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싱가포르 한국어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재교육 내용 연구

        한은희 경희사이버대학원 문화창조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07

        The aim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necessity of training of Korean Language teachers in Singapore in order to enhance their professionality and to suggest the contents of their training plan. During the recent years,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Singapore has been rapidly developed and the number of teachers also has been increased substantially. However, study on integrated and practical plan of in-service training for those teachers has not been made yet. Hence, this study is to review the needs of in-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in Singapore and lay out necessary training plan for them accordingly. Firstly, this study divided the area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Singapore into groups according to its goal and target learners. And analyzed the present situation and looked into what professional elements are required for those teachers in each area.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also considered teachers' development stages and applied it into Singapore Korean education situation. Focus Group Interview(FGI) was used as a method of this study in order to figure out what those teachers really needed in field. As a result, this study classified their needs whether it was based on their knowledge and teaching skills or on their belief and work ethic. This study also identified that teachers in field felt need of enhancement their professionality and they needed the relevant and integrated system and individual method accordingly. Therefore, the contents of training plan for each area of Korean education in Singapore was created. This suggestion was made in 2 ways, one was based on the teachers' working organizations and the other was based on their teaching experiences. Each plan suggested what contents should be included in their training plan and what areas need to be emphasized for their professional career development. This research is meaningful because not only it is an initial study on Korean Language teachers training in Singapore as a study object, but also it studied on teachers in most area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one whole country, Singapore. Teacher is an important factor for successful education and this study would be able to contribute for the further relevant studies in the future.

      • 아랍어권 난민들의 한국 생활 및 한국어 학습에 관한 연구

        류호경 경희사이버대학교대학원 문화창조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07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help Arabic-speaking refugees effectively learn Korean and adapt to life in Korea by analyzing their lives of Arabic-speaking refugees living conditions in Korea, status of Korean language learning, and their needs for learning Korean. Interviews and surveys of refugee helping group officials and refugees were conducted. Through interviews with officials from refugee groups, it was found that learning Korean language was necessary for refugees to adapt living in Korean society more so than what refugee thought. All Syrian refugees participated in the pre-interview were able to understand and speak Korean to the extent that they were interviewed in Korean. Although the process differed, all of them had completed the ‘Korea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 (KIIP)’. Interviewees had a positive perception of Korea as democratic and safe society, but a negative perception regarding its ungenerous policies for refugees. Based on th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interviews with officials of these refugee groups and refugees,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for surveys on living in Korea and learning Korean for refugees.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using surveymonkey program. Thirty-four participants responded to the survey, 14 from Yemen, 11 from Syrian and nine from other Arabic-speaking countries. Only one participants was recognized refugee and all others were humanitarians. Most of the participants stayed in Korea for 3 to 5 years. And the most difficult part of their life in Korea was using the Korean language. Almost 80% of the participants had experience of learning Korean, but most of their learning period was less than 6 months. The most frequently participated Korean language learning program was the KIIP. Among the survey participants, the number of Korean language lectures taken and total time spent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were very insufficient. The most frequently cited reason for not learning Korean was ‘lack of time’. Those who participated in learning Korean thought very positively about learning Korean. The fluency level of Korean was considered lower than average by the survey participants, and there were differences depending on nationality and length of stay. The most important reason for participants who were interested in learning Korean was wanting to adapt to Korea and live a daily life. Based on examining the motivation for learning Korean by using the ‘social-education model’, the motivation to learn Korean language was very high, showing high scores in all items. In particular, the score of the integrative-orientation was higher than the score of the instrumental- orientation, indicating that they were trying to learn Korean in order to adapt well to the Korean society. A post-interview survey was conducted to supplement th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survey analysis, and more specific problems could be identified. Although the survey participants recognized the need for Korean language to live in Korea, it was found that getting language education was being pushed back from priorities due to more urgent and pressing problems and issues. In addition, the status of a humanitarian resident is restricted in many areas necessary for living. Therefore, there is no obligation to learn Korean, as well as no benefit from studying hard. Through the interview and survey, it was found that the Korean language program in which the survey participants participated the most was the KIIP. However, the post-interview survey revealed that other refugees did not have information about KIIP. It was found that learning opportunities were being missed by not getting information about this program or learning it lat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it was difficult to participate due to the distance, which made it difficult to access the KIIP institution, and the difficulty in securing learning time due to job instability. Because of recent COVID-19 pandemic, online lectures have been started, thus the distance problem has been somewhat resolved. However the time is difficult to fit in their schedule because the lectures still remains as real-time lectures. In addition, there are difficulties of reduced effectiveness in learning language online. Therefore, a video recorded lecture may be more helpful and can overcome the time constraints of real-time online lectures and provide opportunities for repeated learning.

      • 일본 국제교류기금(The Japan Foundation)의 아시아 지역 시각예술교류 전략 연구

        조남은 경희대학교 경희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07

        세계화가 수반하는 반대급부로서의 지역화 현상은 아시아에서의 지역경제협력 강화 및 다자간안보체제협력의 구축과 함께 문화예술의 교류와 연대에 더욱 많은 중요성을 부여하고 있다. 또한 문화의 다양성 및 지역적 문화 정체성의 필요가 대두되면서 아시아 담론의 정서적 공감대의 확산은 우리에게 아시아에서의 문화동반자적 관계를 고려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최근에는 아시아 국가들간의 문화교류의 증진을 도모할 뿐 아니라 중국과 일본의 국제 영향력 확대에 따른 문화적 대응의 필요성 또한 증대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의 경우는 아직 국제문화교류에 관한 논의는 대상지역 혹은 장르 등을 기준으로 세분화되어 있지 않을 뿐 아니라, 통합적 관점에 대한 토론 역시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특히 시각예술분야 에서의 국제교류는 주로 일회적인 행사들로 이루어질 뿐 거시문화적 차원에서는 거론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국제교류에 관한 한 국가차원에서의 장기적 비전과 통합적 에너지를 갖고 대상지역과 장르별로 체계적인 추진이 가능하도록 보다 심화된 관점과 전략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일본은 우리보다 앞서 아시아에서 국제문화교류 활동을 하고 있다. 전후, 국가적 이미지제고를 위해 문화외교 차원에서 국제문화교류사업을 전개하였고, 1972 년, 국제교류기금(The Japan Foundation)의 설립과 함께 본격적인 문화교류활동을 시작하였다. 이후 기금 내부에 처음으로 지역에 대한 제도적 중심으로 아세안문화센터(ASEAN Culture Center_1995 년 이후 아시아센터로 확대 발전)가 설립되면서 아시아 지역을 대상으로 전문적인 교류사업을 기획·진행하였다. 아시아 현대미술의 실질적인 성장을 동반해온 기금의 시각예술교류사업은 아시아 동시대미술의 현장에서 충분히 가치 있는 다양한 모색을 시도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국제교류기금의 아시아 지역에서의 시각예술분야사업의 구체적인 사례를 연구하고자 한다. 아세안문화센터가 설립되었던 1990 년 즈음은 아시아 미술에 대한 정보가 거의 전무한 상황이었으나, 아세안문화센터의 교류사업을 통해 동시대 아시아 미술에 대한 정보가 공유되기 시작하였다. 장르별로 전문가 책임제 운영을 통해 아시아 지역의 특정 이슈들을 발굴하고 현장의 목소리를 취재하면서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기획함으로써 동시대 미술을 둘러싼 아시아 담론이 형성되는데 기여하였다. 또한 국제교류기금은 동아시아에서의 공통가치관을 발견하고 상호 신뢰감 조성을 통해 상대의 문화를 이해하는데 조력하면서 새로운 문화의 공동 창조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2004 년, 일본 정부개혁의 일환으로 국제교류기금이 특별법인에서 독립행정법인으로 바뀌면서 기구개혁의 일환으로 아시아센터가 폐쇄되기에 이른다. 이후 일본 정부의 보수화 경향이 두드러지면서 국제교류사업의 성격 또한 변화되었다. 아시아 지역을 대상으로 시행해 왔던 교류사업의 경우, 긍정적인 성과는 최소한의 구조로만 남기고 일본 문화의 발신을 강조하는 사업 위주로 진행되고 있다. 한류의 영향과 더불어 아시아에서 우리의 국제문화교류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강화되고 있다. 장기적 관점에서의 전략적인 문화교류의 목표설정과 그에 따른 정부의 정책 수립이 미흡한 상황이다. 전문적인 인력과 기획시스템의 부족, 해외 기관들과의 교류 및 협력 부족 등은 우리의 국제문화교류의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은 우리의 시각예술분야에서의 국제교류를 추진함에 있어 보다 전략적이고 체계적인 정책적 관점으로 쌍방향 교류를 통한 문화 다양성의 접근을 실현하고자 일본 국제교류기금 시각예술분야의 구체적인 사례연구를 준거자료로써 제시하며 우리나라의 경우에 시사점을 주고자 한다. The phenomenon of localization that results from and accompanies today's globalization puts, along with the enforcement of local economic cooperation and the constitution of multi-parts security collaboration system in Asia, more importance on the exchange and alliance in the domain of Art and Culture in the same region. Also, with the rise of questions on the necessity of cultural diversity and identities, the expanse of common needs for Asian discourses urges us to consider a relationship of cultural partners in Asia. Recently, not only to promote cultural exchanges among Asian countries, but to establish our position in relation to the increase of international influences of Japan and China's cultural strategies also gets understood as a very urgent issue. But, in our case, nor the discussions on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art specified enough on the bases of regions or genres, neither the arguements on global point of view could be afforded actively. Paricularly, international exchanges in the domain of visual arts always occur occasionaly without being sufficiently considered in the macro-cultural dimension. Therefore, for the international exchange, it seems necessary to have more profound vision and strategy to enable systematic planning on the basis of different regions and genres with long-term perspective and integrated energy at the state level. Japan has been working on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in Asia long prior to us. After the World War II, it has considered the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s in the level of cultural diplomacy to change and promote its national image. And since 1972, it started more active cultural exchange program with the establishment of Japan Foundation. Also, as the Asian Cultural Center, which is developed and promoted into Asia Center in 1995, was set inside the Japan Foundation, it planned and executed more professional exchange programs in Asian regions. Japan Foundation's visual exchange program actually has accompanied the development of Asian contemporary art and explored diverse and really valuable possibilities in the field. In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tries to analyze concrete examples of Japan Foundation's visual art exchange programs in Asia. When Asian Cultural Center was established around 1990, there were very few information about Asian art, and it was by its exchange programs that facts on Asian contemporary art started to be shared. It contributed, with its professional researcher system on the basis of different genres, to form an Asian discourse in relation with contemporary art, by planning various programs to discover Asian-specific issues, to report voice of field in the fast changing environment and to help people to understand it. Also, it prepared a new platform for the common creation of new culture among east Asian countries by finding common values and establishing mutual reliance for approaching to each other. In 2004, Asian Center is closed due to the reform of status of Japan Foundation from Special Legal Person to Independent Administrative Person. With Japanese government's political turn to more conservative manner, its international cultural program policy has also changed. Concerning to the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programs for the Asian region, it kept some positive results as least structure, and put more effort to send Japanese culture to abroad. With the effect of Han-Ryu (Korean cultural trend), the importance of our effort for the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gets more emphasized than ever. But it seems to lack concrete objectives of long-term based cultural exchange strategy and the establishment of policy in the government level. Insufficiency of professional manoeuvre and planning system, lack of networking with foreign nstitutions and of collaborations turn out to be our major problems in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This study proposes the analysis of concrete examples of Japan Foundation's visual arts programs, to present ways of approaching cultural diversity through mutual exchange based on more strategic and systematic point of view in the cultural exchange policy, therefore to provide a reference of consideration in our own case.

      • 서비스러닝 한국어 수업 운영 사례 연구 : - 미국 대학의 초급 수업을 중심으로 -

        오미진 경희사이버대학교대학원 문화창조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examples of design, operation, and evaluation of service learning Korean courses at T University in the U.S. based on service learning theory and to examine its effects on learning. Judging from previous case studies combining service learning and Korean language in the field were insufficient, and mixed studies provided inadequate research. Based on data, the needs of learners, and community needs, classes were planned, operated, and evaluated based on the P.A.R.E and the discipline-based service learning model. The results of the service learning Korean class operation are as follows. First, service learning Korean classes have a positive and mutually beneficial effect on teachers, local communities, and Korean learners. The instructor was able to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the class objectives through self-evaluation. Local cooperative organizations were satisfied and positively evaluated the service activities of beginner Korean learners. As for the learners’ evaluation results of the service learning Korean subject, the mean values ​​of all scales increased post-survey indicating meaningful results. Likewis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learners’ overall lecture experience, most of the learners responded positively in the categories of linguistics, affect, and service. However, negative emotions such as fear and worry about trying new things were also described. The instructor was able to better understand the learners' experiences in detail through self-reflection analysis. Second,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n Korean language learning and the self-assessment of learners’ Korean abilities, pre-and post-video analysis of children’s book reading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learner’s self-assessment on Korean proficiency, the learners recognized that Korean speaking, listening, writing, and reading skills were improved in the post-test compared to the pre-test. In addition, the reading speed of Korean text was faster in the post-test than in the pre-test. As Korean pronunciation errors decreased, learners’ reading accuracy increased. Third, in order to examine the learning effects of service learning Korean classes, ‘critical thinking’, ‘career and teamwork’, ‘civic responsibility’, ‘global understanding and citizenship’, ‘academic development and educational success’, ‘confidence’, ‘self-regulation efficacy’, ‘motivation’, ‘intrinsic value’, and ‘satisfaction’, were measured, and significant results were derived from student ‘satisfaction’. The mean values ​​of the questionnaire categories in ‘critical thinking’, ‘civic responsibility’, ‘global understanding and citizenship’, ‘academic development and educational success’, ‘confidence’, ‘motivation’, ‘intrinsic value’, and ‘satisfaction’ were pre-tested. It was found that service lear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learner. However, positive results could not be drawn because the average value of the questionnaire categories in ‘leadership’ and ‘cooperation’ among ‘career and collaboration’ fell,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questionnaire for ‘self-regulation efficacy’ decreased. This can be interpreted as the reason that ‘reading poetry’ and ‘reading fairy tales’ were conducted as individual activities, so there were few opportunities to get along with others. In addition, although learners can adapt well to new environments in which they perform service learning activities, self-efficacy was lower in the post-test in terms of performing work using the information learned at the university or utilizing their talents or skills. When instructing service learning Korean language courses in the future, methods that can enhance learners’ ‘leadership’, ‘cooperation’, and ‘self-efficacy’ should be considered and reflected on. Fourth, A self-reflection paper was qualitatively analyzed to study the changes in learners’ thinking regarding service learning. Learners found themselves growing through self-reflection reports after ‘reading poetry’, ‘reading children’s books’, and ‘teaching Korean’ as service learning activities.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self-reflection report of the learner, the instructor came to understand the learner better, and it was helpful to know the process of students’ academic growth. Learners positively evaluated the ‘reading poetry’ activities. They said that reading and vocabulary in Korean were expanded, which helped to improve Korean language skills. Likewise, Korean learners were able to recognize their pronunciation errors and problems by going through the feedback process with the instructor during children’s book reading practice. The learner also became better at Korean speaking. Korean learners said that ‘reading a children's book’ was a very frightening and challenging activity emotionally, but it was a very helpful activity for learning Korean. In the ‘Teach Hangul’ activity, the learner did his/her best by focusing on the teaching-learning situation. The learners described in the self-reflection report that they enjoyed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activity, and their Korean language skills improved through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activity. Also, in order to teach Korean well, learners had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Korean by reviewing and deepening what they had learned. The learner played the role of a service provider in the classroom, discovering a link between what he or she actually knows and the service experience. In the process from the 1st to the 4th teaching Korean sessions, Korean learners found themselves growing as presenter, leader, and language learner. Korean learners gained confidence as they prepared more diligently in class to teach well. The Korean learners said that they were motivated by watching the process of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Hangul. The learners became aware of his/her own influence on the local community, and as service recipients did their best to meet their needs, their awareness of service improved and their civic responsibility improved. Learners have grown a global awareness of understanding other cultures by applying what they have learned in class through a foreign language. The learners said that the Hangul teaching experience was great and that they needed it to grow as future members of society. The students said that they wanted to take more service learning courses in the future as a different approach to improve learning beyond what they had in the past. The results of this cause analysis provided data for future course improvement. Key word: service-learning, service-LEARNING, service-learning course, service, community service, Korean language, university, reflection, mixed methods research, case study, learning outcome, learning effects. 본 연구는 미국 T 대학 현장의 서비스러닝 한국어 교과목의 설계, 운영, 평가의 사례를 소개하고 학습 효과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선행 연구 결과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서비스러닝과 한국어에 접목한 사례 연구가 미진하였으며 연구 방법 면에서 혼합연구가 부족한 실정이었다. 이에 P.A.R.E 수업 모형과 학문 기반 수업 모델을 기초로 수업을 계획하고 운영, 평가하였다. 그리고 서비스러닝 한국어 교과목에 대한 학습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비판적 사고’, ‘경력과 협동’, ‘시민의 책임’, ‘글로벌 이해와 시민의식’, ‘학업적 성공’과 ‘자신감’, ‘자기 효능감’, ‘동기’, ‘주관적 과업 가치’, ‘만족도’를 설문하였다. 더불어 한국어 학습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 자가 평가, 동화책 읽기 비디오 분석을 하였다. 학습자의 서비스러닝에 대한 사고의 변화 과정을 알아보기 위하여 자기 성찰지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서비스러닝 한국어 교과목 운영 평가를 통해 추후 서비스러닝 한국어 수업 운영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였다. 서비스러닝 한국어 교과목의 운영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서비스러닝 한국어 교과목 운영은 교수자, 지역사회, 학습자에게 상호 호혜적이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교수자는 수업 운영에 대한 자가 평가를 통해 교육의 목표와 운영 방법의 적절성을 평가할 수 있었다. 지역기관은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서비스 활동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만족하였다. 서비스러닝 한국어 교과목 운영에 대한 학습자 평과 결과는 사후 평균값이 모두 상승하여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그리고 학습자의 강의 전반에 대한 경험을 다빈도어로 조사해 본 결과 대부분 학습자는 언어적, 정의적, 서비스 측면의 범주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하였다. 그러나 새로운 시도에 대한 두려움, 걱정 등의 부정적인 감정도 기술하였다. 교수자는 자기성찰 분석을 통해 학습자의 경험을 구체적으로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추후 교과목 개선을 위한 자료가 되었다. 둘째, 서비스러닝 한국어 학습 효과 분석을 위하여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 자가 평가, 동화책 읽기 비디오를 분석하였다.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 자가 평가 결과 학습자는 한국어 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 능력이 사전과 비교하여 사후에 향상되었다고 인식하였다. 학습자의 동화책 읽기 비디오 분석 결과 사전보다 사후에 텍스트 읽기 속도가 빨라졌고 발음 오류가 줄면서 읽기 정확성이 높아지게 되었다. 셋째, 학습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비판적 사고’, ‘경력과 협동’, ‘시민의 책임’, ‘글로벌 이해와 시민의식’, ‘학업적 성공’, ‘자신감’, ‘자기 효능감’, ‘동기’, ‘주관적 과업 가치’,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만족도’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학습자는 서비스러닝은 소중한 경험이며 서비스러닝 과정에서 많은 것을 배웠다고 생각했으며 서비스러닝 한국어 교과목 등록을 후회하지 않았다. 다양한 서비스러닝 활동을 통해 학습자는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고 믿으며 성취감을 느꼈다. 한국어 공부와 서비스러닝을 공부하고 있다는 사실을 좋아하고 계속하고 싶어 하였다. 그리고 다른 사람들에게 서비스러닝 교과목 수강을 권하겠다고 하였다. 한편, ‘비판적 사고’, ‘시민의 책임’, ‘글로벌 이해와 시민의식’, ‘학업적 성공’, ‘자신감’, ‘동기’, ‘주관적 과업 가치’의 척도 평균값이 사전과 비교하여 사후에 상승하여 서비스러닝이 학습자에게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서비스러닝의 변인인 ‘경력과 협동’과 개인 변인인 ‘자기조절 효능감’의 평균 척도 값은 하락하였는데 ‘경력과 협동’ 문항 내용을 분석한 결과 ‘사회에 기여하고 경력을 개발할 수 있는 기술을 습득’의 척도 평균 척도 값의 결과는 사전 4.09, 사후 4.19로 상승하여 ‘경력’에는 긍정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리더십이 강하다.’(사전 3.52, 사후 3.45), ‘조원과 다른 사람들과 잘 어울린다.’(사전 4.30, 사후 4.15)라는 문항에서 서비스러닝이 ‘리더십’, ‘협동적인 태도’의 향상에 도움이 되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시 읽기’, ‘동화 읽기’가 개인 활동으로 진행되어 타인과 어울릴 기회가 적은 데 기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추후 협동 학습을 신장할 수 있는 서비스러닝 활동을 고려하여 활동을 구성해야 할 것이다. 또한 ‘자기조절 효능감’을 조사한 결과 ‘서비스러닝 활동을 수행하는 새로운 환경에 잘 적응할 수 있다.’는 문항은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지만 ‘대학에서 배운 내용이나 정보를 이용하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라는 문항은 사전 4.30에서 사후 4.17로 척도 평균값이 하락하였다. 그리고 ‘서비스러닝 활동에서 내가 가지고 있는 재능이나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라는 문항의 척도 평균값이 사전 4.20에서 사후 4.17로 하락하였다. 따라서 학습자는 대학에서 배운 정보를 이용하여 업무를 수행하거나 자신의 재능이나 기술을 활용하는 부분에서 사전보다 사후에 자기 효능감이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서비스러닝 한국어 교과목 운영 시 학습자의 자기 효능감을 높일 있는 방안을 고려하여 서비스러닝 활동에 반영하여야 할 부분이다. 넷째, 학습자는 서비스러닝 활동으로 ‘시 읽기’, ‘동화책 읽기’, ‘한글 지도’ 활동 후 자기성찰을 통하여 성장하는 자신을 발견하였다. 또한 교수자는 학습자의 자기 성찰지를 분석하며 학습자를 더 잘 이해하게 되었으며 학업적 성장 과정을 알 수 있어 도움이 되었다. 학습자는 ‘시 읽기’ 활동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읽기 능력과 어휘가 확장되어 한국어 능력이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다. 또한 학습자는 동화책 읽기 연습 과정 중 교수자와의 피드백 과정을 거치면서 자신의 발음 오류, 문제점에 대해 인지할 수 있게 되었고 말하기를 더욱 잘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정의적인 측면에서 동화책 읽기 경험이 신기하고 재미있다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지만 ‘떨린다’, ‘두렵고 겁이 난다’라는 부정적인 정서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즉, 한국어 학습자들은 정서적으로 ‘동화책 읽기’가 매우 두렵고 도전적인 활동이었지만 학습에는 매우 도움이 되는 활동이라고 하였다. 학습자는 동화책 읽기 활동 후 ‘만족감’, ‘자기조절 효능감’, ‘자신감’,’ ‘동기’가 생겼고 서비스러닝의 의도를 이해한다고 하였다. ‘한글 지도’ 활동에서 학습자는 교수-학습 상황에 집중하며 최선을 다했는데 학습자는 한글 지도 활동은 기쁘고 즐거웠다고 말하였다. 그리고 한글 지도 활동을 통해 한국어 능력이 향상되었다고 하였다. 그리고 한글을 잘 가르치기 위해 배운 내용을 복습하고 심화하면서 한국어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하게 되었다고 기술하였다. 학습자는 교실 내 학습의 수혜자에서 실행자의 역할을 하며 실제로 아는 지식과 봉사 경험 사이의 연관성을 발견해 나갔다. 1 차시 수업에서 4 차시로 진행하는 과정에서 한국어 학습자는 발표자, 지도자, 학습자의 관점에서 여러모로 성장하는 자신을 발견하였다. 학습자는 잘 가르치기 위해 수업을 더 열심히 준비하면서 자신감이 생기게 되었다. 또한 학습자는 고등학생이 한글을 습득하는 과정을 보며 동기가 부여되었다고 하였다. 학습자 자신이 지역사회에 미칠 수 있는 자신의 영향력을 인지하게 되었고 서비스 수혜자가 필요한 부분을 충족하려고 최선을 다하면서 시민의식이 향상되었다. 학습자는 ‘한국어’라는 외국어를 매개로 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적용하여 다른 문화를 이해하는 글로벌 의식이 성장하였다. 학습자들은 한글 지도 경험은 미래의 사회인으로 성장하는 데 필요한 훌륭한 경험이었고 기존에 해 왔던 학습의 고정 관념을 벗어나 학습을 향상하기 위한 다른 접근의 시도로 앞으로 서비스러닝 교과목을 더 수강하고 싶다고 하였다. 이상 본 연구에서 미국 대학 현장의 한국어 교과목 운영 사례를 통해 설계와 운영, 평가의 방법과 학습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서비스러닝 한국어는 학습자의 한국어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었고 학습 효과 중 ‘만족도’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그리고 ‘비판적 사고’, ‘시민의 책임’, ‘글로벌 이해와 시민의식’, ‘학업적 성공’, ‘자신감’, ‘동기’, ‘주관적 과업 가치’, ‘만족도’의 척도 평균값이 사전과 비교하여 사후에 상승하여 서비스러닝이 학습자에게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경력과 협동’과 ‘자기조절 효능감’의 평균 척도 값이 하락하여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하지 못했다. 원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개선 방안을 고려해야 하는 부분임을 알게 되었다. 서비스러닝 활동 후 학습자가 작성한 자기 성찰지를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 교수자는 학습자의 학습 과정과 서비스러닝에 대한 인식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 국내외 보컬트레이닝기법 비교 연구

        박찬미 경희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07

        예술은 누구에게 레슨을 받고 어떤 선생님에게 훈련받는지가 굉장히 중요하다. 한국 실용음악의 보컬 레슨 현장을 보게 되면 1시간의 레슨 시간에 발성, 소리 훈련이 차지하는 비율은 고작 몇 분 남짓이고 대부분의 시간은 가수의 노래를 카피하는 식으로 진행이 된다. 여기서의 문제점은 제대로 된 발성과 호흡의 지식이 없이 무작정 가수의 표현법을 따라하는 식이 된다는 것이다. 무작정 따라하는 것은 목소리에 아주 치명적인 타격을 입게 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자신의 개성을 발견하는 것이 어려워 질수 있다. 이번 논문에서는 발성법에 대해 제대로 된 지식을 가지고 있으며 많은 가수들을 직접 트레이닝하고 책을 저술한 트레이너들의 총 5명의 훈련법을 연구했다. 그들에게는 첫째 소리훈련과 표현훈련의 두 가지 부분에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보컬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확보하고 있다는 점과 두 번째 소리훈련법이 끝난 다음에 표현훈련법을 진행하는 모습을 보게 되었으며 세 번째 복합적 트레이닝을 실시하고 있다는 점 네 번째 스스로 생각하고 실천할 수 있는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운영한다는 것과 다섯 번째 알기 쉽고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훈련법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 마지막으로 다양한 노래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고 그 속에서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스타일을 발견하고 이를 발전시켜 개성을 창조할 수 있는 훈련법을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본 논문은 보컬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성에 대한 분석이라는 긍정적 시사점을 가지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순히 노래 카피에 급급한 잘못된 보컬트레이닝에 대한 문제 제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In art, it's very important which teacher you've been taught and trained. When I saw the vocal lessons of practical music in korea, It takes only a few minutes for vocal training and sound training during an hour of lessons. And most of the time is dedicated to copying another singer's song. The problem here is to blindly imitate the way other singers express without having a proper knowledge of vocalization and breathing. It can be very damaging a voice, and it can be difficult to discover one’s individuality. In this thesis, I studied the training of five trainers who directly trained many singers and wrote books, with a good knowledge of vocalization. First, they have a systematic and professional vocal training program in both voice training and sound training. Second, they proceed with voice training after sound training. Third, they are conducting complex training. Fourth, they operate training programs that allow them to think and practice themselves. Fifth, they use a method of training that is easy for anyone to know and can participate in. Finally, they use a method of training to listen to various songs, discover the styles that are best suited to them, and develop them to create individuality. This paper has positive implications for the analysis of the systemicity of vocal training programs. Through this, I hope to raise the issue of incorrect vocal training, which is simply focused on copying other’s songs

      • 병원기업브랜드·개별브랜드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대학병원을 중심으로

        장염매 경희대학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07

        With the development of economy, items become richer than before, and many brands appeared. The brands not onl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rocess of consumer purchase decision – making still in the course of enterprise management. Enterprises take advantage of the brand hierarchy theory to manage the brand in accordance with concrete conditions. Although there are so many different studies about the brand at present, while the brand hierarchy and the way how use it are more important than before, it's not enough about it in the actual situation. Therefore this study is started from the question that how the hospital corporate brand and individual brand were reflected when patients choose a hospital in the medical field. The resul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influence of the importance of specialization of hospital among other hospital characteristics on selecting hospital brands. Therefore, the patients who think the specialization of hospital is important would pay more attention to the corporate brand of hospital when selecting hospital. Second, the result of the different influence analysis on selecting hospital brands by the decision-making styles and the severity of the disease indicted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severity of the disease on hospital brand choice, the significant different influence only by avoidant decision-making styles. Thus, for the patients who have the avoidant decision-making styles characteristics would be more emphasis on the corporate brand of hospital when thinking the specialization of hospital is important. There is no significant effect by other decision-making styles. So we can draw a conclusion,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severity of the disease and decision-making styles on hospital brand choice.

      • 스마트폰 CMF 디자인에 관한 연구

        GUOJING 경희대학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07

        As industries develop around the world, the industrial market is also rapidly changing. With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modern society is developing in a very short period of time, and the cycle of new technologies and technological innovations is gradually accelerating to an extreme degree. In particular, the ripple effec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which collects, produces, processes, preserves, delivers and utilizes information, and smart digital products applied with the technology, is greatly increasing its influence. With the development of modern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information volume and communication are exploding because the Internet is widespread. Based on this social background, it can be seen that smartphones are the most representative and universal product as an efficient medium of information exchange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global smartphone market, the first smartphone, IBM Simon, was launched in 1992 and has become a necessity for modern society after nearly three decades of rapid development. So far, there are three types of smartphones in the global smartphone market: iPhone with iOS operating system developed by Apple, Android with Android operating system developed by Google, and smartphone with Microsoft's Windows Phone operating system. According to a report by a related market research agency, iPhones accounted for the highest market share in the global smartphone market in the fourth quarter of 2019, with 18.9 percent, 1.33 percent of smartphones equipped with the Windows phone operating system, and Android phones manufactured by smartphone companies such as Samsung and Huawei accounted for the rest. Many Smartphone manufacturers continue to develop various products and global Smartphone markets are approaching saturation state. In addition, there is no big difference in product appearance in global Smartphone markets, and the phenomenon of homogenization of products is getting worse. To solve these problems, many smartphone companies have recently used CMF designs that can improve product innovation and competitiveness. CMF design is a compound word that takes the initials of color, material and finishing, and is a key area of product design that increases the quality and value of design. This has recently become the focus of attention due to design tools that enable users to build product differentiation in terms of visual and tactile aspects. However, each smartphone company is applying different CMF designs, releasing several lineups, rather than the only one. In this paper, we have defined CMF design and product lineup through various literature, and in particular, we have identified how to classify product lineup according to relevant literature in marketing. It also surveyed the global smartphone market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and selected Apple's smartphones. A summary analysis of the design of the CMF in the iPhone lineup showed the change of the design of the iPhone CMF. The iPhone is a popular smartphone around the world, and so far it has a lineup of 25 models. The company is holding and improving the color recognized in the market while simultaneously providing various colors from the original achromatic style, and continuously developing new colors. According to consumers' preference for product colors, iPhone colors are expected to be released in the future with additional limited colors that have a sophisticated feel, such as midnight green, based on achromatic and oil colors. In the case of iPhone material and finish, high-strength metals such as aluminum, stainless steel, and titanium are applied to frame to maintain product body strength, and non-metallic applications such as glass are expected to be applied to rear material due to electromagnetic shielding. In particular, the ceramics being applied to Apple Watch are expected to be widely applied to iPhones because they have many outstanding performance. 전 세계적으로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산업 시장 역시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이 도래하며, 현대 사회는 매우 짧은 시간동안 발전하고 있으며, 점차 새로운 기술과 기술 혁신이 나타나는 주기가 극단적으로 빨라지고 있다. 특히, 정보를 수집, 생산, 가공, 보존, 전달, 활용하는 정보통신기술의 파급력과 그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한 디지털 제품들이 쏟아져 나오며, 그 영향력은 대단히 커지고 있다. 현대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인터넷이 광범위 보급되어 있기 때문에 정 보량과 커뮤니케이션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 배경을 바탕으로 4차 산업혁명에서 스마트폰이 정보 교환의 효율적 매체로써 가장 대표적이고 보편적인 제 품이라고 알 수 있다.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에서는 1992년에 최초의 스마트폰 IBM Simon가 출시된 것 으로부터 최근 30년 동안의 급속한 발전으로 현대 사회의 필수품이 되었다. 현재까지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에 주로 애플(Apple)이 개발한 iOS 운영체제를 탑재하는 아이폰 (iPhone), 구글(Google)이 개발한 안드로이드(Android) 운영체제를 탑재하는 안드로 이드폰,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의 윈도우 폰(Windows Phone) 운영체제를 탑재 하는 스마트폰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관련 시장 조사기관의 보고서에 따라 2019년 4분기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에 각 기업의 시장 점유율을 살펴보면 아이폰이 18.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윈도우 폰 운영체제를 탑재하는 스마트폰의 시장 점유율이 1.33%로 조사되었고 나머지가 삼성, 화웨이 등 스마트폰 기업이 제조한 안드로이드 폰이 차지하였다. 수많은 스마트폰 기업이 계속적으로 여러 가지 제품을 개발하며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이 포화 상태(Saturation State)에 접근한다. 더불어,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에 제 품 모습이 큰 차이가 없이 제품 동질화 현상은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많은 스마트폰 기업은 제품 혁신성과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 는 CMF 디자인을 활용하기 시작한다. CMF 디자인은 컬러(Color), 소재(Material), 마감(Finishing)의 머리글자를 딴 합성어로 디자인의 품질과 가치를 높이는 제품 디자인의 핵심 분야이다. 이는 사용자에게 시각적 및 촉각적 등 차원에서 제품 차별화를 구축할 수 있는 디자인 수단으로 인하 여 최근 제품 디자인 분야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또한 각 스마트폰 기업이 유일 한 스마트폰 라인업(Lineup)을 출시하는 것이 아니라 몇 가지 제품 라인업을 출시하 면서 서로 다른 CMF 디자인 전략을 적용하고 있음으로 자사 제품의 다양성과 경쟁 력을 향상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문헌을 통하여 CMF 디자인의 개념, 프로세스, 필요성과 역 할을 이해하였고, 스마트폰의 정의, 발전 과정 등을 연구하였다. 더불어, 제품 라인업 의 개념을 정의하기 위하여 마케팅에 관련 문헌을 통하여 제품 라인업을 분류하는 방 법을 파악하였다. 또한, 통계 분석을 통하여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을 조사하여 분석하 였고 애플 사의 스마트폰 아이폰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아이폰 라인업의 CMF 디자 인에 대한 정리하여 분석을 통하여 아이폰 CMF 디자인의 현황을 연구하고 발전 및 변화 과정을 도출하였다. 아이폰은 전세계에서 인기가 많은 스마트폰으로써 현재까지 29 가지 모델로 구성한 라인업을 이루어지고 있다. 최초 무채색 스타일로부터 여러 가지 컬러를 동시 제공하면서 시장에서 인정을 받은 컬러를 보류하고 개선하며, 새로 운 컬러를 계속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소비자가 제품 컬러에 대한 선호에 따라 향후 아이폰 컬러는 무채색, 유채색을 바탕으로 미드나이트 그린, 퍼시픽 블루와 같은 고급 감 등 세련된 느낌을 갖는 한정 컬러가 추가적으로 출시될 것을 전망하고 있다. 아이 폰 소재 및 마감의 경우, 제품 몸체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프레임에 알루미늄, 스 테인리스 시틸, 티타눔 등 고강도 금속을 적용하며, 후면 소재에 전자기 차폐 때문에 유리 등 비금속의 응용을 전망한다. 특히 Apple Watch에 적용되고 있는 세라믹은 여러 뛰어난 성능을 있기 때문에 아이폰에 널리 적용할 것을 기대하고 있다.

      • 지구적 질서협력체제로서의 세계사회

        강순남 경희NGO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07

        국 문 초 록 지구적 질서협력체제로서의 세계사회 본 논문은 평화에 대한 인류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전쟁으로 거듭되는 역사를 영구평화 정착으로 전환되는 조건으로 국가의 주권방기와 시민성에 근거한 ‘지구적 질서협력체인 세계사회’의 의제 화와 실현을 목적으로 한다. 인류의 역사에는 전쟁과 갈등이 존재 해왔다. 동시에 평화를 갈망하는 인류의 노력은 시대와 함께 다양한 자구책을 제시하였다. 실로 ‘세계는 연속과 변화의 기이한 칵테일’(나이, 2008: 16)이라 할 수 있다. 현대의 인류는 여전히 전쟁과 위험의 공포 아래 있지만 물질, 과학의 혁혁한 성과는 상호협력 체제를 이루며 인간의 복지 권리를 확대하였다. 더불어 사회적 위험요소 또한 더욱 커졌다. 본 논문은 국가중심의 베스트팔렌조약 이후의 사회변화와 함께 새로운 방향 모색 앞에 선 국제사회와 인류가 공동의 문제인 위험요소로부터 그리고 전쟁의 공포 속에서 벗어나려는 숙원이 동기가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변화된 사회(지구화)로 상징되는 지구시민사회의 정의와 지구화를 평가하는 관점 적 분류인 대안론 적 미래사회를 ‘질서협력체제로서의 세계사회’로 상정한다. 대안적 세계사회가 파생된 용어의 기원과 ‘세계사회’는 국가의 부정적 이미지에 반해 사회적 관점을 부각하는데 거시적 사회라는 개념을 도출하여 거시적 접근과 사고의 전환을 요구한다. 이론적 기초는 루소와 칸트에게 근거한다. 담론의 갈래를 통해 ‘지구적 질서협력체제인 세계사회’ 구현을 합리화한다. 그이유로 강제성이 부여된 집행부를 주장하는 현대 주류 담론에 대해서 강제성이 절대권한의 토대가 되는 한 권력의 이동만 가져올 뿐 영구평화라는 근본적인 효과는 거둘 수 없기 때문이다. 반면 질서협력체의 강제성 없음은 곧 무질서 조장이라는 지적에 대해서는 국가민족주의와 인간의 이기심이 주권 방기 불이행으로 표출된다고 항변한다. 또한 국제사회의 변화의 원인을 국가 성 상실과 다원적이고 상호협력체적 사회와 연맹체 설립의 귀결로 탄생된 국제연합에도 두고 이를 ‘세계사회’로의 유인으로 삼았다. 국제연합을 주목하는 것은 합의로 탄생했다는 것이다. 이는 본 논문이 추구하는 ‘지구적 질서협력체제인 세계사회’의 목적과 목표가 협의적 국제사회이며 제도화 된 국제연합을 통해 구체화 될 것을 전망함에 기인한다. 다음으로 ‘질서협력체인 세계사회’를 구상하는데 우선 구성요소로 제도화된 국제연합과 더불어 주권방기의 국가와 시민성으로 무장된 시민으로 분류하며 사회단면으로는 가라타니의 추첨제 도입과 생산자협동조합에 대한 재 고찰 등을 통해 설명된다. ‘질서협력체라는 세계사회’는 무엇보다도 구성원의 의지가 필요하다. 의지는 국가와 시민 모두가 덕성의 토대가 절대적이며 이때 올바른 공공성이 확립되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칸트와 가라타니의 제안이 주권 상실과 다양한 주체들의 등장으로 진화된 현 국제사회에 실현되어 ‘지구적 질서협력체제인 세계사회’로 완성되기를 바란다. 시민성은 일관되게 노출되어 왔으나 인류는 덕성을 등한시하고 애써 외면하여 충돌을 선택하였다. 이기심과 이해관계와의 고리를 끊지 않는 한 결코 무력적 충돌과 수탈은 막을 수 없다. 현상론적 대안에서 벗어나길 권고하며 국제연합으로 시작된 협의제로 질서가 유지되는 합리적 사회 형성 기여에 본 논문의 담론 화는 의미가 있다. ============================================================ keyword: 지구적 질서협력체제, 세계사회, 영구평화, 사회적 위험요소, 대안론, 상호협력 적, 주권방기, 시민성, 국가 성, 지구화, 연맹체, 국제연합, 국가, 시민, 영구평화, 의지, 공공성, 담론 화, 합리적 사회 ABSTRACT World society, a cooperative system for global order Kang, Soon Nam Department of Global Governance The Graduate School of NGO Studies Kyung Hee University Despite the human efforts for peace, there have been numerous wars. This study tries to present the agenda of world society, a cooperative system for global order that is based on the abandonment of state's sovereignty and citizenship to establish permanent peace for the human race. Human history is filled with wars and conflicts. At the same time, it is filled with diverse human efforts to keep peace. Actually, the world is a strange cocktail of continuity and changes(Nye, 2008: 16). The human race is under the threat of wars and dangerous elements. On the other hand, material and scientific achievements increased human welfare, which in turn increased dangerous social elements. With the social changes after the Peace of Westfalen, the international society and human race have looked for ways to escape from the fears of dangerous elements and wars. This study presents world society as a cooperative system for order as an alternative system for future society. The term world society emphasizes social aspects as opposed to the negative image of states. It demands macro approach and change of thinking based on the concept of macro society. It is theoretically based on Rousseau and Kant's philosophy. This study rationalizes the realization of world society as a cooperative system for global order through various discussion. The main line of modern discourses advocates that enforcing power be given to the executive organization. But if the enforcing power is the foundation of the executive organization's power, it will just bring power shift and not permanent peace. Some claim that not giving enforcing power is like promoting chaos. But it can be said that the selfishness of nationalism and humans are expressed as the non performance of the abandonment of sovereignty. This study considers that the cause of changes in international society lies in the establishment of the United Nations, which was formed as a result of the loss of stateness and establishment of a federation of plural and mutually cooperative society and takes this as the motive for world society.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United Nations because it was formed based on agreement. The purpose and the goal of world society as a cooperative system for global order is the formation of international society based on agreement and this will be realized through the United Nations. The world society as a cooperative system for global order consists of the institutionalized United Nations, states that abandoned sovereignty, and citizens armed with citizenship. The introduction of lottery into election suggested by Garatani and producers' cooperatives are part of it. World society as a cooperative system for order needs the will of its constituents. Will is the foundation of the virtues of nations and citizens and public good is established through this. This study hopes that the suggestions by Kant and Garatani are realized in the current international society, which has evolved due to the loss of sovereignty and emergence of various bodies, and embodied in world society, a cooperative system for global order. There always has been citizenship but humans have neglected virtues and chosen confrontations. Unless the humans cut the chain of selfishness and self-interest, violent confrontations and exploitation can't be avoided. Humans need to distance themselves from phenomenal alternatives. This study hopes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rational society in which order is maintained by the system of agreement, which started with the United Nations. ============================================================ Keywords: Cooperative system for global order, world society, permanent peace, social danger, alternative theory, mutually cooperative, abandonment of sovereignty, citizenship, stateness, globalization, federation, United Nations, nations, citizens, will, public good, discussion, rational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