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학교 자유학년제 교육과정에서의 과학 탐구기능 위계 분석 및 의의

        박혜인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물리교육학과 2023 국내석사

        RANK : 251679

        In this study, the hierarchy of science process skills for middle school students enrolled in the middle school free school year system curriculum was examined. The foundations for improving each student's science process skills by using the free school year system curriculum's features were discussed. 150 science majors out of 167 freshmen at the coed B middle school in Seobuk-gu, Cheonan-si, Chungcheongnam-do, where the free school year system curriculum was implemented for the 2021 academic year, served as the study's subjects. The period of time between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was set at 90 days, and the inquiry function test (also known as an isomorphic test) was completed twice before and after the basic form of inquiry class. Based on the material from the science 1 textbook's first semester, the examination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science process skill. Based on the outcomes of the inquiry function test, the hierarchy of science process skills was examined using the "Knowledge State Analysis Method." By using the procedures of the Hasse Diagram and hierarchical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were shown by drawing a hierarchical dia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each student had a unique hierarchy of science process skills. Thus, it seems that there is no solid evidence to support the widespread belief that the basic inquiry function is subordinate to the integrated inquiry function. The hierarchy of the basic inquiry function and the integrated inquiry function were not easily distinguishable from one another and appeared at random on the hierarchy chart. Second, it was discovered that the assumption that top-performing students would have mastered fundamental inquiry abilities was unfounded. In other words, even among the best students, some pupils lacked the foundational abilities of inquiry. Academic accomplishment may not be seen as being compatible with the hierarchy of inquiry functions due, in instance, to a test result that had nothing to do with academic performance with relation to the "issue recognition" inquiry function. Third, no students showed appreciable improvement across the board on the post-test, which was administered after the general form of inquiry class. This highlights the necessity for personalized, one-on-one instruction provided to each student in the form of a project as opposed to a broad-based inquiry class. As a result,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it's possible that the prediction that the integrated inquiry function would be in the higher hierarchy and the basic inquiry function will be in the lower hierarchy is incorrect. The hierarchy of inquiry function tends to be obscured when examined using the hierarchy chart. Second,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hierarchy of inquiry skills and academic accomplishment. Students with high rankings did not master all fundamental inquiry abilities, and their proportion of right responses in the case of integrated inquiry skills was not noticeably greater than that of students with lower rankings. Third, it is inaccurate to claim that broad inquiry courses help students develop their unique inquiry abilities. In other words, inquiry courses that may be handled by individual pupils are necessary since the hierarchy of inquiry function looks differently for each individual.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are exposed to a free school year system curriculum that values independence, uniqueness, and flexibility. Additionally, a variety of possibilities are offered for inquiry-based courses, including subject selection exercises and club activities. If further study is done using this in the classroom, it is anticipated that middle school students' progress in scientific process abilities may be attained more efficiently.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자유학년제 교육과정에 놓인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과학 탐구기능의 위계를 분석하고, 자유학년제 교육과정의 특징을 활용하여 학생 개인의 과학 탐구기능을 개발하는 방안의 근거를 논의하였다. 연구 대상은 2021학년도에 자유학년제 교육과정이 적용된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에 위치한 남녀공학 B 중학교의 1학년 학생 167명 중에서 과학 교과를 수강하는 150명의 학생이다. 일반적인 형태의 탐구 수업을 전후로 탐구기능 검사(동형 검사)를 2회 실시하였으며,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의 실시 간격은 90일로 설정했다. 검사는 과학1 교과서의 1학기 내용을 토대로 과학 탐구기능을 평가할 수 있도록 제작했다. 탐구기능 검사 결과를 토대로 과학 탐구기능의 위계를 분석할 때는‘ 지식 상태 분석법’을 사용했다. 분석 결과는 위계 분석과 핫세 정보, 위계도 작성의 단계를 거쳐서 위계도를 도식화하여 나타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마다 과학 탐구기능의 위계가 상이하게 나타났다. 즉, 기초 탐구기능이 통합 탐구기능보다 하위의 위계를 갖는다는 일반적인 인식에 대한 명확한 근거가 없다는 것이 드러났다. 위계도에 따르면, 기초 탐구기능과 통합 탐구기능의 위계가 뚜렷하게 구별되지 않고 무작위하게 나타났다. 둘째, 상위권 학생은 기초 탐구기능이 발달됐을 것이라는 예상이 맞지 않다는 점이 드러났다. 즉, 상위권 학생일지라도 기초 탐구기능이 발달되지 못한 학생이 있었다. 특히 ‘문제인식’ 탐구기능에 관하여 학업성취도와 큰 관련 없는 검사 결과가 나왔는데, 이는 학업성취도가 탐구기능의 위계와 일치한다고 볼 수 없는 근거가 될 수 있다. 셋째, 일반적인 형태의 탐구 수업이 이루어진 후 시행된 사후 검사 결과에서, 사전 검사에 비해 눈에 띄게 모든 영역에서 향상된 학생이 없었다. 이는 일반적인 형태의 탐구 수업보다 학생 개개인에게 프로젝트 형식으로 주어지는 맞춤형 개별 학습의 필요성을 위시한다. 따라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 탐구기능이 하위 위계를 차지하고, 통합 탐구기능이 상위 위계를 차지할 것이라는 예측은 맞지 않을 수 있다. 위계도를 근거로 살펴보았을 때, 탐구기능의 위계는 뚜렷하게 구별되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탐구기능의 위계와 학업성취도 간에 관련이 있지 않고, 상위권 학생이 기초 탐구기능을 모두 익힌 것은 아니고, 통합 탐구기능에서도 하위권 학생보다 정답률이 확연히 높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셋째, 일반적 탐구 수업은 개별 학생의 특정 탐구기능의 향상에 효과적이라고 말할 수 없다. 즉, 탐구기능의 위계는 개인마다 상이하게 나타나므로, 개별 학생에게 처치할 수 있는 탐구 수업이 요구된다.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이 경험하는 자유학년제 교육과정은 자율성, 개별성, 유연성 등을 특징으로 갖는다. 또한, 주제선택 활동, 동아리 활동 등 다양한 형태의 탐구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기회가 많이 제공된다. 이를 활용하여 개인별 맞춤 탐구 과제가 제공되는 등의 수업 방식이 추가로 연구된다면, 중학생들의 과학 탐구기능 성장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라 예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