in educational institutions are graduate students or researchers. It is need to modify the radiation safety report to suit the user because the user is changing fluidly.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o standardize the radiation safety report based on the 13 items ① Facilities overview ② Environment around facility ③ Operational plan overview ④ Characteristics, location and data of radiation source ⑤ Safety facilities overview ⑥ Radiation handling method and radiation safety management plan ⑦ Procedures, methods and results of evaluation of estimated exposure dose ⑧ Radiation effect on surrounding environment ⑨ Risk of accidents and countermeasures ⑩ Generation of radioactive waste and processing plan ⑪ Comprehensive conclusion ⑫ Personal information and qualifications of the report writer ⑬ References defined by the Nuclear Safety and Security Commission Notification. If standardized radiation safety report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are developed and distributed, many educational institutions will be able to use them by reference without difficulty in preparing radiation safety reports. It is expected that efficient and continuous radiation safety management will be achieved if the radiation safety report can be easily modified and supplemented according to the user. In addition, it will be very helpful in writing radiation safety reports easily based on standardized radiation safety report and practical experience if there is a situation where you have to go to society and write a radiation safety report in other fields than educational institutions. 현재 우리 사회는 방사선의 많은 이점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하고 있다. 이에 원자력안전위원회에서는 방사선을 보다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하여 방사선 안전 관리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방사선안전보고서는 방사성동위원소(RI) 또는 방사선발생장치(RG)(이하 RI등)를 생산·판매·사용 또는 이동사용하기 위하여 제출하여야 하는 서류 중 하나로 방사선 안전관리를 수행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방사선안전보고서 작성지침이 이미 나와 있으나 그 절차가 복잡하여 대행기관에 의뢰하여 방사선안전보고서를 작성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외국의 경우 책이나 지침서를 발간하여 보급하고 있고, 국내의 경우 의료기관을 위한 지침서는 개발되어 있으나 교육기관의 상황과 여건이 반영되어있지 않아 대학에서의 방사선 안전관리와는 차이가 있다. 국내의 의료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방사선 표준 진료 지침서의 경우 교육기관만의 특수성이 반영되어있지 않고, 대학교별로 표준화된 방사선안전보고서 양식을 갖고 있는 경우도 거의 없기 때문에 효율적이고, 능동적인 방사선안전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특히 일부 대학에서는 방사성동위원소 또는 방사선발생장치를 사용하기 위하여 방사선안전보고서를 작성해야하나 실무 경험이 부족하여 허가를 받지 않고 사용을 포기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일부 방사선안전관리자의 경우 방사선안전보고서를 작성한 적이 없고, 표준화된 방사선안전보고서 양식도 거의 없기 때문에 도움을 받기 어렵다. 교육기관에서 방사성동위원소 또는 방사선발생장치를 사용하는 사람은 주로 대학원생이거나 연구원들인 경우가 대다수이다. 이들은 사용자가 유동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사용자에 맞게끔 방사선안전보고서를 수정할 방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원자력안전위원회 고시에서 정하는 13가지 항목 ① 시설 개요 ② 시설주변의 환경 ③ 운영계획 개요 ④ 방사선원의 특성·위치 및 제원 ⑤ 안전시설 개요 ⑥ 방사선 취급방법 및 방사선안전관리계획 ⑦ 예상 피폭방사선량의 평가에 관한 절차·방법 및 결과 ⑧ 주변 환경에 대한 방사선 영향 ⑨ 사고의 위험 및 그 대책 ⑩ 방사성폐기물의 발생 및 처리계획 ⑪ 종합 결론 ⑫ 보고서 작성자의 인적사항 및 자격 ⑬ 참고문헌 순으로 방사선안전보고서의 표준화를 제안하고자 한다[6]. 교육기관만의 표준화된 방사선안전보고서가 개발되어 보급된다면 많은 교육기관에서 방사선안전보고서 작성에 있어 어려움을 겪지 않고 참고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에 맞게끔 방사선안전보고서를 쉽게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한다면 방사선안전관리에 있어 효율적이고, 지속적인 방사선 안전관리가 이루어질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사회에 나아가 교육기관 이외의 다른 분야에서도 방사선안전보고서를 작성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 표준화된 방사선안전보고서와 실무경험을 바탕으로 방사선안전보고서를 참고하여 작성한다면 보다 쉽게 방사선안전보고서를 작성하는 데 있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 IoT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 신발 디자인 개발 연구 : 친고령화 스마트신발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임혜민 동의대학교 산업문화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55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number of elderly households with dementia is expected to more than triple between 2020 and 2050, and the population aging has led to an increase in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nd dementia rates. In the past, it was a treatment-oriented idea, but recently it has changed to a management-oriented idea, and as interest in health care increases and IoT technology develops, IoT-based healthcare using smart wearable device base is expected to grow significantly.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ivided into health signals and roaming detection services for the "IoT-based smart shoe city" for the elderly and socially disadvantag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It is planning to develop a smart shoe design that has major functions such as solar power generation, GPS location tracking, data collection, analysis, and notification service provision and management based on health abnormal signals and wandering detection.Chapter 1 established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study, the method and scope of the study. Chapter 2 studi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aging society through literature research, identified problems in aging society, investigated research-related cases related to the Internet of Things (IoT) and Solar solar cells, and identified overall design and functionality based on this. In Chapter 3, after confirming the current status and necessity of wearable devices, a quantitative survey was conducted by identifying needs for design elements and investigating design preferences. In Chapter 4, the direction and concept of smart shoes were derived through XY-AXIS (PKC method), one of the process methodologies developed in this study, and product guidelines were established to efficiently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Based on this, various designs suitable for the concept were derived, 2D Rendering was carried out, and the final design of smart shoes was proposed through 3D modeling by selecting a final plan among several designs for preference surveys. In addition, UI/UX design was carried out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situation. Chapter 5 discusses the conclusions and expected effect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Based on this study, we propose a wearable device smart shoe design that applies IoT technology for the elderly and the socially vulnerable, increase user satisfaction in design and functional aspects, and expect research and development of smart shoes for the elderly and the socially vulnerable.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2020~2050년에 치매 노인가구는 3배 이상 늘 것으로 전망되 었고 인구 고령화로 인해 독거노인과 치매률이 증가하면서 헬스케어에 대한 관념이 바뀌기 시작했다.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IoT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 헬스케어가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른 ICT 기반 기술 융 복합화를 통한 신발 시장의 확산과 신발산업의 기술집약적 고부가치화를 바탕으로 기능성 및 다양한 기술력을 앞세운 스마트 신발제품의 수요가 창출되고 있으며, 스마트신발은 헬스케어 산업군을 대표하는 IoT기반 중 하나이며, 근래 들어 헬스케어의 부분의 증가 추세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부산광역시 고령자 및 사회적 약자들을 대상으로 “IoT 기반 스마트신발 도시”를 위해 건강 신호 및 배회감지 서비스로 구분 한다. 태양광발전, GPS 위치추적, 건강 이상 신호 및 배회감지를 바탕으로 한 데이터 수집, 분석, 알림 서비스 제공 및 관리 등 주요 기능을 갖추는 스마트 신발디자인을 개발하는 데에 있다. 제 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연구의 방법 및 범위를 설정했다. 제 2장에서는 문헌 연구를 통해 고령화 사회의 이론적 배경에 대해 연구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고령화 사회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 의 특징인 사물인터넷(IoT)과 Solar 태양전지에 관한 연구 관련 사례를 중심으로 조사하고, 스마트 헬스케어의 개념과 헬스케어 분야에 활용되는 웨어러블 기기 유형을 파악했으며, 이를 토대로 연구하고자 하는 스마트신발 의 개념과 국, 내외 사례 조사를 기반으로 전반적인 디자인과 기능적인 부분을 파악했다. 제 3장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현황과 필요성 확인 후 디자인 요소에 대한 니즈 파악 및 디자인 선호도 조사를 통한 정량조사를 실시했다. 제 4장에서는 연구의 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기존의 방법론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본 연구에서 개발할 프로세스 방법론 중 하나인 XY-AXIS(PKC법)의 방법론을 통해서 스마트신발의 방향성 및 컨셉을 도출 하고 제품의 가이드라인을 설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컨셉에 맞는 여러 디자인을 도출하였고 2D Rendering을 진행하였고 선호도 조사를 여러 디자인 중 최종안을 선정하여 3D Modeling으로 스마트신발의 최종 디자인을 제안 하였다. 또한, 사용자들의 상황을 고려한 UI/UX 디자인 설계를 진행했다. 제5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론 및 기대효과 그리고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서술했다. 본 연구를 토대로 고령자 및 사회적 약자를 위한 IoT 기술을 적용한 웨어 러블 디바이스 스마트신발 디자인을 제안하여 사용자의 디자인적 측면과 기능적인 측면의 만족도를 높이고 국내시장에서도 고령자 및 사회적 약자를 위한 스마트신발의 연구와 개발이 이뤄지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구성요소에 대한 메타분석

        윤다혜 동의대학교 산업문화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치료 프로그램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구성요소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기초자료와 후속연구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0년에서 2023년 3월까지 발행된 논문 총 139편을 선정하였다. 음악치료 프로그램 학위논문의 연도별, 논문유형별, 소속 학교, 소속 전공 분야별로 빈도분석 하였으며, 연구 대상을 연령별, 장애별로 분류하였다. 임상구조는 중재 형태, 프로그램 회기 수, 주당 회기 수, 중재 시간, 참여자 수를 분류하고 빈도를 분석하였으며, 프로그램 접근법은 다양한 음악 접근법을 조사하여 그중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음악 접근법에 따라 분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치료프로그램 학위논문의 연도별 편수는 2001년을 제외하고 매해 발행되었으며, 2009년, 2012년, 2013년, 2021년, 2022년도에 각 10편(7.2%)으로 가장 활발하게 연구가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논문의 유형은 석사학위논문 가장 많이 게재되었다. 소속 학교 동향은 숙명여자대학교, 동아대학교, 명지대학교에서 각 13편(9.4%)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소속 전공 분야별 결과는 전공 85편(61.5%), 비전공 54편(38.5%)으로 나타났다. 둘째, 음악치료 프로그램 연구 연령별 대상은 아동을 대상으로 한 학위논문이 81.5편(61.5%)으로 가장 많이 게재되었으며, 장애별 대상은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학위논문이 80.5편(60.7%)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셋째,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중재 형태는 그룹 형태의 프로그램 진행이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총 회기 수는 11~15회기가 57편(50%), 주당 회기 수는 한 주당 2회로 진행된 연구가 46편(40.4%)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중재 시간은 40~59분으로 진행된 연구가 59.5편(52.5%), 세션별 참여자 수는 6~10명으로 이루어진 연구가 30편(26%)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넷째, 음악치료 프로그램 접근법은 ‘구조화된 악기 연주’와 ‘노래 부르기’가 가장 많이 활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현재까지 게재된 음악치료 학위논문은 연구자 대부분이‘정서/심리’혹은‘사회성’에 목표를 두고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overall components of the studies on music therapy programs in the field of music therapy research and provide foundational data and directions for further studies. In this study, 139 music therapy program studies published between 2000 and March 2023 were selected and categorized by frequency analysis based on the year of publication, type of study, affiliated institutions, and fields of study, and the research subjects were categorized by age group and disability status. The clinical structure was classified based on the intervention type, number of program session, number of sessions per week, intervention time, and number of participants and analyzed by frequency. Various music program approaches were researched and classified based on the most commonly used one, when categorizing the program approach.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ies of music therapy program were published each year, except for 2001, and were highest in 2009, 2012, 2013, 2021, and 2022, each having 10 papers. The most common type of study was master's theses. Regarding institutional trends, the the number of studies were highest i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Dong-A University, and Myongji University, each with 13 papers. In the results based on fields of study, there were 85 major-related studies and 54 non-major related studies. Second, In terms of the age targeted in music therapy program research, studies targeting children were the most with 81.5 studies, while studies targeting the general population were the most with 80.5 studies in terms of disability status. Third, It is observed that group-based programs were the most frequently conducted intervention form in music therapy programs. In the terms of the total number of the session used in the program, the programs with 11 to 15 sessions were the most common with 57 studies, while in the terms of the number of the session in a week, 2 times a week was the most common with 46 studies. In terms of intervention time, sessions conducted with 40 to 59 minutes were the most common with 59.5 studies. Studies with 6 to 10 participants per session accounted for the highest with 30 studies in the terms of the number of participants. Fourth, the most commonly used approaches in music therapy programs were "structured instrument playing" and "singing." Finally, It is noted that most of researchers develop discussion on the objectives of "emotional/psychological" or "social" aspects in music therapy studies published so far.

      • 기능성 향상을 위한 웰트화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노광현 동의대학교 산업문화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655

        최근 국내 신발 시장이 패션, 라이프스타일 마켓으로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사람들이 자신만의 생활패턴을 추구하고, 독특한 패션 스타일을 찾으려는 니즈가 강해지면서 이러한 트렌드를 잘 반영한 라이프스타일 슈즈 시장이 확대되고 있는 것이다. 패션슈즈가 유행인 현재 국내 브랜드로서의 경쟁력은 한계에 부딪히고 있다. 해외 명품 및 유명 브랜드제품을 비슷하게 만들어 제조, 생산, 판매 하는 것은 브랜드가치를 스스로 무너뜨리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할 것이다. 이는 1960년대부터 OEM 생산만 해온 본 한국 신발산업의 고질적인 문제점이기도 하다. 새로운 기술 개발 보다는 OEM 생산이 개발 비용이 들지 않아 기업 자체적으로 신기술 개발에 투자를 꺼리기 때문이다. 국내 신발산업의 구조는 주로 소품종 대량생산의 형태를 갖추고 있다. 이는 아직도 대기업 OEM 구조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반증이며, 높은 인건비와 유지비를 감당하지 못하여 많은 제조 기업들이 단가 유지를 위해 비교적 인건비가 싼 해외로 생산 공장을 이전 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최근 경기의 침체로 인해 다품종소량생산을 원하는 바이어가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환경변화에 따른 다품종소량생산의 필요성이 대두 되고 있으나 적은 수량으로 생산을 하기에는 해외 공장의 물류비가 오히려 더 많이 들게 되는 구조가 되기도 한다. 이러한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신발 산업에 있어서 새로운 제품 개발 시도가 계속되어야함에 따라 디자이너의 역할은 중요해질 수밖에 없다. 최신의 트랜드와 패션의 동향,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며 제조 단가까지 고려하여 새로운 제품을 개발하는 것은 쉬운 문제는 아니다. 하지만 디자이너라면 이를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분석하며 해결해야할 역량을 지녀야 할 것임은 분명하다. 해외 브랜드와 국내 대기업 OEM으로 인해 신발 제조기술은 세계적으로 뛰어난 기술력을 보유 하고 있다. 하지만 디자인과 신기술 개발에 있어서는 아직 뒤떨어지고 있다. 국내 신발 업계에서는 해외 브랜드 제품의 디자인을 모방하는 수준이며, 디자인 개발에 있어 투자는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국내 신발 업계에 디자인, 신기술 개발 분야의 새로운 기술을 알림으로서 다시금 예전과 같은 경쟁력을 확보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본문에서는 웰트화의 개념과 국내외 신발 시장 규모와 국내외 웰트화 브랜드를 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하여 웰트화 디자인 및 기능성에 관한 문제점을 파악하여 웰트화 디자인과 기능성 개선 방안을 제안 하고자 한다. Recently, the domestic shoe market is rapidly evolving into a fashion and lifestyle market. people seek their own lifestyle patterns, as the need for a unique fashion style grows, the lifestyle shoes market that reflects these trends is expanding. The fashion shoes are trendy now competitiveness as a domestic brand is facing limitations. This is also a chronic problem for the Korean shoe industry, which has been producing OEM since the 1960s. This is because OEM production, rather than new technology development, does not incur development costs, and companies are reluctant to invest in new technology development. The structure of the domestic shoe industry mainly takes the form of mass production of small items. this is a testament to the fact that they are still not out of the large OEM structure. Unable to afford high labor and maintenance costs, many manufacturing companies are relocating their production plants abroad to maintain unit prices. also, due to the recent economic downturn, more and more buyers are seeking to produce small quantities of various products. The necessity of small quantity batch production due to environmental changes is emerging. in order to produce in small quantities, the logistics cost of overseas plants may be higher. As new product development efforts continue in the footwear industry where these changes are taking place, the role of the designer becomes inevitable. Developing a new product that meets the latest trends, fashion trends, consumer needs, and even manufacturing costs is not an easy problem. But it's clear that designers must have the capacity to constantly identify, analyze, and resolve them. due to overseas brands and domestic large-scale OEM, shoe manufacturing technology possesses world-class technological prowess. but it still lags behind in design and new technology development. In the domestic shoe industry, it mimics the design of overseas branded products. investment in design development is not well made. Therefore, the company will be able to secure the same competitiveness as before by informing the domestic footwear industry of new technologies in the fields of design and new technology development. therefore, in this paper, the concept of welt shoes, based on the results of researching domestic and foreign welting brands by identifying the problems related to the design and functionality of the welt shoes, we propose a method for improving the design and functionality of the welt shoes.

      • 대중음악 보컬트레이닝에 대한 기술적 요소들의 메커니즘과 리듬(그루브) 트레이닝에 관한 연구

        오재이 동의대학교 산업문화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655

        한국 대중음악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한때 과열 양상을 보이기까지 했던 보컬이라는 영역은 수많은 교습소와 학원을 비롯한 전문 대학과정의 설립이라는 결과를 가져왔다. 자연스럽게 교육을 담당할 많은 보컬 트레이너들이 생겨나게 되었고, 표준화되어있지 않은 트레이닝 방법들과 교육과정들은 대중음악의 특성과는 분명한 선이 그어져야하는 클래식 성악의 오랜 연구들에 의존해 왔던 것이 사실이다. 물론 클래식 성악의 연구적 성과가 대중음악 보컬 트레이닝과 전혀 무관한 방향성을 가지고 있다고는 할 수 없겠으나, 대중음악과 클래식 음악이 진화해온 과정을 살펴보면 분명 거기엔 뚜렷하게 드러나는 지향의 차이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그러한 전제 조건을 위한 대중음악의 장르별 발전사와 세계적인 대중음악 보컬리스트들의 노래를 분석함으로써, 분명히 구분되는 대중음악 보컬리스트들의 특성을 발견하고, 그 중심에 있는 대중음악 보컬의 핵심적인 요소들이 작용하는 기술적 영역의 메커니즘을 사례를 통해 확인하였다. 그리고 나아가 그 핵심적 메커니즘의 중심에 있는 리드믹 다이나믹(Rhythmic Dynamic)을 트레이너들이 어떻게 가르칠 수 있을지에 대한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그러한 논거의 뒷받침을 위해 음향적 표현이 지면으로 충분히 표현될 수 없었음이 아쉽기는 하지만, 별첨한 음원을 통해 최대한 논거의 타당성을 입증하려하였고, 지면상 시각적 정보로도 최대한 확인할 수 있도록 그림 자료도 첨부하였다. 이러한 연구들을 통해 대중음악 보컬에 있어 그 근저에 작용하고 있는 기술적인 요소들과, 그 요소들의 적절한 작용이 만들어 내는 특성들이 지금껏 클래식성악에 기초한 대중음악 보컬의 트레이닝 방법들의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다는 결론에 도달할 수 있었다. 음악이 언어라는 점은 어떤 음악가라도 동의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그리고 그 언어가 다양한 억양으로 진화를 해 왔고, 그 억양의 특성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올 바른 트레이닝 방법도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With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pop music industry, the area of vocals, which once seemed to overheat, has resulted in the establishment of a number of professional schools, including institudes and academies. There have been many vocal trainers who will naturally play the role of education, and the non-standardized training methods and curriculum have relied on the old studies of classical vocal music, which must be clearly classifi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popular music. Of course, it can not be said that the research result of classical vocal music has nothing to do with the direction of popular music vocal training, but when we look at the process of popular music and classical music evolving then we could find that there is obvious differences on intention point bewteen popular music and classical music. Therefore, this thesis analyzes the histroy of popular music genres development and songs of world class popular music vocalists for such preconditions, and finded out the characteristics of clearly distinguished popular vocal music. And the mechanism of the technical domain in which the core elements of the popular vocal music at the center are working. And a new methodology for how trainers can teach rhythmic dynamics, which is at the core of the mechanism. Although it is regrettable that the sound expression could not be fully expressed in the paper for the support of such argument, it tried to prove the validity of the argument as much as possible through the attached sound source, and the picture material was also attached . These studies show that the technical factors underlying the popular vocal sing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per functioning of the elements made it happen to reach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vocal training methods based on classical vocal music. Any musician would have to agree that music is language. And the language has evolved into a variety of accents and an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the accent of the music must be preceded and a correct training method can be presented.

      • 인간중심 미술치료가 별거가정 초등학생의 공격성감소와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성 연구

        최수정 동의대학교 산업문화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연구는 별거가정의 초등학생에게 나타나는 공격성 표출과 그로 인 해 낮아진 자아존중감 회복을 위한 인간중심 미술치료의 효과성을 검증 하기 위한 단일 사례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G군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6학년 남학생이며 2020년 7월부터 10월까지 주 1회 50분 동안 총 18회 기의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미술치료 회기 동안 인간중심 상담이론의 기본이 되는 상담자의 진솔한 태도, 내담자에 대한 무조건적 긍정적 존 중과 공감적 이해를 바탕으로 진행하였으며 회기 중 상담 내용, 상담 태 도 등을 관찰한 회기록을 작성하였다. 그림검사는 BND, DAS를 사용하였 고 질문지 검사는 공격성 검사, 자아존중감 검사를 사전·사후로 실시하 여 비교 분석하였다. 본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전에 실시한 그림 검사에서 나타났던 불안정한 애착이 사후 검사에서는 안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둘째, 총 18회기의 치료기간 동안 대상자의 공격성 표출 정도가 상당 부분 감소하였으며 공격성 검사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에서도 변화가 나타났다. 학교생활에서는 또래와의 친밀한 관계 맺기, 수업 태도의 변화 등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셋째, 자아존중감 검사에서도 사전·사후의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 회기동안 자신의 장단점을 알아가고 본인의 문제를 스스로 알고 치유하 려는 적극적인 자세의 변화가 있었고 내적 성장을 위한 자기 개발에도 긍정적인 자세를 보였다. 종합적으로 볼 때 별거 가정의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한 인 간중심 미술치료가 공격성 감소와 낮은 자아존중감 회복에 긍정적인 영 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치료기간 동안 자신을 알아가는 과정에 서 내적 성장과 의미 있는 자아개념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준 것으로 보 인다. This is a single case study carried out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person-centered art therapy in aggression reduction and self-esteem restoration in an elementary school child experiencing parental separation. The subject is a boy in his sixth grade, living in District G. He participated in a total of 18 art therapy sessions from July to October 2020. It was a weekly session for 50 minutes. The therapy was conducted in a manner in line with the basics of person-centered counseling theory- a sincere attitude of the counselor, demonstrating unconditional positive respect and sympathetic understanding toward the counselee. The counselor wrote down the observation including the content and attitude of the counselee in a therapy note. BND and DAS were used for the drawing test. The subject was asked to take aggression and self-esteem questionnaires before and after the therapy for comparative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ubject showed improvement in attachment type. The drawing test after therapy demonstrated a secure attachment style compared to an anxious attachment style before therapy. Second, the subject’s aggression decreased considerably during the 18 therapy sessions. His aggression test results demonstrated change before and after therapy. He also showed signs of positive changes in his school life including forming a close bond with his peers and level of class participation. Third, the self-esteem test also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before and after therapy. As sessions progressed, the subject actively participated to discover his strengths and weaknesses, identify and fix his problem. He also demonstrated a positive attitude towards personal development for self-growth. To sum up, the study suggests that person-centered art therapy for a 6th-grade child experiencing parental separation had a positive impact on aggression reduction and self-esteem restoration. In addition, the study illustrates that it helped the subject’s personal growth as well as building meaningful self-identity throughout the sessions in which the subject learned to understand himself on a deeper level.

      • Covid-19시대에 음악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김지희 동의대학교 산업문화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39

        전 세계는 최근 시작된 Covid-19 라는 팬데믹 상황을 맞이하였다. 이러한 팬데믹은 이전과 다른 양상을 보이며 2년 넘게 지속되고 있다. 또한 Covid-19 상황에서 많은 사람들이 일상을 빼앗기고 사회적 거리두기와 외부 활동 감소와 같은 상황으로 “코로나 블루”를 겪고 있다. 코로나 상황의 장기화가 지속되면서 스트레스가 우울을 넘어 분노로 이어지는 “코로나 레드”도 생겨나고 있다. 이런 환경 속에서 음악치료사가 임상 과정에서 다양한 문제나 장애를 가진 클라이언트와 클라이언트와 관련된 사람들을 만나게 되는데 이러한 업무 과정에서 직무스트레스를 직면할 수밖에 없다. 직무로 인한 이러한 스트레스는 코로나시대에 코로나 블루나, 우울감과 소진으로 이어질 수 있다. 그 중 본 연구는 음악치료사들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고 스트레스 해결해 나가는 방법을 알아보는 연구를 통하여 음악치료사들이 어떠한 스트레스를 가지고 있는지, 또 스트레스는 어떻게 해결해 나가는지 등을 분석함으로써 치료사들이 임상을 진행할 때 건강하고 더 효과적인 치료를 할 수 있도록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되고자하는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현재 음악치료 활동을 하고 있는 음악치료사 3명이며, 참여자는 모두 여성으로 인턴기간 포함 5년 이상의 음악치료 경력이 있다. Covid-19시대에서 음악치료사의 음악치료 상황과 팬데믹 상황에서의 직무스트레스 경험에 대해 각자 1시간 이상의 개별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 내용은 전부 녹음되었으며 연구자가 직접 필사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Giorgi의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Giorgi 연구방법의 4단계를 거쳐 모두 115개의 의미단위를 발췌하였다. 그것을 20개의 의미단위로 요약하였으며, 그 다음에 의미단위 요약을 포괄하는 보다 상위 개념인 10개 하위구성요소로 묶을 수 있었다. 그리고 그렇게 묶여진 하위 구성요소들을 최종적으로 4개의 구성요소로 도출시켰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음악치료사로서의 일반적인 스트레스 요인’, ‘음악치료사로서의 전문적인 스트레스 요인’, ‘코로나 상황에서의 스트레스 요인’, ‘코로나 상황에서의 스트레스를 극복할 수 있는 요인’이라는 4개의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참여자들은 인간관계, 직업적의 정체성, 임상에서의 체력적 소진과 스트레스, 코로나시대 우울감 으로 인해 직무스트레스의 상황을 경험하였다. 직무스트레스로 인해 참여자들은 음악치료 상황과 인간관계에 대해 부정적인 감정과 Covid-19 시대의 번 아웃과 우울한 감정을 가지게 되었다. 그리고 음악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 대처방법으로는 운동과 취미, 개인 시간 갖기가 있으며, 이 중 운동이 가장 많았다. 본 연구를 통한 음악치료사들의 직무스트레스 뿐 아니라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방안과 Covid-19시대에 대한 스트레스 대처방법이 더 많은 음악치료사를 대상으로 한 인터뷰나 설문지를 통해 다양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In the Covid-19 era, A Study on Job Stress of Music Therapist The world has recently faced a pandemic situation called COVID-19. This pandemic has continued for more than two years, showing a different pattern than before. In the COVID-19 situation that has lasted for more than two years, many people have been deprived of their daily lives and are suffering from "COVID-19 Blue" due to situations such as social distancing and reduced external activities. As the prolonged Corona situation continues, there is also a "COVID-19 Red" in which stress goes beyond depression and leads to anger. In this situation, a music therapist meets clients with various problems or disabilities and people related to them during the clinical process, and they have no choice but to face job stress during this work process. This stress from work can lead to COVID-19, depression, and exhaustion in the Corona era. Among them, this study aims to help music therapists provide basic data to provide healthy and more effective treatment when clinical trials are conducted through research on how to grasp the degree of job stress and solve stress. This study includes three music therapists currently engaged in music therapy activities, and all participants are women with more than 5 years of music therapy experience, including internship. In the COVID-19 era,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more than an hour on the music therapy situation of music therapists and job stress experiences in pandemic situations. All of the interview contents were recorded and the researcher directly transcrib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Giorgi. Through the four stages of the Giorgi research method, a total of 115 elements were extracted and these were categorized into 22 units, which were grouped into the 12 top concepts, and ultimately into the 4 components. Through this process, four components were derived: 'general stressor as a music therapist', 'professional stressor as a music therapist', 'stressor in the Corona situation', and 'factor that can overcome stress in the Corona situation'. Participants experienced job stress due to human relationships, occupational identity, physical exhaustion in clinical practice, and depression in the stress COVID-19 era. Due to job stress, participants had negative feelings about music therapy situations and human relationships, burnout and depression in the COVID-19 era. Music therapists' job stress coping methods include exercise, hobbies, and personal time, of which exercise was the most common. Through this study, various follow-up studies will be conducted through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for more music therapists on ways to reduce job stress as well as job stress of music therapists and coping with the COVID-19 e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