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치매노인 부양가족원의 부양부담에 관한 연구 : 가족친밀감과 대처전략을 중심으로

        팽재영 동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71

        The aged population have increased with development of medical and improvement of the standard of living according to economic level. In accordance with those reason, the aged population who need constant support of family and nursing with senile disease have increased rapidly. Among the reliance aged who need long time protection, the dementia aged are the most dependent for social and family. This study is based on existing studies. We tried to find out the family intimacy and the strategy which the families with the dementia aged are frequently using. And, through grasping correlation of the family intimacy and strategy’s effect for a burden of rearing family, we had looked around the possibility whether intimacy of family can reduce a burden of rearing family. We analyzed 233 research copies which is distributed in 3 Home-service centers(재가서비스) which are in Gyoungju with support of Social workers. And we analyzed the accumulated materials with SPSS for Windows 12.0 program. First, we calculated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to grasp the feature of family with the dementia aged and the dementia aged which is common feature of this research’s subject by Frequency Analysis. Second, we did t-test and ANOVA to know the difference of the family intimacy, dealing response and the burden of rearing family depends on the common features of this research’s subject. Third, we did Correlation Analysis to kn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mily intimacy and the burden rearing family. Fourth, we did ‘enter way’ multiple regression only using significance parameter after Correlation Analysis to know the family intimacy and dealing response’s effect against the burden rearing family. We have the result below through this study. First, we studied the difference of the family intimacy depends on sex, age, religion, scholarship, life partner, salary, relationship with the aged, time with the aged and his/her family, the number of family, the form of family and health condition. Women, the young aged, the high scholarship, higher salary, good health condition family has much high intimacy. And, a nuclear family has higher intimacy then an extended family. Second, about the family intimacy depends on the feature of the the dementia aged, time with aged and his/her family, age, sex, medical service, scholarship and health condition, the aged with the shorten period, the young dementia aged and higher scholarship has much higher intimacy with their family. Family who rear the dementia aged with health insurance had higher intimacy then medical care. Third, we divided the internal response and external response which family may have. Internal response is consisted with ‘conviction about solving problem’, ‘re-definition’ and ‘family passivism’. External response is consisted with ‘religion’, ’relationship’, ’friends’, ’the neighborhood’ and ’the community service’. With internal and external response, we analyzed. Women, people who had educated more, higher salary and better health condition family had strong response relatively. And people who have religion and life partner have strong response. The dementia aged who had under 6 hours caring time and nuclear family have strong response relatively. At the study of response according to the dementia aged, response was strong when the dementia aged are younger and educated. Forth, we analyzed the burden of rearing the dementia aged who is a dependent variable, and the burden is defined as ‘social burden’, ‘physical burden’, ’mental burden’ and ‘economic burden’. ‘Social burden’ is the biggest burden; ‘economic burden’ is next. ‘Physical burden’ and ’mental burden’ is following. And we studied the difference of the burden of rearing the dementia aged depends on the feature of provider. Less educated, less salary, long time rearing, much number of family and bad health condition provider have strong burden. And daughter-in-law and the nuclear family have stronger burden. About the feature of the dementia aged, the aged who have long time rearing, older, less educated and bad health condition give much more burden. Fifth, we studied correlation of burden, intimacy, response. The family intimacy and response are in inverse proportion with the burden. As you see the result, high familiarity of family reduces the burden of rearing the dementia aged. Also, about the response’s effect against the burden, when the passivity is weak and conviction of solving problem is strong, the burden was weaker. Externally, the relative’s positive reaction help to reduce provider’s burden. So, I would like to propose below through this study. First, we need program which help to activate the intimacy of family who have the dementia aged. In Korea, it is hard to find expert program for the family with the dementia aged. And their problem is regarded as their family’s problem, especially the problem leaves to their daughter-in-law and daughter and that cause the reverse function.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expert program for the dementia aged and their family should be executed when we plan social welfare program, and when we plan, we should consider age, scholarship, the form of family, salary, religion, burden problem, consciousness of provider against dementia and life level. Then we should develop program for whole family and apply them on spot. Second, constant education and information exchange about symptoms and present condition of the dementia aged. We should let the families with dementia aged know accurate information of dementia and the condition of the aged to let them have positive understanding for the symptoms of the dementia aged and feel the value of family as the social welfare service. Third, as the support to increase internal response strategy, we need to support through family therapy and family counsel except education. As the support to increase external response strategy, we should connect the region society service system and construct the base of related organization. Then we can improve the life quality of the family with the dementia aged and dementia aged. Of course, that will help to reduce the burden of rearing, and it will effect protection of burn out of provider. 현대의학의 발달과 경제수준에 따른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노인인구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각종 노인성 질환으로 인하여 가족의 지속적인 원조와 간호를 요하는 노인인구도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장기간 보호를 받아야 하는 의존형노인 중에서도 사회나 가족에 대한 의존이 가장 높은 노인이 치매노인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현재 가정에서 치매노인을 부양하고 있는 부양자의 가족친밀감과 실질적으로 부양자들이 쉽게 대처하는 방식이나 자주 사용하는 대처전략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가족친밀감과 대처전략이 부양부담에 미치는 상관관계를 파악함으로써 가족에 대한 책임이나 변화 가능한 부양자의 대처전략과 가족원의 친밀감이 부양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지 그에 따른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주시에 위치한 3곳의 재가서비스 센터의 사회복지사의 협조를 얻어 설문지를 배포하여 회수된 233부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수집된 자료는 SPSS for Window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인 주부양자 특성과 치매노인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통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가족친밀감, 대처반응, 부양부담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test 와 ANOVA를 실시하였다. 셋째, 부양부담과 가족친밀감 및 대처반응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가족친밀감과 대처반응의 요인이 부양부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 결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변수만을 투입한 ‘enter방식’의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인 치매노인의 주부양자 특성인 성별, 연령, 종교, 학력, 배우자유무, 월수입, 노인과의 관계, 수발시간, 가족 수, 가족형태, 건강상태에 따라 가족의 친밀감에 대한 차이를 알아본 결과 여자가 남자에 비해 가족 친밀감이 높았고, 나이가 적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월수입이 많을수록,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가족친밀감이 높았으며, 종교를 가진 대상자가 종교가 없는 대상자에 비해 가족 친밀감이 높았고, 핵가족이 확대가족에 비해 가족친밀감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치매노인의 특성인 수발기간, 연령, 성별, 의료혜택, 학력, 건강상태에 따라 부양자의 가족친밀감에 대한 결과에서는 치매노인의 수발기간이 짧을수록, 치매노인의 연령이 적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주부양자의 친밀감이 높았으며, 건강보험으로 치매노인을 부양하는 대상자가 의료급여 혜택을 받는 대상자에 비해 가족친밀감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양자의 문제나 어려움의 직면 시 내면적 대처반응과 외면적 대처반응으로 구분하고 내면적 대처반응은 ‘문제해결의 확신’, ‘재정의’, ‘가족수동성’,의 3요인과 외면적 대처반응에서는 ‘종교’, ‘친척’, ‘친구’, ‘이웃’, ‘지역사회 서비스’,의 5요인으로 해서 전체 8요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주부양자 특성에 따른 대처전략의 차이검증에서는 여자가 남자에 비해 문제해결에 대한 대처반응이 강하였고, 학력이 높을수록, 월수입이 많을수록,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대처반응이 상대적으로 강하였으며, 종교가 있는 대상자와 배우자가 있는 대상자가 대처반응이 강하였고 수발시간이 6시간 미만인 대상자와 핵가족이 상대적으로 강한 대처반응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매노인의 특성에 따른 대처전략의 차이검증에서는 치매노인의 수발기간이 짧을수록, 치매노인의 연령이 적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주부양자의 문제해결에 대한 대처반응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종속변수인 치매노인의 부양에 대한 부담을 ‘사회적 부담’, ‘신체적 부담’, ‘심리적 부담’, ‘경제적 부담’의 4요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사회적 부담’이 가장 큰 부양부담으로 나타났으며, ‘경제적 부담’이 그 뒤를 이었으며, ‘신체적 부담’, ‘심리적 부담’의 순으로 치매노인의 부양부담이 강한 것으로 조사 분석되었으며, 주부양자 특성에 따른 부양부담의 차이 검증 결과 주부양자의 학력이 낮을수록, 월수입이 적을수록, 수발시간이 길수록, 가족 수가 많을수록,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치매노인의 부양부담이 강하였고, 치매노인과의 관계가 며느리일 때 그리고 확대가족의 집단이 상대적으로 높은 부양부담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매노인의 특성에 따라서는 치매노인의 수발기간이 길수록, 연령이 많을수록, 학력이 낮고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치매노인의 부양에 대한 부담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치매노인의 부양에 대한 부담과 가족의 친밀감, 대처반응 간에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가족친밀감 및 대처전략이 높을수록 부양부담은 상대적으로 반비례로 진행 되는 것으로 조사 분석되었다. 위에서 언급한 조사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치매노인의 부양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가족친밀감에서는 가족 간의 친숙성이 높을수록 조사대상자의 부양부담은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대처반응의 요인이 부양부담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서는 가족에 대한 수동성이 약할수록, 문제해결의 확신이 강할수록 조사대상자의 부양부담은 완화되고, 외부적으로 친척의 반응이 긍정적일수록 치매노인을 부양하는 조사대상자의 부양부담은 완화되는 것으로 조사 분석 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치매노인을 부양하는 주부양자 가족원의 친밀감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치매노인 가족들을 위한 전문 프로그램은 거의 진행되지 않는 상황으로 치매노인 가족들의 문제는 가족들의 몫으로 돌려져 특히 주로 며느리, 딸 등 여성에게 집중되어 많은 역기능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사회복지 프로그램 기획 시 치매노인 가족들을 위한 전문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러한 프로그램을 기획할 때는 부양자 연령, 학력, 가족구성, 가족의 수입, 종교, 부양문제, 치매증상에 대한 부양자 의식, 노인의 학력과 주관적인 생활수준, 생활만족도에 대한 부분들을 파악하여 가족중심적인 프로그램의 개발과 현장에서의 적용이 필요하다. 둘째, 치매노인 가족을 대상으로 치매노인의 증상과 현 상태에 대한 끊임없는 교육과 정보교환이 필요하다. 사회복지 현장에서 치매노인 가족들에게 치매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고 부양노인의 상태에 대해 수시로 정확하게 가족들에게 알려주어 부양자가 치매노인의 증상에 대해 긍정적 인식과 부정적 인식을 구분하지 않고 정확하게 인지할 때 서로에게 긍정적인 견해를 가질 수 있고 가족의 소중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사회복지 서비스의 개입이 필요하다. 셋째, 내면적 대처전략의 향상을 위한 지원으로는 위에서 언급한 교육 이외에도 가족치료 및 가족상담 서비스의 강화를 통한 지원방안의 제공과 외면적 대처전략의 향상을 위한 지원으로 지역사회 서비스 체계의 적절한 연계와 관련기관의 실질적인 기반을 확충하여 지원을 한다면 부양자와 치매노인 모두의 삶의 질을 높이고 부양부담을 완화시키며 주부양자의 소진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基督敎 地域社會福祉 活性化 方案에 關한 硏究

        안승군 동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0671

        21세기에 접어들면서 한국사회는 다양한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변화는 사회전반에 걸쳐 나타나고 있으며 사람들의 생활 곳곳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자본주의의 팽창은 인간을 더욱더 상대적으로 가난하게 만들고, 과학과 기술의 엄청난 발전은 인간을 사회로부터 소외시키고 있다. 또한 급격한 도시화는 집중된 도시문제를 양산시키고 반면에 농촌은 상대적으로 열등감과 피해의식에 빠져있다. 이러한 산업화, 정보화, 기계화의 거대한 물결은 현대사회에 많은 복지 문제를 만들어 내고 있다. 사회적 변화에 편승하지 못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노인문제, 아동과 청소년 문제, 장애인 문제, 여성 문제, 가정문제 등이 다양하고 복합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은 시대의 변화 속에 교회는 그 사회적 기능과 역할을 감당하도록 요구되어 지고 있다. 하지만 교회의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여러 가지 문제와 한계를 가지고 있고 사회적으로 많은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 지금까지 한국교회는 양적인 성장과 내적인 결속에만 치중하여 왔다. 교회의 외형과 규모는 커지고 교회의 구성원들간의 유대는 강화되었으나, 교회 밖의 이웃을 향한 손길과 사회적 봉사는 매우 미약한 상태에 머물러 있었다. 또한 교회의 모든 활동이 교회내의 구성원들만의 행사로 진행되어지는 경우가 많았고 교회가 지역사회 주민들과 가깝게 접촉하는 일들이 많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교회의 여러 가지 시설은 지역사회를 향해 문을 닫고 있었으며 목회자의 인식과 비전은 제도적 교회 내에 머물러 있었다. 이러한 현실인식을 통해서 다행히도 1980년대를 지나 1990년대에 접어들면서 한국교회는 사회에 대한 시각을 새롭게 갖게 되었고 몇몇 지역사회와 지역교회 차원에서 여러 가지 사치복지적 실천으로 노력해 왔음을 알 수 있다. 그러한 연장선 위에서 본 논문은 교회의 역할을 찾아볼 수 있었다. 본 논문의 전반부는 먼저 기독교 사회복지의 이념적 배경이 되는 '기독교의 사회복지 사상을' 성서를 통해 밝혀 보며, 인간이란 어떠한 존재이며 그 인간을 바라보는 시각은 기독교와 사회복지의 각 분야에 따라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기본적으로 두 분야의 인간이해는 '인간에 대한 존엄한 가치'를 강조하는 것이다. 인간에 대한 깊은 이해가 없이는 결코 사회복지도, 기독교도 존재할 수 없기 때문이다. 사회복지의 개념과 그 의미가 인간에 대한 이해로부터 출발해서 인간의 모든 삶 즉 생활과 생존에 이르기까지 그 범위를 확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기독교 사회복지 역시 마찬가지이다. 그 대상이 되는 인간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외면할 수는 없는 것이다. 기독교의 존재이유는 인간과 세계의 완전한 구원과 해방이다. 인간을 외면한 기독교는 이사상에서 아무런 의미가 없다. 그러므로 기독교의 경전인 성서를 통해 교회가 왜 인간과 사회에 대해 관심을 갖고 행동해야 하는가의 당위성을 찾아 본 것이다. 성서는 끊임없이 인간의 모든 고통, 억압, 착취로부터의 해방을 말하고 있고, 평등과 정의와 사랑의 이념이 실현되는 사회를 추구하고 있다. 그것이 구약과 신약성서에 나타난 사회적 사상이다. 가난한 자들을 보호하고 사회적 약자들을 지켜주는 것, 경제적, 사회적, 신체적인 모든 불평등으로부터 인간을 구원해 내는 것이 기독교의 중요한 사회적 역할임을 강조하고 있다. 논문의 후반부에는 이러한 이념적 배경을 바탕으로, 구체적으로 무엇을 실천할 것인가에 대한 고찰해 보았다. 특별히 지역사회 내에서의 교회의 사회복지적 실태와 현황을 문헌을 통해 살피고, 그 문제점을 정리 하였다. 나아가서 교회는 지역사회의 구성체로써 지역사회 안에 존재하며, 교회의 구성원들은 지역사회의 일원이다. 이러한 교회는 당연히 지역 사회에 대한 사회적 책임과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 의무를 가지고 있다. 지역사회가 없이는 교회가 존재할 수 없기 때문이다. 교회의 사명은 종교적 세계에 대한 추구와 동시에 사회에 대한 사회적 기능을 감당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특히 지역사회 내에서의 지역 교회가 수행할 수 있는 사회복지적 실천은 매우 다양하다 교회는 정신적, 인적, 물적, 기술적 자원을 가지고 있고, 그러한 자원을 활용하여 지역사회에 공헌하는 것은 아름다운 지역공동체를 만드는데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그 구체적인 실천방안들을 제시하면서 교회와 지역사회복지 실천의 연관성을 규명해 보았다. 또한 지역사회에서의 현재 교회들이 실천가능한 복지, 문화, 교육, 환경 등의 사회복지실천 프로그램들을 정리해 보았다. 결론 부분을 통해 지역교회의 지역사회복지 실천에 대해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교회는 이 사회 안에 존재하는 모든 사람들 특히 사회적 불평등을 당하는 사람들에 대해 근본적이고 구체적인 이해를 증진시켜야 한다. 둘째, 교회의 목회자는 교회의 사명이 종교적 세계에 대한 추구와 인간과 사회에 대한 봉사에 있다는 양면적이고 다양한 시대적 요구를 인식해야 한다. 셋째, 기독교는 사회전체에 대한 폭넓은 관심을 통해서 국가적, 제도적,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데 적극 참여해야 한다. 넷째, 지역교회는 지역사회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지역사회가 요구하고 필요로 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그러한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구체적인 사회복지 실천방안을 채택해야 한다. 다섯째, 교회는 지역사회와 지역 내의 다른 교회들과 연대하고 협력하는 방법론을 모색해야 한다. 여섯째, 교회의 사회복지 실천의 질(質)을 높이기 위해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사회복지 방법론을 사용해야 한다. 이상과 같은 방향을 가지고 한국의 지역교회들이 지역사회 내에서 사회복지 실천을 감당할 때 우리 나라의 사회복지 수준은 향상될 것이고, 교회는 인간과 사회를 향해 마땅한 공헌을 하게 될 것이다. 앞으로 한국교회가 더 많은 사회복지적 역할을 감당하기를 기대해 본다.

      • 地域社會 精神保健센터의 서비스 質 向上을 위한 QC活動에 관한 硏究

        김복수 東國大學校 社會科學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50671

        In an effort for whole personality QC(Quality Control), QC activities in mental healthcare center are significant in that personal elements are more important than material ones for better service quality. In view of the importance of these personal elements, QC team activities may be more useful in service fields than anything else, because most results of activities in mental healthcare center within local community are greatly affected on personal elements, i.e. staffs and clients rather than material elements. QC activities for better service quality are a powerful tool in service improvement activities, which may help improve personal capability(self-development) and provide satisfactory services for clients in mental healthcare center through consumer-oriented activities to help them enjoy better life quality. During 4 months(from August to November 2003), total 5 staffs including the director of center(for advising) and a team leader attempted to apply so-called '8-Step QC Activities' to only 20 clients who participated in daily rehabilitation programs out of all membership clients with mental disorder, who were registered in an exemplar mental healthcare center. The 8-Step QC Activities comprised as follows: Organize and arrange groups, identify any problems and select a topic, understand actual conditions and set up objectives, analyze factors and develop activity plan, prepare and take countermeasures, analyze and evaluate effects, comprehensive presenta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a series of QC activities helped enhance the participation ratio of registered membership clients in occupational rehabilitation, while improving service quality and their service satisfaction. Although other factors may have positive influence on these improvements and better satisfaction, it is noteworthy that these results are mainly attributed to thoroughgoing preparation via QC activities in mental healthcare center, plus the application of scientific and systematic management skills. By introducing QC activities for better service quality into mental healthcare center to provide quality mental healthcare services, this study helps maximize the effects on rehabilitation of schizophrenics and the mentally disordered into community, while building up a foundation of activities for managing service quality in mental healthcare center. In general, reliability and confidence showed the most remarkable change out of 5 dimensions of service quality in the aspect of service satisfaction and quality before and after QC activities. Possibly, it indicates that QC activities helped registered membership clients to have better reliability and confidence in service satisfaction and quality at mental healthcare center. For the satisfaction at the facilities of mental healthcare center, psychological dimension showed the most significant change out of 4 dimensions of service quality, followed by social and educational dimension. This result indicates that QC activities motivated the registered membership clients to have better psychological and social satisfaction at the facilities of mental healthcare center. GAF score deviation before QC activities reached -1.45, while that after QC activities was remarkably changed to +3.75. It shows that QC activities in mental healthcare center caused GAF score to increase significantly. BPRS score deviation before QC activities reached -1.5, while that after QC activities was remarkably changed to -3.3. It also indicates that QC activities in mental healthcare center caused BPRS score to decrease significantly. Thus, it is found that QC activities helped relieve or improve the psychotic symptoms of membership clients who participated in the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although QC activities in mental healthcare center are confined to occup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s, it is expected that developmental courses and various skills applied in QC activities hereof will be widely available across every field or program in the sub-organizations of mental healthcare center within local community. Accordingly, if a Korean model of QC activities is developed and applied on the basis of this study in the ways suitable for the nature of sub-organizations or service fields in domestic mental healthcare center, this study will be expectedly helpful as one of management skills for better service quality in mental healthcare center within local community. Furthermore, it is also expected that these QC activities will be helpful as the criteria for healthcare centers to judge the extent of their in-house efforts for better service quality, so that they may prepare for the assessment system of mental healthcare centers within local community in near future; Such assessment system aims to provide quality mental healthcare services for clients, while emphasizing that its basic approaches should focus on the process of securing good quality, not on results or outcomes.

      • 大學社會奉仕制度의 運營實態와 活性化 方案에 關한 硏究

        조호일 東國大學校 社會科學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50671

        The objective of volunteer activities within higher education curriculum should be based on sound civic education that allows students to be voluntary and moral, therefore enables them to become leaders for solving some problems of a local society. Although American educational model is adopted before no more than 10 years, the universities public service curriculum is rapidly spread in university societies. But the activities of public service is unskilled than an advanced countries and the implementation of volunteer education curriculum turned out to be negative such as decreasing student enrollment rate, shortage of systematic enforcement and technology. This research deals with the analysis about the operative conditions of universities public service activity in 113 member universities of the Organization of Korean University For Social Volunteering by survey questionnaire and suggests the programs for increasing volunteer activities. The survey result is as it follows; (1) To ensure settlement of the universities public service activity into regular curriculum, it must be installed and operated the exclusive organization which manages these activities. (2) It must be prescribed in the university regulations in order to increase the volunteer activities. (3) It is effective to survey the student's preference on these activities before the planning and volunteer recruitment procedure. (4) Organizations have to working on putting the students to the service with considering their major and interest, therefore have need to do with exclusive coordinator of university. (5) It will encourage the volunteer activities to give proper incentives such as award and employment privilege. (6) With the assistance of a public relationship, it is necessary to fix a steady belief and participate of professors and faculty of university on volunteer activities.

      • 청소년 파트타임 고용 실태분석을 통한 복지대책 방안 모색 : 울산광역시 중심으로

        김미숙 동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0671

        This study had begun to raise the recognition of groping for welfare promotion for teenagers who work full time or part time as well as changing social recognition to secure their rights from the expedient exploitation of labor force, infringement of human rights and illegal employment and to form the sound labor cultur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grasp the current conditions of part-time work of technical/industrial high school students in Ul-San and to grope for welfare programs by surveying support plans for teenagers which have been discussed in Korea. To begin with, teenagers' working part time has spread broadly, the reason of which is regarded that consumption level and needs are higher than it used to be. Secondly, as opportunities to get a job has increased due to the spread of part-time work caused by the flexibility of a labor market, rights and conditions for park-time workers have to be aroused socially. Likewise, if part-time teenager workers would not be socially protected and left alone because of the poor conditions of teenagers employment, side effects on teenagers who experience part-time work might be regarded as a serious social problem. According to this study, most teenagers have been treated badly originated by the lack of the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Labor Standard Act and even they are not prepared to assert their rights confronting wrongfulness or injustice. Thirdly, it is indicated that labor problems are not handled in teenagers' position. Teenagers pointed out that most of them are not satisfied with their jobs and problems of part-time work are low wages and adults' biased view on part-time work. The problem lies in that the society regards teenagers as social objects or beneficiaries of programs not as social subjects. Finally, this study showed teenagers' expectation about programs of the government welfare support. This was confirmed in the number of times of participation in part-time work, consultation centers, programs for teenagers. Therefore, it is urgent to plan for a realistic and profound measure in developing programs. I'd like to survey current conditions of part-time work and suggest welfare measure programs. As the general support of systematic support programs, firstly labor creation programs for teenagers part-time work lead by public organizations in communities during the vacation have to be actively implemented. Secondly, needs of technical/industrial high school students working part-time should be reflected in the vocational hands-on programs operated by the Ministry of Labor and linked with vocational experience activities. In the legal aspect, most of all, teenagers' human rights and interests should be protected. Secondly, it is necessary to have a constant preventive education on shops where teenagers can not be hired and to enhance social interests and report spirit. Much institutional effort should be made to change teachers' and parents' recognition in order to clear away superficial and negative attitudes toward teenager part-time work in schools and homes. It is necessary to have a proper control of negative factors about teenager part-time work and arrange welfare support centers for teenagers working, which can also be plans to make drop-out teenagers in alternative schools experience park-time work in the juveniles rehabilitation centers. Finally, the development of welfare programs is urgently demanded in order that teenagers should identify their aptitudes in consideration of diversity of proper part-time jobs for teenagers and consider their long-desired future jobs linked with part-time jobs.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겪고 있는 편법적인 노동력 착취와 인권침해, 탈법적인 취업으로부터 권리를 보장하고 건전한 방향과 노동문화를 형성 할 수 있도록 사회적 인식이 변화되어야 함은 물론 정규직이든, 비정규직이든 일하는 청소년의 복지증진을 위한 모색이 있어야 한다는 인식에서 시작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울산시의 실업계 고등학생들을 중심으로 파트타임 실태를 파악하고 사회적으로 논의되는 우리사회의 청소년 지원정책을 살펴봄으로써 복지대책방안을 모색하여 보았다. 조사결과를 요약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에게 있어 파트타임은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청소년들의 파트타임 참여 이유는 예전보다 소비수준과 욕구가 높아졌기 때문으로 미루어 볼 수 있었다. 둘째, 노동시장의 유연화에 따른 파트타임고용의 확산으로 일 할 수 있는 기회가 전에 비해 많이 늘어났고, 사회적으로 비정규직 근로자에 대한 인권과 조건들이 대두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우리 청소년들의 고용 실태가 대체로 열악하여 사회적으로 보호받지 못하고, 방치할 경우 파트타임 경험이 청소년들에게 가져다 줄 부작용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부각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 조사 결과 청소년 대부분이 근로기준법에 대한 인지와 이해 부족으로, 부당한 대우를 받고 있으며 그에 대한 대처방안에서도 소극적이고 미온적인 대처로 자신의 권리에 대한 주장에 대해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다. 셋째, 청소년들의 입장과 처지에서 고용의 문제가 다루어지지 않는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청소년들 대부분이 자신의 직업에 대한 만족도가 떨어지고, 청소년 스스로가 파트타임의 문제점으로 낮은 임금 수준과 어른들이 안 좋게 보는 시각이 가장 큰 문제라고 지적하였다. 이는 우리 사회가 청소년들을 사회적 주체라기보다 객체 또는 정책의 수혜자로서 바라보고 초점을 맞추는데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청소년들은 정부의 복지지원(대책)에 관한 기대를 파악할 수 있었다. 이는 청소년 파트타임 참가 지속여부와 상담센터 및 프로그램 참가 여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사실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지적과 함께 제시되는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현실적이고 심도 있는 대책방안 마련이 시급히 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파트타임에 관한 이러한 현황 파악과 함께 복지대책방안을 모색하여 보면, 첫째, 제도적 지원방안 중 일반적 지원으로 ① 지역사회에서 방학중 공공기관의 주도 하에 청소년 파트타임 고용창출프로그램이 적극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 ② 실업계 고등학생들의 파트타임 욕구를 적극 반영하여 노동부 직장체험프로그램이 직업체험활동과 연계될 수 있는 방안의 강구가 필요하다. 둘째, 법률적 지원으로 ① 파트타임에 참여하는 청소년들의 인권과 권익을 보호해야 한다. ② 청소년들을 고용해서는 안 될 고용금지업소에 대한 지속적인 예방교육과 지역사회의 관심과 고발정신이 필요하다. 셋째, 사회적 의식 전환으로 학교 및 가정차원에서도 청소년 파트타임에 대한 피상적인 인식과 부정적인 태도를 해소하기 위한 교사 및 학부모들의 인식 전환에 많은 정책적 노력들이 투여되어야 하며 청소년 파트타임의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는 부정적인 요인에 대한 적절한 통제가 필요하다. 넷째, 일하는 청소년을 위한 복지지원센터의 설치가 필요하다. 청소년자활지원관을 학교중퇴 청소년들을 위한 대안학교의 장으로 개방하여 이들에게 파트타임을 경험하게 하는 방안이다. 끝으로, 청소년아르바이트의 업종을 건전한 방향으로 더욱 다양화하여 자신의 적성을 고려할 수 있고, 장래 희망하는 직업과도 연결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피해사례나 문제점들을 상담할 수 있는 창구의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有料老人福祉施設의 문제점과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정경순 동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0671

        사회구조가 산업화, 도시화, 핵가족화되고 의료수준의 향상으로 국민들의 평균수명이 늘어남에 따라 우리사회는 고령화 되어가고 있으며 2000년대에는 우리나라도 고령사회로 접어들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노인인구의 증가는 그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주기 위한 활동이 이루어져야만 한다는 사실을 강하게 시사하고 있다. 노인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경제력의 향상은 과거 공적부조형태로 국가에서 시행해오던 노인복지 서비스보다 더 다양하고 수준 높은 서비스를 요구하게 되었으며 이런 이유로 중산층을 위한 실버타운을 공급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욕구를 충족시키는데는 한계가 있다고 본다. 현대사회는 거의 모든 국가가 복지국가를 표방하고 있으나 복지는 곧 재정과 결부되는 것이기에 정부가 국민들의 모든 욕구를 충족시켜주는데는 한계가 있는 것이다. 때문에 이러한 다양한 욕구에 어떻게 누가 대응하느냐 하는것에 기초를 두고 역할분담을 하여야 할 시기라고 본다. 따라서 이러한 노인문제를 대처하기 위하여 앞으로 고령화 시대에 있어서 노인복지의 방향은 첫째로 취약노인들의 최소한의 삶의 질은 공적부조차원의 공공복지 서비스기능이 책임을 지되 둘째로 여분의 복지수요에 대하여는 민간의 복지서비스 참여를 활성화시켜 노인들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셋째로 이를 통하여 노인들이 건강하고 편안한 노후생활을 보장함과 넷째 사회적 고립감을 탈피할 수 있는 노인공동체형성 및 다섯째로 복지수혜자들의 자기비용부담이라는 새로운 복지의식전환 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고령화 시대를 대비한 종합적이고 효율적인 노인복지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정부와 민간의 역할분담을 통한 유료노인시설 활성화 정책은 노인복지의 바람직한 정책방향으로 볼 수 있다. 현재 정부에서는 노인복지법을 개정하여 민간이 유료노인복지시설을 공급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했고 중산층 노인주택의 공급부분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민영화에 의해 민간이 지난 능률성과 창의성 그리고 자본을 활용할 수 있도록 시장원리에 입각한 자율경쟁성을 보장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노인복지예산이 상당히 부족한 실정이고 유료노인복지시설의 공급 실태와 전망을 분석한 결과, 선진국과 같은 실버타운의 공급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아주 미미한 실정에 있으며 그 이유는 지나친 법.제도적규제, 법의 미비, 민간참여업체의 수익성여부등의 문제 때문이었다. 이런 이유로 실버타운 설립에 참여할 의사가 있는 민간기업은 계획을 뒤로 미루거나 관망하는 자세를 보이고 있는데, 실버산업에 참여할 의사가 있는 민간기업은 단기적인 수익의 확대라는 측면보다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노인의 복지수요를 충족시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완수한다는 사명의식을 갖고 참여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노인들이 진정으로 요구하는 양질의 상품과 서비스를 개발하고 공급하여 나아가야 할 것이며 민간기업들이 고령자를 위한 양질의 상품과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고령자의 요구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히 입수하여 활성화할 수 있는 정보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따라서 정부와 민간기업, 그리고 고령자 모두 실버산업에 관심을 갖고 함께 노력해야 하며, 향후 우리사회의 고령화 사회가 급속히 진전되어 노인의 복지수요를 충족시키고자 하는 정부의 정책적 의지와 노력, 그리고 점차 시간과 경제력을 지닌 노인들이 증가함에 따라 고령자층을 목표로한 민간기업들이 이를 효과적으로 대응한다면, 우리나라의 실버타운산업은 무한한 성장잠재력이 있음에 따라 앞으로 21세기의 유망성장산업으로 관심을 끌기에 충분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와함께 설버타운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국가와 지방정부의 확고한 지원의지와 강력한 지원정책이 필요한데, 국가정책적인 면에서 재정·세제·법적인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며, 재원마련을 위하여 사회복지공동기금모음, 국민연금의 수익성사업, 노인복지세 신설검토, 금융지원, 각종 부담금의 할인 및 면제등을 통하여 활성화 방안을 마련해 주어야 할 것이고, 지방정부의 입장에서는 실버타운 조성을 위한 기반시설지원, 지역사회 공동모금, 자원봉사자 모집, 행정적 지원과 홍보 등을 통한 지원을 강화하여 주어야 할 것이다. 한편 민간차원에서의 참여 방안은 참여하고자 하는 개인과 기업 그리고 기업연합 형태로서 사회복지법인, 공익재단, 자체재단, 연합재단 등의 설립과 건설, 부동산, 서비스, 생명보험, 의료, 종교단체, 공익법인 및 사회복지시설 등 업체별 실버타운 활성화 방안을 마련함으로서 국가정책의 지원과 재정부담의 분담역할, 저렴하고 양질의 복지서비스 공급, 기업경영의 다각화, 복합경영의 일환으로 참여함으로서 21세기의 건전한 한국형 노인복지모형을 정립한다는 자세로 실버타운의 활성화에 전력을 다하여야 할 것이다. 이와함께 복지수요자의 자세도 복지에 대한 마음의 자세를 가다듬고 광의의 복지에 대한 이해와 의식전환이 필요하며, 유료복지서비스에 대한 잘못된 인식과 오해를 가지고 과소비와 같은 행위를 조장함으로서 계층간. 세대간의 갈등을 조장하는 행위가 없도록 각별히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 장애인 편의시설의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울산광역시를 중심으로

        문병원 동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0671

        모든 사람이 더불어 함께 살아가는 것은 매우 당연한 일이지만, 현실적으로 달성하기 쉬운 과제는 아니다. 본 논문에서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사회 속에서 자연스럽게 통합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방안을 궁극적으로는 모색한 것이라 하겠다. 오늘날 국가의 역할이 복지사회의 창출이라는 이슈로 부각되면서 산업사회와 현대사회를 이어 소외되고 분리되었던 대상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시도들이 그 어느 때보다 왕성하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는 기존의 고정관념과 낙후된 사고를 개선시키는 가장 중요한 원동력이 될 것이며, 그 과정에서 국가나 기존의 권력을 행사하던 계층과 대부분의 일반인들도 변화하게 될 것이다. 본 논문은 장애인 편의시설이라는 물리적인 것 같지만 결코 물리적인 것만은 아닌 사회 시설을 통해 사회로의 접근과 이동을 불편한 사회 구성원들이 그들의 기본권적 권리를 향유하고 인간다운 삶을 보장받아 사회 통합적 분위기를 조성한다는 이념의 틀로 출발했다. 이러한 가치창출을 위해 장애인은 누구이며, 장애인의 특성과 그들의 보다 편리한 삶을 위한 기본적인 전제 장치로서 편의시설은 어떤 것인지 간단히 모색해왔다. 또한 편의시설관련 제도들의 검토와 이론적 배경을 전제로 우리 사회의 현황과 문제점들을 도출코자 했다. 그 과정에서 물리적으로는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를 이용자 중심으로 되어야 하며 유지, 보수 관리가 철저해야 하나, 아직도 전시나 행정위주로 되고 있다는 것이다. 제도적으로는 울산광역시청, 구·군청의 각계간의 협조체제가 원활하지 못하여 행정과 예산확보에 어려움이 많이 있다. 사회적으로 장애인에 대한 차별, 편견,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의 필요성을 온 시민이 잘 알고 있지 못한다. 문화적으로는 장애인들이 마음껏 활동할 수 있는 공간과 문화 관람을 위한 장애인 편의시설이 부족하여 활동하기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지역적(울산광역시를 중심으로) 문제점들이 노출되고, 이들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들을 제시해 봤다. 사실상 기본적인 상황 파악을 위한 근거 자료들도 정부기관과 논문, 단행본, 울산광역시청 사회복지과, 각 구·군청 사회복지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현장 방문조사, 전화조사, 장애인 관련사회단체에서 제공받은 내용이어서 그 대표성과 객관성을 확보하기에는 약간의 문제가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 자료들을 통해 전체적인 상황과 문제점을 지적하는 것에는 큰 문제는 없을 것이다. 울산광역시는 우리나라 장애인 편의시설의 현황과 문제점에서 크게 벗어나는 행정을 수행하고 있는 것은 아니었지만, 지방자치시대 주민의 요구와 복지에 자체적으로 반응하고 계획을 수립하는 능동적 자세를 기대해 본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물리적 편의시설을 얼마나 많이 설치하고, 개선하느냐에 있다기 보다는 이러한 사회적인 장치가 정부의 강요나 규제에 의해서 일방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사회구성원 모두가 보편적으로 받아들이고 실천할 때, 장애인의 사회 통합적인 복지 증진은 가속화 될 것이다. 편견과 소외로부터 이중고를 받고 있는 장애인들이 그들의 능력을 발휘하고 더불어 함께 살아갈 수 있는 사회 조성을 위해서는 정부도, 울산광역시도, 기업도, 모든 사회구성원들도 함께 하는 공동체 의식이 필요하다 하겠다. 본 논문(연구)결과가 울산광역시 장애인 편의시설의 개선에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며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울산광역시청, 각 구·군청에 계, 과, 국간에 원활한 협조로 제도와 예산 확보가 이루어져야 하며 예산이 효율적으로 사용되도록 해야 한다. 둘째, 울산광역시청, 각 구·군청, 시민단체, 기업체, 장애인 단체가 울산시민에게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에 대한 필요성을 알 수 있게 하며 차별과 편견을 갖지 않도록 많은 홍보와 의식 변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셋쩨,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를 수시로 점검하여 문제점을 찾아 철저한 유지, 보수, 관리를 하여 이용자가 언제든 사용하기에 편리하도록 해야 하며 이를 위하여 장애인편의시설 설치 전담 공무원 도입제도가 필요하다.

      • 불교사회복지법인의 운영실태 및 발전방안

        정득보 동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0671

        This research is for the management conditions and development plans of the Buddhism social welfare corporation. The Buddhism social welfare corporation was established to smoothly carry out social service related with the mercy of the buda to people and society. This study have a purpose to perform an important role of social welfare activity which is more advanced, but it also shows that the Buddhism social welfare corporation has to face to the reality of poor examination and research about its establishment. operation, direction. supervision and has to generally analyze the basic details and the actual states of the Buddhism social welfare corporation which is conducted now. Therefore, This research leads the actual condition analysis of the Buddhism social welfare corporation that is run present and there is a objective whivh presents the development plans of the welfare corporation. And furthermore it is purpose that present plan that can grope social welfare corporation's development hereafter and contribute in buddhism social welfare corporation's development. Examined basic items of the Buddhism social welfare corporation and development plans. The subject of the study are the executives that work in the national buddhism social welfare corporation. There are many limitations to generalize results with the limited data being used in analysis. First of all, the research examined the Buddhism social welfare coporation, the corporations which is registered in The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and then examined to the 45 corporations all. Examined to the 45 corporations all. Investigation period is from April, 2003 to May, 2003. The study shows the corporation's development plan with these results as following. First, the interest regarding the corporation of basic property increases and the corporation excutive of the corporation is increasing to develop. And the social service corporation which is conducted and enforced should encourage the corporation's work and show their interest. Also, corporation officers must know more about the corporation's operation than employees do and participate in welfare service actively. Second, awareness degree about corporation officers social service will have to be high, and may have to heighten corporation's honor and outside trustability. Third, corporation's itself welfare facilities need to corporation's development, and the result that is necessary to Buddhism propagandism is revealed. Fourth, security and preservation of supporters and volunteers are very important in corporation's development. because supporters and volunteers are very important factors to operate the corporation. Therefore, special programs have to be developed for them. Fifth, corporation employee must secure professionalism of social welfare field, and prosper social welfare fiedl of present step still more. The corporation must wupport thing necessary to learn knowledge to emplyees. And have to try to accomplish the corporation's development scientifically. It may become many helps in actual business of emplyees. The following is a problem of employees better treatment. the corporation's development is up to employees. Therefore,the corporation improves better treatment for employees. Therefore, the corporation improves better treatment for employees who have difficulty in life by poor wages and supports and must consider enough so that it may not be difficulty in life. If the corporation's staffs and families are convenient, the corporation is going to develop. Corporation's officer and employees with Buddhism must be united and try in development of social welfare for Buddhism social welfare corporation's development. The Buddhism social welfare corporation must try to increase endowments and elevate the interest about corporation officers and the awareness degree of social services, and must grope for the method to recruit a corporation's account specialist among the auditors to heighten corporation's fairness. It may also have to develop and manage people who wish to support the corporation, and must emphasize volunteer's security and administration. And improve most important corporation's employees the treatment and corporation's employees must use force professionalism of social welfare field and advanced knowledges. If those that are mentioned above are conducted, the Buddhism social welfare corporation is going to develop.

      • 조선후기 보부상(褓負商)의 사회복지적 성격과 기능에 관한 연구

        조영호 동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0671

        The term 'Bobusang' came from Bosang (褓商: peddler with a cloth wrapped bundle) and Busang (負商: peddler with a backpack), meaning merchants who peddled goods in every place around the country. They, as merchants, organized an autonomous organizational system in the form of Gye (契: fraternity) since ancient societies and, during the late Chosun Dynasty, they were organized into a Bobusang group by the government and carried out a wide range of social activities. Relying on various special favors provided by the government, Bobusang attempted to eradicate poverty and social risks. The nature of their social activities was determined by environmental changes in politics, economy and history, and it was closely related with the nature and function of Bobusang and Bobusang group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welfare. Bobusang group was a profit-seeking merchant group by nature but, on the other side, it was a self-help group for mutual support developed spontaneously in the form of fraternity in order to cope with inherent problems, namely, social threats and the desire of survival. These peddlers made their own agreement with the object of relieving peddlers from troubles, establishing hierarchical order and setting merchants' morality and manner (商道), and strengthened the organization by appointing executives and laying down rules.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welfare, Bobusang and Bobusang group were people under social threats in the period of political and social transition, who required the intervention of social welfare.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nature and function of Bobusang in the late Chosun Dynasty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welfare based on their social activities and social relations. For this purpose, the author employed an interpretative research method that explored for the welfare-related meanings of Bobusang activities in the late Chosun Dynasty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explained them.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d the process of Bobusang's social functioning derived from their social nature and relations. Social nature and relations were divided according to time, relation to the government, social status and guild-like nature and Bobusang's social activities were analyzed in detail. In the process, this study investigated social problems and needs recognized by Bobusang as a result of the structuring of numerous environmental systems that Bobusang contacted with, and the characteristics of resources mobilized to solve such problems. Bobusang had pursued behaviors, which had the nature of social welfare, such as mutual support since they organized a group aiming to break away from social threats such as poverty and threats to living, which were social problems in the late Chosun Dynasty. Furthermore, Bobusang's social activities were activated under the special relationship with the government. In the course, they acquired resources necessary for problem solving. Such a process of recognition was regarded as social functioning, and from the understanding the nature and function of Bobusang in the perspective of social welfare were found. Principles leading their organization were strong trust and belief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merchant group as well as among individual merchants. Based on historical documents, the principles may be summarized into faith and justice (信義), which are 'loyalty and justice' (忠義) to the state, 'unity' (團結) of the organization, and 'friendship' (情誼) with others. When the concept of social welfare, which emerged from the modem society, is applied to Bobusang group in the late Chosun Dynasty, it is in accord with the practical concept of faith and justice(信義). Based on this, Bobusang is understood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welfare to have had the functions of mutual support, which were Hwannansanggu (患難相救: rescue each other from disasters), Jilbyeongsangmun (疾病相間: cooperate in coping with diseases) and Samangsangjo (死亡相助: contribute to the expense of funerals) and the function of social control, which was Gyeonghoesangcham (慶會相參: participate all in happy events).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examined the methods of practice based on the nature of Bobusang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welfare. It was to see how the social welfare factors of the group were applied to individuals' practic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allocation, the nature of group, financing, delivery system, types and provision of wage. This study on the nature and function of Bobusang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welfare was focused on introducing relevant affairs, phenomena, functions and systems in the past and rediscovering their meanings in the present day. In addition, efforts should be made to find practical utilities in the nature and function of Bobusang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welfare that are applicable to specific areas today.

      • 무료양로시설 입소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지은주 동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71

        As our society is getting aged rapidly, people are interested in the securities for the aged. The satisfaction related to quality of life for the aged equally applies to the people using the welfare institutions. Normally people think different when it comes to living standards and quality of life related to welfare institutions. However, in reality, there is no difference, rather there is a need to do more in case of welfare institutes as more and more facilities are needed to meet the rapidly aging society. These institutions play a very important role not only supporting the aged in terms of number of institutes that are available, but having good facilities to provide good quality of life to the aged. In order to reach the standards of quality, there are several things related to providing efficient services. The purpose for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to develop services for those residing in the welfare institutions free of cost. This study reflects how the factors in personal, family, social, and welfare facilities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of aged people who stay in the institutions free. This study results from the research conducted from 24th Sept 2008 to 5th Oct 2008 by the 250 aged who live in the 5 free welfare facilities located in Busan, Ulsan, Kyungju in KyungBuk province, and Yangsan in Kyungnam. Out of these only 186 polls were used in the statistics. All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PSS Win 12.0 program with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analysis, t-test, one-way ANOVA, scheffe’s multiple range test. To sum the research up, the result is as following. First of all, I analyzed their general traits with all these factors. In the personal factors, by gender, there are more females in the institutions, by age the majority was between 81 and 85 years old, in terms of education, most of them have no school background, and the people who stays in the religious institutions were satisfied with their religions, and in health wise, they don’t think they are in a good health. In the family factors, the majority was separated by their spouse death. In the society factors, the majority don’t maintain contacts with families, relatives, or friends. In case of worries, agonies, they don’t want to talk with the staffs in the institutions; however they have their close friends in the same institutions. The factors related to facilities, they are quite satisfied with external ( location of the institutions, environments around the institutions, reputation of the institution, the view of institution…), internal environments ( facilities, cleaning, design of the institutions, safety facilities, convenient facilities, heating system, conditions of bedroom), services, and staffs ( eventor programs for them, medical service, foods, standard caring, daily schedule, staffs’level in terms of numbers, quality, intimacy with staffs) Secondly, during this research I have found these factors influence on their living satisfaction. This research shows that these factors make their living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health conditions, gender, age, religions. The result reveal that female, aged and religious and those who think they are healthy tend to be more satisfied with their lives as compared to male, aged, non-religions, and those who think they not healthy. In the family factors, there doesn’t seem to be an influence on the living satisfaction. In the social factors, those who have more contact with families are more satisfied, on the contrary, those who have less contact with friends outside of institutions got more satisfied. However having close friends in the same institutions make them satisfied. In institutions’ conditions factor, I find the highly satisfied in this matter, the higher their living satisfaction is. Third, by this research I find out how these factors influence on the old people’s living satisfaction, the most effective factor in personal factors are age, the second factor is health condition. In the family contact wise, social relation don’t influence on the living satisfaction much. From the facilities aspect, bedclothes influence on their satisfaction much, the next one are heating system, services, and staffs’ hospitalities. As the study above shows us, to improve the aged living conditions, and free institutions’ facilities, the government leads them to modernize andspecialize these institutions by supporting them financially, encourage them to socialize with people like institution’ staffs or friends to achieve these things. Also regularly they need to evaluate them until they are settled down without government control. Additionally we need more facilities to support old people’s health, some better programs suitable for their mental, personal states. 우리 사회의 고령화 현상이 급속도록 전개됨에 따라 최근 노후 생활만족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노인 생활에 삶의 질적인 지표로 여겨져 온 생활만족도의 향상은 시설거주노인이라고 다를 수는 없으며 오히려 노인 시설의 필요성과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시설은 노인 부양의 한 장으로서의 역할을 해야 하며, 시설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입소 노인의 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활동에 더 힘써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무료양로시설 입소노인의 생활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해 개인요인, 가족요인, 사회적 관계요인, 시설 관련요인 등이 입소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함으로써 무료양로시설 입소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서비스를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북 경주시, 경남 양산시 등에 소재하고 있는 무료양로시설 5곳의 노인을 대상으로 2008년 9월 24일부터 10월 5일까지 총 250명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중 186부가 통계에 사용이 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기술통계분석,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다중범위 검정(Scheffe's multiple range test)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무료양로시설 입소 노인들의 개인요인, 가족요인, 사회적 관계요인, 시설 관련 요인을 중심으로 일반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먼저 개인요인으로 성별에 있어 남성보다 여성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은 81-85세가 가장 많았고, 학력은 무학이 과반수이상으로 나타났다. 종교를 가진 노인들이 대부분 종교에 만족하였으며, 노인들 스스로 느끼는 주관적인 건강상태는 ‘좋지 않다’고 응답하는 노인들이 많았다. 가족요인의 경우 대부분이 배우자와 사별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관계요인은 가족, 친척, 시설 외부 친구와는 방문빈도와 전화 빈도 모두 대부분 ‘거의 없음’으로 나타났고, 고민이나 걱정거리를 상의하는 직원이나 시설 내 동료에서도 ‘거의 없음’으로 나타났으며, 시설 내 친하게 지내는 친구에는 과반수 이상이 친구가 ‘있음’으로 응답하였다. 시설 관련요인의 경우 외부환경(입지조건, 외부환경조건, 시설에 대한 평판 및 시각에 대한 만족도)과 내부환경(시설만족, 청결, 전반적 구조, 안전시설, 편의시설, 침실난방, 침구류), 그리고 서비스 및 직원(식사, 프로그램, 의료서비스, 일상적 보살핌, 하루일과, 직원들의 수준 및 질, 직원과의 관계)에 대해 모두 긍정적으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료양로시설 입소 노인들의 개인요인, 가족요인, 사회적 관계요인, 시설 관련요인에 따라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로 개인요인에서는 성별과 연령, 종교, 건강상태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여성노인이 남성노인보다, 종교가 있는 노인이 종교가 없는 노인보다, 주관적으로 건강하게 느끼는 노인이 그렇지 못하다고 느끼는 노인보다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가족요인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관계요인에서는 가족과의 전화 빈도가 많을수록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반면, 시설 외부 친구와의 전화 빈도는 적을수록 만족도가 높고, 시설 내 친하게 지내는 친구의 수는 많을수록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시설 관련요인에서는 외부환경, 내부환경, 서비스 및 직원의 만족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외부환경 및 내부환경, 침실(방)의 난방, 서비스 및 직원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요인, 가족요인, 사회적 관계요인, 시설 관련요인에 따라 무료양로시설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한 결과, 개인요인에서 생활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 그 다음이 건강상태로 나타났다. 가족요인과 사회적 관계 요인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나타나지 않았으며, 시설 관련요인은 침실(방)의 침구류 만족도가 생활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이 침실(방)의 난방 만족도, 서비스 및 직원의 만족도 순이었다. 이상에서 확인된 결과에서 무료양로시설 입소 노인의 시설 생활의 만족도를 높이고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대책으로 정부에서의 재정적인 지원과 시설의 현대화와 전문화를 위한 시설지원이 필요하고, 입소 노인을 둘러싸고 있는 사회적 관계에 대한 적극적 활용과 이를 위한 주기적인 재사정과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며, 시설 노인의 건강상태 증진을 위한 시설개선 및 입소 노인의 심리적?성격적 특성에 적합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져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