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남·북한의 국가원수 경호제도 비교 연구

        강경수 국제문화대학원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는 한반도의 안보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북한의 국가원수에 대한 경호조직과 경호작용 등에 관한 연구를 기초로 대한민국 대통령 경호제도와 비교ㆍ분석을 실시하여 국내ㆍ외적 요인에 의한 경호환경 변화를 전망해보고 이에 대한 대응책과 현행 경호제도와 향후 통일을 대비한 경호제도의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북한의 경호제도를 분석한 결과 첫째, 경호기관인 호위사령부의 요원이 군인으로 편성되어 군 중심의 경호체제로 운영되어 경호원에 대한 상위 직급으로 책정 운영 하고 있으며, 둘째, 5선 경호개념 채택과 국방위원장의 건강관리, 정신경호(심기경호)·기만경호를 위한 종합적인 경호체계 구축과 여성경호원의 다기능적 임무수행이 이루어지고 있고, 셋째, 안전시설의 분산배치로 고도의 보안 관리체계를 유지하고, 3선·3일 보고체계 구축과 더불어 경호전문특수교육기관을 창설·운영하는 등의 특징이 나타났다. 이에 따른 발전방안으로 5선 경호개념 체계 도입과 경호의 전문화 및 엘리트화를 위하여 경호공무원을 조기에 가선발하는 제도 도입과 여성 경호원 확대운영 등이 도출되었다. 또한 국민적 정서에 부합된 국민친화적 경호를 확대 시행할 필요가 있으며, 경호의 세계화를 위한, 경호학문의 국제 위탁교류제도를 확대시행하고, 국내 정치ㆍ사회적 불안전성 요인해소를 위한 획기적인 경호제도의 변화가 필요성이 요구된다 하겠다. 그러나 현재 무엇보다도 남·북의 분단 상황과 정치체제의 상이 및 민족통일 염원이라는 특수성을 가지고 있어 통일이후 경호환경 변화에 대한 경호제도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그에 따른 통일대비 경호제도의 발전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남·북한 내부 경호환경 변화의 중요변수로 등장할 지역주의와 보수와 혁신이라는 갈등의 억제의 방법으로 사전 조율 및 유관기관과의 협조를 통한 경호제도의 순기능적 역할 증대를 도모하여야 한다. 둘째, 통일대비 흡수형 혹은 합의형 통일유형에 맞는 경호제도 모색이 필요하다. 예로서, 현재 북한의 호위사령부 처리문제 및 조직 융화 방안 등에 있어서 경호 법적ㆍ제도적 조치가 필요하다할 수 있겠다. 셋째, 잉여군사력 처리와 함께 국경을 경비하는 중국과 러시아와의 협력적 방법의 접수 등의 경험적 요소 접목은 통일대비 경호기관 처리에 긍정적 요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통일관련 경호관계법 정비가 필요하다. 상이한 군사조직의 결합이라는 측면과 통일이후 경호환경 변화에 따른 정보력 확충의 측면 그리고 한반도 주변 강대국 간의 세력균형의 갈등처리능력 측면에서 경호관계법 정비가 필요하다할 수 있겠다. 이러한 경호·경비제도의 발전방안을 조기에 도입하여 정착시킴으로서, 완벽한 경호체제 구축과 국민정서에 부합되고 경호의 선진화 달성이 가능할 것이며, 21세기의 바람직한 경호원 상을 정립하여 효율적인 경호작용을 시행하는데 초석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 The security service is based on the security system and it interacts with the environment of security. Therefore the change of environment affects the system with some adjustment. Meanwhile, each country has its own security system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and political system. Nowadays the security system of democracy is rational and efficient under law-abiding society. The situation of South Korea is facing conflict of interests, ideological contraries and inconsistency of movement to highly-developed society. Especially, after unification situation needs to be researched. The procedure related to the 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as follows. The conflict of regionalism and ideology occured in South Korea and the North Koreans weak recognition on unification is rather political and cultural issue, therefore it needs to be solved in a way of distributed liability system. The problems of disorganizing North Korea's security system, the border conflict between China and North Korea, and many other problems require solutions through distributed liability system. In this paper, the ways to develop the security in the systematic, the managerial and the academic way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in the systematic way, ① the current system of the 3 line security adopted in western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is to be converted to the system of the 5 line security that North Korea applies originally, and ② the system to preselect the security personnel tentatively is necessary for the specialization and the elitism of the security. Second, in the managerial way, ① the economical management of the security structure such as the expansion of the employment of female security guards and the introduction of the customized security system is to be required. Third, in the academic way, this paper proposes ① to commit the training of security personnels and the in-service to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universities or colleges) for the specialization of security guards and ② to include the Security Science and the Security English in the subjects for the test to employ security guards in Public Service, in order to improve the foreign language ability of security guards and their fundamental knowledge related with the security science. This study on security system has considered in 3 aspects; To guarantee the national leader's activity area according to the political system, to recognize the changes of security surroundings, and to prepare the after unification etc. Also, how to restrain terrorism, how to capture the useful information, how to guarantee the investigational right, and how to use the distributed liability system have to be considered.

      • 한국의 대테러리즘 실태 및 발전방안 연구

        김태규 국제문화대학원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50655

        2001년 9월 11일 초강대국 미국의 심장부인 뉴욕과 워싱턴의 테러는 전 세계인을 경악케 했다. 이에 미국은 즉각 초유의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테러국가인 아프가니스탄과 전쟁을 개시하였고, 최근에는 테러지원 국가인 이라크를 공격하였으며, 또 다른 테러지원 국가로 추정되는 북한에 대한 압박을 증가하고 있다. 또한 ‘05년 7월 7일 영국 런던에서도 동시다발 폭탄테러가 발생하여 56명이 사망하고 700여명의 부상자가 발생하였으며, ‘05년 7월 16일에도 이라크에서 유조차 자살 폭탄테러로 150명에 가까운 사망자가 발생하는 등 이제 테러는 더욱 대담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국제상황 속에서 우리는 국제 테러리즘이 점차 증대되고 있음을 주지하고, 테러를 적극 예방하고 테러 발생시 효과적으로 대처해야 하기 위하여, 이제는 국가 안보차원으로 국가 총력전 개념에 따라 적극 대비해 나가야 함을 인식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세계적 테러리즘 추세와 한국의 테러위협과 대비책을 분석하여 국가안보 차원에서 대테러리즘 발전방안을 제시하려고 하였다. 이를 위해 테러의 개념, 테러의 발생원인과 유형, 국제 테러리즘의 변화 추세를 고찰하였으며, 한국에서의 테러리즘 양상, 테러위협, 국ㆍ내외에서 발생 가능한 테러 유형을 분석하고 대테러리즘 실태를 진단하여 한국의 대테러리즘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한국은 테러리즘에 보다는 북한의 게릴라전에 대비 태세에 중점 두고 유지하여 왔지만, 9.11 테러 이후에는 우리나라도 뉴테러리즘에 대비하기 위해 다양한 대책을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뉴테러리즘이 한국의 안보에 미치는 영향은 ① 국제 테러 조직들이 테러 범위를 전 세계적으로 확산하고 있으므로 한국에까지 확대할 가능성 상존 ② 북한에 의한 테러리즘 발생시 직접적인 물리적 피해보다 엄청난 심리적인 혼란 예상 ③ 사이버 테러리즘의 확산 등을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뉴테러리즘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입법화 추진과정서 법제화되지 못한 테러 방지법(안)을 조속히 법제화해야 하며, 테러 방지법을 법제화함으로써 적절한 테러 대책기구를 마련할 수 있고, 테러에 대한 적절한 예방 및 대응을 추진할 수 있을 것이다. 뉴테러리즘에 대한 효과적인 군사적 대비태세를 유지하기 위한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제 대테러 공조체제를 강화해야 하며, 날로 확산일로에 있는 첨단무기 기술, 화생방 무기 및 물질 등을 규제하는 국제 통제체제의 강화를 추진해야 한다. 둘째, 테러리즘 방지를 위해 각 정부부처들이 어떠한 역할 및 지원을 할 것인가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계획이 수립되어야 한다. 즉, ① 대테러 활동에 있어서 군의 역할 및 범위 ② 정부부처와의 역할 분담 및 연계 분야 ③ 동원 가능한 인력·장비·기술 판단 및 동원 전제조건과 시기 등이 명시되어야 한다. 셋째, 범정부 차원에서의 위기관리체제가 필요하다. 테러리즘에 대해 군과 경찰에 테러전담 특수부대는 편성되어 있으나 사전예방, 총괄, 기획, 통합, 지휘통제, 정보 등 상부구조는 취약한 실정이다. 넷째, 효과적인 뉴테러리즘 대비태세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군의 작전유형별 교리를 발전시켜야 하며, 테러리즘의 유형에 따라 대테러작전 부대의 구조, 장비, 지원체계 등을 변화시켜야 할 것이다. 오늘날 정보사회에서 테러리스트들은 새로운 정보기술을 사용함으로써 테러리즘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있는 반면, 이에 대한 대비책은 아직도 과거의 테러리즘에 대응하는 체계와 수단을 유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뉴 테러리즘에 대한 우리의 대비책은 아직도 미비한 실정이다. 대테러의 핵심은 테러리즘의 위협을 사전에 예방함으로써 테러발생 가능성을 차단하는 것이지만, 테러 발생시 항상 준비된 상태에서 신속하게 대응함으로써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 보다 현실적인 대책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민ㆍ관ㆍ군이 공동으로 대비책을 계획하고 평소 공동연습과 훈련 실시를 고려해야 한다. The terror on September 11 2001 against New York and Washington of the unique superpower, US, was a great shock to the people in the world. Thus, the US instantly declared the state of emergency, and began a war against Afghanistan, one of the countries who implicitly supported the terrorists. In addition to this, it attacked Iraq, the same country with Afghanistan, and is pressing North Korea, which is also considered as a same kind of the above two countries. On 7th July 2005, there were continuous terrors both in London, UK, which killed 56 persons and wound 700 persons, and in Iraq, which killed approximately 150 persons with the suicide bomb terror using an oil tank truck. Judging from these terrors, it is true that the terrorists are continuously becoming more and more bold. In this situation, it is necessary for us to recognize gradual increase of the international terrorism, and to prepare by the concept of the national total war in a dimension of national security to effectively cope as well as to actively prevent an occurrence of the terrorism. In this sense, this study tries to provide an appropriate way of future development on anti-terrorism by analyzing not only the tendency of the global terrorism, but also the threat of terrorism and preparations of South Korea against terrorism. In order to do this, firstly, the concept of terrorism, the causes and forms of terrors, and the continuous changing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ational terrorism are examined. Secondly, the status and threat of the terrorism in Korea, and the possible models of terrors in Korea and overseas are analyzed. Lastly, after diagnosing the actual situation of anti-terrorism, I provide an appropriate way for future development. Whilst Korea focused more to construct defense system against the North Korean guerilla warfare rather than terrorism, after the 11th of September, it is seeking various methods to prepare against the current tendency of terrorism. The effects on Korean Security of new terrorism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are lots of possibilities that the international terror organizations will enlarge their terrors against Korea, because they have enlarged their operational area throughout the world by escaping the limited attacks against the US, Americans, and the advanced US bases. Secondly, in case that North Korea changes its way from the local irregular warfare to terror in order to stir up and enormously damage the Korean society, it may cause massive psychological disturbance, even though it may not be a direct physical damage by a terror. Thirdly, one of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new terrorism is cyber-terrorism, which develops a spread of terrorism by the development of the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Internet that is difficult to monitor and inspect its employment, and a maximization of the political effects with quick reports by media. In order to deal with new terrorism, it is necessary to quickly legislate the prevention laws, which was failed to be law in the process of the legislation. By doing this, it is possible to not only create an appropriate anti-terrorism organization, but also project the ways for prevention and counteraction. There are following ways to keep an effective military defense posture against new terrorism. Firstly, it is absolutely needed to strengthen international joint anti-terror system as well as international control system to reduce a wide spread of the weapons and materials of the mass destruction and the technologies for advanced weapons. Secondly, it is natural to make a plan in detail between the governments about how to support and role in doing anti-terror operations to prevent new terrorism. It is necessary to make clear at least the three points: ①the roles and regions of the military forces in the anti-terror operations, ②the division of the roles and areas between the military and governmental organizations, ③ judgments about both available resources such as personnel, equipment, technology capable of mobilization, and preconditions and time for mobilization. Thirdly, it is necessary a crisis control system in the dimension of the whole government. Despite the fact that there is a special force for anti-terror warfare consisting of the military forces and policeman, it is true that the upper organization for prevention, the multiple-unit control, planning, unification, command and control, intelligence. Fourthly, in order to keep an effective anti new terrorism defense posture, it is necessary not only to develop the doctrines according to anticipated operational forms, but also to change the structure, and equipment, support system of the anti-terror operation echelons. In the modern intelligence society, whilst terrorists are maximizing the effect of terrorism employing new intelligence technology, the preparation ways are staying at the same level of reacting the previous terrorism. Thus, our defense methods against new terrorism are still insufficient. Even though the key of the anti-terror operation is to prevent the possibility of the occurrence of the terrorism by preventing the threat of the terrorism in advance, but to reduce the possible damage in the case of terror by quickly reacting to any kind of terror is the most realistic measure. For thi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not only to plan appropriate measures together with military and civilians, but also to do combined simulations and exercises.The terror on September 11 2001 against New York and Washington of the unique superpower, US, was a great shock to the people in the world. Thus, the US instantly declared the state of emergency, and began a war against Afghanistan, one of the countries who implicitly supported the terrorists. In addition to this, it attacked Iraq, the same country with Afghanistan, and is pressing North Korea, which is also considered as a same kind of the above two countries. On 7th July 2005, there were continuous terro

      • 한반도 유사시 대테러리즘의 발전방안 : 이라크전을 중심으로

        최윤태 국제문화대학원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50655

        세계는 지금 테러 및 테러리즘으로 한시도 마음을 놓을 수 없는 상황에 있으며, 심지어 미군은 이라크에서 2003년 5월 2일 종전선언 이후 이러한 테러로 인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고, 정규전시 보다 훨씬 많은 3,200여명의 인명손실과 경제적 피해를 받고 있는 상황에 있다. 이는 전쟁 이후 치안을 확보하지 못해 수많은 인명피해와 사회 기반시설이 파괴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연계하여 현 한반도 상황은 남북경협, 열차 시범운행 등 평화분위기가 정착되기는 하나 정전협정이 아닌 휴전협정으로서 언제 어떠한 상황이 발생할지는 누구도 모른다. 또한 북한은 이념적으로 전 세계에서 고립된 인권 유린국가이면서 세습적인 권력이양으로 인한 내부 분열이나 대량 탈북사태, 식량난 등 다양한 안보위협이 도사리고 있다. 만약 김정일의 오판으로 전쟁발발시 대한민국은 한·미 연합군에 의한 응전 반격을 실시하여 북한지역을 수복, 통일시킬 것이다. 이러한 북한 내부 상황과 국제적 테러리즘이 연계되고 최근 미국의 주도에 의해 치러진 이라크전의 테러리즘 고려시 한반도내에 대테러리즘에 대한 발전방안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자료 활용은 테러리즘의 개념과 이론, 테러리즘의 유형과 종류, 수법과 공격방법, 주요 선진국의 테러리즘 정책에 대해 선행 연구 하였다. 또한, 저자가 이라크 자유작전에 참가한 경험(자이툰 부대 5진 기술대장으로 '06. 9 ~ 07. 3월까지 이라크에 파병, 현지인 600여명에 대한 기술교육)과 미군의 이라크 자유작전(안정화 작전)결과를 기초로 교훈을 도출하였다. 이를 기초로 전통적 테러리즘과 뉴 테러리즘에 대해 정부 및 민간부분과 군에서 대비해야 할 분야에 대한 대응방안과 북한과 이라크전을 비교, 한반도에서 유사시 테러발생 방지를 위한 치안분야를 중심으로 발전방안에 대해 제시했다. 첫째, 테러리즘 관련 법적·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 테러범 처벌규정 정비 및 보완방향과 대데러 전문 인력을 양성, 활용하여야 하며 러리즘 대응관련 법적·제도적 기반강화를 위해 「테러방지법」이 조기 입법화 되어야 한다. 둘째, 뉴 테러리즘(생물, 사이버, 우발적 무차별 테러리즘)의 대비체 제를 강화시켜야 한다. 생물학 테러는 초동조치 및 오염사고 통제반을 편성 운용하고, 민·관·군 통합 작전태세 확립과 병행하여 생물학 테러 대책본부를 편성 운용하며 중앙 및 지자체별 현장지휘본부를 설치하여야 한다. 그리고 또한 사이버테러 전담기구를 편성하고 사이버테러 전문인력을 양성 운용하고 범 국가적 대응 및 지휘통제체제 구축이 절실히 필요하며 체계적으로 테러리즘에 대응하여야 한다. 또한 우발적 무차별테러와 관련 정신질환자, 절대적 사회빈곤층, 군 특수부대 출신자, 그리고 농약, 총포 및 탄약 관련 종사자에 대해 제도권내 관리를 강화하고 주한 외국인과 불법체류자에 대한 관리, 그리고 국제 테러조직과의 차단활동을 강화하여야 한다. 셋째, 대테러 관련 군의 역할 확대 및 민·관·군 통합대비태세가 절실히 필요하다. 대테러리즘을 전쟁이외의 군사작전 분야로 교리화, 야전교범화 하여 군 간부 양성 및 학교 보수교육, 야전부대 교육에 포함시켜야 한다. 그 리고 대테러 작전개념 및 지휘체계와 전시(戰時)위주 군 병력 지원 체 제를 합참의장의 평시작전 통제권 행사와 연계, 국가 재해·재난 대비 계획에 포함, 테러 발생 시 군의 지원이 보장토록 추진되어야 한다. 또한 민·관·군 통합방위태세를 확립, 대테러리즘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여 국가 총력전 개념으로 대비해야 한다. 아울러 군에서 대테러 임무수행 후 전역군인을 제도권 내 관리함으로서 유사시 대테러 전문 인력을 확보하고 테러리스트로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정부정책을 발전시켜야 한다. 넷째. 한반도 유사시 테러 위기관리능력 확보방안이다. 북한 지역 치안확보를 위한 안정화작전간 북한의 기존 경찰 및 군 간부, 행정관료 관료 등 지역 지도자를 선발 및 활용한다. 그리고 국경선에 대한 통제로 중국과 러시아로부터 테러리스트 유입(인력, 자금, 무기) 및 도주방지 대책을 강구한다. 또한 한반도에서 유사시 한·미 연합작전이 필수적으로 수행될 것이나 북한 주민 통제는 반드시 한국군이 통제함으로써 북한주민과 쉽게 친밀감을 형성할 수 있다. 만약 미군에 의해 북한 주민 통제시 치안확보가 이라크보다 더 나쁜 상황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충분하다. 이러한 주민안정 및 통제, 인도주의적 지원활동시 반드시 한국군 및 한국정부 뿐만 아니라, 국제기구 및 비정부기구의 구호단체들로부터 지원을 받고 국제적 지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대테러리즘의 최선의 방안은 테러리즘의 위협을 사전 예방하여 테러 발생 가능성을 차단하는 것이다. 그러나 한반도라는 특수 환경과 한국 사회에 만연한 안보불감증 그리고 남북철도 연결 등 평화통일의 초석이 다져지는 현실을 고려할 때 평화와 위기가 상존한다. 또한 한국군이 전작권(戰作權)단독행사시 북한지역에서 실시될 민사작전 및 안정화 작전시 유의사항을 제시함으로서 혹시 테러리즘 A world is facing serious security problems these days due to terrorism and terrorist attacks. United States, in particular, declared victory in war against Iraq on May 2nd, 2003, but following attacks by terrorists caused approximately 3,200 deaths of U.S soldiers and tremendous economic damage. The reason is that U.S Army failed to establish fundamental security in postwar of Iraq. In relations with this, South Korea is also in unpredictable situation with North Korea even after connecting a national train railroad that connects the entire nation or building economic cooperation that helps North Korean economy because the two countries signed the armistice for stopping the war, not the truce for ending the war. In addition, North Korea is an ideologically isolated country with severe infringement of human rights and hereditary monarch political system. If Kim Jeong-il, a chairman of North Korea, invades South Korea, then South Korea will conquer and unite North Korea with its all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Therefore, an analysis of securing the country against the terrorism in Korean peninsula is required considering this kind of internal situation of North Korea and external international terrorism. The analysis is based upon a concept, theory, type, and method of the terrorism as well as developed countries' policy on terrorism. The author's experience in "Operation Iraqi Freedom"-in charge of technical part in 5th Zaytun Division deployed to Iraq from September, 2006 to March, 2007 in order to educate six hundred Iraqi civilians-and the result of U.S "Operation Iraqi Freedom" are also taken into consideration. Since there are differences in traditional terrorism and new terrorism, the strategy in coping with that should be vary in government, the public, and the army level. Additionally, a comparison between North Korea and Iraqi War can provide a blueprint in preventing security problems from the possible terrorist attacks that can happen in Korean peninsula. First, institutional improvement is required: 1) An article on a punishment of terrorists should be amended, and experts in terrorism are required; 2) "Terrorism Prevention Act" should be legislated in order to secure institutional background. Secondly, a preparation for new terrorism, such as biological and impulsive terror attacks, should be strengthened: 1) Initial therapy is fundamental in biological terror attack, so an independent control team should be made as well as the collaboration of the public, government, and army in order to create a centralized power; 2) A division that can take charge of the cyber terror is also necessary; and 3) Institutional administration toward impulsive terror attacks, mentally ill person, the absolute poor, and former army special agents is needed along with the management of pesticides and gun powders. Foreigners staying in Korea such as illegal immigrants, and international terrorist organizations should also be managed to prevent possible attacks. Last, the army's role against terrorism and the collaboration of public, government, and army is essential, and thus, should be enlarged: 1) Prevention of terrorism should not only considered as a part of war, but also as a part of military strategy. Therefore, new regulation is needed due to promote experts specialized in counter-terrorism: 2) Operations and strategic systems toward terrorism should be combined with controlling power of the chairman of joint chief of staff in time of peace, in order to be comprised in national disaster system. If so, the support of army can be ensured once terror attacks occur; 3) The public should be aware of the danger of the terror attack so that they can support the policy on terrorism; and 4) Retired soldiers who have experience in counter-terrorism should be under the boundary of the army so that they can be experts on the terrorism when needed. An enforcement on governmental policy is also important in order to prevent terrorists from entering Korean Peninusula. Fourth, Korean peninsula's capability of terrorist attacks should be ensured: 1) A use of North Korean police officers or administrative officials will be a good way to secure the security level in North Korea, 2) A strict control on border line in order to cut the influx of terrorists, capital, and weapons from China and Russia should also be considered, 3) Korean-U.S. army will operate the war when the war occurs, but the control on North Korean civilians should be performed by South Korean troops so that the civilians can feel less threatened. If U.S army tries to establish the order, neither the security assurance nor the control of the civilians can be guaranteed. Therefore, 4) International humanitarian aids, NGO, and United Nations' support is necessary. The best solution to cope with terrorism might be in prevention. In spite of this, peace and threat both exist in South Korea because of particular regional circumstances, the public's indifference on national security, and peaceful diplomacy such as transnational railroad construction. It would be better and more helpful to alert the public's understanding on terrorism by showing several possible operations and stability strategies in North Korea in case the Korean Army happens to perform wartime operational control independently.

      • 광복 후 중국조선족 문학사 연구

        차호걸 국제문화대학원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50655

        한국문학과 중국 조선족문학이 확실하게 문화의 공동분모를 가지고 있음에도 현시점에서 의심할 바 없이 교류라는 비교학적 방법이 가능한 것도 바로 국가를 단위로 하여 문학의 이질성이 엄연하게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서 광복 후 중국조선족 문학사를 밝혀보는 것도 중국 조선족 문학을 요해하고 한국문학과의 교류를 추진하는 바람직한 작업이 아닐 수 없다. 저는 이 연구를 통해 중국에 거주하고 있는 조선족의 광복 후 각 시대 작가들의 문학창작 활동을 조사하여 그 문학사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당대 조선민족문학발전의 실제에 좇아 1949년으로부터 현재까지의 문학을 대체로 1949년으로부터 1966년에 이르는 민족문학의 모색기, 1966년으로부터 1976년에 이르는 민족문학의 암흑기, 1976년으로부터 1990년대에 이르는 민족문학의 소생과 번영기, 1990년 이후의 민족문학의 새 시기로 나누어 각 시기의 문학적 배경, 특성, 대표 작품, 대표 작가들의 활동 등을 고찰하고 개혁개방 후 중국 조선족 여성 문학도 연구해 본다. 연구문제 1. 1949년으로부터 1966년에 이르는 민족문학의 모색기의 문학상황, 시문학, 소설 문학, 희곡 문학을 고찰하고 이 시기 대표적 작가 이욱에 대하여 연구한다. 연구문제 2. 1966년에서 1976년에 이르는 민족문학의 암흑기의 문학의 상황, 이 시기 문학작품의 특성을 고찰하고 대표적 작가인 남영전에 대해 연구한다. 연구문제 3. 1977년부터 1990년대에 이르는 민족 문학의 소생과 번영기의 민족 문학 상황, 시 문학, 소설 문학, 극 문학에 대해 고찰하고 대표적 작가 이상각에 대해 연구한다. 연구문제 4. 1990년대 이후 민족 문학 새 시대의 문학 경향을 고찰하고 대표적 작가 김학철에 대해 연구를 진행한다. 연구문제 5. 개혁개방 후 중국 조선족 여성 문학에 대해 연구한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광복 후 중국 조선족 문학사의 시대구분은 대체로 1949년으로부터 1966년에 이르는 민족문학의 모색기, 1966년으로부터 1976년에 이르는 민족문학의 암흑기, 1976년으로부터 1990년대에 이르는 민족문학의 소생과 번영기, 90년대 이후의 민족문학의 새 시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둘째, 각 시대에 처한 조선족 작가들은 시대 변천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우리말과 우리글을 지켜왔다. 특히 민족 문학 암흑기 때는 거의 소실되는 민족문학을 살리기 위해 김학철, 이상각, 한원국 등 작가들은 많은 위험을 무릅쓰고 노력하였다. 셋째, 광복 후 중국 조선족 문학사는 민족문학의 소생과 번역기 초반까지만 해도 거의 사회주의 리얼리즘에 입각했다. 하지만 그 후 반부터는 비교적 자유로운 주제를 선택하고 다양한 창작 방법으로 작품을 만들고 있다. 넷째, 개혁, 개방의 새로운 형세와 활성화된 국내외의 사상문화 교류 속에서 지난날 <좌경>적 노선으로 하여 형성된 그릇된 사상관념을 포기, 갱신하고 현대의식, 민족의식, 주체의식으로 각성하는 중국 조선족문학을 보아낼 수 있다. 다섯 째, 개혁개방 후 21세기에 이르기까지 여성작가들은 문학발전에 마멸할 수 없는 기여를 하였고, 놀라운 발전을 가져와 이미 조선족 문단을 이끌어 갈 수 있을 막강한 힘을 과시하리라 예견된다. 여섯 째, 광복 후 중국에서 형성된 조선족 문학군체는 <연변문학>(연길), <장백산>(장춘), <도라지>(길림), <아리랑>(연길), <송화강>(하얼빈), <별나라>(연길, 아동문학) 등을 망라한 문학지와 <문학과 예술>(연변사회과학원 문학예술연구소 주관), <예술세계>(연변문학예술계연합회 기관지)와 같은 문학예술 이론지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작가, 시인들은 우리글 신문들인 <흑룡강신문>(하얼빈), <연변일보>(연길), <길림신문>(장춘), <료녕신문>(심양)등 신문 문예부간에도 작품들을 자유롭게 발표하고 있다. 중국 조선족 문단에서 이미 일정한 성과를 올렸거나 한창 활약하고 있는 작가들로는 소설에 김창걸, 김학철, 이원길, 임원춘, 유연산, 우광훈, 이근전, 최홍일, 정세봉, 박선석, 고신일, 유원무, 김근총, 윤림호, 김훈, 림승환, 김길련, 이혜선, 허련순, 김혁, 이선희, 방룡주, 윤일산, 권선자, 남주길, 박은, 이만호, 김순기, 김엽, 최현숙, 김동구, 김동규, 강효근, 김송죽, 김운룡, 한원국, 허봉남, 김영자, 조성희 등이 있고 시에는 이욱, 심연수, 김성휘, 이상각, 채택룡, 임효원, 김태갑, 조룡남, 박화, 남영전, 주선우, 서헌, 이삼월, 문창남, 설인, 송정환, 한춘, 김례삼, 김문회, 최형동, 황장석, 김응룡, 김정호, 최룡관, 최문섭, 정몽호, 김학천, 이성비, 이임원, 정철, 김학송, 한석윤, 강효삼, 김득만, 한창선, 한창희 김동진, 김성우, 김욱, 김파, 이선호, 박설매, 석화, 김응준, 김동호, 이명재, 김충, 임금산, 최기자 등이 있다. 산문과 수필에는 이성권, 김영금, 홍만호, 김양금, 이화숙, 김홍란, 양은희, 서영빈, 엄정자, 강정숙, 최순희, 김재국, 김문학 등이 있고 극작가에 최정연, 황봉룡, 한원국, 이광수 등이 있고 문학사가 정판룡, 허호일, 권철, 박충록, 김병민, 김관웅, 허휘훈, 채미화, 임휘 등이 있으며 평론에는 조성일, 임범송, 전국권, 최삼룡, 김성호, 김호응, 김동훈, 현동언, 김만석, 김경훈, 장정 Even though there certainly exist common denominators between the Korean literature and the Korean-Chinese literature in China, it might be undoubtedly attributed to the heterogeneous nature between both literatures that the comparative method - exchange - is possibly employed at this point of time. Accordingly, showing the Korean-Chinese literary history must be a desirable work to do for summarizing and understanding the Korean-Chinese literature and promoting an exchange with Korean literature. Through this study I aimed at showing their literary history by investigating the activities of the Korean-Chinese writers in every period who have been residing in China ever since the Korean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is study dealt with the literature over the periods from 1949 up to now according to the Korean-Chinese literature development condition, dividing into the probation period of the national literature from 1949 to 1966, the dark age of the national literature from 1966 to 1976, the revival and prosperity period from 1976 to 1990, and the new era since 1990. I have searched for literary background, characteristics, major works, and the activities of major writers in each period and also studied literature of women Korean-Chinese writers since the reform and opening-up. Subject of study 1. To examine literary situations, poetry, novels, and plays in the probation period of the national literature over the period of 1949 and 1966, studying also the writer Lee Uk, one of the major writers in the contemporary period. Subject of study 2. To examine literary situations and literary characteristics of this period in the dark age of national literature over the period of 1966 and 1976, studying also the writer Nam Young-jeon, one of the major writers in the contemporary period. Subject of study 3. To examine literary situations, poetry, novels, and plays in the revival and prosperity period of the national literature over the period of 1976 and 1990, studying also the writer Lee Sang-gak, one of the major writers in the contemporary period. Subject of study 4. To examine literary trends in the new era of the national literature since 1990, studying also the writer Kim Hyun-chul, one of the major writers in the contemporary period. Subject of study 5. To study the works of the women Korean-Chinese writers since the reform and opening-up.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Korean-Chinese literary history since the Korean Liberation could generally be divided into the probation period of the national literature from 1949 to 1966, the dark age of the national literature from 1966 to 1976, the revival and prosperity period of the national literature from 1976 to 1990, and the new era of the national literature since 1990. Second, the Korean-Chinese writers in each age have kept the Korean language and Korean writings for all that they were influenced by the changing times. Especially in the dark age of the national literature, some writers such as Kim Hak-chul, Lee Sang-gak, Han Won-guk, and many others, have exerted every effort to revive the almost dying national literature, at great risks. Third, the Korean-Chinese literary history since the Korean Liberation has been almost based on the Socialistic Realism in the beginning of the revived national literature and translation period. But in the latter part of the period they have chosen rather liberal subjects and have written in various creative methods. Fourth, among new situations of the reform and opening-up, and the activated exchange of thoughts and cultures both home and abroad, we can see the Korean-Chinese literature which discarded and renewed wrong thoughts and concepts that were formed due to the Leftists' line, and were awakened by modernism, national consciousness, and national identity consciousness. Fifth, women Korean-Chinese writers have contributed permanently to the literary development from the reform and opening-up to the 21st century, bringing wonderful improvement, and are already expected to play a leading role with great power in the Korean-Chinese writers' society. Sixth, the Korean-Chinese literary groups which were formed since Korean liberation included literary magazines covering <Yanbian Literature>-Yanji, <Changpaisan>-Changchun, <Doraji>-Jilin, <Arirang>-Yanji, <Songhua River>-Haerbin, <Byulnara>-Yanji(Juvenile literature), and theoretical journals of literary arts such as <Literature and Arts>(hosted by Yanbian Social Science Academy) and <Arts World>(journal of Yanbian Literary Arts Association). And writers and poets are freely released their works through the literary columns of Korean language newspapers such as <Heilongjiang newspaper>(Haerbin), <Yanbian Daily Newspaper>(Yanji), <Jilin Newspaper>(Changchun), <Liaoning Newspaper>(Shenyang). The writers who have already obtained certain results or are playing active parts at their best in the Korean-Chinese literary circles included the following novelists: Kim Chang-geol, Kim Hak-chul, Lee Won-kil, Lim Won-chun, Yu Yeon-san, Woo Kwang-hun, Lee Keun-jeon, Choi Hong-il, Jeong Se-bong, Park Sun-seok, Ko Sin-il, Yu Won-mu, Kim Geun-chong, Yun Lim-ho, Kim Hun, Lim Seung-hwan, Kim Kil-ryun, Lee Hye-sun, Heo Ryun-soon, Kim Hyuk, Lee Sun-hee, Bang Ryong-joo, Yun Il-san, Kwon Sun-ja, Nam Ju-kil, Park Eun, Lee Man-ho, Kim Soon-ki, Kim Yub, Choi Hyun-suk, Kim Dong-gu, Kim Dong-gyu, Kang Hyo-geun, Kim Song-juk, Kim Un-ryong, Han Won-guk, Heo Bong-nam, Kim Young-ja, Cho Sung-hee, etc.; the following poets: Lee Uk, Sim Yeon-soo, Kim Sung-hwi, Lee Sang-gak, Chae Taik-ryong, Kim Hyo-won, Kim Tae-gab, Cho Ryong-na, Park Hwa, Nam Young-jeon, Ju Sun-woo, Seo Heon, Lee Sam-wol, Mun Chang-nam, Seol In, Song Jeong-hwan, Han Chun, Kim Rye-sam, Kim Mun-hee, Choi Hyung-dong, Hwang Jang-seok, Kim Eung-ryong, Kim Jeong-ho, Choi Ryong-gwan, Choi Mun-sub, Jeong Mong-ho, Kim Hak-chun, Lee Sung-bi, Lee Im-won, Jeong Chul, Kim Hak

      • 대테러관계법의 운영 실태 및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정기춘 국제문화대학원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50655

        9·11 테러에서 시작된 뉴테러리즘은 익명으로 자행되는 무차별 대량 인명살상 등 전쟁의 양상을 띠면서 전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고 있는 21세기 최대의 난제가 되고 있다. 한국의 대테러 대응체제는 북한의 테러를 대비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었고 그러한 고전적인 테러에 대비한 국가대테러활동지침을 마련하여 대테러활동을 해 왔으나 핵물질, 화학, 생물학 무기에 의한 테러 그리고 사이버 테러까지 우려되는 상황에서 동 지침에 의한 대비태세를 갖추는 것은 너무 미흡하다 아니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가정보원에서 제안한 바 있는 테러방지법(안)의 입법이 인권 침해와 권력남용 등의 이유로 인권단체 등의 거센 반대에 부닥쳐 무산 되는 등 입법화가 지연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은 남북분단이라는 특수상황에서 생화학 무기를 다량 보유하고 있는 북한으로부터의 테러 위협이 상존하고 있으며 북한의 핵실험 이후 핵물질의 제3국으로의 이전 가능성으로 인한 핵테러의 위험까지 증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라크 파병국으로서 국제테러조직에 의해 테러 대상국으로 지목되기도 하여 뉴테러리즘에 대처할 체계적인 대테러관계법의 제정이 시급한 실정이라고 하겠으며 그에 따라 다음과 같이 한국의 대테러관계법의 제정에 대한 제언을 한다. 첫째, 정부에서 대테러 활동의 중요성을 국민들에게 널리 홍보하고 국민들을 상대로 한 공청회, 토론회 등을 통하여 광범위한 의견을 수렴함으로써 범국민적 지지를 바탕으로 한 입법이 추진되어야 한다. 둘째, 테러범죄 역시 기존 관련 법률에 규정되어 있는 형사범인 것을 고려하면 형사범에 대한 정보기관의 수사는 비합리적이라고 보여지므로 따라서 대테러관계법을 조속히 제정하되 정보와 수사의 분리라는 원칙하에 입법이 되어야 한다. 셋째, 새로 제정되는 대테러관계법은 국가의 안전보장, 질서유지 그리고 국민의 공공복리를 위하여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본질적으로 침해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죄형법정주의에 입각하여 제정되어야 한다. 넷째, 초국가적이면서 조직화, 대형화되는 국제테러를 방지하고 억제하기 위해서는 국제사회의 공조와 협조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으므로 대테러 관련 각종 국제협약에 빠짐없이 가입하는 것은 물론 국제사회와의 협조체제에 관한 규정도 구체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한국도 법에 근거한 완벽하고 체계적인 대테러 대응태세를 갖추게 되어 뉴테러리즘으로부터 국가와 민족을 안전하게 지켜낼 수 있을 것이다. Often taking on the aspect of a war, anonymously committed new terrorism of unconditional mass destruction of human lives has been emerging the most tricky issue to deal with in the 21st century and posed a threat over the survival of mankind as a whole since the 911 terrorist attacks. Korea has put in place anti-terrorism system mainly to counteract terrorist attacks from North Korea and taken actions to counter terrorism, on the basis of such conventional national guidelines for anti-terrorism. However, at this point where terrorist threats using nuclear materials, chemical and biological weapons, and even cyber-terrors are concerned, countermeasures by the said guidelines are not enough. Nevertheless, legislation of anti-terrorism act has been delayed since legislation of the anti-terrorism bill proposed by the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of Korea was nullified as a result of fierce objections from human rights organizations on the grounds of human rights violation and power abuses. Still, at the unique situation of being divided into the North and South, South Korea is under persistent terrorist threats from North Korea, which holds enormous biochemical weapons, and the risk of transfer of nuclear materials to any third countries since the North’s nuclear test has doubled the threat. On top of that, as a country which dispatched troops to Iraq, Korea has been listed as a target of terrorism by an international terrorist organization, which makes it urgent for Korea to legislate a systematic anti-terrorist act to countermeasure the new terrorism. Therefore, suggestions for the legislation of the Korean anti-terrorist act are as follows; First,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positively promote the importance of anti-terrorist activities for the citizens and hold public hearings and debates to hear various voices of the general public and thereby legislate the said anti-terrorist act on the basis of national-level support. Second, since the investigation by the intelligence service on criminals is considered unreasonable, given that terrorists are also defined as criminals under the existing governing laws, it is urgent to enact an anti-terrorism act, on the conditions of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information and investigation. Third, the new anti-terrorist act should be enacted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 of legality for the purpose of ensuring the national security, maintaining the order in the country, and enhancing public good, within the scope where rights and freedom of citizens are not fundamentally violated. Fourth, cooperation and coordination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re considered essential to prevent and control the ever growing international terrorist attacks, which have become gradually supra-national, organized, and far-reaching. Accordingly, it is necessary for Korea to join every international convention relative to anti-terrorism and prepare specific provisions for the cooperation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us, Korea will be able to safely protect its country and people from new terrorism only when it is equipped with complete and systematic anti-terrorism measures with legal grounds.

      • 다문화가정 자녀의 심리 프로그램 구안 및 활용방안 :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중심으로

        이철원 국제문화대학원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50655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coping program for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y to improve the ability to cope with the difficulties of school life caused from differences in cultural and linguistic aspects. In the cases of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children may lives with their mother who are unfamiliar with korean language. This problem could cause the retardation of development of language and low accomplishment in learning. Also, the differences of cultural characteristic may bring about the maladjustment of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y through the prejudice and discriminations by korean children. Specifically,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y could experience the low self ?esteem and difficulties of peer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because of social biases or cultural clash or disturbance of self-ident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program to improve the self ?esteem and the ability of peer relationship for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y.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act with this purposes were as follows,' First, the distribution of parent of 153 subjects were revealed that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y were 70 and children of korean parent were 83. There were 56(80.0%)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y with foreign mother, 6(8.6%) with foreign father and 8(11.4%) with foreign parent. Second, The level of self ?esteem was revealed higher in subject with foreign father rather than children with foreign parent, and lowest in children with foreign mother. The middle school student was lower in self-esteem rather than the primary school student. This result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intervene the children with foreign mother in middle school student. Third, children with foreign father rather than with foreign parent or foreign mother revealed higher ability in peer relationship. Fourth, the scores of social relationship disposition was increase from primary school to middle school in children with foreign mother and father in the contrast with decreasing of children of foreign parent. It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develop the program to improve the self-esteem and abi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for the children with foreign mother. This study suggest the model of program such as social skill training program, career search testing, and visiting of historic interest to improve the self-esteem and ability of peer relationship by university student mentors. It is desirable to connect with community center to understand the difficulties of multiculcural family and to give them integrated and active intervention.

      • 교수자이미지가 대학생의 자기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임수희 국제문화대학원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50655

        이 연구는 대학생들이 자신의 이미지경쟁력 강화 및 삶의 목표 설정 및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 대학생들의 특성들을 이해하고 대학생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 다차원적인 측면을 다루고 있는 자기이미지를 대학생들에게 적용하여 교수자이미지를 통해 대학생들이 명품화된 인적자원으로 개발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교수자이미지가 대학생의 자기이미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경남 마산지역 M대학, C대학에 재학 중인 2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비확률 표본 방식 중에서 편의표집방법을 사용하여 설문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수집된 모든 자료의 통계처리는 IBM/SPS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했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이 지각한 교수자이미지가 대학생의 자기이미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생들이 교수자이미지가 좋을수록 대학생 자신의 이미지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는 것이다. 대학생 자기이미지의 변화 향상을 위해 교수자의 좋은 이미지가 영향력을 발휘하고 도움이 된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따라서 교수자들은 대학생들에게 좀 더 모범이 되면서 닮고 싶은 모델의 모습을 갖출 수 있도록 교수자 스스로가 관리하고 노력을 해야 한다. 둘째, 대학생이 지각한 교수자의 목소리와 발음, 말의 크기와 속도가 좋을수록, 그리고 교수자로서의 신뢰감, 자신감, 친근감, 겸손한 태도, 호감, 똑똑함 등의 요소가 좋을수록 대학생 자신의 내면의 감정과 생각, 기분 즉 내적이미지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결과가 도출되었다. 또한 교수자의 음성이미지가 대학생 외적이미지에도 긍정적인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수자의 행위적이미지가 대학생들의 대인관계에 필요한 사회적이미지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수자의 음성이미지, 정서적이미지와 행위적이미지가 계속해서 잘 관리되고 향상될 수 있도록 교수자 스스로는 물론이고 교육기관에서도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applying self-image addressing diverse aspects as a means by which university students can strengthen their image competitiveness, setting their life goals and solving problems to help them understand their characteristics and enhance their life quality, and facilitating them to be developed as fine human resources through a teacher's image. To explore what effect of a teacher's image has on university students' self-image,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to two university students attaching M University and C University, Masan Region, Gyeongnam using a convenient sampling method of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and for all data collected, analyzed them using IBM/SPSS 20.0 problem as statistica processing.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y indicated that a teacher's image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has a positive effect of their self-image. This means that the better teacher's image university students have, the more positively they assess their image. They reached a conclusion that a good teacher's image is effective and helpful in changing and improving university students' self-image. So, teachers should manage and make a effort to set a model to university students and be an image to wish to take after. Second, the better university students' perceived teacher's voice, pronunciation, speech pitch and pace are, and the better the teacher's trust, confidence, intimacy, favor, cleverness and others are, the most influenced university students' internal emotions and thoughts, feelings, that is internal image are. Also they showed that the teacher's voice image has a positive effect on university students' external image, and the teacher's behavioral image has an effect on social image management for university students' interpersonla relations. So, that the teacher's voice image, emotional image and behavioral image can be more better managed and improved, teachers as well educational institutions should have more concern.

      • 경호관련학과 학생들의 경호영어 능력향상 모델에 관한 연구

        최병권 국제문화대학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55

        이 연구는 경호관련학과 학생들의 경호영어 능력 실태와 그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에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경호관련학과 3, 4 학년들을 대상으로 영어 능력에 관한 설문조사와 경호지식에 관한 간단한 테스트를 통하여 실태를 파악하였고, 그 결과에 따른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국내외 주용 인사 및 VIP를 경호하느 경호요원들은 국제적인 역량을 위한 자격 준비 및 졸업 후 원활한 취업과 진로 준비에 있어서도 영어 의사소통능력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하여 경호관련학가 학생들은 대학 과정 중에 반드시 그 능력을 향상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교양영어 프로그램의 다양화를 통하여 일반영어 능력을 향상시켜야 하며, 더불어 전문적인 경호영어에 관한 능력 구비를 위하여 체계적인 학습과 노력이 필요하며, 또한 이를 위하여 각 대학들이 경호영어 커리큘럼 편성을 장려하여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 경호관련학과에 경호영어의 중요성에 관한 인식에 있어서 전환과 발전이 있기를 바라며, 그럼으로써 더욱 국제적인 자격과 역량을 갖춘 경호요원들이 많이 배출되기를 기대한다.

      • 경호무도의 생활체육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임신원 국제문화대학원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50655

        경호무도를 생활체육(생활무도)으로 건강과 체력의 증진, 삶의 질적 향상, 신체적·심리적·사회적 건강의 증진, 사회성원의 육성, 여가문화의 창달 등을 통하여 국민의 복지증진에 기여 하고자 전 국민의 전인적 교육수단을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학문적 접근의 비판과 새로운 패러다임의 요구가 필요하다. 이것은 서구 체육, 스포츠, 생활체육에 대할 수 있는 실천, 사상, 과학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는 소재로 경호무도가 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경호무도수련의 목적은 건강, 호신, 수양, 복지로 요약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강은 질병이 없다는 의미 외에 건강증진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호신은 자신의 의사에 반하는 상황에서 자신을 지키는 것을 의미하며, 수양은 현 실태의 이기적인 자아를 극복하고 더 나아가 자아를 완성하는데 그 의미를 두고 있다. 경호무도의 대표적 유형으로 특공무술이 있다. 이 무도는 1978년부터 국방무도로 시작하여 경호업무 수행 시 나타날 수 있는 각종 우발상황으로부터 경호대상자를 완벽하게 보호하는데 적절한 제압기술을 사용하여 사태를 제압하는 무도이다. 오늘날 이러한 특공무술을 경호를 위한 무술체계와 호신용 또는 자신의 건강유지 여가활동을 통한 문화생활 영위 등에 주목적을 두는 생활체육(생활무도)으로 활성화 시켜 각종범죄와 사회구성원들의 불안, 사회적 공포심을 해결하는 자구적 경호무도로 요구되고 있다. 아울러 “삶의 질 향상 ”을 위해 생활속 무도로의 활성화 방안으로 경호무도의 기법과 지도자 양성이 시급하고, 이에 따른 교육과 홍보, 법과 제도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문화마케팅 전략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유·무형의 관광자원을 함께 발전시켜 나가고 그것들에 대한 관광마케팅 믹스 전략이 수반 될 것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경호무도가 체력의 증진, 삶의 질적 향상, 여가선용 등을 위하여 일상생활에서 이루어지는 신체적·심리적·사회적 안전과 국민의 복지중진에 기여하고 민간단체와 학교체육과의 연계를 통한 생활무도로의 활성화를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하는데 있다. 그리고 경호무도로서의 안전을 위한 지도자들의 역량을 강화하여 상해를 예방하고 사후처리(보험)에 대한 교육과 제도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경호무도에 대한 이해는 다양한 각도에서 접근될 수 있겠지만 신체운동이 바로 경호무도의 핵심적 본질이라는 주장에는 이론의 여지가 없고 몸을 움직이는 신체운동은 인간생존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임을 알 수가 있었다. 끝으로 경호무도의 전문화된 홍보 및 체험기관을 설립하여 국민들이 경호무도를 접할 기회를 많이 늘려서 호신용 또는 자신의 건강유지, 여가활동을 통한 문화생활을 영위하고 긍정적이고 올바른 경호무도의 인식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Criticism of scientific approach and new paradigm are needed to support educational means of making the people the whole man by increasing good health and strength, improving quality of life, enhancing physical, mental and social health and contributing to increase of national welfare through development of healthy social members and creation of leisure culture with guard martial arts as sports for all (living martial arts). Guard martial arts can play the roles as practice, idea and science to compete with western physical education, sports and sports for all. Purposes of guard martial art training can be summarized as health, self-defense, mental training and welfare. So, it contains the meaning of increasing health as well as the meaning that health has no disease. Self-defense means defending oneself in the situation in spite of one's beard and mental training aims to overcome selfish ego and further perfect ego. Typical type of guard martial arts is martial arts for special attack. Martial arts for special attack which was begun as national defense martial arts since 1978 is proper technique to protect the subject of guard perfectly from all possible contingencies in performing guard services. Conversion of martial arts for special attack into martial arts system for guard or sports for all aiming at enjoyment of cultural life through self-defense or leisure activity for keeping good health will be able to suggest guard martial arts as the self-rescue measures to prevent all kinds of crimes and release anxiety and fear of social members. It is considered that development of guard martial arts techniques and cultivation of guard martial arts coaches are urgent and improvement of education, public relations, law and system are required as the means of activating guard to martial arts in our life for "improving quality of life". Therefore, culture marketing strategy is urgently required. When tangible and intangible tourism resources are developed together and they are mixed with tourism marketing, vitality and discrimination of tourism resource are increased and it can be very helpful in strengthening competitiveness.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suggest effective methods contributing to the physical, mental and social safety and increase national welfare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health and physical strength and quality of life and making use of spare time in our daily life. For these, education and institutional supports of first aid and post treatment (insurance) through consolidation of coaches' capacity for safety as living martial arts and prevention of injury are needed. While understanding of guard martial arts can be approached from various views, there is no room for objection that physical exercise is the core of guard martial arts. Physical exercise is one of the most fundamental factors for human survival. Specialized public relations and experience center of guard martial arts should be established for giving people a chance to experience it, enjoy cultural life through maintenance of good health and leisure activities and affirmative and right recognition of guard martial a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