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무산소성 복합운동 순서가 대사율 및 호르몬 변화에 미치는 영향

        권동일 대구대학교 산업행정대학원 운동처방학과 2011 국내석사

        RANK : 252703

        목적 : 유산소성 운동과 무산소성 저항운동으로 구성된 복합운동 프로그램 수행시 운동 목적에 따라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운동 순서를 제시하는데 있다. 방법 : 건강한 여자대학생 8명을 대상으로 유․무산소성 복합 운동프로그램을 운동순서에 따라 일주일 간격으로 실시한 후 측정 시기별 대사율 및 호르몬 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반복측정 이원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유무산소성 복합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회복기 대사율 변화에 있어서 RA-E 집단이 AR-E집단 보다 측정변인 모두에서 낮은 대사율을 보였으며, 측정 시기별 집단 간 차이는 AR-E집단이 RA-E집단보다 회복기 60분에서 VE, EEm, EPOC 측정변인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차이(p<.05)를 보였다. 회복기 호르몬 및 혈액 변화에 있어서 HGH은 운동직후 AR-E 집단이 RA-E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이에 반해 FFA는 운동직후 RA-E집단이 AR-E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Lactic acid은 시기와 집단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1, p<.001)를 보였으며, AR-E집단이 RA-E집단보다 높은 젖산을 수준을 유지하였다. 결론 : 운동 목적에 따라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복합운동 프로그램 순서는 AR-E 운동형태가 회복기 중 대사율에 있어서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으며, 운동이 종료된 후에도 생리적 활성도가 높게 유지되어 총에너지 소비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비만 개선 및 예방과 체중감량관리에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s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suggest the order of combined exercise to have the maximized result over the same time according to performance of complex program with aims. Methods : To suggest the order, I have implemented complex exercise program which contains aerobic exercise and anaerobic resistance exercise and did a comparative analysis on metabolic rate, hormone, the index of inflammation, and variables of blood by taking a blood sample during the stabilizing stage, right after the performance of aerobic and anaerobic exercise, and the recovery stages which have been divided into 5, 10, 15, 20, 60, and 120 minutes. Results : On the metabolic rate. VE and EPOC have shown the difference only during the performance, and AR-E exercise have maintained the higher rate than RA-E till 60 minutes of the recovery stage. RER, HR and Total EEm have shown the difference only during the performance and also at the sequence of HR has shown the difference too. On the hormone, all change variables(HGH, insulin, norepinephrine, and epinephrine) have shown up during the performance, and Lactic Acid which is the variable of blood change has not only shown up during the performance and the sequences but also did an interplay reciprocal action. FFA has shown the variable during performance and did an interplay reciprocal action. Conclusions : As putting the following outcomes together, AR-E has shown the better effect on the metabolic rate of the recovery stage than RA-E. I have brought about these result by verifying reponses of hormones and changes of the metabolic rates through the change variables in blood. AR-E has shown and maintained the higher rate not only on the calories that have consumed during the exercise but also on physiological vitality after the performance than RA-E. Therefore, AR-E seems to have the positive effect on the weight management, improvement and prevention of obesity as the complex exerci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