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회상된 이미지들의 상상적 재구성을 통한 회화 표현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이예현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술학과 회화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53727

        The act of recollecting is the process of pulling up a memory into consciousness and making it into a discussion on the level of the reality. This is the work of attempting the making of the memory images into a language. And, at the same time, it is the work of recognizing the ego. We form the present based on the past, and we have the standards for the behavior and the belief in the experiences of the past. Because of this, the recollection of the past by ourselves, who have been living in the present, is an everyday life that repeats, as a matter of course, even if it is not aware of. By the way, because the memory images that were obtained through the recollection are very weak, the other information gets mixed and contaminates, and they get lost due to the external shocks. Such a loss and editing of the memory become the bases behind the proposition, 'The perfect recollection is impossible.' Despite this, the mankind has not stopped the actions of the recordings, including painting the pictures, writing the diaries, taking the photos, etc. Although it is said that the murals, which were the very first recordings, were caused by the wishes of hoping some things rather than being the attempts at preserving the memories, even after the uncertainty of the memory was confirmed by the French philosopher Henri Bergson, the recordings by the mankind has continued. Why do we produce the records and collect the recollection images even when we know that they are far away from the facts of the experiences? In order to answer such questions, the researcher introduces the memories of the two kinds that cause the desire to record of the researcher in this thesis, and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recollection images that can read through them are analyzed. Such an analysis takes place within the philosophical discourses regarding the memory, the recollection, the ego, and the images. And, when, by going through the processes of 'the capturing and the stuffing' and 'the inference and the application', the memory becomes a recollection image, the value and the function it possesses in the reality are researched. And the method of reorganizing the images that were recollected based on the works of art of the person concerned on the screen is explained. The pictorial expression techniques, the selection of the colors, the use of the multiple images, etc. that take place in the process of transforming the bits of the memories into the paints are analyzed. Through this thesis, the researcher had intended to analyze at what location in the reality the recollection images that came up in the mind of the person concerned function. Also, based on the images that were summoned to the reality, it had been researched as to what pictorial expressions were triggered, and it had been intended to leave the possibilities regarding such pictorial expressions open. 회상 행위는 기억을 의식으로 끌어 올려 현실 차원의 논의로 만드는 과정이다. 이것은 기억 이미지들의 언어화를 시도하는 일이며, 동시에 자아를 인식하는 일이기도 하다. 우리는 과거를 기반으로 현재를 형성하며 행동과 믿음의 기준을 과거의 경험에 두곤 한다. 때문에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가 과거를 회상하는 것은 의식하지 않아도 당연하게 되풀이되는 일상이다. 그런데 회상을 통해 얻게 된 기억 이미지들은 매우 연약해 다른 정보가 섞여 오염되기도 하고 외부적 충격으로 손실되기도 한다. 이러한 기억의 유실과 편집은 ‘완벽한 회상은 불가능하다’는 명제의 근거가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류는 그림을 그리고, 일기를 쓰고, 사진을 찍는 등의 기록 행위를 멈추지 않았다. 최초의 기록이었던 벽화는 기억을 보존하려는 시도라기보다 어떤 것을 바라는 염원에서 기인하였다고는 하나, 프랑스 철학자 앙리 베르그손(Henri Bergson)을 통해 기억의 불확실성을 확인한 후에도 인류의 기록은 계속되어 왔다. 우리는 그것들이 경험 사실과 동떨어지게 될 것을 알면서도 무엇 때문에 기록을 생산하고 회상 이미지를 채집하는가? 연구자는 이러한 의문에 답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 연구자의 기록 욕구를 불러일으키는 두 종류의 기억을 소개하고 그것들을 통해 읽어낼 수 있는 회상 이미지의 특성을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은 기억과 회상, 자아와 이미지에 대한 철학적 담론들 안에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기억이 ‘포착과 박제’, ‘추론과 응용’의 과정을 거쳐 회상 이미지가 되었을 때, 그것이 현실에서 가지는 가치와 기능에 대해 연구한다. 그리고 본인의 작품을 토대로 회상된 이미지들을 화면에서 재구성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기억의 편린들을 물감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회화적 표현 기법과 색채의 선택, 다중 이미지의 사용 등을 분석한다. 연구자는 본 논문을 통해 본인이 떠올린 회상 이미지가 현실의 어떤 위치에서 기능하는지 분석하고자 했다. 또한 현실로 소환된 이미지들을 토대로 어떤 회화적 표현들이 촉발되었는지를 연구하고, 그러한 회화 표현에 대한 가능성을 열어두고자 했다.

      • 동물 타자 이미지를 차용한 회화 연구 : 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이희영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술학과 회화전공 2018 국내박사

        RANK : 253727

        본 연구에서는 동물과 함께 공존하지만 인간이 중심이 되는 현대 사회 속에서 ‘우월한 존재’라고 자부하는 인간이 ‘열등한 존재’로 치부해 버린 동물을 바라보는 일반화되어있는 시선을 연구자의 회화 작품을 통해 재인식하고 새롭게 논의해보고자 하였다. 근대에 이르기까지 인간 주체와 관련된 윤리적 담론들은 동물을 결핍의 존재로 간주하여 정치적 도덕적으로 배제해왔고 오늘날까지 동물에 대한 인식이 많이 변했음에도 불구하고 사회의 이면에는 다양한 문제가 남아있다. 하지만 인간은 동물과의 비교나 구분 없이는 자신을 규정하지 못한다. 오늘날까지 동물은 인간의 고유한 능력을 결핍한 존재로 정의되어 왔지만 그 결핍이 오히려 인간의 결핍을 보여준다. 또한 그 고유의 능력이나 특성을 지닌 인간이 동물이라는 타자 없이 자신을 규정하지 못한다면 인간을 ‘우월한 존재’로 그리고 동물을 ‘열등한 존재’로 규정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결국 이러한 구분은 기존의 이분법적인 인간중심주의, 즉 비인간의 삶을 인간보다 못한 것으로 규정하는 계층적인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이기에 연구자는 회화 작품을 통해 인간과 동물의 진정한 상호 의존성을 바탕으로 경계를 허물고 안과 밖을 나누는 이분법적인 대립구조를 허물고자 한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인 연구자의 회화 작품은 3연작(Attention, Beloved, Heterotopia)으로 제시된다. 먼저, 연구자가 포착한 동물 사진 이미지를 차용하고 1차적으로 이에 집중하면서 가지게 되는 관심과 선택은 ‘관심과 수(Attention)’으로 제시되었다. 이에 기반을 두어 동물 이미지는 본 연구자의 작품을 통해 회화 속에서 점점 공감되고 소통의 대상으로서 포용됨으로써 작가와 교감하는 애착관계와 반려의 타자인 ‘공감과 포용(Beloved)’가 된다. 마지막으로 Attention과 Beloved 연작에서 묘사된 타자로서의 반려 동물은 휴머니즘의 확장을 통하여 생명체와 인간 공동체의 공존과 공생을 지향하는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에서 완결되며 인간과 동물이 함께 살아가야 할 이상적인 방향이 회화공간에서 제시된다. 연구자는 사진 속 동물 이미지를 차용하되 외연의 모방과 같은 형태의 재현이 아닌 동물의 내면세계와 생태, 그리고 표정에 주목하고, 보이지 않은 동물 내면의 마음이 어떻게 표정이나 행동을 통해서 바깥으로 드러나는가를 주의 깊게 살피고 구체화 시키는 것을 작품 활동의 주요 원칙으로 삼았다. 연구자에게 동물이라는 타자에 대한 그림 그리기는 인간과 동물이라는 이분법적 대립 구조로 설명할 수 없는 무조건적 환대의 공간이며 주체는 공감적 상상력을 통해 동물 타자에게 응답한다. 이 공감적 상상력을 통해 타자로서의 인간과 타자로서의 동물간의 경계가 허물어진다. 동물 타자는 거울에 비춘 자신의 모습이 주체를 반영함처럼 연구자 자신을 지시하는 나르시시즘의 페르소나이다. 연구자가 가졌던 이주지에서의 소외의 경험은 동물타자에 전이되어 연구자의 자전적 정서를 대변하기도 하며 과한 긍정의 미장센으로 페르소나화 되기도 하는 것이다. 동물이라는 타자에 대한 인식은 회화작품이나 논문의 연구의 과정에서 관통하는 맥락으로 나르시시즘과 사회적인 관점을 모두 포함하면서 명료하게 구분되지 않는 해석의 다원성을 내포하고 있다. 분석결과에서 뚜렷한 양식적 자리매김으로 해결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연구자는 동물 타자의 관점을 중심으로 연구자의 작품을 통해, 그 동안 동물에게 행해지는 인간의 폭력성을 직간접적으로 담론화하면서도 뿌리 깊게 자리 잡고 있는 인간중심주의를 넘어서고자 하였다. 철학적 동물 타자의 관점은 인간과 동물을 분리할 수 없는 이미 내 안에 들어와 있는 타자이며, 윤리적 정치적 동물에 대한 재현은 제한적이고 폭력적일 수밖에 없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기에 연구자는 회화적으로 재현 불가능한 동물 타자라는 대상을 공감적 상상력을 통해 캔버스 속에서 펼쳐 보임으로써 재현의 한계 또한 넘어서고자 하며 여기서 공감적 상상력은 타자와 공감하려는 주체의 노력이 그것의 불가능성과 마주칠 때 비로소 타자와의 관계가 가능하다. 아울러, 연구자는 인간이 동물이라는 타자의 감정과 의지를 정확히 인지할 수 없기 때문에 동물의 자유의지를 판단할 자격과 능력이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면서, 동물 타자에 대한 공감을 시도하고 현상을 재인식하려는 노력은 반드시 필요함을 역설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동물 타자와 연구자와의 시각의 형태적 동일시가 아니라 동물 타자와 조금 더 가까워지려는 실천적 시도이며, 동물에 대한 윤리적 책임이 현실적으로 완전히 실현됨이 불가능하다 할지라도 가까운 미래에는 실현되기를 염원하는 기대감을 내포한다. 회화의 역사에서 동물의 등장은 정보의 재현적 측면에서는 선사시대로 그 유래를 거슬러 올라갈 수 있으며, 반려와 인격화는 중세 이후의 계몽과 더불어 적극적으로 표현이 발견되며, 카메라의 발명 이후에는 그 사례가 폭증한다. 동물타자의 주체적 표현은 모더니즘이후 다원적 표현의 양상의 일환으로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사진 차용을 통한 시각적 이미지에서 만들어진 여러 가지 기호적 양상들 중, 인간과 함께 공존하는 동물 이미지를 회화로 표현하면서 그들이 전해주는 소통과 공감의 메시지, 반려와 인간 공동체 속의 친숙한 타자 위치를 인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진 속 리얼리티(Reality)를 변용하여 동물 이미지 차용을 통한 본인 회화 작품의 포스트 휴머니즘 특징과 인식론적 고찰을 함께 시도하였다. 이와 같은 시도의 결과 연구자의 작품은 사진이미지의 차용과 회화적 변용 특히 동물 이미지의 양가적 차용의 범주를 통해 인간 중심주의에서 벗어나 공존과 공생의 가능성을 나타내게 되었다. 또한 연구자가 시도한 차용의 회화적 변용은 공존 공생의 헤테로토피아를 표방한다. 이 공존의 헤테로토피아의 풍경은 의지적 미장센과 우연성의 자율성, 그리고 차이(差異)와 차연(差延)의 지속을 표현하고 있다. 향후, 본 연구 논문이 동물타자의 회화적 담론에서 새로운 텍스트의 모티브가 되고, 예술전반에서 동물과 인간 공존의 여정과 동물과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의 담론으로 확장되기를 기대해보는 바이다. This study tries to have a new understanding and newly discuss about humans’ generalized viewpoint who are confident of regarding themselves as ‘superior being’ toward animals who are regarded as ‘ inferior being’ in this human-centered modern society, even we coexist together. This is because ethical discourses related to the subject of human beings have excluded animals politically and morally regarding them as deficient beings and there are still various problems behind the society even though the perception of animals has changed to this day. However, humans cannot define themselves without comparison or distinctuion with animals. To this day, animals have been defined as being deficient of inherent abilities of human, but the deficiency shows rather the deficiency of humans. It would also be difficult to define humans as 'supernal beings' and animals as 'inferior beings' if humans with their own abilities or characteristics cannot define themselves without others who are animals. Therefore, as this distinction is linked to the the hierarchical way that defines nonhuman life being worse than human’s , which is the existing dichotomous anthropocentrism, the researcher tries to break down the boundaries based on the true interdependence of humans and animals through paintings and also destroy binary conflicting structure that divides inside and outside. The researcher's paintings, which a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in three series (Attention, Beloved, Heterotopia). First, the interest and choice that the researcher borrowed and focused primarily on the captured images of animal photographs was presented as Attention. On the basis of this, the animal image becomes Beloved who is the other of a companion and attachment relationship sharing feelings with the photographer by gradually gaining sympathy and embraced as a subject of communication through the artist 's works. Finally, the companion animals as the other described in the Attention and Beloved series are completed in Heterotopia, which aims at the coexistence and symbiosis of life and human community through the expansion of humanism, and the ideal direction in which humans and animals should live together is presented in the painting space. The researcher borrows the image of the animal in the photograph, but not the reproduction of the same form as the imitation of the appearance, but focuses on the face expression and making examining carefully and shaping up how the invisible mind of animals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expressions and actions as the main principle of the work activity. For the researcher, drawing pictures of the other, an animal, is a space of unconditional hospitality that can not be explained by the dichotomous conflict structure between human and animal, and the subject responds to the animal as the other through empathic imagination. Through this empathic imagination, the boundary between human being as an other and animal as an other is broken down. Animal as the other is a narcissistic persona that directs the researcher himself as if his own image reflected in the mirror reflects the subject. Researcher’s experience of alienation in the settlement spread to the animal as the other to represent the autobiographical sentiment of the researcher and to be personafied into a excessively positive mise-en-scene. The perception of the other as an animal contains pluralism of interpretation that is not clearly distinctive and includes all of the social perspectives and narcissism as a penetrating context in the researching process of the paper or in the paitings. Despite the possibility that it cannot be solved by the distinctive formativ setting i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 the researchers tried to overcome athropocentrism which is ingrained deeply and also make a discourse directly or indirectly on the violence of the human being performed on the animals through the works of the researchers focusing on the viewpoints of the animal as the other. The philosophical perspective of animal is that the other in my mind already impossible to separate animals and humans and as he perceives the reappearance of animals must be limited and violent politically, ethically, the researcher tries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reappearnce by painting the subject of animal as the other with sympathic imagination on the campus. And sympathic imagination here can be linked to the other only when the effor of the subject to sympathize the other faces its impossibility. In addition, the researcher is questioning whether humans are qualified and capable of judging the free will of an animal because they cannot accurately recognize the feelings and will animal, the other. Also he emphasize the necessity of effort to reunderstand the status and trying to sympathize animal, the other. This process is a practical attempt to get closer to the animal, not a formal identification of perspective of the animal with the researcher, and even though the ethical responsibility for animals cannot be fully realized, It involves expectation for being realized in the near future. The appearance of animals in the history of painting can be traced back to prehistoric times in terms of the reproducibility of information. In addition, pet images were found on the Egyptian wall paintings of the imperial case or of the nobles’ luxury, and the companions and personification were more actively expressed with the enlightenment after the Middle Ages which has suddenly rised after the invention of a camera. Subjective expression of animal as the other is shown as an appearance of plural expressions after modernism. This study expressed animal images coexisting with humans among various symbolic representation made in visual images through picture borrowing into paintings, and tried to recognize location of familiar others in human community and companions , messages of communication and sympathy they are delivering.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tried epistemic consideration and expression of post humanism characteristics of his paintings through borrowing animal images by changing the reality of the picture. As a result of these attempts, the researcher 's work showed the possibility of coexistence and symbiosis by removing the anthropocentrism through the borrowing the photographic images and pictorial transformation especially categorizing of ambivalent borrowing of animal images. In addition, the pictorial transformation of borrowing that the researcher has attempted pursues heterotopias of coexistence and symbiosis. The landscape of Heterotopia of this coexistence expresses the intentional mise en scene, the autonomy of contingency, and the continuation of difference and Différance. In the future, I hope that this research paper can be a motif of new texts in the pictorial discourse of animal as the other and can expand to the discourse of itinery of animal and human coexistence in the overall fields of art and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animals.

      • 키치 표현을 통한 현대민화 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이채연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술학과 회화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53727

        본 논문은 2017년 9월 ‘미련한 그림’展에 전시된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내용 및 조형적인 측면과 작업과 관련한 미술사적 이론을 분석한 연구결과를 수록한 것이다. 본인의 전반적인 작품들은 형식상으로는 민화의 영향을 받은 조형적인 구도이다. 조금 더 세부적으로는 살펴보자면 현대의 키치적 기물들이 민화의 구조 안에 자리 잡고 있다. 민화와 키치적 오브제를 재해석하고 독창적인 조형언어로 표현하고자 했다. 2000년대에 들어와 민화는 현대미술에 많은 영향을 끼쳤고 젊은 작가들의 작품에 재해석되거나 차용되어 현대적인 시각과 시대정신을 반영하여 새롭게 창조되고 계승되었다. 민화는 소박한 바람과 간절한 염원이 담긴 그림이고, 길상적이고 종교적이다. 모두의 행복을 구하는 인간의 본능적인 소망이 담긴 것이다. 키치의 사전적 의미는 “저속한 작품”이나 “관광기념품”을 뜻하고, 형용사로는 “천박한, 대중취미의”의 뜻을 가지고 있다. 본래 조악하고 저급한 개념이었으나 기존의 예술이 간과한 삶의 실체로서의 가벼움, 통속성과 대중의 감성을 미적 형식과 내용으로 받아들인 작가들에 의해 키치 예술은 오늘날의 미술계의 한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본인의 작업 ‘미련한 그림’이란 의미는 미련히 꾸준히 작업하기를 맹세하며, 이발소그림(키치) 같은 것에 아련히 미래를 비는듯한 느낌이다. 그림을 통해서 행복한 세상을 염원 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키치와 민화의 개념을 이론으로 정리하고, 나아가 현대회화에서 민화와 키치의 역할과 위치를 짚어 보았다. 이것을 바탕으로 본인의 작품을 고찰하고, 주제를 더욱 효과적으로 부각 시키고, 진행될 새로운 표현 방법을 찾는 기회로 삼고자 한다. Ⅱ장에서는 행복의 예술인 키치와 민화에 대해 알아 보았으며, Ⅲ장에서는 현대 한국사회에서의 키치와 민화를 비교 분석 하였다. Ⅳ장에서는 본인의 작품을 민화적 형식으로 구분과 사회적 이슈에 따른 구분으로 나누어 작업에 대한 설명을 하였다. Ⅴ장 결론에서는 본인의 작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생각을 제시하고 있다. The research study described the analytic research results of theories on history of art in relation to those contents, modeling and works, with the main focus on my works exhibited in the exhibition of ‘Rigid Painting’ in September 2017. My general works have modeling form influenced by Korean folk paintings, in a formal manner, but a closer examination on such works shows that contemporary kitsch objects are established in the structure of Korean folk paintings. The artist meant to reinterpret Korean folk paintings and kitsch objects and to express them into unique modeling language. With 2 millennium era emerging, Korean folk paintings have begun to have much influence on contemporary art, and have been reinterpreted or borrowed into works of young artists to be created in a novel manner and passed down, in the reflection of contemporary viewpoints and spirits. Korean folk paintings are the religious ones of an auspicious sign which portray innocent desires and earnest aspirations. In other words, Korean folk paintings reflect humans’ instinct desire to find happiness for all. In dictionary, Kitsch is defined as “crude work” or “tourist souvenir.” Its adjective meanings are “Crude” or “Popular hobby.” The word had, originally, a coarse and low-level concept. But kitsch art assumes a part of today’s fine arts by artists who have accepted lightness, popular nature and popular sentiment as the substantiality of life disregarded by the existing arts to sublimate them into aesthetic form and content. The subject of ‘Aspiring Picture’ that I performed means a promise for a steady work, and the aspiration for a happy world through a picture which gives a feeling of the aspiration for an uncertain future about something like the painting of barber shop (kitsch). In this regard, the research study is to understand the theories on the concepts of kitsch and Korean folk paintings, and furthermore, to investigate the roles and positions of Korean folk paintings and kitsch in contemporary paintings. Based on that, the study is going to consider my works, and highlight the right themes, in a more efficient manner, and use it as the opportunity to find new expression methods that I’ll proceed with. Chapter Ⅱ explores kitsch and Korean folk paintings of happiness. Chapter Ⅲ conducts a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n folk paintings and kitsch in contemporary society. Chapter Ⅳ explains about my works, categorizing them according to Korean folk painting form and social issues. Chapter Ⅴ presents the opinion on the direction that my works

      • 유동적(流動的) 반복 형상(刑象)을 통한 시상(時相) 표현 연구 : 본인의 작업을 중심으로

        박진하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술학과 회화전공 2018 국내박사

        RANK : 253727

        This dissertation is based on the author’s work with regard to characteristics of Si Sang (時相, temporary images) revealed throughout the repetitive aspects in floating structures. The recognition of time may be part of an effort to recognize the flow of life on its own. The recognition of time has become a way for humans to think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death and life, and it serves as a way of reminiscing memory and identifying the present and future. It also affected the human attitude toward the flow of time. The work of researchers to repeatedly represent flow features and link subjects and phenomena in art is to first deal with the time that an individual experiences. Si Sang (時相) is the central control center of this study, which is a contraction of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formative features that are revealed when the subjective image is objective to a flat painting. To illuminate the meaning of "Si Sang" in this study, the study begins with philosophical and scientific inquiries on the temporality that is used to explain the author's concept of work, and continues to examine cases of temporality found in the history of Oriental art. In order to realize a subjective image with an image on the screen of a painting,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mind of the subjects that accept the spirit first. This stems from the idea of traditional aesthetic has evaluated the process of maintaining normal through conformity in relationship with nature and obtaining. Not only is Painting a technique of expression but also a representation of oneself, which is a requirement in the aesthetics of Jin A(眞我) as the ultimate goal of Oriental art. Therefore, this paper illustrates the nature of this external phenomenon, in terms of natural change, in time, the reasons for responding to various phenomena and how the artistic value of the resulting award was expressed. When even the smallest bits of matter are recognized and artistic organisms of life, the aesthetic basis of the East, in which the implications of the mind and energy are important, is that of the subject, The reason for the integration for the sake of harmony arose from the philosophical notion of Eastern thought, and Oriental painting became a way to visualize the philosophical cause. Such voluntary expression as art has developed a natural view that the life of all things, including human beings, corresponds to each other, as well as a reason for the ideal attitude of the body of expression. A sense of time is an interpretation of how to adapt to the time that persists and circulates when one wants to implement this characteristic of art that reveals its existence and self. Even when the subject is revealed, the idea of an adaptation, contemplation encompassing positive and comfortable sensitivity is given to the reason why the subject is not real matter. The features of the sculpture are dotted lines and time due to the fluid repetition characteristics of the oval shape, as well as horizontal composition, and peaceful and calm sensibility connected with the color of the soft and soft colors. An attempt to win over the inherent cause of Eastern aesthetics such as water and water is an intention to convey the memory that ultimately derives from the self's subjective sense of time. This involves not just the process of reproducing visible objects, but the attitude of meditation. What is seen through the incident of communication with foreign objects is fixed inside as a symbol and revealed to the mind. Perception and meditation is where the self's consciousness acts as a sensory organ. Changes in the formation of a subject's consciousness within the internal meditation and persistence mean time. This can be compared with the non-translational temporal perspective as a continuation of Bergson and Deleuze. The philosophy of identifying and insight into objects through intuition is that it is in line with integration in such a way that the existence is taken internally. In addition, the repetition and eternal regression concepts that create differences within the cycle of generation and internalize differences in existence and reason also embody the disruptive and productive flow of organisms. The above points of intersection of East and West thought provide theoretical basis for the work and work of researchers. In this study, the researcher’s work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abstract expressionism and minimalism in the process of putting abstract and conceptual figures in a flat painting (Korean paper Jang-Ji), and the spirit of the author is the same. This refers to a method of using ingredients such as indian ink and shell powder for modern aesthetics, conscious of the time that is continued to discuss the aesthetics of the researchers. When it develops into an art that resures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possible to acquire a unique formative talent, known as the award system, which implies the reasons for existence, memory, and the time meaning of void, margins. The author’s work, which shows continuous time and extended spiritual space, based on an inquiry on temporality and saeui(寫意), expresses the accumulation of time, as dots, brush strokes and neutral color fields exist as kind a new literary style on the picture. A new angle about traditional philosophy is leading the realm of art to fusion. Therefore, the author's work will also traverse traditional painting and modern painting based on eastern aesthetic, as it breaks down borders, maintains continuous time in a broader expanded space, and develops into diverse forms of fusion that try to adapt reality and oneness space, and traverse time. 시간을 지각한다는 사유는 주체적으로 삶의 흐름을 인식하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일 것이다. 시간 의식은 인간에게 죽음과 생성의 관계를 고민하게 하는 방법이 되었고 기억을 반추하고 현재와 미래를 규명하는 개념으로 작용한다. 또한 시간이라는 생명의 흐름을 대하는 인간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흐름을 내포하는 형상들을 반복적으로 조형화하며 주체와 그 바깥의 현상들을 예술 안에서 연결하는 연구자의 작업은 먼저 개인이 경험하는 시간들을 다루는 것이다. 시상(時相)은 주관적 이미지를 평면 회화로 객관화할 때 드러나는 조형성의 구현 과정을 축약한 것으로 본 연구의 주제어이다. 평면의 화면에 심상(心象)인 주관적 이미지를 실현하고자 할 때 우선적으로 외물(外物)을 받아들이는 주체의 마음가짐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것은 자연과의 관계에서 순응을 통해 평상심을 유지하고 진아(眞我)를 획득하는 과정을 예술의 궁극적 목적으로 평가한 노장(老壯)의 사상에서 비롯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외부의 본질을 자연의 변화, 시간으로 보고 여러 현상들에 대응하는 사유들과 그로 인해 파생되는 시상의 예술적 가치가 어떻게 발현되었는지를 설명한다. 물질의 사소한 부분들도 생명의 유기체로 인지하고 예술화할 때 정신과 기운을 내포하는 점을 중요한 가치로 여긴 동양의 미학 바탕은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주체와 외부와의 조화, 그리고 그 안에서 형성되는 주관적 시간 의식을 이해하는 근거가 된다. 여러 조화를 위한 일체화의 사유는 동양 사상에서 도(道)의 철학적 개념을 발생시켰고 동양 회화는 그 철학적 사유를 시각화하는 방법이 되었다. 이러한 예술로서의 자발적 표현은 인간을 포함한 천지 만물의 생명들이 서로 상응한다는 자연관과 더불어 표현 주체의 이상적 태도에 대한 사유도 발전시켰다. 시간 의식을 상정함은 존재와 주체를 드러내는 이러한 예술의 특성을 구현하고자 할 때 지속하고 순환하는 시간에의 순응을 통하는 해석을 하기 위함이다. 주체를 드러낼 때에도 일즉다 다즉일(一卽多 多卽一)의 사유를 지향해 긍정적이고 편안한 감수성을 포괄하는 물아일체(物我一體)의 개념을 조형화하고자 한다. 이 때 드러나는 조형적 특징들로 점선, 타원 형상들의 유동적 반복 특징으로 인한 시간성과 더불어 수평의 구도, 담묵과 담채의 색감에서 연계되는 평안하고 고요한 감성을 읽을 수 있다. 물아일체 등의 동양 미학의 내재적 사유를 전승하려는 시도는 궁극적으로 주체의 주관적 시간 의식에서 파생되는 기억을 전하고자 하는 사의(寫意)이다. 여기에는 단순히 눈에 보이는 사물을 재현하는 과정이 아닌 관조하는 자세가 선행된다. 외물과의 소통이라는 사건을 통해 보이는 것은 내면에 표상으로 고정되고 심상으로 드러난다. 지각과 관조는 주체의 의식이 감각기관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주체의 의식이 내재된 관조와 지속 안에서 나타나는 생성 변화 등이 시간성을 의미한다. 이것은 베르그송과 들뢰즈의 지속 현상으로서의 비가역적인 시간관과 비견할 수 있다. 직관으로 대상을 파악하며 통찰하는 철학은 존재를 그 내부에 감입하여 사유하는 방식으로 일체화와 상통하기 때문이다. 또한 생성의 순환 안에서 차이를 만들고 그 차이를 존재와 사유 안에 내면화시키는 반복과 영원 회귀 개념도 유기체의 해체적이고 생성적인 흐름을 실어내고 있다. 위의 동, 서양 사상의 교차점들은 연구자의 작품과 작업 과정의 이론적 바탕이 되어 준다. 이 연구는 추상적이고 개념적인 형상들을 평면 회화에 담아내는 과정에서 연구자의 작업이 표면적으로는 추상 표현주의, 미니멀리즘 등의 특성을 보이며 그 정신성은 앞에서 언급한 노장 사상과 베르그송, 들뢰즈를 위시하는 철학 등에서 찾아볼 수 있음을 강조한다. 연구자의 조형 미학을 논의하기 위해 지속하는 시간성을 의식하며 먹, 호분 등의 재료를 현대적 미감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방법을 말한다. 여기에서 기인한 특성들을 사의적으로 시각화하는 예술로 전개할 때 존재로서의 사유, 기억, 여백의 시간적 의미 등을 함의하는 시상(時相)이라는 개성적인 조형성을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 심리적 소외현상 치유를 위한 풍경표현 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김새롬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술학과 회화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53727

        This paper presents alternatives based on her own experiences of overcoming psychological alienation that modern people experience from the loss of their souls. First, we are investigating the possibility of a new art to replace postmodernism by tracing the reasons for this alienation based on its age. This is to explore the direction in which her work will proceed in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modernism and postmodernism. Specifically, some recent art trends in ' relationship art ' and ' soft modernism ' are examples. Furthermore, it acknowledges the " rationality of communication " of Jürgen Harbermas and aims for an ideal where individuals can form a reasonable community in a free way. The basic material of his work that expresses the inner image comparing to the nature, is unconscious. To explain his unconscious, Freud's 'Psychoanalysis' and Carl Gustav Jung's 'Analytic Psychology' were applied directly to the analysis. Among them, he is philosophical in verifying the existence of the soul by emphasizing the state of individuality he presented through the self-rounding symbol of Jesus Christ. Along with this, I want to prove the essence of art exploring the spiritual world through the works of modern artists such as Antony Gormley and Bill Viola, who handle souls in art. The life of the soul can be a fundamental alternative to overcoming psychological alienation rather than the conscious lives of man, and the presence of the soul can be experienced through art. I have created a macroscopic view to suggest to the audience that 'the care of the soul' and 'the face to face with the soul'. A sublime strategy is needed to present the landscape as a place inhabited by the soul. Jean-François Lyotard established 'A negative description of the sublime' as the aesthetics of postmodernism by reinterpreting Immanuel Kant's 'Ideological sublimity'. It reveals the world of nothing by refusing to describe the impossible. However, the original meaning of sublimity has been to point to the fears and awe that people experience when they perceive the superiority of nature. Supersensitive feelings arise from the double action of ' comfort ' when one senses one's security is not threatened in ' annoyance ' that is at risk of dying from an unrecognizable mass. In order to draw such noble feelings out of the audience, I analyzed the works of Barnett Newman and Mark Rothko, who realized their sublime descriptions, and applied them to their own experiences. Caspar David Friedrich, a representative romantic writer, is an exemplary example of the modern transformation of Christian art as a self-representative writer of the most similar works. Friedrich's landscapes present a sublime beauty, in double contrast to the mighty nature and the weak man in divine revelation. His art, aimed at incorporating inner light into his paintings, forms a streak like the sublime beauty that Newman and Roscoe intend to display. The inner light – developed by the artist - expresses the sublime as a place to meet the soul of a batter and as a process of conversation. Furthermore, he tried to show his face as a light to sympathize with the suffering of others and to soothe their souls. The flow of this paper, from consideration of the zeitgeism to the unconscious studies to the sublime strategies,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one's standing and ongoing research in the context of a wide range of contemporary art. In the present mixed aesthetics, the values of painting alone, encompassing reproduction and expression, are still valid and have the physical power to guide the audience into the arena of experience. In addition, through other-oriented art, we can overcome problems of alienation and individualism in modern society, and restore communitariality. 본 논문은 현대인이 겪는 심리적 소외가 영혼의 상실에서 비롯되었다고 보고, 심리적 소외현상을 극복한 본인의 경험을 토대로 그 대안을 제시하려 한다. 먼저 이러한 소외가 발생한 근거를 시대성에 비추어 추적하면서 포스트모더니즘을 대체할 새로운 예술의 가능성을 탐구하고 있다. 이는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긍정적·부정적 영향을 비교 분석하는 과정에서 본인의 작품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는 비교적 최근에 나타난 예술경향 중 일부인 ‘관계의 예술’과 ‘소프트 모더니즘’이 그 예로 제시되고 있다. 더불어 위르겐 하버마스의 ‘의사소통의 합리성’을 긍정하며, 자유로운 방식으로 개인들이 합리적인 공동체를 이루는 이상향을 지향한다. 내면의 이미지를 자연의 형상에 빗대어 표현한 본인 작품의 기본 소재는 무의식이다. 이러한 본인의 무의식을 설명하기 위해서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과 칼 구스타프 융의 ‘분석심리학’을 직접 적용해 분석해 보았다. 그중 융이 제시한 자기원형인 예수 그리스도 상징을 통해 개성화에 이르는 상태를 강조하며, 영혼의 존재를 철학적으로 검증하고 있다. 이와 함께 예술에서 영혼을 다루는 현대미술작가 앤터니 곰리, 빌 비올라의 작품을 통해 영적 세계를 탐구하는 예술의 본질을 증명하고자 한다. 인간의 의식적인 삶보다 영혼의 삶이 심리적 소외를 극복하는 근본적인 대안이 될 수 있으며, 영혼의 존재는 예술을 통해 경험 될 수 있다. 본인은 ‘영혼의 보살핌’, ‘영혼과의 대면’을 관객들에게 제안하고자 거시적 풍경을 제작하게 되었다. 영혼이 거주하는 장소로 풍경이 제시되기 위해서는 숭고의 전략이 필요하다. 장 프랑수아 리오타르는 임마누엘 칸트의 ‘관념적 숭고’를 재해석하여 ‘숭고의 부정적 묘사’를 포스트모더니즘 미학으로 정립하였다. 이는 ‘현시 불가능한 것’의 묘사를 거부함으로써 ‘무’의 세계를 드러내는 것이다. 그러나 본래 숭고의 의미는 자연의 우월함을 지각할 때 겪는 공포, 경외의 형언할 수 없는 감정들을 가리켜 왔다. 숭고의 감정은 지각할 수 없는 거대한 존재로 인해 죽음의 위기를 겪는 ‘불쾌’에서 자신의 안전이 위협받지 않음을 지각할 때 겪는 ‘쾌’의 이중 작용으로 발생한다. 이러한 숭고의 감정을 관객에게서 끌어내기 위해 ‘숭고의 부정적 묘사’를 실현한 바넷 뉴먼과 마크 로스코의 작품을 분석하였으며, 이들이 제시한 ‘경험으로의 숭고’를 본인 작품에 적용하였다. 낭만주의 대표작가 카스파 다비드 프리드리히는 본인과 가장 유사한 작품론을 자진 작가로서 기독교미술의 현대적 변용의 모범적 사례이다. 프리드리히의 풍경화는 신의 계시를 내포한 거대한 자연과 나약한 인간을 이중적으로 대비시키며 숭고를 드러낸다. ‘내면의 빛’을 그림에 담아내는 것을 목표로 했던 그의 예술은 뉴먼과 로스코가 드러내고자한 숭고미와 같은 줄기를 형성하고 있다. 본인이 제작한 내면의 빛으로 드러난 풍경들은 타자의 영혼을 만나기 위한 장소이면서, 회화를 통한 사유의 과정으로 숭고를 표현하고 있다. 더 나아가 타인의 고통을 공감하며 영혼을 어루만져줄 빛으로서 드러내고자 하였다. 시대성에 대한 고찰에서 무의식 연구, 숭고의 전략으로 이어지는 본 논문의 흐름은 광범위한 현대미술지평에서 본인이 서있는 위치와 앞으로 지속될 연구의 실효성을 검증하기 위함이다. 다양한 미학이 혼재된 현재 상황에서 재현과 표현을 아우르는 회화만의 가치는 여전히 유효하며, 관객을 경험의 장으로 이끌 수 있는 물리적 힘을 가지고 있다. 더불어 타인 지향적인 예술을 통해 현대사회의 소외문제와 개인주의를 극복하고, 공동체성을 회복할 수 있을 것이다.

      • 회화 : 설명의 불가능성에 대하여

        누녜즈크리스티나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술학과 회화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53727

        Abstract Paintings: Nothing to Explain By Cristina Núñez Chávez Department of Fine Art Graduate School.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This thesis is an effort to understand painting from itself. Analyze a painting is to disrespect it in a certain way, to take it to limit that does not belong to it by nature. An analysis implies a dissection of the object and doing that with the painting is to fracture it into a bunch of pieces of puzzle that always respond more to the puzzle of the individual who does the analysis than to the unity of the work itself. So I will not say that this work is the analysis of my painting (or any painting) but the effort to understand the pulse that gives painting place in the world of all things created by humanity. To approach the phenomenon of painting, I sought to identify what distinguishes art from the rest of all cultural productions, arriving at the conclusion that Art is the only cultural production that does not need to hide that is an invention. That is to say, all cultural production is an aesthetic invention of humanity, but only art is openly manifested as a creation, an invention, and this defines its specificity. On the other hand, notions that are unquestionably associated with painting are a source of contradiction that end up undermining the first meaning of painting, which is nothing more than being an IMAGE. The research done for this work showed that painting is far from being the illustration of a previously given concept, nor is it a representation of a reality external to it, then painting is a cultural production that is manifested after the meeting of three essential elements: freedom (free will of the artist), action and materials; and it does not end up being a means to transmit a message but a message in itself. Art, and painting as part of it, offers an encounter with the stark reality that humanity has in its hands the creation of the world and the knowledge that artificially unites us to that world. After understanding that the painting is the final result of the association of the artist, the action and the material, I made a revision of my painting based on the material as the main thread of the series that I have made. More than any subject or interest, obsession or curiosity that has moved me to paint, it was the choice of material that has defined the course of my work as a painter. Starting with the oil painting and continuing with the investigation of other materials such as plastic, inks and acrylic panels, this thesis is a record of how materials, more than any idea or concept, have shown me ways to connect with the painting, and in the action of the workshop understand that I am not the only author of everything I paint but a subordinate to the possibilities that the material offers. Key Word: Painting, Action, Material, Culture, Invention.

      • 실재계와 헤테로토피아에 대한 욕망 표현 회화 연구 : 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배정미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술학과 회화전공 2018 국내박사

        RANK : 253727

        본 논문은 연구자의 무의식에 잠재되어 있는 이상향에 대한 욕망의 문을 열어 보는 것으로 출발한다. 그 시기와 이유는 각자의 본성과 삶의 경험마다 다르겠지만 우리는 누구나 한번쯤 신기루와 같은 이상세계를 꿈꿔본다. 이상향은 현실에서 이루어질 수 없는 것이기에, 시대와 공간을 초월하여 인간에게 더욱 간절한 욕망의 대상이 되어오고 있는지도 모른다. 대상은 손에 잡히지 않을 때 그 기능을 발휘하고, 손에 잡히면 그것은 더 이상 남근이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향의 세계는 인간의 무의식적 욕망에서 비롯된 ‘신화’ 속 이야기에서, 화가들의 상상력을 동원한 ‘그림’이나 시인들의 ‘시’를 통해 끊임없이 등장하고 있는 것이다. 프로이트는 ‘정신분석’을 통하여 인간의 의식보다 내면에 잠재해 있는 무의식의 영역을 강조한다. 프로이트에 의하면 인간에게 있어 최초의 욕망이 시작되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에서 유아기의 심리 속 욕망은 사라지지 않고 억압되어 무의식 깊은 곳에 저장 된다. 프로이트의 무의식의 발견은 이성을 중시했던 기존의 서구문화로부터 탈출하여 그동안 억눌려있던 무의식과 욕망의 세계를 탐구하기 시작했고, 잠재해 있던 인간의 무의식의 자유로운 정신을 내면으로부터 해방시켜 창작과정에서 화면으로 옮겨지면서 광기, 꿈, 일탈등과 함께 초현실주의 미술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차지한다. 인간의 의식과 무의식은 자아, 초자아, 이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세 영역의 균형이 깨어지고 한쪽으로 쏠리게 되면 무의식적 욕망이 표출되어 병리학적 증상으로 나타나는데, 나르시시즘은 그 유형중 하나이다. 프로이트가 인간의 무의식에서 나르시시즘의 리비도를 발견했다면 라캉은 상상계의 구조 속에 있는 ‘거울단계’에서 리비도를 찾는다. 프로이트의 무의식은 라캉에서 상상계, 상징계, 실재계로 제시되고 오이디푸스는 상상계에서의 거울단계가 된다. 이러한 논리로부터 우리는 동물에게는 없는 인간의 고유영역인 ‘자아’의 개념을 획득한다. 유아는 자신을 부분적으로밖에 볼 수 없고 그것마저도 스스로 통제할 수 없는 불완전한 신체만을 인식한다. 하지만 거울에 비춰지는 자신의 모습이 뜻밖에도 완벽한 신체의 형상을 하고 있음을 본다. 그는 그것을 완전하고 이상적인 자아라 여기며 그 이미지를 욕망한다. ‘상상계’ 혹은 ‘거울단계’라고 하는 이 단계에서, 거울 속 완벽해 보이는 이미지는 결국 아이 자신의 욕망이 아니라 상상적 타자의 욕망인 것이다. 이것이 거울에 비치는 총체적인 이미지를 자신과 동일시하고, 그 이미지에 도취되어 그것을 욕망하는 나르시시즘의 단계이다. 그러나 때가 되면 유아는 거울 속 이상적 이미지와 현실에서 그렇지 못한 자신과의 괴리감을 깨닫고 좌절한다. 이 단계가 ‘상징계’이다. 인간은 끊임없이 무언가를 욕망하는 존재이기 때문에 거울속의 이상화된 자신과 현실의 자신이 동일하지 않다는 것을 깨닫거나, 욕망했던 것을 얻고 난후에도 여전히 욕망은 남아 또 다른 어떤 것을 끊임없이 욕망한다. 이 단계가 라캉이 말하는 ‘실재계’이다. 그러므로 실재계는 현실에서는 결코 얻어질 수 없는, 손에 잡히지 않는 허상이요, 언어화 되는 순간 이미 상징계에 난 구멍이 된다. 연구자가 꿈꾸는 세계는 이처럼 현실세계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실재계에서만 있는 상상적 타자의 욕망에서 온 잡히지 않는 무지개와도 같은 것이다. 프로이트가 말했듯이 인간은 욕망 없이 살아갈 수가 없다. 라캉은 인간은 살면서 지속적으로 거울 단계를 마주한다고 했다. 그것이 설령 상상계와 상징계와 실재계를 쳇바퀴 돌듯 반복하는 것이거나, 메비우스의 띠와 같은 것일지라도 인간의 삶은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성장하고 성숙해 갈 수밖에 없는 것이다. 연구자의 회화는 이와 같이 현실에 있지 않는, 실재계에만 존재하는, 언어화 되지 않는 이상세계다. 그리고 그 이상세계로 벗어날 수 있는 매개체로 멜랑콜리한 그로테스크적 도상학의 ‘새’가 등장 한다. 새는 연구자 본인이다. 현실도피를 꿈꾸고 실현시키는 초월적이고 자유로운 영혼의 상징이다. 도상학적 ‘새’는 실제 ‘새’를 재현한 것이 아닌 꽃과 거울과 물이 데페이즈망의 낯선 만남을 통해 구현해 내는 상상의 이미지이다. 연구자의 회화에 주요 소재로 등장하는 꽃과 물과 거울은 원래 존재하던 장소로부터 벗어나 한 자리에 모여 예상하지 못한 초현실적인 장면을 연출하며 연구자의 무의식의 세계를 보여준다. 클로즈업된 꽃은 여성성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꽃은 연구자의 내면에 숨겨져 있는 강한 자아와 작은 꽃 안에 존재 하는 수없이 많은 색을 표현하기 위해 확대될 수밖에 없는 노마드적 회화를 표현하고 있다. 거울은 현실의 이상향을 의미하는 꽃을 비추어 현실에 없는 이상향의 이미지를 반영해낸다. 꽃과 거울사이로 흐르면서 그로테스크한 양가성을 보여주는 물은 초현실적인 상상의 이미지를 만들어내도록 돕는다. 그리고 이들은 한 화면에 어우러져 현실에 있으면서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헤테로토피아를 창조한다. 단조로운 현실에서 느끼는 매너리즘과 그로인해 현실에 없는 세계를 그리워하는 멜랑콜리한 연구자의 회화는 현실의 제도나 분류체계를 벗어나있는 헤테로토피아를 꿈꾼다. 그것은 한 화면에 현실과 비현실이 함께 공존하는, 논리에서 어긋나는 양가성의 헤테로토피아적 이상향이다. 상식을 와해시키는 이러한 헤테로토피아는 현실에 이미 존재하는 것들을 벗어난다는 점에서 낭만주의 그리고 초현실주의와 통한다. 연구자의 작품은 연구자의 삶에서 터득한 경험이 시간의 레이어로 반영되었기 때문에 노마드적 삶에서 기인된 작업의 다양한 형식과 메시지를 포함한다. 그것은 현실에 있는 하나의 척도나 기준에 정도 되지 않고 끊임없이 표류하며 경계를 넘나드는 노마드적 표현방식의 회화이다. 이러한 노마드적 사고는 중심주의를 벗어난다는 점에서 연구자의 작업에 나타나는 페미니즘과도 연결된다. 연구자의 회화는 여성성을 띄고 있다. 하지만 일반적 페미니즘 작업들에서 볼 수 있는 사회 고발적, 공격성 혹은 여성성을 강조하는 뚜렷한 목적이 있는 작업과는 다른 지점에 위치한다. 연구자의 작업에서는 자기애적 나르시시즘을 동반한 멜랑콜리와 자기학대, 괴물성과 광기, 두 얼굴을 가지고 있는 페르소나와 양가성 등의 심리적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 그러므로 연구자의 작품은 현상의 재현이 아니다. 뚜렷하고 명확한 현실에 존재하는 미학적 관점에 머물지 않고 나르시시즘적 관점으로 그것을 넘어서는 작업이다. 이러한 연구자의 자기애적 욕망의 고백은 끈적거림이나 점액질과 같은 현상으로 나타나며 연구자 자신에게 난 상처에 바르는 약의 성분과도 같다. 연구자는 이제 현실 안으로 들어가 새로운 사회를 접하게 되면서 또 다른 상상계의 작업으로의 변모를 꾀하고 있다. 연구자는 자신의 작품을 분석하면서 왜 과거의 작업에 머무르기를 거부하고 다른 무언가을 향해 꿈틀거렸는지 이해하였다. 현실을 거부했던 과거의 연구자에서 현실을 받아들이고, 그것에서 얻는 삶의 철학을 수용하여 새로운 주름의 작업을 시도하려는 것이다. 현실의 억압으로부터 벗어나려는, 즉 현실에 거주하되 의식은 밖을 향해있는 행동태에서 비롯된 작업으로부터 현실을 수용하고자하는 태도의 작업으로 전환하고 있다. 지금까지의 작업에 물질과 비물질의 공존이 있었다면, 미래에는 비물질에 가까운 작업이 될 것이다. 그것은 현실 안으로 들어와 경험하는 것으로부터 깨닫는 비물질의 정신세계에 관한 것이다. This article begins from unlocking desires for utopia latent in unconsciousness of the researcher. Everybody dreams of ideal worlds like mirages once, though the period and reason are different from one another according to each person's human nature and life experience. Utopia may be the object of extreme desire to men transcending space and time because it cannot be realized. The object functions when it is not within our grasp. And when it is within our grasp, it is not penis any more. Therefore, the ideal worlds have continued to appear in the stories of 'myths' that began from unconscious desires of men, in the 'paintings' that use painters' imagination or in the 'poems' of poets. Freud who studied human unconscious territory by approaching it scientifically emphasizes unconscious territory latent in inner side rather than human consciousness through 'psychoanalysis'. According to Freud, desires in psychology of early childhood do not appear and are stored being suppressed in the deepest recesses of unconsciousness in an Oedipus complex that human desires begin for the first time. For Freud's discovery of unconsciousness, he started studying the worlds of unconsciousness and desires which were suppressed escaping from the existing western culture that regarded reason as important. And the liberal spirit of human latent unconsciousnes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urrealism art with madness, dreams, and departure as it was moved to pictures in the creative process being relieved from inner side. Human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consist of ego, superego, and the id. When the balance of these three territories are lost and inclines to one side, unconscious desires are expressed and shown as pathological symptoms. One of the types is narcissism. Freud found libido of narcissism in human unconsciousness and Lacan found libido in the 'mirror stage' in the structure of imaginary. Unconsciousness of Freud is presented as the Imaginary, the Symbolic, and the Real in Lacan. Oedipus becomes the mirror stage in the Imaginary. We get to obtain the concept of 'ego' the men's own area that animals do not have from this logic. The infants who cannot look at themselves partially and have just recognized their incomplete bodies that cannot control themselves found themselves the unexpected shapes of complete bodies in the mirror, regard them as complete and ideal ego, and desire the images. In this stage called 'the Imaginary' or 'the mirror stage', the images that look perfect in the mirror are finally desires of others in imaginary , not children's own desires. This is the stage of narcissism that men identify the perfect image in the mirror with themselves, are intoxicated in the perfect image and desire the perfect image. However, when the time is ripe, the infants get to be frustrated after realizing disjunction between the ideal images in the mirror and the figures in real life that are different from the ideal images. This stage is 'the Symbolic.' Men get to continue to desire other things as desires are still left even after they realize that their idealized figures in the mirror are not same with themselves in real life or they get what they desire. This stage is 'the Real' that Lacan says. Therefore, 'the Real' is illusion that men never get in real life and which is not within their grasp. And as soon as it is lingually expressed, it becomes a hole created in symbolic. The world that the researcher dreams is like the uncaught rainbow that does not exist in the real world. The world that the researcher dreams only exists in 'the Real' and comes from desires of others in imaginary. As Freud said, men cannot lead their lives without desires. Lacan said that men continue to face the mirror stage while they lead their lives. Even though it repeats the Imaginary, the Symbolic, and the Real endlessly or is like Mobius strip, human life cannot help growing and maturing going through this process. In a painting of the researcher, 'a bird' of melancholic and grotesque iconology appears as a medium that can enter the ideal world that just exists in the Real, not reality like this, and is not expressed in language. The 'bird' that is also the researcher herself is a symbol of a transcendental and free spirit that dreams of escapism and realizes it. This 'bird' of iconology does not reproduce the real 'bird', but the imaginary image created by being together a flower, a mirror, and water in depaysement. The flower, water, and mirror that appear in the painting of the researcher as main subjects show the researcher's unconscious world by creating an unexpected surreal scene as they gather together escaping from the places that they originally existed. The flower that is highlighted containing the meaning of Femininity expresses the nomadic painting that cannot help being enlarged to express strong ego hidden in inner side of the researcher and a lot of colors in the small flower. And the mirror reflects an image of utopia that does not exist in reality by shining the flower which means utopia in reality. The water that shows grotesque ambivalence flowing between the flower and the mirror helps the painting create the surreal imaginary image. And they create heterotopia that does not exist in reality or exist in reality in one screen. The melancholic painting of the researcher who feels habitual behavior in simple reality and misses the world that does not exist in reality due to it dreams of heterotopia which escapes from systems of reality or classification systems. That is the embivalence heterotopia which is not gramatically right as reality and unreality coexist in one screen. This heterotopia that destroys common sense vibes on romanticism and surrealism in that it escapes from the things which already exist in reality. Because experiences from the researcher's life were reflected in the painting as the layer of temporality, her work of art includes various forms and messages of work originated from her nomadic life. It endlessly drifts not being arranged by a criterion or standard and is the painting of the nomadic expression method that crosses the boundaries. This nomadic thought is connected to feminism shown in work of the researcher in that it escapes from centeredness. The painting of the researcher shows feminism, but is located in the point that is different from work with defined purposes that emphasize indictments on society, aggression, or femininity shown in general work of feminism. In work of the researcher, the psychological aspect including melancholia and self-violence accompanying narcissistic narcissism, monstrosity and madness, and persona with two faces and ambivalence must be considered. Therefore, the researcher's work of art is not reproduction of phenomena. It does not stay the aesthetic point of view that exists in apparent and clear reality but goes beyond it from the viewpoint of narcissism. The researcher's confession of narcissistic desires is shown as the phenomena like stickiness or phlegmatic temperaments and is like the ingredients of medicine that is applied to the researcher's wound. The researcher tries to make an attempt to change to work of another imaginary as she got to meet new society entering reality now. As the researcher analyzed her work of art, she got to understand why she rejected to stay at past work and try to another thing. The researcher rejected reality in the past. But she accepts reality and tries new work by accepting philosophy of life obtained from it. The researcher's work tries to change the behavioral pattern to try to escape from suppression of reality, that is, stay at reality but her consciousness which is outward to the attitude to try to accept reality. If materials and nonmatieral things coexist in the past, there will be works of art that are close to nonmaterial things in the future. They are about the nonmaterial spirit world that the researcher realizes from experiencing entering reality.

      • 비독립적 형상이 반영된 회화 표현 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이서희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술학과 회화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53727

        우리는 현재 정보와 다양한 매체 및 연결망의 출현으로 한 자리에 머무르기 보다는 무언가 만들어내고 계속해서 창조해내야 하는 위치에 직면해 있는지도 모른다. 사회는 수직적 계보를 이어가기 보다는 보다 넓은 지평선을 그리며 수평적이고 다층적인 복합체를 형성해나가고 있다고 볼 수도 있다. 기술적 혁명뿐만 아니라 회화를 표현하기 위한 방법에서도 복합적 주제를 다양한 매체를 통해 선사하는 작가들이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사회는 그 이면에 불확정성(uncertainty)과 무정형(amorphous)의 증상들- 정확한 형태와 원인을 알기 힘든-로 가득 차 있는 것처럼 보인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인간이 생산적 구조에 속하지 않는다는 것은 불필요한 대상으로 치부되며 정서마저 구조화된 허구 속에 살고 있을지도 모른다. 이에 본 논문은 무의식을 통한 욕망을 기저에 둔 비독립적 형상이 어떠한 과정을 통하여 만들어진 것인지 밝히는데 주목하였다. 본인은 자본주의 시대가 지향하는 인간의 삶 혹은 인간상이 비교와 열등감, 좌절을 불러일으켜 개인이 타자의 영향 하에 스스로의 주체성을 의심하는 분열을 경험하게 된다고 인식하였다. 이렇게 고통 받은 내면은 본인에게 스트레스를 안겨주었고 주된 증상은 불안이었다. 불안 심리는 사라지지 않고 계속 잔존하였으며 본인의 작업에서 ‘선’이라는 회화적 요소로 자리매김하였다. 따라서 본인의 작업에서 선의 상징적 역할과 회화라는 매체가 가지고 있는 특성은 개인의 내면세계를 그려내는데 훌륭한 도구로 활용되었다. 본 작업은 조형의 기본 요소인 선들의 중첩을 중심으로 전개되지만 선을 계속 쌓아 올리는 반복적 행위는 불안에 대한 방어기제로 반복 강박이 표출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뭉텅이의 선들이 기본적인 조형의 원리로만 표현된 것이 아님을 다각도의 분석을 통해 찾아나가는데 주력하였다. 즉 본인의 회화에서 불안이 욕망으로 변이되어 어느 방향으로 흐르고 있으며 비독립적 형상이 본인에게 주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증명해 나가는 것이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이다. 따라서 불안이라는 증상이 어떠한 양상을 띠며 그에 따른 자기 경험적 방어기제를 추려내기 위해 지그문트 프로이드(Sigmund Freud)의 불안에서부터 자크 라캉(Jacques Lacan)의 무의식(unconsciousness)과 욕망(desire)에서 단서를 찾고자 하였다. 그리고 본인의 작업에서 보이는 형상들이 일시적이지 않고 지속적인 방어기제로 나타난 결과물이라는 점을 설명하기 위해 무의식의 시간관에 초점을 두었다. 또한 본인의 작업과 형식적 혹은 내용적으로 맞닿아 있다고 판단된 작가의 작품을 분석함으로써 본인의 작업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 보았다. 본인은 이 논문을 시작하기 전에 애매하고, 모호한 본인의 그림의 ‘정체성’에 대한 궁금증을 가지고 있었다. 이것은 앞서 서두에서 언급한 불확실하고 형태를 알 수 없는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개인이 품게 된 욕망의 일환일지도 모른다. 인간의 외면은 단단한 고체처럼 보이지만 내면은 여러 갈래로 나뉜 사고와 무의식이라는 의식 아래에 감추어진 영역에 의해 끊임없이 해체되고 분석되어야 하는 존재로 여겨진다. 이는 동시대 미술에서 내면세계가 꾸준히 연구되고 있다는 근거이며 갈등하는 자아와 같은 정신분석적 논의를 통해 포스트모더니즘에서도 그 소임을 이어나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인간을 중심에 두어 안과 밖의 경계로 살펴본 증상과 표출의 과정은 본인이 작업에 품고 있었던 질의에 대한 방향을 제시해주는 시간이 되었으며 본인의 향후 작업에 대한 발전적인 가능성의 기반을 다지는 계기가 되었다고 보았다. Probably we are in the position to make something and continuously create something rather than staying at a place, due to appearance of information, various media, and network. It can be said that a society forms a horizontal and multi-level complex drawing a wider horizon, rather than continuing a vertical genealogy. Besides technical revolution, the number of artists who present complicated themes through various media is increasing, in respect of the method to express painting. However, the society seems to be full of symptoms of uncertainty and amorphous – difficult to determine the exact shape and cause – on the other side. In the capitalistic society, the human being who does not participate in productive structure is regarded as an unnecessary object, and we seem to live in the fiction where even emotion is structured. Here,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the process of creation of non-independent images based on desire through unconsciousness. The researcher perceived that human being experiences division doubting one’s own independence under the influence of the others, based on comparison, inferiority, and frustration, due to the human life or image that capitalistic era aims for. Inner world, suffered this way, stressed out the person and the major symptom is anxiety. Therefore, the symbolic role of line of the researcher’s work 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medium, painting, were utilized as excellent tools to draw the inner world. This work was progressed mainly with the overlap of lines, the basic factors of formative art, however the repeated act of piling up the lines can be said the expression of repetition compulsion as the defense mechanism against anxiety. Accordingly, this research focused on searching for the point that the lump of lines were not expressed only with basic principle of formativeness, through the analysis from various aspects. That is, this research aimed at verifying the direction that the anxiety flows through transformation in the researcher’s painting, and the significance of non-independent images to the researcher. Therefore, in order to pick out the aspect of the symptom anxiety and self-empirical defense mechanism accordingly, the researcher intended to search a clue from Sigmund Freud’s anxiety, and Jacques Lacan’s unconsciousness and desire. Also, to explain the point that the shapes in the researcher’s work are the output based on continuous defense mechanism, not temporary one, the researcher focused on the idea of time of unconsciousness. Also, the researcher prepared a foundation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researcher’s work by analyzing the artists’ works which are determined to have the common context with the researcher’s work in form or content. The researcher had a curiosity about ‘identity’ of the researcher’s painting, which seemed vague and ambiguous before starting this research. This probably was a part of desire of an individual as a member of the society, uncertain and formless, as mentioned in the above. Appearance of human being looks like a hard solid matter, however, human being is considered as an existence to be endlessly disassembled and analyzed by the area hidden under the thought divided into several pieces and consciousness of unconsciousness. This is the basis that inner world is constantly researched in the contemporary art, and such task continued also in post-modernism through psychoanalytic discussion as conflicting self. Therefore, the symptom investigated with the boundary of inner world and external world with human being as the center, and the process of expression was an opportunity to suggest a direction to the researcher’s question on one’s work, also, was a chance to reestablish the basis of progressive possibility of the researcher’s works, henceforth.

      • 내·외부적 환경에 따른 Automatism 회화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한미숙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술학과 회화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53727

        In this dissertation, I discuss the fundamental questions of finite and infinite of being through the evolution of the bodies of my artworks through the years. This study is focused on expression in immediate visual language according to the time flow and environment in researcher’s work and life. Through my works of art, one is able to observe th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s – that of an individual or the societal influence, and my aspirations for life reflected in my artworks. These themes and my understanding of these problems form a multiplex of emotions or resemblance of human faces within repetitive lines and patterns in the works. This contrast between abstraction and figuration can be recognized as visualization of consciousness or the unconscious. In my work, I have attempted to investigate these ideas and form a philosophical, art historical and cognitive science connections. I have identified three major periods in the evolution of my artworks, which are: pen drawing, digital painting, and traditional painting. These divide into the First period (2005~2010), the Second period (2010~2015) and the Third period (2015~2017). I intend to analyze the progress of my visual language through studies of my life experiences. The fundamental irony of life and death, which is inevitable, seeps into the artworks that reflect the conflict of one’s anxiety and ideal way of living in modern times. The meaning is hidden in the expression of my artistic language which flows through time and grows with my experiences. It is necessary to accept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sides of every moment and emotions with an open mind. These experiences transform into something different during one’s moment of unawareness. It is significant for me to open up the possibilities of my work continuously and infinitely, expanding the area in various ways of its endless relationships and find these moments of unconscious awareness. 본 논문은 연구자의 작업과 삶 속에서 시간의 흐름과 변화되는 내·외부적인 환경에 따라 즉각적인 시각언어로 표현되는 작품에 대한 연구이다. 그 속에서 존재의 유한함과 무한함에 대하여 근본적인 물음을 갖고 출발한다. 개인과 사회 혹은 여성과 남성으로 다양하게 주어진 환경과 갖춰진 틀을 탈피하는 과정에서 내부와 외부로부터의 직, 간접적인 영향은 연구자의 삶에 대한 열망으로 투영되어 작품 속에서 묻어나온다. 존재의 물음과 이해는 반복적인 선 긋기와 면의 형태로 이상적인 패턴을 만들어나가며, 이것은 인간의 얼굴로 또는 감정이 담긴 이중 혹은 다중의 이미지로 형성된다. 그것은 다시 구상과 추상을 오가는 형태와 정신의 시각화로 재인식된다. 이렇게 의식과 무의식의 상호작용을 통해 연구자의 작품을 철학적, 미술사적 그리고 인지과학 측면에서 고찰해보며, 개인과 사회 나아가 세계로 이어지는 환경으로부터 자동으로 생성된 모순에 따른 표현을 살펴봄으로써 독특하게 체화되는 특징을 파악한다. 그에 따라 연구자의 작품 속에서 직접 드러나거나 숨겨진 의미를 파악하며, 펜화, 디지털회화, 전통회화로 구성된 작품을 시기에 따라 제1기 (2005~2010) 제2기(2010~2015) 그리고 제3기(2015~2017)의 변화 속에서 개인의 주관적인 경험을 통해 구축된 일련의 과정과 작업의 결과를 분석하여 연구자의 시각 언어를 더욱 명확히 구체화한다. 본인에게 있어서 삶과 죽음에 따른 근본적인 삶의 모순은 곧 현시대의 불안과 이상에 대한 복합적인 내적 충돌로 창조적 열망을 불러일으키며 작품으로써 피어나는 것이다. 이렇게 생성되어 흘러가는 시간 속에서 무지갯빛의 작업을 연구자만의 표현으로 구현한다. 따라서, 모든 찰나의 순간과 감정에서도 긍정과 부정은 늘 열린 마음으로 받아들일 필요가 있으며, 자각하지 못한 순간에 우연을 가장하여 또 다른 무언가로 펼쳐지는 것이다. 끝없이 이어지는 모든 관계 속에서 더욱 다양한 방법으로 그 영역을 확장하며, 작품의 가능성을 지속해서 무한히 열어가는 데 의미가 있다.

      • 반추의 실존을 통한 심리적 초현실회화 연구 : 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서신애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술학과 회화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53727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ontemplate the meaning of expressions and symbols in surrealism paintings based on analysis on the author's Psychological Relations Painting, in order to seek and study apprehension, empathy, existential self-esteem, and possibilities of healing. Modern painting has dynamically unfolded into many directions surpassing the standards of replication of modern times and has enabled painting medium itself to independently mark a place of its own. Surrealism painting takes place in this process and has different pursuit and highly complex traits compared to the simple methodologies of imitation. The author paints symbolized images of the conatus in his works to create a transcendental scene with dual symbols that are based on psychological autonomy. This is an attempt to reflect author's conscious and psychological aspects involved in the semantic structure of the images. This is so that self-reflection does not stay at level with biological unconsciousness and neurotic consideration, but act as a conatus being that conveys diachronic, synchronic, unconscious, psychological, and furthermore, spiritual existence. The author pursuits an existence of which the author's characteristics are collectively projected upon. To actualize this, the author pursued surrealistic paintings through borrowing of existential images, rumination, and psychological application of himself, and spiritual existence and pursuit of synchronic relationship. Moving from Narcissism to originality, the author attempted diachrony and ruminative introspection. Recurring images of rumination and transcendence are symbolic in that they resemble the author's inner self, form narratives in artworks, and reflect multiple aspects as if it were a double mirror. These images are independent scenes and are interrelated at the same time. They escape being confined in a single vanishing point and create unrestrained choices and shapes and are liberated from proportions or fixed shadows. I strive to transcend from all familiar, traditional methods. Formative realization of transcendence has been exemplified by explorations done by Romantic and Symbolism artists and accelerated by Surrealists. There are various experiments of crossing boundaries in painting involving visual perception, unconscious, and optical intentions. Experiments and pursuits of Surrealism in painting expanded dual-symbolism expressions and room for interpretation and appreciation. In addition, through autonomy, it has participated in the identity and possibilities of painting by expanding the realm of consciousness as well as unconsciousness. In the author's work, images of horns are inserted by various methods with ambiguity. This is an expression of the author's memory of rumination and trauma through Narcissism and persona. Sacred forests and fields are psychological conatus places where one strives to transcend from memory's grasps. The unicorn is presented as a ruminative figure with the sacred forest as a background. It is the author himself and a companion, as well as a spiritual emblem; it carries multiple meanings. The summon of the horn is a confession, an activity of self-rumination and provides catharsis and self-esteem upon itself. The display of the horns installed as wood objects combines with characteristics of a plant and animates through autonomy in order to convey the author's wish to present meaning and energy of interrelationship. In the process of psychology being formed into a surreal space and scene through complex symbolization, the author is introduced through rumination and variations of sensitivity and consciousness and forms chronotope as a complex symbolism. During continuation of life, being is ruminated as a scene within memories, whereas in the author's psychologic surreal chronotope display, it forms relationships as existence of conatus and strikes up conversations. The author emphasizes the co-existence of interrelation as psychological surrealism painting through diachronic rumination, painting considerations, and self-synchronic existential relationship. As there is no meaninglessness in one being oneself, in the author's paintings, not only aspects of symbols of painting but also the undecided blank spaces in-between layers and cracks cooperates and creates an ecology inside the painting. 본 연구는 연구자의 작품 '심리적 관계 회화'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초현실회화에 나타나는 표현과 상징의 의미를 고찰하고, 회화안에 시현된 의미구조의 상호관계성을 통하여, 이해와 공감 그리고 연구자 스스로 존재적 자존과 치유의 가능성을 찾아 분석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현대회화는 근대의 모방적 재현의 기준을 넘어서서 자율적 선택으로 다방면으로 역동적 전개를 하여왔으며, 회화매체자체가 독립된 자율성의 존재체로 자리매김되게 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초현실주의 회화는 위치하고 있으며 단순한 모방의 방법론과는 다른 추구와 매우 복합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연구자는 자전적 코나투스(conatus)를 상징화한 이미지를 회화에 차용하였으며, 이의 제작과정에서 심리적 자율성을 기반으로 이중 상징을 담은 초월적 졍경을 만들고자 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도입된 이미지들의 의미구조에 있는 연구자의 의식과 심리적 양태를 반영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는 자아의 성찰을 생물학적 무의식과 신경증적 고찰에 머물지 않고, 코나투스의 존재로서 통시적이며 공시적 존재로서의 무의식적, 심리적이며 나아가 영적 존재로서의 실존까지 담아내기 위함이다. 연구자는 존재로서 자신의 특질이 종합적으로 투영된 실존을 추구한다. 회화에서 이의 실현을 위하여 존재적 이미지의 차용, 반추와 자신의 심리적 반영, 영적 실존과 공시적 관계의 추구 등을 통하여 심리적 초현실 회화를 시현하였다. 먼저 나르시시즘(narcissism)에서 시원성으로 이동하며 통시와 반추적 성찰을 시도하였다. 시원성의 탐구는 존재적 뿌리에 대한 근원적 물음으로 자연의 원천적 숭고미의 고찰로 이어진다. 작품에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반추와 초월의 이미지들은 연구자 자신의 내면을 닮아 있는 상징적인 것으로 작품에서 이야기를 구성하며 마치 이중거울처럼 다면적으로 반영한다. 이미지들은 독립적인 존재로서의 장면이면서 동시에 서로 연관되어 관계지어 있게 된다. 한정된 하나의 소실점으로부터 벗어나 자유로운 선택의 시점과 형태를 만들어 내고 비례나 고정된 그림자로부터 역시 해방되어 있다. 작업의 과정에서 나는 모든 익숙한 전통적 방법에서 초월하고자 한 것이다. 초월의 조형적 시현은 낭만주의와 상징주의 예술가들의 모험을 통하여 예시되고 초현실주의 작가들에의해 고조되었다. 초현실을 추구한 작가들의 작품에는 시지각적 반영은 물론 무의식적, 광학적 의도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고 다른 회화적 경계넘기의 실험들이 있다. 회화에서 초현실주의는 다양한 실험과 추구는 이중상징의 표현과 감상과 해석의 의미를 확장하였다. 또한 자율성으로 의식은 물론 무의식적 표현의 영역을 넓혀 회화의 정체성과 가능성의 확장에 기여하였다. 연구자의 작업에는 다양한 방식의 뿔이미지가 중의적으로 도입된다. 이는 연구자의 반추의 기억과 트라우마가 나르시시즘과 페르소나로 표출된 것이다. 신성한 숲과 들은 기억의 구속으로부터 초월하고픈 코나투스의 심리적 장소이다. 유니콘은 반추동물의 모습으로 신성한 숲을 배경으로 설정하여 그려진다. 일각수는 연구자 자신이면서 반려이며 영적인 상징으로 다의적이다. 뿔의 소환은 고해성사인 자전적 반추의 행위로 스스로에게 카타르시스와 자존감을 부여한다. 나무오브제로 설치를 통한 뿔의 연출은 식물성과 결합하여 자율성으로 생동함으로써 상호관계성의 의미와 에너지를 선사하고자 하는 연구자의 기원을 담고 있다. 심리가 복합적으로 상징화하여 초현실의 공간과 장면으로 형성되는 과정에서 연구자 자신은 감성과 의식의 반추와 변주를 통하여 이입되고, 상징의 복합체로 크로노토프(chronotope)를 형성한다. 존재는 삶의 지속가운데 기억의 장면으로 반추되지만 연구자의 심리적 초현실의 크로노토프의 화면에서는 코나투스의 실존으로 관계를 형성하며 말 걸기를 하는 것이다. 연구자는 통시적 반추에 회화적 고찰로 자존의 공시적 실존의 관계로 확장하여 상호작용의 공존을 심리적초현실회화로 역설한다. 나의 나 된 것에는 하나도 무의미한 것이 없듯 연구자의 회화에서는 회화적 요소와 상징 뿐 만 아니라 틈과 층위 사이의 결정하지 않은 여백의 공간까지도 참여적 공동체로 회화의 생태가 되게 하고자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