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大學캠퍼스 마스터플랜을 爲한 現況分析과 單位計劃의 連繫性에 관한 硏究 : 사례계획안 분석을 통해서

        김범준 檀國大學校 産業技術大學院 1996 국내석사

        RANK : 250655

        1970년대 3, 4차 경제개발을 추진하면서, 교육부분에 양적인 성장이 이루어져 구체적인 대학캠퍼스기본계획수립이 필요하게 되었고, 그후 1980년대에 들어서는 대학인구의 급격한 증가에 의해 대학캠퍼스종합기본계획이 거론되기 시작하였다. 21세기를 앞둔 현재의 기존대학들은 대학연구수용 한계와 다양한 교육기능에 대비한 대학캠퍼스종합기본계획을 재정비할 시기에 처해있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대학캠퍼스종합기본계획은 대학캠퍼스 종합기본계획을 위한 현황분석과 학사계획, 공간규모계획, 건축기본계획등과 같은 단위계획은 그 자체에만 중점을 두어 독립된 단위과정으로 처리하는 경우가 많았고, 이와 같은 연계성의 결여로 짜임새 있는 계획이 되지 못했다. 그리고 캠퍼스의 확충계획 또는 재개발계획시에 현황분석은 형식적인 절차에 그치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본 논문은 대학캠퍼스마스터플랜의 기본개념과 단위작업의 정확한 내용과 그 단위계획들의 연계성을 파악하고, 실제작업에 적용하기 위한 설계자료를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두 대학교(안동대학교, 전남대학교)의 대학캠퍼스종합기본계획보고서를 분석하여 현황분석과 단위계획들이 어떻게 연계되어있는지 밝혔다. 이 내용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현황분석작업은 각각 독립적인 작업이라 보여지나, 동일한 목표를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된다는 점과 단일사항의 분석결과이지만 총체적, 종합적으로 연계되어서 새로운 자료로 활용된다. 둘째. 단위계획의 작업은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며 다른 단위계획의 기초자료가 되어준다. 즉 하나의 선행되어진 단위계획은 다음 단위계획의 기초자료가 되기도 하고, 그 자체로서 완결되기도 한다. 셋째. 분석된 자료와 단위계획들의 종합적, 순환적 연계를 위해서는 PERT (Programe Evaluation Review Technique) 또는 CPM (Critical Path Method)기법에 적용하는 것이 작업의 경제성과 정밀성을 기대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현황분석과 단위계획의 구체적인 연계성을 전제로 대학캠퍼스 종합기본계획을 수립한다면 합리적이고 짜임새 있는 캠퍼스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Almost of the past university master plans were carried without concrete planning concepts and methods. Master plans means long range development plan and composed by many complicated unit elements. Recently, 1980s, many universities carried on master plan but its process and method were not realized. Especially, analyzed work step and following unit planning steps were carried separately and individually. This study dealt with existing site situation analyzing process and analyzed facts, especially focused on the linkage works between He analyzed facts and oft pla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university master plan should not be abstract and visual graphic drawing works. It is a concrete scaling work based on the scientific analysis. At the same time, it should be considered by the spatial point of view. 2. The existing site situation analysis work is an independent as well as a holistic, cyclical one. 3. Each unit plan is carried one by one and each one is connected linearly and cyclically by the feed back, feed forward work. 4. The holistic, cyclical works adapted by the PERT (program evaluation review technique) and CPM (critical path method) style process will make the university master plan efficiently. The study on this field should be carried forward for the better and practical result based on this study.

      • 캠의 자동설계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김상욱 단국대학교 산업기술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50655

        현재 산업의 자동화, 곧 고속화의 필수적인 요인이 되어버린 캠은 산업의 발달에 큰 역활을 하고 있으나, 국내의 캠의 설계 및 가공에 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으로만 수행되었으며 산업현장에서는 외국으로부터 큰 비용을 부담하면서 수입해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캠의 설계 및 해석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이고,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은 캠곡선이라 말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23가지 캠곡선의 특성 해석과 유도를 통해 캠곡선의 계산 및 작도를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은 이들 각각의 캠곡선의 해석 데이터를 이용하여 캠곡선의 정도, 행정, 타이밍챠트 상의 각도 그리고 기초원 등을 입력하면, 종절 종류에 따른 기구학적 관계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캠을 설계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캠의 종류로는 직동종절 캠과 오프셋 직동종절 캠의 2종류에 대하여 해석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이 작성되었다. 이와같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현재 산업체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캠의 설계 및 제작에 응용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The cams plays an essential role in automation of industry, i. e. speedy movement of present industry, however a few studies on design and processing of cams have been made in korea and, moreover, the cam have been imported at great expenses to our manufacturing industries. It is easily said that the most basic and essential factor in design and analysis of cam is cam curve. First, a program which is capable of calculation and drawing of cam curves through characteristic analysis with 23 cam curves is developed in this study. Also, a program which can calculate and extract the coordinates values of translating cam and offset translating cam automatically is developed. Besides, the coordinates values are extracted through calculation of mechanical relations of each kinds of follower in position vector format and transformation of relative motion in complex vector format. It is believed that this programs will be helpful many companies who experience difficulties in designing and manufacturing of cam.

      • 水道管路에서 Water hammer 防止施設의 選定에 관한 硏究 : 우리나라 事例를 中心으로

        조현석 단국대학교 산업기술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50639

        This study is to analyze design examples for the protection devices aganist water hammer, based on the actual conditions. For this purpose, 20 reports on the water supply systems are selected as study exampl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s protection devices, 50% of design examples took the combination type which is consited with two among air chamber, valve strocking, air valve, relief valve and surge pipe. 2. All the examples analysed two cases i.e. with protection devices and without protection devices. 3. Neither fly wheel nor one way surge tank is analysed in the study examples. 4. The fastening down-pressure of relief valve appears from 7 ㎏f/㎠ to 14 ㎏f/㎠. 본 연구는 상수도 도․송수관로의 Water hammer방지시설의 해석방법의 검토, 방지시설의 적용실태, 관로매설 위치의 지형적인 특성과 방지시설간의 상관관계 및 방지시설 결정방법에 대한 검토를 20권의 설계 사례를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으며 water hammer 이론 및 방지지설에 대한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Water hammer수치계산 방법은 평균 2건을 하고 있었으며 사용 전산프로그램으로는 SIMDRU 프로그램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지시설로는 방지시설의 2개이상 조합 사용한 경우가 전체의 18건으로 50%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Surge pipe만을 사용한 것이 1건으로 가장 적었다. 지형적인 특성을 분석한 결과 Surge tank의 경우 관로매설위치가 굴곡부와 협곡부가 계속반복되어 부압발생 예상이 높은 관로 도중 정점부에 대부분 설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air valve는 펌프장에서 토출수로 올라가는 지형에 약간의 부압이 발생되거나 지형적으로 공기배출이 어려운 곳에 설치하였으나 Air밸브설치후 상승압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relief 밸브의 설정압은 7㎏f/㎠∼14 ㎏f/㎠으로 나타났다. 방지시설 결정시 최종 결정된 관로노선에 방지시설을 적용하여 수치계산 후 안전하다고 판단되며 각 방지시설 상호간의 시공성, 공사비, 유지관리 등의 검토 없이 방지시설을 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지시설물 중 Fly wheel 및 one-way surge tank적용실적은 한건도 없었으며 이는 기동시간과 사수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 住居面積과 水壓이 生活用水量에 미치는 影響

        지병준 檀國大學校 産業技術大學院 1995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연구는 일반가정에서 생활용수의 사용형태와 이에 변화를 줄 수 있는 요인을 조사하여 배수지로부터 일반가정으로 공급되는 수압의 분포가 생활 용수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지역으로는 수압의 분포를 뚜렷이 확인할 수 있는 공동주택으로써 송파구의 한양아파트와 양천구의 목동아파트를 선정하여 생활용수량과 거주인원을 조사하였다. 생활용수의 용도에 따라 사용량에 변화를 주는 영향인자들을 파악하고, 주거면적과 수압의 변화가 생활용수의 사용량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주는 가를 분산분석과 상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수압에 의한 사용량의 차이를 요금으로 환산하였고, 각 세대에 거주하는 인원에 따라 변화하는 생활용수량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주거면적의 증가에 따른 사용량의 증가형태와 각 세대에 거주하는 인원의 증가에 따른 1인당 사용수량의 감소형태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고가수조와의 거리 즉, 층에 따른 수압의 변화가 사용량에 영향을 주어 저층 부분에서의 사용량이 전체 평균사용량과는 4%, 고층부분의 사용량과는 18%의 차이로 고가수조와의 거리가 멀수록 수압이 증가하여 사용량의 증가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상수사용자의 물사용 습관의 개선과 공급수압에 대한 효율적인 대책이 요구되며, 근본적인 절수대책의 수립과 실천에 있어 필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the amount of domestic water use by the water pressure and the house size. Two apartment sites which had elevated water tanks on the roof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area for this study. Two analysis techniques, Analysis of Variance(ANOVA) and Analysis of Correlation, were used for the analysis in this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amount of domestic water use was increased by 3~18% in propotion to the increase of house size. 2. The amount of domestic water use was increased by 4- 18% in propotion to the increase of water pressure. 3. The amount of domestic water use reduced by maximum 10% in propotion to the increase of persons in each house.

      • 사출시 보압의 변화가 성형품의 무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성백인 檀國大學校 産業技術大學院 1995 국내석사

        RANK : 250639

        산업이 발달하면서 플라스틱의 용도가 다방면으로 확산되면서 새로운 재료, 성형기계 및 가공법의 발전이 오랫동안 이루어져 왔다. 플라스틱 성형 및 가공기술 중에서 대표적인 성형법의 하나인 사출성형 가공법은 지금까지 성형기술자의 경험에 의존하던 틀에서 벗어나 여러 가지 해석적인 모델과 금형 및 수지의 개발등 과학적 접근이 이루어지면서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폴리스티렌 수지를 이용하여 사출성형의 전공정 즉, 용융수지가 금형의 캐비티 안으로 유입되는 충전과정과 냉각의 영향으로 인해 유입된 수지의 체적이 감소하여 이를 보상하기 위해 용융수지의 추가 유입이 이루어지는 보압과정, 그리고 사출공정 전반에 걸쳐 진행되는 냉각과정을 조직적으로 성형조건을 변화시키며 실험적 관찰을 하였다. 모든 조건들 중 특히 보압의 크기가 최종 성형품의 무게에 미치는 영향을 집중적으로 연구 하였다. 사용한 금형은 인장시편 (길이: 150 mm, 폭: 20 mm, 두께: 3 mm)으로 성형조건중 사출시간, 보압시간, 냉각시간, 금형온도를 일정하게 놓고 보압을 5% 간격으로 증가시키며 성형품을 만들어 이들의 무게를 전자저울을 사용해 측정하여 이 결과를 현재 상용화된 프로그램인 C-Mold를 이용해 컴퓨터 모사(Computer Simulation)한 데이타와 비교, 분석 하였다.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industry plastics become more popular then ever many fields. New materials and molding machines have been developed dramatically for the last few decades. Injection molding is one of the popular methods of many plastic manufacturing skills but it has been depended on the experience of mold engineers. Recently it has been studied scientifically via analytical models with the development of mold for various resines. In this study the whole process of injection molding is observed for various molding conditions. Especially the effect of packing pressure on the weight of injection molded parts has been studied in detail. The specimen used in this study is a tensile specimen made of polystyrene (length : 150 mm , with : 20 mm , thickness : 3 mm). While the filling, packing and cooling time and the temperature of mold wall were kept constant. The packing pressure has been increased by 5% up to 40% of the machine W. The weight of each case is measured using a precision scale. The experimental resul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results of a computer simulation package (C-Mold) which is commercially available.

      • 次世代 航空安全에 關한 硏究 : 空港監視 레이더를 中心으로

        강상준 檀國大學校 産業技術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50639

        오늘날 航空機는 科學의 눈부신 發展으로 現代化는 물론 大型化, 高速化 되어가고 있으며 航空需要 增加와 함께 一般 運送手段으로 定着되어가고 있습니다. 따라서 航空機가 離陸하여 目的地 空港까지 安全하게 運航 및 到着하기 위해서는 보다 廣範圍한 航空安全에 관한 對策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完璧한 施設을 갖춘 航空機가 導入되어 就航되어야 하고 해당 航空機에 대한 管理, 維持와 整備가 철저히 이루어져야 하며, 操縱士는 해박한 知識과 조종술은 물론 훌륭한 人格을 兼備하여야 하며, 航空機가 이용하고 있는 空港이 施設 및 運營面에서 瑕疵가 없는 地上施設과 優秀한 管制要員을 確保하여야 한다. 만약 航空機 事故가 發生될 경우에는 迅速한 救助가 可能하도록 諸般裝備의 具備와 措置할 組織 및 人員이 確保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問題를 전부 把握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므로 본 硏究에서는 첫째로 航空機 事故의 原因을 分析해보고 航空機 安全運航을 위한 航空交通管制 體制와 航行安全施設에는 어떠한 種類가 있으며, 둘째로 航行安全施設中 특히 空港監視 레이더에 대한 理解를 높이는데 努力하고 同 施設의 安全을 위한 關聯技術 및 役割 등을 살펴보았으며, 셋째로 航空交通管制 體制와 航行安全에 관한 시스템 構築은 물론 綜合的인 航空安全에 관한 對策을 航行安全施設 側面과 行政的인 側面으로 살펴보았으며, 위와 같은 硏究를 행함에 있어 航空關係者가 아닌 경우 空港에 대한 理解를 돕는데도 도움이 되도록 作成하였으며, 또한 이 分野에 대한 關聯書籍 등이 不足하여 關聯法規 및 ICAO 協約 등을 주로 使用하였고 二次的으로 文獻 調査方法 등을 使用하였으며, 특히 硏究者가 同 分野에 長期間 從事하고 있는 關係로 航空分野의 特殊性과 專門性은 물론 同分野의 國際 및 國內 動向, 各種 關聯 세미나 參席등을 통한 參考觀察 資料도 提示하여 航空安全에 寄與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e modern aircraft are becoming larger and faster thanks to the advances in technology and solidifying their place as one of the main modes of mass transportation in light of rising air transport demands. Therefore ensuring the safe passage of an aircraft from the moment it takes off until it reaches its destination requires an ever more comprehensive set of safety measures. Properly-equipped aircraft, thorough aircraft repair and maintenance, well-trained pilots with appropriate temperament, good airport facilities that are professionally operated -- these are some of the necessary ingredients of a successful air transport operation. Moreover, these basic elements must be supported by efficient and capable rescue and emergency equipment, staff, and planning. Incorporating all of these elements into a single integrated plan is a very complex task, however. Therefore this study will seek to: First, analyze the causes of various aircraft accidents and present different types of air traffic control and navigational aid systems required for safe operations; Second, among navigational aids, place a particular emphasis on increasing the understanding of airport surveillance radars and examine their role and related technologies for increasing safety; and, Third, examine how safe air transportation and air navigation systems can be constructed as well as how overall air safety can be brought about from the policy and navigational aid facilities perspectives. This paper is written so that the information can also aid a person who does not have a background in aviation gain basic understanding about airports. Due to a lack of resources in this field, ICAO documents have been extensively used and other publications were used secondarily. Also the researcher has relied on years of personal professional experience in the field including his personal knowledge of international and domestic trends and knowledge gained through seminars so that the information can contribute to the betterment of air transportation safety.

      • S/N비를 이용한 비조질강의 절삭조건 선정에 관한 연구

        김기남 단국대학교 산업기술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논문은 절삭조건을 결정하기 위해서 제어인자를 설정하고 가능한한 실험횟수를 줄이는 실험계획법 중에서 직교배열표를 이용한 S/N비 분석기법을 사용하여 기계가공분야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조질강과 비조질강의 피삭성에 대한 검토를 진행하여 최적의 절삭조건을 선정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절삭저항과 표면거칠기에 대한 각각의 제어인자를 직교배열표에 할당하고 S/N비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각각의 제어인자가 절삭저항과 표면거칠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고 최적의 절삭조건을 찾아내서 확인실험을 통하여 품질의 개선효과를 구하여 보았다. 절삭저항의 제어인자는 절삭깊이, 이송, 절삭속도로 설정했으며 절삭저항을 최소화하는 절삭조건은 절삭깊이 1mm, 이송 0.1mm/rev, 절삭속도250mm/min 이었고 표면거칠기의 제어인자는 공구반경, 절삭깊이, 절삭속도, 이송등으로 설정했으며 표면거칠기를 최소화하는 절삭조건은 공구반경 0.8mm, 절삭깊이 1,5mm, 절삭속도 250m/min, 이송 0.05mm/rev둥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termine the best cutting condition by examining the machinability of SM45C and Microalloyed steel, they are used in part of mechanical working, for applying the analysis of the ANOVA of S/N ratio that are using the orthogonal and one of the design of experiments that is for setting up the control factor and for erducing the number of experiments. The first, we assigned each control factor to the cutting resistance and roughing of surface in orthogonal array, and then, examined how the cutting resistance and roughing of surface are influenced by each control factor by using the analysis of the ANOVA of S/N ratio. We saw the effest of improvement throught the coneormating experiment after that, we observed the best cutting conditions. The control factor of cutting resistance was determined by the depth of cutting, feed, and the velocity of cutting, therefore, the cutting conditions for minimizing the restance were obtained at 1mm, 0.1mm/rev, 250mm/min, respectively, and the control factor of roughness of surface was determined by the radius of tools, depth of cutting, the velocity of cutting, and feel, therefore, the cutting conditions for minimizing the roughness of surface were obtained at 1.5mm, 1.5mm, 250mm/rev respectively.

      • 국내에서 생산되는 화물용 승강기의 고유진동에 관한 연구

        하성호 단국대학교 산업기술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50639

        현대는 고층 건물의 시대로 승강기는 수직 교통기관으로 가장 필수적인 것이 되어 있다. 그러나, 영세한 국내 승강기 제작업체들은 승객용 승강기에서도 제대로 진동 및 구조, 안전실험 둥의 실험 및 해석을 못하는 형편이나, 차츰 근래에 들어와서는 승객용 안전에 대한 사회 문제화가 되어 안전검사 등의 강화가 되고 있다. 그러나 화물용 승강기는 아직도 인식부족으로 고유 진동에 대한 자료 및 실험이 없어 유한요소 해석프로그램으로 실행해 봄으로써 화물용 승강기의 체대부분의 고유진동수와 승강기 본체의 판넬에서 두께가 0.5mm, 1mm, 1.5mm, 4mm의 경우 등의 고유진동수를 알아보면, 승강기의 고유진동체대부분에서는 강성이므로 고차모드에서 생기며 판넬의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고유진동수는 고차모드에서 생성됨을 알 수 있으며 화물용 승강기의 정현파 강제진동시 고유진동수가 0~4Hz의 범위에 나타나므로 이 고유 진동 범위를 피하여 설계한다면 안전한 승강기가 되리라 기대된다. Today, in the age of skyscraper, elevator is the most essential venhicle to move vertically. However, small-scale manufacturers of elevator could not experiment and interpret the vibration, stucture and safety even on the passenger elevator. Fortunately, its safety test is now reinforced because the security on passenger elevator became a social problem. As for freight elevator, however, there is no study or test due to the lack of recognition. By performing it with Finite Elements for Syructural Analysis Program, therefore, I investigated the natural frequency of car frame in freight elevator and of elevator body panels with the thickness of 0.5, 1.0, 1.5 and 4.0 mm. since the natural frequency of frame is siffness, it happens in high mode. And the thicker the panel is, the hifher the mode natural frequency happens is. When forced vibration on harmonic motion of freight elevator, its natual frequency ranges from 0 to 4 Hz, and it is expected that safe elevators could be made if this range might be avoided when they aredesig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