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편백 혼합 아로마 에센셜 오일의 선호도에 대한 연구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김혜림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석사 사용) 2024 국내석사

        RANK : 251679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의 향을 이용한 뷰티 관광 상품 개발을 위해 지역민의 아로마 에센셜 오일의 인식과 편백 에센셜 오일을 포함한 가지 아로마 에센셜 6 오일의 향 선호도를 파악하고 감성 요인을 이용한 지역 이미지 분석을 통해 광, 주광역시의 관광 상품 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광주광역시 지역민 중 세 이상의 성인 중 신체 건강한 자를 대상으로 편입 20 표본 수집하였으며 년 월 일부터 년 월 일까지 설문조사를 실, 2023 10 06 2023 10 26 시하였다 설문조사 장소는 광주광역시 내의 지하철역 광주여자대학교 광주광역. , , 시 지역 내의 사회복지관 등에서 직접 대면을 통해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아로마 에센셜 오일 인식에서는 아로마 향 경험 여부와 식물의 , 10 순수 정유 인지 여부 아로마 에센셜 오일 사용 경험 여부 아로마 에센셜 0% , , 오일 사용 주기에서 성별과 직업에 따라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감성 요인을 . 이용한 광주와 어울리는 향기 이미지에 대한 인식에서는 전반적으로 향기 요소‘ ’ 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강도 요소 느낌 요소 순으(M=3.66) , ‘ ’(M=3.52), ‘ ’(M=3.49) 로 나타났으며 지역민의 광주와 어울리는 향기 이미지에 대한 인식은 평균 , 3.56 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적 특성에 따라 느낌 요소의 차분하다 강도 요소의 . , ‘ ’, 은은하다 경쾌하다 부드럽다 향기 요소의 꽃향기가 난다 물 바다 향기가 ‘ ’, ‘ ’, ‘ ’, ‘ ’, ‘ / 난다 달콤하다 에 대해서 직업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요소 ’, ‘ ’ , , 간의 상관관계는 모두 유의미한 정 의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로마 에(+) . 센셜 오일의 향기 선호도 조사에서 단일 향은 번 레몬 이 가장 높게 ‘1 ( )’(M=3.88) 나타났고 번 자스민 번 제라늄 번 라벤더, ‘6 ( )’(M=3.26), ‘5 ( )’(M=3.25), ‘3 ( )’(M=2.83), ‘7 번 편백 번 카모마일 로만 번 카모마일 저먼( )’(M=2.74), ‘2 ( )’(M=2.26), ‘4 ( )’(M=2.09) 순으로 나타났으며 단일 향에 대한 평균 선호도는 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2.90 . , 혼합 향에 있어서 번 레몬 편백 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번 라벤더‘1 ( + )’(M=3.32) , ‘3 ( + 편백 번 자스민 편백 번 제라늄 편팩 번 카)’(M=3.25), ‘6 ( + )’(M=3.15), ‘5 ( + )’(M=3.13), ‘2 ( 모마일 로만 편백 번 카모마일 저먼 편백 순으로 나타났+ )’(M=3.07), ‘4 ( + )’(M=2.96) 으며 혼합 향에 대한 평균 선호도는 점으로 나타났다 그 외 번 제라늄 편, 3.15 . 5 ( + 백 과 번 자스민 편백 향에서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6 ( + ) .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지역민의 아로마 에센셜 오일 인식도 조사를 통한 지식 정도와 경험 유무 감성 요인을 이용한 지역 이미지를 이용하여 향을 이용한 뷰, 티 상품의 마케팅에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편백과 가지 아로마 에센셜 . , 6 오일의 선호도 조사는 남부지방에 식재하고 있는 천연자원인 편백나무의 이용을 증진하여 지역 관광 상품 개발에 기초자료로 제공될 것으로 사료된다 지역 경제 . 활성화와 뷰티 산업 발전을 위한 방안 중 관광 산업은 꾸준히 주목받고 있는 산 업이다 건강과 환경을 중요시하는 현대인들에게 천연자원을 이용한 지역 관광 . 상품 개발 연구는 더욱 다양하게 모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In order to develop beauty tourism products using the fragrances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this study aims to ascertain the local residents' awareness and preference of six aromas of essential oils, including cypress. Among the residents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physically healthy individuals aged 20 or older, and a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06, 2023, through October 26, 2023. The face-to-face surveys were conducted at subway stations in Gwangju, Gwangju Women's University, and social welfare centers in Gwangju. Meaningful results were found depending on gender and occupation in aroma essential oil recognition in 100% pure essential oil recognition of plants, experience with aroma essential oils, and cycle of aroma essential oil use. Overall, "fragrance factor" (M=3.66) was the highest in terms of scent image matching Gwangju using emotional factors, followed by "strength factor" (M=3.52) and "feeling factor" (M=3.49), and the local residents' perception of scent image matching Gwangju averaged 3.56.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depending on occupation and gender in terms of "calm", "light", "soft", "scent of flowers", "water/sea", and "sweet", and all correlations between the factors are found to be positive (+). In the aroma essential oil scent preference survey, 'Lemon' (M=3.88) was the highest, followed by 'Jasmine' (M=3.26), 'Geranium' (M=3.25), 'Lavender' (M=2.83), '7 (cypress)' (M=2.74), '2 (chamomile roman)' (M=2.26), and '4 (camomile german)' (M=2). As for mixed scents, 'No. 1 (lemon + cypress)' (M=3.32) was the highest, followed by 'No. 3 (lavender + cypress)' (M=3.25), 'No. 6 (jasmine + cypress)' (M=3.15), 'No. 5 (geranium + cypress' (M=3.13), 'No. 2 (camomile roman + cypress)' (M=3.07) and 'No. 4 (camomile German + cinoki)' (M=2.96). Moreo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gender in the scents of No. 5 (geranium + cypress) and No. 6 (jasmine + cypress).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data for marketing beauty products using fragrances utilizing local images using knowledge, experience, and emotional factors through the aroma of essential oils. In addition, the preference survey for cypress and six kinds of aroma essential oils is expected to promote the use of cypress, a natural resource in the southern region, and provide basic data for local tourism product development. Among measures to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and develop the beauty industry, the tourism industry is steadily attracting attention. For modern people who value health and the environment,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local tourism products using natural resources needs to be explored more diversely.

      • 치과위생사의 업무 협력과 보상 만족도가 직무착근도에 미치는 영향 : 긍정심리자본을 매개효과로

        김주언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석사 사용) 2024 국내석사

        RANK : 251679

        목적: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업무 협력(치과위생사와 치과위생사 간의 협력, 치과 위생사와 치과의사와의 협력), 보상 만족도(무형 보상 만족도, 유형 보상 만족도)가 긍정심리자본을 매개효과로 직무착근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치과위 생사의 복리증진과 의료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개선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2023년 7월 1일부터 20일까지 광주·전라권 치과 병·의원에 근무하는 치과위 생사 20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치과위생사의 업무 협력, 보상 만족도, 직무착근도, 긍정심리자본의 정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빈 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각 변수 간의 차이를 독립표본 t 검정과 일원 배치 분산분석으로 분석하고 Scheffé의 사후검정을 시행하였고, 각 변수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직무착근도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 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업무 협력 및 보상 만족도와 직무착근도의 관계 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마지막으로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고자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유형 보상 만족도는 나이와 수입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가 있었고(p<0.05), 직무착근도는 의료기관 유형, 나이, 직급, 월수입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또한, 긍정심리자본은 나이, 직급, 월수입 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직무착근도와 주요 변수와의 상관관계는 치과위생사와 치과위생사 간의 업무 협력 (r=0.757, p<0.001), 치과위생사와 치과의사와의 업무 협력(r=0.694, p<0.001), 무형 보 상 만족도(r=0.692, p<0.001), 유형 보상 만족도(r=0.775, p<0.001), 긍정심리자본 (r=0.739, p<0.001)과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치과위생사의 직무착근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유형 보상 만족도(β=0.362, p<0.001), 무형 보상 만족도(β=0.190, p<0.001), 치과위생사 간의 협력(β=0.178, p<0.05), 나이(β=0.112, p<0.05)였다(adj.R²=0.744). 치과위생사의 직무착근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긍정심리자본은 업무 협력에 완전 매 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보상 만족도에서는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Sobel test 결과 치과위생사 업무 협력(Z=2.339, p=0.019), 치과의사 업무 협력(Z=1.985, p=0.047), 무형 보상 만족도(Z=2.286, p=0.022), 유형 보 상 만족도(Z=1.980, p=0.048)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을 확인하였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통해 업무 협력과 보상 만족도가 직무착근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고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치과위생사의 직무착근도 향상을 위해 근무환경 개선과 긍정심리자본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 접 근성의 확보와 다각적 관련 연구가 필요하다.

      • 임상치과위생사의 팀워크, 셀프리더십, 자기효능감이 치위생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최지수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석사 사용) 2024 국내석사

        RANK : 251679

        국문 초록 임상치과위생사의 팀워크, 셀프리더십, 자기효능감이 치위생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목적 : 본 연구는 임상치과위생사의 팀워크, 셀프리더십, 자기효능감을 파악하여 치위생전문직 자아개념과의 관련성과 영향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고, 임상 현장에서 치과위생사의 효율적인 업무 수행과 치위생전문직 자아개념 향상에 필요한 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 서울·경기, 광주·전라권 소재의 치과 병·의원에 근무하는 임상경력 2년 이상의 치과위생사 202명을 대상으로 2023년 6월 1일부터 8월 1일까지 온라인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로 산출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팀워크, 셀프리더십, 자기효능감과 치위생전문직 자아개념의 차이는 독립표본 t-test와 일원 배치 분산분석을 사용하였고, 사후 검정은 Duncan으로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팀워크, 셀프리더십, 자기효능감과 치위생전문직 자아개념의 상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Pearson’s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치위생전문직 자아개념에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1. 임상치과위생사의 팀워크는 데스크 업무(4.05)에서 진료실 업무(3.87)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2. 임상치과위생사의 셀프리더십은 현재 직위, 최종학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현재 직위에서는 팀장 이상(3.76)이 팀원(3.57)보다 셀프리더십이 높았으며(p<0.01), 최종학력에서는 학사 이상(3.68)이 전문학사(3.49)보다 셀프리더십이 높았다(p<0.01). 3. 임상치과위생사의 자기효능감은 연령, 현재 직위, 최종학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령에서는 33세 이상(4.00)이 23세∼27세(3.85)보다 자기효능감이 높았고(p<0.05), 현재 직위에서는 팀장 이상(4.01)이 팀원(3.83)보다 높았다(p<0.01). 최종학력에서는 학사 이상(3.96)이 전문학사(3.72)보다 자기효능감이 높았다(p<0.001). 4. 임상치과위생사의 치위생전문직 자아개념은 연령, 결혼 상태, 최종학력, 현재 직위, 소득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령에서는 33세 이상(3.80)이 28세∼32세(3.69)보다 치위생전문직 자아개념이 높았고(p<0.05), 결혼 상태에서는 기혼(3.77)이 미혼(3.65)보다 높았다(p<0.05). 최종학력에서는 학사 이상(3.76)이 전문학사(3.56)보다 치위생전문직 자아개념이 높았고(p<0.001), 현재 직위에서는 팀장 이상(3.92)이 팀원(3.61)보다 높았으며(p<0.001), 소득에서는 250만원 이상(3.75)이 250만원 미만(3.63)보다 치위생전문직 자아개념이 유의하게 높았다(p<0.05). 5. 임상치과위생사의 팀워크, 셀프리더십, 자기효능감, 치위생전문직 자아개념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셀프리더십과 치위생전문직 자아개념(r=0.657), 치위생전문직 자아개념과 자기효능감(r=0.626), 셀프리더십과 자기효능감(r=0.621), 팀워크와 치위생전문직 자아개념(r=0.519), 팀워크와 셀프리더십(r=0.458), 팀워크와 자기효능감(r=0.442)간의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6. 임상치과위생사의 치위생전문직 자아개념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셀프리더십(β=0.342, p<0.001), 자기효능감(β=0.264, p<0.001), 팀워크(β=0.230, p<0.001), 팀원(β=-0.197, p<0.01)이었다. 팀워크, 셀프리더십, 자기효능감과 직위가 높을수록 치위생전문직 자아개념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 : 이상의 연구를 통해 임상치과위생사의 팀워크, 셀프리더십과 자기효능감이 치위생전문직 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임상 현장에서 치과위생사의 효율적인 업무 수행과 치위생전문직 자아개념 향상에 필요한 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주제어 : 셀프리더십, 자기효능감, 자아개념, 치위생전문직, 팀워크

      •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아로마오일 인식과 향 선호도에 관한 연구

        소진희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석사 사용) 2024 국내석사

        RANK : 251679

        본 연구는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을 추구하는 현대인들에게 친환경 아로마오일 을 개인의 생활 습관에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한 아로 마오일 인식과 향 선호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전라북도 지역민 중 만 20세 이상의 성인 여성으로 편입 표본 수집하였으며, 2023년 6월 30일부터 20 23년 7월 31일까지 직접 대면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 200부의 자료 를 SPSS ver, 25.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 방법으로는 빈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Cronbach’s α 계수 산출, K-평균 군집분석, 교차분석, T-test, 일원 변 량분석(One way ANOVA),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일반적 특성에서는 연령, 최종학력, 결혼 여부에 따라 유의미한 차 이가 나타났으며,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아로마오일 인식의 차이에서는 수면 라이 프스타일의 숙면형 집단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아 로마오일 향 선호도 차이에서는 최종학력이 선호도 차이가 나타났다. 라이프스타 일에 따른 아로마오일 향 선호도 차이에서는 수면 라이프스타일의 숙면형과 불 면형 집단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운동 라이프스타일의 운동형 집단에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 아로마오일 인식과 향 선호도는 일반적 특성과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연령, 최종학력, 결혼 여부와 같은 일반적 특성과 라이 프스타일에 따른 맞춤형 아로마 제품 개발과 마케팅 전략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숙면형과 불면형 수면 라이프스타일을 추구하는 집단에는 수면 향상에 도움이 되는 아로마오일을, 운동형 운동 라이프스타일을 추구하는 집단에는 폐활 량 증진, 피로회복, 운동 후 스트레스 감소 유효성이 있는 아로마오일에 강조점 을 둘 수 있다. 6가지 아로마오일의 향 선호도 조사 결과, 숙면형 수면 라이프스 타일은 레몬, 라벤더를, 불면형 수면 라이프스타일은 로즈마리를, 운동형 운동 라 이프스타일은 레몬, 라벤더, 로즈를 활용한 제품개발을 추천한다. 이는 웰빙과 웰니스를 추구하는 현대인들의 수면과 운동에 긍정적인 효과를 제공하는 구체적인 아로마를 추천함으로써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맞춤형 아로마 제품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국내 아로마 시장의 성장과 뷰티산업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다.

      • 협응이동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

        김애지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석사 사용) 2024 국내석사

        RANK : 251679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coordinative locomotor training on upper limb function in stroke patients. The research was conducted from June 19, 2023, to July 28, 2023, at G Rehabilitation Hospital in Gwangju, South Korea, with patients undergoing inpatient treatment. There were a total of 30 study subjects, and after randomly assigning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coordinative locomotor training while receiving general rehabilitation treatment, and the control group received general rehabilitation treatment. The study utilized a motor activity log to assess the usage and quality of upper limbs in daily life, as well as manual function test to evaluate overall functional status. The rapael smart board was used to evaluate upper limb active range of motion, arm reaching function, and detailed control ability of upper limb movements. Descriptive statistics were employed to analyze pre- and post-measurement values for both groups, and two-way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ANOVA) was conducted to compare measurement values over time for the two groups. If an interaction appeared, an independent samples t test was used for post hoc testing.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mount of use and quality of movement on the paralyzed side using the motor activity log, the interaction between group and time was significant, and the pre- and post-change rate of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to a greater extent. The results of the manual function test showed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group and time, and the experimental group pre-to-post change rate improved to a greater extent.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explored area ratio and mean reaching distance to determine the upper extremity active range of motion of the Rapael Smart Board, a significant interaction was shown between group and time, and the rate of change in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to a greater extent.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group and time in the moment time to determine arm reaching function, and the experimental group pre-to-post change rate improved to a greater extent. Smoothness also showed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group and time, with the experimental group rate of change increasing to a greater extent. As a result of roundness to determine the ability to finely control upper limb movements,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group and time was shown, and the pre- and post-change rate of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to a greater extent. As a result of circle completion time, no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group and time was found, and the rate of change in the experimental group decreased to a greater exten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seen that general rehabilitation treatment also leads to improvements in upper extremity function, but when combined with coordinative locomotor training using coordinative structure, there is a more significant improvement in upper extremity function during the same intervention period.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coordinative locomotor training intervention can provide an effective strategy to improve upper extremity function in stroke patient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협응이동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기간은 2023년 6월 19일부터 2023년 7월 28일까지이고 광주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G 재활병원에서 입원 치료 중인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총 30명이었으며, 두 그룹을 무작위 배정한 후 실험군은 일반적인 재활치료를 받는 동안 협응이동훈련을 병행하였고 대조군은 일반적인 재활치료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일상생활에서 마비측 상지의 사용량과 움직임의 질을 알아보기 위한 운동활동측정표와 상지 운동의 전반적인 기능 상태를 알아보기 위한 상지 기능 검사를 시행하였고 상지 능동 관절 가동 범위, 팔 뻗기 기능, 상지 운동의 세밀한 조절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라파엘 스마트 보드를 사용하였다. 두 그룹의 전후 측정값을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를 사용하였으며, 두 그룹의 중재 전후 시간 경과에 따른 측정값을 비교하기 위해 이요인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상호작용이 나타나면 사후검정을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을 이용하였다. 운동활동측정표를 이용하여 마비측 상지 사용량과 움직임의 질을 비교한 결과 그룹과 시간 사이에 상호작용이 유의하였으며, 실험군의 전후 변화율이 더 큰 폭으로 향상되었다. 상지 기능 검사 결과 그룹과 시간 사이에 유의한 상호작용을 나타냈으며, 실험군의 전후 변화율이 더 큰 폭으로 향상되었다. 라파엘 스마트 보드의 상지 능동 관절 가동 범위를 알아보기 위한 탐색 면적과 평균 도달 거리 측정 결과 그룹과 시간 사이에 유의한 상호작용을 나타냈으며, 실험군의 변화율이 더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팔 뻗기 기능을 알아보기 위한 도달 시간에서 그룹과 시간 사이에 상호작용이 유의하였으며, 실험군의 전후 변화율이 더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부드러움 역시 그룹과 시간 사이에 유의한 상호작용을 나타냈으며, 실험군의 변화율이 더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상지 운동의 세밀한 조절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원형 완성도를 비교한 결과 그룹과 시간 사이에 유의한 상호작용을 나타냈으며, 실험군의 전후 변화율이 더 큰 폭으로 향상되었다. 원형 그리기 소요 시간을 비교한 결과 그룹과 시간 사이에 유의한 상호작용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실험군의 변화율이 대조군에 비하여 더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일반적인 재활치료 또한 상지 기능의 향상을 가지고 오지만 협응 구조를 이용한 협응이동훈련을 병행하면 같은 중재 기간 동안 더 유의한 차이로 상지 기능의 향상을 가지고 왔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뇌졸중 환자들의 상지 기능향상을 위하여 협응이동훈련이 효과적인 전략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베트남 예비 부모들의 인식 연구 : 광주광역시 K 여대 유학생을 중심으로

        마이티후옌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석사 사용) 2024 국내석사

        RANK : 251679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베트남 예비 부모들의 인식 연구 -광주광역시 K 여대 유학생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K여대 교내 베트남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조기영어교육 에 대한 예비 부모들의 인식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첫째, K여대 교내 베트남 유학생들의 조기영어교육에 대해 인식을 알아보고, 둘 째, K 여대 교내 베트남 유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인식차이를 알아보고 셋 째, K여대 교내 베트남 유학생들의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효율 적인 방향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2023년 10월 15일부터 11월 10일까지 광주광역시 K여대 교내 베트 남 유학생 21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조사하였으며, SPSS win18.0 통계 프로그 램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여대 교내 베트남 유학생들은 영어를 배우게 된 동기가 ‘어릴수록 효과 가 있을 것’으로 생각하였으며,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인식에 대하여 80% 이상 그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고 그 이유로는 ‘유아가 이미 일상생활 속에서 영어와 자주 접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또한 필요하지 않다고 인식한 원인으로는 ‘모국어 습득을 방해하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기영어교육에 적합한 수업 활동으로는 대다수 베트남 유학생들은 ‘게 임’을 가장 좋은 방법으로 인식하였고 수업에 ‘영어 그림책을 소리 내어 읽어주 거나’, ‘CD 테이프 같은 음성파일로 들려주면’ 효과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영어책을 선정할 때 가장 고려하는 점에서 ‘부모나 아이의 선호도 를 반영한 임의적 선택’이 응답 125명(44.8%)으로 가장 많았으며 영어책을 읽은 후 가장 많이 하는 활동은 ‘인상 깊은 장면 그리기를 할 것’으로 163명(75%)이나 응답하였다. 셋째,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베트남 유학생의 지역 간 인식차이를 알아본 결과 는 차이가 없다는 것을 나타났으며, 교사의 자질 역시 아이들의 동기유발능력과 수업전달능력 순으로 나왔다. 마지막으로, 부모 교육과정에 대한 수강 여부를 묻 는 질문에서는 174명(80.6%)이 부모 교육을 희망한다고 밝혔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하여 더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조기영어교육의 방안 을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은 광주광역시 K여대 교내 베트남 유학생들만 제한하지 말고 연구 대상 선정을 확대 시행하여 향후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둘째, 현재 베트남 부모들은 조기에 영어 교육하는 것에 관심이 점점 더 높아 지고 있는데 현재 유치원 영어 강사와 원어민 교사의 지도 능력이 부족하므로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교사 교육에 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현재 베트남에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므로 향후 후 속 연구에서는 조기영어교육 학습 방법 및 영어교재 등 다양하고 폭넓은 조기영 어교육에 대한 연구 개발이 이어지기를 바란다. 넷째, 부모를 위한 조기영어교육 프로그램이 마련되기를 바라며, 그 방법으로 자녀의 연령별, 수준별 프로그램과 다양한 조기영어교육 학습 방법에 따른 가정 에서 자녀와 함께 공부할 수 있는 지도 방법 등에 대한 프로그램들이 제공되기 를 제언해 본다.

      • 피부관리 인식과 행동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중국 절강성지역 20대˜50대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러우야난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석사 사용) 2024 국내석사

        RANK : 251679

        본 연구는 중국 절강성지역 20대~50대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피부관리 인식과 행동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피부관리 인식, 피부관리 행동,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내용은 일반적 특성 7문항, 피부관리샵 이용 특성 10문항, 피부관리 인식 12문항, 피부관리 행동 16문항, 자아존중감 12문항, 총 57문항으로 구성하여 전자설문에 의해 자기기입식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조사시간은 2023년 8월 1일부 터 2023년 8월 31일까지 진행하였으며. 응답한 총 332부 중, 불성실한 설문지 24부를 제외하고 308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5.0 통계프로그램 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t-test 및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 분석과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피부관리 인식은 생활습관, 식이조절, 제품사용 3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피부관리 행동은 화장품 사용행동, 세안행동, 생활습관행동, 전문적인 관리행동 4요인 으로 분류하였다. 자아존중감은 외모, 인간관계, 태도로 3요인으로 도출하였다. 둘째, 피부관리 인식은 화장품 사용행동, 세안행동, 생활습관행동, 전문적인 관리행동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피부관리 인식은 외모, 인간관계, 태도에 모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피부관리 행동은 외모, 인간관계, 태도에 모두 유의미하게 영향을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피부관리 인식과 피부관리 행동은 자아존중감를 결정하는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실증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 장 폴 고티에 향수 용기 디자인을 반영한 젤 네일 디자인 연구

        정혜연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석사 사용) 2024 국내석사

        RANK : 251679

        장 폴 고티에 향수 용기 디자인을 반영한 젤 네일 디자인 연구 네일 산업의 급성장에 따라 창의적이고 새로운 네일아트 디자인의 개발이 요 구 되고 있다. 장 폴 고티에 향수 용기 디자인은 파격적이며 기발한 아이디어로 새로운 디자인을 추구하고 있어 이를 반영한 네일아트 디자인을 개발하고자 하 였다. 이에 장 폴 고티에의 2020년~2022년도에 출시된 향수 제품을 S/S와 F/W로 구분하여 여성용과 남성용으로 총 12종의 향수 용기 디자인의 이미지를 수집하 고 네일아트 디자인 기법를 적용하여 총 12개의 작품 제작하여 제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2020년의 S/S는 항공사 컨셉에 블루계열을 사용하고 여성용 디 자인은 유광으로 글로시하게 남성용은 무광으로 매트한 유리병 모양으로, F/W는 ‘Toilette X-mas Edition’ 컨셉에 레드계열을 사용하고 크리스마스 분위기를 연 출하며 여성용 디자인은 드레스 디자인으로 남성용은 스트라이프 패턴으로 디자 인하여 제시하였다. 둘째, 2021년의 S/S 여성용은 ‘Pin Up’ 컨셉에 핑크계열을 사용하고 화려한 드레스를 입은 듯한 여성의 상반신 바틀 모양으로 디자인하여 제시하였다. 남성 용은 ‘On Board’ 컨셉에 블루계열을 사용하고 엠보 아트로 물방울을 연출하여 글로시한 유리병을 디자인하여 제시하였고 F/W는 ‘X-mas Edition’ 컨셉에 레드 계열을 사용하고 여성용은 무광으로 매트하게 표현하고 남성용은 유광과 무광을 적절하게 사용한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셋째, 2022년 S/S는 ‘Pride Edirion’ 컨셉에 블루계열을 사용하고 여성용과 남 성용 모두 장 폴 고티에의 아이덴티티를 보여주는 문구와 무지개 컬러의 스트라 이프 패턴으로, F/W는 겨울 패딩을 입은 듯한 컨셉으로 레드계열을 사용하고 여 성용과 남성용 모두 엠보 아트로 입체감과 생동감 있게 디자인하여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향수 용기 디자인을 모티브 하여 젤 네일아트 디자인 에 접목함으로써 모티브 할 수 있는 범위를 넓혔으며, 네일 현장에서 활용해 남 녀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창의적인 젤 네일아트 디자인 개발의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주제어 : 장 폴 고티에, 향수 용기 디자인, 젤 네일아트, 네일아트

      • 조기영어교육에 관한 학부모들의 인식 연구 : 우즈베키스탄의 페르가나를 중심으로

        나르키자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석사 사용) 2024 국내석사

        RANK : 251663

        본 연구는 우즈베키스탄 페르가나(Farg’ona) 지역 4개 시의 어린이집 및 유치원에 만 3-5세 자녀를 보내는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조기영어교육에 관한 학부모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첫째, 우즈베키스탄의 페르가 나 (Fergana) 지역 학부모들의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고, 둘째, 우즈베 키스탄의 페르가나(Fergana) 지역 학부모들의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실태를 알아보았으 며, 셋째, 우즈베키스탄의 페르가나(Fergana) 지역 학부모들의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요 구를 알아보았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학부모들의 인식을 분석해본 결과, 학부모들의 조기영어교 육 인식에 대한 2개 문항으로 신뢰도는 Cronbach’s a 값이 .957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 며, 적절한 시기로는 만 3-5세이다. 부모들이 자녀에게 기대하는 교육 효과는 원어민과 같은 발음이었다. 그리고, 조기영어교사로 적합한 사람은 우즈벡 영어 교사와 교포로, 교사로서 수업을 전달하는 능력과 학습자의 동기를 유발하는 능력이 중요하다고 생각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실태는 현재 자녀가 사교육을 63.5% 받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교육 기관으로는 영어유치원 및 사설 교육기관으로, 현재 자녀가 받는 조기영어 교육에 대해 부모들이 잘 알고 있었으며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교육을 시 키지 않는 이유로는 교육비가 부담스럽고 아직 나이가 이르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본 연구자는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우즈베키스탄에서 더 효과적인 조기영어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현재 우즈베키스탄에서 조기영어교육이 진행되고는 있지만 이에 관한 연구가 전혀 없으므로 앞으로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연구가 좀 더 활발하게 이루어지길 바란다. 둘째, 우즈베키스탄의 조기영어교육의 문제 중 하나가 아이들에게 알맞은 영어 교재 가 없으므로 이를 위해 연구자들의 국내외 교재 분석 및 개발이 이루어져야겠다. 셋째, 우즈베키스탄의 학부모들은 조기영어교사들에 대한 불만족이 많으므로 추후 조 기영어교사들에 대한 조기영어교육 및 아이들 지도에 필요한 다양한 지도 기술과 능력 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기를 제언한다. 넷째, 멀티미디어를 통한 다양한 조기영어교육 프로그램들이 부족하므로 이를 활용하 여 지도할 수 있는 후속 연구들이 더 많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매실당액을 첨가한 마요네즈의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특성

        정연진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석사 사용) 2024 국내석사

        RANK : 251663

        맛과 편리함, 안전성 등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세계 가공 식품 및 소스시장은 빠르게 변화하며 성장하고 있다. 최근 가공식품에 대한 소비 패턴의 다양해지고 있으며, 기능성 식품 및 건강식품에 대한 관심과 요구가 높아 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로 인해, HMR 및 밀키트에서 활용되는 소스의 사용이 증 가하고 있으며 전통적인 음식 외에도 서구적인 식생활에서 많이 소비되는 마요네 즈 소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해지고 있다. 선행연구를 통해 매실이 항산화, 항균 작용, 항알러지 등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는 점을 이용하여 품질 특성 및 항산화 기능을 강화한 소스를 개발하는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매실당액을 첨가하 여 마요네즈의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매실당액을 첨가하지 않은 마요네즈와 매실당액 25%, 50%, 75% 첨가 마요네 즈의 pH, 점도, 유화안정성의 기름분리도와 과산화물가, 당도 등 품질 특성과 총 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등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매실당액을 제조하기 위해 매실을 깨끗이 씻어 물기를 제거한 후 설탕과 매실 의 중량비 1:1로 혼합하여 항아리에서 밀봉하여 실온에서 보관한 다음 1년 뒤 당 액을 분리하여 항아리에 담아 실온 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또한 저장성을 알아보 기 위해 매실당액 첨가한 마요네즈를 0일, 7일, 14일, 21일, 28일 상온 보관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저장일별 대조군과 첨가군의 pH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고 (p<0.001), 저장 기간이 증가할수록 대조군의 pH는 증가하였고, 매실당액 첨가군 은 pH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물리적 품질 특성을 결정하는 주요한 요인 중의 하나인 점도는 저장일별 그룹간의 차이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p<0.001),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점도가 감소하였다. 대조군과 매실당액 첨가군의 유화안 정성의 기름분리도는 저장 기간이 지남에 따라 조금씩 기름양이 증가하였으나 증 가량은 미미하였다. 또한 유지 산패의 원인으로 알려진 과산화물가는 당일 제조한 대조군은 4.42 meq/kg으로 매실당액을 첨가한 실험군보다 높았다.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유의 적으로 증가하여 저장 28일차에는 17.06 meq/kg으로 나타냈다(p<0.001). 매실당액 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은 과산화물가를 나타냈다. 또한 저장기간이 늘어남에 따라 매실당액 첨가군의 과산화물가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대조군에 비해 낮은 값을 나타내어 산패 속도가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항산화 기능에서 매실당 액 75% 첨가군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능을 나타냈다. 총 페놀 함량은 75% 첨가 마요네즈에서 54.89 mg QE/mL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52.53 mg QE/mL으 로 나타냈다. 매실당액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라디칼 소거능이 유의적으로 증가하 여 항산화활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p<0.001),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은 매실당액 75% 첨가 마요네즈가 58.90%과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은 매실당액 75% 첨가 마요네즈가 37.87%로 모두 매실당액 75% 첨가 마 요네즈가 가장 높은 항산화능을 나타냈다. 따라서, 매실당액을 첨가한 마요네즈에 서 산패 방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내어 저장성과 유화안정성 및 항산화 효과 가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