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건설재해의 발생원인과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신현대 동아대학교 산업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se days, industrial calamities including occupational diseases are on the increase following the industrial complication, mass production system, mechanization, chemical invention, the use of toxic materials, and the increase of new equipment. In particular, the construction industry faces the greatest risk of gigantic economic loss and human damage, The rapid growth of the construction-concerned calamities can be directly attributable to the structural problems of a fall, a landside, and material proportion, and indirectly to the absurdities of the unreasonable construction deadline, bidding problems and the problematic choice of a constructor or a subcontractor. According to the concerned statistics, the general caus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construction-related calamities are as follows : 1. These calamities take place in various types in lots of working processes involving the use of machines, devices, and vehicles. 2. In the wake of the mechanized construction, 715 construction workers died in 1995, constituting 26.8% of all the industrial deceaed. 3. In the calamity type, a fall still comprises a high percentage as in the past. 4. In the calamity cause, according to the data of 1995, educational lack was 41.53%, those with the career of less than 6 months were 89%. Also, temporary buildings were 33.29% in 1992. Now, let's sum up the preventive measures against these increasing calamities. 1. Basically the systematic safety management system among the users, the supervisors, and the workers is necessary. In addition, the concrete countermeasures are required concerning the construction company's financial and technical support to its safety facilities, the promotion of the rotational construction assessment organization, and the advance evaluation of the construction design and planning. 2. Systematic devices are urgent, such as the change or complement of the bidding system, the improvement of the subcontract system, the reasonable choice of the constructor, and the designation of superior cooperative firms for fair dealings. Furthermore, the safety evaluation system should be completely administered in order to check the dormant risk factors in the middle of the construction. Also, a systematic and practical safety educational should be held for the workers, while the calamity-profuse firms should be punished with more fines and the safety management expenses should be properly included in the total construction cost. 3. For the improved sense of safety, the labor and the management should be fully conscious of the importance of the safety-first principle. In especial, the constructor should be socially and morally responsible for the dignity of human beings. In accordance with the strengthened safety education, iron nets, protective guards and facilities, etc. should be equipped. On the part of the government, appropriate policies, full-length support, rind powerful legal execution are needed. In sum, for the purpose of reducing industrial calamities in the construction fields, the three parties of the government, the company, and the workers should cooperate for the responsible management system based of a human-oriented philosophy : the government to support financially with safety facilities and sanction calamity-producing firms; the company to turn safety-minded based on human dignity and social responsibility; and the workers to keep safety rules.

      • 鐵道産業의 事故와 安全管理 實態分析에 관한 硏究

        강기석 東亞大學校 産業大學院 1993 국내석사

        RANK : 249647

        While the development of national economy, people's living enviroment was hightened and enlarged. Being able to reach everywhere of this country within a day since the Kyoung-Boo highway was opend in 1970's. we have developed airline transportation, undertook high-speed railway construction to shorten 1 day's trip to half day's. For a certain period railroad transportation, have had stagnant trand compared with highway transportation. But recently railroad transportation, proved best method as land transportation, is being developed rapidily while highway transportion and airline are facing stagnant stage. Though the number of railway accidents have decreased due to possitive participation in safety activies, there still occur railroad accidents. According to this report, analysing railway accidents and safety activities in the last five years, most of the accidents were caused by personal and material facts. It is possible to prevent material-fact-accidents by investment to modernize and automatize facilities and equipments, personal-fact-accidents by recognition of safety and keeping positive human relationship among workers. The safety countermeasures for railroad crossing accidents, occur frequently among duty-concerned-accidents and operation-accidents, are as follows: First, to prevent duty-concerned accident ① The importance of safety should be recognized an safety program should be intensified. ② Though control1 of facilities, equipments, and safety devices should be maintained. ③ The invironment of workshop should be improved and through arrengement should be continued. ④ Safety Instruction should be observed, and non-accident campaign should be developed. Second, to prevent railroad crossing accidents ① Owner drivers should observe trafic law and make stop before pass through railroad crossing. ② Inadequate facilites of crossings be improved, and the problems of class 3 and 4 crossings can be solved by improving security devices. ③ A divices should be installed that detects obstacles on crossing and barrier break so as to prevent a train entering into crossing in case of either emergency. ④ It is required to readjust the location of neighboring crossings on the basis of traffic volume and build over-crossing bridges for pedestrians. ⑤ A barrier should be provied that detects train speed and blocks rapidly for high-speed train, slowly for low-speed train. Third, accoding to the railroad safety analysis, most of working enviroments turned out unsatisfactory. Most of the workers think that accidents can be prevented by carefulness and confirmation. To improve safety control1 of railroad, their opinions are that mordernization and automatization of rolling stocks such as power cars and coaches, communition equipments, and rail track should be attained, that adequate supply of parts and proper disposition of the number of person is required.

      • 대학시설관리의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 동아대학교를 중심으로

        공미정 동아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47

        대학시설관리의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iciency Plan of Facilities Management in University -Focus on Dong-A University- 건설사업관리학과 공 미 정 지 도 교 수 이 학 기 최근 국내 대학들은 대학교육 수요자의 다양한 욕구와 대학 간의 규모 확대 경쟁의 과열, 대학평가에 따른 편중지원, 대학의 서열화, 대학의 특성화와 구조조정,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학령인구의 감소 등으로 대학 경영환경의 악화를 겪고 있다. 국내 대학의 내‧외부적인 경영환경이 악화됨에 따라 경영혁신 방안이 요구되었고 그 일환으로 대학의 정보화가 정책적으로 추진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 대학의 경영환경과 시설환경의 변화에 따른 대학의 시설 및 공간관리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국내 4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시설 및 공간관리 현황을 조사‧분석하였다. 시설관리 현황으로 대학별 시설확보 현황과 시설관리 및 운영 현황을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시설관리를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통합시설관리시스템의 구축현황과 활용 현황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동아대학교의 시설 및 공간관리 현황을 살펴보고 문제점을 진단 후 그 개선방안을 시설 관리적 측면, 운영 관리적 측면, 통합시설관리시스템 활용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학별 시설확보 현황을 조사한 결과, 국립대학일수록 교사 시설의 확보율이 높고 시설관리 인력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동아대학교의 시설확보 및 시설 관리 직원 현황을 분석한 결과, 동일 그룹의 대학 중 교지면적 확보율은 높은 반면 교사시설 확보율은 매우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시설관리에 투입되는 인력은 최저 수준을 기록하여 시설관리에 어려움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2) 대학별 시설관리 및 운영 현황을 조사한 결과, 대학시설의 관리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시설관리 인력의 부족을 지적하였으며, 대부분의 시설관리 업무는 시설과에서 주로 업무를 주관하고 있었으며 공간관리는 기획과에서 업무를 담당하고 있었다. 동아대학교를 살펴보면, 건설과에서 시설 및 공간관리 업무가 일원화되어 단일부서에서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대학시설의 규모에 비해 담당인력이 부족하여 관리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3) 통합시설관리시스템의 구축현황을 살펴보면, 전체 응답자 중 55%가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시스템을 사용 중인 대학은 공간관리 규정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스템의 활용현황을 살펴보면, 6단계 시스템을 사용하는 대학이 2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대학의 규모와 실정에 맞는 단계적 시스템 구축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4) 통합시설관리시스템의 운영 및 활용상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대학시설의 잦은 공간정보 변경으로 인해 실시간 관리가 어려움’(37%), ‘공간현황자료와 도면정보의 상호 연동 체계가 어려움’(12%), ‘부서/업무간의 호환성이 낮음’(12%)으로 지적되었다. 통합시설관리시스템을 도입하여 사용하고 있는 대학은 업무능력 향상, 비용절감, 부가가치 창출, 품질향상 측면에서 효과가 높다고 평가하였다. (5) 동아대학교의 시설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시설 및 공간관리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그 개선방안을 시설 관리적 측면, 운영 관리적 측면, 통합시설관리시스템 활용적 측면으로 제시하였다. 주요어 : 대학시설관리, 대학공간관리, 통합시설관리시스템

      • 釜山.慶南地域 金型産業의 現況分析에 관한 硏究

        정영덕 東亞大學校 産業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9647

        경제발전과 국민소득 향상에 힘입어 각종 공산품의 라이프 사이클이 단축되고 이로 인해 신제품 개발 경쟁이 가속되고 있다. 이들 제품을 동형, 동종의 완성품으로 제조하기 위해서는 금형이 반드시 필요한 도구로서 신제품개발능력에 중요한 척도가 되고 있다. 특히 오늘날 정보화사회의 지식 기반사업을 뒷받침하고 있는 컴퓨터 등 각종 정보기기와 가전제품, 자동차, 사무용 기기, 건축자재, 완구, 신발류에 이르기까지 실로 다양한 범위에서 금형은 없어서 안될 필수 요소가 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핵심 기반기술의 하나인 금형 기술의 우리나라 수준은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이 뒤떨어져 있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기 위해 남다른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금형 산업 관련기업의 생산현장이나 제품 개발부서에서도 생산성 향상과 아이디어 창출 등 제품의 국제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정보를 요구하고 있다. 그런데, 2001 금형업체 현황 및 정보화추진 실태조사에 따르면 부산·경남지역의 금형생산업체는 부산 548개, 경남·울산 269개로 2001년 현재 전국대비 20.4%의 금형업체가 있으나, 업체 상당수가 영세할 뿐만 아니라 기술수준 및 생산여건이 열악하다. 따라서 무한 경쟁시대의 세계적인 기술장벽을 넘기 위해서는 이들 업체의 기술력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하고 이런 방안들이 금형업체에 제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금형산업의 전반에 대하여 일반적인 현황을 살펴보았고, 부산·경남지역 금형산업의 현황을 설문조사를 통하여 분석하였으며 향후 금형산업의 발전방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부산·경남지역의 금형산업은 업체의 영세성, 기술인력의 고령화 및 설계·가공 전문인력의 부족 등과 같은 문제점이 시급히 개선되어야 한다. 2) 부산·경남지역의 금형산업 발전을 위해 시급히 해결해야할 사항은 숙련된 가공인력 부족(35.6%)과 설계인력부족(27.8%) 등이다. 3) 금형교육의 우선순위는 설계기술이 78.2%로 가장 높았다. 4) 부산금형종합지원센터를 설립하여 부산 경남지역의 금형 업체를 지원하여야 한다. 5) 본 연구에서는 부산·경남지역의 금형산업에서 필요한 발전방향을 제시하였고 이에 대한 방안으로 정부의 지원 및 부산의 정책적 연계를 피력하였다.

      • 産業災害 豫防을 위한 TPA 反應器의 危險性 評價에 관한 硏究

        김석탁 東亞大學校 産業大學院 1992 국내석사

        RANK : 249631

        Safety concerns on chemical processing plants have been rapidly increased as the size of plants became bigger and more complex. In this study, a purified TPA(terephthalic acid) reactor is mainly examined. Since the oxidation of p-xy-lene which is one of the most hazardous reactions is processed in it. HAZOP(Hazard Operability study) in qualitative methods and FTA in quantitative ones are used to evaluate the TPA risks. In addition, the digraph algorithm by Allen and Rao is used for precise FTA syntheses. Several necessary modifications on the design of the reactor are identified after analyzing the reactor by HAZOP. They are : 1. Installation of an additional flow transducer(FT) on the air inlet pipe is recommended due to the relatively high FTs' fault rate. The system reliability could be increased since the inspection interval must be shorter than before due to the additional FT. 2. Installations of an N_(2) line to TPA reactor, a flow control valve, a controller, and an interlock with the FT of air inlet pipe are recommended to prevent explosions from the beginning. 3. Installations of an additional FT of p-xylene, acetic acid and an interlock with the FCV of N_(2) line are recommended. 4. Installations of an interlock with LAHH(Level alarm high high) of the reactor body, a trip system of PXA line, and an additional level transducer are recommended. The modified TPA reactor designed by HAZOP contributes to reduce the hazard rates remarkably from 2.00×10^(-4) faults per year to 2.04×10^(-6) on TPA reactor explosions. In addition, the availability of the alarm and trip system which could protect against emergencies is studied. It is found that the availability of the trip system does not meet the control limi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spect the system at least every two month, or the system must be replaced with different one which keeps the fault rate less than 0.02 per year.

      • 변화 추세에 대응하는 컨테이너부두 건축 계획방향에 관한 연구

        전찬규 동아대학교 산업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31

        우리나라는 지리적으로 동북아시아에 위치하고 3면의 바다를 접하고 있으며 그 동안 대륙국가들의 사회주의 경제체제의 유지에 의한 단절된 교육으로 해양과 대륙을 연계하여 발전시키기에 알맞은 천혜의 지정학적 위치를 갖고 있으면서도 제 기능과 역할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던 차 1980년 이후 중국, 러시아, 몽고, 베트남 등과의 국교수립과 더불어 이들 국가의 시장경제체계의 전환으로 인하여 우리나라는 대륙의 관문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다 할 수 있는 시대가 열렸다. 우리나라는 대외무역 의존도가 매우 높은 국가로서 자연히 항만에 의한 수송수요 역시 매우 높을 수 밖에 없다. 특히 우리나라의 수·출입 물량에 의한 화물의 수송수요가 매우 많은데도 불구하고 항만시설은 턱없이 부족했으며, 경제개발단계에 있던 한국으로서는 폭증하는 항만수요에 비하여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항만에 대한 투자는 충분히 이루어질 수 없었던 것이 현실이었다. 그러나, 학자들이 예언하듯이 21세기는 해양시대이면서 물류선진화가 결국 국가의 경쟁력을 좌우하게 될 것이라는 점에서는 이견이 있을 수 없을 것이다. 항만은 나루터라고 부른 시대에서부터 사람이 모이고 상행위가 행해지는 등 생활 및 경제활동이 이루어지는 장으로서 시대와 함께 그 기능을 변화시켜왔다. 1970년대부터 다가온 고도성장기에는 급격히 증대한 물류기능과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는 생산기능에 중심이 위치하였다. 그 결과 화물의 적·양하 하기 위한 용지의 확보는 교통의 혼잡, 환경의 악화, 지역주민을 바다로부터 격리시키는 문제를 야기하는 것으로 되었다. 이 때문에 최근에는 종래의 물류 및 산업기능에 부가하여 마리나 및 녹지 또는 폐기물 처분장, 주택용지의 제공 등 넓은 의미로서의 생활기능의 충실에도 힘이 실려지고 있다. 이들 항만에 있어서는 컨테이너 수송으로 대표되는 물류활동, 제조업 및 가공조선업 등의 산업활동 또는 해양성 레크리에이션 등의 국민생활에 직접 관계되는 활동이 전개되고 있고 일정공간의 넓이에 이들의 다면적인 기능을 발휘시키기 위해 필요로 되는 여러 가지의 시설이 복합적으로 정비되고 있다. 항만이 공간적인 범위에 관해서 명확하게 정의된 것은 없으나 수역(항만구역) 및 항만의 관리운영상 필요한 최소한의 범위로 정해진 육역(임항구역)에 토지이용상 이들과 일체적으로 기능하고 있는 산업용지, 물류관련 용지 등을 합한 것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항만에 부여하고 있는 기능은 실제와 다종 다양하다. 1) 화물의 적양 및 여객의 승강을 위한 터미널 기능 2) 국제교류의 창구 또는 지역에 있어서 교류의 장으로서의 기능 3) 공업생산, 에너지 공급의 장으로서의 기능 4) 어업활동 및 양식가공산업의 기반으로서의 기능 5) 낙도 등에 있어서 생활의 기지로의 기능 6) 공원, 하수처리시설, 폐기물 처분장 등 도시기반의 일부를 담당하는 기능 7) 해양성 레크리에이션 및 관광거점 등 지역개발을 선도하는 기능 이들 기능을 수행하는 시설의 분류로는 항만법에 기초하여 기본시설, 기능시설, 지원시설, 친수시설로 나뉘며, 실제의 항만에서는 그 항만 및 주변지역 또는 배후지역의 자연조건과 사회·경제조건에 의해서 부과될 수 밖에 없는 기능은 다르나 지역의 다양한 고도의 요청을 반영하여 복수의 기능을 합한 경우가 일반적이고, 항만의 계획을 검토하는 경우 배후지역에서의 요청 및 인접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다른 항만과의 기능분담을 생각하면서 어떠한 기능을 어느 수준으로 목표를 두고 충족시키도록 하고 상호연계하면서 충분히 기능을 발휘하도록 건물, 시설 등을 배치할 필요가 있다. Traditionally, container terminal facilities have been considered a s important social and economic infrastructure for handling and transporting cargo. However. in the new marine era, container terminals should provide amenities to the citizens by aiming to create beautiful environment as well as functions related to logistics. industry and living. In addition, we are to have an awareness to create environment friendly terminal facilities which the marine life. birds con inhabit for the reproduction and propagation. This thesis is submitting the container terminal construction plan to cope with the change of the port environment and the paradigm as following five items. First, the design of terminal facilities must be beautiful. Second, they must have the nature. Third. they must be in harmony with neighboring area. Forth, they must be adjacent to the sea. Fifth, they must accomodate the demand form port culture. In the future, the symbolic image of container terminal as the logistics center should be reflected in the terminal building structure.

      • 산업기계 안전제어시스템 설계를 위한 EN 954-1과 EN ISO 13849규격의 비교 및 국내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김태호 동아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31

        산업기계 안전제어시스템 설계를 위한 EN 954-1과 EN ISO 13849 규격의 비교 및 국내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omparing EN 954-1 to EN ISO 13849 Standard, and Domestic Countermeasures for the Design of Safety Control System of Industrial Machinery 산업경영학과 김 태 호 지 도 교 수 윤 훈 용 본 연구의 목적은 사례를 통한 기존의 EN 954-1 규격과 새롭게 개정된 EN ISO 13849 규격을 비교하고, 국내 대응을 위한 EN ISO 13849 규격의 적용 필요성을 연구함에 있다. 국제 및 유럽 표준 EN ISO 13849는 “safety of machinery – Safety-related parts of control systems”에 관한 표준 규격이며, Part 1 “General principles for design 과 Part 2 “Validation”으로 구분 된다. 이는 기계안전 분야에서 제어시스템의 안전부품 관련하여, 제1부 설계 지침과 제2부 검증 부분으로 나뉜다. 현재 유럽연합 (EU)은 2009년 9월 8일 처음 Official Journal of the European Union 에 EN ISO 13849 규격이 조화규격 (Harmonized Standard)으로 지정된 이후, 2011년 12월 31일부터 기존의 EN 954-1 규격의 적용을 중단하고 EN ISO 13849 규격의 적용을 강제화하였다. 2012년 1월 1일부터는 새로운 기계가 유럽경제 공동체 (EEA), 스위스 혹은 터키 지역 내 시장으로의 진입을 위해서는 이러한 새로운 규정에 따른 CE 마킹이 필요하다. 국내 기계 제조자 또한 유럽수출을 위해 설계 시 EN ISO 13849 규격을 적용하여야 한다. 현재 위험기계 및 기구에 관한 의무안전인증 제도인 KCs 인증에서는 EN ISO 13849 규격이 안전규격으로 채택이 되고 있지 않다. 오늘날 대부분 복잡한 전자부품을 이용한 안전 관련 제어 시스템 설계가 주를 이루고 있어, 국내에서도 EN ISO 13849 규격의 도입과 적용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자는 지난 10년 이상 독일 인증기관인 TÜV SÜD에서 EU 기계지침에 따른 산업기계 평가 경험을 바탕으로, 기존의 EN 954-1 규격에 의한 안전제어회로 실제 설계 중에서 안전카테고리 (Safety Category) 등급 B, 1, 2, 3, 4 의 각 회로 5가지를 선택하여 대표화 한다. 여기서 각 회로를 새롭게 EN ISO 13849-1을 적용할 경우 달라지는 점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그 차이를 기술적인 관점과 경제적인 관점에서 비교 분석함으로써 제조자의 이해를 돕고 국내의 대응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EN 954-1 규격의 위험성 평가 도구인 리스크 그래프는 잘못 적용될 경향이 있고, 설계 시 참조가 될 지정된 안전카테고리 등급 또한 적용에 있어 정성적이다. 여러 위험성 중 단 하나의 높은 위험성을 내포한 기계 설계에 있어 설계자들이 전체 안전제어 시스템을 안전카테고리 4로 맞추어 설계하여 안전제어시스템이 과설계가 되었다. 이러한 과설계는 높은 비용의 요인이 될 수 있다. 이와 달리, EN ISO 13849-1 규격은 정량적인 방법을 통해 설계자들이 안전제어시스템을 보다 적은 수의 부품과 배선을 통해 경제적인 방법으로 설계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새로운 규격 적용에 따른 많은 장점들은 본 연구에서 확인할 수 있고, 기존의 규격에 비해 새로운 규격은 전자식 안전제어시스템 설계 시 보다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규격의 중요성과 장점들을 고려할 때 국내 산업기계 안전을 위해 이 규격의 국내 적용이 중요하며, 사례를 통한 EN 954-1과 EN ISO 13849 규격의 비교 결과는 국내 산업기계 안전을 위한 국내 적용에 도움이 될 것이다.

      • 무산소조 개조를 통한 피혁 및 수산물 가공 산업 폐수의 질소처리 효율개선

        김정웅 동아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31

        산업화에 따른 부작용으로 여러 가지 환경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피혁 및 수산가공사업에서 발생한 폐수의 질소성분은 부영양화 등 자연계의 수질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고, 그로 인해 경제적 손실이 유발되고 있다. 따라서 영양염류인 질소 처리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므로 적절한 처리 공정을 도입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피혁 및 수산가공폐수를 처리하는 기존 하수처리장의 질소제거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기존 폭기조를 무산소-호기조로 개조시키고 질소 제거 효율을 분석하였다. 시설 개조 후 전체 연구기간 동안 무산소조로 유입되는 물은 8.85 - 60.01 mg T-N/L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 중 초기 13일까지는 무산소조의 유출수가 방류수 수질 기준치인 60 mg T-N/L을 초과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14일 이후에는 무산소조의 유출수가 4.01 - 10.00 mg T-N/L이었고, 이 기간 동안 T-N 제거효율은 30.1 - 76.6%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초기 13일간의 안정화 기간 이후부터는 무산소조의 유출수가 방류수의 수질기준을 충분히 만족하였으므로 기존 폭기조를 무산소로 개조를 통해 질소 제거가 잘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 실내 화재안전 관리를 위한 디지털 트윈 기술 수용의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김정수 동아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31

        최근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디지털 트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적용사례 들이 나타나고 있다. 4차산업혁명 기술들(빅데이터, 인공지능, VR, AR, 드론, 5G, IoT, BIM 등)이 요소 기술적인 측면이 강하고 이러한 개별 요소들이 산업현장에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한계들이 조금씩 보이고 있을 때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이 혜성같이 등장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트윈의 핵심적인 품질요소를 정리하고, 실내 화재 안전 관리를 위한 디지털 트윈 기술의 사용에 어떠한 요인이 중요한 영향을 주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디지털 트윈 기술의 기술적 요인인 정확성, 반응성, 편의성, 신뢰성, 다양성과 기술수용이론(TAM, UTAUT) 및 지각된 위험을 기반으로 한 연구모형 설계 및 실증 연구를 수행하고, 디지털 트윈 기술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中小企業 適合形 人的誤謬豫測分析 模型 (SQHEPA) 開發

        박정용 동아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31

        현대 문명의 급격한 발전과 함께 산업화도 비약적으로 고도화되고 시스템 화 되어져 간다. 인간의 활동의 목적은 결과적으로 인간의 질 높은 삶의 추구이며 인간의 행복을 위하여 행해지지만 재해라는 불의의 사고를 당하게 되면 궁극적인 목표를 상실케 된다. 전 세계적으로 산업 활동의 결과로서 겪게 되는 중대 사고는 많은 인적, 물적인 손실을 발생하게하고 인간에게 큰 고통을 가져 다 준다. 산업재해를 줄이기 위해 많은 안전사고의 예방적 활동과 연구에도 불 구하고 사고는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다. 세계적인 연구와 분석에 의하여 사고의 원인을 분류하면 인적오류의 원인이 80%이상이라는 것은 많은 연구 결과로서 증명되어져 있다. 국내의 2015년 사고원인 결과에서도 300인 이하의 중소규모 사업장에서의 재해가 94%이상을 넘어가고 있지만, 중소기업에서는 상황적 열악성으로 인하여 보다 효율적인 인적 오류의 예방적 활동을 하지 못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소규모 기업환경에 맞는 인적오류감소에 대한 연구나 활동이 너무도 부족한 것이 현실이고, 인간 신뢰도 분석(HRA : Huma Reliability Analys)을 통한 인적오류 감소를 위한 연구가 세계적으로 대부분 첨단의 원자력분야와 대규모 화학공정에 집중되어져 있어서 중소규모 사업장에 적합한 인적오류의 위험성평가(Risk Assessment )모형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 논문에서는 중소기업 환경에서 적합한 인적오류예측분석을 통한 위험성평가 모형(SQHEPA : Semi Quantitative Human Error Prediction Analysis)의 개발에 그 목표를 두었고, 기존의 인간 신뢰도 분석(HRA) 방법론들의 이론적 고찰을 행하고 중소기업에 적합한 인적오류의 유형별 요소들을 분류하여 8가지의 범용적 일반직무요소(GTT : Generic Task Type))와 기본오류율(GEP : Generic Error Type)을 정하고, 24가지의 중소기업 환경의 인적오류 영향인자(PIFs : Performance Influencing Factor's)들을 도출하고 영향력(Influence of Factor : )과 가중치(Weight) 를 증명된 이론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제시 하였다. 이러한 항목 요소들을 이용한 새로운 중소기업 적합형 위험성평가모형(SQHEPA) 개발의 방법과 특징 그리고 그 절차를 도출하고 제안하였으며, 그리고 새로운 모형의 한계점과 장·단점을 분석 평가하고 중소기업 생산시설의 현장에서의 적용방법을 사례를 통하여 분석하고 적용하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그 개선방법을 통한 인적오류영향인자의 수정, 복구, 회복, 우회적 방법을 통하여 인적 오류율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예시하였다. 새로운 인적오류 예측분석모형(SQHEPA)은 중소규모 사업장에서 쉬운 절차와 방법으로써 현장적용이 가능하고 그 결과로서 인적오류를 일으키는 수행성 영향인자들을 수정·개선·복구하고 감소시킴으로써 안전사고와 재해를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새로운 분석모형(SQHEPA)은 중소기업 환경에서의 적용이라는 한계적 범주를 가지고 있으며, 그 모형이 단순하고 쉬운 절차를 가지고 있음에 의해 대규모 설비 시스템이나 복잡도와 위급도가 매우 높은 고수준 환경에서의 적용에는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보다 나은 시스템 개선을 위하여 추후에 보다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