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에 관한 연구

        장동숙 대불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연구는 장애아를 둔 부모와 비장애아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통합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견해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광주 광역시의 공.사립 유치원, 어린이집, 특수유치원 및 특수 어린이집에 다니고 잇는 유아들의 부모 200명을 단순 무작위 표집 방법(simplerandom sampling)으로 선정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이루어졌다. 먼저 10개의 공.사립 유치원 및 어린이집과 특수유치원 및 특수 어린이집 유아의 부모 5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pre-test)를 실시하여 설문내용을 수정.보완한 후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연구대상자를 직접 면접하여 응답자 200명중 불성실한 응답자를 제외한 총 196명의 설문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따. 수집된 자료를 부호화(conding)와 입력 작업을 거친뒤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windows 10.0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빈도 분석 (Frequency Analysis), ?-검증 t-test를 실시하였다. 본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 본연구 대상자들은 여자의 비율이 남자보다 ?았으며, 30대가 가장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수는 아들과 딸이 각각 한명인 경우가 가장 ㅁ낳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 학력 수준은 대학교(전문대) 졸업 (중퇴) 자가 가장 ㅁ낳았으며, 부모의 수입은 200만원 이상- 250만원 미만이. 부모의 직업은 주부를 포함하여 무직이 가장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장애아 부모와 비장애아 부모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장애아부모와 비장애아 부모 모두는 동일한 교육환경 속에서 동일한 교육을 받는 교육환경에 대해서 찬성하고 잇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 났다(p<.001).부모교육 유형은 장애아 부모는 수업참관을, 비장애아 부모는 부모교실을 가장 원하고 잇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1). 일반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교육 가능한 장애정도를 비장애아 부모의 경우 타인에게 피해를 주는 부적절한 행동이 없는 정도를. 비장애아 부모는 이해 언어정도 및 간단한 지시 사항을 따를 수 잇는 정도로 인식하고 잇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1) 통합교육 시 해결해야 할 과제는 장애아와 비장애아 부모 모두 정부의 행정적.재정적인 지원을 가장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로 생각하고 잇으며, 이는 통게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1). 3. 통합교육관련 변인 통합교육의 효과를 장애아 부모집단이 비장애아 부모집단보다 더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1). 교사의 역할을 장애아 부모집단이 비장애아 부모집단보다 더 필요로 하고 잇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따(p,0.05). 통합교육 관련 변인들에 대한 종합은 장애아 부모 집단이 비장애아 부모집단보다 더 필요로 하고 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본 연구를 통해서 발견된 사실은 장애아 부모가 비장애아 부모보다 통합교육에 대한 관심과 지지도가 더 높았으며, 실제 통합교육을 실시할때 비장애아부모의 적극적인 참여와 편견 없는 사고가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장애아와 비장애아부모들 모두 통합교육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국가의 다양하고 적극적인 지원을 원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에 대한 실태조사 뿐만 아니라 통합교육의 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 추후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통합교육을 통하여자애아와 비장애아간의 이질감을 감소시킬수 있는 보다 심층적인 변인들을 밝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parents who had disabled or non-disabled children perceived integrated educa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00 parents who were selected by simple random sampling from public kindergartens, private kindergartens, daycare centers, special kindergartens and special daycare centers in the city of Gwangju. Afer interviewing them with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answer sheets from 196 parents were analyzed. The collicted data were encoded and analyzed with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Windows 10.0 program The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 test and t-test were employ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Among the parents investigated, the women outnumbered the men, and the largest group of them were in their 30s. As for the number of child, the largest group had a som or a daughter only, and by education, the greatest number of them graduated or dropped out from universities or two-year colleges. The most common income range was 2 to less than 2,5 million won, and the greatest group of them were unemployed, who included homemakers. 2. Perception of In tegrated Education The parents agreed to have both disabled and non-disabled children receive the same education, and this finding was significant(p<.001). Concerning their favorite parent education type, the parents with disabled children wanted to visit a class at work the most, and the parents with non-disabled children preferred parent classroom the most. Those findings were significant(p<.01). As to the content of parent education, both parent groups hoped to learn how to improve life skills the most, and the findings was significant(p<.001). Regarding what types of disabled children could be educable at regular kindergartens, the parents with disabled children thought that they should behave properly not to do damage to others, and the parents with non-disabled children believed they should be able to understand what others say As for the most urgent task to be handled in integrated education, both parent groups thought that the government should waste no time in providing administrtive and financial supports, and the findings was significant(p<.01). 3. Variables Linked to Integrated Education The parents with disabled children had a higher opinion about the effects of integrated education than tie others with non-disabled children, and the gap between the two was significant(p<0.01). The former group gave more weight to teacher roles than the latter and the gap between the two was significant(p<0.05). And the former placed more stock in overall variables associated with integrated education than the latter, and the gap between the two was significant(p<0.05).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uggested that the parents with disabled children were more interested in integrated education than the others with non-disabled children and the former gave more suppert to that. Moreover, they believed that parents with non- disabled children should be involved with integrated education without having no prejudice against it .Both groups had interest in integrated education and expected more support from the nation. Based on the above-mentioned findings, there are some suggestions about future research efforts: First, what effects integrated education could produce should exactly be studied. Second, how integrated education could contribute to narrowing the distance between physically challenged and non-disabled children should be identified

      • 지방 신학교의 역할과 육성에 대한 방안

        최기진 대불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63

        A Study on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Facilities for Urban Living Environment (focused on the Locations of the Provincial Office in Our Coun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level of urban living environment facilities in 10 cities, including 9 locations of the province office, and Mokpo city, the expectant hinterland of the Chonnam provincial offic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urban living environment facilities, according to 5 analysis indicators including traffic/transportation, urban space, distribution/supply, public culture, and health/sanitation, and according to each individual indicator.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bove all, the following are the analysis of urban living environment facilities according to each city. First, in case of large or metropolitan cities, as the locations of the provincial office, traffic/transportation, urban space, and public culture facilities are of low level, but distribution/supply facilities are of high level, whereas, in case of small and medium cities, or new planned cities, vice versa. Second, in case of Suwon, all the sectors except health/sanitation facilities are high, whereas, in case of Gwangju and Daegu, which are metropolitan cities as well as the locations of the provincial office, traffic/transportation, urban space, and public culture facilities are comparatively low. Third, although, in case of Daejeon and Cheongju, as the hubs of transportation in our country, traffic/transportation and distribution/supply facilities should be relatively high,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low. Fourth, in case of Chuncheon and Jeonju, as the location of the Gangwon and Chonbuk provincial office, where their history has been long but the growth of their scope and population has been stagnant, most urban living environment facilities are lower than those of any other cities, so that they need the more positive development in terms of urban development. Fifth, as, in case of Changwon, where the Gyeongnam provincial office has been moved, its urban foundation facilities are not yet poorer than its administrative foundation facilities, in case of Mokpo, as the expectant hinterkand of the Chonnam provincial office, its urban foundation facilities should be established in advance. Also, in case of any other expectant provincial office locations, with the diffusion of urban functions such as administration, industry, and population, the establishment of urban foundation facilities is essential. Sixth, in case of Jeju, as the administrative center of Jeju province, where its urban planing and urban foundation failities have been established in order to develop its sightseeing city rather than its administrative city, its urban foundation facilities are comparatively high.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among composite index, urban living environment facilities, urban population, and urban size, composite index has the high correlation with traffic/transportation, urban space, and public culture sector, so that the higher composite index is, the higher urban living environment facilities are. On the other hand, urban population has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distribution/supply and health/sanitation sector, so that the higher urban population is, the higher urban living environment facilities are. On the other side, urban population has the negative correlation with traffic/transportation and public culture sector, so that the higher urban population is, the lower urban living environment facilities are. Urban size has the negative correlation with composite index, traffic/transpotation, urban space, distribution/supply, and public culture sector, so that the higher urban size is, the lower urban living environment facilities are.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as the provincial office is located, owing to he concentration of population, administration, and industry, urban diffusion has the negative influence upon the level of its urban living environment facilities, so that rather than the diffusion of urban scale, the establishment of its urban living environment facilities in its optimum scale is important.

      • 초등학생의 올바른 정보 통신 윤리 의식 함양을 위한 분석 및 연구

        김현영 大佛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9647

        정보사회에서 윤리적인 정체성 상실로 인해 발생하는 역기능을 극복하고, 바람직한 정보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정보 사회에 맞는 윤리 교육이 필요하다. 이러한 정보 통신 윤리 교육은 미래 정보 사회를 이끌어 나갈 주인공을 길러내는 초등학교에서부터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정보 통신 윤리 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정보 통신 윤리 교육에 관한 내용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최근에 이르러서야 정보 통신 윤리 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어 지금부터라도 윤리 교육을 초등학교 때부터 철저히 해야 하겠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정보 통신 윤리 의식의 실태를 알아보고 이러한 학생들의 정보 통신 윤리 의식을 함향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해 보았는데 연구결과 초등학생들의 정보 통신 윤리 의식은 우려하는 만큼 심각한 상태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점점 인터넷 이용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추세에 있고, 학생들의 인터넷을 이용한 활동이 온라인 게임이나 메일 교환 등으로 대부분 이루어지고 있어 초등학생들의 인터넷 이용에 대하여 사회적인 관심을 많이 가져아 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부정적인 측면을 강조하여 인터넷 이용을 제한한다거나 반대로 긍정적 측면을 과장하여 과도하게 이용을 부추길 필요는 없다. 이용률은 계속해서 증가할 것이므로 오히려 강조해야 할 부분은 이린이들이 자율적으로 인터넷을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일일 것이다. 컴퓨터를 건전한 활동에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도록 하는 데 더 초첨을 맞추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교사와 학부모가 함께 정보 통신 윤리 의식의 함양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잘못된 정보 통신 윤리 의식 때문에 PC방에서 밤을 세워 가며 게임을 하고, 여가 시간이면 텔레비전이나 컴퓨터 게임에 빠지고, 신문이나 방송을 통하여 사이버 성폭력, 사이버 범죄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현실에서 어린 학생들이 잘못된 윤리 의식을 갖지 않고 올바른 윤리 의식을 갖고 컴퓨터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가정과 학교에서의 교육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먼저, 가정에서 부모들은 아이들을 먼저 이해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자녀들이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 의식을 공유하려는 자세가 필요하고 세상을 보는 안목과 균형감각을 익히기 위하여 함께 게임도 하고 학습 자료도 찾는 노력을 해야 하며 교사들도 그들의 관심이 무엇인지 알려고 노력하고 그들의 문ㅅ화를 이해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둘째, 사이버 상의 예절 지도 및 국어 교육이 필요하다. 게시판에 욕설이나 비방, 사실이 아닌 이야기를 26.7%의 어린이들이 올린 적이 있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채팅할 때에도 욕설이나 거짓말을 사용한 경험이 있는 어린이가 31.5%로 나타나 온라인상에서의 예절도 오프라인 상의 예절만큼 중요함을 일깨워 줘야 하겠으며 잘못된 용어의 사용으로 맞춤법이 맞니 않는 글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어 이에 대한 지도가 시급하다고 생각된다. 셋째, 컴퓨터 이용을 위한 가정 수칙을 자녀와 함께 정해보고 컴퓨터 사용 일지 쓰기를 생활화하도록 해야 한다. 학생 자신이 컴퓨터 사용 능력과 상태를 파악하고 스스로 절제하는 노력이 중요함을 알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컴퓨터 게임 몰두로 인하여 현실 상황과 혼동하거나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절제하는 능력도 길러주어야 하겠다. 넷째, 컴퓨터 관련 교육과정 운영을 통하여 컴퓨터 활용보다는 정보 윤리 교육에 비중을 두고 지도해야겠으며, 특기 적성 교육활동을 강화하고 정보화 관련 교육 행사를 활성화하되 정보 통신 윤리 교육에 관한 내용을 반드시 포함하여 운영하도록 해야 하겠다. 정부는 어린이들이 사이버 중독에 빠지지 않도록 사전에 방지하며 유용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마련하여야 하며, 우선 학교에서의 올바른 컴퓨터 활용에 대한 교육 시간 마련을 제도화하여야 하겠다. 다섯째, 학교 홈페이지나 학급 홈페이지를 어린이들과 함께 운영하고 E-mail을 자주 주고받거나 대화방에서 함께 대화를 하는 등의 함께 참여하는 장을 마련하고 서로 정보를 공유하려는 노력도 필요하다. 교사와 어린이 모두 사이버 공간에 대한 긍정적인 마인드를 갖고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함께 만들어야 할 것이다. 학교나 학교 내 동아리 홈페이지 만들기, 추천하고 싶은 사이트 등 학생들과 함께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청소년들에게 컴퓨터를 이용한 유익한 정보 활용과 프로그램에 대해 교육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도록 해야 하겠다. 어린이의 올바른 컴퓨터 활용을 위한 "가족 홈페이지 만들기", "정보사냥 대회", "학교 또는 학생 홈페이지 전시회" 등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여 게임 이외에 컴퓨터를 활용하여 다양한 활동을 펼칠 수 있도록 행사 등이 마련되어야 하겠다. 여섯째, 가정과의 연계 교육을 통해서 사이버 공간에서의 청소년 문화를 부모들에게 인식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인터넷의 장단점을 알리고, 평생 교육 차원에서 학교에서 학부모 교육을 강화하여 실시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컴퓨터를 사용하지 못하거나, 올바르게 사용하지 못하는 부모를 대상으로 가정에서의 컴퓨터 사용 지도를 위한 부모교육을 강화해야 하겠다. 일곱째, PC방 업주는 청소년 보모법을 준수하여 오후 10시 이후 청소년의 출입을 철저히 제한하도록 해야 하며, 청소년이 장시간 PC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주의를 환기시키는 등 관심을 가지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며 이들에게도 정보 통신 윤리 교육을 받도록 해야 하겠다. We need the education for the moral in society because we have to overcome the malfunction that is happened by the loss of moral identity and keep up with the information society. Such an education for the communication moral should be completed but, in a seventh education curriculum announced by Government, we are not aware of the importance about it and it is not practiced sufficiently. Get to recently, the importance of it has been emphasized, so from now of we must thoroughly instruct the educatio for the moral in elementary school. Generally, elementary students are deficient in a consciousness or a critical response ability in the aspent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t is more easy for the children to be fragile to the malfunction of the information and the communication technology. It is as important to take care of children from the dysfunction of it and protect them from the harmful circumstance on-line as teaching computer. In this thesis, We analysis the problem by investigation about the actual condition of the communication moral of the elementary students and propose the plan to solve this matter. We worried the communication moral of stydents in the elementary schools. However, Internet use is increased dramatically and Internet use of students almost is done by on-line game or e-mail. So we should be more socially concerned about the use of Internet for the students. But, we don't have to limit Internet use by emphasizing malfunction and promote Internet use by emphasizing positive side. The use-rate of Internet will incresc continuously, so we should instruct the students to use Internet by themselves. We have to focus on searching for a correct way to use compiter. To accomplish it, teacher and parents should try to build the communication moral. Because of the wrong communication moral. children are playing a game all night long in PC room, falling into TV or computer game in spare time, cyber sexual violence and crimes are increased, It is very important and essential for home and school to educate a correct computer uses with the cpmmunication moral.

      • 기본생활실천 집단상담 프로그램 활용이 중학생의 양습관 형성에 미치는 효과

        안진수 대불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연구는 목포지역 중학교 남학생 320을 대상으로 기본 생활 질서와 태도의 변화에 대해서 조사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고, 효과적인 지도 방법을 모색하는데 역점을 두었다. 오늘날 급격한 사회적 변화로 인한 가치관의 혼란은 청소년들의 사고와 행동에 큰영향을 주어 건전한 사회 적응력과 도덕적 가치관이 형성되기 어려운 현실에서 더욱더 인간교육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청도니다. 따라서 학교 교육의 내실화로 긍정적 자아개념 형성, 인성도야, 민주 시민 의식을 함양하고 계몽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게 되었다. 첫째, 자기 지도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방법으로 주간 바른생활실천기록부 활용및 명상의 시간의 효율적 운영을 통해 학생들의 가치관 변화가 되고 있는가? 둘째, 의도적이고 계획적으로 고안된집단체험 활동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기본적인 양습관을 향상시키는데 어떤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본연구 결과 학교생활의 자율 규범 면에서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되었고, 계속적인 경험을 체득하기 위한 자율능력 함양지도가 뒤따라야 한다. 주간바른 생활 실천기록부실천 내용에는 사소한 사항도 지켜지지 않고 있음도 나타났다. 효도 방학에 나타난결과물은 교육청 홈페이지에 탐재하여 청소년들에게 정서적 도움이 되도록 했고, 명상의 시간은 정서 순화와 정신 수양에 영향을 주었다. 야영 단체 활동은 호연지기를기르고 공동체 의식 함양. 생활 예절 습관화와 더불어 장애인 시설 봉사체험학습에서 얻은 이타심, 협동심의 느낌을 지속적으로 실천하겠다는 학생들이 다수 나타나고 있음은 긍정적인 변화로 볼 수 있다. 학생들의 올바른 성장과 발달으르 위해서는 가정.학교. 사회가 유기적인 관계를 형성해야 한다. 학교는 성적 중심의 학생이 아니라 바른 인간성을 가진 인간을 기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며, 사회는 21세기의 주역이 될 우리의 청소년들이 바른 인성과 꿈을 가질 수 있도록 많은 관심과 사랑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이에 학생들이 자기점검 수행과 체험활동에 일시적으로 참여했다고 하여 습관화되는것은 아니므로 지속적인 프로그램 개발과 교육이 필요하다. 인간은 어린 시절의 경험으로 도덕적 규범이나 정의적 특성의 원형을 이루면서 인격 형성의 대부분을 완성해가고 있기 때문에 올바른 품성과 기본 생활 태도를 내면화시키는 교육이 가장 우선되어야겠다. 바람직한 교육활동과 학생들의 밝고 명랑한 웃음이 살아 있는 학교를 만들기 위해서는 주체로서의 교사를 바르게 바라보는 사회의 시선과 사람의 됨됨이를 소중히 여기는 교육정책이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investigation of changes in life attitudes 320 students in boy;s middle schools in Mokpo. by analysing these results and then inquiring the effective methods of teaching hte students. Nowadays. the confusion of the students; viewpoint and values are caused by the rapid changes in society and therefore have and calues are caused by the and actions a lot. I t is demanded that teachers must teach human deucation to the students more and more for their sound and social adaption and moral viewpoint of calu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let students have positive self-concept and cultivate their human nature and democratic citizenship. The problem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are the students; viewpoint of values changing them through putting the record book of performing right things on weekdays to practical use and effective management of meditational periods in order to foster their self-guidance ability? Secondly, what kind of influences do the group experience and activiti s have designed intentionally on improving students' basic good habits? As a consequence of this study, students' behaviors are getting better and better on the aspects of autonomous prescription of school life. Students should be taught to foster their autonomous abilities in order to learn through continuous experiences. Some students didn't even keep triveal things in their record boods of performing right things on weekdays. The things resulted from filial duty vacation were loaded on the Modpo Education Office's gomepage to gelp the students emotionally. The periods of meditation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students emotional purification and improvement of their mind. Group camping activities revived students of their exgausted energy levels and cultivated the community consciousness.It was a positive change for a lot of students to be willing to practice altruistic and cooperative perseverance mind continuoulsy learning from serfice activities schools and society have to be connected organically forstydents' right humanity. If the society gives many concerns and love to the students. they will have the rihgt attitudes and dreams to be the leaders in the 21st century. Students' self-check performances and temporal participation of experiencing activities are not so effective. It is very important to educate the students and develop the programs continuouly . The most part of the humman beings' personalities are composed of moral prescriptions and emotional specific characters which were learned through their childhood experiences. We should focus on the deucation which mades students have where students enjoy their school lves and desirable education activities. educational policies should be centered on raising the students who have good personalities and teachers should be treated as the 'subject of education in society.

      • 유대인 교육과 현대교육의 비교 연구

        박희숙 대불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47

        In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we had many extreme changes in politics, economy, and education as well. Also, we could found that there were new human education movements gere and tere separated from still authoritarian and cramming way of teaching, thinking and creating more freely, overcoming their respective destinies and educators having sound and strong wills for a revolution of education. We call it as a new education movement, and today, although the evaluations to that are not always positive, it certainly has remarkable contributions to establishment of contemporary education with a decisive role of guiding for the 21st century's education policies. The contemporary education is so proud of its brilliant developments due to lots of researches of leading countries. It had even conquered the Moon, but not the human's mind. How can we develop a education for the whole man? This is Moral development education. For helping a person live as the whole mand in his or her life, we should have homes, schools. and communities taking their parts well. The Parents have to be responsible to their children's spiritual and moral quotient, the Schools to the Cognitive development education of their pupils. and communities to the Human relationship of Leadership training. Among the triangle education model proposed right above, we gave ever so focused on school-side education resulting in far more social side effects than the past. The Jews bring up their children regarding the triangle model of deucation, and especially to the religious one at home. What is their textbook used at home? That is the Talmud which is the secret of genius education of them. The godly education-The wisdom education- is based on the Bible. After all, they have done a lot of contributions to the development of human being gistory. In short, finding the superiority of education ideology The Jews have, that is the purpose of this thesis.

      • 實業界 高等學校 컴퓨터 敎育의 改善 方案에 關한 硏究

        김수목 대불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47

        컴퓨터와 정보통신의 출현과 발전은 모든 산업 분야에서 비약적인 발전을 촉진하였고, 학교에서의 컴퓨터 교육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차지해가고 있다. 특히 실업계 고등학교의 컴퓨터 교육은 사회현장에서의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어서 사회에 적응할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데 역점을 두어야만 한다. 즉, 사회에서 요구하는 실업계 고등학교의 컴퓨터 교육이 국가 발전과 직결되는 중요한 과제이기 때문이다. 이에 교육의 본질은 완전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그 능력을 향상시키고 미래 사회를 준비하여 자랑스런 문화유산을 계승발전시켜 풍요로운 사회를 만드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업계 고등학교의 컴퓨터 교육의 실태를 파악하여 문제점을 제시하고 그에 따른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여 현대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전문 인력을 배출 할 수 있는 실업계 교육이 될 수 있도록 기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컴퓨터 교육의 이론적 고찰은 선행된 논문과 문헌을 통해 알아보았고, 실증적 연구로는 전라남도 내에 소재한 실업계 고등학교 10개교에 대해 교사 40명과 학생 193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실업계 고등학교의 컴퓨터 교육에 관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컴퓨터 교과 과정에서 사용되어지는 교재에 있어서 교육 현장에서 교육하는 교사들에 의해 직업 개발되어진 교재를 사용할수 있도록 방향 전환을 해야 한다. 그리고 실기 교과목의 교재 개발도 현실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로, 고등학교 졸업 후 사회에 진출하는 학생들에게 그 실력을 인증할 수 있는 자격증 취득을 위한 교육이 학교 교육과정에서 주도적으로 이루어져야만 한다. 사설 교육기관에 의해 이루어지는 교육이 폐해를 막고 학교 교육의 실질적 정상화를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겠다. 셋째로, 급변하게 발전하는 컴퓨터 분야의 학문을 최첨단에서 습득하고 교육에 응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이고 계획적으로 컴퓨터 교사들에 대해 연수가 이루어져야만 한다. 현재 각 교육청별로 많은 컴퓨터 교육연수과정들이 있지만 컴퓨터 교과 교사들에 대한 연차적이고 체계적인 단계의 연수 교육이 없는 실정이다. 일선 학교에 아무리 좋은 환경과 컴퓨터 기자재를 보유하고 있어도 이를 교육할수 있는 교사의 수준이 맞추어 지지 못한다면 교육의 질적 향상은 기대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넷째로, 컴퓨터 교육 과정이 새로 만들어지고 교사들에게 많은 연수를 통해 교육의 질을 높이고자 하더라도 컴퓨터 교육을 위한 교육용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이 이루어지지 못한다면 교육 현장에서의 교육이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이다. 다섯째로, 질 높은 컴퓨터 교육을 위해서 사용되어지는 장비도 충분히 갖추어져야만 한다. 특히 컴퓨터 주변장치에 대한 수요조사를 통해 필요 장비를 구비한 상태에서 다양한 수업 형태가 진행 되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정부의 재정적 지원과 제도의 개선및 학교 차원에서도 긍적적인 태도와 관심, 그리고 교사들의 노력이 필요하다. ABSTRACT The appearance and improvement of computer and informational communication have made every industry develop fast, and computer education at school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Computer education at vocational schools should be focused at developing its students' abilities ti adapt themselves to society because it is closely related with their social life. The reason is that the computer education demanded by society affects the country's development directly. Accordingly, the essence of education is to make one improve his/her ability so that one can live completely and it rests in succeeding ti our brilliant culture and preparing an affluent society in the futur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find out the problems of the computer education at vacational schools, to study the desirable ways for the education, and to help the vacational education bring up many specialists needed in modern society. I have studied computer educational theories from many papers and books, and analyzed the educational states of 10 vocational high schools in Jeonnam Province through 40 teachers and 193 students. The efficient ways of computer education at vacational schools acquired from this study are like these; First, it should be allowed for teachers to use the text books developed by themselves in computer classes. And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them to develop practical texts. Second, the practical education should be given to students so that they may get qualifications with which their abilities will be recognized by society after graduation. This is necessary to prevent the bad effects by private education facilities and to restore public educational system. Third, training courses for computer teachers should be done consistently and systematically, which can make them obtain the most advanced computer knowledge and apply it to their teaching. In fact, many courses supplied by educational offices has not given to computer teachers annually and systematically. Although a school has a good educational environment and computer facilities, we can't anticipate quality advancement in education without the proper teachers' level. Fourth, new computer curriculum and teachers' training courses would not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if educational program were not developed and spread widely to educational field. Fifth, many instruments for a quality computer education should also be supplied. Above all, various classes should be done also be supplied. Above all, various classes should be done with the necessary facilities through the research for the demand of computer surroundings. To achieve these, the financial support of the government, the positive attitude and concern of the school, and the teachers' efforts are needed.

      • 미술지도에서의 ICT 활용방안

        문태홍 대불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47

        21세기 정보화 사회는 부가가치가 높은 정보산업이 주가 되는 사회이다. 정보화는 대부분 컴퓨터의 이용으로 실현된다. Internet등을 이용한 ICT활용 교육의 영향이 미술의교육에까지도 밀려오고 있다. 미술교육은 미술을 통한 인간교육이다. 미술교육이 조형적기능이나 교양적 지식을 전수하는 과정에만 머물것이 아니라 미적정서를 기르고 창조성을 개발하여 환경을 미화하고 개선해 나갈 수 있는 인간성을 기르는 것이다. 미술교육에서도 ICT를 활용하여 학습내용을 적절하고 다양하게 반복적으로 제공하여 준다면 학습자를 학습목표에 도달할 수 있게 하는 유용한 방법의 하나가 될 수 있다. 많은 교사들이 개발하여 놓은 컨텐츠를 단원별 ICT활용을 위한 프로그램별로 분석하고 투입시기를 적절하게 판단하여 교수-학습에 투입함으로서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다. 학교에서 교수·학습활동을 수행할 때 미술교과 특성상 시간과 공간의 제약으로 아름다움을 느끼며 향유할 수 있는 심미적인 태도를 기르는데 방법상의 한계를 드러낼 수밖에 없다. 교사는 학습자들에게 다양한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해주고, 학습자가 스스로 탐색해 갈 수있는 과정을 유도해주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는 이러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학습자에 대한 배려가 매우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표현학습에는 프레젠테이션과 홈페이지를 만들어 적용해 보고, 감상(미술사)분야에는 Internet을 이용하여 수업에 투입해 보았으며, 형성평가부문에는 자료실과 카페를 이용하여 온라인상에서 문제를 풀고 바로 그답을 알 수 있도록 하였다. 미술지도에서 ICT를 개발하여 일부 단원을 적용한 결과 표현학습과 동기유발에서는 가독성이 좋은 프레젠테이션이 효과적이며, 감상 및 형성평가 부분은 Internet를 이용한 학습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술교육에서 ICT를 활용하여 지도함으로서 대다수 학생들이 미술효과에 흥미와 관심도가 상당히 높아져 미술효과에 효과적인 수업방법의 도입이라 할 수 있었다. 현장 적용을 실시한 결과를 토대로 문제점을 탐색해 그요인을 고려하여 제작한 자료를 수정·보완하면 좋은 지도 수단이 될 수 있겠다. 앞으로 ICT활용 수업을 위해 동영상 자료 및 애니메이션, 3차원의 공간에서 미술품을 감상 할 수 있는 3D프로그램을 이용한 자료개발에 관심을 가지고 노력해 보고자한다. 이러한 연구가 계속되어 현장에서 활용 할 수 있는 다양한 자료가 개발 될 수 있기를 바란다.

      • 청각장애학교 유치부 학교수준 교육과정 개발 연구 : 제7차 교육과정 중심

        김미정 大佛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9647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rm the school level educationl curriculum for the hearing-impaired children. This curriculum should be formed in the field of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 educational philosophy and theory i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The specific goal of this study is to try to search for an identity of the childgood special education. Furthermore, to identify the differences and the common features between the normal kindergarten curriculum, and the childgood special curriculum by arranging the aim of the fundamental principles and characteristics i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A new standard for the concrete curriculum of the gearing-impaired child will be presented by this study. The 7th curriculum is a student -oriented curriculum, adjustment of the correlation between a universality of the national education and a speciality of the special education. Therefore, the normal class situation is a very important varible in the practice of the disabled child's curriculum, The hearing-impaired child's speciality should be grafted on a universality of the normal childgood education in the gearing impaired children's educational curriculum.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normal childgood education and the special vhildgood education. Conventionallh, THe method of the play-oriented education was considered important and the method of teacher-directed gas been rejected in the normal childgood education. The method of the teacher-directed education rather than the play-oriented education in the handicapped children education was preferred in order to overome of the disability. But, Nowadays the normal childhood education and the special childhood education persue common features rather thn different features, That is to say, It is emphasized that the disabled child and the normal chid should be educated on the same princiloes aimed at social life. Therefore,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new school level special childhood curriculum model that is grafted on the basis of basic principle of the normal childhood curriculum, For the hearing-impaired children, the communicative education, the healing educational activity, and the indibidual education ought to be added to the hearing-impaired curriculum, The aim and the contents of the normal school level curriculum, in the hearing-impaired kindergarten curriculum, was made after reviewing the aim of a health life, a social life, a expressive life, the language life, and the inquiry life . To do this, The annual teaching-learning plan and the weekly educational activity schedule are presented in this study. But, A concrete feature of this work is probably deficient in sense of the applicability to the other special class situation. It is imitated by the formative criteria in the present curriculum and mostly could not freed from the theoretical boundary.

      • 집단상담을 통한 고교생의 진로의식 효과 분석

        김병인 大佛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9647

        This study was to promote the carer awareness of high school students applying it to the group counseling programs developed after practicing following study subjects; First, how can we develop the group counseling programs suitable for high school students? Second, how can we apply the proud counseling programs developed to them? This is an outline of study. First, as the results of study about the purposes of career education of each grade and high school in general, sever domains could be classified as the purposes of career education of each grade in high school; self-understanding, world of work, positive attitude of work, ability of making decision, human relations, economic aspects of work and job, educational aspects of work and job. Second, the result o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group counseling programs of career education thirteen times was very effective after practicing Mind Development Programs, Values Clarification Programs, Searching Programs for Career Decision, Improving Programs of Human Relations Abilities. Third, group counseling through small-group activities could bepracticable effectively as scheduled, the programs postponed due to the school regular event(for example, school trop or regular exams), holidays and so on were replaced the next week. Fourth, helpers could practice the programs easily by using the guidebook of career education group counseling expressed the purpose of the programs, preparations, the processes of activities, entire orders, remarks, and the reference materials could be used at ease. Fifth, the result of group counseling after division of 39 studentsinto 3 groups could make them understand well, become intimacy with each other and create an atmosphere to arouse interests. But there was also an opinion that they were uncomfortable with too many participants. Sixth, two parts of attitude and ability in caeer awareness maturity test were examined. The way of examination was standardization test by paper after the organization of experimental class and compare tive class,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result was tested using SPSS/PC, a computer program. Seventh, after the questionnaires of above programs was given to the students of experimental class who took part in the group counseling of career dedication, many students showed the affirmative responses that the programs were interesting and useful to them, especially that they could realize self-understanding, world of work and so on through group counseling. Some students, on the other hand, complained of not having their free time because of the application of these programs after school.

      • 初等敎師의 INTERNET 活用敎育 實態 및 改善方案

        정일영 大佛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인터넷 활용 교육 실태를 조사하여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바람직한 인터넷 활용 교육 활동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교육 정보화 사업의 추진 결과로 모든 초. 중등학교에 컴퓨터가 보급되었고, 학교전산망이 개통되어 시행 중에 있다. 이제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실에서도 인터넷 활요이 가능해짐에 따라 인터넷의 활용 실태를 조사하여 보다 나은 방향을 제시할 필요성을 갖게 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활용 교육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려 함에 잇다. 연구 목적을 당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교에서 인터넷을 활용하기 위한 제반 물리적 여건은 인터넷활용 교육에 적절한가? 둘째, 초등교사의 평상시에 인터넷을 활용하는 영역과 수준, 연수에 대한 생각은 어떠한가? 셋째, 인터넷을 교수.학습에 얼마나 활용하고 있는가? 넷째, 인터넷의 교육적 활용상 나타나는 문제점과 개선 방안에 대한 생각은 어떠한가? 이론적인 배경으로서 인터넷의 교육적 잠재력, 교육에서의 인터넷과 활용, 웹기반 교육과 구성주의 초등교육에서의 인터넷 활용에 대한 이론을 살표보았다. 목포와 그 인근 지역인 무안, 영암에 위치한 15개 학교의 ?으교사들을 상대로하여 249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235부를 회수하여 응답에 대한 기재가 불분명한 5부를 제외하고 230부를 분석하였다. 인터넷 활용 교육을 위한 교실 컴퓨터의 성능, 평상시 초등교사의 언터넷 활용 양태와 수준 교수. 학습활동에서 인터넷의 활용, 인터넷의 교육적 활용상 나타나는 문제점과 개선점에 대한 의견 등을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을 활용하기 위한 여건은 비교적 잘 갖춰져 있으나 컴퓨터 관련 시설을 차츰 업그레이드 시켜야겠고 특히 군지역의 영상매체를 대형화면으로 교체해야한다. 둘째, 초등교사는 인터넷을 활용을 위한 연수에 적극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으며 그 욕구를 충족시켜주기 위해 쌍방향 작용적 원격연수를 강화하고, 잡무를 줄이거나 표준수업시수를 마련하여 인터넷을 활용한 수업 준비 시간을 확보해 주어야 한ㄷ. 셋째, 컴푸터실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수업 방법이 적용되고 있었고 인터 넷에서 얻은 정보는 수업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었다. 또 인터넷 활용 수업의 효육 및 효과는 비디오 자료, 사진, 삽화, OHP나 실물화상기를이용한 학습보다는 더 높고 학생들의 반응도 긍적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수업에 활용할 인터넷 자료의 활용가치나 그 전망에 대해서는 대다수의 교사가 높거나 밝게 바라보고 있었지만 인터넷의 교육적 활용시 역점을 둬야할 것은 장비와 회선 속도 향상에 노력해야하고 관련장비 고장시 신속한 수리가 이뤄져야한다. 또 인터넷을 활용한 수업의 질 개선을 위해 인터넷 자룔를 개발하여 지속적인 보급을 해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ydy is to investigate the realities of primary school teachers' practical usage of internet and to indicate its appropriate way to improve the actual usage of it in the clasroom. As a result of promoting the Educational Information project, every school(including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was provided with computer systems and is operating them through the schools' into its practical usage and to propose better directions of i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way to improve the internet usage educa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 have set the below issues. First are the primary schools' physical circumstances suitable for using the internet in the classroon? Second, what are the primary school teachers' usual/ordinary fields and levels of using internet? Also, what are their thoughts about training progrms? Third, how much do they apply internet in the actual teaching and learning? Last, what are their thoughts about the problems of the usage of internet and plans for its improvement? Theoretically I went over the educational potentiality of internet. educational internet usage, web-based education, constiutionalism and internet usat\ge in primary education. I've done a research through a poll based on the related questionnaires handed oty to the teachers located at Mokpo. Muan and Youngam(249 questionnaires handed out to the teachers at 15different. primary schools located at the listed cities, collected 235 and analyzed 230 of them). The conclusions related to the issues such as: the apacity of the classroom computers, the usual modes and levels of primary teachers' actual usage of the internet, internet usage in the actual teacing and learning, and the problems and thoughts about the educational usage of the internet are listed below. First, the given conditions(environments) of using internet are well set but the computer related facilities must be upgraded gradually. especially in the military area, where visual screens are needed to be changed to bigger ones. Second, primary school teachers seemed to gave positive attitudes toward training programs related to the usage of internet. In order to satisgy their desires, ther must be reinforcement in the interactive distant trainings. Also as the teachers need more time to prepare for the practical usage of internet, enough time should be provided through less routine work, and decrease in the time of regular teaching periode. Third, carious ways of teaching methods were applied in computer labs and the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internet were actively used in the classrooms. Also, The efficiency and the effecth of using internet in the classrooms proved to bebetter than that of using video, picture materials. OHPs or visual presenters, and the students reaction were more positive as well. Fourth, the calues and the prospects of using internet in the classrooms were thought to be bright and promising However, the most important point in the educational usage of internet is the fast speed of LAN and equipments as well as the rapid repairs when computer related systems go out of order. Therefore, I've come to a conclusion that, to improve the quality of internet-based education, we must develop and provide internet materials contimuous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