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규모 공개 온라인수업 MOOC기반에서의 앙트러프러너십 교육 경험 탐색 : 근거이론 접근

        한민정 국민대학교 글로벌창업벤처대학원 창업학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50655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s been rapidly expanding and has spread amongst universities since 2010, when government ministries gathered to establish and implement the "Five-Year Plan for University Entrepreneurship Education." However, the quantitative expansion has been accompanied by serious problems in the field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general, including a lack of professional instructors, regional disparity in educational benefits due to unequal distribution of business infrastructures, curricula that lack variety and integrity, and university systems that cannot keep pace with the rapidly changing world of start-ups. As a solution to these problems, there has been a trend to train future entrepreneurs using an online platform. Massive Open Online Courses, or MOOCs, are already popular and actively used for studies overseas. This MOOC-based entrepreneurship training is also being used in companies through industry-academia collaborations, and many overseas studies have confirmed its effectiveness as an educational platform.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significance and value of the experience process of the MOOC-based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depth. In order to discover intrinsic values and the meaning of lesser-known cases, and to derive a theory,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has been adopted to conduct document research, participation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with stakeholders. Collected data have been analyzed through open coding, axis coding, and selection coding processes. Finally, a visual model of the core categories has been derived. The results show the significance of MOOC-based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is type of education is recommended to pursue high-quality and high-efficiency education at lower costs by utilizing blended learning, a new type of education that reflects the perspectives of educational providers, consumers, and operators in the context of the domestic and foreign entrepreneurship educational environment. There are many new phenomena and cases to examine in the study of entrepreneurship.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s an efficient approach available in the field, but has its limitation as well; it is difficult to avoid biases depending on the researcher’s competence in collecting the data. Given this limitation, future researchers should collect and analyze data through various methods in order to establish the validity of the qualitative research. 2010년 이후 부처들이 모여 ‘대학창업교육 5개년 계획’을 수립하고 추진하며 대학을 중심으로 앙트러프러너십 교육이 양적으로 급격히 팽창 및 확산되었다. 하지만 현실은, 앙트러프러너십 전문교수자의 부족, 창업인프라 편중현상으로 인한 교육혜택의 지역편차 심화, 천편일률적이고 파편적인 교육커리큘럼, 그리고 빠르게 변화하는 스타트업계의 정보 동향을 따라잡지 못하는 대학 내부체계 등 앙트러프러너십 교육의 전반적인 문제점이 심각하게 거론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들의 해결을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온라인플랫폼을 바탕으로 하는 앙트러프러너십 교육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는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 이미 해외에서는 대중을 대상으로 온라인플랫폼을 통한 대규모공개수업 MOOC(이하 ‘무크’)가 확산되고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무크 기반의 앙트러프러너십 교육 또한 산학협력을 통해 실제 산업현장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효과성도 좋다는 연구결과가 해외문헌자료에서 도출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무크 기반의 앙트러프러너십 교육을 통한 경험과정의 의미와 가치를 심층적으로 탐구하고자 함이다. 잘 알려지지 않은 사례의 본질적 가치와 의미를 발견하고 이론을 도출하기 위해 질적연구방법론을 채택하여 문서연구 및 참여관찰, 이해당사자들과 심층면담을 진행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근거이론을 기반으로 개방코딩, 축코딩, 선태코딩 과정을 거쳐 분석을 하였고, 핵심범주를 담은 시각적 모형을 최종 도출하였다. 대규모 공개 온라인 수업 무크기반의 앙트러프러너십 교육 프로그램 경험 과정의 의미는, 국내외 앙트러프러너십 교육환경의 맥락을 바탕으로 교육공급자, 교육수요자, 교육운영자의 관점이 반영된 새로운 교육형태인 블렌디드 러닝방식을 활용하여, 고효율·저비용의 양질의 교육을 지향하자는 결론으로 도출되었다. 앙트러프러너십 학문 분야는 연구대상이 새로운 현상이나 사례가 많다. 질적연구방법은 앙트러프러너십 연구 분야에서 활용하기 좋은 연구방법이나, 자료수집 과정에서 연구자의 역량에 따라 편견이 배제되기 어렵다는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후속 논문에서는 질적연구방법의 한계점을 인지하여, 질적연구의 타당성을 확립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통해 자료 수집과 분석을 진행해야 할 것이다.

      • 국내 대학 창업교육센터의 특성과 차이점에 관한 연구

        김성일 국민대학교 글로벌창업벤처대학원 창업학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는 교육부의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사업(2012년∼2016년)」에서 창업교육을 총괄 지원하기 위해 2012년 대학에 설치된 전담조직인 창업교육센터의 특성을 분석하고 활성화된 그룹과 비활성화된 그룹간의 차이점을 도출하는데 의미가 있다. 또한 2017년에 새롭게 지정된 LINC+ 사업(2017년∼2021년) 창업교육 분야의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이전 연구들이 대학 창업보육센터 중심의 분석을 통해 결과를 종합하고 비교하여 시사점을 도출했다면,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연구들과는 달리 대학의 창업교육센터를 대상으로 실태를 조사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 창업교육센터(Entrepreneurship Education Centers)에 대한 선행 문헌연구, 대학정보공시 DB 분석, 창업교육센터 운영에 대한 구조적 설문지를 개발하여 실태를 분석하여 활성화된 대학 그룹과 비활성화 대학 그룹의 특성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창업교육센터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대학 교직원, 연구자, 공무원, 학생 및 창업지원 기관의 이해 관계자에게 대학 창업교육 관련 정보와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centers, which are organizations, established at universities in 2012 to take full charge of and support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the 「Leaders i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LINC) Fostering Project(2012 to 2016)」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o extract differences between activated groups and nonactivated groups. This study is also focused on suggesting political implication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of the new LINC+ project(2017 to 2021), designated in 2017. This study targets university entrepreneurship education centers, while the preceding studies have suggested implications by integrating and comparing the findings, based on entrepreneurship education center-oriented analyses. For achieving the objective of this study, characteristics of activated university groups and nonactivated university group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were analyzed by examining previous literature regarding domestic entrepreneurship education centers, analyzing database of university information disclosure, and investigating the present state, revealed in the developed structured questionnaire about entrepreneurship education center management. In conclusion, it is anticipated that the study result would provide information of university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implications to university faculty, researchers, public officials, students, and the persons involved of entrepreneurship support institutes for efficient managemen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centers.

      • 여성창업자의 창업성과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정부지원정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지상철 국민대학교 글로벌창업벤처대학원 창업학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50655

        국내에서는 장기 경기침체로 인해 여성들이 창업시장에 도전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으며, 더 나아가 여성창업자들을 위한 민관중심의 창업지원 프로그램이 창업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시행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여성창업자들이 창업을 통해 성과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여러 가지 요인들이 있는데, 개인적인 역량이나 업무적인 역량외에 여성만의 가지고 있는 특징을 독립변수로 선택하여 여성기업의 창업성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여기에 창업기업들에게 정부가 지원하는 정책적인 요인도 조절효과로 추가하여 여성창업자의 창업성과를 조사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총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설문에 참여하여 답한 내용중 일부가 누락되었거나 부정확한 표기를 한 설문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총 212명의 여성창업자들을 대상으로 창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설문을 통해 결과치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여성창업자 개인의 특성에 따라 창업성과에 (+)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창업자의 업무적 특성인 독창성, 아이디어, 자원분배역량, 지도역량, 네트워크 구축, 인맥확보등이 여성창업자의 창업성과에 모두 정 (+)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성창업자만의 특성인 경력단절 유무와 결혼유무에 대해서는 회귀분석을 통한 나타난 결과는 창업성과와 무관하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절효과인 정부의 창업지원정책은 여성의 창업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효과가 여성창업자의 다른 독립변수를 능가할 만한 효과로 나타나지는 않아서 정부의 여성창업자에 대한 정책지원이 좀 더 보강되고 확장되어야만 창업의 성과가 더 높아질 수 있음을 시사한 것이다. In Korea, women are often challenged to start-up markets due to the long-term economic recession. Furthermore, Government and Private corporation start-up support programs for female entrepreneurs are being implemented centering on start-up support centers. In this study, there are various factors that are needed for female entrepreneurs to achieve their achievements through entrepreneurship. In addition to personal competence, job competence, Characteristics of female entrepreneurs a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to verify the entrepreneurial performance of women entrepreneurs. In addition, we investigated the entrepreneurial achievement of female entrepreneurs by adding policy factors supported by the government for female entrepreneurs. In order to verify this, a surve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250 people. In fact, a total of 212 questionnaire were selected from total data without missing or inaccurate expressions. The results were analyzed through questionnaires on the factor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1) the effect of (+) on the entrepreneurial performance was influenced by the characteristics of female entrepreneur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job characteristics of female entrepreneurs, such as Creativity, ideas, resource allocation ability, guidance capacity, network construction, and network connections, all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ntrepreneurial achievement of female entrepreneurs. Third,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on the presence of career breaks and marital status, which are characteristics of only female entrepreneurs, are not related to entrepreneurial outcomes. Fourth,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government on the start-up support polic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women's entrepreneurship performance, but the effect does not appear to be superior to the other independent variables of female entrepreneurs. This suggests that if the support is further reinforced and expanded, the performance of the entrepreneurship can be enhanced.

      • 특성화고 앙트러프러너십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연구 : 창업멘토링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형주 국민대학교 글로벌창업벤처대학원 창업학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50655

        특성화고 앙트러프러너십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연구 우리나라 특성화고는 유능한 직업인을 육성하려는 목표로 1998년 시작되어 유럽의 마이스터고 제도를 도입하는 등 창업의지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시도하고 있다. 본 연구자는 2011년부터 8년 동안 중소벤처기업부와 SK가 공동으로 주관하는 특성화고 대상의 앱 개발 경진대회를 운영하면서 학생들의 창업의지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고민 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특성화고 학생들의 앙트러프러너십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앙트러프러너십의 구성요소는 Miller(1983)가 주장한 위험감수성, 혁신성, 진취성에 기회인지를 추가하였다. 또한, 특성화고 학생들이 학교 교육과 다양한 외부 활동을 통하여 접하고 있는 창업멘토링이 앙트러프러너십 구성요소와 창업의지간에 조절효과가 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491개(2017년 말) 특성화고등학교 중 지역별로 안배하여 14개 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시행하였으며, 설문서 287부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분석 결과 특성화고 학생의 기회인지, 위험감수성, 혁신성, 진취성은 모두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회인지, 위험감수성 등 앙트러프러너십 요소와 창업의지와의 관계에서 창업멘토링의 조절효과는 진취성에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창업멘토링을 경험한 그룹과 경험하지 못한 그룹에서 창업의지를 지각하는 데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 대한 시사점 및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The Effect of Specialized High School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the Entrepreneurial Mentoring by Lee, Hyung-Joo Entrepreneurship Major The Graduate School of Global Entrepreneurship,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Yun HwangBo, Ph. 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effect of specialized high schools with entrepreneurial intentions. Korean specialized high schools have fostered competent workers since 1998. They adopted the Meister School of Europe for promoting entrepreneurial intentions. Along with Korean MSS and SK, I have handled the app development contest for the specialized high schools since 2011. I have pondered deeply about measure to promote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s in students attending specialized high schools. This study analyzes how entrepreneurship affects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s of these specialized high school’s students. The opportunity recognition is added to the contents of the entrepreneurship which Miller(1983) insisted: the risk sensitivity, the Innovation, and the Initiative. In addition to this, this study tries to prove how the entrepreneurial mentoring, which the specialized high school’s students are experiencing throughout the school curriculum and various social activities, affects moderately between the contents of the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For this reason, this study used the results of a survey distributed locally to 14 specialized high schools out of 491(in late 2017 report) and utilized 287 questionnaires as the empirical analysis. From the analysis, it turned out that the opportunity recognition, the risk taking, the innovativeness, and the proactiveness are positively influential to the students. It also turned out that the entrepreneurial mentoring is positively influential to only the proactiveness between the contents of the entrepreneurship and their entrepreneurial intention. However, for the realization of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re is a gap between the group which experienced the entrepreneurial mentoring and the group which did not. Lastly, suggestions and limits are proposed in this study.

      • 스타트업의 액셀러레이터 선택 시 의사결정요인 연구

        권용석 국민대학교 글로벌창업벤처대학원 창업학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50655

        우리나라는 대기업 위주의 성장정책의 한계로 스타트업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있지만 스타트업의 생존율은 매우 낮은 편이기 때문에 스타트업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기존 창업지원기관은 스타트업에 대해 단편적인 지원을 해서 종합적인 지원 기관의 필요성이 제기 되었다. 이것의 대안으로 초기 스타트업에 대해 공간지원, 교육, 멘토링, 네트워킹, 시드투자 그리고 후속 투자 연계까지 종합적인 지원을 하는 액셀러레이터가 국내에서 2016년도에 법제화 되었으며 등록제가 실시되었고 현재 2년도 되지 않은 시점에 90개 내외의 액셀러레이터가 등록될 정도로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미국에서는 도입이 10년 이상이 된 액셀러레이터지만 국내에는 아직 초기인 탓에 관련 액셀러레이터에 대한 연구나 사회적인 합의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액셀러레이터 단계의 스타트업이 액셀러레이터를 선택 할 때 어떤 부분을 고려하는지에 대한 연구를 통해 스타트업이 액셀러레이터 선택 시 의사결정에 대한 합의와 액셀러레이터의 발전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Even though Korea is strengthening the support for startups due to the limitations of growth policies focusing on large companies, the survival rate of startups is very low, so that there should be more efforts to increase the survival rate of startups. As the existing startup support institutions have provided only fragmentary supports to startups,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the comprehensive support institutions. As an alternative, the accelerator providing the comprehensive support such as spatial support, education, mentoring, networking, seed investment, and connection for follow-up investment to the initial startups was legalized in Korea of 2016, based on the registration system. Currently, within less than two year from then, there have been much interest in it enough to have about 90 registered accelerators. In the United States, the accelerator was introduced more than ten years ago. In Korea, however, it is still in the initial stage, so that the researches or social consensus on the accelerator are not sufficient. Thus,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measures for the development of accelerator and the consensus on the decision making for the selection of accelerator of startups, by researching which parts are considered when startups in the accelerator stage select the accelerator.

      • 행운에 대한 신념이 창업 기회 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행운에 대한 신념과 우연기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홍태 국민대학교 글로벌창업벤처대학원 창업학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50655

        성공한 창업가들이나 저명인사들에게 성공의 요인을 물어보면 운이 좋았다고 이야기를 한다. 주목해야할 사실은 운이 좋았다고 말하지만 운과 관련된 태도가 다르다는 것이다. 하지만 운이 좋다고 생각하는 신념은 현실적으로 지배적인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행운에 대한 과학적 검증이 많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행운은 외부 환경에 의해서 무작위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내적 속성으로 운을 통제 할 수 있다는 것으로 보았다. 행운에 대한 신념이 높은 그룹과 신념이 낮은 그룹을 판별하기 위해 행운에 대한 신념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이후 행운에 대한 신념이 있는 사람은 우연한 사건에 대해 우연기술을 매개로 하여 기회역량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총 33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행운의 신념이 우연기술의 매개역할로 창업 기회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행운의 신념은 기회 역량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행운의 신념은 우연기술의 하위요인인 호기심, 인내성, 유연성, 낙관성, 위험감수 모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우연기술의 하위요인 중 인내성, 낙관성, 위험감수만이 기회역량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났다. 넷째, 우연기술의 하위요인인 인내성, 낙관성, 위험감수는 행운신념과 기회역량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행운에 대한 높은 신념을 갖고 우연 기술을 더 개발한다면 창업 기회 역량을 더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influence of the Belief in Good Luck on entrepreneurship opportunity and intermediary effect of planned happenstance skills. The goal of this investigation is to empirically prove that the belief in good luck is associated entrepreneurship opportunity.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survey with 332 persons. For the Belief in Good Luck, Darke and Freedman’s the Belief in Good Luck Scale are reviewed. For entrepreneurship opportunity variables, two factors of opportunity recognition and opportunity evaluation were reviewed, and also reviewed the five variables curiosity, persistence, flexibility, optimism, and risk-taking as planned happenstance skills. Th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Baron and Kenny’s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Belief in Good Luck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ntrepreneurship opportunity. the Belief in Good Luck positively affected curiosity, persistence, flexibility, optimism, and risk-taking as planned happenstance skills. And only persistence, optimism, and risk-taking positively affected entrepreneurship opportunity. As a result of analysing intermediary effect of planned happenstance skills, it appeared that there is intermediary effect between the three variables persistence, optimism, risk-taking and entrepreneurship opportunity.

      • 기업가의 주관적 경력성공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기업가정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미정 국민대학교 글로벌창업벤처대학원 창업학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에서는 창업가의 역량을 주관적 경력성공과 기업가정신으로 설정하여 창업기업의 성과와의 영향관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최근 늘어나는 실업율과 정부의 창업지원 정책의 핵심대상군인 청년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일반적으로 청년창업이 어려운 이유 중 하나는 시장이나 사업에 대한 경험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청년들이 실무적인 지원 및 실패에 대한 안전장치 없이 창업을 시작한다는데 있다. 하지만 창업교육을 통해 간접경험을 높이고 청년들이 가지고 있는 장점인 새로운 시각과 유연한 사고방식을 충분히 활용한다면, 실패에 대한 확률을 줄이고 혁신기업을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은 더 높을 수 있다 하겠다. 최근 몇 년간 정부는 대학생을 포함한 청년층에게 창업 초기자금을 지원하여 청년창업의 활성화에 많은 노력을 해왔지만, 이러한 지원들은 대부분 창업을 시작하는 초기단계에 집중이 되어있다. 창업은 그 성공률이 3~4% 남짓으로 쉽지 않은 일이지만, 그래도 이러한 초기단계의 지원들은 청년들이 창업시장에 많은 참여를 할 수 있는 동인이 되고 있다. 또한, 청년들이 시장에서 자신의 아이디어를 실험하고 사업화하며 혁신을 이루어가는 창업의 과정은 훗날 그들에게 훌륭한 경험과 경력이 될 것이다. 경험을 통한 자신의 경력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는 개인의 삶과 업무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게 되기 때문에, 청년들의 이러한 경험들은 우리사회에 지속으로 긍정적인 가능성을 만들어 줄 것이다. 본 연구는 창업가의 주관적 경력성공과 기업가정신이 창업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기 위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창업기업들이 성장을 위해서 개인이 가지고 있는 경력과 경험에 대한 활용을 높여야 하는 근거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근거 도출을 위해 창업가의 경력에 대한 중요성과 업무능력과의 관계에서 영향을 주는 요인을 가설로 설정하였고 이에 대한 검증을 통하여 주관적 경력에 대한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 목적은 첫째, 창업가의 주관적 경력성공과 기업가정신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다양한 요인에 대하여 실증 분석하여 학문적 체계를 마련하고, 둘째, 창업가의 주관적 경력성공과 기업가정신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요인을 통계적 방법을 통해 찾아내어 창업지원정책의 평가시스템 개발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 사업실패에 대한 개인평가와 손실경험이 재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하경 국민대학교 글로벌창업벤처대학원 창업학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50655

        사업실패에 대한 개인평가와 손실경험이 재창업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Personal Evaluation and Loss Experience about Business Failure on Re-startup Intention 국민대학교 글로벌창업벤처대학원 창업학전공 김하경 rosebranch@naver.com <국 문 요 약> IBK경제연구소가 펴낸 ‘실패기업인의 재창업지원제도 설문 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최근 5년간(‘2010~2014년) 연평균 폐업한 기업은 69만개며, 창업 후 5년 생존율은 27.3%에 불과한 OECD 17개 주요회원국 중 최하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정부가 2010년부터 재도전지원사업을 본격화하면서 다방면에서 재창업지원을 펼치고는 있으나 재창업지원제도의 효과성은 보장하기 어려운 상태다. 그 이유는 재창업지원이 양적인면에서는 활성화됐으나 질적으로는 아직 미흡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감정요인인 사업실패에 대한 개인평가 및 손실경험이 재창업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자 진행됐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감정요인인 사업실패관련 개인평가는 건강신념 모델(Health Belief Model)을 활용해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취약성, 지각된 장애로 구성했다. 또 사업실패에 대한 개인평가 및 손실경험이 재창업의도 사이에 재창업지원프로그램 만족도와 창업자기효능감 각각이 조절작용을 하는지 유의미한 관계성을 알아보고자 진행됐다. 연구 대상은 정부 재창업지원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 중소기업진흥공단, 서울산업진흥원, 재도전지원센터등 기관의 재창업지원을 받은 기업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고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사업실패에 대한 개인평가 및 손실경험과 재창업의도와의 관계에서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취약성, 지각된 장애, 비재무적손실 등은 재창업의도를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창업지원프로그램만족도는 사업실패에 대한 개인평가 및 손실경험과 재창업의도 사이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취약성, 재무적손실, 비재무적 손실 등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 창업자기효능감은 사업실패에 대한 개인평가 및 손실경험과 재창업의도 사이에서 지각된 취약성, 지각된 장애, 재무적손실, 비재무적손실 등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보면, 실패기업인의 재창업의지를 고취시키기 위해서는 실패기업인의 사업실패로 인해 생겨난 부정적인 심리감정 요인의 효과적인 케어를 통해 재기를 도울 수 있는 재창업정책의 질적 향상이 필요하다. 또 다양한 차원의 교육, 컨설팅, 멘토링 등 재창업지원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한다고 시사점으로 제시하는 바다. A Study on the Effect of Personal Evaluation and Loss Experience about Business Failure on re-startup Intention Ha-Kyung Kim Department of Entrepreneurship Graduate School of Global Entrepreneurship,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Jongteak Kim)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of the re-start support system for businessmen who experienced business failure" published by the IBK Economic Research Institute, the annual average number of companies that have closed for the past five years (2010~2014) was 690,000, and the first 5-year survival rate was only 27.3%, which was the lowest among the 17 OECD member countries. Although the government has been providing various re-startup support in many aspects since it started re-startup support program in 2010, it is difficult to guarantee the effectiveness of the government's re-startup support system. The reason for this is that re-startup support has been activated in terms of quantity, but it is still insufficient in quality. The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how the personal assessment and loss experience about business failures, both of which are the emotional factors, affect the intentions of re-startup. Based on the previous study, personal assessment about start-up business failure consisted of perceived severity, perceived vulnerability, and perceived disability, using the Health Belief Model. It also explored whether satisfaction of re-startup support program and self-efficacy of entrepreneurship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personal assessment and loss experience and re-startup inten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business entrepreneurs who underwent government re-startup support program by government agencies such as Small&medium Business Corporation, Seoul Business Agency, and Rechallenge Support Center. The empirical analysis was performed as well. The empirical result showed that perceived severity, perceived vulnerability, perceived disability, and non-financial loss were the factors that reduce the re-startup inten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assessment and loss experience about business failure. In addition, satisfaction of re-startup support program was analyzed to have a adjustment effect on perceived severity, perceived vulnerability, financial loss, and non-financial lo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assessment of business failure, loss experience and re-startup intention. Also, the self-efficacy of entrepreneurship has been found to have a adjustment effect on perceived vulnerability, perceived disability, financial loss, and non-financial loss between personal assessment of business failure, loss experience and re-start-up inten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n order to encourage the businessmen who failed their business to re-startup,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re-startup policy that can help the recovery of businessmen through the effective care of the negative psychological emotional factors caused by the failure of the business. It also suggests that various re-startup support programs such as education, consulting, and mentoring should be provided. Key words: business Failure, business failure experience, entrepreneur self-efficacy, re-entrepreneurship program satisfaction, re-entrepreneurial inten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