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역사회 통합돌봄 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이용희 광주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51727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actual utilization of the community integrated care services(a.k.a community care utilization) and factors affecting access and service utilization for the recipients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Andersen's Behavioral Model was adopted for this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Integrated Community Care Assessment Tool. The subjects were a total of 762 individuals with calculable service utilization expenditures in 2022 among the participants of the Community Integrated Care Leading Project (2019-2022) in the Seo-gu, Gwangju Metropolitan City.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predisposing factors, enabling factors, and needs factors on the number of integrated care service utilization, duration, and service expenditure. The research findings of the overall utilization of health and welfare services, and health services utilization and welfare services utilization respectively are as follows. First, in regard to the overall utilization of health and welfare services,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number of service utilization and duration were predisposing and needs factors.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service expenditure were predisposing, enabling, and needs factors. When it comes to the number of service utilization, the determinants were gender and age(predisposing factor),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needs factor). The relative significance was in the order of ADL, gender, and age. Next, in terms of the service utilization duration, the determinants were gender(predisposing factor), ADL(needs factor), and the presence of long-term care(LTC) Level. The relative significance was in the order of gender, ADL, and the presence of LTC Level. Finally, concerning the service expenditure, the determinants were gender(predisposing factor), basic pension and solitude((enabling factor), ADL and LTC grade(needs factor), and so on. Overall, the common determinants of the three were gender(predisposing factor) and ADL(needs factor). Second, with health services utilization and welfare services utilization analyzed separately, in terms of the number of utilization, the influencing factors for health services were predisposing factors and needs factors, while for welfare services, the needs factors. The determinants for health services were age as a predisposing factor, psychological health status, ADL, and the presence of long-term care grade as needs factors. The relative significance was in the order of ADL, psychological health status, presence of LTC grade, and age. For welfare services, the determinants were the psychological health status and the presence of LTC grade(needs factors). The relative significance was the presence of LTC grade followed by psychological health status. Common determinants influencing the number of utilization of both health and welfare services were needs factors: the psychological health status and the presence of LTC grade. Next, when it comes to service utilization duration, determinants for health services were predisposing and needs factors while for welfare services, they were predisposing, enabling, and needs factors. The determinants of health services were gender, age(predisposing factors) and psychological health status, ADL, and the presence of LTC grade(needs factors). The relative significance was in the order of ADL, the presence of LTC grade, psychological health status, gender, and age. The determinants of welfare services were gender(predisposing factors), basic pension, whether living alone or together,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s, and Instrumental Activity of Daily Living(IADL). The relative significance was in the order of IADL, whether living alone or together,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s, and basic pension. Common determinants influencing the service utilization duration of both health and welfare services were gender(predisposing factor). Finally, in terms of service expenditure, the influencing factors for health services were predisposing factors and needs factors, while for welfare services, they were predisposing, enabling, and needs factors. The determinants of health services were basic pension(enabling factor), psychological health status, ADL, and the presence of LTC grade(needs factors). The relative significance was in the order of psychological health status, the presence of LTC grade, ADL, and basic pension. The determinants of welfare services were gender(predisposing factors), subjective economic status, whether living alone or together(enabling factors), psychological health status, ADL, and the presence of LTC grade(needs factors). The relative significance was in the order of the presence of LTC grade, ADL, gender, whether living alone or together, psychological health status, and subjective economic status. Common determinants influencing the service expenditure for both health and welfare services were psychological health status, and gender(predisposing factor). ADL, and the presence of LTC grade(needs factors). In conclusion, it was the needs factor that had the biggest influence on the utilization of overall health and welfare services, and health services and welfare services respectively for integrated care recipi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shown the following. First, in the implementation of community integrated care programs, it is necessary to develop standardized and uniform assessment tools and more frequent multidisciplinary(multifaceted) case conferences. Second, along with the extension of the service provision period through the strengthening and coordination of health servic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moother collaboration and information-sharing system between the health and welfare sectors. Third, mandatory visits for individuals aged 75 and above are required, along with a more detailed intervention for elderly people living alone. Fourth, continuous efforts are required for the improvement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among the elderly. Fifth, in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health and welfare service policies in community integrated care programs, a differentiated approach based on gender is needed. Additionally, considering the super-aged society, reviewing various strategies and services for the elderly population is necessary. Finally, there is a requirement for strong policy determination and vigorous implementation by the central government for the nationwide expansion of community integrated care programs. Keywords: CommunityCare, Community Integrated Care Service, Aging In Place, Andersen's behavior model, Health services and Welfare services 본 연구의 목적은 보건복지부 지역사회 통합돌봄(커뮤니티케어) 대상자들이 지역사회 통합돌봄서비스를 실제로 얼마나 이용하는지, 이용에 있어 어떤 요인의 영향을 받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앤더슨 행동모델을 활용하였고, 지역사회 통합돌봄 선별도구 조사에 응답하고 지역사회 통합돌봄 선도사업(2019-2022) 지역 중 광주광역시 서구 지역사회 통합돌봄 선도사업 2022년 참여자 중 서비스 이용금액이 산출 가능한 762명이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자료는 소인성 요인, 자원 요인, 욕구 요인이 통합돌봄서비스 이용건수, 이용기간, 이용금액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위계적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보건복지서비스 전체의 측면과 보건서비스와 복지서비스 개별 측면으로 나눠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건복지서비스의 이용건수와 이용기간, 이용금액에서 서비스 이용건수와 이용기간에 대한 영향요인은 소인성 요인과 욕구 요인이었다. 서비스 이용금액에 대한 영향요인은 소인성 요인과 자원 요인, 욕구 요인이었다. 서비스 이용건수에 영향을 주는 변수는 소인성 요인의 성별, 연령과 욕구 요인의 ADL로, 변수의 영향력으로는 ADL, 성별, 연령 순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이용기간에 대한 영향을 주는 변수는 소인성 요인의 성별과 욕구 요인의 ADL, 장기요양등급 유무로, 변수의 영향력으로는 성별, ADL, 장기요양등급 유무 순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이용금액에 대한 영향을 주는 변수는 소인성 요인의 성별, 자원 요인의 기초연금 유무, 독거 유무, 욕구 요인의 ADL, 장기요양등급 유무로, 변수의 영향력으로는 ADL, 장기요양등급유무, 성별, 독거 유무, 기초연금 유무 순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살펴보았을 때 서비스 이용건수와 이용기간, 이용금액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소인성 요인의 성별과 욕구 요인의 ADL이었다. 둘째, 보건서비스와 복지서비스의 이용건수와 이용기간, 이용금액에서, 먼저 보건서비스와 복지서비스의 이용건수에 있어 보건서비스에 대한 영향요인은 소인성 요인과 욕구 요인이었고, 복지서비스에 대한 영향요인은 욕구 요인이었다. 보건서비스에 대해 영향을 주는 변수는 소인성 요인의 연령과 욕구 요인의 심리적 건강상태, ADL, 장기요양등급 유무로, 변수의 영향력으로는 ADL, 심리적 건강상태, 장기요양등급 유무, 연령 순으로 나타났다. 복지서비스에 대해 영향을 주는 변수는 욕구 요인의 심리적 건강상태, 장기요양등급 유무로, 변수의 영향력으로는 장기요양등급 유무, 심리적 건강상태 순으로 나타났다. 보건서비스와 복지서비스의 이용건수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욕구요인의 심리적 건강상태와 장기요양등급 유무였다. 보건서비스와 복지서비스의 이용기간에 있어서 보건서비스에 대한 영향요인은 소인성 요인과 욕구 요인이었고, 복지서비스에 대한 영향요인은 소인성 요인과 자원 요인, 욕구 요인이었다. 보건서비스에 대해 영향을 주는 변수는 소인성 요인의 성별, 연령과 욕구 요인의 심리적 건강상태, ADL, 장기요양등급 유무로, 변수의 영향력으로는 ADL, 장기요양등급 유무, 심리적건강상태, 성별, 연령순으로 나타났다. 복지서비스에 대해 영향을 주는 변수는 소인성 요인의 성별, 자원 요인의 기초연금 유무, 독거 유무, 욕구 요인의 만성질환 수, IADL로, 변수의 영향력으로는 IADL, 독거 유무, 성별, 만성질환 수, 기초연금 유무 순으로 나타났다. 보건서비스와 복지서비스의 이용기간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소인성 요인의 성별이었다. 보건서비스와 복지서비스의 이용금액에 있어서 보건서비스에 대한 영향요인은 자원 요인과 욕구 요인이었고 복지서비스에 대한 영향요인은 소인성 요인, 자원 요인, 욕구 요인으로 나타났다. 보건서비스에 대해 영향을 주는 변수는 자원 요인의 기초연금 유무와 욕구 요인의 심리적 건강상태, ADL, 장기요양등급 유무로, 변수의 영향력으로는 심리적 건강상태, 장기요양등급 유무, ADL, 기초연금 유무 순으로 나타났다. 복지서비스에 대해 영향을 주는 변수는 소인성 요인의 성별, 자원요인의 주관적 경제상태, 독거 유무, 욕구 요인의 심리적 건강상태, ADL, 장기요양등급 유무로, 변수의 영향력으로는 장기요양등급 유무, ADL, 성별, 독거 유무, 심리적 건강상태, 주관적 경제상태 순으로 나타났다. 보건서비스와 복지서비스의 이용금액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심리적 건강상태, ADL, 장기요양등급 유무였다. 결론적으로, 통합돌봄대상자들의 보건복지서비스와 개별 보건서비스, 복지서비스의 이용에 있어 소인성 요인, 자원 요인, 욕구 요인 중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은 욕구 요인이었다. 이러한 연구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지역사회 통합돌봄 사업 추진에 있어 표준화된 동일한 평가도구의 개발과 다직종(다학제) 사례회의의 강화가 요구된다. 둘째, 보건서비스의 확충·연계를 통한 서비스의 제공기간 확대와 함께 보건·복지 간 원활한 협업 및 정보공유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셋째, 75세 이상의 노인에 대한 의무방문 시행이 요구되며 독거노인에 대한 좀 더 세밀한 개입이 필요하다. 넷째, 노인들의 ADL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다섯째, 지역사회 통합돌봄 사업에 있어 보건복지서비스 정책 개발 및 추진 시 성별에 따른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하며 초고령사회에 발맞춰 고령층을 위한 다양한 전략과 서비스의 검토가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지역사회 통합돌봄 사업의 전국화를 위한 중앙정부의 정책적 의지와 강력한 추진이 요구된다.

      • 사회복지관의 수퍼비전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윤경필 광주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1727

        Social welfare centers solve or mitigate social issues by providing their clients with services to meet their welfare needs and bringing about changes in local community. In this regard, the work performance of social workers, who plan, produce and provide welfare services, not only has impact the clients’ quality of life, but also serves as a key factor in defining the welfare level of the Korean society. However, the government and welfare society only recently started the efforts to improve work performance of social workers with policy support and research, and in these series of efforts, it was reported that welfare center’s supervision and expertise have the biggest impact on improving social workers’ work performance. However, while the supervision and expertise commonly has influence on social worker’s work performance, the studies only focused on their direct relations with no consideration on the process and routes, resulting in limited suggestion on how to intervene to improve work performanc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supervision and work performance of social workers, verify how much the expertise can improve their work performance and suggest detailed measure of improving work performance. To this end, the researcher distributed written surveys to 250 social workers registered in 41 social welfare councils in South Cheolla province and Gwangju in Korea (14 in Gwangju and 27 in South Cheolla province.) The survey was conducted by personal visits or postal delivery for 3 months from February to April in 2013. Out of the 250 surveys distributed, 196 were returned and 182 were used for the final research, excluding the ones with lower credibility. The receiv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 statistics package (ver 18.0). The summary of the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age has positive impact on work performance and its sub-factors (relation-building with clients, job performance and workload management, professional knowledge and professional techniques and attitude). In other words, the older social workers are, the higher their work performance and the sub-factors were. When it comes to academic background, social workers, who are in master’s course or have completed master’s or above, showed that their academic background have positive impact on their work performance, professional knowledge and attitude. In terms of the length of service, the longer social workers served, the better their workload management, professional knowledge and attitude was. Second, the more they are experienced in supervision, the higher expertise social workers have, which in return improves their work performance. Third, in relations between supervision and work performance, social worker’s professional expertise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 In more details, social worker’s professional expertise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s in relations between supervision and relation-building with clients as well as social worker’s professional knowledge and attitude, while it showed full mediating effect in relations between supervision and workload management. The results showed that supervision and social worker’s professional capability serve important roles in improving their work performance, and it also identified the route in which supervision has impact on the work performance with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worker’s professional capability. The research sugges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e perception toward supervision shall be improved in social welfare centers. In other words, it shall be recognized that proper supervision provided by supervisors in social welfare centers improves social workers’ work performance and promotes the roles of the welfare centers, and with this understanding in place, more proper and suitable supervision shall be provided in consideration of academic background and career experience of social workers. Second, supervision shall be made a part of official policies on welfare organization to make sure they establish proper supervision system. To this end, government shall not only examine if welfare centers conduct supervision but also evaluate how professional supervision is conducted and include the results as an important part of evaluation criteria. In addition, the welfare centers themselves also should include supervision in their operation standard and provide needed support to make sure supervision is properly conducted. Third, in order to improve social worker’s work performance, more theories and techniques on supervision, designed to improve social worker’s professional capability, shall be developed and distributed after they are verified in practice. Fourth, social welfare centers shall provide support to help new social workers to secure necessary professional capability that fits their organization. The centers should also provide orientation sessions and field training to help the new social workers adjust themselves to the new working environment and understand the circumstance of social welfare service before they start working in centers. Fifth, experience gained from the field is not enough to help supervisors provide necessary supervision to improve social worker’s professional capability. Therefore, it is imperative to provide policy and financial support in order to provide supervisors with education and field training, so that the supervisors can help their supervisees improve their capability in development, organizing, delivery, interpersonal relations and intervention.

      • 광역자원봉사센터 운영에 관한 질적 연구

        박상원 광주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51711

        국문초록 광역자원봉사센터 운영에 관한 질적 연구 박상원 지도교수 : 김선미 광주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사회복지학과 현대사회의 산업화· 도시화로 다양하고 복잡한 문제가 등장하면서 정부나 공공조직만으로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으며, 정부나 공공조직이 감당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정부나 공공조직들을 대체하고 보완하여 해당 지역사회의 문제를 시민 스스로 해결해 나가는 자원이 바로 자원봉사이다. 자원봉사활동은 정부의 공공서비스 영역을 벗어난 취약계층을 위한 사회안전망의 대안으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처럼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사회적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지만 자원봉사자의 모집과 교육, 관리를 담당하는 조직인 자원봉사센터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또한 자원봉사활동의 허브 기능과 플랫폼 역할을 하는 광역자원봉사센터의 운영 경험 연구는 거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을 이용하여 광역자원봉사센터 운영 경험을 연구 참여자의 내부적 관점에서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전국의 광역자원봉사센터 7곳의 센터장을 대상으로, 그들이 운영과정에서 겪은 어려움과 대처방식을 근거이론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광역자원봉사센터의 운영과정에서 경험하는 중점적 현상은 ‘광역자원봉사센터 운영의 어려움’으로 내용은 ‘자율성의 제한’ 과 ‘센터 기능의 위축’이었다. 어려움의 원인은 ‘재정지원 압박’‘허술한 법· 제도’‘경력지원 중도 이탈’ 등 세 영역으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적 요인은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인식’과 ‘광역센터의 정체성’ 이었다.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대처 전략은 센터의 기능위축을 완화시키는 새로운 경력 직원이나 신규직원이 뽑힐 때까지 기다리는‘무행동’이었다. 이어 현안을 해결하기 위한 전략으로는‘기초센터와 연대하기’와 인내와 설득, 소통으로 자원봉사의 가치와 이념을 공유하는‘행정기관 내 협력자 만들기’등을 활용하였다. 대처 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중재 요인으로는‘유관기관과의 협력 파트너십’과‘행정담당자의 협력 의지’가 작용하였다.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전략을 사용한 결과, 어려운 상황에 대한 행정기관의 협력을 받아 내거나 거버넌스 구성을 통해 갈등을 해소하는 제한된 자율성이 확보되었다. 이직의 장기화에 따른 기존 직원들의 업무 과다로 불만이 누적되었고, 행정의 일방적 간섭과 단체장의 재량권 남용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국가 재정의 지원이 그 해결 방안으로써, 이를 위하여 관련법 개정 등 제도개선을 강하게 요구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광역자원봉사센터 운영에 관한 질적 연구의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광역자원봉사센터 운영의 자율성과 기능의 활성화를 위해선 지방자치단체에 일임하고 있는 운영예산 지원의 변화가 필요하다. 현행 제도에서는 예산의 배분 권한을 가지고 있는 지방자치단체의 개입과 단체장의 재량권 남용을 차단할 수 있는 견제장치가 없다. 연구 참여자들은 지방자치단체의 권한을 견제하고 동시에 운영의 자율성을 확보하기 위해 국가 예산의 지원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현행 법체계상 자원봉사센터 업무가 지방사무로 분류되기 때문에, 자원봉사센터의 운영비는 지방예산으로 지원되지만, 국가예산이 일정 비율로 지원된다면 국가의 책임성이 확보되고 관리 감독이 이뤄질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자원봉사센터의 설립 목적과 운영의 효율성을 위해 민간영역에서 민간 중심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관련법령의 개정이 필요하다. 순수직영과 혼합직영은 공무원이 센터장을 겸임하거나 민간이 공무원처럼 일하는 수직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이런 구조는 시민사회와의 소통에 한계를 나타낸다. 법인의 경우 운영의 자율성을 어느 정도 확보하고 있다고 여겨지지만, 행정이 설립되고 시설이나 사무실도 지원받고 있으며, 법인 이사장은 대부분 단체장이 겸임하는 상황에서, 실제 현실에서의 운영 자율성은 미흡한 부분이 많다. 자원봉사센터는 특히 선거에 임박하면 단체장의 선거를 조력하도록 압력을 받고 있으며 선거가 끝나면 결과에 따라 자리의 변동이 결정되는 사례가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다. 이 같은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법인 이사장을 민간인으로 선출하고, 이사회 구성도 각계 인사가 균형 있게 참여하도록 하여, 운영의 자율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법령의 보완이 필요하다. 셋째, 경력직원의 이직 방지와 인력 선순환을 위한 승진과 복지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 광역자원봉사센터 운영의 걸림돌은 폐쇄적 인력구조로 인한 경력직원의 이직 현상이다. 광역센터와 기초센터 간 교류도 하나의 대안은 될 수 있지만, 예산 지원을 하는 지방자치단체가 다르기 때문에, 현재 상태로는 쉽지 않다. 자원봉사 단체들과 정부가 지혜를 모아 인력구조의 선순환 문제에 대한 방안을 마련한 필요가 있다. 광역센터 운영 어려움의 한 축은 경력직원의 이직에 따른 센터의 기능위축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자원봉사 영역이 확장되는 흐름에 맞춰 자격기준의 확대가 이뤄져야 하며, 평균이하를 받고 있는 보수의 현실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현재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여건에 따라 인력과 재정이 다르므로, 정부 표준 운영안이 마련되어 권고사항이 아닌 의무사항으로 지켜지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자원봉사관리자 민간 자격증 도입과 공식 직업군 등록이 적극 검토되고 추진되어야 한다. 넷째, 직원 전문성을 배양하기 위한 시스템 구축과 연구기능 활성화가 필요하다. 광역자원봉사센터의 중요한 기능 및 역할은 자원봉사관리자 및 지도자 교육훈련이다. 대체인력 확보와 자원봉사관리자의 질 높은 프로그램 수행을 위해 전문화된 교육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정부차원의 체계적이고 표준화된 교육운영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광역센터의 또 다른 중요한 기능은 기초센터에 대한 지원과 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한 조사· 연구, 프로그램 개발· 보급이다. 연구 기능 활성화는 지역의 자원과 정책을 연결해 시민사회의 동력으로 기능할 수 있으며, 시민사회의 발전을 견인하는 문화를 선도할 수 있다. 키 워드 : 광역자원봉사센터, 자율성 제한, 기능 위축, 운영 예산 ABSTRACT A Qualitative Study on the Management of Metropolitan City Volunteer Center Park Sang-won Advised by: Prof. Kim Sun-Mi Ph.D.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of Gwang Ju University With the emergence of various and complicated problems due to the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of modern society, the government or public organization alone has not been able to solve all the problems, and they have limited ability to deal with them. Volunteer activity is a resource that replaces and complements governments and public organization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local community on their own. Volunteering can serve as an alternative to a social safety net for vulnerable groups outside the public service sector of the government. Although the social importance of volunteer activities is increasing, interest and research on volunteer centers, which are responsible for the recruitment, education and management of volunteers, are very scarce. In addition,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the operation experience of a metropolitan city volunteer center that serves as a hub function and a platform for volunteer activiti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xperience of the operation of the metropolitan city volunteer center from the internal viewpoint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by using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iculties and the way of coping with the operation of the center heads of seven metropolitan city volunteer centers across the country according to the ground theory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major phenomenon experienced in the operation of metropolitan city volunteer center was the difficulty of operating the volunteer center in metropolitan city, and the contents were limited in the autonomy and in the center function. The causes of difficulties were three areas: financial support pressure, poor law and system, and career support. Sociocultural factors influencing the central phenomenon were 'recognition of volunteer activities' and 'identity of metropolitan city centers'. The coping strategy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took "no action" till waiting for new career or new employees to be elected to mitigate the functioning of the center. As a strategy to solve the current problems, we used 'establishment of cooperation with the foundation center' and 'creating cooperators in the administrative institution' that share the values and ideals of volunteerism through perseverance, persuasion and communication. The factors that affected the coping strategy were cooperative partnership with related organizations and cooperation willingness of administrative staff. As a result of using the strategy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limited autonomy was secured, in which the centers took the cooperation of the government in difficult circumstances or dissolved the conflict through the governance structure. In order to prevent the unilateral interference of the administration and the abuse of discretionary authority of the head of the organization, the financial support of the state was a solution to this problem.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implications of the qualitative research on the operation of metropolitan city volunteer center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activate the autonomy and function of metropolitan city volunteer center,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operational budget support which is set aside for the local government. In the current system, there is no check system that can interfere with the intervention of the local autonomous entities having the right to allocate the budget and abuse of the discretion of the mayor. The researchers emphasized the necessity of supporting the national budget in order to check the authority of the local autonomous entity and to secure the autonomy of operation. Since the volunteer center work is classified as local affairs in the current legal system, the operation cost of the volunteer center is supported by the local budget, but if the national budget is supported at a certain rate, the responsibility of the state can be secured and supervision can be achieved. Second, it is necessary to revise relevant laws and ordinances so that the volunteer center can be operated by private citizens’being centered in the private sector for the purpose of establishment and efficiency of operation. Pure direct operation and mixed direct operation have a vertical structure in which civil servants also serve as center heads or private citizens work like public servants. This structure limits the communication with civil society. In the case of a corporat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autonomy of the operation is secured to a certain extent. However, since the administration is established and the facilities and the offices are also supported, and the majority of the corporation chairman also serves as the head of the corporation, the operating autonomy in actual reality is insufficient. Volunteer centers are under pressure to assist the election of chiefs, especially when the election is imminent, and a large number of cases where the change of position is determined by the result after the election is over. In order to prevent such side effects,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legislation so that the president of the corporation is elected as a civilian, the composition of the board of directors is balanced, and the autonomy of the operation is maintained. Third, it is necessary to promote career advancement and to improve the welfare system to prevent the turnover of career staff and the manpower circulation. The stumbling block in the operation of metropolitan city volunteer center is the transfer of career staff due to the closed workforce structure. Interchange between the metropolitan center and the foundation center can be an alternative, but it is not easy at present because the local governments that support the budget are different. There is a need for volunteer groups and the government to gather wisdom and prepare measures for the virtuous cycle of the workforce structure. One axis of the difficulty of operating a metropolitan city volunteer center is the shrinking in the function of the center due to the transfer of career staff. The researchers emphasized that the eligibility criteria should be expanded in line with the expansion of the volunteer field and that the remuneration under the average should be realized. Since the current financial situation of local governments is different from manpower and finance, government standard operation plan should be prepared so that it is kept as mandatory, not as recommendation. In addition, the introduction of volunteer managers' private certification and registration of official occupation groups should be actively reviewed and pursued. Fourth, it is necessary to build a system and cultivate research functions to cultivate employee professionalism. An important function and role of the volunteer center is volunteer manager and leader training.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pecialized education system to secure alternative manpower and to perform high quality program of volunteer manager. For it, a systematic and standardized education management plan should be prepared by the government. Another important function of the metropolitan center is to support foundation centers and to survey and research to activate volunteering, and to research and develop programs to promote volunteering. Activation of research function can function as a power of civil society by linking local resources and policy, and can take the initiative to lead a culture bringing in the development of civil society. Key words: metropolitan city volunteer center, limitation of autonomy, shrinking in function, operational budget

      • 노인여가복지시설 서비스 질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한진 광주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51711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여가복지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인과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생활만족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는 데 있다. 자료수집은 지역별, 노인여가복지시설별로 다단계 층화표집(stratified sampling)하여 면접조사로 이루어졌다. 연구대상은 서울․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250명 중, 응답이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198명이다. 자료분석은 PASW(Predictive Analytics Software) Statistics 18.0을 이용하여 이루어졌으며,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t-test, ANOVA분석,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자의 생활만족도와 서비스 질, 이용자 만족도를 5점을 기준으로 평가했을 때, 생활만족도 평균은 3.46(표준편차 0.702)으로 비교적 높은 만족도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또한 노인여가복지시설에서 제공받는 프로그램들의 서비스 질 평균은 3.69(표준편차 0.882)였으며, 이용자 만족도 평균은 3.89(표준편차 0.869)로 조사되었다. 생활만족도를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평균차이가 나타난 요인들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사회인구학적 특성 중에서는 배우자가 있는 대상자와 노인부부가구가, 주거상태가 자가인 대상자만이, 경제적 요인은 월 평균 수입과 수입원이 근로소득, 연금·재산소득인 대상자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생활만족도 평균 차이가 확인되었다. 건강요인은 (주관적) 건강상태와 신체기능(ADL, IADL)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평균 차이가 조사되었으며, 사회적 지지요인은 배우자, 자녀, 친척, 친구·이웃 모두 사회적 지지를 받는 대상자가 생활만족도 평균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질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생활만족도 평균차이가 드러났으며, 시설요인은 시설유형과 이용시간대, 참여프로그램 유형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평균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관관계분석결과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는 요인들은, 생활만족도와 이용자 만족도는 정적상관관계를, 경제적요인은 월평균 수입과, 수입원에서 정적 상관관계를, 건강요인은 (주관적)건강상태, 신체기능은 모두 정적 상관관계, 사회적지지 요인은 배우자, 자녀, 친척, 친구·이웃 모두 정적 상관관계, 서비스 질 역시 정적 상관관계, 시설요인은 시설유형과 이용시간대, 참여프로그램에서만 정적 상관관계가 드러났다. 위계적 회귀분석결과에 의하면, [모형 1]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 2]는 [모형 1]에 경제요인을 추가한 것으로써, 사회인구학적 특성 중에서는 배우자가, 경제요인 중에서는 월 평균 수입이 유의한 영향력을, [모형 3]은 [모형 2]에 건강요인을 추가한 것으로써, 사회인구학적 특성 중에서는 배우자가, 경제요인 중에서는 월 평균 수입, 건강요인에서는 신체기능이 유의한 영향력을, [모형 4]는 [모형 3]에 사회적 지지요인을 추가한 것으로써, 사회인구학적 특성 중에서는 배우자가, 경제요인 중에서는 월 평균 수입, 건강요인에서는 (주관적) 건강상태와 신체기능이 유의한 영향력을, [모형 5]는 [모형 4]에 서비스 질을 추가한 것으로써, 사회인구학적 특성 중에서는 배우자가, 경제요인 중에서는 월 평균 수입, 건강요인에서는 (주관적) 건강상태와 신체기능, 사회적 지지요인에서는 자녀의 사회적 지지가 유의한 영향력을, [모형 6]는 [모형 5]에 시설요인을 추가한 것으로써, 사회인구학적 특성 중에서는 배우자가, 경제요인 중에서는 월 평균 수입, 건강요인에서는 (주관적) 건강상태와 신체기능, 사회적 지지요인에서는 자녀의 사회적 지지가, 시설요인에서는 이용목적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결과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이론적인 요인들을 몇 가지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것을 토대로 연구의 실천적인 시사점과 한계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기존의 노인여가복지시설에서 제공되고 있는 프로그램들을 노년층의 사회인구학적 특성들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한, 즉 공급자 위주의 집합적인 프로그램들이 주를 이루고 있는데, 노인인구층의 성별, 연령, 교육수준 등을 고려되어져야 할 뿐만 아니라, 프로그램의 운영시기와 운영기간 등도 조절해서 단기 또는 장기 프로그램으로 보다 다양한 계층에게 맞춤형 참여프로그램이 제공되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경제적 요인과 관련해서는 노인여가복지시설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서 노인들의 경제적 능력여부에 따라 참여율이 저조해 지지 않도록, 무료 프로그램을 좀 더 확대하고, 수요자인 노인들의 특성과 욕구를 반영한 유료 프로그램도 개설해서 보다 많은 노인들이 제2의 인생설계를 보다 적극적으로 해 나갈 여가활용공간으로 이용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건강요인과 관련해서는 건강상태나 신체기능이 양호한 노인들의 참여율이 높으므로, 각 연령층에 맞는 노인 맞춤형 건강체조와 신체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시설, 설비와 운동처방 관리사 등의 지

      • 성 프란치스코의 초기사료에 나타난 사회복지실천 영성에 관한 연구 : 성 프란치스코의 傳記와 親書를 중심으로

        조명순 광주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1711

        Social welfare aims at the achievement of human happiness. To achieve the happiness of human-being numerous people and groups practice social welfare, and religious institutes and groups also work for social welfare at the religious level as well. In the history of Korea the residual social welfare practiced by the religious as charity during the most difficult time through the history of Korea undoubtedly established the basis of the current social welfare and contributed to its development. With time changing, social welfare ha made a lot of improvements and have been institutionalized in various fields. Accordingly it has tried to promote the realization of social welfare more systematically, that is, under more institutional devices, rather than as random charity. Regardless of some problems institutionalized social welfare has social welfare in the level of residual welfare is working quite well. And considering the challenges to be developed as the responsibility of those involved in institutionalized social welfare, the social welfare in the religious level is faced to assume the responsibility of realization of its own pursuing values. I think it's high time to concentrate on "how should we do?" rather than "What should we do?" Study of "how" ,however, has not been fully done and still remains as a challenge which is very confusing to find out its direction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spirituality of practice of social welfare to be pursued to Christians, especially Franciscans who want to practice social welfare based on the spirituality of St. Francis. I worked on this study with the zeal to meet and feel Saint Francis, dating back 800 years in the numerous wrings related with him, especially his own writings and his biographies written by official request from the church right before and after his death. Finally I've found out St. Francis' behaviors of practice of social welfare in those writings and presented them here. Francis was a man of poverty, or a man who lived poverty. The poverty he pursued has wider meaning, representing materialistic, mental, and spiritual poverty. The poverty of Francis is that of Jesus Christ. Though Jesus Christ was as high as the Father, he humbled himself, coming poorly in the human likeness, and lived the life of thorough poverty, living among the poor and becoming obedient to death on the cross. Francis followed and lived the life of Jesus Christ who was poverty itself. Francis voluntarily became a man of poverty by giving up all earthly things and departing his father. Later He saw all creation as well as humans in the image of God, and achieved spiritual poverty through self-denial and communal life with them. And finally he fulfilled ontological poverty by practicing self-emptiness and self-denial, wearing Christ, and living the life of gospel. Francis practiced (the Apostolic) of social welfare through living such a poverty, and it's his life itself which was inseparable from his life. I hope that my thesis can be an answer, "like this", to the question, "how?", the Franciscans have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 사회적 배제가 정신장애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최권태 광주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51711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배제가 정신장애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정신장애인이 인지하는 사회적 배제가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해 정신장애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을 향상하고 건강관리를 도모할 수 있도록 정신장애인들의 사회적 배제를 감소시키고 사회적 지지요인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문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더 나아가 사회복지 실천 전략과 정신건강 복지정책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편의표집에 의해 호남권의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17개소(474명), 정신재활시설 4개소(51명)로 총 21개소에 등록한 정신장애인 52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받았다. 이 중에서 19세 이하 응답자 및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 8부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517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 선정 시 정신의료기관에 입원 중인 정신장애인과 입소 및 요양시설 정신장애인은 포함하지 않았다. 이는 연구의 주요 변수인 사회적 배제의 경험을 지역사회 거주 중인 정신장애인들이 더 많이 경험할 것으로 판단하였고, 또한 조사대상자의 동질성을 확보하고자 지역사회 정신건강 기관을 이용하고 있는 지역사회 거주 정신장애인으로 조사대상자를 한정하였다. 본 조사에 앞서, 광주대학교 생명윤리심의위원회(IRB)에 연구계획에 대한 심의를 의뢰하였고 최종 승인을 받았다(202112-HR-013-03). 생명윤리심의위원회(IRB)의 승인이 완료된 후 2022년 7월 1일부터 2022년 9월 3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5.0과 Process macro 4.1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조절 효과 분석 방법은 bootstrap 5,000회 지정, 신뢰구간 95%로 설정하였다. 독립변인인 사회적 배제와 조절변인인 사회적 지지는 평균중심화(mean centering) 하였고, 유의성 영역은 Johnson-Neyman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사회적 지지가 정신장애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회적 지지요인 중에서 정신장애인들이 높게 지각하는 지지요인은 전문가 지지(ß=.656), 가족지지(ß=.629), 동료 지지(ß=.604)의 순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배제가 정신장애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를 검증한 결과, 독립변인인 사회적 배제는 종속변인인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β=-.002, <.05), 조절변인인 사회적 지지는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β=.006, <.05). 사회적 배제와 사회적 지지의 상호작용항은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쳐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β=.000, <.01). 즉 사회적 배제가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은 사회적 지지의 정도에 따라 달라짐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사회적 배제가 정신장애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사회적 배제가 정신장애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한계는 기관 등록 정신장애인으로 한정하여 조사연구가 진행되었으며, 기관 담당자와 사례관리자가 직접조사를 진행하여 발생할 수 있는 이차적 이득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한 것에 대한 한계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먼저 사회적 지지가 정신장애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배제와 건강 관련 삶의 질의 관계에서 조절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신장애인들이 높게 지각하는 전문가 지지를 높이기 위해서는 보호요인으로 작용하는 관리·감독기관인 보건소의 역할과 동료와의 관계 개선, 업무적 보람, 전문가로서의 성장 기회, 합리적인 근무 여건을 마련하기 위한 정책이 요구된다. 또한 가족과 동료의 긍정적인 지지를 확보하기 위해서 정신장애인 관점의 가족 지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당사자 중심 재활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정신장애인의 사회적 배제를 완화하고 건강을 통해 이들의 삶의 질이 얼마나 향상되는지, 또는 정신건강 및 신체건강 회복이 얼마나 이루어지는지 등에 대한 사회복지실천의 목표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조현병 환자가 비만일 경우 삶의 질에 있어 위험요인이며, 체중 관리를 적절하게 하였을 때 삶의 질은 상당히 개선된다는 연구 보고가 있다. 이처럼 정신장애인의 신체건강이 삶의 질이나 회복, 또는 다양한 차원의 정신사회재활에 있어 어떠한 영향이 미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면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정신사회 재활뿐 아니라 신체건강에 대한 관심과 신체건강 증진을 위한 사회복지적 개입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될 수 있을 것이다.

      • 사회복지담당 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김영진 광주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1711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stresses on depression were verified in public officials in charge of social welfare in Gwangju City. In particular, stress factors were 2 ones, which were job stresses and interpersonal stresses. Survey was done from April 8 to May 21, and targets are Public Officials of Social Welfare in charge of social welfare in Gwangju city. Finally, 333 questionnaires were used and data were analysed by SPSS 18.0 for Windows program.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Job stress level and interpersonal stress level were lower than normal in public officials in charge of social welfare. But looking over the sub-factors, job stresses from too much role and interpersonal stresses come from the relationship with clients were higher than normal. And 16.8% of the subjects have the depression which needs psychological treatment and multilateral assistance. Finally, both job stresses and interpersonal stresses have th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In particular, excessive role of job stresses and relationship with the client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These stresses may have bad effects on individual's emotional stability, physical health and organizational operations. Suggestions are as follows, which are for reducing depression of the social welfare officials. First, regular research on job stresses and how much work they have of the new officials is needed, and intensive care for reducing job stresses is needed. Particularly, it needs to help the new officials by reducing stress, which can be by welfare guardians(mentors) who are served as senior officials. Second, more supply of manpower is needed to control the excessive workload of social welfare officials. Both social welfare officials and administrative officials have the job stresses caused by excessive job role, especially the stresses of social welfare officials are more severe. And in order to improve the service quality, it needs to hire more social welfare officials. Third, social welfare officials have the trouble to meet the clients. Social welfare officials must always interact with clients. In particular, it needs to have the professional education programs which can reduce the stresses caused b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 clients in community centers. Fourth, it needs to improve the working conditions for reducing the depression of the social welfare officials. By professional counselor, it needs to run the emotional healing program, and to introduce the specials holidays as sabbatical year, and to have support systems as the psychological care and counselling. And also it needs to have the program periodically which can cope with depression.

      • 사회복지사의 조직공정성에 대한 인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윤영균 광주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1711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들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조직내의 조직공정성에 대한 인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사회복지조직 내에서 업무의 능력 및 조직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사회복지시설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 56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4.0을 이용하여 설문문항의 신뢰도 검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 T-Test, ANOVA, 상관관계와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사가 인식하고 있는 조직공정성을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으로 구분하여 5점 척도로 측정한 결과 사회복지사들의 상호작용공정성에 대한 인식이 3.22점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절차공정성 인식 정도가 3.17점, 분배공정은 2.59점으로 가장 낮았다. 이 세 가지의 평균값인 전체 조직공정성은 2.99점으로 보통(3.00점)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사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사회복지기관 특성에 따른 조직공정성 인식 정도를 분석한 결과 분배공정성은 성별, 절차공정성은 성별, 직위, 이직경험, 운영주체, 상호작용공정성은 현재 직위, 운영주체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복지사들의 이직의도를 4문항으로 구분하여 5점 척도로 측정한 결과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의 평균값은 3.69점, 표준편차는 1.142점으로 보통(3.00)보다 높게 나왔다. 이는 타 지역보다 이직의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넷째, 사회복지사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사회복지기관 특성에 따른 이직의도를 분석한 결과, 연령, 종교, 학력, 배우자 유무, 총재직기간, 직위에 따른 인식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이직의도에 영향력을 미치는 조직공정성의 영향력을 검증하기에 앞서 변수들 간의 단순상관 관계를 살펴본 결과 종교, 배우자 유무, 직위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 현 재직기간, 총 재직기간, 조직공정성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사회복지기관의 특성, 그리고 조직공정성의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위, 학력, 상호작용공정성, 절차공정성, 연령, 분배공정성이 이직의도를 설명하는 유의한 변수임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조직공정성의 개념과 이직의도를 사회복지조직에 투입시켜 조직공정성의 영향력을 밝힌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고 있다. 연구의 함의는 사회복지사들을 대상으로 조직공정성(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간접적인 영향이 검증 되었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고 조직성과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광주지역사회복지사의 이직 의도는 선행연구들과 비교하였을 때, 타 지역보다 매우 높게 나타나 지역 차원에서 이직의도를 낮출 수 있는 조직차원의 대응방안과 사회복지법인에 근무하고 있는 5년 미만의 사회복지사들에게 우선적으로 조직의 성과를 높이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공정한 인사제도 도입 시스템으로 조직 내 인사관리위원회의 투명성 확보와 능력에 비례한 공정한 분배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조직 내의 상호작용공성을 높이기 위하여 조직 내에서 이루어진 하의상달식 의사소통에 대한 전달체계의 조직문화가 필요하다. 상호공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조직구성원들이 상호간에 긍정적이고 지속적인 신뢰관계를 유지하고, 심리사회적인 태도를 유지하는 조직문화의 확립이 필요하다. 셋째, 사회복지기관 조직구성원들에게 공정한 인사고과를 통한 승진과 보상의 기회가 제공되어야 하고, 연령과 학력 및 지위에 따른 역량강화 체계가 이루어져야 하며,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업무분장을 중심으로 하는 인사시스템이 이루어져 조직구성원들이 희망과 애착을 갖는 조직이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넷째, 사회복지기관 조직은 인사관리 및 조직 관리를 위해서는 합리적이고 정확한 정보와 자료를 기반으로 이루어져야하고 결정 사항에 대하여는 조직구성원들 간에 충분한 공유와 참여의 기회가 보장되어야 한다. 또한, 슈퍼비전 관계에서 신뢰를 기반으로 전개할 경우 조직의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 커뮤니티케어에서 ICT 적용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서대석 광주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517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operational performance and limitations of the community integrated care leading project that has been promoted since 2019 in Seo-gu,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to integrate among the policy tasks to be reviewed for the stable promotion of community integrated care in the future mid- to long-term. The purpose is to comprehensively analyze how each ICT was used in care. In particular, it is hoped that previous studies have analyzed the performance and problems of individual ICT mechanisms used in community care. In this study, various ICT cases were comprehensively analyzed and future policy suggestions were made. In addition, the case of Gwangju Seo-gu was analyzed to present a desirable model in promoting community care projects independently for each metropolitan municipality after the leading project was completed. It also aims to suggest leg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s. The contents dealt with in this stud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literature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and necessity of community care for the elderly and the use of ICT to activate community care were examined. Second, the social welfare action tasks for vitalizing ICT-based community care were identified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s were suggested to support them. By examining the introduction process and performance of cases using ICT in the course of the community integrated care leading project in detail,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major basic data in seeking various ways to prevent care services from being left in a blind spot even in non-face-to-face situation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rough the community integrated care initiative, several conclusions were drawn regarding integrated care in Korea in the future. First, when ICT was used in community care, people in need of care could be status of people in need of care can be checked in real time, and a system that can provide timely services even in cases of emergency has been established. Second, the use of ICT in community care coul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ose in need of care. Through ICT, it is possible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those who need care to participate in education, leisure, and cultural activities, thereby increasing their life satisfaction. AI welfare workers and AI speakers have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relieving depression in the elderly. Third, the burden of care costs could be reduced by using ICT in community care. Through ICT, family and community volunteers can take care of people who need care, reducing the burden of care costs. In the field of welfare technology ahead of the entry into a super-aged society, the private sector is rapidly changing, led by telecommunications companies and the IT industry. However, the reality is that there is an absolute shortage of professional manpower in the public sector. Expectations for vitalizing community care using ICT are high due to various problems such as lack of budget and lack of manpower, but in reality, all environments are poor. The unprecedented situation of COVID-19,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arrival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ra have led to the joint efforts of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to revitalize community care that actively utilizes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such as ICT. role is important. Through this, it can be said that it is a great achievement to lead the development of various contents related to ICT-based “untact” social welfare service, where social demand is rapidly increasing. It could serve as a driving force for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related to care for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s or private companies. In the case of AI speakers, it is also important that they can recognize up to 95% of dialects based on LTE. In addition, in situations where non-face-to-face care services were inevitable, such as COVID-19, it was possible to minimize welfare blind spots by providing integrated care services using ICT. In the case of using ICT in care service, there is a positive aspect of reducing simple tasks so that you can focus on quality services. Nevertheless, the common opinion of users and care providers was that people-centered services were important. No matter how much ICT technology is developed to a level similar to that of humans, they hope to receive care services through face-to-face contact like traditional welfare services. To this end, the smooth expansion of insufficient welfare manpower or the necessary budgetary support should be supported. Keywords: Community Intergrated Care, Community Care, ICT, AI Social Worker, AI Speaker, Happiness Manager, Intergrated Case Management 본 논문에서는 노인 분야에서 커뮤니티케어 선도사업 추진배경과 성과를 분석하였다. 특히 광주광역시 서구에서 추진한 ICT를 기반으로 한 노인 분야 커뮤니티케어와 관련하여 문헌을 통한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코로나19와 같은 변화된 환경 속에서 노인케어를 지속하기 위해서 ICT를 활용한 사례를 살펴보고, ICT를 기반으로 한 커뮤니티케어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한국형 커뮤니티케어(지역사회 통합돌봄 선도사업) 노인 분야 선도사업에서 서구에서 활용한 몇가지 ICT 기제를 중심으로 서비스 효과를 탐색적으로 분석하고, 몇가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커뮤니티케어에서 ICT를 활용하면 돌봄이 필요한 사람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었다. ICT를 통해 돌봄이 필요한 사람들의 위치, 건강 상태, 활동 상황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긴급이 필요한 서비스의 경우에도 적시에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둘째, 커뮤니티케어에서 ICT를 활용하면 돌봄이 필요한 사람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ICT를 통해 돌봄이 필요한 사람들이 교육, 여가, 문화 활동 등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써 그들의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었다. AI 복지사나 AI 스피커는 노인 우울증 해소에도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커뮤니티케어에서 ICT를 활용하면 돌봄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었다. ICT를 통해 가족이나 지역사회의 자원봉사자들이 돌봄이 필요한 사람들을 돌볼 수 있어 돌봄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었다. 초고령 사회 진입을 앞두고 복지기술 분야에 있어서 민간 영역에서는 통신사와 IT 업계를 중심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다만 공공의 영역에서 전문 인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현실이다. 예산 부족, 인력 부족 등의 다양한 문제로 인해 ICT를 활용한 커뮤니티케어의 활성화에 대한 기대는 높지만, 현실적으로는 모든 환경이 열악한 실정이다. 코로나19의 전대미문의 상황과 정보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과 인공지능 시대의 도래 등 급격한 사회환경의 변화가 ICT와 같은 첨단 과학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커뮤니티케어의 활성화를 위해 공공과 민간의 공동의 역할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최근 사회적 요구가 급증하고 있는 ICT 기반의 “언택트” 사회복지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컨텐츠를 개발하는 것을 견인한 것도 큰 성과라 할 수 있다. 정부 연구기관이나 민간 기업의 돌봄 관련 IT 분야 기술 개발의 견인차 역할을 할 수 있었다. AI 스피커의 경우 LTE 기반으로 사투리를 95% 이상까지 인식할 수 있도록 한 것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아울러 코로나19 등 비대면으로 돌봄서비스를 제공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ICT를 활용한 통합돌봄서비스 제공을 통해 복지사각지대를 최소화 할 수 있었다. 돌봄서비스에서 ICT를 활용한 경우 단순한 업무를 경감시켜 양질의 서비스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용자들이나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람들의 공통된 의견은 사람 중심의 서비스가 중요하다고 보았다. 아무리 ICT 기술이 인간과 비슷할 정도로 발전된다 하더라도 전통적인 복지서비스처럼 대면 접촉을 통해서 돌봄서비스를 제공받기를 희망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부족한 복지인력의 원활한 확충이나 소요예산의 지원 등이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 사회복지사의 직무행동 특성이 사회복지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조직지원인식의 매개 및 조절효과

        윤일현 광주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51711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들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사가 지각하고 있는 사회복지시설 조직 내에서의 직무행동 특성변인과 사회복지 서비스 질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사회복지 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력과 조직직원인식이 매개 및 조절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사회복지사가 지각하고 있는 직무행동 특성을 조직특성, 직무특성, 조직유효성으로 구분하였다. 하위변인으로는 조직특성은 조직정치, 조직 냉소, 조직문화로 구분하였고, 직무특성은 직무내용, 신뢰, 직무스트레스로 구분하였으며, 조직유효성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으로 구분하였다. 사회복지서비스 질은 유형성, 신뢰성, 반응성, 확신성, 공감성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사회복지사업법에 의하여 사회복지시설에 근무하고 있는 전국 16개 시도 1,598명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자기기입방식에 의한 응답 자료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가설의 주된 검증은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사의 직무행동 특성의 선행요인과 관련된 측정변수들이 각 변수의 구성개념을 잘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본 연구 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모형의 채택가능성을 충분히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사가 지각하고 있는 조직특성은 사회복지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조직정치는 부(-)적 영향, 조직냉소는 부(-)적 영향, 조직 내향성 문화는 정(+)적 영향, 조직 외형성 문화는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사회복지사가 지각하고 있는 직무특성은 사회복지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직무내용은 정(+)적 영향, 신뢰는 정(+)적 영향, 직무스트레스는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사회복지사가 지각하고 있는 조직유효성은 사회복지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직무만족은 정(+)적 영향, 조직몰입은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사회복지사가 지각하고 있는 조직지원인식은 사회복지서비스 질에 매개효과가 있었다. 사회복지사가 지각하고 있는 조직특성, 직무특성, 조직유효성이 사회복지서비스 질 간에 조직지원인식이 매개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다섯째, 사회복지사가 지각하고 있는 조직지원인식은 사회복지서비스 질에 조절효과가 있었다. 사회복지사가 지각하고 있는 조직특성, 직무특성, 조직유효성이 사회복지서비스 질 간에 조직지원인식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가 있다. 첫째, 그 동안 사회복지사의 사회복지서비스 질에 관한 영향요인에 관련된 전반적인 연구는 미흡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직특성, 직무특성, 조직유효성으로 구분하여 주요 변수들을 포괄하는 모형을 제시하여 사회복지사의 직무행동 특성이 사회복지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포괄적 모형을 제시하는 의의를 가진다. 또한, 본 연구는 사회복지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경로를 확인하므로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의 경로에 있어 실증적인 틀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본 연구의 의의를 들 수 있다. 둘째, 사회복지사의 조직특성을 조직정치, 조직냉소, 조직 내향성 문화, 조직 외향성 문화로 구분하여 사회복지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직특성의 실증 분석을 통해 사회복지서비스 질에 대한 영향요인을 찾기 위한 모형모델을 개발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셋째, 사회복지사의 직무특성을 직무내용, 신뢰, 직무스트레스로 구분 하여 사회복지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직무특성의 실증분석을 통해 사회복지서비스 질에 대한 영향요인을 찾기 위한 모형모델을 개발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넷째, 사회복지사의 조직유효성을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으로 구분하여 사회복지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직유효성의 실증분석을 통해 사회복지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직유효성의 실증분석을 통해 사회복지서비스 질에 대한 영향요인을 찾기 위한 모형모델을 개발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다섯째, 본 연구는 조직직원인식이 사회복지사의 직무행동 특성과 사회복지서비스 질 사이에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하고 있다는 이론적 틀을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