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글로벌 밸류 체인(GVC) 재편에 따른 국내기업의 특허 대응방안

        권세미 단국대학교 정보융합기술창업대학원(구:정보지식재산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1711

        글로벌 가치사슬의 변화로 공급망의 재편이 이루어짐에 따라 지식재산을 통해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현상이 증가하였다. 이에 주요 선진국들은 국가 차원의 지식재산 전략을 수립하고 정책 시스템을 정비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미국은 국가 안보 차원에서 중국의 기술을 견제하고 불공정 무역관행을 제재하는 성격의 정책들을 수립하고 있으며, 중국 또한 지식재산 보호제도의 완성, 핵심 분야의 고품질 지식재산권을 보유함으로써 지식재산 강국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주요 선진국들과 비슷한 맥락의 지식재산 정책을 수립하였지만, 특허 수준은 아직 양적 성장에만 머물러 있으며 R&D 투자 규모에 비해 특허 성과 는 크지 않은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기업의 특허 대응방안을 살펴보고 기업의 특허 대응방안 수립 시 정부 차원의 문제점을 점검하였으며, 정부 차원의 특허 대응 전략 마련을 위한 법‧제도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IP-R&D 전략지원 확대 방안을 제안하였다. 정부 차원에서 IP-R&D를 다양한 국가전략 산업 분야로 확대한다면, 우수 특허 및 해외 특허의 비중을 늘려 특허 출원의 질적 성장을 도모하고, 기업으로부터 정부 R&D 투자 규모에 비례하는 양질의 성과가 창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다음으로, 특허박스 제도 도입을 제안하였다. 이는 국가 핵심기술의 해외 유출 문제에 대한 대응방안의 일환으로, 기업의 자금 부담을 덜어주는 특허박스 제도 도입을 통해 기술과 인력의 해외 유출을 최소화하고, 기업들의 투자 활성화를 유도하여 핵심 기술을 보호하는 데 일조할 것으로 예측된다. 본 논문은 GVC 재편 동향에 따른 국내기업의 특허 대응방안 마련에 있어서 정부 차원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GVC 재편에 따른 주요국의 대응과 지식재산 정책 동향을 토대로 기업의 특허 대응 방향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부 차원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효율적인 개인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성에 대한 연구 : 데이터베이스 암호화 기술을 중심으로

        안상건 단국대학교 정보ㆍ지식재산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1695

        With the rapid growth of the IT industry, security threats are becoming more intelligent and more sophisticated. The number of crimes that attempt to illegally access and leak data to the data that companies collect and store is constantly increasing and the methods are also becoming more diverse. One important piece of data that companies store is their personal information. In fact, some companies leaked their personal information and suffered huge losses. Also, victims who leaked personal information suffered from impersonation, spam, and voice phishing. The government amended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in 2011 and introduced guidelines for personal information security that companies should take when collecting and storing personal information of customers. However, most companies in Korea have been rapidly repeating the construction and disposal of necessary systems to reflect rapidly changing market trends before the revision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In the process, personal information security issues and personal information linkage with existing systems . As a result, the personal information currently being held by the company is distributed and stored in various systems. In order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from leakage and illegal access of personal information, and to meet the requirements of prescribed regulations, security software is applied to each database. The problem caused by this is the waste of maintenance manpower and maintenance cost due to redundant use of database security software. In this paper, we study the defini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n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policy and study the improvement plan by grasping the current state of the encryption software in use by companies. The improvement method extracts duplicate personal information data stored in a plurality of business systems and converts personal information set in a table into a customer number and an ID. We propose a method to improve the security level and reduce the operation and maintenance costs by implementing the architecture by refining the data so that the personal information data can be used in a separate database and linking the personal information data through the database link. The test method is to sample and test the personal information part of the database of the existing system. This study excluded areas where application modifications should be made. As a result of research, it was possible to reduce the use of encryption software and improve security level by separately configuring personal information database.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 system response speed did not decrease as compared with the existing system, and the response speed was within an allowable range. It is expected that this model will be applied in the process of new system construction and next generation system reorganization. IT 산업의 급격한 성장과 더불어 보안 위협은 지능화·고도화 되고 있으며, 기업이 수집 및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에 불법접근 및 유출을 시도하는 범죄는 나날이 증가하고 방법이 다양해지고 있다. 기업이 저장하는 데이터 중 중요한 한 가지는 고객의 개인정보이다. 실제로 몇몇 기업에서는 고객의 개인정보가 유출되어 막대한 손실을 입었으며, 개인정보가 유출된 피해자들은 명의도용, 스팸, 보이스피싱 등 피해를 입었다. 정부는 2011년 개인정보보호법을 개정하고 기업으로 하여금 고객의 개인정보를 수집 및 저장 시 취해야 할 개인정보 보안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국내 대부분의 기업은 개인정보보호법이 개정되기 이전부터 급격히 변동하는 시장 트렌드를 반영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스템의 구축과 폐기를 빠르게 반복하였고 그 과정에서 개인정보 보안 이슈 및 기존 시스템과의 개인정보 연동은 배제하였다. 그 결과 현재 기업이 보관 중인 개인정보는 여러 시스템에 분산되어 저장되어 있으며 개인정보의 유출 및 불법 접근으로부터 개인정보의 보호 및 규정된 법규의 요건 충족을 위해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 보안 S/W를 도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점은 데이터베이스 보안 S/W의 중복 사용으로 인한 관리 인력, 유지보수 비용이 낭비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정보의 정의 및 개인정보 보호 정책에 대해 알아보고, 현재 기업들이 사용 중인 암호화 S/W의 현황을 파악하여 개선안을 연구 한다. 개선안은 다수의 업무 시스템에 저장되어 있는 중복된 개인정보 데이터를 추출하고 테이블에 키(Key)로 설정된 개인정보를 고객번호 및 아이디로 변환한다. 개인정보 데이터를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정제하고 데이터베이스 링크를 통하여 개인정보 데이터를 연동하는 방법으로 아키텍처를 구현하여 보안수준 향상과 운영 및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테스트 방법으로는 기 구축된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 내 개인정보 부분을 샘플링하여 테스트한다. 본 연구는 어플리케이션 수정이 되어야 하는 부분은 배제하였다. 연구 결과 개인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별도로 구성하여 암호화 S/W의 사용 절감 및 보안 수준을 향상 시킬 수 있으며, 기존 시스템과 비교해 시스템 응답속도의 저하가 없거나 허용가능 범위내로 발생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신규 시스템 구축 시나 차세대급의 시스템 재편성 과정에서 본 연구의 모델이 적용 된다면 개선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WIPO 적정기술 발굴사업 평가 및 지속가능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김승보 단국대학교 정보·지식재산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1695

        Appropriate Technology has recently been gaining a lot of social interest as one of the important aspects of the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ODA). Paul Polak, famous as “the father of Appropriate Technology”, said that 95% of the world’s designers are focusing all of their efforts only on the top 10% consumers. If a design revolution doesn’t occur then a design for the other 90% can’t exist. These words stress the importance of appropriate technology for the alienated and poor 90%. Renowned economist E. F. Schumacher asserts that appropriate technology is inexpensive, as low limitations, uses local materials, and requires low capital and comparatively simpler technology for locals to achieve small-scale production. Through this study, it can be seen that appropriate technology is a small but powerful form of technology used to resolve social problems by providing practical help through an innovative base. This is why appropriate technology is regarded as one big way to aid developing countries. In some cases, we have seen how providing large scale infrastructure projects without participation of the locals has led to a failure in sustainability. Therefore, this doesn’t just require actively collecting the technical needs of the locals, but through the process of technical development, it can be said that even if aid from developed nations were to come to a halt, sustainability and also local participation are the main factors for developing the ODA. To breathe life into this appropriate technology ODA program, participation of the local residents is crucial. One important aspect of this involvement can be seen in the active engagement of local governments collecting the local needs of its residents. In this study, the 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 (WIPO) took note of the appropriate technology competition held by KIPO and the developing country's patent offices for the discovery of appropriate technologies, and analyzed and evaluated the process, status and representative cases. When looking at the WIPO fair technology discovery project through 18 evaluation results, the sustainability of the appropriate technology competition needs to be improved somewhat, but it shows high performance in terms of relevance, effectiveness, and influence. First, in terms of appropriateness, the appropriate technology competition was related to the national policy and strategy of the recipient country and WIPO development agenda. In terms of effectiveness, the appropriate skill contest was effective in meeting the planned goals, and there were no problems in all the important events of the competition.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content is high. The competitiveness of the competitions was moderate, but it was necessary to communicate the requirements for the reporting of the organizers of the recipient countries and to improve the PR and marketing efficiency. Although publicity and marketing through the evaluation results were inefficient, they were effective in terms of process, manpower management, and time management. In terms of influence, it can be seen that the fair competition has greatly improved public percep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contributed greatly to the search for technology and intellectual property. However, in terms of linking the winner of a competition to a subsequent development project, it can be said that most of the countries have room for improvement. Through the evaluation results, it can be said that the influence of the competition is limited to the product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of technology. In this study, we propose seven proposal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WIPO appropriation technology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five perspectives. These include the standardization of the competition manuals (P-1), the subdivision of the support sector (P-2), the strengthening of the government-sponsored policy support for the competition (S-1), the operation of the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program (C-1) (C-2), sharing promotional marketing strategies (G-1) and holding regular international symposiums (G-2). It is suggested that the international competition be held in the mid- to long-term cycle of 3 to 5 years. In this case, considering the seven proposal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WIPO Appropriate Technology Discovery Project in terms of time and budget, it is necessary to first share the feasible proposals such as P-1 and P-2 in the international competition, And then it is necessary to share the C-1 and C-2 with the second-stage medium-term goal, and eventually share the S-1, G-1, and G-2. Since the WIPO appropriate technology discovery business leads the active cooperation of the source country from the demand extraction stage, if the future related policy link of the source country and the continuous support are continued, It is a very effective project to have a strong power and to positively influence the economic ecosystem of the region. The present status of the competition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WIPO's appropriate technology discovery business starts with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the host country in view of the ripple effect on ODA and the successful commercialization of appropriate technology. It is enough to give value to developing countries as a prime mover. Key Words: Appropriate Technology, ODA, Social Problems, Sustainability, Effectiveness, Influence, Prime Mover 적정기술은 최근 공적개발원조(ODA)의 중요한 요소로 사회적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폴 폴락(Paul Polak)은 “세계 디자이너의 95%는 오직 상위 10%의 부자 소비자들을 위한 상품과 서비스를 디자인하는 데 모든 힘을 기울이고 있다. ‘디자인 혁명’이라고 볼 수 있는 일이 일어나지 않는다면 나머지 90%를 위한 디자인이란 것은 있을 수 없다.”라며 90%를 위한 디자인, 즉 적정기술의 중요성에 대해서 강조했다. 경제학자 슈마허에 의하면 적정기술이란 값이 싸고 제약이 적은 기술로서, 현지의 재료와 적은 자본 그리고 비교적 간단한 기술을 이용하여 그 지역민들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 소규모 생산 활동을 지향하는 기술이라 하였다. 이런 이유로 인해 적정기술을 통한 최빈국·개도국 원조가 최근 크게 주목 받고 있는 이유이기도 한 것이다. 그 간의 일부 사례를 통해 현지 주민의 실질적인 참여가 배제된 형태로 추진한 대규모 인프라를 제공하는 중심의 접근 방식은 결국 현지 사회 내에서 지속가능성을 확보하지 못하였다. 현지 주민들이 필요로 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현지 의견을 적극 수렴할 뿐 아니라 기술개발 과정에서도 현지 주민들이 적극 참여함으로써, 공여국의 원조가 중단되더라고 자생적인 지속가능한 역량을 보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적정기술을 통한 공적개발원조(ODA)의 생명력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세계지식재산기구(WIPO)가 한국 특허청(KIPO) 및 개도국 특허청들과 함께 적정기술 발굴을 위해 개최하는 적정기술 경진대회를 주목하였고, 그 과정과 현황 및 대표적인 사례 등을 분석, 평가하였다. WIPO 적정기술 발굴사업은 18개의 평가 결과를 통해 살펴볼 때, 적정기술 경진대회의 지속가능성에서는 다소 개선이 필요하나, 적절성·효과성·영향력 측면에서는 높은 성과를 나타냈다고 할 수 있다. 먼저 적절성에 있어 적정기술 경진대회는 수혜국과 WIPO의 개발 안건의 국가 정책 및 전략 측면에서 연관성이 있었다. 효과성에 있어 적정기술 경진대회는 계획된 목표를 달성하는 데 효과적이었으며, 대회의 모든 중요한 일정에는 문제가 없었다. 아울러 만족도와 콘텐츠의 적정 수준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효율성에 있어 적정기술 경진대회의 효율성은 적정 수준이었으나, 수혜국의 대회 주최자들에 대한 보고서 작성 요구 사항에 대한 소통과 홍보 및 마케팅 효율성에서의 개선이 필요하였다. 비록 평가 결과를 통해 살펴본 홍보 및 마케팅은 효율성이 부족했던 반면, 프로세스, 인력 관리, 시간 관리 측면에서는 효율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영향력에 있어 적정기술 경진대회는 지식재산권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크게 제고하였음을 알 수 있으며, 기술 및 지식재산 발굴에 큰 기여를 했다고 할 수 있다. 다만 대회 우승작을 후속적 사업 개발 프로젝트에 연결시키는 측면에 있어서는 대부분의 수원국 단위에서는 개선의 여지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평가 결과를 통해 경진대회의 영향력은 기술의 제품화와 상용화에 제한적으로 작용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이 OECD DAC 평가기준인 5가지 관점에서 살펴 본 결과를 토대로 WIPO 적정기술 발굴사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7가지 제안을 하고자 한다. 이들은 각국 특허청을 위한 대회 매뉴얼 표준화(P-1), 지원분야 세분화(P-2), 각국 정부의 경진대회 연계정책지원 강화(S-1), 지식재산 교육프로그램 운영(C-1), 대회 수상작에 맞춤형 비즈니스모델 제공(C-2), 각국의 홍보 마케팅 전략 공유(G-1) 및 정기적인 국제 심포지엄 개최(G-2) 등이다. 그리고 3년 내지 5년의 중장기적 주기로 국제 경진대회를 개최해 볼 것을 제안한다. 이 경우 WIPO 적정기술 발굴사업의 지속가능 발전을 위한 7가지 제안을 시간 및 예산 측면에서 고려해 볼 때, 국제 경진대회에서는 먼저 P-1, P-2 등 실현 가능성 높은 제안을 공유하는 것을 1단계 목표로 하고, 그 이후 C-1, C-2를 공유하는 것을 2단계 중기적인 목표로 하고, 그리고 최종적으로 S-1, G-1 및 G-2를 공유하는 것을 3단계 목표로 추진해 볼 수 있을 것이다. WIPO 적정기술 발굴사업은 수요발굴단계에서부터 수원국의 적극적인 공조를 이끌어 내는 특수성이 내포되어 있기 때문에, 향후 수원국의 적극적인 관련 정책 연계와 지속적인 지원이 이어질 때 해당 지역에서 스스로 제안이 된 아이디어들이 성장하고 강력한 힘을 갖게 되어 해당 지역의 경제생태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데 매우 효과적인 사업이라 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대회 현황과 앞으로의 제언 등 적정기술 공적개발원조(ODA)에 주는 파급효과 및 적정기술의 성공적인 사업화에 대한 관점에서 볼 때, 수원국의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하는 WIPO 적정기술 발굴사업은 향후 개도국에 희망을 주는 시동자(prime mover)로서의 가치를 부여하기에 매우 충분하다고 하겠다. 핵심어 : 적정기술, 공적개발원조, 사회문제 해결, 지속가능성, 효과성, 영향력, 시동자

      • 의사소통과 정보기술융합역량이 서비스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정하현 단국대학교 정보·지식재산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1695

        급변하는 경영환경에서의 경영혁신과 정보화산업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극대화하기 위하여 기업들은 6시그마 경영, 고객만족경영, 스피드경영 등 다양한 경영이론을 바탕으로 경영활동을 하고 있다. 기업의 고객만족과 효율적인 경영활동을 위하여 정보시스템이라는 것을 기업의 전략적 도구로 사용하고 있으며, 정보시스템은 기업 경영에 있어 핵심 수단 및 필수적인 요소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크게 자리 매김하고 있다. 따라서 기업은 경영활동의 효율성과 극대화를 위해 정보시스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지속저인 관심과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또한 기업의 정보시스템에 대한 관심과 투자는 기업의 서비스품질에도 영향을 미치며, 서비스품질 향상은 곧 생산성 향상과 고객의 만족도 평가를 증대시킨다고 인식되어 지고 있다. 많은 선행연구에서는 기업은 서비스품질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으로 조직의 의사소통, 조직의 역량을 제시하고 있으며, 조직의 의사소통과 서비스품질, 그리고 역량과 서비스품질에서 유의한 영향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 수 있었으며, 또한 의사소통과 역량간에도 유의한 영향이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공공 IT조직에서의 의사소통이 서비스품질간의 관계에서 정보기술역량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직의 의사소통과 역량, 서비스품질 간 구조적인 관계와 의사소통과 서비스품질 간의 관계에서 역량의 매개효과를 실증적 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하여 사내그룹웨어 설문조사시스템을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배포·실시하였으며, 설문지는 동일방법편의에 의해 연구대상을 정보화부서 조직원과 정보시스템 담당자(아웃소싱 업체) 그리고 사용직원(현업직원)들로 분리하여 적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공공 IT조직의 의사소통과 서비스품질 간의 정보기술역량은 긍정적인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서비스품질 중 이미지품질과 정보품질은 부분적으로 나타났으며, 시스템 속도 및 반응속도에 대한 만족의 정도에 해당되는 시스템품질 대해서는 모두 긍정적인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공공 IT조직의 조직원들과 정보시스템 담당자(아웃소싱 업체) 그리고 사용직원(현업직원)들과의 의사소통 방법 및 정보기술역량 향상과 정보시스템을 운영·관리함에 있어 서비스품질(이미지품질, 정보품질, 시스템품질, 상호작용품질) 향상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는데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겠다. In the rapidly-changing business world, in a bid to promptly respond to innovations in business administration and information-based business and to maximize the effects, companies are engaging in business activities based on various theories of business management, including Six Sigma management, customer-satisfaction management, and speed management. For customer satisfaction and efficient business activities, companies are using information systems as one of their strategic tools. In fact, information systems are crucial to the running of businesses, and they are a major, key component. Accordingly, companie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systems as a way to maximize the efficiency and effect of business operations, and they are showing continued interest and investing heavily into them. Also, companies' interest and investment in information systems affect their quality of service, and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service is seen to lead to improvement in productiv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In many previous studies, improvement in companies' communication and availabilities are being pointed out as ways to improve their service quality. In those studies,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company's communication and service quality, and between the company's availabilities and service quality. But when it comes to public IT organization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ir communication and service quality, there are a lack of studies on the mediating effects of IT availabilitie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structural correlation between a company's communication and service quality, and between its availabilities and service quality, and to demonstrate the mediating effects of its availabilities in the correlation between communication and service quality. To achieve that objective, public organizations were surveyed using a groupware survey system. For common method bias, the surveys were broken into two types, one for employees at information departments and those in charge of information systems (outsourcing companies), and the other for employees who are the actual users. This paper found that IT availabilities with respect to communication and service quality at public IT organizations have positive mediating effects. Image quality and information quality are measures of service quality, and for these the positive mediating effects were partial. However, for system quality which corresponds to the extent of satisfaction about system speed and respond speed, the mediating effects were all positiv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highly significant in that they would greatly help in improving the service quality (image quality, information quality, interaction quality) when running and managing an information system, and greatly help in improving communication methods and IT availabilities in the IT organization's members, the persons in charge of the information system (outsourcing company), and the employees that are the actual users.

      •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이상징후탐지 시스템 적용사례 연구와 분석

        윤희성 단국대학교 정보융합기술창업대학원(구:정보지식재산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1695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이상징후탐지 시스템 적용사례 연구와 분석 단국대학교 정보통신융합기술ㆍ창업대학원 정보통신학과 윤 희 성 지도교수: 양 재 수 최근 몇 년 동안, 금융 회사를 포함한 다수의 기업에서는 내부 사용자에 의한 보 안 사고가 급증하고, 개인정보 누출 및 시스템 파괴와 같은 사건들로 사회적인 파 장을 일으키고 있으며 예전에는 주로 외부 해커에 의한 보안 사고에 집중되었지만, 현재는 내부 직원 및 외주 직원에 의한 기업 내부에서의 데이터 유출과 시스템 침 해사고 위협이 더 많이 발생하고 있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내부 사용자에 의한 보안 사고의 피해 규모 또한 외부 공격에 비해 크며, 그 이유는 내부 사용자들이 기업 내 시스템과 환경에 대해 더 잘 알고 있고, 합법 적인 권한을 가지며, 오랫동안 이러한 행동을 계획하고 준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업들은 이러한 내부 사용자에 의한 보안 위협을 예방하기 위해 관리적 보안 통제 와 함께 다양한 보안 통제 솔루션과 시스템을 도입하고 운영하고 있다. 그런데도 내부 보안 사고가 끊임없이 발생하는 이유는, 기업 내 보안 모니터링이 주로 외부와의 경계를 갖는 보안 시스템인 방화벽, 침입방지 시스템 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내부 사용자의 보안 위협 행위에 대한 모니터링은 각 보안솔루션별 로 단편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내부 보안 모니터링이 아직 미흡한 상태이다. 또한, 내부 보안솔루션에서 발생하는 다량의 로그 및 다양한 형태의 로그를 모니터 링하는 것은 많은 보안 직원과 시간이 필요하며, 이에 한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징후탐지의 주요 개념과 원리를 자세히 설명하며, 이 기술의 현 실적인 활용 가능성을 사례 연구를 통해 입증한다. 이상징후탐지 모델의 설계 및 구현 과정을 상세히 소개하고, 이 모델이 개인정보보호 위반을 예방하고 조직의 관련 법규, 규칙, 표준 및 윤리적 기준 이상 발생 탐지 시 조기 대응을 지원하는 방법을 명확하게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이상징후탐지 기술의 조화로운 결합이 조직의 경 영 핵심 요소임을 강조하고, 이를 통해 조직이 합법적이고 투명한 방식으로 운영하면 서 경영 위험을 최소화하는 데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징후탐지는 개인정보보호법 대응을 강화하고 조직의 장기적인 성공을 지원하는 핵심적인 도구이다.

      • 커피 프랜차이즈 종사자의 위생관리 수행도와 위생지식

        구숙경 단국대학교 정보·지식재산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1695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anitation management performance and saitation knowledge of coffee franchise employees in Korea. From September 30 to October 12, 2019, a field survey was conducted for 60 franchisees of A coffee company (26 directly-managed stores and 34 affiliated stores), and a survey was performed for 302 employees at these stores. In the field survey, sanitation on management and coffee preparation was directly assessed, and in the survey of sanitation knowledge of the employees was self answered to the questions on general sanitation knowledge. In the sanitation management performance of coffee franchisees was 42.43 points (77.1%) out of 55 points, and the evaluation of employee's sanitation knowledge appeared as average of 10.60 points (70.6%) out of 15 points.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sanitation management performance and employee’s sanitation knowledge. It is suggested that the education on sanitation and its knowledge for the employees are very important in order to improve the sanitation management in coffee franchisees, 커피 프랜차이즈가 급속히 성장한 2014년부터 현재까지 위생관리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에 현재의 커피 프랜차이즈 위생관리는 체계적이고 위생관리매뉴얼이 잘 갖추어 있지만, 식품위생법 위반사례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국내 커피 프랜차이즈 위생관리 수행도 현황과 종사자들의 위생지식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A사 커피 프랜차이즈 점포 60곳(직영 26곳, 가맹 34곳) 현장조사와 해당 점포 종사자 302명의 설문조사를 2019년 9월 30일~10월 12일 실시하였다. 커피 프랜차이즈 점포의 일반위생관리 및 제조과정 현장조사는 연구자 및 사전 훈련된 전문가 1명이 관찰과 면담을 통해 직접 평가하였다. 조사항목은 조사대상의 일반사항과 점포 위생관리 수행도를 평가하기 위한 점검표를 음식점 위생등급제 평가표와 커피 프랜차이즈만의 특징적인 커피관련 장비관리 체크리스트를 작성하여 이용하였다. 해당 점포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은 자기기입법으로 실시하였다. 커피 프랜차이즈의 위생관리 수행도는 55점 만점에 42.43점(77.1%)이었고 종사자 위생지식평가는 15점 만점에 평균 10.60점(70.6%)이었다. 점포의 일반위생관리 및 제조과정 점검 수준과 종사자의 위생지식과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피어슨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위생관리 수행도와 종사자의 위생지식은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 커피 프랜차이즈의 위생관리 개선을 위해 커피 프랜차이즈의 특성인 커피장비와 기기들의 청결관리가 품질과 연결된다는 의식을 높여야하며 가맹점 운영관리자 지정하여 위생 지식 교육 양성하고, 점포 위생관리 수행도 향상을 위한 기록관리 목록화와,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인증하는 위생등급 평가 제도인 음식점 위생등급제 취득 독려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데이터 통합 및 분석 등 최신 기술을 적용한 산재예방 데이터 수집 및 활용 방안

        노성현 단국대학교 정보·지식재산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1695

        고용노동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근로복지공단은 각각의 업무지원 시스템을 구축하여 사업장 정보를 상호 연계하여 활용하고 있으나, 사업장 정보를 관리하는 방식이 기관별로 상이하고, 표준화되어 있지 않아 정보를 연계‧활용이 어려운 상황이고 사업장 관련 정보를 종합적인 이용 및 민간재해예방기관에 산재예방을 위한 사업장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하지 못하고 있으며 공단의 정보시스템은 사업별로 각자의 사업장 정보를 관리하고 있으며, 신규 사업장에 대한 임시 사업장 관리번호 부여방식이 상이하여 사업장을 중심으로 전체 산재예방 기술지도 사업내용을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유관 기관의 사업장 관련정보와 민간의 재해예방 정보를 종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산재예방 정보의 표준화 및 신기술 적용을 통한 통합정보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해 보인다. 이에 따라 국내외 주요 선진사례를 조사 하여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최신, 신기술을 적용한 산재예방 데이터 수집, 활용방안에 대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논문에서 제시한 활용방안을 통해 사업장 정보의 신뢰성 확보로 점검 등 대상선정 사각지대 해소 기술지도, 공공 및 민간연계 정보의 실시간 활용으로 산재예방 활동 요소가 강화될 것으로 보이며 또한 사업장 관련정보, 산재예방사업 수행이력 등 산재예방을 위하여 수집 된 통합데이터를 공유, 연계하여 통합 산재예방 데이터를 만들어 다양한 형태로 예측, 분석 등 활용할 수 있게 되며 대국민에게 선제적 산업안전보건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and the Korea Workers' Compensation and Welfare Service have established various business support systems to link workplace information to each other. However, the method of managing workplace information differs from organization to organization, ‧ It is difficult to utilize, and it is not able to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of the workplace for prevention of industrial accidents to the private accident prevention institution and comprehensive use of information related to the workplace. The information system of the corporation manages the information of each workplace for each business.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contents of the project for the prevention of industrial accidents by centering the workplac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tandardize the information on prevention of industrial accidents and to build an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by applying new technology so that information related to the workplace of related organizations and information on prevention of disasters of civilian can be utilized comprehensively. Therefore, we will investigate major advanced cases at home and abroad, draw out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and propose the latest and new technologies to collect and use data on prevention of industrial accidents. Through the utilization method presented in the paper, the reliability of the workplace information can be secured, and the elimination of the blind spot can be performed. Technical guidance and real-time utilization of public and private information can be strengthened. It is possible to utilize various data such as prediction, analysis, etc. by sharing integrated data collected to prevent industrial accidents such as work history, and to create integrated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data, and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preemptive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data service to the people.

      • EU GDPR이 국내기업에 끼치는 영향과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공혜영 단국대학교 정보·지식재산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1695

        -- (Abstract) A Study on the Influence of EU GDPR on Korean Companies Hyeyoung Kong Department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Intellectual Propery Dankook University Advisor : Professor Jeasoo, Yang As a matter to be prepared and addressed by domestic enterprises following the enforcement of the EU GDPR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check the processing status of personal information, check if it is eligible for GDPR, then refer to the guidelines if applicable Make matters such as specifying the Data Protection Officer (DPO) so that you can immediately improve the items, agree on the item of personal information under storage, acquisition procedure, guarantee the rights of the information entity , And check the treatment method at the time of spilling. It is also important to improve internal business processing procedures so that the GDPR request level can be satisfied. Confirm the type of processing of personal information and in case it is possible to do so only if it can bring danger due to individual rights and freedom, implement impact assessment in advance and prepare for risk Nevertheless, in the case of systematic monitoring at a public place, it is necessary to conduct an impact assessment, whether it is massive sensitive information affecting individuals. Also, to ensure the legitimacy of reloc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from overseas, enterprises to block disadvantages by enforcement of GDPR in advance, to trust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o use transparent personal information based on big data I have to be able to do. Therefore, in this study, in the B Mall of Company A, which is configured based on Oracle DATABASE, using the Oracle DBSAT (Database Security Assessment Tool),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the related type of the database of B shopping mall By checking the current security status, extracting identified risks and providing recommendations, compliance with GDPR Generate a report that can establish a process. Also, based on the report, a plan that can respond to security threats is set up, and the configurations that can be processed immediately prepare correspondence and countermeasures for compliance of GDPR by changing the state. (국문초록) EU GDPR이 국내기업에 끼치는 영향과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정보·지식재산 대학원 정보통신학과 정보통신전공 공혜영 지도 교수 : 양재수 EU GDPR(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시행에 따른 국내 기업이 준비 및 대응 해야 할 사항으로 개인정보 처리 현황을 점검 하고, GDPR 대상인지 아닌지를 확인한 후 적용 대상일 경우에는 가이드라인을 참고하여 개인정보 보호책임자(Data Protection Officer : DPO)를 지정하는 등 즉시 개선할 수 있는 사항 등을 수행하고, 보관중인 개인정보 항목의 동의, 획득절차, 정보주체 권리 보장, 유출 시 조치 방법 등을 점검하도록 한다. 또한 GDPR 요구 수준을 충족할 수 있도록 내부 업무처리 절차를 개선하는 것도 중요하다. 개인정보 처리 유형을 확인하여, 해당 되는 경우에 한해서 개인의 권리와 자유에 대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경우에는 사전에 영향평가를 실시하여 위험에 대비해야 하며, 개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대규모 민감 정보 이거나 공개 장소에서의 체계적인 모니터링일 경우는 반드시 영향평가를 실시해야 한다. 또한 개인정보 국외 이전에 대한 적법성을 확보하여 기업이 GDPR 시행으로 인한 불이익을 사전에 차단하고,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신뢰 있고 투명한 개인정보를 빅데이터 기반으로 활용 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서 본 연구는 오라클 DATABASE기반으로 구성된 A사의 B쇼핑몰에서 오라클 DBSAT(Database Security Assessment Tool: 데이터베이스 보안 평가 도구)를 사용하여 B쇼핑몰의 데이터베이스의 관련 유형의 구성 정보를 수집하고, 현재 보안상태를 점검하여 식별된 위험 요소를 추출하고 권장 사항을 제공함으로써 GDPR의 규정 준수 프로세스를 확립할 수 있는 레포트를 생성한다. 또한 그 레포트를 기반으로 보안상의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계획을 세우고, 즉시 처리 가능한 구성은 상태를 변경 함으로써 GDPR의 규정준수를 위한 대응 및 대책을 마련한다.

      • 시나 웨이보에서 정보 제공 유형 차이에 따른 사용자의 태도 분석 : SNS 특성에 대한 이용자 태도, 구매 의도 및 공유 의도 중심으로

        서몽운 단국대학교 정보·지식재산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1695

        본 연구는 같은 내용이라도 콘텐츠의 제공 유형에 따라 사용자들이 느끼는 인상과 효과가 다르게 작용한다는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시나 웨이보에서 정보 제공 유형 차이에 따른 SNS 특성에 대한 이용자 태도, 구매 의도 및 공유 의도가 어떠한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중국에 거주하고 있는 실험자를 대상으로 2017년 10월 1일부터 12일까지 12일간 총 239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이중 회수된 설문지는 239부 모두를 최종 결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정보 제공 유형에 따라 오락성을 지각하는 데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신뢰성과 정보성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정보 제공 유형의 SNS 특성(신뢰성, 정보성, 오락성)이 이용자 태도 모두 유의한 영향을 보였다. 셋째, 정보 제공 유형의 SNS 특성(신뢰성, 정보성, 오락성)이 구매 의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보였다. 넷째, 정보 제공 유형의 SNS 특성(신뢰성, 정보성, 오락성)이 공유 의도에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보면 오락성은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지각 정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반면에 신뢰성과 정보성은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지각 정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NS 특성(신뢰성, 정보성, 오락성)이 이용자 태도, 구매 의도 및 공유 의도에 대한 다중 회귀분석 결과를 종합해보면 신뢰성, 정보성 및 오락성 모두가 이용자 태도, 구매 의도 및 공유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이러한 결과를 참고하여 시나 웨이보상에서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 할 때 본 연구 결과가 기초적인 방향성에 도움을 제공 할 것이다.

      • 선거기간 후보자 명함의 정보제공 유형에 따른 유권자의 태도 분석

        최현수 단국대학교 정보융합기술창업대학원(구:정보지식재산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1695

        본 연구는 선거기간 후보자 명함의 정보제공 유형에 따른 유권자의 태도를 알아보 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선거운동은 정치후보자가 선거에 당선되기 위하여 유권자에 게 권유하거나 설득하는 행위를 말한다. 우리나라 최초의 선거에서도 인쇄미디어인 선거벽보를 통해 선거운동을 하였다. 그리고 그다음의 선거에서는 전단형 공보물이 활용되었고, 미디어의 발달은 선거운동의 발전을 불러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는 현행 공직선거법을 기반으로 선거운동의 제한과 방법 등의 기준을 제 시하고 있다. 다양한 방식의 선거운동이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후보자와 유권자가 직접 대면하여 명함을 배부할 수 있는 이유로 후보자의 명함에 집중하고자 한다. 그 과정에서 유권자와의 소통이 가능하며 명함이라는 인쇄물을 통해 후보자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후보자와 유권자가 1 : 1로 대면할 수 있는 시간은 명함을 배부하는 짧은 순간을 제외하고는 없다. 따라서 제한된 시간에 유권자가 후보자를 기억하고 인지할 수 있도록 후보자의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명함의 정보제공 유형 을 점자, QR코드, 색을 활용한다. 소개한 유형이 유권자의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 치는지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후보자 명함의 정보제공 유형을 점자, QR코드, 색, 기본, 점자+QR코드+색으로 구분하여 유권자의 태도를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은 20세 이상의 유권자로 275명을 선정하였다. 연구 방법은 점자, QR코드, 색, 기본, 점 자+QR코드+ 색이 포함된 다섯 가지의 요인을 5개의 유권자 그룹으로 나누어 실험하 였다. 유권자는 한 번의 한 가지 종류의 명함을 받았으며 중복 설문은 없었다. 결과 는 일원분산분석(ANOVA)을 사용하여 구체적 유형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사후분석 (Duncan)을 실시하였다. 위의 방법을 토대로 유권자에게 신뢰도, 호감도, 몰입도, 정 보이해도에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 첫째, 선거용 명함의 정보제공 유형에 따른 유권자의 신뢰도 차이에서는 점자 유형, 색상+점자+QR 명함 유형이 가 장 높은 신뢰도를 보였으며, 반대로 기본 명함 유형이 가장 낮은 신뢰도를 보였다. 둘째, 선거용 명함의 정보제공 유형에 따른 유권자의 호감도 차이에서는 색상+점자 +QR 명함 유형, 점자 명함 유형이 가장 높은 호감도를 보였으며, 반대로 기본 명함 유형이 가장 낮은 호감도를 보였다. 셋째, 선거용 명함 정보제공 유형에 따른 유권자 의 몰입도 차이에서는 색상+점자+QR 명함 유형이 가장 높은 몰입도를 보였으며, 반 대로 기본 명함 유형이 가장 낮은 몰입도를 보였다. 넷째, 선거용 명함의 정보제공 유형에 따른 유권자의 정보이해도 차이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 다. 결론적으로 선거기간 후보자 명함의 정보제공 유형에 따른 유권자의 태도는 정 보이해도를 제외한 신뢰도, 호감도, 몰입도에서 점자+QR코드+색 이 포함된 명함이 가장 높게 나왔으며 공통으로 점자에 대한 수치가 비슷하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 반 면, 정보이해도를 제외한 신뢰도, 호감도, 몰입도 모두에서 기본 명함의 유형이 가장 낮은 효과를 보였다. 주제어 : 명함, 선거운동, 선거공보물, 정치마케팅, 정치광고, 신뢰도, 호감도, 몰입도, 정보이해도, 점자, QR코드, 색, 사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