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회적 기업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강릉시 사회복지종사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김강식 관동대학교 경영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2719

        1. 국문초록 고용 없는 성장은 구조적 실업을 유발 하면서, 97년 외환위기 이후의 상시 구조조정으로 더욱 심화 되었다. 노동시장 유연화로 인하여 노동시장은 더욱 양극화가 되었고, 근로자간의 현저한 인금 격차로 중간계층의 감소와 하위계층의 증가가 일어나게 되면서, 교육비의 계층 간 격차는 더욱 양극화를 초래하는 대물림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자본주의의 부작용은 지역사회에도 영향을 끼쳐 지역사회 공동체를 와해시키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해결로 유럽의 모든 도시들은 사회적 기업을 유력한 대안으로 보고, 사회복지, 육아, 보건의료, 노인보호, 환경등 사회적 성격이 강한 영역에서 자립적 고용기반을 구축하는 사회적 기업들을 육성하고 있다. 이에 이론연구를 통하여 사회적 기업에 대한 진행과정과 개념 및 역할과 한계에 대하여 살펴보고, 사회적 기업의 주체의 중요성에 대하여 연구한 후 지역기반형사회적 기업에 대하여 그 중요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지역 밀착형 기업과 지역소재 대기업의 원자재 조달 및 생산물의 판매처 비교를 통한 연구에서 대기업 보다는 지역밀착형 기업이 훨씬 지역순환경제 실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분석하였다. 한겨레경제연구소와 지역재단의 2010년 연구를 통하여, 최근 강조되고 있는 것은 커뮤니티 비즈니스, 사회적 기업으로, 지역순환경제의 고리를 확보할 수 있는 지역밀착형비즈니스를 활성화하고 이들 상호 간의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대책이 필요한 것을 도출하였고, 이러한 비즈니스는 제조업에 국한된 것이 아니고 지역의 문화나 사회복지 등 다양한 분야를 포괄할 수 있는 것으로 지역 내의 다양한 경제주체가 활성화할 수 있도록 지역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분석하였다. 지역 내에 이처럼 다양한 경제주체가 활성화할 수 있도록 지역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이를 위해서는 농산어촌으로 귀농·귀촌하는 새로운 인재, 토착주민과 지자체가 참여하는 거버넌스의 구축을 통해 지역의 인적 자원을 발굴·육성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도출하였다. 지역의 욕구와 얼마나 밀착되어 있는지의 정도와 자생력을 확보하는 것이 지역기반 형 기업의 지속가능여부도 좌지우지 할 수 있음을 분석하였다. 또 지역에서 외부 자본의 수탈에 수탈당하는 구조가 아니라 지역 내부 선순환 구조를 형성 할 수 있는 시민 합의가 최우선 필요한 것으로 고속도로를 확장하고, 공단 만들어 면세 혜택주면서 기업 유치하는 방향이 아닌 모든 기반 시설에 전제 되는 것은 지역의 욕구에 대한 문제 제기와 진행방향을 모색 할 수 있는 지역에 기반을 둔 네트워크와 시민 함의로 지역경제의 시스템이 먼저 갖춰줄 필요가 분석되었다. 지역경제의 활성화는 규모의 경제가 아니라 지역의 가치와 합의의 경제인 것이다. 설문의 빈도 분석 결과 강릉 지역 사회복지 종사자들의 사회적 기업에 대하여 어느 정도 인식하고 있으나 그 깊이 정도가 깊지 못한 것은 지방정부의 사회적 기업에 대한 추진정도가 미약하고, 지역 시민사회에 대한 홍보정도가 약하여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인식은 어느 정도 있으나 현재 사회적 기업이 지역에 기여하는 바는 자활 기관 외 타 복지기관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 들은 사회적 기업에 대하여 크게 인식하지 못하고 있어 지역복지 네트워크상의 문제에 대하여 추후 연구에서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느낀다. 즉 강릉지역에 기반을 둔 사회적 기업은 시민의 호응도 및 인식도가 낮아 판매경로에 대한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아 지속적 경영의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인증 받은 사회적 기업도 자체적 구조로 영업활동에 매진하기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지역사회 리더와 아울러 지역사회복지에 종사하고 지역의 욕구를 파악하고 있는 복지전문가의 지역복지 확대를 위한 방안으로서 사회적 기업에 대한 교육 및 전문가 육성이 필요 하다. ※ 주요어 : 사회적 경제, 사회적 자본, 제3섹터, 사회적 기업, 사회적 기업가, 지역 사회복지, 지역 사회복지실천, 지역공동체, 주체

      • 구강보건 행정체계에 관한 연구

        권명화 관동대학교 경영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2719

        구강보건 행정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ral Health Administration System 권 명 화 관동대학교 경영행정 사회복지대학원 행정학과 (지도교수 유 삼 열)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우리나라는 IMF이후 빈부격차로 인해 경제적인 불평등이 심화되면서 건강과 영양상태의 불균형이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었고, 특히 식생활 습관의 변화로 구강건강 수준은 악화되었고, 정부는 구강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목표로 구강질환을 예방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구강보건교육과 예방사업을 제도화 하였으며 구강보건법을 제정하였다. 그러나 구강보건행정 조직은 타 조직에 비해 매우 미비한 수준이었으며, 구강보건행정 조직은 1997년에 보건복지부내 보건국에 구강보건과가 설치되었으나 구강보건행정 조직은 활성화 되지 못하고 최소한의 기반 조성만 갖춘 상태에서 타 부서에 통 폐합되었다. 고위 관리직은 보건복지부 조직상에서 구강보건 문제를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고 구강보건 문제와 관련 된 조직을 축소 또는 폐지하였으며, 타 업무와 병행하여 구강보건행정 업무와 정책을 결정하게 하였다. 그러다보니 구강보건의 중요성을 부각시킬 행정부서 및 구강전문 인력이 전무하여 구강보건사업을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추진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구강보건정책 및 지역사회 구강보건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구강전문 인력 및 학계의 전문가들이 중앙정부에 구강보건의 중요성을 부각시킬 필요가 있으며 정책 및 사업을 개발하여 활성화 하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구강보건행정에 있어 통합적인 관점을 체계적으로 평가하여 구강보건행정 조직과 부족한 구강전문 인력을 구축하고, 구강보건사업을 발전시키며 개선방안을 마련하고, 지역사회 구강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 기초 자료로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운영체계에서 문제점을 분석하고 구강건강증진의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마련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Ⅱ. 연구의 범위 및 방법 본 연구의 범위는 구강질환에 가장 취약하면서 예방효과가 높은 아동 중심의 구강보건정책 사업을 중심으로 분석 조사하였으며 이론적 고찰 및 참여관찰로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분석요인은 구강보건 행정조직구성, 정책수행의 인프라구축, 구강보건 예산확대, 사업별 프로그램 운영을 중심으로 분석틀을 설계하였으며 구강보건정책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파악하여 효율적으로 운영하는데 논의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문헌고찰 및 참여관찰을 사용하였으며 구강보건정책 및 사업개발과 사업운영의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기존 정책을 중심으로 조사 분석하고 사업의 효율성을 위해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 국민건강영양조사, 통계청 등 현황자료를 분석하고, 문헌자료를 통해 조직, 예산, 과정, 대상을 조사 분석 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참여관찰로 조사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행정조직 ① 조직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구강보건사업을 전담하는 보건복지부는 부서 축소 및 폐지 등으로 사업운영이 원활하지 못했으며 중앙부서에서 구강보건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는 것이 문제였으며, 따라서 우리나라도 외국의 사례를 검토하여 축소 및 폐지보다 구강보건전담부서에 인력을 보강하고 행정적인 뒷받침이 이루어진다면 구강보건정책도 활성화 될 것이며, 외국 사례처럼 보건복지부와 시·도에 치과의사 및 치과위생사를 중심으로 인력 배치하여 구강보건 전담부서를 설치함으로 국민의 구강건강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되며, 구강보건 정책의 개발로 인해 구강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개선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② 시설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구강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아동 스스로 칫솔질을 할 수 있도록 빈 교실을 활용하여 설치하고 있으나, 교육기관의 협조 미흡으로 인하여 의견 대립이 발생할 수가 있다. 또한 설치로 인한 예산 부족으로 공사에 문제를 초래할 수 있어 아동 스스로 칫솔질을 유도한다는 정책방안에 한계를 느끼게 된다. 따라서 구강예방사업의 첫 번째 조건으로 칫솔질을 할 수 있는 양치시설을 설치하는 것으로 아동들의 구강건강을 향상시키고 치아우식유병율도 감소할 수 있어 매우 중요한 정책 사업이며, 예산확보를 통하여 연차적으로 시설 확대가 필요하며, 시설비 부족으로 인해 설치를 기피하는 보건소에 예산을 더 확보하고 편성하여 사업이 원활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③ 인력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구강보건실 인력으로 치과의사와 치과위생사로 구성되어 있지만 , 2006년 치과 대학이 치의학 전문대학원으로 전환되면서 군복무 대신 이루어지던 공중보건치과의가 감소되면서 전문인력 부족현상이 나타났고, 공중보건치과의사 대비 치과위생사 배율이 높아 타 사업 업무를 수행하는 사례가 있으므로, 구강전문인력의 조직배치에 문제점 있다고 본다. 따라서 구강보건사업의 활성화를 위해 구강보건 전문인력을 구강업무를 수행하도록 조직배치를 하고 부족한 인력은 기간제를 무기 계약직으로 전환하여

      • 노인보건정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장분성 관동대학교 경영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2719

        노인보건정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aged health policy 장 분 성 관동대학교 경영행정 사회복지대학원 행정학과 (지도교수 박 근 후)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노인인구 증가는 선진국에서 나타나는 보편적 현상과는 다르게 우리나라가 유례없이 빠른 고령화를 보이고 있는 것은 저 출산율 때문이다. 이렇게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증가세가 앞으로 계속된다면 오는 2026년이면 노인인구 비율이 20.8%로 도달하여 초 고령사회가 될 전망이며, 현 추세가 지속된다면 2050년에는 노인인구 비율은 40%에 육박하여 노인인구비율이 세계 최고령 국가로 될 확률이 더 높을 것으로 본다. 또한 21세기가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한 고령화 사회로, 노인들의 만성퇴행성질환 및 장애가 가장 중요한 사회 문제로 부각되면서, 노인보건정책의 중요성이 더 한층 집중관심과 노력이 총체적으로 이루어져야함을 시사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 그에 따른 노인의료비 지원 문제 해결을 위해 국가차원에서의 노인보건정책 방향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급증가하는 노인인구에 대하여 이론적 근거로 노인의 건강 문제로 발생되는 건강수명 저하, 의료비증가, 만성질환의 증가에 따른 기존지침을 참고로 하고, 외국사례, 우리나라의 선행연구 등에 대한 검토로 노인보건 정책수행을 위한 관련법을 조사하고 재정비 안을 가지고 제도와 조직의 전달체계에 대한 방향을 제시 하고자 하며, 기존정책을 수행하면서 생긴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밝히고, 대안을 찾아 더 한층 좋은 노인보건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둔다.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 연구의 범위 본 연구의 범위는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초기의 2001년부터 지금까지의 기존정책 수행 지침을 근거로 하고, 학자의 이론적 근거를 토대로 하고, 선행연구의 검토와 외국의 사례를 참고로 하여 노인보건정책의 법, 제도, 조직의 전달체계가 어떻게 변화되었고, 어떻게 변화 되어야하는지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연구의 범위로 설정하고자 한다. 2) 연구의 방법 본 연구는 문헌자료를 통한 연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노인보건정책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학문적 이론, 학자(Nagi)의 이론적 근거를 토대로 하고, 기존 정책을 중심으로 조사하여 분석하고 외국 사례와 우리나라 선행연구 자료를 참고로 하여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는 질적 사례연구이다. (1) 기초자료조사 학문적 고찰, 학자Nagi 등의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조사, 선행 연구자의 보고서 내용 조사(선우덕 외(2005),고령화 사회에서의 노인보건의료체계 구축방안, 선우덕(2006),노인보건사업의 정책방안, 선우덕·김세진·모선희(2012),선진국의 고령사회정책: 유럽국가의 활기찬 노후정책을 중심으로, 김남순 외(2012), 근거중심 보건의료정책에 대한 정책분석 과 개선방안.), 노인보건정책에 관련된 법령 및 제도를 조사, 노인보건사업과 관련한 정부기관 및 문헌자료를 통해 조사(제3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저 출산 및 고령사회기본법, 2001년~2011년 보건복지백서, 노인실태조사, 보건복지포럼, 연구보고서, 통계청 자료 등을 활용), 노인보건정책을 담당하고 있는 조직구성 및 전달체계를 조사 (2) 참여관찰조사: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로의 관련법, 정책, 조직의 전달체계가 연계성 있게 이루어진다면 포괄적인 노인보건서비스가 제공될 것으로 볼 수 있어 기존정책 수행과정에 발생된 문제점을 통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3. 연구 결과 지금까지 노인건강증진정책을 법규, 제도, 사업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효율적 운영방안을 제시 하였다. 그 결과 현재 추진되고 있는 보건과 복지의 정책이 상호보완적이면서 유동적인 연계성을 가지고 건강유지증진과 병후치료가능집단에 대한 법적근거로 활용 할 가치가 있다고 본다. 연구결과 장애발생과정 연구에서 Nagi등의 건강한 집단, 신체적 자립집단, 허약 집단, 장애 집단 등 4단계의 분류는 한국의 실정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왜냐하면, 허약노인의 경우는 관리만 잘 이루어지면 건강한 노인으로 갈 확률이 더 높기 때문이다. 허약노인의 경우는 현재 상태의 유지로 건강증진을 도울 수 있는 기회제공을 더 많이 하도록 한다면 건강한 노인 집단으로 갈 가능이 매우 높으므로, 건강한 노인과 허약노인, 만성질환을 가진 경증장애노인, 말기환자로 중증장애노인 등 3단계로 분류 할 필요가 있다. 향후 초 고령사회 로 급속히 진입하는 한국사회의 현실에서 노인의 건강형평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인보건정책을 효율적으로 시행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는 연구가 활성화되기를 기대 한다.

      • 대학생의 스마트폰 활용목적이 사회 및 심리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

        권순만 관동대학교 경영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2719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활용목적이 사회 및 심리적 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54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스마트폰 활용목적에 따라 사회적 관계가 다르게 나타났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스마트폰 활용목적 세 가지 유형 중에서 ‘오락 휴식’ 목적으로 활용할 경우에만 생활의 편리성, 대인관계에 대한 인식은 높게 나왔으나, 사회적 위축에 대한 인식은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스마트폰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서 사회적 관계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오락휴식’을 목적으로 활용할 경우 사회적 관계의 생활의 편리성과 대인관계 두 변인의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적 위축 변인은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스마트폰 활용목적에 따라 심리적 관계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스마트폰 활용목적 세 가지 유형 중에서 ‘오락휴식’ 목적으로 활용할 경우 습관적, 불안초조가 높았으며, ‘태도행동결정’ 목적으로 활용할 경우 건강악화가 높았고, ‘이해인지’와 ‘태도행동결정’ 목적으로 활용할 경우 소외감이 높았다는 결과를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오락휴식’을 목적으로 활용할 경우 습관적, 불안초조 두 변인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태도행동결정’을 목적으로 활용할 경우 건강악화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해인지’와 ‘태도행동결정’이 소외감 변인과 정적 상관관계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대학생의 사회적 관계와 심리적 관계의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성인기에 접어든 대학생들은 특히, 사회적 관계와 심리적 관계가 중요하고 자기관리가 필요할 때이다. 현재 스마트폰은 대학생의 생활필수품이고 다양한 기능 속에서 올바른 활용하는 능력을 키워야할 것이며,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의 다양한 기능의 활용을 통해 올바른 사용 및 사회‧심리적 관계에 대한 기초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 가톨릭 신자의 영성과 사회복지의식과의 관계 : 원주교구 영동지구를 중심으로

        송미원 관동대학교 경영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2719

        본 연구는 소도시의 가톨릭 신자를 대상으로 영성이 사회복지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교회 사회복지를 실천해야 하는 당위성과 영성적 실천에 대한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가톨릭 원주교구 영동지구 5개 본당 신자 중 289명을 표본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론적 근거로서 영성의 개념 및 속성과 가톨릭 사회복지에 관하여 성경과 교회문헌을 통해 고찰하였다. 분석방법은 분산분석(ANOVA)과 T검증을 통해 가톨릭 신자의 영성과 사회복지의식의 정도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으로 영성이 사회복지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통하여 영성과 사회복지의식 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톨릭 신자의 영성의 정도를 보면, 영성과 연령은 의미가 있었으며 그 중 50대 여성이 높았다. 직업별 영성의 정도는 학생들이 가장 낮았으며, 생활정도와 영성 간에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당 내에서 단체 활동을 하고 있는 신자들의 영성 측정 지표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가톨릭 신자의 사회복지에 대한 의식의 정도는 40대~50대의 전업주부가 높았으며, 조사대상자의 일반사항과 사회복지의식 간에는 대체적으로 의미가 없었다. 종교적 특성과 사회복지의식 간에는 의미가 있었는데, 본당 내 단체 활동을 하는 등 신앙생활이 왕성할수록 사회복지의식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가톨릭 신자의 영성이 사회복지의식에 미치는 영향은 서로 간 유의한 영향이 있었으며, 영성의 수직차원에 비하여 수평차원이 사회복지의식에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즉, 수평적 차원은 삶에 대한 만족감과 삶의 의미와 목적에 관계되는 실존적 의미로서 자신, 이웃,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반영한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가톨릭 신자의 영성의 정도에 따라 사회복지의식의 정도에 차이가 있었다. 가톨릭 신자의 영성과 사회복지의식과의 두 변수의 관계에서 영성이 높아질수록 사회복지의식도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결론부분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근거로 교회 사회복지가 그리스도적 영성 실천이 되기 위하여 세 가지를 제언하였다. 첫째, 평신도의 영성 교육을 위한 체계적 교육 및 프로그램 운영과 개발이다. 둘째, 가톨릭 사회복지의 지침인 사회교리 교육을 전 신자 대상으로 본당차원에서 실시한다. 셋째, 본당 사회복지 활동을 위한 내부 및 외부 조직 체계 구축 및 전달체계의 정비가 필요하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를 통해 본당 사회복지 실천에 있어서 영성의 중요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앞으로의 연구는 평신도 영성의 차원을 고려한 전인적 관점의 영성측정도구 및 교육 개발의 적극적인 연구로써 모든 평신도들이 좀 더 성숙된 영성적 실천인 본당 사회복지 활동을 할 수 있도록 기대해본다.

      • 지역아동센터종사자의 직무만족에 대한 심층면접조사 - 강릉지역을 중심으로 -

        김안나 관동대학교 경영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2703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종사자의 직무만족에 대하여 심층면접으로 알아보고 종사자가 생각하는 지역아동센터의 바람직한 역할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강릉지역 내 있는 20개 지역아동센터 중 7개 지역아동센터를 선정하여 2010년 09월 28일부터 10월 31일까지 센터에 방문하여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지역아동센터 종사자가 느끼는 직무만족 수준은 어떠한가? 두 번째 직무환경 및 문제점과 개선방안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세 번째 종사자가 생각하는 지역아동센터의 바람직한 역할은 무엇인가?

      • 노인요양시설 이용욕구 및 선호에 관한 연구 : 강릉지역 중심으로

        이미애 관동대학교 경영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2703

        인구의 고령화와 함께 등장한 사회문제중의 하나가 장기요양 및 보호가 필요한 노인의 증가이다. 하지만 산업화 및 핵가족화 등으로 가족보호기능의 약화로 노인부양문제는 사회문제로 인식하여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실시되었다. 2008년 7월1일부터 시행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는 노인요양시설의 운영전반에 매우 큰 변화를 가져왔다. 가장 큰 변화는 시설이용대상자와 시설운영 재정조달방식의 변화로 생각되어진다. 과거 노인요양시설은 선택적복지로 기초생활수급자나 저소득층에게만 서비스를 제공하였으나 이제는 보편적인 복지로 장기요양등급을 받은 사람은 누구나 이용할 수 있게 되었고, 재원조달방식도 과거 국고보조금지급에서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수가청구와 이용자 자부담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변화되어 노인요양시설이 다수의 고객유치가 중요한 과제가 되어 서비스 이용자들의 욕구와 선호도 분석과 파악이 중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요양시설을 찾을 때 어떠한 욕구와 선호도를 가지는지를 분석하여 시설운영주체들에게 수요자가 선호하는 시설의 공급방향에 대한 정보제공을 하여 노인문제를 해결하는 기초자료제공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설문지를 통한 대면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조사대상자는 강원도 강릉시에 거주하는 40대 이상 ~ 70대 미만의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2010년10월초 250부를 배포하여 회수된 227부 중 불성실한 응답을 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최종 215부를 기초자료로 “SPSS18”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요양시설이 어떠한 사람들이 이용하는 곳 인지를 알아보았는데 치매인 경우 45%, 보행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 33.9%로 시설이용인식은 비교적 올바르게 인식을 하고 있었다. 노인요양시설에 대한 관심도는 74%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노인요양시설의 직 ․ 간접 이용경험은 무려 70%정도였고 경험자의 이용만족도는 86%이상이 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노인요양시설의 이용욕구에서는 꼭 이용함 20.9%, 거의 이용할 것임 46.4%, 50%정도 이용 가능함이 28.6%로 90%이상의 매우 높은 이용욕구를 가지고 있고 이용사유에서는 전문적인 요양을 위해서 54.1%, 가족에게 부담을 주기 싫어서가 43.9%로 나타났다. 노인요양시설 불이용 사유에서는 자식의 체면과 경제적인 부담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요양시설의 선호도에서 먼저 위치와 접근성의 선호부터 살펴보면 1시간이내의 방문이 용이한 경치․공기가 좋은 지역과 고향 등 친숙한곳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은 운영주체 및 운영자 선호에서는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선호가 59.7% 사회복지법인 32.1%선호되었고 운영자는 사회복지사76% 의료인 12.8%순으로 나타났다. 시설규모 선호는 입소정원으로 구분 지어 조사하였는데 30인 이상 100인 미만 선호가 53.1%, 30인 미만 36.7%, 10명 미만이 9.2% 순으로 나타났다. 시설선택 시 고려하는 사항으로 시설이용비용, 시설이용 접근성, 요양시설의 규모, 설치운영기관의 공신력, 여가 및 프로그램의 다양성, 의료 ․ 재활서비스수준, 내부 환경과 분위기, 주변경관, 종교생활관 항목 5점의 리커드척도로 조사해보았는데 모든 항목에서 평균이상으로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의료재활서비스 수준, 설치운영기관의 공신력, 내부 환경과 분위기를 가장 고려정도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서비스 선호에서 일상생활서비스, 건강증진서비스, 간호서비스, 종사자관련선호로 조사하였는데 일상생활서비스 항목에서는 대소변 및 목욕수발을 가장 선호하였고, 건강증진서비스에서는 영양관리와 재활운동을 선호하였고, 간호서비스에서는 응급간호와 투약주사관리를 선호하였고, 종사자와 관련되어서는 전문성보다는 친절성을 가장 선호하였다. 제1장 서 론

      • 치매노인의 인지재활서비스 이용의사에 영형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연구

        김솔잎 가톨릭관동대학교 경영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2703

        국문초록 치매노인의 인지재활서비스 이용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치매노인의 인지재활서비스 이용의사에 미치는 요인을 앤더슨의행동모형에 근거하여 소인요인(개인특성, 가족관계 특성), 가능성요인(경제적 특성, 사회 및 제도특성), 욕구요인(건강특성, 치매실태)을 구분하여 서비스참여를 촉진하는 요인과 방해하는 요인 등을 구체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치매환자 및 주보호자의 욕구에 부합되는 실효성 높은 서비스 제공과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강원지역에 위치한 치매관련 공공기관 및 치매관련 서비스제공 기관의 치매진단을 받은 치매노인 200명을 선정하여 대면조사 하였으며, 최종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치매노인의 인지재활서비스 이용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의 네 가지를 제시하였다. (1) 치매노인의 인지재활서비스 이용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소인요인(개인특성, 가족관계 특성)은 무엇인가? (2) 치매노인의 인지재활서비스 이용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가능성요인(경제적 특성, 사회 및 제도특성)은 무엇인가? (3) 치매노인의 인지재활서비스 이용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욕구요인(일반적 건강특성, 치매실태)은 무엇인가? (4) 치매노인의 인지재활서비스 이용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소인요인, 가능성요인, 욕구용인 중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기초한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가능성요인이 가장 설명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가능성 요인이 인지재활서비스 이용의사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2) 인지재활서비스 이용의사의 영향을 주는 변수로는 가능성 요인으로는 가족의 지지도, 인지재활서비스 필요인식 정도가 영향을 미치며, 욕구요인으로는 건강특성의 정도가 높을수록, 치매의 정도가 높을수록, 기초법수급에 해당 될수록 유의미 한 변수로 작용 되는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소인요인은 유의미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나 이용의사에 영향을 미치지 못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가 가지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1) 치매질환 및 건강관리를 위한 질병관리교육과 인지재활병행관리의 필요성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2) 치매환자와 가족관계에 대한 지지도를 높이기 위한 적극적인 가족복지 사업을 실시하여야 한다. (3) 사회보호서비스의 구축강화와 표준화시스템이 필요하다. Abstract A study on the causes which have impact on the recognition rehabilitation service use inten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Kim, sol-ip Graduate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 Social Welfare, Catholic Kwan-Dong University Academic advised by professor Ph.D, Lee, Dong-You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eeking a plan, which can vitalize and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service provision that meets with the desire of dementia patients and their major guardians by verifying the causes, which promote or interfere with the service participation by classifying the causes that have impact on the recognition rehabilitation service use inten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into; predisposition causes (individual characteristic, family relation characteristic), possibility causes (economic characteristic, social and system characteristic) and desire causes (health characteristic, dementia characteristic). 200 senior persons who were diagnosed as having dementia at the public agencies and service provision agencies related to dementia located in Gangwon-do area were chosen as the study subjects and data were drawn from them by face-to-face interview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on the data to learn the causes that have impact on the recognition rehabilitation service use inten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The tasks of this study are following four. (1) What are the predisposition causes (individual characteristic, family relation characteristic), which have impact on the recognition rehabilitation service use inten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2) What are the possibility causes (economic characteristic, social and system characteristic), which have impact on the recognition rehabilitation service use inten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3) What are the desire causes (health characteristic, dementia characteristic), which have impact on the recognition rehabilitation service use inten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4) Among the predisposition causes, possibility causes and desire causes, which one has the biggest impact on the recognition rehabilitation service use inten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The major conclusion of this study based on the study tasks is as following. (1) Possibility causes had the biggest explanation power; therefore, it was possible to know that possibility causes are the most important causes in explaining the recognition rehabilitation service use intention. (2) The variables that have impact on the recognition rehabilitation service use intention are as following. Regarding possibility causes, the support of family and awareness extent on the necessity of recognition rehabilitation service have impact on the recognition rehabilitation service use intention. Regarding desire causes, when the extent of health characteristic is higher, when the intensity of dementia is worse or when the person is a recipient of National Basic Livelihood Act allowance, these variables were more significant. Meanwhile, predisposition causes were not significant;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ose do not have impact on the recognition rehabilitation service use inten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result are as following. (1) Education on the necessity of parallel management of recognition rehabilitation and disease management on dementia and health care should be enforced. (2) Active family welfare projects should be enforced to reinforce the relation between a dementia patient and the support of the patient’s family. (3) Reinforcement of social protection service and standardized system are necessary.

      • 강원지역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운영실태와 활성화 방안

        안영임 관동대학교 경영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2703

        국문초록 강원지역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운영실태와 활성화 방안 관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 전공 안 영 임 본 연구는 강원도 지역에 있는 장애인작업활동시설, 장애인보호작업시설, 장애인근로작업시설 등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운영실태를 파악하고, 이들 장애인직업재활시설들이 지니고 있는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강원도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강원도 지역의 중증장애인의 직업재활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연구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강원도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중 작업활동시설, 보호작업시설, 근로작업시설의 운영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강원도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운영과 관련해 나타나고 있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셋째, 강원도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조사 대상에는 장애인직업재활시설로 신고 되고 보건복지부의 시설 운영비를 지원받아 운영 중인 강원도 지역의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이 중 생산품 판매시설은 장애인들에게 직업재활서비스를 주는 기능이 없어 연구대상에서 제외시켰으며, 장애인직업훈련시설은 강원도 지역에 신고 된 시설이 없어 연구대상에서 제외시킨다. 따라서 본 연구 대상은 장애인작업활동시설, 장애인보호작업시설, 장애인근로작업시설 3개 유형 시설을 모집단으로 하여 장애인작업활동시설 7개소, 장애인보호작업시설 18개소, 장애인근로작업시설 2개소 중 운영이 활성화된 17개소를 조사를 한다. 설문지 응답자는 각 기관에서 직업재활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전문인력을 대상(시설장 포함)으로 한다. 본 연구의 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강원도 지역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은 지적장애와 지체장애 근로자 중심으로 운영되어 다른 유형의 장애를 가진 근로자들의 취업을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은 모든 장애인들이 직업을 가지고 사회 구성으로서 역할을 다하기 위하여 노력해야 하며 장애인의 안정적인 취업과 유지를 통해 사회통합을 이룰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여야 한다. 따라서 정부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직업재활시설 외에 다양한 장애유형 또는 직업재활시설에서 소외된 장애유형에 특화된 시설의 설립과 운영을 지원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전문인력의 배치가 비현실적이며, 처우 개선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 직업상담, 직업훈련, 취업후적응지도 등 양질의 직업재활서비스 제공을 통해 시설의 효율적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현재 15명당 1명의 전문인력을 배정하는 조항에서 5~7명당 1명이 배정될 수 있도록 개정해야 하고,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과는 다르게 마케팅 분야까지 업무를 감당하기 위해서는 전담인력이 추가 배치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강원도 지역 또는 각 시군구 특성에 맞는 제품개발 및 생산이 필요하다. 현재 식품류(감자떡, 차) 생산품에서 지역토속음식을 생산하는 업체도 있었지만 대다수 시설이 지역의 특성과는 무관한 물품을 생산하고 있다. 강원도는 다른 지역에 비해 맑고 청정한 자연환경을 바탕으로 다양한 관광도시가 발전하였으며 산과 바다가 공존하는 우리나라 최대의 관광지역이다. 지역의 관광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제품을 개발하여 생산한다면 지역관광문화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는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하여 적은 비용으로 최대의 판매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조사 결과에 따른 강원도 지역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활성화방안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근로장애인의 고령화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고 국가나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젊은 층의 참여가 가능하도록 고용장려를 위한 인적, 물적, 기술적으로 각종 지원혜택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둘째, 직업재활시설이 강원도 지역 및 시군구의 특성에 맞는 경제성이 확보된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전화될 수 있도록 제품개발의 모델을 제공하고 시설과 장비의 교체를 지원하여 생산품의 품질이 타사의 동일 제품보다 질적으로나 가격 경쟁력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현재 강원도 지역 내 2차산업 생산의 틀에서 벗어나 현대 과학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미래최첨단 기술산업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인재육성과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넷째, 강원도 지역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생산품에 대하여 고유 브랜드를 제작하고 엄격한 심사와 관리를 통해 제품의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현재 소비자들은 인터넷쇼핑의 발달로 더욱 다양한 제품을 비교하고 또한 비교자료를 서로 공유함으로써 현명하고 안전한 소비를 지향하고 있다. 따라서 프리미엄 브랜드 창출을 통해 생산품 판매를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다섯째, 제품생산과 더불어 장애에 대한 인식개선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 대한 응답에서 시설 운영에 대한 어려움으로 장애인 생산제품에 대한 부정적인 인

      • 청소년 자원봉사 성과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고광영 관동대학교 경영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2703

        본 연구에서는 중ㆍ고등학생 청소년의 자원봉사 관련 특성이 자원봉사 성과에 미치는 영향 요인들을 살펴보기 위하여 실증적 조사를 통해 청소년 자원봉사의 성과를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위계적 회귀분석의 과정은 청소년 자원봉사활동 특성 관련 요인들이 자원봉사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4개의 독립변수를 순차적으로 투입하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종속변수의 3개 하위요인별 자원봉사 성과와 3개를 하나로 묶은 전체 성과 등을 분석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의 사용된 모형은 R값, R제곱(R2), 모형의 잔차들 간에 상관관계가 있는지 여부를 알아보기 위한 공선성 진단을 위한 Durbin-Watson 값 등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자원봉사 관련 특성이 청소년의 개인적 성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자원봉사 참여동기, 자원봉사 업무적절성), 자원봉사 동료관계, 자원봉사 인지 등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지적ㆍ대인 관계적 성장 성과는 자원봉사 인지, 자원봉사 업무인지), 자원봉사 참여동기 등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사회적 성장 성과는 자원봉사자 동료, 자원봉사 업무적절성), 자원봉사 참여동기, 지원봉사 인지 등으로 나타났다. 청소년 자원봉사 전체 성과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인은 자원봉사 참여동기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은 자원봉사 업무적절성, 자원봉사 인지, 동료자원봉사자등의 순으로 자원봉사의 전체 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이 자원봉사에 대한 인지도와 자원봉사 참여 동기가 높은 학생들이 교우관계가 좋은 학생들과 함께 중ㆍ고등학생 수준의 적절한 자원봉사 활동을 수행할 때 자원봉사의 전체 성과가 높아지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실천적ㆍ정책적 함의는 다음 다섯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청소년들의 성장ㆍ발달형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학교수업과 봉사활동을 연계하는 통합교육체제의 구축이 필요하다. 셋째, 청소년 자원봉사에 적합한 소집단형 참여 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다. 넷째, 청소년 자원봉사 기관의 담당자와 학교 교사에 대한 지도와 훈련이 필요하다. 다섯째, 중ㆍ고등학교에 학교사회봉사센터의 설치 및 자원봉사 교사협의회 의 구성ㆍ운영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