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베이비붐 세대 여성의 자기효능감이 노후준비수준에 미치는 영향 : 직업유무의 조절효과

        김정연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사회복지학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51679

        This study begins with the critical awareness that it is important to test an effect of self-efficacy, a meaningful internal resource for individuals, among various variables which affect preparations for old age of women in Baby Boom Generation, in order to promote their successful old age and healthy lives. To this e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elf-efficacy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 real effect between two variables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aging preparation level of the baby boomers. For this study,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300 women in Baby Boom Generation (1955-1963) in culture centers, welfare centers and churches, all of which were located at Seoul areas. Among distributed questionnaires, 291 copies were returned, and a total of 285 copies except for 6 copies containing insincere respons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examine self-efficacy of women in Baby Boom Generation and their preparations for old age; 2) find out practical measures for preparing successful old age and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service, by analyzing what an effect their self-efficacy has on their preparations for old age. Several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efficacy of women in Baby Boom Genera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preparations for old age, suggesting that the higher the self-efficacy of them, the better the preparations for old age. Second, the general self - efficacy and social self - efficacy, which are the sub - variables of the self - efficacy of the baby boomers, showed different levels of influence on the physical, economic, social and emotional aging preparations. General self - efficacy had a greater influence on the degree of preparation for physical aging and social self - efficacy had a greater influence on the degree of economic aging preparation. Social self - efficacy had a greater influence on the preparation of social aging, and general self - efficacy had a greater influence on the degree of preparation for emotional aging.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mpirically verified the effect of self-efficacy of Women in Baby Boom Generation on their preparations for old age. In addition, it also provided practical ground for social work services, by clarifying the difference in effects of sub-variables of self-efficacy on those of preparations for old age. Therefore, it is thought to contribute to promoting critical awareness and debates. Moreover, it explored proper interventions in the effect of self-efficacy on preparations for old age. Hence, it is also significant because it provided basic data for follow-up studies. Thus, it has some implications, in that it proposed various practical measures associated with social work for healthy old age of women in Baby Boom Generational, based on the findings. 본 연구는 베이비붐 세대 여성의 성공적 노년기와 건강한 삶을 도모하기 위하여 베이비붐 세대 여성의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 중 개인의 중요한 내적자원인 자기효능감의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통해 자기효능감이 노후준비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두 관계를 조절하는 다양한 요인 중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직업이라는 요인에 주목하여 베이비붐 세대 여성의 자기효능감과 노후준비수준과의 관계에서 직업유무가 조절효과를 가지는지 검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베이비붐 세대(1955년~1963년) 여성 300명을 대상으로 서울지역 문화센터, 복지관, 교회 등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에서 배분된 300개의 설문지 중 291개가 회수되었으며, 불성실하게 응답된 6부를 제외하고 285부가 최종적으로 분석에 이용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목적은 첫째, 베이비붐 세대 여성의 자기효능감이 노후준비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파악한다. 둘째, 베이비붐 세대 여성의 직업 유무가 자기효능감이 노후준비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지 파악한다. 이를 통해 베이비붐 세대 여성의 성공적 노후 준비에 필요한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고 사회복지 서비스 지원의 정책적 함의를 제공한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베이비붐 세대 여성의 자기효능감은 노후준비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베이비붐 세대 여성의 자기효능감이 높아질수록 노후준비수준도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베이비붐 세대 여성의 자기효능감이 노후준비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직업의 유무가 조절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직업이 있는 베이비붐 세대 여성의 경우 자기효능감이 노후준비정도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이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베이비붐 세대 여성의 자기효능감이 노후준비수준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또한 자기효능감과 노후준비수준과의 사이를 조절하는 직업이라는 변인에 대한 효과를 밝혀냄으로써 사회복지 서비스의 실천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문제의식과 논의를 활성화하는데 기여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자기효능감과 노후준비수준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이에 대한 적절한 개입과 방안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후속 연구를 위한 하나의 기초자료를 마련했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가진다. 또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베이비붐 세대 여성의 건강한 노년기를 위한 다양한 사회복지 실천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함의를 가질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