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하고초 열수추출물이 대식세포 면역활성에 미치는 영향

        차지혜 경원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한의과대학 2010 국내석사

        RANK : 249631

        연구목적 : 하고초 열수추출물(Prunellae Spica Water Extract, PSE)이 마우스 대식세포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 PSE를 마우스 대식세포에 전처리하여 배양한 후 cell viability 및 nitric oxide(NO) 생성과 interleukin(IL)-1β, IL-6 및 tumor necrosis factor(TNF)-α 등의 cytokine 생성을 측정하고, 정상군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 1. PSE를 대식세포에 전처리하여 배양한 후 cell viability를 살펴본 결과 24, 48시간 배양 시 80-100%의 세포생존율을 보였다. 2. PSE를 대식세포에 전처리하여 배양한 후 NO 생성을 살펴본 결과 24, 48시간 배양 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3. PSE를 대식세포에 전처리하여 배양한 후 IL-1β 생성을 살펴본 결과 24시간 배양 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4. PSE를 대식세포에 전처리하여 배양한 후 IL-6 생성을 살펴본 결과 24시간 배양 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5. PSE를 대식세포에 전처리하여 배양한 후 TNF-α 생성을 살펴본 결과 24시간 배양 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결 론 : PSE를 마우스 대식세포에 전처리하여 배양한 후 정상군과 실험군을 비교한 결과 NO 생성과 IL-1β, IL-6 및 TNF-α 생성이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므로 PSE가 대식세포 면역반응의 변화를 유발하는 것으로 보인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unellae Spica Water Extract(PSE) on immune response in macrophage cells. Methods : We had devided two group the one is normal group; not treated with PSE, and the other is experimental group; treated with PSE. We me asured the cell viability of PSE on RAW 264.7 cells and investigated production of nitric oxide(NO) and cytokines such as interleukin(IL)-lβ,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 (TNF)-a with sample PSE. Results : 1. Cell viability of PSE on RAW 264.7 cell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both 24 hr and 48 hr incubation. 2. NO production of PSE on RAW 264.7 cell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both 24 hr and 48 hr incubation. 3. IL-1β production of PSE on RAW 264.7 cell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under concentration over 50 ㎍/㎖, in 24 hr incubation. 4. IL-6 production of PSE on RAW 264.7 cell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under concentration over 50 ㎍/㎖, in 24 hr incubation. 5. TNF-a production of PSE on RAW 264.7 cell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under concentration over 50 ㎍/㎖, in 24 hr incubation. Conclusion : NO, IL-1β, IL-6 and TNF-a production of PSE on RAW 264.7 cell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is study suggest that PSE stimulates the macrophage and enhances the immune response.

      • 決明子가 망막색소 상피세포에서 혈관 내피세포 성장인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김형석 경원대학교 한의과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31

        망막 혈관신생은 성인 당뇨병성 망막증과 미숙아 망막증과 같은 망막질환의 전형적인 특징이다. 혼탁, 안정피로, 홍안과 같은 시력장애는 병리적 신생혈관형성에 의해 발생한다. Methimazole (MMI)는 갑상선기능 항진증의 치료제로 신생혈관형성을 유도한다고 알려져있다. Akt는 phosphoinositide 3-kinase (PI3K) 신호전달의 조절자로 세포생존, 대사, 증식과 운동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혈관내피세포 성장인자는 혈관신생과 혈관 투과성을 증가시킨다. 저산소 유도인자-α는 혈관 내피세포 성장 인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중요한 저산소성 반응유전자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인체 망막색소 상피세포인 ARPE-19에서 MMI에 의해 유도된 혈관내피세포 성장인자, 저산소 유도인자-α 및 phosphorylated Akt (pAkt)의 발현에 미치는 決明子의 영향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결과, MMI는 ARPE-19 세포주에서 혈관 내피세포 성장 인자, 저산소 유도인자-α 및 pAkt 발현을 증가시켰으며, 決明子는 pAkt의 발현을 억제하여 혈관 내피세포 성장 인자와 저산소 유도인자-α 발현도 억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決明子가 망막 신생혈관형성의 잠재적 억제제로서 역할을 할 수 있고 혈관증식 망막증을 치료하는데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Retinal neovascularization is a typical etiological pathogenesis of diabetic retinopathy, and it is the major cause of blindness. Visual problems such as opacity, asthenopia, and red eyes are commonly due to the pathological angiogenesis. Methimazole (MMI) is an anti‐thyroid drug and it induces preretinal neovascularization in neonatal rats. Akt is a key regulator in the phosphoinositide 3‐kinase (PI3K) signaling pathway and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many cellular processes, such as cell survival, metabolism, growth, proliferation, and mobility.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has been identified as a causative factor in retinal neovascularization as well as vascular permeability. Transcription factor hypoxia‐inducible factor‐1 (HIF1‐α)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regulation of hypoxia‐responsive genes including VEGF.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aqueous extract of Cassia semen on the MMI‐induced expressions of VEGF, HIF1‐α, and phosphorylated Akt (pAkt) in cultured human retinal pigment epithelium (ARPE‐19) cells. For this study,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and Western blot were conducted. In the present results, Cassia semen extract suppressed MMI‐induced VEGF and HIF‐1α expressions by inhibition of Akt pathway in the ARPE‐19 cells. Therefore, we suggest that Cassia Semen is a potent inhibitor of retinal neovascularization, and may be applied for the treatment of diabetic vasoproliferative retinopathy.

      • 독활 물 추출물이 대식세포 면역 활성에 미치는 영향

        이종한 경원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한의과대학 2010 국내석사

        RANK : 249631

        연구목적 : 독활 물 추출물(Angelicae Pubescentis Radix water extract, 이하 ACE)이 마우스 대식세포의 면역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마우스 대식세포인 Raw 264.7 cell에 독활 물 추출물을 전 처리하여 24,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cell viability와 nitric oxide(NO)생성 변화를 관찰하였고, interleukin-1β(IL-1β), interleukin-6(IL-6) 및 tumor necrosis factor-α(TNF-α) 등의 cytokine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 1. ACE의 세포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24시간 배양 시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나, 48시간 배양 시 25, 100, 200 및 400 ㎍/㎖ 등의 농도 군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2. 대식세포의 NO 생성을 관찰한 결과, ACE를 24시간 배양 시 50 ㎍/㎖ 이상의 농도 군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3. 대식세포의 NO 생성을 관찰한 결과, ACE를 48시간 배양 시 25 ㎍/㎖ 이상의 모든 농도 군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4. 대식세포의 IL-1β 생성을 관찰한 결과, ACE를 24시간 배양 시 100, 200 ㎍/㎖의 농도 군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5. 대식세포의 IL-6생성을 관찰한 결과, ACE를 24시간 배양 시 200 ㎍/㎖의 농도 군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6. 대식세포의 TNF-α 생성을 관찰한 결과, ACE를 24시간 배양 시 50, 100 및 200 ㎍/㎖ 등의 농도 군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결론 : ACE는 Raw 264.7 cell에서 NO, IL-1β, IL-6 및 TNF-α 등의 생성을 모두 유의하게 증가시켜, ACE가 대식세포의 면역 반응을 증진시키는 효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 sti gate the effects of Angelicae Pubescen tis Radix wate r extract(ACE) on immune property in macroph age cells. Methods : We had devided to two group the one is normal group; not treated with ACE, and the ot her is experime ntal group; treated with ACE. We were not until the cell viability, but examined production of Nitric Oxide(NO), on cytokine production such as Interleukin(IL)-lβ, IL-6, Tumor Necrosis Factor(TNF)-a with sample ACE. Results : 1. Cell viability showed not decrease on concentration of 24 hr incubation, but showed significant decrease on concentration of 25, 100, 200 and 400,ug/me in 48 hr incubation. 2. NO production showed significant Increase on concentration over 50ug/mll in 24 hr incubation. 3. NO production showed significant Increase on concentration over 25ug/mll in 48 hr incubation. 4. IL-1β production showed significant Increase on concentration of 100, 200ug/mll in 24 hr incubation. 5. IL-6 production showed significant Increase on concentration of 200ug/mll in 24 hr incubation. 6. TNF-a production showed significant Increase on concentration 50, 100 and 200ug/mll In 24 hr incubation. Conclusion : ACE increased mouse macrophage NO production under concentration over 50ug/mll, and increased production of IL-1β, IL-6 and TNF-a under concentration over 200ug/mll. This results showed ACE has an effect on improvement of macrophage immune property.

      • 牧丹皮가 강제수영부하시험에서 CRF, c-Fos와 TH에 미치는 영향

        성영석 경원대학교 한의과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31

        연구 목적: 牧丹皮가 강제수영부하실험(FST, Forced Swimming Test)에서 흰쥐의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FST를 실시하고 면역조직화학법을 실시하였다. 실험 방법: 흰쥐에게 15분간 강제 수영을 시키고, 24시간 후 다시 5분간 강제 수영을 실시하여 기어오르기, 수영, 부동행동의 시간을 각각 측정한후 면역조직화학법으로 시상하부의 실방핵(PVN, Paraventricular Nucleus) 에서 CRF(Corticotropin-Releasing Factor)와 c-Fos, 청반(LC, Locus Coeruleus)과 복측피개야내(VTA, Ventral Tegmental Area)에서 TH(Tyrosine Hydroxylase)의 발현을 측정하였다. 결 과: 牧丹皮가 흰쥐의 우울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FST를 실시하여 행동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 면역조직화학법으로 시상하부의 PVN에서 CRF와 c-Fos의 변화와 LC와 VTA에서 TH의 변화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이 유의성 있는 결과를 얻었다. 1. FST를 실시하고 부동행동이 나타나는 시간을 관찰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牧丹皮 100 mg/kg그룹에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P<0.05). 2. CRF의 발현을 관찰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牧丹皮 100 mg/kg그룹에서 CRF의 발현이 감소는 경향을 보였다. 3. c-Fos의 발현을 관찰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牧丹皮 100 mg/kg그룹에서 c-Fos의 발현이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P<0.05). 4. LC에서 TH의 발현을 관찰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牧丹皮 100 mg/kg그룹과 牧丹皮 400 mg/kg 그룹에서 모두 TH의 발현이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P<0.001). 5. VTA에서 TH의 발현을 관찰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牧丹皮 100 mg/kg그룹과 牧丹皮 400 mg/kg 그룹에서 모두 TH의 발현이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P<0.001). 이상과 같은 실험결과를 볼 때, CRF 발현의 감소와 LC와 VTA에서 TH 발현 감소를 통한 부동행동 감소를 보임으로써 牧丹皮가 항우울 효과가 있다고 사료된다.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ntidepressant effects of Moutan Cortex, we performed the forced swimming test. Also the expression of CRF, c-Fos and TH was measured with immunohistochemical method at PVN, LC and VTA. Results: 1. The duration of immobility in the forced swimming tes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Moutan Cortex 100 mg/kg treated group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p<0.01). 2. CRF expression was decreased at PVN in the Moutan Cortex 100 mg/kg treated group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But with no significance 3. C-Fos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t PVN in the Moutan Cortex 100 mg/kg treated group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p<0.05). 4. TH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t LC in the Moutan Cortex 100 mg/kg and 400 mg/kg treated group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p<0.001). 5. TH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t VTA in the Moutan Cortex 100 mg/kg and 400 mg/kg treated group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respectively(p<0.001). According to the results, by showing the reduced immobility through the reduction of c-Fos expression at PVN and the reduction of TH expression at LC and VTA.

      • 蒲公英 물추출물의 항염효능에 관한 연구

        황경자 경원대학교 한의과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31

        연구목적 : 蒲公英 (Taraxaci Herba) 물추출물의 항염효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포공영 물추출물이 mouse macrophage RAW 264.7 cells의 세포생존율과 지질다당체(lipopolysaccharide; LPS)로 유발된 RAW 264.7 cells의 nitric oxide,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VEGF), 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PDGF)-BB 등의 염증촉발인자(proinflammatory mediator)와 세포내 calcium의 생성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연구결과 : 1. 포공영 물추출물을 RAW 264.7과 24 시간 동안 함께 배양한 후 MTT assay를 수행한 결과 세포의 생존율에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지 않았다. 2. 포공영 물추출물은 LPS에 의해서 유발된 대식세포의 NO 생성 증가를 25, 50, 100 ㎍/mL의 농도에서 유의하게 억제시켰다. 3. 포공영 물추출물은 LPS에 의해서 유발된 대식세포의 VEGF 생성 증가를 25, 50, 100 ㎍/mL의 농도에서 유의하게 억제시켰다. 4. 포공영 물추출물은 LPS에 의해서 유발된 대식세포의 PDGF-BB 생성 증가를 25, 50, 100 ㎍/mL의 농도에서 유의하게 억제시켰다. 5. 포공영 물추출물은 LPS에 의해서 유발된 대식세포의 세포내 calcium의 생성 증가를 25, 50, 100 ㎍/mL의 농도에서 유의하게 억제시켰다. 결론 : 이상의 결과, 포공영 물추출물은 대식세포에 독성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LPS로 유발된 대식세포의 NO, VEGF, PDGF-BB, 세포내 calcium의 생성 증가를 25 ㎍/mL 이상의 농도에서 유의하게 억제하는 등 항염효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艾葉과 苦參의 醱酵 혼합물이 대식세포 활성에 미치는 영향

        최희철 경원대학교 한의과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31

        목적 : 艾葉(Artemisiae Argyi Folium)과 苦參(Sophorae Radix)의 발효 혼합물(FAP)이 마우스 대식세포 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법 : 艾葉과 苦參을 Sacchromyces cerevisiae STV89(효모)로 각각 발효시킨 후 혼합한 FAP를 이용하여 마우스 대식세포의 cell viability, 세포 내 hydrogen peroxide 생성, NO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 비교하였다. 결과 : 1. FAP의 대식세포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MTT assay를 수행한 결과 FAP를 농도별로 처리했을 때 대식세포에 유의한 생존율 감소를 유발하지 않았다. 2. FAP는 대식세포의 세포 내 hydrogen peroxide의 생성을 증가시켰으며, LPS로 유발된 대식세포 내의 hydrogen peroxide 생성 억제를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3. FAP는 대식세포의 NO의 생성을 감소시켰으며, LPS로 유발된 대식세포의 NO 생성증가를 유의하게 억제시켰다. 결론 : 이러한 결과는 FAP가 대식세포의 면역관련 활성에 대한 유의한 효능이 있음을 의미한다. Objective : This research aimed to study the effect of mixture of fermented Artemisiae Argyi Folium and fermented Sophorae Radix (FAP) on mouse macrophages activity. Method : After fermenting Artemisiae Argyi Folium and Sophorae Radix with Sacchromyces cerevisiae STV89, they were combined into FAP, which was then used to measure and compare the effects on the cell viability, hydrogen peroxide generation, and NO generation of mouse macrophages. Result : 1. An MTT assay was performed to check the effect of FAP on the cell viability of the macrophage. As a result, FAP didn't cause the reduction of the cell viability significantly according to different concentrations. 2. FAP increased the generation of hydrogen peroxide inside the macrophage and significantly recovered the reduction of hydrogen peroxide generation inside the macrophage caused by LPS. 3. FAP reduced the generation of NO inside the macrophage and significantly inhibited the increase of NO generation inside the macrophage caused by LPS. Conclusion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FAP has significant effects on immuno activity of the macrophages.

      • Effect of amygdalin from Armeniacae semen on ion currents changed by lipopolysaccharide in rat periaqueductal gray neurons

        이길재 경원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 재활의학과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15

        Background : Amygdalin is abundant in Armeniacae semen, and it is recently reported to treat cancers and relieve pain. But modus operandi of amygdalin at the level of neuron has not been reported, yet.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effect of amygdalin on glycine- and glutamate-induced ion currents in periaqueductal gray (PAG) neurons. And it was investigated that amygdalin participates in the regulation of the descending pain control system in the level of PAG neurons. Method : We investigated that the changes of glycine- and glutamate-induced ion currents in PAG neurons through application of lipopolysaccharides (LPS) and application of amygdalin with LPS by using the nystatin-perforated patch clamp method. Result : Application of LPS on PAG neurons resulted in increased glycine-induced ion current, and in decreased glutamate-induced ion current. In contrast, application of amygdalin with LPS resulted in decreased glycine-induced ion current increased by LPS, and increased glutamate-induced ion current decreased by LPS. Conclusion : Amygdalin from Armeniacae semen controls glycine- and glutamate-induced ion current by LPS in PAG neurons, and it is suggested that amygdalin participates in the regulation of the descending pain control system in the level of PAG neurons. 배경 : 행인의 주요성분 중 하나인 amygdalin은 통증을 감소시키고 암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그 작용 기전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목적 : 쥐의 PAG neurons에서 amygdalin이 glycine과 glutamate 유발 이온 흐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인체의 하향성 통증 억제 기전에 관여 하는지 여부를 살펴보았다. 방법 : amygdalin이 신경염증반응을 억제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nystatin-perforated patch clamp 방식을 이용하여 쥐의 PAG neurons에 LPS를 가했을 때와 LPS와 amygdalin을 가했을 때 나타나는 glycine과 glutamate 유발 이온 흐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결과 : 쥐의 PAG neurons에 LPS를 가한 경우 glycine 유발 이온 흐름은 증가하였으며, glutamate 유발 이온 흐름은 감소하였다. 반면에, LPS와 amygdalin을 동시에 가한 경우 LPS에 의해 증가된 glycine 유발 이온 흐름은 저하되었으며, LPS에 의해 저하된 glutamate 유발 이온 흐름은 증가하였다. 결론 : amygdalin은 PAG neurons에서 LPS와의 반응에 의해 발생된 glycine과 glutamate 유발 이온 흐름을 억제함으로써 인체의 하향성 통증 억제 기전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連翹가 강제수영부하시험에서 CRF, c-Fos와 TH에 미치는 영향

        김효준 경원대학교 한의과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15

        연구 목적: 連翹가 강제수영부하실험(FST: Forced Swimming Test)에서 흰쥐의 우울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FST를 실시하고 면역조직화학법을 실시하였다. 실험 방법: 흰쥐에게 15분간 강제 수영을 시키고, 24시간 후 다시 5분간 강제 수영을 실시하여 기어오르기, 수영, 부동행동의 시간을 각각 측정한 후 면역조직화학법으로 시상하부의 실방핵(PVN: Para Ventricular Nucleus)에서 CRF(Corticotropin-Releasing Factor)와 c-Fos를 , 복측피개야(VTA:Ventral Tegmental Area)와 청반(LC: Locus Coerules)에서 TH(Tyrosine Hydroxylase)의 발현을 측정하였다. 결 과: 連翹가 흰쥐의 우울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FST를 실시하여 행동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 면역조직화학법으로 시상하부의 PVN에서 CRF, c-Fos를 VTA, LC에서 TH의 변화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이 유의성 있는 결과를 얻었다. 1. FST를 실시하고 부동행동이 나타나는 시간을 관찰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連翹 100mg/kg 그룹과 連翹 400mg/kg 그룹에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p<0.05). 2. 면역조직화학법으로 시상하부의 PVN에서 CRF의 발현을 관찰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連翹 100mg/kg 그룹과 連翹 400mg/kg 그룹에서 CRF의 발현이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p<0.001). 3. c-Fos의 발현을 관찰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連翹 100mg/kg 그룹에서 c-Fos의 발현이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p=0.069). 4. VTA에서 TH의 발현을 관찰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連翹 100mg/kg 그룹과 連翹 400mg/kg 그룹에서 모두 VTA에서 TH의 발현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p<0.05). 5. LC에서 TH의 발현을 관찰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連翹 100mm/kg 그룹에서 감소하였지만 連翹 400 mm/kg 그룹에서는 오히려 증가하여 유의성을 확인할 수 없었다(p=0.346). 이상과 같은 連翹 실험결과를 볼 때, 시상하부의 PVN에서 CRF와 C-Fos의 발현이 감소하여 FST에서 흰쥐의 부동행동을 감소시킴으로써 抗憂鬱 효과가 있다고 생각된다.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ntidepressant effects of Forsythiae Fructus , we performed the Forced Swimming Test. Also the expression of CRF, c-Fos and TH was measured with immunohistochemical method at PVN, VTA and LC Results: 1. The duration of immobility in the Forced Swimming Tes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Forsythiae Fructus 100mg/kg, 400mg/kg groups( p<0.05). 2. CRF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Forsythiae Fructus 100mg/kg and 400mg/kg groups( p<0.001). 3. c-Fos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t PVN in the Forsythiae Fructus 100mg/kg group(p=0.069). 4. TH expression in VTA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Forsythiae Fructus 100mg/kg and 400mg/kg groups(p<0.05). 5. TH expression in LC was not significantly increased or decreased(p=0.346). According to the results, it can be considered that Forsythiae Fructus has antidepressant effect , by the decreased immobility through the reduction of CRF and c-Fos expression at PVN. In the expression of TH in LC, FF 100 and FF 400 group demonstrated an increase or decrease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but with no signific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